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707A -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707A
KR20170051707A KR1020150152191A KR20150152191A KR20170051707A KR 20170051707 A KR20170051707 A KR 20170051707A KR 1020150152191 A KR1020150152191 A KR 1020150152191A KR 20150152191 A KR20150152191 A KR 20150152191A KR 20170051707 A KR20170051707 A KR 2017005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adhesive film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551B1 (ko
Inventor
조중근
카리니나 페도시아
코발레프 미하일
문형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551B1/ko
Priority to US15/279,930 priority patent/US20170121564A1/en
Publication of KR2017005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17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3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09J2205/1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formed by alternating adhesive areas of different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표시장치는 윈도우 필름, 도전성 필름 및 유기발광소자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터치패드(touch pad)는 윈도우 필름과 도전성 필름 사이에 투명 점착층(OCA, optical clear adhesive)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투명 점착층은 윈도우 필름, 도전성 필름, 편광판, 유기발광소자 중 2종 사이에 적층될 수도 있다. 최근 광학표시장치로 플렉시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장치에 포함되는 각종 광학 소자들이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투명 점착층은 윈도우 필름과 도전성 필름 사이에 형성되므로, 양면의 접착력이 우수해야 한다. 그리고, 투명 점착층은 굴곡성 및 폴딩성이 좋아야 한다. 특히,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굴곡이 일어나는 굴곡 영역 및 굴곡이 필요없는 비굴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곡 영역은 사용자가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접는 부위가 될 수 있다. 비굴곡 영역은 굴곡 영역 주위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플렉시블 표시장치를 잡는 부위 등이 될 수 있다. 굴곡 영역에서는 굴곡성 및 폴딩성이 좋아야 한다. 비굴곡 영역에서는 투명 점착층의 눌림, 유기발광소자패널의 파괴 및/또는 변형이 없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7-00553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온 및 저온에서 양호한 폴딩성을 갖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온 및 고온에서 박리강도가 높은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고온에서 신뢰성이 좋은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점착필름 내 성분들 간에 상 분리가 없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단일층이고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시 양호한 굴곡성 및 점착필름의 눌림, 유기발광소자패널의 파괴 및/또는 변형이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이고, 제 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동일 평면 상의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대비 -20℃에서 모듈러스가 더 크고, 상기 제1영역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01MPa 내지 1.5MPa이고, 상기 제2영역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1MPa내지 50MPa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광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온 및 저온에서도 양호한 폴딩성을 갖는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온 및 고온에서도 박리강도가 높은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에서 신뢰성이 좋은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점착필름 내 성분들 간에 상 분리가 없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단일층이고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시 양호한 굴곡성 및 점착필름의 눌림, 유기발광소자패널의 파괴 및/또는 변형이 없게 할 수 있는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박리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폴리머 또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필름의 "박리강도"는 T-Peel 박리강도이고, 코로나 처리기를 사용하여 78 dose의 선량으로 플라즈마를 방전시키면서 가로x세로x두께(150mmx25mmx75㎛)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코로나 2회 처리(총 선량:156dose)시켰다. 가로x세로(100mmx25mm)의 점착필름의 양면에 상기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된 면을 각각 합지하고, 12시간 동안 25℃에서 숙성시켜, 도 2의 (a)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시편을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사)에 고정시키고, 한쪽 PET 필름은 고정하고 다른 쪽 PET 필름을 50mm/min의 속도로 T-Peel박리 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T-Peel 박리강도 측정은 25℃ 및 60℃에서 수행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러스"는 저장 모듈러스이고, 점착필름을 600㎛의 두께로 적층하고 크기가 가로x세로(10mm x 10 mm)인 시편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인 DMA(SDTA861, Mettler사)를 사용하여 주파수 1㎐, shear strain 2% (변위:16μm ) 조건하에서 중심 기판에 상기 시편을 양쪽으로 부착시킨 다음 shear strain mode에서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10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min의 온도 상승 속도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20℃, 25℃, 80℃에서 모듈러스를 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 필름의 "폴딩 평가"는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75㎛), 점착필름(두께: 50㎛), 및 코로나 처리된 PET 필름(두께:75㎛)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12시간 동안 25℃에서 숙성시킨 시편에 대하여, 상기 시편을 굴곡성 평가 장비(Covotech사, CFT-200)에 고정시키고 폴딩하면서 평가하는 것이다. 폴딩은 -20℃ 내지 70℃, 곡률반경 5mm 이하 구체적으로 3mm 또는 5mm, 분당 30회 폴딩, 1회 폴딩 후 0.1초 유지로 수행되었다. 상기 시편에서, 점착필름은 PET 필름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점착필름과 PET 필름 사이에 다른 점착층 또는 접착층이 개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필름의 "폴딩 회수"는 상기 폴딩 평가 적용시 1회 폴딩을 1 cycle이라고 할 때 폴딩 부위에서 줄 무늬 등이 생기거나 점착층의 파단, 들뜸, 박리 등이 있는 최초 cycle 수를 의미한다. 폴딩 회수가 클수록 폴딩이 잘 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양호한 폴딩"은 상기 폴딩 평가 적용시 폴딩 회수가 5만회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경화되어 점착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필름이 저온에서는 양호한 폴딩성을 갖게 하고 고온에서는 기포 발생 등의 불량이 생기지 않아 신뢰성이 좋게 할 수 있다.
점착필름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05MPa 내지 5MPa, 구체적으로 0.1MPa 내지 3MPa가 될 수 있고, 80℃에서의 모듈러스가 0.01MPa 내지 1MPa, 구체적으로 0.02MPa 내지 0.5M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온에서 폴딩성이 양호할 수 있고, 고온에서는 기포 발생 등의 불량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점착필름은 -20℃ 및 곡률반경 5mm 이하 예를 들면 곡률반경 3mm에서 5만회 이상 구체적으로 5만회 내지 20만회 폴딩되더라도 양호한 폴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필름의 고온에서의 박리강도를 높여줌으로써, 고온에서도 점착력과 신뢰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필름의 25℃에서의 박리강도 대비 60℃에서의 박리강도를 더 높게 할 수 있고, 점착필름의 하기 식 1의 박리강도의 비가 1.1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온과 고온 모두에서 점착필름의 신뢰성과 점착력이 좋게 할 수 있다: 박리강도의 비는 1.1 내지 3이 될 수 있다:
<식 1>
박리강도의 비 = B/A
(상기 식 1에서, A는 25℃에서 점착필름의 박리강도, B는 60℃에서 점착필름의 박리강도).
점착필름은 50㎛의 두께에서, 코로나 전처리된 PET 필름에 대한 60℃에서의 박리강도가 200gf/in 이상, 구체적으로 200gf/in 내지 5,000gf/in가 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고온 및 저온에서 양호한 폴딩성을 갖고, 고온 및 저온에서도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점착필름은 50㎛의 두께에서, 코로나 전처리된 PET 필름에 대한 25℃에서 박리강도가 500gf/in 이상, 구체적으로 500gf/in 내지 5000gf/in, 구체적으로 700 gf/in 내지 2500 gf/in, 더욱 구체적으로 700gf/in 내지 2000 gf/in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온에서의 접착력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점착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 구체적으로 -50℃ 내지 -20℃,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2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온에서의 굴곡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상온과 고온에서 우수한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점착필름은 굴절률이 1.40 내지 1.70, 구체적으로 1.46 내지 1.6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소자 대비 굴절률이 잘 매칭되어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가시광 영역(예: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헤이즈(haze)가 1% 이하, 구체적으로 0.1% 내지 0.9%,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 구체적으로 91% 내지 99%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투명성이 좋아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300㎛, 구체적으로 20㎛ 내지 1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점착필름은 점착층 조성물을 코팅하고 용제를 건조시킨 후 얻은 점착층 전면에 소정 범위의 UV를 동일 조사량으로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필름은 단일층으로서 점착필름 전면에서 모듈러스, 박리강도, 유리전이온도, 광학적 특성 등이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필름은 점착층 전면에 UV intensity 100mW/cm2 내지 1000mW/cm2 에서 600mJ/cm2 내지 3000mJ/cm2의 UV 조사량을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층의 일부분에 따라 조사되는 UV의 조사량을 달리하였을 때 해당 부분의 모듈러스 조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단일층으로도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2개 이상의 영역을 갖는 점착필름을 제조하게 할 수 있다. 즉,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일층의 점착필름으로도 제1영역 및 제1영역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고 제1영역보다 모듈러스가 큰 영역을 1개 이상 포함하는 점착필름을 제조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영역을 2개 이상 갖는 점착필름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을 갖는 점착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착필름(10)은 제1영역(M1) 및 제2영역(M2)을 포함하고, 제2영역(M2)은 제1영역(M1)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고, 제2영역(M2)은 제1영역(M1) 대비 모듈러스가 클 수 있다. 제1영역(M1)은 제2영역(M2) 및 이웃하는 제2 영역(M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체로 형성"은 제1영역과 제2영역 등이 별개로 형성되어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조성물을 1회의 코팅만으로 동시에 형성됨을 의미한다.
제1영역(M1)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01MPa 내지 1.5MPa, 구체적으로 0.05MPa 내지 1.4M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영역(M1)은 점착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굴곡이 일어나는 굴곡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양호한 폴딩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제2영역(M2)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1MPa 내지 50MPa, 구체적으로 0.15MPa 내지 5MPa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영역(M2)은 점착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시 폴딩이 필요없는 비굴곡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점착필름의 눌림 현상, 디스플레이 소자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 또는 유기발광소자 함유 패널의 파괴 및/또는 변형이 없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1영역(M1)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01MPa 내지 1.5MPa이고, 제2영역(M2)과 제1영역(M1)과의 -20℃에서의 모듈러스 차이가 0.03MPa 이상, 구체적으로 0.05MPa 이상, 더 구체적으로 0.1MPa 이상, 보다 더 구체적으로 0.03MPa 내지 2MPa, 보다 더 구체적으로 0.06MPa 내지 1.5MPa가 되도록 함으로써, 점착필름은 양호한 폴딩성과 터치가 필요한 비굴곡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이 없이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제1영역(M1)은 80℃에서 모듈러스가 0.001MPa 내지 1MPa이고, 제2영역(M2)과 제1영역(M1)과의 80℃에서의 모듈러스 차이가 0MPa 이상, 구체적으로 0MPa 내지 1MPa가 되도록 함으로써, 점착필름은 양호한 폴딩성과 터치가 필요한 비굴곡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이 없이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점착필름(10)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 구체적으로 -50℃ 내지 -20℃,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2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온에서의 굴곡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은 박리강도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영역(M1)은 박리강도가 높고, 제2영역(M2)은 박리강도가 낮을 수 있다.
점착필름(10)은 점착층 조성물을 코팅하고 용제를 건조시킨 후 얻은 점착층 전면에 제1영역(M1), 제2영역(M2)가 되는 부분에 따라 UV 조사량을 달리하여 조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즉, 제1영역(M1)이 될 점착층 부분보다 제2영역(M2)이 될 점착층 부분에 UV가 더 많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UV intensity 100 mW/cm2 내지 1000 mW/cm2 에서 200mJ/cm2 내지 500mJ/cm2, 구체적으로 200mJ/cm2 내지 4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점착층 전면에 1차 조사하고, 그런 다음 제2영역(M2)이 될 점착층 부분에만 UV intensity 100 mW/cm2 내지 1000 mW/cm2 에서 600mJ/cm2 내지 3000mJ/cm2의 UV 조사량으로 2차 조사할 수 있다. 1차 조사만 된 영역은 제1영역(M1)이 될 수 있고, 1차 조사 및 2차 조사 모두 된 영역이 제2영역(M2)이 될 수 있다. 1차 조사한 후, 제1영역(M1)이 될 점착층 부분만을 마스크 등으로 가린 다음 2차 조사함으로써,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영역 구분이 명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점착필름 중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의 면적비는 점착필름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 단일층으로서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제1영역(M1)과 제2영역(M2)을 갖는 점착필름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UV 조사 회수를 늘림으로써 3개 이상의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갖는 점착필름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V 조사를 1차 조사, 2차 조사, 및 3차 조사함으로써 3개의 모듈러스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갖는 단일층의 점착필름을 얻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점착필름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점착필름의 점착 특성을 구현하고, 굴곡성 개선 효과를 낼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필름의 점착력을 높이는 것으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수산기 및 알킬렌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 제조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점착필름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는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 및 알킬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말단에 수산기와 복수 개의 알킬렌 글리콜 단위를 갖는 단관능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 글리콜 단위는 동종 또는 이종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 글리콜 단위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 글리콜 단위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 및 알킬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말단이 수산기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말단이 수산기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4중량% 내지 45중량%, 예를 들면 4중량% 내지 40중량%, 4중량% 내지 35중량%, 4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접착력 및 내구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필름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55 중량% 내지 96중량%, 예를 들면 60 중량% 내지 95중량%, 70중량% 내지 96중량%, 85중량% 내지 95중량%, 90중량% 내지 96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필름의 접착력 및 내구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 중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4중량% 내지 45중량% 구체적으로 4중량% 내지 10중량%,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55중량% 내지 96중량% 구체적으로 90중량% 내지 96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또는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공중합성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는 다르다. 공중합성 단량체는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지환족기를 갖는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성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추거나, 저온(-20℃)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이 유지되고, 고온(80℃)과 저온(-20℃)에서 유사한 저장 모듈러스 값을 갖게 하거나, 상온 대비 고온에서의 박리강도를 더 높이거나, 표면 처리되지 않은 소수성 피착체에 대해 박리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는 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ter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크릴옥시에틸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민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는 점착필름의 모듈러스를 높이고, 고온에서의 기포 억제 효과를 낼 수 있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메트크릴아마이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 아마이드, N,N-메틸렌 비스 (메트)아크릴 아마이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2-메톡시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2-메트크릴로일옥시에틸다이페닐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트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나트륨, 2-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나트륨 등의 설폰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는 p-tert-부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o-바이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페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가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21)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알킬에터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환족기를 갖는 단량체는 표면 처리되지 않은 소수성 피착체에 대한 점착필름의 박리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지환족기를 갖는 단량체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지환족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공중합성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0중량%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중량% 내지 7중량%, 더 구체적으로 0.1중량% 내지 10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 0.1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접착력, 내구 신뢰성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점착필름의 피착체에 대한 박리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2-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카르복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카르복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무수 말레산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0중량% 내지 10중량%, 예를 들면 0.1중량% 내지 10중량%, 0.1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 필름의 접착력 및 내구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식 1의 박리강도의 비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 총합 중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4중량% 내지 35중량% 구체적으로 4중량% 내지 10중량%,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60중량% 내지 95중량% 구체적으로 85중량% 내지 95중량%,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0.1중량%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1중량% 내지 5중량% 및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 0.1중량% 내지 10중량% 구체적으로 0.1중량%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만 내지 300만, 구체적으로 100만 내지 250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응집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로 Waters사 Alliance 2690을 사용하고, PLgel mixed C 2ea 컬럼으로 이동상이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및 이동상의 유속 1.0ml/분, 분석 온도 40℃, 검출기로 RID(refractive index detector)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 100중량부 중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구체적으로 60중량부 내지 9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함습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에 개시제 예를 들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첨가하고, 용액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등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50℃ 내지 200℃, 중합 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함께 경화되어, 점착필름에 굴곡성, 양호한 폴딩성 및 고온에서의 높은 박리강도를 제공할 수 있고, 코팅층의 경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영역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분자량이 80g/mol 내지 1,000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배합시 상 분리를 억제함으로써 점착필름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우레탄기를 갖지 않는 비-우레탄계 단량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점착필름은 유리 전이 온도 및 모듈러스를 감소시켜 저온 폴딩에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끓는점(boiling point)이 200℃ 이상, 구체적으로 200℃ 내지 4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에서 용제를 건조시키더라도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휘발되는 일이 없을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 s는 0 내지 10의 정수,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5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50의 아릴옥시기이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된"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C1 내지 C10의 알킬기, C1 내지 C10의 티오알킬기,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 할로겐(F, Cl, Br 또는 I), C3 내지 C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C6 내지 C20의 아릴기로 치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벤질기, 페닐기, 바이페닐기, 터페닐기, 페닐페닐기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페녹시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페녹시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티오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페닐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4-페닐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프로필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1-메틸에틸)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메톡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사이클로헥실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2-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클로로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4-브로모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3-페닐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올소바이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메타바이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파라바이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6-터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올소터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메타터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파라터페닐 메타크릴레이트, 4-(4-메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4-(2-메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4-메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2-메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4-(4-에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4-(2-에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4-에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2-(2-에틸페닐)페닐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제2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제2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서로 다르다.
상기 혼합물은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제2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중량비가 10 내지 20: 2 내지 8: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100중량부 중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50중량부 내지 90중량부 구체적으로 6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제2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5중량부 내지 40중량부 구체적으로 15중량부 내지 30중량부, 및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굴곡성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상기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1:1 내지 5:1의 중량비, 구체적으로 2: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우수한 폴딩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 100중량부 중 1중량부 내지 45중량부, 구체적으로 5중량부 내지 3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감소 및/또는 접착 강도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함께 상술한 굴곡성, 양호한 폴딩성 및 점착필름의 경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복수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점착층의 가교도를 높여 점착층의 모듈러스를 높일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우레탄기를 갖지 않는 비-우레탄계 단량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점착필름은 치밀한 가교 구조 형성이 가능하여 비굴곡 영역의 모듈러스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끓는점이 200℃ 이상, 구체적으로 200℃ 내지 4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에서 용제를 건조시켜 점착필름을 형성하더라도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휘발되는 일이 없을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분자량이 800g/mol 내지 2000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분리를 억제하고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2개 이상 구체적으로 2개 내지 6개인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트)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함께 소정의 조건에서 경화될 때 굴곡성 및 폴딩성이 좋게 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점착필름의 경화 후 굴곡성, 폴딩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 100 중 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 구체적으로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치밀한 가교 구조 형성에 의한 점착필름의 모듈러스 증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개시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경화시킬 수 있다.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면,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 p-t-부틸 트리클로로 아세토페논, p-t-부틸 디클로로 아세토페논, 4-클로로 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 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디메틸아미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모폴리노 페닐)-부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논시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질케탈 타입 화합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해 0.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구체적으로 0.0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화 반응이 완전히 진행될 수 있고, 잔량의 개시제가 남아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기포 발생을 낮출 수 있고 우수한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점착필름의 피착체(예:유리판)에 대한 점착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비닐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 트리에톡시 실란, (메트)아크릴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 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0.1중량부, 구체적으로 0.05중량부 내지 0.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신뢰성 증가의 효과가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수지(폴리올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다이엔 수지 등),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응집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술 성분의 용이한 혼합 및 점착제 조성물의 코팅성, 점착필름의 양호한 외관을 위해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제 조성물은 25℃ 점도가 300 cPs 내지 50,000 cPs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코팅성과 두께 균일성을 얻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점착필름 또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필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층은 양호한 굴곡성 및 폴딩성을 가질 수 있다. 점착층은 모듈러스가 낮은 굴곡 영역과 모듈러스가 높은 비굴곡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부재는 양호한 굴곡성 및/또는 양호한 폴딩성을 가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광학부재는 비-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광학필름은 편광판, 칼라필터, 위상차 필름, 타원 편광필름, 반사필름, 반사방지 필름, 보상필름, 휘도 향상필름, 배향막, 광확산 필름, 유리비산 방지 필름, 표면 보호필름, 플라스틱 LCD 기판, ITO(indium tin oxide) 필름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드에 점착필름을 이용하여 윈도우나 광학 필름에 부착하여 터치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종래와 같이 통상의 편광필름에 점착필름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광학부재는 2개의 이형필름 사이에 형성된 점착필름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점착층을 제조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층을 광학필름에 부착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광학부재는 2개의 이형필름 사이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UV 를 조사하기 전에 박리하고, 광학필름에 부착한 다음, UV를 조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점착필름의 모듈러스가 높아서 젖음성이 좋지 않을 때 적용하면 점착층의 박리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점착필름 또는 점착필름으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표시장치는 비-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점착층(120), 편광판(130), 터치스크린패널(140), 및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150)을 포함하고, 점착층(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OLED, LED 또는 LCD 소자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부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 평탄화층, 보호막,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130)은 내광의 편광을 구현하거나 또는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필름, 보호코팅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140)은 인체나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도전체가 터치할 때 발생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가 구동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140)은 플렉시블하고 도전성이 있는 도전체를 패턴화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제1센서 전극 및 제1센서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제1센서 전극과 교차하는 제2센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340)을 위한 도전체는 금속나노와이어, 전도성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편광판(130)과 터치스크린패널(140)이 점착필름 또는 접착필름에 의해 적층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나, 터치스크린패널(140)에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포함시켜 편광판(130)과 터치스크린패널(140)이 일체화될 수도 있다.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15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최 외곽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도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판(130)과 터치스크린패널(140) 사이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140)과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150) 사이에는 본 발명의 점착필름이 더 형성됨으로써 편광판, 터치스크린패널,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간의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는 편광판이 더 형성됨으로써, 내광의 편광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조예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2리터 반응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64g 및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0g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넣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368g을 넣고 1.5시간 동안 질소를 퍼징하였다. 반응기 내부 온도를 60℃까지 높이고, 단량체 혼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에틸 아세테이트 32g에 AIBN(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6g을 넣은 용액을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 온도가 60℃에 도달한 후, 반응을 15분 동안 유지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더 중합하고, 얻은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고형분 18중량%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평균중량평균분자량은 190만이었다.
제조예 2: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에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64g,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0g, 아크릴산 12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분자량:480) 4g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평균중량평균분자량: 190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의 제조
(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EEEA),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PA),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를 총 10중량부를 기준으로 5.8:2.1:0.4:1.7 (EEEA:HPA:IBOA:TMPTA)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의 제조
(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EEEA), 3-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PA), 및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를 총 10중량부를 기준으로 7:2.5:0.5(EEEA:HPA:IBOA)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단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7중량부와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 3중량부를 혼합하고, 광개시제 Irgacure 184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광개시제는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5중량%로 첨가되었다.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고 110℃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두께: 5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9중량부와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 1중량부를 혼합하고, 광개시제 Irgacure 184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광개시제는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0.5중량%로 첨가되었다. 제조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고 110℃에서 5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두께: 5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8중량부와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 2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7중량부와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 3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6중량부와 제조예 3의 단량체 혼합물 4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예 2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9중량부와 제조예 4의 단량체 혼합물 1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층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T-peel 박리강도: 코로나 처리기를 사용하여 78 dose의 선량으로 방전시키면서 가로×세로×두께(150mm×25mm×75㎛)의 PET 필름에 코로나 2회 처리(총 선량: 156 dose)시켰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에 UV intensity 800 mW/cm2 및 3000mJ/cm2의 광량을 조사하여 두께 50㎛의 점착필름을 형성하고, 이형필름을 분리하여 상기 가로x세로(100mmx25mm)의 점착필름의 양면에 상기 PET 필름의 코로나 처리된 면을 각각 합지하고 12시간 동안 25℃에서 숙성시켜, 도 2의 (a)에서 도시된 시편을 제조하였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점착필름의 T-Peel박리강도는 상기 시편을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사)에 고정시키고, 한쪽 PET 필름은 고정하고 다른 쪽 PET 필름을 50mm/min의 속도로 T-Peel박리 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T-Peel 박리강도 측정은 25℃ 및 60℃에서 수행하였다.
(2)모듈러스: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에 UV intensity 800 mW/cm2 및 3000mJ/cm2의 광량을 조사하여 두께 50㎛의 점착필름을 형성하고,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에, 점착필름을 600 ㎛의 두께로 적층시켜 크기가 가로x세로(10mm x 10mm)인 시편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인 DMA(SDTA861, Mettler사)를 사용하여 주파수 1 ㎐, shear strain 2% (변위:16μm)조건하에서 중심 기판에 상기 시편을 양쪽으로 부착시킨 다음 shear strain mode에서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10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5℃/min 의 온도 상승 속도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20℃, 25℃, 및 80℃에서 모듈러스를 구하였다.
(3)유리전이온도: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을 UV intensity 800 mW/cm2 및 3000mJ/cm2의 광량으로 UV로 경화시켜 점착필름을 얻었다. 점착필름 15 mg (on 6 mm Al Pan)의 샘플을 만들어서 질소 분위기(50 mL/min)에서 2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하고 -80℃까지 냉각시킨 후(제1 가열조건(1st run)), 20℃/min의 승온 속도로 180℃까지 승온하면서 점착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를 측정하였다.
(4)폴딩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을 UV intensity 800 mW/cm2 및 3000mJ/cm2의 광량으로UV로 경화시켜 점착필름을 얻었다.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75㎛), 점착필름(두께:50㎛), 및 코로나 처리된 PET 필름(두께:75㎛)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12시간 동안 25℃에서 숙성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굴곡성 평가 장비(Covotech사, CFT-200)에 고정시키고 폴딩성을 평가하였다. 폴딩은 -20℃ 또는 25℃, 곡률반경 3mm, 분당 30회 폴딩, 1회 폴딩 후 0.1초 유지로 수행되었다. 폴딩 평가 적용시 1회 폴딩을 1 cycle이라고 할 때, 폴딩 부위에서 줄 무늬 등이 생기거나, 점착필름의 파단, 들뜸, 박리 등이 생기는 최초 cycle 수를 평가한다. 최초 cycle 수가 5만 이상인 경우 ○, 최초 cycle 수가 5만 미만인 경우 ×로 평가하였다.
(5)광학 특성: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을 PET(두께:75㎛) 필름 사이에 놓고 UV intensity 800 mW/cm2 및 3000mJ/cm2의 광량으로 UV로 경화시켜 시편을 얻었다. 상기 PET 필름 두 장을 적층시켜 reference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Spectrophotometer (Konica Minolta CM3600d) 장비를 이용하여 transmittance opacity/haze mode 에서 측정 하였다. ASTM D 1003-95 5("투명 플라스틱의 탁도 및 시감 투과율에 대한 표준 시험법(Standard Test for Haze and Luminous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Plastic)")에 따라 두께 50㎛의 점착필름에 대해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6)기포 발생 테스트: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을 UV intensity 800 mW/cm2 및 3000mJ/cm2의 광량으로UV로 경화시켜 이형 필름 사이에 점착필름(두께:50㎛)이 형성된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에 점착필름을 유리판에 적층하고, 점착필름 위에 ITO(indium tin oxide) 필름을 다시 적층하여, 유리판/점착층/ITO 필름의 구조를 갖는 시편(가로 x 세로, 5cm x 5cm)을 제조하였다. 시편을 항온/항습(60℃/93% 상대습도) 분위기의 챔버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점착필름 상에 기포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기포가 발생한 경우 ○, 기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로 평가하였다.
T-Peel 박리강도(gf/in) 모듈러스(MPa) 유리전이온도
(℃)
폴딩 평가 광학 특성(%) 기포발생테스트
25℃ 60℃ -20℃ 25℃ 80℃ -20℃ 25℃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실시예 1 1453 232 0.28 0.1 0.06 -42 91.0 0.40 ×
실시예 2 726 1025 0.64 0.084 0.025 -36 91.6 0.42 ×
실시예 3 859 969 0.71 0.08 0.056 -33 91.1 0.42 ×
실시예 4 1016 1312 1.01 0.14 0.081 -32 92.0 0.52 ×
실시예 5 1028 1197 2.56 0.25 0.120 -29 91.9 0.32 ×
비교예 1 1857 792 0.28 0.065 0.038 -36 × 91.2 0.43
비교예 2 310 1250 0.27 0.071 0.041 -34 91.7 0.5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은 폴딩성이 좋고 기포 발생이 없으며 박리강도도 높은 점착층을 구현할 수 있다.
반면에,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은 폴딩성 및 기포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는 상온에서의 박리강도가 낮으며, 기포 발생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층에 대해 UV intensity를 800 mW/cm2로 고정하고, 하기 표 2와 같이 UV 조사량을 변경하면서 점착필름을 제조하고, 상기와 동일 방법으로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단, ①,②에서는 2차 조사된 점착필름 영역에 대해서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UV 조사 모듈러스(MPa)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200mJ/cm2으로 1차 조사 -20℃ 0.12 0.28 0.46 0.78 1.31 0.28 0.18
25℃ 0.047 0.065 0.074 0.11 0.17 0.065 0.061
80℃ 0.025 0.038 0.048 0.069 0.093 0.038 0.04
400mJ/cm2으로 1차 조사 -20℃ 0.15 0.4 0.54 0.82 1.35 0.28 0.22
25℃ 0.066 0.072 0.08 0.13 0.18 0.065 0.062
80℃ 0.039 0.044 0.051 0.074 0.095 0.038 0.039
①200mJ/cm2으로 1차 조사한 후, 일 부분만 600mJ/cm2으로 2차 조사 -20℃ 0.18 0.46 0.64 0.94 2.19 0.28 0.24
25℃ 0.084 0.077 0.078 0.13 0.20 0.065 0.067
80℃ 0.051 0.049 0.059 0.077 0.099 0.038 0.033
②200mJ/cm2으로 1차 조사한 후, 일 부분만 3000mJ/cm2으로 2차 조사 -20℃ 0.28 0.64 0.75 1.02 2.56 0.28 0.27
25℃ 0.1 0.084 0.08 0.14 0.25 0.065 0.071
80℃ 0.06 0.051 0.066 0.081 0.12 0.038 0.041
상기 표 2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에서는 광량을 적절히 조정하므로서 모듈러스를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반면 비교예 1에서와 같이 공중합체 고분자만 있을 경우 모듈러스의 변경이 불가능하며, 비교예 2에서와 같이 공중합체와 단관능 단량체 혼합조성에서는 치밀한 가교 구조 형성이 어려워 높은 모듈러스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3)

  1.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05MPa 내지 5MPa이고, 80℃에서의 모듈러스가 0.01MPa 내지 1MPa인 것인, 점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하기 식 1의 박리강도의 비가 1.1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식 1>
    박리강도의 비 = B/A
    (상기 식 1에서, A는 25℃에서 점착필름의 박리강도, B는 60℃에서 점착필름의 박리강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각각 끓는점이 200℃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각각 비-우레탄계인 것인, 점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페닐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제2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10 내지 20: 2 내지 8: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혼합물인 것인, 점착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터트-부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 (메트)아크릴레이트,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2개 내지 6개 갖는 것인, 점착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점착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인, 점착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에틸렌 글리콜 단위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인, 점착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코로나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25℃에서의 박리강도가 500gf/in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헤이즈가 1% 이하인 것인, 점착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20℃ 및 곡률반경 5mm 이하에서 폴딩 회수가 5만회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17. 유리 전이온도가 -10℃ 이하인 점착필름이고,
    상기 점착필름은 제 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동일 평면 상의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 대비 -20℃에서 모듈러스가 더 크고,
    상기 제1영역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01MPa 내지 1.5MPa이고,
    상기 제2영역은 -20℃에서 모듈러스가 0.1MPa 내지 50MPa인 것인, 점착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20℃에서 모듈러스 차이가 0.05MPa 이상인 것인, 점착필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점착제 조성물에 200mJ/cm2 내지 500mJ/cm2으로 UV 1차 조사하여 형성된 것인, 점착필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UV 1차 조사된 부분 중 일부에 600mJ/cm2 내지 3000mJ/cm2으로 UV 2차 조사하여 형성된 것인, 점착필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22.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 상에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은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광학부재.
  23.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50152191A 2015-10-30 2015-10-30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7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91A KR101871551B1 (ko) 2015-10-30 2015-10-30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5/279,930 US20170121564A1 (en) 2015-10-30 2016-09-29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191A KR101871551B1 (ko) 2015-10-30 2015-10-30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707A true KR20170051707A (ko) 2017-05-12
KR101871551B1 KR101871551B1 (ko) 2018-06-28

Family

ID=5863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191A KR101871551B1 (ko) 2015-10-30 2015-10-30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21564A1 (ko)
KR (1) KR101871551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32A3 (ko) * 2017-08-31 2019-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N110691830A (zh) * 2017-05-22 2020-01-14 三星Sdi株式会社 粘着膜、包含其的光学构件和包含其的光学显示器
WO2020013624A1 (ko) * 2018-07-13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및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08301A (ko) *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제조용 조성물,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CN110959031A (zh) * 2017-08-02 2020-04-03 阪东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片、层叠体以及贴合结构体
KR20200041717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10007168A (ko) * 2019-07-10 2021-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20210018135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03636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이엠앤아이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유기막 조성물
KR20210143058A (ko) * 2020-05-19 2021-11-26 장춘 티안밍쉥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용 점착 시트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
KR20220134043A (ko) * 2016-08-15 2022-10-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WO2023008751A1 (ko) * 2021-07-30 2023-02-02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폴딩 내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708512B2 (en) 2018-02-02 2023-07-25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dhesive film using same,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WO2023229436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249B1 (ko) * 2015-07-16 2018-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932421B2 (ja) * 2016-08-15 2021-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WO2019224240A1 (en) * 2018-05-23 2019-11-28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Biolink GmbH Adhesive composite
KR102604286B1 (ko) * 2018-05-25 202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식 접착 부재에 광이 전달될 수 있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 충진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17975B1 (ko) * 2018-10-10 2021-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403282B1 (ko) * 2018-11-06 2022-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527666B1 (ko) 2018-11-20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
KR20200128260A (ko) * 2019-05-02 2020-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점착 필름 제조 방법
KR20210011552A (ko) 2019-07-22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US20220332989A1 (en) * 2019-12-10 2022-10-20 Lg Chem, Ltd. Multi-region foldable adhesive fil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KR20210075246A (ko) 2019-12-12 2021-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39939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8119678A (zh) * 2021-10-06 2024-05-31 日东电工株式会社 可折叠用光学粘合片
KR20230077781A (ko) * 2021-11-25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부재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표시 장치
JP7220855B1 (ja) 2022-03-31 2023-02-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レス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粘着剤、積層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513A (ko) * 2011-07-25 2014-05-14 헨켈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접착 조성물
KR20140085299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40132573A (ko) * 2013-05-08 2014-11-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88112A (ko) * 2014-01-23 2015-07-31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1888A (en) * 1963-11-14 1966-07-19 Sartomer Resins Inc Cross-linked terpolymer of ethylene propylene and non-conjugated diene exhibiting high temperature resistance to softening, stiffening or embrittlement
CN105378517B (zh) * 2013-06-06 2019-04-05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片部件及使用该光学片部件的图像显示装置
KR102268328B1 (ko) * 2014-10-21 2021-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8513A (ko) * 2011-07-25 2014-05-14 헨켈 차이나 컴퍼니 리미티드 접착 조성물
KR20140085299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40132573A (ko) * 2013-05-08 2014-11-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88112A (ko) * 2014-01-23 2015-07-31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043A (ko) * 2016-08-15 2022-10-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CN110691830B (zh) * 2017-05-22 2022-09-13 三星Sdi株式会社 粘着膜、光学构件、窗膜和光学显示器
US11618837B2 (en) 2017-05-22 2023-04-04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including sam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110691830A (zh) * 2017-05-22 2020-01-14 三星Sdi株式会社 粘着膜、包含其的光学构件和包含其的光学显示器
CN110959031A (zh) * 2017-08-02 2020-04-03 阪东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片、层叠体以及贴合结构体
US11267991B2 (en) 2017-08-02 2022-03-08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parent adhesive optical sheet, laminate and bonded structure
CN110959031B (zh) * 2017-08-02 2022-03-15 阪东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片、层叠体以及贴合结构体
WO2019045332A3 (ko) * 2017-08-31 2019-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TWI675902B (zh) * 2017-08-31 2019-11-01 南韓商三星Sdi股份有限公司 黏著膜、用於其的黏著組成物以及包含其的顯示構件
US11708512B2 (en) 2018-02-02 2023-07-25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dhesive film using same,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WO2020013624A1 (ko) * 2018-07-13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및 무기재 점착 테이프
KR20200008301A (ko) * 2018-07-16 2020-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합체 제조용 조성물,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KR20200041717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10122733A (ko) * 2018-10-12 202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10007168A (ko) * 2019-07-10 2021-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20210018135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03636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이엠앤아이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유기막 조성물
KR20210143058A (ko) * 2020-05-19 2021-11-26 장춘 티안밍쉥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용 점착 시트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
WO2023008751A1 (ko) * 2021-07-30 2023-02-02 에스케이씨하이테크앤마케팅(주) 폴딩 내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29436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551B1 (ko) 2018-06-28
US20170121564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55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1424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170166786A1 (en) Adhesive sheet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US20200407606A1 (en) Optical display comprising an adhesive film
KR101385042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768302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955755B1 (ko)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780542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2999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382457B2 (en)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optical member including the same
KR102253711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TWI741057B (zh) 黏著性組合物、黏著劑、黏著薄片及顯示體
KR20140046366A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2018003301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08182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45137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80096449A (ko)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3207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385040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2352953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0818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385039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20220018344A (ko) 사전변형 전략을 이용한 점착제의 즉각 변형 회복성 부여 방법
KR20200076364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