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645A -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645A
KR20180030645A KR1020187004280A KR20187004280A KR20180030645A KR 20180030645 A KR20180030645 A KR 20180030645A KR 1020187004280 A KR1020187004280 A KR 1020187004280A KR 20187004280 A KR20187004280 A KR 20187004280A KR 20180030645 A KR20180030645 A KR 20180030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m
longitudinal control
cover member
semi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제프 홀트하이데
알폰스 노어틀로
마쿠스 불프
미햐엘 바이어
펠릭스 칼라스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3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6Twist-beam typ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4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8Mounting of vehicle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8Mounting of vehicle engines
    • B60G2204/182Electric motor on wheel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50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2)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는 하우징(5)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부에는 파워 트레인(8)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종방향 컨트롤 암(4)과 연결된다. 하우징(5)은 차량 내 장착 위치에서 휠을 향하는 측에, 파워 트레인(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챔버(10)를 한정하며 중앙 하우징 영역(9)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측벽부(11)를 가지며, 한편 하우징 내부 챔버(10)는 휠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서, 중앙 하우징 영역(9)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버 부재(14)에 의해 한정된다.

Description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상세히 정의된 유형에 따른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는 승용차 전기 구동부가 트위스트 빔 리어 액슬 내에 통합되어 있는 이른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 또는 전기 트위스트 빔(Electric Twist Beam, eTB)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eTB는, 각각 좌측 휠 및 우측 휠에, 변속기 및 전동기를 구비한 콤팩트 유닛 또는 파워 트레인을 포함한다. 파워 트레인은 각각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하우징은 다시 종방향 컨트롤 암의 부분을 형성한다. 각각 차량 외측에 배치되는 두 종방향 컨트롤 암은 실질적으로 차량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로파일(transversal profile)을 통해 서로 연결될 뿐 아니라 주 베어링(main bearing)의 영역에서 차체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컨트롤 암들은 장착 상태에서 스프링 및 댐핑 유닛들을 통해 추가로 차체와 결합된다. 2개의 분리된 파워 트레인에 의해, 특히 원하는 휠별 토크 분배, 즉, 이른바 토크 벡터링(torque vectoring)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DE 10 2011 005 625 A1호에는 전기 구동 차량용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구동 장치는 전기 기계와, 견인 모드(traction mode) 중에 동력 흐름 방향으로 볼 때 전기 기계의 출력측에 연결된 변속기를 포함한다. 전기 기계의 하우징 또는 변속기의 하우징은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과 직접 나사 결합되거나, 다중 부재형 용접 부품으로서 종방향 컨트롤 암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종방향 컨트롤 암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다. 추가로, 전기 기계와 변속기가 공통의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종방향 컨트롤 암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전기 기계 및/또는 변속기의 하우징들은, 최종 조립 과정에서 간단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유형 및 방식으로 종방향 컨트롤 암과 연결될 수 있는 사전 조립식 모듈로서 eTB의 변속기 및/또는 전기 기계를 구현하려는 노력에 대치된다.
이와 달리, 나사 결합을 통해 종방향 컨트롤 암과 연결되어, 타이어 힘(tire force)이 차체의 방향으로 전달되게 하는, 변속기 및/또는 전기 기계의 하우징들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eTB를 구비하여 형성된 차량의 주행 모드 동안 하우징, 변속기 및/또는 전기 기계와 eTB의 종방향 컨트롤 암 사이의 나사 결합부들이, 하우징과 종방향 컨트롤 암 사이의 접합 부위에 있는 밀봉 장치에 바람직하지 못한 정도의 하중을 가하는 교번 하중에 노출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밀봉 효과를 지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영역에서 높은 밀봉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고, 이는 eTB의 제조 비용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유효수명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비용 효과적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 또는 eTB의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부에는 파워 트레인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종방향 컨트롤 암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은 차량 내 장착 위치에서 휠을 향하는 측에, 파워 트레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챔버를 한정하고 중앙 하우징 영역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측벽부를 가지며, 한편 하우징 내부 챔버는, 휠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서, 중앙 하우징 영역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버 부재에 의해 한정된다.
파워 트레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하우징의 휠 측 단일 부재형 형성을 통해,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차량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타이어 힘이 하우징 부재와 종방향 컨트롤 암 간의 나사 결합부를 경유하여 차체의 방향으로 안내되는 점이 방지된다. 추가로, 교번 하중에 노출되는 상기 영역에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트위스트 빔 시스템에 비해 밀봉 비용이 최소로 감소하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및 이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를 구비한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이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가 적은 비용으로, 휠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 중앙 하우징 영역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파워 트레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전 조립형 모듈 유닛으로서 구현하여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조립 동안 적은 조립 비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하우징 내부 챔버 내로 삽입하고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하우징의 휠 측 단일 부재형 형성을 통해, 파워 트레인이 용이하게 하중 경감되는데, 그 이유는 타이어 힘이 매우 소량만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된 파워 트레인의 부품들 내로 유입되기 때문이며, 그럼으로써 추가로 주행 다이내믹 영향들로 인해 야기되는 주행 소음이 원하는 범위 내에서 감소한다.
중앙 하우징 영역과 종방향 컨트롤 암이 일체로 형성된다면, 타이어 힘은 다시 차체의 영역에서 적은 설계 비용으로 하중에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는 단일 부재형 부품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 부재가, 파워 트레인의 변속기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수용 영역을 갖는 중간 판으로서 형성된다면, 파워 트레인은 완전히 사전 조립형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고,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최종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게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용이한 조립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실시예의 경우, 커버 부재에서 중앙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 상기 커버 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추가 커버 부재가 제공되며, 이 추가 커버 부재 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워 트레인의 전기 기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추가 커버 부재 및 전기 기계를 사전 조립형 부분 모듈로서 구현하고, 변속기 장치를 포함한 커버 부재를 추가 사전 조립형 부분 모듈로서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 부분 모듈들은 예컨대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최종 조립 전에 사전 조립되어 중앙 하우징 영역과 연결된다.
종방향 컨트롤 암이 수용부를 가지고, 이 수용부의 영역에서 종방향 컨트롤 암이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가로 프로파일과 연결될 수 있다면,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 역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종방향 컨트롤 암은 가로 프로파일과의 연결을 위해 바람직하게 3개의 나사 영역을 가지며, 이들 중 2개의 나사 영역은 차량 내 종방향 컨트롤 암의 장착 위치에서 차량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적어도 거의 상하로 배치되는 한편, 제3 나사 영역은 종방향 컨트롤 암에서 차량 종방향으로 상기 2개의 다른 나사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되고, 차량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2개의 다른 나사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종방향 컨트롤 암은 4개 또는 5개의 나사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가로 프로파일이 역시 용이하게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 일측의 영역에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내로 유입되는 타이어 힘이 원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가로 프로파일을 경유하여 차량 타측에 배치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차량은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원하는 주행 거동을 보이도록 구현될 수 있거나 작동될 수 있다.
종방향 컨트롤 암이 추가 수용부를 가지고, 이 추가 수용부의 영역에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이 공지된 유형 및 방식으로 차축 상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주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면, 차량에서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조립이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연결 장치가 종방향 컨트롤 암 및/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과의 결합 영역(coupling region)뿐만 아니라 연결 영역(connection region)도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연결 영역에서 스프링 장치 및/또는 댐핑 장치가 연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면, 연결 장치는,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조립 중에 종방향 컨트롤 암 및/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과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이어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와 공동으로 가로 프로파일과 작용 연결될 수 있는 고유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파워 트레인의 전기 기계의 출력 샤프트가 커버 부재의 영역에서 유성 기어의 일측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성 기어의 추가 샤프트가 커버 부재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으며, 커버 부재에서 전기 기계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서 변속기 장치의 스퍼 기어단과 연결될 수 있다면;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은, 원하는 범위 내에서, 고출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재료 사용을 줄이며 일상 사용을 위해 효율 최적화된 전기 기계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2단 변속기 및 고회전수 컨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에 의해, 이미 시동 과정 중에 차축의 영역에서 높은 토크가 실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를 포함한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이 장착된 차량은 매력적인 주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한 실시예에서, 스퍼 기어단의 하나 이상의 스퍼 기어가 측벽부의 베어링 수용부 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장착 공간 및 비용면에서 유리한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휠 샤프트가 측벽부를 통과하여 하우징 내부 챔버 내로 돌출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예컨대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단조 가공물 및/또는 주조 가공물로서 형성되고,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가 단조 가공물로서 구현된 경우, 상대적으로 더 높은 타이어 힘이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를 경유하여 차체의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주조 가공물로서 구현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는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단조 가공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부품 공차를 수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제조가 더욱 비용 효과적이게 된다.
추가 커버 부재가 적어도 거의 컵 모양으로 형성되면, 전기 기계가 용이하게 추가 커버 부재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 공간에 유리한 카트리지 형태의 조립형 모듈로서 중앙 하우징 영역에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커버 부재 내에 전기 기계 외에 전력 전자 장치도 인버터와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간단하게 조립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수용부 및/또는 댐퍼 수용부는 종방향 컨트롤 암 및/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 및/또는 커버 부재 및/또는 추가 커버 부재와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특징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하기 실시예들에 명시되는 특징들도 각자 단독으로, 또는 서로 임의로 조합되어 적합하게 본 발명에 따른 대상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추가 장점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원리적으로 기술된 실시예들에 제시되며, 상이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한 부품들에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상면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상면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종방향 컨트롤 암 및 상기 종방향 컨트롤 암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중앙 하우징 영역에서, 휠 측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을 도시한 단일도(single view)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종방향 컨트롤 암 및 중앙 하우징 영역을 휠 측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방향 컨트롤 암 및 이 종방향 컨트롤 암과 연결된 중앙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하우징 내부 챔버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의 3차원 세부도이다.
도 8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 있는 스프링 유닛 및 댐핑 유닛을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3차원도이다.
도 9는 스프링 장치가 중앙 하우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의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연결 장치의 추가 도면이다.
도 11은 연결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도 8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프링 장치 및 댐핑 장치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2)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의 제1 실시예가 각각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2)은 차량의 장착 위치에서 각각의 차량 측에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를 포함하며, 이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는 실질적으로 차량 종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내장되어 종방향 컨트롤 암(4)의 수용부들(3)의 영역에서 차량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로파일과 바람직하게는 형상 결합 및 강제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가로 프로파일과의 연결을 위해, 종방향 컨트롤 암(4)은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나사 영역(29A 내지 29C)을 가지며, 이 나사 영역들 중 2개의 나사 영역(29A, 29B)은 차량 내 종방향 컨트롤 암(4)의 장착 위치에서 차량 수직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적어도 거의 상하로 배치되며, 한편 제3 나사 영역(29C)은 차량 종방향(x)으로 상기 2개의 다른 나사 영역(29A 및 29B)으로부터 이격되어 종방향 컨트롤 암(4) 상에 제공되며 차량 수직 방향(y)으로는 상기 두 다른 나사 영역(29A 및 29B)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종방향 컨트롤 암(4)은 추가 수용부(30)를 가지며, 이 추가 수용부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고무 베어링으로서 구현된 주 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주 베어링을 통해 반독립식 서스펜션(2)이 본래 공지된 유형 및 방식으로 차량의 차체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도 3에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서 차량 내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의 장착 위치는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에서 차량 휠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A)을 나타낸다. 종방향 컨트롤 암(4)은 하우징(5)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이 하우징 내에는 전기 기계(6) 및 변속기 장치(7)를 포함하는 파워 트레인(8)이 통합되어 있다.
차량 내 장착 위치에서 휠을 향하는 측(R)에 하우징(5)은, 파워 트레인(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챔버(10)를 한정하고 중앙 하우징 영역(9)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측벽부(11)를 갖는다. 휠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A)에서 하우징 내부 챔버(10)는, 중앙 하우징 영역(9)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커버 부재(14)에 의해 한정된다.
전기 기계(6)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경우 유성 기어(12) 및 스퍼 기어단(13)을 포함하는 변속기 장치(7)도,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의 조립 시, 종방향 컨트롤 암(4) 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9)에서 휠 측(R)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A)에서 시작하여 하우징(5) 내로 삽입되는데, 그 이유는 하우징(5)이 휠 측에서 측벽부(11)와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중앙 하우징 영역(9)과 종방향 컨트롤 암(4)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 부재(14)는 수용 영역(15)을 갖는 중간 판으로서 구현된다. 수용 영역(15) 내에는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워 트레인(8)의 변속기 장치(7)의 유성 기어(12)가 배치된다. 선기어, 유성 캐리어 또는 링 기어일 수 있는 유성 기어(12)의 샤프트(16)가 커버 부재(14)에 의해 형성된 평면을 통과하여 안내되어, 커버 부재(14)에서 휠 측(R)을 향하는 측에서 스퍼 기어단(13)과 작용 연결된다. 스퍼 기어단(13)은 하우징 내부 챔버(10) 내에 조립된 작동 상태에서 휠 측(R)을 향하는 커버 부재(14) 측에 포지셔닝된다. 추가로, 파워 트레인(8)의 전기 기계(6)의 출력 샤프트(17)는 커버 부재(14)의 영역에서 유성 기어(12)의 샤프트(18)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성 기어 역시 선기어, 유성 캐리어 또는 링 기어일 수 있다. 스퍼 기어단(13)의 스퍼 기어(13A)는 측벽부(11)의 베어링 수용부(19)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휠 샤프트(20)는 측벽부(11)를 통과하여 하우징 내부 챔버(10) 내로 돌출되어 조립되며, 휠 베어링(21)을 통해 측벽부(11)의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버 부재(14)에서 중앙 하우징 영역(9)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는, 커버 부재(14)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추가 커버 부재(22)가 제공되며, 이 추가 커버 부재 내에 전기 기계(6)가 배치된다. 추가 커버 부재(22)는 본 실시예의 경우 컵 모양으로 또는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전기 기계(6)와 함께 하나의 사전 조립형 모듈을 형성하며, 이 모듈은 나사 결합부들(23)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유형 및 방식으로 커버 부재(14)와, 그리고 그에 따라 중앙 하우징 영역(9)과도 고정되어 작용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장치 및 댐핑 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 장치(24)는 본 실시예의 경우 나사 결합부들(25)을 통해 중앙 하우징 영역(9)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 장치(24)는 결합 영역(26)을 이용하여 중앙 하우징 영역(9)과 연결되고, 연결 영역들(27, 28)을 갖춰서 형성되며, 이들 연결 영역에서 스프링 장치 또는 댐핑 장치가 연결 장치(2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종방향 컨트롤 암(4) 및 중앙 하우징 영역(9)이 "A"측에서 바라본 도면, "R"측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상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도면들에서는, 측벽부(11)가 보어(32)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휠 샤프트(20)가 이 보어를 통과해서 하우징 내부 챔버(10) 내로 안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로 도 4에는, 측벽부(11) 내에 원통형 슬롯으로서 구현되어 있는 베어링 수용부(19)가 도시되어 있다. 나사 영역들(29A 내지 29C)은 차량 횡방향(z)으로 실질적으로 종방향 컨트롤 암(4)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이때 나사 영역들(29A 내지 29C)이 본 실시예의 경우 암나사부를 구비한 블라인드 홀로서 형성됨으로써, 종방향 컨트롤 암(4)에 가로 프로파일이 접할 때 나사 영역들(29A 내지 29C) 내로의 오염물 유입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7에는, 다시 전기 기계(6) 및 변속기 장치(7)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전기 기계(6)는 컵 유형의 추가 커버 부재(22) 내에 배치된다. 추가 커버 부재(22)는 커버 부재(14)와 고정 연결되며, 이 커버 부재의 수용 영역(15)에는 전술한 범위 내에서 유성 기어(12)가 배치되는 한편, 커버 부재(14)에서 전기 기계(6)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는 스퍼 기어단(13)이 조립된다. 커버 부재(14), 추가 커버 부재(22), 전기 기계(6) 및 변속기 장치(7)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2)의 최종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게 나사 결합부들을 통해 중앙 하우징 영역(9)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의 사전 조립형 모듈을 형성한다.
도 8에는, 연결 장치(24)에 고정된 스프링 장치(33) 및 중앙 하우징 영역(9)에 연결는 댐핑 장치(34)를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의 3차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장치 및 댐핑 장치는 실질적으로 차량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는, 2개의 상이한 방향에서 바라본 연결 장치(24)의 3차원 상세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는 한편, 도 11에는 연결 장치(24)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연결 장치는 조립된 작동 상태에서 오직 중앙 하우징 영역(9)과만 연결되는데 반해, 도 11에 따른 연결 장치(24)의 추가 실시예는 원형 웨브 영역(35)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웨브 영역은 연결 장치(24)의 조립된 작동 상태에서 커버 부재(14)와 추가 커버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이 커버 부재들과 고정 연결된다.
도 12에는, 도 8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연결 장치(24)가 중앙 하우징 영역(9)과 일체로 형성되고, 스프링 장치(33)와 댐핑 장치(34)가 장착 공간에 유리하도록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 1에 따른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 또는 그의 어셈블리들은, 각각의 용례에 따라 주조 가공물, 단조 가공물, 밀링 가공물, 굽힘 성형 가공물, 딥드로잉 가공물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1: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2: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
3: 수용부
4: 종방향 컨트롤 암
5: 하우징
6: 전기 기계
7: 변속기 장치
8: 파워 트레인
9: 중앙 하우징 영역
10: 하우징 내부 챔버
11: 측벽부
12: 유성 기어
13: 스퍼 기어단
13A: 스퍼 기어
14: 커버 부재
15: 수용 영역
16: 유성 기어의 샤프트
17: 전기 기계의 출력 샤프트
18: 유성 기어의 샤프트
19: 베어링 수용부
20: 휠 샤프트
21: 휠 베어링
22: 추가 커버 부재
23: 나사 결합부
24: 연결 장치
25: 나사 결합부
26: 결합 영역
27, 28: 연결 영역
29A 내지 29C: 나사 영역
30: 추가 수용부
32: 보어
33: 스프링 장치
34: 댐핑 장치
35: 환형 웨브 영역
A: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에서 휠 측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
R: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의 휠 측
x: 차량 종방향
y: 차량 수직 방향
z: 차량 횡방향

Claims (15)

  1.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2)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로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는 하우징(5)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부에는 파워 트레인(8)이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은 종방향 컨트롤 암(4)과 연결되는,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차량 내 장착 위치에서 휠을 향하는 측(R)에, 파워 트레인(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챔버(10)를 한정하고 중앙 하우징 영역(9)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측벽부(11)를 가지며, 한편 하우징 내부 챔버(10)는, 휠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A)에서, 중앙 하우징 영역(9)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버 부재(14)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 하우징 영역(9)과 종방향 컨트롤 암(4)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14)는 수용 영역(15)을 갖는 중간 판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수용 영역 내에는 파워 트레인(8)의 변속기 장치(7)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14)에서 중앙 하우징 영역(9)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 상기 커버 부재(14)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추가 커버 부재(22)가 제공되며, 상기 추가 커버 부재 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기계(6)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컨트롤 암(4)은 수용부를 포함하고, 이 수용부의 영역에서 상기 종방향 컨트롤 암(4)이 반독립식 서스펜션(2)의 가로 프로파일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컨트롤 암(4)은 상기 가로 프로파일과의 연결을 위해 바람직하게 3개의 나사 영역(29A 내지 29C)을 가지며, 이들 나사 영역 중 2개의 나사 영역(29A, 29B)은 차량 내 종방향 컨트롤 암(4)의 장착 위치에서 차량 수직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적어도 거의 상하로 배치되는 한편, 제3 나사 영역(29C)은 종방향 컨트롤 암(4)에서 차량 종방향(x)으로 상기 2개의 다른 나사 영역(29A, 29B)으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되고, 차량 수직 방향(y)으로는 상기 다른 두 나사 영역(29A, 29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종방향 컨트롤 암(4)은 추가 수용부(30)를 가지며, 상기 추가 수용부의 영역에 주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컨트롤 암(4) 및/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9)과 연결 장치(24)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 장치의 영역에 스프링 장치(33) 및/또는 댐핑 장치(34)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 장치(24)는 종방향 컨트롤 암(4) 및/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9)과의 커플링 영역(26)뿐만 아니라 연결 영역(27, 28)도 포함하며, 이 연결 영역(27, 28)에서 스프링 장치(33) 및/또는 댐핑 장치(34)가 연결 장치(24)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워 트레인(8)의 전기 기계(6)의 출력 샤프트(17)가 커버 부재(14)의 영역에서 유성 기어(12)의 일측 샤프트(18)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성 기어(12)의 추가 샤프트(16)는 커버 부재(14)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고, 커버 부재(14)에서 전기 기계(6)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서 변속기 장치(7)의 스퍼 기어단(13)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퍼 기어단(13)의 하나 이상의 스퍼 기어(13A)가 측벽부(11)의 베어링 수용부(19)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휠 샤프트(20)가 측벽부(11)를 통과하여 하우징 내부 챔버(10) 내로 돌출되어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1)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단조 가공물 및/또는 주조 가공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14.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커버 부재(22)는 적어도 거의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장치(24)는 종방향 컨트롤 암 및/또는 중앙 하우징 영역 및/또는 커버 부재 및/또는 추가 커버 부재와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KR1020187004280A 2015-07-16 2016-06-13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KR20180030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3355.9 2015-07-16
DE102015213355.9A DE102015213355A1 (de) 2015-07-16 2015-07-16 Längslenkervorrichtung einer antreibbaren Verbundlenkerachse
PCT/EP2016/063425 WO2017008966A1 (de) 2015-07-16 2016-06-13 Längslenkervorrichtung einer antreibbaren verbundlenkerach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645A true KR20180030645A (ko) 2018-03-23

Family

ID=5611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280A KR20180030645A (ko) 2015-07-16 2016-06-13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32808B2 (ko)
EP (1) EP3322608B1 (ko)
JP (1) JP2018520053A (ko)
KR (1) KR20180030645A (ko)
CN (1) CN107848395A (ko)
DE (1) DE102015213355A1 (ko)
WO (1) WO2017008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15A (ko) 2019-04-16 2020-10-26 세원금속 (주) 차량용 합금강 테이퍼 하우징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3357B4 (de) * 2015-07-16 2018-02-08 Zf Friedrichshafen Ag Antreibbare Verbundlenkerachse mit einem Querprofil und jeweils endseitig des Querprofils damit verbundenen Längslenkern
US11084371B2 (en) * 2017-01-10 2021-08-10 Showa Corporation Motor drive device
JP6891783B2 (ja) * 2017-12-04 202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ユニットの取付構造
CN113825697B (zh) * 2019-03-05 2023-04-11 库德公司 用于控制车辆的姿态的***和方法及配备有该***的车辆
CN110056476B (zh) * 2019-04-17 2020-07-14 中国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风能利用***
DE102022100619A1 (de) 2022-01-12 2023-07-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Torque Vectoring mit individuellem Fahrerprofi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340953T3 (da) 2010-01-04 2012-12-17 Motive Power Industry Co Ltd Forbedret in-wheel motorkonstruktion
US20120292978A1 (en) 2010-02-07 2012-11-22 Ksm Castings Gmbh Axle module
KR20120017187A (ko) * 2010-08-18 2012-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플드 토션빔 액슬 현가장치
FR2965786B1 (fr) * 2010-10-07 2012-10-19 Rf2 Concept Dispositif de reglage de l'inclinaison des roues d'un vehicule
DE102011005616A1 (de) 2011-03-16 2012-09-20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Rades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DE102011005625A1 (de) 2011-03-16 2012-09-20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Rades einer Verbundlenkerachse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JP5565388B2 (ja) * 2011-03-28 2014-08-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DE102011080037A1 (de) * 2011-07-28 2013-01-31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achs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80236A1 (de) 2011-08-02 2013-02-07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einzelnes Rad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082390A1 (de) 2011-09-09 2013-03-1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ängslenkers einer Verbundlenkerachse, in den eine Antriebseinheit eines radnahen elektrischen Antriebs, umfassend eine elektrische Maschine und ein Getriebe, integriert ist
DE102011055625A1 (de) 2011-11-23 2013-05-2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achs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Querblattfeder
KR101462790B1 (ko) * 2013-06-21 2014-11-20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용 리어 서스펜션 장착 구조
KR101441813B1 (ko) * 2013-06-25 2014-09-18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후륜 구동장치
JP6271196B2 (ja) * 2013-09-19 2018-01-31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KR101461915B1 (ko) * 2013-11-04 2014-11-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515A (ko) 2019-04-16 2020-10-26 세원금속 (주) 차량용 합금강 테이퍼 하우징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32808B2 (en) 2020-04-28
EP3322608B1 (de) 2019-04-10
JP2018520053A (ja) 2018-07-26
DE102015213355A1 (de) 2017-01-19
US20180201081A1 (en) 2018-07-19
EP3322608A1 (de) 2018-05-23
CN107848395A (zh) 2018-03-27
WO2017008966A1 (de)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0645A (ko)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EP2644414B1 (en) Electric vehicle
US20150375783A1 (en) Driv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8936120B2 (en) Utility vehicle having a front electric motor
US11890942B2 (en) Corner module of vehicle
US8172019B2 (en) Towing tractor
KR101884391B1 (ko) 4륜 구동 전기 자동차, 4륜 구동 자동차를 4륜 구동 전기 자동차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4륜 구동 전기 자동차 변환용 키트
EP2644415B1 (en) Electric vehicle
US8343001B2 (en) Electric drive
KR20180029240A (ko) 2개의 트레일링 암을 가진, 차량의 구동 가능한 트위스트 빔 액슬
KR20180029241A (ko)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 가능한 반독립식 서스펜션의 종방향 컨트롤 암 장치
KR20090092951A (ko) 자동차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CN105020378A (zh) 变速箱
CN216709019U (zh) 轮边减速器***和车辆
JP2014043117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KR101910748B1 (ko) 전기자동차의 차동기어 및 감속기의 설치구조
KR20180030124A (ko) 가로 프로파일 및 이 가로 프로파일의 단부 측에서 각각 가로 프로파일과 연결된 종방향 컨트롤 암들을 포함하는 구동 가능한 트위스트 빔 리어 액슬
CN215204390U (zh) 一种中央集成式电驱动贯通桥总成及车辆
CN112805168A (zh) 轴驱动器
WO2023159109A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7058066B2 (ja) 車両
CN215944293U (zh) 静液压传动***、叉装车及高空作业平台
CN112977609B (zh) 具有转向功能的一体化动力***、动力总成及车辆
CN209781627U (zh) 一种驱动轮齿轮箱
US20140187376A1 (en) Utility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