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777A - 신규 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유도체 - Google Patents

신규 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777A
KR20180120777A KR1020187030344A KR20187030344A KR20180120777A KR 20180120777 A KR20180120777 A KR 20180120777A KR 1020187030344 A KR1020187030344 A KR 1020187030344A KR 20187030344 A KR20187030344 A KR 20187030344A KR 20180120777 A KR20180120777 A KR 20180120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amino
salt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734B1 (ko
Inventor
테츠야 스기모토
토시히로 사카모토
후유키 야마모토
유 코바야카와
나오키 에가시라
코지 이치카와
타쿠미츠 마치다
Original Assignee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야쿠힌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0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억제 작용 및/또는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억제 작용에 따라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관여하는 질환, 특히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을 제공한다. 하기 식 (I)에서, R1은,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갖는 4 내지 6 원(member) 단환식(monocyclic)의 불포화 헤테로고리(heterocycle) 그룹이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amino group), 시아노기(cyano group), 니트로기(nitro group), C1-C6 알킬기(alkyl group), C1-C6 할로알킬기(haloalkyl group), C2-C6 알케닐기(alkenyl group) 또는 C2-C6 알키닐기(alkynyl group)이며;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게닐기, C2-C6 알키닐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동일하거나 나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 및 인접한 탄소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이며; R6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게닐기 또는 C2-C6 알키닐기이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이거나; 혹은 R7 및 R8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3-C10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X1 및 X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이며; X3은, 파선부(
Figure pct00046
)가 단일결합인 경우 N 또는 CH이며, 파선부가 이중결합인 경우 C이다. 다만, X1이 CR9인 경우, X2는 N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1]

Description

신규 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유도체
본 발명은 신규 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 [5H-pyrrolo[2,3-d]pyrimidin-6(7H)-one] 유도체,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억제제,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항종양제에 관한 것이다.
Akt 키나아제 (이하, "Akt"로 기재)는 일명 PKB라 불리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며, 세포의 생존, 증식, 대사 등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분자이다 (비특허문헌 1).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Akt의 비정상적인 활성화 및 Akt 유전자 자체의 변이가 알려져 있고, Akt가 암의 발생, 유지, 형질의 발현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강하게 시사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3).
현재까지 Akt를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억제제가 개발되어 그 항종양 효과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제는 비임상모델에서, 단제(single agent)로써 충분한 항종양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며, 낮은 농도에서의 강한 살세포 효과 또는 생체 내(in vivo) 강력한 항종양 효과 등을 얻지 못하고 있다(비특허문헌 4, 5). 또한 이러한 억제제에 대해 임상 효과가 확인되고 있지 않다.
게다가, 지금까지의 보고에서 Akt 억제제가 일정한 효과를 보이고 있는 암종은 유방암, 전립선암, 신경교종(glioma) 등의 세포나 모델에 한정되어 있어(비특허문헌 4, 6), 그 이외의 암종, 예를 들어 대장암 등에 강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예는 보이지 않는다.
40S 리보좀 단백질(ribosomal protein) S6을 인산화하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중 분자량이 90 kDa 것을 Rsk 키나아제 또는 p90Rsk 키나아제 (이하, "Rsk"로 기재)라고 칭한다. Rsk는 Ras-Raf-MAPK 신호 캐스케이드(signal cascade)의 하류에 존재하며 세포의 증식, 생존, 대사, 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중요한 신호 전달 분자이고, 암세포의 증식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7).
현재 Rsk에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일부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7, 8, 9). 그러나 그 항종양 효과는 제한적이다. 지금까지 비임상연구에서 Rsk 억제제가 일정한 효과를 보였던 암으로는 폐암, 유방암, 갑상선암, 전립선암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임상 개발 단계의 Rsk 억제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S6K 키나아제(이하, "S6K"로 기재)는 Rsk 함께 40S 리보좀 단백질 S6의 인산화 제어에 필수적인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이다. S6K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등의 성장인자 자극에 의해 PI3K/mTOR 신호 경로를 통해 활성화되어, 암의 다양한 성질(증식, 생존, 침투·전이 등)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분자를 인산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비특허문헌 10). 또한 종양에 있어서 S6K의 보편적인 고발현도 보고되어 있어 S6K 억제가 항종양 효과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어 왔다.
최근, S6K 선택적으로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보고 되었으나, 임상시험에서는 MTD 용량에서도 성공을 얻을 수 없었다(비특허문헌 11).
또한, Akt, Rsk, S6K 억제 활성을 갖는 피페라진(piperazine) 유도체로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지만, 모두 그 항종양 효과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암치료분야에서는 여전히, 단일 제제로써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발휘하며 넓은 범위의 암종에 대한 효과적인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억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 WO2005/117909 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 WO2010/056563 호 공보
[비특허문헌 1] J Cell Sci. 2005; 118 (Pt 24) : 5675-8. [비특허문헌 2] Curr Cancer Drug Targets. 2008; 8 (1) : 27-36. [비특허문헌 3] Nature. 2007; 448 (7152) : 439-44. [비특허문헌 4] Mol Cancer Ther. 2005; 4 (6) : 977-86. [비특허문헌 5] Mol Cancer Ther. 2010; 9 (7) : 1956-67. [비특허문헌 6] Cancer Res. 2008; 68 (7) : 2366-74. [비특허문헌 7] Biochem J. 2012; 441 (2) : 553-69. [비특허문헌 8] Mol Cancer Res. 2014; 12 (5) : 803-12. [비특허문헌 9] Mol Cancer Ther. 2016; 15 (11) : 2598-2608. [비특허문헌 10] Int J Biochem Cell Biol. 2011; 43 (1) : 47-59. [비특허문헌 11] Eur J Cancer. 2014; 50 (5) : 867-75.
본 발명의 과제는 신규 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 유도체,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억제제,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또는 항종양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을 기본 구조로 하고, 그 4번 위치에 피페라진 또는 피페리딘(piperidine)을 통해 6원의 질소 함유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가지며, 또한 그 불포화 헤테로고리에 특정 치환 그룹을 갖는 화합물군이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뛰어난 억제 활성 및/또는 암세포 증식 억제 작용을 갖는 것, 및/또는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관여하는 다양한 질환(특히 암)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다.
[1] 하기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식에서,
R1은,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갖는 4 내지 6 원(member) 단환식(monocyclic)의 불포화 헤테로고리(heterocycle) 그룹이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amino group), 시아노기(cyano group), 니트로기(nitro group), C1-C6 알킬기(alkyl group), C1-C6 할로알킬기(haloalkyl group), C2-C6 알케닐기(alkenyl group), C2-C6 알키닐기(alkynyl group)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cycloalkyl group)이며;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 및 인접한 탄소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며;
R6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거나; 혹은 R7 및 R8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3-C10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X1 및 X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며;
X3은, 파선부(
Figure pct00002
)가 단일결합인 경우 N 또는 CH이며, 파선부가 이중결합인 경우 C이다. 다만, X1 및 X2 중 적어도 하나는 N이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 R1이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alkoxy group)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 그룹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인,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R2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R6는 수소원자이며,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은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X2는 N 또는 CH인,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R1이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푸라닐기(furanyl group), 티에닐기(thienyl group), 티아졸릴기(thiazolyl group), 티아디아졸릴기(thiadiazolyl group), 옥사졸릴기(oxazolyl group), 옥사디아졸릴기(oxadiazolyl group), 피리디닐기(pyridinyl group) 또는 피라졸릴기(pyrazolyl group)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5]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 및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 또는 C1-C6 알콕시기를 갖는 피리디닐기,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 혹은 무치환의 푸라닐기 또는 티아졸릴기이고,
R2, R5 및 R6는 수소원자이며,
R3는 수소원자이며 또한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르고,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03
)가 단일결합이고 X3은 CH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7] R1은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혹은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인,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8] 화합물이 하기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4-6-(5-(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6-(5-(difluoromethyl)-1,3,4-oxadiazol-2-yl)-3-((2-(pyrrolidin-1-yl) ethyl) amino)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3-((2-(tert-butyl amino) ethyl) amino)-6-(5-(trifluoromethyl)-1,3,4-oxadiazol-2-yl)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및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3-((2-(tert-butyl amino) ethyl) amino)-6-(5-(difluoromethyl)-1,2,4-oxadiazol-3-yl)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kt 키나아제(kinase) 억제제.
[10]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Rsk 키나아제 억제제.
[11]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S6K 키나아제 억제제.
[12]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에 대한 억제제.
[13]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제.
[14]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t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5]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sk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6]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6K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7]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가지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8]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
[20-1] Akt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2] Rsk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3] S6K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0-5] Akt, Rsk 및 S6K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1-1] Akt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1-2] Rs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1-3]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1-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가지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1-5] Akt, Rsk 및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2]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3-1] Akt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3-2] Rsk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3-3] S6K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3-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3-5] Akt, Rsk 및 S6K를 억제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4-1] Akt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4-2] Rs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4-3]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4-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가지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4-5] Akt, Rsk 및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5]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6-1] Akt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6-2] Rsk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6-3] S6K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6-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6-5] Akt, Rsk 및 S6K를 억제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7-1] Akt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7-2] Rs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7-3]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7-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가지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사용 .
[27-5] Akt, Rsk 및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8]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사용.
[29-1] Akt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2] Rsk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3] S6K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5] Akt, Rsk 및 S6K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1] Akt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2] Rs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3]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4]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가지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5] Akt, Rsk 및 S6K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1]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16-101599호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규 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 유도체,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억제제,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또는 항종양제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우수한 억제 활성을 가지며, 또한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관여하는 질환, 예를 들어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을 기본 구조로 하여, 4번 위치에 피페라진 또는 피페리딘을 통해 6 원의 질소 함유 불포화 헤테로고리를 가지며, 또한 그 불포화 헤테로고리에 특정 치환 그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이며, 상기 어떤 선행기술문헌 등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치환 그룹"은, 예를 들면, 할로겐원자,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3-C10 시클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C1-C6 알콕시기, 아미노기,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기(dialkylamino group), 아실기(acyl group), 카르복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alkoxycarbonyl group), 카르바밀기(carbamoyl group),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10원의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 또는 4 내지 10원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 C6-C14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치환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그 개수는 전형적으로 1 내지 3개이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원자"는, 구체적으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 불소 원자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소 원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C1-C6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4의 분지상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C2-C6 알케닐기"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비닐기(vinyl group), 알릴기(allyl group), 메틸 비닐기, 프로페닐기(propenyl group), 부테닐기(butenyl group), 펜테닐기(pentenyl group), 헥세닐기(hexenyl group)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 그룹이다.
본 명세서에서 "C2-C6 알키닐기"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에티닐기(ethynyl group), 2-프로피닐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탄화수소 그룹이다.
본 명세서에서 "C1-C6 할로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 중 1개 내지 모든 수소원자가 상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모노플루오로 메틸기, 디플루오로 메틸기, 트리플루오로 메틸기, 1-플루오로 에틸기, 2-플루오로 에틸기, 1,1-디플루오로 에틸기, 1,2-디플루오로 에틸기, 2,2-디플루오로 에틸기, 2,2,2-트리플루오로 에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 중 1개 내지 3개의 수소원자가 상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된 그룹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 메틸기, 트리플루오로 메틸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C1-C6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이 결합된 옥시기(oxy group)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이 결합한 옥시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C3-C10 시클로알킬기"는, 탄소수 3 내지 10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시클로 프로필기, 시클로 부틸기, 시클로 펜틸기, 시클로 헥실기, 시클로 헵틸기, 데카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6의 단환식의 포화 탄화수소 그룹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 프로필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4 내지 10원의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은, 4 내지 10원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의 완전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아제티디닐기(azetidinyl), 피롤리딘일기(pyrrolidinyl group), 피페리디닐기(piperidinyl group), 피페라지닐기(piperazinyl group), 헥사 메틸렌 이미노기(hexamethylene imino group), 몰포리노기(morpholino group), 티오몰포리노기(thiomorpholino group), 호모피페라지닐기(Homopiperazinyl group), 테트라히드로프라닐기(tetrahydrofuranyl group), 테트라히드로피라닐기(tetrahydropyranyl group)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개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10원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의 완전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다.
본 명세서에서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은,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아제티디닐기, 피롤리딘일기, 피페리디닐기, 피페라지닐기, 헥사 메틸렌 이미노기, 몰포리노기, 티오몰포리노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5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딘일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4 내지 10원의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은, 4 내지 10원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의 완전 불포화 또는 부분 포화의 헤테로고리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완전 불포화의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으로서는, 피롤릴기(pyrrolyl group), 이미다졸릴기(imidazolyl group), 피라졸릴기(pyrazolyl group), 트리아졸릴기(triazolyl group), 테트라졸릴기(tetrazolyl group), 푸라닐기(furanyl group), 옥사졸릴기(oxazolyl group), 이속사졸릴기(isoxazolyl group), 옥사디아졸릴기, 티에닐기(thienyl group),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isothiazolyl group), 티아디아졸릴기(thiadiazolyl group), 피리디닐기(pyridinyl group), 피리미디닐기(pyrimidinyl group), 피라지닐기(pyrazinyl group), 피리다지닐기(pyridazinyl group), 인돌릴기(indolyl group), 이소인돌릴기, 인다졸릴기(indazolyl group), 벤조이미다졸릴기, 벤즈트리아졸릴기, 아자인돌릴기(azaindolyl group), 피로로 피리디닐기, 이미다 피리디닐기, 피라졸로 피리디닐기(pyrazolo pyridinyl group), 트리아졸로 피리디닐기, 피로로 피리미디닐기, 이미다조 피리미디닐기(imidazo pyrimidinyl group), 피라졸로 피리미디닐기, 벤조푸라닐기, 벤조 옥사졸릴기, 벤조 티오페닐기, 벤조 티아졸릴기, 퀴놀릴기(quinolyl group), 이소퀴놀릴기, 퀴나졸리닐기(quinazolinyl group), 퀴녹살릴(quinoxalyl group) 등을 들 수 있으며, 부분 포화의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으로서 인돌릴기, 메틸렌 디옥시페닐기(methylene dioxyphenyl group), 에틸렌 디옥시페닐기, 디히드로벤조푸라닐기(dihydrobenzofuranyl group)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10원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의 완전 불포화 또는 부분 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다.
본 명세서에서 "4 내지 6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은,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불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의 헤테로고리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완전 불포화의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으로서는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푸라닐기, 옥사졸릴기, 이속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에닐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 피리디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부분 불포화의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으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tetrahydrofuranyl group), 디히드로피라닐기(dihydropyranyl group), 디히드로티에닐기(dihydrothienyl group), 테트라히드로피리디닐기, 디히드로티오피라닐기(dihydrothiopyranyl group)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5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리디닐기, 피라졸릴기, 티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thiadiazolyl group), 푸라닐기, 티에닐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C6-C14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은, 탄소수 6 내지 14의 단환식 또는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나프틸기(naphthyl group), 테트라히드로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anthracenyl group) 등을 들 수 있다.
식 (I) 중, R1은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다.
R1에서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으로는 상술한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5 내지 6원의 단환식의 완전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리디닐기, 피라졸릴기, 티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푸라닐기, 티에닐기이다.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은 치환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치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치환 그룹의 개수는 1 내지 3개이다. 여기서 치환 그룹으로는, 상술한 “치환 그룹”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C1-C6 할로알킬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1-C6 할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 C6 알킬기, 및/또는 C1-C6 할로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1은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1은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푸라닐기, 티에닐기, 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피리디닐기, 또는 피라졸릴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1은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 치환 그룹을 갖는 피리디닐기, 피라졸릴기, 티아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또는 티아디아졸릴기, 또는 무치환의 푸라닐기, 티에닐기, 티아졸릴기, 또는 옥사졸릴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1은 할로겐원자 또는 C1-C6 알콕시기를 갖는 피리디닐기,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 또는 무치환의 푸라닐기, 또는 티아졸릴기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1은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또는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이다.
식 (I) 중,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hydroxyl Group),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다.
식 (I) 중,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 C3-C6 시클로알킬기다.
식 (I) 중, R3 및 R4로 표시되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로는, 상기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딘일기이다.
식 (I) 중, R4 및 R5로 표시되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로는, 상기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딘일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 및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C1- C6 알킬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3 및 R5는 수소원자며, 또한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이다.
식 (I) 중, R6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6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이다.
식 (I) 중,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거나; 혹은, R7 및 R8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C3-C10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R7은 메틸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식 (I) 중, X1 및 X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다. 그러나 X1 및 X2 중 적어도 하나는 N이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X1은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2는 N 또는 CH이다(단, X1 및 X2 적어도 하나는 N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X1은 N이고, X2는 CH이거나; 혹은 X1은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X2는 N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X1 및 X2는 서로 다른 N 또는 CH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X1은 N이고, X2는 CH이다.
식 (I) 중, X3은 파선부(
Figure pct00004
)가 단결합인 경우 N 또는 CH이고, 파선부가 이중결합인 경우 C이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X3는 파선부(
Figure pct00005
)가 단결합인 경우 CH이고, 파선부가 이중결합인 경우 C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파선부(
Figure pct00006
)가 단결합이며, X3는 CH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써는, 식 (I)에서, R1이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 및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3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또는 R3 및 R5는 수소원자며,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의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5는 수소원자며,
R6는 수소원자며,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른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07
)가 단결합이며, X3는 CH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이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푸라닐기, 티에닐기, 티아졸릴기, 티아디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피리디닐기 또는 피라졸릴기고,
R2 및 R6는 수소원자이며,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또는,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 및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3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5는 수소원자며,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5는 수소원자이며,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른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08
)가 단결합이고, X3는 CH인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I) 중, R1이 할로겐원자 또는 C1-C6 알콕시기를 갖는 피리디닐기,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 또는 무치환의 푸라닐기 또는 티아졸릴기고,
R2, R5 및 R6는 수소원자이며,
R3는 수소원자이며,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른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09
)는 단결합이고, X3는 CH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R1은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또는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고,
R2, R5 및 R6는 수소원자이며,
R3는 수소원자이고,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4 내지 6원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른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10
)는 단결합이고, X3는 CH인 화합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이 메틸기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또는 디플루오로 메틸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고,
R2, R5 및 R6는 수소원자이며,
R3는 수소원자이고, R4는 이소프로필기 또는 tert-부틸기이거나;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피롤리딘일기를 형성하고,
R7은 메틸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른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11
)는 단결합이고, X3은 CH인 화합물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화합물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로는 이하의 것이 예시될 수 있다:
4-(4-(5-((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 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5-((2-(tert-butyl amino) ethyl) amino)-5'-fluoro-[2,3'-bipyridine]-6-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1));
4-(4-(2'-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4'-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2'-fluoro-5-((2-(pyrrolidin-1-yl) ethyl) amino)-[2,4'-bipyridine]-6-yl) piperidine-1-yl)-5-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13));
4-(4-(6-(프랑-3-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6-(franc-3-yl)-3-((2-(pyrrolidin-1-yl) ethyl) amino) pyridin-2-yl) piperidine-1-yl)-5-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 14);
4-(4-(5-((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5'-메톡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5-((2-(isopropyl amino) ethyl) amino)-5'-methoxy-[2,3'-bipyridine]-6-yl) piperidine-1-yl)-5-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15));
5-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티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5-methyl-4-(4-(3-((2-(pyrrolidin-1-yl) ethyl) amino)-6-(thiazol-2-yl) pyridin-2-yl) piperidine-1-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24));
4-(5-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5'',6''-디히드로-[3,2':6',4''-테르피리딘]-1''(2''H)-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5-fluoro-5'-((2-(pyrrolidin-1-yl) ethyl) amino)-5'',6''-dihydro -[3,2':6',4''-terpyridine]-1''(2''H)-yl)-5-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26));
5-메틸-4-(4-(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2-((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 피리딘-3-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5-methyl-4-(4-(5-(1-methyl-3-(trifluoromethyl)-1H-pyrazol-5-yl)-2-((2-(pyrrolidin-1-yl) ethyl) amino) pyridin-3-yl) piperidine-1-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27));
4-(4-6-(5-(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6-(5-(difluoromethyl)-1,3,4-oxadiazol-2-yl)-3-((2-(pyrrolidin-1-yl) ethyl) amino)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30));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3-((2-(tert-butyl amino) ethyl) amino)-6-(5-(trifluoromethyl)-1,3,4-oxadiazol-2-yl)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32));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3-((2-(tert-butyl amino) ethyl) amino)-6-(5-(difluoromethyl)-1,2,4-oxadiazol-3-yl)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41)); 및
5,5-디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3-(트리플루오로메틸) -1,2,4-옥사디아졸-5-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5,5-dimethyl-4-(4-(3-((2-(pyrrolidin-1-yl) ethyl) amino)-6-(3-(trifluoromethyl)-1,2,4-oxadiazol-5-yl) pyridin-2-yl) piperidine-1-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화합물(44)).
더 바람직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4-(4-(5-((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 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
4-(4-(2'-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4'-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3));
4-(4-(6-(프랑-3-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 14);
4-(4-(5-((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5'-메톡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5));
4-(4-6-(5-(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0));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2));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1)); 및
5,5-디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3-(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5-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4)).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 화합물로는, 경구 흡수성 및 hERG 시험(심독성)의 관점에서 하기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4-(4-6-(5-(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0));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2)); 및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1)).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의 제조법 또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이러한 반응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공정에서 얻어지는 생성물은 공지된 분리 정제 방법, 예를 들면 농축, 감압 농축, 결정화, 용매 추출, 재침전,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분리 정제하거나 분리 정제하지 않고 다음 공정에 붙일 수 있다.
Figure pct00012
[식에서, R9은 수소원자, 또는 PG1을 나타낸다. R7 및 R8은 상기와 동일하다. X3a는 파선부(
Figure pct00013
)가 단결합인 경우 NPG2, NH 또는 CHR10이며, 파선부가 이중결합인 경우 CR10이다. R10은 B(OR11)2, 수산기, 할로겐기 또는 식(VI)
Figure pct00014
(식에서, X1, X2, R2는 상기와 동일하다. R1a는 수소원자, 할로겐기, 시아노기, CO2R11이거나, R1과 동일하다. R12는 아미노기, 2-히드록시에틸기 또는 식(VII)
Figure pct00015
(식에서, R3, R4, R5 및 R6는 상기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치환 그룹이다.)
으로 표시되는 치환 그룹이다. R11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저급 알코올 그룹이다(2개의 R11이 결합하는 산소원자와 같이 환을 형성할 수 있다(환상에는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다).). PG1 및 PG2는 보호 그룹을 나타낸다.]
(공정 1) 본 공정은 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 및 알킬화제로 처리하여 알킬화 반응에 의해 식 (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염기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isopropylethylamine), 피리딘(pyridine),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칼륨-tert-부틸레이트(potassium-tert-butylate), 나트륨-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메톡시드(sodium methoxide), 나트륨에톡시드(sodium ethoxide),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lithium hexamethyldisilazide),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lithium diisopropylamide), 부틸 리튬(butyllithium)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나트륨, 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가 예시된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알킬화제는 R7 및 R8을 도입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이오딘화 메틸(iodomethane), 아이오딘화 에틸(iodoethane) 1,2-디브로모에탄(1,2-dibromoethane), 1,3-디브로모프로판, 1,4-디브로모부탄 등이 예시된다.
본 공정은 촉매로 브로민화 구리(copper bromide) (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공정은 일반적으로 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염기를 0.5몰 내지 5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몰, 알킬화제를 0.5몰 내지 5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몰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tert-부틸 알코올, 톨루엔, 벤젠,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디옥산(dioxane), N,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N,N-dimethylacetamide), N-메틸피롤리디논(N-methylpyrrolidinone),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78℃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실온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1시간이다.
(공정 2) 본 공정은, 식 (I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SNAr 반응에 의해 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PG1 및 PG2는 관용되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PG1은 2,4,6-트리메톡시벤질 그룹, 2,4-디메톡시벤질 그룹 또는 4-메톡시벤질 그룹(4-methoxybenzyl group)이 바람직하고, PG2로는 tert-부톡시카르보닐 그룹(butoxycarbonyl group),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benzyloxycarbonyl group) 또는 4-메톡시벤질 그룹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은 일반적으로 식 (III)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5몰 내지 5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몰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염기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루티딘(lutidine), 콜리딘(collidine),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칼륨-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부틸 리튬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나트륨, 수소화나트륨,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예시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프로판올, tert-부틸 알코올, 톨루엔, 벤젠,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80℃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3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0시간이다.
Figure pct00016
[식에서, R1a, R2, R7, R8, R9, R12, X1, X2 및 X3은 상기와 동일하다. X3b는 파선부(
Figure pct00017
)가 단결합일 경우 NH 또는 CHR10a이고, 파선부가 이중결합일 경우 CR10a이다. R10a는 B(OR11)2 또는 할로겐 그룹이다. X4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 그룹을 나타낸다. R11은 상기와 동일하다.]
(공정 3) 본 공정은 식 (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크로스 커플링(cross-coupling) 반응에 의해 식 (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예를 들어, 공지의 스즈키 커플링 반응(Suzuki-Miyaura Cross Coupling), 네기시 반응(Negishi Cross Coupling), Buchwald 또는 Hartwig들에 의해 보고된 팔라듐 촉매(palladium catalyst) 존재 하에서 아릴 할라이드(aryl halide) 및 아민류로부터의 방향족 아민 합성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반응은, 예를 들면 팔라듐 촉매의 존재 하 또는 부재 하에서 적당한 용매 중에, 20℃ 내지 200℃의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사용할 수있는 팔라듐 촉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팔라듐, 염화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Dichlorobis(triphenylphosphine)palladium],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Dichloro[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palladium}, 디클로로비스 아세토니트릴 팔라듐(Dichlorobis acetonitrile palladium),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Tris(dibenzylideneacetone)dipalladium](0)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팔라듐 촉매의 양은 식 (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0.001 내지 1몰의 범위가 적당하다.
필요하다면 팔라듐의 리간드로,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1,1'-Bis(diphenylphosphino)ferrocene],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4,5-Bis(diphenylphosphino)-9,9-dimethylxanthene],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2-Dicyclohexylphosphino-2',4',6'-triisopropylbiphenyl),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페닐(2-Dicyclohexylphosphino-2',6'-dimethoxybiphenyl), 2-디-tert-부틸포스피노-3,4,5,6-테트라메틸-2’,4’,6’-트리-i-프로필비페닐[2-(Di-tert-butylphosphino)-3,4,5,6-tetramethyl-2',4',6'-triisopropylbipheny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반응 용매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류,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본 공정은 염기로서, 예를 들어 칼륨-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부틸 리튬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 반응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분 내지 24시간의 범위가 적당하다.
Figure pct00018
[식에서, R2, R12, X1 및 X2는 상기와 동일하다. R1b는 수소원자, 시아노기, CO2R11이거나, R1과 동일하다. R13은 PG2이거나, 또는 식 (XIII)
Figure pct00019
(식에서, R7, R8 및 R9는 상기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치환 그룹이다. PG2는 상기와 동일하다.]
(공정 4) 본 공정은 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환원하여, 식 (X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THF, 메탄올, 에탄올, DMF, DMA, NMP 등의 반응에 지장이 없는 적당한 용매 중, 수소, 포름산(formic acid), 포름산 암모늄, 시클로헥사디엔(cyclohexadiene) 등의 수소원을 이용하여 팔라듐/탄소, 수산화 팔라듐/탄소 등을 촉매로 할 수 있다. 본 공정은 일반적으로 식 (XI)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촉매를 0.01몰 내지 5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몰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실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시간 내지 24시간이다.
Figure pct00020
[식에서, R1b, R2, R12, R13, X1, X2 및 X3은 상기와 동일하다. R1C는 할로겐 그룹을 나타낸다. ]
(공정 5) 본 공정은 식 (X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할로겐화하여, 식 (X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N-클로로숙신이미드(N-Chlorosuccinimide), N-브로모숙신이미드(N-bromosuccinimide), N-요오드숙신이미드(N-iodosuccinimide), 브롬 및 요오드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용매로써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THF, 메탄올, 에탄올, DMF, DMA, NMP 등의 반응에 지장이 없는 적당한 용매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3일,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4시간이다.
(공정 6) 본 공정은 식 (XV)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시안화 나트륨(sodium cyanide), 시안화 칼륨 등의 시아노화 반응 또는 유기 붕소 시약, 유기 주석 시약, 유기 아연 시약 등과의 크로스 커플링 반응 또는 일산화탄소 삽입에 의한 에스테르 합성 반응에 의해 식 (X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반응은, 예를 들면 팔라듐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적당한 용매에서, 20℃ 내지 200℃의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팔라듐 촉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팔라듐, 염화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디클로로비스 아세토니트릴 팔라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0)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팔라듐 촉매의 양은 식 (X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0.001 ~ 1몰의 범위가 적당하다. 필요하다면 팔라듐의 리간드로써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페닐, 2-디-tert-부틸포스피노-3,4,5,6-테트라메틸-2',4',6'-트리-i-프로필비페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염기로서 예를 들어 칼륨-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부틸 리튬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반응 용매로는, 반응에 관여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1,4-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류,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사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 반응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분 내지 24시간의 범위가 적당하다.
Figure pct00021
[식에서, R2, R12, R13, X1, X2 및 X3은 상기와 동일하다. R14은 수소원자, 치환될 수 있는 알킬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시클로알킬기다.]
(공정 7) 본 공정은 식 (XVI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히드록시아민(hydroxyamine)의 반응에 의해 식 (X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히드록시아민은, 수용액으로써, 또는 염산 등의 염과 적절한 염기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나트륨, 인산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예시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tert-부틸 알코올, 톨루엔, 벤젠,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1,4-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1시간이다.
(공정 8) 본 공정은 식 (X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아실화 및 고리화 반응에 의해 식 (X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아실화제로는 R14를 갖는 카르복실산 무수물, 혼합산 무수물, 산 염화물(acid chloride), 또는 카르복실산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지는 고리화 반응은 상술한 아실화제를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혹은 트리페닐포스핀-4 브롬화 탄소(triphenylphosphine-carbon tetrabromide), 염화 포스포릴(phosphoryl chloride),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환상 트리머)[propylphosphonic acid anhydride(cyclic trimer)] 또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icyclohexylcarbodiimide) 등의 탈수축합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톨루엔, 벤젠,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1,4-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1시간이다.
(공정 9) 본 공정은 식 (XIX)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이성화 반응에 의해 식 (X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예를 들면, 톨루엔, 벤젠, 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테트라히드로푸란, 1,4-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의 반응 용매 중, 히드록시아민을 작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내지 1시간이다.
Figure pct00022
[식에서, R2, R11, R12, R14, X1 및 X2는 상기와 동일하다. X4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낸다. R15은 수소원자, 할로겐 그룹, 또는 식 (XXIV)
Figure pct00023
(식 중, X3 및 R13은 상기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치환 그룹이다.]
(공정 10) 본 공정은 식 (XX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히드라진(hydrazine)으로부터, 식 (XX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히드라진은 수화물 또는 염산 등의 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원료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화제로써 카보닐디이미다졸(carbonyldiimidazole), 염화 포스포릴,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환상 트리머) 또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등의 탈수축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톨루엔,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1,4- 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다.
(공정 11) 본 공정은 식 (XX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아실화 및 고리화 반응에 의해 식 (XX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공정 8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Figure pct00024
(식에서, R1a, R2, R3, R4, R5, R6, R15, X1 및 X2는 상기와 동일하다. R16는 할로겐 그룹 또는 토실 그룹(tosyl group), 메실 그룹(mesyl group),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 그룹(trifluoromethanesulfonate group) 등의 이탈 그룹을 나타낸다. R17은 할로겐 그룹을 나타낸다.)
(공정 12) 본 공정은 식 (XX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니트로기를 환원하여, 식 (XXV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팔라듐 탄소 등의 촉매를 이용한 수소 첨가 반응, 철, 아연 등의 금속 또는 염화주석(II)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반응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다.
(공정 13) 본 공정은 식 (XXV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데히드 또는 그 등가체와의 환원적 아민화 반응에 의해 식 (XXV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 사용 알데히드 또는 그 등가체로서, 1,4-디옥산-2,5-디올(1,4-Dioxane-2,3-diol), 2-히드록시아세트알데히드(2-Hydroxyacetaldehy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환원제로서는, 수소화붕소 나트륨, 시아노수소화붕소 나트륨(Sodium cyanoborohydride), 수소화트리아세톡시붕산 나트륨(Sodium Triacetoxyborohydr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반응에 지장이 없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톨루엔,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다.
(공정 14) 본 공정은 식 (XXV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산기를, ·BR> N 로겐 그룹, 메탄 설포닐 그룹 등의 이탈 그룹으로 변환하고 식 (XX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설포닐 에스테르화의 조건으로는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methanesulfonyl chloride), 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등과, 적당한 염기를 이용하는 조건을 예시할 수 있다. 할로겐화에 이용하는 조건으로는, 사염화탄소, 사브롬화탄소 또는 요오드 등의 할로겐화제와, 트리페닐포스핀 등을 사용하는 조건, 또는 전술한 설포닐 에스테르를 할로겐화 리튬 등으로 처리하고 할로겐 그룹으로 변환하는 조건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식 (XX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 (XXV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직접 환원적 아미노화 등에 의해 합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알데히드로서 2-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 또는 2-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 등을 이용하여 공정 13과 동일하게 합성할 수 있다.
(공정 15) 본 공정은 식 (XX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HNR3R4로 표시되는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식 (XX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HNR3R4로 표시되는 아민을 과량 사용하거나, 또는 적당한 염기의 존재하에 HNR3R4로 표시되는 아민을 작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본 공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지만,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톨루엔,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다.
(공정 16) 본 공정은 식 (XXX)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식 (XXXI)
Figure pct00025
(식에서, R3, R4, R5 및 R6는 상기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식 (XX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식 (XXXI)로 표시되는 아민을 과량 사용하거나, 식 (XXXI)로 표시되는 아민과 적당한 염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반응은 팔라듐 또는 구리 등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팔라듐 촉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팔라듐, 염화 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디클로로비스 아세토니트릴 팔라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0)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팔라듐 촉매의 양은 식 (XXX)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몰에 대하여 0.001 ~ 1몰의 범위가 적당하다.
필요하다면 팔라듐의 리간드로써,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페닐, 2-디-tert-부틸포스피노-3,4,5,6-테트라메틸-2',4',6'-트리-i-프로필비페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공정은, 염기로서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칼륨-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tert-부틸레이트, 나트륨 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나트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칼륨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등의 유기 염기, 또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등의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용매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톨루엔,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디논, 디메틸설폭사이드 등 또는 그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이다. 반응 시간은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이다.
(공정 17) 본 공정은 식 (XXX)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식 (XXXII)
Figure pct00026
(식에서, R5 및 R6는 상기와 동일하다. R18 보호 그룹, 또는 수소원자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식 (XXV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공정 16)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무정형(amorphous)일 수도 결정일 수도 있고, 결정형이 단일이어도 다형 혼합물이어도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포함된다. 결정은 공지의 결정화 방법을 적용하여 결정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용매화물(예를 들면, 수화물 등)일 수도 무용매화물일 수도 있고, 어떤 것도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포함된다. 동위 원소(예를 들면, 3H, 14C, 35S, 125I 등)로 표지된 화합물도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포함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그 프로드러그(prodrug)도 포함된다. 프로드러그는 생체 내 생리 조건 하에서 효소나 위산 등에 의한 반응에 의해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변환하는 화합물, 즉 효소적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에 변화하는 화합물, 위산 등에 의해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변화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또한 히로카와 서점 1990년 간행 "의약품의 개발" 제7권 분자 설계 163 페이지 내지 198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생리적 조건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Akt의 억제 활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Akt"은 인간이나 비인간 포유 동물의 Akt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 Akt이다. 또한 "Akt"에는 여러 아형(isoform)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Akt가 인간 Akt인 경우에는 Akt1, Akt2 및 Akt3이 포함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이러한 아형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아형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Akt1 또는 Akt2가 바람직하고, Akt1이 보다 바람직하다. Akt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 활성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Biochem.J.vol.385, pp399-408 (2005) 및 Cancer Res.vol.68, pp2366 -2374 (2008)).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Rsk의 억제 활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Rsk"은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 동물의 Rsk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인간 Rsk이다. 또한 "Rsk"에는 여러 아형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Rsk이 인간 Rsk인 경우에는 Rsk1(RPS6KA1), Rsk2(RPS6KA3), Rsk3(RPS6KA2), Rsk4(RPS6KA6)가 포함 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이러한 아형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종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 종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아형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Rsk1이 바람직하다. Rsk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 활성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Biol.Pharm.Bull.vol.39.pp547-555 (2016)).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S6K의 억제 활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S6K"은 인간이나 비인간 포유 동물의 S6K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S6K이다. 또한 "S6K"에는 여러 아형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S6K이 인간 S6K인 경우에는 S6K1(RPS6KB1), S6K2(RPS6KB2)가 포함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이러한 아형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아형에 대한 억제 활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S6K1이 바람직하다. S6K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 활성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J.Biol.Chem.vol.285.pp4587-4594 (2010)).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Akt의 억제 활성을 통해 Akt가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 유용하다. "Akt가 관여하는 질환"은 Akt의 기능을 결실, 억제 및/또는 저해함으로써 발병률 저하, 증상의 관해(abatement), 완화 및/또는 완치하는 질환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Rsk의 억제 활성에 의해 Rsk가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 유용하다. "Rsk가 관여하는 질환"은 Rsk 기능을 결실, 억제 및/또는 저해함으로써 발병률 저하, 증상의 관해, 완화 및/또는 완치하는 질환을 들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우수한 S6K의 억제 활성에 의해 S6K가 관여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 유용하다. "S6K가 관여하는 질환"은 S6K 기능을 결실, 억제 및/또는 저해함으로써 발병률 저하, 증상의 관해, 완화 및/또는 완치하는 질환을 들 수 있다.
"Akt가 관여하는 질환", "Rsk가 관여하는 질환"또는 "S6K가 관여하는 질환"으로써 예를 들면, 암, 자가 면역 질환, 매크로 글로불린 혈증(macroglobulinemia)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종양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두경부암, 소화기암(식도암, 위암, 십이지장암, 간암, 담도암 (담낭·담관암 등), 췌장암, 대장암(대장암, 결장암, 직장암 등) 등), 폐암(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중피종 등), 유방암, 생식기암(난소암, 자궁암(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등) 등), 비뇨기암(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등), 조혈기 종양(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등), 뼈·연부 종양, 피부암, 뇌종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종양은 바람직하게는 소화기암 및 생식기암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장암과 자궁내막암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를 동시에 억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kt 및 Rsk를 동시에 억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kt 및 S6K를 동시에 억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Rsk 및 S6K를 동시에 억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Akt, Rsk 및 S6K를 동시에 억제한다. 단일 화합물에서 Akt, Rsk 및 S6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를 동시에 억제함으로써 여러 화합물이 키나아제를 동시에 억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작용을 줄이고, 또한 상승적 치료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의약으로 사용시 필요에 따라 약학적 담체를 배합하고, 예방 또는 치료 목적에 따라 각종의 투여 형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경구제, 주사제, 좌제, 연고제, 흡입제, 첨부제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제가 선택된다. 이러한 투여 형태는 각각 당업자가 공지관용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제제 소재로서 관용의 각종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물질이 사용되고, 고형 제제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착색제, 액상제제의 용제, 용해보조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무통화제 등으로 배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감미료, 안정제 등의 제제 첨가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경구용 고형 제제를 조제하는 경우, 본 발명 화합물에 부형제, 필요에 따라,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착색제, 교미교취제 등을 첨가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피복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주사제를 제조하는 경우, 본 발명 화합물에 pH 조절제, 완충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국소 마취제 등을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피하, 근육 내 및 정맥 내용 주사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각 투여 단위 형태 중에 배합될 본 발명 화합물의 양은, 이를 적용해야하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혹은 그 제형 등에 따라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투여 단위 형태 당, 경구제에서는 약 0.05 ~ 1000 mg, 주사제는 약 0.01 ~ 500 mg, 좌제는 약 1 ~ 1000 m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여 형태를 갖는 약제의 하루 투여량은 환자의 증상, 체중,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달라 통틀어 결정할 수 없지만, 본 발명 화합물로서 일반적으로 성인(체중 50 kg) 하루 당 약 0.05 ~ 5000 mg, 바람직하게는 0.1 ~ 1000 mg 일 수 있고, 이것을 1일 1회 또는 2 ~ 3회 정도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내며,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종 시약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시판품을 사용했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SHOKO scientific 사제 또는 Biotage 사의 프리팩컬럼(pre-packed column)을 사용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AL400(400MHz; 일본 전자(JEOL)) 또는 Mercury400(400MHz; Varian) 형 분광계를 사용하여, 중용매(deuterated solvent) 중에 테트라메틸실란(tetramethylsilane)을 포함하는 경우는 내부 기준으로 테트라메틸실란을 사용하고, 그 외의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내부 기준으로 NMR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전체 δ값을 ppm으로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반응은 Biotage 사제 Initiator(등록 상표)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LCMS 스펙트럼은 Waters 사의 SQD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측정했다.
컬럼: Acquity BEH C18, 2.1 X 50 mm, 1.7 μm
MS 검출: ESI positive
UV 검출: 254 및 210 nm
컬럼 유속: 0.5 mL/분
이동상: 물/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
인젝션량: 1 μL
그래디언트
시간(분) 물 아세토니트릴
0 95 5
0.1 95 5
2.1 5 95
3.0 정지
약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s : singlet
d : doublet
t : triplet
q : quartet
dd : Double doublet
dt : Double triplet
ddd : Double double doublet
m : multiplet
br : 브로드
DMSO-D6 : 중 디메틸설폭사이드
CDCl3 : 중 클로로포름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 디메틸설폭사이드
DIPEA :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HATU : O-(7- 아자벤조트리아졸 -1-일)-N,N, N ', N'- 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O-(7-AZABENZOTRIAZOL-1-YL)-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NBS : N-브로모숙신이미드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참고예 1]
4-클로로-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chloro-7-(2,4-dimethoxy benz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참고예 (1))
4-클로로 -7-(2,4-디메톡시 벤질)-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6 g), THF (93.8 ml), tert-부톡시 칼륨(potassium tert-butoxide) (6 .32 g)의 혼합물에 요오드화 메틸 (3.51 ml)을 천천히 적하한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염화 암모늄 수용액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residue)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의 참고예 (1)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참고예 2]
4-클로로-7-(2,4-디메톡시 벤질)-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chloro-7-(2,4-dimethoxy benzyl)-5-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참고예 (2))
공정 1 : Pierik, Antonio J. ; Ciceri, Daniele; Broeker, Gerd; Edwards, Christopher H. ; McFarlane, William; Winter, Joachim; Buckel, Wolfgang; Golding, Bernard T. ;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4 (47), 14039-14048; 2002. 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한 프로판 -1,1,2- 트리카본산 에틸(propane-1,1,2-tricarboxylic acid triethyl) (3.0g), 메탄올 (7.0ml), 나트륨 메톡시드(25% 메탄올 용액, 0.050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후, 나트륨 메톡시드(25% 메탄올 용액 5.3g), 메탄올(2 ml),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formamidine Acetate) (1.3 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염화수소 (5-10%, 메탄올 용액, 19 ml)을 가하고 0℃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정한 후 감압 건조하여 2-(4,6-디히드록시 피리미딘-5-일) 프로피온산 메틸 (참고예 (2-1))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2: 참고예 (2-1) (1.2 g), 옥시 염화인(phosphorus oxychloride) (3.5 ml), N,N-디에틸아닐린 (4.0 ml)의 혼합물을 1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톨루엔(40 ml)으로 희석하고 얼음물에 부었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4,6-디클로로피리미딘-5-일) 프로피온산 메틸 (참고예 (2-2))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공정 3 : 참고예 (2-2) (0.50 g), 2,4-디메톡시 벤질아민 (0.35 ml), DIPEA (0.44 ml), DMF (5 ml)의 혼합물을 60℃에서 2.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1N 염산,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톨루엔 (10 ml)에 용해하고, p-톨루엔설폰산 수화물 (20 mg)을 가하여 2.5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중조수(탄산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상기 표제의 참고예 (2)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참고예 3]
7-(2,4-디메톡시 벤질)-5-메틸-4-(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5, 6-디히드로피리딘-1 (2H)-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7-(2,4-dimethoxy benzyl)-5-methyl-4-(4-(4,4,5,5-tetramethyl-1,3,2-dioxaborolane-2-yl)-5,6-dihydropyridine-1(2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참고예 (3))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5,6-디히드로피리딘-1(2H)-카르복실산 tert-부틸 (1.0 g)을 디클로로 메탄 (2.0 ml), TFA (2.0 ml)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여 건조시켜 얻은 잔사에 참고예 (2) (1.1 g), DMSO (7.0 ml) 및, DIPEA (2.3 ml)을 넣고 마이크로파 조사 하 1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의 참고예 (3)을 백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참고예 4]
7-(2,4-디메톡시 벤질)-4-(4-요오드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7-(2,4-dimethoxy benzyl)-4-(4-iodo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참고예 (4))
공정 1 : 참고예 (1) (6.22 g), DIPEA (6.23 ml), 4-히드록시피페리딘 (1.99 g) 및 DMSO (24 m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 하 1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2,4-디메톡시 벤질)-4-(4-히드록시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 (참조 예 (4-1))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2: 참고예 (4-1) (7.14 g), THF (89.4 ml)의 혼합물에 0℃에서 요오드 (6.81 g), 트리페닐포스핀 (7.04 g), 이미다졸 (1.83 g)을 첨가하여 실온까지 상승,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티오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메탄올 (80 ml)로 재결정했다. 수득 된 고체를 여과, 건조하여 상기 표제의 참고예 (4)을 백색 분말로 얻었다.
[참고예 5]
5,5-디메틸-4-(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5,6-디히드로피리딘-1 (2H)-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5,5-dimethyl-4-(4-(4,4,5,5-tetramethyl-1,3,2-dioxa rag orchid-2-yl)-5,6-dihydropyridine-1(2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참고예 (5))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2,3,6- 테트라히드로 피리딘 -1- 카르복실산 tert-부틸 (2.25 g) 염화수소 (1,4-디옥산 용액, 4 M, 6 ml), 클로로포름 (3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고, 얻어진 잔사에 Shepherd, Timothy Alan; Dally, Robert Dean; Joseph, Sajan; US20100120801A1. 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한 4-클로로-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1.31 g), DIPEA (4.62 ml) 및 DMSO (10 m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40℃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의 참고예 (5)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4-(4-(5-((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 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
공정 1: 3-아미노-2- 브로모피리딘 4.0 g,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2,3,6-테트라히드로 피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9.0 g),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착체 (1.9 g), 1,4-디옥산 (25 ml)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15 ml)의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물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아미노-5',6'-디히드로-[2,4'-비피리딘]-1'(2'H)-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1-1))을 갈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1-1) (9.0 g), 에틸아세테이트 (80 ml), 10% 팔라듐 탄소 (2.5 g)의 혼합물을 수소 환경 하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 치환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4-(3-아미노피리딘-2-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1-2))을 갈색 비정질로서 얻었다.
공정 3: 화합물(1-2) (7.5 g), THF (60 ml) 및 글리콜 알데하이드 2량체 (4.2 g)의 혼합물에 교반하 0.5 M 시아노수소화붕소 나트륨 -0.25 M 염화 아연 메탄올 용액 (30 ml)을 추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28% 암모니아 수용액을 넣고 교반한 후, 유기 용매를 감압 증류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3-((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1- 3))을 담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단계 4 : 화합물(1-3) (5.5 g) 및, THF (100 ml)의 혼합물에 NBS (3.2 g)을 가하여 실온에서 90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포화 중조수 및 포화 아황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6-브로모-3-((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1-4))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공정 5: 화합물(1-4) (6.9 g)을 TFA (20 ml)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 잔사에 암모니아 메탄올 용액 (7 M, 10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식염수를 넣고 클로로포름-에탄올 혼합 용매(4:1)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2-((6-브로모-2-(피페리딘-4-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탄올 (화합물(1-5))을 갈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6: 화합물(1-5) (5.1 g), 참고예 (1) (6.6 g), DMSO (34 ml), DIPEA (30 ml)의 혼합물을 1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6-브로모-3-((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6))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공정 7: 화합물(1-6) (11 g), 트리페닐포스핀 (6.1 g), THF (90 ml)의 혼합물에, 빙냉하 사브롬화탄소 (7.8 g)를 추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포화 중조수를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불용물을 여별한 후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클로로포름 (8 ml), 메탄올 (110 ml)의 혼합 용매로 재결정했다. 수득된 고체를 여과 건조하여 4-(4-(6-브로모-3-((2-브로모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7-(2,4-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7))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8: 화합물(1-7) (0.85 g), THF (3 ml), tert-부틸 아민 (0.66 ml)의 혼합물을 75℃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6-브로모-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 -8))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9: 화합물(1-8) (0.15 g),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0.050 g), 1,4-디옥산 (3.5 ml),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0.40 ml),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2-(2'-아미노-1,1'-비페닐)팔라듐(II) (0.020 g)의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냉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했다. 혼합물을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 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불용물을 여과한 후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5-((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2,3'-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9))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10: 화합물(1-9) (0.050 g), 아니솔(anisole) (0.2 ml), TFA (2 m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하 1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의 화합물(1)을 얻었다.
4-(4-(6'-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 -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2-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의 화합물(2)를 얻었다.
4-(4-(6-(1,3-디메틸-1H-피라졸-5-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1,3-디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 피라졸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의 화합물(3)을 얻었다.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1-플루오로 메틸)-1H-피라졸-4-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
실시예 1에 따라,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1-(디플루오로메틸)-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 피라졸을 이용하고, 상기 표제의 화합물(4)를 얻었다.
4-(4-(5',6'-디플루오로-5-((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5))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사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2,3-디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5)를 얻었다.
4-(4-(6-(2,4-디메틸 티아졸 -5-일)-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6))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사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2,4-디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3-티아졸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6)을 얻었다.
4-(4-(5'-메톡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7))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메톡시피리딘-5-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7)을 얻었다.
4-(4-(5'-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8))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8)을 얻었다.
4-(4-(6-(3-클로로-1-메틸-1H-피라졸-5-일)-3-((2-(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9))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디메틸 아민 (2 M, THF 용액)를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클로로-1-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 피라졸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9)를 얻었다.
4-(4-(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6-(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0))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사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 피라졸-5-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의 화합물(10)을 얻었다.
4-(4-(6-(3-클로로-1-메틸-1H-피라졸-5-일)-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1))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사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클로로-1-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 피라졸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1)을 얻었다.
4-(4-(5-((2-(에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BR> 향 | [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2))
실시예 1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에틸 아민 (2 M, THF 용액)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2)을 얻었다.
4-(4-(2'-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4'-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3))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2-플루오로피리딘-4-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3)을 얻었다.
4-(4-(6-(프랑-3-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 14)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 프랑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4)을 얻었다.
4-(4-(5-((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5'-메톡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5))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사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메톡시피리딘-5-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5)을 얻었다.
4-(4-(5'-플루오로-2'-메톡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4'-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6))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5-플루오로-2-메톡시피리딘-4-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6)을 얻었다.
4-(4-(2'-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7))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2-플루오로피리딘-3-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7)을 얻었다.
5-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티오펜-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8))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티에닐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8)을 얻었다.
4-(4-(5'-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19))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19)을 얻었다.
5-메틸-4-(4-(6-(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0))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 피라졸-5-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0)을 얻었다.
4-(4-(5-((2-(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메톡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1))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디메틸 아민 (2 M, THF 용액)를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메톡시피리딘-5-보론산 피나콜 에스테르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1)을 얻었다.
5-메틸-4-(4-(2'-메틸-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2))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2-메틸피리딘-3-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2)을 얻었다.
4-(4-(3-((2-(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티오펜-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3))
실시예 1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디메틸 아민 (2 M, THF 용액)를 이용하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 대신 3-티에닐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3)을 얻었다.
5-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티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4))
공정 1: 실시예 1의 공정 1-8에 따라, 참고예 (1) 대신에 참고예 (2)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4-(4-(6-브로모-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7-(2,4-디메톡시 벤질)-5-메틸-5H-피로로[2 3-d] 피리미딘-6(7H)-온 (화합물(24-1))을 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24-1) (0.044 g), 2-(트리부틸스타닐)티아졸 (0.032 ml), 염화 비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II) (4.7 mg), 1,4-디옥산 (1.5 m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하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농축한 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2,4-디메톡시 벤질)-5-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티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4-2))을 담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3: 실시예 1의 공정 10에 따라 화합물(1-9) 대신에 화합물(24-2)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4)을 얻었다.
5-메틸-4-(4-(6-(옥사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5))
실시예 24에 따라, 2-(트리부틸스타닐)티아졸 대신 2-(트리메틸스타닐) 옥사졸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5)을 얻었다.
4-(5-플루오로-5'-((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5'6"-디히드로-[3,2': 6'4"-테르피리딘]-1'(2"H)-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6))
공정 1: 5-브로모-2-클로로 피리딘 (10 g), 에탄올 아민 (6.3 ml), 요오드화구리 (I) (0.99 g), L-프롤린 (1.2 g), 탄산칼륨 (14 g), DMSO (40 m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하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 농축하여 2-((6-클로로 피리딘-3-일) 아미노) 에탄올 (화합물(26-1))을 얻었다.
공정 2: 화합물(26-1) (7.2 g)을 THF (150 ml)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한 후 NBS (7.4 g)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다시 0℃로 냉각하고, 트리페닐포스핀 (16 g), 사브롬화탄소 (21 g)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10%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메탄올을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감압 건조하여 2-브로모-N-(2-브로모에틸)-6-클로로 피리딘-3-아민 (화합물(26-2))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3: 화합물(26-2) (0.51 g), THF (2 ml), 피롤리딘 (0.30 ml)의 혼합물을 8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2-브로모-6-클로로-N-(2-(피롤리딘-1-일) 에틸) 피리딘-3-아민 (화합물(26-3))을 갈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4: 화합물(26-3) (0.10 g), 참고예 (3) (0.10 g), 디클로로[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로메탄 착물 (30 mg),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0.30 ml), 1,4-디옥산 (2 ml)의 혼합물을 115℃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6-클로로-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5'-6'디히드로-2,4'-비피리딘]-1'(2'H)-일)-7-(2,4-디메톡시 벤질)-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6-4))을 담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5: 실시예 1의 공정 9 및 10에 따라, 화합물(1-8) 대신에 화합물(26-4)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6)을 얻었다.
5-메틸-4-(4-(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2-((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7))
공정 1: 3-브로모-2-플루오로피리딘 (1.8 g),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2,3, 6-테트라히드로 피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3.4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0.60 g),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6.5 ml), 1,4-디옥산 (25 ml)의 혼합물을 110℃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플루오로-5',6'-디히드로-[3,4'-비피리딘]-1'(2'H)-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7-1))을 담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27-1) (2.7 g), 에틸아세테이트 (20 ml), 20% 수산화 팔라듐/탄소 (1 g)의 혼합물을 수소 환경 하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질소 치환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4-(2-플루오로피리딘-3-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7-2))을 담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3: 화합물(27-2) (0.22 g), 2-피롤리딘-1-일에타나민 (2 ml)의 혼합물을 130℃에서 7일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2-((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7-3))을 담황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4: 화합물(27-3) (0.17 g), 아세트산 (5 m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NBS (96 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포화 중조수, 포화 아황산 나트륨 수용액,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5-브로모-2-((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7-4))을 갈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5: 화합물(27-4) (0.060 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0.023 g), 1,4-디옥산 1 ml,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 피라졸-5-보론산 (77 mg),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0.20 ml)의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2-((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페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7-5))를 무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6: 화합물(27-5) (74 mg), TFA (1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DMSO (1 ml)에 용해하고, 참고예 (2) (42 mg), DIPEA (0.18 ml)을 첨가하고 13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2,4-디메톡시 벤질)-5-메틸-4-(4-(5-(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5-일)-2-((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3-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 (화합물(27-6))을 무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7: 실시예 1의 공정 10에 따라 화합물(1-9) 대신에 화합물(27-6)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7)을 얻었다.
4-(4-(3,5'-디플루오로-5-((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8))
공정 1: 2-브로모-5-플루오로-3-니트로 피리딘 (1.0 g),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1,2,3,6-테트라히드로 피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1.7 g),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착물 (66 mg), 1,4-디옥산 (15 ml), 탄산나트륨 (0.96 g) 및 물 (6 ml)의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여과하고 여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불용물을 여별했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플루오로-3-니트로-5',6'-디히드로-[2,4'-비피리딘]-1'(2'H) 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8-1))을 갈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2: 실시예 1의 공정 2 ~ 10에 따라, 화합물(1-1) 대신에 화합물(28-1)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8) 을 얻었다.
4-(4-(5-((2-(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2,3'-비피리딘]-6-일) 피페라진 -1-일)-5-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29))
공정 1: 1-(tert-부톡시 카르보닐)-피페라진 (4.5 g), 2-프로판올 (30 ml), DIPEA (6.1 ml)의 혼합물에 2,6-디클로로-3-니트로 피리딘 (3.8 g)의 THF 용액 (30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0% 인산 수용액을 가한 후, 유기 용매를 감압 증류했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에서 세척했다. 얻어진 고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현탁하여 불용물을 여별했다. 얻어진 여과액을 포화 중조수, 포화 식염수로 순서대로 세정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불용물을 여별 후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6-클로로-3-니트로 피리딘-2-일) 피페라진-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9-1))을 얻었다.
공정 2: 화합물(29-1) (1.0 g), 에탄올 (10 ml), 물 (2 ml), 철 (0.80 g), 염화 암모늄 (1.2 g)의 혼합물을 60℃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포화 중조수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였다. 불용물을 여별 후 유기층을 분리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3-아미노-6-클로로 피리딘-2-일) 피페라진-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9-2))을 얻었다.
공정 3: 화합물(29-2) (0.94 g), N,N-디메틸 글리신 (0.45 g), DMF (10 ml), HATU (1.8 g), DIPEA (2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다시 HATU (0.90 g)을 가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6-클로로-3-(2-(디메틸 아미노) 아세트아미드) 피리딘-2-일) 피페라진-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9-3))을 얻었다.
공정 4 : 화합물(29-3) (0.66 g)의 THF 용액 (10 ml)에 보란·황화 디메틸 착체 (2 ml)를 가하고 상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천천히 물을 가한 후, 2 N 염산 (4 ml)을 첨가하고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5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 ml, 이탄산 디-tert-부틸 (1 M, THF 용액 1.7 ml)을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서 희석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6-클로로-3-(2-(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라진-1-카르복실산 tert-부틸 (화합물(29-4))을 얻었다.
공정 5: 실시예 27의 공정 5-7에 따라, 화합물(27-4) 대신에 화합물(29-4)를 이용하고,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 피라졸-5-보론산 대신 3-플루오로피리딘-5-보론산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29)을 얻었다.
4-(4-(6-(4-(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0))
공정 1: 화합물(1-6) (2.74 g),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착체 (366 mg), 트리에틸아민 (1.87 ml), N,N-디메틸 포르밀아미드 (8 ml) 및 메탄올 (8 ml)의 혼합물을 일산화탄소 환경 하 0.4 MPa,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물에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5-((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콜린산 메틸 (화합물(30-1))을 갈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30-1) (2.60 g), 히드라진 일수화물 (5 ml) 및 에탄올 (12 ml)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에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 여과액을 농축하여 6-(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5-((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콜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30-2))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3: 화합물(30-2) (500 mg), 디클로로메탄 (8.47 ml), 트리에틸아민 (0.24 ml)의 혼합물에 디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0.11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또한 플루오로 아세트산 (0.11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 교반한 후 농축하고 잔사에 암모니아 메탄올 용액 (7 M, 8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한 후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2,2-디플루오로 아세틸)-6-(1-(4-(2,4-디메톡시 벤질)-5, 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5-((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콜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30-3))을 백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4 : 화합물(30-3) (621.2 mg), 트리페닐포스핀 (710.5 mg), 사브롬화탄소 (898.3 mg), 이미다졸 (207.5 mg) 및 디클로로메탄 (8.47 ml)의 혼합물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또한 40℃에서 1시간 교반하고, 트리페닐포스핀 (710.5 mg), 사브롬화탄소 (898.3 mg)을 넣고 40℃에서 2일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 후,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30-4)을 백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5: 실시예 1의 공정 8및 10에 따라, 화합물(1-7) 대신에 화합물(30-4)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0)을 얻었다.
4-(4-(6-(4-(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1))
실시예 30에 따라, 피롤리딘 대신 이소프로필 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1)을 얻었다.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2))
실시예 30에 따라,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피롤리딘 대신에 tert-부틸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2)을 얻었다.
4-(4-(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3))
실시예 30에 따라,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피롤리딘 대신 이소프로필 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3)을 얻었다.
4-(4-(3-((2-(tert-부틸(메틸)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 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4))
실시예 30에 따라,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피롤리딘 대신에 메틸-tert-부틸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4)을 얻었다.
(S)-5,5-디메틸-4-(4-(3-((피롤리딘-2-일 메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 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5))
공정 1: 5-플루오로피리딘-2-카르복실산 메틸 (0.5 g), (S)-2-(아미노 메틸) 피롤리딘-1-카르복실산 tert-부틸 (1.0 g), DIPEA (0.67 ml), DMSO (3.0 ml)의 혼합물을 130℃에서 1.5시간, 1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S)-5-(((1-(tert-부톡시 카르보닐) 피롤리딘-2-일) 메틸) 아미노) 피콜린산 메틸 (화합물(35-1))를 무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35-1) (601 mg), THF (9 m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NBS (319 mg)을 넣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포화 중조수 및 포화 아황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S)-6-브로모-5-(((1-(tert-부톡시 카르보닐) 피롤리딘-2-일) 메틸) 아미노) 피콜린산 메틸 (화합물(35-2))를 무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3: 아연 분말 (512 mg),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 ml)의 혼합물에 트리메틸 실릴 클로라이드 (0.06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참고예 (4) (1.2 g)을 넣고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유기 아연 시약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얻었다. 다른 반응 용기에 화합물(35-2) (649 mg), 아세트산 팔라듐 (35 mg),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페닐 (64 mg),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5 ml)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상기 유기 아연 시약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첨가하여 6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하고, 반응 혼합물에 물 (5 ml), 에틸아세테이트 (5 ml)을 가한 후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S)-5-(((1-(tert-부톡시 카르보닐) 피롤리딘-2-일) 메틸) 아미노)-6-(1-(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 피콜린산 메틸 (화합물(35-3))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4 : 실시예 30의 공정 2 ~ 4에 따라, 화합물(30-1) 대신에 화합물(35-3)를 이용하고,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여 (S)-tert-부틸2-(((2-(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3-일) 아미노) 메틸) 피롤리딘-1-카르복실산 (화합물(35-4))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5: 실시예 1의 공정 10에 따라, 화합물(1-9) 대신에 화합물(35-4)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5)을 얻었다.
5,5-디메틸-4-(4-(6-(5-메틸-1,3,4-티아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6))
공정 1: 5-브로모 피콜린산 (10 g), 메탄올 (50 ml)의 혼합물에 진한 황산 (1 ml)을 넣고 3시간 가열 환류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중조수, 포화 식염수의 순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에탄올 (50 ml), 히드라진 일수화물 (10 ml)을 넣고 3시간 가열 환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물을 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5-브로모 피콜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36-1))을 황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36-1) (1.5 g), 아세토니트릴 (25 ml), 트리에틸아민 (1 ml)의 혼합물에 무수초산 (0.79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N'-아세틸-5-브로모 피콜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36-2))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3: 화합물(36-2) (1.78 g), 로손 시약(Lawesson's reagent) (2.8 g), 1,4-디옥산 (35 ml)의 혼합물을 1시간 가열 환류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메탄올:물 (5:1)에 현탁했다. 고체를 여과하여 2-(5-브로모피리딘-2-일)-5-메틸-1,3,4-티아디아졸 (화합물(36-3))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4 : 화합물(36-3) (1.15 g), 에탄올-아민 (0.81 ml), 요오드화구리 (I) (85 mg), L-프롤린 (103 mg), 탄산칼륨 (1.24 g) 및 DMSO (10 ml)의 혼합물을 80℃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여과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메탄올에서 희석하고 염산 메탄올 용액을 첨가하여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에 현탁하고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클로로포름에 현탁하고, 포화 중조수를 더했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물층을 클로로포름/메탄올 (10:1)로 5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클로로포름에 현탁했다. 고체를 여과하고 2-((4-(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탄올 (화합물(36-4))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공정 5: 화합물(36-4) (559 mg), THF (10 ml), 아세토니트릴 (5 ml)의 혼합물에 NBS (421 mg)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아황산 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을 넣고 클로로포름/메탄올 (10:1)로 5회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에 디에틸 에테르를 더해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2-((2-브로모-6-(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탄올 (화합물(36-5))을 갈색 고체로 얻었다.
공정 6: 아연 분말 (705 mg),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 ml)의 혼합물에 트리메틸 실릴 클로라이드 (0.03 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참고예 (4) (2.25 g)을 넣고 60℃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유기 아연 시약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얻었다. 다른 반응 용기에 화합물(36-5) (680 mg), 아세트산 팔라듐 (24 mg),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페닐 (89 mg),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6 ml)를 추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상기 유기 아연 시약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을 첨가하여 60℃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반응 혼합물에 (물 5 ml), 에틸아세테이트 (5 ml)을 첨가하였다. 여과 후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세척했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2,4-디메톡시 벤질)-4-(4-(3-((2-히드록시에틸) 아미노)-6-(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6-6))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7: 화합물(36-6) (804 mg), 트리페닐포스핀 (501 mg), THF (6 ml)의 혼합물에 빙냉하에 사브롬화탄소 (634 mg)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화 중조수를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BR> V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3-((2-브로모에틸) 아미노)-6-(5-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d] 피리미딘-6 (7H)-온 (화합물(36-7))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8: 실시예 1의 공정 8및 10에 따라, 화합물(1-7) 대신에 화합물(36-7)를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6)을 얻었다.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플루오로 메틸)-1,3,4-티아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7))
실시예 36에 따라, 무수 아세트산 대신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피롤리딘 대신에 tert-부틸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7)을 얻었다.
4-(4-(6-(4-(디플루오로메틸)-1,3,4-티아디아졸-2-일)-3-((2-(디메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8))
실시예 36에 따라, 무수 아세트산 대신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피롤리딘 대신 디메틸 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8)을 얻었다.
4-(4-(6-(4-(디플루오로메틸)-1,3,4-티아디아졸-2-일)-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39))
실시예 37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39)을 얻었다.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시클로프로필-1,3,4-티아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0))
실시예 36에 따라, 무수 아세트산 대신 시클로 프로판 카르복실산 염화물을 이용하고, 피롤리딘 대신에 tert-부틸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40)을 얻었다.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플루오로 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1))
공정 1: 5-플루오로 피콜리노니트릴(5-Fluoro picolinonitrile) (25 g), DMSO (100 ml), 2-아미노 에탄올 (25 ml)의 혼합물을 75℃에서 4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물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고 5-((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콜리노니트릴 (화합물(41-1))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2: 화합물(41-1) (29 g) 및, THF (300 ml)의 혼합물에 NBS (32 g)을 넣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티오 황산나트륨 수용액 (10%, 100 ml)을 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 (110 ml)로 재결정했다. 수득된 고체를 여과 건조하고, 6-브로모-5-((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콜리노니트릴 (화합물(41-2))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3: 화합물(41-2) (3.4 g) 및 피리딘 (4.0 ml)의 혼합물에 무수초산 (4.0 ml)을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정,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아세트산 이소프로필에서 재결정하여 2-((2-브로모-6-시아노피리딘-3-일) 아미노) 에틸 아세트산 에스테르 (화합물(41-3))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4: 아연 분말 (0.97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 ml)의 혼합물에 트리메틸 실릴 클로라이드 (0.089 ml)을 첨가하여 초음파 조사 하 50℃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 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44 ml), 참고예 (4) (4.8 g)을 가하여 초음파 조사 하, 50℃에서 20 분간 반응시켰다. 실온으로 냉각 후 과량의 아연 분말을 여별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별도로 조정한 화합물(41-3) (1.8 g), 아세트산 팔라듐(II) (0.16 g), 디시클로헥실 (2',6'-디메톡시-[1,1'-디페닐]-2-일) 포스핀 (0.17 g)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4 ml)의 혼합액에 가해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에서 희석하고 불용물을 여과 후, 얻어진 여과액을 물, 포화 식염수로 순서대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여과 후 여과액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아세트산 2-((4-시아노-2-(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틸 (화합물(41-4))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5: 화합물(41-4) (8.5 g) 및 에탄올 (100 ml)의 혼합물에 히드록실아민 수용액(Hydroxylamine Solution)(50%, 2.8 ml)을 첨가하여 60℃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농축, 건조하고, 초산 2-((2-(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6-(N-히드록시카르밤이미도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틸 (화합물(41-5))를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6: 화합물(41-5) 및, THF (100 ml)의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디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2.2 ml), 피리딘 (25 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실온에서 5 분 교반 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또한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염산 (0.5 M, 30 ml)을 가하고 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물, 소금물로 차례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여과 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아세트산 2-((4-(5-(플루오로 메틸)-1,2,4- 옥사디아졸 -3-일)-2-(1-(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틸 (화합물(41-6))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7: 화합물(41-6) (9.8 g), 메탄올 (100 ml) 및 THF (50 ml)의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 M, 0.85 ml)을 첨가하여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염산 (5 M, 0.85 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메탄올 (50 ml)로 세척한 후 감압 건조하여 4-(4-(6-(4-(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3-((2-히드록시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7-(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5H-피로로[2,3 -d] 피리미딘-6(7H)-온 (화합물(41-7))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공정 8: 실시예 1의 공정 7, 8 및 10에 따라, 화합물(1-6) 대신에 화합물(41-7)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41)을 얻었다.
4-(4-(3-((2-(이소프로필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2))
실시예 41에 따라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tert-부틸아민 대신에 이소프로필 아민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42)을 얻었다.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3-(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5-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3))
공정 1: 실시예 41의 공정 1 ~ 6에 따라 플루오로 아세트산 무수물 대신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고, 초산 2-((2-(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6-(5-(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틸 (화합물(43-1))을 얻었다.
공정 2: 화합물(43-1) (0.44 g), DMF (10 ml), 히드록시아민 염산염 (0.43 g), tert-부톡시 칼륨 (0.69 g)의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 포화 식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하고, 초산 2-((2-(1-(4-(2,4-디메톡시 벤질)-5,5-디메틸-6-옥소-6,7-디히드로-5H-피로로[2,3-d] 피리미딘-4-일) 피페리딘-4-일)-6-(3-(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5-일) 피리딘-3-일) 아미노) 에틸 (화합물(43-2))을 담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3: 실시예 41의 공정 7 및 8에 따라, 화합물(41-6) 대신에 화합물(43-2)를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43)을 얻었다.
5,5-디메틸-4-(4-(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6-(3-(트리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5-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화합물(44))
실시예 43에 따라, tert-부틸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상기 표제 화합물(44)을 얻었다.
[비교예 B]
4-(4-(4-((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2,3'-비피리딘]-6-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공정 1: 2,6-디브로모-4-니트로 피리딘 (1 g), 탄산칼륨 (490.3 mg), 2-아미노 에탄올 (0.32 ml) 및 DMSO (10 ml)의 혼합물을 60℃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6-디브로모피리딘-4-일) 아미노) 에탄올 (비교예 B(1-1))을 갈색 유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2: 비교예 B (1-1) (212 mg), 5-플루오로피리딘-3-보론산 (50 mg),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 (0) (82.8 mg),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0.39 ml) 및 1,4-디옥산 (7.16 ml)의 혼합물을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6-브로모-5'-플루오로-[2,3'-비피리딘]-4-일) 아미노) 에탄올 (비교예 B(1-2))을 조정제물(partial purification)로 얻었다. 얻어진 조정제물은 더 정제하지 않고 전량을 다음 공정에 사용하였다.
공정 3: 비교예 B (1-2) 조정제물, 사브롬화탄소 (237.6 mg), 트리페닐포스핀 (187.9 mg), THF (3 ml) 및 디클로로메탄 (1 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중조, 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6-브로모-N-(2-브로모에틸)-5'-플루오로-[2,3'-비피리딘]-4-아민 (비교예 B(1-3))을 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4: 비교예 B (1-3) (65.7 mg), tert-부틸아민 (0.2 ml), THF (1 ml)의 혼합물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tert-부틸아민 (0.2 ml)을 추가하여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1-(6-브로모-5'-플루오로-[2,3'-비피리딘]-4-일)-N2-(tert-부틸) 에탄-1,2-디아민 (비교예 B(1-4))을 황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5: 비교예 B (1-4) (57.5 mg), 참고예 (5) (69.5 mg),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착물 (12.8 mg), 탄산나트륨 수용액 (2 M, 0.10 ml) 및 1,4-디옥산 (1.57 ml)의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여과, 여과액을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5-플루오로-5'6"-디히드로-[3,2':6'4"-테르피리딘]-1'(2"H)-일)-5,5-디메틸-5H-피로로[2,3-d] 피리미딘-6(7H)-온 (비교예 B(1-5))을 갈색 비정질상 물질로서 얻었다.
공정 6: 비교예 B (1-5) (16 mg), 20% 수산화 팔라듐/탄소 (15 mg), 에틸아세테이트 (1 ml), 에탄올 (0.1 ml), 메탄올 (0.1 ml), THF (0. 1 ml), DMF (0.1 ml) 및 TFA (0.01 ml)의 혼합물을 수소 환경 하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 치환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농축하여 얻어진 잔사를 염기성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상기 표제의 비교예 B를 얻었다.
실시예 1 ~ 44의 화합물의 화학구조식 및 물성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실험예 1] Akt1 키나아제 활성 억제 작용의 확인
Akt1의 제조 및 Akt1의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시험관 내(in vitro) 억제 활성 측정법은 Biochem. J. vol. 385, pp399-408 (2005) 및 Cancer Res. vol. 68, pp2366-2374 (2008)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참조하여 실시했다. Akt1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곤충 세포 Sf9에서 Middle T antigen 태그를 부가시킨 인간 Akt1을 발현시켜, 친화성 정제 및 PDK1에 의한 활성화를 거쳐 Akt1을 제조하고 화합물의 억제 활성 측정시까지 -80℃에서 보존하였다. 화합물의 억제 활성 측정에 있어서는 먼저 반응용 완충액 (15 mM Tris-HCl pH7.5, 0.01% Tween-20, 2 mM DTT)에서 Akt1와 본 발명 화합물을 25℃에서 120분간 사전 배양하였다. 그 다음 기질로써 비오틴화 Crosstide(biotin-KGSGSGRPRTSSFAEG, Millipore 사제), MgCl2 및 ATP를 각각 최종 농도 500 nM, 10 mM 및 150 μM이 되도록 하여, 25℃에서 60분간 반응시켰다. 거기에 최종 농도 40 mM이 되도록 EDTA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Eu 라벨화 항인산화 Crosstide 항체(PerkinElmer 사)와 SureLight APC-SA (PerkinElmer 사제)을 각각 최종 농도 0.5 nM 및 62.5 nM이 되도록 포함하는 검출액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했다. 마지막으로, PHERAstar FS (BMG LABTECH 사제) 또는 PHERAstar (BMG LABTECH 사제)로 파장 337 nm의 여기광 조사시 형광양을 620 nm 및 665 nm의 두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두 파장의 형광량 대비에서 인산화 반응량을 구해, 인산화 반응을 50%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농도를 IC50 값(nM)으로 정의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대조 화합물로서 하기의 공지의 Akt 억제 활성을 갖는 비교예 A (WO2010/056563 (실시예 31)), 및 비교예 B를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실험예 2] Rsk1 키나아제 활성 억제 작용의 확인
Rsk1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시험관 내 억제 활성 측정은 Carna Biosciences사의 QSS AssistTM FP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화합물의 억제 활성 측정에 있어서는 먼저 피험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로 단계적 희석하였다. 그 다음 키나아제 반응용 완충액 (20 mM HEPES (pH 7.4), 2 mM dithiothreitol, 0.01% Tween-20)에서 Rsk1 단백질, 기질 펩티드 (최종 농도는 100 nM), 염화 마그네슘 (최종 농도는 10 mM), ATP (최종 농도는 30 μM) 및 피험 화합물 DMSO 용액 (DMSO의 최종 농도는 5%)를 첨가하여 25℃에서 40분간 배양하여 키나아제 반응을 수행하였다. 거기에 Molecular device 사의 IMAP Progressive Binding Buffer A로 400배 희석한 IMAP Progressive Binding Reagent를 첨가하여 키나아제 반응을 정지시켰다. 실온 어두운 곳에서 120분간 정치한 후에 PHERAstar (BMG LABTECH 사, 여기 파장 485 nm, 검출 파장 520 nm)에서 측정하여 얻어진 형광 편광도로부터 인산화 반응량을 구하여 인산화 반응을 50%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농도를 IC50 값(nM)으로 정의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38
[실험예 3] S6K1 키나아제 활성 억제 작용의 확인
S6K1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시험관 내 억제 활성 측정은 Carna Biosciences의 QSS AssistTM FP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화합물의 억제 활성 측정에 있어서는 먼저 피험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로 단계희석하였다. 다음으로, 키나아제 반응용 완충액 (20 mM HEPES (pH7.4), 2 mM dithiothreitol, 0.01% Tween-20)에서 S6K 단백질 기질 펩티드 (최종 농도는 100 nM), 염화 마그네슘 (최종 농도는 5 mM), ATP (최종 농도는 25 μM)와 피험 화합물 DMSO 용액 (DMSO의 최종 농도는 5%)를 첨가하여 25℃에서 30분간 배양하여 키나아제 반응을 수행하였다. 거기에 Molecular device 사의 IMAP Progressive Binding Buffer A에서 400배 희석한 IMAP Progressive Binding Reagent를 첨가하여 키나아제 반응을 정지시켰다. 실온 어두운 곳에서 120분간 정치한 후에 PHERAstar (BMG LABTECH 사, 여기 파장 485 nm, 검출 파장 520 nm)에서 측정하여 얻어진 형광 편광도로부터 인산화 반응량을 구하여 인산화 반응을 50%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 농도를 IC50 값(nM)으로 정의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39
[실험예 4] 세포 증식 억제 시험
RKO 세포(인간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in vitro 세포 증식 억제 시험을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했다.
10% FBS, 1 mM의 L-글루타민 (GIBCO, Cat #: 25030) 및 1 mM의 피루브산 나트륨 (GIBCO, Cat #: 11360)을 포함하는 MEM 배지 (GIBCO, Cat #: 10370-088)에서 배양한 RKO 세포 (ATCC, Cat #: CRL-2577)를 96 웰 평평한 바닥의 마이크로플레이트 (COSTAR, Cat #: 3904)의 각 웰에 2×103개 (150 μl) 씩 분주하여 37℃, 5% 탄산가스 함유의 배양기 내에서 1일 배양하였다. 디메틸설폭사이드로 단계희석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만을 10% FBS, 1 mM의 L-글루타민 및 1 mM의 피루브산 나트륨을 포함하는 MEM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앞서 언급한 RKO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 μl 씩 첨가하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각각 10, 3, 1, 0.3, 0.1, 0.03, 0.01, 0.003, 0 μM이 되도록 했다. 또한 별도로 마련힌 RKO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실온에 30분간 방치 후 100 μl의 배지를 제외한 후 50 μl의 CellTiter-Glo (등록 상표) 2.0 Assay (Promega, Cat #: G9242)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10분간 어두운 곳에서 방치한 후 Multimode Plate Reader(PerkinElmer, EnSpire)에서 화합물 첨가시의 웰의 살아있는 세포 유래 발광량을 측정했다. 화합물 또는 디메틸설폭 시드만을 첨가한 세포는 37℃, 5% 탄산가스를 함유하는 배양기 안에서 추가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온에 30분간 방치하고, 각 웰로부터 상청을 150 μl 씩 제외시켜 50 μl의 세포 배양액이 남게 했다. 남은 세포 배양액 50 μl에 대해 같은 양의 CellTiter-Glo (등록 상표) 2.0 Assay를 첨가하였다. 10분간 어두운 곳에서 방치 한 후 Multimode Plate Reader에서 각 웰의 살아있는 세포 유래 발광량을 측정했다. 하기의 식으로부터 세포 증식률을 산출하고, 세포 증식 비율이 50%가 되는 농도, 즉 세포 증식을 50% 억제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농도 (GI50 값(nM))을 구했다.
세포 증식률(%)= (T-C0)/(C-C0) × 100; T ≥ C0의 경우
세포 증식률(%)= (T-C0)/C0 × 100; T < C0의 경우
C0: 화합물 첨가시의 웰의 발광량(count per second)
C: 디메틸설폭사이드만을 첨가한 웰의 발광량(count per second)
T: 피검 화합물을 첨가한 웰의 발광량(count per second)
또한 대조 화합물로서 하기의 알려진 Akt 억제 활성을 갖는 비교예 A (WO2010/056563 (실시예 31)), 및 비교예 B를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40
본 발명의 대표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의 RKO 세포에 대한 GI50 값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41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 화합물은 Akt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피페라진 유도체보다 현저히 높은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화합물 1 및 비교예 B의 대비로부터, R3, R4, R5 및 R6를 포함하는 아미노 측쇄의 치환 위치가 세포 증식 억제 활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치환 위치에 의한 활성의 차이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아 놀라운 연구 결과이다.
[실험예 5] 세포 증식 억제 시험
HEC-6 세포(자궁내막암 세포주)에 대한 in vitro 세포 증식 억제 시험을 하기의 조건에서 실시했다.
15%의 FBS를 포함하는 MEM 배지 (GIBCO, Cat #: 10370)에서 배양한 HEC-6 세포 (Health Science Research Resources Bank 세포 번호: JCRB1118)을 384 웰 평평한 바닥의 마이크로플레이트 (CORNING, Cat #: 3571)의 각 웰에 500개 (20 μl) 씩 분주하여 37℃, 5% 탄산가스를 함유하는 배양기 내에서 1일간 배양하였다. 디메틸설폭사이드로 단계희석한 본 발명 화합물,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만을, 15% FBS를 포함하는 MEM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것을 앞서 언급한 HEC-6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μl 씩 첨가하여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각각 10, 3, 1, 0.3, 0.1, 0.03, 0.01, 0.003, 0.001, 0.0003, 0 μM이 되도록 했다. 또한 별도 준비한 HEC-6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실온에 30분간 방치 후 20 μl의 CellTiter-Glo (등록 상표) 2.0 Assay (Promega, Cat #: G9243)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10분간 플레이트 쉐이커에서 교반하고 30분간 어두운 곳에서 방치한 후 Multimode Plate Reader (PerkinElmer, EnVision)에서 각 웰의 살아있는 세포 유래 발광량을 측정했다. 화합물 또는 디메틸설폭시드만을 첨가한 세포는 37℃, 5% 탄산가스를 함유하는 배양기 안에서 추가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온에 30분간 방치하고, 각 웰 25 μl의 CellTiter-Glo (등록 상표) 2.0 Assay를 첨가하였다. 10분간 플레이트 쉐이커에서 교반하고 30분간 어두운 곳에서 방치한 후 Multimode Plate Reader에서 각 웰의 살아있는 세포 유래 발광량을 측정했다. 하기의 식으로부터 세포 증식률을 산출하고, 세포 증식률이 50%가 되는 농도, 즉 세포 증식을 50% 억제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농도 (GI50 값(μM))을 구했다.
세포 증식률(%)= (T-C0)/(C-C0) × 100; T ≥ C0의 경우
세포 증식률(%)= (T-C0)/C0 × 100; T < C0의 경우
C0: 화합물 첨가시의 웰의 발광량 (count per second)
C: 디메틸설폭사이드만을 첨가한 웰의 발광량 (count per second)
T: 피검 화합물을 첨가한 웰의 발광량 (count per second)
또한, 대조 화합물로서 상기 Akt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비교예 A (WO2010/056563 (실시예 31)), 및 비교예 B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 화합물의 HEC-6 세포에 대한 GI50 값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42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을 그대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9)

  1. 하기 화학식 (I)
    [화학식 1]
    Figure pct00043

    [식에서,
    R1은, 치환 그룹을 가질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갖는 4 내지 6 원(member) 단환식(monocyclic)의 불포화 헤테로고리(heterocycle) 그룹이고;
    R2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amino group), 시아노기(cyano group), 니트로기(nitro group), C1-C6 알킬기(alkyl group), C1-C6 할로알킬기(haloalkyl group), C2-C6 알케닐기(alkenyl group), C2-C6 알키닐기(alkynyl group)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cycloalkyl group)이며;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 및 인접한 탄소원자와 함께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며;
    R6는 수소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며;
    R7 및 R8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거나; 혹은 R7 및 R8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C3-C10 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하고;
    X1 및 X2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수산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2-C6 알케닐기, C2-C6 알키닐기 또는 C3-C6 시클로알킬기이며;
    X3은, 파선부(
    Figure pct00044
    )가 단일결합인 경우 N 또는 CH이며, 파선부가 이중결합인 경우 C이다. 다만, X1 및 X2 중 적어도 하나는 N이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염.
  2. 제 1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alkoxy group)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 그룹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N, S 및 O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불포화 헤테로고리 그룹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R2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R6는 수소원자이며,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은 N 또는 CR9이며, R9는 수소원자 또는 할로겐원자이고, X2는 N 또는 C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 C1-C6 알킬기, C1-C6 할로알킬기, C1-C6 알콕시기 및 C3-C10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개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푸라닐기(furanyl group), 티에닐기(thienyl group), 티아졸릴기(thiazolyl group), 티아디아졸릴기(thiadiazolyl group), 옥사졸릴기(oxazolyl group), 옥사디아졸릴기(oxadiazolyl group), 피리디닐기(pyridinyl group) 또는 피라졸릴기(pyrazolyl group)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 R4 및 R5는 동일하거나 다르고,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거나; 혹은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5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이거나; 혹은 R4 및 R5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 및 인접한 탄소 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의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며 R3는 수소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할로겐원자 또는 C1-C6 알콕시기를 갖는 피리디닐기,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 혹은 무치환의 푸라닐기 또는 티아졸릴기이고,
    R2, R5 및 R6는 수소원자이며,
    R3는 수소원자이며 또한 R4는 C1-C6 알킬기이거나, R3 및 R4는 그들이 결합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1개의 질소원자를 갖는 4 내지 6 원 단환식 포화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R7은 C1-C6 알킬기이고, R8은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이고,
    X1 및 X2는 서로 다르고, N 또는 CH이며,
    파선부(
    Figure pct00045
    )가 단일결합이고 X3은 CH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7. 제 6항에 있어서, R1은 C1-C6 알킬기 및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피라졸릴기 혹은 C1-C6 할로알킬기를 갖는 옥사디아졸릴기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의 화합물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
    4-(4-6-(5-(디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3-((2-(피롤리딘-1-일) 에틸) 아미노)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6-(5-(difluoromethyl)-1,3,4-oxadiazol-2-yl)-3-((2-(pyrrolidin-1-yl) ethyl) amino)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트리플루오로메틸)-1,3,4-옥사디아졸-2-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3-((2-(tert-butyl amino) ethyl) amino)-6-(5-(trifluoromethyl)-1,3,4-oxadiazol-2-yl)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및
    4-(4-(3-((2-(tert-부틸 아미노) 에틸) 아미노)-6-(5-(디플루오로메틸)-1,2,4-옥사디아졸-3-일) 피리딘-2-일) 피페리딘-1-일)-5,5-디메틸-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4-(4-(3-((2-(tert-butyl amino) ethyl) amino)-6-(5-(difluoromethyl)-1,2,4-oxadiazol-3-yl) pyridin-2-yl) piperidine-1-yl)-5,5-dimethyl-5H-pyrrolo[2,3-d]pyrimidin-6(7H)-one].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kt 키나아제(kinase) 억제제.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Rsk 키나아제 억제제.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S6K 키나아제 억제제.
  12.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에 대한 억제제.
  13.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제.
  14.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t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5.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sk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6.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6K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7.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가지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8.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Akt 키나아제, Rsk 키나아제 및 S6K 키나아제가 관여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1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종양제.
KR1020187030344A 2016-05-20 2017-05-19 신규 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유도체 KR102149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1599 2016-05-20
JPJP-P-2016-101599 2016-05-20
PCT/JP2017/018825 WO2017200087A1 (ja) 2016-05-20 2017-05-19 新規5H-ピロロ[2,3-d]ピリミジン-6(7H)-オン誘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777A true KR20180120777A (ko) 2018-11-06
KR102149734B1 KR102149734B1 (ko) 2020-08-31

Family

ID=6032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344A KR102149734B1 (ko) 2016-05-20 2017-05-19 신규 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유도체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10538528B2 (ko)
EP (1) EP3459953B1 (ko)
JP (1) JP6576553B2 (ko)
KR (1) KR102149734B1 (ko)
CN (1) CN109153681B (ko)
AU (1) AU2017265769B9 (ko)
BR (1) BR112018073721B1 (ko)
CA (1) CA3024831C (ko)
DK (1) DK3459953T3 (ko)
ES (1) ES2882018T3 (ko)
HK (1) HK1259613A1 (ko)
HU (1) HUE055846T2 (ko)
MA (1) MA45048A (ko)
MX (1) MX2018014022A (ko)
MY (1) MY185962A (ko)
PH (1) PH12018502411A1 (ko)
PL (1) PL3459953T3 (ko)
PT (1) PT3459953T (ko)
RU (1) RU2713181C1 (ko)
SG (1) SG11201810360YA (ko)
TW (2) TWI732187B (ko)
WO (1) WO2017200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32A1 (en) * 2021-10-13 2023-04-20 Taiho Pharmaceutical Co., Ltd. Treatment methods for subjects having cancer with a dysregulated mapk and/or pi3k pathway
WO2023143424A1 (zh) * 2022-01-27 2023-08-03 四川海思科制药有限公司 一种氮杂并环衍生物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24009977A1 (ja) * 2022-07-05 2024-01-11 大鵬薬品工業株式会社 5H-ピロロ[2,3-d]ピリミジン-6(7H)-オン及びその塩体の結晶
CN115850244B (zh) * 2023-02-24 2023-05-16 成都大学 一种托吡司他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7909A2 (en) 2004-04-23 2005-12-15 Exelixis, Inc. Kinase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WO2010056563A1 (en) 2008-11-11 2010-05-20 Eli Lilly And Company Akt and p70 s6 kinas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08184D0 (en) * 2006-04-25 2006-06-07 Astex Therapeutics Ltd Pharmaceutical compounds
AR064416A1 (es) * 2006-12-21 2009-04-01 Cancer Rec Tech Ltd Derivados de purina, piridina y pirimidina condensadas con heterociclos, moduladores de pka y/o pkb,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ntienen, y us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hiperproliferativas.
ES2539306T3 (es) * 2008-08-08 2015-06-29 Nestec S.A. Máquina de bebidas con mango de transporte y con funciones de apariencia y laterales configurables
EP2491032B1 (en) * 2009-10-23 2014-04-16 Eli Lilly and Company Akt inhibitors
SG11201505999VA (en) * 2013-03-11 2015-08-28 Merck Patent Gmbh 6-[4-(1 h-imidazol-2-yl)piperidin-1 -yl]pyrimidin-4-ami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kinase activity
JP6398659B2 (ja) 2014-11-28 2018-10-0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歯形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歯形部品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17909A2 (en) 2004-04-23 2005-12-15 Exelixis, Inc. Kinase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JP2007534687A (ja) * 2004-04-23 2007-11-29 エグゼリクシ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ナーゼ調節因子および使用方法
WO2010056563A1 (en) 2008-11-11 2010-05-20 Eli Lilly And Company Akt and p70 s6 kinase inhibitors
JP2012508274A (ja) * 2008-11-11 2012-04-05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Aktおよびp70s6キナ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J Cell Sci. 2005; 118 (Pt 24) : 5675-8.
[비특허문헌 10] Int J Biochem Cell Biol. 2011; 43 (1) : 47-59.
[비특허문헌 11] Eur J Cancer. 2014; 50 (5) : 867-75.
[비특허문헌 2] Curr Cancer Drug Targets. 2008; 8 (1) : 27-36.
[비특허문헌 3] Nature. 2007; 448 (7152) : 439-44.
[비특허문헌 4] Mol Cancer Ther. 2005; 4 (6) : 977-86.
[비특허문헌 5] Mol Cancer Ther. 2010; 9 (7) : 1956-67.
[비특허문헌 6] Cancer Res. 2008; 68 (7) : 2366-74.
[비특허문헌 7] Biochem J. 2012; 441 (2) : 553-69.
[비특허문헌 8] Mol Cancer Res. 2014; 12 (5) : 803-12.
[비특허문헌 9] Mol Cancer Ther. 2016; 15 (11) : 2598-26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59953T3 (pl) 2021-11-22
AU2017265769B2 (en) 2019-05-02
SG11201810360YA (en) 2018-12-28
TW201742867A (zh) 2017-12-16
AU2017265769A1 (en) 2018-11-29
TWI732187B (zh) 2021-07-01
PH12018502411A1 (en) 2019-09-16
CA3024831A1 (en) 2017-11-23
EP3459953B1 (en) 2021-06-30
HK1259613A1 (zh) 2019-12-06
JP6576553B2 (ja) 2019-09-18
AU2017265769B9 (en) 2019-05-30
MY185962A (en) 2021-06-14
BR112018073721B1 (pt) 2023-12-05
CA3024831C (en) 2021-06-08
US20190292190A1 (en) 2019-09-26
JPWO2017200087A1 (ja) 2018-12-27
HUE055846T2 (hu) 2021-12-28
EP3459953A1 (en) 2019-03-27
TWI679202B (zh) 2019-12-11
MX2018014022A (es) 2019-04-04
CN109153681B (zh) 2021-06-04
KR102149734B1 (ko) 2020-08-31
EP3459953A4 (en) 2020-01-08
RU2713181C1 (ru) 2020-02-04
BR112018073721A2 (pt) 2019-02-26
WO2017200087A1 (ja) 2017-11-23
MA45048A (fr) 2019-03-27
DK3459953T3 (da) 2021-08-23
TW201920187A (zh) 2019-06-01
PT3459953T (pt) 2021-07-29
CN109153681A (zh) 2019-01-04
US10538528B2 (en) 2020-01-21
ES2882018T3 (es)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1080B2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pyrrolidinyl urea, thiourea, guanidine and cyanoguanidine compounds
EP2497772B1 (en) Compound for inhibiting mitotic progression
KR20220008322A (ko) 2환식 유도체를 포함하는 억제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JP2011510990A (ja)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化合物および組成物
KR102149734B1 (ko) 신규 5H-피로로[2,3-d]피리미딘-6(7H)-온 유도체
KR20210068479A (ko) Map4k1 억제제로서의 사용을 위한 인돌리논 화합물
KR20240051987A (ko)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릭 유도체 억제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23091726A1 (en)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 12 (cdk12)
CN112480101B (zh) 一类irak4激酶抑制剂及其制备和应用
CA3078942A1 (en) Pyrrolotriazine compounds and methods of inhibiting tam kinases
KR102329235B1 (ko) Irak4 저해제로서 신규의 삼중고리 화합물
AU2016213030B2 (en) Preventive and/or therapeutic agent of immune disease
KR20190077327A (ko) 피리도 5원 방향족 고리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170133511A (ko) 키나아제 억제제의 제조 및 응용
KR20240046408A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