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085A - 자동화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085A
KR20180065085A KR1020160165403A KR20160165403A KR20180065085A KR 20180065085 A KR20180065085 A KR 20180065085A KR 1020160165403 A KR1020160165403 A KR 1020160165403A KR 20160165403 A KR20160165403 A KR 20160165403A KR 20180065085 A KR20180065085 A KR 20180065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ttachment
feed
adsorption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263B1 (ko
Inventor
구준모
손순근
이경원
엄귀록
Original Assignee
(주)일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일지테크
Priority to KR102016016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가 안착되는 하금형부와, 하금형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하 이동되면서 소재를 가공하고, 가공된 소재를 상방 이동시키는 상금형부와, 상금형부에 부착된 소재를 파지하고 소재를 반전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반전이송부를 포함하여, 소재의 버 방향성을 규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 금형장치{AUTOMATIC MOLD DEVICE}
본 발명은 자동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의 버 방향성을 규제하기 위해 소재를 반전시키면서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자동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소재 중 일부는 프레스 금형으로 가공하고 있다. 즉, 소재는 이송수단을 통해 복수개의 금형을 순서대로 통과하고, 각각의 금형에서 가공되어 완성품이 될 수 있다.
한편, 소재가 금형 가공되면 일방향으로 버가 발생하는데, 최근에는 소재의 버에 대한 방향성을 규제하기 위해 소재를 반전시키고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금형과, 금형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수단이 일렬로 배치되어 이송수단이 어느 하나의 금형에서 가공된 소재를 다른 하나의 금형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송수단으로는 로봇팔이 사용될 수 있다.
소재를 이송하면서 반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2개의 로봇팔이 연이어 배치되고, 2개의 로봇팔 사이에는 소재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느 하나의 로봇팔이 금형에서 가공된 소재를 반전장치로 이송시키면, 반전장치가 소재를 반전시키고, 다른 하나의 로봇팔이 반전된 소재를 다음 금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개의 이송수단이 연이어 배치되므로, 소재 반전을 위해 공정과 장비가 추가되고, 이러한 장비 설치를 위한 작업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1103호(2003.12.02. 등록, 발명의 명칭 : 금형의 포트 코어 부상 방지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재의 버 방향성을 규제하기 위해 소재를 반전시키면서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자동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는: 소재가 안착되는 하금형부; 상기 하금형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소재를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소재를 상방 이동시키는 상금형부; 및 상기 상금형부에 부착된 상기 소재를 파지하고, 상기 소재를 반전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반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금형부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는 상금형작동부; 상기 상금형작동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고, 상기 하금형부에 안착된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상금형가공부; 및 상기 상금형가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를 흡착하는 상금형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금형흡착부는 흡착흡입부; 상기 흡착흡입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하는 흡착안내부; 상기 흡착안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금형가공부에 내장되어 상하 이동되는 흡착조절부; 및 상기 흡착조절부에 연결되고, 상기 흡착조절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상금형가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소재에 밀착되는 흡착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전이송부는 상기 소재에 부착되는 이송부착부; 상기 이송부착부를 회전시켜 상기 소재를 반전시키는 이송회전부; 및 상기 이송회전부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착부는 상기 이송회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공압을 안내하는 부착축부; 상기 부착축부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연장부; 상기 부착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부착접촉부; 및 상기 부착축부에 연결되고, 유체의 의한 흡착력을 제공하는 부착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회전부는 상기 부착축부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착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 상기 회전지지부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송구동부와 결합되어 이동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구동부는 구동고정부; 상기 구동고정부에 장착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구동승강부; 및 상기 구동승강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회전부와 결합되며, 자체 회전되어 상기 이송회전부를 이동시키는 구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는: 상기 반전이송부와 상기 소재와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금형부와 상기 소재가 이격되도록 상기 상금형부와 상기 반전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는 반전이송부가 소재를 반전시켜 줌으로써, 소재의 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는 상금형흡착부가 소재를 흡착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반전이송부가 180도 회전되면서 소재를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는 센서부가 반전이송부와 소재의 부착을 감지하면, 제어부가 상금형부와 반전이송부를 제어하여 소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상금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상금형흡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반전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반전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소재가 반전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1)는 하금형부(10)와, 상금형부(20)와, 반전이송부(30)를 포함한다.
하금형부(10)에는 소재(100)가 안착되고, 상금형부(20)는 하금형부(10)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금형부(20)는 상하 이동되면서 소재(100)를 가공하고, 가공된 소재(100)를 상방 이동시킨다.
반전이송부(30)는 상금형부(20)에 부착된 소재(100)를 파지하고, 파지한 소재(100)를 반전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즉, 자동화 금형장치(1)는 소재(100)가 복수개의 금형 공정을 통과하면서 목적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하금형부(10)와, 상금형부(20)는 이러한 금형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금형부(10)와 상금형부(20)에 투입되는 소재(100)는 전단계에서 금형에 의한 성형이 이루어지고, 하금형부(10)와 상금형부(20)에 의해 소재(100)의 트림(trim)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금형부(10)와 상금형부(20)에 의해 절단된 소재(100)는 반전이송부(30)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 다음 금형 공정의 하금형부(110)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재(100)가 반전됨에 따라 소재(100)에 형성되는 버(burr)의 방향 규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1)는 센서부(40)와 제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는 반전이송부(30)와 소재(100)와의 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일 예로, 센서부(40)는 반전이송부(30)에 장착되고, 하중 변화를 통해 반전이송부(30)가 상금형부(20)에 부착된 소재(100)의 파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센서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금형부(20)와 반전이송부(30)를 제어하여 상금형부(20)와 소재(100)를 이격시킨다. 일 예로, 반전이송부(30)에 소재(100)가 부착되면 센서부(4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상금형부(20)와 소재(100)간의 결합이 해제하도록 상금형부(20)를 제어하고, 반전이송부(30)가 소재(100)를 반전시켜 다음 공정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상금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금형부(20)는 상금형작동부(21)와 상금형가공부(22)와, 상금형흡착부(23)를 포함한다.
상금형작동부(2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길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상금형작동부(2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고정부(211)와, 작동고정부(211)에 하나 이상 결합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는 작동조절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금형가공부(22)는 상금형작동부(21)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고, 하금형부(10)에 안착된 소재(100)를 가공한다. 일 예로, 상금형가공부(22)는 작동조절부(212)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작동조절부(212)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금형가공부(22)의 저면과 하금형부(10)의 상측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하며, 이들 사이에 소재(100)가 배치되어 가공될 수 있다.
상금형흡착부(23)는 상금형가공부(22)에 장착되고, 소재(100)를 흡착한다. 일 예로, 상금형흡착부(23)는 공기 흡입을 통해 소재(100)의 상측면을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금형흡착부(23)는 전기적 신호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해 소재(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외 소재(100)와 결합되어 소재(100)를 하금형부(10)에서 분리하기 위한 다양한 결합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상금형흡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금형흡착부(23)는 흡착흡입부(231)와, 흡착안내부(232)와, 흡착조절부(233)와, 흡착접촉부(234)를 포함한다.
흡착흡입부(231)는 공기를 흡입한다. 일 예로, 흡착흡입부(231)는 별도의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제어부(50)의 제어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펌프가 구동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착안내부(232)는 흡착흡입부(231)와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한다. 일 예로, 흡착안내부(232)는 주름진 형상을 하여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하 이동되는 상금형가공부(22)에 형성되는 가공홀부(221)에 삽입될 수 있다.
흡착조절부(233)는 흡착안내부(232)와 연결되고, 상금형가공부(22)에 내장되어 상하 이동된다. 일 예로, 흡착조절부(233)는 흡착안내부(232)와 연결되어 공기를 안내하고, 가공홀부(221)에 내장된 상태에서 모터에 자체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그 외, 흡착조절부(233)는 자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흡착접촉부(234)는 흡착조절부(233)에 연결되고, 흡착조절부(233)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금형가공부(22)를 관통하여 소재(100)에 밀착된다. 일 예로, 흡착접촉부(234)는 흡착조절부(233)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소재(100)와 접촉시 손상 방지를 위해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조절부(233)의 길이가 늘어나면, 흡착접촉부(234)가 상금형가공부(22)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소재(100)와 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반전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반전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에서 소재가 반전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전이송부(30)는 이송부착부(31)와, 이송회전부(32)와, 이송구동부(33)를 포함한다.
이송부착부(31)는 소재(100)에 부착되어 소재(100)를 파지한다. 일 예로, 이송부착부(31)는 공기 흡입을 통해 소재(100)를 파지할 수 있다. 그 외, 이송부착부(31)는 소재(100)를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송회전부(32)는 이송부착부(31)를 180도 회전시켜 소재(100)를 뒤집는다. 일 예로, 이송회전부(32)는 자체 회전되지 않고 이송부착부(31)만 뒤집을 수 있다.
이송구동부(33)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이송회전부(32)를 이동시킨다. 즉, 이송구동부(33)에 의해 이송부착부(31)는 상금형부(20)의 하방에 위치된 후, 이웃한 금형 공정에 배치되어 소재(100)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착부(31)는 부착축부(311)와, 부착연장부(312)와, 부착접촉부(313)와, 부착흡입부(314)를 포함한다.
부착축부(311)는 이송회전부(3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공압을 안내한다. 일 예로, 부착축부(311)는 양단부가 폐쇄된 관 형상을 하고, 부착축부(311)의 내부로 공기가 이동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착연장부(312)는 부착축부(311)에서 연장된다. 일 예로, 부착축부(31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부착연장부(312)가 연통되어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부착연장부(312)는 부착축부(311)의 양측에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부착접촉부(313)는 부착연장부(312)에 형성되고, 소재(100)와 접촉된다. 일 예로, 부착접촉부(313)는 소재(100)와 밀착되더라도 소재(100) 손상이 억제되도록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흡입부(314)는 부착축부(311)에 연결되고, 유체의 의한 흡착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부착흡입부(314)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파 펌핑 작용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부착흡입부(314)는 부착연결부(315)를 매개로 부착축부(311)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착연결부(315)는 이송회전부(32)와 이송구동부(33)에 내장되고, 양단부가 부착흡입부(314)와 부착축부(311)에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회전부(32)는 회전지지부(321)와, 회전모터부(322)와, 회전연결부(323)와, 회전결합부(324)를 포함한다.
회전지지부(321)는 부착축부(311)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회전지지부(321)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회전지지부(321)에 부착축부(311)가 베어링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회전모터부(322)는 회전지지부(321)에 장착되고, 부착축부(311)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회전모터부(322)는 부착축부(311)와 기어 결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부착축부(3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연결부(323)는 회전지지부(321)를 연결한다. 일 예로, 회전연결부(323)는 회전지지부(321)의 단부를 연결하되, 소재(100) 회전시 소재(100)와 회전연결부(323)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한다.
회전결합부(324)는 회전연결부(323)에서 연장되고, 이송구동부(33)와 결합되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구동부(33)는 구동고정부(331)와, 구동승강부(332)와, 구동회전부(333)를 포함한다.
구동고정부(331)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구동고정부(331)는 상금형부(20)와 다음 금형 공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승강부(332)는 구동고정부(331)에 장착되고 높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구동승강부(332)는 자체 높이가 조절되어 이송부착부(31)가 소재(100)를 향해 상방 이동될 수 있다. 그 외, 구동승강부(332)의 높이 조절을 통해 소재(100)를 다음 금형 공정의 하금형부(110)에 안착시킨 이송부착부(31)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승강부(332)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 외, 구동승강부(332)는 자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양한 부품 채택이 가능하다.
구동회전부(333)는 구동승강부(332)에 장착되고, 이송회전부(32)와 결합되며, 자체 회전되어 이송회전부(32)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구동회전부(333)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결합부(324)와 결합될 수 있다. 그 외, 구동회전부(333)는 자체가 회전중심축이 되어 회전결합부(323)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품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구동승강부(332)에 구동회전부(333)가 장착되어 구동회전부(33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반대로, 구동회전부(333)에 구동승강부(332)가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는 구동승강부(332)에 회전결합부(32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단계 금형 공정에서 성형된 소재(100)는 하금형부(10)에 안착되고, 상금형부(20)가 하강하여 트림 공정에 해당하는 금형 공정이 실시된다(도 6a 참조).
소재(100)에 대한 트림 공정이 완료되면, 상금형흡착부(23)의 흡착접촉부(234)가 상금형가공부(22)에서 돌출되어 소재(100)에 밀착되고, 흡착흡입부(31)의 구동으로 소재(100)가 흡착접촉부(234)에 부착된다. 흡착접촉부(234)에 소재(100)가 부착되면, 제어부(50)의 제어로 상금형가공부(22)가 상승한다(도 6b 참조).
상금형가공부(22)가 소재(100)와 함께 상승하면, 이송부착부(31)가 소재(100)의 하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어부(50)의 제어로 이송구동부(33)가 구동되어 이송부착부(31)가 상승하면, 부착접촉부(313)가 소재(100)에 밀착된다.
센서부(40)가 부착접촉부(313)와 소재(100)에 밀착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제어로 부착흡입부(314)가 구동되고, 흡착흡입부(231)의 구동이 중지되어, 소재(100)는 이송부착부(31)에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6c 참조).
소재(100)가 이송부착부(31)에만 부착되면, 제어부(50)의 제어로 구동회전부(333)가 하강한 후 회전되어 다음 금형 공정의 하금형부(110) 상방에 소재(100)가 배치된다(도 6d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제어부(50)의 제어로 회전모터부(322)가 구동되면, 부착축부(311)가 180도 회전되어 소재(100)가 뒤집어진다(도 6e 참조).
소재(100)가 180도 반전되면, 제어부(50)의 제어로 이송부착부(31)가 하강하여 소재(100)가 다음 금형 공정의 하금형부(110)에 안착되고, 부착흡입부(314)의 흡입력이 해제되어 이송부착부(31)가 소재(100)와 분리된다. 이송부착부(31)와 소재(100)가 분리되면, 소재(100)는 금형 공정에 의한 추가 가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송부착부(31)는 상금형부(20)에 부착된 소재(100)를 이송하기 위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1)는 반전이송부(30)가 소재(100)를 반전시켜 줌으로써, 소재(100)의 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1)는 상금형흡착부(23)가 소재(100)를 흡착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반전이송부(30)가 180도 회전되면서 소재(100)를 반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금형장치(1)는 센서부(40)가 반전이송부(30)와 소재(100)의 부착을 감지하면, 제어부(50)가 상금형부(20)와 반전이송부(30)를 제어하여 소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금형부 20 : 상금형부
21 : 상금형작동부 22 : 상금형가공부
23 : 상금형흡착부 30 : 반전이송부
31 : 이송부착부 32 : 이송회전부
33 : 이송구동부 40 : 센서부
50 : 제어부 100 : 소재

Claims (8)

  1. 소재가 안착되는 하금형부;
    상기 하금형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소재를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소재를 상방 이동시키는 상금형부; 및
    상기 상금형부에 부착된 상기 소재를 파지하고, 상기 소재를 반전시켜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반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부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는 상금형작동부;
    상기 상금형작동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고, 상기 하금형부에 안착된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상금형가공부; 및
    상기 상금형가공부에 장착되고, 상기 소재를 흡착하는 상금형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금형흡착부는
    흡착흡입부;
    상기 흡착흡입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하는 흡착안내부;
    상기 흡착안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금형가공부에 내장되어 상하 이동되는 흡착조절부; 및
    상기 흡착조절부에 연결되고, 상기 흡착조절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상금형가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소재에 밀착되는 흡착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이송부는
    상기 소재에 부착되는 이송부착부;
    상기 이송부착부를 회전시켜 상기 소재를 반전시키는 이송회전부; 및
    상기 이송회전부를 이동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착부는
    상기 이송회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공압을 안내하는 부착축부;
    상기 부착축부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부착연장부;
    상기 부착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소재와 접촉되는 부착접촉부; 및
    상기 부착축부에 연결되고, 유체의 의한 흡착력을 제공하는 부착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부는
    상기 부착축부의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지지부;
    상기 회전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착축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부;
    상기 회전지지부를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회전연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송구동부와 결합되어 이동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동부는
    구동고정부;
    상기 구동고정부에 장착되고 높이가 조절되는 구동승강부; 및
    상기 구동승강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회전부와 결합되며, 자체 회전되어 상기 이송회전부를 이동시키는 구동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이송부와 상기 소재와의 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금형부와 상기 소재가 이격되도록 상기 상금형부와 상기 반전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금형장치.
KR1020160165403A 2016-12-06 2016-12-06 자동화 금형장치 KR10195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03A KR101952263B1 (ko) 2016-12-06 2016-12-06 자동화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03A KR101952263B1 (ko) 2016-12-06 2016-12-06 자동화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85A true KR20180065085A (ko) 2018-06-18
KR101952263B1 KR101952263B1 (ko) 2019-02-27

Family

ID=6276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403A KR101952263B1 (ko) 2016-12-06 2016-12-06 자동화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70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프레스 성형 시스템용 소재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33A (ko) * 1996-07-29 1998-04-30 양재신 프레스 금형용 가공 소재의 이송장치
KR20060000110A (ko) * 2004-06-28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 반전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전이송 방법
KR100982406B1 (ko) * 2009-12-28 2010-09-20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20150001585U (ko) * 2014-06-17 2015-04-24 (주) 대동에스엠 연속 프레스 라인용 소재 반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533A (ko) * 1996-07-29 1998-04-30 양재신 프레스 금형용 가공 소재의 이송장치
KR20060000110A (ko) * 2004-06-28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 반전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전이송 방법
KR100982406B1 (ko) * 2009-12-28 2010-09-20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20150001585U (ko) * 2014-06-17 2015-04-24 (주) 대동에스엠 연속 프레스 라인용 소재 반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70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프레스 성형 시스템용 소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63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858B1 (ko) 단조 가공용 금형 교환장치
JP4760829B2 (ja) ガラス板の孔開け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952263B1 (ko) 자동화 금형장치
JP5283930B2 (ja) 搬送装置
CN210312482U (zh) 一种模具取料装置
KR100888952B1 (ko) 오토로더
CN216104794U (zh) 一种机械臂自动上料装置
KR101262282B1 (ko) 프레스용 가공물 이송장치
JPH07206158A (ja) 物品移送装置
CN109176306B (zh) 一种十字工件的自动转位装置及控制方法
JPH0310479B2 (ko)
JP2002337080A (ja) 軸状ワーク研削盤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2655850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板材支持装置
CN116801495B (zh) 一种六轴高精度半自动化盲捞成型机及其成型方法
JPH03279116A (ja) ワーク反転装置
JP7432548B2 (ja) バッチ式熱処理装置
JPH06114451A (ja) パイプベンダー
JP2000006862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KR101201661B1 (ko) 방전가공기용 척교환구
CN219236230U (zh) 一种将胎胚从成型鼓中卸出的卸胎装置
CN212831380U (zh) 一种磁芯转向机构
CN215008175U (zh) 一种迷你转角抓取装置
JP2000094199A (ja) 塑性加工装置
JP2001269737A (ja) ワーク操作用ロボットにおける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102508063B1 (ko) 열간단조 3d 트랜스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