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350A -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350A
KR20170075350A KR1020150184894A KR20150184894A KR20170075350A KR 20170075350 A KR20170075350 A KR 20170075350A KR 1020150184894 A KR1020150184894 A KR 1020150184894A KR 20150184894 A KR20150184894 A KR 20150184894A KR 20170075350 A KR20170075350 A KR 2017007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spot
image
operation serve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헌
김경화
김대영
신현삼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8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350A/ko
Publication of KR2017007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는 제공된 영상 정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스마트 단말기; 상황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제2 스마트 단말기; 및 이벤트 발생시에 이벤트 지역을 상황판에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로 이벤트 지역의 상황판 영상을 전송하며,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VIDEO MONITORING SYSTEM USING PLURAL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는 제공된 영상 정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현장 요원이 출동을 할때, 일반적으로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로 카메라 및 방범센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제센터의 승인 후, 관제센터에서 보이는 영상 화면을 현장 요원이 가지고 있는 별도의 영상 스트리밍 수신 전용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영상이 전송되는 방법을 사용중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기존에는 현장 요원이 출동할 경우, 일반적으로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로 카메라 및 방범센서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제센터의 승인 후, 관제센터에서 보이는 영상 화면을 현장 요원이 가지고 있는 별도의 영상 스트리밍 수신 전용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영상이 전송하는 법규 준수(지역 통합관제센타 경우)를 위해 현장 요원의 시간 딜레이 및 이벤트 발생지점의 파악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현장 요원이 이벤트 발생 지점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출동하는 동시에, 현장과 거리가 있는 관제화면 중심의 화면으로 직접 현장에 출동하는 현장 요원이 보기 원하는 화면의 모습과는 다른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매번 유선으로 카메라 틸트의 위치를 요청하지만, 매번 그 갭의 차이로 인해 이벤트 파악이 늦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국내등록번호 10-1345270호 국내공개번호 2015-00551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는 제공된 영상 정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스마트 단말기; 상황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제2 스마트 단말기; 및 이벤트 발생시에 이벤트 지역을 상황판에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로 이벤트 지역의 상황판 영상을 전송하며,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 운영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관제를 원하는 스팟을 클릭하면, 스팟 해당 지역의 영상 전송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 및 제2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관제를 원하는 스팟을 클릭하면, 영상 전송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관제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황실 요원이 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해당 지역 스팟을 통합 관제 단말기를 사용하여 승인하면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경유하여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팟을 줌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에 해당 줌인 또는 줌아웃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의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팟의 표시된 영역을 틸트하는 경우, 해당 틸트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스팟 해당 지역의 CCTV를 틸트되도록 하여 CCTV에서 촬영된 상황 영상이 회전된 상황 영상이 되도록 하며, 촬영되어 전송된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2개 지점의 스팟을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면 복수 영상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의 2개의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 및 제2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상황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통합 운영 서버가 이벤트 발생시에 이벤트 지역을 상황판 영상에 표시하여 제1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제1 스마트 단말기가 상황판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스팟에 따른 영상 요청 신호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D)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해당 스팟을 줌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에 해당 줌인 또는 줌아웃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F)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팟의 표시된 영역을 틸트하는 경우, 해당 틸트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의 CCTV를 틸트되도록 제어하여 CCTV에서 촬영된 회전된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 해당 지역의 해당하는 CCTV를 틸트되도록 제어하여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이 회전된 영상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G-2) 상기 CCTV가 틸드되면서 촬영되어 전송된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H)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2개 지점의 스팟을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면 복수 영상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해당 지역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2개의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종래 기술은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현장파악 여부가 매우 중요하지만, 한 개의 디바이스에 영상과 지도를 동시에 구현할 경우에 한 화면을 양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 및 지도의 화면이 작게 보여, 신속한 현황 파악의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지도 화면과 영상 화면을 다른 페이지에서 재생하여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현황 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성상 지도 데이터 로딩과 이와 연동되는 영상 스트리밍을 한 개의 디바이스에서 동작시키는 경우, 영상 끊김 현상의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 지도 데이터와 영상 스트리밍을 별개로 하기 때문에 영상 끊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카메라에서 보는 영상을 관제사가 빨리 파악을 하기 위해서 지도위를 클릭하는 것이 텍스트로 표시된’xxx번 카메라’선택보다 훨씬 직관적이며, 여러 개의 카메라를 동시에 빠르게 콘트롤할 때 매우 유용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영상을 한 화면에 합쳐서 보기, 지도상에서 카메라를 바로 틸트가능함으로서 기존의 카메라를 별도로 선택하고 또 틸트 제어를 하는 과정보다 많은 시간이 절약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운영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운영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상황판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관제PC 운영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운영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 영상을 표출하고 저장된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하는 관제 PC와, GIS MAP을 표출하고 이벤트를 표출하는 GIS 운영 PC와, GIS MAP을 표출하고 이벤트를 표출하며 GPS 좌표를 반영하고 번지 수를 검색하며 이벤트 발생지점의 주변 CCTV를 부화면으로 표출하는 상황판을 상황실 요원(관제사)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상황 발생시에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제1 스마트 단말기에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출동한 이벤트 발생 해당 지점을 포함한 축소된 상황판의 영상을 이벤트 발생 지점의 주변 CCTV 카메라를 스팟으로 표시해서 전송해주고, 사용자가 제1 스마트 단말기의 상황판에서 관제를 희망하는 영역의 해당 스팟을 선택하면, 제2 스마트 단말기에 해당 영역의 CCTV의 상황 영상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해당 스팟을 줌인-줌 아웃할 경우에 제2 스마트 단말기의 해당 영역의 CCTV의 상황 영상에 대한 줌인-줌 아웃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해당 스팟을 두 손가락으로 틸트하면 CCTV 카메라의 회전 제어가 가능하며 제2 스마트 단말기의 해당 영역의 CCTV 카메라의 상황 영상에 대해 틸트된 상황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제 1 스마트 단말기에서 복수 영역의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에서 동시에 관제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 2개 지점의 카메라 스팟을 함께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여 제 2 스마트 단말기에서 복수의 상황 영상 관제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역에서 전송된 CCTV 영상을 저장하고 전체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버들로 이루어진 운영서버그룹(110)과, 운영서버들을 공중망(102)에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120), 상황판에 표시할 영상을 형성하는 상황판 시스템(130), 상황판 시스템(130)이 제공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황판(140), 상황실 요원들(관제사)이 사용하는 단말기들로 이루어진 관제운영 단말기 그룹(150)으로 이루어진 중앙 센터(100)와, 공중망(102)을 통해 중앙 센터(100)와 연결되어 각 현장의 정보를 중앙 센터(100)로 전송하는 CCTV 그룹(200), 공중망(102)을 통해 중앙 센터(100)와 연결되고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현장용 스마트 단말기들(3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영서버그룹(110)은 각 지역에서 전송된 CCTV 영상들을 저장하고 있는 영상 스토리지(112)와, 각 지역 현장에서 전송된 CCTV 영상들을 동시에 수신받아 영상 스토리지(112)에 분배하여 저장하는 N개의 저장 분배서버(114-1~114-n)와, 영상 스토리지(112)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고 관리하기 위한 영상관리서버(116)와, CCTV 영상들을 통합 운영하는 통합 운영 서버(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 운영 서버(118)는 현장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PTZ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저장 분배서버(114)를 통해 전달받아 영상과 이벤트를 표출하고, 등록된 카메라 정보 검색, 주소 정보검색, POI 정보 검색 등을 처리하며, GIS서버(132)는 MAP 데이터를 전달받아 지도를 상황판(140)에 표출한다.
그리고 상황판(140)에 표출된 정보에 기반하여 통합 관제 단말기(154)는 공중망을 통해 현장의 스마트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영상, 상황, 지령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장비(120)는 백본 스위치(122)와, VPN(124), 방화벽(126), 인터넷 라우터(128)등으로 구현된다.
상황판 시스템(130)은 상황판(140)에 표시할 지리정보(MAP)를 관리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서버(132)와, 다수의 LCD 패널로 이루어진 대형 상황판(140)에 영상을 표출하기 위한 상황판 운영 서버(134)로 이루어져 상황판(140)에 상황을 표출한다.
관제용 운영 단말그룹(150)은 상황실 요원(관제사)이 모니터링하는 다수의 관제 PC(152)와, 현장의 스마트 단말기들(300)과 소통할 수 있는 통합 관제 단말기(154)로 이루어진다.
현장의 CCTV 그룹(200)은 아날로그 방식의 CCTV를 위한 시스템과 디지털(IP) 방식의 CCTV를 위한 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공중망과 연결되는 모뎀(212)과, 아날로그 CCTV 케메라(216)와, 아날로그 CCTV 카메라(216)로부터 수집된 영상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모뎀(212)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서버(214)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방식의 경우 공중망(102)과 연결되는 모뎀(221)과 안내방송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225)와, 앰프의 출력을 소리로 변환하는 스피커(226)와, 디지털 카메라(IP CAM;223)와, 비상벨(224)과, 디지털 카메라(223)로부터 수신된 영상과 비상벨(22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모뎀(221)을 통해 센터 측으로 전송하고, 센터 측으로부터 수신된 안내신호를 앰프(225)로 전달하는 제어기(222)로 구성된다.
그리고 현장용 스마트 단말기들(300)은 공중망을 통해 중앙 센터(100)로부터 영상을 수신받고 통신할 수 있는 태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이다.
이와 같은 현장용 스마트 단말기들(300)은 상황 발생시에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출동한 이벤트 발생 해당 지점을 포함한 축소된 상황판의 영상을 이벤트 발생 지점의 주변 CCTV 카메라를 스팟으로 표시해서 디스플레이하는 제1 스마트 단말기(310)와,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제1 스마트 단말기(310)의 상황판에서 관제를 희망하는 영역의 해당 스팟을 선택하면 해당 영역의 CCTV의 상황 영상을 제공하는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제 1 스마트 단말기(310)에서 관제를 원하는 스팟을 맵 위에서 클릭하면, 해당 영상 전송 요청 신호(Request)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황실 요원(관제사)은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이러한 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해당 지역 스팟을 승인하고 이를 통합 운영 서버(118)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해당 스팟의 카메라 영상을 줌(Zoom)하고자 하여 줌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에 해당 줌인 또는 줌아웃 요청 신호(Request)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통합 운영 서버(118)로 전송된다. 물론, 통합 운영 서버(118)로 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지도상에서 2개의 손가락으로, 화면에 터치되어진 카메라 아이콘 부근 양 손가락간의 거리를 분석하여 해당 카메라의 줌인/줌아웃 상태 파악한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의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줌인 또는 줌아웃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줌인 또는 줌아웃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해당 스팟의 카메라 위치를 틸트(Tilt)하려고 하여 제1 스마트 단말기(310)에 있어 CCTV가 설치된 스팟의 표시된 영역을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틸트하는 경우, 해당 틸트 요청 신호(Request)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통합 운영 서버(118)로 전송된다. 물론, 통합 운영 서버(118)로 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양 손가락을 카메라에 올려놓고 좌측 방향으로 돌리면 좌로 틸트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에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카메라가 좌측방향으로 컨트롤되며 기존화면에서 좌측에 있는 오브젝트의 화면이 보인다.
그리고,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양 손가락을 카메라에 올려놓고 좌측 방향으로 돌리면 우로 틸트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에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카메라가 우측방향으로 컨트롤되며 기존화면에서 우측에 있는 오브젝트의 화면이 보인다.
또한,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한 손가락으로 카메라를 일정시간 누르고 있다가 위 아래로 컨트롤하면 위로 틸트로 파악하여 그에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 상황에서 카메라가 상(또는 하)방향으로 컨트롤되며 기존화면에서 상(하) 오브젝트의 화면이 보인다.
위 기능은 연속적으로 작동하면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상하좌우 콘트롤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 그룹(200)의 CCTV를 틸트되도록 제어하여 CCTV에서 촬영된 상황 영상이 회전된 상황 영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이러한 제어에 따라 CCTV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틸트된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틸트된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복수 영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320)에서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 1 스마트 단말기(310)에서 2개 지점의 카메라 스팟을 함께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면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복수 영상 요청 신호(Request)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통합 운영 서버(118)로 전송한다. 물론, 통합 운영 서버(118)로 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지도상에서 2개의 손가락으로, 각각의 손가락끝에 터치되어진 카메라 아이콘이 서로 드래그 되는 경우에 각각 카메라 영상 듀얼 스트리밍 화면의 제공을 요청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에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지도상에서 2개의 손가락으로, 각각의 손가락끝에 터치되어진 카메라 아이콘이 서로 반대쪽으로 드래그 되는 경우에 듀얼 스트리밍 화면에서 좌측(또는 우측)에 있는 단일 스트리밍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파악하여 그에 해당하는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2개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운영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상황판 화면의 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관제PC 운영 화면의 예이고,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의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현장에 설치된 CCTV들은 통합 운영 서버(118)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고, 현장 스마트 단말기(태블릿 PC)들도 통합 운영 서버(118)에 등록되어 있다(S1,S2).
현장에 설치된 CCTV들(200)은 현장의 상황 영상을 촬영하여 공중망(102)을 통해 센터로 전송하고, 센터의 저장 분배서버(114-1~114-n)는 각 CCTV들로부터 수집된 상황 영상들을 영상 스토리지(112)에 저장한다.
그리고 센터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상황판 운영 서버(134)를 통해 상황판(140)에 GIS MAP 화면과 CCTV 영상을 표출한다(S3,S4).
현장에서 비상벨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에 현장 CCTV(200)는 이벤트 영상을 센터(100)로 전송하고, 센터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판(140)에 이벤트를 표시한다(S5~S7).
그리고 이벤트 좌표를 주소로 변환하여 상황판(140)에 이벤트 지역의 CCTV 영상과 주소를 표출한다(S8,S9). 이러한 상황판 영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실 요원의 관제단말기 상에도 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센터 상황실에 위치하는 상황판에는 평상시에는 맵을 기반으로 기본 운영하다가 사고접수 및 사건발생 시 사건/사고가 발생된 지점을 주소지를 중심으로 맵이 이동 및 확대되며, 사고발생 지점을 기준으로 설치된 주변의 영상을 표출한다. 또한 사고 발생 시점을 중심으로 15 ~ 20분 전 영상을 표출하는 기능을 가지고있다.
도 5에서 ①은 이벤트 지점 표출로서 비상벨 이벤트 발생시, 현장요원 출동 등 상황 발생 시 아이콘을 통해 상황지점을 쉽게 표출한다. ②는 표출영상 표출로서, 이벤트 지점 주변의 카메라의 저장영상 또는 실시간 영상을 표출한다. ③은 상태 바로서, 이벤트 표출지점 및 선택된 지점의 주소 좌표 상태를 표출하고, ④는 메뉴바로서, 카메라 주소 저장영상 등의 메뉴를 선택할 수 메뉴 바를 제공한다. 도 6은 상황실 요원이 상황판 시스템을 제어하여 필요한 화면의 상황을 관제 단말기에 표출하는 것으로서, 사건 사고 발생시 스마트 단말기를 소유한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에게 상황 및 지령을 영상 통신을 통하여 기본적으로 전달하며, 필요시 문서, 그림, 영상, 맵 제어등을 통하여 추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①은 이벤트 지점 표출로서, 비상벨, 이벤트, 현장요원 출동 등 상황 발생 시 아이콘을 통해 상황지점을 쉽게 표출한다. ②는 영상 표출로서, 이벤트 지점 주변의 카메라 선택을 통해 저장영상 또는 실시간 영상을 표출한다. ③은 상태 바로서 이벤트 표출지점 및 선택된 지점의 주소, GPS좌표, 상태를 표출한다. ④는 메뉴 바로서, 카메라, 주소, 저장영상 등의 메뉴를 선택할 수 메뉴 바를 제공한다.
그리고 통합 운영 서버(118)는 공중망(102)을 통해 해당 현장의 제1 스마트 단말기(310)로 상황판(140)의 영상과 상황 정보를 전송하여 현장의 제1 스마트 단말기(310)에 도 7의 (a)과 같이 상황을 표시한다(S10,S11).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에게 보급되어 운영되는 장비로서 이벤트 발생 지점의 상황 정보를 센터와 공유하고, 지점 주변의 CCTV 실시간 영상 및 저장된 영상, 화상통신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접근 및 추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의 (a)에서 이벤트 지점 표출로서 비상벨, 이벤트, 현장 요원 출동 등 상황 발생시 아이콘을 통해 상황지점을 쉽게 표출한다.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제 1 스마트 단말기(310)에서 관제를 원하는 스팟을 맵 위에서 클릭하면, 해당 영상 전송 요청 신호(Request)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로 전송된다(S16).
그러면, 상황실 요원(관제사)은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이러한 영상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해당 지역 스팟을 승인하고 이를 통합 운영 서버(118)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17).
도 7의 (b)는 제2 스마트 단말기(320)의 영상 표출로서, 이벤트 지점 주변의 카메라 선택을 통해 저장영상 또는 실시간 영상을 표출하고 센터 운영자와 영상통화한다.
이후 이벤트 현장의 영상이 계속 수신되면 통합 운영 서버(118)는 상황판(140)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황에 따라 수정된 명령을 해당 제1 스마트 단말기(3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제1 스마트 단말기(310)에는 수정된 상황이 표출된다(S12~S1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은 이벤트 발생시에 이벤트 지역의 좌표를 주소로 변환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이벤트 지역의 CCTV 영상을 표출하여 상황판(140)에 표시하고, 해당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310, 320)로 상황 영상과 수정된 상황이 표출된다(S12~S15).
한편,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도 8의 (a)에서 처럼 해당 스팟의 카메라 영상을 줌(Zoom)하고자 하여 줌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에 해당 줌인 또는 줌아웃 요청 신호(Request)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통합 운영 서버(118)로 전송된다(S18). 물론, 통합 운영 서버(118)로 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의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도 8의 (b)에서 처럼 해당 상황 영상이 줌인 또는 줌아웃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19).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줌인 또는 줌아웃되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해당 스팟의 카메라 위치를 틸트(Tilt)하려고 하여 제1 스마트 단말기(310)에 있어 도 9의 (a)에서 처럼 CCTV가 설치된 스팟의 표시된 영역을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틸트하는 경우, 해당 틸트 요청 신호(Request)가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통합 운영 서버(118)로 전송된다(S20). 물론, 통합 운영 서버(118)로 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 그룹(200)의 CCTV를 틸트되도록 제어하여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TV에서 촬영된 상황 영상이 회전된 상황 영상이 되도록 한다(S21, S22).
그리고,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이러한 제어에 따라 CCTV에서 촬영되어 전송된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틸트된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23).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틸트된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가 복수 영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320)에서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 1 스마트 단말기(310)에서 도 10의 (a)에서 처럼 2개 지점의 카메라 스팟을 함께 두 손가락으로 동시에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면 제1 스마트 단말기(310)는 복수 영상 요청 신호(Request)를 네트워크(120)를 통해 관제용 운영 단말 그룹(150)의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통합 운영 서버(118)로 전송한다(S24). 물론, 통합 운영 서버(118)로 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2개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도 10의 (b)에서 처럼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25).
물론, 운영 서버군(110)의 통합 운영 서버(118)는 해당 지역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CCTV의 상황 영상을 통합 관제 단말기(154)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2 스마트 단말기(320)로 제공하여 해당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은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현장파악 여부가 매우 중요하지만, 한 개의 디바이스에 영상과 지도를 동시에 구현할 경우에 지도 화면 및 과제 화면으로 한 화면을 양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영상 및 지도의 화면이 작게 보여, 신속한 현황파악의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지도 화면과 영상 화면을 다른 페이지에서 재생하여 현장에 출동한 사용자의 현황 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성상 지도 데이터 로딩과 이와 연동되는 영상 스트리밍을 한 개의 디바이스에서 동작시키는 경우, 영상 끊김 현상의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 지도 데이터와 영상 스트리밍을 별개로 하기 때문에 영상 끊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카메라에서 보는 영상을 관제사가 빨리 파악을 하기 위해서 지도위를 클릭하는 것이 텍스트로 표시된’xxx번 카메라’선택보다 훨씬 직관적이며, 여러 개의 카메라를 동시에 빠르게 콘트롤할 때 매우 유용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영상을 한 화면에 합쳐서 보기, 지도상에서 카메라를 바로 틸트가능함으로서 기존의 카메라를 별도로 선택하고 또 틸트 control을 하는 과정보다 많은 시간이 절약되도록 한다.
100: 센터 112: 영상스토리지
114-1~114-n: 저장 분배 서버 116: 영상관리서버
118: 통합 운영 서버 120: 네트워크 장비
122: 백본스위치 124: VPN
126: 방화벽 128: 라우터
130: 상황실 시스템 132: GIS 서버
134: 상황실 운영 서버 140: 상황판
150: 운용 단말기 그룹 152: 관제 단말기
154: 통합 관제 운용 단말기 200: CCTV 그룹
300, 310, 320 : 스마트 단말기

Claims (14)

  1.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스마트 단말기;
    상황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제2 스마트 단말기; 및
    이벤트 발생시에 이벤트 지역을 상황판에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로 이벤트 지역의 상황판 영상을 전송하며,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관제를 원하는 스팟을 클릭하면, 스팟 해당 지역의 영상 전송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 및 제2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관제를 원하는 스팟을 클릭하면, 영상 전송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관제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황실 요원이 영상 전송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해당 지역 스팟을 통합 관제 단말기를 사용하여 승인하면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경유하여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팟을 줌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에 해당 줌인 또는 줌아웃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의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팟의 표시된 영역을 틸트하는 경우, 해당 틸트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스팟 해당 지역의 CCTV를 틸트되도록 하여 CCTV에서 촬영된 상황 영상이 회전된 상황 영상이 되도록 하며, 촬영되어 전송된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2개 지점의 스팟을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면 복수 영상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의 2개의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8. 청구항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황판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스마트 단말기 및 제2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상황 영상을 상기 통합 관제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9. (A) 통합 운영 서버가 이벤트 발생시에 이벤트 지역을 상황판 영상에 표시하여 제1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제1 스마트 단말기가 상황판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며, 사용자의 스팟에 따른 영상 요청 신호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의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D)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해당 스팟을 줌인 또는 줌 아웃하는 경우에 해당 줌인 또는 줌아웃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 해당 지역의 상황 영상을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하여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F) 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스팟의 표시된 영역을 틸트하는 경우, 해당 틸트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의 CCTV를 틸트되도록 제어하여 CCTV에서 촬영된 회전된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스팟 해당 지역의 해당하는 CCTV를 틸트되도록 제어하여 CCTV에서 촬영된 영상이 회전된 영상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G-2) 상기 CCTV가 틸드되면서 촬영되어 전송된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
  13. 청구항 9항에 있어서,
    (H)상기 제1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가 2개 지점의 스팟을 중앙지점으로 드래그하면 복수 영상 요청 신호(Request)를 통합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통합 운영 서버가 해당 지역 2개의 스팟에 해당하는 2개의 상황 영상을 상기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여 2개의 상황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
  14. 청구항 9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 서버는 통합 관제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황 영상을 제2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방법.
KR1020150184894A 2015-12-23 2015-12-23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5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894A KR20170075350A (ko) 2015-12-23 2015-12-23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894A KR20170075350A (ko) 2015-12-23 2015-12-23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50A true KR20170075350A (ko) 2017-07-03

Family

ID=5935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894A KR20170075350A (ko) 2015-12-23 2015-12-23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3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959B1 (ko) * 2022-06-07 2023-02-06 정재호 인재 사고 예방을 위한 차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959B1 (ko) * 2022-06-07 2023-02-06 정재호 인재 사고 예방을 위한 차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5748A1 (en)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JP3581560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端末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らの制御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8427539B2 (en)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camera control system
JP6750998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JP3809309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カメラ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8467778B2 (en) Video call device control
JP5715775B2 (ja)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監視方法
US20060242679A1 (en) Remote monitoring and information system
EP3073726B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camera
KR101005568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JP5829826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80450B1 (ko) 티브이에서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21097A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8199531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4744974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13101462A (ja) 監視装置
KR20170075350A (ko) 복수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3988514B2 (ja) 防犯灯ポール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型緊急通報システム
JP6008759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支援プログラム
KR101028130B1 (ko) 실시간 원격 영상 전송 시스템
JP4247540B2 (ja) 防災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259340A (ja) 映像通信システム、映像通信方法、映像通信プログラム、画面情報生成方法及び画面情報生成プログラム
KR102057845B1 (ko) 단말기와의 연계를 통한 영상 관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JP2015204546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