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225A -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225A
KR20180018225A KR1020160103869A KR20160103869A KR20180018225A KR 20180018225 A KR20180018225 A KR 20180018225A KR 1020160103869 A KR1020160103869 A KR 1020160103869A KR 20160103869 A KR20160103869 A KR 20160103869A KR 20180018225 A KR20180018225 A KR 20180018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urified
toilet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수지
Original Assignee
우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지 filed Critical 우수지
Priority to KR1020160103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8225A/ko
Publication of KR20180018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주택형 가정집의 주방, 욕실 등에서 사용된 하수를 정화 처리하여 화장실 변기 처리용 물과 허드레 물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수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욕실, 세탁실에서 배수되는 물을 한 곳으로 모아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으로 모아진 하수의 부유물을 걸러내는 걸름망과 걸름망을 통과한 물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에서 1차 여과된 물을 맥반석 25%, 옥 25%, 참숯 25%, 폐타이어 25%를 내장시켜 정화토록 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에서 정수된 물을 안정화 시켜 잔류된 오탁성분을 흡착 분리시키는 안정화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최종 정화된 물을 청소물 또는 화장실 변기수조의 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 시스템이 이루어진 하수 재사용 정화처리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PURIFICATION RE-USE SEWAGE}
본 발명은 주방, 욕실 등에서 사용된 하수를 정화 처리하여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수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주택, 호텔, 숙박업소, 사무실, 관공서 등의 주방과 욕실바닥, 욕조 등을 통하여 하수구로 버려지는 물을 하나의 배관을 통하여 정수탱크로 모아 정수 처리한 후 화장실의 변기(좌변기,화병기) 처리용 물로 재 사용함으로서 수돗물과 수돗물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국가의 수자원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하수 재사용 정화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렴하고 간단한 설비로 기하급수적으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여 고갈되는 수자원을 보호하고 버려지는 폐수 의하여 발생되는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폐수를 식수가 아닌 청소물, 변기 수조용 물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기존에는 호텔, 숙박업소, 목욕탕, 아파트, 관공서, 목욕탕 등의 주방, 욕실, 욕조 등을 통하여 버려지는 폐수는 곧 바로 하수구를 통하여 버려지므로 물을 많이 사용하는 업소에서는 주방사용물, 샤워물, 변기물 등이 각각 수돗물로 공급되어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므로 막대한 수돗물의 소비와 수돗물 비용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주방의 하수정화처리방법 등은 하수 배출구 상에 여과망기능의 철망이나 그릇 등을 놓고, 이를 통하여 헤드레물이나 설거지물이 하수로 배수되게 함으로써, 생활폐수에 의한 극심한 수질오염으로 이어져 국가적인 손실을 가져 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구치소 교도소와 같이 특수성을 가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수돗물은 제한 급구를 한다 하더라도 빨랫물, 샤워물, 화장실물, 설거지 물 등으로 사용한 물이 정수 없이 하수구를 흘러 들어가게 됨으로써, 수돗물의 엄청난 낭비와 그비용이 그대로 국가의 경제적손실로 이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가정, 호텔, 교도소, 구치소, 관공서, 여관 등의 주방, 욕실, 세탁실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정수 처리하여 화장실의 변기처리용 물 또는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허드레 물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소비를 절약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방, 욕실, 세탁실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집수관으로 모아 상단에 걸름망이 구비된 침전조에서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맥반석 25%, 옥 25%, 참숯 25%, 폐타이어 25%를 내장시킨 정수탱크로 폐수를 정수한 다음 안정화조에 저장하여 화장실의 변기 처리용 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하수 재사용 정화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가정, 관공서, 교도소, 구치소, 호텔, 여관 등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별도의 집수관으로 모아 정수탱크에서 정수처리한 물을 화장실 변기용 수조에 공급하여 변기처리용 물로 재 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과 동시에 하수구로 버려져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가서는 수질자원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처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시스템을 케이스 내에 유니트화한 구성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방, 욕실, 세탁실에서 배수되는 물을 한 곳으로 모아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관(1)과;
상기 집수관(1)으로 모아진 하수의 부유물을 걸러내는 걸름망(2)과 걸름망(2)을 통과한 물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3)와;
상기 침전조(3)에서 1차 여과된 물을 맥반석(4) 25%, 옥(5) 25%, 참숯(6)25%, 폐타이어(7) 25%를 내장시켜 정화토록 하는 정수탱크(8)와;
상기 정수탱크(8)에서 정수된 물을 안정화 시켜 잔류된 오탁성분을 흡착 분리시키는 안정화조(9)와;
상기 안정화조(9)에서 최종 정화된 물을 청소물 또는 화장실 변기수조의 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 시스템이 이루어진 하수 재사용 정화처리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정수탱크는 맥반석 30%, 옥 10%, 참숯 30%, 모래 및 자갈 혼합물 30%를 내장시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정수탱크(8)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화조(9)는 숯, 모래, 맥반석, 옥 중 어느 하나를 내장시켜 정수탱크에서 정수된 물을 안정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미설명부호 11은 통상의 정화조이고, 13은 변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건물의 환경에 따라서 집수관(1), 침전조(3), 정수탱크(8), 안정화조(9)를 순차적으로 각각 설치하여 청소물 사용밸브 또는 화장실 변기 수조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침전조(3), 정수탱크(8), 안정화조(9)를 하나의 케이스(12 )내에 설치하여 시스템을 유니트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정화 시스템은 호텔, 여관, 관공서, 교도소, 가정 등의 주방, 욕실, 세탁실 등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하나의 집수관(1)으로 연결되도록 배관한다.
상기 집수관(1)으로 유입된 하수는 침전조(3) 상단에 설치된 걸름망(2)에서 협잡물과 기타 부유물을 걸러낸 후 침전조(3)에 담수된다.
상기 침전조(3)에 담수된 하수는 자연적으로 슬러지는 침전되고 미세한 슬러지를 포함한 물은 정수탱크(8)로 유입된다.
이때 침전조(3)에서 슬러지 응고약품을 투여하거나 폭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설비의 규모를 확대시키고 설치장소를 확보해야 함으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자체에서 버려지는 하수를 2급수 또는 3급수 물로 정화하여 허드레 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물의 순환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 반드시 폭기장치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정수탱크(8)로 유입된 하수는 정수탱크(8) 바닥에 적층된 맥반석(4)25%, 옥(5)25%, 참숯(6) 25%, 폐타이어(7) 25%를 내장하여 유입된 하수가 통과 되도록 함으로서, 잔류된 슬러지와 물이 정화되어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정수탱크(8)로 유입된 물이 맥반석, 옥, 참숯과 접촉하면서 물은 최하 3급수의 물로 정화된다.
즉, 맥반석(4)과 옥(5)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와 더불어 물을 분해하면서 분자를 활성화시키는 작용과 함께 산성화된 물을 알카리성으로 변환시켜 줌으로써 하수를 정수하게 되며, 참숯(6)과 폐타이어(7)는 하수에 포함된 살균과 냄새를 제거하는 동시에 월등한 정화 능력을 갖는 것으로써, 특히 참숯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조상들이 간장 된장을 담글 때 사용하여 그 기능을 입증하였으며 현재 가정의 공기 정화용으로 장식용 숯이 개발되고 있으며, 밥을 지을 때 함께 넣어 밥맛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활용하기도 하고, 폐타이어는 슬러지의 흡착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폐타이어(7)는 정수탱크의 크기에 따라서 원형그대로 내장할 수 있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옥(8)의 경우 고가의 제품이나 현재 옥재품으로서 옥 매트, 옥 돌침대 등을 생산히가 위해 사용하고난 폐기물 옥석이 과잉 생산되어 새로운 폐기처리가 곤란한 상태이므로 이를 사용하는데 있어 아무런 하자가 없는 것이다.
이렇게 정수탱크(8)에서 정화된 물은 배출관을 통하여 일측에 구비된 안정화조(9)에 유입된다. 상기 안정화조는 정수탱크(8)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기능과 저장시 정수탱크에서 처리되지 못한 미량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동시에 2차로 정수 처리되어 청소용물 공급 배관 또는 변기용 수조에 공급하여 물을 재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2차로 정수하는 안정화조(9)내에는 숯, 모래, 맥반석, 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바닥에 깔아 물을 정화할 수 있게된다. 상기 안정화조(9)에 유입되는 물은 1차로 정수탱크에서 정수된 상태이므로 약간의 여과효과를 갖기 위한 것으로서 모래만을 내장시킬 수 도 있고 모래와 자갈을 혼합하여 내장시킬 수 있으며, 또는 맥반석, 옥, 숯을 선택하여 내장할 수 있다. 즉, 맥반석, 옥, 숯 등의 기능과 효과는 이미 잘 알려진 것으로서 정수탱크에서 정화된 물을 정화시켜 더욱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허드렛물 또는 변기용 수조에 공급되는 물 이외로 설거지 물, 세탁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안전을 기하기 위해 안정화조(9)내부에 약품을 투여하여 더욱 깨끗한 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교도소 및 구치소등에 적용할 경우 절수효과와 물소비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된다.
즉, 교도소 또는 구치소의 경우 건물 구조가 사람과 사람이 거주하는 층과층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변기의 오물 배수관 욕실 사용물 설거지 물 등이 배출되는 관들이 통과하여 정화조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이 거주하는 방 일 측에 화장실을 구비하고 화장실에서는 샤워하는 물, 설거지 물 등이 하나의 배관라인을 통하여 배출되고 와변기(재래 수세식 변기)는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설계되었으나, 물, 설거지 물, 세탁물이 배출되는 배관이 막힐 경우에는 화장실 바닥으로 흘러내린 물이 모두 와변기를 통하여 정화조로 유입되므로 정화조 처리비용 물사용비용등 이중으로 경제적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교도소 상하 방과방 사이의 공간 부에 설치하고 와변기 대신 좌변기를 설치하여 처리된 물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하고 화장실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된 설거지 물, 세탁물, 샤워물 등을 본 발명의 집수관(1)으로 모아 걸름망(2)을 통하여 침전조(3)에 모아 슬러지를 침전시킨 다음 정수탱크(8)에서 물을 정수시켜 변기의 수조에 물을 공급 시켜 변기사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정수탱크(8)에서 정화시킨 물을 안정화조(9)에 모아 2차로 정수한 후 변기의 수조와 별도 설치된 밸브에 공급하여 허드레 물로 재 사용토록 함으로서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교도소의 경우 물을 제한 급수한다 하더라도 사워로 사용되는 물과 세탁으로 사용되는 물이 한달에 수 십톤에서 수 천톤으로 소비되므로 물의 소비가 심한 동시에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게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실되는 물과 비용은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사용된다기 보다는 전부 비경제적인 소비위주로서 국가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된 물을 정수시켜 화장실의 변기사용물과 청소하기 위한 허드레 물로 재 사용함으로 물의 절약과 수돗물비용을 절약하게 된다. 이렇게 절약되는 비용은 교도소의 경우 기존의 배관설비를 전부 해체한 후 본 발명의 시스템 교체하더라도 2내지 3년후에는 투자비용을 가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공서 학교, 호텔, 여관 등에서 발생되는 샤워, 목욕물 등을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정수 처리하여 화장실의 변기 처리 물로 재 사용함으로서, 많은 인원이 왕래하여 물의 소비가 많은 건물 또는 관공서 등에서는 물의 절약효과와 수돗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3과 같이 집수관(1), 침전조(3), 정수탱크(8), 안정화조(9)등을 하나의 케이스(12)로 이루어진 함체내에 설치하여 정화처리 시스템을 단일화시킴으로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중 각 탱크로 유입되는 물자동 차단 스위치와 밸브 등은 설치시 당연히 실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를 생략하였다.
1:집수관 2:걸름망 3:침전조 4:맥반석 5:옥 6:참숯 7:폐타이어
8:정수탱크 9:안정화조 10:변기 수조 12:케이스

Claims (1)

  1. 주방, 욕실, 세탁실 등에서 배수되는 생활하수를 집수, 침전, 정수 및 정화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생황 오폐수 정화 장치에 있어서,
    주방, 욕실 세탁실에서 배수되는 물을 한 곳으로 모아 배출되도록 하는 집수관(1)과; 상기 집수관(1)으로 모아진 하수의 부유물을 걸러내는 걸름망(2)과 걸름망(2)을 통과한 물의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3)와; 상기 침전조(3)에서 1차 여과된 물을 맥반석(4) 25%, 옥(5) 25%, 참숯(6)25%, 폐타이어(7) 25%를 내장시켜 정화토록 하는 정수탱크(8)와; 상기 정수탱크(8)에서 정수된 물을 안정화 시켜 잔류된 오탁성분을 흡착 분리시키기 위해 숯, 모래, 맥반석, 옥 중 어느 하나를 내장된 안정화조(9)와; 상기 안정화조(9)에서 최종 정화된 물을 청소물 또는 화장실 변기수조(10)의 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 시스템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1020160103869A 2016-08-12 2016-08-12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20180018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869A KR20180018225A (ko) 2016-08-12 2016-08-12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869A KR20180018225A (ko) 2016-08-12 2016-08-12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225A true KR20180018225A (ko) 2018-02-21

Family

ID=6152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869A KR20180018225A (ko) 2016-08-12 2016-08-12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82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5811A (zh) * 2019-04-02 2019-07-16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建筑生态***
KR20200031792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용 침전 탱크 부착형 여과기
KR102103299B1 (ko) 2019-02-01 2020-04-22 성경애 생활하수 정화장치
KR102594274B1 (ko) 2022-12-06 2023-10-26 이광현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792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용 침전 탱크 부착형 여과기
KR102103299B1 (ko) 2019-02-01 2020-04-22 성경애 생활하수 정화장치
CN110015811A (zh) * 2019-04-02 2019-07-16 同济大学建筑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建筑生态***
KR102594274B1 (ko) 2022-12-06 2023-10-26 이광현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8225A (ko)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CN204939151U (zh) 一种生活污水一体化处理装置
CN205473064U (zh) 一种生活废水处理回用***
EP2707334A1 (e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nd installation including air-lift and post -treatment in filter
JP3567011B2 (ja) 中水道の循環システム及び貯水槽
KR101133370B1 (ko) 에너지 절약형 중수처리 및 공급시스템
KR101549613B1 (ko) 이동식 주택의 상하수도 시스템
KR20140023032A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20150028675A (ko)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CN110078296A (zh) 一种市政污水处理方法
KR20160004799A (ko) 건물별 하수 재사용 시스템
KR100306118B1 (ko) 중앙 정수 시스템
KR20160010243A (ko) 공동주택의 하수정화 재사용 장치
CN205367995U (zh) 一种地下水净化装置
JPH1052686A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KR100454416B1 (ko)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KR20170023686A (ko)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KR101404703B1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KR20160007199A (ko) 하수 정화 재사용 시스템
JP2001232363A (ja) 排水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H1057941A (ja) 排水再利用装置
KR200279805Y1 (ko)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CN206873540U (zh) 家庭用节水装置
JP2002028673A (ja) オゾン高度浄水装置
CN205420034U (zh) 一种家用节水净化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