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479A - 선회류 침전장치 - Google Patents

선회류 침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479A
KR20190059479A KR1020170157128A KR20170157128A KR20190059479A KR 20190059479 A KR20190059479 A KR 20190059479A KR 1020170157128 A KR1020170157128 A KR 1020170157128A KR 20170157128 A KR20170157128 A KR 20170157128A KR 20190059479 A KR20190059479 A KR 20190059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wall
settling
fluid discharge
dischar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099B1 (ko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비테크
Priority to KR102017015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99B1/ko
Priority to PCT/KR2018/014487 priority patent/WO2019103509A1/ko
Publication of KR2019005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갖으며,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류가 생성되는 선회류 생성부, 상기 선회류 생성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부 및 상기 침전부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배출부가 상기 순서대로 외곽에서 중앙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선회류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침전조 내 유체의 선회류를 발생시켜 편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선회류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회류 침전장치{SETTLING TANK USING VORTEX}
본 발명은 선회류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력에 의해 유체 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체에서 슬러지를 분리 및 제거하는 침전장치에 있어서, 침전조 내 편류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유체 내 슬러지의 분리 및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장치는 침전조 전 면적에 균등한 유체흐름(선회류)을 형성시켜 단락류(편류(偏流)) 발생을 방지 함으로써, 침전물 부상 현상으로 인한 유체 내 슬러지 분리 및 제거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력을 이용하여 유체 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 장치에 있어서, 침전중에 있는 침전물의 부상(浮上) 및 기침전된 침전물의 재부상(再浮上)은 침전 공정 자체의 처리 효과에 그 영향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속 처리 공정에 심대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침전 슬러지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한 침전조 관련 기술이 끊임없이 연구개발 되어 왔다.
침전조 내부에서 침전 중에 있는 침전물이 부상되거나 기침전된 침전물이 재부상되는 현상은 대부분 침전조 내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유체의 편류(偏流)에 의한 것으로서, 이러한 유체의 편류의 흐름을 따라 침전물이 휩쓸리게 되면서, 결국 편류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침전물이 부상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류에 의해 유체의 속도가 일부분에서 주변부에 비해 증가함에 따라 주위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의해 주변 액체나 입자가 편류에 끌어당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전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편류현상으로는 압력차에 의한 편류현상, 온도차에 의한 편류현상, 기포에 의한 편류현상 등이 있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먼저 수심에 따른 압력차에 의하여 압력이 낮은 곳으로 유체가 이동하려는 성질에 의해 보다 압력이 적은 침전조 상부를 향하여 편류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침전조 내 유체의 온도차에 의한 유체의 이동에 따른 편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 하부에 침적되어 있는 침전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가스 기포가 침전조 상부로 상승하면서 이에 의한 편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침전조는 상기와 같은 침전조 내부에서 발생하는 편류현상으로 인하여 침전조 내부에서 침전중인 침전물 또는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침전물이 편류를 따라 침전조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침전조 전체의 침전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침전조 내부에 상기 편류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저항을 가하여 편류에 의해 상승하는 응집물을 상기 편류에서 이탈시키거나, 편류자체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응집물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전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는 침전조 내에서 부상되는 침전물(부유물)은 별도의 구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0705271(2007.04.03.)는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응집 반응조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폐수 표면으로 부상되는 부유물 또는 거품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부유물 제거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0705271와 같이 침전조 장치에 부상되는 물질들을 제거하는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은 구성의 어려움이 있고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151793(2012.05.31.)은 처리대상수의 슬러지를 침전시켜 처리하는 침전시설의 침전지바닥에 침전물을 수용하여 포집하기 위한 단위수용공간과 표면장력을 형성하여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개구부가 종횡으로 배열형성되도록 측부를 격자로 연결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침전물의 재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침전물 재부상 방지구조물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10-1151793은 슬러지와 침전조 바닥간 접촉면을 확대하는 등 침전조 바닥에 소기의 슬러지 포착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침전조 내에서 침강중인 슬러지가 침전조 내 편류에 의해 부상되는 것까지는 방지하는 효과는 걷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1358822(2014.02.13.)는 하수처리장 및 비점오염 저감시설 등 수질정화시설의 물리적 처리시설인 침전시설에 관한 것으로, 침전조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침전조 내부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침전조내 처리수의 유로를 연장하여 침전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함체(函體)와 경사판으로 구성된 다수의 트랩(trap)을 침전조에 내장하되 트랩을 침전조 저판에서 이격함으로써 슬러지의 불필요한 부상을 억제하면서도 침전된 슬러지의 용이한 수집이 가능하도록 한 슬러지 부상 방지형 침전분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공보 10-1358822는 침전조내에 경사판을 구비하여 슬러지 부상을 방지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경사판을 구비하는 것만으로는 침전조 내에서 발생되는 편류에 의한 슬러지 부상을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10-0882200(2009.01.30.)는 사이클론 몸체, 이 사이클론 몸체에 공급되는 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수단, 사이클론 몸체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사이클론 몸체 내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배수량 조절수단, 사이클론 몸체에 공급되는 물에 분산되어 있다가 물이 사이클론 몸체를 통과하는 동안 물의 선회류 및 물에 주입된 공기의 포말에 의하여 수면의 선회류중심 부분으로 부상하여 일정한 높이에 모이는 현탁물질을 밖으로 수거하는 현탁물질 제거수단으로 구성된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포함하는 수질오염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사이클론의 선회류를 이용하여 부유성 현탁물질을 침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승시켜 스컴으로 제거하는 것이어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705271(2007.04.03.) 등록특허공보 10-1151793(2012.05.31.) 등록특허공보 10-1358822(2014.02.13.) 등록특허공보 10-0882200(2009.0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본 발명은 침전조 내부에 일정한 선회류 흐름을 발생시켜 편류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침전조내 침전물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는,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갖으며,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류가 생성되는 선회류 생성부, 상기 선회류 생성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부 및 상기 침전부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배출부가 상기 순서대로 외곽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선회류 생성부는, 원통형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외벽의 외곽에서 상기 외벽의 접선 방향으로 유체 유입관이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선회류 생성부 공간을 따라 회전하면서 선회류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벽은 상기 선회류 생성부의 하부면과는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회류 생성부 내 유체가 상기 침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침전부는, 상기 내벽과 상기 내벽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유체 배출부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은 상기 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면이 닫혀 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침전부 내 유체가 상기 유체 배출부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의 측면 또는 상기 유체 배출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유체 배출부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침전조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침전부는, 상기 내벽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으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침전부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침전부는, 둘 이상의 침전부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침전부 격벽의 높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침전부 격벽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침전부는, 상기 침전부 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선회류 침전장치는,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이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침전부에서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체 유입관은, 노즐의 직경이 조절됨으로써, 같은 유량 및 같은 동력으로도 다른 유입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체 유입관에는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선회류 생성부의 상부 일측에는 스컴제거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의 하부에 오존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침전장치의 상부에는 커버가 위치하며, 상기 커버의 일부에 위치한 배가스 배출부에 오존제거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중력에 의해 유체 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유체에서 슬러지를 분리 및 제거하는 침전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원통형으로 구성된 첨전조 내부로 유체 공급시에 유체 유입구를 침전조의 외곽에서 접선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이와 같은 형태의 유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침전조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전조내에 항상 일정한 선회류 흐름을 유지하여 특정 부분에서 발생되는 선회류의 발생을 차단하여 침전장치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의 유체 유입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의 투과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선회류 침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침전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편류(채널링)현상에 의해 침전중인 슬러지 및 침적된 슬러지가 침전조 상부로 부상되어 침전조 전체의 슬러지 침전효율이 감소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회류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침전조는 상기와 같은 침전조 내부에서 발생하는 편류현상으로 인하여 침전조 내부에서 침전중인 슬러지 또는 침전조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가 편류를 따라 침전조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침전조 전체의 침전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침전조 내부에 상기 편류를 상쇄시킬 수 있는 저항으로서 침전조 내부에 유체의 선회류를 발생시켜 편류에 의해 부상되는 슬러지를 상기 편류에서 이탈시키거나 편류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침전조내 슬러지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침전조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편류에 대한 저항역할로서 침전조 내에서 유체의 선회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선회류에 의해 편류에 따라 상승하는 슬러지가 편류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선회류의 영향으로 전체적인 침전조 내의 압력편차를 줄임으로 인하여 편류의 발생원인인 압력편차를 제거하여 편류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침전조 내 유체가 일정한 흐름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침전조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선회류는 원심력에 의하여 침전조 상부에서 볼텍스에 의한 오목부가 생성될 정도의 회전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선회류는 편류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있는 것일 뿐 밀도에 따른 원심력의 차이로 인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침전된 물질도 침전조의 바닥으로 향하는 것이며, 원심력에 의한 분리에서처럼 밀도가 높은 물질이 회전조(싸이클론)의 외통으로 향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선회류 침전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a) 및 도 1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갖으며, 외곽에서 유체가 유입되어 중심부로 유체가 이동하면서 슬러지 침전이 이루어져 중심부에서 슬러지가 제거된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갖으며,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류가 생성되는 선회류 생성부(100),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부(200) 및 상기 침전부(200)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배출부(300)가 상기 순서대로 외곽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에 유체가 공급되면서 유체의 선회류가 생성되고 선회류가 생성된 유체는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어 슬러지 침전이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슬러지가 침전된 유체가 상기 유체 배출부(300)로 유입된 후 침전장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선회류 침전장치(10)에서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는, 원통형의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내벽(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벽(110)의 외곽에는 침전장치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관(1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유체 유입관(130)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 내에 유체의 선회류가 생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벽(120)은 선회류 생성부 하부면(140)과는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 내 유체가 하부면과 내벽(120)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침전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10)의 유체 유입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의 투과도로서,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유입관(130)은 상기 외벽(110)의 외곽에서 상기 외벽(110)의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 공간을 따라 회전하면서 선회류가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체 유입관(130)은 노즐의 직경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같은 유량 및 같은 동력으로도 다른 유입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같은 유량 및 같은 동력으로도 침전장치 내에서의 유체의 회전속도를 달리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전부(200)는 상기 내벽(120)과 상기 내벽(1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유체 배출부 격벽(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310)은 상기 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침전부를 거쳐 상기 유체 배출부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침전장치(10)는 상기 외벽(110)의 상부면 또는 내벽(12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일 수도 있고, 닫혀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외벽(110)의 상부면이 닫혀있을 경우에는 상기 선회류 생성부(100)의 상부면이 닫혀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벽(120)의 상부면이 닫혀있을 경우에는 상기 침전부(200)의 상부면이 닫혀있는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침전부(200)에는 유체의 침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벽(1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3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침전부 격벽(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침전부 격벽(210)은 침전조 내 유체흐름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침전조 내의 난류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침전부(200)내에서 편류에 의해 부상되는 슬러지 및 상기 선회류에 의해 편류에서 이탈된 슬러지가 상기 침전조 격벽에 부딪혀 힘을 잃고 침전조 하부로 침전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침전부(200) 내부로 향할수록 침전부 격벽(210)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 본 발명의 침전장치(10)에 둘 이상의 침전부 격벽(21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침전부(200) 내 각 침전부 격벽(210)의 높이는 유량, 유체의 속도, 침전장치 운전방법에 따라 얼마든지 달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배출부(300)는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3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31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면이 닫혀 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침전부(200) 내 유체가 상기 유체 배출부(300)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배출부(300)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310)을 넘어 상기 침전부(20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침침전장치(10)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배출관(320)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유체 배출관(320)은 상기 유체 배출부의 하부면(330) 또는 유체 배출부(300)의 측면의 최하단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체 배출부(300) 내에 유체가 배출되지 못하고 체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 1 (a) 및 도 1 (b)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선회류 침전장치에서 상기 유체 배출부의 하부면은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과는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회류 침전장치(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선회류 침전장치(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부 격벽(210)을 침전부의 하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침전부 격벽(210)에 슬러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침전부(200) 내 침전부 격벽(210)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상되는 슬러지가 상기 침전부 격벽(210)에 부딪혀 침전조 하부로 침전되도록 하여 침전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전부 격벽(210)은 미생물 증식 방지를 위하여 항균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항균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선회류 침전장치(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230)이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침전부(200) 하부로 친전되는 슬러지가 침전부 하부면(230)의 중앙부로 흘러 모이도록 하고, 상기 침전부 하부면(230)의 중앙부에는 상기 침전부(200)에서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부(220)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는 하부면의 침전된 슬러리가 모이는 지점을 필요에 따라서는 중앙부가 아닌 어느 한 측 방향에 치우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도5와 도6에 도시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침전장치에서는, 침전장치에 유체가 유입되는 초입부인 선회류 생성부(100)에서 유입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 중 물보다 가벼운 물질이 부상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부상물을 제거하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컴제거부(400)가 선회류 생성부의 상측 일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컴제거부의 하측에 스컴배출관(410)이 연결되어 제거된 스컴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회류 유입부에서 유입된 유체는 하향하여 침전부로 이동되며, 이동된 유체는 침전부(200)에서 상승하게된다. 이때 물보다 무거운 물질은 침전되어 하부의 슬러지 배출부(220)로 배출되며, 침전물이 걸러진 유체는 유체 배출부(300)로 이동되고 최종적으로 유체 배출관(320)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유체 배출부(300) 하부에는 오존공급장치(500)를 두어 처리수에 오존을 공급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전장치의 상부에는 악취방지 등을 위한 커버(700)를 씌워 주입된 오존을 포함한 배가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배가스 배출부에는 오존제거장치(600)를 두어 미반응 오존을 제거하고 배출하여 침전조 악취를 방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선회류 침전장치
100 : 선회류 생성부
110 : 외벽
120 : 내벽
130 : 유체 유입관
140 : 선회류 생성부 하부면
200 : 침전부
210 : 침전부 격벽
220 : 슬러지 배출부
230 : 침전부 하부면
300 : 유체 배출부
310 : 유체 배출부 격벽
320 : 유체 배출관
330 : 유체 배출부 하부면
400 : 스컴 제거부
410 : 스컴배출관
500 : 오존공급장치
600 : 오존제거장치
700 : 커버

Claims (11)

  1. 원통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를 갖으며, 유체가 유입되어 선회류가 생성되는 선회류 생성부, 상기 선회류 생성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부 및 상기 침전부로부터 슬러지가 제거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배출부가 상기 순서대로 외곽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는 선회류 침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생성부는,
    원통형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외벽의 외곽에서 상기 외벽의 접선 방향으로 유체 유입관이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선회류 생성부 공간을 따라 회전하면서 선회류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내벽은 상기 선회류 생성부의 하부면과는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선회류 생성부 내 유체가 상기 침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침전부는,
    상기 내벽과 상기 내벽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유체 배출부 격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은 상기 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유체 배출부는,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면이 닫혀 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침전부 내 유체가 상기 유체 배출부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유체 배출부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유체 배출부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침전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는 상기 내벽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으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원통형 형상을 갖는 침전부 격벽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는 둘 이상의 침전부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침전부 격벽의 높이가 중심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부 격벽은 상기 침전부 격벽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는,
    상기 침전부 격벽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침전장치는,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이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전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침전부에서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관은,
    노즐의 직경이 조절됨으로써, 같은 유량 및 같은 동력으로도 다른 유입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입관에는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생성부의 상부 일측에는 스컴제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부의 하부에 오존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장치의 상부에는 커버가 위치하며, 상기 커버의 일부에 위치한 배가스 배출부에 오존제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류 침전장치
KR1020170157128A 2017-11-23 2017-11-23 선회류 침전장치 KR10207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28A KR102078099B1 (ko) 2017-11-23 2017-11-23 선회류 침전장치
PCT/KR2018/014487 WO2019103509A1 (ko) 2017-11-23 2018-11-23 선회류 침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128A KR102078099B1 (ko) 2017-11-23 2017-11-23 선회류 침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479A true KR20190059479A (ko) 2019-05-31
KR102078099B1 KR102078099B1 (ko) 2020-02-17

Family

ID=6663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128A KR102078099B1 (ko) 2017-11-23 2017-11-23 선회류 침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8099B1 (ko)
WO (1) WO20191035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085A (zh) * 2020-06-24 2020-09-11 河南清波环境工程有限公司 无动力涡流絮凝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751Y1 (ko) * 2006-05-02 2006-07-14 경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원형 경사판을 가지는 침전장치
KR100705271B1 (ko) 2006-04-24 2007-04-13 박승철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
KR100882200B1 (ko) 2008-06-03 2009-02-06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1151793B1 (ko) 2009-09-15 2012-05-31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침전물 재부상 방지구조물
KR101265731B1 (ko) * 2012-07-20 2013-05-20 이석영 중수 처리장치
KR101358822B1 (ko) 2013-09-23 2014-02-13 주식회사 성일엔텍 슬러지 부상 방지형 침전분리장치
JP2014073459A (ja) * 2012-10-04 2014-04-24 Ms Engineering:Kk 固液分離装置
KR101586432B1 (ko) * 2015-01-31 2016-01-20 주식회사 타셋 무동력 선회류 침사 제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289Y1 (ko) * 1997-05-23 2002-11-22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물과부유물의분리장치
KR20020041691A (ko) * 2000-11-28 2002-06-03 홍성욱 사이클론 슬러지 분리기 및 이 분리기가 구비된 전해처리시스템
KR101358629B1 (ko) * 2012-04-03 2014-02-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싸이클론 침전장치
KR101465624B1 (ko) * 2013-04-16 2014-12-10 블루그린링크(주) 세척이 가능한 사이클론 정화장치 및 사이클론 정화장치의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271B1 (ko) 2006-04-24 2007-04-13 박승철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
KR200421751Y1 (ko) * 2006-05-02 2006-07-14 경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원형 경사판을 가지는 침전장치
KR100882200B1 (ko) 2008-06-03 2009-02-06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1151793B1 (ko) 2009-09-15 2012-05-31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침전물 재부상 방지구조물
KR101265731B1 (ko) * 2012-07-20 2013-05-20 이석영 중수 처리장치
JP2014073459A (ja) * 2012-10-04 2014-04-24 Ms Engineering:Kk 固液分離装置
KR101358822B1 (ko) 2013-09-23 2014-02-13 주식회사 성일엔텍 슬러지 부상 방지형 침전분리장치
KR101586432B1 (ko) * 2015-01-31 2016-01-20 주식회사 타셋 무동력 선회류 침사 제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4085A (zh) * 2020-06-24 2020-09-11 河南清波环境工程有限公司 无动力涡流絮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099B1 (ko) 2020-02-17
WO2019103509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4893T3 (es) Tanque combinado de desgasifiacion y de flotacion.
US20070023355A1 (en) Vortex separator for separating floating and settling substances from centrally inflowing storm-water
KR101070989B1 (ko)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CN105263866A (zh) 加压漂浮装置
KR10099851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240363B1 (ko) 선회류를 이용한 가압부상 장치
KR100751534B1 (ko) 연속 침전여과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79591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JP6316156B2 (ja) 沈殿池
KR20190059479A (ko) 선회류 침전장치
KR101921655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부유식 배출구와 선회접촉조를 이용한 원형 가압부상장치
KR101369975B1 (ko) 무동력 플럭응집 장치
JP4135341B2 (ja) 凝集沈殿方法並びに沈殿装置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CN206466998U (zh) 一种气浮分离装置
KR102222553B1 (ko)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CN110681265A (zh) 一种抗污染型浸没式超滤膜池结构
HUT69510A (en) Settling tank with oil separator
KR20160055998A (ko)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CN211836486U (zh) 一种旋流分离器
KR100326914B1 (ko) 정수 및 하·폐수 처리용 고속침전지
JPH05505341A (ja) 廃水を生物学的に浄化する装置
KR101892942B1 (ko) 수처리용 침전조
KR20200127747A (ko) 침전 및 가압부상을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CN201678538U (zh) 油田含油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