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160A -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160A
KR20180106160A KR1020170033876A KR20170033876A KR20180106160A KR 20180106160 A KR20180106160 A KR 20180106160A KR 1020170033876 A KR1020170033876 A KR 1020170033876A KR 20170033876 A KR20170033876 A KR 20170033876A KR 20180106160 A KR20180106160 A KR 20180106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user
hel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택
남희원
신용민
Original Assignee
오민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택 filed Critical 오민택
Priority to KR102017003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160A/ko
Publication of KR2018010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헬퍼 단말기로 사용자 본인이 위급상황에 처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게 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자전거 등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세이퍼 단말기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자전거가 넘어지거나 떨어질 때 겪게 되는 기울기나 가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자동으로 판단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세이퍼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구조자인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사실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통지하여 신속한 구조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Notification system for automatic notifying of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위급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헬퍼 단말기로 사용자 본인이 위급상황에 처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게 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자전거 등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세이퍼 단말기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자전거가 넘어지거나 떨어질 때 겪게 되는 기울기나 가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자동으로 판단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세이퍼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구조자인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사실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통지하여 신속한 구조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연료를 소모하지 않고 사용자의 근력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수단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이동수단용도로 이용되던 것을 넘어 건강을 위한 운동이나 레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사용자의 근력에 의존하여 구동되므로 비교적 느린 속도로 이동하게 되지만, 자전거를 타는 사용자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주행하게 되므로, 자전거를 타는 동안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넘어지거나 추락할 경우 상해를 입기 쉬우며, 자전거끼리 충돌하는 경우에도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될 위험이 늘 존재하곤 한다.
또한, 자전거를 타는 공간이 자전거 도로뿐만 아니라, 차량이 주행하는 일반 도로나, 보행자들이 다니는 보행로 등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은 자전거를 타는 동안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최근 경찰청에서 발표된 최근 5년간 자전거 교통사고 조사결과에 의하면, 매년 2만건에 육박하는 자전거 교통사고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로 매년 약 300명의 사상자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9994호에 개시된 ‘자전거 안전 시스템’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208호에 개시된 ‘자전거 안전거리 확보 장치’ 등 자전거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나 장치에 대한 기술들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9994호에 개시된 ‘자전거 안전 시스템’은 야간에 자전거의 영역을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주행 중인 자전거 주변으로 접근해 오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자전거의 존재와 위치를 정확히 알릴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208호에 개시된 ‘자전거 안전거리 확보 장치’는 자전거 휠이 지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센서로 자전거의 속도를 감지한 후 자전거의 후방을 향하여 발광하는 레이저 모듈을 동작시켜 후방 라이더와 전방 라이더 간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하여 부주의로 인한 자전거 상호간의 충돌이나 추돌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이나 선행특허들의 대다수는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들에 치중하게 됨이 일반적이었다.
물론,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이 무엇보다 중요함은 당연하지만, 부득이하게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신속하고 적절히 후속조치를 취하여 부상을 입거나 다친 사용자를 신속히 병원 등으로 이동시켜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도 필요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동안에도 항상 휴대하게 되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1468호에 개시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1468호에 개시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은 자전거 장착부와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킴으로써, 후방감지센서 모듈에서 센싱된 차량과 자전거의 안전거리 미확보시 스마트기기에 경고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전거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은 자전거를 타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였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자전거 후방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는바, 이 또한 사고발생 이후의 상황을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에 따라, 자전거를 타는 도중 사용자가 처하게 되는 충돌이나 추돌, 또는 넘어짐이나 추락과 같은 여러 위험한 사고 상황이 발생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의식을 잃은 위급상황에서도 사고의 발생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미리 등록해 놓은 다른 사람이나 긴급구조센터 또는 소방관제센터 등에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고가 발생된 현재 위치를 함께 알려서, 사고 발생 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요청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자전거 등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세이퍼 단말기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자전거가 넘어지거나 떨어질 때 겪게 되는 기울기나 가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자동으로 판단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세이퍼 단말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구조자인 헬퍼 단말기 등으로 사고발생사실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통지하여 신속한 구조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은 착탈 가능하게 자전거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전거가 움직이는 기울기나 가속도를 감지하여 자전거의 기울기나 가속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이르게 되면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이퍼 단말기 및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미리 등록해 놓은 헬퍼(Helper)의 연락처를 도출한 후,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헬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세이퍼 단말기는 자전거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하우징이 이동하는 속도를 토대로 가속도를 산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산출된 가속도의 값을 미리 설정해 놓은 위급상황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위급상황 발생신호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위급상황 판단부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위급상황 판단부에서의 결정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는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하여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음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세이퍼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망상에서 상호 매칭되어 통신로를 형성하는 세이퍼 매칭부,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앱활성화부, 상기 앱활성화부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대기시간 경과 후,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헬퍼의 연락처를 도출해 낸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는 사고발생알림부 및 상기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후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조작에 의해 상기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고발생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헬퍼(helper)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헬퍼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정보는 사고발생사실을 알리며 도움을 요청하는 구조요청문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알림부는 상기 헬퍼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정보를 순차 전송하되, 후순위 헬퍼 단말기로의 사고발생정보 전송여부는 일정 시간내에 선순위 헬퍼 단말기에서의 피드백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수령되는지를 판단하여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자전거 등을 타는 도중 위급상황에 처하게 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휴대폰으로 사용자 본인이 위급상황에 처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 후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게 하여, 자전거 등을 타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를 구조하기 위한 구조행위가 신속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자전거 등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세이퍼 단말기에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자전거가 넘어지거나 떨어질 때 겪게 되는 기울기나 가속도의 급격한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었음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어, 사고로 인하여 사용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도 사고발생사실을 미리 등록해 놓은 헬퍼나 긴급구조센터 또는 소방관제센터 등에 자동으로 통지하여 신속한 구조행위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세이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등록해 놓은 구조자인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사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함께 통지하여 신속한 구조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세이퍼 단말기에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가속도와 기울기의 변화값 설정 예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이퍼 단말기를 자전거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헬퍼(Helper)를 등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세이퍼 단말기에서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받은 후 사용자 단말기에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헬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사고발생정보와 함께 전송된 사용자의 현재위치가 맵상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 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세이퍼 단말기에서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가속도와 기울기의 변화값 설정 예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이퍼 단말기를 자전거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은 착탈 가능하게 자전거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전거가 움직이는 기울기나 가속도를 감지하여 자전거의 기울기나 가속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이르게 되면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이퍼 단말기(100) 및 세이퍼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미리 등록해 놓은 헬퍼(Helper)의 연락처를 도출한 후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헬퍼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이퍼 단말기(100)는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을 타고 이동하는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였는지 여부를 단말기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부(140)가 구비되어 있는 독립적인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세이퍼 단말기(100)는 자전거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하우징(미도시),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110), 상기 하우징이 이동하는 속도를 토대로 가속도를 산출하는 가속도 센서(120), 기울기 센서(110)에서 측정된 기울기와 가속도 센서(120)에서 산출된 가속도의 값을 미리 설정해 놓은 위급상황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로의 위급상황 발생신호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위급상황 판단부(130),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위급상황 판단부(130)에서의 결정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기울기 센서(110)와 가속도 센서(120)는 자전거를 타는 사용자가 사고를 당하는 등 위급상황에 처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급작스러운 추돌이나 충돌 또는 추락과 같은 사고를 당하였는지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자전거에 급작스러운 기울기 변화나 급작스러운 속도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게 된다.
즉,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 다른 자전거나 자동차와 부딪치게 될 경우에는 부딪칠 때의 충격에 의해 자전거가 쓰러지면서 급격한 기울기 변화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 추락하게 될 경우에는 급격한 속도 변화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동안 바르게 세워져 있던 자전거가 쓰러지면서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거나, 사용자의 근력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범위를 넘을 정도로 속도 또는 가속도가 급격하게 변할 때에는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전거의 기울기와 가속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만으로도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사용자가 도움이 필요한 위급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자전거에 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자전거 혼자 쓰러질 경우에도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고통지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모드를 해제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고발생정보가 헬퍼에게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기울기와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110)와 가속도 센서(120)가 구비된 세이퍼 단말기(100)의 하우징을 결합수단(통상적인 착탈식 결합수단이 자유롭게 채택될 수 있음)에 의해 자전거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자전거가 기울어지는 정도를 자전거와 함께 기울어지는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측정하여 인지할 수 있고, 자전거의 속도변화나 가속도 변화도 하우징의 속도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급상황 판단부(130)는 기울기 센서(110)와 가속도 센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전거를 타는 동안 기울기 센서(110)나 가속도 센서(120)로부터 전송되는 값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기울기의 변화정도 또는 가속도의 변화정도를 임계값과 비교하며 위급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단순히 특정 시점의 기울기 값이나 가속도 값으로 임계값을 설정하는 대신 기울기의 변화 정도나 가속도의 변화 정도를 임계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자전거가 넘어질 경우의 급격한 기울기 변화 또는 자전거가 추락할 경우의 급격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위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급상황 판단부(130)는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울기나 가속도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위급상황의 임계값으로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임계값을 사용자가 변경하여 재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값의 변화나 가속도 값의 변화가 작을 경우에는 안전한 라이딩이 이루어지고 있는 양호한 상황으로 볼 수 있지만, 기울기 값의 변화가 커짐과 동시에 가속도 값의 변화도 커질 경우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넘어지거나 추락하게 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일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기울기 값의 변화는 크지만 가속도 값의 변화가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제어할 수 있는 상황에서 넘어지는 경우로 볼 수 있고, 기울기 값의 변화는 작지만 가속도 값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경사진 도로를 내려 오며 가속을 하는 경우 등 자전거의 라이딩이 가능한 상황으로 볼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기울기 값의 변화와 가속도 값의 변화가 모두 일정한 임계값을 넘을 경우에만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기울기 값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고 가속도 값의 변화만이 일정한 임계값을 넘을 경우에만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가속도 값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고 기울기 값의 변화만이 일정한 임계값을 넘을 경우에만 위급상황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산지나 험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위급상황이 발생되지 않았음에도 불규칙한 지면으로 인해 자전거가 자주 넘어질 가능성이 높은바, 기울기 센서(110)에서 측정되는 기울기 변화는 고려하지 않고 가속도 센서(120)에서 측정되는 가속도 변화만을 위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고려될 수 있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드해제를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전한 라이딩이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급상황 판단부(130)는 기울기 센서(110)와 가속도 센서(120)에서 전송되는 값 또는 이러한 값을 연산하여 산출된 기울기 값의 변화 정도나 가속도 값의 변화 정도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임계값과 비교한 결과,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세이퍼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미리 매칭되어 있어,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할 경우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인 게이트 웨이를 형성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위급상황 판단부(130)는 자전거가 쓰러졌는지 또는 추락하였는지 등 위급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한 후 그 판단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것인바, 위급상황 판단부(13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는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의 형태라기 보다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순한 트리거 신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거리 통신부(140)는 위급상황 판단부(13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모듈이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세이퍼 단말기(100)에는 자전거를 타고 주행 중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는 근거리 통신부(1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사고통지모드가 활성화되었을 때, 헬퍼나 구급센터 등으로 전송되어 사고발생지점의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사고 현황을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이퍼 단말기(150)에는 외부로 경고음 등을 송출하여 사고를 당한 후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한 음향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자전거 운행 중 사고를 당하여 사용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에도 미리 등록해 놓은 가족 등 헬퍼(Helper)나 119 구급센터 등에 자동으로 신고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경고음 등을 통하여 주위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되므로, 사고 발생 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후속조치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이퍼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세이퍼 단말기(100)를 오토바이에도 부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헬멧에 부착하여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세이퍼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나 팔찌, 모자, 또는 등산용 헤드라이트 등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착탈 가능한 다양한 결합수단을 채택하여 여러 장소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세이퍼 단말기(100)에서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격지에 있는 헬퍼 단말기(300)로 메시지 형태의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수신한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가 가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비된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전거를 타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항상 휴대할 수 있으며, 세이퍼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메시지 형태로 생성된 사고발생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은 헬퍼 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세이퍼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망상에서 상호 매칭되어 통신로를 형성하는 세이퍼 매칭부(210), 세이퍼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앱활성화부(220), 앱활성화부(220)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대기시간 경과 후 메시지 형태의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헬퍼의 연락처를 도출해 낸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헬퍼 단말기(300)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는 사고발생알림부(230), 상기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후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조작에 의해 상기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해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이퍼 매칭부(210)는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세이퍼 단말기(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와 세이퍼 단말기(100) 상호간을 미리 매칭시켜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세이퍼 매칭부(210)와 세이퍼 단말기(100)가 상호 인식 가능한 거리 내에 있을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자동으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 거리 내에 있을 경우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단말기들 상호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자동으로 형성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이미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것과 마찬가지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사고발생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헬퍼(helper)의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헬퍼 등록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4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사고발생정보 상의 구조요청문자 내용을 미리 입력해 놓을 수 있음은 물론, 헬퍼 등록부(250)에 의해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할 헬퍼 단말기(300)의 연락처를 적어도 하나 이상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1순위 헬퍼와 2순위 헬퍼와 3순위 헬퍼를 등록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등록하고자 하는 헬퍼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순위에 있는 헬퍼 단말기(300)의 연락처를 언제든지 수정하거나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헬퍼 등록부(250)에 의해 등록되는 헬퍼 단말기(300)의 연락처는 상기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때 함께 도출되어 사고발생알림부(230)에서 순차적으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앱활성화부(220)는 자전거를 타던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미리 등록된 헬퍼 단말기(300)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은 세이퍼 단말기(100)가 근거리 통신망 상에서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될 경우, 세이퍼 단말기(100)와의 통신로를 형성한 후 위급상황 발생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대기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세이퍼 단말기(100)에서 위급상황 발생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한 앱활성화부(220)에서 대기모드로 구동되던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사고발생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사고통지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사고발생알림부(230)는 상기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사고통지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일정한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미리 등록되어 있던 구조요청문자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고, 헬퍼 등록부(250)에 등록되어 있는 헬퍼 단말기(300)의 연락처를 도출해 낸 후, 원거리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해당 헬퍼 단말기(300)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고발생알림부(230)는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서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GPS 등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함께 도출해 내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고발생정보에는 구조요청문자뿐만 아니라, 현재 사고가 발생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정확한 위치로의 구조대 파견 등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사고발생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발생사실을 알리며 도움을 요청하는 구조요청문자(도 6에서는 “긴급상황입니다! 도와주세요!”라는 문자로 표시됨)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도 6에서는 현재의 위도 값과 경도 값, 및 주소가 위치정보로 표시됨)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발생정보는 도 6의 웹페이지 주소와 도 7에 도시된 지도정보와 같이, 메시지 형태의 사고발생정보에는 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하고 있는 장소를 지칭하는 맵이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맵상에 현재 사용자의 위치가 함께 표출되게 함으로써, 사고장소로 이동하는 헬퍼나 구조요원 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신속한 구조대 파견 등 사고 후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이퍼 단말기(100)에 카메라부(150)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사고발생정보와 함께 또는 사고발생정보의 전송 후 후속정보로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추락과 같은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사고현장에서 사용자 발견이 용이하도록 보조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사고원인에 대한 조사의 편의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발생알림부(230)는 헬퍼 등록부(250)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헬퍼 단말기(300) 모두로 상기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고발생정보를 수신한 헬퍼가 직접 사고현장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기보다는 119 구급센터 등으로 사고발생사실을 알리며 구조신고를 함이 일반적이라 할 것인바, 상기 사고발생정보가 복수의 헬퍼 단말기로 모두 전송될 경우 119 구급센터에 구조신고가 중복접수 될 우려가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사고발생알림부(230)는 헬퍼 등록부(250)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헬퍼 중 1순위로 등록된 헬퍼 단말기(300)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한 후 일정 시간 이내(예를 들어 2분 이내)에 그에 대한 전화나 답신 문자가 수령될 경우에는 사고발생정보의 추가적인 송신을 종료하지만, 일정 시간 이내에 1순위 헬퍼로부터의 전화나 답신 문자가 수령되지 않을 경우에는 2순위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정보를 순차 전송하되, 후순위 헬퍼 단말기로의 사고발생정보는 선순위 헬퍼 단말기에서의 전화나 답신 문자 등의 피드백이 수령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결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해제부(240)는 앱활성화부(220)에서 수신한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가 세이퍼 단말기(100)를 조작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해제신호에 의해, 사고통지모드로 활성화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다음 위급상황 발생신호의 수령을 대기하도록 구성된다.
세이퍼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가 기울기 센서(110)와 가속도 센서(120)의 측정값을 토대로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단순히 자전거 혼자 넘어진 경우 또는 다른 장애물 등에 부딪혀서 넘어졌으나 사용자가 크게 다치지 않아 구조신고까지 이루어질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세이퍼 단말기(100)에서는 위급상황 발생신호가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는 헬퍼 단말기(300)로 구조요청문자가 포함된 사고발생정보의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모드해제부(240)에 의해 불필요한 사고발생정보의 생성과 헬퍼 단말기(300)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고통지모드가 활성화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처럼 모드해제부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사고발생정보를 수신한 헬퍼로서도 사용자에게 직접 전화하거나 문자를 보내는 등 사고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불필요한 구조신고와 그로 인한 구급대원 파견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드해제부(240)는 사용자가 세이퍼 단말기(100)나 사용자 단말기(200)를 직접 조작하여 입력하는 수동 조작에 의해 사고통지모드로 활성화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대기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위급상황 판단부(130)에서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내에 기울기 센서(110)나 가속도 센서(120)에서 측정되는 값이 다시 전송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어나서 다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드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상기 사고발생알림부에서 헬퍼 단말기(300)로의 사고발생정보 전송 후 어느 헬퍼로부터도 피드백이 없을 경우, 긴급 구조센터나 소방관제센터로 사고발생정보를 직접 전송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게 한 구조요청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헬퍼 등록부(250)에서 등록되는 마지막 헬퍼는 별도의 등록절차가 없어도 긴급 구조센터의 연락처를 지칭하는 119로 등록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세이퍼 단말기 110 : 기울기 센서
120 : 가속도 센서 130 : 위급상황 판단부
140 : 근거리 통신부 150 : 카메라부
160 : 음향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세이퍼 매칭부
220 : 앱활성화부 230 : 사고발생알림부
240 : 모드해제부 250 : 헬퍼 등록부
260 : 구조요청부
300 : 헬퍼 단말기

Claims (12)

  1. 착탈 가능하게 자전거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전거가 움직이는 기울기나 가속도를 감지하여 자전거의 기울기나 가속도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이르게 되면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세이퍼 단말기; 및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미리 등록해 놓은 헬퍼(Helper)의 연락처를 도출한 후,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헬퍼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퍼 단말기는,
    자전거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하우징이 이동하는 속도를 토대로 가속도를 산출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기울기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산출된 가속도의 값을 미리 설정해 놓은 위급상황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급상황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위급상황 발생신호의 전송여부를 결정하는 위급상황 판단부; 및
    근거리 무선통신망 상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위급상황 판단부에서의 결정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상황 판단부는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울기나 가속도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위급상황의 임계값으로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는 자전거를 타고 주행 중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는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하여 위급상황에 놓인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음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활성화되고, 사고발생정보를 미리 등록해 놓은 헬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세이퍼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근거리 무선통신망상에서 상호 매칭되어 통신로를 형성하는 세이퍼 매칭부;
    상기 세이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한 후,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키는 앱활성화부;
    상기 앱활성화부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의 대기시간 경과 후, 사고발생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헬퍼의 연락처를 도출해 낸 후,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는 사고발생알림부; 및
    상기 위급상황 발생신호에 의해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후 입력되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조작에 의해 상기 세이퍼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고발생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사고발생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헬퍼(helper)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헬퍼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정보는 사고발생사실을 알리며 도움을 요청하는 구조요청문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알림부는 상기 헬퍼 등록부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헬퍼 단말기로 사고발생정보를 순차 전송하되, 후순위 헬퍼 단말기로의 사고발생정보 전송여부는 일정 시간내에 선순위 헬퍼 단말기에서의 피드백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수령되는지를 판단하여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고발생알림부에서 헬퍼 단말기로의 사고발생정보 전송 후 어느 헬퍼로부터도 피드백이 없을 경우, 긴급 구조센터나 소방관제센터로 사고발생정보를 직접 전송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게 한 구조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해제부는 위급상황 발생신호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기울기 센서나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이 다시 전송될 경우, 사용자가 일어나서 다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위급상황 판단부에서 생성된 모드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사고통지모드를 해제하고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1020170033876A 2017-03-17 2017-03-17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20180106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876A KR20180106160A (ko) 2017-03-17 2017-03-17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876A KR20180106160A (ko) 2017-03-17 2017-03-17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60A true KR20180106160A (ko) 2018-10-01

Family

ID=6387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876A KR20180106160A (ko) 2017-03-17 2017-03-17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1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59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도희 스마트 랜턴
CN114359805A (zh) * 2022-01-04 2022-04-15 济南昊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骑行状态采集及事故分析处理方法和***
CN115862186A (zh) * 2022-11-05 2023-03-28 重庆菜鸽途讯科技有限公司 摩托车安全监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859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도희 스마트 랜턴
CN114359805A (zh) * 2022-01-04 2022-04-15 济南昊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骑行状态采集及事故分析处理方法和***
CN115862186A (zh) * 2022-11-05 2023-03-28 重庆菜鸽途讯科技有限公司 摩托车安全监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6687A1 (en) Helmet
JP2019164799A (ja) 非常用装置を備える衣服および関連する緊急方法
TWM557690U (zh) 疲勞駕駛監測裝置
US9769638B2 (en) Safety helmet and vehicle system, circuit and device
US10501051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control system
CN107248303A (zh) 突发交通事故报警装置及方法
EP3345793B1 (en) Automatic alerting device and automatic alerting method
KR101916199B1 (ko) 교통사고 자동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533515A (ja) オープンな道路車両の事故状況を識別するための装置
CN206931227U (zh) 一种突发交通事故报警装置
KR20180106160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EP3509047A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reporting motorcycle accidents
KR20170055178A (ko) 차량사고 알림시스템
KR20170048107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20190066215A (ko) 자전거 통합 관리 장치
KR101064145B1 (ko)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KR101569068B1 (ko) 단체버스의 안전운행 원격모니터링 관리방법 및 장치
KR102158591B1 (ko) 실시간 사고 감지 및 사고를 자동으로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06338A (ko)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CN104766453A (zh) 一种基于汽车气囊的自动报警***
KR20100028993A (ko) 낙상폰과 낙상폰을 이용한 구조시스템
KR101878309B1 (ko) 안전경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경보 시스템
TW202131289A (zh) 智慧型車用頭盔
KR20200109285A (ko) 위치 정보 기반의 실시간 사고감지와 사고정보를 전파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47864A1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service system, and method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