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922A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922A
KR20180060922A KR1020170090437A KR20170090437A KR20180060922A KR 20180060922 A KR20180060922 A KR 20180060922A KR 1020170090437 A KR1020170090437 A KR 1020170090437A KR 20170090437 A KR20170090437 A KR 20170090437A KR 20180060922 A KR20180060922 A KR 20180060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support
suction fan
roof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룡
신동성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34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97631A1/ko
Publication of KR2018006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이 가능한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적어도 일부에 곤충통과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시 부피가 축소되어 휴대가 용이한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모기 살충 관련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고,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거나 고전압 장치가 수반하는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각광을 받아오고 있고, UV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흡입팬에 의해 포집하는 포충기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상용되는 UV LED를 이용하여 흡입팬으로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는, 흡입팬에 모기 등 곤충의 사체가 부착되어 팬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고, 흡입팬의 속도 제어가 부적절하여 모기가 탈출을 시도하거나 포충기 내로 흡입되지 않았고, 포충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가 역학적으로 용이하게 제어되지 않아 흡입 효율이 낮거나 과다한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포충기는 모기 등 곤충의 사체가 부패하여 포충기 주변에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다양한 실외용 포충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간편하게 휴대하기 어렵거나 포집 효율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해충의 포집 효율이 높은 포충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해충의 포집 효율이 높은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하여 해충을 포충기 인근으로 유인하여,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로 해충을 흡입하되, 포집 효율이 우수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효과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물질이 포함된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기 유인 요소로 빛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등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하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부를 가지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를 상기 포집부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몸체 안내부를 가지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각 구성이 접어지거나 상호 삽입되어 부피가 효율적으로 축소되는 형태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야외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포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부피의 축소가 가능한 형태의 포집부를 사용함으로써 휴대 시 부피를 거의 차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야외에서 사용하기 용이한 포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포집부가 포충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형태 또는 일회용인 포집부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청결성을 유지하며 포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자외선으로 곤충을 유인할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킴으로써, 곤충 유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탈취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포충기 주변에 쾌적한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도 5는 도 4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대와 상부 고정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도 10은 도 9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집부 고정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 안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구성하는 몸체 및 포집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몸체와 포집부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8 및 도 30은 각각 도 27의 단면도 및 도 29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 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곤충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날벌레를 포함하며, 특히 모기를 지칭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광원은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V LED 광원이 실장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광원 장착부는 광원이 장착 가능한 구성을 지칭하며, 광원이 장착된 형태 및 장착되지 않은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된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일 단에 장착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고정부재는 탄성편을 이용한 체결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상부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하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는 그물망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겹쳐지도록 접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몸체는 상기 접어진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포집부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팬 하부에 테이퍼(taper) 형상의 탈출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출 방지부재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하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를 상기 포집부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몸체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는 적어도 일부에 메쉬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붕은 직경이 상기 포집부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붕은 적어도 일부가 접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붕의 접어진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원은, 지지부재; 및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판,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충기는 광촉매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촉매 물질은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촉매 물질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에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 및 흡입팬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충기(1000)는 몸체(110), 상부 지지대(120), 지붕(140), 광원 장착부(141), 및 포집부(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도 2를 참조하면, 흡입팬(170)이 내부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원통형상일 수 있고,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상하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몸체(110) 내에 실장된 흡입팬(170)은 팬날개가 평평하지 않고 일정 또는 일정하지 않은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흡입팬(170)과 몸체(110) 내벽의 최단거리는 1 ㎜ 내지 5 ㎜ 일 수 있으며, 상기 수치범위 내에서 흡입팬(170)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흡입 기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0)는 상부 지지대(120)를 몸체(110)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안내부(121)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안내부(121)는 상부 지지대(120)가 안내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홈의 형태는 상부 지지대(120)와 동일하고, 상기 홈의 크기는 상부 지지대(120)가 상기 홈에 의해 고정되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한편, 상부 안내부(121)는 몸체(110) 상에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충 통과구멍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곤충 통과구멍은 체적이 큰 곤충이 몸체(1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격자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안내부(221)는 기둥 형상일 수 있고, 별도의 곤충 통과구멍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10) 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20)는 몸체(110)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부 안내부(121)에 의해 몸체(110)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될 수 있고, 몸체(110)는 상부 지지대(120)를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재(122)를 가질 수 있다.
상부 고정부재(122)는 몸체(110)를 관통하여 상부 지지대(120)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123, 124)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포충기(1000)를 휴대 시 상부 안내부(121)로 상부 지지대(120)를 인입하고, 상부 고정부재(122)를 제2 및 제3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124, 125)에 삽입하여 상부 지지대(120)와 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충기(1000)를 사용 시 상부 안내부(121)에서 상부 지지대(120)를 인출시키고, 상부 고정부재(122)를 제1 및 제3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123, 125)에 삽입하여 상부 지지대(120)와 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 고정부재는 탄성편(126)을 이용한 체결장치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포충기(1000)를 휴대 시 상부 안내부(121)로 상부 지지대(120)를 인입하고, 몸체(110) 내벽에 설치된 탄성편(126)이 상부 지지대(120)에 형성된 탄성편 삽입홈(127)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지지대(120)와 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충기(1000)를 사용 시 상부 지지대(120)를 상부 안내부(121)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탄성편 삽입홈(127)에서 탄성편(126)을 탈리시키고, 상부 지지대(120)가 몸체(110)에서 충분히 인출 되었을 때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탄성편이 탄성편 삽입홀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부 지지대(120)와 몸체(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 고정부재(122)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프링 체결구를 이용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2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원(130, 230, 330, 430, 53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30, 230, 330)이 지지부재(131)가 적층된 구조인 경우 상부 지지대(120)가 광원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다각기둥 지지부재(231)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 구조의 광원(430)의 경우 경우 다각형의 모서리 방향에 복수 개의 상부 지지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지지부재(331)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 구조의 광원(530)의 경우 발광 다이오드(132)에서 조사되는 광을 가로막지 않도록 상부 지지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지붕(140)은 광원 장착부(141)를 갖고, 상부 지지대(120)의 일 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원 장착부(141)는 지붕(140)의 하부에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지붕(14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몸체(110)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상의 몸체(110)와 중심이 동일한 원판 형태일 수 있고, 몸체(110)와 직경이 같거나 몸체(110)보다 직경이 짧거나 긴 형태일 수 있다.
포충기(1000)는 지붕(140)의 직경이 몸체(110)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흡입팬(17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붕(140)이 몸체(110)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지붕이 없거나 또는 지붕이 몸체보다 길지 않게 형성된 구조에 비해 낮은 팬의 회전속도로 동일한 풍속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붕(140)은 중심 판을 둘러싼 말단이 지붕(140)의 중심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지붕(140)에서 멀어질수록 기울기가 작아지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붕(240)은 지붕(240)의 적어도 일부가 접어지는 형태일 수 있고, 일 예로 지붕(240)의 말단이 상면 또는 하면으로 접어질 수 있다. 지붕(240)이 접어지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붕(240)의 말단 영역이 복수의 절편으로 분리되어, 상기 복수의 절편이 포개지면서 접힐 수 있거나, 지붕(240)이 프레임 및 이를 커버하는 면사 등으로 이루어져 지붕 전체 영역이 접어지고 펼쳐질 수 있는 우산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지붕(240)의 말단이 상면 또는 하면으로 접어져 지붕(24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일체로 포개지는 형태일 수 있고, 지붕(24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지붕(140)의 중심 판을 둘러싼 말단이 몸체(110)를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몸체 내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지붕(240)의 접어진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충기(1000)를 휴대 시 지붕(240)을 접어 몸체(210) 내로 삽입함으로써 포충기(10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지붕(140)의 하면에 광원(130)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가 부착 또는 코팅되어 해충의 광 유인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포집부(50)는 흡입팬(17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가 포충기(1000)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이라면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메쉬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메쉬부(151)는 포집부(50) 내에 곤충이 쌓임으로써 흡입 기류 형성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집부(50) 높이의 1/2을 초과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충기(2000)는 몸체(110), 상부 지지대(120), 지붕(140), 광원 장착부(141), 하부 지지대(160), 포집부(150), 및 탈출 방지부재(180)를 포함한다.
몸체(110), 지붕(140), 및 광원 장착부(141)는 포충기(1000)에 대해 전술한 바를 차용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20)는 고정되는 형태 또는 몸체(110)로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고, 몸체(110)로 삽입되는 형태의 경우 포충기(1000)에 대해 전술한 바를 차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120)가 몸체(110)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때, 상부 고정부재(122)를 이용하여 상부 지지대(120)와 몸체(110)를 고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방법은 도 4 내지 도 6을 들어 전술한 바와 같다.
포충기(2000)는 몸체(110) 하부에 몸체(110)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160)가 배치될 수 있고,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몸체(110)는 하부 지지대(160)를 몸체(110)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부(161)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시 하부 지지대(160)를 몸체(110) 내로 삽입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사용 시 하부 지지대(160)를 몸체 외부로 돌출시켜 지지면으로부터 포충기(20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지지대(160)는 하부 지지대 돌출부(166)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160)를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하부 고정부(1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 시 하부 지지대(160)를 하부 안내부(161)로 삽입하고 하부 지지대 돌출부(166)가 하부 고정부(162) 상단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 시 하부 지지대 돌출부(166)가 하부 고정부(262) 하단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 지지대(260)는 본체(163), 길이 확장부(164), 및 접지부(165)를 포함할 수 있고, 휴대 시 길이 확장부(164)가 본체(163) 내로 삽입되고, 본체(163)가 몸체(110)로 삽입되는 형태일 수 있고, 사용 시 길이 확장부(164)가 본체(163) 외부로 연장되고 접지부(165)가 지지면과 접촉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63)의 일단이 암나사형태, 이에 대응하는 길이 확장부(164)의 일단이 수나사형태로, 길이 확장부(164)가 본체(163)에서 돌출 또는 삽입될 때 본체(163)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10) 내 하부 지지대(260)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켜 몸체(110) 내 사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포집부(150)는 몸체(1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몸체(1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일회용 포집부 일 수 있다. 또한, 포집부(150) 내측에 살충액 또는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포집부(150)는 몸체(110)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프레임(151) 및 지지프레임(151)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연결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152)는 그물망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프레임(151)은 포집부(150)가 일정 체적을 갖도록 하여 해충이 충분히 유입되도록 하고, 지지프레임 연결부재(152)는 모기와 같은 해충이 탈출하지 못할 크기의 구멍을 갖을 수 있다.
휴대 시 포집부(150)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51)이 겹쳐지도록 접어짐으로써 포충기(2000)의 체적이 감소될 수 있고, 도 15를 참조하면, 몸체(110)는 접어진 지지프레임(151)을 고정하는 포집부 고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집부 고정부(153)는 포집부 고정부 홈(353)에 체결구가 삽입되어 몸체(110)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포집부 고정부(153)는 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 포집부 고정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지지프레임(151)이 겹쳐진 상태에서 포집부 고정부재(253)를 몸체(110) 중심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포집부(150)를 고정할 수 있다.
몸체(110)는 흡입팬(170) 하부에 테이퍼(taper) 형상의 탈출 방지부재(180)를 더 포함하고, 탈출 방지부재(180)는 흡입팬(17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탈출 방지부재(180)는 흡입팬(170)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하부의 포집부(150)로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며, 해충이 포집부(150)에서 몸체(110)를 통과하여 포충기(2000) 외부로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포집부(150)에 포집된 모기 등 해충이 테이퍼 형상의 탈출 방지부재(180)의 경사진 벽면에 붙어 있으려는 경향을 이용하여, 포집부(150)와 몸체(110) 사이에 곤충이 통과하는 구멍의 크기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포집부(150)에 포집된 모기 등 해충이 포충기(2000) 외부로 빠져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6은 포충기(2000)의 휴대 시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부 지지대(120)를 상부 안내부(121, 221) 내로 삽입하거나 삽입한 후 상부 고정부재(122)로 상부 지지대(120)를 고정할 수 있고, 하부 지지대(160, 260)를 하부 안내부(161) 내로 삽입하거나 삽입한 후 일정 방향 회전시켜 하부 지지대(160, 26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포집부(150)를 지지프레임(151)이 겹쳐지도록 접거나 접은 후 포집부 고정부(153)를 사용하여 포집부(15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지붕(240)의 적어도 일부를 접어서 몸체(110)를 감싸도록 하거나, 몸체(210)에 삽입하여 휴대 시 포충기(2000)의 체적을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30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포충기(3000)는 몸체(310), 상부 지지대(120), 지붕(140), 광원 장착부(141), 및 포집부(250)를 포함한다.
몸체(110, 210), 흡입팬(170), 상부 지지대(120), 지붕(140, 240), 및 광원 장착부(141)의 기능, 휴대 시 및 사용 시 형태는 포충기(1000)에 대해 전술한 바를 차용할 수 있다.
포집부(250)는 몸체(310)를 포집부(250)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몸체 안내부(111)를 갖고, 몸체 안내부(111)는 포집부(250) 상단, 하단, 또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310)는 하단에 몸체 돌출부(113)를 갖고, 몸체 돌출부(113)는 몸체 안내구(112)에 삽입 또는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 시 몸체 안내부(111) 상에서 몸체 돌출부(113)가 몸체 안내구(112)에서 이격되도록 몸체(310)를 회전시켜 몸체(310)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고, 휴대 시 몸체 돌출부(113)를 몸체 안내구(112)로 삽입시킨 후 포집부 하단에서 몸체(310)를 회전시켜 몸체(310)가 포집부(25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몸체(310)와 포집부(25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편 또는 탄성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몸체(310)가 포집부(250)에 삽입 또는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포집부(250)는 적어도 일부에 메쉬부(251)를 갖을 수 있고, 메쉬부(251)에 의해 흡입팬(170)으로부터 형성된 기류가 몸체(310) 상에서 유입되어 메쉬부(251)로 토출됨으로써 기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포집부(250) 내측에 살충액 또는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도 20은 포충기(3000)의 사용 및 휴대 시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시 상부 지지대(120)를 몸체(310) 내로 삽입하고 몸체(310)를 다시 포집부(250)에 삽입하여 휴대 시 포충기(3000)의 체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지붕(240)을 몸체(310)에 삽입하여 휴대 시 포충기(3000)의 체적을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5는 포충기(1000, 2000, 3000)의 광원 장착부(141)에 장착되는 광원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광원(130, 230, 330, 430, 530)은 지지부재(131, 231, 331)에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광원(130, 230, 330)은 도 21 내지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한 지지부재(131) 또는 지지부재(131)가 적층된 구조일 수 있고, 적층형 지지부재(131)의 경우 발광 다이오드(132)가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발광열에 의한 지지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광원(430, 530)은 도 24 내지 도 2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각기둥 지지부재(231), 또는 원기둥 지지부재(331)에 발광 다이오드(132)가 실장된 형태를 차용함으로써 포충기(1000)의 체적을 축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넓은 범위에 광을 조사하여 광 조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삼각기둥 지지부재(132)는 세 개의 PCB 기판을 삼각형 형태로 체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광원 장착부(141)는 투명 커버를 더 포함하여 해충 등이 광원에 직접 접촉하여 광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충기(1000, 2000, 3000)는 광촉매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붕(140, 240)의 하면, 상부 지지대(120)의 내 측면, 몸체(110, 210, 310) 내 측면, 흡입팬(170), 포집부(150, 250) 등에 코팅 또는 접착되거나, 별도의 광촉매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은 광촉매 매질로서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촉매 매질은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산화주석(Sn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물질의 광촉매반응에 의해 형성된 수산화 라디칼은 강한 산화제로서 작용함으로써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공기 중 유기오염물질들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상기 포충기(1000, 2000)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모기 유인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포충기(1000, 2000, 3000)는 광촉매 물질이 더 포함됨으로써 살균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촉매 반응 중에 생성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곤충, 특히 모기 유인 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포충기(1000, 2000, 3000)는 광원 장착부(141) 및 흡입팬(170)의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력 공급원은 지붕의 상부, 투명 커버, 몸체(110, 210, 310)의 일부, 또는 포집부(250)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곤충의 광 유인 효율 및 흡입 기류에 의한 곤충 포집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설치 시 및 휴대 시 안정적인 고정력 부여가 가능하고, 간단한 설계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휴대 시 부피가 최소화 되는 형태의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구성하는 몸체 및 포집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몸체(510)는 곤충통과부(513), 광원(630), 가이드부(512) 및 돌출편(511)을 포함한다.
몸체(5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도 26을 참조하면, 흡입팬(570)이 내부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원통형상일 수 있고,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몸체(510) 내에 장착된 흡입팬(570)은 도 1을 들어 전술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몸체(510)는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가 폐쇄된 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흡입팬(570)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기류와 배출기류 중 흡입기류가 형성되는 영역에 폐쇄된 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팬(570)에 의해 발생한 기류가 흡입팬(57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때, 흡입팬(570)의 상부에 마련된 몸체 상면(516)은 폐쇄된 면을, 흡입팬(570)의 하부에 마련된 몸체(510) 하부는 개구된 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흡입팬(57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곤충을 흡입하여 흡입팬(570) 하부에 마련된 포집부(550)에 곤충을 포집하되, 몸체 상면(516)이 폐쇄된 면을 가짐으로써 흡입 기류를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으로 발생시켜,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510)는 적어도 일부에 곤충통과부(513)가 마련될 수 있다. 곤충통과부(513)는 몸체(510) 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살(514) 및 구멍(515)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515)은 곤충통과부(513)를 구성하는 복수의 살(51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일 수 있다. 살(514)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멍(515)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 몸체(510)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된 형태, 몸체(510)의 둘레방향으로 마련된 형태, 또는 격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510)의 높이 방향은 도 27에서 y축 방향을, 상기 몸체(510)의 둘레 방향은 도 27에서 x축 방향을 지칭하며, 각각 몸체(5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살(514)이 몸체(510)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구멍(515)이 몸체(510)의 길이 방향보다 몸체(510)의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구멍(515)이 몸체(510) 내로 흡입되는 곤충의 진입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곤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구멍(515)은 해충, 예를 들어 모기가 통과 가능하되, 나비 또는 잠자리 등 해충으로 분류되지 않으면서 체적이 큰 곤충은 통과되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길이 X 두께가 ( ) ㎜ X ( ) ㎜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복수의 살(514) 및 구멍(515)이 마련된 곤충통과부(513)를 포함하여, 체적이 큰 곤충이 회전하는 흡입팬(570)에 달라붙어 흡입팬(570) 내지 흡입팬(570)의 구동력 부여 수단, 예를 들어, 모터(571)의 내구성이 열화되는 종래 포충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광원(630)은 도 21 내지 도 25를 들어 전술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고, 몸체(51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몸체(510)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 시 초소형 형태가 가능하며, 휴대 시 물리적 충격에 의한 광원(6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630)은 흡입팬(57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몸체(510) 내부에서 몸체 상면(516)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광원(630)이 몸체(510) 내부에 마련되어 휴대 시 초소형 형태가 가능한 동시에 광원(630)이 몸체(510) 내에서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광 도달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곤충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포집부(550)는 흡입팬(570)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가 포충기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 나갈 수 있는 것이라면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메쉬가 형성될 수 있다. 메쉬가 형성된 영역은 포집부(550) 높이의 1/2을 초과하여, 포집부(550) 내에 곤충이 쌓임으로써 흡입 기류 형성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휴대 시 초소형 형태가 가능한 것으로, 몸체(510)에 마련된 돌출편(511)과 포집부(550)에 마련된 홈부(551)가 결합되는 형태를 제공한다. 즉, 몸체(510)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511)을 포함하고, 포집부(550)는 돌출편(511)에 대응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5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7 및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몸체(510)와 포집부(550)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8 및 도 30은 각각 도 27의 단면도 및 도 29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서 몸체(510)와 포집부(55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27 내지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충통과부(513)가 외부에 노출된 제1 결합형태와, 도 29 내지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집부(550)가 곤충통과부(513)를 감싸는 제2 결합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형태는 사용 시 형태를, 제2 결합형태는 휴대 시 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
돌출편(511)은 몸체(510) 내부 또는 표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 두께, 높이를 갖고 몸체(510)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편(511)은 포집부(550)와 몸체(510)가 제1 결합형태를 갖도록 홈부(551)에 결합이 가능한 제1 돌출편(511a) 및 포집부(550)와 몸체(510)가 제2 결합형태를 갖도록 홈부(551)에 결합이 가능한 제2 돌출편(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충기를 사용 시 홈부(551)와 제1 돌출편(511a)이 결합된 제1 결합형태로, 휴대 시 홈부(551)와 제2 돌출편(511b)이 결합된 제2 결합형태로 몸체(510)와 포집부(550)의 결합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몸체(510)는 홈부(551)와 돌출편(511)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포집부(55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12)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몸체(5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몸체(5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얇은 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512)는 제1 돌출편(511a) 및 제2 돌출편(511b) 사이에 마련되되 포집부(550)에 접촉하여 포집부(55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형태는 포집부(550)가 가이드부(512) 하면에 배치되고, 제2 결합형태는 포집부(550)가 가이드부(512) 상면에 배치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510)는 가이드부(512)를 더 포함하여, 몸체(510)에 마련된 돌출편(511)과 포집부(550)에 마련된 가이드부(512)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홈부(551)는 돌출편(511)의 인입을 가이드하는 제1 홈부(551a), 돌출편(511)에 고정력을 부여하는 제2 홈부(55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홈부(551a)는 돌출편(511)이 몸체(510)의 높이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고, 제2 홈부(551b)는 돌출편(511)이 몸체(510)의 둘레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홈부(551b)에 돌출편(511)이 삽입 시, 돌출편(511) 및 가이드부(512) 사이에 포집부(550)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홈부(551b)에 돌출편(511)이 삽입 시, 돌출편(511) 및 가이드부(512)에 의해 발생한 압착력으로 포집부(550)가 제1 결합형태로 또는 제2 결합형태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홈부(551)와 돌출편(511)의 고정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력을 이용한 고정, 탄성편을 이용한 고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간단한 설계가 적용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설치 시 및 휴대 시 안정적인 고정력 부여가 가능하다.
이때, 제2 결합형태는 포집부(550)의 적어도 일부와 몸체(510)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포집부 저면(552)의 적어도 일부와 몸체 상면(516)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휴대 시 포집부(550)가 몸체(510)를 감싸는 형태이되, 휴대 시 포충기의 부피와 몸체(510) 자체의 부피의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형태가 적용되어,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휴대 시 흡입팬(570)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충기는 제2 홈부(551b)에 마그넷이, 제2 돌출편(511b)에 마그네틱 센서가 각각 마련되어, 제2 돌출편(511b)이 제2 홈부(551b)에 결합되는 경우 모터(571)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충기는 제2 홈부(551b) 및 제1 돌출편(511a)에 각각 광발신부 및 이에 대응하는 광수신부가 마련되어, 제1 돌출편(511a)이 제2 홈부(551b)에 결합되는 경우에만 모터(57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몸체
111: 몸체 안내부
112: 몸체 안내구
113: 몸체 돌출부
120: 상부 지지대
121, 221: 상부 안내부
122: 상부 고정부재
123: 제1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
124: 제2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
125: 제3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
126: 탄성편
127: 탄성편 삽입홈
130, 230, 330, 430, 530, 630: 광원
131, 231, 331: 지지부재
132: 발광 다이오드
140, 240: 지붕
141: 광원 장착부
50, 150, 250: 포집부
151: 지지프레임
152: 지지프레임 연결부재
153: 포집부 고정부재
160, 260: 하부 지지대
161: 하부 안내부
162, 262: 하부 고정부
163: 본체
164: 길이 확장부
165: 접지부
166: 하부 지지대 돌출부
170: 흡입팬
180: 탈출 방지부재
51, 251: 메쉬부
253: 포집부 고정부재
353: 포집부 고정부 홈
270: 모터
1000, 2000, 3000: 포충기
510: 몸체
511: 돌출편
511a: 제1 돌출편
511b: 제2 돌출편
512: 가이드부
513: 곤충통과부
514: 살
515: 구멍
516: 몸체 상면
550: 포집부
551: 홈부
551a: 제1 홈부
551b: 제2 홈부
552: 포집부 저면
570: 흡입팬
571: 모터

Claims (30)

  1.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에 배치된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일 단에 장착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안내부를 가지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재를 가지는, 포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지지대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재 삽입구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인 것인, 포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재는 탄성편을 이용한 체결장치인 것인, 포충기.
  5.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및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하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부 안내부를 가지는, 포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포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 하부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포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연결부재는 그물망 형태인, 포충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이 겹쳐지도록 접어지는, 포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접어진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포집부 고정부를 가지는, 포충기.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 하부에 테이퍼(taper) 형상의 탈출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출 방지부재는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인, 포충기.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하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3.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광원을 갖는 지붕; 및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된 포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를 상기 포집부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몸체 안내부를 가지는, 포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적어도 일부에 메쉬부를 가지는, 포충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적어도 일부가 접어지는 형태인, 포충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인, 포충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붕의 접어진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되는, 포충기.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지붕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 내로 또는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 안내부를 가지는, 포충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고정부재를 가지는, 포충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지지부재; 및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판,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포충기.
  22. 내부에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착이 가능한 포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적어도 일부에 곤충통과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여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광원이 더 포함되되, 상기 광원은 상기 흡입팬 상에 배치된, 포충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곤충통과부는,
    복수의 살; 및
    상기 복수의 살에 의해 구획된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살은 상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마련된, 포충기.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포집부와 상기 몸체가 제1 결합형태를 갖도록 상기 홈부에 결합이 가능한 제1 돌출편; 및
    상기 포집부와 상기 몸체가 제2 결합형태를 갖도록 상기 홈부에 결합이 가능한 제2 돌출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형태는 상기 곤충통과부가 외부에 노출된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형태는 상기 포집부가 상기 곤충통과부를 감싸는 형태를 포함하는, 포충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돌출편 및 제2 돌출편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포집부에 접촉하여 상기 포집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형태는 상기 포집부가 상기 가이드부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결합형태는 상기 포집부가 상기 가이드부 상면에 배치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포충기.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편이 상기 몸체의 높이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1 홈부; 및
    상기 돌출편이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제2 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홈부에 상기 돌출편이 삽입 시, 상기 돌출편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발생한 압착력으로 상기 포집부가 상기 제1 결합형태로 또는 제2 결합형태로 고정이 가능한, 포충기.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형태는 포집부 저면의 적어도 일부와 몸체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형태를 포함하는, 포충기.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형태인 경우 상기 흡입팬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되는, 포충기.
KR1020170090437A 2016-11-28 2017-07-17 포충기 KR20180060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3467 WO2018097631A1 (ko) 2016-11-28 2017-11-24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510 2016-11-28
KR20160159510 2016-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922A true KR20180060922A (ko) 2018-06-07

Family

ID=6262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437A KR20180060922A (ko) 2016-11-28 2017-07-17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639A1 (ko) * 2020-04-03 2021-10-0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639A1 (ko) * 2020-04-03 2021-10-0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포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267B1 (ko) 포충기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CN107182976B (zh) 捕虫器
US102715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pping flying insect pests
KR101649123B1 (ko) Uv-led 램프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
CN108601338B (zh) 使用紫外线发光二极管的薄型捕虫器
US11154044B2 (en) Insect trap
KR101003178B1 (ko) 흡입식 포충기
KR101691587B1 (ko) 포충기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CN107182967B (zh) 捕虫器
CN205040480U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害虫诱捕装置
KR20190000020A (ko) Uv led를 사용한 슬림형 포충기
KR20170112972A (ko) 포충기
KR20180060922A (ko) 포충기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CN108244070A (zh) 捕虫器
CN207948656U (zh) 捕虫器
KR20190050882A (ko) 포충기
JP3968717B2 (ja) 照明器具
KR102574929B1 (ko) 포충기
KR102616208B1 (ko) 포충기
KR101815966B1 (ko) 생체 모방 모기트랩
KR102525233B1 (ko) 포충기
KR20190037605A (ko) 포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