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516A -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516A
KR20170022516A KR1020150117608A KR20150117608A KR20170022516A KR 20170022516 A KR20170022516 A KR 20170022516A KR 1020150117608 A KR1020150117608 A KR 1020150117608A KR 20150117608 A KR20150117608 A KR 20150117608A KR 20170022516 A KR20170022516 A KR 2017002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 sauce
strain
accession
acid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찬
김광남
설보민
Original Assignee
박영찬
설보민
김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찬, 설보민, 김광남 filed Critical 박영찬
Priority to KR102015011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516A/ko
Publication of KR2017002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염수 및 콩 원료가 함유된 액상배지에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배양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한 여과액을 침전하여 간장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메주의 제조과정을 생략하고 염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생육하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신규의 종균으로 간장을 발효하여 간장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의 종균으로 발효된 간장은 맛, 향미, 및 성분 면에서 한국의 전통 간장과 매우 유사하거나, 우위의 풍미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Seed culture for soybean sauce and preparation method of soybean sau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주는 전통적인 한국의 콩의 누룩이다. 메주는 식종을 위한 특정한 미생물에 의존하지 않고 자연발효에 의해 제조된다. 콩의 누룩의 발효를 위한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건조 볏짚, 제조자의 손, 기구, 발효실, 및 주위 공기로부터 비롯되며, 메주 성분은 주된 미생물 종과 시간, 장소, 제조자, 기구에 따라 우발적으로 변하는 미생물 다양성 때문에 환경조건에 따라 잘 변한다.
메주를 제조하기 위해선 찐 콩을 으깨서 성형하여 놓아두어 공기 중에 있는 여러 미생물이 부착하여 증식되도록 하여, 이들 미생물이 분비하는 여러 효소들에 의하여 메주 원료인 콩이 분해되는 발효숙성 과정을 거쳐야한다. 메주 표면에 증식하는 리조푸스속(Rhizopus속),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속), 뮤코속(Mucor속) 등 αw 0.75 내외를 선호하는 호기성 곰팡이가 분비하는 전분질 분해효소(amylase),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 지방분해효소(lipase) 등에 의하여 콩이 분해되고, 메주 내부에서는 αw 0.9 내외를 선호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퓨밀러스(B. pumilus) 등이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효소, 전분질 분해효소, 지방분해효소 등이 분해에 관여한다.
한편, 간장은 한국에서 6 달 내지 1 년 동안 소금물에 메주 담금에 의해 제조된다. 찐 대두의 단백질, 탄화수소, 및 지질과 같은 일부 유기화합물들은 발효메주에서 자란 미생물의 세포 외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가용성 유기화합물로 전환된 아미노산, 그밖에 저급화 분해산물이 가용성화 되어 소금물에 의해 화학적, 물리적으로 용출되고, 내염성세균, 효모 등에 의해서 풍미물질이 생성되면서 숙성된 것이다. 그러나 고염분 상태 하에 생성된 삼투압에 의해 미생물 활성이 멈출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들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간장의 질은 오직 발효 메주 내의 미생물 활성에 의해 생성된 가용성 유기화합물의 종류와 특성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종래 전통간장용 메주를 만드는 방법은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물에 담근 콩을 삶고, 절구에 찧어 성형을 한 후, 2 내지 3 일 동안 겉말림을 한 후, 4 주 동안 짚을 포개어 씌워 재운 후, 햇볕에 말리고, 다시 2 개월 동안 재우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종래메주의 제조공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전통간장의 제조는 복잡하고, 오랜 기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간장의 단기 제조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 전통간장은 암모니아 성분과 불필요한 잡균의 과다 발생으로 인해 불쾌한 냄새를 풍긴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99276호에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단기숙성 간장,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0770호에 불쾌취가 제거된 재래식 간장 및 분말간장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발효간장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1399276호 국내 등록특허 제 10-209077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장발효를 위한 신규의 균주로서, 염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잘 생육하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신규의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주의 제조과정 없이, 상기 간장발효를 위한 신규의 균주의 배양에 의해 직접 제조된 간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규의 균주로 발효된 간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염성이 있으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염성이 있으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간장 발효 종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식품은 간장일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은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류신, 류신, 타이로신, 페닐알라딘, 히스티딘, 라이신, 및 아르기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은 유기 질소화합물 및 암모늄, 또는 두 가지 모두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은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및 칼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은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락트산, 아세트산, 및 피롤리돈카복실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콩 원료에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염수 및 콩 원료가 함유된 액상배지에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배양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한 여과액을 침전하여 간장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염수의 염도는 10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액상배지는 콩 원료 대 소금 대 물의 중량비가 0.13-0.20 : 0.10-0.18 : 1일 수 있다.
상기 종균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일 수 있다.
상기 배양은 2 내지 3 달 동안, 30 내지 4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단계 이전에 상기 (a)단계의 배양물을 55 내지 65 분 동안, 65 내지 75 ℃에서 살균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을 통해 종래의 메주의 제조과정을 생략하고, 염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생육하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신규의 종균으로 간장을 발효하여, 간장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의 종균으로 발효된 간장은 맛, 향미, 및 성분 면에서 한국의 전통 간장과 매우 유사하거나, 우위의 풍미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200g/L 탈지대두박을 함유한 18% 천일염 용액에서의 오셔노 바실러스 김치 균주와 바실러스 퓨밀러스 균주의 대두 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200g/L 탈지대두박을 함유한 18% 천일염 용액에서의 (A)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B) 바실러스 퓨밀러스, 및 (AB) 오셔노바실러스 김치와 바실러스 퓨밀러스의 혼합물의 액침배양에 의한 탈지대두박의 발효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A)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B) 바실러스 퓨밀러스, 및 (C) 오셔노바실러스 김치와 바실러스 퓨밀러스의 혼합물의 탈지대두박 액침배양으로부터 생성된 간장의 사진이다. (D), (E), 및 (F)는 발효 대두박으로부터 간장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내염성이 있으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에 관한 것이고, 또한 내염성이 있으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장 발효용 균주 중 첫 번째 균주는 동정 결과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에 속했으며, 이를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서열번호 1)으로 명명하고, 2015년 1월 28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를 KFCC11607P로 부여받았다. 또한, 두 번째 균주는 동정 결과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에 속했으며, 이를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서열번호2)로 명명하고, 2015년 1월 28일자로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번호를 KFCC11608P로 부여받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간장 발효용 종균에 관한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간장 발효용 균주는, 제조되는 발효간장의 맛, 향미, 및 성분 면에서 한국의 전통 간장과 매우 유사하거나, 우위의 풍미를 나타낼 수 있고, 종래에 메주의 제조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균주로 간장을 발효하여, 간장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식품은 간장, 고추장, 된장, 청국장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식품은 간장이다.
상기 발효식품은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류신, 류신, 타이로신, 페닐알라딘, 히스티딘, 라이신, 및 아르기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발효식품은 유기 질소화합물 및 암모늄, 또는 두 가지 모두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및 칼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락트산, 아세트산, 및 피롤리돈카복실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을 함유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전통간장, 및 양조간장에 함유된 성분들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간장발효 종균으로 발효된 발효식품 또한 15 가지 유리아미노산, 4 가지 무기물, 및 4 가지 유기산이 검출되어, 상기의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을 실험예 2 내지 5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두 균주의 혼합 균주의 혼합배양액에 의해 제조된 간장 내의 유리아미노산과 총 가용성 질소 화합물, 구연산, 젖산 성분은 한 가지 균주에 의해 제조된 것보다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통간장이 메주의 제조과정 없이, 탈지대두박으로부터 직접 제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은 콩 원료에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간장 발효용 종균을 접종하는 발효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a) 염수 및 콩 원료가 함유된 액상배지에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배양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한 여과액을 침전하여 간장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수의 염도는 10 내지 18%일 수 있다.
보편적으로 일반 종속영양세균은 염도가 3% 이상이면 생장이 크게 저해되고, 5% 이상이면 생장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전통간장의 경우 고체배지의, 염분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종균을 배양한 다음에, 소금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간장의 염도를 맞춰주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10 내지 18%의 높은 염도에서도 내염성이 있고, 단백분해활성을 갖는 종균을 이용함으로써, 콩 원료, 종균, 및 소금물을 한 번에 혼합하고, 방치하는 방식의 편리한 단기숙성 발효간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8% 이하의 염도에서도 종균을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할 수 있으나, 3% 이하의 낮은 염도에서는 잡균이 발생하여, 부패 및 불쾌취를 유발할 수 있으며, 간장의 염도를 맞춰주기 위해 따로 소금을 추가 첨가해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 소금물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액상배지는 콩 원료 대 소금 대 물의 중량비가 0.13-0.20 : 0.10-0.18 : 1이 되도록 혼합한 액상배지일 수 있다.
보편적으로 된장에서 생존하는 세균은 내염성이지만 단백질을 분해하여 생장하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고체평판배지에서 생장하지 못하며, 액상배지에는 초기 종균의 빠른 생장을 위해 효모추출물 0.1%가 추가될 수도 있으며, 효모추출물이 필수요소는 아니다.
또한 소금의 중량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잡균이 발생하여 부패 및 불쾌취를 유발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발효균의 생장이 제한되어 발효의 효율이 낮아지거나, 발효가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탈지대두박의 중량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식품에서 나타나는 성분의 감소가 나타나거나, 풍미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한지 초과인 경우에는 고농도의 탈지대두박에 대한 효소의 단백질 분해활성이 부분적으로 일어날 수 있어, 간장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종균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을 통해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균주,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균주가 지니고 있는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균주는 18% 염분 조건에서 콩 단백질을 가용성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배양은 2 내지 3 달 동안, 30 내지 4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액침배양의 온도는 상기 온도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상기 온도에서 골고루 접종하여 균체가 균일하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a) 단계의 배양물을 55 내지 60 분 동안, 65 내지 75 ℃에서, 바람직하게는 60 분 동안 70 ℃에서 살균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배양물을 살균하지 않는 경우에는 종균이 지속적으로 생장하여 간장이 탁해지거나 영양성분이 변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한랭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랭사(cheese cloth)는 매우 얇게 짜진 사와 비슷한 느낌이 있는 평직의 면직물로서, 원래 얇은 마직물로 되어 있었는데, 그 감촉을 흉내 내어 촉감이 약간 질긴 면직물이 만들어졌으며 이후 목면의 것이 늘어나게 된 것임을 나타낸다. 여과에 사용되는 여과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액침배양(submerged culture)'이란 호기성의 미생물을 액 중에 생육시키기 위해 배양액에 통기 또는 통기 교반하면서 하는 배양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효조 바닥으로부터 배양액 중에 높은 압력으로 주입된 공기를 교반기에 의해서 미립화하여 산소용해를 촉진하며, 배양액 중에서 미생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액내배양 또는 심부배양 또는 통기교반 발효법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제조예 1-1: 내염성 및 단백질 분해활성이 우수한 균주의 분리
간장의 직접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스크리닝(screening)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1. 식품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2. 고농도의 염도에 대한 내염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3. 고농도의 염도에서 대두단백질을 분해하는 세포외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해야 한다.
4. 섭씨 30 ℃ 내외의 온도에서 최적 생장하는 생리특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의 조건 1 내지 4를 충족하는 식품유래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서, 약 1 년 동안 68 종류의 재래식 된장을 수집하였으며, 180 g/L의 천일염을 포함하는 대두박 분말 고체평판배지를 제조하여 상기 재래식 된장에서 균을 스크리닝 하였다.
스크리닝 시행 결과, 4 종류의 세균 집락(colony)이 생성되었고, 이 중 2 종류가 상기 조건 1 내지 4를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조예 1-2: 선별 균주의 동정
분리된 2 종류의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서열번호 1)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서열번호 2)로 최종 동정하였다.
제조예 2
된장으로부터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를 분리하여 두 가지 종균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종균으로 발효된 간장 제조
제조예 2의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을 탈지대두박 200 g 및 천일염 180 g을 함유한 1L 용액에 첨가하여 접종하였다. 초기 약 15 일 동안은 RPM 60으로 교반배양하였고, 이후 90일 동안 30 ℃에서 액침정치배양한 후, 배양물은 60 분 동안, 70 ℃에서 살균하였고, 한랭사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여과액은 마이크로 입자가 침전 될 때까지 자연침전하여 수득한 상청액인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바실러스 퓨밀러스 종균으로 발효된 간장 제조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를 사용하는 대신 제조예 2의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종균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종균의 혼합물로 발효된 간장 제조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를 사용하는 대신 제조예 2의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및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간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통간장
종래의 자연발효된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통간장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양조간장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양조간장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단백질 분해활성 확인
상기 제조예 1-1의 조건 3을 만족하는 균주의 단백질 분해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탈지대두 분말 박 플레이크(굵은 입자) 200 g/L, 및 천일염 180 g/L로 구성된 액상배지를 이용하여 5일 간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균주와 바실러스 퓨밀러스 균주를 배양하고, 그 배양액을 백금루프를 이용하여 탈지대두박 분말(고운 입자) 3 g/L, 천일염 160 g/L, 및 한천 20g/L로 구성된 한천평판배지(두께 5 mm, 직경 90 mm)에 스트리킹하여 35 ℃에서, 5 일간 배양하였다. 이는 도1을 통해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균주,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 균주가 지니고 있는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균주는 18% 염분 조건에서 콩 단백질을 가용성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통해 종균배양 동안의 탈지대두박의 발효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간장 제조방법에 따라서, 오셔노바실러스 김치 균주, 바실러스 퓨밀러스 균주, 및 두 균주의 혼합균주의 탈지대두박의 배양으로부터 제조된 간장 및 간장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확인할 수 있다.
고체배지 상에서 생장하는 세균은 생장을 위해 세포외 단백분해효소를 분비하고, 불용성의 탈지대두단백질을 분해하여 수용성의 아미노산이나 펩티드로 전환하기 때문에 고체배지는 반투명하게 된다. 또한 탈지대두박 분말을 사용한 이유는 한천배지에 고르게 분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소에 의한 분해효율도 증가한다. 3 g/L의 낮은 농도를 사용한 이유는 고농도를 적용하면 효소에 의한 분해활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투명해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이고, 투명해지지 않고 반투명해지는 이유는 탈지대두박 분말에 단백질 외에도 불용성의 탄수화물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유리아미노산 함량 측정
식품분석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에 기초하여 간장의 유리아미노산(Free amino acids, AAs)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간장은 구연산나트륨 완충용액으로 20 배 희석하였고, 0.45μm 필터(Sartorius, GmbH, Gottingen, German)를 통해 여과하여 유리아미노산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S433 암모니아 자동분석기(Sykam)가 내장된 암모니아 여과 칼럼(LCA, k04/Na, 4.6 × 100mm, Sykam, GmbH, Eresing, Germany)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완충용액은 Sykam으로부터 구매한 가수분해물 프로그램에 의한 유리아미노산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간장의 종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아스파르트산 0.11±0.002 0.12±0.001 0.12±0.002 0.05±0.002
트레오닌 0.12±0.003 0.11±0.002 0.12±0.002 0.02±0.001
세린 0.08±0.002 0.08±0.003 0.09±0.002 0.03±0.001
글루탐산 0.27±0.01 0.25±0.009 0.28±0.01 0.35±0.01
프롤린 0.08±0.003 0.08±0.002 0.08±0.002 0.08±0.003
글리신 0.07±0.001 0.06±0.002 0.07±0.001 0.02±0.001
알라닌 0.17±0.001 0.16±0.001 0.17±0.003 0.09±0.004
시스테인 0.00 0.00 0.00 0.00
바린 0.12±0.002 0.11±0.002 0.12±0.003 0.09±0.003
메티오닌 0.00 0.00 0.00 0.00
이소류신 0.11±0.002 0.11±0.003 0.12±0.003 0.04±0.001
류신 0.18±0.003 0.19±0.002 0.19±0.002 0.08±0.003
타이로신 0.08±0.001 0.09±0.002 0.08±0.002 0.03±0.001
페닐알라딘 0.14±0.002 0.13±0.003. 0.15±0.003 0.06±0.002
히스티딘 0.19±0.002 0.18±0.002 0.19±0.003 0.10±0.002
라이신 0.08±0.001 0.07±0.002 0.08±0.002 0.05±0.001
아르기닌 0.06±0.002 0.06±0.002 0.06±0.001 0.00
총계 1.86±0.028 1.78±0.039 1.92±0.033 1.09±0.034
상기 표 1을 통해 볼 수 있듯이, 전통간장인 비교예 1에서 검출된 15 가지 유리아미노산이,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1 내지 3에서도 검출됨을 확인하였으며, 두 균주의 혼합배양액에 의해 제조된 간장 내의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한 가지 균주에 의해 제조된 간장보다 약간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간장인 비교예 1보다도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1 내지 3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구수한 맛을 내는 아스파르트산과 단맛을 내는 세린과 알라닌이 전통간장보다 본 발명의 발효간장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 전통간장에 비해 구수하고, 단맛을 내어 풍미가 좋은 발효간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유기질소화합물 및 암모늉 함량 측정
간장에 함유된 유기 질소 화합물은 기본적으로 가용성이며, 마이크로케달법(micro-Kjeldahl method)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기질소(유리아미노산과 펩타이드)는 질소-단백질 환산계수(6.25)에 의해 측정되었다. 암모늄은 양이온 칼럼(IonPac, Dionex CS12A)이 내장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Dionex DX-50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메탄술폰산(20 mM 100%)은 이동상으로 사용하였다. 칼럼의 온도 및 유속은 35 ℃및 0.8 ml/분으로 조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유기질소화합물 및 암모늄의 함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질소영양소(mg/L) 간장의 종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유기질소화합물 19,560±124 18,480±118 20,094±104 12,937±145
암모늄 12±0.32 11±0.36 13±5.16 34.5±0.48
상기 표 2를 통해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1 내지 3이 전통간장인 비교예 1보다 유기질소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암모늄 함량은 전통간장이 본 발명의 발효간장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였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단백질 분해과정에서 탈아미노화(deamination)에 의해 생성되며, 암모니아성 질소가 식품에 과량 축적되면 부패취로 작용하므로 일반적으로 장류 제품의 변채 또는 이상발효의 지표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암모늄 함량이 전통간장에 비해 현저히 적은 본 발명의 발효간장은 불쾌취가 비교적 적어, 소비자들에게 향미가 좋은 발효간장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4: 무기물 및 중금속 함량 측정
간장에 함유된 무기물의 함량은 ICPOE(inductively-coupled plasma optic emission) 분광기(SPECTRO Analytical Instrument, Kleve, German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은 0.45 μm 멤브레인 필터(Satorius)를 통해 여과하였고, 이중 증류수로 20 배 희석하였다. 희석된 여과용액은 마그네슘(279.553 nm), 나트륨(589.592 nm), 칼륨(766.491 nm), 칼슘(396.847 nm), 망간(257.61 nm), 아연(213.856 nm), 및 구리(324.745 nm)의 특정한 파장 하에 ICPOE 주입기에 주입하였다.
무기물의 농도는 표준물질(AccuTraceTM Reference Standard, AccuStandard, NewHaven, CT, USA)을 사용하여 얻은 흡광도와 희석률을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무기물 및 중금속의 함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무기화합물(mg/kg) 간장의 종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Mg 3,987±101 4,123±112 3,992±98 4,552±88
Ca 771±13 707±28 693±16 689±32
Na 17,210±126 16,333±162 16,093±148 16,186±132
K 7,006±184 6,889±202 6,915±189 6,426±178
Zn 0.02> 0.02> 0.02> 0.02>
Cu 0.01> 0.01> 0.01> 0.01>
Mn 0.01> 0.01> 0.01> 0.01>
Pb, As 0.05> 0.05> 0.05> 0.05>
상기 표 3을 통해 볼 수 있듯이, 전통간장이 본 발명의 발효간장에 비해 Mg의 함량이 높으나, Ca, Na, K의 함량은 본 발명의 발효간장에서 더 높게 나타나, 무기물 함량이 향상된 발효간장을 제공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모두에서 중금속인 Pb, As, Cu, Zn, 및 Mn 함량은 모두 기준치 이하로 미량 검출되었다.
실험예 5: 유기산 함량 측정
간장에 함유된 유기산의 함량은 이온배제 칼럼(Shodex, Rspak KC-811, Showa Denko, Tokyo, Japan) 및 시차굴절 검출기(Shodex, RI-101)가 내장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Beckman, Coulter System Gold, Brea, C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칼럼과 검출기는 40 ℃로 조정하였다. 이동상은 과염소산(6mM)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0.8 ml/분으로 조정하였다. 샘플은 12,000 × g의 힘으로 30 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제조하였고, 0.45 μm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으며, 그 다음 이온 교환 칼럼(Amberlite IR120, Rohm and Haas, Philadelphia, PA, USA)에서 탈염하였다. 그 다음, 여과 및 탈염된 샘플 30 μl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였다. 유기산 농도는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생성된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넓이를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유기산의 함량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유기산(mg/kg) 간장의 종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비교예1
시트르산 7,469±218 7,237±202 7,469±196 2,235±89
말산 0 0 0 3,434±102
숙신산 0 0 0 989±57
젖산 1,508±31 1,532±57 1,621±43 288±13
아세트산 1,008±27 1,152±19 1,177±23 658±19
피불리돈카복실산 1,008±43 1,086±34 1,046±43 137±9
상기 표 4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전통간장에 비해 본 발명의 발효간장에서 검출된 유기산 성분의 함량이 모두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발효간장에서는 말산과 숙신산이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발효과정에서 작용한 세균의 종류가 단순하고 종균으로 사용한 세균이 말산과 숙신산을 발효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실험예 6: 관능 검사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간장들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남녀 구분없이 대학교 3, 4 학년의 학생(21~25 세) 15 명에게 다섯 가지 간장의 특성을 알려주지 않고 냄새와 맛을 비교하게 하였다.
향은 하루 전에 하루 전에 50 mL 코니칼 튜브에 10 mL씩 담아 실온에 놓아둔 간장 시료의 뚜껑을 개방한 후 10 초 내에, 약 20 cm의 거리에서 감지하게 하였으며 시료 간의 검사 시간은 5 분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향은 불쾌한 향과 달콤한 향으로 구분하였다 (불쾌한 향= 지린 내, 달콤한 향= 카라멜 또는 유사한 냄새).
맛은 10 배 희석한 간장 0.1 mL을 대상 학생의 혀의 상부 중앙에 떨어뜨린 후 감지하게 하였으며, 시료 간의 검사 시간은 식수로 입을 헹구는 시간을 포함하여 10 분 간격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맛은 쓴맛, 고소한 맛, 담백한 맛으로 구분하였다 (쓴맛=떫고 불편한 맛, 고소한 맛=콩 고유의 풍미가 느껴지는 맛, 달콤한 맛).
또한, 1점 매우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매우 좋음으로 나타나는 5점 기호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간장의 투명도와 색 등은 제조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기 때문에 관능검사에 포함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관능검사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불쾌한 향 1.9±0.08 1.8±0.08 1.7±0.06 4.2±0.16 1.8±0.03
달콤한 향 4.2±0.06 4.3±0.11 4.8±0.09 2.4±0.08 4.5±0.12

쓴맛 1.6±0.03 1.4±0.03 1.6±0.04 1.5±0.03 2.1±0.07
고소한 맛 3.9±0.05 4.0±0.05 4.1±0.06 2.3±0.07 4.0±0.14
달콤한 맛 3.8±0.11 3.8±0.09 3.9±0.09 1.3±0.04 3.7±0.08
종합적인 기호도 3.9±0.07 4.1±0.07 4.3±0.08 1.9±0.04 4.0±0.06
표 5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1 내지 3은 전통적인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간장인 비교예 1에 비하면 향에 의한 불쾌감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조간장인 비교예 2와는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달콤한 향은 불쾌한 향과 대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간장 실시예 1 내지 3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3에서 불쾌한향은 가장 적고, 달콤한 향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쓴맛은 양조간장인 비교예 2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고소한 맛 및 달콤한 맛은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3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1 내지 3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전통간장인 비교예 1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본 발명의 발효간장인 실시예 3이 소비자들의 기호에 가장 맞는다는 결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2가 그 다음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메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무작위로 생산되는 대사산물에 의한 영향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발효간장은 두 종류의 내염성 바실러스가 대두박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생산한 아미노산과 호흡대사산물(주로 이산화탄소, 질산염)을 포함하기 때문에 향과 맛에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을 제한적으로 함유할 것이다.
따라서 메주의 제조과정 없이 직접 발효과정을 적용하여 생산한 간장은 양조간장에 맛과 향이 단순하지만 불필요한 미생물의 대사산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재래식 전통간장을 대체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607P 20150128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608P 20150128
<110> PARK, Doo Hyun KIM, kwang Nam SEOL, Bo Min <120> Seed culture for soybean sauce and preparation method of soybean sauce using the same <130> HPC6154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262 <212> DNA <213> Oceanobacillus kimchii <400> 1 ctacaagggg gctccagcct aatacatgca agtcgagcgc aggaagttat ctgatcctct 60 tttagaggtg acgataatgg aatgagcggc ggacgggtga gtaacacgta ggcaacctgc 120 ctgtaagact gggataactc gtggaaacgc gagctaatac cggataacac ttttcatctc 180 ctgatgagaa gttgaaaggc ggcttttagc tgtcacttac agatgggcct gcggcgcatt 240 agctagttgg taaggtaatg gcttaccaag gcgacgatgc gtagccgacc tgagagggtg 300 atcggccaca ctgggactga gacacggccc ag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360 cttccgcaat ggacgaaagt ctgacggagc aacgccgcgt gagtgatgaa ggttttcgga 420 tcgtaaaact ctgttgttag ggaagaacaa gtgccatagt aagctgatgg caccttgacg 480 gtacctaacc agaaagccac ggctaac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tgg 540 caagcgttgt ccggaattat tgggcgtaaa gcgctcgcag gcggttcttt aagtctgatg 600 tgaaatctta cggctcaacc gtaaacgtgc attggaaact ggggaacttg agtgcagaag 660 aggagagtgg aattccacgt gtagcggtga aatgcgtaga gatgtggagg aacaccagtg 720 gcgaaggcga ctctctggtc tgtaactgac gctgaggagc gaaagcgtgg ggagcgaaca 780 ggattagata ccctggtagt ccacgccgta aacgatgagt gctaggtgtt agggggtttc 840 cgccccttag tgctgaagtt aacgcattaa gcactccgcc tggggagtac ggccgcaagg 900 ctgaaactca aaagaattga cgggggcccg cacaagcggt ggagcatgtg gtttaattcg 960 aagcaacgcg aagaacctta ccaggtcttg acatcctctg aacactcgta gagatagagt 1020 tttcccttcg gggacagagt g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1080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gatctt agttgccagc attcagttgg 1140 gcactctaag gtgactgccg gtgacaaacc cggaggaagg ttggggacga cgtcaaatca 1200 tcatgcccct tatgacctgg gctacacacg tagctacaat aggatggaac aaagggcacc 1260 ca 1262 <210> 2 <211> 1203 <212> DNA <213> Bacillus pumilus <400> 2 aacaccagcc ggtgccctat tcatgcagtt cgagcgcgag atattctatg atctcttcgg 60 agtgattagg atggatcgag cggcggacgg gtgagtaaca cgtgggtaac ctgcctgtaa 120 gactaggata actccgggaa accggagcta ataccggata gttccttgaa ccgcatggtt 180 caaggatgaa agacggtttc ggctgtcact tacagatgga cccgcggcgc attagctagt 240 tggtggggta atggctcacc aaggcgacga tgcgtagccg acctgagagg gtgatcggcc 300 acactgggac tgagacacgg cccag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gc 360 aatggacgaa agtctgacgg agcaacgccg cgtgagtgat gaaggttttc ggatcgtaaa 420 gctctgttgt tagggaagaa caagtgcgag agttaactgc tcgcaccttg acggtaccta 480 accagaaagc ca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tggcaagcgt 540 tgtccggaat tattgggcgt aaagggctcg caggcggttt cttaagtctg atgtgaaagc 600 ccccggctca accggggagg gtcattggaa actgggaaac ttgagtgcag aagaggagag 660 tggaattcca cgtgtagcgg tgaaatgcgt agagatgtgg aggaacacca gtggcgaagg 720 cgactctctg gtctgtaact gacgctgagg agcgaaagcg tggggagcga acaggattag 780 ataccctggt agtccacgcc gtaaacgatg agtgctaagt gttagggggt ttccgcccct 840 tagtgctgca gctaacgcat taagcactcc gcctggggag tacggtcgca agactgaaac 900 tcaaaggaat tgacgggggc ccgcacaagc ggtggagcat gtggtttaat tcgaagcaac 960 gcgaagaacc ttaccaggtc ttgacatcct ctgacaaccc tagagatagg gctttcccat 1020 tccggggaca gagtgacagg tggtgcatgg tt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1080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ga tcttagttgc cagcatttag ttgggcactc 1140 taaggtgact gccggtgaca aaccggagga aggtggggat gacgtcaaat catcatggcc 1200 cct 1203

Claims (16)

  1. 내염성이 있으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2. 내염성이 있으며, 단백분해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퓨밀러스 (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3.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간장 발효용 종균.
  4.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간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류신, 류신, 타이로신, 페닐알라딘, 히스티딘, 라이신, 및 아르기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유기 질소화합물 및 암모늄, 또는 두 가지 모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및 칼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은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락트산, 아세트산, 및 피롤리돈카복실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10. 콩 원료에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를 포함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11. (a) 염수 및 콩 원료가 함유된 액상배지에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한 배양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수득한 여과액을 침전하여 간장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의 염도는 10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배지는 콩 원료 대 소금 대 물의 중량비가 0.13-0.20 : 0.10-0.18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종균은 오셔노바실러스 김치(Oceanobacillus kimchii) sosab 균주[기탁번호: KFCC11607P], 및 바실러스 퓨밀러스(Bacillus pumilus) sosad 균주[기탁번호: KFCC11608P], 또는 두 균주의 혼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발효 종균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 내지 3 달 동안, 30 내지 4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간장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a) 단계의 배양물을 55 내지 65 분 동안, 65 내지 75 ℃에서 살균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간장의 제조방법.
KR1020150117608A 2015-08-21 2015-08-21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KR20170022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08A KR20170022516A (ko) 2015-08-21 2015-08-21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08A KR20170022516A (ko) 2015-08-21 2015-08-21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16A true KR20170022516A (ko) 2017-03-02

Family

ID=5842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08A KR20170022516A (ko) 2015-08-21 2015-08-21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5456A (zh) * 2019-03-15 2019-05-31 青海省农林科学院 一种玛纳斯海洋芽孢杆菌E40208a1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770B1 (ko) 1994-12-30 2001-06-01 박종섭 콘택 홀 형성방법
KR101399276B1 (ko) 2012-10-25 2014-05-30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단기숙성 간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770B1 (ko) 1994-12-30 2001-06-01 박종섭 콘택 홀 형성방법
KR101399276B1 (ko) 2012-10-25 2014-05-30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단기숙성 간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5456A (zh) * 2019-03-15 2019-05-31 青海省农林科学院 一种玛纳斯海洋芽孢杆菌E40208a1及其应用
CN109825456B (zh) * 2019-03-15 2023-04-18 青海省农林科学院 一种玛纳斯海洋芽孢杆菌E40208a1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26920A (zh) 接种微生物制备普洱茶及系列产品的方法
KR20040050858A (ko)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5615A (ko) 전통 메주에서 분리한 신규한 균주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cj ky 균주와 이를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된장
CN102575245B (zh) 具有增强的蛋白酶活性的酱油曲霉突变株及使用该突变株制备天然味道增强剂的方法
KR101562653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s13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여주 청국장 제조방법
CN109337833B (zh) 诱变的肠膜明串珠菌的生物制剂及其用途
KR101056546B1 (ko) 콩알메주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풍미를 지닌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Elbashiti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spergillus oryzae and the production of soy sauce with new aroma
JP2006314207A (ja) 乳酸菌および茶飲料の製造方法
KR100788764B1 (ko) 대두액을 이용한 발효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13621525A (zh) 米曲霉za256及其应用
KR20170022516A (ko) 간장발효 종균 및 이를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US20210137143A1 (en) Moderate Halophilic Bacteria And The Method Of Fermentation Of Fish Paste By Medium Halophilic Bacteria
KR101302463B1 (ko) 신규한 균주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241288B1 (ko) 글루탐산 생성 균주 및 천연 조미소재의 제조방법
KR101685768B1 (ko) 발효렌틸콩의 제조방법
KR101669450B1 (ko) 커피 생두 추출물로 배양된 유산균으로 발효된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154616A (ja) 品質改良納豆および新規変異菌株
KR101302464B1 (ko) 간장으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베레첸시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류
CN107881117B (zh) 一株毛霉zg701及其应用
KR101286603B1 (ko) 스피룰리나 함유 장류식품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장류식품
KR20160079388A (ko) 개량식 한식메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된장과 간장의 제조방법
KR10066170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dji을 이용한 세균형 코오지 및 이를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JP4135846B2 (ja) アミノ酸脱炭酸作用を有しない乳酸菌の取得方法
KR20210076550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tsd 균주를 이용한 귀리 된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