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967A -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 Google Patents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967A
KR20170128967A KR1020160059737A KR20160059737A KR20170128967A KR 20170128967 A KR20170128967 A KR 20170128967A KR 1020160059737 A KR1020160059737 A KR 1020160059737A KR 20160059737 A KR20160059737 A KR 20160059737A KR 20170128967 A KR20170128967 A KR 2017012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image
guide member
spatula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2298B1 (en
Inventor
정태선
정인혜
Original Assignee
정태선
정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선, 정인혜 filed Critical 정태선
Priority to KR102016005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298B1/en
Publication of KR2017012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65Apparatus for grading or sorting using divergent conveyor bel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1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alone spat count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balone spat counting apparatus, wherein spats transferred via a conveyor is photographed to obtain an image and the number of the spats present in an area of the obtained image is rapidly and accurately counted. For the purpose, the c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ly unit (100) having a hopper (110) which accommodates a large amount of spats and has a plurality of guide holes (112) for arranging and discharging the accommodated spats downward; a conveyor unit (200) composed of a conveyor belt (210) having a structure of caterpillar to transfer spats via a driving means; a sensing unit (300) composed of vertical rods (31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of a sensing means (320); a photographing unit (400) installed over the conveyor belt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 counting camera (410) which photograph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rods (310) when the vertical rods (310) are sensed by the sensing means (320) to mak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temporarily stop; a control unit (500) having an image count processing unit (512) which receives th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of the counting camera (410) and reads the received image to count the spats; and a guide member (600)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having an accommodation means (602) for accommodating spats transferred by the conveyor belt (210).

Description

전복 치패 계수장치{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0001]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0002]

본 발명은 전복 치패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치패(稚貝)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치패의 개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係數)해주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over cou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over counting apparatus which photographs a spatula fed from a conveyor and measures the number of spatulas present in the area of the photographed image quickly and accurately, To an overturning counter.

전복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해 온 해산물로서, 영양이 매우 풍부하고 맛이 뛰어나 고급음식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Abalone has been used as food for a long time, and it is very rich in nutrition and excellent in taste.

국내에서도 매년 많은 양의 전복이 수요되고 있는데, 연간 천해(淺海)에서 어획되는 양은 450M/T(metric ton)에 이르고 양식 수확하는 양도 80M/T(metric ton)나 되며, 특히 근래에 와서는 양식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In Korea, a large amount of abalone is required every year. The amount of fish caught in the annual sea reaches 450M / T (metric ton) and the amount of harvest is 80M / T (metric ton).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of the public is increasing rapidly.

전복의 양식은 치패(稚貝)를 양식장에 방류하고 먹이가 되는 미역이나 다시마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식에 사용될 치패의 공급 시 적정 크기의 치패를 공급수량에 따라 포장해야 하였다.Abalone cultivation is accomplished by discharging seaweed to the farm and supplying seaweed or kelp to be fed. When supplying the seaweed to be used for the aquaculture, it is necessary to pack the seaweed according to the supply quantity.

그러나, 전복의 치패는 전복 새끼의 일종으로 그 크기가 작아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500개 또는 1,000개 단위로 포장하기 위한 계수 작업 역시 인력으로 해결하게 되면 노동력의 낭비와 작업 시간의 증가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t is not easy to sort by hand because the size of the abalone i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by hand. Also, when the counting work for 500 or 1,000 units is also solved by the manpower, There will be a problem of increase.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6612호에 '치패 선별 및 계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46612 discloses a 'scraper sorting and counting system' a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위 기술은 치패를 그 크기에 따라서 선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선별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선별수단과,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서 상기 선별수단에서 선별된 치패의 개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계수하는 기술이다.The above-described technique includes screening means including a screen on which screening hol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so as to be able to sort the flooring according to its size, and a controll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floats picked up by the screening means along the conveying belt, Technology.

하지만, 위 기술은 광센서가 내장된 계수기가 이동됨으로써 파손되거나 변형 또는 색상의 변질 등과 같은 치패의 형상은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2개 이상의 치패가 서로 근접해 있거나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를 1개로 인식하여 계수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정확한 개수가 불가능하였다.However, in the above technique, when a counter having an optical sensor is moved, the shape of a sponge such as breakage, deformation or color change may not be recognized, and when two or more spoons are close to each other or contact with each other, By recognizing and counting dogs, it was impossible to make accurate numbers in reality.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한 계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후속 공정(출하 등)에서의 이중 작업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ccurate counting is not performed, it often occurs that a double operation is required in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shipment).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46612호(2010.05.0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46612 (2010.05.07.) 한국 등록특허 제10-1232595호(2013.02.06.)Korean Patent No. 10-1232595 (Feb.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6304호(2003.06.02.)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6304 (Jun. 20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의 치패(稚貝)를 정확하게 계수(係數)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전복의 치패를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치패의 개수를 계수해주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abalone of an abalone transferred from a conveyor so as to accurately count coarse- And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spatulas using the image obtained by the counting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pper comprising: a hopper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spatulas and aligning the collected spatulas; A vibration generator 130 provided on one side of either one of the hopper 110 or the hearth conveyor 120, And a first support part 140 formed to support the hopper 110 and the tapper part 120; A conveyor belt 210 having an endless track structure which is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tapeturner 120 and conveys the spatters transferred from the tapetorer 120 to the other side by a driving means, A conveyor part 200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part 22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conveyor part 200; A sensing unit 300 including a vertical bar 310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a sensing unit 320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220. The vertical bar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belt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a support frame 230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220. The vertical bar 310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320, A photographing unit 400 provided with a counting camera 410 for photograph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310 when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is stopped; A controller 500 having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ounting camera 410 and reading the received image to count the number of false teeth; And an induction member 600 provided at an outgoing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open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ith receiving means 602 for receiving a spatula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

또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122)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하면에는 그물망(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122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transport 120, and a mesh 124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apetal portion 120.

또,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공간부(122) 각 끝단에는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평면 상 '∧'형상의 가이드부재(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guide members 126 are formed on each end of the space portion 122 of the tapetransport 120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tula is transported.

또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계수카메라(410)가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된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치패의 크기에 맞추어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크기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may divide or merge th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spatula to recognize the images in a single size when there is a spat o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images captured continuously by the coefficient camera 410 .

또, 상기 진동발생기(130)는 진동파장을 발생시켜 상기 치패를 이송방향으로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or 130 generates a vibration wave to guide the spatula in the transport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제어부(500)와 영상계수처리기(512)를 내장하는 콘트롤박스(510)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된 치패의 개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box 510 including a control unit 500 and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230. One side of the control box 5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a printer 530 that prints the number of spots counted by the image count processor 512 on a paper sheet and outputs the printed count sheet.

또, 상기 콘트롤박스(510) 또는 제2지지대(220)에 승·하강수단(240)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정렬 바(2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box 510 or the second support table 22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240 to move the spatters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242 are installed.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의 제2지지대(220) 양단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축(710)과, 상기 각 지지 축(710)의 끝단에 치합되는 회전 축(720)과, 상기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730)으로 구성된 회전안내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shaft 710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table 220 at an entranc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a rotation shaft 720 engaged with an end of each support shaft 710,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rotation axis 720,
Figure pat00001
And a rotation guide 700 formed of a rotation frame 730 formed in a shape of ''.

또,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전면에는 치패의 전체수량, 누적수량, 현재수량, 설정수량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5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box 510 to display the total quantity, accumulated quantity, present quantity, set quantity, and conveyor conveyance speed of the spatula.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에는 치패가 달라붙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so that the spatula does not stick 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또,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하부에는 한 쌍의 유도구(6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유도구(610)의 면적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치패가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부재(620)와, 상기 회동부재(620)와 회전 축(632)이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member 600 has a pair of oil guides 61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guide member 600 in the shape of a light shield and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member 6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ea of the oil guide 610 And a rotating means 630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rotating member 620 and the rotating shaft 632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The rotating member 620 includes a rotating member 620, .

또한, 상기 회전수단(630)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한 회전 축(632)에 연결되는 에어실린더(634)와, 상기 에어실린더(634)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6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means 630 includes an air cylinder 634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632 passing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and an air compressor 636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634 .

또,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의 개구된 부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부 외측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는 종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개의 공간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한 공간으로 치패가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수직실린더(66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실린더(660)는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매개로 상기 유도부재(600)의 양측면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member 600 is formed such that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guide member 600 is bent toward the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to form two spaces and one side of the outgoing point of the conveyor belt 210 is conveyed to one side of the two spaces while selectively supporting the guide member 600 A vertical cylinder 660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cylinder 66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member 600 via a vertical cylinder rod 662 and is moved up and down.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하부에 제2지지대(220)의 프레임을 매개로 왕복실린더(640)가 설치되고, 그 왕복실린더(640)는 치패 유입량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6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 판(650)이 상기 왕복실린더(640)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 판(650)은 치패가 닿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그 양단은 상방을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ciprocating cylinder 640 is provided under the conveyor belt 210 through a fram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20 so that the reciprocating cylinder 640 reciproc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member 600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6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640.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650 is formed with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door plate 650 and both ends thereof are bent upward .

또, 상기 지지프레임(230)에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조명등(4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frame 230 is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420 for irradiating light on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본 발명의 전복 치패 계수장치는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전복의 치패(稚貝)를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치패의 개수를 정확하게 계수(係數)함으로써, 노동력의 절감과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llover countermeasure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a spike of an abalone transferred from a conveyor by using a radiography device and accurately counts the number of spots by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ime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촬영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타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승·하강수단이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승·하강수단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사용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회전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의 유도부재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verturned scratch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llover counterfeit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llover counterfeit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ly unit of the rollover countermeasur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unit of the rollover countermeasur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ly unit of the rollover countermeasure c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of the rollover counterfeit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an induction member of an overturned spark plug count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guide member of the rollover resistance counte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rollover detection counte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 lowering means of the rollover counter up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and lowered.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 lowering means of the rollover resistance counte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rollover scratch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guide part of the rollover countermeasure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of an induction member of an overturned touchscreen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ning of an induction member of a rollover counter-ac- count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ed state of the guide member of the rollover counterweight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on state of the guide member of the rollover resistance counter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ed state of the guide member of the rollover counterweight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ion state of an induction member of the rollover scratch c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rollover countermeasur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복 치패 계수장치는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rollover countermeasure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110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112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spatulas and sorting the received spatulas downward, And a vibration generator provided on one side of either one of the hopper (110) and the retainer (120),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or And a first support part 140 formed to support the hopper 110 and the tapper part 120. A conveyor belt 210 having an endless track structure which is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tapeturner 120 and conveys the spatters transferred from the tapetorer 120 to the other side by a driving means, A conveyor part 200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part 22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conveyor part 200; A sensing unit 300 including a vertical bar 310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sensing means 320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220. The vertical bar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belt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a support frame 230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220. The vertical bar 310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320, A photographing unit 400 provided with a counting camera 410 for photograph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310 when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is stopped; A controller 500 having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ounting camera 410 and reading the received image to count the number of false teeth; And an induction member 600 provided at an outgoing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opened at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having a receiving means 602 for receiving a spatula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at a lower portion thereof .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0)는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를 포함한다.4 and 5, the supply unit 100 includes a hopper 110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112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spatulas and aligning the spatulas and discharging the spatters downward, And a vibration generator provided on one side of either one of the hopper (110) and the retainer (120),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or 130 and a first support 140 formed to support the hopper 110 and the sealer 120.

상기 호퍼(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하부면에는 그물망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된 지점으로 다량의 치패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된 상기 치패는 상기 그물망과 면 접촉되면서 상기 치패에 묻어있는 물기를 빼줌과 동시에 치패는 어떠한 물체에 닿으면 엉겨붙을려는 성질(전복의 점액질 성분은 끈적하여 달라붙을려는 성질이 있음)을 지님으로 상기 그물망은 치패와 접촉되는 면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다음 지점으로 자연스러운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5, the hopper 11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a mesh network on the bottom surface. A large amount of spatula can be supplied to the opened spots, and the supplied spatula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mesh, thereby extracting the water from the spatula, and at the same time, the spatula has a property of getting clogged when it touches any object Has the property of sticking and sticking), the netting minimizes the area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patula, thereby enabling natural transfer to the next point.

상기 호퍼(110) 내에 수용된 다량의 치패는 정렬되어 하강 배출시키도록 하는 가이드 홀(112)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 홀(112)은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일정 간격마다 관통 형성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와 연결되어진다.A large amount of spatula accommodated in the hopper 110 is guided to the guide hole 112 for aligning and discharging the spatula. A plurality of guide holes 11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re connected to the die sinker 120.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상기 호퍼(110)에 형성된 가이드 홀(112)을 경유한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한다.The die sinker 120 is guided to be transported while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spatulas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s 112 formed in the hopper 110.

또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상기 호퍼(110)와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상기 호퍼(110)에서 치패가 정량 공급되어 치패들 간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122)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pper conveyor 120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connecting the hopper 110. The tapper conveyor 12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spatula supplied from the hopper 110,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하면에는 치패 간에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치패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치패가 매끄러운 이송을 할 수 있도록 그물망(1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그물망(124)의 하부에는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길이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지지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A net 124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transport 120 to prevent the sticks from sticking to each other an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spatula so that the spatula can be smoothly transpor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ans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esh network 124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cross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ainer 120.

추가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그 바닥면이 치패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호퍼(1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치패를 다음 지점으로 용이하게 이송되게 할 수도 있다.Further, the bottom surface of the tapeturner 120 may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direction of the spatula, so that the spatter conveyed through the hopper 110 can be easily transported to the next spot.

한편,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다수의 치패의 이송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가상의 같은 중심선을 갖도록 배열되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그룹들이 후술될 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groups of the group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roups of the group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unit 200, Are arranged to be arranged in a plurality.

여기서, 상기 치패들이 서로 너무 근접한 상태에서는 정확한 치패의 개수를 계수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치패이송부(12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되, 다소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수의 치패이송부(120)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그룹들 또한 같다.Here, since it is difficult to count the number of accurate spatulas in a state where the spatulas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each of the sputters 120 forming one group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ch is also the same for each of the groups of the plurality of die sinkers 120.

제2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다수로 이루어진 공간부(122)의 각 끝단에는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평면 상 '∧'형상의 가이드부재(126)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n each of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122 in the die-sinker portion 120, a planar '∧' shaped A guide member 126 may be formed.

상기 가이드부재(126)는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다수의 치패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210) 상에 상기 다수의 치패들이 골고루 분포하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26 can prevent a plurality of floats conveyed from the floatation part 120 from being tilted in one direction and allows the plurality of floats to be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conveyor belt 210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는 각각 진동발생기(130)가 설치된다. 상기 진동발생기(130)는 별도의 전력공급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이 진동은 상기 호퍼(110)로부터 공급된 치패를 치패이송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진동파장을 생성하여 상기 치패가 일정한 방향, 즉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상기 치패가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vibration generator 1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either one of the hopper 110 or the tapper 120. The vibration generator 130 generates a strong vibration by receiving power from a separate power source. The vibration generator 130 can transmit the spatula supplied from the hopper 110 to the sparger 120, The wavelength is generated so that the spatula can be aligned and transported in a certain direction, that is, the spatula 120.

상기 호퍼(110) 및 치패이송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hopper 110 and the retainer 120 may be supported by a first support 140 as shown in FIGS.

여기서, 상기 호퍼(110) 및 치패이송부(120)와 제1지지대(140) 간의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50)이 각 모서리마다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스프링(150)은 상기 진동발생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바닥면까지 전달되는 것을 감쇄(減殺)시키는 역할을 한다.An elastic spring 150 may be provided at each corner between the hopper 110 and the retainer 120 and the first support 140. The elastic spring 1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vibration generator 130,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loor surface.

한편, 전술한 호퍼(110)를 포함한 공급부(100)의 부분품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40)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140)의 최하부 각 모서리에는 제1캐스터(14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공급부(100)의 이동을 가능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캐스터(142) 간의 사이에는 다수의 제1수평조절부재(144)가 설치되어 있어서, 지면의 굴곡 등에 따른 상기 공급부(100)의 수평 보정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1 to 3, the parts of the supply part 100 including the hopper 110 are supported by a first support 140, and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rst support 140, The first caster 142 is installed to allow the supply unit 100 to move. A plurality of first horizontal adjustment members 144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sters 1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ly unit 100 so that horizontal correction of the supply unit 100, . ≪ / RTI >

상기 제1수평조절부재(1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대(140)와 체결하기 전에 너트를 볼트 나사산에 결합시키고 정확하게 수평을 조절한 후 상기 제1지지대(140)의 하단면을 관통하여 솟아나온 부위에 또 다른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수평조절부재(144)와 제1지지대(140)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2, the first horizontal adjusting member 144 is coupled to the bolt threads of the bolt threads before tightening with the first support rods 140,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adjustment member 144 and the first support 140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another nut to the portion that penetrates the surface.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를 포함한다.3, the conveyor unit 200 includes an endless track (not shown) which is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die sinker unit 120 and transfers the die sinker conveyed from the die sinker unit 120 to the other side by the drive unit, And a second support 22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conveyor belt 210. The conveyor belt 210 includes a first conveyor belt 210,

여기서, 상기 치패이송부(120)를 경유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로 이송되는 치패들은 서로 달라붙거나 또는 치패들 간의 간격이 좁아서 후술되어질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제대로 판독(判讀)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에 상기 콘트롤박스(510) 또는 제2지지대(220)에 설치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승하강수단(240)이 마련되고, 상기 승하강수단(240)의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정렬 바(242)가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patters conveyed to the conveyor belt 210 via the spatula conveying unit 120 are adhered to each other or the intervals between the spatulas are narrow, so that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ounting camera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Up and down means 240 installed on the control box 510 or the second support table 220 at the entranc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And an alignment bar 242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conveyor belt 210 may be installed below the elevating and lowering means 240.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으로 이송된 치패들은 상기 정렬 바(242)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치패들을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이동시키고, 또한 서로 달라붙거나 근접해 있는 치패들 간의 거리를 멀어지도록 함으로 상기 치패들을 계수카메라(410)로 촬영 시, 촬영 영역 내에 치패들이 그 영역 내에서 짤림 또는 치패가 달라붙어 있을 시 계수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alignment bar 242 is lowered, the dentures transferred to the mouth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push the dentures backward, and move the dentures away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photographing the floodplains with the counting camera 410, errors in counting can be minimized when the floats within the photographing area are stuck in the area.

상기 정렬 바(242)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240)은 제어부(5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정렬 바(242)가 하강할 때 상기 제어부(500)는 그 동작을 인지하여 계수카메라(410)에 촬영 명령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촬영 명령을 받은 계수카메라(410)는 촬영 영역 내에 있는 치패들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500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alignment bar 242 when the alignment bar 242 is lowered and moves the alignment bar 242 upward or downward. The counting camera 410 that sends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ler 410 and receives the photographing command from the controller 500 can take photographs of the inside of the photographing area.

한편, 상기 승하강수단(240)은 공압 또는 유압을 발생시켜 작동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down means 240 may be a cylinder operated by generating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제2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에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컨베이어 벨트(210)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안내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conveyor belt 21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a rotation guide 700 that is rotated in a reverse dir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회전안내부(7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의 제2지지대(220) 양단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축(710)과, 상기 각 지지 축(710)의 끝단에 치합(齒合)되는 회전 축(720)과, 상기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otation guide unit 700 includes a support shaft 71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table 220 at an entrance point of the conveyor belt 210, A rotary shaft 720 fixedly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rotary shaft 720,
Figure pat00002
And a rotary frame 730 formed into a shape of ''.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안내부(700)는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가 상기 회전프레임(730)과 닿으면서 상기 회전프레임(7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프레임(730)이 회전하면서 일정량의 치패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회전프레임(730)에 의해 밀어진 치패들은 상기 회전프레임(73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의 면적만큼의 양이 밀어지게 됨으로써, 촬영 영역 내에 치패가 모두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rotation guide unit 7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frame 730 rotates while the float conveyed from the tapetizer unit 120 contacts the rotation frame 730, and the rotation frame 730 rotates And a certain amount of spatters are pushed backward. The floats pressed by the rotating frame 730 are pushed as much a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otating frame 730, so that all floats can be present in the photographing area.

따라서, 상기 계수카메라(410)로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되는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계수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efficient can be more accurately corrected because there is no spot on the overlapping area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counting camera 41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계수카메라(410)로 촬영 시 중첩되는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프레임(730)의 길이와 감지수단(320) 간의 간격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frame 730 and the sensing unit 320 may be set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no spots are present in the area overlapped with the counting camera 410 during photographing.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는 상기 공급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되게 마련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전단과 후단에는 풀리(212)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 의해 감싸지게 형성되고, 상기 풀리(212)의 일측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14)가 설치된다.The conveyor belt 21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ly unit 100. A pulley 212 is formed on the conveyor belt 210 so as to be surrounded by the conveyor belt 210, A drive motor 214 for transmitting powe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ulley 21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는 무한궤도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공급부(100)로부터 이송된 치패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회전에 의하여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yor belt 210 has an endless track structure. The conveyor belt 210 is conveyed to the other side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또한, 상기 구동모터(214)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리(212)에 동력원을 제공하고, 상기 풀리(212)는 그 동력원을 회전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풀리(212)를 감싸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14)는 유압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The drive motor 214 provides a power source to the pulley 212 to allow the conveyor belt 210 to rotate and the pulley 212 converts the power source into rotational energy to rotate the pulley 212. [ Thereby rotating the conveyor belt 210 surrounding the conveyor belt 210. Here, the driving motor 214 may use either a hydraulic motor or a pneumatic motor.

한편,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에는 종횡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돌기(211)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와 면 접촉되는 치패가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on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protrusions 2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spatters tha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conveyor belt 210 from sticking to each other.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하부에는 그 컨베이어 벨트(210)를 지지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양측까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가 설치된다.And a second support 220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210 while supporting the conveyor belt 210 is installed below the conveyor belt 210.

또한, 상기 제2지지대(220)의 각각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제2캐스터(222)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등의 부분품들이 포함된 컨베이어부(200)의 이동을 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상기 제2캐스터(222) 간의 사이에는 제2수평조절부재(224)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평탄치 않은 지면 등에서 상기 제2수평조절부재(224)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및 그와 연결되어진 부분품 등의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caster 222 is installed at the edge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s 220 so that the conveyor 200 including parts such as the conveyor belt 210 can be moved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adjustment members 224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sters 222 and 222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unit 200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adjustment members 224 The conveyor belt 210 and the parts connected to the conveyor belt 210 can be easily corrected.

상기 제2수평조절부재(2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대(220)와 체결하기 전에 너트를 볼트 나사산에 결합시키고, 정확하게 수평을 조절한 후 상기 제2지지대(220)의 하단면을 관통하여 솟아나온 부위에 또 다른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2수평조절부재(224)와 제2지지대(220)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second leveling member 224 is coupled to the bolt threads before tightening with the second support 220, adjusts the level of the bolt threads,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adjusting member 224 and the second supporting base 220 are firmly fixed.

상기 감지부(3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을 포함한다.The sensing unit 300 includes a vertical bar 310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sensing means 320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220 .

상기 수직봉(31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다수 개가 일렬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수직봉(310)은 최소 1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너비 등을 감안하여 그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vertical bars 310 are fixed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number of the vertical bars 310 may be at least one, and the number of the vertical bars 31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view of the width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the like.

또한, 상기 수직봉(310)을 인식하는 감지수단(320)이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와 고정 결합된 수직봉(310)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감지수단(320)에 감지될 때, 감지신호가 촬영부(400) 및 제어부(500)로 전달되어 후속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320)은 리미트 스위치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ensing means 320 for recognizing the vertical bar 31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220. When the vertical bar 310 fixed to the conveyor belt 210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conveyor belt 210 and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320, a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mage sensing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500, So that a subsequent operation is carried out. Meanwhile, the sensing means 320 may be formed as a limit switch.

상기 촬영부(4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된다.The photographing unit 4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via a support frame 230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table 220 on the conveyor belt 210, A counting camera 410 for photograph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310 when the conveyor belt 210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is stopped is provided.

상기 계수카메라(410)는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의 개수를 촬영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된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될 경우에만 촬영 명령 신호를 받는다. 이때,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부(200)의 작동은 한시적(일시적)으로 중지된다. 예를 들면, 감지가 되는 시점부터 약 1초간 작동을 중지한 후에 다시 작동을 하고, 상기 컨베이어부(200)가 작동을 멈추는 동안에는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컨베이어 벨트(210)의 지정된 영역을 제어부(500)로부터 촬영 명령 신호를 받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지시간은 관리자가 외부에서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unting camera 410 photographs the number of spatulas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and only when the vertical bar 310 fixed to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is sensed by the sensing means 320 And receives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At this time, when the vertical bar 310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320,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unit 200 is temporarily stopped. For example, when the conveyance unit 200 stops operating, the counting camera 410 rotates the designated area of the conveyor belt 2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user can take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from the camera 500 and take a photograph.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op time may be arbitrarily changed by an administrator from the outside.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촬영하는 지점은 어느 한 지점에 국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게 좋다.Although the point at which the counting camera 410 photographs is not limited to one point, it is preferable to photograp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310.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30)에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照射)하도록 조명등(4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등(420)은 조도(照度)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치패를 촬영 시 주위가 어둡게 되면 촬영된 영상을 판독, 즉 계수를 정확하게 하기 곤란할 수 있음으로 상기 조명등(420)으로 조도를 향상시켜 밝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support frame 230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420 to irradiate light on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The illuminating lamp 420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illuminance. When the counting camera 410 is dark when the camera is photographed, it may be difficult to read the captured image, that is, correct the counting accuracy So that the illuminance is improved by the illumination lamp 420 so that a bright image can be photographed.

또한, 상기 조명등(420)은 밝기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LED로 된 조명등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llumination lamp 420 uses an LED lamp in consideration of brightness, durability,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된다.The control unit 500 is provided with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for receiv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ounting camera 410 and reading the received image to count the number of false teeth.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상기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하여 일정 높이에 설치된 계수카메라(410)와 동일하게 콘트롤박스(5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된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한시적(일시적)으로 중지되면서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판독하여 촬영된 영상 내에 존재하는 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is accommodated in the control box 51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nting camera 41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via the support frame 230 and is mounted on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When the fixed bar 310 is sensed by the sensing means 320,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is temporarily stopped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310 is detected by the counting camera 310. [ And the number of spots existing in the photographed image is counted by receiving the photographed image.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박스(510)는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일측에 수동 제어를 가능토록 하는 각종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내부에는 전술한 계수카메라(410) 및 영상계수처리기(512) 외에 전자제어에 요구되는 각종 부품 등이 내장되어 있다.10, the control box 510 is provided with various buttons for allowing a manual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510, Various components required for electronic control are incorporated in addition to the coefficient camera 410 and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데이터 저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치패의 정상적인 영상을 저장하고 촬영된 영상과 비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unit to store a normal image of the toothpaste and compare the image with the photographed image.

따라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된 치패의 크기 및 모양의 이미지와 촬영된 영상을 중첩 또는 비교함으로써 치패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can count the number of spoons by superimposing or comparing the image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sponge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with the photographed image.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치패의 크기는 작업자가 임의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spatula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operator.

한편, 상기 계수카메라(410)가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된 영역에 치패가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0)에서 기 설정된 치패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중첩된 영역에서 촬영된 영상의 치패의 크기를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크기로 인식하여 계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00 may adjust the size of the spatula of the image captured in the overlapping are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atula, The sizes can be divided or merged to be recognized as one individual size and counted.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전면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치패의 전체수량, 누적수량, 현재수량, 설정수량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 등의 정보를 화면 상에 송출해주어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5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to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quantity, the cumulative quantity, the present quantity, the set quantity,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spatula on the screen, A display unit 520 can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된 치패의 개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530)가 설치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trol box 510 may be provided with a printer 5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for printing the number of floors counted by the image count processor 512 on a sheet of paper.

상기 프린터(530)에서 출력되는 용지는 라벨스티커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치패의 개수를 실시간으로 계수하여 그 계수된 수량을 상기 라벨스티커로 출력하여 출하될 제품에 바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aper output from the printer 530 can utilize a label sticker or the like and can count the number of spatulas in real time and output the counted quantity to the label sticker so that i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product to be shipp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perform.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한 치패의 수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퍼(110), 구동모터(214), 유도부재(600), 프린터(530) 및 승하강수단(240)과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hopper 110, the driving motor 214, the induction member 600, the printer 530, and the rising and falling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m so that they interact with the means 240.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지되, 상광하협(上廣下挾) 형상의 상부측과 하부측은 한 쌍의 유도구(610)가 형성된다.8 and 9, the guide member 600 is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member 600 are opene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light- A pair of male tool 610 is formed.

상기 유도부재(600)는 컨베이어부(200)의 끝단과 바로 인접한 지점에 구비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면이 협소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guide member 60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immediately adjacent to an end of the conveyor unit 200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inner side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Further,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formed in an open structure.

한편,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유도구(610)의 면적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치패가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부재(6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620)는 회전 축(632)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 축(632)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rotating member 620 may be installed at an inner cent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600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oil guide 610 and to selectively move the spatula. The rotating member 62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632 and the rotating shaft 632 may be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to rotate.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수단(630)은 이와 연결된 회동부재(620)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면서, 일측 지점은 개방되고 타측 지점은 폐쇄되거나 일측 지점은 폐쇄되고 타측 지점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8 and 9, the rotating unit 630 rotates the pivoting member 620 connected to the pivoting member 620 about its axis, while one side is opened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or one side is closed and the other side The point is made up of an open structure.

따라서, 유도구(610)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을 시, 상기 유도구(610)의 타측에는 출하(出荷)될 치패를 담을 수 있는 수납수단(602)을 미리 설치하여 출하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수단(602)은 어떠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그물망을 사용하는게 좋다.Therefore, when the one side of the oil tool 610 is opened, the storage means 602 for storing the spatters to be shipped can be installed in advance on the other side of the oil tool 610, . The storage means 602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on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network.

한편,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은 에어실린더(634)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0)에서 계수된 양 만큼의 수량이 상기 수납수단(602)에 담아졌을 때, 상기 에어실린더(634)는 왕복 이동을 하면서, 상기 회동부재(620)가 일측을 폐쇄하고, 타측은 개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ng unit 630 extending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is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634 so that the quantity of the quantity counted by the controller 500 is supplied to the receiving unit 602 The air cylinder 634 is reciprocally moved so that the pivotal member 620 close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ens.

다시 말하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를 수행하며, 정해진 수량만큼의 양, 예를 들어 500개 단위로 치패를 출하하고자 할 때, 상기 회동부재(620)의 개방되어진 유도구(610)에 500개의 치패가 수납수단(602)에 완전히 담아져서 출하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유도구(610)는 폐쇄하고 타측 유도구(610)를 개방하여 다시 500개의 치패를 수납수단(602)에 완전히 담아서 출하시킬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및 회동부재(620)는 제어부(500)와 상호 연동되어, 정해진 수량만큼의 치패가 출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other words, when performing the counting in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and attempting to ship the dishwasher by a predetermined amount, for example, 500 units, the opened tool 610 of the tiltable member 620, 500 stalls are complete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602 and ready to be shipped, the oil tool 610 is closed and the other oil tool 610 is opened and 500 stalls are complete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602 And prepare to ship it. At this time, the conveyor belt 210 and the tiltable member 620 interlock with the control unit 500 to control the shipment of the predetermined number of spots.

제2실시예로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어 상기 유도구(610)를 경유한 치패의 양이 사용자가 설정한 수량만큼 더욱 정확하게 수납수단(602)에 담아지도록 상기 유도구(610)의 개구된 부위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판(6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판(650)은 왕복실린더(640)에 의해 왕복 이동하며, 상기 왕복실린더(640)는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왕복실린더(640)가 작동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spatula f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and passed through the oil tool 610 may be more accurate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602 by the amount set by the user, Closing plate 650 that opens or closes the opened portion of the door. The shut-off valve 650 is reciprocated by a reciprocating cylinder 640. The reciprocating cylinder 6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and the reciprocating cylinder 64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0 Can be operated.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판(650)의 표면은 치패가 이탈되지 않도록 울퉁불퉁한 돌기가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판(650)의 양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어, 상기 치패가 가장자리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15 and 16, a plurality of rugged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650 so as to prevent the spatula from being detached, and both end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650 are bent So that the spatula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space formed at the edge.

여기서, 상기 에어실린더(634)는 상기 에어콤프레셔(636)에서 발생되는 공압으로 그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다.Here, the air cylinder 634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air compressor 636, which is generated by the air compressor 636.

한편,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유도부재(600)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컨베이어 벨트(210)와 인접된 지점의 상기 유도부재(600)의 외측면은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는 종측, 즉 가로방향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600)의 상부 외측면이 굴곡진 이유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상기 유도부재(60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A third embodiment of the guide member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FIG. The guide member 600 may have a curved shape at an outer side of the guide member 60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veyor belt 210 with open upper and lower portions.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60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wo spaces. The reason why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600 is curved is to smoothly discharge the spatula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또한,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600)의 메커니즘은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설치된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포함하는 수직실린더(660)가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치패가 정해진 수량 만큼의 양이 상기 유도부재(600)의 2개의 공간 중 하나인 제1유도구(670)로 배출되었을 때, 상기 유도부재(600)가 이동되면서 치패가 제2유도구(680)로 배출되게 된다. 이 같은 작동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수직실린더(66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실린더(660)는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매개로 상기 유도부재(600)의 양측면과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600)와 컨베이어 벨트(21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가 상기 공간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낙하방지부재(69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낙하방지부재(690)는 고무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Further, the guide member 600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17 and 18, the mechanism of the guide member 600 is such that a vertical cylinder 660 including a vertical cylinder rod 662 install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exit point of the conveyor belt 210, When the amount of the spatula is discharged to the first oil tool 670 which is one of the two spaces of the guide member 600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member 600 is moved, An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il tool 680. In this operation, a vertical cylinder 66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exit point of the conveyor belt 210 while supporting the guide member 600, and the vertical cylinder 66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cylinder rod 662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guide member (600). In addition, a fall preventing member 690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guide member 600 and the conveyor belt 210 to prevent the spatters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from falling into the space. In addition, the drop prevention member 690 is preferably formed of a rubber-based material.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은 중앙부가 힌지 결합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양 끝단은 유도부재(600)와 컨베이어부(200)의 제2지지대(220)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하부 일 끝단은 상기 제2지지대(220)에 고정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부 끝단에서 하부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에 다른 수단과 고정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힌지 결합 구조의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6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X' shape having a central portion hinged, and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600 and the second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2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the height of the guide member 600 can be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hinge-coupling structure by moving the portion that is not fixedly coupled with other means in the lower portion.

추가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전술한 회전수단(630)과 마찬가지로 에어실린더(634)를 연결하여, 상기 에어실린더(634)의 왕복 이동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The air cylinder 634 may be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means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ting means 630 described above to operate the height adjusting means by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air cylinder 63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전복의 치패 개수를 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계수처리기에서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음으로, 제품 출하 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노동력의 절감과 동시에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음으로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spots of an abalone transferred to a conveyor can be photographed as an image, and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can accurately count the number of spots of an abalone transferred to a conveyor,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cut work time considerably by being able to work at the same time as saving.

10 : 계수장치 410 : 계수카메라
100 : 공급부 420 : 조명등
110 : 호퍼 500 : 제어부
112 : 가이드 홀 510 : 콘트롤박스
120 : 치패이송부 512 : 영상계수처리기
122 : 공간부 520 : 디스플레이부
124 : 그물망 530 : 프린터
126 : 가이드부재 600 : 유도부재
130 : 진동발생기 602 : 수납수단
140 : 제1지지대 610 : 유도구
142 : 제1캐스터 620 : 회동부재
144 : 제1수평조절부재 630 : 회전수단
150 : 탄성스프링 632 : 회전 축
200 : 컨베이어부 634 : 에어실린더
210 : 컨베이어 벨트 636 : 에어콤프레셔
211 : 돌기 640 : 왕복실린더
212 : 풀리 650 : 개폐 판
214 : 구동모터 660 : 수직실린더
220 : 제2지지대 662 : 수직실린더 로드
222 : 제2캐스터 664 : 브라켓
224 : 제2수평조절부재 670 : 제1유도구
230 : 지지프레임 680 : 제2유도구
240 : 승·하강수단 690 : 낙하방지부재
242 : 정렬 바 700 : 회전안내부
300 : 감지부 710 : 지지 축
310 : 수직봉 720 : 회전 축
320 : 감지수단 730 : 회전프레임
400 : 촬영부
10: Coefficient device 410: Coefficient camera
100: supply section 420: illumination light
110: hopper 500: control unit
112: guide hole 510: control box
120: send-to-the-shelf 512: image coefficient processor
122: Space part 520: Display part
124: Network 530: Printer
126: guide member 600: guide member
130: vibration generator 602: storage means
140: first support table 610: oil tool
142: first caster 620: pivot member
144: first horizontal adjusting member 630: rotating means
150: elastic spring 632: rotating shaft
200: Conveyor part 634: Air cylinder
210: Conveyor belt 636: Air compressor
211: projection 640: reciprocating cylinder
212: pulley 650: opening / closing plate
214: drive motor 660: vertical cylinder
220: second support pedestal 662: vertical cylinder rod
222: second caster 664: bracket
224: second leveling member 670:
230: Support frame 680:
240: a lifting / lowering means 690: a fall preventing member
242: alignment bar 700: rotation guide
300: sensing part 710: supporting shaft
310: vertical rod 720: rotating shaft
320: sensing means 730: rotating frame
400:

Claims (15)

다량의 치패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치패를 정렬하여 하강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가이드 홀(112)이 형성된 호퍼(110)와, 상기 호퍼(11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들 간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유도하는 치패이송부(120)와, 상기 호퍼(110) 또는 치패이송부(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진동발생기(130)와, 상기 호퍼(110)와 치패이송부(12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대(14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출측에 마련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에서 이송되어진 치패를 구동수단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지지대(220)로 구성된 컨베이어부(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수직봉(310)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형성되는 감지수단(320)으로 구성된 감지부(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상부에 상기 제2지지대(220)와 고정 결합된 지지프레임(230)을 매개로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310)이 감지수단(320)에 감지되어 일시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작동이 정지될 때, 상기 수직봉(310)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계수카메라(410)가 마련되는 촬영부(400);
상기 계수카메라(4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받아 그 수신된 영상을 판독하여 치패를 계수하는 영상계수처리기(512)가 마련되는 제어부(5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에 구비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하부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담을 수 있도록 수납수단(602)이 마련되는 유도부재(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A hopper 110 having a plurality of guide holes 112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spatulas and aligning the received spatulas and discharging the spatters downwardly; A vibration generator 130 installed at one side of either one of the hopper 110 and the tapper 120 and a hopper 110 and a sparger 120 connected to the hopper 110, A first support 140 configured to be supported;
A conveyor belt 210 having an endless track structure which is provided on the exit side of the tapeturner 120 and conveys the spatters transferred from the tapetorer 120 to the other side by a driving means, A conveyor part 200 composed of a second support part 220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conveyor part 200;
A sensing unit 300 including a vertical bar 310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sensing means 320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220.
The vertical bar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or belt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a support frame 230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220. The vertical bar 310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320, A photographing unit 400 provided with a counting camera 410 for photograph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vertical bars 310 when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is stopped;
A controller 500 having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ounting camera 410 and reading the received image to count the number of false teeth;
And an induction member 600 provided at an outgoing side of the conveyor belt 210 and open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with receiving means 602 for receiving a spatula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Wherein the overturning countermeasure device compri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이송부(12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간부(122)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하면에는 그물망(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esh networ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petransport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패이송부(120)의 공간부(122) 각 끝단에는 치패가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평면 상 '∧'형상의 가이드부재(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Shaped guide member (126) is formed on each end of the space portion (122) of the tapeturner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tula is transpor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는 계수카메라(410)가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중첩된 영역에 치패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치패의 크기에 맞추어 분할하거나 병합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크기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divides or merges th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spatula and recognizes them as one individual size when there is a spat on the overlapped area in the image continuously captured by the coefficient camera 410 The overturning countermeasures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130)는 진동파장을 발생시켜 상기 치패를 이송방향으로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generator (130) generates a vibration wavelength to guide the spatula in a conveying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제어부(500)와 영상계수처리기(512)를 내장하는 콘트롤박스(510)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계수처리기(512)에서 계수된 치패의 개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하는 프린터(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box 510 having a control unit 500 and an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230. One side of the control box 5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And a printer (530) for printing the number of spots counted by the image coefficient processor (512) on a sheet and outputting the printed image is provided.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510) 또는 제2지지대(220)에 승·하강수단(240)에 의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송되는 치패를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정렬 바(2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alignment bar 242 is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and lowering means 240 to move the sparrow conveyed from the conveyor belt 210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입측지점의 제2지지대(220) 양단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축(710)과, 상기 각 지지 축(710)의 끝단에 치합되는 회전 축(720)과, 상기 회전 축(72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프레임(730)으로 구성된 회전안내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shaft 710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a second support 220 at an entrance of the conveyor belt 210, a rotation shaft 720 engaged with an end of each support shaft 710, And is fixedly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rotation axis 720,
Figure pat00003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guide part (700) composed of a rotation frame (730) formed in a shape of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510)의 전면에는 치패의 전체수량, 누적수량, 현재수량, 설정수량 및 컨베이어 이송 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display unit (5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box (510) to display the total quantity, cumulative quantity, current quantity, set quantity, and conveyor feed rate of the spatul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에는 치패가 달라붙지 않도록 다수의 돌기(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so that a spatula does not stick 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하부에는 한 쌍의 유도구(610)가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 중앙에 상기 유도구(610)의 면적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치패가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회동부재(620)와, 상기 회동부재(620)와 회전 축(632)이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전수단(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600 has a pair of oiled tools 610 formed at the lower part thereof in the shape of an upper light bulb and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guide member 600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oiled tool 610, And a rotating means 630 extending from the rotating member 620 and the rotating shaft 632 so as to extend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Overturning spoiler counting devic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630)은 상기 유도부재(600)를 관통한 회전 축(632)에 연결되는 에어실린더(634)와, 상기 에어실린더(634)와 연결되는 에어콤프레셔(6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ting means 630 includes an air cylinder 634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632 passing through the guide member 600 and an air compressor 636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634. [ To-be-measur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6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의 개구된 부위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부 외측면이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재(600)의 내부는 종측으로 격벽이 설치되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두 개의 공간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한 공간으로 치패가 이송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지점의 양단 일측에 수직실린더(660)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실린더(660)는 수직실린더 로드(662)를 매개로 상기 유도부재(600)의 양측면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member 600 is formed such that its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its upper open portion is bent toward the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A partition is provided to form two spaces,
A vertical cylinder 66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exit point of the conveyor belt 210 so that the spatula can be selectively transferred to any one of the two spaces while supporting the guide member 600, 66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member (600) via the vertical cylinder rod (662) and are moved up and dow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출측 하부에 제2지지대(220)의 프레임을 매개로 왕복실린더(640)가 설치되고, 그 왕복실린더(640)는 치패 유입량에 따라 상기 유도부재(600)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 판(650)이 상기 왕복실린더(640)와 연결되고,
상기 개폐 판(650)은 치패가 닿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며, 그 양단은 상방을 향하여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ciprocating cylinder 64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belt 210 through a frame of the second support frame 220 and the reciprocating cylinder 64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guide member 600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650 for opening and closing is connected to the reciprocating cylinder 640,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late (65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on a surface thereof to which the spatula touches, and both ends thereof are bent upw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30)에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조명등(4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치패 계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230) is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420) for irradiating light on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10).
KR1020160059737A 2016-05-16 2016-05-16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KR101812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37A KR101812298B1 (en) 2016-05-16 2016-05-16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737A KR101812298B1 (en) 2016-05-16 2016-05-16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67A true KR20170128967A (en) 2017-11-24
KR101812298B1 KR101812298B1 (en) 2017-12-26

Family

ID=6081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737A KR101812298B1 (en) 2016-05-16 2016-05-16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29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525A (en) * 2018-05-24 2018-09-07 福建省欧麦鑫自动化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ntal package lid movement system of automation
CN109533885A (en) * 2018-11-15 2019-03-29 吴建德 A kind of kitchen waste oil bottoms conveying device
CN109720807A (en) * 2019-01-03 2019-05-07 浙江东精工量具有限公司 A kind of air level production line
CN109775015A (en) * 2018-10-30 2019-05-21 保定来福汽车照明集团有限公司 A kind of double pointed bulb packing machine
KR101984812B1 (en) * 2018-11-16 2019-06-03 박종택 Apparatus for injecting reagent
KR20200043577A (en) * 2018-10-17 2020-04-28 임형용 Automatic counter equipment abalone spa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66B1 (en) * 2010-03-02 2012-01-04 주식회사 서울금속 Work Transferring Device and Vision Examiner with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2525A (en) * 2018-05-24 2018-09-07 福建省欧麦鑫自动化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ental package lid movement system of automation
KR20200043577A (en) * 2018-10-17 2020-04-28 임형용 Automatic counter equipment abalone spat
CN109775015A (en) * 2018-10-30 2019-05-21 保定来福汽车照明集团有限公司 A kind of double pointed bulb packing machine
CN109533885A (en) * 2018-11-15 2019-03-29 吴建德 A kind of kitchen waste oil bottoms conveying device
KR101984812B1 (en) * 2018-11-16 2019-06-03 박종택 Apparatus for injecting reagent
CN109720807A (en) * 2019-01-03 2019-05-07 浙江东精工量具有限公司 A kind of air level production line
CN109720807B (en) * 2019-01-03 2023-09-19 浙江东精工量具有限公司 Bubble production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298B1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298B1 (en)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CN210585958U (en) Auxiliary device for identifying and sorting mildewed corns
US8635840B2 (en) Device for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composition of bulk material
US8967365B2 (en) Component feeder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and displaying components
KR101278630B1 (en) Automatic injection method of a vaccine for a fish using a process of shape image
NZ227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ccination of fish
KR101983611B1 (en) Abalone spat counter equipment
JP2011098255A (en) Foreign substance selector of tea leaves
KR20200089983A (en) size sorting machine of young abalone
KR101891654B1 (en) Counting device for spat
JP4973332B2 (en) Nori appearance inspection equipment
KR102259879B1 (en) Sorting and carculating device for young abalone
JP6006568B2 (en) Fish small bone remover
JP5780642B2 (en) Combine
JP2002086075A (en) Fish selecting and living fish fainting apparatus
SE1351121A1 (en) Device for removing bone from fish meat
JP4199898B2 (en) Agricultural product supply equipment
JP2013094764A (en) Pod sorting apparatus
KR101593384B1 (en) apparatus for sorting a bolt
JP4658703B2 (en) Piece inspection device and piece inspection method
JP3916619B2 (en) Different color pasta sorter
KR101763565B1 (en) Apparatus for sorting low-quality garlic
KR101147628B1 (en) Straw inferior goods detection and honest goods throwing apparatus
JP2009254266A (en) Separation part structure of threshing apparatus
CN212638042U (en) Egg letter sorting pack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