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529A - 향미 흡인기,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529A
KR20170127529A KR1020177028579A KR20177028579A KR20170127529A KR 20170127529 A KR20170127529 A KR 20170127529A KR 1020177028579 A KR1020177028579 A KR 1020177028579A KR 20177028579 A KR20177028579 A KR 20177028579A KR 20170127529 A KR20170127529 A KR 20170127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holding member
flow path
flavor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147B1 (ko
Inventor
타쿠마 나카노
마나부 다케우치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10Devices with chemical heating means
    • A24F47/006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2Cigarettes with integrated combustible heat sources, e.g. with carbonaceous hea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2/00Simulated smoking devices other than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or testing thereof
    • A24F42/60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Seasoning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내측 보유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측벽의 일부를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FLAVOR INHALER, INSIDE HOLDING MEMBER, PRODUCTION METHOD FOR FLAVOR INHALER, AND PRODUCTION METHOD FOR INSIDE HOLDING MEMBER}
본 발명은, 연소형 열원(熱源) 및 향미원(香味源)을 구비한 향미(香味) 흡인기(吸引器),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는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 대신에, 담배 등의 향미원을 연소시키는 일없이, 향미를 맛보는 향미 흡인기(흡연 물품)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연소형 열원과, 에어로졸 생성원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를 개시하고 있다. 연소형 열원은, 향미 흡인기의 착화단(着火端)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생성원은, 연소형 열원보다 비착화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생성원은, 연소형 열원에 의해 발생한 열에 대응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3/120855호
제1 특징은,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상기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筒狀)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係止) 가능한 걸이부(爪部)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 측벽의 한쪽 측에서 다른쪽 측으로 향하는, 상기 도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또는 제2 특징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그 영역을 그 둘레의 영역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단하는 분단부(分斷部)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갖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분단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절곡(折曲)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1 또는 제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소정 개소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가하기 시작하여, 상기 소정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압압력을 가하는 개소를 넓혀 감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측벽을 통상으로 형성한 후에, 상기 걸이부가 상기 제1 측벽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제1 측벽에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도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1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측벽에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도입구를 형성한 후에, 상기 걸이부가 상기 제1 측벽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측벽을 통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1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내측 보유 부재를 열전도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1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내측 보유 부재가 외기(外氣)와 유체(流體)적으로 연통하는 관통구(貫通口)를 갖는 제2 측벽을 구비한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된 때에, 상기 관통구와 상기 도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통과하는 제1 유로 중 상기 향미원의 외주(外周)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의 길이를, 그 향미원 외주 구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상기 도입구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된 유로 형성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8 특징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에 감긴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8 특징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의 외면에 일체 형성된 돌기 또는 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상기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통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측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상의 보유 부재와,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과, 상기 연소형 열원에 대해 상기 비착화단측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형 열원 및 상기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를 갖고, 상기 내측 보유 부재는,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의 제1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갖는 향미 흡인기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로서,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의 제1 측벽을 갖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2A-2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의 3A-3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 도 5는, 도 4의 5A-5A선을 따른 내측 보유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제1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 도 7은, 제1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의, 도 6과는 반대측의 평면도이다.
[도 8] 도 8은, 제2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 도 9는, 제3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제4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의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내측 보유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도 12는, 도 11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도 12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도 13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의 내측 보유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도 16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 도 18은, 다른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도 19는, 도 18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도 20은, 또 다른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도 22는, 도 21에 이어지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 도 23은,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24] 도 24는,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25] 도 25는,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도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의 개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은,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상기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爪部)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은,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상기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통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측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다.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는,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상의 보유 부재와,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과, 상기 연소형 열원에 대해 상기 비착화단측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형 열원 및 상기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를 갖고, 상기 내측 보유 부재는,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의 제1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갖는다.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는,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로서,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의 제1 측벽을 갖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갖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이부 및 도입구는, 제1 측벽의 일부를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동일한 단계에서 형성할 수 있다. 걸이부와 도입구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A-2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A-3A선을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단면도이다. 향미 흡인기(1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와, 내측 보유 부재(50)와, 연소형 열원(70)과, 향미원(90)을 갖는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착화단(E1)으로부터 비착화단(E2)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착화단(E1)은, 연소형 열원(70)이 설치되는 쪽의 단부이다. 비착화단(E2)은, 흡인구(吸引口)(40)가 설치된 쪽의 단부이다. 흡인구(40)는, 향미를 흡인하기 위해 유저에 의해 물려지는 곳에 위치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 또는 각통(角筒)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開口)는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내측 보유 부재(50) 및 연소형 열원(70)이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를 막고 있다. 이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로부터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기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다. 단, 내측 보유 부재(50)의 일부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연소형 열원(70)의 적어도 일부와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를 보유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통상의 제1 측벽(51) 및 도입구(55)를 갖는다. 제1 측벽(51)은,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와 연소형 열원(7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제1 측벽(51)은,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고, 연소형 열원(70)을 둘러싸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입구(55)는, 제1 측벽(51) 내의 향미원(90)에 공기를 도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55)는, 제1 측벽(51)에 형성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연소형 열원(7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에 설치되어 있다. 연소형 열원(70)은, 가연성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가연성 물질은, 탄소 재료, 불연성 첨가물, 바인더(유기 바인더 또는 무기 바인더)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탄소 재료로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휘발성 불순물을 제거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형 열원(70)은, 연소형 열원(70)의 전체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30중량%∼70중량% 범위의 탄질(炭質) 재료를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45중량% 범위의 탄질 재료를 포함한다.
연소형 열원(70)은, 착화단(E1)측의 부분이 연소하지만, 비착화단(E2)측의 단부가 연소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연소형 열원(7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가 비연소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연소형 열원(70)의 그 이외 부분이 연소부를 구성하고 있다.
향미원(9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측에서, 연소형 열원(70)보다 비착화단(E2)측에 설치되어 있다. 향미원(90)은, 연소형 열원(70)에 인접해 있어도 된다. 향미원(90)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향미원(90)은, 연소형 열원(7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향미를 발생시킨다.
향미원(90)으로는, 예를 들면, 담배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향미원(90)은, 시가렛(지궐련)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살담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코담배에 사용되는 입상(粒狀) 담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원(90)은, 담배 원료에 더하여,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향미원(90)은 향료를 포함해도 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을 둘러싸는 통상의 제2 측벽(32)을 갖는다. 제2 측벽(32)은, 착화단(E1)측으로부터 비착화단(E2)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측벽(32)은, 예를 들면, 직사각 형상의 두꺼운 종이를 통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 지관(紙管)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의 적어도 제1 측벽(51)은, 열전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측 보유 부재(50)는, 열전도 부재에 의해 일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전도 부재의 상온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은, 착화단(E1)으로부터 비착화단(E2)에 따른 방향에서, 10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 부재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 강으로는, 예를 들면, SUS430을 사용할 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가 스테인리스 강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의 두께는,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은, 내측 보유 부재(50)에 면하는 제1 열전도 부재(33)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적어도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연소형 열원(70)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연소형 열원(70)으로부터 향미원(90)으로의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면보다 비착화단(E2)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열전도 부재(33)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열전도 부재(33)의 열전도율은, 제1 측벽(51)의 열전도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열전도 부재(33)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은, 외기와 유체적으로 연통하는 관통구(34)를 갖는다. 관통구(34)는, 향미원(9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보다 착화단(E1)측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유로 형성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형성 부재(60)는,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외기를 향미원(90)으로 흐르게 하기 위한 제1 유로(36)를 형성한다.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1 측벽(51) 및 제2 측벽(32)과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대신하여,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1 측벽(51) 또는 제2 측벽(32)과 일체 형성된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유로(36)는, 제2 측벽(32)의 관통구(34)와 내측 보유 부재(50)의 도입구(55)를 연결하고 있으며,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제1 측벽(51)의 외면에 설치된 열전도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열전도 부재는, 제1 열전도 부재(33)와 동일하게, 적어도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열전도 부재는, 연소형 열원(70)으로부터 향미원(90)으로의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이 열전도 부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 보유 부재(50)가 제1 측벽(51)의 외면에 인접한 열전도 부재를 갖는 경우, 제1 열전도 부재(33)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1 측벽(51)의 외면의 열전도 부재와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는, 향미원(90)에서 발생한 향미를 흡인구(40)로 흐르게 하기 위한 제2 유로(38)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로(38)는, 향미원(90)에서 발생한 향미를 흡인하는 흡인구(40)와 향미원(90)을 연결하고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의 도입구(55)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관통구(34)보다 착화단(E1)측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유로(36)는 향미원(9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보다 착화단(E1)측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에 의한 퍼프 동작 중, 외기는, 관통구(34)로부터 제1 유로(36)로 들어간다(도 2의 화살표 F1). 그 다음에, 외기는 도입구(55)를 통해 향미원(90)에 도달한다(도 2의 화살표 F2). 제1 유로(36)를 통과하는 외기는, 연소형 열원(70)의 연소부에 접하는 일없이, 향미원(90)에 도달한다. 향미원(90)에 도달한 공기는, 향미와 함께, 제2 유로(38)를 통해 흡인구(40)에 이른다(도 2의 화살표 F3 및 F5). 향미원(90)은 연소형 열원(70)에 의해 가열되고 있으므로, 향미원(90)을 통해 제2 유로(38)에 유입되는 기체는, 고온이 되어 있다.
통상의 보유 부재(30)는, 제2 유로(38) 내에 외기를 직접 유입시키는 구멍(39)(이하, 「벤틸레이션 구멍」이라고 칭한다)을 갖는다. 여기서, 「직접 유입」이란, 향미원(90)을 거치는 일없이, 제2 유로(38) 내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체를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2의 화살표 F4). 예를 들면,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제2 유로(38)의 중심축을 향해 기체를 유입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벤틸레이션 구멍(39)끼리의 사이의 간격은, 일정해도 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CL)에 대해, 흡인구(40)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벤틸레이션 구멍(39)은, 제1 열전도 부재(33)와 냉각층(8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 중 임의의 하나는,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 중 다른 것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 중 다른 것과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잇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이 경우, 벤틸레이션 구멍(39)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벤틸레이션 구멍(39)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따른 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연히, 복수의 벤틸레이션 구멍(39)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을 따른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향미원(90)에서 발생한 향미를 냉각하는 층이다.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유로(38)에 면해 있다. 냉각층(80)은, 제2 유로(38)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제2 유로(38)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층(80)은, 향미원(90)보다 하류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층(80)의 두께는, 제2 유로(38)의 유체 저항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로(38)의 지름에도 따르지만, 예를 들면, 냉각층(80)의 두께는, 5㎛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에 수직인 단면(斷面)에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벽의 내측 단면적에 대한 냉각층(80)의 단면적의 비율이,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4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5% 이하이다. 예를 들면,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중심축(CA)에 수직인 단면에서,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외경이 5㎜∼8㎜,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두께가 0.15㎜∼0.5㎜, 및 냉각층(80)의 두께가 0.05㎜∼0.5㎜이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층(80)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하류에만 설치되어 있다. 즉, 냉각층(80)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상류측에 도달해 있지 않다. 이 대신에, 냉각층(80)의 일부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상류측에 도달해 있어도 된다. 즉, 냉각층(80)의 적어도 일부가, 벤틸레이션 구멍(39)보다 하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냉각층(80)은, 제2 유로(38)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 제2 유로(38)의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열전도 부재(33)와 이간(離間)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향미를 통과시키는 단일 채널을 규정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냉각층(80)의 내측은 중공(中空)이다. 여기서, 「냉각층(80)의 내측이 중공이다」란, 흡인구(40)에 설치된 필터(42)를 빼고, 냉각층(80)의 내측에 임의의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유로(38) 내의 공동(空洞) 부분의 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단일 채널을 규정하고, 또 냉각층(80)의 내측이 중공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층(80)의 내측은 중공이다. 이에 대신하여, 냉각층(80)의 내측에, 제2 유로(38)의 유로 저항을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을 정도로, 임의의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유로의 중심축을 따라 원주상(圓柱狀)의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관계없다. 이 원주상 부재의 외주면에, 다른 냉각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제2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열전도 부재는 금속이어도 된다. 일례로서, 냉각층(80)은, 금속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신하여, 냉각층(80)은, 종이와, 해당 종이에 첩합(貼合)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금속 첩합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대신에, 냉각층(80)은, 폴리 유산(PLA)을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또한, 냉각층(80)은, 통상의 보유 부재(30)를 구성하는 제1 열전도 부재(33)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층(80)은, 냉각층(80)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요철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요철은, 예를 들면, 냉각층(80)의 표면을 크레이프(crepe)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요철에 의해, 제2 유로(38)의 단면적이 너무 작아지는 일없이, 냉각층(80)의 열교환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의 상세 구성)
이하, 도 2,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내측 보유 부재(50) 및 유로 형성 부재(6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에서는, 편의상, 제2 측벽(32)에 형성된 관통구(34)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제1 측벽(51) 및 걸이부(54)를 갖는다. 제1 측벽(51)은, 통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측벽(51)은, 착화단(E1)측으로부터 비착화단(E2)을 향해, 제1 측벽(51)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걸이부(54)는, 제1 측벽(51)의 내면으로부터 내측 보유 부재(50)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을 갖는다. 걸이부(54)는, 연소형 열원(70)을 걸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걸이부(54)는 연소형 열원(70)의 단면을 걸고 있다. 그러나, 걸이부(54)가 걸고 있는 위치는, 연소형 열원(70)의 단면에 한하지 않는다.
걸이부(54)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 대향하는 1쌍의 걸이부(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이부(54)는, 3개 이상의 걸이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제1 측벽(51)의 내부에 배치된 향미원(90)에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55)를 갖고 있다. 도입구(55)는, 걸이부(54)와 연소형 열원(70)의 접점에 대해 비착화단(E2)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입구(55)는, 걸이부(54)와 연소형 열원(70)의 접점에 대해 비착화단(E2)측에 인접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걸이부(54)는, 제1 벽부(51)의, 도입구(55)의 가장자리를 규정하는 부분을 기점으로, 제1 벽부(51)의 내측으로 돌출해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저부(底部)(52)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저부(52)는, 제1 측벽(51)에 의해 구성되는 1쌍의 개구 중 한쪽을 막는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제1 측벽(51) 및 저부(52)에 의해 구성되는 컵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내측 보유 부재(50)는, 향미원(90)을 수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저부(52)는, 향미원(90)의 비착화단측의 단면(端面)을 지지할 수 있다. 향미원(90)은 복수의 과립(顆粒)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향미원(9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면이란, 복수의 과립의 가장 비착화단(E2)측에 배치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면을 말하며, 내측 보유 부재의 저부(52)에 접하는 면을 의미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비착화단(E2)측에 내측 보유 부재(50)의 저부(52)가 배치됨과 아울러 착화단(E1)측을 향해 개구하는 방향으로,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삽입된다. 저부(52)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통기공(52A)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대신에, 통기공(52A)은, 제1 측벽(51)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공(52A)은, 내측 보유 부재(50)의 비착화단(E2)측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측벽(51) 내의 향미원(90)에 유입된 기체는, 통기공(52A)을 통해 제2 유로(38)에 유입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플랜지(53)를 갖고 있어도 된다. 플랜지(53)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개구의 외주(外周)로부터 내측 보유 부재(50)의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53)는, 내측 보유 부재(50)가 통상의 보유 부재(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유 부재(30)의 개구의 외주에 걸리게 된다. 이에 대신해서, 내측 보유 부재(50)는, 플랜지(53)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유로 형성 부재(60)는 나선상(螺旋狀) 부재(61)를 포함한다. 나선상 부재(61)는, 제1 측벽(51)에 감겨 있다. 이 대신에, 나선상 부재(61)는, 제2 측벽(32)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유로 형성 부재(60)는, 나선상으로 형성된 금속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로 형성 부재(60)는, 내측 보유 부재(50)가 제2 측벽(32)을 구비한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 때에, 관통구(34)와 도입구(55)를 연결하여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하는 제1 유로(36) 중 향미원(90)의 외주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L1)의 길이를, 그 향미원 외주 구간(L1)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도입구(55)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L2)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나선상 부재(61)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에 의해, 나선상 부재(61)는,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나선상의 향미원 외주 구간(L1)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유로(36)는, 유로 형성 부재(6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최단 경로(L2)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다.
향미 흡인기(10)는, 제1 유로(36)와 흡인구(40)(또는 제2 유로(38))를 구분하는 제1 세퍼레이터(68)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 세퍼레이터(68)는, 나선상 부재(61)의 일 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나선상 부재(61)의 일 단부는, 제2 측벽(32)의 관통구(34)보다 비착화단(E2)측에서,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나선상 부재(61)의 일 단부는, 제1 측벽(5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세퍼레이터(68)로서의 나선상 부재(61)의 단부는, 제1 유로(36)로부터 제2 유로(38)로 직접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세퍼레이터(68)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완전히 차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경로 중 향미원(90)을 통과하는 경로의 유체 저항은, 제1 유로(36)로부터 제2 유로(38)로의 직접 경로의 유체 저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미 흡인기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경로를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경로 중 향미원(90)을 통과하는 경로의 유체 저항은, 제1 유로(36)로부터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다른 경로의 유체 저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흡인기(10)는, 제1 유로(36)로부터 기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세퍼레이터(69)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는, 내측 보유 부재(50) 및 연소형 열원(70)과 함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를 막고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서는, 제2 세퍼레이터(69)는, 나선상 부재(61)의 타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나선상 부재(61)의 타단부는, 제1 측벽(51)의 도입구(55)보다 착화단(E1)측에서,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나선상 부재(61)의 타단부는, 제1 측벽(5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2 세퍼레이터(69)로서의 나선상 부재(61)의 타단부는, 제1 유로(36)의 착화단(E1)측으로부터 기체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세러페이터(69)는, 제1 유로(36)의 착화단(E1)측으로부터 기체의 누출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68, 69)는, 나선상 부재(61)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신하여, 세퍼레이터(68, 69)는, 나선상 부재(61)와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68, 69)는, 제1 측벽(51) 또는 제2 측벽(32)에 일체 형성된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변형예]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1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50A) 및 유로 형성 부재(60A)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50A) 및 유로 형성 부재(60A)의, 도 6과는 반대측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편의상, 제2 측벽(32)에 형성된 관통구(34)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A)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유로 형성 부재(60A)는,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갖는다.
제1 변형예에서는, 유로 형성 부재(60A)는 복수의 C링상(狀) 부재(62)를 포함한다. C링상 부재(62)는, 제1 측벽(51)에 감겨 있다. 이 대신에, C링상 부재(62)는, 제2 측벽(32)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C링상 부재(62)는, 예를 들면, 금속제 또는 고무제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유로 형성 부재(60A)는, 내측 보유 부재(50A)가 제2 측벽(32)을 구비한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 때에, 관통구(34)와 도입구(55)를 연결하여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하는 제1 유로(36) 중 향미원(90)의 외주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L1)의 길이를, 그 향미원 외주 구간(L1)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도입구(55)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L2)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복수의 C링상 부재(62)가,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영역에 위치해 있다. 이에 대신하여, 하나의 C링상 부재(62)가,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C링상 부재(62)는, 한 곳에서 벌어진 개방부(63)를 가지며, 제1 측벽(5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개방부(63)는, 관통구(34) 및 도입구(55)의 적어도 한쪽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C링상 부재(62)는,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른 향미원 외주 구간(L1)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유로(36)는, 유로 형성 부재(60A)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최단 경로(L2)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다.
제1 변형예에서는, 한 곳에서 벌어진 개방부(63)를 갖는 C링상 부재(62)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신하여, 유로 형성 부재(60A)는, 2곳 이상에서 벌어진 개방부(63)를 갖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개방부(63)가 관통구(34) 및 도입구(55)의 적어도 한쪽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개방부(63)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방부(63)가 제1 측벽(51)의 둘레 방향으로 둘레의 반 이상에 걸쳐 있어도 된다.
향미 흡인기(10)는, 제1 유로(36)와 흡인구(40)(또는 제2 유로(38))를 구분하는 제1 세퍼레이터(68A)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변형예에서는, 제1 세퍼레이터(68A)는, O링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세퍼레이터(68A)는, 제2 측벽(32)의 관통구(34)보다 비착화단(E2)측에서,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퍼레이터(68A)로서의 O링상 부재는, 제1 유로(36)로부터 제2 유로(38)로 직접 기체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한다. O링상 부재는, 예를 들면, 금속제 또는 고무제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향미 흡인기(10)는, 제1 유로(36)로부터 기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세퍼레이터(69A)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A)는, 내측 보유 부재(50A) 및 연소형 열원(70)과 함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를 막고 있다. 제1 변형예에서는, 제2 세퍼레이터(69A)는, O링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A)는, 제1 측벽(51)의 도입구(55)보다 착화단(E1)측에서,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세퍼레이터(69A)로서의 O링상 부재는, 제1 유로(36)의 착화단(E1)측으로부터 기체가 새는 것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68A, 69A)는, O링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신하여, 세퍼레이터(68A, 69A)는, 제1 측벽(51) 또는 제2 측벽(32)에 일체 형성된 부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변형예]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제2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50D) 및 유로 형성 부재(6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에서는, 편의상, 제2 측벽(32)에 형성된 관통구(34)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2 변형예에서는, 유로 형성 부재(60)는,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게, 나선상 부재(61)를 포함한다. 나선상 부재(61)는, 제1 측벽(51)에 감겨 있다. 이 대신에, 나선상 부재(61)는, 제2 측벽(32)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유로(36)와 흡인구(40)(또는 제2 유로(38))를 구분하는 제1 세퍼레이터(68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퍼레이터(68A)는, 제1 변형예와 동일하게, O링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세퍼레이터(68A)는, 제2 측벽(32)의 관통구(34)보다 비착화단(E2)측에서,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유로(36)로부터 기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세퍼레이터(69A)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A)는, 제1 변형예와 동일하게, O링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A)는, 제1 측벽(51)의 도입구(55)보다 착화단(E1)측에서,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변형예]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제3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50B) 및 유로 형성 부재(60B)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편의상, 제2 측벽(32)에 형성된 관통구(34)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B)는, 제1 측벽(51)을 갖는다. 제1 측벽(51)에는, 제1 측벽(51) 내의 향미원(90)에 외기를 도입하는 도입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형성 부재(60B)는, 제1 측벽(51)에 일체 형성된 돌기 및/또는 홈(65)으로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유로 형성 부재(60A)는, 제1 측벽(51)에 일체 형성된 나선상 돌기 및/또는 홈(65)으로 형성된다.
유로 형성 부재(60B)는, 내측 보유 부재(50B)가 제2 측벽(32)을 구비한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 때에, 관통구(34)와 도입구(55)를 연결하여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하는 제1 유로(36) 중 향미원(90)의 외주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L1)의 길이를, 그 향미원 외주 구간(L1)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도입구(55)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L2)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변형예에서는, 나선상 돌기 및/또는 홈(65)이,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영역에 위치해 있다. 나선상 돌기 및/또는 홈(65)과 제2 측벽(32) 사이에 나선상 간극(유로)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유로(36)의 길이(L1)는, 유로 형성 부재(60B)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최단 경로(L2)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다.
[제4 변형예]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제4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 및 유로 형성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4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50E) 및 유로 형성 부재(60E)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에서는, 편의상, 제2 측벽(32)에 형성된 관통구(34)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E)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2 측벽(32)은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E)는, 나선상 돌기 및/또는 홈이 형성된 제1 측벽(51)을 갖는다. 제1 측벽(51)에는, 제1 측벽(51) 내의 향미원(90)에 외기를 도입하는 도입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형성 부재(60E)는, 제2 측벽(32)에 일체 형성된 홈(67)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벽(32)에는 나선상 홈(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보유 부재(50E)의 제1 측벽(51)에는, 나선상 홈(67)의 위치와 적합한 나선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51)의 양단 부근을 빼고, 제1 측벽(51)에 형성된 나선상 돌기의 선단이 잘려나가 있다. 이 잘려나간 돌기의 선단(65B)과, 제2 측벽(32)에 형성된 나선상 홈(67) 사이에, 제1 유로(36)가 형성된다. 제1 유로(36)는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유로(36)의 길이(L1)는, 유로 형성 부재(60B)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관통구(34)와 도입구(55) 사이의 최단 경로(L2)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다.
내측 보유 부재(50E)에는, 제1 유로(36)와 흡인구(40)(또는 제2 유로(38))를 구분하는 제1 세퍼레이터(68E)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세퍼레이터(68E)는, 제1 측벽(51)에 형성된 나선상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세퍼레이터(68E)는, 관통구(34)보다 비착화단(E2)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세퍼레이터(68E)로서의 나선상 돌기의 선단은, 잘려나가지 않고, 제2 측벽(32)의 홈에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E)에는, 제1 유로(36)로부터 기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세퍼레이터(69E)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세퍼레이터(69E)는, 내측 보유 부재(50E) 및 연소형 열원(70)과 함께,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착화단(E1)측의 개구를 막고 있다. 제2 세퍼레이터(69E)는, 제1 측벽(51)에 형성된 나선상 돌기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E)는, 도입구(55)보다 착화단(E1)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세퍼레이터(69E)로서의 나선상 돌기의 선단은, 잘려나가지 않고, 제2 측벽(32)의 홈(67)에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제4 변형예에 의하면, 내측 보유 부재(50E)를 통상의 보유 부재(30)에 나사 끼움함으로써, 내측 보유 부재(50E)와 통상의 보유 부재(30) 사이에 나선상의 제1 유로(36) 및 세러페이터(68E, 69E)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나선상 돌기 및 홈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내측 보유 부재(50E)가 확고하게 보유된다.
[제조 방법]
이하에서,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도 15를 참조하여, 내측 보유 부재(5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도 15는, 내측 보유 부재(50)를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는, 도 14의 12A-12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내측 보유 부재(50)의 기초가 되는 제1 측벽(51)을 준비한다. 이때, 제1 측벽(51)은 평판상(平板狀)이어도 된다(도 11 참조). 제1 측벽(51)은, 전성(展性)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측벽(51)은, 전성을 가진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측벽(51)은 열전도 부재이어도 된다. 내측 보유 부재(50)는, 열전도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 부재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 강으로는, 예를 들면, SUS430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측벽(51)을 통상으로 형성한다(도 12 참조). 제1 측벽(51)은,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통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저부(52) 및 플랜지(53)를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51)은, 연소형 열원(70)의 적어도 일부 및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측벽(51)에 분단부(56)를 형성한다(도 13 참조). 분단부(56)는, 제1 측벽(51)의, 걸이부(54)가 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 그 영역을 그 둘레의 영역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단한다. 분단부(56)는, 관통홈이어도 되고, 미관통홈이어도 된다. 분단부(56)는, 예를 들면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신하여, 분단부(56)는, 예를 들면 커터와 같은 툴을 사용해서, 제1 측벽(51)에 노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단부(56)는, 커터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측벽(51)의 일부를 제1 측벽(51)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연소형 열원(70)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54) 및 걸이부(54)에 인접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단부(5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측벽(51)의 내측으로 절곡한다(도 14 및 도 15 참조). 이에 의해, 걸이부(54)와 함께 도입구(55)가 형성된다. 즉, 걸이부(54)는, 제1 측벽(5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하기 위한 힘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통상으로 형성된 제1 측벽(51)의 둘레에 유로 형성 부재(60, 60A)를 설치한다(도 4∼도 8도 참조). 유로 형성 부재(60, 60A)는, 제1 측벽(51)에 감긴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형성 부재(60,60A)는, 제1 측벽(51)에 직접 감아 붙여지면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대신에, 제1 측벽(5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유로 형성 부재(60, 60A)를 미리 준비해 두고, 이 유로 형성 부재(60, 60A)를 제1 측벽(51)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벽(51)에 유로 형성 부재(60, 60A)를 끼움으로써, 유로 형성 부재(60, 60A)를 내측 보유 부재(5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유로 형성 부재(60, 60A)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에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유로 형성 부재(60, 60A)의 형상은, 도 4,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나선상 부재나,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링상 부재 등, 여러 가지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정을 거쳐, 도 4∼8에 나타내는 내측 보유 부재(50, 50A)가 얻어진다.
또한, 유로 형성 부재(60B)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벽(51)의 외면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벽(51)을 통상으로 형성하기 전에, 제1 측벽(51)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해도 된다. 이 대신에, 제1 측벽(51)을 통상으로 형성한 후에, 제1 측벽(51)의 외면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로 형성 부재(60, 60A, 60B)는, 내측 보유 부재(50, 50A, 50B)가 제2 측벽(32)을 구비한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 때에, 제1 측벽(51)과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하는 제1 유로(36) 중 향미원(90)의 외주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L1)의 길이를, 향미원 외주 구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도입구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L2)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된다.
향미 흡인기를 제조하는 데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내측 보유 부재(50, 50A, 50B)의 통상의 제1 측벽(51)을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배치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보유 부재(50, 50A, 50B) 및 유로 형성 부재(60, 60A, 60B)를,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배치하면 된다.
(작용 및 효과)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은, 제1 측벽(51)의 일부를 제1 측벽(51)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연소형 열원(70)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54) 및 걸이부(54)에 인접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걸이부(54)는, 제1 측벽(51)의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쪽 측으로 향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하기 위한 힘에 의해 형성된다. 걸이부(54)와 도입구(55)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걸이부(54)에 의해 연소형 열원(70)의 삽입 길이를 적절히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여, 향미원(90)의 길이를 적절히 컨트롤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은, 제1 측벽(51)의, 걸이부(54)가 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 그 영역을 그 둘레의 영역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단하는 분단부(56)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또한, 걸이부(54)는, 분단부(56)로 둘러싸인 영역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분단부(56)의 형상을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걸이부(54)를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측 보유 부재는 열전도 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이에 의해, 내측 보유 부재는, 연소형 열원(70)에서 발생한 열을 향미원(90)으로 전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은, 유로 형성 부재(60, 60A, 60B)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유로 형성 부재(60, 60A, 60B)는, 내측 보유 부재(50, 50A, 50B)가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설치된 때에, 제1 유로(36) 중 향미원(90)의 외주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L1)의 길이를, 향미원 외주 구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도입구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L2)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유로(36)의 길이, 즉 관통구(34)로부터 향미원(90)까지의 유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퍼프 동작을 하고 있지 않을 때에, 향미가, 향미원(90)으로부터 제1 유로(36)를 통해서 관통구(34)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변형예)
이하에서, 도 16∼도 17을 참조하여, 제5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도 17은, 제1 측벽(51)을 통상으로 형성한 후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벽(5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하기 위한 힘에 의해, 제1 측벽(51)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이부(54)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펀칭 툴(100)을 사용하여, 제1 측벽(51)에 펀칭 가공을 행함과 동시에, 걸이부(5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벽(51)에 펀칭 가공을 행함과 동시에, 걸이부(54)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걸이부(54)와 도입구(55)를 동시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걸이부(54)는, 천공 시에 형성된 버(burr)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제1 측벽(51)의 둘레에 유로 형성 부재(60, 60A, 60B)를 설치한다. 향미 흡인기를 제조하는 데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내측 보유 부재의 통상의 제1 측벽(51)을 통상의 보유 부재(30) 내에 배치하면 된다.
(제6 변형예)
이하에서, 도 18∼도 19를 참조하여, 제6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도 19는, 제1 측벽(51)을 통상으로 형성한 후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6 변형예에 관계되는 도입구(55)의 형성 방법은, 제5 변형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6 변형예에서는, 펀칭 툴(101)의 선단은, 걸이부(54)로부터 멀어질수록 끝이 예리해지도록 경사진 면을 갖는다. 이에 의해, 펀칭 툴(101)의 최선단이 제1 측벽(51)에 닿은 후에, 서서히, 펀칭 툴(101)의 경사면이 제1 측벽(51)을 압압한다. 다시 말하면, 펀칭 툴(101)은, 제1 측벽(51)의 소정 개소(51A)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가하기 시작하여, 소정 개소(51A)로부터 멀어지는 소정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압압력을 가해 간다. 바꿔 말하면, 걸이부(54)는, 제1 측벽(51)의 소정 개소로부터 압압력을 가하기 시작하여, 소정 개소(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압압력을 가해 감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의해, 걸이부(54)는, 소정 방향으로 도입구(55)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펀칭 툴(101)은, 제1 측벽(51)의 소정 개소(51A)로부터 압압력을 가하기 시작하여, 소정 개소(51A)로부터 착화단(E1)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압압력을 가하는 개소를 넓혀간다. 이에 의해, 걸이부(54)는, 도입구(55)보다 착화단(E1)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6 변형예에서는, 경사면을 갖는 선단부를 구비한 펀칭 툴(101)을 사용하여 걸이부(54)를 형성했다. 그러나, 제1 측벽(51)의 소정 개소로부터 압압력을 가하기 시작하여, 소정 개소(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압압력을 가해 갈 수 있다면, 걸이부(54)를 형성하기 위한 툴은 상기 펀칭 툴(101)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7 변형예)
이하에서, 도 20∼도 22를 참조하여, 제7 변형예에 관계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내측 보유 부재(50)의 기초가 되는 제1 측벽(51)을 준비한다. 이때, 제1 측벽(51)은 평판상이어도 된다(도 20 참조).
다음으로, 제1 측벽(51)의 일부를 제1 측벽(51)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연소형 열원(70)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54) 및 걸이부(54)에 인접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한다(도 20 및 도 21 참조). 구체적으로는, 걸이부(54)는, 제1 측벽(51)의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쪽 측으로 향하는, 도입구(55)를 형성하기 위한 힘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측벽(51)에 걸이부(54) 및 도입구(55)를 형성한 후에, 걸이부(54)가 제1 측벽(5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1 측벽(51)을 통상으로 형성한다(도 22 참조). 필요에 따라, 저부(52) 및 플랜지(53)를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51)은, 연소형 열원(70)의 적어도 일부 및 향미원(9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는 통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필요에 따라, 통상으로 형성된 제1 측벽(51)의 둘레에 유로 형성 부재(60, 60A)를 설치한다(도 4∼도 8도 참조). 또한, 유로 형성 부재(60B)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측벽(51)의 외면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 도 23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10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보유 부재(30)에 형성된 관통구(34)는, 향미원(90)의 비착화단(E2)측의 단부보다 비착화단(E2)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유로(36)는, 관통구(34)로부터 착화단(E1)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내부에 관 부재(84)가 설치되어 있다. 관 부재(84)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 사이를 구분하고 있으며, 관통구(34)의 위치로부터 제1 측벽(51)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유로(36)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과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 사이를 통과하여, 도입구(55)에 이른다.
제1 유로(36)의, 관통구(34) 부근의 구간은, 세퍼레이터(68)를 통해, 제2 유로(38)와 인접해 있어도 된다. 세퍼레이터(68)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직접 연결하는 간극을 메우는 저항 부재(82)를 포함하고 있다. 저항 부재(82)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유체적으로 완전히 차단하고는 있지 않으며, 제1 유로(36)로부터 제2 유로(38)로 직접 들어가는 경로의 유체 저항을 증대시킨다.
제1 유로(36)로부터 저항 부재(82)를 거쳐 제2 유로(38)로 직접 들어가는 경로(도 11의 화살표 F6 참조)의 유체 저항은, 제1 유로(36)로부터 향미원(90)을 거쳐 제2 유로에 이르는 경로의 유체 저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퍼레이터(68)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경로 중 향미원(90)을 통과하는 경로의 유체 저항이 향미원(90) 통과하지 않는 경로의 유체 저항보다도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의해, 제1 유로(36)에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을, 향미원(90)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68)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경로 중 향미원(90)을 통과하는 경로의 유체 저항이 향미원(90) 통과하지 않는 경로의 유체 저항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제1 유로(36)의 일부 및/또는 관통구(34)에 도달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복수의 경로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연결하는 경로 중 향미원(90)을 통과하는 경로의 유체 저항이 가장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는, 서로 유체적으로 완전히 차단되어 있지 않다. 이 대신에, 세퍼레이터(68)는, 제1 유로(36)와 제2 유로(38)를 서로 유체적으로 완전히 차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
이하에서, 도 24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보유 부재(50)의 제1 측벽(51)과 통상의 보유 부재(30)의 제2 측벽(32) 사이의 유로 형성 부재(60)는, 제2 측벽(32)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 또는 홈(66)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32)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 또는 홈(66)은, 예를 들면 나선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1 유로(36) 중 향미원(90)의 외주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의 길이를, 향미원 외주 구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도입구(55)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보유 부재(30)가 제1 유로(36)에 면하는 열전도 부재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열전도 부재의 내면에 유로 형성 부재로서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면 된다.
[제4 실시형태]
이하에서, 도 25를 참조하여,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보유 부재(50C)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내측 보유 부재의 형상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보유 부재(50C)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저부를 갖고 있지 않다. 내측 보유 부재(50C)의 제1 측벽(51)은, 비착화단(E2)측으로 향함과 아울러 중심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향미원(90)도, 비착화단(E2)측으로 향함과 아울러 중심을 향해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내측 보유 부재(50C)는, 저부가 없어도, 향미원(90)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유 부재(50C)의 제1 측벽(51)이 비착화단(E2)측으로 향함과 아울러 중심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음으로써, 내측 보유 부재(50C)를 통상의 보유 부재(30)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4∼8에 나타내는 내측 보유 부재(50, 50A, 50D)의 제1 측벽(51)도,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설명한 특징은, 가능한 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유로 형성 부재(60, 60A, 60B)나 세퍼레이터(68, 68A, 69, 69A)의 조합은, 여러 가지로 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내측 보유 부재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향미(香味) 흡인기(吸引器)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熱源) 및 향미원(香味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상기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筒狀)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係止) 가능한 걸이부(爪部)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導入口)를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 측벽의 한쪽 측으로부터 다른쪽 측으로 향하는, 상기 도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힘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걸이부가 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 그 영역을 그 둘레의 영역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단하는 분단부(分斷部)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갖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분단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절곡(折曲)함으로써 형성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소정 개소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가하기 시작하여, 상기 소정 개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압압력을 가하는 개소를 넓혀 감으로써 형성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을 통상으로 형성한 후에, 상기 걸이부가 상기 제1 측벽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제1 측벽에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도입구를 형성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 상기 걸이부 및 상기 도입구를 형성한 후에, 상기 걸이부가 상기 제1 측벽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측벽을 통상으로 형성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유 부재를 열전도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유 부재가 외기(外氣)와 유체(流體)적으로 연통하는 관통구(貫通口)를 갖는 제2 측벽을 구비한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된 때에, 상기 관통구와 상기 도입구를 연결하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통과하는 제1 유로(流路) 중 상기 향미원의 외주(外周)에 대응하는 부분인 향미원 외주 구간의 길이를, 그 향미원 외주 구간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소와 상기 도입구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보다 길게 하도록 형성된 유로 형성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갖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에 감긴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의 외면에 일체 형성된 돌기 또는 홈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11.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의 제1 측벽을, 상기 연소형 열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형성하는 단계와,
    착화단(着火端)으로부터 비착화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통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측벽을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12. 착화단으로부터 비착화단을 향해 연장되는 통상의 보유 부재와,
    상기 착화단에 설치되는 연소형 열원과,
    상기 연소형 열원에 대해 상기 비착화단측에 설치되는 향미원과,
    상기 통상의 보유 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형 열원 및 상기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를 갖고,
    상기 내측 보유 부재는,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의 제1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갖는, 향미 흡인기.
  13. 향미 흡인기에 적용되며, 연소형 열원 및 향미원을 보유하는 내측 보유 부재로서,
    상기 향미원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상의 제1 측벽을 갖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일부를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상기 연소형 열원을 걸림 가능한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에 인접하는 도입구를 갖는, 내측 보유 부재.
KR1020177028579A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03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0784 WO2016162932A1 (ja) 2015-04-06 2015-04-06 香味吸引器、内側保持部材、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及び内側保持部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529A true KR20170127529A (ko) 2017-11-21
KR102003147B1 KR102003147B1 (ko) 2019-07-23

Family

ID=5707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579A KR102003147B1 (ko) 2015-04-06 2015-04-06 향미 흡인기,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88345B2 (ko)
EP (1) EP3275320A4 (ko)
JP (1) JP6318302B2 (ko)
KR (1) KR102003147B1 (ko)
CN (1) CN107427076B (ko)
EA (1) EA034532B1 (ko)
HK (1) HK1245593A1 (ko)
TW (1) TWI630933B (ko)
WO (1) WO2016162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0001B8 (en) * 2015-04-06 2021-11-03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and inside holding member
CN205143488U (zh) * 2015-10-20 2016-04-13 昂纳自动化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雾化器及电子烟
BR112020013597A2 (pt) * 2018-02-15 2020-12-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gerador de aerossol compreendendo elemento de resfriamento de aerossol
CN110267041B (zh) 2019-06-28 2021-1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16494A (ko) * 2019-12-17 2022-08-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유도 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4166A (ja) * 1988-07-22 1990-03-26 Philip Morris Prod Inc 喫煙物品
JPH05103836A (ja) * 1990-02-27 1993-04-27 R J Reynolds Tobacco Co シガレツト
JP2009501537A (ja) * 2005-07-21 2009-01-22 ニックルト アーゲー 無煙シガレット
JP2013120855A (ja) 2011-12-07 2013-06-17 Ihi Corp ピッチ可変コイル及び共振回路
WO2014013054A2 (en) * 2012-07-19 2014-01-23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having reduced sidestream smok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836A (ja) * 1974-07-01 1976-01-13 Toko Inc Chensen
US5027837A (en) 1990-02-27 1991-07-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FR2675365B1 (fr) * 1991-04-17 1993-08-13 Roulina Jean Claude Assiettes de table a effet decoratif et pouvant servir d'enceintes chauffantes.
CN2508119Y (zh) * 2001-12-13 2002-08-28 胡嘉麟 蒸发式燃烧头
CN1241508C (zh) * 2003-11-12 2006-02-15 赵辉雄 烤肉桌
CN201406133Y (zh) * 2008-06-04 2010-02-17 杜建钢 具有支撑支架和香灰收集功能的蚊香包装盒
WO2011118024A1 (ja) * 2010-03-26 2011-09-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物品
TW201134408A (en) * 2010-04-07 2011-10-16 Japan Tobacco Inc Smoking article
TWI590769B (zh) * 2012-02-13 2017-07-1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包含雙導熱元件之吸煙製品及調整吸煙製品一口接一口抽吸的氣溶膠遞送量的方法
TWI639391B (zh) 2012-02-13 2018-1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包括隔離可燃熱源之吸煙製品
GB2513637A (en) * 2013-05-02 2014-11-0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cigarette
CN203360477U (zh) * 2013-07-22 2013-12-25 郑州宏瑞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煤气与空气正交喷射混合多孔体助燃的热风炉
US9788571B2 (en) * 2013-09-25 2017-10-1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Heat generation apparatus for an aerosol-generation system of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moking article
US10314334B2 (en) * 2015-12-10 2019-06-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4166A (ja) * 1988-07-22 1990-03-26 Philip Morris Prod Inc 喫煙物品
JPH05103836A (ja) * 1990-02-27 1993-04-27 R J Reynolds Tobacco Co シガレツト
JP2009501537A (ja) * 2005-07-21 2009-01-22 ニックルト アーゲー 無煙シガレット
JP2013120855A (ja) 2011-12-07 2013-06-17 Ihi Corp ピッチ可変コイル及び共振回路
WO2014013054A2 (en) * 2012-07-19 2014-01-23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having reduced sidestream smo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18302B2 (ja) 2018-04-25
KR102003147B1 (ko) 2019-07-23
WO2016162932A1 (ja) 2016-10-13
US20180027873A1 (en) 2018-02-01
TW201636066A (zh) 2016-10-16
CN107427076B (zh) 2020-07-28
CN107427076A (zh) 2017-12-01
HK1245593A1 (zh) 2018-08-31
JPWO2016162932A1 (ja) 2017-08-10
EP3275320A4 (en) 2019-01-09
EA201792219A1 (ru) 2018-03-30
EA034532B1 (ru) 2020-02-18
US10588345B2 (en) 2020-03-17
TWI630933B (zh) 2018-08-01
EP3275320A1 (en)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147B1 (ko) 향미 흡인기, 내측 보유 부재,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및 내측 보유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00864B1 (ko) 향미 흡인기
CN107404945B (zh) 香味吸取器及内侧保持部件
TWI618494B (zh) 霧化單元
TW201545671A (zh) 非燃燒型香味吸嚐器
TW201524382A (zh) 非燃燒型香味吸嘗器
TWI642367B (zh) 霧化單元
TW201503838A (zh) 燃燒型熱源、香味吸嘗器及燃燒型熱源之製造方法
CN111759008A (zh) 一种电子烟雾化芯及雾化器
CN209788489U (zh) 一种电子烟
CN109380771B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元件
EA045533B1 (ru)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EA045529B1 (ru)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EA045474B1 (ru) Ингалятор аромата
JP2001324112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