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535A - 플렉서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535A
KR20190028535A KR1020197004724A KR20197004724A KR20190028535A KR 20190028535 A KR20190028535 A KR 20190028535A KR 1020197004724 A KR1020197004724 A KR 1020197004724A KR 20197004724 A KR20197004724 A KR 20197004724A KR 20190028535 A KR20190028535 A KR 2019002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positioning
flexible device
movab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펑 우
송링 양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047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4196A1/zh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047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4194A1/zh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6/09047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14195A1/zh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44C5/107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with links made of more than two elements including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기능성 부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로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1 가동 부재와, 제 1 가동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가동 부재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제 2 가동 부재가 제 1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이동할 경우에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되며,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는 모두 탑부분과 측부를 포함하고, 지지판은 플레이트 본체와,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시트를 포함하며, 플레이트 본체는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되며, 고정 시트는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고정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수요에 따라 부동한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여러 상황의 응용 수요에 적응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바이스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착용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점차 커짐에 따라, 스마트 시계, 스마트 팔찌, 스마트 런닝 슈즈, 스마트 의류, 스마트 배낭 등과 같이, 점점 더 많은 착용형 스마트 장치가 설계되고 있다. 사람들은 스마트 장치에 통합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면서 건강을 유지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스마트 팔찌는 소형화, 경량화로 하여 착용형 스마트 장치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한가지 제품이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 팔찌 모양은 기본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여러 상황의 응용 수요를 만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여러 상황의 응용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기능성 부품을 포함하고, 제 1 가동 부재와, 제 1 가동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가동 부재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제 2 가동 부재가 제 1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이동할 경우에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되며,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는 모두 탑부분과 측부를 포함하고, 지지판은 플레이트 본체와,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시트를 포함하며, 플레이트 본체는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되며, 고정 시트는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고정된다.
고정 시트는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일체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지지판은 고정 시트와 플레이트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시트를 더 포함한다.
연결 시트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플레이트 본체 내부로 깊이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연결 시트의 폭은 고정 시트의 폭보다 작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고정 부재는 고정 시트 및 제 2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고정 시트를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고정한다.
제 1 가동 부재는 제 2 가동 부재의 내측에 위치되고, 고정 부재는 외부에서 내부로 고정 시트를 통과하여 제 2 가동 부재에 로킹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2 가동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 1 연결 부재는 제 2 가동 부재를 지지하는 기판과, 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며, 고정 부재는 또한 제 1 연결 부재의 측벽을 통과한다.
제 1 연결 부재는 기판 위에 형성되고 또한 측벽에 인접한 덧문을 더 포함하며, 고정 시트는 덧문과 측벽 사이에 끼워 있다.
고정 부재는 순차적으로 측벽, 고정 시트, 덧문을 통과한 다음에 제 2 가동 부재에 체결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고, 제 1 가동 부재의 측부에 위치 결정 구멍이 형성되며, 위치 결정 부재는 위치 결정 홈 및 위치 결정 구멍을 통과한다.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2개의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고, 고정 부재는 2개의 위치 결정 홈 사이를 통과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하고, 연결 로드의 대향하는 양단은 각각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의 2개의 제 1 가동 부재에 삽입된다.
제 1 가동 부재의 탑부분에 고정 홈이 형성되고, 연결 로드는 고정 홈에 삽입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3 가동 부재 및 연결대를 더 포함하고, 제 3 가동 부재는 인접한 2개의 제 1 가동 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대의 대향하는 양단은 각각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의 2개의 제 3 가동 부재에 삽입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3 가동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 2 연결 부재는 기판과, 기판의 단부에 위치한 측벽을 포함하며, 연결대는 또한 제 2 연결 부재의 측벽 내에 삽입된다.
제 2 연결 부재의 기판의 폭은 제 1 연결 부재의 기판의 폭보다 크다.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은 모두 탑면을 포함하고,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은 각자의 탑면에 설치된다.
제 2 가동 부재가 제 1 가동 부재에 대해 이동할 때,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변형되고, 제 1 상태에서 지지판의 플레이트 본체는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탑면에 있어서의 탑부분에 인접한 다른 영역과 분리되며; 제 2 상태에서, 지지판의 플레이트 본체는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탑면에 있어서의 탑부분에 인접한 다른 영역과 접촉한다.
제 1 가동 부재와 제 2 가동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1 가동 부재와 제 2 가동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부동한 형상을 갖고, 부동한 상황의 응용 수요에 적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고, 당업자는 또한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명백한 변형 방법을 도출할 수도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거꾸로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팔찌 모양으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 중에서 기능성 부품은 제거되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추가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 1 가동 부재 및 제 2 가동 부재의 상태 전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4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동 부재 및 위치 결정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지지판의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제 1 연결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8은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제 2 연결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29는 도 19의 지지판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단부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31은 도 19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제 4 가동 부재의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도시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장착된 플렉서블 조립체(20), 하우징(10) 상에 배치된 기능성 부품(30)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조립체(20)는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여러 상황의 응용 수요를 만족할 수 있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평판형으로부터 환형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평판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펼쳐져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환형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착용 가능 장치를 형성하도록 전체적으로 구부러져, 사용자가 몸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 형태는 수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많은 사용 상황의 수요에 적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아치형에서 환형으로 전환되거나, 평판형에서 물결형으로 전환되거나, U자형에서 S자형으로 전환되는 등이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플렉서블 조립체(20)는 각각 하우징(10)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있는 가동 부재(200)를 포함한다. 각 측의 가동 부재(200)는 모두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1 가동 부재(2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가동 부재(24)를 포함한다.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수량은 모두 복수개이며, 모두 하우징(10)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분포된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의 각 측에 모두 복수개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가 있으며, 그 중에서 제 1 가동 부재(22)는 제 2 가동 부재(24)보다 하우징(10)의 외측에 더 가까이 있다. 하우징(10)의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는 모두 정렬되고 선형으로 배열되며, 하우징(10)의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는 모두 정렬되고 선형으로 배열된다. 하우징(10)의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는 모두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하우징(10)의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도 모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동일한 측에 있는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는 서로 엇갈리게 연결된다. 특히 각 제 1 가동 부재(22)는 두개의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와 모두 엇갈리게 연결되면서 나란히 배열된다.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의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는 모두 힌지이다. 제 1 가동 부재(22)는 대체로 사다리꼴 모양이고, 평평한 바닥면(220), 경사진 측면(222) 및 만곡된 탑면(top surface)(224)을 포함한다. 제 1 가동 부재(22)의 바닥면(220)은 변형되지 않은 기능성 부품(30)에 평행되는 평면이다. 제 1 가동 부재(22)는 2개의 측면(222)을 포함하고, 각 측면(222)은 모두 평면이고 바닥면(220)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각 측면(222)과 바닥면(220) 사이의 내각은 둔각이다. 둔각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둔각은 100도보다 크고 110도보다 작다. 2개의 측면(222)은 바닥면(220)과 탑면(224)을 연결하기 위해 위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224)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지지면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아치면이다. 탑면(224)의 높이는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높아져 볼록면을 형성한다. 탑면(224)은 또한 다른 유형의 볼록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6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볼록면은 사다리꼴 모양과 유사함), 8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볼록면은 사다리꼴 모양 아래에 직사각형을 합친 모양과 유사함), 10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등이다. 곡면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끝점과 곡면이 위치한 원의 원심을 연결하되, 두 끝점과 원심의 연결선의 협각을 곡면의 스팬 각도(span angle)로 정의한다. 탑면(224)의 스팬 각도는 10도보다 크고 30도보다 작다.
제 1 가동 부재(22)에 위치 결정 홈(226)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홈(226)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앞표면(즉, 제 1 가동 부재(22)의 내부 표면)과 뒤표면(즉, 제 1 가동 부재(22)의 외부 표면)을 관통하고, 또한 제 1 가동 부재(22) 한측의 측면(222)에 인접한다. 위치 결정 홈(226)은 원호 형상을 이루고, 그 만곡 방향은 탑면(224)의 만곡 방향과 반대된다. 위치 결정 홈(226)의 높이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낮아진다. 위치 결정 홈(226)은 제 1 아크표면, 제 2 아크표면, 제 1 아크표면과 제 2 아크표면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 아크표면을 포함한다. 제 1 아크표면과 제 2 아크표면은 평행되고 동심으로 형성된다. 제 1 아크표면의 길이는 제 2 아크표면의 길이보다 짧다. 연결 아크표면은 대체로 반원형이고, 따라서 위치 결정 홈(226)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둥근 모서리를 형성한다. 위치 결정 홈(226)의 스팬 각도는 탑면(224)의 스팬 각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위치 결정 홈(226)의 스팬 각도는 7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다.
제 1 가동 부재(22)에 또한 위치 결정 구멍(228)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228)도 제 1 가동 부재(22)의 앞표면과 뒤표면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228)은 제 1 위치 결정 구멍과 제 2 위치 결정 구멍을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구멍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중간부에 가깝고, 제 2 위치 결정 구멍은 제 1 가동 부재(22)의 다른 한측의 측면(222)에 가깝다. 위치 결정 구멍(228)의 높이는 위치 결정 홈(226)의 최저점의 높이보다 높고, 위치 결정 홈(226)의 최고점의 높이보다 낮다.
제 2 가동 부재(24)의 구조 및 형상은 제 1 가동 부재(22)와 동일하므로, 제 2 가동 부재(24)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명칭, 각 구성 요소의 크기 및 각 구성 요소의 위치 관계 등은 모두 제 1 가동 부재(22)를 참조할 수 있다. 제 2 가동 부재(24)는 대체로 사다리꼴 모양이고, 평평한 바닥면(240), 경사진 측면(242) 및 만곡된 탑면(244)을 포함한다. 제 2 가동 부재(24)의 바닥면(240)은 변형되지 않은 기능성 부품(30)에 평행되는 평면이다. 제 2 가동 부재(24)는 2개의 측면(242)을 포함하고, 각 측면(242)은 모두 평면이고 바닥면(240)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각 측면(242)과 바닥면(240) 사이의 내각은 둔각이다. 둔각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둔각은 100도보다 크고 110도보다 작다. 2개의 측면(242)은 바닥면(240)과 탑면(244)을 연결하기 위해 위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44)은 제 2 가동 부재(24)의 지지면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아치면이다. 탑면(244)의 높이는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높아져 볼록면을 형성한다. 탑면(244)의 스팬 각도는 10도보다 크고 30도보다 작다. 탑면(244)은 또한 다른 유형의 볼록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6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8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10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등이다.
제 2 가동 부재(24)에 위치 결정 홈(246)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홈(246)은 제 2 가동 부재(24)의 앞표면(즉, 제 2 가동 부재(24)의 내부 표면)과 뒤표면(즉, 제 2 가동 부재(24)의 외부 표면)을 관통하고, 또한 제 2 가동 부재(24) 한측의 측면(242)에 인접한다. 위치 결정 홈(246)은 원호 형상을 이루고, 그 만곡 방향은 탑면(244)의 만곡 방향과 반대된다. 위치 결정 홈(246)의 높이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낮아진다. 위치 결정 홈(246)은 제 1 아크표면, 제 2 아크표면, 제 1 아크표면과 제 2 아크표면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 아크표면을 포함한다. 제 1 아크표면과 제 2 아크표면은 평행되고 동심으로 형성된다. 제 1 아크표면의 길이는 제 2 아크표면의 길이보다 짧다. 연결 아크표면은 대체로 반원형이고, 따라서 위치 결정 홈(246)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둥근 모서리를 형성한다. 위치 결정 홈(246)의 스팬 각도는 탑면(244)의 스팬 각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위치 결정 홈(246)의 스팬 각도는 7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다.
제 2 가동 부재(24)에 또한 위치 결정 구멍(248)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248)도 제 2 가동 부재(24)의 앞표면과 뒤표면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248)은 제 1 위치 결정 구멍과 제 2 위치 결정 구멍을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구멍은 제 2 가동 부재(24)의 중간부에 가깝고, 제 2 위치 결정 구멍은 제 2 가동 부재(24)의 다른 한측의 측면(242)에 가깝다. 위치 결정 구멍(248)의 높이는 위치 결정 홈(246)의 최저점의 높이보다 높고, 위치 결정 홈(246)의 최고점의 높이보다 낮다.
플렉서블 조립체(20)는 또한 가동 부재(200)에 연결되는 위치 결정 부재(202)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하는 제 2 가동 부재(24)는 위치 결정 부재(202)에 의해 엇갈리게 연결되며, 그 중에서 제 1 가동 부재(22)의 앞표면의 일부는 제 2 가동 부재(24)의 뒤표면의 일부와 접촉한다. 위치 결정 부재(202)는 위치 결정 홈(226, 246)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가동 부재(22)가 제 2 가동 부재(24)에 대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202)는 제 1 위치 결정 부재(26)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를 포함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는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는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 부재(26)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를 포함하고,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를 포함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는 먼저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을 통과한 다음에 각각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48)에 삽입되며;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는 먼저 제 1 가동 부재(22)의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에 삽입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는 서로 이격되고, 양자 사이의 간격은 플렉서블 조립체(20)가 변형될 때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는 서로 이격되고, 양자 사이의 간격은 플렉서블 조립체(20)가 변형될 때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으며;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또는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으며;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또는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 및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의 구조는 모두 다르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의 길이는 차례로 감소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는 너트와 너트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나사를 포함한다. 스크류는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을 통과하여 인접하는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248) 내에 삽입된다. 너트는 제 1 가동 부재(22)의 뒷면에 맞닿아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는 기다란 막대 모양인 연속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연결 로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과 인접하는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다른 위치 결정 구멍(248)을 통과하고,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타측의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구멍(248)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연결 로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가동 부재(200)를 연결하고, 특히 일측의 가동 부재(200)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와 타측의 가동 부재(200)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는 제 1 가동 부재(22)의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228)을 통과하고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에 삽입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는 제 1 가동 부재(22)의 다른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228)을 통과하고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에 삽입되는 볼록 기둥을 포함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고;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타측의 제 1 가동 부재(22),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며;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한다.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 282)의 직경은 위치 결정 홈(226, 246)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으므로, 위치 결정 홈(226, 246) 내에 단단히 끼워질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 또는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 282) 사이의 거리는 위치 결정 홈(226, 246)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 282)는 위치 결정 홈(226, 246)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제 1 가동 부재(22)는 제 2 가동 부재(2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플렉서블 조립체(20)는 가동 부재(200)에 당접하는 위치 제한 부재(204)를 더 포함한다. 위치 제한 부재(204)는 위치 결정 부재(202)에 슬리브되어 가동 부재(200)에 가해지는 힘을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립체(20)가 변형될 경우의 댐핑(damping)을 조정한다. 특히,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 260)는 위치 결정 홈(226, 246)을 통과한 다음에 모두 위치 제한 부재(204)와 로킹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제한 부재(204)는 탄성 시트(272)를 갖는 너트(270)이며, 나사산에 의해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탄성 시트(272)는 너트(270)와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앞표면 사이에 탄성적으로 가압 끼워진다. 위치 제한 부재(204)와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의 로킹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탄성 시트(272)에 의해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조립체(20)가 회전할 때의 댐핑을 제어한다. 댐핑이 적절한 값으로 조정될 때, 플렉서블 조립체(20)는 회전하면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수요하는 더 많은 형상에 적응될 수 있다.
기능성 부품(30)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양자를 겸비하는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을 포함할 경우,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은 재료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인장 또는 압축에 내성이 없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이 인장되거나 압축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심지어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의 구조 및 연결 관계를 더욱 개선시킨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모두 플렉서블 재료이기 때문에, 기능성 부품(3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아래에 고정된 지지판(34)을 더 포함하며, 편리하게 조작하거나 또는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판(34)의 면적 및 형상은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의 면적 및 형상과 동일하다. 지지판(34)은 강판, 철판, 구리판 등과 같은 경도가 비교적 높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지지판(34)의 경도는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의 경도보다 높다. 지지판(34)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 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판(34)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지지면(즉, 탑면(224, 244))에 고정된다. 지지면이 볼록한 아크 표면이기 때문에, 지지판(34)은 지지면의 탑부분(top portion)에 고정되며, 지지면의 고정점이 바로 그 탑부분이다. 물론,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이 다른 형상이라면, 고정점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다른 위치에 있을 수 도 있으며, 탑부분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점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된 요소의 명칭일 뿐이고, 실은 탑면(224, 244)의 탑부분을 가리키며, 이것은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어느 단독적인 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판(34)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각 측의 각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탑부분에 고정되며, 지지판(34)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다른 위치와 이격되어 있다. 지지판(34)은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은 원호형이기 때문에, 제 2 가동 부재(24)가 제 1 가동 부재(22)에 상대하여 이동할 때,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는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의 구속을 받아, 제 2 가동 부재(24)가 위치 결정 홈(246)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1 가동 부재(22)에 상대하여 회전하면서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해 병진하며, 즉,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한 제 2 가동 부재(24)의 이동은 회전 및 병진 두가지 동작을 포함한다.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방향은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가동 부재(24)의 병진 방향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을 향해 병진된다.
또한,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은 원호형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원심을 갖는다. 이 원심은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이다.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회전 원심은 어느 구성 요소가 회전 원심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구성 요소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원심까지의 거리가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에 대한 제 2 가동 부재(24)의 이동 궤적의 만곡 방향은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44)의 만곡 방향과 반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은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 중심보다 높다. 특히,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은 제 2 가동 부재(24)의 지지면의 탑부분과 동일한 높이로 있거나 또는 제 2 가동 부재(24)보다 높다.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은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 중심보다 높기 때문에, 제 2 가동 부재(24)가 회전 원심(O)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로 인한 길이 차이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는 모두 직사각형 몸체로 설정되고, 직사각형 몸체의 탑면의 중심(C)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고정점이다.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의 중심(C)으로부터 제 1 가동 부재(22)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S1이고, 제 1 가동 부재(22)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의 단부로부터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의 중심(C)까지의 거리는 S2이다.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과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 중심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동 부재(24)가 회전하지 않을 때,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의 중심(C)과 제 2 가동 부재(24) 탑면의 중심(C)사이의 거리는 S1+S2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동 부재(24)가 회전 원심(O)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원심(O)은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보다 낮기 때문에, 제 1 가동 부재(22)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의 단부는 회전 전의 위치에 대하여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에서 변위(L)를 생성한다. 이럴 경우,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을 따라,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의 중심(C)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의 중심(C)까지의 길이는 S1+S2+L이다. L의 존재로 인해,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을 따라 탑면의 중심(C) 사이의 거리에 길이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과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이 동일한 평면에 있을 경우, 제 2 가동 부재(24)가 회전 원심(O)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원심(O)과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이 동일한 평면에 있기 때문에,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을 따라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의 중심(C)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의 중심(C)까지의 거리는 항상 S1+S2로 유지되므로, 길이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보다 싶이,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 중심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까지,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이 높을수록 발생하는 길이 차이는 더 작다.
반대로, 길이 차이가 클수록,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을 따라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의 중심(C)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의 중심(C)까지의 거리가 더 길다. 지지판(34)은 동시에 제 1 가동 부재(22)의 고정점(즉, 탑면의 중심(C))과 제 2 가동 부재(24)의 고정점(즉, 탑면의 중심(C))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가동 부재(22) 탑면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을 따라 제 1 가동 부재(22)의 고정점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24)의 고정점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면, 2개의 고정점 사이의 지지판(34)의 거리도 따라서 길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지판(34)은 2개의 고정점 사이에서 신장 변형되게 한다.
상술한 원리에 따라, 지지판(34)이 2개의 고정점 사이에서 신장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을 제 2 가동 부재(24)의 두께 중심보다 높게 설정하며, 특히, 제 2 가동 부재(24)의 고정점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한다. 물론, 회전 원심(O)은 또한 지지판(34)에 위치할 수 도 있으며, 특히 지지판(34)의 탑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224)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44)은 모두 원호 표면이며, 제 2 가동 부재(24)가 제 1 가동 부재(22)를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에, 제 2 가동 부재(24)와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224, 244)은 함께 연속적인 원호 표면(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곡률은 연속적으로 분포됨)을 형성하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 전체가 고리 모양을 이루게 한다. 또한, 탑면(224, 244)에 수직되는 평면에서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투영은 함께 연속적인 원호(탑면(224, 244)에 수직되는 평면에서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투영의 곡률은 연속적으로 분포됨)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판(34)의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의 2개의 고정점 사이의 부분도 반드시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야만, 제 2 가동 부재(24)가 제 1 가동 부재(22)에 상대하여 이동한 다음에, 지지판(34)이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로 구성된 연속적인 원호 표면에 밀착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원호의 길이가 직선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특히,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2개의 고정점과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회전 원심(O)이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224)에 위치한다고 설정함)으로 함께 정의되는 원호의 길이는 제 1 가동 부재(22)의 고정점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의 회전 원심(O)까지의 직선 길이와 제 2 가동 부재(24)의 고정점으로부터 제 2 가동 부재의 회전 원심(O)까지의 직선 길이의 합보다 크다. 보정을 하지 않으면, 원호와 직선의 길이의 차이로 지지판(34)이 늘어나는 상황이 나타나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을 더 조정하여 원호와 직선의 길이의 차이를 감소하거나 상쇄하여야 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은 지지판(34)의 탑면보다 높아야 하며, 따라서 제 2 가동 부재(24)가 회전 원심(O)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 1 가동 부재(22)를 향하여 더 병진하도록 함으로써, 원호와 직선의 길이의 차이를 감소하거나 상쇄한다.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으로부터 지지판(34)의 탑면까지의 거리와 지지판(34)의 두께의 비는 0.1 내지 0.5 사이에 있다. 회전 원심(O)은 지지판(34)의 탑면보다 높기 때문에, 회전 원심(O)의 위치는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하여 일정하고, 다시 말하면, 제 2 가동 부재(24)가 제 1 가동 부재(22)에 상대하여 이동할 때,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한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물론, 회전 원심(O)이 지지판(34)의 탑면 또는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224)에 위치하는 경우, 회전 원심(O)과 제 1 가동 부재(22)의 상대 위치도 일정하다. 또한, 회전 원심(O)은 플렉서블 기능성 스크린(32)에 위치하거나 심지어 플렉시블 기능 스크린(32)보다 더 높을 수 도 있다. 또한,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은 지지판(34)의 탑면보다 높기 때문에, 회전 중심(O)은 기능성 부품(30)의 경도가 더 높은 하부(즉, 지지판(34))보다 높고, 기능성 부품(30)의 경도가 더 낮은 상부(즉, 플렉시블 기능 스크린(32))보다 높거나 또는 동일한 표면에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1 상태(평판 상태)에 있을 때,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해 전개된다. 제 2 가동 부재(24)와 제 1 가동 부재(22)와 나란히 동일 평면에 있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의 제 1 단부에 당접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의 제 2 단부와 이격되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각 위치 결정 홈(246)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2 상태(예컨대, 환형 상태)에 있을 때,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해 집결된다. 제 2 가동 부재(24)와 제 1 가동 부재(22)는 나란히 배열되어 협각을 형성하고,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해 경사진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의 제 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의 제 2 단부에 당접된다. 동일한 도리로, 서로 다른 상태에 있을 때,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도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와 유사한 위치 관계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지지판(34)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탑부분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제 1 상태에서 지지판(34)의 바닥면과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다른 위치는 분리되고, 제 2 상태에서, 지지판(34)의 바닥면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다른 위치와 접촉한다. 제 2 상태에서의 지지판(34)과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접촉 면적은 제 1 상태에서의 지지판(34)과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224, 244)의 접촉 면적보다 크다.
특히, 제 1 가동 부재(22)의 고정점에 대응되는 지지판(34)의 탑면의 위치를 제 1 기준점(P1)으로 정의하고, 제 2 가동 부재(24)의 고정점에 대응되는 지지판(34)의 탑면의 위치를 제 2 기준점(P2)으로 정의한다. 제 2 상태에서 지지판(34)의 탑면에 있어서의 제 1 기준점(P1)으로부터 제 2 기준점(P2)까지의 아크 길이는 제 1 상태에서 제 1 기준점(P1)으로부터 제 2 기준점(P2)까지의 직선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지지판(34)의 탑면의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보장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제 1 위치 결정 부재(26)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이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은 대응되게 짧아지고;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이고, 이에 대응하여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은 대응되게 짧아지고; 이와 같이 단지 하나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만 포함하는 구조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 282)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그 어떤 상황에서, 위치 결정 부재(202)는 제 2 위치 결정 부재(28)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위치 결정 부재(202)는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는 적층되어 배치되고, 예를 들면,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는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외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는 상기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의 외측에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는 상기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것으로 미루어 생각한다. 각 위치 결정 부재(202)는 대응하는 제 1 가동 부재(22)와 제 2 가동 부재(24)의 중첩 위치를 통과한다. 이러한 상황도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태 전환과 기능성 부품(30)이 인장되지 않거나 또는 기능성 부품(30)이 인장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 플렉서블 조립체(20)의 각 측은 단지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일측에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심지어 플렉서블 조립체(20)를 하우징(10)의 중간에 배치할 수 도 있으며, 플렉서블 조립체(20)가 단지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를 포함하더라도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태 전환과 기능성 부품(30)이 인장되지 않거나 또는 기능성 부품(30)이 인장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복수의 연결부재(100)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00)는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2) 및 제 2 연결부재(14)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부재(12)와 제 2 연결부재(14)는 번갈아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 1 연결부재(12)와 제 2 연결부재(14)는 하우징(10) 내부의 전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12)와 제 2 연결부재(14)의 구조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연결부재(12)와 제 2 연결부재(14)의 구조는 다르다. 제 1 연결부재(12)는 기판(120)과, 기판(120)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22)을 포함하고, 제 2 연결부재(14)는 기판(140)과, 기판(140)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42)을 포함한다. 제 1 연결부재(12)의 기판(120)은 또한 돌출된 2개의 계단(124)을 포함하고, 제 2 연결부재(14)의 기판(140)은 또한 돌출된 2개의 계단(144)을 포함한다. 제 1 연결 부재(12)의 2개의 계단(124)은 각각 기판(120)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 가까이 있으며 대응하는 측벽(122)에 인접하고, 제 2 연결 부재(14)의 2개의 계단(144)은 각각 기판(140)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 가까이 있으며 대응하는 측벽(142)에 인접한다. 제 1 연결부재(12)는 계단(124) 위에 돌출된 덧문(126)을 형성하고, 제 2 연결부재(14)는 계단(144) 위에 돌출된 덧문(146)을 형성한다. 덧문(126, 146)의 높이는 계단(124, 144)의 높이보다 크다. 제 2 연결부재(14)의 덧문(146)은 계단(144)의 내측에 있고 해당 측벽(142)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제 1 연결 부재(12)의 덧문(126)은 계단(124)의 외측에 있고 해당 측벽(122)의 근처에 있다. 제 1 연결 부재(12)의 덧문(126)은 가장 가까운 측벽(122)과 이격되어 있고, 제 2 연결 부재(14)의 덧문(146)은 가장 가까운 측벽(142)과 이격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의 다른 상태에 있을 때, 제 1 연결 부재(12)와 제 2 연결 부재(14)는 항상 이격되어 있으며, 양자 사이에 슬롯(104)을 형성한다. 제 1 연결 부재(12)와 제 2 연결 부재(14)는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이지만 항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연결 부재(12) 및 제 2 연결 부재(14)의 각 계단(124, 144)에 모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연결 부재(12)와 인접한 하나의 제 2 연결 부재(14)는 연결 부재 그룹을 구성하여 각 제 1 가동 부재(22)와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로 구성된 가동 부재 그룹을 연결하고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연결 부재(12) 및 제 2 연결 부재(14)는 나란히 배치되고,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1 연결 부재(12) 및 제 2 연결 부재(14)의 동일한 측의 계단(124, 144) 위에 배치된다.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1 연결 부재(12) 및 제 2 연결 부재(14)의 계단(124, 144)의 탑면에 동시에 당접된다. 제 1 가동 부재(22)는 제 1 연결 부재(12)의 덧문(126)에 인접하고, 제 2 가동 부재(24)는 제 2 연결 부재(14)의 덧문(146)에 인접하여 엇갈리게 배치된다. 제 1 연결 부재(12)의 덧문(126)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외측면에 당접되고, 제 2 연결 부재(14)의 덧문(146)은 제 2 가동 부재(24)의 내측면에 당접되어, 제 1 가동 부재(12)와 제 2 가동 부재(14)를 양자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를 제한한다. 2개의 나사는 각각 제 1 연결 부재(12)의 나사 구멍과 제 2 연결 부재(14)의 나사 구멍으로부터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바닥면에 삽입됨으로써 제 1 가동 부재(12) 및 제 2 가동 부재(14)는 제 1 연결 부재(12) 및 제 2 연결 부재(14)에 고정된다. 복수의 연결 부재 그룹 및 가동 부재 그룹은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각각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하우징(10) 및 플렉서블 조립체(20)를 구성한다.
제 1 연결 부재(12)의 각 측벽(122)의 상부는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플랜지(128)를 형성하고, 제 2 연결 부재(14)의 각 측벽(142)의 상부는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플랜지(148)를 형성한다. 플랜지(128, 148)는 측벽(122, 142)의 상부보다 높다. 측벽(122, 142)의 상부는 플랜지(128, 148)와 협력하여 지지판(34)을 지지하고 그 위치를 제한한다. 지지판(34)의 에지 하부면은 측벽(122, 142)의 탑면에 당접되고, 에지 측면은 플랜지(128, 148)의 내측면에 당접된다. 따라서, 지지판(34)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에지는 플랜지(128, 148)에 의해 구속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지지판(34)과 하우징(10)은 함께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캐비티를 형성한다. 전자 부품은 기능성 부품(30)을 제어하는 제어기(40), 기능성 부품(30) 및 제어기(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0),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부품(30)은 전술한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요에 따라 다른 유형의 기능성 부품, 예를 들면,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표시 스크린, 기능 센서, 스피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표시 스크린은 지지판(34)의 탑면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면적의 하드 디스플레이, 전자 잉크 스크린, LED 발광 보드 등일 수 있다. 기능 센서는 체온 센서, 온도 센서, 속도 센서, 중력 센서, 높이 센서, 각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기압 센서, 심장 박동수 센서, 맥박 센서, 땀 센서, 광 센서 및 EMG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 목적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부동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지판(34)의 탑면, 지지판(34)과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부, 하우징(10)의 바닥면 등이다.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은 지지판(34)과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사용할 때, 제 1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으며, 이 때, 지지판(34)은 편판 형상을 가지며,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는 하나의 직선으로 배열되고,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도 하나의 직선으로 배열된다. 각 제 1 가동 부재(22)는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와 이격되고, 각 제 1 가동 부재(22)의 하나의 측면(222)은 인접한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의 대향하는 측면(222)과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간격의 폭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점차 커져 사다리꼴 모양을 형성한다. 각 제 2 가동 부재(24)는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와 이격되고, 각 제 2 가동 부재(24)의 하나의 측면(242)은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대향하는 측면(242)과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간격의 폭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점차 커져 사다리꼴 모양을 형성한다.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과 인접하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은 불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제 2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구부리고, 이 때, 지지판(34)은 360도보다 작은 원호 형상을 이루고,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는 원호 형상으로 배열되고,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도 원호 형상으로 배열된다. 각 제 1 가동 부재(22)는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에 당접된다. 각 제 1 가동 부재(22)의 하나의 측면(222)은 인접한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의 대향하는 측면(222)과 접촉한다. 각 제 2 가동 부재(24)는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에 당접된다. 각 제 2 가동 부재(24)의 하나의 측면(242)은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의 대향하는 측면(242)과 접촉한다.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은 인접하는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과 연속적으로 분포되고, 또한 인접하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과도 연속적으로 분포된다.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끼리 서로 접촉하고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끼리 서로 접촉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구속되며, 그 만곡 정도는 필요하는 범위 내로 제한된다. 특히, 만곡된 후에,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의 탑면은 함께 270도보다 큰 연속적인 원호를 형성하고,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면은 함께 270도보다 큰 연속적인 원호를 형성한다. 연속적인 원호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거의 완벽한 환형을 이루어 사용자가 사용 과정이나 감상 과정에서 더 좋은 체험을 얻을 수 있다. 제 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스마트 팔찌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제 2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또한 팔, 허리, 넓적 다리, 아랫 다리, 목, 이마 등과 같은 임의의 착용 가능한 위치에 착용될 수 있다.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를 플렉서블 조립체(20)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요성 소재(예를 들면, 연성 플라스틱, 테이프 등)에 비해 강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수명도 길며, 또한 만곡 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범위가 더욱 넓고, 여러 상황의 응용 수요에 적응될 수 있다. 물론, 요구가 높지 않은 상황에서, 플렉서블 조립체(20)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기(40), 배터리(50), 통신 모듈 등 전자 부품은 모두 구부러짐에 내성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여, 이러한 전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10)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단부 커버(16)를 더 포함한다. 2개의 단부 커버(16)의 구조는 동일하고 대칭되게 배치된다. 각 단부 커버(16)는 제 1 연결 부재(12) 및 제 2 연결 부재(14)와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각 단부 커버(16)는 기판(160)과, 기판(160)의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62)을 포함한다. 기판(160)은 대체로 반원형을 이루고, 그 면적은 제 1 연결 부재(12)의 기판(120)의 면적 또는 제 2 연결 부재(14)의 기판(140)의 면적보다 크며, 또한 제 1 연결 부재(12)의 기판(120)의 면적과 제 2 연결 부재(14)의 기판(140)의 면적의 합보다 크다. 기판(160)은 그 에지에 가까운 서로 대향하는 양측 위치에 각각 2 개의 계단(164)이 형성된다. 각 계단(164)의 탑면에 2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측벽(162)의 탑면은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플랜지를 형성한다. 지지판(34)은 측벽(162)의 탑면 및 플랜지의 내측면에도 당접된다. 단부 커버(16)의 기판(160)의 면적은 비교적 크므로, 비교적 큰 수용 공간을 제공하여 구부림에 저항성이 없는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50)는 그 중 하나의 단부 커버(16) 내에 수용되고, 제어기(40), 통신 모듈 및 회로 기판과 같은 전자 부품은 다른 단부 커버(16)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50)와 제어기(40), 통신 모듈 및 회로 기판은 와이어로 연결된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플렉서블 회로 기판을 통해 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제어기(40), 통신 모듈 및 배터리(50)와의 전기 접속을 실현한다. 각각 2개의 단부 커버(16) 내에 있기 때문에, 배터리(50) 및 제어기(40)도 각각 플렉서블 조립체(20)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있다. 배터리(50)와 및 제어기(40)는 플렉서블 조립체(20)가 변형됨에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양자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특히, 배터리(50)와 제어기(40) 사이의 거리는 플렉서블 조립체(20)가 제 2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배터리(50)와 다른 전자 부품을 각각 서로 분리된 2개의 단부 커버(16) 내에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어,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더 얇아지고 가벼워진다. 배터리(50)와 다른 전자 부품을 분리하는 디자인은 또한 배터리(50)와 다른 전자 부품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의 상호 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50)와 다른 전자 부품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조립체(20)는 단부 커버(16)와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제 3 가동 부재(21)를 더 포함한다. 제 3 가동 부재(21)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탑면에 형성된 플레이트 본체(212)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단부 커버(16)의 계단(164)의 탑면에 평행되고, 플레이트 본체(212)는 계단(164)의 탑면에 수직된다. 플레이트 본체(212)는 제 1 가동 부재(22)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홈(226)을 포함하는 부분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홈(246)을 포함하는 부분의 형상과 유사하고, 플레이트 본체(212)에도 위치 결정 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본체(212)의 위치 결정 홈(216)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와 유사하게, 위치 결정 부재(202)는 플레이트 본체(212)의 위치 결정 홈(216)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구멍(228)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구멍(248) 내에 삽입되어, 제 3 가동 부재(21)는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위치 결정 부재(202)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90)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92)를 포함하고,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90)의 단부는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를 통과한 다음에 위치 제한 부재(204) 내에 로킹된다. 위치 제한 부재(204)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위치 제한 부재(204)의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하다. 베이스(210)는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단부 커버(16)의 계단(164)의 탑면에 고정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단부 커버(16)의 내부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된 배터리(50)의 용량은 제한되고,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다른 배터리(6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배터리(60)의 용량은 배터리(50)의 용량보다 적다. 다른 배터리(60)는 원하는 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배터리(6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중간에 장착된다. 이와 대응하게,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중간부는 또한 대응하는 보호 구조를 형성하여 다른 배터리(60)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하우징(10)의 중간부에 더 큰 면적을 갖는 제 3 연결 부재(18)가 배치된다. 제 3 연결 부재(18)의 구조는 제 1 연결 부재(12) 또는 제 2 연결 부재(14)의 구조와 비슷하고, 주요 차이점은 면적이 더 크다는 것이다. 제 3 연결 부재(18)도 기판(180), 측벽(182) 및 계단(184)을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는 폭이 넓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연결 부재(12) 또는 제 2 연결 부재(14)와 동일하다. 다른 배터리(60)를 수용하기 위해, 제 3 연결 부재(18)의 기판(180)의 폭은 제 1 연결 부재(12)의 기판(120) 또는 제 2 연결 부재(14)의 기판(140)의 폭의 2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대응하게, 플렉서블 조립체(20)는 또한 제 4 가동 부재(23) 및 제 5 가동 부재(25)를 포함한다. 제 4 가동 부재(23)는 2개의 대칭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각 플레이트의 구조 및 형상은 제 1 가동 부재(22)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홈(226)을 포함하는 부분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홈(246)을 포함하는 부분의 구조 및 형상과 유사하다. 2개의 플레이트의 탑면은 함께 연속적인 원호면을 형성하고, 원호면은 지지면으로 사용되고, 그 탑부분은 지지판(34)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점이다. 각 플레이트에 하나의 위치 결정 홈(230)이 형성되며, 그 구조 및 형상은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다. 특히, 왼쪽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 홈(230)은 왼쪽으로 약간 경사지고, 오른쪽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 홈(230)은 오른쪽으로 약간 경사진다. 2개의 제 5 가동 부재(25)는 각각 제 4 가동 부재(23)의 대향하는 양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5 가동 부재(25)의 형상 및 구조는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형상 및 구조와 기본상 같으며, 다른 점이라면 제 5 가동 부재(25)에 있어서의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관통 구멍(250)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5 가동 부재(25)는 모두 4개의 관통 구멍(250)을 갖는다. 제 4 가동 부재(23)에 대한 거리에 따라, 4개의 관통 구멍(250)은 제 4 가동 부재(23)에 인접한 2 개의 제 1 관통 구멍(250)과, 제 4 가동 부재(23)와 멀리 떨어져 있는 2 개의 제 2 관통 구멍(250)으로 나눈다. 제 4 가동 부재(23)에 인접한 제 5 가동 부재(25)의 2 개의 제 1 관통 구멍(250)은 위치 결정 부재(202)를 통해 제 4 위치 결정 부재(2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4 가동 부재(23)와 멀리 떨어져 있는 제 5 가동 부재(25)의 2 개의 제 2 관통 구멍(250)은 위치 결정 부재(202)를 통해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5 가동 부재(25)와 제 4 가동 부재(23)를 연결하는 위치 결정 부재(202)는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를 포함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a)를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a)는 볼록 기둥을 포함하고,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a)는 나사를 포함한다. 볼록 기둥 및 나사의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볼록 기둥 및 나사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하다. 볼록 기둥 및 나사는 각각 제 4 가동 부재(23)의 위치 결정 홈(230)을 통과한 다음에 제 5 가동 부재(25)의 2 개의 관통 구멍(250) 내에 삽입된다. 또한, 나사의 말단은 제 5 가동 부재(25)를 통과한 후에 위치 제한 부재(204)와 로킹된다. 제 5 가동 부재(25)와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를 연결하는 위치 결정 부재(202)는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를 포함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a)를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a)는 나사를 포함하고,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82a)는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나사 및 연결 로드의 형상 및 구조는 전술한 나사 및 연결 로드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하다. 나사 및 연결 로드는 각각 제 1 가동 부재(22)의 위치 결정 홈(226)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의 위치 결정 홈(246)을 통과한 다음에 제 5 가동 부재(25)의 2 개의 관통 구멍(250) 내에 삽입된다. 또한, 나사의 말단은 제 5 가동 부재(25)를 통과한 후에 위치 제한 부재(204)와 로킹되고; 연결 로드의 말단은 제 5 가동 부재(25)를 통과한 후에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타측의 제 5 가동 부재(25) 및 제 1 가동 부재(22) 또는 제 2 가동 부재(24)에 삽입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연결 로드는 제 5 가동 부재(25)의 제 4 가동 부재(23)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관통 구멍(250) 내에 위치하므로, 2개의 연결 로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남겨 다른 배터리(60)를 수용하도록 하며, 2개의 연결 로드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아 다른 배터리(60)를 장착할 수 없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한다.
2개의 배터리(50, 60)의 협력에 의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사용 시간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배터리(60)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스마트 팔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다른 배터리(60)는 손목의 뒷면에 대응하고, 손목의 뒷면은 손목의 각 부분에서 가장 평탄한 위치이므로, 손목의 뒷면은 제 3 연결 부재(18)의 기판(180)의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면의 평탄성의 불균일에 의한 불편감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그 대부분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구조의 일부만이 수정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하우징(10a), 하우징(10a) 내에 장착된 플렉서블 조립체(20a), 하우징(10a) 상에 배치된 기능성 부품(30a)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여러 상황의 응용 수요에 적응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평판형으로부터 환형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평판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펼쳐져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환형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착용 가능 장치를 형성하도록 전체적으로 구부러져, 사용자가 몸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 형태는 수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많은 사용 상황의 수요에 적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아치형에서 환형으로 전환되거나, 평판형에서 물결형으로 전환되거나, U자형에서 S자형으로 전환되는 등이다.
도 20 내지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각각 하우징(10a)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있는 가동 부재(200a)를 포함한다. 각 측의 가동 부재(200a)는 모두 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1 가동 부재(22a)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가동 부재(24a)를 포함한다.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수량은 모두 복수개이며, 모두 하우징(10a)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분포된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a)의 각 측에 모두 복수개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가 있으며, 그 중에서 제 1 가동 부재(22a)는 제 2 가동 부재(24a)보다 하우징(10a)의 내측에 더 가까이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전개 상태에 있을 경우, 하우징(10a)의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a)는 모두 정렬되고 선형으로 배열되며, 하우징(10a)의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a)는 모두 정렬되고 선형으로 배열된다. 하우징(10a)의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a)는 모두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a)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하우징(10a)의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a)도 모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하우징(10a)의 동일한 측에 있는 제 1 가동 부재(22a)와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는 서로 엇갈리게 연결된다. 특히 각 제 1 가동 부재(22a)는 두개의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와 모두 엇갈리게 연결되면서 나란히 배열된다.
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2 가동 부재(24a)의 형상은 동일하지만 구조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2 가동 부재(24a)는 모두 힌지이다. 제 1 가동 부재(22a)는 대체로 사다리꼴 모양이고, 평평한 바닥면(220a), 경사진 측면(222a) 및 만곡된 탑면(224a)을 포함한다. 제 1 가동 부재(22a)의 바닥면(220a)은 변형되지 않은 기능성 부품(30a)에 평행되는 평면이다. 제 1 가동 부재(22a)는 2개의 측면(222a)을 포함하고, 각 측면(222a)은 모두 평면이고 바닥면(220a)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각 측면(222a)과 바닥면(220a) 사이의 내각은 둔각이다. 둔각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둔각은 100도보다 크고 110도보다 작다. 2개의 측면(222a)은 바닥면(220a)과 탑면(224a)을 연결하기 위해 위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은 원호 형상의 아치면이다. 탑면(224a)의 높이는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높아져 볼록면을 형성한다. 탑면(224a)은 또한 다른 유형의 볼록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6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볼록면은 사다리꼴 모양과 유사함), 8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볼록면은 사다리꼴 모양 아래에 직사각형을 합친 모양과 유사함), 10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등이다. 곡면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끝점과 곡면이 위치한 원의 원심을 연결하되, 두 끝점과 원심의 연결선의 협각을 곡면의 스팬 각도로 정의한다. 탑면(224a)의 스팬 각도는 10도보다 크고 30도보다 작다.
제 1 가동 부재(22a)에 복수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구멍(228a)은 제 1 가동 부재(22a)의 앞표면과 뒤표면을 관통한다. 위치 결정 구멍(228a)은 대략 원 형상을 이루고, 그 바닥부는 평면을 형성하여 위치 결정 구멍(228a)에 삽입된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규제한다. 물론, 평면은 또한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닥부에 위치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구멍(228a)은 모두 4개 있으며, 그 중의 2개는 제 1 가동 부재(22a)의 왼쪽에 가깝고, 다른 2개는 제 1 가동 부재(22a)의 오른쪽에 가깝다. 4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직선으로 배열된다. 왼쪽에 있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 사이의 거리와 오른쪽에 있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며, 또한 중간에 있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에 또한 고정 홈(226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홈(226a)은 제 1 가동 부재(22a)의 앞표면과 뒤표면을 관통하고, 위로 향하여 탑면(224a)을 관통한다. 고정 홈(226a)은 탑면(224a)의 중간에 위치하며 4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보다 높은 곳에 있다. 고정 홈(226a)은 서로 마주 보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2개의 측면과 수평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다. 2개의 측면 사이의 거리는 위로 갈수록 점차 커지므로 고정 홈(226a)은 아래에서 위로 점차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측면과 바닥면은 모두 평면이므로, 고정 홈(226a) 내에 삽입된 구성 요소와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 가동 부재(24a)는 대체로 사다리꼴 모양이고, 평평한 바닥면(240a), 경사진 측면(242a) 및 만곡된 탑면(244a)을 포함한다. 제 2 가동 부재(24a)의 바닥면(240a)은 변형되지 않은 기능성 부품(30a)에 평행되는 평면이다. 제 2 가동 부재(24a)는 2개의 측면(242a)을 포함하고, 각 측면(242a)은 모두 평면이고 바닥면(240a)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각 측면(242a)과 바닥면(240a) 사이의 내각은 둔각이다. 둔각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둔각은 100도보다 크고 110도보다 작다. 2개의 측면(242a)은 바닥면(240a)과 탑면(244a)을 연결하기 위해 위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44a)은 제 2 가동 부재(24a)의 지지면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아치면이다. 탑면(244a)의 높이는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높아져 볼록면을 형성한다. 탑면(244a)의 스팬 각도는 10도보다 크고 30도보다 작다. 탑면(244a)은 또한 다른 유형의 볼록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6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8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10면체의 반의 모양을 가진 볼록면 등이다.
제 2 가동 부재(24a)에 2개의 위치 결정 홈(24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자는 각각 제 2 가동 부재(24a)의 좌우 양측에 가깝다. 위치 결정 홈(248a)은 제 2 가동 부재(24a)의 앞표면(즉, 제 2 가동 부재(24a)의 외부 표면)과 뒤표면(즉, 제 2 가동 부재(24a)의 내부 표면)을 관통한다. 위치 결정 홈(248a)은 원호 형상을 이루고, 그 만곡 방향은 탑면(244a)의 만곡 방향과 반대된다. 위치 결정 홈(248a)의 높이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점차 낮아진다. 위치 결정 홈(248a)은 제 1 아크표면, 제 2 아크표면, 제 1 아크표면과 제 2 아크표면을 연결하는 2개의 연결 아크표면을 포함한다. 제 1 아크표면과 제 2 아크표면은 평행되고 동심으로 형성된다. 제 1 아크표면의 길이는 제 2 아크표면의 길이보다 짧다. 연결 아크표면은 대체로 반원형이고, 따라서 위치 결정 홈(248a)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둥근 모서리를 형성한다. 위치 결정 홈(248a)의 스팬 각도는 탑면(244a)의 스팬 각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위치 결정 홈(248a)의 스팬 각도는 7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다. 2개의 위치 결정 홈(248a)은 제 2 가동 부재(24a)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2개의 위치 결정 홈(248a)의 만곡 방향은 반대되고, 왼쪽의 위치 결정 홈(248a)은 하방으로 약간 오른쪽으로 만곡되고, 오른쪽의 위치 결정 홈(248a)은 하방으로 약간 왼쪽으로 만곡된다. 제 2 가동 부재(24a)에 또한 고정 구멍(246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246a)은 제 2 가동 부재(24a)의 앞표면과 뒤표면을 관통한다. 고정 구멍(246a)은 2 개의 위치 결정 홈(248a) 사이에 있고, 2개의 위치 결정 홈(248a)보다 낮다. 고정 구멍(246a)의 직경은 위치 결정 구멍(228a)의 직경보다 작고 위치 결정 구멍(228a)보다 낮다.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또한 가동 부재(200a)에 연결되는 위치 결정 부재(202a)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가동 부재(22a)와 인접하는 제 2 가동 부재(24a)는 위치 결정 부재(202a)에 의해 엇갈리게 연결되며, 그 중에서 제 1 가동 부재(22a)의 앞표면의 일부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뒤표면의 일부와 접촉한다. 위치 결정 부재(202a)는 위치 결정 홈(248a)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가동 부재(22a)가 제 2 가동 부재(24a)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202a)는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를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는 제 1 가동 부재(22a)와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a)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는 제 1 가동 부재(22a)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a)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는 모두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를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각각 제 1 가동 부재(22a)의 오른쪽의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a)의 왼쪽의 위치 결정 홈(248a)에 삽입되며;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각각 제 1 가동 부재(22a)의 왼쪽의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 2 가동 부재(24a)의 오른쪽의 위치 결정 홈(248a)에 삽입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서로 이격되고, 양자 사이의 간격은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변형될 때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서로 이격되고, 양자 사이의 간격은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변형될 때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의 길이는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길이보다 길고,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보다 제 1 가동 부재(22a)의 중심에 더 가깝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으며;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또는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으며;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또는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같거나 다를수 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다르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다르지만,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의 구조는 동일하며,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구조는 동일하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너트와 너트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나사를 포함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앞에서부터 뒤로 차례로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a)의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228a) 내에 삽입된다. 너트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앞면에 맞닿아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볼록 기둥을 포함하고, 그는 로드 모양의 구조이다. 볼록 기둥은 제 1 가동 부재(22a)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 내에 삽입된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와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제 1 가동 부재(26a)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너트와 너트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나사를 포함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앞에서부터 뒤로 차례로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a)의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228a) 내에 삽입된다. 너트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앞면에 맞닿아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볼록 기둥을 포함하고, 그는 로드 모양의 구조이다. 볼록 기둥은 제 1 가동 부재(22a)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통과한 다음에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에 삽입된다.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직경은 위치 결정 홈(248a)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으므로, 위치 결정 홈(248a) 내에 단단히 끼워질 수 있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 또는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 사이의 거리는 위치 결정 홈(248a)의 길이보다 작으므로,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위치 결정 홈(248a)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1 상태(예컨대, 전개된 평판 상태)에 있을 때,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전개된다. 제 2 가동 부재(24a)와 제 1 가동 부재(22a)와 나란히 동일 평면에 있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의 제 1 단부에 당접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의 제 2 단부와 이격되며,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각 위치 결정 홈(248a)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2 상태(예컨대, 환형 상태)에 있을 때,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집결된다. 제 2 가동 부재(24a)와 제 1 가동 부재(22a)는 나란히 배열되어 협각을 형성하고,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경사진다.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의 제 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의 제 2 단부에 당접된다. 동일한 도리로,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가 서로 다른 상태에 있을 때,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와 유사한 위치 관계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회전 원심(O)을 가지며, 회전 원심(O)은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부품(30)의 내부에 있어서 윗쪽으로 위치하며,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기능성 부품(30)이 신장되거나 압축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회전 원심(O)은 기능성 부품(30)의 지지판(34)보다 높고,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a)의 내부에 있어서 윗쪽으로 위치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임의의 위치에 자체 위치 결정 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댐핑을 조정하기 위치 제한 부재(204a)를 더 포함한다. 위치 제한 부재(204a)는 위치 결정 부재(202a)에 이동 가능하게 슬리브되어 가동 부재(200)에 가해지는 힘을 제어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변형될 경우의 댐핑을 조정한다. 특히,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는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통과한 다음에 모두 위치 제한 부재(204a)와 로킹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제한 부재(204a)는 탄성 시트(205a)를 갖는 잠금 부재(즉 너트)(206a)이며, 나사산에 의해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말단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탄성 시트(205a)는 너트와 제 1 가동 부재(22a)의 뒤표면 사이에 탄성적으로 가압 끼워진다. 위치 제한 부재(204a)와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의 로킹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탄성 시트(205a)에 의해 제 1 가동 부재(22a)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회전할 때의 댐핑을 제어한다. 댐핑이 적절한 값으로 조정될 때,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회전하면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수요하는 더 많은 형상에 적응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와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의 바닥면은 모두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 1 가동 부재(22a)의 위치 결정 구멍(228a)의 평면과 배합하여 원주 방향에서 위치를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는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통과한 다음에, 그 평면은 위치 결정 구멍(228a)의 평면에 당접되어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가 위치 결정 구멍(228a) 내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제한 부재(204a)와 당접되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전부 위치 결정 구멍(228a)을 형성하는 목적은 탄성 시트(205a)의 마모를 감소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시트(272)는 직접 제 2 가동 부재(24)와 당접된다. 제 2 가동 부재(24)는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이동 및 회전하고, 제 1 가동 부재(22)에 대해 탄성 시트(272)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제 2 가동 부재(24)가 이동되고 회전될 때 탄성 시트(272)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표면과 마찰하게 된다. 장기간 사용하면, 마찰로 인해 탄성 시트(272)가 마모되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댐핑에 영향을 미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시트(205a)는 제 1 가동 부재(22a)와 접촉하고,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탄성 시트(205a)에 대하여 제 1 가동 부재(22a)의 위치가 고정되며, 즉 제 1 가동 부재(22a)와 탄성 시트(205a)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으로 인해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탄성 시트(205a)와 제 1 가동 부재(22a)의 표면에 긁힘이 생기지 않으며, 탄성 시트(205a)의 마모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는 평면에 의해 위치가 제한되고 위치 결정 구멍(228a) 내에서 회전할 수 없으므로,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에 씌워진 탄성 시트(205a)도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상술한 방식을 통해, 탄성 시트(205a)는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이동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제 1 가동 부재(22a)에 대해 회전할 수 도 없으며, 따라서 탄성 시트(205a)와 제 1 가동 부재(22a) 사이의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탄성 시트(205a)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2 가동 부재(24)의 회전 원심(O)이 지지판(34)보다 높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능성 부품(30)이 신장 또는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지지판(34)은 제 1 가동 부재(22) 및 제 2 가동 부재(24)의 탑부분에 직접 용접되므로, 조립 및 구성 요소의 치수 허용 오차로 인해 구성 요소가 원하는 위치에 있도록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허용 오차로 인해 지지판(34) 및 기능성 부품(30)이 여전히 신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이한 구성 및 조립 방법의 지지판(34a)을 사용하여 허용 오차에 대한 소정 공차 범위를 제공한다.
도 22 내지 도 23을 함께 참조하면, 기능성 부품(30a)은 지지판(34a) 및 지지판(34a) 위에 부착된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a)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a)의 구조는 전술한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의 구조와 동일하다. 지지판(34a)의 재질은 전술한 실시예의 지지판(34)의 재질과 동일하며, 금속판 또는 시트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34a)은 강성 재료이고 일정한 정도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지지판(34a)은 플레이트 본체(340a)와, 플레이트 본체(340a)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시트(342a)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340a)의 면적은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a)의 면적과 비슷하거나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a)의 면적보다 크며, 기능성 부품(30a)의 플렉서블 기능 스크린(32a)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플레이트 본체(340a)의 양측에 모두 복수개의 고정 시트(342a)가 형성된다. 각 고정 시트(342a)는 플레이트 본체(340a)로부터 일체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각 고정 시트(342a)는 플레이트 본체(340a)에 수직된다. 고정 시트(342a)에 고정 구멍(343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 시트(342a)는 연결 시트(344a)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340a)에 연결된다. 연결 시트(344a)는 만곡된 원호형 시트로서, 일단은 플레이트 본체(340a)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 시트(342a)에 연결된다. 연결 시트(344a)의 폭은 고정 시트(342a)의 폭보다 작다. 지지판(34a)에 있어서 연결 시트(344a)의 대향하는 양쪽에 각각 오목부(345a)가 형성된다. 2개의 오목부(345a)는 연결 시트(344a)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각 오목부(345a)의 폭은 고정 시트(342a)를 향하여 점차 커져 대략 삼각형을 형성한다. 각 오목부(345a) 플레이트 본체(340a)의 상하 표면을 관통한다. 오목 부(345a)의 작용은 고정 시트(342a)가 절곡될 때 플레이트 본체(340a)가 연결 시트(344a) 부근의 영역에서 변형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플레이트 본체(340a)의 형상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345a)의 깊이와 연결 시트(344a)의 너비의 비율은 1 내지 2 사이에 있다.
조립할 때, 지지판(34a)의 고정 시트(342a)의 각 고정 구멍(343a)은 플렉서블 조립체(20a)의 각 제 2 가동 부재(24a)의 고정 구멍(246a)과 정렬되고, 고정 부재(29a)(도 20에 도시된 나사)는 고정 시트(342a)의 고정 구멍(343a)을 통과한 다음에 제 2 가동 부재(24a)의 고정 구멍(246a)에 체결되어 고정 시트(342a)와 제 2 가동 부재(24a)가 로킹된다. 이런 경우에, 플레이트 본체(340a)의 바닥부는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되고, 고정 시트(342a)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측부에 고정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20a)가 변형될 때, 고정 시트(342a)는 제 2 가동 부재(24a)에 의해 회전 및 이동하여 플레이트 본체(340a)가 변형되며 필요한 다양한 형상이 형성된다. 고정 시트(342a)의 고정 구멍(343a)의 직경은 나사 직경보다 약간 크므로, 나사는 고정 구멍(343a) 내에서 작은 이동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나사의 이동 공간은 구성 요소 허용 오차 또는 조립 허용 오차를 상쇄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접으로 인한 신장 또는 압축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34a)의 고정 시트(342a)는 작은 폭을 갖는 연결 시트(344a)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340a)에 연결되기 때문에, 고정 시트(342a)는 연결 시트(344a)에 의해 상하 방향(즉, 수직 방향)에서 일정한 탄성 활동 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구성 요소 허용 오차 또는 조립 허용 오차를 추가로 상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판(34a)은 고정 시트(342a)에 의해 플렉서블 조립체(20a)에 고정되고, 즉 지지판(34a)의 플레이트 본체(340a)의 바닥면과 플렉서블 조립체(20a)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는 직접적인 고정 관계가 없다.
실질적으로, 지지판(34a)의 플레이트 본체(340a)의 바닥면과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가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보장한다면 구성 요소 허용 오차 또는 조립 허용 오차로 인한 문제의 일부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지지판(34a)의 고정 시트(342a)가 제 2 가동 부재(24a)의 측면에 철저히 고정되더라도(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 시트(342a)를 제 2 가동 부재(24a)의 측면에 결합한다), 플레이트 본체(340a)는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 및 제 2 가동 부재(24a) 탑면(244a)에 이동 가능하게 당접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본체(340a) 자체는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 및 제 2 가동 부재(24a) 탑면(244a)에 대해 약간 움직일 수 있으므로 구성 요소 허용 오차 또는 조립 허용 오차를 상쇄하며; 또한, 고정 시트(342a) 자체는 일정한 변형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구성 요소 허용 오차 또는 조립 허용 오차를 상쇄한다. 따라서, 고정 시트(342a)가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되더라도, 여전히 구성 요소 허용 오차 또는 조립 허용 오차를 감소하거나 또는 상쇄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길이는 모두 비교적 작고, 전술한 실시예처럼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을 연결하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내부에 더 많은 공간을 남겨 여러가지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을 동시에 연결하는 구성 요소가 없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구조 안정성이 부족하다.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걸치는 연결 로드(40a)를 더 장착한다. 연결 로드(40a)는 길다란 로드이며, 그 일단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a)의 고정 홈(226a)에 삽입되고, 타단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타측에 있어서의 바로 맞은 편의 제 1 가동 부재(22a)의 고정 홈(226a)에 삽입된다. 연결 로드(40a)의 형상은 고정 홈(226a)의 형상과 일치하며,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형성된 바닥면과 2개의 경사진 측면을 포함한다. 연결 로드(40a)의 바닥면은 고정 홈(226a)의 바닥면에 당접되고, 연결 로드(40a)의 측면은 고정 홈(226a)의 측면에 당접되므로, 연결 로드(40a)는 고정 홈(226a) 내에 제한되어 원주 방향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 로드(40a)의 연결에 의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좌우 양측의 제 1 가동 부재(22a)를 더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체 구조를 더 안정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로드(40a)는 용접에 의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고정 홈(226a)에 고정된다. 연결 로드(40a)는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부분에 장착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 내부는 더 많은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실시예와 비슷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도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이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은 대응되게 짧아지고;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만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는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이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가동 부재(24a)의 위치 결정 홈(248a)은 대응되게 짧아지고; 이와 같이 단지 하나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만 포함하는 구조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 및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72a)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 플렉서블 조립체(20a)의 각 측은 단지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일측에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a) 또는 제 2 가동 부재(24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심지어 플렉서블 조립체(20a)를 하우징(10a)의 중간에 배치할 수 도 있으며,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단지 하나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를 포함하더라도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형태 전환과 기능성 부품(30a)이 인장되지 않거나 또는 기능성 부품(30a)이 인장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4 내지 도 27을 함께 참조하면, 하우징(10a)은 복수의 연결부재(100a)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00a)는 형상 및 구조가 동일한 복수의 제 1 연결부재(12a)를 포함한다. 제 1 연결부재(12a)는 하우징(10a) 내부의 전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연결부재(12a)는 기판(120a)과, 기판(120a)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40a)을 포함한다. 각 측벽(140a)의 상부는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플랜지를 형성하고, 지지판(34)의 플레이트 본체(340a)와 당접되어 플레이트 본체(340a)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1 연결부재(12a)는 2개의 돌출된 덧문(160a)을 더 포함한다. 2개의 덧문(160a)은 서로 대향하는 양단의 측벽(140a)에 각각 인접하고, 틈새(162a)에 의해 인접한 측벽(140a)과 이격되어 있다. 각 덧문(160a)의 높이는 인접한 측벽(140a)의 높이와 비슷하다. 각 측벽(140a)에는 고정 구멍(146a)이 형성되고, 인접한 덧문(160a)에도 고정 구멍(166a)이 형성되며, 양자는 모두 제 2 가동 부재(24a)의 고정 구멍(246a)과 정렬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일측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연결 부재(12a)의 기판(120a)의 탑면에 배치되고 동일한 측에 있는 덧문(160a)에 가까우며;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타측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는 제 1 연결 부재(12a)의 기판(120a)의 탑면에 배치되고 동일한 측에 있는 덧문(160a)에 가깝다. 제 2 가동 부재(24a)의 외부 표면은 덧문(160a)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여 연결 부재(100a)에 의해 위치가 한정된다. 지지판(34a)의 고정 시트(342a)가 덧문(160a)과 인접한 측벽(140a) 사이의 틈새(162a)에 삽입되고, 고정 부재(29a)는 순차적으로 제 1 연결 부재(12a)의 측벽(140a)의 고정 구멍(146a), 고정 시트(342a)의 고정 구멍(343a), 덧문(160a)의 고정 구멍(166a)을 통과한 다음에 제 2 가동 부재(24a)의 고정 구멍(246a)에 체결되어 연결 부재(100a), 지지판(34a) 및 제 2 가동 부재(24a)가 고정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1 상태, 제 2 상태 및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의 다른 상태에 있을 때, 인접한 제 1 연결 부재(12a)는 항상 이격되어 있으며, 양자 사이에 슬롯(122a)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각 제 1 연결 부재(12a)는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이지만 항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2 연결 부재(18a)를 더 포함하고, 그 구조는 제 1 연결 부재(12a)와 비슷하며, 단지 폭이 더 클 뿐이다. 제 2 연결 부재(18a)의 각 부분의 명칭 및 서로의 위치 관계는 제 1 연결 부재(12a)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제 2 연결 부재(18a)의 기판(180a)의 중앙에 연결 단자(50a)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홈(18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단자(50a)는 외부 충전 장치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연결되어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충전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 2 연결 부재(18a)의 앞면 측벽(184a)에는 스위치 조립체(52a)를 수용하기 위한 스위치 구멍(18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18a)의 앞면 측벽(184a)에 있어서, 스위치 구멍(186a)의 좌우 양측에 2개의 관통 구멍(188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결 부재(18a)는 단지 뒷면 측벽(184a) 부근에만 덧문(185a)이 설치되고, 덧문(185a)과 뒷면 측벽(184a)은 틈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제 2 연결 부재(18a) 위에 배치된 제 3 가동 부재(26a)를 더 포함한다. 제 2 연결 부재(18a)의 전후 양측에 각각 하나의 제 3 가동 부재(26a)가 배치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측의 2개의 제 1 가동 부재(22a)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 가동 부재(26a)의 구조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구조와 동일하고 길이만 다를 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가동 부재(26a)의 길이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길이보다 길다. 제 3 가동 부재(26a)의 각 부분의 명칭, 위치 및 위치 관계는 제 2 가동 부재(24a)와 비슷하다. 제 3 가동 부재(26a)도 2개의 위치 결정 홈(268a)과 2개의 위치 결정 홈(268a) 사이의 고정 구멍(266a)을 포함한다. 제 3 가동 부재(26a)의 2개의 위치 결정 홈(268a)의 방향은 제 2 가동 부재(24a)의 2개의 위치 결정 홈(248a)의 방향과 동일하지만, 제 3 가동 부재(26a)의 2개의 위치 결정 홈(268a) 사이의 거리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2개의 위치 결정 홈(248a)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또한, 제 3 가동 부재(26a)의 탑면에는 고정 홈(264a)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가동 부재(26a)의 고정 홈(264a)의 폭은 제 1 가동 부재(22a)의 고정 홈(226a)의 폭보다 크다.
또한, 플렉시블 디바이스는 제 2 연결 부재(18a) 위에 설치된 연결대(42a)를 더 포함하며, 연결대(42a)의 크기는 다른 자리의 연결 로드(40a)의 크기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연결 부재(18a) 위에 있는 연결대(42a)의 폭과 길이는 모두 다른 자리의 연결 로드(40a)의 폭과 길이보다 크다. 연결대(42a)는 그 선단에 위치 결정 블록(420a)을 형성하고, 위치 결정 블록(420a)의 앞표면에 외부로 돌출된 2개의 돌기(422a)를 형성한다. 연결대(42a)의 후단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후방 측의 제 3 가동 부재(26a)의 고정 홈(266a)에 삽입되고, 그 선단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전방 측의 제 3 가동 부재(26a)의 고정 홈(266a)에 삽입되며, 위치 결정 블록(420a)은 제 3 가동 부재(26a)의 앞표면 및 제 2 연결 부재(18a)의 앞면 측벽(184a)의 뒷표면 사이에 당접되며, 돌기(422a)는 제 2 연결 부재(18a)의 관통 구멍(188a)에 삽입되어 전체 구조를 보강한다. 또한, 지지판(34a)은 제 2 연결 부재(18a)의 2개의 관통 구멍(188a)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작은 고정 시트(346a)를 형성하고, 각 고정 시트(346a)에는 관통 구멍(188a)과 정렬된 고정 구멍(347a)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작은 고정 시트(346a)는 제 2 연결 부재(18a)의 측벽(184a)과 위치 결정 블록(420a)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삽입된다. 또한, 위치 결정 블록(420a)의 돌기(422a)는 고정 시트(346a)의 고정 구멍(347a)에 삽입되어 지지판(34a)과 연결된다.
도 30 내지 도 31을 함께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기(60a), 배터리(70a), 통신 모듈 등 전자 부품은 모두 구부러짐에 내성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여, 이러한 전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10a)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단부 커버(19a)를 더 포함한다. 2개의 단부 커버(19a)의 주요 구조는 동일하고 대칭되게 배치된다. 각 단부 커버(19a)는 제 1 연결 부재(12a) 및 제 2 연결 부재(18a)와 같은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각 단부 커버(19a)는 기판(190a)과, 기판(190a)의 에지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측벽(192a)을 포함한다. 기판(190a)은 대체로 반원형을 이루고, 그 면적은 제 1 연결 부재(12a)의 기판(120a)의 면적 또는 제 2 연결 부재(18a)의 기판(180a)의 면적보다 크며, 또한 제 1 연결 부재(12a)의 기판(120a)의 면적과 제 2 연결 부재(18a)의 기판(180a)의 면적의 합보다 크다. 측벽(192a)의 탑면은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플랜지를 형성한다. 지지판(34)의 플레이트 본체(340a)는 동시에 측벽(192a)의 탑면 및 플랜지의 내측면에 당접된다. 단부 커버(19a)의 기판(190a)의 면적은 비교적 크므로, 비교적 큰 수용 공간을 제공하여 구부림에 저항성이 없는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70a)는 그 중 하나의 단부 커버(19a) 내에 수용되고, 제어기(60a), 통신 모듈 및 회로 기판과 같은 전자 부품은 다른 단부 커버(19a)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70a)와 제어기(60a), 통신 모듈 및 회로 기판은 와이어 또는 플렉서블 회로 기판으로 연결된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플렉서블 회로 기판을 통해 회로 기판에 연결되어, 제어기(60a), 통신 모듈 및 배터리(70a)와의 전기 접속을 실현한다. 각각 2개의 단부 커버(19a) 내에 있기 때문에, 배터리(70a) 및 제어기(60a)도 각각 플렉서블 조립체(20a)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에 있다. 배터리(70a)와 및 제어기(60a)는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변형됨에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양자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특히, 배터리(70a)와 제어기(60a) 사이의 거리는 플렉서블 조립체(20a)가 제 2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배터리(70a)와 다른 전자 부품을 각각 서로 분리된 2개의 단부 커버(19a) 내에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어,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더 얇아지고 가벼워진다. 배터리(70a)와 다른 전자 부품을 분리하는 디자인은 또한 배터리(70a)와 다른 전자 부품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의 상호 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70a)와 다른 전자 부품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특히, 오른쪽의 단부 커버(19a) 내에는 스피커(196a)를 수용하기 위한 사운드 챔버(194a)가 형성된다. 사운드 챔버(194a)는 복수개의 수직 격벽(193a)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스피커(196a)는 이들 격벽(193a) 사이에 끼워져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195a)로 사운드 챔버(194a)의 개구를 덮는다. 오른쪽의 단부 커버(19a)에 있어서, 사운드 챔버(194a)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스피커(196a)에서 나오는 소리가 밖으로 울리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조립체(20a)는 제 1 가동 부재(22a)/제 2 가동 부재(24a)를 단부 커버(19a)에 연결하기 위해 단부 커버(19a) 아래에 위치된 제 4 가동 부재(28a)를 더 포함한다. 제 4 가동 부재(28a)의 좌측 절반은 제 2 가동 부재(24a)의 좌측 절반과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며, 또한 위치 결정 홈(288a)을 갖는다. 제 4 가동 부재(28a)의 우측 절반은 직사각형을 이루고, 그 중간부에 관통 구멍(286a)이 형성되어, 위치 결정 부재(202a)는 관통 구멍(286a)을 통과하여 단부 커버(19a)의 측벽(192a)에 로킹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44a)은 모두 원호 표면이며, 제 2 가동 부재(24a)가 제 1 가동 부재(22a)를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에, 제 2 가동 부재(24a)와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 244a)은 함께 연속적인 원호 표면(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곡률은 연속적으로 분포됨)을 형성하므로, 플렉서블 디바이스 전체가 고리 모양을 이루게 한다. 또한, 탑면(224a, 244a)에 수직되는 평면에서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투영은 함께 연속적인 원호(탑면(224a, 244a)에 수직되는 평면에서의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투영의 곡률은 연속적으로 분포됨)를 형성하므로,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손목의 모양에 더 잘 적응된다.
특히,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1 상태에 있을 때, 지지판(34a)의 플레이트 본체(340a)의 바닥면은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탑부분에 당접되고, 지지판(34a)의 플레이트 본체(340a)의 바닥면은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탑부분 부근의 다른 위치와 분리되며; 제 2 상태에 있을 때,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탑부분 이외에, 지지판(34a)의 플레이트 본체(340a)의 바닥면은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탑부분 부근의 다른 위치와 당접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상태에서의 지지판(34a)과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접촉 면적은 제 1 상태에서의 지지판(34a)과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의 접촉 면적보다 크다. 물론, 실제로는 단일 가동 부재(200a)도 지지판(34a)의 플레이트 본체(340a)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본체(340a)는 제 1 가동 부재(22a) 및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24a, 244a)과 모두 분리 가능하게 접촉될 필요가 없으며, 단지 제 1 가동 부재(22a)의 탑면(224a) 또는 제 2 가동 부재(24a)의 탑면(244a)과 접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제 1 상태에 있을 때,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a)의 측면(222a)은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a)의 대향하는 측면(222a)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a)의 측면(242a)은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의 대향하는 측면(242a)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제 2 상태에 있을 때, 각 측의 제 1 가동 부재(22a)의 측면(222a)은 인접한 제 1 가동 부재(22a)의 대향하는 측면(222a)과 접촉하고, 각 측의 제 2 가동 부재(24a)의 측면(242a)은 인접한 제 2 가동 부재(24a)의 대향하는 측면(242a)과 접촉한다.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각 탄성 시트(205a)의 댐핑은 일치하게 조정되어 각 위치의 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2 가동 부재(24a)는 동일한 저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실제 사용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변형은 양손으로 양단의 단부 커버(19a)를 당김으로써 수행된다. 각 위치의 저항이 동일하기 때문에, 인가된 외력이 양단부로부터 중간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부 위치를 넘겨 그 다음의 제 1 가동 부재(22a)/제 2 가동 부재(24a)로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원하는 환형으로 변형될 수 없고, 일부 위치는 원래의 전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불완전한 변형을 감소 시하거나 방지하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2 가동 부재(24a)를 연결하는 위치 결정 부재(202a)를 제 1 가동 부재(22a)와 제 2 가동 부재(24a)의 회전축으로 설정하고, 각 회전축의 댐핑을 다르게 설치함으로써,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불완전한 변형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축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80)를 포함하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축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a)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70a)를 포함하며; 단지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 270a)만을 포함하는 경우(즉, 제 2 위치 결정 샤프트(262, 282, 272a)를 포함하지 않음), 회전축은 제 1 위치 결정 부재(26, 26a) 및 제 2 위치 결정 부재(28, 28a)의 제 1 위치 결정 샤프트(260, 280, 270a)를 포함한다.
회전축의 댐핑은 중간에서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2 연결 부재(18a)의 위치로부터 2개의 단부 커버(19a)의 위치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으며; 회전축의 댐핑은 중간에서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 2 연결 부재(18a)의 위치로부터 2개의 단부 커버(19a)의 위치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댐핑은 경사도로 변화되기 때문에, 양단으로부터 중간으로 전달되는 외력은 차례로 댐핑이 작은대로부터 커지는 순서로 제 1 가동 부재(22a)/제 2 가동 부재(24a)를 움직여 변형시키며, 어떤 곳은 변형되지 않는 상황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댐핑의 크기는 탄성 시트(502a)와 제 1 가동 부재(22a)의 당접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너트를 회전하여 탄성 시트(502a)의 느슨함과 조임의 정도를 개변시킴으로써, 부동한 정도로 제 1 가동 부재(22a)의 뒤표면에 당접되도록 한다.
물론, 탄성 시트(502a) 이외에, 본 발명은 다른 수단에 의해 상이한 댐핑 조정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직경이 다른 위치 결정 부재(202a)가 위치 결정 홈(248a)을 통과할 때, 직경이 클수록 위치 결정 부재(202a)는 위치 결정 홈(248a)의 제 1 원호면 및 제 2 원호면에 더욱 긴밀하게 당접됨으로써, 댐핑이 더 크고; 또는 위치 결정 홈(248a)을 통과하는 위치 결정 부재(202a)에 마찰 계수가 다른 고무 링을 슬리브하여, 고무 링의 마찰 계수가 높을수록 댐핑이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댐핑을 경사도로 점차 커지게 하거나 또는 점차 작아지게 하는 목적은,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환형으로 순조롭게 변형시키기 위한 것이다. 부동한 응용 상황에 따라,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실제로 부동한 상태로 변형되어 부동한 사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아치형 브리지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어, 기능성 부품(30a)의 내용을 관찰하거나 또는 기능성 부품(30a)을 조작하기 위해 탁상에 놓기 편리하다. 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산마루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어 전후로 관찰하거나 조작하기 쉽다. 따라서 다양한 상태로 배치하기 위해, 각 회전축의 댐핑도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일부 절곡 위치(코너 위치 또는 날카로운 코너 위치)의 댐핑은 제일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며, 변형될 때, 이러한 코너 위치 또는 날카로운 코너 위치는 제일 먼저 변형됨으로써 코너 또는 날카로운 코너를 형성하고; 평평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위치의 댐핑을 제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위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될 때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댐핑이 변화되는 것은 전술한 두 실시예에 모두 적용되며, 즉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술한 제 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기능성 부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1 가동 부재와, 상기 제 1 가동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가동 부재와,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 부재가 상기 제 1 가동 부재에 상대하여 이동할 경우에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변형되며,
    상기 제 1 가동 부재 및 상기 제 2 가동 부재는 모두 탑부분과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플레이트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본체는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되며,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일체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고정 시트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상기 플레이트 본체 내부로 깊이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폭은 상기 고정 시트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시트 및 상기 제 2 가동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시트를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부재는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고정 시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가동 부재에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가동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제 2 가동 부재를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또한 상기 제 1 연결 부재의 측벽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측벽에 인접한 덧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시트는 상기 덧문과 상기 측벽 사이에 끼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순차적으로 상기 측벽, 상기 고정 시트, 상기 덧문을 통과한 다음에 상기 제 2 가동 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동 부재의 측부에 위치 결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위치 결정 홈 및 상기 위치 결정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측부에 2개의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2개의 위치 결정 홈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연결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로드의 대향하는 양단은 각각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의 2개의 상기 제 1 가동 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부재의 탑부분에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로드는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3 가동 부재 및 연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동 부재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제 1 가동 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의 대향하는 양단은 각각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양측의 2개의 상기 제 3 가동 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가동 부재를 지지하는 제 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단부에 위치한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는 또한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측벽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기판의 폭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의 기판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동 부재 및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은 모두 탑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동 부재 및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탑부분은 각자의 탑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동 부재가 상기 제 1 가동 부재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제 1 상태와 제 2 상태 사이에서 변형되고, 제 1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플레이트 본체는 상기 제 1 가동 부재 및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탑면에 있어서의 상기 탑부분에 인접한 다른 영역과 분리되며; 제 2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플레이트 본체는 상기 제 1 가동 부재 및 상기 제 2 가동 부재의 탑면에 있어서의 상기 탑부분에 인접한 다른 영역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4A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20190028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6/090479 2016-07-19
PCT/CN2016/090479 WO2018014196A1 (zh) 2016-07-19 2016-07-19 柔性装置
CNPCT/CN2016/090477 2016-07-19
PCT/CN2016/090477 WO2018014194A1 (zh) 2016-07-19 2016-07-19 柔性装置
CNPCT/CN2016/090478 2016-07-19
PCT/CN2016/090478 WO2018014195A1 (zh) 2016-07-19 2016-07-19 柔性装置
PCT/CN2017/071876 WO2018014532A1 (zh) 2016-07-19 2017-01-20 柔性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535A true KR20190028535A (ko) 2019-03-18

Family

ID=6099171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26A KR102134546B1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4A KR20190028535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5A KR20190028792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7A KR20190031284A (ko) 2016-07-19 2017-02-13 지지 조립체
KR1020197004728A KR20190031285A (ko) 2016-07-19 2017-02-13 플렉서블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26A KR102134546B1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725A KR20190028792A (ko) 2016-07-19 2017-01-20 플렉서블 디바이스
KR1020197004727A KR20190031284A (ko) 2016-07-19 2017-02-13 지지 조립체
KR1020197004728A KR20190031285A (ko) 2016-07-19 2017-02-13 플렉서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20210030123A1 (ko)
EP (5) EP3488769B1 (ko)
JP (5) JP2019527103A (ko)
KR (5) KR102134546B1 (ko)
CN (5) CN108368965B (ko)
CA (5) CA3034150A1 (ko)
WO (5) WO2018014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803B2 (en) * 2016-04-29 2020-1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tructures
JP6847445B2 (ja) * 2017-02-15 2021-03-24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装置およびこの多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TWI612207B (zh) * 2017-04-25 2018-01-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鉸接組件及應用其之電子裝置
WO2019174156A1 (zh) * 2018-03-12 2019-09-19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弯折组件与柔性显示装置
CN110500492B (zh) * 2018-05-18 2020-12-08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挠性结构及具有挠性结构的组合体
CN110513389B (zh) * 2018-05-21 2021-06-15 兆利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挠性结构及具有挠性结构的组合
CN110547560B (zh) * 2018-05-31 2021-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及表带组件、穿戴设备
CN110547555B (zh) * 2018-05-31 2021-12-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及其穿戴设备
CN110557476A (zh) * 2018-05-31 2019-12-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
CN110547562B (zh) * 2018-05-31 2021-06-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及终端
CN110554737B (zh) * 2018-05-31 2023-01-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组件及其终端
CN110547553B (zh) * 2018-05-31 2021-10-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链节及其表带
CN110554767A (zh) * 2018-05-31 2019-12-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
CN110547561B (zh) * 2018-05-31 2021-08-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及终端
TWI675356B (zh) * 2018-09-06 2019-10-2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多連桿式鉸鏈及電子裝置
CN109256048A (zh) * 2018-11-08 2019-01-22 上海富驰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幕的折叠机构
CN109600466B (zh) * 2018-12-15 2020-07-0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20124580A1 (zh) * 2018-12-21 2020-06-2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金属片的固定方法及柔性显示设备
CN111536139B (zh) * 2019-03-04 2021-10-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链节
JP7268853B2 (ja) * 2019-05-17 2023-05-08 スタッフ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ヒンジ機構
CN110332217B (zh) * 2019-05-30 2021-10-15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同步机构、折叠显示装置及通讯设备
TWI696062B (zh) * 2019-06-25 2020-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捲折拉伸定位結構及使用其之電子裝置
CN110353370B (zh) * 2019-06-28 2021-05-1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和可穿戴设备
CN110448019A (zh) * 2019-06-28 2019-11-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和可穿戴设备
CN110338527B (zh) * 2019-06-28 2021-04-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连接结构和可穿戴设备
CN110432603B (zh) * 2019-06-28 2021-05-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节连接组件和可穿戴设备
CN209823807U (zh) * 2019-07-09 2019-12-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TWI688324B (zh) 2019-08-02 2020-03-11 宏碁股份有限公司 摺疊式電子裝置
CN112392853B (zh) * 2019-08-16 2022-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折叠式电子装置
US12001247B2 (en) * 2019-08-27 2024-06-04 Google Llc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0879671B (zh) * 2019-11-07 2021-09-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971724B (zh) * 2019-11-25 2021-06-04 昆山科森科技股份有限公司 外折屏手机用转轴机构
TWI751461B (zh) * 2019-12-16 2022-0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穿戴式生理訊號偵測裝置
CN111600979A (zh) * 2020-05-22 2020-08-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弯折显示屏的支撑骨架及可弯折显示屏
US11416039B2 (en) * 2020-06-08 2022-08-16 Fositek Corp. Complex moving/rotating pivot shaft device
CN113983067B (zh) * 2020-11-25 2024-06-04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内斜槽与半圆弧结合的u型内折转动机构
US11533813B1 (en) * 2021-07-21 2022-12-20 Rockwell Collins, Inc. Touchscreen display panel gripping mechanism and bezel
CN114046313B (zh) * 2021-11-25 2023-08-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铰链、显示面板及电子装置
CN115273662A (zh) * 2022-07-15 2022-11-01 深圳市联建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led显示屏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15835A (de) * 1970-04-24 1971-11-30 Gebr Hennig Gmbh Gliederbahn
JPS5235731Y2 (ko) * 1972-04-14 1977-08-15
EP0118774A1 (fr) * 1983-02-15 1984-09-19 Paul Houriet Bracelet articulé
JPS615092U (ja) * 1985-04-01 1986-01-13 ヤマハ株式会社 バンド
US4961126A (en) * 1988-07-04 1990-10-02 Casio Computer Co., Ltd. Structure of a device casing
JP2536491Y2 (ja) * 1990-05-14 1997-05-21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時計バンドの構造
IT227994Y1 (it) * 1992-02-28 1998-02-05 Morellato Spa Struttura di cinturino
ES2130812T3 (es) * 1995-05-15 1999-07-01 Braloba Ag Pulsera de reloj.
JP2003079410A (ja) * 2001-09-17 2003-03-18 Seiko Instruments Inc バンド
JP2003144209A (ja) * 2001-11-16 2003-05-20 Ricoh Elemex Corp 腕時計用バンド
JP4058494B2 (ja) * 2003-07-14 2008-03-12 株式会社クリエイション・ルネ マグネット付きバンド
JP4301881B2 (ja) * 2003-07-18 2009-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バンド
JP2005034292A (ja) * 2003-07-18 2005-02-10 Casio Comput Co Ltd バンド
US7056246B2 (en) * 2003-10-24 2006-06-06 Borgwarner Inc. Compliant chain guide with multiple joints
CN2660959Y (zh) * 2003-11-10 2004-12-08 詹世阳 易拆装式的手表表带单元
US20070117600A1 (en) * 2005-11-21 2007-05-24 Robertson William H Jr Flexible hin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057914B1 (fr) * 2007-11-06 2016-07-06 Rolex Sa Bracelet à maillons articulés
TWI378781B (en) * 2008-03-12 2012-12-11 Jung Tang Huang A belt integrated with stress sensing and output reaction
JP2010218102A (ja) * 2009-03-16 2010-09-30 Sony Corp 電子機器
US9372504B2 (en) * 2009-10-13 2016-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display apparatus and hinge device therefor
CH704963B1 (fr) * 2011-05-16 2015-08-14 Buccellati Watches Sa Bracelet pour une pièce d'horlogerie.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CN102297322B (zh) * 2011-07-03 2013-04-10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支架及应用其的显示装置和灯具
EP2546721B1 (en) *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EP2604140B1 (fr) * 2011-12-16 2014-08-13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Maillon anti-rotation
CN103161819B (zh) * 2012-02-27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铰链装置和包括其的电子设备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9013864B2 (en) * 2012-11-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TWM453753U (zh) * 2012-12-21 2013-05-21 First Dome Corp 多節式轉軸結構
KR101452871B1 (ko) *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445B1 (ko) * 2013-09-27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기기
KR102171118B1 (ko) * 2013-09-30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GB2520271A (en) * 2013-11-13 2015-05-20 Nokia Corp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CN203692696U (zh) * 2013-11-27 2014-07-09 深圳莱茵表业有限公司 双保险内工字架新型表带结构
WO2015093801A1 (ko) * 2013-12-16 2015-06-25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CN106030688B (zh) * 2013-12-24 2020-01-24 飞利斯有限公司 可挠性电子物品
TWI676880B (zh) * 2013-12-24 2019-11-1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動態可撓物品
EP3087812B9 (en) * 2013-12-24 2021-06-09 Flexterra, Inc. Support structures for an attachable, two-dimensional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244807B1 (ko) * 2014-03-07 2021-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1641B1 (ko) * 2014-05-13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975603B2 (en) *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CN105332995B (zh) * 2014-06-26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转轴及电子设备
CN204009613U (zh) * 2014-07-03 2014-12-10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可穿戴设备
US9612623B2 (en) 2014-09-16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720376B2 (en) * 2014-11-18 2017-08-01 Sony Corporation Band type electronic device and substrate arrangement method
US10449415B2 (en) * 2014-12-01 2019-10-22 Polar Electro Oy Wrist-worn physical activity measurement apparatus
JP6444509B2 (ja) * 2014-12-08 2018-12-26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保護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
CN204242150U (zh) * 2014-12-12 2015-04-0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10117346B2 (en) 2014-12-30 2018-10-30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Supporting structure having variable for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structure
JP6437658B2 (ja) * 2014-12-31 2018-12-12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電子デバイス
CN104433010B (zh) * 2014-12-31 2016-03-23 成都艾克尔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阿尔茨海默病患者的手环
CN104523280B (zh) * 2014-12-31 2017-01-18 成都云卫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孕妇用智能手环
KR102318656B1 (ko) * 2015-01-05 2021-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KR102341879B1 (ko) * 2015-01-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TWI557333B (zh) * 2015-02-02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以及可攜式電子裝置
US9733668B2 (en) * 2015-02-16 2017-08-15 Lg Electronics Inc. Wearable smart device
KR102381657B1 (ko) * 2015-05-27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힌지 모듈 장치
CN104851365B (zh) *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US9915981B2 (en) * 2015-06-17 2018-03-13 First Dome Corporation Hinge device applicable to soft display module
TWM510038U (zh) * 2015-06-17 2015-10-01 First Dome Corp 可應用在軟性顯示屏幕之樞鈕裝置
CN105065431B (zh) * 2015-07-20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柔性连接装置
CN205121415U (zh) * 2015-08-14 2016-03-30 联想(北京)有限公司 弯曲结构和电子设备
CN106468936A (zh) * 2015-08-14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弯曲结构和电子设备
CN204965020U (zh) * 2015-08-21 2016-01-1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5185231B (zh) * 2015-08-31 2017-07-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件支撑装置及柔性显示器
CN105124868A (zh) * 2015-09-09 2015-12-09 成都创想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驱蚊型智能儿童体温手环
CN205030631U (zh) * 2015-09-29 2016-02-17 四川爱迪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数据流量卡的智能手环
CN105394892A (zh) * 2015-09-30 2016-03-16 浙江理工大学 具有定时收缩功能的手环
DE202015106713U1 (de) * 2015-12-09 2016-01-08 Josef Luber Band mit integriertem Feuchttuch
CN205281987U (zh) * 2015-12-24 2016-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柔性装置和电子设备
CN105530340B (zh) * 2015-12-29 2018-01-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终端
CN105676962B (zh) * 2016-01-11 2020-06-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5700841B (zh) * 2016-01-11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4476A1 (en) 2018-01-25
US20210034108A1 (en) 2021-02-04
KR20190028792A (ko) 2019-03-19
WO2018014532A1 (zh) 2018-01-25
EP3489791A1 (en) 2019-05-29
CN108368965A (zh) 2018-08-03
JP2019522823A (ja) 2019-08-15
JP2019525087A (ja) 2019-09-05
CN108368965B (zh) 2020-12-18
EP3488769A1 (en) 2019-05-29
KR102134546B1 (ko) 2020-07-16
CA3034154A1 (en) 2018-01-25
CN108289532A (zh) 2018-07-17
US20190345748A1 (en) 2019-11-14
CA3034150A1 (en) 2018-01-25
JP2019523056A (ja) 2019-08-22
EP3488726A4 (en) 2019-07-31
US20210030122A1 (en) 2021-02-04
CA3034146A1 (en) 2018-01-25
KR20190028536A (ko) 2019-03-18
EP3489567A4 (en) 2019-08-07
EP3488769B1 (en) 2020-08-19
US20210093054A1 (en) 2021-04-01
WO2018014530A1 (zh) 2018-01-25
KR20190031284A (ko) 2019-03-25
JP2019529817A (ja) 2019-10-17
CN108369786B (zh) 2020-03-24
EP3489934A1 (en) 2019-05-29
WO2018014541A1 (zh) 2018-01-25
US20210030123A1 (en) 2021-02-04
CN108366739A (zh) 2018-08-03
EP3488769A4 (en) 2019-07-31
CA3034442A1 (en) 2018-01-25
CN108292150A (zh) 2018-07-17
WO2018014542A1 (zh) 2018-01-25
EP3489567B1 (en) 2020-07-22
CN108366739B (zh) 2021-08-17
JP2019527103A (ja) 2019-09-26
WO2018014531A1 (zh) 2018-01-25
CN108369786A (zh) 2018-08-03
US11459808B2 (en) 2022-10-04
EP3488726A1 (en) 2019-05-29
EP3489567A1 (en) 2019-05-29
KR20190031285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8535A (ko) 플렉서블 디바이스
US10545710B2 (en) Flexible device
US10345853B2 (en) Flexible device
US10416713B2 (en) Flexible device with casing including two end covers
US11516931B2 (en) Hinge modul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53932B2 (en) Hinge module including detent structur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ing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