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703A -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703A
KR20190061703A KR1020170160359A KR20170160359A KR20190061703A KR 20190061703 A KR20190061703 A KR 20190061703A KR 1020170160359 A KR1020170160359 A KR 1020170160359A KR 20170160359 A KR20170160359 A KR 20170160359A KR 20190061703 A KR20190061703 A KR 20190061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ha
pork
feed additive
present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4041B1 (ko
Inventor
고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티
Priority to KR102017016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0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Abstract

본원 발명은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더욱 상세하게는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원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DHA OIL, DHA POWDER, 감미제로서 사용되는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기타 부형제로 구성된다.
나아가서는 본원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DHA OIL, DHA POWDER, 감미제로서 사용되는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불활성 효모와 기타 부형제로 구성된다.
상기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비육돈의 돼지고기(삼겹살) 지방 내에 DHA의 전이 및 축적량을 높여줌으로서, 사료첨가제를 통하여 급이 되는 DHA의 이용효율을 올려준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적은 비용으로도 인간에 대한 그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이미 알려진 DHA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Description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feed additive to increase DHA content in Pork Belly, and processing method of it}
본원 발명은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HA(Docosa hexaenoic acid)는 주로 등 푸른 생선에 많이 함유된 탄소수 22개, 이중결합 6개, 오메가-3 계열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다. DHA는 인간의 두뇌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등의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간은 DHA를 생합성하는데 필요한 효소가 체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DHA를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DHA가 함유된 식품이나, 영양보조식품을 통하여 DHA를 섭취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인다.
이에 따라 DHA가 다량 함유된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특히 동일한 식품에 대해서도 DHA의 함량이 높은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이 현실이며, 농축산물 및 식품 개발자들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간이 직접적으로 섭취하는 농축산물 및 식품 내에 DHA의 함량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 특히 타 회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경쟁하는 동일 농축산물 및 식품(예를 들면, 닭고기 또는 돼지고기)내에서 저비용으로 DHA의 축적량(전이 비율을 높임)을 높이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재 업계의 개발 현황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비육돈의 삼겹살 내에 DHA의 전이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양시험을 하였으나, 배합사료 내에 혼합되는 사료첨가제 내의 DHA량이 증가됨에 따라 비육돈의 삼겹살 내에 존재하는 DHA의 축적량(전이량)이 정비례로 높아진다는 단순한 사실이외에는 특별한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돼지고기는 비육돈의 도체로부터 얻은 삼겹살을 지칭하는 것이며, DHA의 함량과 관계되는 것은 비육돈의 삼겹살 지방 내에 함유된 DHA 함량을 지칭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아울러 배합사료에 DHA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DHA 특유의 이취로 인해 돼지들의 사료 섭취에 문제점이 있다는 통상의 사실도 재차 확인되었다.
즉, DHA가 함유된 배합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할 때에 가장 큰 문제점은 DHA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이취로 인해서, 돼지들이 사료의 섭취를 거부하거나, 사료의 섭취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사료 섭취 거부 현상 및 사료 섭취량 감소 현상을 막거나, 줄이기 위해 다른 배합사료에 비해 DHA가 필요량 첨가된 특정의 배합사료에는 보통의 배합사료 보다 DHA에서 발생하는 이취를 마스킹(masking)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감미제를 증량하여 사용하거나, 고가의 향미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이취의 마스킹(masking)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감미제는 대부분 사카린 나트륨(sodium saccharin, C7H4O3NSNa·2H2O)이다. 물론 DHA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배합사료에도 돼지의 배합사료 섭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카린 나트륨을 첨가 사용한다. 그런데 DHA가 목적으로 하는 필요 량 만큼 첨가된 배합사료에는 보통의 배합사료 보다 이취의 마스킹(masking)을 위해 감미제를 더 증량하여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본원발명자들은 감미제로 사카린 나트륨을 사용하는 것보다 DHA 고유의 이취로 인한 섭취 거부 및 섭취량 감소현상을 막는데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감미제를 찾고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카린 나트륨을 대신하여 사용 가능한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감미제를 첨가 시켜 사양 및 급이 시험을 진행하던 중, 일반적으로 감미제로 사용되는 사카린 나트륨 대신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혼합한 감미제를 사용한 사양 시험 군에 속한 돼지(비육돈)들의 도체(삼겹살의 지방부위)에서 DHA의 축적량이 유의성이 있을 정도로 증가되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고서,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비되는 감미제(사카린 나트륨 대비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를 사용한 비교 사양시험을 통해 본원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물론 본원발명자들로서는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왜 DHA의 전이 및 축적량이 증가되는지 그 기작은 찾아낼 수가 없었다. 사료 섭취량 감소 현상을 보다 더 줄일 수 있는 감미제를 찾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미제(주로 사카린 나트륨이 사용됨) 대신 다양한 감미제(스테비아 추출물, 감초추출물, 설탕, 덱스트로스, 포도당 등 감미제의 종류는 다양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수도 다양함)를 적용시키는 사양시험을 진행하던 과정에서 그러한 현상을 우연히 발견하였던 것이다. 더 나아가서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혼합한 감미제를 사용하면서, 다른 이유로 영양소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불활성 효모가 추가 첨가된 사양 시험 구에서의 돼지고기 삼겹살의 지방 내 DHA 축적량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혼합한 감미제만을 사용한 사양 시험 구 보다 유의성이 있을 정도로 그 수치가 증가되었다는 사실도 추가적으로 우연히 확인하였다. 감미제와 동일하게 이 경우에도 그 기작은 확인하거나 찾아 낼 수 있는 정도의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도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을 혼합한 감미제와 불활성 효모가 돼지고기 삼겹살의 지방 내에 전이 축적되는 DHA량을 증대시키는 것과의 사이에 과학적으로 어떠한 관계나 특별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본원발명의 출원 이전에 발행된 어떤 문헌의 기록에서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본원발명자들은 확인하였다.
상기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비육돈의 사육에서 DHA로부터 발생하는 이취를 마스킹 할 수 있으면서도, 돼지고기 삼겹살의 지방 내에 DHA의 전이량(축적량)을 높일 수 있는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원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DHA OIL, DHA POWDER, 감미제로서 사용되는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기타 부형제로 구성된다.
나아가서는 본원 발명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DHA OIL, DHA POWDER, 감미제로서 사용되는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불활성 효모와 기타 부형제로 구성된다.
기타 부형제로 본원발명에서는 말분(밀가루의 제조 공정상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농축산식품부 고시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의 단미사료에 해당되는 용어임)을 사용하나, 사료첨가제 및 배합사료에 사용가능한 부형제이면 어떤 부형제 라도 사용 가능하며, 부형제를 달리한다 하여 본원발명의 효과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부형제는 단순히 담체(Carrier)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말분 대신 타피오카 전분 등과 같이 분말 형태를 띤 담체로서 사료 첨가제의 부형제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그 사용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보다 더 나아가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DHA OIL 14-16 중량%, DHA POWDER 6-8 중량%,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와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2-4중량%, 불활성 효모 2-4 중량%와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 68-76중량% 로 구성시키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 면이나,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 제조 시의 혼합도, 사료첨가제의 흐름성 등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원료들의 구성비인 것으로 본원발명자들이 확인하였다.
상기 구성에서 불활성 효모를 제외하는 경우에는 말분의 구성비를 72-76 중량%로 조정하여야 한다. 본원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적 구성은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기타 구성들의 상호간 비율은 상기에서 제시한 비율 내에서 제조조건 등의 필요에 따라 적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본원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함에 의해 비육돈 돼지고기의 삼겹살 내 지방 중에서 DHA의 축적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사료첨가제 내에서 DHA의 구성 비율을 높이고, 이를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이 하면, 동일한 사양 조건하에서는 그에 비례하여 비육돈 돼지고기의 삼겹살 내 지방 중에서 DHA의 축적량이 증가되지만, 본원발명의 특징은 비육돈에 급이 되는 배합사료 내에 존재하는 DHA 양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사양한 쪽의 비육돈 돼지고기의 삼겹살 내 지방 중에 DHA의 전이(축적)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구성하는 DHA의 비율은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며, DHA가 다량 함유된 삼겹살을 얻고자하는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그 함유 비율은 당연히 조정될 수 있는 것이고, 본원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DHA의 구성비 및 그 조성은 본원발명자들이 생산비와 판매 등을 고려할 때 기술 및 마케팅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수치를 한정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그 외의 구성요소인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불활성 효모 및 기타 부형제도 상기 DHA와 동일한 이유로 그 수치 한정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들 또한 기술자의 의도에 따라 그 함유 비율은 당연히 조정될 수 있는 것이고, 본원발명자들이 생산비와 판매 등을 고려할 때 기술적이나 마케팅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수치를 한정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즉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의 구성요소의 비율을 한정하고 있는 것은 생산비와 판매 등을 고려할 때 생산자가 기술적 또는 마케팅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수치를 한정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그렇다고 하여 구성요소의 비율들이 동일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되지 않을 정도로 합리적 추정을 벗어나 확대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원발명자들은 다만, 감미제로서 스테비아추출물 및 감초추출물의 혼합물이 함께 첨가된 사료첨가제 및 배합사료내의 DHA가 신체내의 동화 및 이화 작용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막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미루어 추정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그 증거도 별도로 없고,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실도 아니었다.
DHA OIL(DHA 21%)은 주식회사 동원 F&B에서 참치의 눈에서 추출, 탈색 및 탈취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DHA POWDER(DHA 5%)는 미국의 The Ballard Group Inc. 의 제품인 "SALMATE"를 사용한다. 동 제품은 우수한 품질의 어류 오일에서 유래된 천연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으로 만들어 진 제품이다.
본원발명에서 사용하는 감미제 혼합물(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 추출물의 혼합물)은 스테비오사이드의 미질을 개선하는 방법인 스테비오사이드를 효소반응(당공여체는 전분 또는 전분의 가수 분해물임)에 의하여 당전이 스테비오사이드로 제조하는 공정에서, 정제 후 최종 부산물(by product)로 생산되는 것으로서, 당전이 스테비오사이드 함량이 7-10 중량%이고, 가용성 덱스트린 함량이 90-93 중량% 범위 내로 구성된 스테비아 추출물 96중량 %와 감초 추출분말 4 중량%로 이루진 것으로서 국내에서 (주)이앤티가 제조하여 공급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불활성 효모(inactive yeast)는 당밀을 배지로 사용하여 발효 제조한 효모로서 주로 배합사료의 제조 시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원료이며, 불활성 상태의 효모로서 (주)이앤티에서 "Biolife"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부형제로서는 원가 절감 차원에서 말분(밀가루의 제조 공정상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농축산식품부 고시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의 단미사료에 해당되는 용어임)이 사용되어졌으며, 통상 사료첨가제의 제조시 부형제(실리카 겔, 탄산칼슘, 미분화된 왕겨)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종류의 부형제를 사용하더라도 본원발명의 본질적 목적에 영향이 미치지 않으므로 부형제의 선택에는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성분들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사리 제조하거나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시중에서도 주로 식품분야 또는 사료분야 등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들이다.
다만, 본원발명의 발명자들이 이들 구성성분들의 혼합물로부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하기 곤란한 정도로 비육돈 돼지고기 삼겹살 부위의 지방 내에 DHA의 함량(전이 축적)을 증가 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본원발명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DHA가 농축된 건강기능식품 형태가 아니라, 상시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을 통하여 DHA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반영해 본다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삼겹살을 먹을 때, 일반적인 방법으로 DHA를 급이 한 삼겹살을 먹는 것보다 본원발명의 방법으로 사양한 돼지고기로 부터 얻은 삼겹살을 먹으면, DHA 양이 특별한 노력 없이 동일 조건하에서 30% 이상 증가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원발명의 결과물은 그 효과가 크다 할 수 있다. 아울러 DHA 공급량을 동일하게 하여도 삼겹살 내 DHA 함량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그에 따라 소비자도 동일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그 효과가 크다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것은 본원발명의 구성 원료들을 사료 원료 혼합용 믹서기에 넣고 그 구성 성분들이 적정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만 하면 된다.
즉 DHA OIL 14-16 중량%, DHA POWDER 6-8 중량%,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와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2-4중량%, 불활성 효모 2-4 중량%와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밀가루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68-76량%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원료들을 한꺼번에 상기 혼합기에 넣고, 그 구성 원료들이 잘 혼합될 수 있을 정도로 믹서기를 가동 시켜 주면 된다. 즉 배합 또는 혼합 방법은 통상의 배합사료 또는 사료첨가제의 혼합방법과 특별히 다를 것이 없다. 특별한 주의 사항을 요할 것도 없다.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는 비육돈용 배합사료의 제조 시 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배합사료를 통해 비육돈에게 필요량 급이 되도록 설계 하였다. 물론 축산농가에서 직접 배합사료 위에 1 중량%의 비율로 뿌려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DHA로부터 발생하는 이취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배합사료 위에 단순히 뿌려주는 탑 드레싱(top dressing)방법은 효과적이라 볼 수 없고, 급이 할 배합사료 위에 뿌려준(탑 드레싱(top dressing)) 후 배합사료와 뿌린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삽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적절히 혼합해 준 후에 급이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탑 드레싱만 하면 설사 감미제가 혼합되었다 하더라도 DHA 의 이취로 인한 섭취 거부 또는 섭취량 감소 현상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비육돈의 돼지고기(삼겹살) 지방 내에 DHA의 전이 및 축적량을 높여줌으로서, 사료첨가제를 통하여 급이 되는 DHA의 이용효율을 올려주는 명확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적은 비용으로도 인간에 대하여 그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이미 알려진 DHA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저렴하면서도 DHA함량이 높은 돼지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되고, 양축농가의 입장에서는 DHA가 풍부한 고품질의 돼지고기 생산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농장 경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원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원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제조용 리본타입 믹서기 내에 DHA OIL(DHA 21%) 160kg, DHA POWDER(DHA 5%) 80kg,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와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30kg, 불활성 효모 40kg과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밀가루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690kg을 넣고, 60회전/분 속도로 5분간 혼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1 TON(1000kg)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얻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제조용 리본타입 믹서기 내에 DHA OIL(DHA 21%) 160kg, DHA POWDER(DHA 5%) 80kg, 감미제로서 스테비아 추출물와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30kg,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밀가루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730kg을 넣고 60회전/분 속도로 5분간 혼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1TON(1000kg)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얻었다.
비교예 1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제조용 리본타입 믹서기 내에 DHA OIL(DHA 21%) 160kg, DHA POWDER(DHA 5%) 80kg, 감미제로서 사카린 나트륨 30kg과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밀가루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730kg을 넣고 60회전/분 속도로 5분간 혼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1 TON(1000kg)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얻었다.
비교예 2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제조용 리본타입 믹서기 내에 DHA OIL(DHA 21%) 160kg, DHA POWDER(DHA 5%) 80kg과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밀가루의 제조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 760kg을 넣고 60회전/분 속도로 5분간 혼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1 TON(1000kg)의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사료첨가제의 DHA 함량은 모두 37,600mg/kg(사료첨가제) 이다.
이들 사료첨가제를 사양 시험 시 사용하는 각 배합사료들에 1 중량% 첨가하여 제조한 후 급이 한다. 그러므로 배합사료들에 함유된 DHA 함량은 376mg/kg(배합사료)이다.
아래의 사양 시험에 사용된 배합사료들에 포함된 DHA 함량은 376mg/kg로 동일하게 제조되어 공급된다.
□ 사양 시험방법
입식 당시 평균 체중이 69kg인 비육돈 120마리를 30마리씩 4개 군으로 나누어서, 비육돈 30마리의 수용이 가능한 4개의 돈방에 각각 돈방 당 30마리씩 입식 시키고, 그 4개 군(비교예 1, 2, 실시예 1, 2)에 대해서 45일 간(급여 기간) 사양시험을 진행하였다.
대조 구 1에는 (주)동원팜스에서 생산한 통상의 비육돈용 배합사료에 상기 비교예 1(DHA OIL, DHA POWDER, 사카린 나트륨 및 말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를 통하여 얻은 사료첨가제를 1 중량% 혼합하여 제조한 후 급이 하였다.
대조 구 2에는 (주)동원팜스에서 생산한 통상의 비육돈용 배합사료에 상기 비교예 2(DHA OIL, DHA POWDER, 말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에 따라 생산하여 얻은 사료첨가제를 1 중량% 혼합하여 제조한 후 급이 하였다.
실험 구 1에는 (주)동원팜스에서 생산한 통상의 비육돈용 배합사료에 상기 실시 예 1(DHA OIL, DHA POWDER, 감미제(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불활성 효모와 말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에서 얻은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를, 실험 구 2에는 (주)동원팜스에서 생산한 통상의 비육돈용 배합사료에 상기 실시예 2(DHA OIL, DHA POWDER, 감미제(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과 말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에 따라 제조하여 얻은 본원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각각 1 중량% 혼합하여 제조한 후 급이 하였다. 상기 대조구 및 실험구들에 사용된 사료들의 제조 시에는 사료첨가제들을 상기 배합사료들과 혼합기 내에서 기계적으로 혼합하여 그 내용물들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였다.
45일간의 사양시험을 마친 4개 군 비육돈들의 평균 체중은 116.25kg 이었으며, 최소 최중은115.35kg 이었고, 최대 체중은 117.15kg으로 각 군별 사이의 평균 체중 차이는 0.5kg으로 유의성을 보일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아래 표 1은 사양 시험조건 및 그 결과를 나타낸 표로서, 표시된 DHA 함량은 사양 시험이 끝나고 출하된 비육돈 도체들의 삼겹살 부분의 지방 내에 축적된 DHA 함량을 평균하여 얻은 수치이다.
Figure pat00001
※ 실험 구 1, 2 및 대조 구 1, 2에 공시된 비육돈의 수는 각각 30두로 총120 두임(동일 급여 조건으로 4 개의 돈방에서 각각 30두식 입식시켜 사양시험을 실시함)
※ 본원발명의 사양시험에 공시된 돼지의 입식 당시 생후 일령은 125일령 이며, 출하 시 일령은 170일령 이다.
※ 실험 구 1, 2 및 대조 구 1, 2에 공시된 출하 비육돈 DHA 함량은 각 군별로 무작위로 선택된 10마리를 도축한 후 한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삼겹살 부위로부터 채취한 지방내의 DHA 함량을 평균한 수치임(각 군별로 10두식 총 40두를 도축함)
※ 대조구 2는 감미제가 첨가되지 않아 DHA로부터 발생하는 이취로 인한 섭취량 감소에 따라 출하체중 및 일당 증체량이 다른 구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2에서 나타난 현상에 대하여 개별 출하 체중으로 보았을 때에는 큰 차이가 아닌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농장의 규모에 따라 전체 사육두수가 많을 경우에는 농장 경영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의 수치이므로, 통상의 돼지를 위한 배합사료에는 식욕증진을 유도하기 위하여 감미제를 넣지만, 특히 섭취량 감소를 유발시키는 DHA의 첨가 시에는 감미제를 증량 처리하는 것이 섭취량 증가 및 일당 증체량 측면에서 유리한 것은 분명하다.
Figure pat00002
실험 구 1 내에서 채취한 10개 샘플사이의 DHA 함량 변이는 266mg - 285mg으로서 변이 차는 19mg 정도이며, 평균값은 275mg/kg 이었다.
실험 구 2 내에서 채취한 10개 샘플사이의 DHA 함량 변이는 243mg - 260mg으로서 변이 차는 17mg 정도이며, 평균값은 251.10mg/kg 이었다.
대조구들에 비해 실험구 2는 삼겹살 내 DHA의 축적량이 약 30% 이상 증가되었고, 실험구 1은 약 40% 이상 축적량이 증가되는 현격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실험 구 1, 2의 20개 sample 중 어느 하나도 대조구들에 비해 삼겹살 내 DHA의 축적량이 낮게 나온 것이 없다는 사실도, 본원발명자들 입장에서는 결과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실 제품화 하는 과정에서는 실험구의 변이차가 커서 목적하는 결과치가 대조구들과 상단과 중첩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사양 시험결과에 대한 확신이나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어, 실제로 현장 생산과정에서 제품화 하는 과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발명의 결과에 대한 기작이 밝혀지는 경우에는 비용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그 결과 값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본원발명처럼 그 기작을 발명자들이 추론하거나 규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목적하는 결과 값들의 변이 폭이 적고 그 값들이 안정적인 것이 발명의 완성도 및 제품화 입장에서는 매우 다행한 일이라 판단된다.

Claims (4)

  1. DHA OIL, DHA POWDER,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과 기타 부형제로 구성된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2. DHA OIL, DHA POWDER, 스테비아 추출물과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불활성 효모와 기타 부형제로 구성된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3. 제2항에 있어서, DHA OIL 14-16(DHA 21%)중량%, DHA POWDER 6-8(DHA 5%)중량%, 스테비아 추출물와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2-4 중량%, 불활성 효모 2-4 중량%와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 68-76 중량% 로 구성된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4. 사료제조용 리본타입 믹서기 내에 DHA OIL(DHA 21%) 14-16 중량%, DHA POWDER(DHA 5%) 6-8 중량%, 스테비아 추출물와 감초추출물의 혼합물 2-4 중량%, 불활성 효모 2-4 중량%과 기타 부형제로서 말분 68-76 중량%를 넣고 60회전/분 속도로 5분간 혼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비육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70160359A 2017-11-28 2017-11-28 Dha 함량이 개선된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59A KR102074041B1 (ko) 2017-11-28 2017-11-28 Dha 함량이 개선된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59A KR102074041B1 (ko) 2017-11-28 2017-11-28 Dha 함량이 개선된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703A true KR20190061703A (ko) 2019-06-05
KR102074041B1 KR102074041B1 (ko) 2020-02-05

Family

ID=6684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59A KR102074041B1 (ko) 2017-11-28 2017-11-28 Dha 함량이 개선된 돼지고기 삼겹살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559A (ko) 2022-01-25 2023-08-01 김현섭 노랑느타리버섯 함유 비육돈용 사료 첨가제
KR20240010244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가람 Dha 함량이 높은 가축 생산용 기능성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143A (ko) 2022-05-09 2023-11-16 (주)이엘티사이언스 양돈용 사료첨가제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668A (ko) * 2003-05-28 2006-03-10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고급지방산 유도체 함유 조성물 및 음식물
KR100725278B1 (ko) * 2006-04-10 2007-06-04 가피돈영농조합법인 식육용 돼지를 사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사육된돼지고기
WO2009097403A1 (en) * 2008-01-29 2009-08-06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s of feeding pigs and products comprising beneficial fatty acids
US20110010154A1 (en) * 2004-07-29 2011-01-13 Cook David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nimal production
KR20120100329A (ko) * 2011-03-03 2012-09-12 농업회사법인서부충남고품질양돈클러스터사업단행복 주식회사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668A (ko) * 2003-05-28 2006-03-10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고급지방산 유도체 함유 조성물 및 음식물
US20110010154A1 (en) * 2004-07-29 2011-01-13 Cook David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nimal production
KR100725278B1 (ko) * 2006-04-10 2007-06-04 가피돈영농조합법인 식육용 돼지를 사육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사육된돼지고기
WO2009097403A1 (en) * 2008-01-29 2009-08-06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s of feeding pigs and products comprising beneficial fatty acids
KR20120100329A (ko) * 2011-03-03 2012-09-12 농업회사법인서부충남고품질양돈클러스터사업단행복 주식회사 오메가-3 함유 돈육 생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559A (ko) 2022-01-25 2023-08-01 김현섭 노랑느타리버섯 함유 비육돈용 사료 첨가제
KR20240010244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가람 Dha 함량이 높은 가축 생산용 기능성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041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hwag et al. A brief overview: Present status on utilization of mustard oil and cake
CN100508776C (zh) 含麝香草酚的天然物质在制作动物饲料中的用途
KR102006938B1 (ko) 기호성 및 보존안정성이 개선된 반려동물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2599358B (zh) 一种可提高家禽产蛋率的营养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715897B (zh) 滋补强体蛋鸡有机饲料
KR101909002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KR20190061703A (ko) Dha 함량이 높은 돼지고기의 생산을 위한 양돈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Suresh et al. Dried sugarcane press residue as a potential feed ingredient source of nutrients for poultry
JP2014138581A (ja) ペットフード
KR101920075B1 (ko) 어분대체제를 이용한 강도다리용 완전배합 ep사료 조성물
JP2007110973A (ja) 採卵用家禽飼料添加用組成物
US2835584A (en) Compositions of matter
JP2622511B2 (ja) 低コレステロール化家禽畜用飼料
CN110604230A (zh) 一种具有良好适口性犬粮诱食剂的制备方法
JP2006288362A (ja) 養鶏用飼料組成物及び鶏卵
KR101970175B1 (ko) 아연성분이 함유된 활성액을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CN107751619A (zh) 一种宠物猫的专用日粮
Rajan et al. Positive impacts of integrating flaxseed meal as a potential feed supplement in livestock and poultry production: present scientific understanding.
CN109497338A (zh) 番鸭饲料及其制备方法
RU2599618C1 (ru) Белковый кормовой продукт (варианты)
KR19980013757A (ko) 오메가 계란 생산용 첨가 사료의 제조방법
Korsheva et al. The effect of compound feed on the productivity of broiler chickens
Stepycheva et al. Secondary material resources of oil-producing plants
Gaponov et al. White lupine as a way to improve the biochemical and economic indicators of diets of non-great apes
RU2621317C1 (ru) Бобово-подсолнечный концентрат для сви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