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502A - 카메라 유닛 - Google Patents

카메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502A
KR20190018502A KR1020197001219A KR20197001219A KR20190018502A KR 20190018502 A KR20190018502 A KR 20190018502A KR 1020197001219 A KR1020197001219 A KR 1020197001219A KR 20197001219 A KR20197001219 A KR 20197001219A KR 20190018502 A KR20190018502 A KR 2019001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camera
bracket
camera body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305B1 (ko
Inventor
겐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9001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에 제 1 걸어맞춤수단(예를 들면,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구멍의 조합이나 걸어맞춤돌기와 돌조의 조합)에 의해서 조립되는 카메라 브래킷과, 카메라 브래킷을 제 2 걸어맞춤수단(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구멍의 조합)에 의해서 조립하여 카메라 본체를 장착 대상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걸어맞춤수단은 카메라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와, 카메라 브래킷에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요동 변위를 수반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다. 고정 브래킷은, 카메라 브래킷을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걸어맞춤편을 요동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유닛
본 발명은 카메라 유닛에 관한 것이다.
대상이 되는 카메라 유닛은, 예를 들면 차량 전방을 감시하거나 차량 후방의 사각을 운전석에서 확인하여 충돌을 회피하는 등, 세이프티 시스템을 채용함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도 11(a)(b)는 그 일례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메라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a)는 카메라 유닛(12)을 차량(10)의 프런트 글라스(14)에 장착한 사용상태이고, 도 11(b)는 카메라 본체(18)를 브래킷(20)에 장착하는 조작의 도중상태이다. 도 11(a)(b)의 카메라 유닛(12)은 카메라 본체(18)와, 카메라 본체(18)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며 카메라 본체를 장착 대상물(14)에 고정하는 브래킷(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본체(18)가 제 1 장착부인 갈고리 형상부(30)를 가지고 있고, 브래킷(20)이 카메라 본체의 갈고리 형상부(30)를 걸어서 카메라 본체(18)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부(50) 및 카메라 본체(18)를 고정 지지하는 제 2 지지부(52)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지지부(50)에 카메라 본체의 갈고리 형상부(30)를 걸은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를 선회시켜서 브래킷(20)에 고정 조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카메라 본체(18)를 브래킷(20)에 슬라이드시키는 일 없이 고정시킬 수 있어, 설계 자유도의 향상과 성스페이스화(省Space化)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제 2 지지부(52)가 판스프링(102)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판스프링(102)은 그 일단이 브래킷(20)에 고정되고, 타단이 통상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를 압압하는 압압위치와 카메라 본체로부터 이간되는 이간위치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브래킷의 제 1 지지부(50)에 카메라 본체의 갈고리 형상부(30)를 걸은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를 선회시켜서 위치결정한 후, 판스프링(102)을 통해서 카메라 본체(18)를 브래킷(2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브래킷(20)의 이간위치에 있어서, 판스프링(102)이 카메라 본체(18)로부터 더 이간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13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102)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15-20695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카메라 유닛에서는, 도 11(a)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8)가 브래킷(20)에 대해서, 제 1 지지부(50)에 대한 제 1 장착부인 갈고리 형상부(30)의 걸림력과, 제 2 지지부(52)인 판스프링(102)과 제 2 장착부(34)인 걸어맞춤 볼록부의 걸어맞춤력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과대한 진동이나 충돌에 의해서 제 2 장착부(34)가 판스프링(102)에 걸어맞춰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하중을 받으면, 스토퍼(130)에 관계없이 걸어맞춤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또, 최근에는 카메라 유닛으로서 단안(單眼) 카메라에 한하지 않고 2개 이상의 카메라를 탑재한 복안(複眼) 카메라도 사용되는 관계에서 중량이 증대하는 일도 있어, 브래킷에 대한 카메라 본체의 걸어맞춤력 내지 고정력을 높여서 불필요한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싶다는 요망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브래킷에 대한 카메라 본체의 걸어맞춤력 내지 고정력으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가 무겁더라도 혹은 과대한 진동을 받더라도 걸어맞춤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브래킷으로부터의 탈락의 우려를 해소 가능하게 한 카메라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분명히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제 1 걸어맞춤수단(예를 들면,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구멍 및/또는 걸어맞춤돌기와 돌조)에 의해서 조립되는 카메라 브래킷과, 상기 카메라 브래킷을 제 2 걸어맞춤수단(예를 들면,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구멍)에 의해서 조립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를 장착 대상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카메라 브래킷에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요동 변위를 수반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카메라 브래킷을 상기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걸어맞춤편을 요동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이하에 열거하는 형태와 같이 구체화하여도 좋다.
(가) 상기 걸어맞춤편은 상기 카메라 본체의 폭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에 비해서 성스페이스화하여 다소나마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 상기 걸어맞춤편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춰지는 피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 브래킷의 걸어맞춤편이 고정 브래킷의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2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구멍의 걸어맞춤력 내지 고정력이 보강되고, 또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돌기가 대응하는 걸어맞춤편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걸어맞춤편에 의한 걸어맞춤력 내지는 고정력도 보강되어, 결과적으로 고정 브래킷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이 장착된 카메라 본체, 및 카메라 브래킷에 대한 카메라 본체의 불필요한 빠짐이나 탈락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예를 들면, 상하방향)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예를 들면, 전후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고,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방향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전후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인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메라 본체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과 고정 브래킷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면, 걸어맞춤편의 요동을 저지하는 규제부를 형태예와 같이 고정 브래킷에 추가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 걸어맞춤편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와 고정 브래킷의 피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방향이 고정 브래킷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이면, 카메라 브래킷을 고정 브래킷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끼워맞춤부를 피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출 수 있어 양호한 작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라) 상기 끼워맞춤부 및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일방이 끼워맞춤돌기이고 타방이 오목부인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성스페이스화와 함께 걸어맞춤력 내지 고정력을 보강하기 쉬워지게 된다.
(마) 상기 제 2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형성되며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카메라 브래킷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구멍과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가 가능한 걸어맞춤돌기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간이한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바) 상기 카메라 브래킷은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조작편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편부가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해제용의 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2 걸어맞춤수단이 조작편부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티넌스시에 고정 브래킷에서 카메라 본체를 카메라 브래킷과 함께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 대상물에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에 대해서 카메라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특허문헌 1의 판스프링을 폐지하는 것 대신에 카메라 본체를 고정 브래킷에 장착하는 카메라 브래킷을 이용한다. 이 카메라 브래킷은 카메라 본체에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되고, 고정 브래킷에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된다. 또, 제 1 걸어맞춤수단은 카메라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와, 카메라 브래킷에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요동 변위를 수반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고정 브래킷은 카메라 브래킷을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편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걸어맞춤편을 요동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브래킷이 고정 브래킷에 걸어맞춰져서 고정되어 있는 한 카메라 본체와의 사이의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가 복안 카메라 등에 의해서 무거워진 경우에서도 카메라 본체가 과대한 진동이나 충격 등을 받더라도 빠지거나 탈락될 우려를 없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카메라 유닛을 도 2(a)의 A-A선을 따라서 단면 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카메라 유닛을 나타내며, 도 2(a)는 하면도, 도 2(b)는 모식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 3(b)는 도 2(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커버를 때어낸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이다.
도 6은 상기 카메라 유닛을 구성하고 있는 카메라 본체와 고정 브래킷과 카메라 브래킷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메라 본체와 고정 브래킷과 카메라 브래킷을 상하 역전한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이다.
도 8은 상기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브래킷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8(a) 및 도 8(b)는 양 부재를 조립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8(c)는 양 부재를 조립한 후의 상태(카메라 브래킷이 장착된 카메라 본체)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카메라 브래킷이 장착된 카메라 본체와 고정 브래킷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9(a)는 양 부재를 분리상태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 9(b)는 양 부재의 일방을 타방에 위치결정한 상태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 9(c)는 양 부재의 일방을 타방에 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c)에 있어서 단면으로 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메라 유닛을 나타내는 사용 모식도와 요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형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카메라 유닛의 구조를 분명하게 한 후, 조립 조작, 장착 대상물과의 관계, 커버와의 관계의 순서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조)
형태예의 카메라 유닛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와, 장착 대상물인 프런트 글라스(7)에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2)과, 카메라 본체(1)에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됨과 아울러 고정 브래킷(2)에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되는 카메라 브래킷(3)과, 고정 브래킷(2)에 제 3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되는 커버(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걸어맞춤수단은, 카메라 본체(1)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6, 17) 및 카메라 브래킷(3)에 요동 가능하게 형성된 걸어맞춤편(35, 37)을 가지고 있다. 제 2 걸어맞춤수단은, 카메라 브래킷(3)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33a) 및 고정 브래킷(2)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3)을 가지고 있다. 제 3 걸어맞춤수단은, 고정 브래킷(2)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7, 28) 및 커버(4)에 형성된 클립부(48, 49)를 가지고 있다. 또, 고정 브래킷(2)은, 카메라 브래킷(3)을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편(35, 37)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그 걸어맞춤편을 요동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26), 규제부에 상당하는 직립벽(22)(상세하게는 직립벽의 대응부)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걸어맞춤편(35)은 고정 브래킷(2)에 대한 끼워맞춤부인 끼워맞춤돌기(36)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고정 브래킷(2)은 끼워맞춤돌기(36)와 끼워맞춰지는 피끼워맞춤부인 오목부(25)를 가지고 있다. 이하, 이것들의 세부를 분명하게 한다.
카메라 본체(1)는, 도 6과 도 7 및 도 10(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10) 및 베이스(10)에 장착되는 유지체(12)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10)는 알루미늄 판금제로 되어 있고, 유지체(12)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로 되어 있다. 유지체(12)는 배면측에 형성된 외부기기 등에 접속되는 커넥터(11), 전측(13)보다 일단(一段) 높게 된 후측(14)에 있어서 좌우에 형성된 1쌍의 구멍부(15)와, 양 측면에 돌출형성된 전방의 걸어맞춤돌기(16) 및 후방의 걸어맞춤돌기(17) 등을 가지고 있다. 각 구멍부(15)에는 렌즈(18)가 장착된다. 걸어맞춤돌기(16) 및 걸어맞춤돌기(17)는 제 1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부이며, 유지체(12)의 양측에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와 유지체(12)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CPU, 메모리 등이 내장되어 있다. 부호 13a는 유지체(12)의 전측 중간에 형성된 볼록부이다. 부호 19는 유지체(12)를 베이스(10)에 고정하는 고정구이다.
고정 브래킷(2)은 카메라 브래킷(3)에 비해서 한층 큰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의 수지 성형체로 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직사각형으로 개구(21)됨과 아울러, 상면(20)이 카메라 브래킷(3)을 장착하는 유지면이 되고, 반대측의 하면이 장착 대상물인 프런트 글라스(7)에 대한 장착면이 된다. 또, 고정 브래킷(2)은, 상면(20)에 있어서 개구(21)를 사이에 둔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 직립벽(22, 22)과, 각 직립벽(22)의 후측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3)과, 각 직립벽(22)의 내면 대략 전후 중간에 형성된 안내 돌기(24)와, 각 직립벽(22)의 전측에 형성된 오목부(25) 및 각 오목부(25) 앞쪽에 형성된 규제부(26)와, 각 직립벽(22)의 외면 후측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7) 및 각 직립벽(22)의 전측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8)을 가지고 있다.
직립벽(22)끼리는 카메라 브래킷(3)이 수용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구멍(23)은 상기 제 2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각 직립벽(22)에 접속된 연장벽에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각 안내 돌기(24)는 상면(20)과 소정의 간극을 둔 높이로 형성되며, 카메라 브래킷(3)을 고정 브래킷(2)에 조립할 때에 카메라 브래킷(3)의 전후이동을 가이드 한다.
각 오목부(25)는 규제부(26) 근방에 형성된 래핑(rapping)구멍, 즉 상벽부의 하측을 끼워맞춤 공간으로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 규제부(26)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이들 사이의 거리 내지는 간격이 작아지는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27) 및 걸어맞춤구멍(28)은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구멍이며, 커버(4)의 대응부와 걸어맞춰지거나 빠지거나 하여 커버(4)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개소이다. 걸어맞춤구멍(27)은 직립벽(22)의 후방 측면에 연결된 가로벽에 개구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28)은 직립벽(22)의 전방에 접속된 대략 직사각형 벽부를 구성하는 가로벽에 개구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부호 20a, 20b는 래핑구멍이다.
이것에 대해서, 카메라 브래킷(3)은 고정 브래킷(2)의 직립벽(22)끼리의 사이에 수용되는 크기의 대략 U자 형상의 수지 성형체이며, 평판부(30)와, 평판부(30)의 양측에 세워진 측벽(31)과, 평판부(30)의 전후 대략 중간에 있어서 양 측벽(31)의 사이에 세워진 가로벽(32)을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30)의 후방 양측에는 조작편부(33)가 코너부(30a)와 간극(33c)을 두고서 측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각 조작편부(33)는 전측이 평판부(30)의 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판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연결부측의 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33a) 및 자유단측의 측면에 형성된 조작부(33b)를 가지고 있다. 또, 양 측벽(31)의 외면에는 고정 브래킷(2)의 안내 돌기(24)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안내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34)은 선단측을 개구한 상태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양 측벽(31)은, 전후 대략 중간 위치에 형성된 걸어맞춤편(37)과,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걸어맞춤편(35)과, 각 걸어맞춤편(35)의 선단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끼워맞춤돌기(36)를 가지고 있다. 각 걸어맞춤편(37)은 U자형 슬릿에 의해서 구획되어 상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방향 내지는 평판부의 판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편(37)의 내면에는 카메라 본체(1)의 걸어맞춤돌기(17)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조(37a)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양 걸어맞춤편(35)은 측벽(31)에 비해서 얇게 또한 가늘게 되어 있으며, 선단측으로 향해서 서로 간격을 좁히는 대략 八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걸어맞춤편(35)은, 측벽(31)의 전단면에 접속된 개소를 지지점으로 하여 가로방향 내지는 평판부의 판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편(35)에는 카메라 본체(1)의 걸어맞춤돌기(16)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양 끼워맞춤돌기(36)는 걸어맞춤편(35)보다도 가늘게 형성되며, 각 걸어맞춤편(35)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립 조작)
이어서, 이상의 카메라 본체(1), 카메라 브래킷(3), 고정 브래킷(2)의 조립 요령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카메라 본체(1)가 카메라 브래킷(3)에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져서 조립된다. 이 조작 요령은, 도 7 및 도 8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를 그 베이스(10) 측을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카메라 브래킷(3)의 양 측벽(31) 사이에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카메라 본체(1)와 카메라 브래킷(3)을 서로 접근 이동한다. 이때는 카메라 본체 양측의 걸어맞춤돌기(16)와 걸어맞춤돌기(17)를 카메라 브래킷의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35a)과 돌조(37a)에 일치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걸어맞춤돌기(16)는 대응하는 걸어맞춤편(35)에 맞닿은 후, 걸어맞춤편(35)의 요동 변위를 수반하면서 걸어맞춤구멍(35a)과 걸어맞춰진다. 동시에, 걸어맞춤돌기(17)는 대응하는 돌조(37a)에 맞닿은 후, 걸어맞춤편(37)의 요동 변위을 수반하면서 돌조(37a)를 타고 넘음으로써 돌조(37a)와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는 카메라 브래킷(3)에 대해서 제 1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돌기(16)와 걸어맞춤구멍(35a) 및 걸어맞춤돌기(17)와 돌조(37a)의 각 걸어맞춤에 의해서 유지된다.
그 다음, 이상과 같이 카메라 브래킷(3)이 장착된 카메라 본체(1){이하,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라 한다}는 고정 브래킷(2)에 대해서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져서 조립된다. 이 조작 요령은, 도 9(a) 내지 도 9(c)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1)를 도 9(a)와 같이 고정 브래킷(2)의 직립벽(22)과 직립벽(22) 사이에 배치한 후, 도 9(b)의 화살표 방향, 즉 고정 브래킷(2)의 전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는 안내 돌기(24)가 안내홈(34)으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1)가 안내 돌기(24)의 가이드 작용에 수반하여 부드럽게 전진 이동된다. 최종적으로는, 제 2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의 조작편부(33)의 각 걸어맞춤돌기(33a)가 탄성 변위를 수반하면서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3)에 걸어맞춰지고, 동시에 양측의 끼워맞춤돌기(36)가 대응하는 오목부(25)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환언하면,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1)는, 전방 양측이 오목부(25)에 대한 끼워맞춤돌기(36)의 끼워맞춤과, 후방 양측이 걸어맞춤구멍(23)에 대한 걸어맞춤돌기(33a)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조립된다.
또,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1)가 고정 브래킷(2)에 조립된 카메라 유닛 상태에 있어서, 도 4의 우측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5) 앞쪽에 존재하는 규제부(26)가 걸어맞춤편(35)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이 걸어맞춤편(35)을 요동 불가능하게 규제한다. 동시에, 도 4의 좌측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립벽(22)의 대응부가 돌조(37a)를 형성하고 있는 걸어맞춤편(37)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이 걸어맞춤편(37)을 요동 불가능하게 규제한다. 이 결과,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브래킷(3)이 고정 브래킷(2)에 걸어맞춰져서 고정되어 있는 한, 카메라 본체(1)와의 사이의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걸어맞춤, 즉 걸어맞춤돌기(16)와 걸어맞춤구멍(35a) 및 걸어맞춤돌기(17)와 돌조(37a)의 각 걸어맞춤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가 복안 카메라 등에 의해서 무거워진 경우, 카메라 본체(1)가 과대한 진동이나 충격 등을 받은 경우에서도 불필요하게 빠지거나 탈락하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착 대상물과의 관계)
이상의 고정 브래킷(2)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의 복수 개소(이 예에서는 4∼5개소)에 양면 접착 테이프(5)가 부착되며, 예를 들면 도 1의 프런트 글라스(7)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즉, 도 1에 있어서, 부호 6은 자동차 등의 차량이고, 부호 8은 차실 내의 천정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천정재(8)의 전측에는 룸밀러(9)가 천정재(8) 측에 고정된 지지부를 통해서 유지되어 있다. 이상의 카메라 유닛은, 프런트 글라스(7)에 대해서 룸밀러(9)의 지지부와 맞닿지 않도록 장착된다. 이 장착 요령은, 고정 브래킷(2)만을 프런트 글라스(7)에 장착한 후, 이 고정 브래킷(2)에 대해서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1)를 상기한 요령으로 조립하는 방법, 카메라 브래킷 장착 카메라 본체(1)를 고정 브래킷(2)에 조립한 상태에서 고정 브래킷(2)을 프런트 글라스(7)에 장착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장착 대상물로서는 프런트 글라스 이외의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때에는 고정 브래킷(2)이 용착이나 그 외의 고정도구에 의해서 장착된다.
(커버와의 관계)
이상의 카메라 유닛은, 사용상태에서의 외관을 볼품 좋게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커버(4)가 고정 브래킷(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커버(4)는, 도 1과 도 2(a),(b)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40)가 카메라 유닛 전체를 덮는 크기이고, 상측이 그 양측 부분(41, 41)에 대해서 좌우 중간 부분을 잘라낸 요부(凹部)(42)로 되어 있다. 이 요부(42)는 상기한 룸밀러(9)의 지지부를 피하기 위한 형상이다. 본체부(40)의 내측은, 좌우 중간에 있어서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43)과, 상측의 좌우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44)과, 양측에 있어서 상하 대략 중간에 돌출형성된 지지부(45) 및 지지부(45)의 돌출측에 있어서 상측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클립용 지지부(46)와, 하측 코너부에 돌출형성된 지지부(47) 및 지지부(47)의 돌출측에 있어서 상측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클립부(48)를 가지고 있다.
각 슬릿(43, 44)은 의장성을 향상시키거나 방열작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클립용 지지부(46)에는 도 3(a)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로 된 전용의 클립부(49)가 끼워져 유지된다. 그리고, 이상의 커버(4)는, 고정 브래킷(2)에 대해서 클립부(48)가 상기 걸어맞춤구멍(28)에 걸어맞춰지고, 클립부(49)가 상기 걸어맞춤구멍(27)에 걸어맞춰지는, 즉 제 3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장착 조작 요령은, 예를 들면 도 1의 1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4)를 도 1의 상기 카메라 유닛을 향해서 상방으로 이동(No1)한 후, 경사 상향으로 이동(No2)한다. 반대로, 이탈 조작 요령으로서는 커버(4)를 경사 하향으로 이동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빼내도록 한다.
(작동)
이상의 카메라 유닛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가) 상기 카메라 브래킷(3)은, 카메라 본체(1)에 제 1 걸어맞춤수단{걸어맞춤돌기(16)와 걸어맞춤구멍(35a) 및 걸어맞춤돌기(17)와 돌조(37a)}에 의해서 조립되고, 고정 브래킷(2)에 제 2 걸어맞춤수단{걸어맞춤돌기(33a)와 걸어맞춤구멍(23)}에 의해서 조립된다. 또, 제 1 걸어맞춤수단은 카메라 본체(1)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6, 17) 및 카메라 브래킷(3)에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16, 17)와 요동 변위를 수반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편(35, 37)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고정 브래킷(2)은 카메라 브래킷(3)을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편(35, 37)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걸어맞춤편(35, 37)을 요동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26)와 규제부에 상당하는 직립벽(22)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브래킷(3)이 고정 브래킷(2)에 걸어맞춰져서 고정되어 있는 한, 카메라 본체(1)와의 사이의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한 걸어맞춤, 즉 걸어맞춤돌기(16)와 걸어맞춤구멍(35a) 및 걸어맞춤돌기(17)와 돌조(37a)의 각 걸어맞춤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 결과,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가 복안 카메라 등에 의해서 무거워진 경우, 카메라 유닛이 과대한 진동이나 충격 등을 받더라도 불필요하게 빠지거나 탈락하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어,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브래킷(3)의 걸어맞춤편(35, 37)이 카메라 본체(1)의 폭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1)의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성에 비해서 성스페이스화하기 쉬워지게 되어 다소나마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편(35)은 고정 브래킷(2)의 오목부(피끼워맞춤부)(25)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돌기(끼워맞춤부)(36)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걸어맞춤편(35, 37)의 걸어맞춤력 내지 고정력을 보강하여 카메라 본체(1)의 불필요한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 이 구조에서는, 카메라 본체(1)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3)의 조립방향과 고정 브래킷(2)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3)의 조립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기 때문에, 걸어맞춤편(35, 37)의 요동을 저지하는 규제부(26)나 규제부에 상당하는 직립벽(22)를 형태예와 같이 고정 브래킷(2)에 간이하게 추가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 걸어맞춤편(35)에 형성된 끼워맞춤돌기(36)와 고정 브래킷(2)에 형성된 오목부(25)의 끼워맞춤방향이 고정 브래킷(2)에 대한 카메라 브래킷(3)의 조립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이기 때문에, 카메라 브래킷(3)을 고정 브래킷(2)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끼워맞춤돌기(36)를 오목부(25)에 끼워맞출 수 있어 양호한 작업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끼워맞춤돌기(36)를 오목부(25)에 끼워맞추는 구조를 추가하면, 형태예와 같이 제 2 걸어맞춤수단으로서는 성스페이스화와 함께 걸어맞춤력 내지 고정력을 높게 유지하기 쉬워지게 된다.
(라) 이 구조에서는, 제 2 걸어맞춤수단이 고정 브래킷(2)에 형성된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걸어맞춤구멍(23)과 카메라 브래킷(3)의 걸어맞춤돌기(33a)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이한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2 걸어맞춤수단이 조작편부(33)의 조작부(33b)를 이용하여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티넌스시에 고정 브래킷(2)에서 카메라 본체(1)를 카메라 브래킷(3)과 함께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점에서도 우수하다. 도 10(b)에 있어서, 고정 브래킷(2)에 대해서 카메라 본체(1)를 카메라 브래킷(3)과 함께 빼낼 경우에는,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편부(33)의 조작부(33b)를 도 10(b)의 화살표 방향{즉, 양측의 조작부(33b)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 조작하면, 각 걸어맞춤돌기(33a)가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3)으로부터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를 카메라 브래킷(3)과 함께 고정 브래킷(2)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으로 이동 조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된 요건을 제외하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 장착 대상물로서는 프런트 글라스(7)에 한하지 않고 차체 패널 등의 다른 부재나 각종 장치이어도 좋다. 고정 브래킷(2)은 양면 접착 테이프(5)로 장착 대상물에 고정하였으나, 고정수단으로서는 접착제, 용착, 볼트 등의 다른 걸림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2016년 7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6-142739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 - 카메라 본체(10은 베이스, 12는 유지체)
2 - 고정 브래킷(20은 장착판부, 21은 개구)
3 - 카메라 브래킷(31은 측벽)
4 - 커버(40은 본체부, 41은 양측 부분)
5 - 양면 접착 테이프 6 - 차량
7 - 프런트 글라스(장착 대상물) 8 - 천정재
9 - 룸밀러 15 - 장착구멍
16 - 걸어맞춤돌기(제 1 걸어맞춤수단)
17 - 걸어맞춤돌기(제 1 걸어맞춤수단)
18 - 카메라 22 - 직립벽(일부가 규제부)
23 - 걸어맞춤구멍(제 2 걸어맞춤수단) 25 - 오목부(피끼워맞춤부)
26 - 규제부
27 - 걸어맞춤구멍(제 3 걸어맞춤수단)
28 - 걸어맞춤구멍(제 3 걸어맞춤수단)
30 - 평판부 33 - 조작편부(33b는 조작부)
33a - 걸어맞춤돌기(제 2 걸어맞춤수단) 35 - 걸어맞춤편
35a - 걸어맞춤구멍(제 1 걸어맞춤수단)
36 - 끼워맞춤돌기(끼워맞춤부) 37 - 걸어맞춤편
37a - 돌조(제 1 걸어맞춤수단) 46 - 클립용 지지부
48 - 클립부(제 3 걸어맞춤수단)
49 - 클립부(제 3 걸어맞춤수단)

Claims (7)

  1. 카메라 본체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제 1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되는 카메라 브래킷과, 상기 카메라 브래킷을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하여 상기 카메라 본체를 장착 대상물에 장착 가능하게 하는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와, 상기 카메라 브래킷에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요동 변위를 수반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는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카메라 브래킷을 상기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요동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걸어맞춤편을 요동 불가능하게 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은 상기 카메라 본체의 폭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편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춰지는 피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과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고, 상기 끼워맞춤부와 상기 피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방향은 상기 고정 브래킷에 대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의 조립방향과 거의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 및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일방이 끼워맞춤돌기이고 타방이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어맞춤부는, 상기 고정 브래킷에 형성되며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걸어맞춤구멍과, 상기 카메라 브래킷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구멍과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가 가능한 걸어맞춤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브래킷은 폭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조작편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편부가 상기 걸어맞춤돌기와 걸어맞춤해제용의 조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KR1020197001219A 2016-07-20 2017-07-13 카메라 유닛 KR102143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2739 2016-07-20
JP2016142739A JP6494569B2 (ja) 2016-07-20 2016-07-20 カメラユニット
PCT/JP2017/025493 WO2018016406A1 (ja) 2016-07-20 2017-07-13 カメラ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502A true KR20190018502A (ko) 2019-02-22
KR102143305B1 KR102143305B1 (ko) 2020-08-10

Family

ID=6099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219A KR102143305B1 (ko) 2016-07-20 2017-07-13 카메라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4082B2 (ko)
EP (1) EP3489090B1 (ko)
JP (1) JP6494569B2 (ko)
KR (1) KR102143305B1 (ko)
CN (1) CN109328153B (ko)
WO (1) WO2018016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4326B (zh) * 2015-05-22 2020-08-14 株式会社利富高 车载用电子设备的盖
JP7067119B2 (ja) * 2018-02-28 2022-05-16 スズキ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のホルダ構造
JP7463664B2 (ja) * 2019-02-13 2024-04-09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内装構造
DE102019108882A1 (de) * 2019-04-04 2020-10-0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Halterungsbasisteil zur Befestigung wenigstens eines Kameragehäuses an einem Fahrzeugteil eines Fahrzeugs, Kameragehäuse und Kamerasystem
JP7118255B2 (ja) * 2019-05-08 202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カメラ
US11433827B2 (en) * 2019-06-07 2022-09-06 Volvo Car Corporation Bracket assembly for securing a safety equipment module to a windowpane of a vehicle
JP7308175B2 (ja) * 2019-07-25 2023-07-13 株式会社ニフコ 車載機器用ブラケット、及び車載機器の保持装置
JP7240639B2 (ja) * 2019-09-26 2023-03-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カメラカバー取付構造
KR102293002B1 (ko) * 2019-11-25 2021-08-24 엘에스일렉트릭 (주)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JP7344853B2 (ja) 2020-07-22 2023-09-14 株式会社ニフコ 撮像機用取付装置
JP7445563B2 (ja) 2020-09-02 2024-03-07 株式会社ニフコ 固定装置
JP7473504B2 (ja) 2021-05-31 2024-04-23 株式会社ニフコ デバイス取付構造
JP2023083694A (ja) * 2021-12-06 2023-06-16 株式会社ニフコ 機器取付構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250A (ja) * 2012-03-28 2013-10-07 Denso Corp 車載カメラ
JP5316562B2 (ja) * 2011-02-10 2013-10-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
JP2015020695A (ja) 2013-07-23 2015-0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ユニット
KR20160007431A (ko) * 2014-07-10 2016-01-20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KR20160026682A (ko) * 2014-08-29 2016-03-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60117215A (ko) * 2015-03-31 2016-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의 장치본체 및 장치본체에 교환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렌즈 어댑터
JP2016203952A (ja) * 2015-04-28 2016-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JP2019185021A (ja) * 2018-04-11 2019-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5991A1 (de) * 2006-08-02 2008-02-14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Kamera an einem Träger
DE102008050320A1 (de) * 2008-10-04 2010-04-08 Daimler Ag Trägervorrichtung zur Befestigung an einer Scheibe eines Kraftwagens
DE102012101781B4 (de) * 2012-03-02 2014-07-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alterahmen für Sensorvorrichtungen in Fahrzeugen
JP5946295B2 (ja) * 2012-03-08 2016-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ユニット
JP5853795B2 (ja) * 2012-03-19 2016-02-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
JP5935182B2 (ja) * 2012-05-25 2016-06-15 矢崎総業株式会社 係合構造
JP2015193366A (ja) * 2014-03-17 2015-11-05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車載カメラ用筐体の製造方法、車載カメラ用筐体、および車載カメラ
JP2016014564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ユニット
JP6482940B2 (ja) * 2015-04-28 2019-03-13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カメラの取付構造
CN205256216U (zh) * 2015-12-30 2016-05-25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摄像头的安装支架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6562B2 (ja) * 2011-02-10 2013-10-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カメラ
JP2013203250A (ja) * 2012-03-28 2013-10-07 Denso Corp 車載カメラ
JP2015020695A (ja) 2013-07-23 2015-0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メラユニット
KR20160007431A (ko) * 2014-07-10 2016-01-20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차량 탑재 카메라의 장착 구조
KR20160026682A (ko) * 2014-08-29 2016-03-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60117215A (ko) * 2015-03-31 2016-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의 장치본체 및 장치본체에 교환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렌즈 어댑터
JP2016203952A (ja) * 2015-04-28 2016-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メラ装置
JP2019185021A (ja) * 2018-04-11 2019-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28153B (zh) 2021-10-29
US20190308563A1 (en) 2019-10-10
US10604082B2 (en) 2020-03-31
WO2018016406A1 (ja) 2018-01-25
JP6494569B2 (ja) 2019-04-03
JP2018012406A (ja) 2018-01-25
EP3489090B1 (en) 2020-10-14
EP3489090A4 (en) 2020-01-08
EP3489090A1 (en) 2019-05-29
CN109328153A (zh) 2019-02-12
KR102143305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8502A (ko) 카메라 유닛
EP3287712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water heater
BR102015016572B1 (pt) Estrutura de fixação para câmera em veículo
WO2009084393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20131809A (ja) カメラ搭載構造
KR20140077201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홀더 및, 그에 대응하는 헤드라이트
US20170349101A1 (en) Vehicle door mirror
JP6775445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US11789345B2 (en) In-vehicle camera
JP2017043123A (ja) 車両用シートの離脱防止構造
KR200484198Y1 (ko) 조립식 선반
JP5353493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ンダーカバー構造
JP6113804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WO2020230687A1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6090663B2 (ja) 車両用バッテリーの取付構造
JP2010047116A (ja) 車両用ボードのヒンジ構造
JP2020199921A (ja) ヘッドランプ衝撃吸収構造
JP7516704B2 (ja) ヘルメットマウント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0149695A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パネルの肉抜き構造
US10704576B2 (en) Module attachment device
KR20080024689A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장착구조
JP2005194747A (ja) スライド蝶番
JP2021059269A (ja) フロントランプユニット取付構造
JP2014046101A (ja) レール体
KR101219743B1 (ko) 시트용 사이드커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