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29B1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29B1
KR102574929B1 KR1020180001347A KR20180001347A KR102574929B1 KR 102574929 B1 KR102574929 B1 KR 102574929B1 KR 1020180001347 A KR1020180001347 A KR 1020180001347A KR 20180001347 A KR20180001347 A KR 20180001347A KR 102574929 B1 KR102574929 B1 KR 10257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light source
section
air passage
coll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554A (ko
Inventor
엄훈식
유시호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2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889 priority patent/WO2019135564A1/ko
Priority to TW108100213A priority patent/TWI809025B/zh
Publication of KR2019008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충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는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광원이 실장된 광원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되, 곤충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마련된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기류로 포집하되, 흡입 기류를 더욱 향상시키고 포집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모기 살충 관련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고,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거나 고전압 장치가 수반하는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각광을 받아오고 있고, UV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곤충을 흡입팬에 의해 포집하는 포충기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상용되는 UV LED를 이용하여 흡입팬으로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는, 소형화를 위해 소형 팬을 장착하는 경우 흡입 기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소형 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경우 포집부에 포집된 곤충이 탈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집된 곤충이 탈출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효율적인 흡입 기류를 형성하여 곤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포집부에 제1 포집부재 및 상기 제1 포집부재에 결합되는 제2 포집부재가 마련되며, 흡입팬이 정지된 상황에서 포집된 곤충이 탈출하기 어려운 형태를 갖는 제2 포집부재를 갖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포집부재가 흡입 기류를 효율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형태를 갖는 동시에, 포충기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효율적인 유체 흐름을 유도하는 복수의 공기통과구멍을 갖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포충기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효율적인 흡입 기류 형성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포집부와 몸체의 결합구조를 갖는, 포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광원이 실장된 광원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되, 곤충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마련된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친환경적인 곤충 살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포집된 곤충이 흡입팬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흡입팬에 의해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흡입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포집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하고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인 흡입 기류를 형성하여 곤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포집부가 몸체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포집부의 상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집부재 및 제2 포집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집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포집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광원부 커버, 광원 및 광원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 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곤충'은 예를 들어 해충을 지칭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날벌레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광원이 실장된 광원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되, 곤충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마련된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포충기를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제1 포집부재; 및 상기 제1 포집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어 포집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제2 포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몸체는, 상기 포집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포집부 결합부재; 및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 결합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편(片)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 결합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된 웨이브부 및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고정력을 부여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웨이브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웨이브 오목부 및 볼록한 형태의 웨이브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부재는 적어도 2 개의 가지부를 갖고, 상기 가지부는 오목부를 사이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가지부의 일 단이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결합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상부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포집부재는 상기 제1 포집부재 상단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결합부재는 상기 단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몸체 결합부재는 상기 단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1 포집부재 상단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어 상기 포집부와 상기 몸체가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포집부재는 측벽에 마련된 복수의 제6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6 공기통과구멍은 상기 제1 포집부재의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중공의 판 형태를 갖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기울기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3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은 상기 테이퍼 형상의 직경 방향 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울기가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테이퍼 형상의 직경 방향 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울기가 제3 구간 > 제1 구간 > 제2 구간 순서 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복수의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제3 구간의 내주연에 의해 정의된 제1 공기통과구멍; 상기 제2 구간에 마련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슬릿 형태로 마련된 제2 공기통과구멍; 및 상기 제3 구간에 마련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슬릿 형태로 마련된 제3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구간에서 복수의 상기 제2 공기통과구멍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2 공기통과구멍 보다 길이가 짧은 슬릿 형태인 제4 공기통과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공기통과구멍과 상기 제2 공기통과구멍 사이에 마련된 제5 공기통과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내부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부 돌출부재는 상단이 상기 테두리부와 맞닿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중공의 판 형태를 갖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상부에 상기 상부 돌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포집부재의 내측벽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포집부재에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안내되는 하부 돌출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돌출부재는 상기 테두리부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포집부재의 내측벽에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상기 안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소정 높이에서 안착되는 볼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볼록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연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레일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원이 장착되되, 상기 광원부 하부에 마련되는 광원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장착부는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광원부 커버가 위치한 방향이 개구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면도를,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포충기(1000)는 몸체(110), 포집부(130) 지지대(170) 및 광원부(120)를 포함한다.
몸체(110)
몸체(110)는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흡입팬(115)이 내부에 실장된다는 점에서 원통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볼록한 항아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원활한 흡입 기류를 형성하고, 모터(11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배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재질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제조 단가를 크게 높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용되는 플라스틱계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몸체(110)는 상하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몸체(11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곤충 통과부(111), 모터(114), 흡입팬(115)이 몸체(1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곤충 통과부(111)는 선택적으로 곤충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111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111a)은 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부재 및 방사상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일련의 원형 부재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포집 대상 곤충의 평균 크기를 고려하여 곤충 통과 구멍(111a)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충 통과부(111)가 일련의 원형 부재인 곤충 통과 구멍(111a)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낮은 제조 단가로 곤충 통과 구멍(111a)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 상용되던 흡인팬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모기 보다 체적이 큰 나비, 잠자리, 파리 등의 곤충이 함께 포집되어 포집부(130) 교환 주기가 빠르거나, 해충이 아닌 유익한 곤충까지 포집되어 생태계에 악영항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체적이 큰 곤충이 흡입팬(115)에 달라붙게 되어 모터(114)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흡입팬(115)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포충기(1000)가 곤충을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곤충 통과 구멍(111a)의 크기를 제어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곤충 통과부(111)를 제조하였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곤충 통과 구멍(111a)은 직경이 0.5 cm 내지 2 cm, 바람직하게는 0.8 cm 내지 1.5 cm 이거나 또는 곤충 통과 구멍(111a) 한 개의 면적이 100 ㎜2 내지 225 ㎜2 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곤충, 특히 모기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반면, 나비, 잠자리, 파리 등 몸체(110) 크기가 큰 곤충은 포충기(1000) 내부로 포집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114)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흡입팬(115)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흡입팬(115)은 곤충이 흡입팬(115)에 달라붙지 않고 흡입팬(115) 하부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상용되던 흡입팬(115)을 이용하여 곤충을 포집하는 포충기의 경우, 팬날개(115a)에 곤충이 달라붙게 되어 흡입팬(115)의 회전 반경이 균일하지 않게 됨으로써, 모터(114)의 내구성이 열악해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팬날개(115a)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팬(115)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포충기에 인접한 곤충의 포집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곤충은 풍속 0.8 m/s 이상에서 비행을 멈추는 경향이 있으나 풍속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곤충이 기류로부터 탈출을 시도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팬날개(115a)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모기가 비행을 멈추어 흡입팬(115)에서 발생한 흡입 기류에 의해 포집되는 포충기(1000)를 제조였다.
이를 위해, 팬날개(115a)가 2 개 내지 7 개, 바람직하게는 3 개 또는 4 개 이며, 흡입팬(115)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바람직하게는 2000 rpm 내지 2800 rpm 일 수 있다. 팬날개(115a)의 개수가 2개 미만 또는 흡입팬(115)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미만인 경우 모기의 포집 효과가 감소할 수 있고, 팬날개(115a)의 개수가 7개 초과 또는 흡입팬(115)의 회전속도가 3100 rpm 초과인 경우 모기 사체가 흡입팬(115)에 지나치게 많이 달라붙거나 소음이 38 dBA 이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팬날개(115a)는 평평하지 않고 일정 또는 일정하지 않은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으며, 구부러진 형태의 팬날개(115a)는 최하단(最下段)과 최상단(最上段)의 높이 차가 5 ㎜ 내지 50 ㎜ 일 수 있다. 한편, 흡입팬(115)은 지름이 50 ㎜ 내지 120 ㎜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100 ㎜ 일 수 있다. 그리고, 흡입팬(115)과 몸체(110) 내벽의 최단거리를 1 ㎜ 내지 5 ㎜ 로 제어하여, 흡입팬(115)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흡입 기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로부터 광원부(120)가 이격된 수직 거리 및 몸체(110)의 높이 비가 1 : 1 내지 1 : 4 이고, 포집부(130)의 높이 및 포집부(130)로부터 광원부(120)가 이격된 거리의 비가 1 : 0.8 내지 1 : 2 일 수 있다. 비율 범위 내에서 흡입팬(115)에 의한 기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흡입팬(115)에 곤충이 달라붙지 않으면서 포충기(1000)에 인접한 곤충이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로부터 광원부(120)가 이격된 수직 거리는 광원 장착부(122)가 설치된 판 형태의 광원부(120)까지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수치 범위 내에서 곤충 통과부(111) 및 광원부(120) 사이에서 흡입팬(115)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0 m/s, 바람직하게는 0.6 m/s 내지 2.8 m/s,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s 내지 2.5 m/s, 예를 들어 0.7 m/s 내지 2.3 m/s 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풍속 범위에서 곤충이 흡입팬(115)에 달라붙지 않으면서 동시에 곤충이 비행을 멈추고 높은 효율로 포집부(130)에 포집될 수 있으며, 흡입팬(115)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풍속은 포충기(1000)의 몸체(110) 상단과 광원부(120)의 중간 지점에서 풍속 측정 장비(TSI 9515, TSI 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는 곤충 통과부(111)의 입구로부터 광원부(120)의 하면이 이격된 이격 수직 거리 및 몸체(110)의 높이 비가 1 : 1 내지 1 : 4 이고, 포집부(130)의 높이 및 포집부(130)로부터 광원부(120)가 이격된 거리의 비가 1 : 0.8 내지 1 : 2 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곤충이 흡입팬(115)에 달라붙지 않고 포집부(130)에 포집되는 적정 회전속도인 1800 rpm 내지 3100 rpm이 되도록 흡입팬(11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곤충 통과부(111) 및 광원부(120) 사이에서 흡입팬(115)에 의해 형성된 기류(氣流)의 속도가 0.5 m/s 내지 3.0 m/s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곤충 통과부(111) 하부에 모터(114)를 실장되고, 모터(114) 하부에 흡입팬(115)을 장착하여, 모터(114) 및 흡입팬(115)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8 dB 미만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은 보통소음 29.8 dBA 조건에서, 포충기(1000)로부터 1.5 m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서 소음 측정 장비(CENTER 320, TESTO 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몸체(110)의 하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110)의 하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10)의 하부는 포집부(130)와 안정적인 탈착이 가능하면서도 포집부(130)의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포집부 결합부재(112) 및 가압부재(113)가 마련된다.
포집부 결합부재(112)는 몸체(110)와 포집부(130)의 안정적인 탈착을 구현할 수 있도록 몸체(110)의 외벽, 내벽 또는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화를 달성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110)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몸체(110)와 포집부(130)는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착탈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력, 탄성력, 마찰력 등을 사용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130)는 제조 원가를 낮추고, 제품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찰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 결합부재(112)는 몸체(110)의 내벽에서 몸체(110)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돌출 편(片)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편 형태의 포집부 결합부재(112)는 후술하는 몸체 결합부재(142)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포집부 결합부재(112)는 웨이브부(112a) 및 지지부(112d)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브부(112a)는 포집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되며, 지지부(112d)는 포집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웨이브부(112a)를 따라 인입 된 후 고정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이때, 웨이브부(112a)는 지지부(112d)를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웨이브 오목부(112c) 및 볼록한 형태의 웨이브 볼록부(112b)를 포함한다. 포집부(13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1 포집부재(140)에 마련된 몸체 결합부재(142), 예를 들어, 절곡부(142a)의 말단이 웨이브 볼록부(112b)와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웨이브 오목부(112c)를 거쳐 지지대(170)를 압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포집부재(14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몸체 결합부재(142)가 웨이브 볼록부(112b)를 통과시키기 위한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극복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몸체(110)와 포집부(130)를 분리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몸체(110)와 포집부(13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113)는 흡입팬(115)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포집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포집부(130)와 몸체(110)의 결합 형태에 따라 몸체(110)의 외벽, 내벽 또는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13)는 몸체(110)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13)는 몸체(110)의 내벽에서 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돌출 판(板)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13)는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13)는 몸체(11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0) 내벽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부분을 가짐으로써, 상기 절곡된 부분이 몸체(110) 내벽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13)는 흡입팬(11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포집부(130)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를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산 면적을 넓힘으로써 포집부(1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13)는 적어도 2 개의 가지부(113a)를 가질 수 있다. 가지부(113a)는 오목부를 사이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가지부(113a)의 일 단이 포집부(13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포집부재(150)의 상부 돌출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113)는 포집부(130)와의 접촉면을 줄임으로써, 가압부재(113)와 포집부(130)의 접촉면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포집부 (1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포집부(130)가 몸체와 분리된 상태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포집부(130)의 상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집부재(140) 및 제2 포집부재(15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포집부(130)는 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115)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에 의해 곤충통과부를 통과한 곤충이 포집되는 곳이다. 따라서, 포집부(130)는 포집된 곤충이 쉽게 탈출하기 어려운 동시에 유체역학적으로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시행 착오를 거친 결과, 제1 포집부재(140) 및 제1 포집부재(140)에 안착되는 제2 포집부재(150)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포집부(130)는 몸체(110)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결합부재(142) 및 가압부재(113)가 가압하는 상부 돌출부재(151b)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성은 제1 포집부재(140) 및 제2 포집부재(150)를 들어 설명한다.
제1 포집부재 (140)
도 9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집부재(14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포집부재(140)는 곤충이 포집되거나 또는 포집된 곤충이 건조치사 되는 곳으로, 예를 들어, 몸체(110)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제1 포집부재(140)는 흡입팬(115)에 의해 발생한 흡입 기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고, 포집된 곤충을 건조치사 시키기 위한 복수의 공기통과구멍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포집부재(140)는 슬릿 형태의 제6 공기통과구멍(145)을 가질 수 있고, 제6 공기통과구멍(145)은 각각 크기가 상이한 제6a 공기통과구멍(145a), 제6b 공기통과구멍(145b), 제6c 공기통과구멍 (145c), 제6d 공기통과구멍(145d) 및 제6e 공기통과구멍(145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포집부재(140) 측벽에 제6a 내지 제6e 공기통과구멍(145a, 145b, 145c, 145d, 145e)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포집부재(140)의 상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6a 공기통과구멍(145a), 제6b 공기통과구멍(145b), 제6c 공기통과구멍(145c), 제6d 공기통과구멍(145d) 및 제6e 공기통과구멍(145e) 이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6a 공기통과구멍(145a), 제6b 공기통과구멍(145b), 제6c 공기통과구멍(145c), 제6d 공기통과구멍(145d) 및 제6e 공기통과구멍(145e)은 각각 소정 넓이의 살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포집부재(140) 측벽에 슬릿 형태의 공기통과구멍이 복수 개의 군(6a 내지 6e 공기통과구멍)으로 마련되어,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가 포집부(130)를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포집부(130)를 압착시킬 때 포집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a 내지 제6e 공기통과구멍(145a, 145b, 145c, 145d, 145e)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슬릿 형태의 구멍 크기가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포집부재(140)에 안착되는 제2 포집부재(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뿔 또는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고, 흡입팬(115)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공기를 아래 방향으로 집진시키는 구조가 적용된다. 즉, 제1 포집부재(140)의 측벽에서 아래에 위치한 부분에 더 많은 공기가 토출되어야 유체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집부재(1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슬릿의 크기가 커지는 형태의 제6a 내지 제6e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함으로써, 흡입팬(115)에 의해 발생한 흡입기류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제1 포집부재(140)는 몸체(110)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결합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집부재(140)는 제1 포집부재(140) 상단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단차부(141)는 제1 포집부재(140)의 내구성을 향상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1 포집부재(140)를 몸체(110)로부터 착탈 시키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충기(1000)는 소형화를 달성하면서도 유체역학적으로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공기통과구멍이 몸체(110) 측벽에서 넓은 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포집부재(140)를 몸체(110)로부터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포집부(13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집부재(140)에 제1 포집부재(140) 측벽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단차부(141)가 마련되고, 단차부(141)에 몸체 결합부재(142)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10)와 제1 포집부재(140)의 결합 부분의 압착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1 포집부재(140)에 압착력을 가하여도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 결합부재(142)는 몸체(110)로부터 자력, 탄성력, 마찰력 등을 사용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결합부재(142)는 제조 원가를 낮추고, 제품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찰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결합부재(142)는 단차부(141)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결합부재(142)는 “┐” 및 “┍”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42a)와 제1 포집부재(140) 상단 사이에 마련된 공간, 예를 들어, 절곡부(142a)의 개구 방향으로 몸체(110)에 마련된 포집부 결합부재(112)가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142a)의 개구 부분의 밑면은 제1 포집부재(140) 상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제1 포집부재(140)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몸체 결합부재(142)와 포집부 결합부재(112)의 접촉면인 단차 부분이 몸체(110)의 하단 또는 제1 포집부재(140)의 상단의 두께 보다 넓게 형성되어, 몸체 결합부재(142)와 포집부 결합부재(112)의 결합을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 포집부재(140)는 제2 포집부재(150)를 제1 포집부재(140) 내로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44) 및 제2 포집부재(150)를 제1 포집부재(140) 내에서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안착레일(14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4)는 제1 포집부재(140)의 내측벽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된 부분 사이의 오목한 공간으로 후술하는 하부 돌출부재(151c)가 가이드 될 수 있다.
안착레일(143)은 제1 포집부재(140)의 내측벽에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레일(143)을 따라 후술하는 볼록부재(151a)가 슬라이딩되어 소정 위치에서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레일(143)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부재(151a)가 안착레일(143)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다가 상기 볼록부재(151a)가 더 이상 슬라이딩 될 수 없을 정도로 안착레일(143) 간격이 좁아지는 위치에서 상기 볼록부재(151a)가 안착레일(143)에 안착 되며, 이 위치에서 제2 포집부재(150)가 제1 포집부재(140) 내에서 안착될 수 있다.
제2 포집부재 (150)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포집부재(15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포집부재(150)는 제1 포집부재(140)에 포집된 곤충이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팬(115)의 회전에 의한 흡입 기류를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포집부재(150)는 제1 포집부재(140)의 적어도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집부재(150)는 테두리부(151) 및 상기 테두리부(151)로부터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cone) 형상 또는 테이퍼(taper)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테두리부(15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판 형태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포집부재(150)는 기울기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테두리부(151)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구간(152), 제1 구간(152)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구간(153), 및 제2 구간(153)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3 구간(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간(152), 제2 구간(153) 및 제3 구간(154)은 상기 테이퍼 형상의 직경 방향 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울기가 상이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간의 기울기(154a) > 제1 구간의 기울기(152a) > 제2 구간의 기울기(153a) 순서 일 수 있다. 즉, 제2 포집부재(150)는 흡입팬(115)에 의해 발생한 기류를 분산시키지 않고 하부의 포집부(130)로 효과적으로 집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구간(152)은 상기 테이퍼 형상의 직경 방향 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울기가 45 ˚ 내지 80 ˚ 일 수 있고, 일 예로, 60 ˚ 내지 85 ˚ 일 수 있다. 제1 구간(152)의 상기 기울기가 45 ˚ 미만인 경우 흡입팬(115)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포충기(1000)로부터 탈출하는 빈도가 지나치게 많아지고, 80 ˚ 초과인 경우 제2 포집부재(150)와 제1 포집부재(14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지나치게 좁아 모기가 제2 포집부재(150)와 제1 포집부재(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경향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구간(154)의 수직 방향의 길이는 0.2 cm 내지 2 cm, 일 예로, 0.5 cm 내지 1.5 cm 일 수 있으며, 2 cm 초과인 경우 흡입팬(115)에 의해 형성된 흡입 기류를 제3 구간(154)이 방해할 수 있고, 0.2 cm 미만인 경우 흡입팬(115)이 정지하였을 때 모기가 제3 구간(154)에 달라붙는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 모기의 탈출 억제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포집부재(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통과구명을 갖고, 제3 구간(154)에 의해 정의된 제1 공기통과구멍(155a)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간에 마련된 공기통과구멍은 모기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1 포집부재(140)에 포집된 곤충, 예를 들어 모기는 제1 공기통과구멍(155a)을 통해서만 외부로 탈출이 가능하여 모기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를 갖는 제1 포집부재(140)를 적용할 때, 제1 포집부재(140)에 포집된 곤충, 예를 들어 모기가 제1 구간(152)과 제1 포집부재(1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이는 경향을 나타내어, 흡입팬(115)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곤충의 탈출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2 포집부재(150)에서 제3 구간(154)이 기울기가 가장 큰 구조, 예를 들어, 테이퍼 형상의 직경 방향 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울기가 수직인 형태를 적용하는 경우, 흡입팬(115)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포집된 곤충, 예를 들어 모기가 외부로 탈출하는 빈도 보다 제3 구간(154)에 달라 붙는 경향이 더 크기 때문에, 흡입팬(115)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곤충의 탈출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제2 포집부재(150)가 제1 포집부재(140)의 적어도 일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하부 돌출부재(151c) 및 볼록부재(151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돌출부재(151c)는 테두리부(151) 하부에 소정의 면적 및 두께를 갖고 마련될 수 있고, 제1 포집부재(140)에 마련된 가이드부재(144)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돌출부재(151c)는 제1 포집부재(140)의 내측벽에 마련된 가이드부재(144)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제2 포집부재(150)가 제1 포집부재(140) 내로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볼록부재(151a)는 테두리부(151)의 외주연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1 포집부재(140)에 마련된 안착레일(143)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볼록부재(151a)가 소정 높이에서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레일(143)에 볼록부재(151a)가 안착되는 실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제2 포집부재(150)가 제1 포집부재(1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포집부재(140)가 몸체(110)에 결합 시, 흡입팬(11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제2 포집부재(150)와 제1 포집부재(140)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간으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포집부재(150)는 이러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돌출부재(15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집부재(150)에 마련된 테두리부(151) 상부에 상부 돌출부재(151b)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돌출부재(151b)는 소정의 면적 및 두께를 갖고, 몸체(110)에 마련된 가압부재(113)에 의해 압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돌출부재(151b)는 가압부재(113)에 마련된 가지부(113a)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집부재(140) 및 이로부터 탈착 가능한 제2 포집부재(150)가 조립된 형태의 포집부(130)를 사용하여도, 제1 포집부재(140) 및 제2 포집부재(150)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포집부재(150)는 내부 돌출부재(151d)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돌출부재(151d)는 사용자가 제2 포집부재(150)를 제1 포집부재(1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부 돌출부재(151d)는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정 넓이를 갖는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돌출부재(151d)는 상단이 제2 포집부재(150)에 마련된 테두리부(151)와 맞닿는 형태가 적용되어, 내부 돌출부재(151d)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포집부재(150)는 흡입팬(115)의 회전에 의한 흡입 기류를 유체역학적으로 효율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포집부재(150)는 제3 구간(154)의 내주연에 의해 정의된 제1 공기통과구멍(155a), 제2 구간(153)에 마련된 제2 공기통과구멍(155b), 제3 구간(154)에 마련된 제3 공기통과구멍(155c)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및 제3 공기통과구멍(155c)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된 슬릿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통과구멍(155a)은 충분한 양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되, 제2 및 제3 공기통과구멍(155c)은 곤충, 예를 들어, 모기가 통과하기 어려운 크기를 가짐으로써, 흡입팬(115)에 의한 흡입 기류를 효율적으로 형성시키면서도 포집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포집부재(150)는 제2 구간(153)에서 복수의 제2 공기통과구멍(155b) 사이에 마련되는 제4 공기통과구멍(15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공기통과구멍(155d)은 제2 공기통과구멍(155b) 보다 길이가 짧은 슬릿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포집부재(150)는 제1 공기통과구멍(155a)과 제2 공기통과구멍(155b) 사이에 마련되는 제5 공기통과구멍(155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5 공기통과구멍(155e)은 면적이 제2 공기통과구멍(155b) 보다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제4 공기통과구멍(155d)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공기통과구멍(155e)은 제2 구간(153)과 제3 구간(154)의 경계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포집부재(150)는 내구성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공기통과구멍을 가능한 많이 갖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흡입팬(115)에 의한 흡입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부 (12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에서 광원부 커버(121), 광원(160), 및 광원부(1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포충기(1000)는 몸체(110)와 광원부(120) 사이의 공간으로 곤충이 유입되도록 몸체(110) 상에 광원부(120)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20)의 형태는 중공형, 판형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어, 몸체(110)의 외주연과 유사한 형태의 판 형태를 가짐으로써, 흡입팬(11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기류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팬(115)의 회전속도가 1800 rpm 내지 3100 rpm 범위에서 구동되어도 흡입 기류가 0.5 m/s 내지 3 m/s 로 형성되어 모기가 흡입팬(115)에 달라붙지 않고 포집부(130)에 포집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지지대(170)의 형태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광원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곤충이 유입되는 공간이 지지대(170)에 의해 제한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 쌍의 지지대(170)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광원부(120)는 몸체(1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1 cm 내지 8 cm, 바람직하게는 2 cm 내지 5 cm 가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70)의 길이가 제어되 수 있다. 광원부(120)가 몸체(110)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거리가 1 cm 보다 짧은 경우 곤충이 유입되는 구멍이 지나치게 작아 곤충 포집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8 cm 보다 긴 경우 흡입팬(115)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충분한 세기로 형성되지 않아 곤충 포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원부(120)의 적어도 일부에 광원(160)이 설치되는 광원 장착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장착부(122)는 광원부(12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광원(160)을 지붕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장착부(122)는 광원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되 광원부 커버(121)가 위치한 방향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광원(160)이 포충기(1000)의 설치면과 수평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광원 장착부(122)가 광원부(120)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곤충, 특히 모기는 비행 시 지면에서 약 1.5 m 높이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머물게 되는데, 포충기(1000)를 지면에서 약 1.5 m 높이에 설치하는 경우,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에 의해 곤충이 강한 자극을 받게 되어, 곤충을 포충기(1000)로 효과적으로 유인될 수 있다.
광원 장착부(122)는 광원(160)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여 광원 장착부(122)에 장착된 광원(160)을 보호하는 투명한 광원 장착부 커버(123)가 설치되어, 외부 먼지 또는 곤충의 접근에 의해 광원(16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광원 장착부 커버(123)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 장착부 커버(123)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광원(16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키거나 소정의 방향으로 수렴시키는 렌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광원 장착부 커버(123)는 일 예로서, 글라스, 쿼츠(quartz)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량체 비율이 약 80 % 이상 높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는 주로 탄소와 수소로 구성되어 전자구름이 희박하여 UV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재질을 사용하여 광원 장착부 커버(123)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착부 커버(123)로 자외선과 반응하지 않는 안정적인 물질인 불소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석영이나 PMMA 보다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점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플렉시블한 물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면서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불소계 폴리머를 광원 장착부 커버(123)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투과율을 고려해야 하고, 불소계 폴리머의 경우 석영이나 PMMA 보다는 자외선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두께가 얇을 수록 자외선 투과율이 높아지게 되지만, 광원 장착부 커버(123)의 두께를 얇게 하면 폴리머의 취성에 의해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서질 염려가 있으므로, 재질 자체를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취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 장착부(122)와 광원 장착부 커버(123) 사이에 패킹부재가 더 장착되어, 광원 장착부 커버(123)와 광원 장착부(122)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광원 장착부 커버(123)에 의해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더욱 방지하고, 방수 및 방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유인광원의 내구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고, 유인광원에 의한 해충의 유인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 장착부 커버(123)는 광원(160)에서 조사되는 광을 굴절 또는 확산시킬 수 있도록 표면이 요철처리 되거나 별도의 확산판이 광원 장착부 커버(123)의 전방 또는 후방에 부착 또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곤충은 광이 직접 조사되는 경우 보다 빛이 굴절 또는 확산되는 경우에 유인 효율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광원(160)에서 조사된 광이 곧바로 광원 장착부 커버(123)를 투과하지 않고 굴절 또는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곤충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포충기(1000)를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광원부 커버(121) 상면에 지붕 걸이를 추가로 설치하여 약 1.5 m 높이의 나뭇가지 등에 매달아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광원부(120)는 하면에 광원(160)으로부터 조사된 UV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UV를 반사시킬 수 있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은 또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이 부착될 수 있고, 은 또는 알루미늄 막이 광원부(120) 하면에 코팅될 수 있으며, 조사된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굴곡 또는 요철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광원(160)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광원(160, 260, 360)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제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곤충이 유인되는 파장과 관련하여, 파리 및 벼멸구의 경우 약 340 nm 또는 약 575 nm의 파장의 빛을 선호하며, 나방과 모기의 경우 약 366 nm 파장의 빛을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타 일반적인 해충의 경우, 약 340 nm 내지 380 nm 파장의 빛을 상대적으로 선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원(160, 260, 360)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은 340 nm 내지 390 nm 일 수 있고, 곤충, 특히 모기는 강하게 유인되는 반면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낮다는 점에서 약 365 nm 의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원(160, 260, 360)은 기판(161)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고, 기판(161)이 과열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지그재그(zigzag) 형태일 수 있다.
기판(16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패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집적 회로 또는 배선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판(161)은 발광 다이오드 칩(162)이 실장될 영역에 회로패턴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기판(161)은 금속, 반도체, 세라믹, 폴리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60, 260, 360)은 긴 평판 형상의 PCB 상에 발광 다이오드 칩(162)이 실장된 형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162)은 PC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예를 들어 4 개 내지 10 개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PCB의 타면에는 발광 다이오드 칩(16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핀이 설치될 수 있고, 광원(160, 260, 360)의 양 단에는 전원단자와 접속하여 PCB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광원(160, 260, 360)은 입력 전압이 10 V 내지 15V, 입력 전류가 75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1000 mW 내지 1500 mW 의 전력을 소모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365 nm 파장의 빛으로 곤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동시에 인체에는 무해한 파장 및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면서도 전력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광원(160, 260, 360)은 기판(161)의 한 면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다른 면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겹치지 않도록 기판(161) 상에 배열되는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복수의 열로 배열되는 형태이거나 지그재그(zigzag)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는 빛 조사 범위를 크게 확장시키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칩(162)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광원(160, 260, 36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점발광 빛을 조사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복수의 점발광 빛을 포함하고, 상기 점발광 빛은 다른 상기 점발광 빛으로부터 2mm 내지 50mm가 이격된 형태일 수 있다.
광원(160, 260, 360)으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빛 에너지 및 열 에너지 형태로 변환되면서 발광 다이오드 칩(162)에서 열이 발생하는 바, 발광 다이오드 칩(162)으로부터 5 ㎜ 이내로 이격된 공간에서 측정한 온도가 30 ℃ 내지 60 ℃ 일 수 있다. 곤충, 특히 모기는 체온과 유사한 약 38 ℃ 내지 40 ℃ 의 온도에 의해 강하게 유인되므로, 광원(160, 260, 36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유인 효과에 더하여 광원(160, 260, 36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포충기(1000)로 곤충을 강하게 유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는 입력 전압이 10 V 내지 15V, 입력 전류가 75 mA 내지 100 mA 일 때, 광출력이 1000 mW 내지 1500 mW 가 되도록 제조된 광원(160, 260, 360)을 사용하고, 기판(161)의 한 면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는 다른 면에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 칩(162) 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와 겹치지 않도록 기판(161) 상에 배열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고 인체에 무해한 반면 곤충 유인 효율이 높은 빛을 조사하는 동시에 포충기(1000) 주변에 곤충의 유인 효과가 높은 온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포충기(1000)에 광촉매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물질은 광원부(120)의 하부, 몸체(110) 상단, 곤충 통과부(111), 흡입팬(115), 포집부(130) 등에 도포 또는 코팅될 수 있고, 또는 필름 형태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마련된 광촉매물질 발산부(도면에 미도시)에 고체 형태의 광촉매물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물질은 광촉매 매질로서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촉매 매질은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및 산화주석(SnO2)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된 광촉매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촉매 물질은 티타늄산화물(TiO2)을 포함하는 층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은 메탈폼(metal foam)이나 다공성 세라믹과 같이 공기 흐름이 유통될 수 있는 재질에 상기 광촉매 매질이 코팅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공기 흐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매질은 예를 들어, 약 200 nm 내지 400 nm의 자외선과 광촉매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매질에 자외선이 흡수되면 표면에 전자(e-)와 정공(+)이 생성되어 광촉매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된 전자와 정공은 공기 중 오염물질과 산화 환원 반응을 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의 표면에 생성된 전자는 상기 광촉매 매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을 생성하고, 정공은 광촉매 표면이나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산화기 (-OH)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OH-)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생성된 수산화라디칼은 강한 산화제로서 작용함으로써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공기 중 유기오염물질들을 산화 분해함으로써 포충기(1000)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는 광촉매 반응이 진행되어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반응에 의해 형성된 이산화탄소는 모기 유인 효과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발생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젖산, 아미노산, 염화나트륨, 요산, 암모니아 또는 단백질 분해물질 등과 같은 유인 물질을 추가적으로 상기 광촉매 물질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인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상기 광촉매 물질 내의 상기 광촉매층에 유인 물질을 도포하거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광촉매층에 분사하는 방법을 적용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가된 이산화탄소 농도는 곤충의 유인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0)는 상기 광촉매 물질을 더 포함하여, 살균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촉매 반응 중에 생성된 이산화탄소에 의한 곤충, 특히 모기 유인 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포충기
110: 몸체
111: 곤충 통과부
111a: 곤충 통과 구멍
112: 포집부 결합부재
112a: 웨이브부
112b: 웨이브 볼록부
112c: 웨이브 오목부
112d: 지지부
113: 가압부재
113a: 가지부
114: 모터
115: 흡입팬
115a: 팬날개
120: 광원부
121: 광원부 커버
122: 광원 장착부
123: 광원 장착부 커버
130: 포집부
140: 제1 포집부재
141: 단차부
142: 몸체 결합부재
142a: 절곡부
143: 안착레일
144: 가이드부재
145: 제6 공기통과구멍
145a: 제6a 공기통과구멍
145b: 제6b 공기통과구멍
145c: 제6c 공기통과구멍
145d: 제6d 공기통과구멍
145e: 제6e 공기통과구멍
150: 제2 포집부재
151: 테두리부
151a: 볼록부재
151b: 상부 돌출부재
151c: 하부 돌출부재
151d: 내부 돌출부재
152: 제1 구간
153: 제2 구간
154: 제3 구간
152a: 제1 구간의 기울기
153a: 제2 구간의 기울기
154a: 제3 구간의 기울기
155a: 제1 공기통과구멍
155b: 제2 공기통과구멍
155c: 제3 공기통과구멍
155d: 제4 공기통과구멍
155e: 제5 공기통과구멍
160, 260, 360: 광원
161: 기판
162: 발광 다이오드 칩
170: 지지대

Claims (30)

  1. 흡입팬이 장착된 몸체;
    광원이 실장된 광원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되, 곤충이 포집되는 포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마련된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제1 포집부재; 및
    상기 제1 포집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포집된 곤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제2 포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제3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은 기울기가 상이한, 포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포집부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포집부 결합부재; 및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포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 결합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편(片)을 포함하는, 포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 결합부재는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된 웨이브부 및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고정력을 부여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웨이브 오목부 및 볼록한 형태의 웨이브 볼록부를 포함하는, 포충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벽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인, 포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포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적어도 2 개의 가지부를 갖고, 상기 가지부는 오목부를 사이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가지부의 일 단이 상기 포집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형태인, 포충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결합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상부 돌출부재;
    를 포함하는, 포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부재는 상기 제1 포집부재 상단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결합부재는 상기 단차부에 마련된, 포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 결합부재는 상기 단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1 포집부재 상단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어 상기 포집부와 상기 몸체가 결합하는, 포충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부재는 측벽에 마련된 복수의 제6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6 공기통과구멍은 상기 제1 포집부재의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는 형태인, 포충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중공의 판 형태를 갖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포함하는, 포충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기울기가 상이한 적어도 2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포충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부재의 제1 구간은 상기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충기.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의 직경 방향 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기울기가 제3 구간 > 제1 구간 > 제2 구간 순서 인, 포충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복수의 공기통과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제3 구간의 내주연에 의해 정의된 제1 공기통과구멍;
    상기 제2 구간에 마련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슬릿 형태로 마련된 제2 공기통과구멍; 및
    상기 제3 구간에 마련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 슬릿 형태로 마련된 제3 공기통과구멍;
    을 포함하는, 포충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간에서 복수의 상기 제2 공기통과구멍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2 공기통과구멍 보다 길이가 짧은 슬릿 형태인 제4 공기통과구멍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통과구멍과 상기 제2 공기통과구멍 사이에 마련된 제5 공기통과구멍을 더 포함하는, 포충기.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내부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포충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부재는 상단이 상기 테두리부와 맞닿는 형태인, 포충기.
  2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중공의 판 형태를 갖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 상부에 상기 상부 돌출부재가 마련된, 포충기.
  24.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부재의 내측벽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포집부재에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안내되는 하부 돌출부재가 마련되는, 포충기.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돌출부재는 상기 테두리부 하부에 마련된, 포충기.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집부재의 내측벽에 오목하게 마련된 안착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집부재는 상기 안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소정 높이에서 안착되는 볼록부재를 포함하는, 포충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재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연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포충기.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안착레일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는, 포충기.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장착되되, 상기 광원부 하부에 마련되는 광원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포충기.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광원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장착부는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광원부 커버가 위치한 방향이 개구된, 포충기.
KR1020180001347A 2018-01-04 2018-01-04 포충기 KR10257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47A KR102574929B1 (ko) 2018-01-04 2018-01-04 포충기
PCT/KR2018/016889 WO2019135564A1 (ko) 2018-01-04 2018-12-28 포충기
TW108100213A TWI809025B (zh) 2018-01-04 2019-01-03 捕蟲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347A KR102574929B1 (ko) 2018-01-04 2018-01-04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554A KR20190083554A (ko) 2019-07-12
KR102574929B1 true KR102574929B1 (ko) 2023-09-06

Family

ID=6714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347A KR102574929B1 (ko) 2018-01-04 2018-01-04 포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74929B1 (ko)
TW (1) TWI809025B (ko)
WO (1) WO2019135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102884U (zh) * 2020-12-02 2021-09-03 浙江硕而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灭蚊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2909B (en) * 2004-09-06 2007-02-11 Jao Joseph Scent spreading bug and mouse catcher
US7840123B2 (en) * 2007-06-21 2010-11-23 S.C. Johnson & Son, Inc. Diffusion device
JP3141997U (ja) * 2008-03-17 2008-05-29 株式会社シューサン 害虫捕獲器
KR101123248B1 (ko) * 2009-10-09 2012-03-21 주식회사 에이엔티에코영농 해충 박멸장치
KR101424238B1 (ko) * 2012-06-04 2014-07-30 (주)다목생태기술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CN205030384U (zh) * 2015-08-12 2016-02-17 莫耿辉 一种循环灭蚊灯
KR20170106882A (ko) * 2016-03-14 2017-09-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KR20170112972A (ko) * 2016-12-06 2017-10-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09025B (zh) 2023-07-21
WO2019135564A1 (ko) 2019-07-11
KR20190083554A (ko) 2019-07-12
TW201929663A (zh)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680B1 (ko) 포충기
KR102491078B1 (ko) 점착형 포충기
CN107182976B (zh) 捕虫器
KR101691587B1 (ko) 포충기
US11154044B2 (en) Insect trap
US20190008132A1 (en) Insect trap
US11102971B2 (en) Slim insect trap using UV LED
EP3427581B1 (en) Insect trap
KR20150112755A (ko) Uv led 램프를 사용한 포충기
CN107182968B (zh) 捕虫器
KR20170112972A (ko) 포충기
KR102574929B1 (ko) 포충기
KR20190050882A (ko) 포충기
CN108244070A (zh) 捕虫器
KR20030095513A (ko) 모기 퇴치기
CN207948656U (zh) 捕虫器
KR20190037605A (ko) 포충기
KR20180060922A (ko)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