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778A -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778A
KR20180111778A KR1020187017376A KR20187017376A KR20180111778A KR 20180111778 A KR20180111778 A KR 20180111778A KR 1020187017376 A KR1020187017376 A KR 1020187017376A KR 20187017376 A KR20187017376 A KR 20187017376A KR 20180111778 A KR20180111778 A KR 20180111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ipe
joint
connection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요시 오코시
유키히로 곤
Original Assignee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5298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34736A1/ja
Application filed by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스푸린쿠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소화설비에 설치되는 가요관이나 조인트 등의 배관부재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 파손을 방지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관모양을 하고 있고 급수장치에 접속되는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1 파이프조인트(1)와, 관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제1 파이프조인트(1)와의 접속구조를 구비한 제2 파이프조인트(2)와, 상기 제2 파이프조인트(2)의 내부에 통모양의 연결부(30)가 설치되고, 연결부(30)의 일단은 상기 제2 파이프조인트(2)의 내부에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3)과 접속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Description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본 발명은, 소화설비용(消火設備用)의 파이프 조인트(pipe joint)의 접속구조(接續構造)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 설비(sprinkler設備)는 빌딩이나 쇼핑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고, 화재를 끄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貯水槽)와, 물을 살포(撒布)하는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저수조와 스프링클러 헤드를 접속하는 소화설비배관(消火設備配管), 저수조의 물을 스프링클러 헤드로 송수(送水)하기 위한 펌프(pump) 등의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소화설비배관의 내부에는 가압된 물이 충전(充塡)되어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주로 천장면(天障面)이나, 창고 등의 천장이 없는 건물에서는 지붕의 바로 아래 등의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저수조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로 물을 보내는 소화설비배관은 실내의 높은 위치에 부설(敷設)되므로, 작업자는 고소작업차(高所作業車)를 타고 높은 위치로 이동하고, 게다가 위를 향하여 배관부재를 접속하는 작업을 한다. 그러므로 소화설비배관의 시공은, 발밑이 불안정한 고소(高所)에서의 작업이 되고 있어 작업자 부담이 컸다.
소화설비배관은, 저수조로 이어지고 있는 주배관(主配管)을 다구 조인트(多口 joint)에 의해 분기시켜, 금속제의 플렉시블 배관(flexible 配管)이나 수지관(樹脂管) 등의 가요관(可撓管)을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와 접속되어 있다. 가요관과 다구 조인트의 접속부의 구경사이즈(口徑size)는 16A∼25A가 주로 사용되고, 접속구조는 관용 테이퍼 나사구조(管用 taper 螺絲構造)로 되어 있어, 나사부에 밀봉테이프를 감은 후에, 소정의 토크를 걸어서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나사산의 사이에 밀봉테이프가 파고 들어가서 밀봉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작업에 대해서, 작업에 익숙하지 않은 자가 실시하면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누설된 장소에 의해 작업을 다시 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한 작업에 있어서, 소정의 토크(torque)를 걸어 나사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용공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용공구로서 금속제의 렌치나 스패너가 사용되고 있어, 이 금속제의 무거운 공구를 사용해서 머리 위에 설치된 다구 조인트에 가요관을 접속하는 작업은, 작업자 부담이 컸다.
최근에 있어서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신속(迅速)한 파이프 조인트(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화 및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조인트를 사용하여, 접합불량에 의해 관이 조인트로부터 빠져버린 경우에는, 대량의 물이 실내로 방출되어서 수해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나사 접속구조를 사용한 편이 시공불량에 있어서의 수해 리스크(水害 risk)가 적다고 하는 생각도 있다.
한편, 가요관과 다구 조인트의 접속 후에 천장 기초재가 설치되기까지 사이의 공정으로서, 소화설비배관의 주위에 케이블이나 조명, 덕트(duct) 등이 설치된다. 그 때문에, 그들의 설치에 지장(支障)이 되지 않도록 가요관은 코일모양으로 감긴 상태로 소화설비배관과 접속되어, 천장 기초재의 설치 후에 가요관을 뽑아늘려서 천장 기초재의 소정의 위치에 스프링클러 헤드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서, 케이블이나 조명 등의 시공 시에 잘못하여 가요관에 물건이 부딪치거나, 혹은 가요관을 감을 때나, 연장시켜서 천장 기초재에 고정할 때에 가요관이나 조인트 등의 배관부재에 과부하가 가해지면, 가요관이나, 가요관과 조인트의 접속부분이 파손되서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혹은 누설에 이르지 않을 정도로 파손을 받은 곳이, 나중에 이상승압(異常昇壓)이나 워터해머(water hammer)가 발생했을 때에 내부 유체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서는 배관의 접속장소의 풀어짐방지로서, 접속부분에 밴드(71)를 설치하고 있다(도9를 참조). 밴드(71)는 C자형을 하고 있고, 탄성변형에 의해 결합슬릿(72)을 결합 플랜지부(74)에 끼우지만, 밴드(71)의 끝(73, 73)의 간격이 좁으므로 밴드(71)를 플렉시블 배관(75)에 잘못 끼운 경우에, 떨어지지 않고 그 자리에 계류(繫留)할 우려가 있다. 특히 소화설비배관에서는 바닥면이나 천장과 대략 평행하게 배관이 설치되므로, 밴드(71)가 자중(自重)에 의해 이동하지 않고 또한 떨어지기 어려우므로 작업자나 점검자가 알아차리지 못할 우려가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75494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164277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가요관이나 조인트 등의 배관부재에 과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파손을 방지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즉 소화설비에 설치되어, 관모양을 하고 있고 급수장치에 접속되는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1 파이프조인트와,
관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제1 파이프조인트와의 접속구조를 구비한 제2 파이프조인트와,
상기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 통모양의 연결부가 설치되고,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제2 파이프조인트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과 연결부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가요관)과 연결부의 접속부가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제1 파이프조인트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부가 헛돌 수 있고, 가요관을 구부리거나 펴거나 할 때에 연결부와의 접속부에 비틀림과 굽힘의 과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는, 제2 파이프조인트에 대하여 연결부가 헛돌기 때문에, 비틀림에 의한 과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주와 가요관의 외주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어, 가요관과 연결부의 접속부에 과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이프조인트 내주단(內周端)에 의해 가요관이 구부러지는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관에 과부하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간극에 완충재를 삽입시켜 구성하더라도 좋다. 완충재로서는 고무나 부드러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가요관이 접속된 측의 제2 파이프조인트의 단부에 러버코팅을 실시해도 좋다.
제2 파이프조인트와 연결부의 구체적인 구조로서,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는 제1 단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단과 결합하는 제2 단이 연결부에 형성되어,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이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제2 파이프조인트의 끝과 결합하는 스토퍼링이 연결부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이프조인트에 제2 파이프조인트를 접속할 때에, 연결부를 회전시키지 않고 제2 파이프조인트만을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조인트와 제2 파이프조인트가 접속한 상태에서 연결부가 헛돌 수 있다.
제1 파이프조인트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접속구조는 나사구조에 의해 접속한다. 또 이 이외에도 제1 파이프조인트의 외주에 설치된 단차부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외주에 설치된 단차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C자형의 결합부재에 의해 접속상태를 유지 할 수도 있다.
연결부의 타단은 제2 파이프조인트로부터 제1 파이프조인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제1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타단에는 지수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밀봉테이프를 감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의 지수부재로서는 O링 등의 고리모양의 지수부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연결부를 제1 파이프조인트에 압입해서 지수부재를 찌부러뜨릴 때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작업자의 부하가 되어 작업효율저하의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 부하를 경감하기 위하여 나사결합에 의한 연결부의 이동에 의해 지수부재를 찌부러뜨림으로써 작업자의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지수부재를 복수로 설치하는 경우에, 사이즈가 다른 지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지수부재를 찌부러뜨리기 위해서 필요한 연결부의 이동량이 짧아지고, 이에 따라 나사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파이프조인트로부터 제2 파이프조인트를 뗄 때에 지수부재가 밀봉면에서 멀어진 상태에서도 수나사와 암나사가 나사결합을 하고 있으므로, 배관 내부의 유체가 가압된 상태이어도 유체의 압력에 의해 메일 배관부재(male 配管部材)가 탈관(脫棺)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과 연결부의 접속부가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파이프조인트에 의해 그 접속부가 보호되므로, 가요관이나 조인트 등의 배관부재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소화설비배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제1실시형태의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접속 전의 단면도이다.
도4는, 다구 조인트의 외관도이다.
도5에 있어서, (a)는 인디케이터의 외관도이며, (b)는 (a)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6는, 제2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의 결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8은, 제3실시형태의 접속 전의 단면도이다.
도9는, 종래의 조인트구조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제1실시형태(도1∼도5)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T1)는, 도1에 나타내는 소화설비배관(消火設備配管)에 접속되어 있다. 도1에는 소화설비의 급수배관(給水配管)(P)으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S)까지의 배관형태가 도면에 나타나 있다. 급수배관(P)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수원(水源) 및 펌프(pump)와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에 나타내는 급수배관(P)에는 다구 조인트(多口 joint)(1)의 상단의 접속구가 접속하고 있고, 다구 조인트(1)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구(11)에는 플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2)와 가요관(可撓管)(3)을 통하여 스프링클러 헤드(S)가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클러 헤드(S)는 선단이 천장판(C)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노출되어 설치된다. 천장판(C)은 천장 기초재(5)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클러 헤드(S)도 금구(金具)(6)에 의해 천장 기초재(5)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급수배관(P)이나 가요관(3)의 주위 및 천장 기초재(5)의 상방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지만 덕트(duct)나 배선, 조명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는 가요관(3)은 늘어진 상태로 되어 있지만, 스프링클러 헤드(S)를 천장 기초재(5)에 고정하고 설치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코일모양으로 감겨있다. 가요관(3)은 굴곡이 가능한, 금속제의 주름관 또는 수지관(樹脂管)으로 구성된다.
제1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T1)는, 도2∼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구 조인트(1)(제1 파이프조인트(第1 pipe joint))와 플렉시블 조인트(2)(제2 파이프조인트(第2 pipe joint))로 구성된다. 다구 조인트(1)는 관모양이며, 상단의 접속구(10)는 급수배관(P)과 접속되고, 다구 조인트(1)의 측면에는 접속구(11)가 2∼6군데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구(11)는 방사상으로 4군데 형성되어 있고, 접속구(11)에는 플렉시블 조인트(2)가 접속되어 있다.
접속구(11)의 끝면에는 플랜지모양의 단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2)에 인접해서 고리모양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1)의 내부에는 암나사(14)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14)보다 더 안쪽은 밀봉면(15)으로 되어 있어, 후술하는 O링(O ring)(31, 32)이 밀봉면에 배치된다.
다구 조인트(1)의 외주에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7)는 고리모양 홈(13)에 인접하고 있다. 돌출부(17)의 외경은 후술하는 링(41)의 내주지름보다 커서, 링(41)을 끼울 수 없다. 또 리브모양(rib狀)의 돌출부(18)가 다구 조인트(1)의 외주 상에 복수로 형성되고, 리브모양의 돌출부(18)가 돌출부(17)로부터 이웃한 접속구(11)의 돌출부(17)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동일한 접속구(11)로부터 다구 조인트(1)의 상단측을 향해서 리브모양의 돌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조인트(2)는 관모양을 하고 있고, 일단(一端)에 암나사(14)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나사(21)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他端)은 파지부(22)로 되어 있고, 외주단면형상이 육각이나 팔각을 하고 있다. 수나사(21)와 파지부(22)의 사이에는 플랜지모양의 단차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21)와 암나사(14)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단차부(12, 23)의 끝면이 접촉한다. 단차부(23)의 외경은 단차부(12)의 외경과 동일하다. 또한 단차부(23)의 외경은 수나사(21)나 파지부(22)의 외경보다 크다. 단차부(23)의 수나사(21)측의 끝면은, 단차부(12)와의 접촉면이 되고 있다.
플렉시블 조인트(2)의 내부에는 통모양을 한 연결부(連結部)(30)가 수용되어 있다. 연결부(30)의 선단에는, 지수부재(止水部材)로서 사이즈가 다른 2개의 O링(31, 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밀봉면(15)에 접촉한다. 이 O링(31, 32)이 설치된 측의 끝은 플렉시블 조인트(2)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반대측의 끝은 가요관(3)과 접속하고 있다. 가요관(3)의 말단(末端)에는 스프링클러 헤드(S)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30)와 가요관(3)의 접속부분(34)은 플렉시블 조인트(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도면 중에 있어서, 가요관(3)은 금속제의 플렉시블 배관이며, 연결부(30)와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조인트(2)의 내주와 가요관(3)의 외주의 사이에는 간극(間隙)(35)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가요관(3)의 가동영역이 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구 조인트(1)와 플렉시블 조인트(2)를 접속하기 전의 단계나 접속완료 후의 단계에 있어서, 가요관(3)에 과도한 비틀림이나 굽힘 등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도 가동영역이 제한되어 있어 접속부분(34)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연결부(30)의 타단측은 플랜지(36)로 되어 있어, 플랜지(36)는 플렉시블 조인트(2)의 내측에 형성되어 설치된 단(段)(25)과 결합이 가능하다. 단(25)은 플렉시블 조인트(2)의 수나사(21)측의 끝면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30)의 중간부분의 외주에는 링의 일부가 결여된 형상의 스토퍼링(stopper ring)(37)이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링(37)이 단(25)과 결합되고, 플렉시블 조인트(2)의 수나사(21)의 선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이들의 구조에 의해 연결부(30)가 플렉시블 조인트(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연결부(30)에 대하여 플렉시블 조인트(2)가 헛돌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수나사(21)와 암나사(14)가 체결된 후에 있어서, 연결부(30)가 플렉시블 조인트(2)에 대하여 헛돌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령 스토퍼링(37)이 수나사(21)의 선단과 다구 조인트(1)의 단(1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도, 연결부(30)는 스토퍼링(37)에 대하여 헛돌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가요관(3)을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간극(35)에 완충재(緩衝材)(38)(도면 중에 파선으로 나타냄)를 설치 할 수 있다. 완충재(38)의 재질은 고무나 부드러운 수지이며,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 완충재(38)는 단면형상이 C자형의 통모양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완충재(38)의, 측면이 결여된 부분을 열어서 완충재(38)의 내주면을 가요관(3)의 외주면에 씌우고 나서, 완충재(38)를 간극(35)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 때, 완충재(38)의 외주지름을 간극(35)의 내주지름보다 약간 작게 하면, 간극(35)으로 완충재(38)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조인트(2) 또는 연결부(30)의 어느 일방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완충재(38)가, 그 회전의 저항이 되는 일이 없다.
완충재(38)의 변형예로서,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까지 홈을 형성한 원통부재를 사용하면, 상기한 단면형상이 C자형의 완충재(38)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완충재로서 복수의 부재, 예를 들면 복수의 봉모양 부재를 간극(35)에 끼우거나, 혹은 판모양의 러버시트(rubber sheet)를 가요관(3)에 감아서 간극(35)에 삽입시켜 구성하더라도 좋다.
혹은, 파지부(22)의 내주 및 외주에 러버코팅(rubber coating)을 실시함으로써, 가요관(3)을 과부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추가하여, 플렉시블 조인트(2)를 암나사(14)에 나사결합시킬 때에, 파지부(22)의 미끄럼 방지의 효과도 갖고 있다.
또한 완충재(38)의 다른 변형예로서, 완충재(38)의 외주지름을 간극(35)의 내주지름보다 약간 크게 하고 또한 완충재(38)의 내주지름을 가요관(3)의 외주지름보다 크게 구성한다. 완충재(38)를 가요관(3)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완충재(38)를 간극(35)에 삽입시킨다. 완충재(38)의 외주면은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간극(35)의 내주면에 밀착상태가 된다. 이 때, 완충재(38)와 가요관(3) 사이에 조금의 간극을 갖는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 조인트(2) 또는 연결부(30)의 어느 일방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완충재(38)가, 그 회전에 저항이 되는 경우가 없다.
도2는 수나사(21)와 암나사(14)가 나사결합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인디케이터(indicater)(40)를 단차부(12, 2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인디케이터(40)는 C자형을 한 2개의 링(41, 41)의 사이에 단차부(12, 23)의 측면(26)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지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41)의 내측 가장자리는 U자모양으로 되어 있어, 링(41)의 선단(43, 43)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선단(43)의 폭은 고리모양 홈(13)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작다. 링(41)의 내경은 도4에 나타내는 고리모양 홈(13)의 지름(d4) 이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43, 43)을 대략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고리모양 홈(13)의 지름(d4)보다 외경이 작은 장소에는 인디케이터(40)가 계류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링(41, 41)의 간격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12, 23)의 대향하는 끝면끼리가 접촉하고 있을 때의 두께(t)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암나사(14)와 수나사(21)의 나사결합 후에, 인디케이터(40)를 단차부(12, 23)에 장착할 때에, 링(41)의 선단(43)이 단차부(12, 23)에 간섭하여 링(41, 41)이 단차부(12, 23)에 껴지지 않는 경우에는 나사의 체결이 불충분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암나사(14)와 수나사(21)가 체결상태에 있을 때에 단차부(12, 23)의 위치에 인디케이터(40)를 장착하면, 링(41)의 선단(43)은 고리모양 홈(13)에 삽입되어 본체(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2)는 링(41)의 선단(43)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지지부(42a)와, 지지부(42a)와 선단(43)의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지지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2b)는 단차부(12, 23)의 측면(26)을 사이에 두도록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부(42b)의 선단(43)측은, 선단(43)에 대향한 평면(42c)로 되어 있다. 도5(a)에서는 3개의 지지부(42a, 42b, 42b)에 의해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단차부(12, 23)의 측면(26)이 가압되어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42b)의 선단(43)측의 끝은, 약간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어, 지지부(42)의 내측에 지지된 단차부(12, 23)가 빠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링(41, 41)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지지부(42)가 단차부(12, 23)의 측면으로부터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인디케이터(40)는 단차부(12, 23)에만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단차부(12, 23)의 근방에는 인디케이터(40)가 장착할 수 없게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지부(22)에 인디케이터(40)를 장착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링(41)의 내경은 단차부(23)에 인접된 파지부(22)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지지부(42a)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면 인디케이터(40)를 파지부(22)에 장착 할 수 없다. 지지부(42a)를 상방으로 향하게 한 경우에는, 인디케이터(40)를 파지부(22)의 위에 재치(載置)해서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지만, 조금의 진동으로 인디케이터(40)가 떨어져 버리므로, 장기간에 있어서 안정된 상태로 인디케이터(40)를 파지부에 설치할 수는 없다. 플렉시블 배관(F)에 인디케이터(40)를 재치시킨 경우에도 동일하게 인디케이터(40)가 안정되지 않고 떨어진다.
한편, 다구 조인트(1)의 외주부에 인디케이터(40)를 장착시키려고 한 경우에는, 다구 조인트(1)의 외주부에 설치된 돌출부(17)가 인디케이터(40)의 설치를 저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리모양 홈(13)에 인접되어 형성된 돌출부(17)는, 그 외경이 링(41)의 내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돌출부(17)에 인디케이터(40)를 부착하려고 하면 링(41)의 선단(43)과 돌출부(17)가 간섭한다.
또한 리브모양의 돌출부(18)가 설치된 장소에 인디케이터(40)를 장착시키려고 하면, 돌출부(18)가 링(41)의 선단(43)과 간섭하므로 인디케이터(40)를 다구 조인트(1)의 외주부에 장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링(41)과 지지부(42)에 의해 인디케이터(40)는 단차부(12, 23)의 위치에만 장착할 수 있고, 게다가 단차부(12, 23)가 접촉한 상태일 때에 장착 할 수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40)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암나사(14)와 수나사(21)가 체결상태에 있다는 것을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미 설명된 것을 제외하고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수나사(21)와 암나사(14)는 평행나사이며, 나사의 체결을 완료했을 때에, 다구 조인트(1)(제1 파이프조인트)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단차부(12)의 끝면과, 플렉시블 조인트(2)(제2 파이프조인트)의 외주에 형성된 제2 단차부(23)의 끝면이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 나사의 체결상태가 충분한지 아닌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체결 후에 배관의 접속상태를 점검하는 단계에 있어서도, 단차부(12, 23)의 접촉상태에 의해 합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접촉상태의 단차부(12, 23)의 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인디케이터(40)를 구비하고 있다. 인디케이터(40)는, 수나사(21)와 암나사(14)가 체결하고 있어, 지수부재인 O링이 적절하게 찌부러뜨려진 상태일 때에 단차부(12, 23)에 결합이 가능하다. 나사의 체결이 부족한 경우에는, 2개의 단차부(12, 23)의 사이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인디케이터(40)가 단차부(12, 23)에 결합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40)가 2개의 단차부(12, 23)에 장착된 상태일 때에, 지수부재가 기능을 하여 밀폐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나사가 체결상태에 있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40)를 설치할 때에 있어서, 도2와 같이 다구 조인트(1)측에 암나사(14), 플렉시블 조인트(2)측에 수나사(21)를 형성함으로써 인디케이터(40)의 착탈조작을 실시하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40)의 장착위치는 암나사(14)의 선단에 형성된 단차부(12)와, 수나사(21)의 베이스측(base側)에 형성된 단차부(23)로 되어 있다. 단차부(12, 23)의 위치는 다구 조인트(1)의 접속구(11)와 플렉시블 조인트(2)의 중간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다구 조인트(1)의 접속구(11)에 수나사를 형성한 경우에, 돌출부는 다구 조인트(1)의 측면 부근에 형성하게 된다. 또한 다구 조인트(1)는 측면에 복수의 접속구(1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어떤 한개의 접속구(11)에 인디케이터(40)를 장착시키고, 그 이웃한 접속구(11)에 인디케이터(40)를 장착할 때에, 쌍방의 인디케이터(40)가 간섭하게 될 우려가 있다. 도2와 같이 단차부(12, 23)을 다구 조인트(1)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면, 인접하는 접속구(11)에 설치된 인디케이터(40)에 대하여 적절한 스페이스(space)가 확보되어, 인접하는 인디케이터(40)와의 간섭이 방지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1에 있어서, 실내의 개장(改裝) 등에 의해 스프링클러 헤드(S)의 설치장소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가요관(3)에 비틀림이나 굽힘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지만, 가요관(3)이 접속된 연결부(30)가 플렉시블 조인트(2)의 내부에서 헛돌아, 비틀림에 의한 가요관(3)에의 과부하 및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가요관(3)의 비틀림에 의해 플렉시블 조인트(2)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수나사(21)와 암나사(14)가 풀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굽힘력에 대하여는, 간극(35)에 의해 가요관(3)의 가동영역을 제한하거나, 간극(35)의 내부에 완충재(38)를 설치함으로써 가요관(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에 의해 연결부(30)와 가요관(3)의 접속장소에 과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2실시형태(도6∼도7)
도6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T2)는, 피메일 조인트(female joint)(51)(제1 파이프조인트)와 메일 조인트(male joint)(52)(제2 파이프조인트)로 구성된다. 또한, 제1실시형태와 구조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파이프 조인트(T2)는 피메일 조인트(51)와 메일 조인트(52)를 결합부재(53)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이다.
피메일 조인트(51)는 관모양이며, 끝면에 플랜지모양의 단차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는 밀봉면(15)으로 되어 있다. 피메일 조인트(51)는 제1실시형태의 다구 조인트(1)의 접속구(11)의 구성으로 바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메일 조인트(52)는 관모양을 하고 있고 일단에 플랜지모양의 단차부(23)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他端)은 파지부(22)로 되어 있다. 메일 조인트(52)의 내부에는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한 연결부(30)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재(53)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링의 일부가 결여된 C자형을 하고 있고, 금속판을 굴곡시켜 구성하고 있다. 결합부재(53)의 선단(55, 55)은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고, 선단(55)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는 외부로 돌출한 기부(基部)(56)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55)과 기부(56)의 사이에는 슬릿(slit)(5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57)에 접촉상태의 단차부(12, 23)을 삽입시켜 단차부(12, 23)가 멀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파이프 조인트(T2)를 접속하는 때는, 메일 조인트(52)로부터 돌출해서 설치된 연결부(30)를 피메일 조인트(51)에 삽입시킨다. 메일 조인트(52)의 단차부(23)의 끝면이 피메일 조인트(51)의 단차부(12)의 끝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결합부재(53)을 단차부(12, 23)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재(53)의 선단(55, 55)을 단차부(12, 23)의 측면으로 가압시키면, 기부(56)를 지점으로 하여 선단(55, 55)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린다. 또한 결합부재(53)를 단차부(12, 23)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슬릿(57)에 단차부(12, 23)가 끼워짐과 아울러 선단(55, 55)은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결합부재(53)의 내주면은 피메일 조인트(51) 및 메일 조인트(52)의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슬릿(57)에 의해 단차부(12, 23)가 협지(挾持)된다. 이에 따라, 피메일 조인트(51)와 메일 조인트(52)의 접속상태가 유지된다.
제2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T2)는, 제1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보다 배관구경이 작은 것이거나, 내부유체의 압력이 낮은 장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배관구경은 16A 이하로, 수도설비에 직접 연결하는 장소에 사용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도8)
도8에 나타내는 제3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T3)는, 니플(nipple)(61)(제1 파이프조인트)과 캡너트(cap nut)(62)(제2 파이프조인트)로 구성된다. 또한, 제1실시형태와 구조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파이프 조인트(T3)는, 제1실시형태의 파이프 조인트(T1)의 수나사와 암나사를 치환(置換)하고, 제1 파이프조인트를 니플로 구성한 것이다.
니플(61)은 관모양이며, 도면 중에 있어서 우측의 끝은 테이퍼 나사구조에 의해 다구 조인트(63)와 접속되어 있다. 니플(61)은 다구 조인트(63)에 미리 접속된 상태에서 급수배관(P)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니플(61)과 다구 조인트(63)는 테이퍼 나사에 의해 접속되므로 나사부에 밀봉테이프를 감거나 혹은 액상밀봉을 도포하고 나서 나사결합된다. 좌측의 끝은 캡너트(62)의 암나사(64)와 나사결합이 가능한 수나사(65)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는 밀봉면(15)으로 되어 있다. 니플(61)의 중간은 외주단면형상이 6각형이나 8각형을 한 파지부(66)로 되어 있다.
캡너트(62)는 관모양이며, 도면 중에 있어서 우측의 끝의 내주에는 암나사(64)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끝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파지부(22)로 되어 있다. 캡너트(62)의 내부에는 제1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한 연결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암나사(64)의 내측에 지수부재인 O링(31, 32)이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연결부(30)의 길이를 짧게 구성하고 있지만, 제1실시형태와 같이 O링(31, 32)을 제1 파이프조인트로부터 돌출해서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 파이프 조인트(T3)는, 간극(35)에 고무 등의 부드러운 재질에 의한 링부재(67)를 끼워서 구성하더라도 좋다. 링부재(67)로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완충재(38)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완충재(38)는, 가요관(3)의 외주에 씌워진 상태로 있고 가요관(3)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 캡너트(62)만을 도면 중의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단(25)이 완충재(38)의 끝면과 간섭하여 캡너트(62)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T1, T2, T3 파이프조인트
1, 63 다구 조인트
2 플렉시블 조인트
3 가요관
11 접속구
12, 23 단차부
13 고리모양 홈
14, 64 암나사
15 밀봉면
21, 65 수나사
22, 66 파지부
30 연결부
31, 32, O링
35 간극
38 완충재
40 인디케이터
41 링
42 (42a, 42b) 지지부
51 피메일 조인트
52 메일 조인트
53 결합부재
61 니플
62 캡너트

Claims (13)

  1. 소화설비(消火設備)에 설치되는 배관(配管)으로서,
    관모양(管狀)을 하고 있고 급수장치(給水裝置)에 접속되는 급수배관에 설치된 제1 파이프조인트(第1 pipe joint)와,
    관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제1 파이프조인트와의 접속구조(接續構造)를 구비한 제2 파이프조인트(第2 pipe joint)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 통모양의 연결부(連結部)가 설치되고,
    연결부의 일단(一端)은 상기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서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가 설치된 배관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의 외주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주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파이프조인트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부가 헛돌 수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스토퍼링(stopper ring)이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링은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측에 형성된 단(段)에 결합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는 제1 단(第1 段)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단과 결합하는 제2 단(第2 段)이 연결부에 형성되어, 제1 단과 상기 제2 단이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로 제2 파이프조인트의 끝과 결합하는 스토퍼링이 연결부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파이프조인트와 제2 파이프조인트는 나사구조에 의해 접속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파이프조인트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와, 제2 파이프조인트의 외주에 형성된 단차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C자형의 결합부재를 갖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타단(他端)은 제2 파이프조인트로부터 제1 파이프조인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파이프조인트의 내부에 삽입되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타단에는 지수부재(止水部材)가 설치되어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파이프조인트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파이프조인트에는 상기 암나사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2 파이프조인트에 있어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배관이 접속한 측의 단부(端部)에 러버코팅(rubber coating)을 실시한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 완충재(緩衝材)를 삽입시킨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가 접속된 배관은 금속제의 주름관 또는 수지관(樹脂管)인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KR1020187017376A 2016-02-02 2017-02-01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KR20180111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6/052987 2016-02-02
PCT/JP2016/052987 WO2017134736A1 (ja) 2016-02-02 2016-02-02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JP-P-2016-215842 2016-11-04
JP2016215842 2016-11-04
PCT/JP2017/003516 WO2017135271A1 (ja) 2016-02-02 2017-02-01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78A true KR20180111778A (ko) 2018-10-11

Family

ID=5949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376A KR20180111778A (ko) 2016-02-02 2017-02-01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WO2017135271A1 (ko)
KR (1) KR20180111778A (ko)
CN (1) CN108495688A (ko)
WO (1) WO2017135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907767YA (en) * 2017-03-07 2019-09-27 Swagelok Co Hybrid hose assembly
CN108426112A (zh) * 2018-05-17 2018-08-21 海宁市晟达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消防波纹管的焊接接头
JP7160709B2 (ja) * 2019-02-05 2022-10-25 芝浦機械株式会社 緩み止め具
CN112870611B (zh) * 2021-01-27 2022-02-15 浙江德运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灭火***及其消防灭火方法
JP7203468B1 (ja) 2022-05-18 2023-01-13 トーフレ株式会社 継手構造及び配管の捻じれを吸収する配管設備
JP7241443B1 (ja) * 2022-05-18 2023-03-17 トーフレ株式会社 配管の捻じれを吸収する配管構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785B2 (ja) * 1991-12-12 1996-09-11 株式会社ハーマン 管継ぎ手
JPH09217871A (ja) * 1996-02-09 1997-08-19 Hotsuto Kk 配管部材の接続構造
JP3682666B2 (ja) * 1996-04-30 2005-08-10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管体構造
JP2001104507A (ja) * 1999-10-08 2001-04-17 Nippon Kokan Pipe Fittings Mfg Co Ltd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取付け装置
JP2005279200A (ja) * 2004-03-29 2005-10-13 Showarasenkan Seisakusho Co Ltd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管の接続構造、及び、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管
JP2007330303A (ja) * 2006-06-12 2007-12-27 Yamato Protec Co スプリンクラー用可撓管の接続構造
CN101520116B (zh) * 2009-02-25 2011-01-05 张康盛 波纹管接头
JP6446629B2 (ja) * 2014-03-18 2019-01-09 丸一株式会社 管体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271A1 (ja) 2017-08-10
JP3225421U (ja) 2020-03-05
CN108495688A (zh) 2018-09-04
JPWO2017135271A1 (ja)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778A (ko) 소화설비배관의 접속구조
US11054068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ire extinguishing system piping
WO2014080732A1 (ja) 管継手用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管継手
US10378210B2 (en) Concrete tendon gripping and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65919B2 (en) Termination for sheathed tubing with leak containment and detection provisions
JP2008275059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3540963A (ja) 挿入型配管用連結装置
KR20220041869A (ko) 나사식 피팅을 위한 하이브리드 나사산 기하학적 형상
JP4909949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カバー及びスプリンクラー配管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JP3233135U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6733096B2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及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150019500A (ko) 풀림 방지용 배관 연결장치
JP3226914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TW201732184A (zh) 消防設備配管之連接構造
JP2018050653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2018183578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2018183577A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6853935B2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KR101796343B1 (ko) 취부구조를 갖는 밸브
JP2019113155A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KR20100107930A (ko) 비계 구조물용 보호 캡
ITMI980370U1 (it) Pressacavi per cavi entro tubi protettivi in impianti elettrici
KR101351960B1 (ko) 끼움형 배관 연결장치
CN117662884A (zh) 一种高压扁平软管用接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