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325A -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325A
KR20170114325A KR1020160040861A KR20160040861A KR20170114325A KR 20170114325 A KR20170114325 A KR 20170114325A KR 1020160040861 A KR1020160040861 A KR 1020160040861A KR 20160040861 A KR20160040861 A KR 20160040861A KR 20170114325 A KR20170114325 A KR 2017011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ver
storage tank
plate
u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717B1 (ko
Inventor
신홍대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7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01N2610/1413Inlet and filling arrangements therefo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레아를 충전하기 위해 개방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를 보호하면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빗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우레아 저장탱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레아 충전시 흘러내리는 경우, 주변 구조물로 침투하여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동결시에도 쉽게 저장탱크의 마개가 동결되어 잘 열리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에 고정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커버(20)와 본체부(10)의 내부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재(30)와; 상기 커버(20)가 본체부(10)로부터 개폐되도록 커버(20)에 장착되는 잠금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Cover Structure of Urea Storage Tank}
본 발명은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레아를 충전하기 위해 개방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를 보호하면서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빗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우레아 저장탱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레아 충전시 흘러내리는 경우, 주변 구조물로 침투하여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동결시에도 쉽게 저장탱크의 마개가 동결되어 잘 열리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또는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는 주행모터에 의해 주행 가능한 주행체와, 주행체상에 배치된 선회체와, 선회체에 장착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장치를 구비하고, 선회체상에는 작업장치의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운전실을 가지며, 운전실의 배후측에 위치하여 주행 모터나 작업장치의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갖추고 있다. 건설기계에 탑재되는 엔진은 디젤엔진이 일반적이다.
근래에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하고,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시스템으로서 우레아 SCR 시스템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SCR 시스템은 건설기계에 탑재된 디젤엔진에도 적용되고 있다.
우레아 SCR 시스템은 환원제로서 우레아 수용액(이하 " 우레아"라고 칭함)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중의 질소산화물을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질소산화물 선택환원 촉매 시스템이고, 질소산화물 선택환원촉매장치의 배기 상류측에 우레아를 분사하는 우레아 분사밸브, 우레아를 저장하기 위한 우레아 저장탱크 및 우레아 저장탱크와 우레아 분사밸브를 연결하는 우레아 공급배관에 구비되어 우레아를 우레아 분사밸브로 압송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한 우레아 공급장치를 갖고 있다.
종래의 우레아 저장탱크는 우레아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개폐가능한 마개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우레아 저장탱크는, 주로 과열 방지나 우레아 의 공급(충전) 작업의 용이화 때문에, 선회체 상의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예를 들면 작업장치의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운전석과 반대측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랭지 등에서는 우레아 공급 배관 내를 흐르는 우레아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동결된 우레아 수용액을 해동하기 위해서, 엔진의 냉각수 열로 우레아를 가온 가능하도록 엔진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배관을 우레아 공급 배관과 연통되게 하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종래의 우레아 저장탱크는 하나의 저장공간을 가지고, 상부에 개폐 가능한 마개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특히 건설기계의 작업시, 마개 부분이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우레아를 저장탱크안에 주입시, 흘리는 경우에는 주변 구조물로 침투되어서 부식 등의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이 많아진다.
또한, 추운 겨울철에는 보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저장탱크안의 우레아가 쉽게 동결될 수 있어, 동결방지를 위한 구조가 마련되고 있는데,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는 동절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우레아의 충전을 위해 마개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동결되어 잘 열리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마개가 손상을 받는 경우, 마개가 우레아 저장탱크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105220(공개일 : 2014년 09월 01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레아를 충전하기 위해 개방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를 보호하면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빗물 또는 기타 이물질이 우레아 저장탱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우레아 충전시 흘러내리는 경우, 주변 구조물로 침투하여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동결시에도 쉽게 저장탱크의 마개가 동결되어 잘 열리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우레아 저장탱크의 상부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커버와 본체부의 내부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커버가 본체부로부터 개폐되도록 커버에 장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개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받이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는, 커버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면서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브래킷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브래킷의 양측 내부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제 1링크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링크와, 제 2링크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링크와, 제 3링크의 바깥쪽에 위치하면서 제 1링크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링크와, 제 4링크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5링크와, 상기 제 3링크의 한쪽 단부에 방향을 달리하여 절곡되는 연장편과, 연장편의 한쪽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본체부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 5링크의 일측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6링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링크와 제 4링크의 일부분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쪽 제 3링크의 하부 안쪽면에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정지시켜주는 스토퍼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걸림핀과,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취부 브래킷과, 상기 걸림핀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가압판과, 상기 걸림핀의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가압판과 취부 브래킷의 사이에서 탄지되어서 걸림핀을 누르고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걸림핀은, 취부 브래킷의 외부로 위치하여 파지가능하도록 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취부 브래킷 및 제 3링크를 관통하여 제 3링크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4링크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돌출되고, 좌 우로 이동가능하면서 커버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재와, 하우징의 안쪽면에 상기 이동가능한 조작부재에 의해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안쪽에 조작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형성되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의 일측 선단쪽에 걸림부재에 삽입되어서 조작판의 이동에 따라 걸림부재를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걸림부재에 삽입되어서 상,하 이동가능하면서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키이 록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선단부에는 하우징의 개구부로 입출되면서 본체부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와 잠금 해제가 되도록 하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편의 하부는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와 조작판의 후단부에는 각각 탄성부재가 탄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 및 하우징 안쪽면에는 상기 키이 록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의 삽입홈 하부에는 키이 록 플레이트의 하부 이동시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정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안에는 키이를 삽입하여 조작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이 조작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키이 조작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키이 조작판에는 키이 록 플레이트가 상, 하 이동되도록 키이 록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장공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돌기가 편심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원제인 우레아를 저장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로서, 우레아 저장탱크의 상부면에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우레아 저장탱크의 마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우레아 저장탱크의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레아 저장탱크의 내부로 우레아의 충전시 부주의로 인해 주변으로 우레아를 흘리게 되더라도, 본체부의 내부에서 다른 주변 구조물로 침투하지 않고 차단하기 때문에, 주변 구조물로 우레아가 침투하여 부식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개방후 스토퍼에 의해 자동적으로 커버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우레아 저장탱크안으로 우레아 충전작업시 개방된 커버가 요동하지 않아 우레아 충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를 닫을때, 스토퍼의 자동걸림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하고 커버를 약간 닫고 다시 스토퍼를 놓고 닫으면, 걸림편이 스트라이커에 의해 밀리면서 하부로 이동할 때, 자동적으로 원위치되어 걸림상태가 이루어지므로, 그 만큼 커버의 닫힘동작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를 구성하는 힌지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B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의 잠금부재와 스트라이커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의 잠금부재의 배면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의 잠금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6에서 걸림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태에서 키이 록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의 힌지부재가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른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9a는 커버가 닫힌 상태일때의 힌지부재의 배치구조이고, 도 9b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일때의 힌지부재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에서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는 과정에서의 잠금부재의 해제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1)는,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에 고정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소정의 규격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면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개(T1)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받이구(1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받이구(11)는 소정의 높이로 둘레벽이 형성되어서 수용공간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이구(11)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서 후술하는 힌지부재(30)가 간섭없이 커버(20)의 개폐동작시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우레아 저장탱크(T)의 마개(T1)가 마련되는 주입구 부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구(11)에 바닥면을 통해 상부로 삽입되어 돌출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확실하게 지지 및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면에서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부(10)의 배면에서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부(10a)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20)는, 절곡된 구조(ㄱ자형)를 가지고, 커버(20)의 안쪽면에는 본체부(10)와 결합되면서 커버(2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재(30)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버(20)는 본체부(10)에 닫힌 상태에서 본체부(10)의 개구부(10a)와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부재(예를 들어 고무 팩킹 등)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본체부(10)로부터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부재(40)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힌지부재(30)는, 커버(20)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브래킷(31)과, 상기 브래킷(31)에 결합되면서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브래킷(31)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링크부재(32)들로 이루어진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32)는, 상기 브래킷(31)의 양측 내부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링크(32a)와, 상기 제 1링크(32a)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제 1링크(32a)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링크(32b)와, 제 2링크(32b)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링크(32c)와, 제 3링크(32c)의 바깥쪽에 위치하면서 제 1링크(32a)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링크(32d)와, 제 4링크(32d)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5링크(32e)와, 상기 제 3링크(32c)의 한쪽 단부에 방향을 달리하여 절곡되는 연장편(32f)과, 연장편(32f)의 한쪽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6링크(32g)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4링크(32d)는 커버(20)의 개폐동작시 링크부재(32)가 펼쳐지고 접혀지는 동작시, 본체부(10)의 안쪽면에 마련된 결합편(14)과 접촉하더라도 부드럽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후면쪽에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링크(32g)는 본체부(10)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4)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 5링크(32e)의 일측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제 3링크(32c)중 한쪽 제 3링크(32c)의 하부 안쪽면에는 후술하는 스토퍼(50)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0)의 걸림핀(51)을 구성하는 스템부(51b)가 관통되어 제 3링크(32c)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4링크(32d)에 형성되는 삽입홈(32d-1)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링크부재(32b)의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 1가로대(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4링크(32d)의 사이에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 2가로대(3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 3링크(32c)와 제 4링크(32d)의 일부분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핀(32d-2)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링크부재(32)의 일측 안쪽 위치에는 커버(20)의 개방 동작에 의해 링크부재(32)가 펼쳐졌을때, 커버(20)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토퍼(50)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0)는 걸림핀(51)과, 상기 걸림핀(51)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취부 브래킷(52)과, 상기 걸림핀(51)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가압판(53)과, 상기 걸림핀(51)의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가압판(53)과 취부 브래킷(52)의 사이에서 탄지되어서 걸림핀(51)을 누르고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40)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에 하나의 케이싱 형태의 모듈화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는데,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40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40a)의 전면에는, 돌출되는 조작부재(41)가 마련되는데, 상기 조작부재(41)는 좌 우로 이동가능하여 커버(20)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0a)은 전면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조작부재(41)가 커버(20)의 전방에서 보았을때 보이도록 커버(20)의 전방쪽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a)의 배면판을 분리하면, 그 내부에 후술하는 걸림부재(43) 및 걸림부재(43)의 안쪽에 위치하는 조작판(41a)이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40a)의 내부에는 걸림부재(43) 및 조작판(41a)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하우징(40a)의 전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조작부재(41)의 일측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편(42)이 하우징(20)의 외부이면서 커버(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41)는 일측의 고정편(42)을 잡고 고정편(4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커버(20)의 록킹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a)의 안쪽면에는 상기 이동가능한 조작부재(41)에 의해 함께 이동하는 걸림부재(43)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부재(43)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형 구조를 가지고, 선단부에는 걸림편(43a)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편(43a)은 경사면(43b)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걸림편(43a)은 하우징(40a)의 선단부쪽으로 노출되도록 하우징(40a)의 선단부에는 개구부(40a-2)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3)의 후단부에는 탄성부재(44)가 탄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고,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탄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3)의 안쪽에는 돌출된 구조의 조작부재(4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판형 구조를 가지는 조작판(41a)이 형성되는데, 상기 조작판(41a)의 일측 선단쪽에는 돌출부(41b)가 형성되며, 대략 중앙 위치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키이 록 플레이트(45)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41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43)의 상부 일측에 끼워져서 잠금 해제를 위해 조작부재(41)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때, 걸림부재(43)도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2)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판(41a) 및 하우징(40a)의 안쪽면에는 상기 키이 록 플레이트(45)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5a)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41a-1)(40a-1)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이 록 플레이트(45)는 조작판(41a)에 형성되는 삽입홈(41a-2)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조작판(41a)의 삽입홈(41a-2) 하부에는 고정돌기(41a-3)가 돌출 형성되어서 키이 록 플레이트(45)의 하부 이동시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확실하게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작판(41a)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홈(41a-1)은, 상기 삽입홈(41a-2)와 연통되게 형성되어서 키이 록 플레이트(45)의 돌출부(45a)가 입출되면서 상 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41a)의 후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41c)가 탄지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1c)의 전방으로는 탄성부재(41c)가 탄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판(41d)이 조립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재(41)안에는 키이를 삽입하여 조작(회전동작)함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41)는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이 조작부재(46)가 형성되고, 상기 키이 조작부재(46)의 단부 즉, 하우징(40a)의 안쪽면에 형성되는 키이 조작판(46a)에는 편심돌기(46b)가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키이 록 플레이트(45)에는 상기 편심돌기(46b)의 편심 이동에 따라 상, 하 이동되도록 편심돌기(46b)가 삽입되는 장공(45b)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걸림편(43a)은,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트라이커(12)의 하부에 걸려 있다가, 조작부재(41)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여 스트라이커(12)로부터 벗어나서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커버(20)가 본체부(10)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스트라이커(12)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부재(13)는 본체부(10)의 내부면에 절곡 형성되어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우징(40a)에는 잠금부재(40)의 구성이 모두 갖추어져서 하나의 모듈화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0)를 이루는 상기 걸림핀(51)은, 취부 브래킷(52)의 외부에 배치되는 핸들부(51a)와, 상기 핸들부(51a)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취부 브래킷(52)을 관통하는 스템부(51b)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스템부(51b)에 상기 가압판(53)이 고정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54)가 탄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51)의 핸들부(51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지하기 용이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부 브래킷(52)은 절곡되어 대략 역 U자 형태를 가지고, 수평부(52a)와, 상기 수평부(52a)의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지지되는 수직부(52b)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취부 브래킷(52)은 상기 걸림핀(51)의 스템부(51b)가 수평부(52a)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판(53)은 걸림핀(51)을 이루는 스템부(51b)에 고정되게 결합할 수도 있으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스템부(51b)에 끼우고, 스템부(51b)의 일측에 고정핀(55)을 결합하여 가압판(53)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는 걸림핀(51)의 스템부(51b) 외주면에 삽입되는 형태로서,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에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1)가 구비되어 우레아 저장탱크(T)의 마개(T1)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만일, 우레아 저장탱크(T)안에 우레아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1)를 이루는 본체부(10)에 마련된 커버(20)를 개방하는데, 커버(20)의 개방을 위해 커버(20)의 외부면에 형성된 잠금부재(40)를 이루는 조작부재(41)안에 형성된 키이 조작부재(46)에 키이를 삽입하여 한쪽 방향으로 돌리면, 조작부재(41)가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다시 말해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 조작부재(46)의 안쪽 즉, 하우징(40a)의 안쪽면에는 키이 조작부재(46)와 일체로 연결되는 키이 조작판(46a)이 구비되고, 상기 키이 조작판(46a)에는 편심돌기(46b)가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이를 통해 키이 조작부재(46)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키이 조작판(46a)도 동시에 회전되면서 편심돌기(46b)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편심돌기(46b)는 키이 록 플레이트(45)의 장공(45b)에 삽입되어 있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돌기(46b)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부로 위치 이동을 하면, 키이 록 플레이트(45)도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조작판(41a)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41a-1)과 하우징(40a)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홈(40a-1)으로부터 키이 록플레이트(45)의 돌출부(45a)가 벗어나서 하부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면, 잠금부재(40)의 조작부재(41)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키이에 의한 기본적인 록킹 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41)를 고정편(42)쪽으로 밀면, 조작판(41a) 및 키이 록플레이트(45)가 동시에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판(41a)의 후단부에는 탄성부재(41c)가 탄지되어 있어, 조작판(41a)은 상기 탄성부재(41c)를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판(41a)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41b)도 동시에 이동되면서, 조작판(41a)의 전방에 구비된 걸림부재(43)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걸림부재(43)의 후단부에는 탄성부재(44)가 탄지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재(43)의 이동시, 탄성부재(44)를 압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43)의 선단부에는 걸림편(4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편(43a)은 본체부(10)의 한쪽 내부에 마련된 스트라이커(12)의 하부에 위치하여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있다가 걸림부재(43)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걸림편(43a)이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그러면 걸림편(43a)은 상기 스트라이커(12)로부터 벗어나게 되면서 커버(20)는 본체부(10)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켰던 조작부재(41)를 놓으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41c)(44)의 반발력에 의해 조작부재(41), 조작판(41a) 및 걸림부재(43)는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그러면, 걸림편(43a)은 하우징(40a)으로부터 다시 노출된다.
상기 잠금부재(40)의 해제동작에 따라 커버(20)는 개방되는데, 커버(20)의 안쪽 양측에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힌지부재(30)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힌지부재(30)가 움직이면서 커버(20)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힌지부재(3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32)가 마련되어 있는데, 커버(20)가 개방될때, 커버(20)의 내측면에는 브래킷(31)이 결합 고정되어 있어, 커버(20)의 개방동작시 커버(20)가 본체부(1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브래킷(31)도 동시에 들어올려짐에 따라 브래킷(31)과 결합된 제 1링크(32a) 내지 제 6링크(32g)가 접혀있다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링크부재(32)중에서 제 4링크(32d)에는 삽입홈(32d-1)이 형성되어 있는데, 한쪽 제 5링크(32f)의 안쪽면 하부에 마련된 스토퍼(50)의 걸림핀(51)이 취부 브래킷(52)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재(54)를 압축한 상태로 있다가, 상기 제 4링크(32d)가 펼쳐지면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54)의 반발력에 의해 삽입홈(32d-1)에 걸림핀(51)이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커버(20)는 개방된 상태(본체부(10)의 상부면으로부터 90도 방향)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1)는 커버(20)가 본체부(1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우레아 저장탱크(T)의 마개(T1)를 열고 우레아를 충전하고, 다시 마개(T1)를 잠그고 커버(20)를 닫으면 된다.
상기 커버(20)는 개방된 상태에서 스토퍼(5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우레아 저장탱크(T)안으로 우레아 충전작업시 커버(20)가 요동하지 않아 원활하게 우레아 충전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방하였던 커버(20)를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스토퍼(50)의 걸림핀(51)을 제 4링크(32d)의 삽입홈(32d-1)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닫으면 되는데, 걸림핀(51)의 단부인 핸들부(51a)를 잡고 잡아당기면, 핸들부(51a)와 일체로 형성된 스템부(51b)가 잡아 당겨진다.
상기 스템부(51b)에는 가압판(53)이 고정되어 있어, 스템부(51b)가 잡아당겨짐에 따라, 가압판(53)이 스템부(51b)의 외주면에 삽입된 탄성부재(54)를 압축하면서 취부 브래킷(52)의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스템부(51b)의 단부는 상기 제 4링크(32d)의 삽입홈(32d-1)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커버(20)를 약간만 닫게 되면, 링크부재(32)가 접혀짐에 따라 제 4링크(32d)의 위치도 변하게 되며, 그러면, 잡아당기고 있던 스토퍼(50)의 핸들부(51a)를 놓으면, 압축되어있던 탄성부재(54)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판(53)이 밀리면서 스템부(51b)가 제 4링크(32d)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삽입홈(32d-1)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이므로, 삽입 및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20)를 계속해서 닫으면, 노출되어 있던 걸림편(43a)은 본체부(10)의 일측 안쪽면에 마련된 스트라이커(12)와 만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43)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편(43a)은 하부면이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3b)이 형성되어 있어, 경사면(43b)이 스트라이커(12)와 만난 상태에서 커버(20)를 계속해서 닫게 되면, 걸림편(43a)이 밀리면서 하우징(40a)의 안쪽으로 자동적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에 따라 커버(20)는 계속해서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며, 스트라이커(12)의 하부면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부재(44)의 반발력에 의해 다시 밀려있던 걸림편(43a)이 복귀하면서 스트라이커(12)의 하부면에서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커버(20)의 닫힘 동작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면에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1)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우레아 저장탱크(T)의 마개(T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우레아 저장탱크(T)의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레아 저장탱크(T)의 내부로 우레아의 충전시 부주의로 인해 주변으로 우레아를 흘리게 되더라도, 본체부(10)의 내부에서 다른 주변 구조물로 침투하지 않고 차단하기 때문에, 주변 구조물로 우레아가 침투하여 부식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20)의 개방후 스토퍼(50)에 의해 자동적으로 커버(20)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우레아 저장탱크(T)안으로 우레아 충전작업시 개방된 커버(20)가 요동하지 않아 우레아 충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20)를 닫을때에는 스토퍼(50)의 자동걸림상태를 해제(핸들부(51a)를 수동으로 잡아당김)하고 커버(20)를 약간 닫고 다시 스토퍼(50)를 놓고 닫으면, 걸림편(43a)이 스트라이커(12)에 의해 밀리면서 하부로 이동할 때, 자동적으로 원위치되어 걸림상태가 이루어지므로, 그 만큼 커버(20)의 닫힘동작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40)는 커버(20)의 안쪽면으로 돌출되는 두께가 적게 형성하여 슬림한 두께를 가지고, 횡방향으로 잠금 및 해제동작이 수행되므로, 우레아 저장탱크(T)의 마개(T1)와의 간격이 협소하도라도 충분히 간섭없이 설치 및 동작(잠금 및 해제동작)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10 : 본체부
10a : 개구부
11 : 받이구
12 : 스트라이커(striker)
13 : 고정부재
14 : 결합편
20 : 커버
21 : 걸림홈
30 : 힌지부재
31 : 브래킷
32 : 링크부재
32a : 제 1링크
32b : 제 2링크
32c : 제 3링크
32d : 제 4링크
32d-1 : 삽입홈
32d-2 : 힌지핀
32e : 제 5링크
32f : 연장편
32g : 제 6링크
33 : 제 1가로대
34 : 제 2가로대
40 : 잠금부재
40a : 하우징
40a-1 : 걸림홈
40a-2 : 개구부
41 : 조작부재
41a : 조작판
41a-1 : 걸림홈
41a-2 : 삽입홈
41a-3 : 고정돌기
41b : 돌출부
41c : 탄성부재
41d : 지지판
42 : 고정편
43 : 걸림부재
43a : 걸림편
43b : 경사면
44 : 탄성부재
45 : 키이 록 플레이트(key lock plate)
45a : 장공
46 : 키이 조작부재
46a : 키이 조작판
46b : 편심돌기
50 : 스토퍼
51 : 걸림핀
51a : 핸들부
51b : 스템부
52 : 취부 브래킷
52a : 수평부
52b : 수직부
53 : 가압판
54 : 탄성부재
55 : 고정핀
T : 우레아 저장탱크
T1 : 마개

Claims (15)

  1.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에 고정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커버(20)와 본체부(10)의 내부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재(30)와;
    상기 커버(20)가 본체부(10)로부터 개폐되도록 커버(20)에 장착되는 잠금부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우레아 저장탱크(T)의 상부에 형성되는 마개(T1)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받이구(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0)는, 커버(20)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는 브래킷(31)과, 상기 브래킷(31)에 결합되면서 접혔다가 펼쳐지도록 브래킷(31)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링크부재(32)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32)는, 상기 브래킷(31)의 양측 내부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링크(32a)와, 상기 제 1링크(32a)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제 1링크(32a)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링크(32b)와, 제 2링크(32b)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링크(32c)와, 제 3링크(32c)의 바깥쪽에 위치하면서 제 1링크(32a)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링크(32d)와, 제 4링크(32d)의 한쪽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5링크(32e)와, 상기 제 3링크(32c)의 한쪽 단부에 방향을 달리하여 절곡되는 연장편(32f)과, 연장편(32f)의 한쪽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본체부(10)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4)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 5링크(32e)의 일측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6링크(32g)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링크(32c)와 제 4링크(32d)의 일부분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힌지핀(32d-2)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쪽 제 3링크(32c)의 하부 안쪽면에는 커버(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정지시켜주는 스토퍼(5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는,
    걸림핀(51)과, 상기 걸림핀(5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취부 브래킷(52)과, 상기 걸림핀(51)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형성되는 가압판(53)과, 상기 걸림핀(51)의 외주면에 결합되면서 가압판(53)과 취부 브래킷(52)의 사이에서 탄지되어서 걸림핀(51)을 누르고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의 걸림핀(51)은,
    취부 브래킷(52)의 외부로 위치하여 파지가능하도록 하는 핸들부(51a)와, 상기 핸들부(51a)로부터 취부 브래킷(52) 및 제 3링크(32c)를 관통하여 제 3링크(32c)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4링크(32d)에 형성되는 삽입홈(32d-1)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템부(5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텡크의 커버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0)는,
    외면을 이루는 하우징(40a)과, 상기 하우징(40a)의 전면에 돌출되고, 좌 우로 이동가능하면서 커버(20)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재(41)와, 하우징(40a)의 안쪽면에 상기 이동가능한 조작부재(41)에 의해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재(43)와, 상기 걸림부재(43)의 안쪽에 조작부재(4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형성되는 조작판(41a)과, 상기 조작판(41a)의 일측 선단쪽에 걸림부재(43)에 삽입되어서 조작판(41a)의 이동에 따라 걸림부재(43)를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41b)와, 걸림부재(43)에 삽입되어서 상,하 이동가능하면서 록킹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키이 록 플레이트(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3)의 선단부에는 하우징(40a)의 개구부(10a)로 입출되면서 본체부(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는 스트라이커(12)와 잠금 해제가 되도록 하는 걸림편(43a)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43a)의 하부는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3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3)와 조작판(41a)의 후단부에는 각각 탄성부재(44)(41c)가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41a) 및 하우징(40a) 안쪽면에는 상기 키이 록플레이트(45)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5a)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홈(41a-1)(40a-1)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41a)의 삽입홈(41a-2) 하부에는 키이 록 플레이트(45)의 하부 이동시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정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1a-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41)안에는 키이를 삽입하여 조작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이 조작부재(46)가 형성되고, 상기 키이 조작부재(46)의 단부에 형성되는 키이 조작판(46a)에는 키이 록 플레이트(45)가 상, 하 이동되도록 키이 록 플레이트(45)에 형성되는 장공(45b)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돌기(46b)가 편심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아 저장탱크의 커버 구조체.
KR1020160040861A 2016-04-04 2016-04-04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KR102059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61A KR102059717B1 (ko) 2016-04-04 2016-04-04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61A KR102059717B1 (ko) 2016-04-04 2016-04-04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25A true KR20170114325A (ko) 2017-10-16
KR102059717B1 KR102059717B1 (ko) 2019-12-26

Family

ID=6029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61A KR102059717B1 (ko) 2016-04-04 2016-04-04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7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0464B2 (ja) 2010-05-24 2014-04-02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蓋の開閉リンク構造
CN104169502B (zh) 2012-03-16 2016-08-10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KR101304265B1 (ko) 2013-07-18 2013-09-05 삼표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주유구 개폐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717B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2193B (zh) 用于紧固件驱动设备具有旁路的空射闭锁件
US7162898B2 (en) Cross bar security device for container door stanchions
ATE367497T1 (de) Schloss für eine öffnung an einem kraftfahrzeug mit einem gedächtnis zum entriegeln/verriegeln
JP2010129181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固定構造およびバッテリ固定方法
CN101535706A (zh) 快速连接器
JP5172397B2 (ja) 小物入れ
KR20170114325A (ko) 우레아 저장탱크 커버 구조체
JP4958852B2 (ja) 車両の燃料供給口蓋構造
JP4669035B2 (ja) 作業機
KR20200111297A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자동 개폐 장치
KR101956499B1 (ko) 디젤차량의 통합형 혼유 방지 장치
JP3730027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KR101371272B1 (ko) 틸팅 슬라이딩 타입 연료도어 구조
JP7095755B2 (ja) 車両
JP6151607B2 (ja) 開閉体用ロック装置
CN2367496Y (zh) 油箱盖启闭连动装置
CN207092747U (zh) 一种箱包锁及采用该锁的箱包
KR100394961B1 (ko) 자동차의 연료 캡 분실 방지장치
JPH11115496A (ja) スライドドアのストッパ装置
JP2974976B2 (ja) 切梁サポート
JP2006281879A (ja) 車両用開閉体の位置保持機構
KR100811223B1 (ko) 탄성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100694250B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JPH08303079A (ja) 錠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