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150A -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150A
KR20180044150A KR1020160137896A KR20160137896A KR20180044150A KR 20180044150 A KR20180044150 A KR 20180044150A KR 1020160137896 A KR1020160137896 A KR 1020160137896A KR 20160137896 A KR20160137896 A KR 20160137896A KR 20180044150 A KR20180044150 A KR 20180044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weight
parts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571B1 (ko
Inventor
정명기
김겸인
조현호
구자권
이성훈
위종배
Original Assignee
제주파나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파나텍 (주) filed Critical 제주파나텍 (주)
Priority to KR102016013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향미 등 기호도가 향상된 쉰다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Shindari Using an Extract of Korean Dendropanax}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Dendropanax morbifera)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쉰다리는 쌀밥, 보리밥이나 또는 약간 쉬기 시작한 밥에 누룩을 넣어 발효시킨 저농도 알콜 음료로 제주 지역의 전통 음료이다. 순달이 또는 단술로도 불리운다. 먹다 남은 밥의 보관이 어려울 때 이를 이용하는데서 유래하였으며 밥이 발효되어 뭉글뭉글하게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이것을 체로 걸러 생으로 먹기도 하고 끓여 마시기도 한다. 여름에는 하루나 이틀 정도, 겨울에는 5, 6일 정도 발효시키는데 짧은 발효 기간으로 인하여 도수가 1% 내외로 낮고 신맛과 단맛이 강하다. 쉰다리는 원료가 보리(또는 쌀), 누룩, 그리고 물로 막걸리와 유사하지만 발효 기간이 짧고 알코올 함량이 낮아 막걸리보다는 요구르트와 비슷하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몸에 유익한 발효균을 사용한 쉰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장건강 증진, 치매개선 등에 대한 쉰다리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유용 성분을 이용하여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등 새로운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알려진 연구로는 쉰다리 제조 중 성분변화(Kim SC. 1998.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p 3-5), 누룩을 이용한 쌀죽 발효액의 성분변화(Kim SC et al., 1998.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5):1017-1021), 감귤을 첨가하여 제조한 쉰다리 특성 연구(Kim HS. 2011.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40p), 당근을 첨가한 쉰다리 특성 연구(Kim S et al., 2015. Korean J Food Cook Sci. 31(1) 009~017), 발표취가 개선된 쉰다리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399625호) 등이 있다.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 상록활엽교목으로 제주도 자생식물 중 하나이다. 동남아시아 등에 약 30여 종이 분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황칠나무는 1속 1종의 특산 수종으로 온화한 기후의 남서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고 있다(Korean J Biotechnol Bioeng 10(4):393-400, 1995; J Nat Prod 59(8):748-753, 1996). 황칠나무의 생리 활성과 관련하여서는 피부 미백 활성(Mokchae Konghak 26(3):73-80, 1998), 면역 증진 활성(Ethnopharmacol J 90(2):403-40, 2004), 항산화 활성과 항암 활성(Food Chem 141(3):1947-1955, 2013) 그리고 항당뇨 활성(Korean J Nutr Health 47(6):394-402, 2014)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쉰다리의 제조시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항암 활성 등 보유한 황칠나무 추출물 등을 첨가할 경우 쉰다리 향미 등 기호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쉰다리의 제조에 황칠나무 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고 더불어 향미 등 기호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소비자, 특히 젊은 층의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는 쉰다리의 특이취(이하 "특이취")가 일부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쉰다리 특이취를 더 저감시키기 위하여,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식용 가능 천연물 중 50여 가지의 천연물을 선별하여 쉰다리를 제조하고 그 천연물이 쉰다리 특이취 저감 정도를 소수의 요원을 대상으로 한 예비적 관능평가(관능평가 요원 5~10명)를 통해 평가하여, 감나무 잎 분말, 갓대 잎 분말, 감귤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능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선갈취 잎 분말, 제주조릿대 잎 분말, 박하 잎 분말 등을 1차로 선별하였고, 다수의 요원을 대상으로 관능평가(관능평가 요원 30명)를 통해 이들 천연물 중 최종적으로 쉰다리 고유의 향미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쉰다리 특이취를 저감할 수 있는 천연물로서 감귤(온주 밀감)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는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선갈취 잎 분말 등 6가지의 천연물을 선정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은, (a) 곡물 가루에 가수(加水)하는 단계, 및 (b) 가수 후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황칠나무 추출물을 상기 가수 단계에 첨가하거나 상기 발효 단계에서 유산균 접종 전후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쉰다리의 특이취를 더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수 단계 또는 상기 발효 단계의 유산균 접종 전후에 감귤(온주 밀감)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는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및 선갈취 잎 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물 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추출 대상인 황칠나무 잎,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물 추출물, 열수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잔사가 제거된 여과액 형태나,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곡물은 유산균이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당 성분을 포함하는 한 임의의 곡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곡물로서 쌀(백미), 찹쌀, 멥쌀, 밀, 호밀, 보리, 귀리, 조, 기장, 피, 메밀, 옥수수, 율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쌀, 찹쌀 및 보리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가수는 의도한 최종 제품의 성상(음료, 죽 등)을 고려하여 유산균에 의한 발효를 저해하지 않을 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곡물 분말의 1~15배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곡물 분말의 2배 내지 5배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가수 후에는 유산균을 접종하여 바로 발효할 수도 있으나, 유산균에 의한 발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열하여 호화시키는 단계나 맥아(엿기름)를 첨가하여 당화시키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호화 단계는 사용된 곡물 분말의 양, 가수량 등을 고려하여 60~100℃의 온도 범위에서 20분 내지 2시간 정도 수행될 수 있으며, 당화 단계는 곡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 내지 10 중량부의 맥아를 첨가하여 맥아가 가지는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말타아제 등의 당화 효소의 활성에 적합한 온도, 구체적으로 60℃ 전후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3시간 정도 수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가수 후에 접종되는 유산균은 특별한 제한이 없이 임의의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쿠스 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 속 유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Leuconostoc sp .), 바이셀라 속 유산균(Weissella sp .),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 .) 또는 이들의 복합 균주가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더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펜토수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세(Pediococcus cerevisiae),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레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바이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산균은 전통 누룩의 제조 방법 등에 따라 직접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접종 후의 발효(즉 유산균 배양)는 15℃~45℃의 온도 조건 특히 25℃~35℃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효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겨나 쉰다리의 풍미를 해칠 수 있으며, 발효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유산균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마찬가지로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나 쉰다리의 풍미를 해칠 수 있다. 발효 시간은 발효 온도를 고려하여 1~5일 바람직하게는 1~3일 동안 정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황칠나무 추출물은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의 추출물 기준,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황칠나무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쉰다리의 풍미 개선, 특이취 저감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쉰다리의 고유의 풍미 등을 해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감귤(온주 밀감)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는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및 선갈취 잎 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물 분말은 곡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이들 천연물 첨가에 따른 쉰다리의 특이취 저감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없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쉰다리의 고유의 풍미 등을 해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풍미가 개선되고 특이취가 저감된 쉰다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감귤(온주 밀감)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는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선갈취 잎 분말 등을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소비자, 특히 젊은 층의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일으키는 쉰다리 특이취의 저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쉰다리 제조예
< 실시예 1> 쉰다리 제조예 1
곡물 가루(쌀 가루, 찹쌀 가루 및 보리 가루의 1:1:1의 중량비)에 5배 중량의 정제수 2L를 가하여 80~9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곡물 가루 100 중량부 기준 20 중량부의 유산균 전통 누룩 분말과, 곡물 가루 100 중량부 기준 1.5 중량부의 황칠나무 추출물을 가하여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2일간 발효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유산균 전통 누룩 분말은 쉰다리 제조용으로 제주에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 잎과 줄기 건조 분쇄물에 3배의 중량의 물을 가하여 6시간 동안 90~100℃의 온도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 잔사를 제거하고,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쉰다리 제조예 2
곡물 가루(쌀 가루, 찹쌀 가루 및 보리 가루의 1:1:1의 중량비)에 5배 중량의 정제수 2L를 가하여 80~90℃의 30분간 교반·가열하고 실온에서 냉각한 후 곡물 가루 100 중량부 기준 20 중량부의 유산균 전통 누룩 분말과, 곡물 가루 100 중량부 기준 1.5 중량부의 황칠나무 추출물과 2.5 중량부의 감귤(온주(Citrus unshiu) 밀감) 과피 분말을 가하여 혼합한 후 30℃의 온도에서 2일간 발효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쉰다리 제조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쉰다리를 제조하되, 2.5 중량부의 감귤 과피 분말 대신에 2.5 중량부의 야로(Achillea millefolium L.) 잎 분말을 사용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쉰다리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쉰다리를 제조하되, 2.5 중량부의 감귤 과피 분말 대신에 2.5 중량부의 가는장대(Dontostemon dentatus) 잎 분말을 사용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쉰다리 제조예 5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쉰다리를 제조하되, 2.5 중량부의 감귤 과피 분말 대신에 2.5 중량부의 개당주나무(Dontostemon dentatus) 열매 분말을 사용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쉰다리 제조예 6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쉰다리를 제조하되, 2.5 중량부의 감귤 과피 분말 대신에 2.5 중량부의 선갈퀴(Asperula odorata L.) 잎 분말을 사용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쉰다리 비교 제조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쉰다리를 제조하되, 황칠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곡물 가루(쌀 가루, 찹쌀 가루 및 보리 가루의 1:1:1의 중량비)에 5배 중량의 정제수 2L를 가하여 80~90℃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곡물 가루 100 중량부 기준 20 중량부의 유산균 전통 누룩 분말을 가하여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2일간 발효하여 쉰다리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유산균 총수 측정, 폴리페놀 함량 측정 및 관능평가
< 실험예 1> 유산균 총수 측정
유산균의 생균수 측정은 채취 시료를 무균적으로 취한 후 멸균한 0.85%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후 pour plate method(Vanderzant, C.H., et al.,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alogical Examination of Foods, 3rd ed., American Health Association, p.80, 1992)로 MRS 아가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48~72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 수를 계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산균 총수(CFU/mL)
구분 유산균 수
실시예 1 5.7×107
실시예 2 5.4×107
실시예 3 5.6×107
실시예 4 5.5×107
실시예 5 6.2×107
실시예 6 5.3×107
비교예 3.7×107
상기 유산균 총수에 있어서 황칠나무 추출물이 사용된 <실시예 2 내지 6>의 경우가 황칠나무 추출물이 사용되지 아니한 비교예에 비하여 43.2%(실시예 6) 내지 67.6%(실시예 5) 정도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황칠나무 추출물이 유산균의 증식 촉진 효과가 있음을 보여줌과 함께, 쉰다리 특이취 저감을 위하여 사용한 감귤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능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및 선갈취 잎 분말이 유산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없이 유산균에 의한 발효를 저해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실험예 2> 총폴리페놀 함량의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은 Folin-Ciocalteu reagent가 추출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Method. Enzymol. 299: 152-178 1999). 구체적으로 시료 100㎕에 2% Na2Cl3 가한 뒤 50% Folin-Ciocalteu 시약 100㎕를 넣고 30초간 vortex를 이용하여 섞어준 뒤 30분간 암소에 방치 한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nm에서 측정하였다(DU-650, Beckman Coulter, Anaheim, CA, USA). 표준물질로 gallic acid(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총폴리페놀 함량은 시료 mL 당 garllic acid equivalent(GAE/mL)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총폴리페놀 함량(GAE/mL)
구분 총폴리페놀 함량
실시예 1 840.1±42.4
실시예 2 866.1±72.7
실시예 3 844.1±36.5
실시예 4 864.1±52.5
실시예 5 872.1±73.5
실시예 6 862.1±47.6
비교예 835.5±66.5
상기 [표 2]의 결과는 총폴리페놀 함량에 있어서는 황칠나무 추출물의 첨가나 특이취 개선을 위하여 사용된 감귤 분말 등의 첨가에 따라 이들을 첨가하지 아니한 비교예에 비하여 약간 상승하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 실험예 3>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그 취지를 주지시킨 남녀 30명의 요원을 상대로 실시하였다. 평가 항목은 색도(색이 밝은 정도), 향(쉰다리 특이취 저감 정도), 맛 및 종합적 기호도를 5점 척도법(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하여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구분 색도 기호도
실시예 1 3.6±0.6 3.2±0.5 4.1±0.5 3.6±0.2
실시예 2 3.2±0.5 3.9±0.4 3.8±0.4 3.8±0.6
실시예 3 3.5±0.7 4.2±0.6 4.1±0.3 4.3±0.4
실시예 4 3.7±0.3 4.4±0.3 3.8±0.4 3.9±0.3
실시예 5 3.4±0.3 3.9±0.2 4.3±0.6 4.1±0.5
실시예 6 3.3±0.5 4.3±0.5 3.9±0.3 3.9±0.4
비교예 4.1±0.5 2.7±0.4 2.5±0.3 2.8±0.6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할 때, 황칠나무 추출물이 첨가될 경우 색도는 낮아지나(짙어지나) 맛 그리고 기호도 등이 상승함을 알 수 있고, 향의 경우 뚜렷하게 향상되지 않았으나, 감귤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능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및 선갈취 잎 분말이 첨가될 경우에는 향에 대한 평가가 상승하고 또한 일부 전체적인 기호도도 상승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특이취 저감을 위하여 첨가된 이들 천연물들은 특별히 쉰다리의 맛, 기호도를 떨어뜨리지 않았으며 일부 천연물에 있어서도 뚜렷하게 이들 평가 항목에 있어서 선호된 경향을 보였다.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 추출물의 첨가나 특이취 저감을 위해 사용된 천연물들의 첨가가 맛이나 기호도를 상승시키는 이유가 유산균 생균수의 증가에 따라 발효에 의한 유기산 조성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색도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색도가 낮아진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L값(색상의 밝기), a값(붉은 정도), b값(노란 정도)을 측정하였을 때의 결과(데이터 미제시)와 유사한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황칠나무 추출물이나 특이취 저감을 위하여 첨가된 천연물들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Claims (6)

  1. (a) 곡물 가루에 가수(加水)하는 단계, 및
    (b) 가수 후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황칠나무 추출물을 상기 가수 단계에 첨가하거나 상기 발효 단계에서 유산균 접종 전후에 첨가하고,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물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가루는 쌀 가루, 찹쌀 가루, 보리 가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는 곡물 분말의 2배 내지 5배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종 후의 발효는 25℃~35℃의 온도 조건에서, 1~3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은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의 추출물 기준, 곡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쉰다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 단계 또는 상기 발효 단계의 유산균 접종 전후에 감귤 과피 분말, 야로 잎 분말, 가는장대 잎 분말, 개당주나무 열매 분말 및 선갈취 잎 분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물 분말이 곡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쉰다리 제조 방법.

KR1020160137896A 2016-10-21 2016-10-21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KR10192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96A KR101923571B1 (ko) 2016-10-21 2016-10-21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96A KR101923571B1 (ko) 2016-10-21 2016-10-21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150A true KR20180044150A (ko) 2018-05-02
KR101923571B1 KR101923571B1 (ko) 2019-02-22

Family

ID=6218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896A KR101923571B1 (ko) 2016-10-21 2016-10-21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03A (ko) * 2018-10-23 2020-05-07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210016002A (ko) * 2019-05-09 2021-0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이오제주 황칠나무 추출물 등을 이용한 분말 막걸리의 제조 방법
KR20210150731A (ko) * 2020-06-04 2021-12-13 장선영 단호박 쉰다리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641A (ko) * 2012-05-17 2013-11-27 박소현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20020A (ko) * 2012-08-07 2014-02-18 문순희 발효취가 개선된 쉰다리 제조 방법
KR20140131618A (ko) * 2013-05-06 2014-11-14 황길수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20160095738A (ko) * 2015-02-04 2016-08-12 정병석 황칠 발효 식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641A (ko) * 2012-05-17 2013-11-27 박소현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20020A (ko) * 2012-08-07 2014-02-18 문순희 발효취가 개선된 쉰다리 제조 방법
KR20140131618A (ko) * 2013-05-06 2014-11-14 황길수 황칠나무를 함유하는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20160095738A (ko) * 2015-02-04 2016-08-12 정병석 황칠 발효 식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203A (ko) * 2018-10-23 2020-05-07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210016002A (ko) * 2019-05-09 2021-02-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이오제주 황칠나무 추출물 등을 이용한 분말 막걸리의 제조 방법
KR20210150731A (ko) * 2020-06-04 2021-12-13 장선영 단호박 쉰다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71B1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550B2 (ja) 抗酸化剤および抗酸化飲料
KR101386879B1 (ko) 현미 및 모링가를 주재로 하여 복합유산균 발효에 의해 발효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유산균 발효식품
KR20120099054A (ko) 분말 쌀누룩 추출 조성물
KR101698774B1 (ko)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KR101616187B1 (ko) Gaba 생산 젖산균을 이용한 오미자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92357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Evera et al. Shelf life and nutritiona l quality of sorghum beer: Potentials of phytogenic-based extracts
KR101546224B1 (ko) 계피추출물이 첨가된 김치유래유산균 발효유의 제조방법
KR20190102729A (ko) 매실가공물이 포함된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5520A (ko) 유산균을 이용한 아로니아 효소의 제조방법
ADISA et al. Influence of pH and acidity on the fermentation of finger millet spiced ogi
KR101134109B1 (ko) 자색고구마와 버섯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20140063263A (ko)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그 제조방법
KR101439518B1 (ko) 수수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6755B1 (ko) 블랙커런트 잎으로 만든 미생물 발효차
KR20160026171A (ko) 패션프루츠를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KR20150076690A (ko) 유기농 율무 및 쑥 막걸리 제조방법
KR20200124593A (ko) 노니 청의 제조방법
KR101320162B1 (ko) 황기의 착즙액을 함유한 면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24392B1 (ko)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얻어진 요구르트
KR20170022796A (ko)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혼합추출액을 이용한 김칫속 및 그 김칫속을 이용한 기능성 김치
KR102681338B1 (ko) 당뇨예방 효과를 가지는 황칠의 발효 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발효 현미의 제조방법
KR20180119749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황칠소금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소금
KR102608321B1 (ko) 홍미삼 발효물 및 포도과즙을 함유하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568916B1 (ko) 쌀누룩을 포함하는 쌀누룩 발효 소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