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705A -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705A
KR20170141705A KR1020177032280A KR20177032280A KR20170141705A KR 20170141705 A KR20170141705 A KR 20170141705A KR 1020177032280 A KR1020177032280 A KR 1020177032280A KR 20177032280 A KR20177032280 A KR 20177032280A KR 20170141705 A KR20170141705 A KR 20170141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ulcer
disease
cond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처 차이
카렌 엠. 맥과이어
제임스 엠. 재미슨
잭 엘. 서머스
Original Assignee
바이오멘딕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멘딕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이오멘딕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141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2Halogenated hydrocarbons
    • A61K31/025Halogenated hydrocarbons carbocyclic
    • A61K31/03Halogenated hydrocarbons carbocyclic ar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5Azo (—N=N—), diazo (=N2), azoxy (>N—O—N< or N(=O)—N<), azido (—N3) or diazoamino (—N=N—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 및 화합물이 개시된다.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제형은 하기 구조식 (I)을 갖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조절 화합물(FAM)을 포함한다:
`
Figure pct00024

식 중: L은 -C=C-, (톨란), -CH=CH-(스틸벤, 바람직하게는 트랜스); 또는 -CRa=CRb- 스틸벤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링커를 나타내고;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R3)p 또는 -(R4)q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H 또는 페닐이며; R1 내지 R4는 페닐 고리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3, 3', 4, 4' 및/또는 5, 5'에서 독립적인 치환체이고; m,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각각 고리의 치환체 수를 나타내는 0, 1, 2 또는 3이지만, m 또는 n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상이어야 한다. 각각의 R1 내지 R2는 하이드록실, 알콕시, 할로, 할로메틸 및 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치환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제형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AA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또한 화합물 그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드로겔을 포함할 수 있고, 염 및/또는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및 방법
본 출원은 2015년 4월 8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특허 제62/144,53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안에 명확하게 참고로 편입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세포 생물학 분야, 더 특별하게는, 상처 또는 피부 관련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해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화합물, 제형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가포식(autophagocytosis)으로서도 알려진 "자가소화작용(autophagy)"이라는 명칭은 "먹다"와 "자기"를 의미하는 그리스어로부터 유래된다. 자가소화작용은 일반적으로 자가-소화로서 정의된다.
자가소화작용은 새로운 분자 합성 및 ATP 생산을 위해 노화 단백질 및 세포 소기관을 분해함으로써 그리고 뉴클레오타이드, 아미노산 및 유리 지방산을 재흡수함으로써 항상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세포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주로 리소좀 구조 또는 재순환 경로이다. 자가소화작용은 세포 수준 자기 보존 메커니즘으로서 세포외 또는 세포내 스트레스 및 신호, 예컨대 기아, 성장 인자 결핍, ER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에 반응하여 상향 조절될 수 있다. 일부 병리학적 병태에서, 자가소화작용 과정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반면, 다른 병리학적 병태, 예컨대 상처 치유에서, 세포의 파괴를 감소시키기 위해 자가소화작용을 억제하거나 또는 늦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자가소화작용의 조절은 세포 성장 및 세포사 과정의 향상/자극 또는 억제/늦춤을 유발할 수 있다.
자가소화작용의 가장 통상적인 형태는 (1) 연장되는 분리막의 형성을 수반하며, 말단은 궁극적으로 (2) 자가소화포로서 알려진 이중막 소수포 내에 세포 내용물을 포함하도록 융합한다. 이어서, 자가소화포는 (3) 효소를 제공하는 리소좀과 융합하여 (4) 자가소화포의 내용물을 분해시키고, 이어서, 이 내용물은 원료 또는 빌딩블록 영양소로서 다시 세포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자가소화작용은 유비퀴틴-태그 단백질의 병행 프로테아좀에 대해 일부 유사성을 나타내지만, 자가소화포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세포질, 미토콘드리아, 세포 소기관 및 다른 세포 구조를 함유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런 의미에서, 이는 벌크 분해 시스템으로서 알려져 있다.
자가소화작용 과정은 외부 인자 및 조건에 따라서 세포에 대해 유리하고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과정은 엄격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효모와 포유류 시스템은 둘 다 연구되었고, 36종까지의 단백질을 이용한다. 도 1은 포유류에서의 과정을 도시한다.
효모 자가소화작용-관련 유전자 산물(Atg8)은 3가지 포유류 상동체를 가진다: (1) LC3, (2) GABAA 수용체-관련 단백질(GABARAP) 및 (3) 골지-관련 ATP 분해효소 인핸서(GATE-16). 그 중에서, LC3은 가장 적극적으로 연구되며, 포유류 자가소화작용 마커로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식 바로 후에(proLC3), LC3은 Atg4A 또는 Atg4B에 의해 C-말단에서 LC3-I로 처리된다. 자가소화작용의 유도 또는 강화 시, LC3-I은 E1(효모 Atg7) 및 E2(효모 Atg3)를 통해 기질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에 컨쥬게이팅된다. PE-LC3-I 컨쥬게이트는 LC3-II으로서 지칭된다. 이 컨쥬게이션은 자가소화포 형성 지점에서의 과정에서 생기며, 가용성 LC3-I의 자가 소화 작용의 소수포 관련 LC3-II로의 전환을 야기한다. 이 지질 컨쥬게이션은 LC3-II가 자가소화작용 활성의 마커로서 사용되게 한다.
상처 진행은 국소 조직 저관류, 장기간 염증, 유리 라디칼 손상, 세포자멸사 및 괴사를 포함하는 다수의 메커니즘에 의해 야기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i) 염증기, (ii) 세포 증식기 및 (iii) 리모델링기를 포함하는 손상 후 3 단계로 파괴된다. 이들 기 중 각각의 하나는 생물학적으로 그리고 조직학적으로 독특한 지문과 관련되며, 자가소화작용은 각각의 기에서 특별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염증기 동안, 자가소화작용은 상처 가장자리 세포를 사멸로부터 유지시키는 시도를 한다는 점에서 초기에 조직을 보호한다. 증식기에서, 상처에 가까운 다중 세포 유형의 세포 증식 및 이동을 수반하는 동안에, 자가소화작용은 상처의 앞 가장자리에서 세포의 조정성을 형성하도록 β1-인테그린 및 다른 세포 이동 단백질을 조절하게 한다. 리모델링에서, 이들 이동 세포의 방향은 종종 프로콜라겐으로서 이들 형질전환된 섬유아세포에 의해 분비된 콜라겐의 방향성 및 침착에 의해 제어된다. 피브로넥틴 및 라민과 같은 다른 성분과 함께 콜라겐은 증식 및 이동기 동안 기저막을 재생시킨다.
상처 치유 과정 동안, 콜라겐 피브릴은 적절한 세포 이동을 허용하는 구조적 위상, 강성 및 조직화를 제공한다. 만성 상처 및 화상에서, 이 환경은 변경된 pH, 만성 염증, 및 종종, 침입 미생물 및 환경인자(예를 들어, 온도 조절)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상처를 채우고 무손상 피부층을 회복시키도록 상처 세포(예를 들어,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근섬유아세포)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되는 필수 콜라겐 관을 포함하는 기저막의 상실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의 대상이 된다. 자연적 치유 과정 동안, 피부 세포는 더 고차원 구조를 효소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엔트로피 유도 자가-조립 과정을 겪을 수 있는 프로-콜라겐으로서 알려진 콜라겐의 가용성 형태를 분비한다[Prockop, D. and D. Hulmes (1994)]. 프로-콜라겐은 피브릴의 액체 결정 특성에 기인하여 피브릴로 자가 조립할 수 있는 삼중 나선으로서 세포로부터 분비된다. 이 과정은 pH, 이온 강도, 온도 및 농도에 고도로 의존한다. 이어서, 피브릴은 더 고차의 3-차원 네트워크 및 구조로 무작위 조립되는 개개 콜라겐 섬유로 형성된다.
미국 특허 제6,599,945호 및 제7,094,809호는 몇몇 감염성 헤르페스 바이러스 입자의 형성을 저해함에 있어서 또는 네이세리아 고노로이애(Neisseria gonorrhoeae)에 의해 야기되는 임질을 치료하기 위한 하이드록시톨란 화합물 및 그들의 용도를 개시한다. WO2009/126700는 UV 조사 및 미용적 용도와 같은 피부 관리를 위한 유사한 화합물의 용도를 개시한다. 그리고 미국 특허 제8,716,355호 (WO2011/0130468) 및 제8,680,142호(WO2011/0160301)는 항종양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유사한 하이드록시톨란을 개시한다. 그러나, 자가소화작용-조절 화합물로서 이들 또는 임의의 다른 하이드록시톨란의 잠재적 효용은 본 발명의 제조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미국 특허 제6,008,260호, 제6,197,834호 및 제6,355,692호는 특정 하이드록실화된 스틸벤 및 구체적으로는 레스베라트롤을 개시한다. 이들 참고문헌 중 어떤 것도 자가소화작용 조절제로서 이러한 변형된 톨란 또는 스틸벤 화합물의 용도를 개시하지 않는다.
자가소화작용 과정이 조절될 수 있다면, 즉, 일부 병태에서 자극되거나 또는 향상되고, 다른 병태에서 늦춰지거나 또는 억제된다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특히 만성 상처 또는 피부 병태를 갖는 환자에서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기 위한 적응증 또는 목적을 위한 화합물, 제형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적어도 1종의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FAM)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처 치유의 촉진을 위한 대부분의 실시형태에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은 자가소화작용 활성의 방향성있는 상향조절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FAM은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제(AAM) 화합물과 함께 투여된다. FAM 및 AAM은 다른 것과 공동 투여될 수 있거나 다른 것 전에 하나가 투여될 수 있다. 공동 투여된다면, 그들은 동일한 투약 형태로 또는 두 별개의 투약 또는 약물 제품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AAM은 다수가 건강이익 화합물이기 때문에, 그의 효과를 자극하거나 또는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그의 효과를 억제하거나 또는 저해함으로써 FAM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이들 자가소화작용 조절제는 자연에서 액체 결정질이며, 상처 또는 피부 관련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해 특정 조합에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처 또는 피부 관련 병태에서 치유를 촉진시키는 생활성 막으로서 또한 작용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및 알긴산염과 같은 생활성 제형을 생성하기 위한 이들 액체 결정의 용도를 추가로 기재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에서, 본 발명은 FAM 및 AAM을 함유하는 제형을 포함한다. 제형은 하이드로겔, 예컨대 알긴산염일 수 있다. 제형은 FAM의 양이온 염, 또는 양이온과의 FAM 및 AAM의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제형에서, FAM 및/또는 AAM은 사이클로덱스트린과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특정 FAM은 톨란 또는 스틸벤(시스 및 트랜스 스틸벤을 포함)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치환체는 분자의 용해도 및 극성을 증가시키는 하이드록실 또는 알콕실기이다. 임의의 FAM은 임의의 AAM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AM은 톨란일 수 있고, AAM은 비타민, 산성 당, 아미노산, 또는 퀴놀론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FAM은 스틸벤일 수 있고, AAM은 비타민, 산성 당, 아미노산 또는 퀴놀론일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상기 방법은 특정 적응증에서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되, 예컨대 상처 또는 피부 병태는 노화, 염증이 있는 자가면역 질환, 무혈관성 괴사, 박테리아 감염, 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자궁내막증, 진균 감염, 통풍, 탈모, 감염성 관절염, 염증, 염증성 장질환, 허혈, 라임병, 기관/조직 이식, 기생충 감염, 건선성 관절염, 건선, 가성통풍,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경화증, 괴혈병, 패혈증, 피부 질환, 수술 자국, 수술 접착물, 형질감염 절차, 궤양성 대장염, 궤양, 바이러스성 감염, 사마귀, 수술 상처, 절개, 열상, 피부 이식으로부터의 베이고 긁힌 공여 부위, 외상성 상처, 감염성 상처, 허혈성 상처, 화상, 수포성 상처, 무균성 상처, 타박상, 절상, 열창, 비관통 상처, 개방창, 관통창, 천공창, 자창, 감염창, 피하 상처, 만성 궤양, 위궤양, 피부 궤양, 소화성 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통풍성 궤양, 고혈압 허혈성 궤양, 정체성 궤양, 설하 궤양, 점막하 궤양, 증후성 궤양, 영양 장애성 궤양, 열대성 궤양 및 성병성 궤양으로부터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이다.
일부 방법에서, 치유될 상처는 베임, 찰과상, 다수 유형 및 정도의 궤양, 노화, 피부 비탄성 등과 같이 사실상 피부과적이다. 다른 방법에서, 상처는 눈 또는 귀일 수 있고; 다른 방법에서, 상처는 암 통증, 헤르페스 바이러스성 감염, 발치 상처, 치은염 등과 같이 사실상 경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는 수반하는 도면은 그의 몇몇 양상에서 본 발명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칙을 설명하는 작용을 한다. 도면에서, 선, 층 및 영역의 두께는 선명도를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자가소화작용에서 LC3의 역할을 나타내는 개략적 도시.
도 2는 자가소화작용 관련 인간 질환을 나타내는 개략적 도시.
도 3은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LC3-II 형광 염색의 막대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LC3-II 웨스턴 블롯의 막대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LC3-II/LC3-I 비의 막대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실시예 8에 기재한 바와 같은 AKT 신호전달의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실시예 9에 기재한 바와 같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는 수반하는 도면은 그의 몇몇 양상에서 본 발명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칙을 설명하는 작용을 한다. 도면에서, 선, 층 및 영역의 두께는 선명도를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성 구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치 범위, 측정 및 매개변수 - 예를 들어, 각도, 성분의 양, 중합체 분자량, 반응 조건(pH, 온도, 전하 수준 등), 물리적 치수 등 -는 필연적으로 근삿값이며; 가능한 정확하게 보고하지만, 그들은 본래 그들의 각각의 측정으로부터 유래된 부정확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규모의 범위를 표현하는 모든 숫자는 용어 "약"에 의해 모든 예에서 변형 중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수치적 범위는 범위의 외부 경계 내의 모든 가능한 증분적 하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30 내지 90 단위의 범위는, 예를 들어, 35 내지 50단위, 45 내지 85단위, 및 40 내지 80단위 등을 개시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제형이 일반적으로 중량/용적(w/v)(100㎖ 당 그램)(이는 밀도가 1.0인 수용액에 의한 wt/wt와 동등함)이고, 상처 면적은 면적/면적(a/a)(㎠)으로서 표현하지만, 백분율은 중량/중량(wt/wt)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되는 모든 특허, 공개된 특허 출원 및 비특허 문헌 참고문헌은 그들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부 양상에서, 본 발명은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제(FAM)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제(AAM)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FAM 및 AAM 화합물은 이하의 부문에서 더 상세하게 기재된다. 그들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제공된다면, 순서는 처음에 FAM이고, 이어서 AMM일 수 있거나, 또는 처음에 AMM이고, 이어서, FAM일 수 있다. 동시에 주어진다면, 그들은 별개, 개개 약물 제품 또는 성분의 조합물로서 단일 약물 제품으로서 주어질 수 있다. 화합물은 제형 부형제에 따라서, 1일 당 약 6회까지 1일 1회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국소, 경피, 경구, 비강, 눈, 귀, IV, IM, 피하, 직장 및 질을 포함한다.
약물 제품의 제조에서 약제학적 부형제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1990) 및 문헌[Remington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2nd edition (2012)]과 같은 그의 후속편과 같은 약제학 논문으로부터 잘 이해된다. 국소 제형은 특히 용액, 현탁액, 크림, 연고 및 하이드로겔과 조합된 용매, 유화제, 완화제, 용매 등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FAM 화합물 및 AAM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을 수반한다. 몰 비로서 표현되는 제형 중의 FAM 대 AAM의 상대적 양은 약 500:1 내지 약 1:500(FAM:AAM), 또는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 200:1 내지 1:200의 범위일 수 있다. 액체 제형에서, FAM은 제형의 약 0.01% 내지 약 40%(w/v)를 포함할 수 있고, AMM은 제형의 약 0.01% 내지 약 99.9%(w/v)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FAM은 제형의 약 0.1% 내지 약 40%(w/v)를 포함할 수 있고, AMM은 제형의 약 0.1% 내지 약 60%(w/v)을 포함할 수 있다. 최적으로는, FAM의 제형 농도는 0.5 내지 15%(w/v)이다.
화학적 및 생물학적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실행 또는 시험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방법 및 물질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서적, 논문, 공개됨 미국 또는 외국 특허 출원, 공개된 미국 또는 외국 특허 및 임의의 다른 참고문헌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인용된 참고문헌에 제시된 모든 데이터, 표, 도면 및 교재를 포함하여, 그들의 전문이 각각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는 이하에 기재하는 의미를 가진다.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제" 또는 "FAM 화합물" 또는 "FAM"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의미하며,
단, FAM은 레스베라트롤 또는 4,4'-(에틴-1,2-다이일)다이페놀(톨신)이 아니다:
Figure pct00001
L은 -C=C- 및 -CRa=CRb-로부터 선택된 링커이고;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R3)p 또는 -(R4)q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H 또는 페닐이며;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상기 페닐 고리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위치의 치환체이고;
m,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각각 고리 상에서 치환체의 수를 나타내는 0, 1, 2 또는 3이며, m 또는 n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상이어야 하고;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5(R5는 -OH, -SH, -할로, -NH2 또는 NO2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6)알킬, (C2-C6)알켄일, 또는 (C2-C6)알킨일로부터 선택됨);
-YR6(Y는 O, S 또는 NH이고; R6은 H 또는 R5로부터 선택됨);
-ZR5(Z는 -N(C=O)- 또는 -O(C=O)-임);
-할로;
-NO2;
-SO3Na;
-아자이드; 및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염.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제" 또는 "AAM 화합물" 또는 "AAM"은 또한 자가소화작용 조절 효과를 갖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의미한다. 효과는 화합물에 따라서 자극 또는 저해일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구속될 것을 의도하지는 않지만, AAM 화합물은 속도 제한 단계, 예컨대 세포 흡수 메커니즘과 경쟁함으로써 저해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인 AAM 화합물은 후속 부문에 기재되어 있다.
자가소화작용 조절은 세포 내 자가소화작용 과정의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을 지칭한다. 특정 질환 상태 및 병태에 따라서,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자가소화작용의 조절 중 하나 또는 다른 방향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호르메시스(hormesis)의 논의에 대해, 임의의 특정 FAM 또는 AAM 화합물 또는 조합물 또는 복합체의 용량은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 또는 둘 다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C1-C6)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및 분지된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직쇄 -(C1-C6)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n-뷰틸, -n-펜틸 및 -n-헥실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분지쇄 -(C1-C6)알킬기는 아이소프로필, sec-뷰틸, 아이소뷰틸, tert-뷰틸, 아이소펜틸, 네오펜틸, 1-메틸뷰틸, 2-메틸뷰틸, 3-메틸뷰틸, 1,1-다이메틸프로필 및 1,2-다이메틸프로필, 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에틸뷰틸, 2-에틸뷰틸, 3-에틸뷰틸, 1,1-다이메틸뷰틸, 1,2-다이메틸뷰틸, 1,3-다이메틸뷰틸, 2,2-다이메틸뷰틸, 2,3-다이메틸뷰틸, 3,3-다이메틸뷰틸 등을 포함한다. 더 일반적으로는, 아래첨자는 사슬 내 탄소 원자의 수를 지칭한다. 따라서, 용어 "-(C1-C4)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및 분지된 비환식 포화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2-C6)알켄일"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직쇄 및 분지된 비환식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직쇄 및 분지된 -(C2-C6)알켄일기는 -비닐, 알릴, -1-뷰테닐, -2-뷰테닐, -아이소뷰틸렌일, -1-펜테닐, -2-펜테닐, -3-메틸-1-뷰테닐, -2-메틸-2-뷰테닐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2-C6)알킨일"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직쇄 및 분지된 비환식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직쇄 및 분지된 -(C2-C6)알킨일기는 -아세틸렌일, -프로핀일, -1 뷰틴일, -2-뷰틴일, -1-펜틴일, -2-펜틴일, -3-메틸-1-뷰틴일, -4-펜틴일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C1-C10)알콕시"는 하나 이상의 에터기 및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된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직쇄 및 분지된 (C1-C10)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뷰틸옥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헵틸옥시, -메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5-메톡시펜틸, -3-에톡시뷰틸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C1-C6)알콕시"는 하나 이상의 에터기 및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된 비환식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직쇄 및 분지된 (C1-C5)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뷰틸옥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메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5-메톡시펜틸, -3-에톡시뷰틸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3-C12)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환식 포화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C3-C12)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뷰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및 사이클로노닐, 사이클로데실, 사이클로운데실, 사이클로도데실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C4-C12)사이클로알켄일"은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환식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C3-C12)사이클로알켄일은 -사이클로뷰테닐,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사이클로헥센일, -사이클로헥사다이엔일, -사이클로헵텐일, -사이클로헵타다이엔일, -사이클로헵타트라이엔일, -사이클로옥텐일, -사이클로옥타다이엔일, -사이클로옥타트라이엔일,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엔일, -사이클로노넨일, -사이클로노나다이엔일, -사이클로데센일, -사이클로데카다이엔일, -노르보넨일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7- 내지 12-원)이환식 아릴"은 7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이환식 방향족 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7- 내지 12-원) 이환식 아릴기는 -인덴일, -나프틸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하이드록시(C1-C6)알킬"은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기에 의해 치환된 임의의 상기 언급된 C1-6 알킬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하이드록시(C1-C6)알킬기는 하이드록시메틸, 하이드록시에틸, 하이드록시프로필 및 하이드록시뷰틸기, 및 특히 하이드록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에틸, 1,2-다이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뷰틸, 4-하이드록시뷰틸, 2-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 및 1,3-다이하이드록시프로프-2-일을 포함한다.
상기 정의한 임의의 기는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선택적으로 치환된"은 비치환 또는 치환된 기를 지칭한다. 존재하고 달리 표시하지 않을 때의 선택적 치환체는 -(C1-C6)알킬, OH, 할로, -C(할로)3, -CH(할로)2, -CH2(할로), NH2, -NH(C1-C6)알킬, CN, SH, 페닐, 벤질, (=O), 할로(C1-C6)알킬-, 하이드록시(C1-C6)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치환된 실시형태는 이하에 명명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다이하이드록시(C1-C6)알킬"은 2개의 하이드록시기에 의해 치환된 임의의 상기 언급된 C1-6 알킬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다이하이드록시(C1-C6)알킬기는 다이하이드록시에틸, 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및 다이하이드록시뷰틸기, 및 특히 1,2-다이하이드록시에틸, 1,3-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2,3-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1,3-다이하이드록시뷰틸, 1,4-다이하이드록시뷰틸, 및 1,3-다이하이드록시프로프-2-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CH2(할로)"는 메틸기의 수소 중 하나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메틸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CH2(할로)기는 -CH2F, -CH2Cl, -CH2Br 및 -CH2I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CH(할로)2"는 메틸기의 수소 중 두 개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메틸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CH(할로)2기는 -CHF2, -CHCl2, -CHBr2, -CHBrCl, -CHClI 및 -CHI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C(할로)3"는 메틸기의 각각의 수소가 할로겐으로 대체된 메틸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C(할로)3기는 -CF3, -CCl3, -CBr3 및 -CI3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할로)p(C1-C6)알킬-"은 p 위치에서 할로로 치환된 (C1-C6)알킬쇄를 의미하며, 여기서 p는 1, 2 또는 3이다. 할로 치환체는 (C1-C6)알킬에서 동일 또는 상이한 탄소 상에서 치환될 수 있다. 대표적인 "(할로)p(C1-C6)알킬-"기는, 예를 들어 -CH2CHF2, -CH2CH2CH2Cl, -CHBr2, -CHBrCl, -CHClI, -CH2CHI2, -CH2CH2CHClCH2Br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자이드"는 식 -N=N=N의 치환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글리코사이드"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연결된 5- 또는 6-원 환식 당을 의미한다. 결합은 일반적으로 당의 방향족 탄소로부터의 글리코사이드 결합이며, (1) "O-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산소 원자, (2) "N-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질소 원자 또는 (3) "S-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황 원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글리코사이드는 1 또는 2개의 고리 구조를 갖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일 수 있다. 6원당 글루코사이드, 갈락토사이드, 만노사이드 및 알트로사이드로부터 형성된 대표적인 글리코사이드; 및 5원당으로부터 형성된 글리코사이드는 리보사이드, 아라비노사이드, 자일로사이드 및 릭소사이드를 포함한다. 당은 선택적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수의 실시형태는 각각의 당을 나타내는 천연 -H 및 -OH 치환체만을 함유한다.
문헌에서 용어 "상처", "궤양" 및 "통증"이 중복되어 사용되며, 상기 용어는 종종 무작위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내용에서, 용어 "상처"는 용어 "궤양", "병변", "통증" 및 "경색"을 포함하고, 상기 용어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상처는 크기 또는 면적(큰 면적 또는 작은 면적), 깊이 또는 층 관여(involvement), 인과관계, 치유 등의 어려움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준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부는 i) 수술 절개, 약간의 찰과상 및 약간의 물림에 기인하는 작은 조직 상실에 의해, 또는 ii) 허혈성 궤양, 욕창, 누공, 열상, 중증의 물림, 열 화상 및 공여 부위 상처(연조직 및 경조직에서) 및 경색에서와 같은 상당한 조직 상실로서 상처를 분류한다. 상처의 모든 유형 및 분류는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용어 "피부"는 외피의 상피층 및 피부 표면이 다소 손상된 경우에 또한 진피층 아래를 포함하는 매우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각질층 외에, 피부의 상피층은 외부(상피) 층이며, 피부의 더 깊은 결합 조직층은 신경 및 최종 감각 기관을 포함하는 "진피"로 불린다.
" 상처 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은 치료가 없을 때의 유사한 상처 치유보다 치료 결과로서 상처 치유를 더 빠르게 초래한다. "상처 치유의 촉진"은 또한 상기 방법이 특히 각질세포의 증식 및/또는 성장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처 가 더 적은 흉터, 더 적은 상처 수축, 더 적은 콜라겐 침착 및 더 많은 표피상의 표면적을 지니도록 치유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특정 예에서, " 상처  치유의 촉진"은 또한 특정 상처  치유 방법이 본 발명의 방법과 함께 사용될 때 개선된 성공률(예를 들어, 피부 이식률)을 가짐을 의미할 수 있다.
호르메시스 현상은 용량 의존적 방식에서 생물학적으로 반대의 효과를 유도하고, 예를 들어: 문헌[Calabrese EJ, Bachmann KA, Bailer AJ, Bolger PM, Borak J, et al. (2007), Biological stress response terminology: Integrating the concepts of adaptive response and preconditioning stress within a hormetic dose-response framework. Toxicol Appl Pharmacol. 222:122-128; Penniston KL, Tanumihardjo SA. The acute and chronic toxic effects of vitamin A. Am J Clin Nutr. 2006;83:191-201; 및 Cook R, Calabrese EJ. The importance of hormesis to public health. Cien saude Colet. 2007;12:955-963]에 충분히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과 통상적으로 관련된다. 통상적으로, 저용량에서 자극 또는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고용량에서 저해 또는 독성 효과가 있다. 호르메시스는 또한 특히 자기 방어, 적응 반응 및 사전 조건 형성으로서; 그리고, 예를 들어, 특히 β-곡선, 이상, 종형, U-형상 또는 반전-U형, 이정점(bimodal), 기능적 길항작용 및 이중 반응을 포함하는 그의 용량 반응 곡선 형상에 의해 특성 규명되었다. 공지된 호르메틱(hormetic) 물질(또는 "호르메틴(hormetin)")은 비타민 A, 페룰산, 칼콘, 라파마이신,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및 다수의 다른 것을 포함한다.
호르메시스는 또한 중증의 스트레스원에 맞설 때 유기체에게 적응 내성을 제공하기 위해 적당한 스트레스가 적용되는 적응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환경적 스트레스, 예컨대 산화적 대사 및 열 스트레스는 특정 반응 또는 적응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호르메틴으로서 작용한다(Mattson MP. Hormesis defined, Ageing Res Rev. 2008;7:1-7). 호르메틴은 열충격 단백질, 항산화제, 단백질 샤프론(chaperone), 물질대사, 칼슘 항상성 및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및 해독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문헌[Mattson MP, Cheng A. Neurohormetic phytochemicals : Low-dose toxins that induce adaptive neuronal stress responses. Trends Neurosc. 2006;29:632-639]; 및 상기 언급한 문헌[Mattson, 2008]). 이들 용량 반응 효과는 산화질소, 아데노신, 오피오이드, 아드레날린 제제, 프로스타글란딘,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5-하이드록시트립타민 및 도파민을 포함하는 다양한 천연 신호전달 분자에 대해 분석되었다(Calabrese EJ, Bachmann KA, Bailer AJ, Bolger PM, Borak J, et al. (2007), Biological stress response terminology: Integrating the concepts of adaptive response and preconditioning stress within a hormetic dose-response framework. Toxicol Appl Pharmacol. 222:122-128 및 Hayes DP. Nutritional hormesis. Eur J Clin Nutr. 2007;61:147-159). 다수의 이들 호르메틱은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및 식물에 의해 그 자신을 육식 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집중된다. 그러나, 다수의 이들 물질이 더 저농도에서 이용될 때, 그들은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하이드로겔은 물 및 겔화제, 예컨대 3차원 망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물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중합체 플라스틱 또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물근 가교 수성 시스템이다. 하이드로겔 구조는 물과 친수성기 또는 수화 시 중합체 망에 존재하는 영역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하이드로겔은 정상 상태에서의 그들의 유동 거동에 따라서 원칙적으로 약 또는 강으로 범주화된다.
겔화는 중합체 농도가 증가되고, 분산 중합체가 분지 및 가교를 형성하기 시작할 때 생긴다. 일단 임계 농도에 도달되면, 졸은 겔이 되며, 졸-겔 전이가 일어난다. 겔은 화학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결합 영속성에서 화학 겔에 근접하는 강한 물질을 이용하여 물리적 겔은 결합 특성에 따라 강 또는 약으로 다시 범주화될 수 있다. 강한 물리적 결합은 라멜라 미세결정, 유리질 결절 또는 이중 및 삼중 나선을 포함하는 반면; 약한 물리적 겔은 수소 결합, 블록 공중합체, 마이셀 및 이온 결합을 포함한다.
하이드로겔은 그들의 상당한 물 함량에 기인하여 천연 조직과 유사한 가요성 정도를 가지며, 점탄성 또는 순수한 탄성 거동 및 끈적끈적함을 나타낼 수 있다. 하이드로겔의 특성은 극성, 표면 특성, 기계적 특성 및 팽윤 거동을 제어함으로써 개질될 수 있다. 겔은 pH, 이온 강도, 온도, 전기장 및 광의 작은 변화에 반응하여 상당한 용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불안정한 결합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하이드로겔은 조직 공학, 상처 치유 및 약물 전달과 같은 적용분야에서 유리하다. 이들 불안정한 결합은 하이드로겔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체 골격에서 또는 가교에서 존재할 수 있다. 불안정한 결합은 가수분해에 의한 대부분의 경우에 효소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생리학적 조건 하에 파괴될 수 있다(문헌[Bajpai , A.K ., Shukla , S.K ., Bhanu, S. & Kankane , S. (2008). Responsive polymers in controlled drug delivery. Progress in Polymer Science. 33: 1088-1118] 참조).
생리적 pH에서 음으로 하전된 기를 갖는 이온성 중합체는 다가 양이온의 첨가에 의해 가교될 수 있고; 심지어 다가 양이온(예를 들어, K+, Na+ 등)은 안정한 겔을 형성하기 위해 음으로 하전된 기(예를 들어, SO- 3)의 반발을 차폐 또는 선별할 수 있다. 예는 알긴산-Na+; 키토산-폴리라이신; 키토산-글리세롤 인산염(Syed K. H. Gulrez1 and Saphwan Al-Assaf. Progress in molecular and environmental bioengineering from analysis and modeling to technology applications Chapter 5: Hydrogels: Methods of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Publisher InTech. August, 01, 2011(34)) 및 키토산-덱스트란 하이드로겔(Hennink, W.E. & Nostrum, C.F. (2002). Novel crosslinking methods to design hydrogel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4: 13)을 포함한다.
알긴산염은 전형적으로 갈조류로부터 얻은 천연 유래 음이온성 다당류이며, 광범위하게 연구되었고, 그의 생체 적합성, 낮은 독성,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및 Ca2+와 같은 2가 양이온의 첨가에 의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능력에 기인하여 다수의 생의학적 적용을 위해 사용되었다. 알긴산염 하이드로겔은 상처 치유 및 약물 전달을 포함하는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알긴산염 상처 드레싱은 습윤 상처 환경을 유지하고, 상처 부위에서 박테리아 감염을 최소화하며, 상처 치유를 용이하게 한다. 약물 분자는 사용되는 가교제 및 가교 방법에 따라 제어된 방식으로 알긴산염 겔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추가로, 알긴산염 겔은 경구 투여되거나 또는 주사되어, 그들을 약제학적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유용하게 만들 수 있다.
알긴산염은 1-4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가변적 양의 β-D-만누론산 및 그의 C5-에피머 α-L-굴루론산에 의해 구성되는 다당류이다. 졸-겔에서 점성도를 부여하는 알긴산염의 능력은 그의 분자량(MM)에 의존한다. 조류 알긴산의 분자량(MM)은 48 내지 186kDa의 범위에서 발견된 반면(38); 일부 알긴산염은 80 내지 4,000kDa 범위의 MM으로 존재하는 아조토박터 비네란디(A. vinelandii)로부터 단리된다(Galindo, E.; Pena, C.; Nunez, C.; Segura, D. & Espin, G. (2007). Molecular and bioengineering strategies to improve alginate and polyhydroxyalkanoate production by Azotobacter vinelandii. Microbial Cell Factories, 6, 1-1). 당류 단량체는 공급원 종에 따라 연속적 만누로네이트 잔기(M), 굴루로네이트 잔기(G) 또는 교번의 잔기(MG)의 블록에서 분포된다, 문헌[Smidsrod, O. & Draget, K. (1996). Chemistry and physical properties of alginates.Carbohydrates European, 14, 6-12]. 알긴산염의 G-블록은 2가 양이온(예를 들어, Ca2 +)과의 분자간 가교에 참여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한다. 조성(즉, M/G 비), 서열, G-블록 길이 및 분자량은 알긴산염 및 알긴산염 하이드로겔의 물리적 특성을 변경시키는 중요한 인자이다(예를 들어, G-블록의 증가는 겔의 이온 결합 및 기계적 강성도를 증가시킨다). 이들 동일한 특성은 알긴산염 함유 약물의 방출 속도에 따라 겔의 안정성을 제어한다. 낮은 M/G 비를 지니는 알긴산염은 강한 그리고 취성의 겔을 형성하는 반면, 높은 M/G 비를 지니는 알긴산염은 더 약하고 더 부드럽지만, 더 탄성인 겔을 형성한다. 최종적으로, 박레티아성 알긴산염은 만누로네이트 잔기의 위치 O-2 및/또는 O-3에서 가변적 정도로 아세틸화된다(Skjak-Braek, G.; Grasdalen, H. & Larsen, B. (1986). Monomer sequence and acetylation pattern in some bacterial alginates. Carbohydrates Research, 154, 239-250). 분자량, 단량체 블록 구조 및 아세틸화의 가변성은 모두 겔 중합체의 생화학적 및 유동학적 특징에 영향을 미친다.
대다수의 알긴산염은 2가 양이온 칼슘 또는 1가 이온, 예컨대 Na+ 또는 K+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이온, 예컨대 Mg2 +가 제안되었지만, 겔화 과정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마그네슘 이온 농도는 칼슘 이온보다 5 내지 10배이다(Topuz, F., Henke, A., Richtering, W. & Groll, J. (2012). Magnesium ions and alginate do form hydrogels: a rheological study. Soft Matter. 8:4877-4881). 알긴산염, 예컨대 알긴산 또는 알긴산칼슘은 이온이 이온화로부터 차폐되어 불용성 알긴산을 초래하는 경우, 수용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수용성 알긴산염은 일반적으로 수용성인 1가 음이온, 예컨대 Na+ 또는 K+ 또는 비극성 기, 예컨대 NH4를 이용하여 염을 생성함으로써 단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제(FAM)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제는 링커에 의해 결합되는 2개의 페닐 고리를 포함하고, 페닐 고리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R1 또는 R2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L은 -C=C-이고, 이들 FAM 화합물은 페닐 고리에서 페닐 고리까지 일반적으로 선형인 " 톨란 "으로서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L은 -CH=CH-이고, 이들 FAM 화합물은 이중 결합에 대해 시스 및 트랜스 형태로 이성질체인 " 스틸벤 "으로서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AM 화합물은 트랜스 스틸벤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L은 -CRa=CRb-이며, Ra 및/또는 Rb는 페닐 고리 또는 H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스틸벤, 이 경우에 "페닐 스틸벤 유도체"이고, 그들은 또한 트랜스 스틸벤 또는 시스 스틸벤일 수 있다.
구조에서 나타내고, 치환체 R1 및 R2(이 중 적어도 하나는 존재하여야 함(즉, m 또는 n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상임))를 함유하는 2개의 "1차" 페닐 고리가 있다. 선택적으로, Ra 및 Rb에 대한 선택 내에 2개까지의 "2차" 페닐 고리가 있다. 각각의 페닐 고리(가능한 4개까지, 2개의 1차 및 2개의 2차) 상에서, 각각의 치환체 R1-4 중 0 내지 5개가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1차 페닐 고리 상에 1 내지 3개의 R1 및/또는 1 내지 3개의 R2 치환체가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1차 페닐 고리 상에서 R1 및/또는 R2의 위치는, 오쏘 위치(2, 2', 6 및 6')에서 치환체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도, 대부분 파라 및 메타 위치, 즉, 하나의 페닐 고리 상에서 3, 4 또는 5 위치 및 다른 페닐 고리 상에서 3', 4' 및 5' 위치에 있다. 제1 페닐 고리 상에 1, 2 또는 3개의 R1 치환체가 있을 수 있으며, 대응적으로, 제2 페닐 고리 상에 0 내지 3개의 R2 치환체가 있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2 페닐 고리 상에 1, 2 또는 3개의 R2 치환체가 있을 수 있으며, 대응적으로, 제1 페닐 고리 상에 0 내지 3개의 R1 치환체가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페닐 고리는 1 내지 3개의 치환체 R3 및 R4를 포함한다. 이들 내에서 모든 순열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개의 R1 및 1개의 R2; 2개의 R1 및 2개의 R2; 3개의 R1 및 3개의 R2; 1개의 R1 및 2개의 R2; 1개의 R1 및 3개의 R2; 2개의 R1 및 1개의 R2; 2개의 R1 및 2개의 R2; 2개의 R1 및 3개의 R2; 3개의 R1 및 1개의 R2; 또는 3개의 R1 및 2개의 R2. 마찬가지로, R3 및 R4. 각각의 R1 내지 4는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2 이상이 존재한다면, 그들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일부 특정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제의 예가 표 A에 주어지고, 톨란은 스틸벤의 유사체이며, 따라서 상세한 구조는 각각의 개개 화합물에 대해 필수적이지 않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다수의 스틸벤 화합물은 잘 연구되며, 천연 유래 분자 및 일부는 용이하게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다른 것은 문헌[Ali, M.A., Kondo, K. and Tsuda, Y. (1992). Synthesis and Nematocidal activity of Hydroxystilbenes. Chem. Pharm. Bull. 40(5):1130-1136; 및 Thakkar, K., Geahlen, R.L. and Cushman, M. (1993). Synthesis and Protein-tyrosine kinase inhibitory activity of polyhydroxylated stilbene analogues of piceatannol. J. Med. Chem. 36: 2950-2955]에 의해 기재되는 것과 같은 일상적인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페닐 스틸벤 유도체, 즉, Ra 또는 Rb 중 적어도 하나가 페닐 고리인 것, 및 다수의 다른 스틸벤은 논문[Zhenlin Bai, Substituted Stilbenes and 1,2- Diaryl -1,2- diazidoethanes as Potential Anti암 Agents: Syntheses and Estrogenic/ Antiestrogenic Properties in MCF-7-2a Cells, im Fachbereich Biologie, Chemie, Pharmazie der Freien
Figure pct00010
Berlin (2006)]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글루코사이드 유도체는 WO2007/020673 A1에 기재한 절차에 따라 얻을 수 있다. 톨란은 도허티(Docherty)와 차이(Tsai)의 미국 특허 제6,599,945 B2호에 기재된 일반적 절차를 이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FAM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극성이며, 각각의 말단에서 특정 전기음성 치환체(예를 들어, -OH, -OCH3, -NO2, -할로, -O(C=O)R 등)를 가진다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이는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용액 상태에서 분자가 친액성 또는 부분적으로 정돈된 구조를 띠도록 액체 결정 유사 거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FAM 화합물은 또한 상기 동정한 화합물의 염을 포함한다. FAM 화합물, 특히 모노 또는 폴리하이드록실화된 화합물은 음이온을 pH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양성자를 용이하게 방출하여 음이온을 형성한다. 이러한 음이온은 양이온, 예컨대 1가, 2가 및 3가 양이온과 조합되어 염을 형성한다. 1가 양이온(M+)에 대해, 단일 FAM은 M+FAM- 염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유사하게, 2가 양이온(M2+)에 대해, 2개의 FAM 분자는 M2+(FAM-)2 염을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3가 양이온(M3+)에 대해, 3개의 FAM 분자는 M+3(FAM-)3 염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염은 종종 수성 매질 중에서 용이하게 가용성이어서, 제형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제한되지 않는 FAM 염 형성을 위한 양이온은 Na+ 또는 K+, Mg2 +, Mn2 +, Zn2 +, Ca2 +, Cu+, Cu2 + Fe2 + 및 Fe3 +을 포함한다.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제( AAM ) 및 제형
특정 실시형태에서, FAM은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제(AAM)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AMM은, 사용될 때, 임의의 다음의 분류에 속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몇몇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비타민, 아미노산, 산성 당 및 퀴닌 유도체
비타민
비타민 A, B, C, D, E 및 K는 모두 AAM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관례에 의해, 용어 "비타민"은 다른 필수 영양소, 예컨대 식이 무기질, 필수 지방산 또는 필수 아미노산도(비타민보다 다량으로 필요함), 또는 건강을 촉진시키는 다수의 다른 영양소도 포함하지 않는다. 현재 13종의 비타민이 보편적으로 인식된다. 비타민은 그들의 구조가 아니라 그들의 생화학적 및 화학적 활성에 의해 분류된다. 따라서, 각각의 "비타민"은 특정 비타민과 관련된 생물학적 활성을 모두 나타내는 다수의 " 타머"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화학물질의 세트는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다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파벳 순의 비타민 "일반적 설명어" 표제, 예컨대 "비타민 A" 하에 그룹화된다. 정의에 의해 비타머는 항체 내 비타민의 활성 형태로 전환될 수 있고, 때때로 마찬가지로 서로 간에 상호 전환 가능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비타민의 염 형태는 일반적으로 장측 지방족 쇄 없이 우수한 AAM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산소 함유 비타민은 적합한 AAMS이다.
대부분의 비타민은 또한 AAM 범주 내인 염을 형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타민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망간, 칼슘, 구리, 아연 또는 철과 같은 양이온선 원소를 갖는 염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타민은 다이에탄올아민염, 2-아미노-2-에틸-1,3-프로판다이올 염, 트라이에탄올아민 염, 몰폴린 염, 피페라진 염, 피페리딘 염, 알기닌 염, 라이신 염 및 히스티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비타민은 아세트산염, 팔미트산염, 올레산염, 리놀렌산염, 스테아르산염, 락트산염, 숙신산염, 말레산염, 시트르산염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비타민 A는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카로테노이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α-카로텐, β-카로텐, γ-카로텐, β-크립토잔틴, 잔토필, 크립토잔틴, 13-시스 레티노산, 13-트랜스 레티노산, 트레티노인, ATRA(올 트랜스 레티노산), 루틴, 11-시스-레티날, 11-시스-레티놀, 9-시스-레티날, 레시틴, 레티닐 에스터, 9-시스-β-카로텐,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시트레틴, 비타민 A2 (3,4-데하이드로레티놀), A3(3-하이드록시레티놀),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지용성, 불포화, 아이소프레노이드 화합물의 그룹을 지칭한다. 이들 아이소프레노이트의 모든 이성질체 및 입체화학적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비타민 B는 다음의 화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티아민(B1); 리보플라빈(B2); 니아신 또는 니아신아마이드(형태 B3); 판토텐산, 판텐올, 판토텐올 및 판토텐산칼슘(형태 B5); 피리독신, 피리독신 5'-포스페이트, 피리독살, 피리독살 포스페이트, 피리독살 5'-포스페이트, 피리독사민, 피리독사민 5'-포스페이트, 4-피리독신산(형태 B6); 바이오틴, 비타민 H 또는 조효소 R(형태 B7); 엽산, 엽산염, 비타민 M, 비타민 Bc, 프테로일-L-글루탐산 및 프테로일-L-글루타메이트(형태 B9); 및 코발라민, 사이아노코발라민, 하이드록시코발라민, 메틸코발라민, 아데녹실코발라민(형태 B12); 및 이들의 염.
비타민 C는 아스코르브산, 그의 음이온 아스코르베이트, 및 아스코르베이트의 염뿐만 아니라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염(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망간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칼슘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연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철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벤질 아스코르베이트 및 2-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를 지칭한다.
비타민 D는 지용성 세코스테로이드 분자의 군을 지칭하며, 칼시다이올, 칼시페로(INN), 에르고칼시페롤 및 루미스테롤(형태 D1); 에르고칼시페롤, 프로머고스테롤, 및 25-하이드록시 비타민 D2(형태 D2); 콜레칼시페롤,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25-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또는 25-하이드록시비타민 D3(25(OH)D3로 약칭됨)(형태 D3); 22-다이하이드로에르고칼시페롤(D4); 시토칼시페롤, 7-데하이드로시토스테롤(D5); 25-D-글루쿠론산, 25-D-헥수론산, 25-하이드록시 비타민 D2 -25-β-D-글루쿠로나이드,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비타민 E는 토코페롤 또는 토코트라이엔올 중 하나인 지용성 화합물의 그룹을 지칭하며, 이중 가장 활성은 α-토코페롤이다. 다른 토코페롤은 베타, 감마, 델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토코트라이엔올은 마찬가지로 알파, 베타, 감마 및 델타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토코페롤 및 토코트라이엔올 및 그들의 염의 모든 이성질체 및 입체화학적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합성 비타민 E는 보통 "all-rac" 또는 "dl"로 표지된 8가지 이성질체 형태의 혼합물이다. 토코페롤 및 토코트라이엔올 유도체는 토코페롤의 모든 R 및 S 입체이성질체(RRR, RRS, RSR, SRR, RSS, SRS 및 SSS) 및 토코트라이엔올의 2가지 입체이성질체(예를 들어, R 또는 S-α-토코트라이엔올)를 포함한다. 다른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컨쥬게이팅된 비타민 E 분자; 비타민 E 또는 토코페롤 또는 토코트라이엔올 에스터; 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비타민 E 에스터(예를 들어, 알파-토코페릴 숙시네이트)는 카복실산에 의해 비타민 E 분자를 에스터화함으로써 형성된 화합물의 그룹을 포함하고; d-α-토코페롤은 종종 다른 토코페롤(β,γ,δ,ε,ζ,η)의 2 이상의 거울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토코트라이엔올로서, n-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리놀레이트, 예컨대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또는 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이다. 비타민 E의 수용성 형태는 마그네슘 R-(+)-알파 리포에이트, 6-하이드록시-2,5,7,8-트라메틸크로만-2-카복실산(트롤록스) 또는 비타민 E의 염을 포함한다.
비타민 K는 3번 위치에서 2-메틸-1,4-나프토퀴논 코어 및 측쇄를 갖는 화합물의 그룹을 지칭한다. 비타머 K1(필로퀴논, 피노메나다이온, 또는 피토나다이온) 및 K2(메나퀴논)은 천연 유래이다. 사실, K2는 하나가 아니며, 길이가 변하는 아이소프레노이드 측쇄를 갖는 일련의 화합물이고; 메나퀴논 패밀리는 때때로 MK-n으로 표기되며, 여기서 n은 아이소프레노이드기의 수이고, n=4은 가장 통상적이다. 추가로, 측쇄가 없는 K3(메나다이온), K4, K5(2-메틸-4-아미노-1-나프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비타민 K6(2-메틸-1,4-나프탈렌다이아민) 및 K7을 포함하는 일부 합성 비타민 K 유사체가 생성되었다. 다수의 비타민 K 화합물은 염을 형성하며, 2가 염은 AAM으로서 가장 유용하다. 예를 들어, 양이온의 염은 M(Ki)2(여기서 M은 2가 양이온임) 또는 M(Ki)3 형태(M은 3가 양이온임)를 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용한 AAM은 비타민 K와 Ca 또는 Mg와 같은 2가 양이온의 염 이량체를 포함한다.
비타민 P(다소 구식인 용어이지만)는 2개의 페닐 고리(A 및 B) 및 복소환식 고리(C)로 이루어진 15-탄소 골격의 일반 구조를 갖는 플라보노이드의 군을 지칭한다. 이 탄소 구조는 C6-C3-C6으로 약칭될 수 있다. 골격 상에서 치환체 및 위치의 특성에 기반하여, 플라보노이드는 3가지 화학적 분류 중 하나에 속한다: (1) 플라본 코어(2-페닐-1,4-벤조피론)에 기반하여 플라보노이드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 (2) 3-페닐크로멘-4-온(3-페닐-1,4-벤조피론) 코어 구조에 기반하여 아이소플라보노이드; 및 (3) 4-페닐쿠마린(4-페닐-1,2-벤조피론) 코어 구조에 기반하여 네오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특정 아미노산 및 그들의 유도체는 또한 AAM으로서 유용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일반식
Figure pct00011
을 가지며, 여기서 R은 임의의 몇몇 잘 이해되는 측쇄이다. 유전자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20가지 아미노산이 있으며, 인간은 이들 중 11가지를 합성하고, 식이요법으로 소모되어야 하는 다른 9가지를 "필수" 아미노산이 되게 한다. 20가지는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리신, 히스티딘, 아이소류신, 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타이로신, 및 발린. 이들 아미노산 및 이들 아미노산의 염의 모든 이성질체 및 입체화학적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용한 아미노산은 타이로신, 페닐알라닌, 시스테인, 세린, 트레오닌 및 트립토판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특정 아미노산 유도체, 예를 들어 라이코펜 및 N-아세틸시스테인(NAC)이 유용하다.
산성 당
산성 당은 4 내지 6-원 알도스 및 케토스로부터 형성된 단당류 및 이당류를 포함한다. 그들은 양성자가 다수의 하이드록실기로부터 방출되는 준비도에 기인하여 일반적으로 산성이다. 유용한 단당류는 에리트로스, 에리툴로스, 트레오스, 리보스, 리불로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자일로스, 글루코스, 덱스트로스(또는 D-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프럭토스, 및 솔보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유용한 이당류는 말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셀로비오스 및 트레할로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당의 모든 이성질체 및 입체화학적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퀴논 유도체
퀴논 유도체는 1, 2 또는 3개의 고리를 갖는 것을 포함하며, 따라서
Figure pct00012
에 기반한 1,4-벤조퀴논;
Figure pct00013
에 기반한 1,4-나프토퀴논;
Figure pct00014
에 기반한 9,10-안트라퀴논; 및
Figure pct00015
에 기반한 1,3 인단다이온을 포함한다. 이들 퀴논 유도체는 케톤 이외의 임의의 위치에서 치환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치환체는 일반적으로 하이드록실, 메톡시, 메틸, 에틸, 할로 및 아미노로부터 선택된다. 1 내지 4개의 하이드록실 치환체가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1,4-벤조퀴논 유도체의 다른 예는 2-하이드록시-1,4-벤조퀴논, 2,3-다이하이드록시-1,4-벤조퀴논, 2,5-다이하이드록시-1,4-벤조퀴논, 2,6-다이하이드록시-1,4-벤조퀴논, 2,3,5-트라이하이드록시-1,4-벤조퀴논 및 2,3,5,6-테트라하이드록시-1,4-벤조퀴논을 포함한다. 다른 1,4-벤조퀴논 유도체는 2,6-다이메톡시-1,4-벤조퀴논, 2,3,5,6-테트라메틸-1,4-벤조퀴논, 1,4-벤조퀴논테트라카복실산, 블라텔라퀴논, 2,5-다이클로로-3,6-다이하이드록시벤조퀴논(클로르아닐산) 및 2-아이소프로필-5-메틸벤조-1,4-퀴논(티모퀴논)을 포함한다.
모노-, 다이-, 및 테트라-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의 예는 2-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라우손), 5-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유글론), 6-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2,3-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2,5-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2,6-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2,7-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2,8-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5,6-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5,7-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5,8-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나프타자린), 6,7-다이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및 2,3,5,7-테트라하이드록시나프토퀴논(스피노크롬 B)을 포함한다. 다른 1,4-나프토퀴논 유도체는 메나다이온(때때로 비타민 K3 또는 2-메틸-1,4-나프토퀴논으로서 지칭됨)을 포함한다.
9,10-안트라퀴놀론의 예는 다이하이드록시 유도체 1,2-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알리자린), 1,3-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푸르푸로잔틴, 잔토푸르푸린), 1,4-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퀴니자린), 1,5-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안트라루핀), 1,6-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7-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8-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단트론, 크리사진). 2,3-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2,6-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및 2,7-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트라이하이드록시-유도체 1,2,3-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안트라갈롤), 1,2,4-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푸르푸린), 1,2,5-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옥시안트라루핀), 1,2,6-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플라보푸르푸린), 1,2,7-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아이소푸르푸린, 안트라푸르푸린), 1,2,8-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옥시크리사진), 1,3,5-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3,6-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3,7-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3,8-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4,5-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4,6-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1,6,7-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및 2,3,6-트라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을 포함한다.
염 복합체는 이미 기재된 바와 같이 FAM 및/또는 AAM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복합체는 또한 FAM 화합물과 특정 AAM 화합물 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FAM+AAM 복합체는 적어도 비타민, 예컨대 아스코르베이트 및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를 갖는 것; 아미노산, 예컨대 아르기네이트, 라이시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를 갖는 것; 및 산성 당, 예컨대 글루코사이드, 리보사이드, 갈락토사이드, 만노사이드 등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는 FAM 및 AAM 화합물의 염과 복합체 둘 다의 소수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한다.
액체 결정으로서 FAM 화합물의 특성은 상처 치유에서 그들의 역할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매개할 수 있다. 액체 결정의 극성 특성은 그들을 중합체-유사 구조로 자가 조립되게 하며; 따라서 그들은 (i) 그 자체의 하이드로겔을 생성할 수 있고/있거나 (ii) 전통적인 하이드로겔에 대한 이들 분자의 첨가에 의해 졸-겔 전이 상태를 향상시켜 액체 결정 하이드로겔의 독특한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들 겔은 강한 화학 결합으로부터 약한 화학 결합 또는 생분해성 겔의 생성까지 임의의 다양한 앞서 언급한 겔 유형을 생성하도록 개질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속되는 일 없이, 이들 FAM 분자는 상처 치유 용도에서 유용한 것으로 믿어지는데, 부분적으로 분자 그 자체가 상처 치유 동안 스캐폴딩 및 세포 이동에 의해 더 고차 구조가 조립되게 하는 콜라겐 피브릴과 같이 거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로, 이들 액체 결정 하이드로겔의 첨가는 적절한 콜라겐 정렬 및 배향을 용이하게 하여 상처 치유 과정 동안 흉터 또는 켈로이드 형성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이드로겔 제형에 추가로, FAM 화합물의 다른 유용한 제형은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의한다. 일반적 사이클로덱스트린 제형은 약 1:1, 1.5: 1, 1.5:2, 1.5:3, 1:3, 1.5:4, 1:4, 1.5:5, 1:5, 1.5:6, 1:6, 1.5:7, 1:7, 1.5:8, 1:8, 1.5:9, 1:9, 1.5:10 또는 1:10의 FAM:사이클로덱스트린의 비에 의해 FAM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비는 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FAM의 적합한 용해를 허용할 것이다. AAM은 약 0.1% 내지 약 99%(w/v), 예를 들어, 0.1 내지 10%, 10 내지 20%, 20 내지 30%, 30 내지 40%, 50 내지 60%, 60 내지 70% 및 80 내지 90%(w/v) 이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자가소화작용 조절에서 FAM 및 AAM의 효용
최근 몇년에, 과학자들은 다양한 심각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자가소화작용 경로의 조절 효과를 연구하였다. 사실, 자가소화작용의 심장 질환, 암 및 당뇨병을 포함하는 주요 질환과 관련되었다(문헌[Klionsky D.J. (2010). The Autophagy Connection. Developmental Cell. Jul 20;19(1):11-2]으로부터 취한 도 2 참조). 이 논문은 자가소화작용 경로와 주요 인간 질환 사이의 연결을 기재한다. 개개 "근병증"을 명명하지는 않지만, 이 경로를 조절하는 능력은 질환 결과를 조절하는 데 주로 관련된다. 질환 상태에 따라서, 자가소화작용의 세포 수준을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부 질환 상태에서, 병리적 유래는 억제된 자가 소화 작용의 활성 또는 자가소화작용의 활성화와 관련되며, 그의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는 염증의 억제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자가소화작용을 상향조절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질환 또는 병태는 상처 치유, 모발 재성장 촉진, 박테리아 감염, 염증, 바이러스성 감염,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병증, 심혈관계 질환, 심부전, 심장 질환, 노화, 알츠하이머병,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 결장염, 당뇨병, I형 및 II형 당뇨병, 유전분증, 점액낭염, 피부염, 맥관염, 염증이 있는 자가면역 질환, 혈액 질환, 재생 불량성 빈혈, 자궁내막증, 간염, 헤르페스, HIV, 다발성 경화증, 망막 박리, 연령 관련 황반변성, 색소성 망막염, 및 레베르씨 선천성 흑암시, 리소좀 축적병, 관절염, 건선, 골감소증, 골다공증, 수술 자국, 수술 접착물, 우주 여행(골밀도 장애), 건염, 및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한다.
다른 질환 상태에서, 병리학적 유래는 자가 소화 작용의 활성의 과발현 및 자가소화작용의 활성화 및 그의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와 관련된다. 따라서, 자가소화작용을 하향조절하는 것이 유리한 질환 또는 병태는 노화, 암, 다낭성 신장 및 간 질환, 신장 질환, 간 질환, 천식, 당뇨 망막병증, 섬유근육통, 강직성 척추염, 셀리악병, 그레이브씨병, 낭창, 대사 질환, 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골용해, 허혈-재관류(I/R) 손상, 기관 및 조직 이식, 피부경화증, 및 패혈증을 포함한다.
상처 치유에서, 자가소화작용 수준의 증가는 조직 보호를 돕고, 염증을 감소시키며, 프로콜라겐, 하이알루로난 및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본 명세서에 나타낸 바와 같이, FAM 및 AAM 화합물은 UV 방사선 노출로부터의 손상 후에 상처 치유, 모발 성장 및 피부 손상을 촉진시키기 위해 단독으로 그리고 조합하여 사용되었다.
박테리아 감염에서, 박테리아의 오토파고리소좀(autophagolysosme) 분해를 궁극적으로 야기하는 박테리아의 세포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박테리아로 자가소화작용 경로를 방해하기 위한 시도를 한다. 두 임상적으로 중요한 피부 병원균, 즉, 스트렙토코커스 종(Streptococcus sp.)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자가소화작용 경로를 방해한다(문헌[I. Nakagawa, et al, Autophagy defends cells against invading group A Streptococcus, Science 306, 1037-1040 (2004); 및 Schnaith, et al, Staphylococcus aureus subvert autophagy for induction of caspase-independent host cell death, J BiolChem 282, 2695-2706 (2007)] 참조). 그룹 A 스타필로코커스에 의한 침윤성 피부 감염은 캡슐화에 기인하는 박테리아의 세포 흡수 방지를 특징으로 하며; 박테리아가 각질세포에 의해 취해진다면, 대다수의 스트렙토콕시(streptococci)는 몇 시간 내에 사멸된다(H. M. Schrager, J. G. Rheinwald and M. R. Wessels: Hyaluronic acid capsule and the role of streptococcal entry into keratinocytes in invasive skin infection, J Clin Invest 98, 1954-1958 (1996)). 나카가와(Nakagawa) 등(상기 인용)은 자가소화작용이 사멸 활성을 초래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일부 박테리아는 생존하지만, 세포외 스트렙토콕시 수의 감소는 부분적으로 보호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그룹 A 스트렙토코커스에 대한 자가소화작용의 메커니즘 연구를 각질세포에서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부에서 이런 추정적 항박테리아 전략의 적절성 및 효율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는 그의 알파-독소를 통해 자가소화작용을 유도한다(상기 문헌[Schnaith et al] 및 문헌[M. B. Mestre, C. M. Fader, C. Sola and M. I. Colombo: Alpha-hemolysin is required for the activation of the autophagic pathway in Staphylococcus aureus-infected cells, Autophagy 6, 110-125 (2010)]). 기공-형성 독소는 세포 항상성을 재확립하기 위한 구조 메커니즘으로서 자가소화작용을 촉발하는 영양소 및 에너지 수준의 하락을 야기한다(N. Kloft, et al: Pro-autophagic signal induction by bacterial pore-forming toxins, Med MicrobiolImmunol 199, 299-309 (2010)). 자가소화작용이 생체내 피부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를 억제 또는 향상시키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도록 남아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특정 FAM의 합성: 다음의 화합물을 준비하고 나서, 표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별 번호를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스틸벤 화합물(BM2xxx 시리즈)을 상기 언급한 문헌[Ali, M et al 1992, 및 Thakkar, K. et al 1993]에 기재한 절차에 따라 합성/수득하였다. 톨란 화합물(BM3xxx 시리즈)을 도허티(Docherty)와 차이(Tsai)의 미국 특허 제6,599,945 B2호에 기재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실시예 2: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에 대한 단순화된 합성 절차
Figure pct00018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4-((4'-메톡시페닐)에티닐)페놀)에 대한 합성 절차는 문헌[Pavia, M. R.; Cohen, M. P. ; Dilley, G. J.; Dubuc, G.R. ; Durgin, T. L.; Forman, F. W.; Hediger, M. E. ; Milot, G.; Powers, T. S.; Sucholeiki, I.; Zhou, S. ; Hangauer, D. G. The design and synthesis of substituted biphenyl libraries. Bioorg. Med. Chem . 1996, 4, 659-666., Jeffery, T. Heck-type reactions in water. Tetrahedron Lett, 1994,35, 3051-3054, Jeffery, T. ; Galland, J. C. Tetraalkylammonium salts in heck-type reactions using an alkali metal hydrogen carbonate or an alkali metal acetate as the base .Tetrahedron Lett, 1994, 35, 4103-4106, 및 Schmidt-Radde, R. H.; Vollhardt, K.; Peter C. The total synthesis of angular [4] - 및 [5] phenylene J Am Chem Soc, 1992, 114, 9713-9715]으로부터 변형된 헥-유형(Heck-type) 반응이었다. 얻어진 생성물은 노르스름한 분말이었고, 1HNMR (CDCl3 , 300MHz): δppm: 7.44(d, 4H, J=8.7, Ar-H), 6.89(d, 2H, J=8.7, Ar-H), 6.82(d, 2H, J=8.7, Ar-H), 4.89(s, 1H, OH), 3.85(s, 3H, CH3O)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은 98.2% 순수하였고, 모든 후속 시험에 대해 사용하였다.
실시예 3: 2,4,4'-트라이메톡시톨란에 대한 합성 절차 약술: 합성은 실시예 2와 유사한 헥-유형(Heck-type) 반응이었다.
Figure pct00019
얻어진 생성물은 회백색 분말이었고, 1HNMR (CDCl3, 400MHz): δppm: 7.47(d, 2H, J=6.4, Ar-H), 7.40(s, 1H, Ar-H), 6.85(d, 2H, J=6.8, Ar-H), 6.47(dd, 2H, J=2.4, Ar-H), 3.89(s, 3H, CH3O), 3.82(s, 6H, 2CH3O)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99.3% 순수한 것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4: FAM 염 및 FAM 및 AAM 염 복합체의 융점: 염 용액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스틸벤, 톨란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아스코르브산 또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와의 조합물의 충분한 양을 조합함으로써 모든 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용액을 40℃로 설정한 회전 증발기(Centrifan, 하버드 바이오사이언시스)를 이용하여 20㎖ 신틸레이션 바이알에서 건조시키고, 에탄올과 얼음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증발시켜 더 느린 증발을 허용하였다. 일단 증발되고, 완전히 건조되면, 염을 미세한 분말로 분쇄시키고 나서, 그들의 융점을 사용하여 염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판독을 제공하기 위해 온도 프로브 및 써모 커플을 구비한 멜트템프(Meltemp) II 장치를 이용하여 융점(이하의 표 C)을 결정하였다. 장치를 교정하고 나서, 공지된 융점이 있는 화합물을 시험하여 알려지지 않은 물질의 분석 전에 교정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20
실시예 5: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LC3 -II(미세소관 관련 단백질 1 경쇄 3) 염색: 문헌[Furuta, S, (2000) Ras is involved in the negative control of autophagy through the class I PI3-kinase, Oncogene. 23: 3898-3904; Ge, J.N. et al, (2008) Effect of starvation-induced autophagy on cell cycle of tumor cells, Chinese Journal of Cancer27:8 102-108; 및 Settembre, C. et al (2011) TFEB Links autophagy to lysosomal biogenesis, Science 332:17 1429-1433]에 의해 기재된 절차로부터 염색 방법을 변형하였다. HDFn(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신생아, 써모피셔(ThermoFisher)) 세포를 검정색 웰 깨끗한 바닥 플레이트(코닝(Coning), 뉴욕주에 소재한 코닝사(Corning))에 5,000개 세포/웰로 파종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배지 단독, FAM, AAM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시간(들) 후에, 세포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4%(w/v) PFA(파라폼알데하이드)를 이용하여 고정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PBS(인산염 완충 식염수, pH 7.4)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나서, PBS 중에서 1시간 동안 5%(w/v) BSA를 이용하여 차단시켰다. 세포를 다시 PBS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나서, LC3-IIB(토끼 단클론성 항체, 써모피셔)에 대한 1차 항체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를 PBS 중에서 다시 린스하고 나서, 2차 형광 항체(알렉사플루오르(Alexafluor) 488 토끼 항 염소, 써모피셔)를 30분 동안 첨가하였다. 이어서, 스펙트라맥스(SpecraMax) i3X(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에 소재한 몰레큘러 디바이시즈(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영상화하고 나서, 소프트맥스 프로(SoftMax Pro) 6.5.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LC3-II 양성 세포의 수를 결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자가소화작용 조절 및 호르메시스: LC3-II 웨스턴 블롯: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T25 조직 배양물 처리 플라스크 당 1x106개 세포의 밀도로 플레이팅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FAM, AAM 또는 조합물로 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나서, 1xPBS로 세척하고, 얼음 상에서 RIPA 완충제 +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세포를 음파 처리하고 나서, BCA 단백질 분석(피어스 사이언티픽(Pierce Scientific))을 실행하여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였다. 이어서, 농도를 샘플 당 100㎍으로 정규화하고 나서, 부하 염료 및 적절한 분자량 마커를 이용하여 12%(w/v)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상에서 실행하였다(모든 시약을 내셔널 다이아그노스틱스사(National Diagnostics)로부터 구입하였다). 이어서, 겔을 옮기고 나서, 차단하고, MAPLC3-2(써모-피셔)에 대한 1차 단클론성 항체를 막에 첨가하고 나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다. 적절한 세척 후에 Eu-표지 2차 항체(몰레큘러 디바이시즈)를 첨가하고 나서, 스캔 레이터(Scan Later) 모듈을 구비한 스펙트라맥스 i3x을 이용하여 막을 영상화하였다. 겔을 후속적으로 스트립핑하고 나서, 액틴에 대해 재프로빙하여 적절한 부하를 확인하였다. 소프트맥스 프로(SoftMax Pro) 6.5.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평균 밴드 강도 변화를 결정하였다.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자가소화작용, 상처 치유 및 피부: 단백질 응집물, 손상된 세포 소기관을 분해시키며, 멜라닌소체에서 FGF- PI3K-AKT-MTOR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피부색을 달성하는 작용을 하는 매우 저수준의 자가소화작용이 피부에 존재한다(Belleudi, et al. The receptor tyrosine kinase FGFR2b/KGFR controls early differentiation of human keratinocytes, PLoS One 2011; 6:e24194; PMID:21957444; http://dx.doi. org/10.1371/journal.pone.0024194; 및 Belleudi, et al, Expression and signaling of the tyrosine kinase FGFR2b/KGFR regulates phagocytosis and melanosome uptake in human keratinocytes. FASEB J 2011; 25:170-81; PMID:20844240; http://dx.doi.org/10.1096/fj.10-162156). 인간 각질세포에서 자가소화작용의 유도는 p62를 음으로 조절하여, 과도한 염증 및 카텔리시딘(대식세포 및 PMN의 리소좀에서 발견됨)의 유도를 방지한다. (Lee, et al Autophagy Negatively Regulates Keratinocyte Inflammatory Responses via Scaffolding Protein p62/SQSTM1. J Immunol. published online 15 December 2010). 깊은 상처 2도 화상 모델에서, 자가소화작용 유도자 라파마이신은 자가 소화 작용의 소수포 형성을 향상시키고, 상처 재상피화 시간을 개선시키며, IL-8, 메탄 다이카복실산 알데하이드(MDA,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 및 미엘로퍼옥시다제(하이포아염소산(HOCl), 과산화수소(H2O2) 및 클로라이드 음이온(Cl-) 생성의 지표)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Xiao et al, (2013) Rapamycin reduces burn wound progression by enhancing autophagy in deep second-degree burn in rats. Wound Rep. Reg. 21: 852-859). 이는 피부에서 자가소화작용의 유도가 항염증 효과를 생성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라파마이신은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사용될 때, 다양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공지된 호르메틱 화학물질이다.
본 특허에서 기재되는 제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가된 상처 봉합 및 재상피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 및 의학적 병태의 치료를 위한 용량 의존적 방식에서 자가소화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난 호르메틱 물질이다.
실시예 8: 단백질 키나제 B( AKT ): HDFn 세포를 플라스크 당 1x106개 세포의 밀도로 T-25 플라스크에 플레이팅하고 나서, 부착시키고, 밤새 확산시켰다. 이어서, 세포를 대조군 배지, FAM, AAM 또는 조합물을 이용하여 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트립신 다음에 트립신 중화물을 이용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교반시켜 세포 펠렛을 수집하였다. 세포를 빙냉 1XPBS 중에서 세척하고, 이어서, 얼음상에서 RIPA 완충제 + 프로테아제 저해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샘플을 교반시키고 나서, 분취시키고, ELISA를 이용하여 그들을 분석할 수 있을 때까지 냉동시켰다. 세포를 음파 처리하고 나서, 키트 설명서에서 권장하는 바와 같이 1:5로 희석시켰다. 이어서, AKT ELISA(써모 피셔)를 이용하여 샘플을 분석하고 나서, AKT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농도를 결정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 HDFn 세포를 6 웰 조직 배양물 처리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나서, 70 내지 80%(세포/면적) 합류에 도달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어서, 셀 스크레이퍼(cell scraper)를 사용하여 플레이트의 중간 아래로 "긁힘"을 생성하여 세포 단일층에 대한 손상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이어서, 임의의 세포 파편을 제거하기 위해 배지를 이용하여 접시를 세척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대조군 배지, FAM, AAM 또는 조합물로 처리하고 나서, 샘플을 3, 8 및 24시간에 취하였다. 샘플을 교반시키고 나서, 분취시키고, ELISA를 이용하여 그들을 분석할 수 있을 때까지 냉동시켰다. 공지된 표준 곡선에 비교하여 각각의 샘플 내 EGF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FGF 스트렙타비딘-HRP ELISA 키트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상처 치유를 위한 LCB의 생체내 평가: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의 생체내 연구 실험실에서 잭슨 랩스(Jackson Labs)에 20마리의, 5 내지 6주령 Balbc/J(저장액 # 000651) 수컷 마우스를 옮겼다. 식별을 위해 마우스의 귀에 표시하고 나서, HEPA 여과 공기가 있는 개개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통기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우리에 수용하였다. 베드-오-콥(Bed-o-cob) 옥수수 이삭 잠자리를 사용하였고, 우리를 2주마다 바꾸었다. 인공 형광등을 이용하여 동물 방을 전체적으로 밝혔고, 12시간 명/암 주기로 조절하였다. 동물 방에서의 정상 온도 및 상대적 습도 변화는 각각 22±4℃ 및 50±15%였다. 동물 방을 시간 당 15회 공기 교환을 갖도록 설정하였다. 여과시킨 수돗물을 pH 2.8 내지 3.1로 산성화시키고 나서, 설치류 음식을 임의로 제공하였다. 5 내지 7일 순응 후에, 체중에 의해 마우스를 각각 10마리 마우스의 2개 코호트로 무작위화하였다. 연구 제0일에, 마우스를 마취시키고, 2개의 전층 두께 절단 상처(대략 6㎜)를 마우스의 배면(등) 상에 만들었다. 반차단 폴리우레탄 드레싱(테가덤(Tegaderm)(상표명))을 이용하여 상처 중 하나를 뒤덮었다. 상처가 생긴 날(제0일)로부터 5 연속일(5) 동안 상처를 드레싱으로 뒤덮었다.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의 용량은 이전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연구에서 마우스에서의 병변 치유를 촉진시킨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제5일, 제7일, 제9일 및 제11일에 상처를 측정하였다. 상처의 디지털 영상을 각각의 마우스로부터 촬영하였다. 시험 제제는 점성 페이스트이며, 교차 오염 및 수축에 기인하는 상처 봉합을 제거하기 위해 적소에 붙인 안장으로 상처를 둘러쌌다. 따라서, 상처 면적의 변화는 재상피화에 기인한다. 5일 동안, 모든 상처를 글리세린(대조군) 또는 글리세린 및 시험 제제로 뒤덮는다. 제5일에, 시험 제제를 제거하고 나서, 상처 부위 내 화합물의 지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노력에서 상처 면적의 변화를 (면적/면적%로서) 측정하였다. 제5일까지, 글리세린은 26.1% 상처 봉합을 생성한 반면,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2.5%) 봉합은 92.8% 상처 봉합을 생성하였고, 5%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은 91.4% 상처 봉합을 생성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전에, 노르말 농도에 대한 시험을 실행하고, Z-스코어를 컴퓨터 계산하여 그룹에 따라 모든 마우스에 대해 제1일에 각각의 상처에 대한 정상적으로 분포된 면적을 확인하였다, r2 =0.989. 제5일에 상처 면적의 변화를 비교하는 일원 ANOVA에 기반하여 통계학을 컴퓨터 계산한다. 모든 마우스는 처리를 견뎠고, 모든 매주의 임상 관찰은 영리함, 경계심, 반응성 및 수화 마우스를 보고한다.
Figure pct00021
실시예 11: 대조군을 이용하거나 또는 5%(w/v) 4-하이드록시-4'-메톡시 톨란을 이용하여 처리한 절단 피부 샘플. 대조군 처리 세포의 H&E 염색은 소수의 깊은 피지선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근섬유아세포, 결합 조직의 헐렁하게 조직화된 층 상부의 1 내지 2개 세포 두께의 각질세포 층을 나타내었다.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 처리 피부는 세포층 7 내지 8 세포 두께에 의해 광대한 각질세포 증식을 나타내었다. 진피는 모공을 재확립하기 위해 표면으로 연장되는 고도로 증식적이고 우세한 피지선을 둘러싸는 정기적 및 증식적 근섬유아세포 및 결합 조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피부 외지에서의 자가소화작용 및 모발 재성장(탈모): 자가소화포-유사 구조는 모발 및 피지선의 전자현미경에 의해 검출되었다. 피부 외지에서의 자가소화작용의 생리적 적절성은 현재 잘 이해되고 있지 않지만,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는 손상 세포가 세포사를 겪고, 모발 줄기 세포가 세포 성장을 생성하도록 자극되는 과정에 다시 활기를 되찾게 하여, 자가소화작용의 유도가 Wnt1 의존적 세포를 통해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Castilho R.M., et al. (2009) mTOR mediates Wnt-induced epidermal stem cell exhaustion and aging, Cell Stem Cell 5, 279-289; 및 Vishnyakova, et al. (2013) Possible Role of Autophagy Activation in Stimulation of Regeneration, Molecular Biology. 47(5): 692-700).
실시예 13: UV 방사선 손상 및 항-노화: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이며, 환경과 접촉된다. 그렇게 해서, 외부와 내부 둘 다로부터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는 그의 균형에 위협을 가하며, 그의 외관을 변경시킨다. 이 손상은 종종 만성 저수준 염증으로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UV에 대한 과도한 노출은 다양한 피부 징후, 예컨대 화학작용 홍반, 일광탄력섬유증, 또는 그 밖에 피부 노화 효과의 조기 외관에 의해 반영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는 저색소 또는 과색소 침착 스팟 및 팽창된 혈관이 섞인 늘어진, 깊은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 조직에서 엄청난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는 UV 노출의 이런 징후는 보기 흉하고 추하며, 다수의 사람들은 그들을 매끄럽게 만들기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 상이한 연령의 여성으로부터의 배양 진피 섬유아세포의 TEM 및 IF 현미경 분석은 손상된 자가 소화 작용 유동을 나타내었다. 젊은 진피 섬유아세포를 노화 진피 섬유아세포의 병태를 모방하도록 리소좀 프로테아제 저해제로 처리했을 때, 자가 소화 작용의 활성이 감소되고, I형 프로콜라겐, 하이알루로난 및 엘라스틴의 섬유아세포 함량이 변경되며, 콜라겐 피브릴의 파괴를 야기하였다. 종합하면 이들 발견은 손상된 자가 소화 작용 유도가 진피 무결성 및 피부 취약성의 악화를 야기한다는 것을 시사한다(Tashiro K, et al. (2014) Age-related disruption of autophagy in dermal fibroblasts modulates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43(1): 167-172).
자가소화작용은 손상된 세포의 세포 소기관 및 단백질 응집물이 적절하게 분해되지 않고, 축적되지 않아서 세포 기능장애를 야기한다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기대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열량 제한(caloric restriction: CR)에 반응하여 향상된 자가 소화 작용의 활성이 보인다.
실시예 14: 하이드록시 프로필 -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40%(w/v) 용액: 멸균시킨 눈금 비커 내로 70㎖의 물에 40.0g의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함으로써 용액을 제조하고 나서,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일단 용액은 분명한 QS 내지 100㎖이다. 1.0g의 액체 결정 화합물(FAM)을 칭량하고 나서, 멸균 유리병 내로 옮긴다. 1.5㎖의 에탄올을 병에 첨가하고 나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1㎖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서서히 첨가하는 한편, 교반시켜 약물이 용액 중에 남아있는 것을 보장한다. 5㎖의 물을 첨가하는 한편, 교반시켜 용액 중에 약물이 머물러 있는 것을 보장한다. 필요하다면 음파 처리한다. 제형은 맑은 용액이 되어야 한다. 0.2㎛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시킨다. 현탁액을 -40℃ 미만으로 냉동시키고 나서, 동결건조시킨다. 동결건조시킨 케이크는 사용 전에 멸균수를 이용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5: 주사용 액체 결정 제형 FAM 사이클로덱스트린 제형의 제조: 100㎎의 4,4'-다이하이드록시톨란 화합물을 칭량하고 나서, 5㎖ 신틸레이션 관에 넣었다. 1.5㎖의 무수 에탄올을 관에 첨가하고 나서, 4,4'-다이하이드록시톨란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진탕시킨다. 5 그램의 무발열원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시그마(Sigma))를 분석 규모로 칭량하고 나서, 눈금 실린더에 넣었다. 용적이 90㎖에 도달될 때까지 진탕시키면서 물을 첨가한다. FAM의 상기 에탄올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첨가한다. 물을 맑은 용액에 첨가하여 총 용적을 100㎖로 만든다. 용액을 0.22 마이크론 필터를 통해 멸균 여과시킨다. 현탁액을 -40℃ 미만으로 냉동시키고 나서, 동결건조시킨다. 동결건조시킨 케이크는 사용 전에 멸균수를 이용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6: 점적 용액의 제조: 용액을 다음의 성분으로부터 조제한다; FAM-사이클로덱스트린 0.625부; 사카린 나트륨 0.3부; 솔브산 0.1부; 에탄올 30.0부; 플라보링 1.0부; 증류수 q.s. ad 100.0 부. FAM-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 및 플라보링을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나서, 솔브산 및 사카린을 증류수에 용해시킨다. 두 용액을 서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나서, 현탁 물질로부터 유리될 때까지 혼합 용액을 여과시킨다: 1㎖의 여과액은 FAM을 함유하며, 효과적인 치료 작용을 갖는 경구 투약 단위 조성물이다.
실시예 17: 미분화된 약물 및 약물 현탁액의 제조:
16 그램의 미분화된 FAM을 4인치 밀링 크기로 밀링하고 나서, 밀링 기체로서 질소 기체/압축 공기(이슬점 > 40℃)를 압축시킨다. 물질을 호퍼(hopper)에 수동으로 공급하고 나서, 공급 트레이의 상단에 둔다. 물질을 가압 밀링 기체에 의해 제한된, 원형 챔버 내로 끌어낸다. 분말은 밀링 챔버 내 고속 스트림에서 현탁되게 된다. 입자 크기 분석기 상에서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한다. 이어서, 밀링 조건을 조절하여 허용 가능한 마이크론 크기를 갖는 물질을 제공한다.
실시예 18: FAM 또는 AAM 조절제-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 겔: 100㎎의 FAM을 칭량하고 나서, 멸균 시험관에 둔다. FAM을 2 내지 3㎖의 정제 무수 에탄올 중에 용해시킨다.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50㎖의 10 내지 50%(w/v) 용액(물 흡수에 대한 필요에 기반하여 다른 사이클로덱스트란, 예컨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γ-사이클로덱스트린 및 특정 변형된 β-사이클로덱스트린이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150㎖ 멸균 비커에서 제조하며, 용액을 70 내지 80℃로 가열하는 한편, 핫 플레이트 상에서 교반시킨다. FAM의 에탄올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비커에 서서히 첨가한다. 이 단계에서, AAM을 1 내지 25%(w/v)로 첨가할 수 있다. FAM의 첨가는 겔-졸 전이를 시작하며, 원한다면, 탈이온수 중에 용해된 겔화 분자, 예컨대 펙트산나트륨을 첨가하여 겔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겔 향상제는 겔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온성 가교 결합을 형성할 1가 또는 2가 양이온 FAM 또는 AAM 염을 포함한다.
양이온의 사용은 수 중에서 용해도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한 요망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겔화 과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FAM 또는 그의 마그네슘 이량체는 혼합 동안 알긴산염 공중합체에 첨가하며, M/G 비를 조절하여 안정한 FAM:Mg2+:알긴산염 생분해성 시트를 생성한다. FAM 양이온은 G 형태 알긴산염 공중합체에 의해 생성되는 주머니와의 수소 결합을 통해 상호작용한다(도 15 참조). FAM 농도 및 중합을 최적화하기 위해 모든 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Mg2+에 추가로, 다른 이온, 예컨대 Ca2+, K+ 또는 Zn2+를 첨가하여 겔화 과정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2가 양이온, 예컨대 칼슘의 첨가를 통한 알긴산염 G, M 또는 G/M 공중합체는 알긴산칼슘 시트를 형성한다. 이들 시트는 멸균 환경에서 생성할 수 있으며, 비자극, 비민감화 및 생분해성이다. 이는 액체 결정 FAM 분자를 이상적인 분자로 만들어서 알긴산염 겔화, 중합을 촉진시키고, 공중합체 블록 구조를 제어하며, 아세틸화를 변경시켜 중합체의 물리 화학적 및 유동학적 특징에 영향을 미친다. 개개 알긴산염 단량체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에 추가로, 선택된 FAM은 또한 겔 점성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중합체 당 분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한 액체 결정 FAM 및 AAM 분자와 조합할 때 독특한 하이드로겔, 알긴산염 및 신규한 상처 치유 제품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예는 키토산, 하이알루론산, 펙틴, 헤파린, 알긴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 A, D 및 E, PEG(폴리에틸렌 글리콜), PLA(폴리락트산) 및 이들의 중합체 및 폴리포스파젠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예에서, 추가적인 FAM 또는 AAM이 임의의 상기 제형에 첨가되어 용해도를 개선시키며, pH를 조절하고, 양이온 또는 음이온 농도의 균형을 맞추며, 피부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시키고, 수 중 용해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농도 구배를 생성하고, 겔-졸 전이를 개선하며, 전기 전도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용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전반적인 저항 또는 임피던스를 조절한다.
본 특허에 기재한 제형은 증가된 상처 봉합 및 재상피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 및 의학적 병태의 치료를 위한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자가소화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난 액체 결정 호르메틱 물질이다.
실시예 19: FAM 또는 AAM 조절제-알긴산염 복합체: 1 그램의 알긴산나트륨을 500㎖ 비커 내 탈이온수 중에 용해시키고 나서, 원한다면 선택한 AAM(1 내지 25% w/v)을 첨가하는 한편 혼합한다. 이 용액에 에탄올 중에서 이미 용해시킨 치료적 유효량의 FAM을 목적으로 하는 농도 1 내지 50%(w/v)로 첨가하고, 필요하다면, 겔이 목적으로 하는 점조도에 도달될 때까지 1가 또는 2가 양이온 염의 첨가를 첨가한다. FAM의 염에 대해, 이전의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FAM 분자의 액체 결정 특성은 수소, 정전기 및 이온 결합을 통해 결합하는 독특한 코-블록 중합체를 생성한다. 이어서, 이 용액은 알긴산염 붕대를 생성하기 위한 직조 면 또는 다른 섬유를 코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동일한 용액은 또한 생분해성 시트, 필름, 비드 또는 겔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 및 실시형태의 앞서 언급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시되었다. 이는 모든 실시형태가 완전하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양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분명한 변형 또는 변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화는 그들이 상당히, 법적으로 그리고 정당하게 자격을 부여하는 폭에 따라 해석될 때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제대로 속할 수 있다.

Claims (32)

  1. 만성 상처 또는 피부 병태를 갖는 환자에서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 환자에게 하기 구조식 (I)을 갖는 제1 자가소화작용(autophagy)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제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단,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레스베라트롤 또는 4,4'-(에틴-1,2-다이일)다이페놀(톨레신, 또한 4,4'-다이하이드록시톨란으로서 알려짐)이 아닌,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Figure pct00022

    L은 -C=C- 및 -CRa=CRb-로부터 선택된 링커이고;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R3)p 또는 -(R4)q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H 또는 페닐이며;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상기 페닐 고리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위치의 치환체이고;
    m,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각각 고리 상에서 치환체의 수를 나타내는 0, 1, 2 또는 3이며, m 또는 n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상이어야 하고;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5(R5는 -OH, -SH, -할로, -NH2 또는 NO2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6)알킬, (C2-C6)알켄일, 또는 (C2-C6)알킨일로부터 선택됨);
    -YR6(Y는 O, S 또는 NH이고; R6은 H 또는 R5로부터 선택됨);
    -ZR5(Z는 -N(C=O)- 또는 -O(C=O)-임);
    -할로;
    -NO2;
    -SO3Na;
    -아자이드; 및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톨란이되, L은 -C≡C-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톨란은 1 내지 4개의 하이드록실 치환체를 갖는, 하이드록실화된 톨란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톨란은 2,4,4'-트라이하이드록시톨란; 4,3',5'-트라이하이드록시톨란; 2,2',4,4'-테트라하이드록시톨란; 3,3',5,5'-테트라하이드록시톨란; 및 4-하이드록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톨란으로부터 선택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톨란은 4,4'-다이하이드록시-3-메톡시톨란; 2,4,4'-트라이하이드록시톨란-베타-D-글루코사이드; 및 4-하이드록시-4'-메톡시톨란으로부터 선택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트랜스-스틸벤이되, L은 -CH=CH-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은 1 내지 4개의 하이드록실 치환체를 갖는 하이드록실화된 스틸벤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공동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과 동시에 투여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 전에 투여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 파라벤조퀴논; 치환 또는 비치환 오쏘벤조퀴논; 및 치환 또는 비치환 안트라퀴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아미노산, 산성 단당류, 및 비타민 또는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은 산소-함유 비타민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은 아이소프레노이드-함유 비타민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은 자가소화작용 활성을 상향조절하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6.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 또는 피부 병태는 노화, 염증이 있는 자가면역 질환, 무혈관성 괴사, 박테리아 감염, 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자궁내막증, 진균 감염, 통풍, 탈모, 감염성 관절염, 염증, 염증성 장질환, 허혈, 라임병, 기관/조직 이식, 기생충 감염, 건선성 관절염, 건선, 가성통풍,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경화증, 괴혈병, 패혈증, 피부 질환, 수술 자국, 수술 접착물, 형질감염 절차, 궤양성 대장염, 궤양, 바이러스성 감염, 사마귀, 수술 상처, 절개, 열상, 피부 이식으로부터의 베이고 긁힌 공여 부위 상처, 외상성 상처, 감염성 상처, 허혈성 상처, 화상, 수포성 상처, 무균성 상처, 타박상, 절상, 열창, 비관통 상처, 개방창, 관통창, 천공창, 자창, 감염창, 피하 상처, 만성 궤양, 위궤양, 피부 궤양, 소화성 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통풍성 궤양, 고혈압 허혈성 궤양, 정체성 궤양, 설하 궤양, 점막하 궤양, 증후성 궤양, 영양 장애성 궤양, 열대성 궤양 및 성병성 궤양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7.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과각화증, 광노화, 건선, 피부 발진, 일광화상 및 광반응 과정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피부과적 장애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8.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구내염 및 화상, 발치후 상처, 특히 낭종 및 농양의 치료와 관련된 근관치료 상처, 궤양 및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자가면역적 기점의 병변, 기계적, 화학적, 열적, 감염성 및 태선모양 상처; 헤르페스 궤양, 단순성 포진, 급성 괴사성 치육염 및 구강 작열감 증후군과 같은 손상된 구강 조직을 보호하고, 이의 치유를 가속화하기 위해 구강 세척제 또는 스프레이의 형태가 경구로 사용될 수 있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19.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각막 궤양, 방사상 각막절개술, 각막 이식, 상층각막렌즈이식술 및 눈에서의 다른 수술 유래 상처로부터 초래되는 것과 같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안과 제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20.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소양감 및, 직장염, 치열 및 치핵과 같은 병태를 치료하기 위해 항문 크림 및 좌약이 사용될 수 있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21.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또한 다음의 적응증: 보습 및 보호; 건조하고 갈라진 피부의 치유; 다른 질환(정맥 피부염)에 기인하는 중증의 건성 피부의 치유; UV 광 손상으로부터 피부의 보호 및 지루성 병태의 치료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22.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상처 또는 아픔과 관련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화상, 탄저병, 파상풍, 가스 괴저병, 성홍열, 단독(erysipelas), 모창, 모낭염, 전염성 농가진 또는 수포성 농가진 등인,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23.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또한 상기 피부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 상기 피부의 단단함을 향상시키는 것, 및 피부 상에서 주름 또는 셀룰라이트의 외관을 감소시키는 것, 및/또는 (ii) 상기 피부의 비여드름 염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부 상에서의 노화의 적어도 하나의 징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24.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자가소화작용 조절에 대한 필요를 생기게 하는 상기 병태, 장애 또는 질환은 한 가지 이상이며, 또한, 예를 들어 방사선요법 및/또는 화학요법으로부터 초래되는 경구 및 비경구 궤양의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는 방법.
  25. 하이드로겔 중에서 분산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상기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액체 결정질 하이드로겔인,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알긴산염인,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
  28.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사이클로덱스트린을 약 1:1 내지 약 1:10의 비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조합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
  29. 아스코르베이트 및 양이온과의 복합체와 조합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형.
  30. 자가소화작용 조절이 필요한 환자에서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환자에게 하기 구조식 (I)을 갖는 제1 자가소화작용 조절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제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는 방법:
    Figure pct00023

    식 중, L은 -C=C- 및 -CRa=CRb-로부터 선택된 링커이고;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R3)p 또는 -(R4)q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H 또는 페닐이며;
    R1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상기 페닐 고리의 임의의 이용 가능한 위치의 치환체이고;
    m, n, p 및 q는 독립적으로 각각 고리 상에서 치환체의 수를 나타내는 0, 1, 2 또는 3이며, m 또는 n 중 적어도 하나는 1 이상이어야 하고;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하기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R5(R5는 -OH, -SH, -할로, -NH2 또는 NO2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6)알킬, (C2-C6)알켄일, 또는 (C2-C6)알킨일로부터 선택됨);
    -YR6(Y는 O, S 또는 NH이고; R6은 H 또는 R5로부터 선택됨);
    -ZR5(Z는 -N(C=O)- 또는 -O(C=O)-임);
    -할로;
    -NO2;
    -SO3Na;
    -아자이드; 및
    -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염.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자가소화작용 상향조절이 필요한 병태로 고통 받고, 상기 병태는 상처 치유, 모발 재성장, 박테리아 감염, 염증, 바이러스성 감염,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병증, 심혈관계 질환, 심부전, 심장 질환, 노화, 알츠하이머병,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 결장염, 당뇨병, I형 및 II형 당뇨병, 유전분증, 점액낭염, 피부염, 맥관염, 염증이 있는 자가면역 질환, 혈액 질환, 재생 불량성 빈혈, 자궁내막증, 간염, 헤르페스, HIV, 다발성 경화증, 망막 박리, 연령 관련 황반변성, 색소성 망막염, 및 레베르씨 선천성 흑암시, 리소좀 축적병, 관절염, 건선, 골감소증, 골다공증, 수술 자국, 수술 접착물, 우주 여행(골밀도 장애), 건염 및 궤양성 대장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자가소화작용 하향조절이 필요한 병태로 고통 받고, 상기 병태는 노화, 암, 다낭성 신장 및 간 질환, 신장 질환, 간 질환, 천식, 당뇨 망막병증, 섬유근육통, 강직성 척추염, 셀리악병, 그레이브씨병, 낭창, 대사 질환, 신염, 류마티스 관절염, 골용해, 허혈-재관류(I/R) 손상, 기관 및 조직 이식, 피부경화증, 및 패혈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가소화작용을 조절하는 방법.
KR1020177032280A 2015-04-08 2016-04-07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및 방법 KR20170141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4539P 2015-04-08 2015-04-08
US62/144,539 2015-04-08
PCT/US2016/026355 WO2016164531A2 (en) 2015-04-08 2016-04-07 Formulation and process for modulating wound hea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705A true KR20170141705A (ko) 2017-12-26

Family

ID=5707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280A KR20170141705A (ko) 2015-04-08 2016-04-07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10045950B2 (ko)
EP (1) EP3280402A4 (ko)
JP (2) JP6927884B2 (ko)
KR (1) KR20170141705A (ko)
CN (1) CN107847466B (ko)
AU (1) AU2016246616B2 (ko)
BR (1) BR112017021271A2 (ko)
CA (1) CA2982161C (ko)
HK (1) HK1251836A1 (ko)
IL (1) IL254863B (ko)
MX (1) MX2017012727A (ko)
MY (1) MY191791A (ko)
SG (1) SG11201707919QA (ko)
WO (1) WO201616453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461A (ko) * 2018-05-04 2019-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틸벤 유도체를 포함하는 만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7012727A (es) * 2015-04-08 2018-05-28 Biomendics Llc Formulacion y proceso para modular la curacion de heridas.
WO2018081425A1 (en) * 2016-10-26 2018-05-03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Hydrogen-bonding compounds,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CN107056854B (zh) * 2017-06-12 2018-11-09 江西师范大学 一种邻炔基酚醚类糖苷化给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658128A4 (en) * 2017-07-27 2021-04-21 Biomendics, LLC SUBSTITUTED TOLANES FOR MODULATION OF MICROBIAL COLONIZATION
US11766467B2 (en) 2017-09-01 2023-09-26 University Of Wyoming Methods of treating wounds using cathepsin K inhibitors
US10758559B1 (en) 2017-09-01 2020-09-01 University Of Wyoming Targeting cathepsin K to facilitate wound healing
US11629329B2 (en) 2017-10-11 2023-04-18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Bioink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JOP20180129A1 (ar) * 2018-12-24 2020-06-24 Univ Of Petra تركيبة لتسريع التئام الجروح
KR20230051237A (ko) 2020-09-17 2023-04-17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오토파지 활성화제
WO2022059763A1 (ja) 2020-09-17 2022-03-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オートファジー活性化剤
WO2022059775A1 (ja) 2020-09-17 2022-03-24 昭和電工株式会社 オートファジー活性化剤
TW202228715A (zh) 2020-09-17 2022-08-01 日商昭和電工股份有限公司 自噬活化劑
CN113105883B (zh) * 2021-03-17 2023-08-18 汕头大学 一种基于二苯乙炔和环糊精的超分子余辉发光复合物及制备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8795A (en) * 1994-12-29 1996-03-12 Allergan, Inc. Acetylenes disubstituted with hydroxyaryl and aryl or heteroaryl groups having retinoid-like biological activity
DE19624155A1 (de) * 1996-06-18 1998-01-08 Hoechst Ag Substituierte Benzoesä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 Anwendung der Verbindungen zur Behandlung von Krankheiten
US6008260A (en) 1998-01-09 1999-12-28 Pharmascience Cancer chemopreventative composition and method
US6197834B1 (en) 1998-09-01 2001-03-06 Northeastern Ohio Universities College Of Medicine Method of inhibiting formation of infectious herpes virus particles
US7321050B2 (en) 1999-12-06 2008-01-22 Welichem Biotech Inc. Anti-inflammatory and psoriasis treatment and protein kinase inhibition by hydroxy stilbenes and novel stilbene derivatives and analogues
US6599945B2 (en) 2000-08-15 2003-07-29 Northeastern Ohio Universities College Of Medicine Methods for treating subjects infected with a herpes virus
CA2529510A1 (en) 2003-07-01 2005-01-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positions for manipulating the lifespan and stress response of cells and organisms
US8017634B2 (en) 2003-12-29 2011-09-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positions for trea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ITRM20050446A1 (it) 2005-08-19 2007-02-20 Tubilux Pharma S P A Uso di stilbeni idrossilati e glucosidati per la prevenzione ed il trattamento di patologie oculari.
US7678819B2 (en) 2006-12-07 2010-03-1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cetyle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binding and imaging amyloid plaques
US8716355B2 (en) 2007-06-20 2014-05-06 Kent State University Hydroxylated tolan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treatment of a cancer
US8680142B2 (en) 2007-06-20 2014-03-25 Kent State University Ascorbate, vitamin K3 and hydroxytolans in the treatment of cancer
JP5386484B2 (ja) 2007-06-29 2014-01-15 アキュ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の疾患及び障害を治療するアルキニルフェニル誘導体化合物
WO2009126700A1 (en) 2008-04-08 2009-10-15 Kent State University Hydroxylated tolans and related compounds as cosmetics or therapeutics for skin conditions
CN101991590B (zh) * 2009-08-17 2013-03-20 南京正大天晴制药有限公司 二苯乙烯苷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10136751A1 (en) * 2009-10-06 2011-06-09 Green Molecular Use of Polyphenols in the Treatment of Cancer
CN107308186A (zh) * 2010-02-03 2017-11-03 微生物公司 作为抗菌剂用于包括细菌生物膜的治疗的生物医学用途以及其它用途的铋‑硫醇
US20110256753A1 (en) 2010-04-16 2011-10-20 Amphenol Corporation Electronic assembly with keying and guidance features
WO2011160301A1 (zh) 2010-06-24 2011-12-29 深圳蓝正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游艇码头的连接结构
US20120058088A1 (en) * 2010-06-28 2012-03-08 Resveratrol Partners, Llc Resveratrol-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120070401A1 (en) * 2010-09-21 2012-03-22 Jinzhong Zha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Wound Healing
WO2013134415A1 (en) * 2012-03-07 2013-09-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annose derivatives for treating bacterial infections
US20150272924A1 (en) * 2012-11-08 2015-10-01 Summa Health System Vitamin c, vitamin k, a polyphenol, and combinations thereof for wound healing
US8822382B2 (en) * 2013-05-05 2014-09-02 Nazir Mir Hydrocolloid systems for reducing loss of volatile active compounds from their liquid formulations for pre- and post harvest use on agricultural crops
US20160058712A1 (en) * 2014-08-29 2016-03-03 Muhammed Majeed 3-hydroxypterostilbene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of
MX2017012727A (es) * 2015-04-08 2018-05-28 Biomendics Llc Formulacion y proceso para modular la curacion de herid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461A (ko) * 2018-05-04 2019-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틸벤 유도체를 포함하는 만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6477A1 (en) 2016-10-13
WO2016164531A3 (en) 2016-11-17
US20200016096A1 (en) 2020-01-16
US10426742B2 (en) 2019-10-01
JP2018510902A (ja) 2018-04-19
CN107847466B (zh) 2024-02-06
WO2016164531A2 (en) 2016-10-13
US20190022029A1 (en) 2019-01-24
JP2021073273A (ja) 2021-05-13
US10045950B2 (en) 2018-08-14
HK1251836A1 (zh) 2019-04-12
SG11201707919QA (en) 2017-10-30
US20210228501A1 (en) 2021-07-29
CA2982161C (en) 2023-07-18
EP3280402A4 (en) 2019-04-03
AU2016246616A1 (en) 2017-10-19
MY191791A (en) 2022-07-15
BR112017021271A2 (pt) 2018-06-26
MX2017012727A (es) 2018-05-28
IL254863A0 (en) 2017-12-31
AU2016246616B2 (en) 2021-04-01
CA2982161A1 (en) 2016-10-13
US11786481B2 (en) 2023-10-17
IL254863B (en) 2021-06-30
JP6927884B2 (ja) 2021-09-01
CN107847466A (zh) 2018-03-27
EP3280402A2 (en)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1705A (ko) 상처 치유를 조절하기 위한 제형 및 방법
Do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chitosan hydrogels carrying natural bioactive compounds
Kim et al. Fabrication of polyphenol-incorporated anti-inflammatory hydrogel via high-affinity enzymatic crosslinking for wet tissue adhesion
Ke et al. Antioxidant aci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Appeldoorn et al. Procyanidin dimers are metabolized by human microbiota with 2-(3, 4-dihydroxyphenyl) acetic acid and 5-(3, 4-dihydroxyphenyl)-γ-valerolactone as the major metabolites
KR102212023B1 (ko) 수용성 히알루론산 겔 및 그의 제조 방법
Ke et al. Antioxidant acitivity in vitro and in vivo of the capsule polysaccharides from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cus
US20100003311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Hemshekhar et al. Attenuation of adjuvant-induced arthritis by dietary sesamol via modul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extracellular matrix degrading enzymes and antioxidant status
JP2019116511A (ja) ヒアルロン酸フラグメントを有効成分とするサーチュイン誘導剤、組織修復剤、肝細胞増殖因子誘導剤、組織恒常性維持剤、及びtlr4作用剤
Hsiao et al. The tumor-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flavanone and 2′-OH flavanone in vitro and in vivo through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suppression of cyclins and CDKs
Khamchun et al. Dual modulatory effects of diosmin on calcium oxalate kidney stone formation processes: Crystallization, growth, aggregation, crystal-cell adhesion, internalization into renal tubular cells, and invasion through extracellular matrix
Song et al. Properties of cell-compatible poly (vinyl alcohol) hydrogels cross-linked with hydrophobic luteolin
Zhang et al. The potential of functionalized dressing releasing flavonoids facilitates scar-free healing
Chen et al. Novel fabrication of dual nanoparticle loaded-co-polymeric dressing for effective healing efficiency in wound care after fracture surgery
Qiu et al. Sulfhydryl functionalized hyaluronic acid hydrogels attenuate cyclophosphamide-induced bladder injury
Erdogan et al. Wound healing effects of various fractions of olive leaf extract (OLE) on mouse fibroblasts
KR20160003072A (ko) 아마씨로부터 추출된 중성 올리고당 혼합물의 제조 방법
JP2015038046A (ja) Sirt6誘導剤
Fu et al. Protective Effect of Composite Hydrogel Based on Hydroxyprop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Chitosan on Skin Photodamage
JP2010189288A (ja) ケラチノサイト増殖抑制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皮膚疾患の治療剤又は予防剤及び化粧料
KR101773404B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Shim et al. Inhibitory effects of blueberry root methanolic extract on degranulation in KU812F cells
Pongsathi Development of topical formulation for skin wound healing from ethanolic riceberry rice extract
Plasay et al. Melittin, A Potential Natural Toxin with Anticancer Properties: Regulating IL-1β, COX-2 and TNF-α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WiD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