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308A - 냉동 소성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소성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308A
KR20180000308A KR1020170077117A KR20170077117A KR20180000308A KR 20180000308 A KR20180000308 A KR 20180000308A KR 1020170077117 A KR1020170077117 A KR 1020170077117A KR 20170077117 A KR20170077117 A KR 20170077117A KR 20180000308 A KR20180000308 A KR 2018000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zen
concave groove
fired
sintered body
br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오 이노우에
토모노리 사이토
히로후미 미요시
타카히로 오노
Original Assignee
테이부루마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부루마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이부루마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40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type, form or use
    • A21D13/44Pancakes or crêp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2Apparatus for slotting, slitting or perforating the surface of pieces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5/00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 A21D15/02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by cooling, e.g. refrigeration,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냉동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분할 가능한 냉동 소성식품이 제공된다.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으로서, 판 형상의 소성체의 적어도 일방의 판면에,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이다.

Description

냉동 소성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Frozen baked food, Method for producing frozen baked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rozen baked food}
본 발명은, 냉동 소성(燒成)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6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6-12392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오코노미야키, 핫케?? 등의 소성식품을 냉동한 냉동 소성식품이 알려져 있다. 또한, 냉동 소성식품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577000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5770010호 공보
오코노미야키 등의 소성식품의 두께는, 얇은 것에서 두꺼운 것까지 다양하다. 또한, 그 두께도 그때그때 어느 두께가 선호되는가는 상이하지만, 최근에는 그 두께가 15∼30mm 정도인 두꺼운 오코노미야키나 핫케?弱? 같은 것이 고급감이 있는 점과, 그 생지(生地)의 두께에서 발생하는 폭신함이 있기 때문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그러한 두꺼운 오코노미야키나 구이나 핫케?? 등, 특히 생지 안에 양배추 등의 속재료를 포함한 두꺼운 냉동 생지는, 냉동상태에서는 매우 딱딱하고, 자르거나 나누거나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일부만을 사용하는 경우여도 전체를 해동하지 않으면 안되고, 해동한 후에는 부엌칼 등으로 커트할 필요가 있어, 생지나 속재료 등이 부엌칼에 부착하는 등의 사용 편리성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냉동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분할 가능한 냉동 소성식품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一態樣)에 의하면,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으로서, 판 형상의 상기 소성체의 적어도 일방의 판면에, 상기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이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냉동 소성식품에 의하면, 오목한 홈을 따라 용이하게 나눌 수 있다. 또한, 제조, 유통, 및 저장의 각 단계에서는 분할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제조 등의 각 단계에서 뛰어난 핸들링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식품 제공의 장면에서는 전체를 해동하는 일 없이 일부만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섭취량의 조정이나 다른 식품과의 조합 제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홈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성체의 두께가 3mm 이상 8mm 이하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오목한 홈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성체의 두께가 4mm 이상 7mm 이하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소성체가 원반 형상이며, 상기 오목한 홈이 상기 소성체의 판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형상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소성체의 두께가 10mm 이상 30mm 이하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소성체는 오코노미야키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재료를 가열판 위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양면이 소성된 판 형상의 소성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성체의 판면에 브레이드를 눌러, 상기 소성체에 상기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한 홈이 형성된 상기 소성체를 동결하는 공정을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소성체의 외주부의 복수 개소를 지름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러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소성체에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 하여도 된다.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는, 원통을 2분한 한 쌍의 반원통 형상의 긁어모음 부재이며,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브레이드를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를 서로 접근시켜 상기 소성체를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틈 내에서 상기 브레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재료는 오코노미야키 재료인 제조방법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로서, 판 형상의 상기 소성체의 적어도 일방의 판면에, 상기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오목한 홈 형성장치를 가지고, 상기 오목한 홈 형성장치는, 상기 소성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소성체에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가공장치를 가지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소성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지지부재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소성체에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브레이드와, 상기 브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브레이드 구동부를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는, 원통을 2분한 한 쌍의 반원통 형상의 긁어모음 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를 접근시켰을 때에 개략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긁어모음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틈을 따라 상기 브레이드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재료는, 오코노미야키 재료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가짐으로써, 냉동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나눌 수가 있고, 사용 편리성이 뛰어난 냉동 소성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리성이 뛰어난 냉동 소성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냉동 소성식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도 2는,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을 나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도 5는,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6]도 6은,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의 오목한 홈 형성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7]도 7은, 오목한 홈 형성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도 8은, 오목한 홈 형성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도 9는,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오목한 홈 형성부의 평면도이다.
[도 10]도 10은,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도 11은,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오목한 홈 형성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도 12는,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도 13은,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오목한 홈 형성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냉동 소성식품)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냉동 소성식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을 나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도이기 때문에, 형상이나 치수는 과장되어있다(이하의 도면도 동일).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10)은, 소성 후에 냉동된 생지이다. 냉동 소성식품(10)은 예를 들면 오코노미야키(okonomiyaki; a meat[seafood] and vegetable pancake)이다. 냉동 소성식품(10)은 오코노미야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부침개, 핫케?? 등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코노미야키」라고 하는 경우, 특별히 단정짓지 않는 이상, 생지와 속재료를 혼합하여 소성하는, 소위 간사이풍(關西風)의 오코노미야키를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오코노미야키」라고 하는 경우, 특별히 단정짓지 않는 이상 재료를 소성한 오코노미야키의 본체를 가리킨다. 즉, 식탁에 제공되는 일반적인 오코노미야키는, 소스 및 토핑(마요네즈, 깎은 카츠오부시, 분말상(粉末狀) 또는 세단상(細斷狀)의 파래, 등)을 실시한 상태의 것이 많지만, 이하에서는, 소스 및 토핑을 실시하기 전의 상태의 것을 가리킨다.
냉동 소성식품(1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전체적으로 원반(圓盤) 형상이고, 상면의 중심을 통과하여 횡단하는 직선 형상의 오목한 홈(11)을 가진다. 냉동 소성식품(1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냉동상태여도, 오목한 홈(11)을 따라 2개로 나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오목한 홈(11)은 냉동 소성식품(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형상이기 때문에, 2개의 반달 형상의 분할편(10a, 10b)은 거의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오목한 홈은, 도 1에서는 1개이지만, 특별히 1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몇 개 동시에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오목한 홈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동 소성식품(10)은, 도 3에 나타내듯이,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상하면에 형성된 소성층(13, 14)을 가진다. 소성층(13, 14)은, 가열에 의하여 눌은 자국이 생긴 딱딱한 층이다. 오목한 홈(11)은 냉동 소성식품(10)을 소성한 후에, 상면에 칼집을 넣는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 때문에, 오목한 홈(11)의 내측에는, 상면의 소성층(13)의 일부가 파고들어가 있고, 오목한 홈(11)의 측벽에는 소성층(13a)이 존재한다. 따라서, 냉동 소성식품(10)을 나누었을 때의 분할편(10a)의 절단면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상부에 소성층(13a)이 위치하고, 하부에 본체부(12)가 노출한다.
오목한 홈(11)의 저부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평탄한 면이다. 따라서, 냉동 소성식품(10)을 나누었을 때에, 각각의 분할편(10a, 10b)의 절단면에, 단차면(11a, 1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오목한 홈(11)이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지게 함으로써, 분할할 때에 오목한 홈(11)을 따라 갈라지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냉동 소성식품(10) 중, 오목한 홈(11)이 형성된 부분(박육부(薄肉部; 10c))의 두께(L1)는, 3mm 이상 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mm 이상 7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육부(10c)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사용시에 손으로 용이하게 나눌 수 있고, 게다가, 제조, 유통, 저장의 단계에서는 분할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냉동 소성식품으로 할 수 있다.
냉동 소성식품(10)의 전체의 두께(L)는, 5mm 이상 30mm 이하이다. 박육부(10c)의 두께(L1)는, 전체의 두께(L)에 관계없이, 먼저 기재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10)은 오코노미야키이며, 속재료와 생지로 이루어지는 피소성재료를 소성한 후, 냉동하여 제조된다. 또한, 핫케?? 등과 같이 속재료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속재료로서는, 적어도 양배추를 사용하는 것 외에, 일반적인 오코노미야키에 사용하는 속재료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속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육류(예를 들면,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어개류(예를 들면, 오징어, 새우, 문어), 떡, 면류(예를 들면, 우동, 중화면, 일본 소바), 붉은색 생강절임, 튀김 찌꺼기, 채소(예를 들면, 파, 양파, 피망, 당근, 우엉), 유제품(예를 들면, 치즈) 등을 들 수 있다.
생지는, 밀가루, 물, 계란, 유지류를 포함하는 생지 원료를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생지에는, 상기 성분 외에, 마(강판에 간 것, 가루 등), 조미료(소금, 후추, 간장, 된장, 설탕, 미림, 술), 엑기스류(예를 들면, 카츠오부시 엑기스, 다시마 엑기스, 효모 엑기스), 곡물 가루류, 전분(예를 들면, 생전분 및 가공 전분), 트레할로스, 덱스트린, 대두 단백질, 완두콩 단백질, 밀 글루텐, 유제품(예를 들면, 우유, 탈지 분유), 식물 섬유, 팽창제, 증점제(예를 들면 크산탄검, 타마린드검, 구아검, 카드런, 로카스트빈검, 젤란검, 싸일리움씨드검, 카라게넌, 풀루란, CMC(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등), 유화제, 식염, 당류, 감미료, 향신료, 조미료, 비타민류, 미네랄류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10)에 의하면, 상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냉동상태여도, 수작업 등에 의해 용이하게 나눌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체를 해동하는 일 없이 제품의 일부만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한 홈(11)에 의하여 냉동 소성식품(10)의 분할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냉동 소성식품(10)의 중심을 통과하여 횡단하는 오목한 홈(11)을 형성함으로써, 냉동 소성식품(10)을 거의 정확하게 이등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분할편을 다른 식품과 조합하여 판매하는 경우에, 상품마다의 분할편의 크기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한 홈(11)이 1개뿐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오목한 홈(11)은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냉동 소성식품(10)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2∼4개의 오목한 홈을 설치하고, 4∼8등분 가능한 냉동 소성식품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오목한 홈(11)을 형성하는 면은 냉동 소성식품(10)의 상면이어도 하면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면에 오목한 홈(11)을 가공하기 어렵게 하는 속재료(오징어, 돼지고기 등)가 있는 경우에는, 하면에 오목한 홈(11)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동 소성식품(10)을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반 형상으로 하였으나, 이 형상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냉동 소성식품(10)의 외형은, 예를 들면 다각형상이나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의 오목한 홈 형성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오목한 홈 형성부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소성식품 제조장치(100)(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는, 냉동되는 소성체(F5)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소성식품 제조장치(100)는,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피소성재료(F)를 늘리는 공정, 피소성재료의 외주 형상을 정형하는 공정, 표리면(表裏面)을 굽는 공정, 소성식품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순차 실행함으로써 소성체(F5)를 자동적으로 제조한다. 소성식품 제조장치(100)는,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이다.
피소성재료(F)는 후술하는 각 공정에 의하여 상태 및 위치가 변화한다. 이러한 상태 및 위치를 구별하기 위하여, 피소성재료(F0, F1, F2)와 같이, 피소성재료(F)에 첨자를 붙여 구별하는 경우가 있다.
소성체(F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오코노미야키, 핫케??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소성체(F5)가 오코노미야키인 경우 에 관하여 설명한다.
소성식품 제조장치(100)는, 재료 공급부(1), 정형부(2), 제어부(4), 반송부(5), 가열부(6), 및 오목한 홈 형성부(7)를 구비한다.
반송부(5)는, 피소성재료(F)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판(P)과, 도시 생략의 구동부를 구비한다. 가열판(P)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근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부에 의하여 평면에 있어서의 일정 방향인 반송 방향(M)으로 이동된다. 가열판(P)의 이동은, 배치 피치마다, 간헐적으로 실시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가열판(P)인 가열판(P1, P2, P3, P4, P5)이, 반송 방향(M)에 있어서 이 순서로, 위치(p1, p2, p3, p4, p5)에 배열되어 있다고 한다. 이 상태에서, 1회의 이동이 실시되면, 각 가열판(P)은, 현재 도시의 오른쪽 옆에 있는 가열판(P)의 위치로 이동한다.
도시 생략의 구동부는, 후술하는 제어부(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의 동작을 실시한다.
이하에서는, 소성식품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반송 방향(M)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경우에, 기준이 되는 위치로부터 반송 방향(M)으로 이동하여 도달하는 위치를, 반송 방향(M)에 있어서 하류측의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준이 되는 위치로부터 반송 방향(M)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달하는 위치를, 반송 방향(M)에 있어서 상류측의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위치(p2)는, 위치(p1)보다 반송 방향(M)에 있어서의 하류측이다.
각 가열판(P)의 재질은, 피소성재료(F)를 소성 가능한 온도의 가열할 수 있는 판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판(P)은 철판으로 구성된다.
각 가열판(P)의 반송 방향(M)의 폭은, 1개의 소성체(F5)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피소성재료(F)를 배치할 수 있는 폭이 된다.
각 가열판(P)의 도시의 지지부재 방향의 폭은, 가열판(P)의 1매당 복수의 소성체(F5)가 소성 가능한 폭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가열판(P)은, 일례로서, 1매당, 최대 6개의 소성체(F5)를 소성할 수 있는 폭을 가진다.
가열부(6)는, 각 가열판(P)의 하부에 배치되고, 각 가열판(P)을 가열하는 장치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부(6)는, 화력이 조정된 버너를 구비하고, 버너의 화력에 의하여, 가열판(P)을 그 하면측에서 가열한다.
재료 공급부(1)는, 가열판(P) 위에, 피소성재료(F)를 배치하는 장치 부분이다. 재료 공급부(1)는, 위치(p1)에 정지하는 가열판(P)의 중심축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재료 공급부(1)의 구성은, 피소성재료(F)로서, 생지와 속재료를 혼합한 피소성재료(F0)를 가열판(P)의 상방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 공급부(1)는, 후술하는 제어부(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여기서, 재료 공급부(1)가 공급하는 피소성재료(F0)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소성재료(F0)는, 오코노미야키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이며, 특히, 소성 후의 오코노미야키를 냉동하여 냉동 소성식품으로 하는데 적합하다.
피소성재료(F0)의 주요부는, 속재료와 생지로 이루어 지지만, 속재료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오코노미야키의 경우는, 양배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양배추」는, 채소로서의 양배추의 가식부를 가리킨다. 피소성재료(F0)에 사용하는 양배추는, 생양배추여도 소금 절임 등 가공 처리된 가공 양배추여도 되지만, 생양배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배추의 절단법에 관해서는, 제조자의 취향에 맞는 절단법을 사용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피소성재료(F0)에 사용하는 속재료로서는, 양배추 외에도, 일반적인 오코노미야키에 사용하는 속재료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속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육류(예를 들면, 돼지고기, 쇠고기, 닭고기), 어개류(예를 들면, 오징어, 새우, 문어), 떡, 면류(예를 들면, 우동, 중화면, 일본 소바), 붉은색 생강절임, 튀김 찌꺼기, 채소(예를 들면, 파, 양파, 피망, 당근, 우엉), 유제품(예를 들면, 치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양배추 이외의 속재료의 크기(컷 사이즈, 형상) 및 사용량은, 통상의 오코노미야키의 경우를 참고하여, 당업자이면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피소성재료(F0)에 사용하는 생지는, 밀가루, 물, 계란, 유지류를 포함하는 생지 원료를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생지의 주원료인 밀가루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강력계, 준강력계, 중력계, 박력계의 밀가루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계란은, 생것을 사용해도 되고, 냉동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전란을 사용해도 되고, 노른자만을 사용해도 된다.
생지에 사용하는 유지류로서, 동물성인 것, 식물성인 것,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류는, 고형지방, 반고형지방, 액상유,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유지류의 예로서, 우지(정제 우지를 포함한다.), 돈지(정제 돈지를 포함한다.), 콩기름, 유채유, 올리브유, 팜유, 쇼트닝, 분말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생지에 있어서의 물은, 생지 원료의 전 중량에 대하여, 20%∼40% 사용한다.
생지는, 상기의 생지 재료를 모두 혼합한 후, 필요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체를 통하여, 생지 중의 덩어리를 제거할 수 있다.
생지는, 상기 성분 외에, 마(강판에 간 것, 가루 등), 조미료(소금, 후추, 간장, 된장, 설탕, 미림, 술), 엑기스류(예를 들면, 카츠오부시 엑기스, 다시마 엑기스, 효모 엑기스), 곡물 가루류, 전분(예를 들면, 생전분 및 가공 전분), 트레할로스, 덱스트린, 대두 단백질, 완두콩 단백질, 밀 글루텐, 유제품(예를 들면, 우유, 탈지 분유), 식물 섬유, 팽창제, 증점제(예를 들면 크산탄검, 타마린드검, 구아검, 카드런, 로카스트빈검, 젤란검, 싸일리움씨드검, 카라게넌, 풀루란, CMC, 알긴산나트륨 등), 유화제, 식염, 당류, 감미료, 향신료, 조미료, 비타민류, 미네랄류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피소성재료(F0)를 형성하려면 , 생지를 제조한 후, 생지 및 속재료를 계량하여, 혼합한다. 생지와 속재료의 중량비는, 5:5∼3:7이 적합하다. 보다 바람직한 중량비는, 4.5:5.5∼3.5:6.5, 더 바람직한 중량비는, 4.2:5.8∼3.8:6.2이다.
정형부(2)는, 재료 공급부(1)에 의하여, 가열판(P) 위에 배치된 피소성재료(F)의 외형을 정형하는 장치 부분이다. 이하, 특히, 가열판(P1) 위에 배치된 피소성재료(F)를 피소성재료(F1)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정형부(2)는, 가열판의 중심축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정형부(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열판(P) 위의 피소성재료(F1)를 소정 형상(예를 들면 원반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는 기구를 적절히 채용 가능하다.
오목한 홈 형성부(오목한 홈 형성장치)(7)는, 양면이 소성된 소성체(F4)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장치 부분이다.
오목한 홈 형성부(7)는, 가열판(P5)의 중심축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한 홈 형성부(7)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지지판(75), 승강판(73), 지지축(72), 에어 척(71)(지지부재 구동부), 긁어모음 부재(지지부재)(70A, 70B), 및 브레이드(77)를 구비한다. 오목한 홈 형성부(7)에 있어서, 에어 척(71)과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오목한 홈 형성시에 소성체(F4)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구성한다.
지지판(75)은, 도시 생략의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위치(p5)에 정지하는 가열판(P)의 상방의 일정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된 판 형상 부재이다. 지지판(75)은, 도 6의 도시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가열판(P)의 전폭을 가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판(73)은, 지지판(75)의 하방에 있어서, 지지판(75)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 형상 부재이다.
승강판(73)의 상면과 지지판(75)의 하면은, 지지판(75)에 대하여 승강판(73)을 승강 이동하는 액추에이터(7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74)는, 승강판(73)을 연직 방향으로 진퇴 시키는 적절한 구동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74)는, 직동형의 에어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다.
액추에이터(74)의 설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판(73)의 네 귀퉁이에 각각 1대씩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72)은, 승강판(73)의 하면으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관 형상 부재이다. 지지축(72)의 상단부는, 승강판(73)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축(72)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에어 척(71)이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에어 척(71)은, 도시 생략의 에어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에어압에 의하여, 에어 척(71)의 중심을 통과하는 1개의 수평축선을 따라 서로 선대칭으로 진퇴하는 복수의 작동축(71c)을 가진다.
각 작동축(71c)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는, 에어 척(71)의 중심을 사이에 두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작동판(71a, 71b)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작동축(71c)이 진퇴하면, 이에 따라, 작동판(71a, 71b)의 대향 간격이 변화한다.
에어 척(71)의 중심부에는, 지지축(72)에 있어서의 중심부의 관통공과 연통하는 관통공(71d)이 형성되어 있다.
긁어모음 부재(70A, 70B)는, 가열판 위에 배치된 소성체(F4)를 외주로부터 내측으로 압압(押壓)하여 지지하고, 소성체(F4)를 고정하는 지지부재가다. 긁어모음 부재(70A, 70B)는, 각 에어 척(71)의 작동판(71a, 71b)에 각각 연결되고, 작동판(71a, 71b)과 연동하여 대향 간격이 변화한다.
긁어모음 부재(70A, 70B)는, 대향 방향에 있어서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는, 적어도, 가열판(P) 위의 피소성재료(F)와 당접하는 하단에 있어서, 소성체(F4)의 외경과 동일한 원통부를 형성한다.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형상은, 반원통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긁어모음 부재(70A, 70B)는, 일례로서 소성체(F4)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을 그 중심축선을 따라 2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긁어모음 부재(70A, 70B)는, 소성체(F4)의 외주부의 원형을 따라 반원 형상으로 연장되는 만곡판으로 이루어진다.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대향 방향의 단부인 각 개구 단부(70b)는, 에어 척(71)의 진퇴에 의하여 접근, 이간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 척(71)의 각 작동판(71a, 71b)의 후퇴에 의하여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가장 가까워진 상태를, 오목한 홈 형성부(7) 혹은 에어 척(71)의 닫힌 상태라고 칭한다. 에어 척(71)의 각 작동판(71a, 71b)의 진출에 의하여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가장 이간한 상태를, 오목한 홈 형성부(7) 혹은 에어 척(71)의 열린 상태라고 칭한다.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대향 간격은, 가열판(P)에 배치된 소성체(F4)의 외주부를,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각 개구 단부(70b)의 사이에 둘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된다(도 8 참조).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높이는, 소성체(F4)의 두께보다 높고, 한편 후술하는 브레이드(77)를 승강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한다.
브레이드(77)는, 가열판(P)에 배치된 소성체(F4)의 상면에 오목한 홈(11)을 가공하는 판 형상 부재이다. 브레이드(77)는, 대향하는 개구 단부(70b)끼리의 사이에 배치되고, 닫힌 상태로 원통 형상을 형성한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틈새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다. 브레이드(77)는, 액추에이터(브레이드 구동부)(78)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드(77) 및 액추에이터(78)는, 긁어모음 부재(70A, 70B) 사이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레이드(77) 및 액추에이터(78)가, 소성체(F4)에 오목한 홈(11)을 형성하는 가공장치를 구성한다.
액추에이터(78)는, 각 지지축(72)의 관통공의 내부에 삽통되고, 도시 생략의 상단부가 승강판(73)의 하면에 고정된 직동형의 액추에이터이다.
각 액추에이터(78)의 하단부는, 각 브레이드(77)의 원판부의 중심에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78)는, 피소성재료(F)를 적절한 압력으로 압압할 수 있는 적절한 직동형 액추에이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78)로서는, 에어실린더, 모터 구동에 의한 액추에이터등 을 채용할 수 있다.
오목한 홈 형성부(7)에 있어서, 액추에이터(74, 78), 및 각 에어 척(71)은, 후술하는 제어부(4)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74, 78), 및 각 에어 척(71)의 동작은,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제어부(4)는, 소성식품 제조장치(100)의 동작제어를 실시하는 장치 부분이다.
제어부(4)는, 적어도, 재료 공급부(1), 정형부(2), 반송부(5), 가열부(6), 및 오목한 홈 형성부(7)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부(4)는, 이들 장치 부분에 각각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동작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가 실시하는 동작제어의 상세에 관해서는, 소성식품 제조장치(100)의 동작과 함께 후술한다.
제어부(4)의 장치 구성은, CPU,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외부 기억장치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를 채용하고 있다.
소성식품 제조장치(100)의 동작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은, 재료배치공정, 정형공정, 소성공정, 및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소성체 형성공정과, 소성체를 냉동하는 냉동공정을 구비한다. 이들 공정 중, 소성체 형성공정은, 소성식품 제조장치(100)에 의하여, 각 가열판(P)이 반송 방향(M)으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이 순서로 각각 실행된다. 이 때문에, 각 가열판(P) 위에서는, 반송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공정 중의 어느 하나가 병행하여 실행된다. 이하에서는, 1개의 가열판(P) 위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각 장치 부분은, 모두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다만, 참조도면에는, 제어부(4)가 기재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 지령이 용이하게 이해되는 경우에는, 단지 동작 주체의 동작만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소성식품 제조장치(100)에 의하여, 소성체(F5)의 제조를 개시함에 있어서, 우선, 가열부(6)에 의하여, 각 가열판(P)이 가열된다. 가열부(6)는, 도 5에 나타내는 위치(p1, p2, p3, p4, p5)에 있어서의 화력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열판(P)의 온도는, 통상의 오코노미야키의 조리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230℃∼250℃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정에 의하여 가열 온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160℃∼26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가열판(P)의 상방에, 도시 생략의 가열 장치를 배치하고, 위에서 쬐는 화력에 의한 가열을 병용해도 된다. 이 경우, 가열판(P)의 온도는, 예를 들면, 160℃∼220℃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료배치공정은, 가열판(P) 위에, 피소성재료(F)를 배치하는 공정이다.
제어부(4)는, 재료 공급부(1)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가열판(P)에 대하여 일정량의 피소성재료(F0)를 토출시킨다. 피소성재료(F0)는, 각각 1개의 소성체(F4)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양이 계량되고, 각 공급구에서 하방으로 압출된다.
피소성재료(F0)는, 상술한 적합한 양의 범위의 생지 및 속재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직후로 공급된다. 생지 및 속재료는, 혼합되어 장시간 두면, 속재료로부터 수분이 나와 생지의 물성을 바꾸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료 공급부(1)에는, 피소성재료(F0)가 장시간 체류하지 않도록, 적어도 1개의 소성체(F4)를 제조할 수 있는 일정량이 공급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공급구에서 압출된 피소성재료(F0)는, 재료 공급부(1)에 대향하는 위치(p1)에 정지하고 있는 가열판(P1) 위에 낙하한다. 피소성재료(F0)는,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열판(P) 위에서는, 낙하 위치로부터 대략 원 형상으로 퍼져, 평평한 피소성재료(F1)가 된다.
피소성재료(F1)의 상면은, 생지 및 속재료가 전체로서, 산모양의 형상이 되고, 볼록면을 구성한다. 피소성재료(F1)의 두께는, 중심부에서는 두꺼워지고, 외연부에서는 얇아진다. 피소성재료(F1)의 외경은, 피소성재료(F0)의 처방에 따른 유동성의 크기에 의하여 정해지는 거의 일정 값이 된다.
다만,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고형물을 속재료로서 포함하는 피소성재료(F0)의 특성상, 피소성재료(F1)의 두께 분포 및 외경에는, 어느 정도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매끄러운 볼록 형상으로는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피소성재료(F1)를 배치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는, 반송부(5)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각 가열판(P)을 반송 방향(M)으로 일정 피치만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위치(p1)의 가열판(P1)은, 위치(p2)로 이동한다. 피소성재료(F1)는, 그 중심이, 정형부(2)의 직하가 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5에는, 피소성재료(F1)가 배치되기 직전의 재료배치공정으로 가열판(P2) 위에 배치된 피소성재료(F2)가, 위치(p2)로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으로, 재료배치공정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정형공정을 실시한다. 본 공정은, 가열판(P) 위의 피소성재료(F)의 외주부를 정형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공정은, 정형부(2)에 의하여 실행된다.
제어부(4)는, 정형부(2)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가열판(P) 위의 피소성재료(F)를 소정 형상으로 정형한다. 피소성재료(F)는, 가열판(P) 위에 배치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피소성재료(F)의 하면은 가열되고 있어도 충분히는 소성되지 않았고, 그다지 고형화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피소성재료(F)에 대하여, 주걱이나, 둥근 틀 등에 의하여, 외주부로부터 내측으로 긁어모으거나, 평판 등에 의하여, 상방에서 누르거나 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다.
정형부(2)에 의하여, 가열판(P) 위의 피소성재료(F)는, 예를 들면, 외주부가 원호 형상으로 정형된 측면(S3)을 구비하고, 상면이 거의 평탄한 재료 표면(S0'')이 된, 원반 형상의 정형체(F3)로 정형된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반송부(5)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각 가열판(P)을 반송 방향(M)으로 일정 피치만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위치(p2)의 가열판(P)은, 위치(p3)로 이동한다.
이상으로, 정형공정이 종료된다.
도 5에는, 재료배치공정, 및 정형공정이 실행된 정형체(F3)가, 위치(p3)로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위치(p3)에서는, 소성공정을 실시한다. 본 공정은, 피소성재료(F)의 외주부가 정형된 정형체(F3)를 가열판(P), 혹은 가열판(P)과 도시 생략의 상부에 배치한 가열 장치에 의하여 양면을 가열하여, 소성체(F4)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위치(p3)로 이동된 정형체(F3)는, 가열판(P)으로부터 계속 가열된다. 병행하여 실시되는 다른 재료배치공정, 정형공정이 종료되면, 위치(p3)의 가열판(P)은, 위치(p4)로 이동된다. 그 사이에, 정형체(F3)는, 상부에 배치한 가열 장치나 반전 장치 등에 의하여 반전되어 계속 가열되고, 양면이 소성된다. 이에 의하여, 상면에 제1 소성면(S1)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소성면(S2)이 형성된 소성체(F4)가 형성된다. 이상으로, 소성공정이 종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성공정 후에 오목한 홈 형성공정이 실행된다. 오목한 홈 형성공정에 있어서도 소성체(F4)는 계속하여 가열판(P)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오목한 홈 형성공정에 있어서도 소성체(F4)의 소성이 진행되는 것을 고려하여, 소성공정의 택트(tact)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오목한 홈 형성공정을 실시한다. 본 공정은, 소성공정을 거쳐 제조된 소성체(F4)의 상면에, 오목한 홈(11)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공정은, 오목한 홈 형성부(7)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9에서 도 13은, 오목한 홈 형성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9 및 도 11은 오목한 홈 형성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공정의 개시 전의 오목한 홈 형성부(7)는, 액추에이터(74)에 의하여,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가열판(P)으로부터의 높이가, 소성체(F4)의 두께를 초과하는 위치로 상승되어 있다 (도 6 참조). 브레이드(77)는, 액추에이터(78)에 의하여,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하단부보다 소성체(F4)의 두께 이상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 척(71)은, 도 6은 닫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공정의 개시 직전에는, 열린 상태이다(도 9 참조).
제어부(4)는, 오목한 홈 형성부(7)의 액추에이터(74)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하단부가, 가열판(P)에 당접할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에어 척(71)이 열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4)는 하강을 실시하기 전에, 에어 척(71)을 열린 상태로 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에어 척(71)을 열린 상태로 해둔다.
 이 결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가열판(P) 위의 소성체(F4)가, 긁어모음 부재(70A, 70B) 사이에 끼인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각 에어 척(71)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각 에어 척(71)을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에 가깝게 한다. 이에 의하여,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대향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까워진다. 이때, 소성체(F4)는, 소성이 완료하여 고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판(P) 위를 슬라이드한다. 이에 의하여, 소성체(F4)는 외주부로부터 긁어모음 부재(70A, 70B)의 내주면(70a)에 눌려 내측으로 압입되고,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형성하는 원통의 중심으로 이동된다.
그 후, 제어부(4)는, 액추에이터(78)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브레이드(77)를 하강시킨다. 브레이드(77)의 하강은, 브레이드(77)와 가열판(P)의 거리가, 제조해야 할 소성체(F5)에 있어서의 박육부의 두께(도 3에 나타낸 박육부(10c)의 두께(L1))와 동일한 정도가 되면 정지된다. 이와 같이하여, 소성체(F4)의 상면에 브레이드(77)에 의하여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오목한 홈(11)을 가지는 소성체(F5)가 된다.
그 후, 제어부(4)는, 에어 척(71), 액추에이터(78), 및 액추에이터(74)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소성체(F5)를 해방한다. 즉, 도 13에 나타내듯이, 에어 척(71)을 열린 상태로 하고, 액추에이터(78)를 상승시켜, 소성체(F5)의 표면으로부터 브레이드(77)를 퇴피시킨다. 또한 각 긁어모음 부재(70A, 70B), 브레이드(77)를 소성체(F5)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반송부(5)에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각 가열판(P)을 반송 방향(M)으로 일정 피치만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위치(p5)의 가열판(P)은, 위치(p6)로 이동한다.
이상으로, 오목한 홈 형성공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오목한 홈 형성공정은, 일정 형상을 2분할한 형상을 가지고, 서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70A, 70B)에 의하여, 가열판(P) 위에 배치된 소성체(F5)를 사이에 두고, 소성체(F5)를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형성하는 원통의 중심에 고정하여, 이 상태로 브레이드(77)에 의하여 소성체(F5)의 중심을 통과하여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은, 각 가열판(P) 위에서, 순차로 병행하여 실시되기 때문에, 일정한 택트 시간마다, 소성체(F5)가 간헐적으로 제조된다.
소성체(F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판(P)으로부터 적절한 냉각 장소로 이동된다. 냉각 장소에서 어느 정도 식히고 나서 냉동공정이 실시된다.
냉동을 위한 수단으로서는, 적절한 종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파이럴 프리져, 웨건 프리져, 플렉서블 프리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냉동은, 예를 들면, 약 -30℃에서, 스파이럴 프리져를 이용하여 급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냉동된 소성체(F5)는,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로 해동 조리함으로써, 막 구운 상태를 재현하여 식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소성식품 제조장치(100)를 사용한 본 실시형태의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오목한 홈 형성부(7)를 이용하여, 소성체(F5)를 소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브레이드(77)에 의하여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성체(F5)를 거의 정확하게 이등분할 수 있는 오목한 홈(11)을, 재현성이 좋게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오목한 홈 형성부(7)의 긁어모음 부재(70A, 70B)가 닫힌 상태에서 원통형을 이루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긁어모음 부재(70A, 70B)는, 소성체(F4)를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예를 들면, 판 형상이나 막대 형상의 부재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소성체(F5)로서 오코노미야키를 제조하는 경우의 예로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예를 들면, 핫케?揚? 제조하는 경우에는, 피소성재료(F)로서, 핫케?恙育? 재료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동일하게 하여 제조를 실시할 수 있다.
핫케?恙育? 피소성재료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핫케?恙育? 피소성재료로서, 생지만으로 이루어진다.
핫케?恙育? 피소성재료는, 피소성재료의 전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밀가루 40%, 전란 10%, 설탕 10%, 탈지분유 5%, 물엿 2%, 쇼트닝 2%, 식염 1%, 가공 조제(助劑) 3%, 물 27%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재료배치공정, 정형공정, 오목한 홈 형성공정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한다. 또한, 소성공정은, 180℃에서 1분간 정도의 소성을 실시한다.
소성된 핫케?揚?,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냉동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재료배치공정, 정형공정, 소성공정, 오목한 홈 형성공정, 및 냉동공정을 구비하는 경우의 예로 설명했다.
소성식품의 종류에 따라, 이들 공정 외의 공정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속재료 원료 준비공정(예를 들면, 속재료로서 포함되는 어개류, 육류를, 미리 가열 조리하고, 조미하는 공정), 검사공정, 및 포장공정 중, 1 이상의 공정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포장공정은, 냉동공정 후에 실시할 수 있다. 포장에 있어서는, 오코노미야키 자체를 포장하고, 별도 개별적으로 포장된 소스 및 토핑류(예를 들면, 마요네즈, 깎은 카츠오부시, 분말상 또는 세단상의 파래)를 첨부하여, 오코노미야키 제품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에 설명한 모든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하거나 삭제하여 실시할 수 있다.
7…오목한 홈 형성부(오목한 홈 형성장치), 10…냉동 소성식품, 11…오목한 홈, 71…에어 척(지지부재 구동부, 고정장치), 70A, 70B…긁어모음 부재(지지부재, 고정장치), 77…브레이드, 78…액추에이터(브레이드 구동부), F4, F5…소성체, P, P1∼P6…가열판

Claims (13)

  1.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으로서,
    판 형상의 상기 소성체의 적어도 일방의 판면에, 상기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홈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성체의 두께가 3mm 이상 8mm 이하인, 냉동 소성식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홈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성체의 두께가 4mm 이상 7mm 이하인, 냉동 소성식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성체가 원반 형상이며, 상기 오목한 홈이 상기 소성체의 판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형상인, 냉동 소성식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성체의 두께가 10mm 이상 30mm 이하인, 냉동 소성식품.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체는 오코노미야키인 냉동 소성식품.
  7.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재료를 가열판 위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양면이 소성된 판 형상의 소성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소성체의 판면에 브레이드를 눌러, 상기 소성체에 상기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한 홈이 형성된 상기 소성체를 동결하는 공정,
    을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복수의 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소성체의 외주부의 복수 개소를 지름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러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소성체에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는, 원통을 2분한 한 쌍의 반원통 형상의 긁어모음 부재이며,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브레이드를 사이에 둔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를 서로 접근시켜 상기 소성체를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틈 내에서 상기 브레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오코노미야키 재료인,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11. 유동성을 가지는 생지를 포함하는 재료의 소성체가 동결된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로서,
    판 형상의 상기 소성체의 적어도 일방의 판면에, 상기 판면을 횡단하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오목한 홈 형성장치를 가지고,
    상기 오목한 홈 형성장치는, 상기 소성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소성체에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가공장치를 가지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소성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지지부재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가공장치는, 상기 소성체에 상기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브레이드와, 상기 브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브레이드 구동부를 가지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는, 원통을 2분한 한 쌍의 반원통 형상의 긁어모음 부재이며,
    상기 지지부재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를 접근시켰을 때에 개략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긁어모음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브레이드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브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긁어모음 부재의 틈을 따라 상기 브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오코노미야키 재료인,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KR1020170077117A 2016-06-22 2017-06-19 냉동 소성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KR20180000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3922A JP6693819B2 (ja) 2016-06-22 2016-06-22 冷凍焼成食品、冷凍焼成食品の製造方法、冷凍焼成食品の製造装置
JPJP-P-2016-123922 2016-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08A true KR20180000308A (ko) 2018-01-02

Family

ID=6074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17A KR20180000308A (ko) 2016-06-22 2017-06-19 냉동 소성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93819B2 (ko)
KR (1) KR20180000308A (ko)
CN (1) CN1075180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4750B2 (en) 2017-01-13 2022-12-27 Beckman Coulter, Inc. Motion systems for loading tips
JPWO2020100873A1 (ja) * 2018-11-12 2021-10-07 日清フーズ株式会社 お好み焼き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0783B1 (en) * 1996-12-19 2001-08-28 Nestec Sa Ready to bake refrigerated sweet dough
US6783782B1 (en) * 1998-12-17 2004-08-31 The Pillsbury Company Grooved freezer-to-oven pizza crust
CN1204833C (zh) * 2000-03-06 2005-06-08 吕来锁 一种快餐春饼和制作方法以及专用模具
CN2708665Y (zh) * 2004-05-11 2005-07-13 刘小妹 月饼手推模具
CN200983818Y (zh) * 2006-12-01 2007-12-05 徐正义 一种压槽易掰茶饼
CN201088104Y (zh) * 2007-05-15 2008-07-23 李华伟 带凹槽的饼干
CN101816316B (zh) * 2010-04-23 2012-09-12 陈航海 月饼成型机模具
CN202222340U (zh) * 2011-09-29 2012-05-23 东莞市华美食品有限公司 一种月饼成型机用模具
CN202800038U (zh) * 2012-04-28 2013-03-20 福鼎市本根茶产业有限公司 茶饼
CN102845497B (zh) * 2012-10-14 2015-12-16 苏州征之魂专利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易掰断月饼制作模具
CN204482894U (zh) * 2015-01-27 2015-07-22 云南下关沱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饼茶的成型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18049A (zh) 2017-12-29
JP2017225395A (ja) 2017-12-28
JP6693819B2 (ja)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1599C (en) Filled bread product and a method for making the product
JP2009507519A (ja) 冷凍された詰め物入りイースト発酵パン製品、及び該製品を作る方法
KR20180000308A (ko) 냉동 소성식품,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냉동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KR102375056B1 (ko) 소성식품의 제조방법 및 소성식품의 제조장치
EP1559329A2 (en) Filled rice or potato products and the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3222653U (ja) 焼成食品の製造装置
JP2016111976A (ja) 焼成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焼成食品の製造装置
JP2016111974A (ja) 焼成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焼成食品の製造装置
JP3222652U (ja) 焼成食品の製造装置
US20060182852A1 (en) Convenient high protein sandwich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2638955B1 (ko) 도우 성형기를 이용한 시카고 피자 제조방법
EP2908666B1 (en) Process for producing oven-type confectionery products without additives, frozen/lowered in temperature, with quick recovery before eating them
CN104994746B (zh) 冷冻焗烤食品的制造方法
KR20010069602A (ko) 전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RU212579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теста с различными начинками
KR102290552B1 (ko) 냉동피자, 냉동피자 커팅기 및 이를 이용한 냉동피자 제조방법
KR102582712B1 (ko) 맛과 밀봉성이 우수한 밀봉형 토스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밀봉형 토스트
JP6979932B2 (ja) イーストドーナツの製造方法
JP6914603B2 (ja) 冷凍お好み焼きの製造方法
JP6858604B2 (ja) 冷凍お好み焼きの製造方法
AU2011101066A4 (en) Improved automated multy layered parotta production process
JPH045417B2 (ko)
KR20170083932A (ko) 성형틀을 이용한 포션육 성형 장치 및 방법
TR2021019080A2 (tr) Tek atimlik modüller formunda pi̇zza ve üreti̇m yöntemi̇
KR101527746B1 (ko) 떡어묵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