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366A -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366A
KR20140046366A KR1020130025318A KR20130025318A KR20140046366A KR 20140046366 A KR20140046366 A KR 20140046366A KR 1020130025318 A KR1020130025318 A KR 1020130025318A KR 20130025318 A KR20130025318 A KR 20130025318A KR 20140046366 A KR20140046366 A KR 20140046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monomer
group
weight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437B1 (ko
Inventor
김기용
조익환
김이준
김찬우
한인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310471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725203B/zh
Priority to US14/051,371 priority patent/US10377926B2/en
Priority to TW102136745A priority patent/TWI535817B/zh
Publication of KR2014004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tape or sheet losing adhesive strength when being stretched, e.g. stretch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굴절률이 1.5 내지 1.6인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DISPLAY MEMB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 굴절률을 가져 패턴 시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내구성과 박리강도가 우수하고, 황변 발생이 없는,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드는 상면에 위치하는 윈도우 또는 필름과 광투명 점착필름으로 부착되어 윈도우 또는 필름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특성을 발휘한다. 상기 윈도우로는 유리, PMMA,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 재질의 종류에 따라 환경 변화 시 들뜸, 기포 발생, 휨 발생, ITO 패턴 드러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ITO 대체 물질인 CNT, Ag 나노와이어, 그래핀(graphene) 등의 물질을 사용할 경우,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패턴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Ag 나노와이어, CNT의 경우 터치 모듈 제작 시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터치 패널의 패턴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OCA 필름 제작시 포함되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에서 기존의 용액 중합에서는 모노머가 방향족기를 가질 경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황변 발생이 가능하였고 반응 속도가 느릴 수 있었다.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 박리강도를 가지면서 고굴절률로 패턴 시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점착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09-030043호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20-95중량% 포함하는 아크릴 공중합체(A)와, 에폭시계 열경화성 수지(B)와, 열경화제(C)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굴절률을 높여 패턴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 굴절률을 가져 패턴 시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내구성과 박리강도가 우수하며, 황변 발생이 없는 점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응 속도가 빠른 중합에 의해 제조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점착필름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함유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굴절률이 1.5 내지 1.6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점착제 조성물은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디스플레이 부재는 상기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 굴절률을 가져 패턴 시인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우수한 내구성, 박리강도를 가지며, 황변 발생이 없는 점착 필름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 속도가 빠른 중합에 의해 제조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디스플레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를, "(메타)아크릴계"는 아크릴계, 메타크릴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는 올리고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은 작용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F, Cl, Br 또는 I),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카르복시산기,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3-3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3-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2-3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점착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함유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굴절률이 1.5 이상, 예를 들면 1.5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53이 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유리, PMMA(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윈도우 또는 필름을 터치 패널에 점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OCA 필름으로서, 기존의 OCA 필름보다 고굴절을 가짐으로써 패턴 은폐력이 높아 투명 전극 필름의 패턴이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굴절률은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 10㎛ 내지 2mm의 점착 필름에 대해 ASTM D1218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평균값이 3 미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패턴 시인성 방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율 평균값은 2.8 내지 2.9가 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OCA 필름, 터치패널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이형 필름을 제외한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mm가 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필름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예: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코팅한 후 UV 경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UV 경화는 50mW/cm2 이하, 6분 이하의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소가 차단된 상태에서 경화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50㎛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mm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20중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관능기를 1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Y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1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이고,
*는 분자에 대한 연결기이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관능기 이외에, 알킬기, 수산기, 지환족기, 카르복시산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포함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복시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또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열내습 조건 하에 기포나 들뜸이 생기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3 내지 20의 지환족기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또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열/내구성이 증가되고, 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수산기 포함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알코올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불포화 알코올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산기 포함 모노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수산기 포함 모노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또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10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력 상승효과가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내습 조건에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굴절률이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점착 필름이 고굴절률을 확보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방향족기를 2개 이상, 예를 들면 2 내지 5개 가질 수 있다.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의 모노머, 플루오렌계 모노머, 나프탈렌계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우레탄계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설퍼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에서, Y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1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이고,
R1은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2-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pat00003
(상기에서, Z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1의 아릴알킬기이고,
m은 1-5의 정수이고,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이고,
R1은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다)
상기에서, X1의 -R-(CH2)n-에서 "-(CH2)n-"은 선형 또는 분지형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X1의 -R-(CH2)n-에서 "-R-"은 화학식 1의 "Y1-"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Z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10의 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5의 정수이다)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a의 페녹시 벤질 아크릴레이트, 하기 화학식 2b의 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pat00004
<화학식 2b>
Figure pat00005
플루오렌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3의 모노머, 또는 하기 화학식 4의 모노머로부터 유도된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에서, Y2,Y3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에폭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이고,
R2,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1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10의 알키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헤테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20의 헤테로아릴렌기이고,
X2,X3,X4,X5,X6,X7,X8,X9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1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1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기이고,
Y2,Y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상기에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 탄소수 1-10의 알콕시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5-2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m은 0-4의 정수이고,
n은 1-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4의 모노머에 단관능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갖는 모노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플루오렌계 모노머는 비스페놀-FLA(Bisphenol-FLA), 비스페놀-FL(Bisphenol-FL), 플루오레논(fluorenone), 2,7-디브로모플루오레논(2,7-Dibromofluorenone), 9-플루오렌비스페놀(9-Fluorenbisphenol), 2-요오도-9,9-디메틸플루오렌(2-Iodo-9,9-dimethylfluorene)에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를 에스테르화반응(esterification)하여 중합된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나프탈렌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나프탈렌에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를 에스테르화반응하여 중합한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우레탄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타입의 디이소옥탄에이트(Diisoctanate)에 2가 알코올인 글리콜류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여 우레탄 올리고머를 제조한 후 말단을 아크릴기로 치환한 유도체를 의미할 수 있다.
설퍼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나프탈렌 티올에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를 에스테르화 반응하여 중합된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또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20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굴절률이 상승하고, 신뢰성 시 패턴 시인성이 개선되고, 유전율 저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 포함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인산, 푸마릭산이 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카르복시산기 포함 모노머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또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중 0 초과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력 증가, 내구성 향상 효과, 투명전극필름의 표면 부식 억제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모노머 외에 기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가 부가되어 함께 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닐 몰포린, 아크릴로일 몰포린, 메타아크로일 몰포린 등을 포함하는 불포화 몰폴린, 피롤리도닐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각 모노머 성분에 개시제를 투입한 다음, 부분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25℃ 점도가 1,000 내지 50,000cPs 정도의 점성 액체가 될 때까지 중합한다. 상기 점도 범위에서 코팅이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중합은 UV 조사에 의한 중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bulk 광중합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bulk 광중합 조건에서는 페녹시 벤질기와 같이 방향족기가 2개 이상 갖는 모노머를 중합하기 용이하고, 방향족기가 자외선을 흡수하여 반응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용액 중합에 의한 공중합체보다 균일하고 안정된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용액 중합에서 구현할 수 없는 중량평균분자량 200만g/mol 초과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개시제는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점착 필름 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활성화시켜 라디칼 반응이 발생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예로는 알파-하이드록시 케톤 타입 화합물,벤질케탈 타입 화합물이나 이들의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하이드록시 케톤 타입화합물로 1-하이드록시-싸이클로헥실-페닐-케톤, 2-하이드록시 2-메틸-1-페닐-1-프로파논,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칠-1-프로파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개시제는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개시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용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3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1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빛샘과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점착력이 우수하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5℃ 점도가 1,000 내지 50,000cPs,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0cPs가 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만g/mol 초과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점착 필름 제조시 고온, 고습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 후에도 내구성을 가질 수 있고, 점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10만 내지 500만g/mol, 더 바람직하게는 210만 내지 300만g/mol이 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코팅 공정시 별도의 용매에 용해시키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는다. 즉, 무용제로 적용하므로 공정이 간편하고 코팅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10㎛ 내지 2mm의 두꺼운 두께의 점착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제
개시제에 대한 상세 내용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개시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용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3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1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빛샘과 우수한 내구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
가교제로는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가 가능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를 2-20개 갖는 다가알코올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통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멜라민계, 아민계, 이미드계, 카르보디이미드계, 아미드계 가교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란 커플링제(실란계 화합물),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수지(폴리올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다이엔 수지 등),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첨가제(예:실란 커플링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3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25℃ 점도가 1,000-50,000cPs가 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필름, 투명 전극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필름의 점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점착제 조성물은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상세 내용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은 C1-C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포함 모노머 및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메타)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제조하고; 상기 (메타)아크릴계 올리고머에 개시제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UV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용매를 포함하지 않으며, 25℃ 점도가 1,000 내지 50,000cPs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디스플레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재는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상기 점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터치패널, 윈도우, 편광판, 칼라필터, 위상차 필름, 타원 편광필름, 반사필름, 반사방지 필름, 보상필름, 휘도 향상필름, 배향막, 광확산 필름, 유리비산 방지 필름, 표면 보호필름, 플라스틱 LCD 기판,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ated tin oxide), AZO(aluminum dopped zinc oxide), CNT(carbon nanotube), Ag 나노와이어(nanowire), 그래핀(graphene) 등의 투명 전극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드에 상기 점착 필름을 이용하여 윈도우나 광학필름에 부착하여 터치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종래와 같이 통상의 편광필름에 점착 필름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디스플레이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부재(100)는 광학필름(110); 상기 광학필름(110)의 상부에 형성된 점착필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50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5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9중량부, 아크릴산(AA) 1중량부,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TM 651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시바 재팬 케이.케이.에서 제조) 0.04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한 후 수분 동안 저압 램프(Sylvania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혼합물을 부분 중합시켜 약 15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에 실란계 화합물로 에폭시 실란(KBM-403:신에쯔제) 0.1중량부 및 부가적 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TM 651 0.3중량부, 가교제로 HDDA(1,6-헥산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0.3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성된 점착제 조성물을 50㎛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형 필름) 상에 코팅하여 175㎛의 두께로 이형 처리를 수행하였다. 중압에 악영향을 미치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이형 필름을 커버한 후, 이형필름 양면에 약 6분 동안 저압 램프(Sylvania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명 점착 필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대신에 2-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3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45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1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20중량부,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TM 651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시바 재팬 케이.케이.에서 제조) 0.04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에 부가적 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651TM 0.3중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성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점착 필름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대신에 2-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대신에 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대신에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에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68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7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25중량부,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67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7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25중량부, 아크릴산(AA) 1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열중합 개시제로서 AIBN (Azobisisobutyronitrile) 을 사용하여 열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ulk 중합으로 제조하였다.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한 후 수분 동안 70℃ 온도하에서 Bulk 중합을 실시하여 상기 혼합물을 부분 중합시켜 약 25000 cP의 점도를 가지는 점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56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6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20중량부, 아크릴산(AA) 1중량부,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17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제조한 점착필름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고 표 1에 나타내었다.
(1)굴절률: ASTM D1218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형 PET 필름 위에 200㎛ 두께가 되도록 코팅하고 총 광량을 3000mJ/cm2으로 경화시킨 후 굴절율을 ABBE5(Bellingham/stanley Ltd) 기기로 측정하였다.
(2)내구성: PC필름/ITO 필름/Glass 및 PET필름을 접합시킨 후에, 60℃/90% 상대습도 조건에서 500 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피착면에서의 들뜸이나 박리 또는 기포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좋음(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양호(기포나 박리현상 다소 있음)
×: 나쁨(기포나 박리현상 다량 발생)
(3) 유전율 평균값 : 점착 필름(가로 x 세로 x 두께=4cm x 6cm x 1mm)에 대해 agilent 사 E5515E 8960 을 이용하여 주파수 1.0 x 103Hz부터 1.0 x 106Hz까지의 범위에서 주파수를 높이면서 유전율을 측정한다. 유전율 평균값을 하기 식 1에 따라 측정한다.
식 1) 유전율 평균값(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X1 : 제1 주파수에서의 유전율 측정값
X2 : 제2 주파수에서의 유전율 측정값
Xn -1 : 제n-1 주파수에서 유전율 측정값
Xn : 제n 주파수에서 유전율 측정값
n은 2-100의 정수이고,
단, 제n-1 주파수<제n 주파수이다)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비교예 5
아크릴계
공중합체
EHA 50 50 45 45 50 50 68 67 56
IBOA 5 5 10 10 5 5 7 7 6
HEA 19 19 20 20 19 19 25 25 20
AA 1 1 - - 1 1 - 1 1
페녹시벤질아크릴레이트 25 - 25 - - - - - 17
2-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 25 - 25 - - - - -
벤질아크릴레이트 - - - - 25 - - - -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 - - - - 25 - - -
개시제 0.3 0.3 0.3 0.3 0.3 0.3 0.3 0.3 0.3
가교제 0.3 0.3 - - 0.3 0.3 0.3 0.3 0.3
에폭시 실란 0.1 0.1 - - 0.1 0.1 - - 0.1
제조 방식 UV 경화 UV 경화 UV경화 UV경화 UV 경화 UV 경화 UV 경화 열경화 UV 경화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g/mol) 300만 260만 300만 250만 250만 200만 400만 50만 300만
공중합체 유리전이온도(℃) -31 -22 -28 -18 -28 -30 -41 -38 -34
공중합체 점도
(25℃, cPs)
15,000 2,500 13,000 2,300 14,000 15,000 3,000 25,000 13,000
굴절률 1.51 1.53 1.51 1.53 1.49 1.48 1.47 1.47 1.48
내구성 × × ×
유전율 평균값 2.9 2.9 2.8 2.9 3.0 3.0 4.1 4.3 3.4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은 굴절률이 높아 패턴 은폐력이 높고,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전율도 낮았다.
반면에,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 대신에 방향족기를 1개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 제조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1-2의 점착 필름은 본 발명에 비해 굴절률이 낮아 패턴 은폐력이 낮고, 유전율이 높았다.
또한,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 혼합물로 제조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3-4의 점착 필름은 경화 방식과 무관하게 본 발명에 비해 굴절률이 낮아 패턴 은폐력이 낮고, 내구성이 좋지 않으며, 유전율이 높았다.
또한,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2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 제조된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5의 점착 필름은 본 발명에 비해 굴절률이 낮아 패턴 은폐력이 낮고, 유전율이 높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3)

  1.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함유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굴절률이 1.5 내지 1.6인 점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의 모노머, 플루오렌계 모노머, 나프탈렌계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우레탄계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설퍼계 모노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화학식 2>
    Figure pat00010

    (상기에서, Y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1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이고,
    R1은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관능기를 10wt% 이상으로 포함하는 점착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에서, Y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1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이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페녹시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C1-C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50중량%,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 1-30중량%, 수산기 포함 모노머 10-30중량% 및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 20-50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모노머 0.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점착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25℃ 점도가 1,000-50,000cPs인 점착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만g/mol 초과인 점착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개시제,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평균값이 3 미만인 점착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두께가 10㎛ 내지 2mm인 점착 필름.
  15.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를 20중량% 이상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의 모노머, 플루오렌계 모노머, 나프탈렌계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우레탄계 모노머,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설퍼계 모노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2

    (상기에서, Y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녹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21의 아릴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X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R-(CH2)n-(상기에서, R은 O, S, NH 또는 NR'(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n은 1-10의 정수이다)이고,
    R1은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이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는 페녹시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C1-C20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10-50중량%, 지환족 포함 (메타)아크릴레이트 1-30중량%, 수산기 포함 모노머 10-30중량% 및 2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갖는 모노머 20-50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카르복시산기를 갖는 모노머 0.1-10중량%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교제, 에폭시계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1.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고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 필름인 디스플레이 부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ated tin oxide), AZO(aluminum dopped zinc oxide), CNT(carbon nanotube), Ag 나노와이어(nanowire), 그래핀(graphene) 중 1종 이상이 적층되어 있는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20130025318A 2012-10-10 2013-03-08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62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471334.2A CN103725203B (zh) 2012-10-10 2013-10-10 粘结剂膜、用于它的粘结剂组合物和包含它的显示部件
US14/051,371 US10377926B2 (en) 2012-10-10 2013-10-10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TW102136745A TWI535817B (zh) 2012-10-10 2013-10-11 黏結劑膜、用於其的黏結劑組合物和包含其的顯示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2684 2012-10-10
KR1020120112684 2012-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366A true KR20140046366A (ko) 2014-04-18
KR101628437B1 KR101628437B1 (ko) 2016-06-08

Family

ID=5065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318A KR101628437B1 (ko) 2012-10-10 2013-03-08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8437B1 (ko)
TW (1) TWI53581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199A (ko) 2014-10-16 2016-04-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고굴절률 점착필름
US9870108B2 (en) 2015-02-05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relatively movable display panel and touch panel
WO2020022804A1 (ko) * 2018-07-25 2020-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KR102229883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220031268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케이씨텍 고굴절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WO2022092749A1 (ko) * 2020-11-02 2022-05-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30099891A (ko) 2021-12-28 2023-07-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시트 및 이를 적용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423A1 (ko) 2014-11-01 2016-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704865A (zh) 2014-11-01 2020-09-25 三星Sdi株式会社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KR101814247B1 (ko) 2015-06-30 2018-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814249B1 (ko) 2015-07-16 2018-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0676654B2 (en) 2016-04-22 2020-06-09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20230127527A (ko) * 2022-02-25 2023-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286A (ko) * 1998-12-21 2000-07-25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광경화성 수지조성물 및 광학부품
KR20100018414A (ko) * 2008-08-06 2010-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JP2012021148A (ja) * 2010-06-16 2012-02-0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
KR20120105557A (ko) * 2010-01-07 2012-09-25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8286A (ko) * 1998-12-21 2000-07-25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광경화성 수지조성물 및 광학부품
KR20100018414A (ko) * 2008-08-06 2010-02-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KR20120105557A (ko) * 2010-01-07 2012-09-25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2021148A (ja) * 2010-06-16 2012-02-0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199A (ko) 2014-10-16 2016-04-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고굴절률 점착필름
US9870108B2 (en) 2015-02-05 2018-0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relatively movable display panel and touch panel
WO2020022804A1 (ko) * 2018-07-25 2020-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KR20200011901A (ko) * 2018-07-25 2020-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조성물
EP3805333A4 (en) * 2018-07-25 2021-07-28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KR102229883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220031268A (ko) *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케이씨텍 고굴절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WO2022092749A1 (ko) * 2020-11-02 2022-05-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20059370A (ko) * 2020-11-02 2022-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30099891A (ko) 2021-12-28 2023-07-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시트 및 이를 적용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20715A (zh) 2014-06-01
KR101628437B1 (ko) 2016-06-08
TWI535817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437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US10377926B2 (en)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KR101871551B1 (ko)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385042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66060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628435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758420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200354612A1 (en)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comprising the same
KR101716543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9382457B2 (en)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optical member including the same
US9469528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including the same, method of preparing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using the same
KR10138503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2253711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20170111621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385040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2352953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117866A (ko)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693074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6366A (ko)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표시장치
KR101385039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JP2024510228A (ja) 粘着剤組成物、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粘着シート、光学部材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