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7667A - 다광축 광전 센서 - Google Patents

다광축 광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7667A
KR20180007667A KR1020170080340A KR20170080340A KR20180007667A KR 20180007667 A KR20180007667 A KR 20180007667A KR 1020170080340 A KR1020170080340 A KR 1020170080340A KR 20170080340 A KR20170080340 A KR 20170080340A KR 20180007667 A KR20180007667 A KR 20180007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se body
portions
translucent plat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후쿠모토
노부치카 타키구치
사토시 니시우치
타카마사 야마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95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removing other types of optical noise or for performing 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투광판을 케이스체에 탄성부재를 통하여 양호하게 밀폐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몸체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을 줄이도록 한 다광축 광전 센서를 제공한다.
투광기(10) 및 수광기(20)가, 케이스체(3)와, 케이스체(3)의 전면 개구(39)를 막는 투광판(4)과, 케이스체(3)의 양 단면 개구(38)를 막는 한 쌍의 캡(5)을 구비한다. 케이스체(3)는 투광판(4)의 양 측연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35)를 구비하고, 각 캡(5)은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53)를 구비하고, 투광판(4)은 양 제1 지지부(35) 및 양 제2 지지부(53)에 탄성부재(8)를 통하여 지지되고, 캡(5) 및 투광판(4)에는, 서로 계합하여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1 계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다광축 광전 센서{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기 및 수광기의 사이에 복수의 광축이 설정되고, 광축 마다의 차광 상태를 검지함에 의해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다광축 광전 센서의 투광기 및 수광기는 직방체형상의 몸체의 내부에, 광학 소자 등을 구비한 복수의 광학 유닛이나 제어 기판이 수용된 구성의 것이다. 몸체는 전면(前面) 및 양 단면(端面)에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케이스체의 양 단면의 개구를 각각 막는 한 쌍의 캡과,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막는 투광판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는, 분진이나 액체가 비산하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에, 몸체 내부에 분진이나 액체가 침입하면 고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분진이나 액체가 몸체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은 케이스체와의 사이에 고무 패킹을 개재시킨 상태로 고정되고, 고무 패킹에 의해 캡은 케이스체의 단면의 개구를 밀폐하고 있다. 또한, 투광판에 관해서도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케이스체 및 한 쌍의 캡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투광판은, 케이스체의 지지부 및 각 캡의 지지부에 링형상의 탄성부재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투광판을 탄성부재에 꽉 누르도록 하여 각 지지부에 고정함에 의해, 탄성부재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탄성부재에 의해 투광판과 각 지지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이에 의해,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양호하게 밀폐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5141825호 공보
여기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물체의 검출 기능을 가능한 한 향상시키기 위해,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 이른바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것이 요망되고 있고, 그를 위해서는, 몸체의 긴변 방향에서, 광축이 설정되지 않은 영역을 극력 없앨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광축 광전 센서는, 예를 들면 고온 상황하에서 사용되면, 투광판의 재질에 따라서는 투광판이 열수축할 우려가 있고, 투광판이 열수축하여 그 전체 길이가 짧아지면, 각 캡의 지지부에서는 투광판에 의해 탄성부재가 양호하게 압축되지 않고, 그 결과,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1 등의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투광판의 전체 길이를 링형상의 탄성부재의 전체 길이보다도 여분으로 길게 함으로써, 투광판이 열수축하여 그 전체 길이가 짧아져도 양호하게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투광판의 전체 길이를 링형상의 탄성부재의 전체 길이보다도 여분으로 길게 하면, 그 만큼, 몸체의 전면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투광판으로 압축된 탄성부재에 의해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 있지만, 몸체의 데드 스페이스에 관한 고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점에서 더욱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광판에 의해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탄성부재를 통하여 양호하게 밀폐 상태로 막을 수 있고, 더하여, 몸체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감소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투광기 및 수광기가 각각, 긴변 방향의 양 단면 및 광을 통과시키는 전면에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막으며 또한 전체 길이가 상기 케이스체보다도 긴 투광판과, 상기 케이스체의 양 단면의 개구를 각각 막는 한 쌍의 캡을 적어도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는,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투광판의 양 측연(側緣)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연속하며 또한 상기 투광판의 상기 케이스체의 단면보다 돌출한 양단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광판은, 탄성부재를 통하여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부 및 한 쌍의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캡 및 상기 투광판에는, 서로 계합하여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투광판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계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하면, 투광판은 케이스체의 각 제1 지지부 및 각 캡의 제2 지지부에 탄성부재를 통하여 지지되지만, 각 캡과의 사이의 계합부에 의한 계합에 의해, 제2 지지부에 지지된 투광판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가 고온 상황하에 놓여져도, 투광판의 열수축이 억제되기 때문에, 투광판의 전체 길이가 유지된다. 따라서, 투광판의 양단 부분에서 탄성부재를 확실하게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투광판의 전체 길이를 링형상의 탄성부재의 전체 길이보다도 여분으로 길게 할 필요가 없고, 투광기 및 수광기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의 물체의 검출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상기 계합부로서, 상기 캡의 측벽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투광판의 측연에 상기 계합 돌기가 감입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노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 양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하면, 간이한 구조로 계합부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상기 계합 돌기 및 상기 노치부는, 각각 상기 캡의 양 측벽부 및 상기 투광판의 양 측연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 양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하면, 투광판 및 각 캡의 계합부에 의한 계합이 투광판의 양 측연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판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상기 캡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됨과 함께, 상기 캡의 단벽부로부터 늘어나서 상기 투광판의 단연의 일부가 맞닿는 가이드벽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벽부가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 양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하면, 투광판의 단연이 투광기 및 수광기의 긴변 방향의 단(端)이 되는 캡의 단벽부까지 늘어나 있기 때문에, 투광기 및 수광기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극력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상기 캡의 전면은, 상기 제2 지지부를 남기고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 양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하면, 투광기 및 수광기의 긴변 방향의 광범위에서 요컨대 긴변 방향의 단에 가까운 위치까지 광축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광판에 의해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탄성부재를 통하여 양호하게 밀폐 상태로 막을 수 있음과 함께, 투광기 및 수광기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의 사시도.
도 2는 투광기 및 수광기를 구성하는 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몸체의 정면도.
도 4는 몸체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8은 테두리체의 평면도.
도 9는 투광판의 정면도.
도 10은 캡의 정면도.
도 11은 캡의 측면도.
도 12는 캡의 평면도.
도 13은 캡의 저면도.
도 14는 캡 커버의 정면도.
도 15는 캡 커버의 배면도.
도 16은 캡 커버의 측면도.
도 17은 캡 커버의 평면도.
도 18은 캡 커버의 저면도.
도 19는 규제 부재의 평면도.
도 20은 캡 커버를 캡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21은 캡 커버를 캡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22는 캡 커버를 캡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23은 다른 실시 형태의 캡 커버를 캡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24는 다른 실시 형태의 캡 커버를 캡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1)는, 투광기(10) 및 수광기(20)를 서로 소정이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한 구성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광기(10) 및 수광기(20) 각각에 관해, 서로 대향하는 측을 전방(전면)으로 하고, 반대측을 후방(배면)으로 하고 있다.
투광기(10) 및 수광기(20)는 각각, 개략 직방체형상의 몸체(2)의 내부에, 광학 소자(투광기(10)에서는 발광 소자(11), 수광기(20)에서는 수광 소자(21))나 렌즈 등으로 구성된 광학 유닛(도시 생략) 외에, 제어 기판(도시 생략) 등을 수용한 구성의 것이다. 광학 유닛은, 몸체(2) 내에 긴변 방향에 따라 복수 나열하여 수용되어 있다. 투광기(10) 및 수광기(20)의 각 몸체(2)의 서로 대향하는 전면이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창부이다. 복수의 발광 소자(11) 및 복수의 수광 소자(21)를, 각각 투광면이나 수광면을 창부에 대향시킨 상태로, 서로 1대1의 관계로 위치맞춤함으로써, 복수의 광축으로 구성된 2차원의 물체 검출 에어리어(R)가 설정된다. 투광기(10) 및 수광기(20)의 각 몸체(2)의 일단부터는, 각각 접속용의 코드(12, 22)가 인출되어 있다.
도 2는, 투광기(10) 및 수광기(20)를 구성하는 몸체(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몸체(2)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도 7은, 각각 몸체(2)의 긴변 방향의 각 위치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도 7에서는, 몸체(2)의 전면측을 위로 향하여 나타내고 있다.
몸체(2)는, 긴변 방향의 양 단면 및 광을 통과시키는 전면에 각각 개구(38, 39)를 갖는 케이스체(3)와,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를 막는 투광판(4)과, 케이스체(3)의 양 단면의 개구(38)를 각각 막는 한 쌍의 캡(5)과, 한 쌍의 캡 커버(6)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각 캡(5)은, 그 전면이 케이스체(3)의 전면보다도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 커버(6)는, 대응하는 캡(5)의 전면측에 케이스체(3)의 긴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몸체(2)는, 캡(5)에 부착된 캡 커버(6)의 캡(5)에 대한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15)를 또한 구비한다.
각 캡(5)은, 케이스체(3)의 양단에, 나사, 볼트, 비스 등의 4개의 나사부재(13a∼13d)를 사용하여 가압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각 나사부재(13a∼13d)는, 각 캡(5)으로부터 케이스체(3)를 향하여 나사체결되어 있다. 각 캡(5)의 단면(端面)과 케이스체(3)의 양 단면과의 사이에는, 고무 패킹 등의 실 부재(7)가 개재되어 있다. 각 캡(5)은, 케이스체(3)의 단면에 당접하는 실 부재(7)를 통하여 케이스체(3)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되고, 케이스체(3)의 단면의 개구(38)를 밀폐하고 있다.
투광판(4)은, 상세는 후술하지만, 케이스체(3) 및 각 캡(5)에, 링형상의 탄성부재(8), 가압 부재(9) 및 각 캡 커버(6)를 사용하여 고정됨과 함께,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를 밀폐하고 있다. 이하, 투광기(10) 및 수광기(20)의 몸체(2)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케이스체(3)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금속제이고, 장척형상이면서 단면으로 보아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3)는, 후벽부(30)와, 후벽부(30)의 양 측연에 일체로 마련된 한 쌍의 측벽부(31, 31)로서 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공동(32)에, 복수의 광학 유닛이나 제어 기판 등이 수용된다.
양 측벽부(31) 및 후벽부(30)에는, 캡(5)을 케이스체(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13a∼13d)가 나사체결되는 나사구멍(33a∼33d)이 마련되어 있다.
양 측벽부(31)의 선단에는, 측벽부(31)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띠형상의 테두리부(34)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체(3)의 전면은, 양 측연의 한 쌍의 테두리부(34)를 남기고 개구하고 있다. 또한, 양 측벽부(31)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제1 지지부(35)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고, 양 제1 지지부(35)에 의해 투광판(4)은 그 양 측연의 일부분이 지지되어 있다. 각 제1 지지부(35)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용홈(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홈(36)에는 탄성부재(8)가 수용되고, 투광판(4)은 탄성부재(8)를 통하여 양 제1 지지부(35)에 지지된다. 또한, 양 측벽부(31)의 내면의 테두리부(34)와 제1 지지부(35)와의 사이에는, 홈(37)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고, 이 홈(37)에 후술한 가압 부재(9)의 일부분(90)이 삽입된다.
가압 부재(9)는, 가요성을 갖는 띠형상의 합성수지 성형체이고,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테두리부(34)와 투광판(4)과의 사이의 간극에 1개씩 삽입된다. 가압 부재(9)의 일부분(90)은, 케이스체(3)의 테두리부(34)와 투광판(4)과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측벽부(31)의 홈(37)에 삽입되고, 가압 부재(9)의 타부분(91)은, 일부분(90)보다도 융기하고 있고, 각 테두리부(34)의 선단에 맞닿는다. 더하여, 가압 부재(9)의 타부분(91)은, 투광판(4)의 노출 부분을 줄임으로써, 광학면을 보호하고 있다.
가압 부재(9)가 케이스체(3)의 각 테두리부(34)와 투광판(4)과의 사이에 삽입됨에 의해, 투광판(4)의 케이스체(3)에 지지되는 부분은, 탄성부재(8)의 반발력(복원력)에 대항하여 탄성부재(8)에 꽉 눌려진 상태가 된다. 투광판(4)은, 가압 부재(9)에 의해 꽉 눌려짐으로써 케이스체(3)의 양 제1 지지부(35)에 고정되고, 그때에 압축한 탄성부재(8)에 의해,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의 양 측연와 케이스체(3) 내의 공동(32)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가 밀폐되고, 그 결과, 몸체(2) 내가 밀봉된다. 또한, 가압 부재(9)는, 케이스체(3)의 전체 길이보다도 전체 길이가 약간 짧게 형성되어, 케이스체(3)의 양단과 가압 부재(9)의 양단은 일치하지 않는다.
다음에, 투광판(4)은, 도 2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장방형상의 예를 들면 아크릴판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진다. 투광판(4)은, 그 횡폭이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의 횡폭보다도 길고, 또한, 그 전체 길이가 케이스체(3)의 전체 길이보다도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투광판(4)은, 긴변 방향의 양단 부분이 케이스체(3)의 양 단면보다 돌출하는 상태로 케이스체(3)에 고정되고,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은 한 쌍의 캡(5)에 고정된다.
투광판(4)의 폭방향의 양 측연에는, 케이스체(3)의 양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투광판(4)의 양 단연의 부근 위치)에, 각각 측연이 내측으로 노치된 노치부(40)가 합계 4개 마련되어 있다. 이 노치부(40)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판(4)이 케이스체(3) 및 각 캡(5)에 고정된 때에, 각 캡(5)에 마련된 계합 돌기(56)와 계합하여, 각 캡(5)에 고정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계합부(제1 계합부)를 구성한다.
다음에, 캡(5)은, 도 2 및 도 10∼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3)의 개략 U자형상의 단면에 적합한 단면으로 보아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캡(5)은, 케이스체(3)의 일단에 고정되는 캡(5A)과, 케이스체(3)의 타단에 고정되는 캡(5B)에서는 형상이 달라져 있고, 캡(5A)은 캡(5B)에 비하여, 전면측의 전반 부분이 후반 부분보다도 몸체(2)의 긴변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캡(5A)에는 플러그(도시 생략)가 고정되고, 이 플러그로부터 인출된 코드(12, 22)(도 1에 도시한다)의 선단에 커넥터(13, 23)(도 1에 도시한다)가 부착된다. 캡(5B)에는, 플러그에 대응하는 소켓(도시 생략)이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주로 캡(5A)에 관해 설명하지만, 주요한 구성은 캡(5B)도 같고,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캡(5)에는, 캡(5)을 케이스체(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13a∼13d)가 관통하는 관통구멍(50a∼50d)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50a∼50d)은, 캡(5)의 단벽부(51)측부터 단면측까지 늘어나 있다.
캡(5)에는, 그 전면에 외형이 개략 ㄷ자형상의 제2 지지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캡(5)의 전면은, 제2 지지부(53)를 남기고 개구하고 있다.
제2 지지부(53)는, 케이스체(3)의 한 쌍의 제1 지지부(35)와 연속하여, 투광판(4)의 긴변 방향의 단연(端緣) 및 당해 단연과 연속하는 양 측연의 일부분을 지지한다. 제2 지지부(53)에는, 전둘레에 걸쳐서 외형이 개략 U자형상의 수용홈(5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홈(54)은 제1 지지부(35)의 수용홈(36)과 연속하여 있고, 한 쌍의 수용홈(36)과 한 쌍의 수용홈(54)으로 루프형상의 경로를 형성하고, 링형상의 탄성부재(8)를 수용하고 있다.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은, 탄성부재(8)를 통하여 각 캡(5)의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다. 그리고, 각 캡(5)에 각각 캡 커버(6)를 부착한 때에는(도 6 및 도 7을 참조),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이, 탄성부재(8)의 반발력(복원력)에 대항하여 탄성부재(8)에 꽉 눌려진 상태가 된다.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은, 캡 커버(6)에 의해 꽉 눌려짐으로써 각 캡(5)의 제2 지지부(53)에 고정되고, 그때에 압축한 탄성부재(8)에 의해,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의 긴변 방향의 양 단연과 케이스체(3) 내의 공동(32)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가 밀폐되고, 그 결과, 몸체(2) 내가 밀봉된다.
제2 지지부(53)의 양 측연에는, 가이드벽부(5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벽부(55)는, 캡(5)의 측벽부(52)가 제2 지지부(53)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지부(53)에 지지되는 투광판(4)의 폭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벽부(55)는, 캡(5)의 단벽부(51)로부터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단벽부(51)의 일부분까지 연결되는 단면으로 보아 L자형상을 이루고,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긴변 방향의 단연이 맞닿는 위치 결정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캡(5)의 단벽부(51)로부터 늘어나는 가이드벽부(55)는, 수용홈(54)에 인접하여 있다.
각 가이드벽부(55)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56)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계합 돌기(56)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각 측연에 마련된 노치부(40)에 계합하고, 노치부(40)와 함께 제1 계합부를 구성한다.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설치되는 환경에 의해 다양한 상황하에 놓여지는데, 예를 들면 고온 상황하에서 사용되면, 투광판(4)이 열수축할 우려가 있다. 투광판(4)이 열수축하여 그 전체 길이가 짧아지면,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이 긴변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고, 이에 의해, 각 캡(5)의 제2 지지부(53)에서는, 투광판(4)의 양단 부분에서 탄성부재(8)를 충분히 덮을 수가 없어서 탄성부재(8)가 노출한다. 투광판(4)의 열수축에 수반하여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이 긴변 방향의 내측으로 변위하여 탄성부재(8)가 노출하면, 각 캡 커버(6)에 의해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을 꽉 눌러도, 탄성부재(8)가 압축되지 않고, 그 결과,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가 없게 된다. 이에 대해, 투광판(4)의 각 측연의 노치부(40)에 각 캡(5)에 마련한 계합 돌기(56)를 계합시키면, 투광판(4)이 고온 상황하에 놓여져도,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이 각 계합 돌기(56)에 의해 포착되어 긴변 방향의 내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투광판(4)의 열수축이 억제된다. 더하여, 투광판(4)이 탄성부재(8)에 꽉눌리고 있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의 내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것과도 어울려서, 투광판(4)의 전체 길이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광축 광전 센서(1)가 고온 상황하에서 사용되어도, 제1 계합부에 의해 투광판(4)이 열수축하는 것이 방지되고, 투광판(4)의 양단 부분으로 탄성부재(8)를 충분히 덮어서 탄성부재(8)를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가 양호하게 밀폐된다.
각 가이드벽부(55)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57)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5A)에는 3개의 제1 돌기(57)가 소정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캡(5B)에는 하나의 제1 돌기(57)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돌기(57)의 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 또는 복수라면 좋지만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돌기(57)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캡 커버(6)에 마련되는 제2 돌기(66)와 함께, 서로 계합하여 캡 커버(6)에 의해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하기 위한 계합부(제2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캡(5)의 단벽부(51)의 외면에는, 양 가이드벽부(55)의 사이에 인접하여 다른 영역보다도 패여진 사각형상의 오목영역(51A)이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오목영역(51A) 내에 감합 돌기(5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감합 돌기(58)만이 마련되어 있지만, 감합 돌기(58)의 수는 2개 이상의 복수라도 좋다. 이 감합 돌기(58)도, 상세는 후술하지만, 캡 커버(6)에 마련된 감합구멍(68)과 함께, 서로 계합하여 캡 커버(6)에 의해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하기 위한 계합부(제2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캡(5)의 케이스체(3)의 단면과 대향하는 개략 U자형상의 단면에는, 실 부재(7)를 감입하는 것이 가능한 감입홈(59)이 마련되어 있다. 감입홈(59)은, 외형이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선단이 캡(5)의 전면의 제2 지지부(53)의 수용홈(54)과 연통하고 있다. 감입홈(59)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구멍(50a, 50b)을 피하도록 하여 양 선단측의 일부분(59A)이 내측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감입홈(59)의 양 선단측의 일부분(59A)의 선단부(59B)는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캡 커버(6)는, 도 2 및 도 14∼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금속제이고, 단면으로 보아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커버(6)는, 전면부(60)와, 전면부(60)의 양 측연에 일체로 마련된 한 쌍의 측면부(61, 61)와, 전면부(60)의 단연의 폭방향 중앙에 일체로 마련된 단면부(62)로 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커버(6)를, 캡(5)과의 사이에 투광판(4) 및 탄성부재(8)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화살표(X)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캡(5)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을 캡(5)에 고정 가능하다. 이때, 캡 커버(6)의 전면의 개구(63)는 투광판(4)에 의해 막혀진다.
또한, 캡 커버(6)는, 케이스체(3)의 일단의 캡(5A)에 부착되는 캡 커버(6A)와, 케이스체(3)의 타단의 캡(5B)에 부착되는 캡 커버(6B)에서는 형상이 달라져 있고, 캡 커버(6A)는 캡 커버(6B)에 비하여, 전면부(60)의 전체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주로 캡 커버(6A)에 관해 설명하지만, 주요한 구성은 캡 커버(6B)도 동일하고, 공통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캡 커버(6)는, 한 쌍의 측면부(61)가 캡(5)의 양 가이드벽부(55)의 외측에서 양 가이드벽부(55)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케이스체(3)의 긴변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전면부(60)의 캡(5)과 대향하는 측의 면(배면)에는, 투광판(4)의 양단 부분과 대향하는 폭방향 중앙 부분이 폭방향 양 측연 부분(65)보다도 융기함으로써, 가압부(64)를 구성하고 있다. 캡 커버(6)를 캡(5)에 탄성부재(8) 및 투광판(4)을 사이에 끼우고 부착한 때에는(도 6을 참조), 전면부(60)의 배면의 양 측연 부분(65)은 각 가이드벽부(55)의 천면에 접한다. 한편으로, 가압부(64)는 투광판(4)의 양단 부분과 당접하여 이것을 제2 지지부(53)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 가압력에 의해, 투광판(4)은 제2 지지부(53)에 고정되고, 또한, 투광판(4)에 의해 탄성부재(8)가 압축된다.
각 측면부(61)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2 돌기(66)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돌기(66)는, 캡 커버(6A)에는 소정이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고, 캡 커버(6B)에는 1개 마련되어 있다. 제2 돌기(66)의 수는, 각각 대응하는 캡(5)의 제1 돌기(57)의 수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각 측면부(61)에는, 제2 돌기(66)와 대응하는 위치에 긴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돌기(66)는, 캡(5)에 마련된 제1 돌기(57)와 함께, 캡 커버(6)에 의해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로 서로 계합하여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하기 위한 계합부(제2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캡 커버(6)를 캡(5)에 탄성부재(8) 및 투광판(4)을 사이에 끼우고 부착한 때에는(도 7을 참조), 제2 돌기(66)는, 캡(5)의 가이드벽부(55)의 제1 돌기(57)에 후방에서 계합한다. 캡 커버(6)는 투광판(4)을 통하여 탄성부재(8)를 제2 지지부(53)측(후방)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캡 커버(6)에는 탄성부재(8)로부터 반발력(복원력)이 캡(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전방)에 작용한다. 그러나, 이 제2 계합부에 의하면, 캡 커버(6)의 제2 돌기(66)와 캡(5)의 제1 돌기(57)가 서로 계합하여 가압부(64)에 의해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캡 커버(6)는 캡(5)에 고정된다. 따라서, 투광판(4)에 의해 탄성부재(8)를 양호하게 가압하여 압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각 측면부(61)에는, 캡(5)과 대향하는 측의 배면에, 오목홈(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67)에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규제 부재(15)의 일부가 감입한다.
단면부(62)에는, 긴구멍형상의 감합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구멍(68)도, 캡(5)의 단벽부(51)에 마련된 감합 돌기(58)와 함께, 캡 커버(6)에 의해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로 서로 계합하여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하기 위한 계합부(제2 계합부)를 구성하고 있다. 캡 커버(6)를 캡(5)에 탄성부재(8) 및 투광판(4)을 사이에 끼우고 부착한 때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커버(6)의 단면부(62)가 캡(5)의 단벽부(51)의 오목영역(51A)에 수용되고 감합구멍(68)에 감합 돌기(58)가 감입한다. 이 제2 계합부에 의하면, 캡 커버(6)의 감합구멍(68)에 캡(5)의 감합 돌기(58)가 계합하여 가압부(64)에 의해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으로써, 캡 커버(6)는 캡(5)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 돌기(57) 및 제2 돌기(66)로 이루어지는 제2 계합부와 함께, 투광판(4)에 의해 탄성부재(8)를 더욱 양호하게 가압하여 압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전면부(60)의 케이스체(3)의 단면과 대향하는 단면에는, 한 쌍의 폴부(69)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폴부(69)는, 일부분(69A)보다도 타부분(69B)이 융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 커버(6)를 캡(5)에 탄성부재(8) 및 투광판(4)을 사이에 끼우고 부착한 때에, 폴부(69)는, 일부분(69A)이 케이스체(3)의 테두리부(34)와 투광판(4)과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됨과 함께 타부분(69B)이 테두리부(34)의 선단에 따르면서, 가압 부재(9)와 단면끼리가 맞닿는다.
폴부(69)는, 가압부(64)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캡 커버(6)를 캡(5)에 탄성부재(8) 및 투광판(4)을 사이에 끼우고 부착한 때에는, 투광판(4)의 양단 부분과 당접하여 이것을 제2 지지부(53)를 향하여 가압하고, 투광판(4)을 통하여 탄성부재(8)를 압축한다. 또한, 폴부(69)의 일부분(69A)이 케이스체(3)의 테두리부(34)에 후방에서 계합함으로써, 캡 커버(6)는 케이스체(3)에도 고정되고, 따라서, 상술한 제2 계합부와 함께, 투광판(4)에 의해 탄성부재(8)를 더욱 양호하게 가압하여 압축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다음에, 규제 부재(1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5)을 케이스체(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13a, 13b)를 삽통 가능한 삽통구멍(16)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규제 부재(15)는, 캡 커버(6)와 연결된 상태에서, 캡(5)을 케이스체(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13a, 13b)를 이용하여 캡(5)에 꽉 눌려짐으로써, 캡 커버(6)의 캡(5)에 대한 슬라이드를 규제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커버(6)를 캡(5)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부착한 상태에서, 캡 커버(6)와 캡(5)은 제2 계합부(제1 돌기(57) 및 제2 돌기(66) 및 감합 돌기(58) 및 감합구멍(68))이 탄성부재(8)의 반발력(복원력)에 의해 강하게 계합하여 있기 때문에, 캡(5)에 대해 캡 커버(6)가 벗겨지는 화살표(Y)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단, 어떠한 영향을 받아 캡 커버(6)에 화살표(Y)의 방향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면, 캡 커버(6)가 캡(5)에 대해 슬라이드하여, 상술한 제2 계합부에 의한 계합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계합부에 의한 계합이 해제되면, 캡 커버(6)는 탄성부재(8)로부터 반발력(복원력)을 캡(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전방)으로 받음으로써, 캡(5)과의 고정이 느슨해지고, 그 결과, 투광판(4)을 통하여 탄성부재(8)를 가압하여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고,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5)에 의해, 캡 커버(6)가 캡(5)에 부착된 후, 캡 커버(6)의 캡(5)에 대한 슬라이드를 규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규제 부재(15)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이 개략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17)와, 본체부(17)의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계지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7)는 나사부재(13a, 13b)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도 21의 상태로부터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7)의 회전에 의해 계지부(18)를 캡 커버(6)의 오목홈(67)에 감입함으로써, 규제 부재(15)는 캡 커버(6)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부재(13a, 13b)가 케이스체(3)에 나사체결되어 규제 부재(15)가 캡(5)에 꽉눌려지면, 본체부(17)가 회전 불능으로 되기 때문에, 계지부(18)가 캡 커버(6)의 오목홈(67)에 감입하여 규제 부재(15)가 캡 커버(6)와 서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캡 커버(6)가 캡(5)에 대해 슬라이드하는 것이 규제된다.
다음에, 케이스체(3)와 각 캡(5)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실 부재(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되는 캡(5)의 감입홈(59) 내에 감입되도록, 감입홈(59)과 거의 동형상의 개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실 부재(7)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선단측의 일부분(70) 중, 선단부(71)가 더욱 내측으로 가까워진 형상을 이루는, 구체적으로는, 내측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때문에, 실 부재(7)가 감입홈(59)에 감입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입홈(59) 내에는, 양 선단부(59B)의 수용홈(54)과 인접하는 위치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실 부재(7)의 양 선단은, 수용홈(54)에 수용된 탄성부재(8)와 당접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공간은 액상 실링제(14)의 저장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당해 공간에 액상 실링제(14)가 도포되어 경화함으로써, 경화한 액상 실링제(14)가 실 부재(7)의 양 선단과 탄성부재(8)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경화한 액상 실링제(14)에 의해 실 부재(7)의 양 선단과 탄성부재(8)가 접속되어 있다.
액상 실링제(14)는, 일반적으로 상온에서는 유동성을 갖는 액체(점도를 갖는 것도 포함한다)인 한편, 도포하면 일정 시간의 경과 후에 경화하여, 탄성 또는 점착성을 갖는 고체로 변화하는 것이다. 액상 실링제(14)로서는, 이른바 액상 개스킷이라고 불리는 경화하면 고무형상 탄성체가 되는 것 외에, 경화성 점착제나 경화성 접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액상 개스킷은, 적당한 점도를 가지며, 경화에 이르기까지에 필요한 형상 유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액상 개스킷으로서는, 변성 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 페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 실리콘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실 부재(7)에 의해 케이스체(3) 및 각 캡(5)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 없이 케이스체(3)와 각 캡(5)이 고정되어, 탄성부재(8)에 의해 투광판(4) 및 케이스체(3)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일 없이 투광판(4)과 케이스체(3)가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 및 단면의 개구(38)가 밀폐되고, 그 결과, 몸체(2) 내가 밀봉되어 있다. 한편으로, 케이스체(3), 투광판(4) 및 캡(5)의 3부재를 조립하면, 3부재의 이음매에 미소한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고, 간극이 생기면, 몸체(2) 내를 안정하게 밀봉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케이스체(3) 및 각 캡(5)의 사이의 실 부재(7)와, 투광판(4) 및 케이스체(3)의 사이의 탄성부재(8)가 경화한 액상 실링제(14)에 의해 접속되어 일체화하고 있다. 그 때문에, 투광판(4), 케이스체(3) 및 캡(5)의 3개의 부재를, 이들의 이음매에서도 간극이 생기는 일 없이 서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 및 양 단면의 개구(38)가 보다 양호하게 밀폐되어, 몸체(2) 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최후로, 투광판(4)과 케이스체(3) 및 각 캡(5)의 사이에 개재하는 탄성부재(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형상을 이루고, 각 제1 지지부(35)의 수용홈(36) 및 각 제2 지지부(53)의 수용홈(54)에 수용된다. 탄성부재(8)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끈형상(紐狀)의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끈형상의 고무는, 전체로서 루프형상을 이루는 각 수용홈(36, 54)의 둘레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루프형상의 수용홈(36, 54)에 수용된 후, 고무의 양단을, 예를 들면 점착성을 갖는 액상 실링제로 연결함으로써, 링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끈형상의 고무의 양단은, 반드시 액상 실링제를 사용하여 연결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끈형상의 고무를 루프형상의 수용홈(36, 54)의 둘레 길이보다도 조금 길게 형성하고, 그 양단을 맞겹쳐서 압축한 상태로 하여 수용홈(36, 54) 내에 수용함으로써, 맞겹쳐진 고무의 양단끼리의 반발에 의해 양단을 밀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투광판(4)은 케이스체(3)의 각 제1 지지부(35) 및 각 캡(5)의 제2 지지부(53)에 탄성부재(8)를 통하여 지지되는데, 각 캡(5)과의 사이의 제1 계합부(노치부(40) 및 계합 돌기(56))에 의한 계합에 의해,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가 고온 상황하에 놓여져도, 투광판(4)의 열수축이 억제되기 때문에, 투광판(4)의 전체 길이가 유지된다. 따라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에서 탄성부재(8)를 확실하게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투광판(4)의 전체 길이를 링형상의 탄성부재(8)의 전체 길이보다도 여분으로 길게 할 필요가 없고, 투광기(10) 및 수광기(20)의 몸체(2)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의 물체의 검출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제1 계합부로서, 계합 돌기(56)가 캡(5)의 측벽부(52)에 마련되고, 노치부(40)가 투광판(4)의 측연에 마련되어 있어서, 간이한 구조로 제1 계합부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계합 돌기(56) 및 노치부(40)는, 각각 캡(5)의 양 측벽부(52) 및 투광판(4)의 양 측연에 마련되어 있고, 제1 계합부에 의한 계합이 투광판(4)의 양 측연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캡(5)의 단벽부(51)로부터 늘어나서 투광판(4)의 단연의 일부와 맞닿는 가이드벽부(55)가 수용홈(54)에 인접하여 있고, 투광판(4)의 단연이 투광기(10) 및 수광기(20)의 몸체(2)의 긴변 방향의 단이 되는 캡(5)의 단벽부(51)까지 늘어나 있기 때문에, 몸체(2)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극력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투광판(4)의 케이스체(3)의 단면보다 돌출한 부분은, 캡 커버(6)를 캡(5)에 슬라이드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캡 커버(6)의 가압부(64)에 의해, 캡(5)의 제2 지지부(53)와의 사이에 배열 구비된 탄성부재(8)에 꽉 눌려진 상태로 제2 지지부(53)에 고정된다. 따라서, 압축된 탄성부재(8)에 의해 케이스체(3)의 전면의 개구(39)를 양호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캡 커버(6) 및 캡(5)의 제2 계합부(제1 돌기(57) 및 제2 돌기(66) 및 감합 돌기(58) 및 감합구멍(68))에 의한 계합에 의해, 캡 커버(6)는 가압부(64)로 투광판(4)을 가압한 상태로 캡(5)에 고정된다. 따라서, 캡 커버(6)를 캡(5)에 나사 등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나사의 스페이스만큼), 몸체(2)의 긴변 방향에서, 물체를 검출할 수 없는 영역(데드 스페이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영향을 받아서, 캡 커버(6)에 대해 캡(5)에 부착하기 위해 슬라이드시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여도, 규제 부재(15)에 의해, 캡 커버(6)는 캡(5)에 대해 상기 반대 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캡 커버(6) 및 캡(5)의 제2 계합부(제1 돌기(57) 및 제2 돌기(66) 및 감합 돌기(58) 및 감합구멍(68))에 의한 계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이 캡(5)에 고정된다. 따라서, 투광판(4)을 통하여 탄성부재(8)를 가압하여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에서는, 캡(5)의 전면은, 제2 지지부(53)를 남기고 개구하여 있기 때문에, 몸체(2)의 긴변 방향의 광범위에서 요컨대 긴변 방향의 양단에 가까운 위치까지 광축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판(4) 및 캡(5)에 마련되는 제1 계합부로서, 투광판(4) 및 캡(5)에, 각각 노치부(40) 및 계합 돌기(56)가 마련되어 있지만, 제1 계합부로서는, 서로 계합하여 캡(5)의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구성의 것을 투광판(4) 및 캡(5)에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판(4)의 측연에 계합 돌기를 마련함과 함께, 캡(5)의 측벽부(52)의 내면에 상기 계합 돌기가 감입하는 오목부, 또는, 상기 계합 돌기가 걸리는 단부, 볼록부를 마련하여 서로 계합시키도록 하여, 캡(5)의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판면에 핀 등의 봉형상 돌기를 마련함과 함께, 캡(5)의 제2 지지부(53)에 상기 봉형상 돌기가 삽통되는 삽통구멍을 마련하는, 또는, 캡(5)의 제2 지지부(53)에 핀 등의 봉형상 돌기를 마련함과 함께, 투광판(4)의 양단 부분에 상기 봉형상 돌기가 삽통되는 삽통구멍을 마련하여 서로 계합시키도록 하여, 캡(5)의 제2 지지부(53)에 지지된 투광판(4)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캡(5) 및 캡 커버(6)에 마련되는 제2 계합부로서, 캡(5) 및 캡 커버(6)에, 각각, 제1 돌기(57) 및 제2 돌기(66) 및 감합 돌기(58) 및 감합구멍(68)이 마련되어 있지만, 어느 일방의 조(組)만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계합부로서는, 캡 커버(6)가 가압부(64)에 의해 상기 투광판을 가압한 상태로 서로 계합하여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구성의 것을 캡(5) 및 캡 커버(6)에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5)의 측벽부(52)에 단부나 잘록한 부(部) 등의 거는 부분을 마련함과 함께, 캡 커버(6)의 측면부(61)에 상기 거는 부분에 걸리는 선단이 갈고리형상으로 절곡된 계지부를 마련하고, 캡 커버(6)를 캡(5)에 부착한 때에 상기 계지부를 상기 거는 부분에 계합시킴으로써,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캡(5)의 측벽부(52)의 외면에 긴변 방향으로 늘어나는 오목부를 마련함과 함께, 캡 커버(6)의 측면부(61)의 내면에 긴변 방향으로 늘어나며 또한 상기 오목부에 꼭끼는 볼록부를 마련하고, 캡 커버(6)를 캡(5)에 부착한 때에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에 계합시킴으로써, 캡 커버(6)를 캡(5)에 고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5)가 캡 커버(6)와는 별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커버(6)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3에서는, 삽통구멍(16)을 갖는 규제 부재(15)가 캡 커버(6)의 측면부(6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15)는, 캡 커버(6)를 캡(5)에 부착한 때에 삽통구멍(16)이 캡(5)의 관통구멍(50a, 50b)과 일치하도록, 캡 커버(6)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커버(6)를 캡(5)에 슬라이드에 의해 부착한 후, 나사부재(15a, 15b)를 규제 부재(15)의 삽통구멍(16) 및 캡(5)의 관통구멍(50a, 50b)을 통하여 케이스체의 나사구멍(33a, 33b)에 나사체결함으로써, 규제 부재(15)가 캡(5)에 꽉 눌려진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15)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캡 커버(6)의 캡(5)에 대한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또한, 규제 부재(15)는, 캡 커버(6)의 단면부(6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규제 부재(15)는, 반드시 마련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끈형상의 탄성부재(8)의 양단을 연결함으로써 링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2개의 끈형상의 탄성부재(8)의 양단끼리를 연결함으로써 링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원래 링형상의 탄성부재(8)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재(8)는, 케이스체(3) 및 캡(5)의 각 지지부(35, 53)에 형성된 수용홈(36, 54)에 수용되어 있지만, 각 지지부(35, 53)에 수용홈(36, 54)을 마련하지 않고 평탄한 각 지지부(35, 53)에 탄성부재(8)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 부재(7)는, 양 선단부(71)가 내측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됨으로써, 탄성부재(8)와 당접하지 않고, 감입홈(59)의 양 선단부(59B)의 수용홈(54)(제2 지지부(53))과 인접하는 위치에, 액상 실링제(14)를 도포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실 부재(7)의 양 선단부(71)를 내측으로 L자형상으로 절곡하는 일 없이, 곧바로 연장하며 또한 수용홈(54)(제2 지지부(53))에 도달시키지 않음으로써, 탄성부재(8)와 당접시키지 않도록 하여, 감입홈(59)의 양 선단부(59B)의 수용홈(54)(제2 지지부(53))과 인접하는 위치에, 액상 실링제(14)를 도포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감입홈(59)의 양 선단부(59B)를 폭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 부재(7)의 양 선단은 탄성부재(8)와 당접하지 않고, 실 부재(7)의 양 선단과 탄성부재(8)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경화한 액상 실링제(14)에 의해 실 부재(7)의 양 선단이 탄성부재(8)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실 부재(7)의 양 선단을 탄성부재(8)와 당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서도, 실 부재(7)의 양 선단과 탄성부재(8)의 사이(사이의 주위도 「사이」에 포함한다)에 경화한 액상 실링제(14)를 개재시킴으로써, 실 부재(7) 및/또는 탄성부재(8)의 위치 어긋남이나 열 신축, 양 부재(7, 8)의 표면 거칠기의 편차나 압축 편차가 생겨도, 경화한 액상 실링제(14)에 의해 실 부재(7)의 양 선단과 탄성부재(8)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반드시, 실 부재(7)의 양 선단과 탄성부재(8)를 경화한 액상 실링제(14)로 접속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 부재(7)는 고무 패킹 등의 미리 성형된 고형 개스킷으로 이루어지지만, 액상 개스킷을 실하여야 할 개소(각 캡(5)의 감입홈(59))에 충전하여 경화시킨 고형 개스킷(경화한 액상 개스킷)을 실 부재(7)로 이용하여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실 부재(7)를 액상 개스킷의 도포 및 경화에 의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1 : 다광 축광전 센서 3 : 케이스체
4 : 투광판 5 : 캡
8 : 탄성부재 10 : 투광기
20 : 수광기 35 : 제1 지지부
38 : 전면의 개구 39 : 단면의 개구
40 : 노치부 51 : 단벽부
52 : 측벽부 53 : 제2 지지부
54 : 수용홈 55 : 가이드벽부
56 : 계합 돌기

Claims (5)

  1. 투광기 및 수광기가 각각, 긴변 방향의 양 단면 및 광을 통과시키는 전면에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전면의 개구를 막으며 또한 전체 길이가 상기 케이스체보다도 긴 투광판과, 상기 케이스체의 양 단면의 개구를 각각 막는 한 쌍의 캡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투광판의 양 측연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연속하며 또한 상기 투광판의 상기 케이스체의 단면보다 돌출한 양단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투광판은, 탄성부재를 통하여 한 쌍의 상기 제1 지지부 및 한 쌍의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캡 및 상기 투광판에는, 서로 계합하여 상기 제2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투광판의 양단 부분의 긴변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계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로서, 상기 캡의 측벽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계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투광판의 측연에 상기 계합 돌기가 감입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노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돌기 및 상기 노치부는, 각각 상기 캡의 양 측벽부 및 상기 투광판의 양 측연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됨과 함께, 상기 캡의 단벽부로부터 늘어나서 상기 투광판의 단연의 일부가 맞닿는 가이드벽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벽부가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전면은, 상기 제2 지지부를 남기고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KR1020170080340A 2016-07-13 2017-06-26 다광축 광전 센서 KR201800076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8839A JP2018010788A (ja) 2016-07-13 2016-07-13 多光軸光電センサ
JPJP-P-2016-138839 2016-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67A true KR20180007667A (ko) 2018-01-23

Family

ID=5915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340A KR20180007667A (ko) 2016-07-13 2017-06-26 다광축 광전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017434A1 (ko)
EP (1) EP3270190A1 (ko)
JP (1) JP2018010788A (ko)
KR (1) KR20180007667A (ko)
CN (1) CN107621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874A (ko) * 2020-03-03 2022-04-28 주식회사 오토닉스 다광축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10790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6812803B2 (ja) * 2017-01-12 2021-0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14345A (ko) *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817A (ja) * 2007-06-29 2009-01-15 Keyence Corp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JP2009272064A (ja) * 2008-04-30 2009-11-19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1216372A (ja) * 2010-03-31 2011-10-27 Panasonic Electric Works Sunx Co Ltd 多光軸光電センサ及び多光軸光電センサの製造方法
JP5141825B2 (ja) * 2009-07-30 2013-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1643A (en) 1969-12-18 1972-09-19 Sperry Rand Corp Gyromagnetic compass system
JP2005321198A (ja) * 2004-05-06 2005-11-1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
JP6475544B2 (ja) * 2015-03-31 2019-02-2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8010790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6763222B2 (ja) * 2016-07-13 2020-09-30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817A (ja) * 2007-06-29 2009-01-15 Keyence Corp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JP2009272064A (ja) * 2008-04-30 2009-11-19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
JP5141825B2 (ja) * 2009-07-30 2013-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1216372A (ja) * 2010-03-31 2011-10-27 Panasonic Electric Works Sunx Co Ltd 多光軸光電センサ及び多光軸光電センサ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141825호(2013.02.13.)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874A (ko) * 2020-03-03 2022-04-28 주식회사 오토닉스 다광축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21660A (zh) 2018-01-23
JP2018010788A (ja) 2018-01-18
US20180017434A1 (en) 2018-01-18
EP3270190A1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2444B2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KR20180007667A (ko) 다광축 광전 센서
US10886659B2 (en) Sealing interface for a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EP3270187A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KR101963333B1 (ko) 커튼 월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329125B1 (ko) 원격 무선 유닛,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조립체 및 하우징
CN107589619B (zh) 光学镜头机构及投影仪
WO2011013643A1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5005460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20061254A (ja) 防水型コネクタ
US20200200367A1 (en) Thin Waterproof Work Light
KR102295718B1 (ko) 다광축 광전 센서
KR20180055042A (ko) 창짝 유리 고정용 글레이징 비드
KR20170042259A (ko) 볼트형 잠금 고정 구조 및 상기 설치 방법
JP2009272064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US11175433B2 (en) Multi optical axis sensor
JP7383097B2 (ja) 灯具
JP2015005463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6060046B2 (ja) 建築構造体
JP2005321198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5005461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