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530A - 액체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530A
KR20170105530A KR1020177020666A KR20177020666A KR20170105530A KR 20170105530 A KR20170105530 A KR 20170105530A KR 1020177020666 A KR1020177020666 A KR 1020177020666A KR 20177020666 A KR20177020666 A KR 20177020666A KR 20170105530 A KR20170105530 A KR 20170105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sulfonylurea
ethyl
nicosulfuron
inorganic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873B1 (ko
Inventor
올리버 이건
앤드류 골드스미스
Original Assignee
미츠이 애그리사이언스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엔.브이.
바텔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 애그리사이언스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엔.브이., 바텔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츠이 애그리사이언스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7010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4Carbon disulfi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성 용매계,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을 포함하는 액체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무기염은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에서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액체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초제 조성물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비수성 용매계,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그리고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을 포함하는 액체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중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화학적 안정화를 개선시키기 위한,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2. 발명의 배경
최종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고체 조성물보다는 액체 제초제 조성물을 선호하는데, 이는, 액체 조성물이 물에서의 계측, 펌핑, 희석 및 분산이나 분무 작업에 있어서 다루기가 더 쉬울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더 우수한 생물학적 효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액체 제제(formulation)에는 오일 분산액(OD: oil dispersions), 유화가능한 농축물(EC: emulsifiable concentrates), 및 가용성 농축물(SL: soluble concentrates)과 같이, 1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제제의 액체 매질 내에 용해 및/또는 현탁되어 있는 오일계 제제가 포함된다. 설포닐우레아는 잔디, 목초 및 비-곡물 환경 뿐만 아니라 광범한 일년생 및 다년생 활엽 잡초 및 풀을 방제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30여종 이상의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널리 알려지고 중요한 제초제 부류이다. 그러나, 설포닐우레아는 설포닐우레아 결합의 절단부(cleavage)를 통하여 가수분해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때때로 이들 화합물들의 토양 잔류를 낮추는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제제화된 제품의 보관 안정성과 관련하여서는 상업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몇몇 설포닐우레아 제초제들은 제제 내에 다른 제초제 성분이 혼입될 경우 화학적인 비양립성(incompatibilities)으로 인해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부가적인 제초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 더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오일 분산액과 같은 액체 제초제 제제는 오래 전부터 시판되어 왔지만 (관련 초기 특허로서 1980년대 및 1990년대의 GB 2,059,773 및 US 5,707,928를 들 수 있음), 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그의 내재적인 화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액체 제제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대신, 설포닐우레아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분말, 과립 및 정제로서 제제화되고 있다 (예컨대 EP 0 764 404 Al, WO 98/34482 Al, WO 93/13658 Al, 및 WO 02/17718 Al 참조). 그러나, 설포닐 우레아 제초제의 액체 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기술분야에서 보고되고 있다.
예컨대, US 2006/0276337 Al (Bayer CropScience GmbH)에는 1종 이상의 유기 용매 중에 임의로 설포숙시네이트 염과 함께 현탁되어 있는 피리딜설포닐우레아를 1종 이상 포함하는 오일 현탁 농축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오일 현탁액은 저장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안정성과 관련한 정량적 측정값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WO 2007/027863 A2 (E.I. du Pont de Nemours & Co.)에서도 안정한 설포닐우레아-함유 액체 조성물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 1종 이상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Cl-C4 알칸올의 부가적인 1종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리그노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오일 현탁 농축물이 설명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의 안정성은 사용된 설포닐우레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문헌은 안정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40℃에서 겨우 1주일 보관하자 트리베누론-메틸의 최대 66.5%가 소실되었다.
US 5,731,264 (ISP Investments Inc.)에는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용해된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및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하는 액체의 유화가능한 농축물이 설명되어 있다.
평균적인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 메트설퍼론-메틸을 포함하는 수득된 제제는, 52℃에서 반감기가 5.2일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5일 후에는, 선택된 용매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메트설퍼론 메틸의 25-30%가 사라졌다.
WO 2008/155108 A2 (GAT Microencapsulation AG)에는 35℃에서 15일간 비교적 온화한 보관 조건 하에 보관될 경우 유기개질 실란 화합물과 설포닐우레아의 오일 현탁액이 안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WO 2009/152827 A2 (역시 GAT Microe ncapsulation AG)에서는 54℃에서 2주일이라는 보다 일반적인 가속화 조건이 사용되었지만, 이 문헌에서는 현탁 농축물 내의 설포닐우레아의 화학적 안정성에 관하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EP 0554015 Al (Ishihara Sangyo Kaisha, Ltd,)에는 유효 제초성분으로서 N-[(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 아미노카보닐-3-디메틸아미노카보닐-2-피리딘설폰아미드 및/또는 그의 염, 우레아, 식물성 오일 및/또는 미네랄 오일, 계면활성제 및 부가적인 제초 성분, 농후제, 용매 및 기타 아쥬반트와 같은 임의의 기타 성분들을 포함하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오일-기반 제초제 현탁액이 설명되어 있다. 이 문헌에 의하면, 우레아는 유효 제초 성분의 분해를 억제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오일-기반 제초 현탁액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된다. 
GB 2496643 A (Rotam Agrochem International Company Ltd.)는 EP 0554015 Al에 개시된 현탁 농축물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문헌은 피리딘 설폰아미드 (즉 피리딜설포닐우레아)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을 조성물에 첨가하여 현탁 농축물에 대한 우레아 또는 기타 안정화제의 첨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저조한 확산성과 수분산성을 상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EP 0 124 295 A2 (E.I. du Pont de Nemours & Co.)는 염이 특정 용해도 및 pH 특성을 나타낼 것을 전제로, 암모늄, 치환 암모늄 또는 카복실산이나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의 존재 하에 설포닐우레아의 수성 현탁액이 안정화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염으로 디암모늄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암모늄 아세테이트, 리튬 아세테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포타슘 아세테이트, 또는 소듐 티오시아네이트가 예시되어 있다.
WO 03/051114 Al (ISP Investments Inc.)은 생물학적으로 활성적인 아자 타입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마이크로에멀젼의 보관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수중유형 마이크로에멀젼은 90 내지 99.99 중량% 물을 함유한다. 보관-수명은 에멀젼에 완충제를 첨가함으로써 연장가능하다고 설명되어 있다. 완충제는 알칼리 완충제 예컨대 페놀, 폴리페놀 또는 약산의 무기 Na, K 및 또는 NH4염; 알칸올아민; 약산의 폴리아민 염 또는 이들 완충제의 혼합물이다. 어떠한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제에 대하여도 안정성 데이터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
WO 2013/174833 Al (Bayer CropScience AG)은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농후제 겸 안정화제로서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특히 리튬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요오도설퍼론-메틸 소듐 염의 오일 분산 제제를 설명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바와 같은 이용가능한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시판중인 성공적인 액체 제제에는 니코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및 메조설퍼론-메틸과 같은 보다 내재적으로 안정한 소수의 설포닐우레아만이 혼입되어 왔다. 이들은 오랫동안 시판되어 왔지만, 트리베누론-메틸, 틸렌설퍼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림설퍼론 및 설포설퍼론을 비롯한 많은 중요한 설포닐우레아의 액체 제제는 아직까지 입수할 수 없다. 광범위한 설포닐우레아 및 설포닐우레아와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공동-제제화된 혼합물에 대해 개선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액체 제제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한 개선된 제제 시스템이 명백히 필요하다.
3.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중 많은 설포닐우레아들의 화학 안정성이,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상기 조성물에 혼입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수성 용매계;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적어도 1종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포함하는 액체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무기염은 Na, K, Ca, Mg 또는 Al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무기염은 Na3P04, K3P04, Mg3(P04)2, AlP04, 및 Na2C03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1, 2, 3, 4종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설포닐우레아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데 적합하다.
액체 제초제 조성물은 오일 분산액(OD: oil dispersion), 분산가능한 농축물 (DC: dispersible concentrate), 유화가능한 농축물 (EC: emulsifiable concentrate), 또는 가용성 농축물 (SL: soluble concentrate)로서 제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가 비수성 용매계 내에 용해, 현탁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함유된다. 적어도 1종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이 비수성 용매계 내에 용해, 현탁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액체 제초제 조성물은 비수성 용매계 내에 현탁, 용해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함유된 1종 이상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보통은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손상시키는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존재 하에 설포닐 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액체 제초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완화제(safners)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제초제 조성물은 또한 계면활성제, 특히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부형제(co-formulants)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중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화학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4. 발명의 상세한 설명
4.1 일반적인 설명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 "포함하다(includes)", "갖다", "갖는" 또는 이러한 용어들의 여하한 파생어들은 비-배타적 포함(비-exclusive inclusion)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일련의 어떠한 목록 성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 목록에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거나 그 조성물에 내재적이지 않은 다른 성분들도 포함할 수 있다. 즉,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 "포함하다(includes)", "갖다", "갖는" 또는 이러한 용어들의 다른 파생어들은 다른 부가 성분들이 없는 개시된 구체예도 커버한다(즉 그러한 성분들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예를 들어, 설포닐우레아, 무기염, 유기 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라 함은 이들 4 조성물과 함께 다른 언급되지 않은 성분들을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뿐 아니라 이들 4 성분들만을 포함하는 조성물도 개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어떤 요소 또는 성분 앞에 선행하는 부정관사 "a" 및 "an"은 그 요소나 성분의 경우의 횟수(즉 발생)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a" 또는 "an"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 요소 또는 성분의 단수형태는 그 숫자가 명백히 단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한 복수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그 조성물이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어떤 측면에서 "바람직한"이라는 표현이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측면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측면과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바람직한 설포닐우레아 리스트에 트리베누론-메틸이, 바람직한 유기 용매 리스트에 이소보닐 아세테이트가, 그리고 바람직한 게면활성제 리스트에 에톡실화 폴리아크릴페놀이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은 이들 바람직한 성분들이 통합된 조성물을 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4.2 액체 조성물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액체이다. "액체"라 함은 조성물이 상온 및 상압에서 액체 형태를 취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적절한 액체 조성물에는 문헌 ["Catalogue of pesticide formulation types and international coding system", Technical Monograph No. 2, 6th Ed. May 2008, CropLife International]에 정의되어 있는 오일-기반 액체 제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예시적인 액체 조성물에는 분산가능한 농축물(DC), 유화가능한 농축물(EC), 고체/액체 (KK) 또는 액체/액체 (KL) 콤비-팩의 액체 부분(들), 오일과 혼화가능하고 유동성인 농축물(OF), 오일 혼화성 액체(OL), 오일-기반 가용성 농축물(SL), 확산성 오일(SO), 오일-기반 초저부피 액체(UL) 또는 현탁액(SU), 또는 CropLife 모노그래피에서 아직 특정 코드로 분류되지 않은 기타 오일-기반 액체(AL)가 포함된다. 이들 중, 오일 분산액(OD), 분산가능한 농축물(DC), 유화가능한 농축물 (EC), 및 오일-기반 가용성 농축물 (SL)이 바람직하다. 이들 및 기타 제제들은 기술분야에 공지이며, 예컨대 문헌 ["Pesticide Formulations" (1973), Wade van Valkenburg, 및 "New Trends in Crop Protection Formulations" (2013), Alan Knowles 편집]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오일 분산액(OD), 유화가능한 농축물(EC) 및 가용성 농축물(SL) 중의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제제 유형들이 가장 바람직하다. "오일 분산액(oil dispersion)"이라 함은 1종 이상의 고체 활성 화합물이 그 안에 현탁되어 있고 추가의 활성 성분들이 비수성 용매 내에 임의로 용해되어 있는, 비수성 용매에 기반한 분산 농축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구체예에서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이 비수성 용매계에 현탁되어 있다. 부가적인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이 비수성 용매계에 공현탁 및/또는 공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1종 이상의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에 더해, 1종 이상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 화합물도 비수성 용매계에 현탁 및/또는 용해될 수 있다. 좋기로는 무기염도 비수성 용매계 내에 현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현탁되다(suspended)" 및 "용해되다(dissolved)"라는 용어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를 갖는다. 화합물을 현탁시킬지 또는 용해시킬지는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의문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현탁되다"라는 용어는 관심 대상 화합물의 80 중량% 이상, 또는 더욱 좋기로는 90 중량% 이상 또는 더더욱 좋기로는 95 중량% 이상이 액체 조성물 내에 현탁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용해되다"라는 표현은 관심 대상 화합물의 90 중량% 이상, 또는 더욱 좋기로는 95 중량% 이상 또는 더더욱 좋기로는 99 중량% 이상이 액체 조성물 내에 용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4.3 설포닐우레아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은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한다. 설포닐우레아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분야에 공지이거나 또는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어떠한 제초 설포닐우레아이든 무방하다. 예컨대, 설포닐우레아는 "The Pesticide Manual" (ISBN-10: 1901 9686X) 제16판에 수록되어 있는 설포닐우레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의 일반 구조로서, 설포닐우레아는 WO 2007/027863 A2 (E.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 설명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에 따른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화학식 1
식 중 J는 R13SO2N(CH3)-이거나 또는 J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식 중;
R은 H 또는 CH3;
R1은 F, Cl, Br, N02, 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C3-C4 시클로알킬, C2-C4 할로알케닐, C1-C4 알콕시, C1-C4 할로알콕시, C2-C4 알콕시알콕시, C02R14, C(0)NR15R16, S02NR17R18, S(0)nR19,C(0)R20, CH2CN 또는 L; 
R2는 H, F, Cl, Br, I, CN, CH3, OCH3, SCH3, CF3 또는 OCF2H;
R3는 Cl, N02, C02CH3, C02CH2CH3, C(0)CH3, C(0)CH2CH3, C(0)-시클로프로필, S02N(CH3)2, S02CH3, S02CH2CH3, 0CH3 또는 0CH2CH3; 
R4는 C1-C3 알킬, C1-C2 할로알킬, C1-C2 알콕시, C2-C4 할로알케닐; F, Cl, Br, N02, C02R14, C(0)NR15R16, SO2NR17R18. S(0)nR19, C(O)R20 또는 L; 
R5는 H, F, Cl, Br 또는 CH3 ; 
R6는 0-3개의 F, 0-1개의 Cl 및 0-1개의 C3-C4 알콕시아세틸옥시에 의해 임의 치환된 C1-C3 알킬 알킬이거나 또는 R6는 C1-C2 알콕시, C2-C4 할로알케닐, F, Cl, Br, C02R14, C(0)NR15R16, S02R17R18, S(0)nR19, C(0)R20 또는 L; 
R7은 H, F, Cl, CH3 또는 CF3; 
R8은 H, C1-C3 알킬 또는 피리딜; 
R9은 C1-C3 알킬, C1-C2 알콕시, F, Cl, Br, N02, C02R14, S02R17R18, S(0)nR19, OCF2H, C(0)R20, C2-C4 할로알케닐 또는 L; 
R10은 H, Cl, F, Br, C1-C3 알킬, 또는 C1-C2 알콕시; 
R11은 H, C1-C3 알킬, C1-C2 알콕시, C2-C4 할로알케닐, F, Cl, Br, C02R14, C(O)NR15R16, S02R17R18, S(0)nR19, 또는 L; 
R12는 할로겐, C1-C4 알킬, 또는 C1-C3 알킬설포닐; 
R13은 C1-C4 알킬;
R14는 할로겐, C1-C2 알콕시 및 C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의해 임의 치환된 C1-C3 알킬, 알릴, 프로파르길, 및 옥세탄-3-일로부터 선택되고;
R15은 H, C1-C3 알킬 또는 C1-C2 알콕시; 
R16은 C1-C2 알킬; 
R17은 H, C1-C3 알킬, C1-C2 알콕시, 알릴 또는 시클로프로필; 
R18은 H 또는 C1-C3 알킬; 
R19은 C1-C3 알킬, C1-C3 할로알킬, 알릴 또는 프로파르길; 
R20는 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또는 할로겐에 의해 임의 치환된 C3-C5 시클로알킬;
n은 0, 1 또는 2; 
L은
Figure pct00005
L1은 CH2, NH 또는 O; 
R21은 H 및 C1-C3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H, C1-C4 알킬, C1-C4 알콕시, C1-C4 할로알콕시, C1-C4 할로알킬, C1-C4 할로알킬티오, C1-C4 알킬티오, 할로겐, C2-C5알콕시알킬, C2-C5 알콕시알콕시, 아미노, C1-C3 알킬아미노 및 디(C1-C3 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Y는 H, C1-C4 알킬, C1-C4 알콕시, C1-C4 할로알콕시, C1-C4 알킬티오, C1-C4 할로알킬티오, C2-C5 알콕시알킬, C2-C5 알콕시알콕시, 아미노, C1-C3 알킬아미노, 디(C1-C3 알킬)아미노, C3-C4 알케닐옥시, C3-C4 알키닐옥시. C2-C5 알킬티오알킬, C2-C5 알킬설피닐알킬, C2-C5 알킬설포닐알킬, C1-C4 할로알킬, C3-C5 시클로알킬, 아지도 및 시아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Z는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i) X 및 Y 중 일방 또는 양방이 C1 할로알콕시이면, Z는 CH이고; 및 (ii) X가 할로겐이면, Z는 CH이고 Y는 0CH3, 0CH2CH3, N(0CH3)CH3, NHCH3, N(CH3)2 또는 CF2H이다.
상기 화학식 (I)에서, "알킬"이라는 용어는 단독으로 사용되던 또는 "알킬티오" 또는 "할로알킬"처럼 어떤 화합물 내에 포함되어 사용되던,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또는 상이한 부틸 이성질체와 같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을 포함하고; "시클로알킬"은 예컨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및 시클로펜틸을 포함하며; "알케닐"은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켄 예컨대 에티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및 상이한 부테닐 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알케닐"은 1,2-프로파디에닐 및 2,4-부타디에닐과 같은 폴리엔도 포함하며; "알키닐"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킨, 예컨대 에티닐, 1-프로피닐, 2-프로피닐 및 상이한 부티닐 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알키닐"은 2,5-헥사디이닐처럼 복수개의 삼중결합을 포함하는 모이어티도 포함할 수 있으며; "알콕시"는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M-프로필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및 상이한 부톡시 이성질체를 포함하고; "알콕시알킬"은 알콕시로 치환된 알킬을 나타내고 이의 예로는 CH3OCH2, CH3OCH2CH2, CH3CH2OCH2, CH3CH2CH2CH2OCH2, 및 CH3CH2OCH2CH2를 들 수 있으며; "알콕시알콕시"는 알콕시로가 치환된 알콕시를 나타내고; "알케닐옥시"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케닐옥시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H2C=CHCH20, (CH3)CH=CHCH20 및 CH2=CH2CH20일 수 있으며; "알키닐옥시"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키닐옥시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HC≡CCH20 및 CH3C≡CCH20일 수 있고; "알킬티오"는 분지쇄 또는 직쇄 알킬티오 모이어티, 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및 상이한 프로필티오 이성질체를 포함하며; "알킬티오알킬"은 알킬티오로 치환된 알킬을 나타내고 그 예로는 CH3SCH2, CH3SCH2CH2, CH3CH2SCH2, CH3CH2CH2CH2SCH2 및 CH3CH2SCH2CH2를 들 수 있으며; "알킬설피닐알킬" 및 "알킬설포닐알킬"은 각각 대응하는 설폭사이드 및 설폰을 포함하고;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와 같은 그 밖의 치환기들도 유사하게 정의된다. 
전술한 화학식 (I)에서 치환기 내 탄소 원자의 총 갯수는 "Cj-Cj"로 표시되며, 여기서 접두사 i 및 j는 1 내지 5의 숫자를 나타낸다. 예컨대, C1-C4 알킬은 다양한 이성질체를 포함하여 메틸부터 부틸까지를 나타낸다. 추가적인 예로서, C2 알콕시알킬은 CH3OCH2; C3알콕시알킬은 예컨대, CH3CH(OCH3), CH3OCH2CH2 또는 CH3CH2OCH2를 나타내고; 및 C4알콕시알킬은 총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의 다양한 이성질체들을 나타내며, 예컨대 여기에는 CH3CH2CH2OCH2 및 CH3CH2OCH2CH2가 포함된다.
상기 화학식 (I)에서 "할로겐"은 단독으로든 또는 "할로알킬"과 같이 화합물 내에 합쳐져 사용되건,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할로알킬"처럼 화합물 내에 포함되어 사용될 경우, 상기 알킬은 같거나 다른 할로겐 원자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치환될 수 있다. "할로알킬"의 예로는 F3O, ClCH2, CF3CH2 및 CF3CCl2를 들 수 있다. "할로알콕시" "할로알킬티오" 등의 용어는 "할로알킬"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의된다. "할로알콕시"의 예로는 CF3O, CCl3CH20, HCF2CH2CH20 및 CF3CH20를 들 수 있다. "할로알킬티오"의 예로는 CC13S, CF3S, CC13CH2S 및 ClCH2CH2CH2S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I)에 따른 바람직한 설포닐우레아에는 X는 C1-C4 알킬. C1-C4 알콕시, C1-C4 할로알콕시, 할로겐, 디(C1-C3 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C1-C4 알킬, C1-C4 알콕시, 및 C1-C4 할로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보다 좋기로는 X는 CH3, OCH3, Cl, OCHF2, N(CH3)2로부터 선택되고 Y는 CH3, OCH3, OCHF2, N 및 OCH2CF3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바람직하다.
화학식 (I)에 따른 바람직한 설포닐우레아는 또한 J가 J-1, R1은 Cl, C02CH3, C02C2H5, CH2CH2CF2, 또는 0CH2CH2C1이고, R2는 H; J는 J-l, R1은 C02CH3, 및 R2는 CH3; J는 J-2, R3는 C02C2H5, OCH2CH3, 또는 COC3-시클로알킬, L1은 CH2, O. 또는 NH이고, 및 R2는 H; J는 J-5, R4는 C02CH3, 및 R5는 H; J는 J-6, R6는 CON(CH3)2, SCO2CH2CH3, 또는 CF3, 및 R7은 H; J는 J-10, R8은 CH3, R9는 C02CH3이고 R10은 Cl인 것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화학식 (I)에 따른 설포닐우레아, 또는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예시적인 모든 설포닐우레아는 산, 에스테르, 염 및 이성질체와 같이 이 기술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것을 망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염에는 예컨대 히드로브롬산, 염산, 질산, 인산, 황산, 아세트산, 부티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말레산, 말론산, 옥살산, 프로피온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또는 발레르산과 같은 무기 또는 유기산의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또한, 유기 염기(예컨대, 피리딘, 암모니아,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무기 염기(예컨대, 소듐, 포타슘, 리튬, 칼슘, 마그네슘 또는 바륨의 히드라이드, 수산화물 또는 카보네이트)에 기반한 염도 포함된다. 화학식 (I)에 따른 설포닐우레아, 또는 본 명세서에 예시된 설포닐우레아의 바람직한 염에는 리튬, 소듐, 포타슘, 트리에틸암모늄, 및 4급 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 상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알킬 에스테르, 특히 C1-C10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및 에틸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예시적인 화학식 (I)에 따른 설포닐우레아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아미도설퍼론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N-메틸메탄설폰아미드), 
아짐설퍼론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1-메틸-4-(2-메틸-2H-테트라졸-5-일)-lH-피라졸-5-설폰아미드), 
벤설퍼론-메틸 (메틸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메틸]벤조에이트), 
클로리뮤론-에틸 (에틸 2-[[[[(4-클로로-6-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클로르설퍼론 (2-클로로-N-[[(4-메톡시-6-메틸-l,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시노설퍼론 (N-[[(4.6-디메톡시-l,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2-(2-메톡시에톡시)-벤젠설폰아미드), 
시클로설파뮤론 (N-[[[2-(시클로프로필카보닐)페닐]아미노]-설포닐]-N1-(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우레아), 
에타메트설포론-메틸 (메틸 2-[[[[[4-에톡시-6-(메틸아미노)-l,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에톡시설퍼론 (2-에톡시페닐 [[(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설파메이트),
플라자설퍼론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딘설폰아미드), 
플루세토설퍼론 (l-[3-[[[[(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2-피리디닐]-2-플루오로프로필 메톡시아세테이트), 
플루피르설퍼론-메틸 ((메틸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6-(트리플루오로메틸)-3-피리딘카복실레이트),
포람설퍼론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4-(포르밀아미노)-N,N-디메틸벤즈아미드), 
할로설퍼론-메틸 (메틸 3-클로로-5-[[[[(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l-메틸-l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이마조설퍼론 (2-클로로-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이미다조[l,2-알파]피리딘-3-설폰아미드), 
요오도설퍼론-메틸 (메틸 4-요오도-2-[[[[(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이오펜설퍼론 (2-요오도-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벤젠설폰아미드), 
메조설퍼론-메틸 (메틸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4-[[(메틸설포닐)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메타조설퍼론 (3-클로로-4-(5,6-디히드로-5-메틸-1,4,2-디옥사진-3-일)-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J-1-메틸-1H-피라졸-5-설폰아미드), 
메트설퍼론-메틸 (메틸 2-[[[[(4-메톡시-6-메틸-l,3,5-트리아진-2-일)아미노] 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니코설퍼론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N,N-디메틸-3-피리딘카복사미드), 
오르토설파뮤론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아미노]-N,N-디메틸벤즈아미드), 
옥사설퍼론 (3-옥세타닐 2-[[[[(4,6-디메틸-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프리미설퍼론-메틸 (메틸 2-[[[[[4,6-비스(트리플루오로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프로설퍼론 (N-[[(4-메톡시-6-메틸-l,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2-(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벤젠설폰아미드),
피라조설퍼론-에틸 (에틸 5-[[[[(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l-메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 
림설퍼론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3-(에틸설포닐)-2-피리딘설폰아미드), 
설포메튜론-메틸 (메틸 2-[[[[(4,6-디메틸-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설포설퍼론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2-(에틸설포닐)이미다조[l,2-]피리딘-3-설폰아미드), 
티펜설퍼론-메틸 (메틸 3-[[[[(4-메톡시-6-메틸-l,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2-티오펜카복실레이트), 
트리아설퍼론 (2-(2-클로로에톡시)-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 벤젠설폰아미드), 
트리베누론-메틸 (메틸 2-[[[[N-(4-메톡시-6-메틸-1,3,5-트리아진-2-일)-N-메틸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벤조에이트),
트리플록시설퍼론 (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3-(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2-피리딘설폰아미드), 
트리플루설퍼론-메틸 (메틸 2-[[[[[4-디메틸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3-메틸벤조에이트) 및
트리토설퍼론 (N-[[[4-메톡시-6-(트리플루오로메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카보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설폰아미드).
기술분야 (예컨대 WO 2014/018410 Al (Dow Agrosciences; WO 2012/175899 Al (Syngenta Ltd.))에서 언급된 그 밖의 설포닐우레아 (예컨대 프로피리설퍼론: 2-클로로-N-[[(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아미노]카보닐]-6-프로필이미다조[l,2-b]피리다진-3-설폰아미드)도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다. 
전술한 설포닐우레아의 바람직한 염에는 그의 나트륨염과 칼륨염이 포함된다.
설포닐우레아는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 중 액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설포닐우레아는 적어도 0.2 중량%, 적어도 0.5 중량%, 적어도 0.7 중량%, 적어도 1 중량%, 적어도 2 중량%, 적어도 5 중량% 또는 적어도 7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닐우레아는 좋기로는 조성물 중에 6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설포닐우레아는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닐우레아의 상술한 바람직한 임의의 하한 중량%는 상술한 바람직한 임의의 상한 중량%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보다 적절한 설포닐우레아 함량 범위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조성물 중 설포닐우레아의 양의 추가적인 예시 범위에는 0.1 내지 60 중량%. 1 내지 50중량%, 2 내지 40 중량%, 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0 중량%, 7 내지 30 중량%, 5 내지 10 중량%, 0.2 내지 5 중량%, 0.5 내지 2 중량% 및 0.5 내지 1 중량%가 포함된다. 
설포닐우레아가 그의 염, 에스테르 또는 기타 변형된 형태로 사용될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중량%는 그 변형된 설포닐우레아의 중량을 가리킨다. 조성물 내에 2종 이상의 설포닐우레아가 존재할 경우 (염, 에스테르 또는 그 밖의 형태로서), 설명된 양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설포닐우레아의 합산량을 의미한다. 
액체 조성물이 설포닐우레아의 오일 분산액이면, 설포닐우레아는 입도(D50)가 적어도 100 nm 이상, 적어도 200 nm 이상, 적어도 500 nm 이상, 적어도 1 ㎛ 이상, 적어도 2 ㎛ 이상, 또는 적어도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입도가 상기 수치범위 미만일 경우 밀링(milling) 과정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되어 설포닐우레아가 분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좋기로는, 설포닐우레아는 입도(D50)가 30 ㎛ 이하, 15 ㎛ 이하, 10 ㎛ 이하, 7 ㎛ 이하, 5 ㎛ 이하, 3 ㎛ 이하, 1 ㎛ 이하, 5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닐우레의 상술한 바람직한 임의의 하한 입도는 상술한 바람직한 임의의 상한 입도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보다 적절한 입도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설포닐우레아의 추가적인 입도(D50) 범위의 예로는 0.1-30 ㎛, 0.2-15 ㎛, 0.5-10 ㎛, 0.1-0.5 ㎛, 0.2-1 ㎛, 0.5-3 ㎛, 1-15 ㎛, 1-10 ㎛, 1-7 ㎛, 2-15 ㎛, 2-10 ㎛, 2-7 ㎛, 3-15 ㎛, 3-10 ㎛, 및 3-7 ㎛를 들 수 있다. D50은 부피 중앙 (volume median) 입도를 가리키며 CIPAC MT187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산란법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은 2종 이상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설포닐우레아들을 어떠한 조합으로든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체 조성물은 트리베누론-메틸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그 밖의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메트설퍼론-메틸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그 밖의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액체 조성물은 니코설퍼론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그 밖의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 위한 설포닐우레아의 추가적인 예시 조합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니코설퍼론 및 림설퍼론; 니코설퍼론 및 티펜설퍼론 메틸; 니코설퍼론 및 프로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및 요오도설퍼론 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메트설퍼론 메틸 및 설포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및 티펜설퍼론 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벤설퍼론 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클로르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및 클로리뮤론 에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트리베누론-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벤설퍼론-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티펜설퍼론 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티펜설퍼론 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클로리뮤론 에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메조설퍼론 (임의로 메조설퍼론 메틸로서); 트리베누론-메틸 및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요오도설퍼론 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메조설퍼론; 요오도설퍼론 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메조설퍼론 메틸; 요오도설퍼론 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아미도설퍼론; 요오도설퍼론 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포람설퍼론; 메조설퍼론 (및/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및 요오도설퍼론 메틸; 포람설퍼론 및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림설퍼론 및 티펜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및 티펜설퍼론-메틸; 티펜설퍼론-메틸 및 클로리뮤론-에틸.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액체 제초제 조성물은 피리딜설포닐우레아가 아닌 설포닐우레아를 적어도 1종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제초제 조성물은 피리딜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제초제 조성물은 니코설퍼론을 포함하지 않는다. 
4.4 무기염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금속 포스페이트 및 the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적어도 1종 포함한다. 예시적인 금속염으로는 리튬, 소듐 및 포타슘과 같은 알칼리 금속으로부터 유도된 것, 마그네슘 및 칼슘과 같은 알칼리토 금속으로부터 유도된 것, 및 알루미늄과 같은 기타 금속으로부터 유도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염은 다양한 형태의 소듐 포스페이트 및 소듐 카보네이트이다.
예시적인 염으로는 Na3P04, Na2C03, A1P04, Mg3(P04)2 및 Na2HP04를 들 수 있다. 금속염의 무수물 형태와 수화물 형태 양방 모두 사용가능하지만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측면에서 무수물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소듐 포스페이트" 및 "포타슘 포스페이트"라는 용어는 이들의 무수물 형태와 수화물 형태 뿐만 아니라, 소듐 포스페이트 및 포타슘 포스페이트의 각기 다양한 형태들도 포괄한다. 예컨대, "소듐 포스페이트"에는 모노소듐 포스페이트 (무수물), 모노소듐 포스페이트 (일수화물), 모노소듐 포스페이트 (이수화물), 디소듐 포스페이트 (무수물), 디소듐 포스페이트 (이수화물), 디소듐 포스페이트 (칠수화물), 디소듐 포스페이트 (팔수화물), 디소듐 포스페이트, (도데카히드레이트),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무수물, 6방정계),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무수물, 입방정계),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반수화물).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육수화물),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팔수화물),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도데카수화물), 모노소듐 디포스페이트 (무수물), 디소듐 디포스페이트 (무수물), 디소듐 디포스페이트 (육수화물), 트리소듐 디포스페이트 (무수물), 트리소듐 디포스페이트 (수화물), 트리소듐 디포스페이트 구수화물. 테트라소듐 포스페이트 (무수물), 테트라소듐 디포스페이트 (십수화물), 소듐 트리포스페이트, 및 소듐 테트라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포타슘 포스페이트"라는 용어에는 모노포타슘 포스페이트,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및 트포타슘 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무수물 형태가 포함된다.
놀랍게도,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및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는 특히, 액체 조성물에서 더 잘 가수분해되는 설포닐우레아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다른 염들에 비해 화학 안정성이 탁월한 설포닐우레아를 제공한다. 예컨대, 트리베누론-메틸은 트리소듐 포스페이트의 존재 하에 탁월한 화학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그의 무수물 또는 수화물 형태)는 본 발명의 무기염으로서 특히 선호된다.
탁월한 화학 안정성은: 
설포닐 우레아가
설포닐 우레아가 트리베누론-메틸, 메트설퍼론-메틸, 니코설퍼론,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염은 Na3P04이거나; 또는
설포닐 우레아가 트리베누론-메틸 및 니코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염은 Na2CO3이거나; 또는
설포닐 우레아가 림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티펜설퍼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염은 Mg(P04)2이거나; 또는
설포닐 우레아가 메트설퍼론-메틸, 림설퍼론 및 할로설퍼론-메틸 및 그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염은 A1P04인 경우에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염 및 설포닐우레아의 상기 바람직한 조합을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모든 제제에 있어서 트리베누론-메틸, 메트설퍼론-메틸, 니코설퍼론,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또는 트리아설퍼론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Na3PO4의 용도; 또는 이러한 모든 제제에 있어서 트리베누론-메틸 또는 니코설퍼론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Na2CO3의 용도; 또는 이러한 모든 제제에 있어서 림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티펜설퍼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또는 트리아설퍼론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Mg3(P04)2의 용도; 이러한 모든 제제에 있어서 메트설퍼론-메틸, 림설퍼론 또는 할로설퍼론-메틸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AlPO4의 용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 개선 측면에서, 무기염은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 중 액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0.0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무기염이 적어도 0.03 중량%, 적어도 0.05 중량%, 적어도 0.1 중량%, 적어도 0.2 중량%, 적어도 0.5 중량%, 적어도 1 중량%, 적어도 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염은 좋기로는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 문제를 감소시키고 임의로 존재하는 여하한 계면활성제의 기능 방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성물에 대해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무기염은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또는 0.7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염의 바람직한 임의의 하한 중량%는 바람직한 임의의 상한 중량%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보다 적절한 중량% 범위를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액체 조성물 중 무기염의 양의 부가적인 예시적인 범위는 0.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5 중량%,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0 중량%, 0.5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 0.5 내지 5 중량%, 0.1 내지 2 중량%, 0.2 내지 2 중량%, 0.2 내지 1 중량%, 및 0.2 내지 0.7 중량%를 포함한다. 
전술한 중량 범위는 액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금속 포스페이트 및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총량을 가리킨다. 전술한 중량 범위는 설포닐우레아의 염과 같이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다른 염에 대한 것이 아니다. 금속 포스페이트 및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무기염이 조성물 내에 존재할 경우 (예컨대 Na2CO3 및 Na3P04), 전술한 양은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금속 포스페이트 및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모든 무기염들의 합산량을 가리킨다. 화학 안정성의 증가 관점에서,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좋기로는,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가 0.2 이상, 0.3 이상, 0.5 이상, 0.7 이상, 또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는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중량비라 함은 금속 포스페이트 및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총량 대 액체 조성물 중의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의 총량을 가리킨다. 상기 바람직한 임의의 하한 중량비는 상술한 바람직한 임의의 상한 중량비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보다 적절한 중량비를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의 또 다른 예시 범위에는 0.1 내지 5, 0.2 내지 4, 0.3 내지 3, 0.3 내지 1, 0.5 내지 2, 0.7 내지 2, 0.1 내지 2, 1 내지 2 및 1 내지 5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액체 제초제 조성물은: 
비수성 용매계; 
조성물에 대해 1 내지 50 중량%의 총량으로 존재하는,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0.1 내지 20 중량%의 총량으로 존재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
을 포함하되, 단,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중량비는 0.1 내지 5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의 총량은 2 내지 20 중량%,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총량은 1 내지 20 중량%이고,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는 0.1 내지 5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설포닐우레아 화합물의 총량은 2 내지 20 중량%,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총량은 1 내지 20 중량%이고,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는 0.5 내지 2.5, 좋기로는 0.7 내지 2.3이다.
전술한 여하한 구체예에 있어서, 만일 염이 Na2C03 (무수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면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Na2C03의 중량비는 0.1 내지 2의 범위, 더욱 좋기로는 0.1 내지 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염이 Na3P04 (무수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면,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Na3P04의 중량비는 0.1 내지 2의 범위, 더욱 좋기로는 0.5 내지 2의 범위, 및 가장 좋기로는 1 내지 2의 범위이다. 만일 염이 K3P04(무수물 또는 수화물)이면, 설포닐우레아에 대한 K3P04의 중량비는 0.1 내지 2의 범위, 더욱 좋기로는 0.5 내지 2의 범위, 및 가장 좋기로는 1 내지 2의 범위이다. 
무기염의 입도를 정의된 범위로 유지하면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제공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기염의 입도(D50)는 좋기로는 적어도 100 nm 이상, 적어도 200 nm 이상, 적어도 500 nm 이상, 적어도 1 ㎛ 이상, 적어도 1.5 ㎛ 이상, 또는 적어도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염의 입도(D50)는 좋기로는 30 ㎛ 이하, 15 ㎛ 이하, 10 ㎛ 이하, 5 ㎛ 이하, 3 ㎛ 이하, 1 ㎛ 이하, 또는 500 nm 이하인 것이 조성물 내의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람직한 임의의 상한 중량%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보다 적절한 설포닐우레아 함량 범위를 구성할 수 있다.
무기염의 상기한 바람직한 임의의 하한 입도는 상기 바람직한 임의의 상한 입도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보다 적합한 염 입도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기염의 입도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 범위에는 0.1-30 ㎛, 0.2-15 ㎛. 0.5-10 ㎛, 0.1-0.5 ㎛, 0.2-1 ㎛, 0.5-3 ㎛, 1-15 ㎛, 1-10 ㎛, 1-5 ㎛, 1-3 ㎛, 1.5-15 ㎛. 2-15 ㎛, 2-10 ㎛, 2-5 ㎛, 및 2-3 ㎛이 포함된다. D50은 부피 중앙 입도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CIPAC MT187에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 산란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액체 조성물은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소듐 트리포스페이트가 아닌, 적어도 1종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일 측면에서 액체 조성물은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소듐 트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만일 액체 조성물이 피리딜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하면, 조성물은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소듐 트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측면에서, 만일 액체 조성물이 피리딜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하면, 조성물은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Na2C03 또는 K2CO3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만일 액체 조성물이 니코설퍼론을 포함하면, 조성물은 칼슘 카보네이트, 소듐 트리포스페이트, 및 알칼리 금속 바이카보네이트, Na2C03 또는 K2CO3 중 1종 이상을 포함하지 않는다.
4.5 비수성 용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매계"라는 용어는 물을 제외한 1종 이상의 용매(예컨대 유기 용매)가 액체 조성물 내 액체 담체로서 사용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용매게가 반드시 물을 전적으로 함유해서는 아니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 용매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성분들에 흔적량의 물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제초제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 계면활성제 또는 염에 의해 흔적량의 물이 용매계 내로 도입될 수도 있다. "비수성 용매계"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바는 이 기술 분양에서 명확하지만 (에컨대 OD, EC 및 SL이 비수성 용매계를 사용함), 일말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용어는 액체 조성물이 물을 조성물의 5 중량% 이하의 양, 좋기로는 3 중량% 이하, 더욱 좋기로는 2 중량% 이하 및 가장 좋기로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설포닐우레아 및 무기염은 비수성 용매계에 용해되거나, 분산되거나, 현탁되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함유된다. 전형적인 용매는 문헌 [Marsden, Solvents Guide, 제2판, Interscience, New York, 1950]에 설명되어 있다. 비수성 용매계는 용매계의 주요성분으로서 1종 이상의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계 내의 비양성자성 용매의 양이 50 중량% 이상인 경우, 설포닐우레아를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무기염의 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좋기로는 1종 이상의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가 용매계의 60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좋기로는 90 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는 예컨대 미국 2005/0113254 (Bayer CropScience GmbH)의 "Component (C)" 제하의 리스트에 수록된 것들을 들 수 있다.
(1)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로는 예컨대 다음을 들 수 있다:
(la)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모노-또는 폴리알킬-치환된 벤젠, 예컨대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에틸벤젠, 또는 모노-또는 폴리알킬-치환된 나프탈렌, 예컨대 1-메틸나프탈렌, 2-메틸나프탈렌 또는 디메틸나프탈렌, 또는 기타 벤젠-유래된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인단 또는 또는 Tetralin® 또는 그의 혼합물, 
(lb)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펜탄, 헥산, 옥탄, 2-메틸부탄 또는 2,2,4-트리메틸펜탄과 같은 화학식 CnH2n+2의 예컨대 직쇄 또는 분지쇄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시클릭, 임의로 알킬-치환된 방향족, 예컨대 시클로헥산 또는 메틸시클로펜탄, 또는 그의 혼합물, 예컨대 Exxsol® 시리즈, Isopar® 시리즈 또는 Bayol® 시리즈, 예컨대 Bayol® 82 (ExxonMobil Chemicals), 또는 Isane® IP 시리즈 또는 Hydroseal® G 시리즈 (TotalFinaElf)의 용매, 및 터펜틴 및 그의 구성성분(예컨대 피넨, 캄펜)과 같은 테르펜을 비롯하여 직쇄, 분지쇄 또는 시클릭 불포화 지방족, 및 이소보닐 아세테이트 (엑소-1,7,7-트리메틸바이시클로[2.2.1]헵-2-틸 아세테이트)과 같은, 그로부터 유래가능한 화합물, 
(lc) 방향족 및 지방족 탄화수소의 혼합물, 예컨대 Solvesso® 시리즈, 예컨대 Solvesso® 100, Solvesso® 150 또는 Solvesso® 200 (ExxonMobil Chemicals)의 용매, Solvarex® /Solvaro® 시리즈 (TotalFinaElf) 또는 Caromax® 시리즈, 예컨대 Caromax® 28 (Petrochem Carless), 또는
(Id)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컨대 할로겐화 방향족 및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클로로벤젠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2)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 예컨대 에테르, 단관능 또는 다관능 C1-C9-알칸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그들의 모노- 디 또는 트리에스테르, 예컨대 C1-C18-알킬 알코올, 호변이성질화 경향이 낮은 케톤, 인산 에스테르, 아미드, 니트릴 또는 설폰, 예컨대 트리스-2-에틸헥실 포스페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Rhodiasolv® RPDE (Rhodia), 시클로헥산온, Jeffsol® PC (Huntsman), γ-부티로락톤, 피롤리돈-기반 용매 예컨대 N-메틸피롤리돈 또는 N-부틸피롤리돈, 디메틸 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트리부틸포스파탐 또는 Hostarex® PO 시리즈 (Clariant); 
(3) 예컨대 천연 기원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천연 오일, 예컨대 동물성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 또는 합성 기원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Edenor® 시리즈, 예컨대 Edenor® MEPa 또는 Edenor® MESU, 또는 Agnique® ME 시리즈 또는 Agnique® AE 시리즈 (Cognis), Salim® ME 시리즈 (Salim), Radia® 시리즈, 예컨대 Radia® 30167 (1C1), Prilube® 시리즈, 예컨대 Prilube® 1530 (Petrofina), Stepan® C 시리즈 (Stepan) 또는 Witconol® 23 시리즈 (Witco). 지방산 에스테르는 좋기로는 C10-C22-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특히 C12-C20-지방산이 바람직하다. C10-C22-지방산 에스테르으로는 예컨대 불포화 또는 포화 C10-C22-지방산의 에스테르, 특히 탄소 원자가 짝수개인 것들, 예컨대 에루신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특히 C18-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을 들 수 있다.
C10-C22-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C10-C22-지방산과 같은 글리세롤 및 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에스테르 교환 산물, 예컨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C10-C22-지방산 C1-C20-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것은 예컨대 전술한 글리세롤 또는 글리콜 지방산 예컨대 C10-C22-지방산 에스테르를 C1-C20-알코올(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로 에스테르 교환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하다. 바람직한 지방사나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C10-C22-지방산 C1-C20-알킬 에스테르는 메틸 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 프로필 에스테르, 부틸 에스테르, 2-에틸헥실 에스테르 및 도데실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글리콜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C10-C22-지방산 에스테르는 C10-C22-지방산, 특히 탄소 원자가 짝수개인 것들, 예컨대 에루신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특히 C18-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의 균일(uniform) 또는 혼합형 글리콜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에스테르이다.
동물성 오일 및 식물성 오일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 상, "동물성 오일"이라는 용어는 예컨대 고래, 대구-간유, 사향유 또는 밍크 오일과 같은 동물 기원의 오일을 의미하고, "식물성 오일"이라는 용어는 대두유, 평지씨유,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아마씨유, 코코넛 오일, 팜유, 엉겅퀴유, 호두유, 땅콩유,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평지씨유와 같은 기름이 많은 식물종의 오일을 의미하되, 여기서 식물성 오일은 그의 에스테르교환 산물, 예컨대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평지씨유 메틸 에스테르 또는 평지씨유 에틸 에스테르도 포함한다.
식물성 오일은 좋기로는 C10-C22-지방산, 좋기로는 C12-C20-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C10-C22-지방산 에스테르는 예컨대 C10-C22-지방산, 특히 탄소 원자가 짝수개인 것들, 예컨대 에루신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특히 C18-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과 같이 불포화 또는 포화된 C12-C20-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식물성 오일의 예로는 글리세롤 또는 글리콜의 C12-C20-지방산 에스테르 C12-C20-지방산 또는 C12-C20-지방산 C1-C20-알킬 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것은 예컨대 전술한 글리세롤 또는 글리콜 C12-C20-지방산 에스테르를 C1-C20-알코올(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에스테르교환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하다. 식물성 오일은 시판되는 식물성 오일 특히 평지씨유, 예컨대 평지씨유 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Phytorob® B (Novance, France), Edenor® MESU 및 Agnique® ME 시리즈 (Cognis, Germany) Radia® 시리즈 (ICI), Prilube® 시리즈 (Petrofina), 또는 바이오디젤의 형태 또는 시판되는 식물성 오일-함유 제제 첨가제, 특히 평지씨유, 예컨대 평지씨유 메틸 에스테르, 예컨대 Hasten® (Victoria Chemical Company, Australia), Actirob® B (Novance, France), Rako-Binol® (Bayer AG, Germany), Renol® (Steles, Germany) 또는 Mero® (Stefes, Germany)의 형태의 혼합물에 함유될 수 있다.
합성 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예컨대 C11-C21-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으로부터 유래한 것들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 용매는 탄화수소, 특히 방향족 탄화수소 및/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및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식물성 오일, 예컨대 포화 또는 불포화되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이고 추가의 관능기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는 탄소 원자 10 내지 22개의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에컨대, 옥수수유, 평지씨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아마씨유, 대두유, 코코넛 오일, 팜유, 엉겅퀴유 또는 피마자유, 및 이들의 에스테르 교환 산물 예컨대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용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직쇄 또는 분지쇄 C6 내지 C30 파라핀 오일, 예컨대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트리데칸, 테트라데칸, 펜타데칸, 헥사데칸, 이의 혼호합물 또는 고비점 동족체 예컨대 헵타-, 옥타-, 노나-데칸, 에이코산, 헤네이코산, 도코산, 트리코산, 테트라코산, 펜타코산, 및 이의 분지쇄 이성질체와의 혼합물; 포화 또는 불포화되거될 수 있는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용매, C7-내지 C 18-탄화수소 화합물 예컨대 모노-또는 폴리알킬-치환된 벤젠, 또는 모노-또는 폴리알킬-치환된 나프탈렌; 식물성 오일 예컨대 액체 트리글리세라이드, 예컨대 올리브유, 카폭 오일, 피마자유, 파파야 오일, 동백기름, 팜유, 참기름, 옥수수유, 미강유, 땅콩유, 호두유, 코코넛유, 면실유, 대두유, 평지씨유, 아마씨유, 동유(tung oil), 해바라기유, 홍화유, 또는 그의 에스테르교환 산물, 예컨대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평지씨유 메틸 에스테르 또는 평지씨유 에틸 에스테르; 동물성 오일, 예컨대 고래 기름, 대구-간유, 또는 밍크 오일; 예컨대 부탄올, n-옥탄올, i-옥탄올, 도데칸올, 시클로펜탄올, 시클로헥산올, 시클로옥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벤질 알코올과 같은 C1 내지 C12 모노알코올 또는 폴리올과 C2 내지 C10 카르복실 또는 폴리카복실산, 예컨대 카프로산, 카프르산, 카프릴산, 펠라그론산, 숙신산 및 글루타르산과의 액체 에스테르; 또는 예컨대 벤조산, 톨루산, 살리실산 및 프탈산과 같은 방향족 카복실산과의 액체 에스테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에스테르는 따라서 벤질 아세테이트, 카프로산 에틸 에스테르, 이소보닐 아세테이트, 펠라그론산 에틸 에스테르, 벤조산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 살리실산 메틸, 프로필, 또는 부틸 에스테르, 포화된 지방족 또는 알리시클릭 C1 내지 C12 알코올과 프탈산의 디에스테르, 예컨대 프탈산 디메틸 에스테르, 디부틸 에스테르, 디이소옥틸 에스테르; C6 내지 C18 카복실산과 C1-C3 아민, 알킬아민 또는 알칸올아민의 액체 아미드;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비수성 용매계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들에 대한 액체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양으로 존재한다. 좋기로는, 비수성 용매계는 조성물 중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5 중량%의 양으로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조성물 내 다른 성분들 역시도 액체(예컨대 액체 제초제 및/또는 액체 유화제)인 경우 적은 양의 유기 용매로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수성 용매계는 유기 용매를 조성물의 적어도 10 중량%, 적어도 15 중량%, 적어도 20 wt%, 적어도 25 wt%, 적어도 30 중량%, 또는 적어도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좋기로는 비수성 용매계는 유기 용매를 조성물의 95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비수성 용매계는 유기 용매를 조성물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한다. 비수성 용매계 내 유기용매의 상기한 임의의 중량% 하한값은 상기 임의의 중량% 상한값과 조합되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추가적인 중량%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성물 중 유기 용매의 양의 예시적인 범위에는 5 내지 95 중량%, 10 내지 90 중량%, 20 내지 80 중량%, 30 내지 60 중량%, 40 내지 60 중량%, 10 내지 75 중량% 및 20 내지 60 중량%가 포함된다.
조성물 중에 유기 용매가 2종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설명된 양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유기 용매들의 합산량을 가리킨다.
알코올, 아민 및 카복실산과 같은 양성자성 유기 용매의 총량은 액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양성자성 유기 용매의 총량은 조성물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내에 양성자성 용매가 2종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설명된 양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양성자성 용매들의 합산량을 가리킨다.
4.6 부가적인 활성 물질
4.6.1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설포닐우레아 제초제(들)에 더해 1종 이상의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부가적인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액체, 왁스상 고체 또는 분말상일 수 있고 조성물에 용해되거나, 분산되거나, 현탁되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함유될 수있다. 부가적인 제초제 화합물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분야에 공지인 어떠한 제초제 화합물이든 무방하다. 예컨대, 이 화합물은 문헌 ["The Pesticide Manual" (ISBN-10: 190139686X)] 및 이 문헌에서 인용된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제초제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부가적인 제초제 화합물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있다: 
2,4-D (예컨대 에스테르 또는 아민), 2,4-DB, 2,3,6-TBA, 아세트클로르, 아시플루오르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아클로니펜, 알라클로,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아메트린, 아미카바존, 아미노피랄리드, 아미트롤, 아닐로포스, 아술람, 아트라진, 아자페니딘, 베플루부타미드, 벤자졸린, -벤자졸린-에틸, 벤푸레세이트, 벤타존, 벤즈펜디존, 벤조바이시클론, 벤조페납, 바이페녹스, 빌라나포스, 비스피리박-소듐, 브로마실, 브로모부타이드,브로모페녹심, 브로모자이닐, 부타클로, 부타페나실, 부테나클로, 부트랄린, 부트록시딤, 부틸레이트, 카펜스트롤, 카베타미드,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메톡시펜, 클로리다존, 클로르니트로펜, 클로로톨루론, 시니돈-에틸, 신메틸린, 클레폭시딤, 클레토딤, 클로디나폽-프로파르길, 클로마존, 클로메프롭, 클로피랄리드, 클로란술람-에틸, 쿠밀루론, 시아나진, 시클록시딘, 시할로폽-부틸, 다이뮤론, 다조메트, 데스메디팜, 디캄바, 디클로베닐, 디클로프롭, 디클로프로-P, 디클로폽-메틸, 디클로술람, 디펜조콰트,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펜조피어, 디케굴락-소듐, 디메푸론, 디메피페레이트, 디메타클로, 디메타메트린, 디메테나미드, 디쿠아트-디브로마이드, 디티오피어, 디우론, 딤론, EPTC, 에스프로캅, 에탈플루랄린,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펜, 에토벤자니드, 페녹사프롭-에틸, 페녹사프롭-P-에틸, 펜트라자미드, 플람프롭-M-이소프로필, 플람프롭-M-메틸, 플로라술람, 플루아지폽, 플루아지폽-부틸,플루아졸레이트, 플루카바존-소듐, 플루클로랄린,플루페나세트, 플루펜피어, 플루메트술람,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플루오메투론,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폭삼, 플루리돈, 플루옥시피어, 플루옥시피어-부톡시프로필, 플루옥시피어-멥틸, 플루프리미돌, 플루타몬, 플루티아세트-메틸, 포메사펜,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리포세이트, 할록시폽, 할록시폽-에톡시에틸, 할록시폽-메틸, 할록시폽-P-메틸, 헥사지논,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픽, 이마자피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어, 인다노판, 이옥시닐, 이소프로튜론, 이소우론, 이속자벤, 이속사클로르톨, 이속사플루톨, 케토스피라독스, 락토펜, 레나실, 리누론, MCPA, MCPB, 메코프롭, 메코프로-P, 메페나세ㅌ, 메조트리온, 메타미폽, 메타미트론, 메타자클로,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틸딤론, 메토브로뮤론, 메토라클로, 메토술람, 메토주론, 메트리부진, 몰리네이트, 모노리누론,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네부론, 노르플루라존, 오벤카브, 오리잘린, 옥사디아그릴, 옥사디아존, 옥사지클로메폰, 옥시플루오르펜, 펜메디팜, 피클로란, 피클리나펜, 피녹사덴, 피페로포스, 프레티아클로어, 프로풀루아졸, 프로폭시딤, 프로메트린, 프로파클로, 프로파닐, 프로파퀴아폽, 프로이소클로르,프로옥시카바존-소듐, 프로피자미드, 프로술포카브,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에틸-피라졸레이트, 피라족시펜,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르브, 피리다폴, 피리데이트,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메틸, 피리티오박-소듐,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퀴나졸로폽-에틸, 퀴나졸로폽-P-에틸, 퀴나졸로폽-P-테푸릴, 세톡시딤, 시마진, 시메트린, S-메ㅌ톨라클로, 설코트리온, 설펜트라존, 설포세이트, 테부티우론, 테프라옥시딤, 테르부툴리아진, 테르부티린, 테닐클로르, 티아조프로피어, 티오벤카르브, 티오카르바질, 트랄콕시딤,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지플람, 트리클로피어, 트리디판 및 트리플루랄린.
부가적인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에 적어도 0.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가 적어도 0.2 중량%, 적어도 0.5 중량%, 적어도 0.7 중량%, 적어도 1 중량%, 적어도 2 중량%, 적어도 5 중량%, 적어도 10 중량%, 적어도 15 중량%, 적어도 20 중량% 또는 적어도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조성물에 95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 자체가 액체인 경우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가 대량 함유될 수 있다. 더욱 좋기로는,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가 6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또는 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설포닐 우레아 제초제의 상기한 임의의 함량 하한 중량%는 상기한 임의의 함량 하한 중량%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추가적인 중량%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액체 조성물 중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추가의 예시적인 함량 범위는 0.1 내지 95 중량%, 1 내지 60 중량%, 2 내지 50 중량%, 5 내지 40 중량%, 10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25 내지 35 중량% 및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염 또는 유도체 (에스테르, 등)가 사용될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중량% 양은 염 또는 유도체의 중량을 가리킨다. 조성물 내에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가 2종 이상 존재할 경우 (염, 유도체 또는 기타 형태로서), 명세서에 설명된 양은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합산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1종 이상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예컨대 WO 2008/061721 A2 (GAT Microencapsulation AG)에 설명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캡슐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명세서에 개시된 중량% 양은 캡슐 재료를 제외한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중량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은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와 함께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체 조성물은 트리베누론-메틸 및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베누론-메틸과의 조합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트리베누론-메틸 및 2,4-D (예컨대 에스테르 또는 아민 또는 콜린 염으로서); 트리베누론 메틸 및 MCPA (예컨대 에스테르 또는 아민으로서); 트리베누론-메틸 및 브롬옥시닐; 트리베누론-메틸 및 글리포스페이트; 트리베누론-메틸 및 플루록시피어; 트리베누론-메틸 및 디캄바 (예컨대 소듐 염 또는 디글리콜아민 염 또는 에스테르로서); 트리베누론-메틸 및 메코프롭-P; 트리베누론-메틸 및 MCPB; 트리베누론-메틸, 플루록시피어 및 클로피랄리드; 트리베누론-메틸 및 카펜트라존 에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클로피랄리드 (예컨대 MEA 염으로서); 트리베누론-메틸 및 클로디나폽; 트리베누론-메틸 및 퀸클로락; 트리베누론-메틸 및 플로라술람. 
액체 조성물은 니코설퍼론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니코설퍼론과의 조합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니코설퍼론 및 디캄바 (임의로 소듐 염 또는 에스테르로서); 니코설퍼론 및 아트라진; 니코설퍼론 및 플루메트술람; 니코설퍼론 및 클로피랄리드 (임의로 포타슘 염 또는 에스테르로서); 니코설퍼론 및 디플루펜조피어 (임의로 소듐 염 또는 에스테르로서); 니코설퍼론 및 메톨라클로르; 니코설퍼론 및 터부틸라진; 니코설퍼론 및 메조트리온; 및 니코설퍼론 및 벤타존. 
액체 조성물은 메트설퍼론-메틸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설퍼론-메틸과의 조합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메트설퍼론-메틸 및 아세토클로르; 메트설퍼론-메틸 및 카펜트라존 에틸; 메트설퍼론-메틸 및 이마자피어; 메트설퍼론-메틸 및 아미노피랄리드; 메트설퍼론-메틸 및 플루록시피어; 메트설퍼론-메틸 및 메코프롭-p; 메트설퍼론-메틸 및 피클로람; 메트설퍼론-메틸 및 피라플루펜 에틸; 메트설퍼론-메틸 및 프로파닐; 메트설퍼론-메틸 및 글리포스페이트-암모늄; 메트설퍼론-메틸 및 디캄바 (임의로 소듐, 디메틸암모늄 또는 디글리콜아민 염으로서 또는 에스테르로서); 메트설퍼론-메틸 및 2,4-D (임의로 염, 콜린 염으로서, 또는 에스테르로서); 및 메트설퍼론-메틸, 디캄바 (임의로 소듐, 디메틸암모늄 또는 디글리콜아민 염으로서 또는 에스테르로서) 및 2,4-D (임의로 디메틸암모늄 염, 콜린 염으로서, 또는 에스테르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 위한 설포닐우레아와 비-설포닐우레아의 추가적인 조합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벤설퍼론-메틸 및 아세토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인다노판; 벤설퍼론-메틸 및 엘로메프롭; 벤설퍼론-메틸 및 프레틸라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펜트라자미드; 벤설퍼론-메틸 및 테닐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펜타옥사존; 벤설퍼론-메틸 및 피리미노박-메틸; 벤설퍼론-메틸 및 브로모부티드: 벤설퍼론-메틸, 펜타옥사존, 피리미노박-메틸, 및 브로모부티드; 벤설퍼론-메틸 및 부타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다이뮤론; 벤설퍼론-메틸 및 메페나셋; 벤설퍼론-메틸, 다이뮤론 및 메페나셋; 클로리뮤론 에틸 및 설펜트라존;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이속사디펜-에틸;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프로폭시카바존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디플루페니칸;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페녹사프롭-P-에틸; 메조설퍼론 (및/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및 디플루페니칸; 메조설퍼론 (및/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및 프로폭시카바존 (예컨대 소듐 염); 피라설퍼론-에틸 및 프레틸라클로르; 피라설퍼론-에틸 및 피리프탈리드; 피라설퍼론-에틸 및 메페나셋; 피라설퍼론-에틸 및 에스프로카르브; 피라설퍼론-에틸 및 디메타메트린; 피라설퍼론-에틸 및 옥사지클로메폰; 피라설퍼론-에틸 및 벤조비시클론; 피라설퍼론-에틸 및 시할로폽-부틸; 피라설퍼론-에틸 및 페녹설람; 피라설퍼론-에틸, 시할로폽-부틸, 프레틸라클로르, 및 디메타메트린; 피라설퍼론-에틸, 벤조비시클론 및 페녹설람; 피라설퍼론-에틸, 벤조비시클론, 디메타메트린 및 옥사지클로메폰; 피라설퍼론-에틸, 프레틸라클로르, 디메타메트린, 및 에스프로카르브; 피라설퍼론-에틸, 벤조비시클론, 부타클로르 및 피라클로닐; 피라설퍼론-에틸, 벤조비시클론 및 펜트라자미드; 포람설퍼론 및 이속사디펜 에틸; 포람설퍼론 및 시프로설파미드; 포람설퍼론 및 티엔카바존-메틸; 포람설퍼론, 요오도설퍼론-메틸 소듐 염, 및 이속사디펜 에틸; 포람설퍼론, 요오도설퍼론-메틸 소듐 염, 시프로설파미드 및 티엔카바존-메틸; 요오도설퍼론 및 티엔카바존-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벤설퍼론-메틸 및 아세토클로르; 티펜설퍼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및 플루미옥사진; 림설퍼론 및 메조트리온; 림설퍼론 및 메톨라클로르; 림설퍼론 및 디캄바; 림설퍼론, 메톨라클로르 및 디캄바; 티펜설퍼론-메틸 및 디캄바, 2,4-D-에스테르, MCPA-에스테르, 클로디나폽, 퀸클로락, 플루록시피어, 아세토클로르, 레나실 및 프로메트린 중 1종 이상; 클로리뮤론-에틸 및 아세토클로르; 클로리뮤론-에틸 및 메트리부진; 클로리뮤론-에틸 및 이마제타피어.
4.6.2 완화제( Safeners )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 용해되거나, 분산되거나, 현탁되거나 또는 달리 함유될 수 있는 완화제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완화제는 "The Pesticide Manual" (ISBN-10: 190139686X), 및 US 2006/0276337 Al의 문단번호 [0113] 내지 [0129]에 기재되어 있는 것들이며, 상기 문단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된다.
예시적인 완화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WO 91/07874에 설명된,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에톡시-카보닐)-5-메틸-2-피라졸린-3-카복실레이트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은 디클로로페닐피라졸린-3-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2) EP-A-333 131 및 EP-A-269 806에 설명된, 디클로로페닐피라졸카복실산의 유도체, 좋기로는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메틸피라졸-3-카복실레이트,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이소프로필피라졸-3-카복실레이트, 에틸 1-(2,4-디클로로페닐)-5-(l,1-디메틸에틸)피라졸-3-카복실레이트, 에틸 l-(2,4-디클로로페닐)-5-페닐피라졸-3-카복실레이트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3) 트리아졸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좋기로는 펜클로라졸, 즉 에틸 l-(2,4-디클로로페닐)-5-트리클로로-메틸-(lH)-l,2,4-트리아졸-3-카복실레이트,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참조: EP-A-174 562 및 EP-A-346 620); 
(4) 5-벤질-또는 5-페닐-2-이속사졸린-3-카복실산, 또는 5,5-디페닐-2-이속사졸린-3-카복실산 유형의 화합물, 좋기로는 WO 91/08202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에틸 5-(2, 4-디클로로벤질)-2-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 또는 에틸 5-페닐-2-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 및 관련 화합물, 또는 특허출원 (WO-A-95/07897)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에틸 5,5-디페닐-2-이속사졸린카복실레이트 또는 n-프로필 에스테르 또는 에틸 5-(4-플루오로페닐)-5-페닐-2-이속사졸린-3-카복실레이트; 
(5) 8-퀴놀린옥시아세트산 유형의 화합물, 좋기로는 EP-A-86 750, EP-A-94 349 및 EP-A-191 736 또는 EP-A-0 492 366에 기재된 바와 같은 1-메틸헥-l-실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1,3-디메틸부-1-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4-알릴옥시부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l-알릴옥시프로-2-필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에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메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알릴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2-(2-프로필리덴이미노옥시)-1-에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2-옥소프로-1-필 (5-클로로-8-퀴놀린옥시)아세테이트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6) (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론산 유형의 화합물, 좋기로는 EP-A-0 582 198에 설명된 바와 같은, 디에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로네이트, 디알릴 (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로네이트, 메틸 에틸 (5-클로로-8-퀴놀린-옥시)말로네이트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 
(7) 페녹시아세트산 또는-프로피온산 유도체 또는 방향족 카복실산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에스테르), 4-클로로-2-메틸페녹시-프로피온산 에스테르, MCPA 또는 3.6-디클로로-2-메톡시벤조산 (에스테르); 
(8) "펜클로림"과 같은 피리미딘 유형의 활성 화합물; 
(9) 발아전(pre-emergence) 완화제 (토양-작용 완화제)로서 흔히 사용되는 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디클로르미드" (-N,N-디알릴-2,2-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R-29148" (3-디클로로아세틸-2,2,5-트리메틸-l,3-옥사졸리돈, Stauffer 제품), "베녹사코르" (4-디클로로아세틸-3,4-디히드로-3-메틸-2H-l,4-벤족사진), "PPG-1292" (-N-알릴-N-[(1.3-디옥솔란-2-일)메틸]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PPG Industries 제품), "DK-24" (-N-알릴-N-[{ 알릴아미노카보닐)메틸]디클로로아세트아미드, Sagro-Chem 제품), "AD-67" 또는 "MON 4660" (3-디클로로아세틸-1-옥사-3-아자스피로[4.5]데칸, Nitrokemia사 또는 Monsanto 제품), "디시클로논" 또는 "BAS 145138" 또는 "LAB145138" ((3-디클로로아세틸-2,5,5-트리-메틸-1,3-디아자비시클로[4.3.G]노난, BASF 제품) 및 "퓨릴라졸" 또는 "MON 13900" ((RS)-3-디클로로아세틸-5-(2-퓨릴)-2,2-디메틸옥사졸리돈); 
(10) 디클로로아세톤 유도체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MG 191 " (CAS-Reg. No. 96420-72-3) (2-디클로로메틸-2-메틸-1,3-디옥솔란, Nitrokemia 제품); 
(11) 옥시이미노 화합물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옥사베트리닐" ((Z)-l,3-디옥솔란-2-일메톡시이미노-(페닐)아세토니트릴), "플룩소페님" (l-(4-클로로페닐)-2,2,2-트리플루오로-l-에탄온 0-(1,3-디옥솔란-2-일메틸) 옥심, 및 "시토메트리닐" 또는 "CGA43089" ((Z)-시아노메톡시이미노-(페닐)아세토니트릴); 
(12) 종자분의(種子粉衣: seed dressings)로 알려진 티아졸카르복실 에스테르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플루라졸" (벤질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l,3-티아졸-5-카복실레이트): 
(13) 나프탈렌디카복실산 유도체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나프탈산 무수물" (1,8-나프탈렌디카르복실 무수물); 
(14) 크로만아세트산 유도체 유형의 활성 화합물, 예컨대, "CL 304415" (CAS-Reg. No. 31541-57-8) (2-(4-카복시크로만4-일)아세트산, American Cyanamid 제품); 
(15) 유해 식물에 대한 제초 작용에 더해 농작물에 대한 완화제 작용도 함께 갖는 활성 화합물, 예컨대, "디메피페레이트" 또는 "MY-93" (-S-1-메틸-1-페닐에틸 피페리딘-1-티오카복실레이트), "다이뮤론" 또는 "SK 23" (1-(1-메틸-1-페닐에틸)-3-p-톨릴-우레아), "쿠밀루론" 또는 "JC-940" (3-(2-클로로페닐메틸)-l-(1-메틸-l-페닐-에틸)우레아, JP-A-60087254 참조), "메톡시페논" 또는 "NK 049"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CSB" (1-브로모-4-(클로로메틸설포닐)벤젠) (CAS-Reg No. 54091-06-4, Kumiai 제품).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제초제 완화제로는 베녹사코르, BCS (1-브로모-4-[(클로로메틸)설포닐]벤젠), 클로퀸토셋-멕실, 시크로메트리닐, 시프로설파미드, 디클로르미드, 디시클로논, 2-(디클로로메틸)-2-메틸-l,3-디옥솔란 (MG 191), 디에톨레이트, 펜클로라졸-에틸, 펜클로림, 플루라졸, 플룩소페님, 플루리다졸, 이속사디펜-에틸, 지에카오완, 지에카옥시, 메펜피어, 메펜피레틸, 메톡시페논 ((4-메톡시-3-메틸페닐)(3-메틸페닐)메탄온), 메페네이트, 나프탈산 무수물 및 옥사베트리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은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설포닐우레아를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적절한 완화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설포닐우레아와 완화제와의 예시적인 조합물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요오도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및 메펜피어-디에틸: 메조설퍼론 (및/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및 메펜피어-디-에틸; 메조설퍼론 (및/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및 프로폭시카바존 (예컨대 소듐 염) 및 메펜피어-디-에틸. 
4.7 공동-보조성분(Co- formulants )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예컨대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농후제 및 요변성제, 습윤제, 이동방지제(anti-drift agents), 접착제, 침투제, 보존제, 부동화제, 항산화제, 가용화제, 충전제, 담체, 착색제, 소포제, 비료, 증발억제제 및 pH 및 점도 조절제와 같은 공동-보조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액체 조성물은 문헌 [Compendium of Herbicide Adjuvants, 12th Edi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2014, 또는 그 이전 판본]에 기재된 아쥬반트인 공동-보조성분을 적어도 1종 포함한다. 흔히 사용되는 아쥬반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파라핀 오일, 원예용 분무 오일(예컨대 식용기름), 메틸화 평지씨유, 메틸화 대두유, 고도정제된 식물성 오일 등,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톡실화 에스테르, 에톡실화 알코올, 알킬 다당류 및 블렌드, 아민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실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시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에스테르), 유기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터폴리머, 에톡실화 알킬 아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좋기로는,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은 예컨대 조성물을 물로 희석시키려는 경우,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도록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들은 양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으나,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화성제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예컨대, Genapol® X 및 Genapol® O 시리즈 (Clariant), Crovol® M 시리즈 (Croda) 또는 Lutensol® 시리즈 (BASF)로서 시판되되며, 대응하는 지방산으로부터 또는 석유화학 제품으로부터 유래된, 알킬 래디칼에 8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 내지 100, 좋기로는 2 내지 5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EO)를 가지며, 유리 히드록실기가 알콕실화될 수 있는 것인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포화 및 불포화 지방족 알코올; 예컨대, Soprophor® BSU (Rhodia) 또는 HOE S 3474 (Clariant)와 같이, 평균 에톡실화도가 10 내지 80, 좋기로는 16 내지 40인 2,4,6-트리스(1-페닐에틸)페놀 (트리스티릴페놀)와 같은,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아릴알킬페놀; 예컨대, Arkopal® N 시리즈 또는 Sapogenat® T 시리즈 (Clariant)와 같이, 예컨대, 노닐페놀 또는 트리-sec-부틸페놀과 같은 알킬 래디칼을 하나 이상 가지고, 에톡실화도가 2 내지 40, 좋기로는 4 내지 15인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알킬페놀; 예컨대, Emulsogen® EL 시리즈 (Clariant) 또는 Agnique® CSO 시리즈 (Cognis)와 같이, 에톡실화도가 10 내지 80, 좋기로는 25 내지 40이고, 예컨대, 리시닌 또는 피마자유와 같은 히드록시지방산을 함유하는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히드록시지방산 또는 글리세라이드; 예컨대, Atplus® 309 F (Uniqema) 또는 Alkamuls® 시리즈 (Rhodia)와 같은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소르비탄에스테르; Genamin® 시리즈 (Clariant), Imbentin® CAM 시리즈 (Kolb) 또는 Lutensol® FA 시리즈 (BASF)와 같은,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아민; 예컨대, Genapol® F 시리즈 (Clariant), the Plurtonic® 시리즈 (BASF), 또는 Synperonic® PE 시리즈 (Uniqema)와 같이, 평균 몰 질량이 200 내지 10 000, 좋기로는 1000 내지 4000 g/mol이고, 폴리에톡실화 블록의 질량에 의한 비율이 10 내지 80%인,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알킬렌 옥사이드로부터의 디-및 트리-블록 코폴리머.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이온성 게면활성제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예컨대, Genapol® LRO 또는 분산제 3618 (Clariant), Emulphor® BASF) 또는 Crafol® AP (Cognis)와 같이, 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블록의 말단 유리 히드록실 관능기의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 금속염으로서)로의 전환에 의해 이온적으로 변형된, 폴리알콕실화, 좋기로는 폴리에톡실화된 계면활성제; 페닐 설포네이트 CA 또는 페닐설포네이트 CAL (Clariant), Atlox® 3377BM (ICI), 또는 Empiphos® TM 시리즈 (Huntsman)와 같이,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사슬을 갖는 알킬아릴설폰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 금속염; Tamol® 시리즈 (BASF), Morwet® D425 (Witco), Kraftsperse® 시리즈 (Westvaco) 또는 Borresperse® 시리즈 (Borregard)와 같은 중합전해질, 예컨대 리그노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와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또는 설포네이트화된 불포화 또는 방향족 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또는 폴리테르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문헌 [Compendium of Herbicide Adjuvants, 12th Edi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2014, 또는 그의 이전 판본] 및 WO 2008/155108 A2 (GAT Microencapsulation)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기-변형 실록산(OMS), 및 Evonik Industries 사에 의해 상표명 Break-Thru 9902™, Break-Thru 9903™, Break-Thru 5503™, Break-Thru 9907™ 및 Break-Thru 9908TM으로 시판되는 것들을 비롯하여 GB 2496643 (Rotam Agrochem)에 설명되어 있는 폴리에테르-폴리실록산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이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경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좋기로는, 계면활성제는 적어도 2 중량%, 적어도 5 중량%, 적어도 10 중량%, 적어도 15 중량%, 또는 적어도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6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더욱 좋기로는, 계면활성제는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양의 상기한 임의의 하한 중량%는 상기한 임의의 상한 중량% 조합되어 본 발명의 목적상 더욱 적합한 중량%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액체 조성물 내의 계면활성제의 양에 대한 또 다른 예시적인 범위는 1 내지 60 중량%, 2 내지 50 중량%, 5 내지 40 중량%, 10 내지 30 중량%, 5 내지 50 중량% 및 2 내지 40 중량%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가 2종 이상 사용된 경우 바람직한 범위는 액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총량에 관한 것이다.
4.8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성분들을 혼합하고 현탁된 고체를 분쇄하거나 고체를 용해시키는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가용성 보조제들과 첨가제를 비수성 용매계에 용해시킴으로써 프리믹스를 만들 수 있다. 가용성인 사용된 임의의 모든 농화학적 활성 화합물 역시 프리믹스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일단 용해 과정이 종결되면, 고체 설포닐우레아, 사용된 그 밖의 여하한 불용성 농화학적 활성 화합물 및 무기염들을 혼합물에 현탁시킬 수 있다. 조질의 이 현탁액은, 적절한 경우 예비 분쇄한 후, 미세 분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적절한 경우 고체 설포닐우레아 및 사용된 임의의 불용성 성분들을 비수성 용매계에 현탁시킨 다음 분쇄할 수 있다. 분쇄를 요구하지 않거나 또는 분쇄 과정에 요구되지 않는, 사용된 임의의 가용성 활성 성분들 및 여하한 보조제 및 첨가제들은 분쇄 후에 첨가할 수 있다.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인 혼합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항온처리한다. 예비-분쇄를 위해, 예컨대 고압 균질화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로터-고정자 원리에 의해 작동되는 밀, 예컨대 IKA사의 Ultraturrax 균질화기, 또는 예컨대 Puck사 또는 Fryma사의 톱니달린 콜로이드 밀을 이용할 수 있다. 미세 분쇄를 위해, 예컨대 Drais사의 회분식으로 작동하는 비드 밀 또는 예컨대 Bachofen사 또는 Eiger사의 연속식으로 작동하는 비드 밀을 이용할 수 있다.
4.9 화학 안정성
본 발명은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중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화학 안정성은 액체 조성물에 적어도 1종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설포닐 우레아, 무기염 및 비수성 용매계 (및 조성물 내 여타 성분들)는 액체 조성물이 한 가지 이상의 해당 지역의 법적규제에 순응하도록, 요구되는 사항을 만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설포닐 우레아, 무기염 및 비수성 용매계는 설포닐 우레아가 적어도 85% 화학 안정성으르 나타내도록 선택된다. 좋기로는 설포닐 우레아가 적어도 90% 화학 안정성, 더욱 좋기로는 적어도 95% 화학 안정성, 및 더더욱 좋기로는 적어도 98% 화학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 안정성은 액체 조성물(예컨대 60 ml 들이 밀봉 윈체스터 보틀 내 액체 조성물 50 ml 샘플)을 54℃에서 2주일간 보관한 경우 이를 -10℃에서 2주일간 보관된 대응하는 대조군 샘플과 비교시, 남아있는 설포닐우레아의 백분율로서 구할 수 있다(예컨대 HPLC에 의해 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액체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무기염을 함유하지 않는 대응하는 액체 조성물(염 대신, 동등한 용매 과량 중량%가 사용됨)과 비교시 설포닐 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이 적어도 2% 향상된 것이다. 각각의 염-함유 액체 조성물 및 비-염 대조군 조성물에서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은 직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학 안정성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차이가 적어도 2%이면 개선이 이루어진 것으로 결정한다. 좋기로는, 설포닐 우레아가 화학 안정성을 적어도 5% 개선, 더욱 좋기로는 적어도 10% 개선, 및 더더욱 좋기로는 적어도 50%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액체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간주되는 설포닐우레아(예컨대 트리베누론-메틸)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액체 조성물은 설포닐 우레아가 적어도 85% 화학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전술한 바와 같음), 설포닐 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이 본 발명에 따른 무기염을 함유하지 않는 대응하는 액체 조성물에 비해 적어도 10% 향상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음). 이러한 측면에서, 설포닐 우레아는 적어도 90% 화학 안정성, 더욱 좋기로는 적어도 95% 화학 안정성, 및 더더욱 좋기로는 적어도 98% 화학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각각의 측면에서, 액체 조성물이 설포닐 우레아를 2종 이상 포함할 경우, 화학 안정성, 또는 그의 개선은 조성물 내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총량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4.10 조성물의 적용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직접 적용할 수도 있고 물로 희석한 다음 기술분야에서 흔히 이용되는 방법, 통상적인 대량 수압식 분무기, 소량 분무기, 인공 분사기 및 공중 분무기로 관엽 식물 및/또는 토양에 적용할 수 있다. 희석된 조성물은 관엽 식물이나 토양에 또는 식물에 인접한 지역에 뿌릴 수도 있다. 조성물 내 특정 제초제 화합물의 선택 (설포닐우레아 및 비-설포닐우레아 양자 모두) 및 이들의 적용 방식 및 비율은 특정 작물에 대한 제초제 화합물의 선택 및 방제하고자 하는 주요 대상 잡초종에 따라 결정되며 이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참조: "The Pesticide Manual" (ISBN-10: 190139686X) 및 이의 이전 판본). 
4.11 본 발명의 예시적인 추가 액체 조성물
액체 조성물의 몇몇 추가 구체예들을 이하에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Na3P04의 현탁액을 포함하는 오일 분산액(OD),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다. 
(i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K3P04의 현탁액을 포함하는 오일 분산액(OD),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및 메트설퍼론 메틸로부터 선택된다.
(ii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Na2C03의 현탁액을 포함하는 오일 분산액(OD),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및 메트설퍼론 메틸로부터 선택된다.
(iv)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Mg3(P04)2의 현탁액을 포함하는 오일 분산액(OD),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림설퍼론, 벤조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티펜설퍼론-메틸, 및 클로리뮤론-에틸로부터 선택된다.
(v)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AlP04의 현탁액을 포함하는 오일 분산액(OD),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메트설퍼론-메틸, 림설퍼론 및 할로설퍼론-메틸로부터 선택된다.
(v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Na3P04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EC),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다.
(vi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K3P04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EC),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및 메트설퍼론 메틸로부터 선택된다.
(vii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Na2C03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EC),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및 메트설퍼론 메틸로부터 선택된다. 
(ix)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Mg3(P04)2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EC),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림설퍼론, 벤조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티펜설퍼론-메틸. 및 클로리뮤론-에틸로부터 선택된다.
(x)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AlP04를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EC),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메트설퍼론-메틸, 림설퍼론 및 할로설퍼론-메틸로부터 선택된다.
(x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Na3P04를 포함하는 가용성 농축물(SL),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다.
(xi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K3P04를 포함하는 가용성 농축물(SL),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및 메트설퍼론 메틸로부터 선택된다.
(xiii)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Na2C03를 포함하는 가용성 농축물(SL),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니코설퍼론 및 메트설퍼론 메틸로부터 선택된다.
(xiv)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Mg3(P04)2를 포함하는 가용성 농축물(SL),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림설퍼론, 벤조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티펜설퍼론-메틸, 및 클로리뮤론-에틸로부터 선택된다.
(xv) 비수성 용매계 중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및 AlP04를 포함하는 가용성 농축물(SL), 여기서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메트설퍼론-메틸, 림설퍼론 및 할로설퍼론-메틸로부터 선택된다.
(xvi) 조성물 중의 설포닐우레아의 합산량이 0.1 내지 60 중량%인, 상기 구체예 (i) 내지 (xv)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체 조성물.
(xvii) 액체 조성물 중 Na3P04(구체예 (i), (vi), (xi)) 또는 K3P04(구체예 (ii), (vii), (xii)) 또는 Na2C03 (구체예 (iii), (viii), (xiii)) 또는 Mg3(PO4)2 (구체예 (iv), (ix), (xiv)) 또는 AlPO4 (구체예 (v), (x), (xv))의 양이 0.01 내지 30 중량%인, 상기 구체예 (i) 내지 (xvi)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체 조성물.
(xviii) 설포닐우레아의 합산량에 대한 무기염의 중량비가 0.1 내지 5인, 상기 구체예 (i) 내지 (xvii)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체 조성물.
(xix)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이고, 트리베누론-메틸에 대한 Na3P04(구체예 (i), (vi), (xi)) 또는 K3P04(구체예 (ii), (vii), (xii)) 또는 Na2C03 (구체예 (iii), (viii), (xiii)) 또는 Mg3(PO4)2 (구체예 (iv), (ix), (xiv)) 또는 AlPO4 (구체예 (v), (x), (xv))의 중량비는 0.1 내지 5, 좋기로는 0.5 내지 2인 것인, 상기 구체예 (i) 내지 (iii) 중 어느 하나, 구체예 (vi) 내지 (viii) 중 어느 하나, 또는 구체예 (xi) 내지 (xiii)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체 조성물.
(xx)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니코설퍼론 또는 메트설퍼론-메틸이고, 니코설퍼론 또는 메트설퍼론-메틸에 대한 Na3P04(구체예 (i), (vi), (xi)) 또는 K3P04(구체예 (ii), (vii), (xii)) 또는 Na2C03 (구체예 (iii), (viii), (xiii)) 또는 Mg3(PO4)2 (구체예 (iv), (ix), (xiv)) 또는 AlPO4 (구체예 (v), (x), (xv))의 중량비는 0.1 내지 5, 좋기로는 0.1 내지 1인 것인, 상기 구체예 (i) 내지 (iii) 중 어느 하나, 구체예 (vi) 내지 (viii) 중 어느 하나, 또는 of 구체예 (xi) 내지 (xiii)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체 조성물.
(xxi) 아미도설퍼론, 아짐설퍼론, 벤설퍼론, 클로리뮤론, 클로르설퍼론. cino설퍼론, 시클로설파뮤론, 에타메트설포론, 에톡시설퍼론, 플라자설퍼론, 플루세토설퍼론, 플루피르설퍼론, 포람설퍼론. 할로설퍼론, 이마조설퍼론, 요오도설퍼론, 이오펜설퍼론, 메조설퍼론, 메타조설퍼론, 메트설퍼론, 니코설퍼론, 오르토설파뮤론, 옥사설퍼론, 프리미설퍼론, 프로피리설퍼론, 프로설퍼론, 피라조설퍼론, 림설퍼론, 설포메튜론, 설포설퍼론, 티펜설퍼론. 트리아설퍼론, 트리베누론, 트리플록시설퍼론, 트리플루설퍼론 및 트리토설퍼론,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제2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하는, 상기 구체예 (i) 내지 (xx)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체 조성물.
(xxii) 2,4-D (예컨대 에스테르 또는 아민), 2,4-DB, 2,3,6-TBA, 아세토클로르, 아시플루오르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아클로니펜, 알라클로르,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아메트린, 아미카바존, 아미노피랄리드, 아미트롤, 아닐로포스, 아술람, 아트라진, 아자페니딘, 베플루부타미드, 베나졸린, 베나졸린-에틸, 벤푸레세이트, 벤타존,벤즈펜디존, 벤조비시클론, 벤조페납, 비페녹스, 빌라나포스, 비스피리박-소듐, 브로마실, 브로모부티드, 브로모페녹심, 브롬옥시닐, 부타클로르, 부타페나실, 부테나클로르, 부트랄린, 부트록시딤, 부틸레이트, 카펜스트롤, 카베타미드,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르메톡시펜, 클로리다존, 클로르니트로펜, 클로로톨루론, 신돈-에틸, 신메틸린, 클레폭시딤, 클레토딤, 클로디나폽-프로파르길, 클로마존, 클로모프롭, 클로피랄리드, 클로란술람-에틸, 쿠밀루론, 시아나진, 시클록시딤, 시할로폽-부틸, 다이뮤론, 다조멧, 데스메디팜, 디캄바, 디클로베닐, 디클로르프롭-P, 디클로폽-메틸, 디클로술람, 디펜조쿼트,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펜조피어, 디케굴락-소듐, 디메푸론, 디메피페레이트, 디메타클로르 디메타메트린, 디메테나미드, 디쿼트-디브로마이드, 디티오피어, 디우론, 딤론, EPTC, 에스프로카르브, 에탈플루랄린,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펜, 에토베나지드, 페녹사프롭-에틸, 페녹사프롭-P-에틸, 펜트라자미드, 플람프롭-M-이소프로필, 플람프롭-M-메틸, 플로라술람, 플루아지폽, 플루아지폽-부틸, 일루아졸레이트, 플루카바존-소듐, 플루클로랄린, 플루페나세트, 플루펜피어, 플루메트술람,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오메투론,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폭삼, 플루리돈, 플루록시피어, 플루록시피어-부톡시프로필, 플루록시피어-멥틸, 플루프리미돌, 플루르타몬, 플루티아세트-메틸. 포메사펜,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리포스페이트, 할록시폽, 할록시폽-에톡시에틸, 할록시폽-메틸, 할록시폽-P-메틸, 헥사지논,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픽, 이마자피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어, 인다노판, 이옥시닐,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이속사벤, 이속사클로르톨, 이속사플루톨, 케토스피라독스, 락토펜, 레나실, 리누론, MCPA, MCPB, 메코프롭, 메코프롭-P, 메페나셋, 메조트리온, 메타미폽, 메타미트론, 메타자클로르,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틸 딤론, 메토브로뮤론, 메톨라클로르. 메토술람, 메톡스우론, 메트리부진, 몰리네이트, 모노리누론,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네부론, 노르플루라존, 오르벤캅, 오리잘린,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사지클로메폰, 옥시플루오르펜, 파라쿼트, 펠라그론산, 펜디메탈린, 펜드랄린, 페녹설람, 펜타옥사존. 페톡사미드, 펜메디팜, 피클로람, 피코리나펜, 피녹사덴, 피페로포스, 프레틸라클로르, 프루플루아졸, 프로폭시딤, 프로메트린, 프로파클로르, 프로파닐, 프로파퀴자폽, 프로피소클로르, 프로폭시카바존-소듐, 프로피자미드, 프로설포카브,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에틸, 피라졸레이트, 피라족시펜,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브, 피리다폴, 피리데이트,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메틸, 피리티오박-소듐,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퀴잘로폽-에틸. 퀴잘로폽-P-에틸, 퀴잘로폽-P-테푸릴, 세톡시딤, 시마진, 시메트린, S-메톨라클로르, 설코트리온, 설펜트라존, 설포세이트, 테부티우론, 테프랄록시딤, 터부틸라진, 테르부트린, 테닐클로르, 티아조피어, 티오벤카브, 티오카바질, 트랄콕시딤,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지플람, 트리클로피어, 트리디판, 및 트리플루랄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를 포함하는, 상기 구체예 (i) 내지 (xx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조성물.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내지 (xxii) 중 어느 하나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일반적인 설명에 알맞게 추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내지 (xxii) 중 어느 하나에서 설포닐우레아의 합산량은 1 내지 50 중량%. 2 내지 40 중량%, 5 내지 30 중량%, 0.5 내지 20 중량%, 7 내지 30 중량%, 및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추가 예로서,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내지 (xxii)에 존재하는 금속 포스페이트 및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총량은 0.1 내지 25 중량%,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0 중량%, 0.5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 및 0.5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설포닐우레아의 총량에 대한 금속 포스페이트 및 금속 카보네이트 무기염으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총량의 중량비는 0.2 내지 4, 0.3 내지 3, 0.5 내지 2, 0.7 내지 2, 0.1 내지 2, 1 내지 2 및 1 내지 5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vi), 또는 (xi) 중 어느 하나는 비-설포닐우레아로서 플루록시피어-멥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에시적인 구체예 (i), (vi), (xi) (xvi), (xvii), (xviii), (xx), (xxi) 또는 (xxii)는 메트설퍼론-메틸 및 플루록시피어-멥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vi), (xi) (xvi), (xvii), (xviii), (xx), (xxi) 또는 (xxii)는 메트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플루록시피어-멥틸, Na3P04 및 이소보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vi), (xi) (xvi), (xvii), (xviii), (xx), (xxi) 또는 (xxii)는 0.5 내지 2 중량% 메트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25 내지 35 중량% 플루록시피어-멥틸, 0.2 내지 1 중량% Na3P04 및 40-60 중량% 이소보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 (i) 내지 (xxii) 중 어느 하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체예는 계면활성제 및/또는 완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실시예
하기 실시예들에 설명된 오일 분산액들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i) 25 중량% 설포닐우레아 밀베이스의 제조
용매에 설포닐우레아를 2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유리 비드 (1.0-1.25 mm)를 함유하는 밀 (Eiger Torrance Mini Mill)에 혼합물을 넣었다. 이어서 현탁액을 밀링하여 입도(D50)가 2 내지 3 ㎛인 25 중량% 설포닐우레아 밀베이스를 얻었다.
(ii) 30 중량% 무기염 밀베이스의 제조 
용매에 무기염 (무수물)을 3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밀링하여 입도(D50)가 2 내지 3 ㎛인 30 중량% 무기염 밀베이스를 얻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밀링 보조제로서 폴리머 분산제인 Atlox LP1을 포함시켰다.
(iii) 오일 분산액의 제조
적절한 양의 밀링된 설포닐우레아 농축물 (i)을 용매(임의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와 함께 균질해질 때까지 블렌딩한 다음, 균질해질 때까지 밀링된 염 농축물 (ii)와 추가로 혼합하여, 하기 표에 설명된 오일 분산액을 얻었다. 부가적인 비-설포닐우레아 보조-제초제를 함유하는 제제의 경우, 상기 부가적인 제초제는 밀링된 제2 농축물(고체인 경우; 예컨대 터부틸라진)로서 첨가하거나 또는 용매/계면활성제 용액에 용해시켰다 (액체인 경우: 예컨대, s-메톨라클로르). 
용매에서 밀링된 설포닐우레아 농축물 (i)을 계면활성제와 블렌딩하고 이것을 적절한 양의 밀링된 염 농축물 (ii)와 블렌딩함으로써, 유화가능한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액체 제제를 54℃로 항온 조절된 인큐베이터 내 단단히 밀봉된 유리병에서 2주일간 보관하고 대조군 샘플은 -10℃에서 보관하였다. 보관 후, 모든 제제들을 HPLC를 이용하여 활성 성분 함량(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10℃에서 2주일간 보관된 대응하는 샘플에 대하여, 잔류하는 활성 성분의 양과 관련하여 안정성을 보고하였다.
실시예 1 - SU 안정화에 미치는 공동-제제화된 무기염의 효과
부가 염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채로, 메트설퍼론-메틸 (MSM)을 함유하는 오일 분산액을 몇 가지 제조하고, 54℃에서 2주일간 보관 후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6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포함하는 설포닐우레아-함유 (OD1-OD6)의 화학 안정성은 염이 포함되지 않은 오일 분산액 (ODl1 - US 2006/0276337 Al의 교시 내용과 유사함) 및 DIOSS (소듐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OD9 - US 2006/0276337 Al의 교시 내용과 유사함) 및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OD10 - WO 2007/027863 A2의 교시 내용과 유사함)를 이용한 오일 분산액을 비롯한, 다른 염을 사용한 오일 분산액 (OD7-OD 10)에 비해 탁월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레아를 첨가한 경우(EP 0554015 Al에 교시된 바와 같이) MSM의 화학적 분해가 증가되었다(OD77). 메트설퍼론-메틸의 화학 안정성은 그의 액체 제제에서의 광범위한 사용을 심각하게 제한하여 왔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었다.
실시예 2-여러 가지 상이한 설포닐우레아의 개선된 안정성
상이한 설포닐 오레아 화합물들과 상이한 양의 염을 포함하는 몇 가지 오일 분산액들을 제조하고 54℃에서 2주일간 보관 후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구하기 위해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7
비교적 높은 안정성 (니코설퍼론), 중간 안정성 (메트설퍼론 메틸) 및 낮은 안정성 (트리베누론-메틸)을 갖는 3종의 설포닐우레아를 이 실시예를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된 3종의 설포닐우레아의 상대적인 안정성은 OD18-OD21의 안정성 데이터에 반영되었다.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이 오일 분산액에 포함된 경우 (OD12-OD17), 설포닐우레아의 화학안정성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트리베누론-메틸과 같은 설포닐우레아의 매우 낮은 안정성은 액체 조성물에서의 이들의 광범한 사용을 제한하여 왔다. 이 문제는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되었다.
실시예 3 - 설포닐우레아 염들도 안정화된다
트리베누론-메틸의 나트륨염의 오일 분산액을 제조하고 54℃에서 2주일간 보관한 후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구하기 위해 테스트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08
상기 데이터는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공동-제제화된 무기염이 액체 조성물 중의 설포닐우레아 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4- 설포닐우레아 및 공동-제초제 
상이한 설포닐우레아 화합물들 및 상이한 공동-제초제 화합물 (비-설포닐우레아)를 함유하는 오일 분산액들을 몇 가지 제조하여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9
비-설포닐우레아 공동-제초제의 첨가는 설포닐우레아의 안정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OD28-OD30). 그러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첨가하면 (OD25-OD27) 공동-제초제 존재 하에서도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와 함께 제제화된 설포닐우레아의 신규한 액체 제제의 다양화 기회를 열어주는 것이다.
실시예 5 - SU 안정화에 미치는 유화제의 효과
유화제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메트설퍼론-메틸(MSM) 및 트리소듐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몇 가지 오일 분산액들을 제조하고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0
표 5로부터 사용된 유화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OD31-OD35) 및 또한 유화제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OD36; OD2도 참조할 것) 설포닐우레아가 무기염에 의해 안정화됨을 알 수 있다. 매우 특별한 유화제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WO 2008/155108 A2 및 WO2009/152827 A2에 설명된 액체 조성물들과 반대로, 본 발명에 따라 무기염과 함께 공동-제제화된 설포닐우레아-함유 액체 조성물은 광범한 유화제 시스템에서도 안정하다.
실시예 6 - SU 안정화에 미치는 용매의 효과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일련의 용매들과 메트설퍼론-메틸 (MSM)을 포함하는 몇 가지 오일 분산액들을 제조하고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1(염 존재) 및 표 6-2 (염 부재)에 나타내었다.
[표 6-1]
Figure pct00011
[표 6-2]
Figure pct00012
표 6-1에 나타난 데이터로부터 설포닐우레아가 사용된 용매와 무관하게 무기염에 의해 안정화됨을 알 수 있다. 무기염 부재시에는 (표 6-2), 설포닐우레아의 안정성이 용매의 선택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특별한 용매계를 필요로 하는 WO 2007/027863 A2 및 WO2009/152827 A2에 설명된 액체 조성물과 반대로, 본 발명에 따라 공동-제제화된 무기염을 포함하는 설포닐우레아-함유 액체 조성물은 광범한 용매계에서 안정하다.
실시예 7 - 유화가능한 농축물 (EC) 
염 존재 및 부재 하에, 비수성 용매계에 용해된 메트설퍼론-메틸을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 (EC)df 제조하고 이들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3
표 7의 데이터는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이 유화가능한 농축물 (EC1)에서 설포닐우레아를 안정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주성분으로서 피롤리돈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계에서 조차 안정화가 달성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염 부재시에는 (EC2), 가속화된 에이징(aging) 테스트에서 (그리고 US 5,731,264에 보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용매계가 설포닐우레아의 완전한 분해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액체 조성물의 피롤리돈 용매와 일반적으로 연관된 문제점들을 극복한다.
실시예 8 - 유화가능한 농축물 (EC)에서 SU 안정화에 미치는 용매의 효과
염 존재 하 및 부재 하에, 다양한 비수성 용매계들에 용해된 트리베누론-메틸을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농축물 (EC)를 제조하고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1 (염 존재) 및 표 8-2 (염 부재)에 나타내었다.
[표 8-1]
Figure pct00014
[표 8-2]
Figure pct00015
표 8-1의 데이터는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이, 유화가능한 농축물에서 비교적 낮은-안정성을 나타내는 설포닐우레아를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롤리돈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계를 비롯한, 광범한 용매계에서 설포닐우레아가 안정화됨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9 - Mg 3 (P0 4 ) 2 또는 AlPO 4 의한 개선된 화학 안정성
상이한 설포닐우레아 화합물들 및 Mg3(P04)2 또는 AlPO4를 포함하는 몇 가지 오일 분산액들을 만들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Atlox LP1은 사용하지 않음).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16
상기 데이터는 Mg3(P04)2 및 AlPO4가 상기 액체 조성물 내에서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10 - Na 3 P0 4 의한 상이한 설포닐우레아들의 개선된 화학 안정성
설포닐우레아 화합물 및 Na3P04를 포함하는 몇 가지 오일 분산액들을 만들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하였다 (Atlox LP1은 사용하지 않음).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17
상기 데이터는 Na3P04가 상기 액체 조성물 내에서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11 - 니코설퍼론 트리베누론 - 메틸에 대한 화학 안정화제로서의 우레아
EP 0554015 Al (Ishihara Sangyo Kaisha)에는 우레아가 니코설퍼론 (이 문헌에서 "화합물 A"라 칭해짐)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교시되어 있다. 니코설퍼론을 포함하는 오일 분산액들을 제조하고 60℃에서 1주일간 보관한 후 설포닐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을 구하기 위해 테스트하였다 (EP 0554015 Al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에이징 테스트임). HPLC를 이용하여, 10℃에서 1주일간 보관한 대응하는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잔류하는 활성 성분의 양으로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18
OD73 (안정화제 전혀 없음)에서는 니코설퍼론의 분해율이 12.0%였다. 이것은 2.5 중량% 우레아 첨가시 (OC72) 6.3%로 개선되었다. 우레아를 2.5 중량% Na3P04(OD70) 또는 Na2CO3(OD71)로 대체하자 니코설퍼론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우레아는 이 시스템에서는 트리베누론-메틸은 전혀 안정화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12 - 액체 조성물 
비수성 용매계 (디메틸 설폭사이드) 내에 설포닐 우레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염 존재 하 및 부재 하에 제조하고 테스트하였다. 설포닐우레아를 DMSO에 용해시키고 염(밀링됨)을 고체 입자로서 분산시켰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19
표 12의 데이터는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이 설포닐우레아와 염이 심지어 서로 다른 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조차,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설포닐우레아 (이 경우 트리베누론-메틸)를 본 발명의 액체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설명 및 실시에들은 어디까지나 설명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문헌은 본 발명에 참조 병합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체예들에 대하여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행하여질 수 있다.

Claims (20)

  1. 비수성 용매계;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무기염
    을 포함하는 액체 제초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염은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무기염은 Na, K, Ca, Mg 또는 Al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무기염은 Na3P04, K3P04, Mg3(P04)2, AlP04, 및 Na2C03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오일 분산액(OD), 분산가능한 농축물(DC), 유화가능한 농축물(EC), 또는 가용성 농축물(SL)로서 제제화되는 것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오일 분산액(OD)으로서 제제화되되,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비수성 용매계에 현탁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은 비수성 용매계에 현탁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아미도설퍼론, 아짐설퍼론, 벤설퍼론, 클로리뮤론, 클로르설퍼론, 시노설퍼론, 시클로설파뮤론. 에타메트설포론, 에톡시설퍼론, 플라자설퍼론, 플루세토설퍼론, 플루피르설퍼론, 포람설퍼론, 할로설퍼론, 이마조설퍼론, 요오도설퍼론, 이오펜설퍼론, 메조설퍼론, 메타조설퍼론, 메트설퍼론, 니코설퍼론, 오르토설파뮤론, 옥사설퍼론, 프리미설퍼론, 프로피리설퍼론, 프로설퍼론, 피라조설퍼론, 림설퍼론, 설포메튜론, 설포설퍼론, 티펜설퍼론, 트리아설퍼론, 트리베누론, 트리플록시설퍼론, 트리플루설퍼론 및 트리토설퍼론, 또는 그의 염 또는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은 Na3P04이고,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메트설퍼론-메틸, 니코설퍼론,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은 Na2C03이고,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및 니코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거나; 또는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은 Mg3(P04)2이고,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림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틸렌설퍼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및 트리아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거나; 또는
    적어도 1종의 무기염은 AlP04이고,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는 메트설퍼론-메틸, 할로설퍼론-메틸 또는 림설퍼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니코설퍼론이 아니고 및/또는 피리딜설포닐우레아가 아닌 것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 화합물은 비수성 용매계에 용해된 것인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 화합물은 2,4-D, 2,4-DB, 2,3,6-TBA, 아세트클로르, 아시플루오르펜, 아시플루오르펜-소듐, 아클로니펜, 알라클로,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아메트린, 아미카바존, 아미노피랄리드, 아미트롤, 아닐로포스, 아술람, 아트라진, 아자페니딘, 베플루부타미드, 벤자졸린, -벤자졸린-에틸, 벤푸레세이트, 벤타존, 벤즈펜디존, 벤조바이시클론, 벤조페납, 바이페녹스, 빌라나포스, 비스피리박-소듐, 브로마실, 브로모부타이드,브로모페녹심, 브로모자이닐, 부타클로, 부타페나실, 부테나클로, 부트랄린, 부트록시딤, 부틸레이트, 카펜스트롤, 카베타미드,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메톡시펜, 클로리다존, 클로르니트로펜, 클로로톨루론, 시니돈-에틸, 신메틸린, 클레폭시딤, 클레토딤, 클로디나폽-프로파르길, 클로마존, 클로메프롭, 클로피랄리드, 클로란술람-에틸, 쿠밀루론, 시아나진, 시클록시딘, 시할로폽-부틸, 다이뮤론, 다조메트, 데스메디팜, 디캄바, 디클로베닐, 디클로프롭, 디클로프로-P, 디클로폽-메틸, 디클로술람, 디펜조콰트, 디플루페니칸, 디플루펜조피어, 디케굴락-소듐, 디메푸론, 디메피페레이트, 디메타클로, 디메타메트린, 디메테나미드, 디쿠아트-디브로마이드, 디티오피어, 디우론, 딤론, EPTC, 에스프로캅, 에탈플루랄린,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펜, 에토벤자니드, 페녹사프롭-에틸, 페녹사프롭-P-에틸, 펜트라자미드, 플람프롭-M-이소프로필, 플람프롭-M-메틸, 플로라술람, 플루아지폽, 플루아지폽-부틸,플루아졸레이트, 플루카바존-소듐, 플루클로랄린,플루페나세트, 플루펜피어, 플루메트술람,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플루오메투론, 플루오로클로리돈,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폭삼, 플루리돈, 플루옥시피어, 플루옥시피어-부톡시프로필, 플루옥시피어-멥틸, 플루프리미돌, 플루타몬, 플루티아세트-메틸, 포메사펜,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리포세이트, 할록시폽, 할록시폽-에톡시에틸, 할록시폽-메틸, 할록시폽-P-메틸, 헥사지논,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픽, 이마자피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어, 인다노판, 이옥시닐, 이소프로튜론, 이소우론, 이속자벤, 이속사클로르톨, 이속사플루톨, 케토스피라독스, 락토펜, 레나실, 리누론, MCPA, MCPB, 메코프롭, 메코프로-P, 메페나세ㅌ, 메조트리온, 메타미폽, 메타미트론, 메타자클로,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틸딤론, 메토브로뮤론, 메토라클로, 메토술람, 메토주론, 메트리부진, 몰리네이트, 모노리누론,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네부론, 노르플루라존, 오벤카브, 오리잘린, 옥사디아그릴, 옥사디아존, 옥사지클로메폰, 옥시플루오르펜, 펜메디팜, 피클로란, 피클리나펜, 피녹사덴, 피페로포스, 프레티아클로어, 프로풀루아졸, 프로폭시딤, 프로메트린, 프로파클로, 프로파닐, 프로파퀴아폽, 프로이소클로르,프로옥시카바존-소듐, 프로피자미드, 프로술포카브,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에틸-피라졸레이트, 피라족시펜, 피리벤족심, 피리부티카르브, 피리다폴, 피리데이트,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박-메틸, 피리티오박-소듐, 퀸클로락, 퀸메락, 퀴노클라민, 퀴나졸로폽-에틸, 퀴나졸로폽-P-에틸, 퀴나졸로폽-P-테푸릴, 세톡시딤, 시마진, 시메트린, S-메ㅌ톨라클로, 설코트리온, 설펜트라존, 설포세이트, 테부티우론, 테프라옥시딤, 테르부툴리아진, 테르부티린, 테닐클로르, 티아조프로피어, 티오벤카르브, 티오카르바질, 트랄콕시딤, 트리알레이트, 트리아지플람, 트리클로피어, 트리디판 및 트리플루랄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2종의 설포닐우레아 화합물들을 포함하되, 상기 설포닐우레아 화합물들은
    니코설퍼론 및 티펜설퍼론 메틸;
    니코설퍼론 및 프로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및 요오도설퍼론 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설포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및 티펜설퍼론 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벤설퍼론 메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클로르설퍼론;
    메트설퍼론 메틸 및 클로리뮤론 에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트리베누론-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티펜설퍼론 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클로리뮤론 에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벤설퍼론-메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메조설퍼론;
    트리베누론-메틸 및 요오도설퍼론-메틸;
    요오도설퍼론 메틸 및 메조설퍼론 메틸;
    요오도설퍼론 메틸 및 아미도설퍼론;
    요오도설퍼론 메틸 및 포람설퍼론;
    메조설퍼론 및 요오도설퍼론 메틸;
    포람설퍼론 및 요오도설퍼론-메틸;
    림설퍼론 및 티펜설퍼론;
    림설퍼론 및 니코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및 티펜설퍼론-메틸; 또는
    티펜설퍼론-메틸 및 클로리뮤론-에틸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적어도 1종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1종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 및 적어도 1종의 비-설포닐우레아 제초제는
    트리베누론-메틸 및 2,4-D;
    트리베누론-메틸 및 MCPB;
    트리베누론-메틸 및 브롬옥시닐;
    트리베누론-메틸 및 글리포스페이트;
    트리베누론-메틸 및 플루록시피어;
    트리베누론-메틸 및 디캄바;
    트리베누론-메틸 및 메코프롭-P;
    트리베누론-메틸 및 MCPA;
    트리베누론-메틸 및 클로피랄리드;
    트리베누론-메틸 및 카펜트라존 에틸;
    트리베누론-메틸 및 클로디나폽;
    트리베누론-메틸 및 퀸클로락;
    트리베누론-메틸 및 플로라술람;
    니코설퍼론 및 디캄바;
    니코설퍼론 및 아트라진;
    니코설퍼론 및 플루메트술람:
    니코설퍼론 및 클로피랄리드;
    니코설퍼론 및 디플루펜조피어;
    니코설퍼론 및 메톨라클로르;
    니코설퍼론 및 터부틸라진;
    니코설퍼론 및 메조트리온;
    니코설퍼론 및 벤타존:
    메트설퍼론 메틸 및 아세토클로르;
    메트설퍼론 메틸 및 카펜트라존 에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이마자피어;
    메트설퍼론 메틸 및 아미노피랄리드;
    메트설퍼론 메틸 및 플루록시피어;
    메트설퍼론 메틸 및 메코프롭-p;
    메트설퍼론 메틸 및 피클로람;
    메트설퍼론 메틸 및 피라플루펜 에틸;
    메트설퍼론 메틸 및 프로파닐;
    메트설퍼론 메틸 및 글리포스페이트-암모늄;
    메트설퍼론 메틸 및 디캄바;
    메트설퍼론 메틸 및 2,4-D;
    벤설퍼론-메틸 및 아세토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부타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다이뮤론;
    벤설퍼론-메틸 및 메페나셋;
    벤설퍼론-메틸 및 인다노판;
    벤설퍼론-메틸 및 클로메프롭;
    벤설퍼론-메틸 및 프레틸라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펜트라자미드;
    벤설퍼론-메틸 및 테닐클로르;
    벤설퍼론-메틸 및 펜타옥사존;
    벤설퍼론-메틸 및 피리미노박-메틸;
    벤설퍼론-메틸 및 브로모부티드;
    트리플루설퍼론 메틸 및 설펜트라존;
    요오도설퍼론-메틸 및 이속사디펜-에틸;
    요오도설퍼론-메틸 및 프로폭시카바존;
    요오도설퍼론-메틸 및 디플루페니칸;
    요오도설퍼론-메틸 및 페녹사프롭-P-에틸;
    요오도설퍼론-메틸 및 티엔카바존-메틸;
    메조설퍼론 및 디플루페니칸;
    메조설퍼론 및 프로폭시카바존;
    포람설퍼론 및 이속사디펜 에틸;
    포람설퍼론 및 티엔카바존-메틸;
    포람설퍼론 및 시프로설파미드;
    포람설퍼론 및 티엔카바존-메틸;
    티펜설퍼론-메틸 및 플루미옥사진;
    클로리뮤론-에틸 및 아세토클로르;
    클로리뮤론-에틸 및 플루미옥사진;
    클로리뮤론-에틸 및 이마제타피어;
    클로리뮤론-에틸 및 메트리부진;
    클로리뮤론-에틸 및 설펜트라존;
    피라설퍼론-에틸 및 프레틸라클로르;
    피라설퍼론-에틸 및 벤조비시클론;
    피라설퍼론-에틸 및 디메타메트린;
    림설퍼론 및 메조트리온;
    림설퍼론 및 메톨라클로르; 및
    림설퍼론 및 디캄바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설포닐 우레아는 54℃에서 2주일간 보관 시, -10℃에서 2주일간 보관된 대조군 조성물에 비해 적어도 85%의 화학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설포닐 우레아의 화학 안정성은, 적어도 1종의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함유하지 않는 대응하는 액체 조성물에 비해 적어도 10% 향상된 것인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메트설퍼론-메틸 (임의로 나트륨염으로서), 플루록시피어-멥틸, Na3PO4 및 이소보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9. 비수성 용매계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 중의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금속 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의 용도.
  20. 제19항에 있어서,
    무기염은 Na3P04이고,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메트설퍼론-메틸, 니코설퍼론, 벤설퍼론-메틸, 포람설퍼론, 피라조설퍼론-에틸, 클로르설퍼론, 아미도설퍼론, 또는 트리아설퍼론이거나; 또는
    무기염은 Na2C03이고, 설포닐우레아는 트리베누론-메틸 및 니코설퍼론이거나; 또는
    무기염은 Mg3(P04)2이고, 설포닐우레아는 림설퍼론, 벤설퍼론-메틸, 메조설퍼론-메틸, 틸렌설퍼론-메틸, 클로리뮤론-에틸, 및 트리아설퍼론이거나; 또는
    무기염은 AlP04이고, 설포닐우레아는 메트설퍼론-메틸, 할로설퍼론-메틸 또는 림설퍼론인 것인,
    설포닐우레아 제초제의 화학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무기염의 용도.
KR1020177020666A 2014-12-22 2015-12-21 액체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초제 조성물 KR102291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9867.4 2014-12-22
EP14199867 2014-12-22
PCT/EP2015/080844 WO2016102499A1 (en) 2014-12-22 2015-12-21 Liquid sulfonylurea-containing herbicidal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530A true KR20170105530A (ko) 2017-09-19
KR102291873B1 KR102291873B1 (ko) 2021-08-20

Family

ID=5213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666A KR102291873B1 (ko) 2014-12-22 2015-12-21 액체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11071296B2 (ko)
EP (3) EP3236749B1 (ko)
JP (1) JP6736560B6 (ko)
KR (1) KR102291873B1 (ko)
CN (3) CN107427010B (ko)
AU (1) AU2015371074B2 (ko)
BR (1) BR112017013448B1 (ko)
CA (1) CA2971795C (ko)
CO (1) CO2017006981A2 (ko)
DK (1) DK3236749T3 (ko)
EA (1) EA038316B1 (ko)
ES (2) ES2739540T3 (ko)
HU (2) HUE048629T2 (ko)
MX (1) MX2017008371A (ko)
PL (2) PL3387904T3 (ko)
TR (1) TR201910889T4 (ko)
UA (1) UA122330C2 (ko)
WO (1) WO20161024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906A (ko) * 2016-06-21 2019-02-27 바텔 유케이 리미티드 액체 설포닐우레아― 및 li―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WO2019098757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제초제 조성물
WO2019098760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제초제 조성물
WO2019098755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초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6749B1 (en) * 2014-12-22 2019-07-03 Mitsui AgriScience International S.A./N.V. Liquid tribenuron-containing herbicidal compositions
FR3046179A1 (fr) * 2015-12-23 2017-06-30 Oleon Nv Composition dispersante
DE102016210164A1 (de) * 2016-06-08 2017-12-14 Clariant International Ltd Verwendung von N-substituierten Pyrrolidonen zur Förderung der Penetration von agrochemischen Wirkstoffen
EA202090478A1 (ru) 2017-08-11 2020-06-03 Ариста Лайфсайенс Инк.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CN107960422A (zh) * 2017-12-06 2018-04-27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一次施药防控稻茬小麦全生育期草害的除草剂减量控草方法
CN108041043A (zh) * 2018-02-02 2018-05-18 陕西上格之路生物科学有限公司 一种含吡氟酰草胺的三元除草组合物
CN108308187A (zh) * 2018-02-11 2018-07-24 河北中天邦正生物科技股份公司 一种农药组合物及其应用
MX2021009954A (es) 2019-02-19 2021-12-10 Gowan Company L L C Composiciones liquidas estables y metodos para usar las mismas.
RU2714736C1 (ru) * 2019-04-02 2020-02-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ХК-АГРО"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20234175A1 (en) 2019-05-21 2020-11-26 Syngenta Crop Protection Ag Improved herbicidal oil dispersion compositions
WO2021152391A1 (en) 2020-01-29 2021-08-05 Fmc Agricultural Caribe Industries Ltd. Liquid sulfonylurea compositions
EP3900535A1 (en) 2020-04-24 2021-10-27 Battelle UK Limited Liquid sulfonylurea herbicide composition
CN112400876A (zh) * 2020-11-24 2021-02-26 安徽苏昆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仲丁灵、苄嘧磺隆和丁草胺的除草组合物
CN112262848A (zh) * 2020-11-24 2021-01-26 安徽苏昆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包含仲丁灵、吡嘧磺隆和丁草胺的除草组合物
RU2771039C1 (ru) * 2021-08-05 2022-04-25 ООО "Агро Эксперт Груп" Жидкая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23058040A1 (en) * 2021-10-08 2023-04-13 Aviral Crop Science Pvt. Ltd. Ternary herbicidal composi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81A (zh) * 1996-03-14 1997-09-24 化学工业部沈阳化工研究院 磺酰脲类除草混剂
KR20080033375A (ko) * 2005-08-10 2008-04-16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술포닐우레아 제초 현탁액
JP2009524597A (ja) * 2005-12-27 2009-07-02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除草用組成物
KR20130059352A (ko) * 2010-04-26 2013-06-05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안정화된 농업용 오일 분산액
CN103987256A (zh) * 2011-11-17 2014-08-13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除草悬浮剂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15702A (en) 1970-05-21 1972-11-28 Eric Lucien Preparation of 1-benzene-sulfonyl-3-hydrocarbylureas and derivatives
GB2059773B (en) 1979-10-12 1983-01-12 Boots Co Ltd Fungicidal compositions
MA19709A1 (fr) 1982-02-17 1983-10-01 Ciba Geigy Ag Application de derives de quinoleine a la protection des plantes cultivees .
ATE103902T1 (de) 1982-05-07 1994-04-15 Ciba Geigy Ag Verwendung von chinolinderivaten zum schuetzen von kulturpflanzen.
US4579583A (en) 1982-09-08 1986-04-01 Ciba-Geigy Corporation Novel sulfonylureas
EP0138938A1 (en) 1983-03-31 1985-05-02 Robert Edward Silma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microorganisms
DE3484360D1 (de) 1983-04-04 1991-05-08 Du Pont Stabilisierte waesserige formulierungen von sulfonylharnstoffen.
US4936900A (en) 1983-04-04 1990-06-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bilized aqueous formulations of sulfonylurea salts
JPS6087254A (ja) 1983-10-19 1985-05-16 Japan Carlit Co Ltd:The 新規尿素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除草剤
US4599412A (en) 1983-11-23 1986-07-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sulfonylurea solution formulations
DE3525205A1 (de) 1984-09-11 1986-03-20 Hoechst Ag, 6230 Frankfurt Pflanzenschuetzende mittel auf basis von 1,2,4-triazolderivaten sowie neue derivate des 1,2,4-triazols
DE3680212D1 (de) 1985-02-14 1991-08-22 Ciba Geigy Ag Verwendung von chinolinderivaten zum schuetzen von kulturpflanzen.
DE3633840A1 (de) 1986-10-04 1988-04-14 Hoechst Ag Phenylpyrazolcarbonsaeure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und safener
DE3808896A1 (de) 1988-03-17 1989-09-28 Hoechst Ag Pflanzenschuetzende mittel auf basis von pyrazolcarbonsaeurederivaten
DE3817192A1 (de) 1988-05-20 1989-11-30 Hoechst Ag 1,2,4-triazolderivate enthaltende pflanzenschuetzende mittel sowie neue derivate des 1,2,4-triazols
DE69008471T2 (de) 1989-09-21 1994-10-27 Du Pont Stabilisierung von nichtwässrigen Suspensionen.
DE3939010A1 (de) 1989-11-25 1991-05-29 Hoechst Ag Isoxazol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pflanzenschuetzende mittel
DE3939503A1 (de) 1989-11-30 1991-06-06 Hoechst Ag Neue pyrazoline zum schutz von kulturpflanzen gegenueber herbiziden
DE59108636D1 (de) 1990-12-21 1997-04-30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Neue 5-Chlorchinolin-8-oxyalkancarbonsä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ntidots von Herbiziden
WO1993013658A1 (en) 1992-01-06 1993-07-2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ablet formulation with internal desiccant
JPH05188793A (ja) * 1992-01-09 1993-07-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ES2073326T3 (es) 1992-01-28 1995-08-01 Ishihara Sangyo Kaisha Suspension herbicida a base de aceite quimicamente estabilizada.
AU3801793A (en) 1992-05-12 1993-12-13 Church & Dwight Company, Inc. Herbicide compositions
TW259690B (ko) 1992-08-01 1995-10-11 Hoechst Ag
DE4331448A1 (de) 1993-09-16 1995-03-23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ubstituierte Isoxazolin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iese enthaltende Mittel und deren Verwendung als Safener
US5707928A (en) 1993-09-28 1998-01-13 American Cyanamid Company Emulsifiable suspension concentrate compositions of imidazolinyl benzoic acids, esters and salts thereof, and dinitroaniline herbicides
PL186226B1 (pl) 1993-11-15 2003-12-31 Zeneca Ltd Mikrokapsułka i sposób wytwarzania mikrokapsułek zawierających stały środek agrochemiczny zawieszony w cieczy organicznej nie mieszającej się z wodą
US5830827A (en) 1995-09-21 1998-11-03 Ishihara Sangyo Kaisha, Ltd. Granular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a sulfosuccinate or benzoate stabilizer
US5731264A (en) 1996-10-17 1998-03-24 Isp Investments Inc. Stabilized liquid emulsifiable concentrate for a sulfonyl or sulfamoylurea herbicide
CN1181880A (zh) 1996-11-12 1998-05-20 湖南化工研究院 水稻秧田和直播田除草剂系列组合物
JP2001511116A (ja) 1996-11-22 2001-08-07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第4級アンモニウム塩及び農業用調剤におけるその使用
WO1998034482A1 (de) 1997-02-05 1998-08-13 Basf Aktiengesellschaft Feste mischungen auf der basis von sulfonylharnstoffen und adjuvantien
JP4189612B2 (ja) 1998-09-24 2008-12-03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安定化する懸濁除草製剤
EP1142476B1 (en) 1999-01-07 2013-06-05 Ishihara Sangyo Kaisha, Ltd. Floating pesticide compositions for paddy fields, method for the utilization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R030412A1 (es) 2000-03-22 2003-08-20 Fmc Corp Proceso novedoso para preparar formulaciones acuosas
TWI243019B (en) * 2000-08-31 2005-11-11 Basf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olid herbicidal formulation
EP1317180B1 (de) 2000-09-13 2005-02-16 Basf Aktiengesellschaft Öl-suspensionskonzentrate auf basis eines cyclohexenonoximether-lithiumsalzes und deren verwendung als pflanzenschutzmittel
AU2002215977A1 (en) * 2000-10-31 2002-05-15 Bayer Aktiengesellschaft Regulation of human serotonin receptor precursor
AU2002250096A1 (en) 2001-02-02 2002-08-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weeds in lettuce
US6740653B2 (en) * 2001-12-18 2004-05-25 Isp Investments Inc. Shelf life extension of microemulsions containing active aza biocide
AR041211A1 (es) 2002-09-12 2005-05-11 Du Pont Procedimiento para preparar composiciones de sulfonamida extruidas en pasta
KR100491579B1 (ko) * 2003-07-01 2005-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용지 잼 판단 방법
DE10334301A1 (de) 2003-07-28 2005-03-03 Bayer Cropscience Gmbh Flüssige Formulierung
UA83698C2 (en) 2003-11-03 2008-08-11 Байер Кропсайенс Гмбх Liquid herbicidal composition
PL1898705T3 (pl) 2005-06-04 2010-03-31 Bayer Cropscience Ag Zawiesinowy koncentrat olejowy
ZA200802442B (en) * 2005-09-01 2010-02-24 Du Pont Liquid sulfonylurea herbicide formulations
RU2421993C2 (ru) 2006-11-23 2011-06-27 Гэт Майкроинкапсулейшн, Аг Новые агрохимические составы, содержащие микрокапсулы
ES2323399B2 (es) 2007-06-19 2010-02-26 Gat Microencapsulation Ag Suspensiones en aceites de sulfonilureas y combinaciones agroquimicas.
GB0712884D0 (en) * 2007-07-03 2007-08-15 Syngenta Ltd Formulations
CN102111995B (zh) 2008-05-28 2014-08-06 加特微胶囊有限公司 磺酰脲及其与氟草烟或其它农用化学品的组合在油中的混悬剂浓缩物
US8962004B2 (en) * 2011-04-05 2015-02-24 Arysta Lifescience North America, Llc Encapsulated triazinyl sulfonylurea herbicide and methods of use
WO2012175899A1 (en) 2011-06-23 2012-12-27 Syngenta Limited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a pyrandione herbicide and a sulfonyl urea herbicide
CN103371160A (zh) * 2012-04-27 2013-10-30 龙灯农业化工国际有限公司 一种降低药物残留的农药组合物
WO2013174833A1 (de) 2012-05-25 2013-11-28 Bayer Cropscience Ag Chemische stabilisierung von iodosulfuron-methyl-natriumsalz durch hydroxystearate
US8871681B2 (en) 2012-07-24 2014-10-28 Dow Agrosciences Llc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4-amino-3-chloro-5-fluoro-6-(4-chloro-2-fluoro-3-methoxyphenyl) pyridine-2-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certain sulfonylureas
WO2015089104A1 (en) * 2013-12-09 2015-06-18 Oms Investments, Inc. Sulfonylurea herbicide-containing substra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236749B1 (en) 2014-12-22 2019-07-03 Mitsui AgriScience International S.A./N.V. Liquid tribenuron-containing herbicidal compositions
PT3416486T (pt) 2016-06-21 2019-06-25 Mitsui Agriscience Int S A /N V Composições herbicidas líquidas contendo sulfonilureia e sal de li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81A (zh) * 1996-03-14 1997-09-24 化学工业部沈阳化工研究院 磺酰脲类除草混剂
KR20080033375A (ko) * 2005-08-10 2008-04-16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술포닐우레아 제초 현탁액
JP2009524597A (ja) * 2005-12-27 2009-07-02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除草用組成物
KR20130059352A (ko) * 2010-04-26 2013-06-05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안정화된 농업용 오일 분산액
CN103987256A (zh) * 2011-11-17 2014-08-13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除草悬浮剂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906A (ko) * 2016-06-21 2019-02-27 바텔 유케이 리미티드 액체 설포닐우레아― 및 li―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WO2019098757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제초제 조성물
WO2019098760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 제초제 조성물
WO2019098755A1 (ko) * 2017-11-16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초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31226A (zh) 2020-09-08
UA122330C2 (uk) 2020-10-26
CA2971795C (en) 2021-02-09
ES2739540T3 (es) 2020-01-31
EP3236749B1 (en) 2019-07-03
KR102291873B1 (ko) 2021-08-20
EP3456199A1 (en) 2019-03-20
BR112017013448A2 (pt) 2018-01-09
US11071296B2 (en) 2021-07-27
CN111713504A (zh) 2020-09-29
US20210137102A1 (en) 2021-05-13
PL3387904T3 (pl) 2020-08-10
DK3236749T3 (da) 2019-08-05
EP3236749A1 (en) 2017-11-01
CO2017006981A2 (es) 2017-10-10
JP2018502109A (ja) 2018-01-25
EP3387904B1 (en) 2019-12-18
CN107427010A (zh) 2017-12-01
US20180000069A1 (en) 2018-01-04
TR201910889T4 (tr) 2019-08-21
MX2017008371A (es) 2018-04-30
EP3387904A1 (en) 2018-10-17
EA038316B1 (ru) 2021-08-09
WO2016102499A1 (en) 2016-06-30
CA2971795A1 (en) 2016-06-30
HUE044475T2 (hu) 2019-10-28
HUE048629T2 (hu) 2020-08-28
AU2015371074A1 (en) 2017-07-27
AU2015371074B2 (en) 2019-05-02
EA201791345A1 (ru) 2018-01-31
BR112017013448B1 (pt) 2021-09-28
JP6736560B6 (ja) 2023-03-22
PL3236749T3 (pl) 2019-11-29
JP6736560B2 (ja) 2020-08-05
CN107427010B (zh) 2020-07-17
ES2778998T3 (es)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873B1 (ko) 액체 설포닐우레아-함유 제초제 조성물
KR102163883B1 (ko) 액체 설포닐우레아― 및 li―염을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
US20230165255A1 (en) Liquid sulfonylurea herbicid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