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332A -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 Google Patents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332A
KR20180079332A KR1020187013011A KR20187013011A KR20180079332A KR 20180079332 A KR20180079332 A KR 20180079332A KR 1020187013011 A KR1020187013011 A KR 1020187013011A KR 20187013011 A KR20187013011 A KR 20187013011A KR 20180079332 A KR20180079332 A KR 2018007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er
belt
auxiliary unit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146B1 (ko
Inventor
자샤 로이쉘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7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4Two or more finally actua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를 위한 벨트 텐셔너(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벨트 텐셔너는, 텐셔너 하우징(2)과; 텐셔너 레버(3)와; 텐셔너 하우징(2) 내에서 텐셔너 레버(3)의 회동 가능한 반경 방향 지지를 위한 미끄럼 베어링;을 포함하고, 텐셔너 레버(3)에 속하는 베어링 상대 부재는 텐셔너 하우징(2)에 할당된 제2 베어링 상대 부재와 미끄럼 접촉되며, 이들 두 베어링 상대 부재 중 하나는 자신을 회전 고정 방식으로 파지하는 각각의 부품 상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 현수된다.

Description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를 위한 벨트 텐셔너(belt tensioner)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벨트 텐셔너는, 텐셔너 하우징과; 텐셔너 레버와; 텐셔너 하우징 내에서 텐셔너 레버의 회동 가능한 반경 방향 지지를 위한 미끄럼 베어링;을 포함하며, 텐셔너 레버에 속하는 베어링 상대 부재(bearing partner)는 텐셔너 하우징에 할당된 제2 베어링 상대 부재와 미끄럼 접촉된다.
그러한 벨트 텐셔너들이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대 상기 벨트 텐셔너는 진자 텐셔너(pendulum tensioner)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진자 텐셔너들은 대안적으로 진자 롤러 텐셔너 또는 링 텐셔너라고도 지칭된다. 이들 텐셔너는 선행 기술로부터 이미 다양한 유형들로 공지되어 있다.
이런 맥락에서, 예컨대 DE 10 2011 084 680 B3호는, 연속 순환 벨트; 기계 하우징 및 구동 휠을 구비한 전기 기계; 및 벨트를 통해 구동 휠과 구동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추가 구동 휠;을 포함하는 벨트 드라이브를 위한 인장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인장 장치 자체는, 미끄럼 베어링에 의해 구동 휠의 축을 중심으로 기계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텐셔너 하우징; 벨트의 순환 방향으로 구동 휠의 전방 및 후방에서 벨트에 예압력을 가하는 2개의 인장 롤러; 상기 예압력을 생성하는 스프링 수단; 상기 스프링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운동 가능하게 텐셔너 하우징 내에 지지된 인장 아암으로서, 인장 롤러들 중 일측 인장 롤러는 인장 아암 상에 지지되고 타측 인장 롤러는 텐셔너 하우징 상에 위치 고정되게 지지되는, 인장 아암; 및 텐셔너 하우징을 축 방향으로 덮는 베어링 캐리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선행 기술이 EP 2 557 295 B1호 및 DE 10 2012 209 028 A1호로부터도 공지되어 있다.
디커플링 텐셔너들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들(self-aligning bearing)은 스타트/스톱 드라이브들의 임계 상황에 놓일 수 있는데, 상기 임계 상황에서는 특히 상기 드라이브들의 레이아웃으로 인해 합력 및 이에 수반되어 작아지는, 자동 조심 베어링에서의 반경 방향 힘과 매우 높은 동적 거동의 불리한 상황에 의해, 일측 마찰 상대 부재(friction partner)가 분리되어(떼내어져서) 타측 마찰 상대 부재에 부딪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통상적으로, 요컨대 텐셔너 레버의 일부분인 베이스 플레이트가 중첩 성형(overmolding)되며, 상기 중첩 성형된 단부는 텐셔너 하우징의 일부분인 로크 와셔(lock washer)와 어댑터 플레이트(adapter plate) 사이에 파지된다. 이는, 축 방향 길이들은 간단하게 조정될 수 있어서 무관하지만, 반경 방향에서는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이는 불리한 조건에서 반경 방향으로의 타격 또는 채터(chatter)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어댑터 플레이트 및 로크 와셔는 제너레이터 상에 세워져서 장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는 중첩 성형되어 하우징과, 그리고 이로써 나머지 텐셔너와도 고정 연결된다. 진동 운동은 유지된다. 이미 기술한 상황들에서, 공지된 시스템들의 경우,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합력(resultant radial force)은 일시적으로 영(0)이 될 수 있거나, 심지어는 반전될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고진동 분리(lift-off) 및 로크 와셔에 대한 타격/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 성형된 부분이 로크 와셔에 부딪친다. 이 역시 원치 않는 소음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상쇄 동적 거동에서도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합력을 항상 영(0)보다 크게 유지하기 위해 레이아웃 최적화를 수행하는 해결책들이 전파되고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장착 공간의 관점, 고객 요구사항 등으로 인해 언제나 실현 가능한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합력을 항상 영(0)보다 더 크게 하기 위해, 동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응하는 텐셔너 매개변수들의 변동도 모든 텐셔너 디자인/드라이브에서 구현할 수는 없다.
상쇄 동적 거동에서도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합력을 항상 영(0)보다 크게 유지하기 위해, 예컨대 디스크 스프링의 사용을 통해 자동 조심 베어링의 외부 예압을 유지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이 해결책은 중량, 장착 공간 및 비용의 관점에서 댐퍼로서의 오링(O-ring)에 대해 불리한 것으로 파악된다.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합력이 상쇄됨에도 불구하고, 분리(lift-off)를 방지하기 위한 반경 방향 유격 최소화가 개선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이는 제조, 공차 및 마모로 인해 (비용 중립적으로) 양산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부 경우에서는, 유효수명에 걸친 모든 작동 상황을 살펴볼 때,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합력이 영(0)보다 더 크도록 텐셔너 및 드라이브를 설계할 수 없다는 점도 불만의 대상이다. 상기 드라이브들의 경우, 소음은 구조적인 변경을 통해서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장착 공간, 비용 및 중량의 관점에서 중립적인 자동 조심 베어링의 예압이 불가능하다. 원인 방지, 다시 말해 분리 방지 외의 다른 가능성이 대안적 접근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로, 선행 기술에서의 단점들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완화하고, 특히 장착 공간, 비용 및 중량의 관점에서 중립적이면서 더 나은 기능을 발휘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일반적인 장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두 베어링 상대 부재 중 하나가 자신을 회전 고정 방식으로 파지하는 각각의 부품 상에, 요컨대 텐셔너 하우징 섹션 또는 텐셔너 레버 섹션 상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부착되도록/서로 연결되도록/지지되도록/접촉되도록/결합됨으로써 해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소음 전파의 저지를 달성한다. 즉, 본 발명은 진행(progression)을 방지한다. 이는, 소음 감쇠를 위해 이른바 "소음 측정실"의 원리를 구현하는 본원 발명의 접근법이다. 분리는 예컨대 오링으로서 형성된 댐퍼를 구비한 구조적 설계를 통해서는 방지되지 않지만, 충돌은 바로 상기 오링을 통해 감쇠되며, 이는 발생하는 진동이 나머지 부품들로 전달되지 않게 하고, 이로써 소음 운반체가 생성될 수 없다. 그에 상응하게, 본 발명은, 적용하기에 임계적인 것으로서 고려되는 소음이 방지됨으로써, 기능 개선을 구현한다. 스프링 예압식 해결책들에 비해 오링 버전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장착 공간 및 중량 측면의 장점뿐만 아니라 비용 측면의 장점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링은 표준 부품으로서 수많은 크기들로 유리한 가격으로 대량 공급되고 있다.
다시 말해, 벨트 텐셔너는 레이아웃 및 동적 거동의 관점에서는 개선되지 않는다. 자동 조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합력이 높은 동적 거동을 통해 상쇄되는 경우, 일측 마찰 상대 부재가 계속 분리되어 타측의 고정된 마찰 상대 부재에 부딪칠 수는 있지만, 결과는 실질적으로 개선되기 때문이다. 즉, 고주파 여기 시에도 개선된 소음 거동이 달성된다.
또한, 자동 조심 베어링 또는 더 정확하게 로크 와셔는 본 발명에서 2개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감쇠 부재, 예컨대 유리한 표준 부품으로서의 오링이 중간에 개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한편으로 플라스틱/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강의 마찰 쌍이 유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되어 로크 와셔에 부딪치는 데 기인하는 진동의 전파가 "흡수"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더 쾌적하게 감지되는, 목표한 주파수 변동이 수행된다. 이 경우,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댐퍼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오링은 그에 상응하게, 스페이서 링과 로크 와셔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접촉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오링의 단면적뿐만 아니라 바로 상기 오링의 축 방향 예압을 통해 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되어 부딪치는 것으로 인한 스페이서 링의 운동 에너지가 오링을 통해 감쇠되고, 그럼으로써 소음 전파가 저지된다. 또한, 스페이서 링과 로크 와셔는 서로에 대해 비틀림 방지식으로 지지되어야 하는데, 이는 예컨대 서로 맞물리는 러그(lug)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러그가 예컨대 원주방향으로 유격을 가지면서 장착되어야 한다. 더 적합하게는, 2개의 러그가 예컨대 180°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러그가 더 많을수록 더 유리하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든 반경 방향으로 유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기존에 공지된 문제는 지속적으로 해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렇지 않았을 경우 제조 과정에서 그렇게 정확하게 설정될 수 없는, 자동 조심 베어링 내 반경 방향 유격이, 축 방향 유격과 달리, 이제 계속해서 공차로 인해 비교적 커질 수는 있으나, 베어링의 반경 방향 운동은 더 이상 감쇠되지 않은 상태로 부딪치지 않는다. 이제, 베이스 플레이트는 더 이상 감쇠되지 않은 상태로 로크 와셔를 반경 방향으로 타격하지 않는다. 이 경우 발생하는 소음은 본 발명에 따라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격으로 인한 소음 전파가 방지됨으로써 개선된다. 이는 예컨대, 로크 와셔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항상 이격되어 있는 스페이서 링을 통해 수행된다. 하기 예시들 중 하나에서 상기 스페이서 링은 바로 그 오링이다.
물론,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탄성 중합체 중첩 성형을 이용하는 점도 가능하며, 예컨대 스페이서 링을 탄성 중합체로 중첩 성형할 수 있다. 스페이서 링은 로크 와셔에 대해 항시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이 경우, 필요한 반경 방향 운동은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오링을 소음 감쇠를 위해 이용하는 점도 물론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DE 10 2006 022 491 A1호는 소음 감쇠형 브레이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에서의 하중은 벨트 텐셔너들의 경우와 완전히 다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청구되며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회전 고정식 파지 부품은, 최대한 타측 베어링 상대 부재와의 반경 방향 미끄럼 접촉에 관여하도록 준비된 슬라이딩 장치로부터 분리된, 그리고/또는 재료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본체를 형성하도록, 2개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와, 스페이서 링으로서 형성된 슬라이딩 장치가 텐셔너 하우징 또는 텐셔너 레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시 말해, 상기 두 부품은 함께 슬라이딩 장치 또는 텐셔너 레버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장치가 회전 고정 방식으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본체 상에 파지된다면, 슬라이딩 장치와 본체 간의 마찰 접촉이 배제되며, 이는 유효수명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체와 슬라이딩 장치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미끄럼 베어링의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음향 주파수가 변화되거나, 그곳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흡수되고"/완화되고/감쇠되는 방식으로, 탄성이 존재하거나; 또는 본체 및/또는 슬라이딩 장치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댐핑 부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용도로, 탄성고무재, 고무재 및/또는 플라스틱재가 제공된다.
개별 부품들의 신속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연결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링이 강제 결합식, 재료 결합식, 및/또는 형상 결합식으로 텐셔너 하우징의 본체 상에서 비틀림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러그 타입의 복수의 돌출부가 리세스 타입의 각각의 홈부 내에, 예컨대 블라인드 홀 타입의 각인 리세스(stamped recess) 내에 맞물린다. 상기 유형의 연결부는 비절삭 방식, 예컨대 딥드로잉 방식의 방법 단계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런 제조는 비용 효과적이다.
러그들은 서로에 대해 180°, 120° 또는 90°만큼 오프셋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경우, 충분히 우수한 비틀림 방지가 구현된다.
탄성 현수가 링 또는 스프링을 통해 실현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 경우 오링은 바람직하게 NBR(니트릴 탄성고무), HNBR(수소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AEM(에틸렌 아크릴레이트 탄성고무)으로 제조되고/이를 함유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의 단면 지름을 갖는다.
상기/어느 하나의 오링이 (또한) 두 베어링 상대 부재 사이에 배치되면, 또 다른 변형예가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론, 오링이 마모될 위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오링이 미끄럼 접촉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제조 과정으로 인해, 본체와 슬라이딩 장치 사이에 약 0.4㎜ 내지 약 0.6㎜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0.5㎜의 반경 방향 유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상기 벨트 텐셔너를 포함하는 내연기관뿐만 아니라 상기 벨트 텐셔너를 포함하는 보조 유닛용 벨트 드라이브와도 관련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를 위한 벨트 텐셔너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벨트 텐셔너는, 텐셔너 하우징과; 예컨대 인장 롤러를 구비한 텐셔너 레버와; 텐셔너 하우징 내에서 텐셔너 레버의 회동 가능한 반경 방향 지지를 위한 미끄럼 베어링;을 포함하며, 텐셔너 레버에 속하는 제1 베어링 상대 부재, 예컨대 표면은 텐셔너 하우징에 속하는 제2 베어링 상대 부재, 예컨대 마찬가지로 표면과 미끄럼 접촉된다. 특히, 텐셔너 하우징 또는 텐셔너 레버와 각각 관련된 베어링 상대 부재 사이에 탄성이 존재하며, 상기 베어링 상대 부재는, 미끄럼 베어링 내에서 탄성의 반경 방향 힘에 대항하여 반경 방향으로 플로팅(floating) 방식으로 배치된 별도의 베어링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예컨대 오링을 통한 탄성 및 스페이서 링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미끄럼 접촉부 사이에서도 운동학적으로 반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러그/공동 타입의 스페이서 링의 비틀림 방지 부재들은 반드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가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링이 반경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약간의 유격을 수반해야 하는 비틀림 방지 기능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여기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 텐셔너의 또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벨트 텐셔너의 텐셔너 레버를 나타내는 중첩 성형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로크 와셔로서 형성되어 본체의 역할을 하는, 텐셔너 하우징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체와 상호작용하면서 슬라이딩 장치의 기능을 담당하는 스페이서 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제1 실시예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스페이서 링이 분리되어 변형된 상태에서 로크 와셔에 부딪칠 때 댐퍼의 반응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댐퍼/오링의 분리된 상태, 다시 말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분리되어 부딪칠 때 댐퍼의 반응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이때 스페이서 링이 댐퍼를 통해, 요컨대 오링을 통해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이 감쇠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로크 와셔에 대한 중첩 성형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격이 완화된다.
도 9는, 플라스틱재, 고무재 또는 여타의 재료로 형성된 오링에 추가로, 립들(lip)의 예압을 통해 소정의 정도로 반경 방향 힘이 추가로 증가하도록, 다시 말해 거의 예압된 댐퍼 장치가 사용될 수 있도록 V링 타입의 구성도 실현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댐퍼의 대안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어댑터 플레이트에 추가로, 로크 와셔와 스페이서 링 간의 탄성 중합체 중첩 성형이 이용되도록, 스페이서 링의 탄성 중합체 중첩 성형이 이용되는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스페이서 링을 이용한 해결책에 추가로 삽입 부재들을 이용한 소음 감쇠가 실현되는 또 다른 해결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을 뿐이며,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서만 이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개별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1)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벨트 텐셔너는 텐셔너 하우징(2)과, 이 텐셔너 하우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텐셔너 레버(3)를 포함한다. 텐셔너 레버(3) 상에는 인장 롤러(4)가 운동 가능하게, 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에서 텐셔너 레버(3)는, 중첩 성형 영역(6)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의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은 도 3에도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따른 텐셔너 레버(3) 옆에 배치된 것과 같은 텐셔너 하우징(2)[도시된 부품은 로크 와셔(11)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홈부들(7)은 서로에 대해 120°만큼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상기 형상부들/홈부들(7) 내로 스페이서 링(9)의 돌출부들(8)이 맞물린다.
도 2로 돌아가서 어댑터 플레이트(10)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는 로크 와셔(11)로서 형성된 텐셔너 하우징(2)과 어댑터 플레이트(10)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5)를 포착한다.
스페이서 링(9)의 돌출부들(8)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다. 스페이서 링(9)과 로크 와셔(11) 사이에 탄성 댐핑 부품(12)이 삽입된다.
도 6에는, 벨트 텐셔너(1)가 제너레이터 하우징(13)에 인접 배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안된 실시예에서, 중첩 성형 영역(6) 내에 중첩 성형부(14)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를 포함한 텐셔너 레버(3)가 베어링 상대 부재이다. 중첩 성형부(14)는 플라스틱으로, 요컨대 폴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PA46으로 형성된다.
텐셔너 하우징(2)은, 본체, 즉, 로크 와셔(11)와, 슬라이딩 장치, 즉, 스페이서 링(9)을 포함한다. 이들 사이에는 오링(15) 타입의 탄성 댐핑 부품(12)이 삽입된다. 오링(15)에 인접하여, 어댑터 플레이트(10)가 제공된다. 반경 방향 힘은 화살표(16)를 따라 작용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 합금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딥드로잉 판금으로서 형성된다. 오링(15)은 축 방향으로 예압되고, 그 결과 타원형으로 변형된다.
로크 와셔(11) 및/또는 스페이서 링(9)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으로 제조된다. 도 7 및 도 8에 명시된 것처럼, 반경 방향 힘(16)은 합력(Fres)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도 9에는, 탄성 댐핑 부품(12)의 V자형 형상이 실현되어 있으며, 여기서 립들(17)은 서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탄성 중합체 중첩 성형부로서 형성된 중첩 성형부(14)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베어링 슬리브(19)의 옆에 제공된 미끄럼 베어링 부시(18)가 장착되어 있다. 추가로, 마찰 디스크(20)도 장착되어 있다.
1: 벨트 텐셔너
2: 텐셔너 하우징
3: 텐셔너 레버
4: 인장 롤러
5: 베이스 플레이트
6: 중첩 성형 영역
7: 홈부
8: 돌출부
9: 스페이서 링
10: 어댑터 플레이트
11: 로크 와셔
12: 탄성 댐핑 부품
13: 제너레이터 하우징
14: 중첩 성형부
15: 오링
16: 반경 방향 힘
17: 립
18: 미끄럼 베어링 부시
19: 베어링 슬리브
20: 마찰 디스크

Claims (10)

  1. 텐셔너 하우징(2)과; 텐셔너 레버(3)와; 텐셔너 하우징(2) 내에서 텐셔너 레버(3)의 회동 가능한 반경 방향 지지를 위한 미끄럼 베어링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로서, 텐셔너 레버(3)에 속하는 베어링 상대 부재가 텐셔너 하우징(2)에 할당된 제2 베어링 상대 부재와 미끄럼 접촉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두 베어링 상대 부재 중 하나는 자신을 회전 고정 방식으로 파지하는 각각의 부품 상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고정식 파지 부품은, 슬라이딩 장치로부터 분리된 본체를 형성하도록 2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스페이서 링(9)으로서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장치가 텐셔너 하우징(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장치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그러나 본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상기 본체 상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장치 사이에 탄성이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보다 그리고/또는 상기 슬라이딩 장치보다 더 높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 댐핑 부품(12)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링(9)은 강제 결합식, 재료 결합식, 및/또는 형상 결합식으로 텐셔너 하우징(2)의 본체 상에서 비틀림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7. 제6항에 있어서, 형상 결합은 홈부(7) 내로 돌출부(8)가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8. 제7항에 있어서, 러그 타입의 복수의 돌출부(8)가 리세스 타입의 각각의 홈부(7) 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들은 서로에 대해 180°, 120°, 또는 90°만큼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현수는 오링(15) 또는 스프링을 통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보조 유닛 벨트 드라이브용 벨트 텐셔너(1).
KR1020187013011A 2015-11-11 2016-11-08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KR102668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2238.1A DE102015222238B4 (de) 2015-11-11 2015-11-11 Geräuschgedämpfte Pendellagerung bei Entkopplungsriemenspanneinheiten
DE102015222238.1 2015-11-11
PCT/DE2016/200502 WO2017080552A1 (de) 2015-11-11 2016-11-08 Geräuschgedämpfte pendellagerung bei entkopplungsriemenspanneinhei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332A true KR20180079332A (ko) 2018-07-10
KR102668146B1 KR102668146B1 (ko) 2024-05-23

Family

ID=5742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011A KR102668146B1 (ko) 2015-11-11 2016-11-08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1364B2 (ko)
EP (1) EP3374665A1 (ko)
KR (1) KR102668146B1 (ko)
CN (1) CN108351000B (ko)
DE (1) DE102015222238B4 (ko)
WO (1) WO2017080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686A (ko) 2012-12-26 2015-09-02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궤도 장력기 조립체
US10520066B2 (en) * 2014-06-26 2019-12-3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DE102015210002B4 (de) * 2015-06-01 2020-03-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5212927A1 (de) * 2015-07-10 2017-01-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endelspanner mit einstellbarem Axialspiel und Riemenantrieb
KR102506926B1 (ko) * 2017-12-18 2023-03-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듀얼 텐셔너 및 이를 적용한 엔진
US10514086B2 (en) * 2018-02-07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to align belt integrated starter generator tensioners
CN108223727B (zh) * 2018-03-01 2024-05-10 东莞市全风环保设备有限公司 鼓风机及其张紧机构
US10876606B2 (en) * 2018-03-13 2020-12-29 Gates Corporation Orbital tens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9028A1 (de) * 2012-05-30 2013-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3002993A1 (de) * 2013-02-22 2014-08-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artergenerator - Riemenspan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5257A (en) * 1995-11-02 1998-08-18 Ina Walzlager Schaeffler Kg Tensioning device for traction means with cone-type sliding bearing
US7588507B2 (en) * 2001-04-13 2009-09-15 Unitta Company Thin autotensioner
ATE311556T1 (de) * 2002-09-10 2005-12-15 Litens Automotive Gmbh Riemenspanner
US7497794B2 (en) * 2004-11-05 2009-03-03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and method for assembly
DE102006022491A1 (de) 2006-05-13 2008-01-17 Chr. Mayr Gmbh & Co. Kg Geräuschdämpfung Bremse
DE102007015676A1 (de) * 2007-03-31 2008-10-02 Schaeffler Kg Spannvorrichtung eines Zugmitteltriebs
DE102008025552B4 (de) * 2008-05-28 2020-06-10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Starter-Generator-Anwendung
US8545352B2 (en) * 2010-09-02 2013-10-01 Dayco Ip Holdings, Llc Tensioner with expanding spring for radial frictional asymmetric damping
DE102011082764A1 (de) * 2010-10-13 2012-04-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11082330B4 (de) 2011-08-12 2014-08-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84680B3 (de) * 2011-10-18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88652A1 (de) * 2011-12-15 2013-06-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DE102013203522A1 (de) * 2013-03-01 2014-09-0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iemenspanner
DE102013203957B3 (de) * 2013-03-08 2014-02-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9028A1 (de) * 2012-05-30 2013-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3002993A1 (de) * 2013-02-22 2014-08-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artergenerator - Riemensp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0552A1 (de) 2017-05-18
US20180298995A1 (en) 2018-10-18
US10641364B2 (en) 2020-05-05
DE102015222238B4 (de) 2020-11-12
KR102668146B1 (ko) 2024-05-23
DE102015222238A1 (de) 2017-05-11
EP3374665A1 (de) 2018-09-19
CN108351000A (zh) 2018-07-31
CN108351000B (zh)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332A (ko) 디커플링 벨트 인장 유닛에서의 소음 감쇠형 자동 조심 베어링
US7273317B2 (en) Thrust sliding bearing
CN110770455B (zh) 轴支承
US5370581A (en) Torsion damping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9683629B2 (en) Centrifugal force pendulum
CN104487737A (zh) 缓冲减振器和减振组件
KR101610110B1 (ko) 차량용 알터네이터 댐퍼 풀리
JP6740087B2 (ja) 防振装置
JPH0642588A (ja) 自動車用トーション減衰装置
KR101448113B1 (ko) 자동차의 클러치 디스크
JP6254788B2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
US6796345B2 (en) Wheel with a spring unit
JP4053039B2 (ja) 防振装置
JP2007176274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2011252598A (ja) ブッシュ軸受
KR20100033496A (ko) 히스테리시스 및 종속 슬라이더 마찰 시스템을 포함하는 프리-댐퍼를 갖는 마찰 클러치
WO2020121537A1 (ja) 軸受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推進軸の製造方法
CN111247355A (zh) 具有施加至间隔件的压力的摆式阻尼装置
JP2005133917A (ja) アイソレーションプーリ
JP3719288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CN107614926A (zh) 旋转波动吸收减震器
JP2006046588A (ja) 防振ブッシュ用ストッパ部材
KR100412376B1 (ko) 수동 변속기용 동기장치
JP7112941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KR101090008B1 (ko) 클러치 디스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