KR20190071056A -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056A
KR20190071056A KR1020170171767A KR20170171767A KR20190071056A KR 20190071056 A KR20190071056 A KR 20190071056A KR 1020170171767 A KR1020170171767 A KR 1020170171767A KR 20170171767 A KR20170171767 A KR 20170171767A KR 20190071056 A KR20190071056 A KR 20190071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altodextrin
inclusion compound
nondigestible
omij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0204B1 (ko
Inventor
정유진
유이슬
황가은
박종목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2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은,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하여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오미자의 신맛을 감소시켜 오미자의 풍미를 살리는 동시에 기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포접화합물을 통하여 항노화, 항산화 식후 혈당상승 억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Clathrate compound of Schisandra chinensis extract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과 포접한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소득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식생활의 다양화 및 고급화로 인해 건강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맛과 질이 뛰어난 여러 가지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최근에는 여러 가지 과일이나 채소 또는 오미자 같은 각종 천연식물의 열매서 추출한 추출액을 함유시킨 음료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전국의 산간지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특히 문경시에서 지방자치단체 특화식물로 지정되어 대량 재배되고 있는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자양, 간장, 진해제로 쓰며 구갈증과 주독을 푸는 해독제로 좋은 효과를 본다고 알려져 있다.
「본초학(本草學)」에는 '껍질은 시고(酸), 살은 달고(甘), 씨는 맵고(辛) 쓰며(苦) 전체는 짠 맛(鹹)이 있으니 오미자(五味子)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거담, 진해, 정천(가쁜 숨을 바로 잡음), 청혈(淸血), 검한(식은 땀을 거둠), 생진지갈(갈증을 없앰), 보신(補腎), 양오장(오장을 튼튼하게 함), 요유정(몽정을 없앰), 강음강정(남녀간에 정력을 강하게 함), 부녀음냉(여자의 냉을 없앰)의 약효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미자는 예로부터 몸이 허약한 사람, 무력증, 육체적 및 정신적 피로가 왔을 때, 기침이 나고 숨이 찬데, 목이 쉬는데,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땀을 많이 흘리는데, 유정, 심근 쇠약, 당뇨병, 간염 치료 및 감기를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 오미자에 대한 근래의 약학적인 실험에서는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시잔드에스테르A(Schizandester A), 시잔드린B(Schizandrin B)를 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CCl4에 의해 유도된 간 장애에 보호작용을 하며, 간 기능검사에서 나타나는 아미노전이효소인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의 상승을 뚜렷이 억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감마시잔드린(γ-schizandrin)은 병적으로 높아진 효소단위를 저하시켜 간장 보호작용을 하는 등 간질환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A(Gomisin A)는 스트레스성 궤양에 대해 예방작용과, 진통작용, 위액 분비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리서핀(Reserpine)에 의한 중추작용을 증강시켜 호흡중추를 자극하고 중추신경계통의 반응성을 높여 신경장애에서 초래된 자각증상을 낫게하고 정신적 작업능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이 외에도 인체에 유용한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체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미자는 상품성 높은 기능성 원료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으며, 그에 대한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져 여러 음료회사에서 오미자 음료를 개발하고 있고, 식품회사에는 오미자의 분말차를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다.
또, 오미자에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오미자의 기능성 성분이 적용된 기술이 다수 특허출원되고 있는바, 대표적인 것으로 오미자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스포츠 음료용 식혜의 제조방법, 오미자 희석차 및 희석음료 원액 제조방법, 오미자 농축액 추출방법 및 오미자 농축액을 이용한 오미자 주, 떫은맛이 제거된 오미자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색소 안정성이 부여된 오미자 음료의 제조방법, 오미자를 주원료로 한 술 및 그 제조 방법, 오미자 발효주의 제조방법, 오미자 과실의 수증기 증류액 제조방법, 기호식품 원액, 색소 오미자음료의 제조 방법, 향미성분 및 색 포집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미자 과립차의 제조 방법, 결명자와 오미자 함유 복합 음료 조성물, 오미자 당추출물과 카라기난을 이용한 젤리제조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오미자의 피육은 달고도 시며, 핵중은 맵고도 떫으며 또한 써서 합하면 오미(五味)라고 하여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 이 중 신맛은 오미자가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는 유기산에 의한 것으로 citric acid, tartart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및 lactic acid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유기산은 오미자의 항노화, 항산화 활성에 기여를 할 뿐만 아니라 피로 개선활성의 주성분으로 작용한다.
오미자의 풍부한 유기산 성분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높여주지만 오미자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이 미진한 것은 오미자의 신맛이 소비자의 기호성에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제품화된 경우도 신맛을 중화하기 위해 과도한 설탕을 사용하거나, 제품 속의 오미자 함량이 미미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오미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매실, 마늘, 고추, 깻잎 등과 같이 기능적으로는 식품 소재로써 가치가 인정되지만 독특한 관능적 특성으로 인하여 가공 제품으로 개발에 제한을 받는 다른 작물의 경우도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들 작물의 관능적 특성을 제어하는 식품 가공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은 옥수수 전분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식후 혈당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Livesey G와 Tagami H 2009). 시판되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은 85%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g당 2 Kcal의 열량을 제공한다(Kim YA 2005).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을 이용한 식품에 관한 연구로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을 첨가한 저 열량 머핀 제조(Kim YA 2005),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이 케이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Kim YA 2004) 등이 보고되었으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을 이용한 글루텐 프리 제품의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KR 10-1733845 B1 KR 10-2017-0051099 A KR 10-1339706 B1 KR 10-1781726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과 포접된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활성, 식후 혈당상승 억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은,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하여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은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는, 10 ~ 120℃에서 5 ~ 240분 동안 300 ~ 700 rpm의 교반기를 이용해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추출물과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1 : 0.1 ~ 1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는, 상기 제조된 포접화합물을 실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막자사발로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포접화합물의 입자크기가 0.01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은,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된 포접화합물이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의 입자 크기가 0.01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0 ~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된 포접화합물이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포접화합물의 입자크기가 0.01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0 ~ 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오미자의 신맛을 감소시켜 오미자의 풍미를 살리는 동시에 기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포접화합물을 통하여 항노화, 항산화 식후 혈당상승 억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미자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b)는 실시예 2 내지 9,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HPL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및 (b)는 실시예 10 내지 15, 비교예 1 및 비교예2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HPL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b)는 실시예 16 내지 19,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HPL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b)는 실시예2 내지 19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 반응시간 및 온도에 따른 시트르산의 포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2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는 실시예 13, 14 및 비교예 2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c)는 실시예 19 및 비교예 2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후혈당상승억제, 배변활동 원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의 기능성이 입증되어 있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은 당분이 혈관에 흡수되는 속도를 늦추어줌으로써, 인슐린의 과다 분비를 감소시킨다. 또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섭취를 통해 글루코즈 등 영양소의 확산저해 및 소장의 아래 부위까지 소화물이 내려가면서 음식의 소화와 흡수속도를 저하시켜 궁극적으로 포도당 흡수를 느리게 함으로서 혈당치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은 옥수수 전분을 가열하여 얻은 베소덱스트린을 알파-아밀라제 및 아밀로글루코시다제로 효소분해하고 정제한 것 중 난소화성 성분을 분획하여 얻은 건강 기능성 물질이며, 식이섬유 함량은 표시량의 80% 이상으로서, 건강기능식품공전의 기능성 원료로 등재되어 있는 기능성 원료이다.
본 발명은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하여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과 포접된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노화, 항산화 활성, 식후 혈당상승 억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오미자의 신맛을 감소시켜 오미자의 풍미를 살리는 동시에 기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포접화합물을 통하여 항노화, 항산화 식후 혈당상승 억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제조방법은,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하여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은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의 하기에서 설명되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NMD)과 포접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이다.
상기 오미자는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 1 단계인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열수추출일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의 열수추출은 오미자와 물을 1 : 5 ~ 20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 7 ~ 15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 9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의 추출은, 90 ~ 110℃ 온도의 상압조건하에서 1 ~ 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95 ~ 105℃ 온도의 상압조건하에서 2 ~ 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온도의 상압조건하에서 2시간 30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를 거친 오미자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에서 설명되는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바로 포접반응을 수행할 수도 있고, 냉동보관 후 해동하여 포접반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냉동보관은 -50 ~ 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40 ~ -1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하여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는, 10 ~ 120℃에서5 ~ 240분 동안 300 ~ 700rpm의 교반기를 이용해 반응시키는 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2 단계는 교반기를 이용하여 20 ~ 90℃에서 10 ~ 180분 동안 400 ~ 500rpm으로 반응시킬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27℃에서 60분 동안 500rpm으로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추출물과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1 : 0.1 ~ 1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 : 0.9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이 이루어지며, 포접율은 30 ~ 40 % 일 수있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 내의 말릭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은 완전한 포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제 2 단계에서 포접된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는, 상기 제조된 포접화합물을 실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린지 필터는 0.1 ~ 0.2㎛ 크기의 입자를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상기 포접화합물을 -50 ~ 0℃ 온도의 동결건조기를 통해 3 ~ 7m torr 조건하에서 36 ~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캡슐화된 포접화합물의 입자크기가 0.01 ~0.2㎛일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은,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된 포접화합물이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와 물을 1 : 5 ~ 20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 7 ~ 15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수출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 9중량비로 혼합하여 열수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90 ~ 110℃ 온도의 상압조건하에서 1 ~ 5시간 동안 열수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95 ~ 105℃ 온도의 상압조건하에서 2 ~ 4시간 동안 열수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00℃ 온도의 상압조건하에서 2시간 30분 동안 열수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포접화합물의 입자 크기가 0.01 ~0.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0 ~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은 복수개의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및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포함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을 제한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포접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된 포접화합물이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0 ~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접화합물의 입자크기가 0.01 ~0.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 당 0.0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오미자 추출물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오미자의 신맛을 감소시켜 오미자의 풍미를 살리는 동시에 기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포접화합물을 통하여 항노화, 항산화 식후 혈당상승 억제 및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먼저, 오미자는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준비된 오미자 210g과 물 1,890ml를 혼합하여 100℃의 상압조건하에서 2시간 30분 동안 열수추출하여 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오미자 추출물은 -20℃에서 냉동보관하였다
실시예 2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냉장보관 중인 오미자 추출물을 실험 전 상온(25℃)에서 25분 동안 해동시켜 준비하였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3g을 바이알에 투입한 다음 10ml 오미자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27℃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500rpm으로 10분 동안 포접반응시켜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3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교반기에서 교반시간을 10 대신 30분 실시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4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교반기에서 교반시간을 10 대신 60분 실시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5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교반기에서 교반시간을 10 대신 180분 실시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지 않은 상태로 반응을 진행시켰다.
실시예 6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냉장보관 중인 오미자 추출물을 실험 전 상온(25℃)에서 25분 동안 해동시켜 준비하였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3g을 바이알에 투입한 다음 10ml 오미자 추출물을 투입하여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70℃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500rpm으로 10분 동안 포접반응시켜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7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교반기에서 교반시간을 10 대신 30분 실시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8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교반기에서 교반시간을 10 대신 60분 실시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9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교반기에서 교반시간을 10 대신 180분 실시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지 않은 상태로 반응을 진행시켰다.
실시예 10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3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6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1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6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2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6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3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7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6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4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8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6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5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6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6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9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7 :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9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8 : 고온에서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8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9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19 : 오미자 추출물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3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대신에 9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포접화합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분석>
1. 온도, 시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에 따른 시트르산과 말릭산의 포접량 분석(HPLC 분석)
도 2(a) 및 (b)는 실시예 2 내지 9,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HPL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b)는 실시예 10 내지 15,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HPL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a) 및 (b)는 실시예 16 내지 19,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HPLC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b)는 실시예2 내지 19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 반응시간 및 온도에 따른 시트르산의 포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2 내지 19에 따라 제조된 포접화합물을 HPLC 분석을 통해 포접량(시트르산 감소율)을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상온(27℃)에서의 시트르산 포접량(시트르산 감소율) 분석
시간(min)
양(g)
10 30 60 180
3 13.0±3.6% 17.1±1.3% 13.7±6.8% 17.7±1.3%
6 25.2±2.6% 27.7±2.0% 28.2±0.2%
9 34.2±4.3% 36.7±0.8%
고온(70℃)에서의 시트르산 포접량(시트르산 감소율) 분석
시간(min)
양(g)
10 30 60 180
3 14.1±3.6% 15.6±1.3% 12.0±5.4% 16.4±1.3%
6 25.2±2.3% 27.7±2.1% 27.5±0.2%
9 34.2±2.2% 36.7±0.8%
도 2 내지 5,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반응시간이 증가하여도 시트르산 감소율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2 내지 4에서 녹색으로 표기된 말릭산 피크는 인접한 피크의 영향으로 정확히 수치화할 수 는 없지만 반응 후 숄더피크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말릭산의 대부분이 난소화성 말토텍스트린과 포접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표 1 및 2를 참조하여 실시예 2 내지 19를 27℃ 및 70℃에 따라 비교하여 보면 실시예 16(34.2%) 및 실시예 18(33.1%)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이것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이 증가하여 포접율이 증가하나 것으로 확인되며, 상온(27℃) 및 고온(70℃)에서의 포접율 차이는 유사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실시예 16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이 9g까지 증가할수록 포접율(시트르산 감소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말릭산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g 이상 투입되면 말릭산의 숄더피크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3g이상 투입하면 말릭산은 모두 포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간, 온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에 따른 오마자 추출물의 포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온에서 오미자 추출물에 9g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투입하여 60분동안 교반반응하는 것이 가장 높은 포접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FT-IR 분석
도 6(a)는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1의 FT-IR 그래프이며, 도 6(c)는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2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실시예 13, 14 및 비교예 2의 FT-IR 그래프이며, 도 7(c)는 실시예 19 및 비교예 2의 FT-IR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의 양에 따른 normalization된 FT-IR 데이터
파장(cm-1) 결합 유기산
2614 C-H citric, malic acid
1712 C=O citric, malic acid
1394 C-H citric acid
1189 C-O citric, malic acid
1098 C-O citric, malic acid
1074 C-O citric, malic acid
1024 C-O malic acid
931 C-H citric acid
892 C-H citric, malic acid
814 C-H citric acid
779 C-H citric acid
도 6(a) 내지 7(c) 및 표 3을 참조하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양이 증가할수록 시트르산 및 말릭산 피크가 전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1,712cm-1(C=O)영역에서 시트르산 및 말릭산 피크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HPLC 분석 그래프 및 FT-IR 결과를 통해 27℃의 온도에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 9g(실시예 16)을 이용하여 60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포접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세포 독성 분석
3-1 시료의 제조
실시예 16의 포접화합물과 비교예 1의 오미자 추출물을 각각을 MEM05( Minimum Essential Medium, 5 % FBS, 1 % penicillin/streptomycin에 최종농도 1,000 ㎍/㎖ 가 되도록 녹인 후 0.22 ㎛ 필터와 주사기를 이용하여 여과 멸균하여 1,000 ㎍/㎖ 농도의 시험검체 용액을 준비하였다.
MEM05를 이용하여 1,000 ㎍/㎖ 시험검체 시험액(실시예 16) 및 대조군 시험액(비교예 1)을 연속 희석(serial diution)하여 1,000, 500, 250, 125 ㎍/㎖ 농도로 희석하여 시험검체 시험액을 제조하였다.
공시험액은 아무 처리하지 않은 MEM05를 이용하였다.
3-2. 세포의 배양 및 독성분석
한국 셀 라인 은행에서 구입한 L-959(Mus musculus,mouse,fibroblast)세포는 MEM10(Minmun Essential Medium, 10 % FBS, 1% penicilliin/streptomycin)에 현탁하여 96 well microplate에 1 × 104 cells/100 ㎕ MEM10/well(well 당 100 ㎕씩 10,000개 세포)로 분주 후 CO2 배양기(37℃, 5% CO2)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microplate의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아무 처리하지 않은 공시험액 : 처리 배양액(MEM05))
각 well에 각각의 시험검체 시험액(실시예 16) 및 대조군 시험액(비교예1)을 100㎕씩 처리한 후 CO2 배양기(37℃, 5 %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처리배양액 및 시험액을 제거 한 후 WST 배지(10 % WST solution in MEM)를 각 well에 처리 후 CO2 배양기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배지를 Microplate Rdader를 이용하여 630nm reference 파장과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시험군 OD450 - OD630/공시험액 대조군 OD450-OD630) × 100으로 계산하였으며 총 6회에 걸쳐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에 따른 포접화합물의 독성 분석결과
sample 농도 생존율(%) 평균(%) 편차
(ug/ml) 1 2 3 4 5 6
난소화
성 덱스
트린
(실시예
16)
1,000 93.08 100.66 102.90 98.63 101.59 95.57 98.74 3.77
500 100.62 93.79 93.29 87.33 99.84 87.59 93.74 5.72
250 90.49 88.92 84.20 94.33 90.73 84.75 88.90 3.86
125 95.33 99.88 95.54 95.98 87.80 88.67 93.87 4.67
0 98.55 97.93 98.37 96.60 97.66 90.94 96.68 2.89
비교예 1에 따른 오미자 원액의 독성 분석결과
sample 농도 생존율(%) 평균(%) 편차
(ug/ml) 1 2 3 4 5 6
오미자
원액
(비교
예 1)
1,000 77.2 81.8 78 77.2 71.4 76.6 77 3.3
500 76.9 83.7 83.1 73.6 70.8 76.1 77.4 5.1
250 80 80.6 73.5 71.2 75.4 75.3 76 3.7
125 88.1 84.1 90.5 84.5 86.4 84.7 86.4 2.5
0 100.1 104 96.1 102.4 96.6 100.6 99.9 3.1
양성 대조물질 독성 분석결과

sample
농도 생존율(%) 평균(%) 편차
(%) 1 2 3 4 5 6

(+)cont

100 9.43 8.13 7.72 7.41 7.01 8.54 8.04 0.867
50 7.91 7.43 8.31 7.70 7.66 7.42 7.74 0.333
25 8.13 7.40 7.56 7.52 7.59 7.53 7.63 0.255
12.5 20.89 21.60 25.38 24.41 23.96 20.23 22.75 2.112
(+)cont=(양성대조물질:Polyurethane film containing 0.1% zincdiethyldithiocarbamate 용출액) (시료/용출배지 비율: 0.1 g/ml), (용출배지: MEM, 5 % FBS, 1 % P/S)
상기 표 4 내지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6에 따른 포접화합물은 조금의 편차는 있으나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장 높은 농도인 1,000 ug/ml 농도에서도 세포의 생존율이 평균 98.74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포접화합물을 약학적 조성물에 충분히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200 :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300 :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

Claims (11)

  1. 오미자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을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하여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는,
    10 ~ 120℃에서 5 ~ 240분 동안 300 ~ 700rpm의 교반기를 이용해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는,
    상기 추출물과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을 1 : 0.1 ~ 1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을 캡슐화하는 제 3 단계는,
    상기 제조된 포접화합물을 실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막자사발로 분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화된 포접화합물의 입자크기가 0.01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제조방법.
  6.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된 포접화합물이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의 입자 크기가 0.01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0 ~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9. 오미자 추출물 내의 시트르산 및 말릭산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과 포접된 포접화합물이며,
    상기 시트르산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의 포접율이 30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화합물의 입자크기가 0.01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 100중량부 대비, 상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Nondigestible maltodextrin)이 30 ~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171767A 2017-12-14 2017-12-14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767A KR102080204B1 (ko) 2017-12-14 2017-12-14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767A KR102080204B1 (ko) 2017-12-14 2017-12-14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56A true KR20190071056A (ko) 2019-06-24
KR102080204B1 KR102080204B1 (ko) 2020-02-21

Family

ID=6705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767A KR102080204B1 (ko) 2017-12-14 2017-12-14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12A (ko) * 2019-10-21 2021-04-30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상의 오미자 농축물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448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래디안 포접된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39706B1 (ko) 2013-06-20 2013-12-1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20150027676A (ko) * 2013-08-30 2015-03-12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3845B1 (ko) 2014-09-19 2017-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한 글루텐 무첨가 쌀 면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1099A (ko) 2015-10-30 2017-05-11 한국콜마주식회사 오미자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 함유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오미자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1781726B1 (ko) 2016-01-21 2017-09-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 유래 리그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448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래디안 포접된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39706B1 (ko) 2013-06-20 2013-12-10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20150027676A (ko) * 2013-08-30 2015-03-12 씨제이제일제당 (주)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3845B1 (ko) 2014-09-19 2017-05-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한 글루텐 무첨가 쌀 면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1099A (ko) 2015-10-30 2017-05-11 한국콜마주식회사 오미자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 함유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오미자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의 제조방법
KR101781726B1 (ko) 2016-01-21 2017-09-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 유래 리그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412A (ko) * 2019-10-21 2021-04-30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상의 오미자 농축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204B1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7324A2 (en)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101614574B1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102257052B1 (ko) 양배추를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080204B1 (ko) 오미자 추출물의 포접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998821B1 (ko) 황칠 발효물 및 l-세린을 이용한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JP2015502954A (ja) アギタケ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脂質異常症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102006551B1 (ko)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422537A (zh) 油橄榄叶食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08220A (ko) 버섯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527154B1 (ko) 푸룬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의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장 안정성이 강화된 변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03094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631632B (zh)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KR102337130B1 (ko) 한방 복합 재료의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620166B1 (en)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of odontella aurita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30166478A (ko) 원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