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253A -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253A
KR20190063253A KR1020170162207A KR20170162207A KR20190063253A KR 20190063253 A KR20190063253 A KR 20190063253A KR 1020170162207 A KR1020170162207 A KR 1020170162207A KR 20170162207 A KR20170162207 A KR 20170162207A KR 20190063253 A KR20190063253 A KR 2019006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braking
motor
inverter
invert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김동욱
이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253A/ko
Priority to PCT/KR2018/014707 priority patent/WO2019107872A1/ko
Priority to CN201880077363.1A priority patent/CN111434023B/zh
Priority to US16/768,156 priority patent/US11811341B2/en
Publication of KR2019006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36Arrangements for braking or slowing; Four quadra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H02P3/2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by reversal of phase sequence of connections to th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H02P3/22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by short-circuit or resistive bra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인버터부와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터가 정지되도록,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1 제동 모드가 먼저 실행된 후,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2 제동 모드 및 제3 제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MOTOR DRIV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전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모터 구동장치는, 회전 운동을 하는 회전자와 코일이 감긴 고정자를 구비하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모터 구동장치는, 센서를 이용한 센서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와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 제조 비용 저감 등을 이유로,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모터 구동을 위해,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의 모터 구동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홈 어플라이언스에 탑재된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는 의류처리장치, 공기조화기 및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 중,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방식에 따라 탑로딩 방식(top loading type)과 프론트 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탑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연통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에 연통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터브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 구동장치를 탑재한다. 최근, 터브의 회전축에 모터의 회전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다이렉트 드라이브(Direct Drive) 방식이 선호되고 있으며, 탈수성능 향상 및 신속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회전속도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모터와 터브 사이에 배치된 기어박스를 구비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박스의 기어비 조정은, 의류처리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 및 기어박스의 적용에 의해, 탈수 모드로 동작 중인 의류처리장치의 모터 회전 속도가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탈수 종료 시에 적용되던 모터 제동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모터 구동장치 내에서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 구동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요소의 온도가 위험한 수준까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탈수 종료를 시작하는 시점의 모터 회전 속도는 대략 100RPM 내지 200RPM이고,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기어박스를 탑재한 의류처리장치의 탈수 종료를 시작하는 시점의 모터 회전 속도는 대략 600RPM 내지 700RPM이다.
아울러, 기존의 모터 제동 방법인 발전 제동 방법을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기어박스를 탑재한 의류처리장치의 탈수 종료 시에 적용하는 경우, 발전 제동을 수행하기 위해 인버터부 내의 하암 스위치를 모두 온시키고, 이에 따라 모터 구동장치 내의 지능형 전력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IPM)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IPM은 설계된 한계 온도 이하에서 동작해야만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IPM에 과전류가 흐름으로 인하여, 상기 IPM의 온도가 한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IPM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탈수 모드를 종료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동시키는 과정에서, IPM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은 모터 구동장치의 안전성을 저하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6446호(공개일자 2005년 06월 30일)를 살펴보면, 탈수 행정을 종료시키기 위해 먼저 역상 제동을 수행시키다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발전 제동으로 전환시키는 세탁기의 모터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6446호에 개시된 방법만으로는 500RPM 이상으로 회전하는 모터를 제동시킬 때, IPM에 충분히 낮은 전류를 흘려줄 수 없다.
특히, IPM의 크기와 용량을 줄이는 추세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은 더욱 심화되며, 이에 따라 고속 회전 중인 모터를 정지시키면서도, 제어부에 흐르는 전류가 위험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인터버부를 제어하는 모터 제동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속으로 회전 중인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모터 제동을 수행하면서도, 인버터부 및 인버터 제어부의 온도가 위험 수준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및 이러한 모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제동 시 인버터부 및 인버터 제어부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인버터 제어부의 온도 상승을 저하시킴으로써, 모터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버터 제어부의 크기 및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대상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의 크기와 상관 없이, 모터의 제동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장치 및 이러한 모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제동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모터 제동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모터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부는, 서로 직렬 연결된 스위치 쌍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위치 쌍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제어부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터가 정지되도록,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1 제동 모드가 먼저 실행된 후,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2 제동 모드 및 제3 제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에 포함된 스위치를 모두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상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제동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스위치 쌍 중 상암 스위치는 모두 오프시키고, 하암 스위치는 모두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된 후,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제1 제동 모드가 우선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모터가 정지할 때까지,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 모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각각의 시간의 합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시간 간격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시간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1 시간간격과,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2 시간간격 및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3 시간간격을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간간격의 합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과, 소정의 시간 값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발생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간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및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과, 설정된 상기 제2 및 제3 시간간격의 차이를 상기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제3 시간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에 상기 제3 제동 모드를 적용할 때 상기 인버터 제어부 내의 일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류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 제어부의 한계 온도 및 한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가 구비하는 모터 구동장치에 의하면, 모터를 급제동시킬 때, 인버터부 및 인버터 제어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모터의 구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버터 제어부의 크기 및 용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즉, 종래의 모터 구동장치의 한계 전류가 15A를 기준으로 설계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모터 구동장치의 한계 전류는 5A를 기준으로 설계되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대상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의 크기와 상관 없이, 모터의 제동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로써, 모터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실동률이 증가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 또는 도 2에 도시된 홈 어플라이언스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도 3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5는 기어부를 탑재하는 세탁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동 방법과 관련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의류처리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탑 로드 방식으로 정의된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BLDC 모터를 구비하는 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라면 어떤 종류라도 적용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1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5)과, 케이싱(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에 세탁기(100)의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조(122)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포출입홀을 형성하는 탑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본체(111)와 탑커버(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케이싱(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충분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봉(135)은, 케이싱(110)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인 탑커버(1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110)의 고정된 부분 어느 곳과도 결합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시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한다.
도어(113)는, 탑커버(112)에 형성된 포출입홀(미표기)을 여닫는 것으로, 본체(111)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120)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124)와, 외조(124)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조(120)의 상부에는 세탁조(120)의 회전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1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는, 세탁조(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38)는, 내조(122)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장치(138)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내조(122)만이 회전되거나, 펄세이터(133)만이 회전되거나, 내조(122)와 펄세이터(133)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탑커버(112)에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14)가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급수유로(123)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4)를 경유한 후 내조(122) 내로 공급된다.
내조(122)에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내조(122)로 공급된 세탁수가 복수의 홀을 통해 외조(124)로 유동한다. 급수유로(123)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2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유로(141)를 통해 외조(124)내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배수유로(141)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43) 및 세탁수를 펌핑하는 (139)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봉(135)은, 외조(124)를 케이싱(110) 내에 매달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케이싱(110)에 연결되고, 지지봉(135)의 타단은 서스펜션(150)에 의해 외조(124)와 연결된다.
서스펜션(150)은, 세탁기(100) 작동 중에 외조(124)가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킨다. 예를 들어, 내조(122)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외조(124)가 진동할 수 있으며, 내조(122)가 회전하는 중에는 내조(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 내조(122)의 회전 속도 또는 공진 특성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는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정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0)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0)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300)과, 상기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사용자로부터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모드를 선택받거나, 선택된 운전모드의 실행과 관련된 입력을 인가받는 컨트롤패널(115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0)은 본체(11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커버(1120)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탑플레이트(116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20)는 세탁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구부(1140)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300)은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드럼(1300)은 상기 모터에서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1300)은 다수의 통공(1310)을 구비하므로 상기 터브(1200)에 저장된 세탁수는 상기 통공(1310)을 통해 상기 드럼(1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터브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은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와 마찰하는 과정에서 오물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15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컨트롤패널(1150)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패널(1150)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패널(1150)은 사용자가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조작부(1170, 1180)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작을 포함하여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하고, 도 4는 도 3의 모터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6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모터(63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버터부(420), 인버터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 구동장치(620)가 탑재된 홈 어플라이언스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도 있고, 상기 제어유닛을 구성하는 회로의 일부분에 대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620)는, 컨버터(410), dc 단 전압 검출부(B), 평활 커패시터(C), 리액터(L), 직류단 전류 검출부(Rs) 및 상전류 검출부(S1, S2, 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의 모터 구동장치(620) 내의 각 구성 유닛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평활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평활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평활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입력될 수 있다.
인버터부(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63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부(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즉, 제1 상암 스위치(Sa) 및 제1 하암 스위치(S'a)는 제1 상을 구현하고, 제2 상암 스위치(Sb) 및 제2 하암 스위치(S'b)는 제2 상을 구현하며, 제3 상암 스위치(Sc) 및 제3 하암 스위치(S'c)는 제3 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 쌍(Sa, S'a) 중 제1 하암 스위치(S'a)의 일단에는 제1 션트저항(S1)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하암 스위치(S'b)의 일단에는 제2 션트저항(S2)이 연결되고, 제3 하암 스위치(S'c)의 일단에는 제3 션트저항(S3)이 연결되된다.
인버터부(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삼상 동기 모터(630)에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부(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dc)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부(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부(420)에 출력한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dc)을 기초로 생성되어 출력된다.
직류단 전류 검출부(Rs)는, 3상 모터(6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dc)를 검출할 수 있다.
직류단 전류 검출부(Rs)는, dc단 커패시터(C)와 인버터부(42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에 흐르는 출력전류(Idc)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직류단 전류 검출부(Rs)는, 1개의 션트 저항 소자(Rs)를 구비할 수 있다.
직류단 전류 검출부(Rs)는, 1개의 션트 저항 소자(Rs)를 사용하여, 인버터부(420)의 하암 스위치의 턴 온시, 시분할로, 모터(630)에 흐르는 출력 전류(idc)인 상 전류(phase current)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각 상의 하암스위치에는 상전류검출부(S1, S2, S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전류검출부(S1, S2, S3)는 복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흐르는 상전류를 검출 할 수 있다.
검출된 출력전류(idc)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dc)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검출된 출력전류(idc)가 삼상의 출력 전류(ia,ib,ic)인 것으로하여 기술한다.
한편, 3상 모터(6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모터(630)는, 브러시리스(BrushLess와, BLDC) DC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630)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dc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도 5의 인버터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축변환부(510), 속도 연산부(520), 파워 연산부(321), 속도 지령 생성부(323), 전류 지령 생성부(530), 전압 지령 생성부(540), 축변환부(55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변환부(5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idc)에서, 각각의 상 전류(ia,ib,ic)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 전류(ia,ib,ic)를,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축변환부(510)는, 정지좌표계의 2상 전류(iα,iβ)를 회전좌표계의 2상 전류(id,iq)로 변환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52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전류(idc)에 기초하여, 위치(
Figure pat00001
)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를 미분하여, 속도(
Figure pat00002
)를 연산할 수 있다.
파워 연산부(321)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전류(idc)에 기초하여, 모터(630)의 파워 또는 부하를 연산할 수 있다.
속도 지령 생성부(323)는, 파워 연산부(321)에서 연산된 파워(P)와, 파워 지령치(P* r)에 기초하여, 속도 지령치(ω* r)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속도 지령 생성부(323)는, 연산된 파워(P)와, 파워 지령치(P*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32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속도 지령치(ω* r)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3
)와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4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3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전류 지령치(i* q)를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류 지령치로, q축 전류 지령치(i* q)를 예시하나, 도면과 달리, d축 전류 지령치(i* d)를 함께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d축 전류 지령치(i* d)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 지령 생성부(530)는, 전류 지령치(i*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음,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축변환부에서 2상 회전 좌표계로 축변환된 d축, q축 전류(id,iq)와, 전류 지령 생성부(530) 등에서의 전류 지령치(i* d,i* q)에 기초하여,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q축 전류(iq)와, q축 전류 지령치(i* q)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q축 전압 지령치(v* q)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축 전류(id)와, d축 전류 지령치(i* d)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8)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d축 전압 지령치(v* d)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지령 생성부(540)는, d 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는, 축변환부(550)에 입력된다.
축변환부(550)는,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5
)와, d축, 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입력받아, 축변환을 수행한다.
먼저, 축변환부(550)는, 2상 회전 좌표계에서 2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속도 연산부(520)에서 연산된 위치(
Figure pat00006
)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축변환부(550)는, 2상 정지 좌표계에서 3상 정지 좌표계로 변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을 통해, 축변환부(105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를 출력하게 된다.
스위칭 제어 신호 출력부(560)는, 3상 출력 전압 지령치(v*a,v*b,v*c)에 기초하여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부(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부(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이하의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동 방법이 설명된다.
탈수 행정이 개시되면, 인버터 제어부(430)는 미리 설정된 가속 시간동안 모터를 가속시킬 수 있고(S701), 모터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속도 값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동안 모터의 회전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S702).
이후,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부(430)에 포함된 스위치를 모두 오프시키는 제1 제동 모드(S703)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제동 모드를 실행시킨 후,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제동 속도에 도달하거나,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1 시간(T1)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4).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제동 속도에 도달하거나,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1 시간(T1)을 경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제동 모드를, 역상 전류를 인가하는 제2 제동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S705).
반대로,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제동 속도 보다 높고,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1 시간(T1)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제동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제동 모드를 실행시킨 후,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제동 속도에 도달하거나,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2 시간(T2)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6).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제동 속도에 도달하거나,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2 시간(T2)을 경과하면, 상기 제2 제동 모드를 종료하고, 인버터부에 포함된 스위치들 중 하암 스위치를 모두 온 시키는 제3 제동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S707).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제동 속도 보다 높고,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2 시간(T2)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제동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제동 모드를 실행시킨 후,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3 제동 속도에 도달하거나,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3 시간(T3)을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6).
인버터 제어부(430)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3 제동 속도에 도달하거나,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된 시간이 제3 시간(T3)을 경과하면, 모터의 제동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버터 제어부(43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모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가 정지되도록 모터 제동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1 제동 모드가 먼저 실행된 후,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2 제동 모드 및 제3 제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인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동 모드는 인버터부의 모든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여력 제동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제동 모드는 모터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상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역상 제동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3 제동 모드는 스위치 쌍 중 상암 스위치는 모두 오프되고, 하암 스위치는 모두 온되는 발전 제동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는 여력 제동인 제1 제동 모드를 먼저 실행한 후에, 역상 제동인 제2 제동 모드를 실행하고, 제2 제동 모드가 종료되면 발전 제동인 제3 제동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인버터 제어부 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버터 제어부는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제1 제동 모드가 우선적으로 실행되도록 인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 제어부는,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인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는, 제2 제동 모드가 완료되면, 모터가 정지할 때까지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인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버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 제동 모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실행시키고, 제1 내지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각각의 시간의 합은,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는 제동 지령이 생성된 시점에서의 모터의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시간 간격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제어부는, 제동 지령이 생성된 시점에서의 모터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시간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버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근거하여,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1 시간간격(S803)과,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2 시간간격(S804) 및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3 시간간격(S805)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내지 제3 시간간격(S803, S804, S805)의 합은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TB)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과, 소정의 시간 값 사이의 차이를 제1 시간간격(S80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인버터 제어부는 제동 지령이 발생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시간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및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과 설정된 상기 제2 및 제3 시간간격의 차이를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된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발전 제동에 대응되는 제3 제동 모드를 수행하는 제3 시간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모터에 제3 제동 모드를 적용할 때 인버터 제어부 내의 일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류의 크기에 근거하여,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부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 제어부의 한계 온도 및 한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가 구비하는 모터 구동장치에 의하면, 모터를 급제동시킬 때, 인버터부 및 인버터 제어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모터의 구동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가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인버터 제어부의 크기 및 용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즉, 종래의 모터 구동장치의 한계 전류가 15A를 기준으로 설계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모터 구동장치의 한계 전류는 5A를 기준으로 설계되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대상에 의해 발생되는 부하의 크기와 상관 없이, 모터의 제동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이로써, 모터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실동률이 증가한다.

Claims (19)

  1. 모터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있어서,
    입력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상기 모터에 전달하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서로 직렬 연결된 스위치 쌍을 복수 개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위치 쌍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상을 구현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를 제동시키기 위한 제동 지령을 생성하고,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터가 정지되도록,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1 제동 모드가 먼저 실행된 후, 상기 인버터 제어부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2 제동 모드 및 제3 제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에 포함된 스위치를 모두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대해 역상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제동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스위치 쌍 중 상암 스위치는 모두 오프시키고, 하암 스위치는 모두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5.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된 후,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후,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제1 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제1 제동 모드가 우선적으로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 속도보다 낮은 제2 속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모터가 정지할 때까지,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도록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 모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로 실행시키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각각의 시간의 합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시간 간격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생성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시간 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1 시간간격과, 상기 제2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2 시간간격 및 상기 제3 제동 모드가 실행되는 제3 시간간격을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간간격의 합은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과, 소정의 시간 값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동 지령이 발생된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간간격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및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제동 시간과, 설정된 상기 제2 및 제3 시간간격의 차이를 상기 제1 시간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제3 시간간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에 상기 제3 제동 모드를 적용할 때 상기 인버터 제어부 내의 일부분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전류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 제어부의 한계 온도 및 한계 전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상기 검출된 회전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3 시간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70162207A 2017-11-29 2017-11-29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190063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207A KR20190063253A (ko) 2017-11-29 2017-11-29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PCT/KR2018/014707 WO2019107872A1 (ko) 2017-11-29 2018-11-27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CN201880077363.1A CN111434023B (zh) 2017-11-29 2018-11-27 电机驱动装置和具有该电机驱动装置的家用电器
US16/768,156 US11811341B2 (en) 2017-11-29 2018-11-27 Motor drive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207A KR20190063253A (ko) 2017-11-29 2017-11-29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53A true KR20190063253A (ko) 2019-06-07

Family

ID=6666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207A KR20190063253A (ko) 2017-11-29 2017-11-29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11341B2 (ko)
KR (1) KR20190063253A (ko)
CN (1) CN111434023B (ko)
WO (1) WO2019107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8649B (zh) * 2021-02-19 2023-03-0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电机制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844A (en) * 1989-10-18 1991-02-05 Eaton Corporation DC braking of inverter-driven AC motors
US6721119B1 (en) * 2000-08-16 2004-04-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tuator motor during retract
JP2003305294A (ja) 2002-04-17 2003-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KR100488523B1 (ko) 2003-02-14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9452B1 (ko) 2003-12-26 2011-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4822974B2 (ja) 2006-08-02 2011-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US20080297098A1 (en) 2007-06-01 2008-12-04 Robert Keith Hollenbeck Washing machine apparatus and method
JP4859900B2 (ja) * 2008-09-26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101649632B1 (ko) 2009-10-29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013124B2 (en) * 2012-02-14 2015-04-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verse current protection control for a motor
JP6820090B2 (ja) * 2015-07-21 2021-01-2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および、その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11341B2 (en) 2023-11-07
WO2019107872A1 (ko) 2019-06-06
US20200318279A1 (en) 2020-10-08
CN111434023B (zh) 2024-02-23
CN111434023A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08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0518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EP2591160B1 (en) Washing machine
KR101709475B1 (ko) 모터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US11236460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23259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274388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0632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52230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3253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US1128660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0538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9749A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12654741B (zh) 洗涤物处理装置
AU2019299805B2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KR102543582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2021013637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51429B1 (ko) 모터,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4914B1 (ko) 모터,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527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259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