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99A -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99A
KR20190034899A KR1020170123484A KR20170123484A KR20190034899A KR 20190034899 A KR20190034899 A KR 20190034899A KR 1020170123484 A KR1020170123484 A KR 1020170123484A KR 20170123484 A KR20170123484 A KR 20170123484A KR 20190034899 A KR20190034899 A KR 20190034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eaves
soybean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322B1 (ko
Inventor
강영규
김묘연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2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322B1/ko
Priority to PCT/KR2018/010910 priority patent/WO2019059601A1/ko
Publication of KR20190034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의 생육 단계 중 특정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한 특정 단계의 콩잎(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 바람직하게는 R3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득한 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 항노화,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효능 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yellow-colored leaf of soybean grown by removing bean pods}
본 발명은 콩의 생육 단계 중 특정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한 특정 단계의 콩잎(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 바람직하게는 R3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증진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득한 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 항노화,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되고 있다.
1.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45704호(2015년 12월 30일 공개) 2. 국내 공개특허 제10-2014-0033775호(2014년 3월 19일 공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성분으로서 피부 자극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으며, 일반적인 단풍콩잎 추출물과 비교하여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 효능 등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콩의 생육 단계 중 특징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는 특정 재배 방법으로 재배하여 수득한 단풍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향상된 항산화, 항노화,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 효능 등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 바람직하게는 R3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한 단풍콩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풍콩잎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효능 등을 증가시키는 단풍콩잎의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콩의 생육 단계 중 특정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콩을 재배함으로써, 항산화, 항노화,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습, 피부 미백 효능 등이 향상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일반적인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감이 없는 장점을 나타내어, 약학 또는 화장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단풍콩잎 추출물과 생육 단계에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의 추출물의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 바람직하게는 R3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한 단풍콩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콩의 생육 시기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VE 시기: 종자를 심은 후 1~2주 후 상태, 토양으로부터 떡잎이 올라옴
VC 시기: 떡잎이 활짝 피며, 그 위로 한마디가 자라나고 외엽이 생성됨
V1 시기: 첫번째 외엽으로 부터 한마디가 생성 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2 시기: V1 Stage에서 한마디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3 시기: V2 Stage에서 한다미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V4 시기: V3 Stage에서 한다미가 더 생성되어 3개의 잎이 생성됨
R2 시기: 콩꽃이 활짝 핀 상태
R3 시기:콩깍지 생성이 진행되는 상태(콩깍지 크기: 0.5mm 내지 10mm 내외)
R4 시기: 콩깍지 생성이 완료된 상태(콩깍지 크기: 20mm 내지 30mm 내외)
R5 시기: 콩깍지 안에 콩이 생성 되어지는 상태
R6 시기: 콩깍지 안에 녹색의 콩이 생성 완료된 상태
R7 시기: 콩깍지와 콩이 노란색으로 변해 가는 상태
R8 시기: 잎 떨어지면서 콩깍지와 콩이 완전히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콩”은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서리태(Seoritae, Glycin max MERR), 서목태(Seomoktae, Rhynchosia Nolubilis), 흑태(Black soybean, Glycine max(L.) Merr.), 청태(blue bean, Glycime max MERR ), 황태(yellow bean, Glycime max MERR), 울타리콩(field bean, Vicia faba), 강낭콩(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얼룩강낭콩(pinto bean, Phaseolus vulgaris L.), 적두(small red bean, Vigna angularis), 거두(small black bean, Phaseolus angularis W.F. WIGHT. ), 콩나물콩(sprouting bean, Glycine max (L.) Merr.) 및 대두(soybean, Glycine ma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불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콩잎”은 콩나무의 잎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풍콩잎”은 콩잎의 생육 과정 중에 색상이 노랗게 변한 콩잎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콩잎은 콩의 생육 단계 중에서 1) 콩깍지와 콩이 노란색으로 변해가는 상태(상기 R7 시기)에서부터, 2) 잎이 떨어지면서 콩깍지와 콩이 완전히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상기 R8 시기)에 있는 콩잎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단풍콩잎”은 초록색 또는 파릇한 콩잎이 노란색으로 변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콩잎이거나 또는 완전히 노란 색으로 변한 상태의 콩잎을 의미할 수 있으며, 콩잎이 부분적으로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인 경우를 포함하는 가장 광범위한 개념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분획물,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단풍콩잎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단풍콩잎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단풍콩잎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단풍콩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등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콩잎”는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단풍콩잎,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단풍콩잎의 발효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풍콩잎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콩잎의 경우 추출 공정 전 반드시 건조를 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풍콩잎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료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풍콩잎은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 바람직하게는 R3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풍콩잎은 콩의 생육 단계 중 R3 내지 R4 시기에 생성된 콩 꼬투리를 대부분,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전부 제거하여 재배함으로써, 콩이 생성되지 못하도록 콩꼬투리 안에 콩이 생성되기 이전에 콩 꼬투리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단풍콩잎 추출물의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척하고 건조된 세말화된 단풍콩잎 가루를 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단풍콩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에 사용가능한 용매는,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C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물 또는 30~70%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콩잎 추출물은, 단풍콩잎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거나,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풍콩잎을 용매로 추출 시, 단풍콩잎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은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으로 추출은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약 2 내지 약 14시간, 구체적으로는 8시간 내지 14시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11시간 내지 13시간, 가장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1(MMP-1)의 생합성을 저해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가시켜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 또는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여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두피 또는 모발의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두피 또는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 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또는 트랜스 글루타미네이즈 발현 촉진 등을 통해 피부 수분을 유지하고 수분 보유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 및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하는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단풍콩잎 추출물의 제조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R7 시기의 단풍콩잎(실시예 1)과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지 않고 재배 생산된 R7 시기의 단풍콩잎(비교예 1)을 각각 R7 시기에 채취한 다음, 채취한 단풍콩잎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였다. 상기 단풍콩잎 가루 100g을 70중량%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상온(25℃)에서 12시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3리터 분액 깔때기에 넣고 에틸아세테이트 1리터를 가한 후, 흔들어서 섞어준 다음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되면 상층(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취한다. 하층(물층)을 다시 분액 깔대기로 두 번 더 추출한다. 각각의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였다. 그리하여 각각의 단풍콩잎 추출물을 13.2g, 10.3g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성분 비교 분석
상기 참고예 1에서 수득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과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을 각각 70부피% 에탄올에 녹여, 10,000ppm 용액으로 만든 후, HPLC(Waters사, 2695 model)을 이용하여 성분분석(waters사, 2996 PDA 검출기)을 수행하였다. 고정상은 칸토케미컬(Kanto Chemical)의 Mightysil RP-18 GP 250-4.6(5μm)컬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은 하기 표 1와 같은 조성비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은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분)
(0.1% 아세트산)
아세토나이트릴
(0.1% 아세트산)
0 95 5
65 65 35
70 10 90
75 95 5
80 95 5
번호 물질명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ppm)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ppm) 일반 단풍콩잎 대비(배수)
1 캄페롤-디람노피라노실-갈락토피라노사이드 9530 4963 1.92
2 캄페롤-디갈락토피라노사이드 7684 2657 2.89
3 캄페롤-루티노사이드 11324 4785 2.37
4 말노닐-제니스테인 6982 1689 4.13
5 캄페롤 5124 1493 3.43
6 쿠메스트롤 6974 1695 4.11
(번호는 도 1에 나타낸 번호에 해당함)
도 1 및 표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라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과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은 HPLC결과로 나타나는 피크들의 숫자 및 양상은 유사하지만 그 강도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의 경우에도 차이를 나타낼 것임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다.
[시험예 2] 항산화능 실험
상기 참조예 1에서 제조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과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기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디페닐-2-피크릴 하이드라질)의 환원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 참조예 1에서 제조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과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 및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 (양성대조군)를 50,000ppm 농도로 제조 후 최종 반응농도가 5000ppm, 2500ppm, 1250ppm, 625ppm, 312.5ppm, 156.3ppm, 78.15ppm, 39.08ppm이 되도록 희석한 뒤 이들을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시험물질 IC50(ppm)
트롤록스(양성대조군) 45.8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1)
19.6
단풍콩잎 추출물(비교예 1) 46.3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은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양성 대조군인 트롤록스보다도 현저하게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항노화능 실험
상기 참조예 1에서 제조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과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의 콜라게나제(collagenase) 생성 억제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2.5중량%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Cascade Biologics사)(Portland, OR, U.S.A.)를 5,000 세포/웰(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참조예 1에서 제조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과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 100㎍/ml 농도, 토코페롤 및 EGCG(Sigma Aldrich사) 각각을 10마이크로몰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36℃)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 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띠게 되는데, 반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노란색을 띠는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76.6
EGCG 64.2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실시예 1)
31.7
단풍콩잎 추출물(비교예 1) 55.9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은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노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과 EGCG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현저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자극감 실험
공지된 항노화 물질인 레티놀과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의 정도를 실험하였다.
피험자에게 레티놀(Retinol, Sigma 통해 구입)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1mg/ml 농도로 용액화 하여 각각 0.5㎖씩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여 문지르고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0 ~ 0.4: 자극 없음
0.5 ~ 1.0: 약간 자극이 있음
1.1 ~ 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 ~ 3.0: 자극이 심함
구분 레티놀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
따가움 0.89 0.18
화끈거림 0.54 0.15
평균 0.72 0.17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티놀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어느 정도 있어 보통 약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극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에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은 화끈거림과 따가움 모두 거의 느낄 수 없는 정도여서 대체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5] 보습 유전자 발현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이 피부 보습력과 관련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2가지 유전자, 즉 로리크린, 인볼루크린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KGM-gold(Lonza, #00192151) 배지를 이용하여 성장시킨 후에, 6웰 플레이트에 25000개의 세포를 씨딩하였다. 그 다음날, 실시예 1과 비교예 1 각각의 추출물을 배지에 각각 1000배 희석시킨 후, 세포에 처리하고, 1일간 배양한 후에 세포를 수거하였다. 트리솔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튜브에 수거한 세포(약 1 X 105개)를 넣은 다음, 여기에 트리솔 500μl씩을 넣고 세포를 상온에서 5분간 균질화시켰다. 각각의 튜브에 클로로포름을 100μl씩 넣고 손으로 15초간 흔들어 섞어준 후, 상온에서 3분간 방치한 다음, 4℃ ,15000 x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액만 새 튜브로 옮긴 후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250μl씩 넣고 잘 섞어준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4℃ ,15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만 남기고 상층액은 모두 버린 후에 75% 알코올을 500μl씩 넣고 볼텍싱(vortexing)한 다음, 4℃ ,7500 x g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만 남기고 상층액을 조심히 버린 후에, 펠렛을 잘 말린 후 탈이온수를 넣어 RNA를 녹인 후에 260nm에서 정량을 하였다. 총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기 위해, 총 RNA 4μg에 올리고 dT 2μl을 넣고 70℃에서 10분 반응한 후에 재빨리 식혔다. DTT, dNTP, 10x RT 완충액, MgCl2, RNAase Out를 넣고 42℃에서 2분 후, Superscript III RT를 넣고 50℃에서 60분 반응시켰다. 합성된 cDNA혼합액35μl에 탈이온수 165μl을 넣어 총 200μl로 희석하였다. qPCR을 진행하기 위해, cDNA혼합액 5μl + 탈이온수 4μl + Taqman 프라이머(대조군 유전자; RPLP0, 실험군 유전자; loricrin, involucrin) 각 1μl + Taqman 2X Universal PCR Master Mix(ABI제품, #4304437) 10μl을 섞어 총 20μl를 각각의 PCR 튜브에 각각 넣고 실시간 PCR장비(ABI제품, 모델명: 7500fast)에 로딩하였다. 리액션 셋업은 다음과 같다: 1. 홀딩단계: 95℃(10분), 2. 싸이클링단계: 95℃(15초)+ 60℃(60초), 총 40싸이클 반복하였다. 이 때 사용된 Taqman 프라이머는 리포터역할 형광분자 FAM, ?처 NFQ-MGB 로 구성된 상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표 6 및 7에 나타내었다.
Loricrin 대조군 비교예1(ppm) 실시예1(ppm)
6 12 25 6 12 25
평균(AVR) 1.00 1.05 1.26 1.47 1.19 1.51 1.75
표준편차(STD) 0.04 0.02 0.04 0.02 0.03 0.02 0.03
Involucrin 대조군 비교예1(ppm) 실시예1(ppm)
6 12 25 6 12 25
평균(AVR) 1.00 1.07 1.24 1.43 1.21 1.59 1.88
표준편차(STD) 0.04 0.01 0.04 0.02 0.03 0.04 0.01
표 6 및 7을 보면,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하면 2가지 유전자에서 모두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장벽 기능 강화 유전자 발현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이 피부 장벽 기능 강화와 관련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카스파제-14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KGM-gold(Lonza, #00192151) 배지를 이용하여 성장시킨 후에, 6웰 플레이트에 25000개의 세포를 씨딩하였다. 그 다음날, 실시예 1과 비교예 1 각각의 추출물을 배지에 각각 1000배 희석시킨 후, 세포에 처리하고, 1일간 배양한 후에 세포를 수거하였다. 트리솔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튜브에 수거한 세포(약 1 X 105개)를 넣은 다음, 여기에 트리솔 500μl씩을 넣고 세포를 상온에서 5분간 균질화시켰다. 각각의 튜브에 클로로포름을 100μl씩 넣고 손으로 15초간 흔들어 섞어준 후, 상온에서 3분간 방치한 다음, 4℃ ,15000 x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액만 새 튜브로 옮긴 후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250μl씩 넣고 잘 섞어준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4℃ ,15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만 남기고 상층액은 모두 버린 후에 75% 알코올을 500μl씩 넣고 볼텍싱(vortexing)한 다음, 4℃ ,7500 x g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만 남기고 상층액을 조심히 버린 후에, 펠렛을 잘 말린 후 탈이온수를 넣어 RNA를 녹인 후에 260nm에서 정량을 하였다. 총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기 위해, 총 RNA 4μg에 올리고 dT 2μl을 넣고 70℃에서 10분 반응한 후에 재빨리 식혔다. DTT, dNTP, 10x RT 완충액, MgCl2, RNAase Out를 넣고 42℃에서 2분 후, Superscript III RT를 넣고 50℃에서 60분 반응시켰다. 합성된 cDNA혼합액35μl에 탈이온수 165μl을 넣어 총 200μl로 희석하였다. qPCR을 진행하기 위해, cDNA혼합액 5μl + 탈이온수 4μl + Taqman 프라이머(대조군 유전자; RPLP0, 실험군 유전자; loricrin, involucrin) 각 1μl + Taqman 2X Universal PCR Master Mix(ABI제품, #4304437) 10μl를 섞어 총 20μl를 각각의 PCR 튜브에 각각 넣고 실시간 PCR장비(ABI제품, 모델명: 7500fast)에 로딩하였다. 리액션 셋업은 다음과 같다: 1. 홀딩단계: 95℃(10분), 2. 싸이클링단계: 95℃(15초)+ 60℃(60초), 총 40싸이클 반복하였다. 이 때 사용된 Taqman 프라이머는 리포터역할 형광분자 FAM, ?처 NFQ-MGB 로 구성된 상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caspase14 대조군 비교예1(ppm) 실시예1(ppm)
6 12 25 6 12 25
평균(AVR) 1.00 1.16 1.28 1.43 1.31 1.52 1.78
표준편차(STD) 0.04 0.02 0.02 0.04 0.03 0.04 0.02
표 8을 보면,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하면 카스파제-14유전자에서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피부 손상 억제 또는 피부 보호 유전자 발현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이 피부 손상 억제 또는 피부 보호와 관련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히스티다제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KGM-gold(Lonza, #00192151) 배지를 이용하여 성장시킨 후에, 6웰 플레이트에 25000개의 세포를 씨딩하였다. 그 다음날, 실시예 1과 비교예 1 각각의 추출물을 배지에 각각 1000배 희석시킨 후, 세포에 처리하고, 1일간 배양한 후에 세포를 수거하였다. 트리솔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튜브에 수거한 세포(약 1 X 105개)를 넣은 다음, 여기에 트리솔 500μl씩을 넣고 세포를 상온에서 5분간 균질화시켰다. 각각의 튜브에 클로로포름을 100μl씩 넣고 손으로 15초간 흔들어 섞어준 후, 상온에서 3분간 방치한 다음, 4℃ ,15000 x g에서 15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층액만 새 튜브로 옮긴 후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250μl씩 넣고 잘 섞어준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4℃ ,15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만 남기고 상층액은 모두 버린 후에 75% 알코올을 500μl씩 넣고 볼텍싱(vortexing)한 다음, 4℃ ,7500 x g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펠렛만 남기고 상층액을 조심히 버린 후에, 펠렛을 잘 말린 후 탈이온수를 넣어 RNA를 녹인 후에 260nm에서 정량을 하였다. 총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기 위해, 총 RNA 4μg에 올리고 dT 2μl을 넣고 70℃에서 10분 반응한 후에 재빨리 식혔다. DTT, dNTP, 10x RT 완충액, MgCl2, RNAase Out를 넣고 42℃에서 2분 후, Superscript III RT를 넣고 50℃에서 60분 반응시켰다. 합성된 cDNA혼합액35μl에 탈이온수 165μl를 넣어 총 200μl로 희석하였다. qPCR을 진행하기 위해, cDNA혼합액 5μl + 탈이온수 4μl + Taqman 프라이머(대조군 유전자; RPLP0, 실험군 유전자; loricrin, involucrin) 각 1μl + Taqman 2X Universal PCR Master Mix(ABI제품, #4304437) 10μl를 섞어 총 20μl를 각각의 PCR 튜브에 각각 넣고 실시간 PCR장비(ABI제품, 모델명: 7500fast)에 로딩하였다. 리액션 셋업은 다음과 같다: 1. 홀딩단계: 95℃(10분), 2. 싸이클링단계: 95℃(15초)+ 60℃(60초), 총 40싸이클 반복하였다. 이 때 사용된 Taqman 프라이머는 리포터역할 형광분자 FAM, ?처 NFQ-MGB 로 구성된 상용 프라이머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표 9에 나타내었다.
histidase 대조군 비교예1(ppm) 실시예1(ppm)
6 12 25 6 12 25
평균(AVR) 1.00 1.07 1.28 1.41 1.26 1.52 1.73
표준편차(STD) 0.04 0.02 0.03 0.02 0.04 0.02 0.03
표 9를 보면,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하면 히스티다제 유전자에서 모두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8] 멜란-a(Melan-a)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예 1에서 얻은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 및 공지된 피부 미백 물질인 알부틴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세포는 동계번식시킨 C57BL 마우스 배아의 정상 표피 멜라노블라스트에서 유래한 멜란-a 세포를 사용하였다.
48 웰 플레이트에 1.5 X 104 세포수/웰로 씨딩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및 4일간 배양 후 시험물질을 처리하였으며, 이 때 사용한 시험 물질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은 DMSO에 용해시킨 스톡을 사용하였고, 알부틴은 물에 녹인 1% 스톡을 하기 표 10에 제시된 실험 농도에 맞도록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이때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은 어떠한 시험 물질도 처리하지 않았다.
시험 물질을 처리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로 세포를 세척하여 태핑(tapping)으로 제거하였다. 그 후 2N NaOH를 100㎕씩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용해물 90㎕를 96웰 플레이트에 옮겨 ELISA Reader(Synergy 2, BIOTEK, USA)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단백질을 BCA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웰당 시료 10㎕에 BCA(Bicinchoninic acid) 용액(a액: thermo 23228, b액: PIERCE 1859078)을 200㎕씩 넣은 후 인큐베이터에서에서 30분 방치한 다음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대조군의 멜라닌의 양에 대하여 시험 물질을 처리한 경우의 멜라닌의 양의 값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 때 멜라닌 양은 상기 BCA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보정한 단백질 보정값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시험 물질 멜라닌 양(%)
대조군(무첨가) 100
실시예 1(3.12ppm) 89.6
실시예 1(6.25ppm) 78.5
실시예 1(12.5ppm) 56.4
실시예 1(25ppm) 37.9
비교예 1(25ppm) 59.7
알부틴(25ppm) 73.5
상기 표 10을 보면, 일반 단풍콩잎 추출물인 비교예 1을 처리한 경우에도 멜라닌의 양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 생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더 낮은 양으로 처리한 경우에도 멜라닌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알부틴의 처리 농도보다 훨씬 더 낮은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도 알부틴과 동등한 정도의 멜라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동일 양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현저하게 우수한 멜라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형예 1] 밀크로션(영양 화장수)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1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팩
하기 표 1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미용액
하기 표 1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1% 수용액)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연고
하기 표 1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기재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10)

  1.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한 단풍콩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콩잎의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중량%의 양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풍콩잎의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손상 억제 또는 피부 보호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콩의 생육 단계 중 R2 내지 R4 시기에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함으로써 단풍콩잎의 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손상 억제, 피부 보호,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기능 강화 또는 피부 미백 효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70123484A 2017-09-25 2017-09-25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7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84A KR102474322B1 (ko) 2017-09-25 2017-09-25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CT/KR2018/010910 WO2019059601A1 (ko) 2017-09-25 2018-09-17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84A KR102474322B1 (ko) 2017-09-25 2017-09-25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99A true KR20190034899A (ko) 2019-04-03
KR102474322B1 KR102474322B1 (ko) 2022-12-06

Family

ID=6581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84A KR102474322B1 (ko) 2017-09-25 2017-09-25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4322B1 (ko)
WO (1) WO201905960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596A (ko) * 2012-08-02 2014-02-13 (주)아모레퍼시픽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40033775A (ko) 2012-09-10 2014-03-19 (주)아모레퍼시픽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145704A (ko) 2014-06-19 2015-12-30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66B1 (ko) * 2015-09-30 2024-02-08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596A (ko) * 2012-08-02 2014-02-13 (주)아모레퍼시픽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40033775A (ko) 2012-09-10 2014-03-19 (주)아모레퍼시픽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145704A (ko) 2014-06-19 2015-12-30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ffect of Pod Removal on Leaf Photosynthesis and Soluble Protein Composition of Field-Grown Soybeans, Plant Physiology, 73, 121-124(1983.)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601A1 (ko) 2019-03-28
KR102474322B1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7460B1 (ko) 알레르기성이 감소된 수용성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30040316A (ko)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91430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497A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1654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2401A (ko)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4322B1 (ko) 콩꼬투리를 제거하여 재배된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4616A (ko) 흑효모 발효 작약꽃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