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208B1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208B1
KR102616208B1 KR1020220107573A KR20220107573A KR102616208B1 KR 102616208 B1 KR102616208 B1 KR 102616208B1 KR 1020220107573 A KR1020220107573 A KR 1020220107573A KR 20220107573 A KR20220107573 A KR 20220107573A KR 102616208 B1 KR102616208 B1 KR 102616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s
main body
suction fan
entran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언규
한성만
Original Assignee
한성만
심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만, 심언규 filed Critical 한성만
Priority to KR102022010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원주면을 따라 입구가 형성돼 있고 그 상면에는 지붕이 있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해충을 살충 처리하여 퇴치하는 퇴치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입구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부가 구비되는 한편 입구 측으로 유인된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이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되어 입구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는 포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발명은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을 유인하여 해충의 근접이 감지되면 순간적인 흡입력으로 해충을 신속히 포획하는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다. 해충은 농작물 및 가축에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말리리아, 뎅기열, 일본 뇌염 등의 병원균을 옮김으로써,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모기 살충 관련 방법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 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살충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법,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유문등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해충을 유인한 다음 고전압 등을 인가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해충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화학적 방제법의 경우 2차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생물학적 방제법 또는 환경적 방제법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과 처리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수 있고, 살충 또는 포충기를 이용하는 물리적 방제법 등의 경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거나 고전압 장치가 수반됨에 따른 감전사고 등의 위험성이 내재돼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UV 광원은 살균, 소독 등의 의료 목적, 조사된 UV 광의 변화를 이용한 분석 목적, UV 경화의 산업용 목적, UV 태닝의 미용목적, 포충, 위폐검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UV 광원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UV 광원 램프는 수은 램프(mercury lamp), 엑시머 램프(excimer lamp), 중수소 램프(deuterium lamp) 등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램프들은 모두 전력 소모와 발열이 심하고, 수명이 짧으며, 내부에 충진되는 유독 가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UV 광원 램프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UV LED가 각광을 받고 있고, UV LED는 전력 소모가 적고, 환경 오염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유인광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흡입팬에 의해 포집하는 포충기에 관한 연구들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포충기는 팬에 의한 흡입력으로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는 방식으로, 이는 유지비가 저렴하고 유지보수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포충기는 전원이 공급되면, 팬이 일정한 회전 속도로 계속해서 작동되기 때문에, 해충의 유인과는 무관하게 많은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단점이 있고, 이와 같이 항시 작동 중인 포충기로부터 살아남은 해충은 포충기 근처로는 다가오지 않는 학습 효과로 인해 해충의 포획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793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이 일정 영역 안으로 다가와 감지되면 흡입팬이 순간적인 고출력으로 작동되어 최대의 흡입력으로 해충을 신속히 포획할 수 있도록 한 포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는, 원주면을 따라 입구가 형성돼 있고 그 상면에는 지붕이 있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해충을 살충 처리하여 퇴치하는 퇴치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입구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부가 구비되는 한편 입구 측으로 유인된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이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되어 입구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체의 입구는 외측단보다 내측단이 좁은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입구의 내측에는 흡입팬의 고속 회전시엔 입구를 개방시키고 흡입팬의 정지시엔 입구를 폐쇄시키는 탈출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출 방지부는 다수의 탈출 방지 브러쉬로 구비되고, 탈출 방지 브러쉬는 그 일단부가 입구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입구의 유로를 가로막는 자유단으로 구비되어, 흡입팬의 고속 회전시 탈출 방지 브러쉬가 입구의 유로를 따라 휘어지면서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본체의 입구에 구비되어 해충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센서에 의해 해충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가 흡입팬을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시켜 이의 회전속도에 따른 흡입력으로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퇴치부는 본체 내로 흡입된 해충을 고전압으로 살충하는 도전코일이거나 또는 흡입된 해충이 부착되어 살충되는 점착시트로 구비될 수 있으며, 퇴치부에 도전코일이 구비되는 경우 도전코일은 흡입팬과 동기되어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지붕의 상면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고, 태양광 모듈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한편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포충기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커패시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충기에 따르면,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이 포충기의 일정 영역 즉 포집 영역 안으로 다가와 감지되면 흡입팬이 순간적인 고출력으로 작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최대 흡입력으로 해충을 신속히 포충기 내로 흡입하여 포획할 수 있으므로 해충의 포획 효율을 향상시키고, 해충이 일정 영역 안으로 근접될 시에만 흡입팬이 작동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분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구성되는 퇴치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에 구성되는 흡입팬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 및 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다수의 입구(111)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지붕(120)이 있는 본체(110)와, 본체(110) 내부에 결합 고정되어 입구(111)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는 흡입팬(160)과, 흡입팬(160)에 의해 흡입된 해충을 살충 처리하여 퇴치하는 퇴치부(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지붕(120)과 인접한 본체(110)의 상측에는 입구(111)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상측에서 복수의 입구(111)가 양측으로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여러 방향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내측면은 상측의 내부 공간보다 하측의 내부 공간이 더 좁은 내경을 갖는 포획 유도면(112)으로 형성되고, 포획 유도면(1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1)의 내측단으로부터 본체(110)의 내측 하부로 볼록한 라운드를 그리며 돌출되는 곡면(쌍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흡입팬(160)에 의해 본체(110) 내로 흡입된 해충은 흡입팬(160) 하부의 포집부(180)로 모두 유입되어 포집된다.
그리고, 포획 유도면(112)의 하측에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후술될 흡입팬(160)이 구비되고, 흡입팬(160) 하부의 본체(110)는 전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며, 본체(110)의 개구부 내측에는 본체(110)에 결합되는 후술될 퇴치부(170) 즉 함체(171)의 결합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114)이 구비되고, 가이드홈(114)과 이격된 하부의 후측에는 후술될 퇴치부(170)의 도전코일(1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113)가 구비되며, 전원단자(113)와 이격된 하면에는 후술될 포집부(180)를 견고히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부(115)가 차례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110)의 입구(111)는 확개된 넓은 직경의 외측단보다 내측단이 좁은 유로를 갖도록 그 내측면이 입구(111)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드진 곡면(쌍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입구(111)를 통한 해충의 흡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반대로 입구(111)를 통한 해충의 탈출은 최대한 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입구(111)의 확개된 외측단에는 해충을 입구(111) 내로 유인하기 위한 유인부와, 유인된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각각 구비된다.
먼저, 유인부는 해충 즉 모기가 가장 선호하는 365(nm) 나노 파장을 발산하는 유인 LED(130) 또는 냄새로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패치(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인 LED(130)는 제거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에 따라 파장을 달리 발산하도록 구비되는 바, 제거하고자 하는 해충이 모기인 경우는 365 나노 파장을 발산하는 유인 LED(130)가 구비되고, 모기 이외의 해충에서는 400∼450 나노 파장을 발산하는 유인 LED(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유인 패치는 젖산이나 이산화탄소를 발산함으로써 해충 즉 모기를 유인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모기와 같은 해충은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서 발생되는 젖산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냄새를 맡고 접근하는 성질을 갖는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인부의 일례로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유인 LED(130)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유인 LED(130)는 입구(111)의 외측단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감지부는 다수의 유인 LED(130) 사이에 구비되어 입구(111) 측으로 접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이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16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감지부는 해충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140)와, 센서(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컨트롤러, 미도시)를 포함한다.
특히, 센서(140)는 해충이 입구 주위의 일정 영역 내로 접근됨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는 근접센서(140)에서 해충의 접근이 감지되면 흡입팬(160)의 작동을 제어하여 흡입팬(160)을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되는 흡입팬(160)에 의해 입구(111) 주위의 일정 영역 내에서는 입구(111) 측으로 빨려 들어가는 흡입력 즉 부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의 흡입력에 의해 입구(111) 주위로 접근한 해충은 모두 입구(111)를 통해 본체(110) 내로 흡입되어 포집된다.
여기서, 입구(111) 주위의 일정 영역이라 함은 흡입팬(160)의 성능 즉 흡입력이 작용하는 유효 영역 이내이고, 센서(140) 역시도 일정 영역 내로 접근한 해충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영역을 갖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입구(111) 안쪽의 내측단에는 흡입팬(160)의 작동시엔 입구(111)의 유로를 개방시키고, 흡입팬(160)의 정지시엔 입구(111)의 유로를 폐쇄시켜 해충의 탈출을 방지하는 탈출 방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탈출 방지부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탈출 방지 브러쉬(150)로 구비되는 바, 탈출 방지 브러쉬(150)는 그 일단부(상단부)가 입구(111)의 내주면 상측(천장면)에 접착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는 고정단으로 구비되고, 타단부(하단부)는 입구(111)의 유로를 가로막은 상태로 입구의 내주면 하측(바닥면)에 접한 자유단으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팬(160)이 고속 회전되면, 탈출 방지 브러쉬(150)는 그 하단부가 도 5에서와 같이 입구(111)의 유로를 따라 본체(110)의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입구(111)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입구(111)의 유로를 개방시키게 됨으로써 해충의 흡입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흡입팬(160)의 정지시엔 탈출 방지 브러쉬(150)의 하단부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입구(111)의 바닥면에 접하여 입구(111)의 유로를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본체(110) 내로 흡입된 해충의 탈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다수의 탈출 방지 브러쉬(150)는 브러쉬 간의 간격이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도 쉽게 빠져나갈 수 없는 1㎜ 이내의 협소한 간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입팬(160)은 입구(111)가 있는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바람을 불어내는 팬이고, 흡입팬(160)에는 흡입팬(160)을 회전시키는 모터(161)가 구비되는 바, 모터(161)는 순간적인 고 rpm으로 회전되는 BLDC(Brushless DC) 모터로서, 흡입팬(160)을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흡입팬(160)의 모터(161)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는 흡입팬(160)의 작동을 후술될 퇴치부(170)의 도전코일(173)과 동기화되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퇴치부(170)는 흡입팬(160) 하부의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흡입팬(160)에 의해 본체(110) 내부로 흡입된 해충을 살충하여 퇴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퇴치부(170)는 본체(110) 내로 흡입된 해충을 고전압으로 살충하는 도전코일(173)이거나 또는 흡입된 해충이 부착되어 살충되는 점착시트(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퇴치부(170)가 도전코일(173)로 구비되는 경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형상의 함체(171)를 통해 구현되고, 이 함체(171)는 본체(11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함체(171)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상면 중앙부에는 본체(110)의 내측 통로와 대응한 직경을 갖는 관통구(172)가 형성되며, 관통구(172)의 내측 하부에는 하나의 도전코일(173)이 관통구(172) 내에서 평면적으로 다수 회에 걸쳐 지그재그로 교번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관통구(172)의 내부는 도전코일(173)에 의해 가로막힌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본체(110) 내로 흡입된 해충은 관통구(172)로 유입되면서 도전코일(173)에 흐르는 고전압에 의해 살충 처리된 후, 하부의 포집부(180)로 떨어져 포집된다.
이러한 도전코일(17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함체(171)의 후면에는 본체(110)의 전원단자(113)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174)가 구비되고, 접속단자(174)에는 도전코일(173)에 연결돼 있어 접속단자(174)를 통한 전원이 도전코일(173)로 인가되어 공급된다.
이때, 함체(171)의 후면에는 자성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자성체와 마주하는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자성체 또는 철판(미도시)이 구비되어, 자성체에 의해 함체(171)는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로 부착 고정되므로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함체(171)의 접속단자(174)가 본체(110)의 전원단자(113)에 접속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속단자(174)와 전원단자(113)의 접속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도전코일(173)은 제어부에 의해 흡입팬(160)과 동기되어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전코일(173)은 흡입팬(160)의 작동시 전원이 공급되어 흡입팬(160)과 동시에 작동되고, 흡입팬(160)의 정지시엔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흡입팬(160)과 동시에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함체(171)는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부(17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본체(110)의 하부에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연장된 가이드홈(114)이 형성된다. 이로써, 함체(171)의 가이드돌부(175)는 본체(110)의 가이드홈(114)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이의 결합에 의해 함체(171)는 본체(110)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함체(171)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속단자(174) 반대편의 함체(171) 전면에는 함체(17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파지돌부(176)가 구비된다.
한편, 퇴치부(170)의 다른 실시예로는 함체(171)의 관통구(172) 내측에 도전코일(173) 대신 평탄한 점착시트가 구비될 수 있고, 점착시트의 점착면은 흡입팬(160)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흡입팬(160)에 의해 흡입된 해충은 함체(171)의 관통구(172)로 삽입되어 점착시트에 부착된 상태로 구속됨으로써 결국엔 살처분되고, 살처분된 해충으로 인해 점착시트가 오염된 경우는 함체(171)의 교체를 통해 새로운 점착시트를 본체(110)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퇴치부(170)가 도전코일(173)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퇴치부(170)의 하부에 포집부(180)가 더 구비되고, 퇴치부(170)가 점착시트로 구성되는 경우는 퇴치부(170)의 하부에 별도의 포집부(18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퇴치부(170)가 도전코일(173)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포집부(180)가 더 구성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포집부(180)는 퇴치부(170) 하부에 구비되어 퇴치부(170)의 도전코일(173)에서 살충 처리된 해충이 떨어져 포집되는 구성으로서, 퇴치부(170)에서 분리 가능한 트랩(181)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트랩(181)은 플라스틱이나 비닐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트랩(181)이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해충을 수용하여 포집할 수 있는 바구니 형태로서, 그 표면에는 바람은 통하되 살충 처리된 해충은 통과할 수 없는 간격을 갖는 다수의 통공(182)이 형성되고, 트랩(181)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8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트랩(181)의 통공(182)은 흡입팬(16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본체(11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원활히 흘러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트랩(181)의 플랜지(183)에 대응한 본체(110)의 하면에는 트랩(181)의 플랜지(183)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돌부(115)가 구비되는 바, 다수의 지지돌부(115)는 본체(110)의 하면 양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돌부(115)는 "ㄴ"자 형상으로서, 본체(1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수직부와, 수직부의 단부에서 본체(110)의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트랩(181)은 본체(110)의 개구부를 통해 본체(110) 내측으로 삽입될 때, 트랩(181)의 플랜지(183)가 지지돌부(115)의 수평부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된다.
또한, 트랩(181)이 비닐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비닐 봉투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이러한 비닐 봉투의 표면에는 바람이 통할 수 있는 미세한 다수의 통공이 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닐 봉투는 일회용으로서, 비닐 봉투에 해충이 일정량 이상 포집되어 채워지면, 비닐 봉투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한 후 비닐 봉투의 개구를 봉합하여 밀봉한 상태로 폐기하고, 새로운 비닐 봉투를 본체(110)에 다시 설치하면 된다.
한편,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된 지붕(120)은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중앙의 가장 높은 탑부(정점)에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자 형상으로 형성된 다음, 양측 단부에서 다시 완만한 라운드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110)의 입구(111)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지붕(120)의 탑부에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진 양측면에는 태양에너지(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121)이 구비되고, 태양광 모듈(121)에 의해 자가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커패시터(122)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커패시터(122)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제어부에 의해 전원을 요하는 포충기(100)의 각 구성 즉 흡입팬(160)의 모터(161), 유인 LED(130), 센서(140), 퇴치부(170)의 도전코일(173) 등으로 전원을 공급된다.
이와 같이 지붕(12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태양광 모듈(121)은 실외에서의 태양에너지 또는 실내에서의 빛에너지를 포충기(100)의 위치와 무관하게 원활히 수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포충기(100)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보면, 양측의 태양광 모듈(121)을 태양의 일출과 일몰 방향으로 각각 대향되게 위치시켜 구비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최대한 수광하여 보다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태양광 모듈(121)에 의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포충기(100)는 전기 공급이 어려운 곳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원 공급이 배터리가 아닌 태양광 모듈(121)에 의해 자가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커패시터(122)에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해충의 포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122)는 일반 배터리보다 출력 특성이 높아 흡입팬(160)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회전시켜 해충의 포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커패시터(122)는, 예를 들어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리튬이온 커패시터(LiC ; Lithium Ion Capacitor), 의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 및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충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포충기(100)의 전원은 포충기(100)의 지붕(120)에 설치된 태양광 모듈(121)에서 자가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커패시터(122)에 저장하고, 커패시터(122)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포충기(100)의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포충기(100)의 켜면, 포충기(100)의 입구(111)에 구비된 유인 LED(130)가 점등되어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입구(111)로 유인하게 되고, 입구(111) 측으로 유인되어 접근된 해충은 센서(140)에서 감지하게 된다.
센서(140)에 의해 해충이 감지되면 이의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에서는 흡입팬(160)의 모터(161)와 퇴치부(170)의 도전코일(173)로 전원을 각각 인가시켜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흡입팬(160)의 모터(161)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순간적인 고 rpm으로 작동되고, 모터(161)에 의한 흡입팬(160) 역시도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되면서 큰 힘의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입구(111) 주위의 일정 영역 내로 접근된 해충은 모두 입구(111) 내로 흡입되고, 이와 동시에 입구(111)의 내측단에 구비된 탈출 방지 브러쉬(150)는 입구(111)의 유로에 고정된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단부가 본체(110)의 내측으로 빨려 들어가 휘어지면서 입구(111)의 유로를 개방시키게 됨으로써 입구(111)를 통해 흡입된 해충은 도 5에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탈출 방지 브러쉬(150)에 간섭되지 않고 본체(110) 내부로 모두 원활히 빨려 들어가 흡입된다.
흡입팬(160)의 작동이 정지되면, 탈출 방지 브러쉬(150)는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입구(111)의 유로를 막아 폐쇄시키게 되므로 본체(110) 내부로 흡입된 해충이 입구(111)를 통한 탈출은 원천 차단된다.
한편, 본체(110) 내부로 빨려 들어간 해충은 포획 유도면(112)을 따라 본체(110) 내부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하측으로 유입된 해충은 흡입팬(160)을 지나 퇴치부(170)의 관통구(172)를 통해 포집부(180)의 트랩(181)으로 유입되어 포집된다.
이때, 퇴치부(170)의 관통구(172)를 통과하는 해충은 고전압의 도전코일(173)을 지나면서 살충 처분되어 포집부(180)의 트랩(181)으로 유입되어 포집된다.
이후, 트랩(181) 내에 해충의 사체가 일정량 이상 쌓이게 되면, 트랩(181)을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살처분된 해충을 비우고 트랩(181)을 세척한 후 본체(110)에 결합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퇴치부(170)의 함체(171) 역시도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도전코일(173)에 잔류된 해충의 사체를 청소한 후 다시 본체(110)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포충기 110 : 본체
111 : 입구 112 : 포획 유도면
113 : 전원단자 114 : 가이드홈
115 : 지지돌부 120 : 지붕
121 : 태양광 모듈 122 : 커패시터(capacitor)
130 : 유인 LED 140 : 센서
150 : 탈출 방지 브러쉬 160 : 흡입팬
161 : 모터(BLDC) 170 : 퇴치부
171 : 함체 172 : 관통구
173 : 도전코일 174 : 접속단자
175 : 가이드돌부 176 : 파지돌부
180 : 포집부 181 : 트랩
182 : 통공 183 : 플랜지

Claims (7)

  1. 원주면을 따라 입구가 형성돼 있고 그 상면에는 지붕이 있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해충을 살충 처리하여 퇴치하는 퇴치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입구에 해충을 유인하는 365(nm) 나노 파장을 발산하는 유인 LED와, 입구 측으로 유인된 해충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구비되어,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이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되어 입구를 통해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도록 구비되며,
    퇴치부는 본체 내로 흡입된 해충을 고전압으로 살충하는 도전코일이 구비되는 한편 도전코일은 흡입팬과 동기되어 작동되게 구비되고,
    도전코일은 흡입팬 하부의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비되며, 후부에는 본체에 부착되어 도전코일을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자성체가 구비되고,
    본체의 입구 내측에는 흡입팬의 고속 회전시엔 입구를 개방시키고 흡입팬의 정지시엔 입구를 폐쇄시키는 탈출 방지 브러쉬가 구비되며,
    탈출 방지 브러쉬는 그 일단부가 입구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반대편 측 내주면에 접하여 입구의 유로를 가로막는 자유단으로 구비되어, 흡입팬의 고속 회전시 탈출 방지 브러쉬가 막고 있던 입구의 유로를 따라 휘어지면서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구비되는 포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탈출 방지 브러쉬가 구비되는 본체의 입구는 외측단보다 내측단이 좁은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는 포충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지부는 본체의 입구에 구비되어 해충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센서에 의해 해충의 접근이 감지되면, 제어부가 흡입팬을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시켜 이의 회전속도에 따른 흡입력으로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는 포충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붕의 상면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고, 태양광 모듈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한편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포충기의 전원으로 공급하는 커패시터가 구비되는 포충기.
KR1020220107573A 2022-08-26 2022-08-26 포충기 KR10261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73A KR102616208B1 (ko) 2022-08-26 2022-08-26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73A KR102616208B1 (ko) 2022-08-26 2022-08-26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208B1 true KR102616208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573A KR102616208B1 (ko) 2022-08-26 2022-08-26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51B1 (ko) * 2007-07-31 2008-03-05 안유경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20090092970A (ko) * 2008-02-28 2009-09-02 김승수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KR20100127933A (ko) 2009-05-27 2010-12-07 정의석 숫모기의 비행음을 이용한 모기 박멸기
KR20110139458A (ko) * 2010-06-23 2011-12-29 고문수 진공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CN113475474A (zh) * 2021-07-01 2021-10-08 杭州欣存贸易有限公司 一种避免害虫逃逸的计算机机房维护用除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51B1 (ko) * 2007-07-31 2008-03-05 안유경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20090092970A (ko) * 2008-02-28 2009-09-02 김승수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KR20100127933A (ko) 2009-05-27 2010-12-07 정의석 숫모기의 비행음을 이용한 모기 박멸기
KR20110139458A (ko) * 2010-06-23 2011-12-29 고문수 진공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CN113475474A (zh) * 2021-07-01 2021-10-08 杭州欣存贸易有限公司 一种避免害虫逃逸的计算机机房维护用除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US20200404897A1 (en) Device for trapping damaging flying insects and method for counting insects trapped
KR100849037B1 (ko) 해충포획기
US11154044B2 (en) Insect trap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1545083B1 (ko) 휴대용 전자 살충기
US20110005123A1 (en) Pest trap
KR20130053672A (ko) 해충퇴치기
KR100538043B1 (ko) 전자 포충기
KR101621958B1 (ko)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JP2007020509A (ja) 虫類捕獲装置
KR100886244B1 (ko)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KR20150134602A (ko) 해충 유인 포획 장치
KR102616208B1 (ko) 포충기
WO2016034933A1 (en) Insect traps and methods of trapping insects
KR200467175Y1 (ko)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JP2013165653A (ja) ゾウムシ類の捕獲方法
US11864550B2 (en) Insect capturing device method for capturing insects and use of the insect capturing device
CN217389745U (zh) 一种便于拆卸清理的灭蚊照明一体灯
US20040068917A1 (en) Portable insect capturing apparatus
ES1054744Y (es) Aparato aspirador de insectos
KR20100079275A (ko) 살충기
CN210226627U (zh) 风吸太阳能诱捕器
KR101041708B1 (ko) 해충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