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154A -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154A
KR20180050154A KR1020160146985A KR20160146985A KR20180050154A KR 20180050154 A KR20180050154 A KR 20180050154A KR 1020160146985 A KR1020160146985 A KR 1020160146985A KR 20160146985 A KR20160146985 A KR 20160146985A KR 20180050154 A KR20180050154 A KR 2018005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otection net
clamp
main tower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170B1 (ko
Inventor
홍진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4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1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탑(1)의 4개의 주탑(2)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와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150)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200)와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되고 상기 주탑(2)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300)와 상기 보호망 고정대(200)가 상기 주탑(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망 고정대(200)와 상기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대각 고정 파이프(400)와 일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탑(2)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철탑에 빠른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며 설치 후 자재 운반시 하부에서 인력으로 접을 수 있고,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을 철탑에 지지하는 강도가 높으며 기존 송전철탑의 어디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APPARATUS FOR INSTALLING FALL PROTECTOR 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탑 승탑 작업 중 추락 및 낙하물 방지를 위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철탑 승탑 작업 중 추락방지조치 미흡에 따른 추락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기존에는 추락 방지용 보호망 설치에 대한 기준이 없어 보호망 장치 없이 철탑 승탑 작업, 철탑 도장 작업 등 철탑 상부에서의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추락방지 조치 미흡에 따른 안전사고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철탑 조립 중 수시로 상부로 철탑 조립용 앵글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추락 방지망 설치를 소홀히 해온 때문이다.
즉, 추락 방지망 설치시 자재 운반에 장애가 되므로 형식적인 설치만 시행하고, 추락 방지를 위해 2중 안전벨트만 사용하거나 철탑 승탑 및 이동시 불편함으로 인하여 미사용함으로 인해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17314호(2006.05.19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철탑에 빠른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며 설치 후 자재 운반시 하부에서 인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을 철탑에 지지하는 강도가 높고, 기존 송전철탑의 어디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와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와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와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대각 고정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탑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는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단이 각각 조립되며 소정 각도로 이격된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일단이 조립되는 제3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클램프와 상기 지지클램프를 상기 주탑에 고정하기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클램프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클램프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상기 볼트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망 고정대는 상기 보호망의 일측면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외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보호망 고정부와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는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와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파이프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주탑의 상측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연장하여 주탑 하부에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클램프에 상기 와이어 로프가 통과는 로프 통과공이 형성된다.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는 일단이 슬라이딩 수단을 매개로 상기 하부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대강 고정 파이프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망 고정대는 상기 주탑의 하측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각 일단이 조립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주탑의 하측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주탑의 상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에 연결된다.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조립된 상기 보호망 고정대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보호망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보호망은 양측 일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단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양측 타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타단에 고정된다.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하는 단계와, 보호망 고정대를 한 쌍씩 준비하여 낙하물 지지를 위한 보호망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을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와, 하부 파이프를 준비하여 일단을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타단을 하부로 연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대각 고정 파이프로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와이어 로프를 준비하여 일단을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탑의 상측에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로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철탑에 빠른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며 설치 후 와이어 로프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보호망을 접고 펴는 작업을 수시로 할 수 있어 자재 운반에 장애가 없이 철탑 승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가 주탑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어 추락방지 및 낙하물 방지용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탑 고정용 클램프, 보호망 고정대, 하부 파이프, 대각 고정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보호망을 철탑에 견고하게 고정하므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을 철탑에 지지하는 강도가 높고, 기존 송전철탑의 어디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에서 보호망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에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 고정대(a) 및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b)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가 철탑에 조립된 상태(a) 및 접히는 상태(b)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 고정대를 철탑에 조립한 후 하부 파이프와 대각 고정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에 행거 클램프를 설치하고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의 4개의 주탑에 보호망 고정대가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로 연결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가 철탑에 설치된 전체 외관을 보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을 펴고 접은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 보호망 고정대(200), 하부 파이프(300), 대각 고정 파이프(400), 와이어 로프(170)를 포함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철탑의 4개의 주탑(2)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주탑(2)의 하측에 보호망 고정대(200)를 조립하기 위해 4개가 설치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주탑(2)의 상측에 와이어 로프(170)를 연결하기 위해 4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주탑(2)의 하측에 설치되고 주탑(2)의 상측에는 와이어 로프(170)를 연결하기 위해 후술할 행거 클램프(600)를 설치한다. 그러나 설치 부품을 단순화하기 위해 주탑(2)의 상측에 행거 클램프(600) 대신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보호망 고정대(200) 및 하부 파이프(300)가 조립되는 지지클램프(110)와 지지클램프(110)를 주탑(2)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20)을 포함한다.
지지클램프(110)에 보호망 고정대(200)가 조립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하부 파이프(300)가 조립되기 위한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는 소정 각도로 이격된다.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는 직각을 이루어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는 지지클램프(110)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는 주탑(2) 하나당 하부 파이프(300) 2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주탑(2) 하나당 하부 파이프(300) 2개를 설치하면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 지지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113,115,117)에는 보호망 고정대(200) 및 하부 파이프(300)를 볼트, 힌지 등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구멍인 고정공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113,115,117)는 지지클램프(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에는 수평방향 와이어(161)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114)가 형성된다. 수평방향 와이어(161)는 보호망(1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클램프(110)는 후술할 볼트부(121,122)의 머리가 걸어지기 위한 설치공(118)이 형성된다.
지지클램프(110)는 주탑(2)에 고정시 주탑(2)과 접촉되는 면에 주탑(2)과 접촉량을 늘려주기 위한 앵글(119)이 형성된다. 앵글(119)은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클램프(110)는 2회 굴곡되어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가 각각 고정되는 양단 두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된 상부 프레임(110a)과 양단 두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일자형의 하부 프레임(110b)이 용접된 구조로 되고, 하부 프레임(110b)에 설치공(118) 및 앵글(119)이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110a)과 하부 프레임(110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하부면을 덮어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가 용접될 수 있도록 덮개부(110c)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0b)과 상부 프레임(110a)의 중간 부분 서로 연결하는 중간막(110d)을 더 포함하여 강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형상이다.
그러나 지지클램프(1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를 상호 수직으로 설치하고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수직하게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를 용접하여 본 발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형상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고정수단(120)은 볼트부(121,122), 고정클램프(123), 너트부(126,127)를 포함한다.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의 설치공(118)을 통해 고정클램프(123)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볼트부(121,122)의 머리는 설치공(118)에 걸어진다.
고정클램프(123)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볼트부(121,122)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공(124,125)이 형성된다. 너트부(126,127)는 관통공(124,125)을 관통하여 고정클램프(123)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볼트부(121,122)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126,127)를 포함한다.
지지클램프(110)와 고정클램프(123) 사이에 주탑(2)이 배치되고 고정클램프(123)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볼트부(121,122)의 단부에 너트부(126,127)가 체결되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가 주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의 설치공(118)을 통해 고정클램프(123) 방향으로 돌출된 후 고정클램프(123)의 관통공(124,125)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너트부(126,127)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클램프(123)에 와이어 로프(170)가 통과는 로프 통과공(128)이 형성된다. 로프 통과공(128)은 와이어 로프(170)를 통과시키거나 와이어 로프(170)를 묶어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는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150)이 설치된다. 보호망(150)이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보호망(150)은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물코 크기가 2c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망(150)은 그물 형상으로 인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망 고정대(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호망 고정부(210), 와이어 고정부(230), 파이프 고정부(240)를 구비한다.
보호망 고정부(210)는 보호망(150)의 일측면을 고정끈(220)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보호망 고정대(200)의 외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보호망 고정부(210)는 고정끈(220)을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고정부(230)는 보호망 고정대(200)에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되는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와이어(163) 및 와이어 로프(170)가 연결된다. 와이어 고정부(23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3개가 형성된다. 양측 2개의 와이어 고정부(231,232)에는 보호망 고정대(200) 2개를 연결하는 와이어(163)가 연결되고 상부로 돌출된 나머지 하나에는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의 상측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70)가 연결된다.
파이프 고정부(240)에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파이프 고정부(240)는 보호망 고정부(210)에서 타단에 치우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파이프 고정부(240)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타단을 파이프 고정부(240)에 힌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보호망 고정대(200)는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가 결합된다. 고정 연결부(25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을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에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다. 고정 연결부(25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 외경이 삽입되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공(201,202)과 연통되는 고정공(251,252)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와 힌지 또는 볼트로 조립되기 위한 고정공(15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를 더 결합하여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에 결합하나,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 형상을 더 형성하여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을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에 직접 연결하여도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300)는 일단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되고 주탑(2)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된다. 하부 파이프(300)는 길이가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주탑 하나 당 2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즉,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에 각각 하부 파이프(300)의 일단(301)이 볼트 등을 이용하여 조립된다.
대각 고정 파이프(400)는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호망 고정대(200)와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다.
대각 고정 파이프(400)는 일단(401)이 슬라이딩 수단(450)을 매개로 하부 파이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403)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파이프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슬라이딩 수단(450)은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딩 수단(450)은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451)와, 몸체부(45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일단(401)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453)를 포함한다.
몸체부(451)는 내부가 빈 사각, 삼각, 원 등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립부(453)에는 조립공이 형성되어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일단(401)이 힌지, 볼트 등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70)는 일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탑(2)의 상측에 연결되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로프(170)는 일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2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주탑(2)의 상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600)에 연결된다.
행거 클램프(600)는 이격되게 한 쌍의 제1 체결공(611)이 형성되고 주탑(2)과 접촉량을 늘리기 위한 앵글(613)이 형성된 제1 프레임(610)과 한 쌍의 제1 체결공(611)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621)이 형성된 제2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사이에 주탑(2)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프레임(610)의 제1 체결공(611)과 제2 체결공(621)을 관통하여 각각 체결볼트(631)를 체결하고 제1 체결공(611)과 제2 체결공(621)을 관통한 체결볼트(631)의 단부에 체결너트(633)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행거 클램프(600)가 주탑(2)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 클램프(600)는 제1 프레임(610) 또는 제2 프레임(620)에 와이어 로프(170)가 통과하는 로프 통과공(64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프 통과공(640)은 제1 프레임(610)에 형성된다.
주탑(2) 상측으로 연결한 와이어 로프(170)는 주탑(2)의 상측에 설치된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통과한 후, 주탑(2)의 하측에 설치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은 주탑(2)의 하측에 행거 클램프(700)를 더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주탑(2) 하측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를 하부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들에 의해 보호망(150)이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조립되고 주탑(2,2') 하측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를 하부로 당기는 작업으로 주탑(2) 방향으로 접을 수 있으며, 당긴 힘을 제거하는 것에서 주탑(2) 방향으로 접어진 상태가 펴질 수 있다.
상술한 보호망(150)이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조립되므로 하나의 철탑에 총 4쌍이 설치된다.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 보호망(650)이 더 설치된다. 보조 보호망(650)은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도 1 참조)
보조 보호망(650)은 양측 일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양측 타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고정된다.
보조 보호망(650)은 양측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고정함에 의해 주탑(2)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작업자가 주탑(2)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s)가 확보되게 한다.
보조 보호망(650)은 보호망 고정대(200)의 보호망 고정부(210)에 고정끈(220)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의 4개의 주탑(2)에 수평하게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를 설치하는 단계(a)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를 한 쌍씩 준비하여 낙하물 지지를 위한 보호망(150)을 설치하고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b)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300)를 준비하여 일단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하고 주탑(2)과 평행하게 타단(303)을 하부로 연장시키는 단계(c)와,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대각 고정 파이프(400)로 보호망 고정대(200)와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단계(d)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70)를 준비하여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탑(2)의 상측에 연결하여 와이어 로프(170)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e)를 포함한다.
a)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램프(110)를 주탑(2)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수단(120)을 이용하여 지지클램프(110)를 주탑(2)에 고정한다.
지지클램프(11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이 각각 조립되게 소정 각도로 이격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가 주탑(2)의 외측을 향하고 하부 파이프(300)의 일단(301)이 조립되게 돌출 형성된 제3 고정부(115)가 하부를 향하도록 주탑(2)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수단(120)을 이용하여 주탑(2)에 고정한다.
이때, 지지클램프(110)는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앵글(119)을 주탑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120) 즉, 주탑(2)이 지지클램프(110)와 사이에 배치되게 고정클램프(123)를 배치하고 볼트부(121,122)로 지지클램프(110)의 설치공(118), 고정클램프(123)의 관통공(124,125)을 관통하도록 한 후, 설치공(118) 및 관통공(124,125)을 관통한 볼트부(121,122)의 단부에 너트부(126,127)를 체결하는 것에서 주탑(2)에 고정한다.
상술한 과정은 4개의 주탑(2)에 설치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를 4개의 주탑(2)에 설치시 하나의 주탑(2)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와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의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와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여 서로 평행하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도 자중 방향에 수평이 되게 설치한다.
각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100')는 송전 철탑(1)의 작업부에서 약 10m 하단에 조립할 수 있다.
b) 단계는,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를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하고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 사이에 보호망(150)을 배치한다.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양 타단, 양 일단을 와이어(161,163)로 연결하고 양 타단과 양 일단을 연결한 와이어(161,163)의 중앙을 다시 와이어(165)로 연결하여 보호망(15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보호망(15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보호망 고정대(200)에 형성된 보호망 고정부(210)에 각각 고정끈(22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보호망(150)은 보호망 고정대(200) 사이를 연결하는 짧은 변이 12% 이상 처질 수 있게 고정한다. 이는 낙하물의 낙하시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망(150)은 짧은 변이 2cm에서 14cm 정도 처지게 양측면을 보호망 고정부(210)에 고정할 수 있다. 보호망(150)과 보호망 고정대(200) 사이는 고정끈(220)을 고정할 수 있는 틈이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의 각각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를 결합한다.
고정 연결부(25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 외경에 고정 연결부(250)에 형성된 고정공(251,252)과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 외경에 형성된 고정공(201,202)이 연통되게 한 다음, 고정 연결부(250)의 고정공(251,252)과 보호망 고정대(200)의 고정공(201,202)을 관통하게 볼트, 너트 등을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양측 일단에 고정된 두 개의 고정 연결부(250) 중 하나는 지지클램프(110)의 제1 고정부(111)에 힌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클램프(110)의 제1 고정부(111)와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된 지지클램프(110')의 제2 고정부(113')에 힌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보호망 고정대(200)에 보호망(150)을 설치하고 고정 연결부(250)를 결합하는 과정은 철탑(1) 하부에서 수행하며, 이후 보호망(150)이 설치되고 고정 연결부(250)가 결합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철탑 상부로 이동하여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지지클램프(110)에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철탑(1)에 접었을 때와 폈을 때의 상태는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c) 단계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하부 파이프(30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300)는 주탑(2) 하나당 2개가 조립되며 각 일단(301)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3 고정부(115)와 제4 고정부(117)에 각각 조립한다. 하부 파이프(300)의 각 일단이 제3 고정부(115)와 제4 고정부(117)에 각각 조립되면 그 타단(303)은 주탑(2) 하부로 연장된다.
d) 단계는, 대각 고정 파이프(400)로 보호망 고정대(200)와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그 과정은 하부 파이프(300)의 외면에 슬라이딩 수단(450)을 결합하고, 슬라이딩 수단(450)의 일측에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일단(401)을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 후,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타단(403)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측 파이프 고정부(24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슬라이딩 수단(450)은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접었다 펴는 작업시 하부 파이프(300)를 따라 상하 이동한다.
와이어 로프(170)를 준비하여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탑(2)의 상측에 연결하여 와이어 로프(170)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e)를 포함한다.
e)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에 대해 수평하게 고정하고 그 상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17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e) 단계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서 약 3m 상부 위치의 주탑(2)에 행거 클램프(600)를 설치하고 설치된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주탑 상측으로 연결한 와이어 로프(170)가 통과하도록 한 후, 하부로 연장되게 한다.
이때, 와이어 로프(170)는 하중 지지가 용이하도록 직경이 10mm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로프 통과공(640)은 행거 클램프(600)의 러그에 샤클을 연결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은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을 통과시킨 후 주탑(2)의 하측에 행거 클램프(700)를 더 설치하여 고정한다. 주탑(2)의 하측의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는 작업자가 하방으로 잡아당겨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이때, 주탑(2) 상측의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 로프(170)의 일단이 연결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설치된 주탑(2)이 아닌 상기 주탑(2)과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과 그 주탑의 하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한다. 이는 와이어 로프(170)를 잡아당기는 힘의 전달이 용이하여 보호망 고정대(200)를 접고 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탑(2)의 하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700)는 주탑(2)의 하부로 연장한 와이어 로프(170)의 이탈을 방지하고, 하부에서 와이어 로프(170)를 잡아당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주탑(2)과 주탑(2')의 사이 4방향에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모두 조립한다. 주탑(2)과 주탑(2')의 사이 4방향에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모두 조립된 상태는 도 9에서 확인된다.
e) 단계 후,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 보호망(650)을 설치하는 단계(f)를 더 수행한다.
보조 보호망(650)은 양측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 고정하고 양측 타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고정하여 주탑(2)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작업자가 주탑(2)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s)가 확보되게 한다.
통로(s)는 보호망 고정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주탑(2)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보호망(650)은 와이어 로프(170)를 당겨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에 설치한다. 보조 보호망(650)을 설치한 후에는 보호망 고정대(200)를 펼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철탑 승탑 작업시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다른 구성들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도 1에서 와이어 로프(170)는 하나만 표시하였다. 실제 와이어 로프(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상술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추락방지 및 낙하물 방지용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170)가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를 접는 작업이 주탑(2) 하측으로 연장되고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작업으로 간단하게 수행 가능하다.
또한, 주탑(2) 하측으로 연장되고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주탑(2) 상측에 고정된 행거 클램프(600)를 통해 힘이 전달되어 와이어 로프(170)의 일단에 연결된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철탑(1)을 이루는 4개의 주탑(2) 하방에 각각 작업자가 배치되어 각 주탑의 하측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각 와이어 로프(170)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나 주탑(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170)의 각 타단을 한 곳으로 모아 와이어 로프 묶음 하나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서 4쌍의 보호망 고정대가 모두 주탑 방향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작업이 수행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철탑 2: 주탑
100: 철탑 고정용 클램프 110: 지지클램프
111: 제1 고정부 112: 와이어 고정부
113: 제2 고정부 114: 와이어 고정부
115: 제3 고정부 117: 제4 고정부
118: 설치공 119: 앵글
120: 고정수단 121,122: 볼트부
123: 고정클램프 124,125: 관통공
126,127: 너트부 128: 로프 통과공
150: 보호망 161,163,165: 와이어
170: 와이어 로프 200: 보호망 고정대
210: 보호망 고정부 220: 고정끈
230: 와이어 고정부 240: 파이프 고정부
250: 고정 연결부 300: 하부 파이프
400: 대각 고정 파이프 450: 슬라이딩 수단
451: 몸체부 453: 조립부
600,700: 행거 클램프 610: 제1 프레임
611: 제1 체결공 613: 앵글
620: 제2 프레임 621: 제2 체결공
631: 체결볼트 633: 체결너트
640: 로프 통과공 650: 보조 보호망

Claims (20)

  1.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대각 고정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탑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는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단이 각각 조립되며 소정 각도로 이격된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일단이 조립되는 제3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는 지지클램프; 및
    상기 지지클램프를 상기 주탑에 고정하기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볼트부;
    상기 볼트부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클램프;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클램프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상기 볼트부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 고정대는
    상기 보호망의 일측면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외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보호망 고정부;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는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파이프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탑의 상측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를 연장하여 주탑 하부에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고정클램프에 상기 와이어 로프가 통과는 로프 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는
    일단이 슬라이딩 수단을 매개로 상기 하부 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대강 고정 파이프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 고정대는 상기 주탑의 하측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각 일단이 조립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상기 주탑의 하측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주탑의 상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조립된 상기 보호망 고정대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보호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호망은 양측 일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단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양측 타단이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타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11.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하는 단계;
    보호망 고정대를 한 쌍씩 준비하여 낙하물 지지를 위한 보호망을 설치하고 상기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을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
    하부 파이프를 준비하여 일단을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타단을 하부로 연장시키는 단계;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대각 고정 파이프로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와이어 로프를 준비하여 일단을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탑의 상측에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로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단이 각각 조립되게 소정 각도로 이격된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하부 파이프의 일단이 조립되는 제3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지지클램프를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이웃하는 주탑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 또는 제2 고정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3 고정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주탑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주탑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주탑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상기 지지클램프의 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볼트부 사이에 주탑이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클램프의 관통공을 상기 볼트부가 각각 관통하도록 상기 고정클램프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클램프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상기 볼트부의 단부에 너트부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는;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를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하고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 사이에 보호망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호망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상기 보호망 고정대에 형성된 보호망 고정부에 각각 고정끈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보호망 고정부의 각각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의 고정 연결부를 상기 지지클램프의 제1 고정부와 상기 이웃하는 주탑에 설치된 지지클램프의 제2 고정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로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외면에 슬라이딩 수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 수단의 일측에 대각 고정 파이프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대각 고정 파이프의 타단을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로 보호망 고정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탑 상측으로 연결한 와이어 로프는 상기 주탑의 상측에 설치된 행거 클램프의 로프 통과공을 통과한 후,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조립되도록 주탑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주탑 고정용 클램프의 로프 통과공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부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은 상기 주탑의 하측에 행거 클램프를 설치하여 고정하고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 로프를 당겨 보호망 고정대를 상기 주탑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조립되는 상기 보호망 고정대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 보호망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호망은 양측 일단을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 고정하고 양측 타단을 상기 보호망 고정대의 타단에 고정하여 상기 주탑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작업자가 주탑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호망은 상기 와이어 로프를 당겨 상기 보호망 고정대를 상기 주탑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보호망 고정대들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
KR1020160146985A 2016-11-04 2016-11-04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238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85A KR102385170B1 (ko) 2016-11-04 2016-11-04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985A KR102385170B1 (ko) 2016-11-04 2016-11-04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154A true KR20180050154A (ko) 2018-05-14
KR102385170B1 KR102385170B1 (ko) 2022-04-12

Family

ID=6218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985A KR102385170B1 (ko) 2016-11-04 2016-11-04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17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9006A (zh) * 2018-10-24 2019-01-18 江苏飞达安全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拼接的防护网
CN109629838A (zh) * 2018-12-29 2019-04-1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南京供电分公司 一种主变检修防坠网安装拴架
USD863692S1 (en) * 2017-09-08 2019-10-15 Joshua Deadrick Vertical tower safety net
CN111075209A (zh) * 2020-01-20 2020-04-28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卸料平台防护结构
CN112282505A (zh) * 2020-11-30 2021-01-29 曹淑华 一种建筑施工用防护围栏
KR20210048308A (ko) * 2019-10-23 2021-05-03 한국전력공사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2252140B1 (ko) * 2020-12-03 2021-05-14 김광수 철탑용 추락 방지 장치
CN113529561A (zh) * 2021-07-16 2021-10-22 河北省交通规划设计院 一种高速公路桥梁中央分隔带防坠落安全设施
CN114109061A (zh) * 2021-12-28 2022-03-01 广东立胜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配电塔架高空作业阻隔装置
KR102504501B1 (ko) * 2022-09-13 2023-03-02 (주)선주엔지니어링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2A (ja) * 1997-06-11 1999-01-06 Kawaju Koji Kk 簡易安全ネット構造
KR100417314B1 (ko) 1995-08-04 2004-03-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값측정방법및장치
KR100501740B1 (ko) * 2005-01-24 2005-07-18 권택철 안전망 구조물
KR20090004987U (ko) * 2007-11-21 2009-05-26 이남수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한 발코니용 브라켓
JP3164853U (ja) * 2010-08-06 2010-12-24 川北電気工業株式会社 落下物防護ネット張設装置
KR20110120158A (ko) * 2010-04-28 2011-11-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14B1 (ko) 1995-08-04 2004-03-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값측정방법및장치
JPH11412A (ja) * 1997-06-11 1999-01-06 Kawaju Koji Kk 簡易安全ネット構造
KR100501740B1 (ko) * 2005-01-24 2005-07-18 권택철 안전망 구조물
KR20090004987U (ko) * 2007-11-21 2009-05-26 이남수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기 위한 발코니용 브라켓
KR20110120158A (ko) * 2010-04-28 2011-11-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JP3164853U (ja) * 2010-08-06 2010-12-24 川北電気工業株式会社 落下物防護ネット張設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3692S1 (en) * 2017-09-08 2019-10-15 Joshua Deadrick Vertical tower safety net
CN109229006A (zh) * 2018-10-24 2019-01-18 江苏飞达安全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拼接的防护网
CN109229006B (zh) * 2018-10-24 2023-09-19 江苏飞达安全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拼接的防护网
CN109629838A (zh) * 2018-12-29 2019-04-1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南京供电分公司 一种主变检修防坠网安装拴架
CN109629838B (zh) * 2018-12-29 2023-10-24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南京供电分公司 一种主变检修防坠网安装拴架
KR20210048308A (ko) * 2019-10-23 2021-05-03 한국전력공사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CN111075209A (zh) * 2020-01-20 2020-04-28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卸料平台防护结构
CN112282505A (zh) * 2020-11-30 2021-01-29 曹淑华 一种建筑施工用防护围栏
KR102252140B1 (ko) * 2020-12-03 2021-05-14 김광수 철탑용 추락 방지 장치
CN113529561A (zh) * 2021-07-16 2021-10-22 河北省交通规划设计院 一种高速公路桥梁中央分隔带防坠落安全设施
CN114109061A (zh) * 2021-12-28 2022-03-01 广东立胜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配电塔架高空作业阻隔装置
KR102504501B1 (ko) * 2022-09-13 2023-03-02 (주)선주엔지니어링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170B1 (ko)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154A (ko)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US12012769B2 (en) Safety net and safety net components for multi-storey building construction
JP6312109B1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CN201580865U (zh) 物料提升机架体装拆的防坠落装置
JP3150645U (ja) 足場用安全帯支持ポール
KR200491429Y1 (ko)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101897766B1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101245753B1 (ko) 족장 설치구조
CN211229470U (zh) 一种多点悬挂脚手架
JP6368676B2 (ja) 捕捉ネット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JP2016192881A5 (ko)
CN114412214B (zh) 一种建筑施工用操作平台的防坠落机构
KR200495121Y1 (ko) 비계설치부와 건물면의 간격에 설치되는 안전쪽망
CN220790525U (zh) 临边悬空操作平台装置
CN216616948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安全防护固定装置
CN218933907U (zh) 一种具有折叠功能的挂网架
KR102504501B1 (ko)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CN221053316U (zh) 投掷护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