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195A - 휴대용 정수 파우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195A
KR20170020195A KR1020160003770A KR20160003770A KR20170020195A KR 20170020195 A KR20170020195 A KR 20170020195A KR 1020160003770 A KR1020160003770 A KR 1020160003770A KR 20160003770 A KR20160003770 A KR 20160003770A KR 20170020195 A KR20170020195 A KR 20170020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water
web layer
fibrous web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830B1 (ko
Inventor
정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ublication of KR20170020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7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Acrylonitril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18Fluorin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8Mobile sepa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16Bicomponent or multicompon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08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91Other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8Nanoparticles or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휴대용 정수 파우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된 피처리수를 담지 및 여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피처리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중 또는 가볍게 손으로 피처리수에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피처리수에 있는 박테리아, 유해성 세균 등의 이물질을 현저히 우수한 효율로 여과시키는 뛰어난 동시에 많은 유량의 음용수를 단시간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필터여재로 구비하는 정수 파우치는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친수성이 높아 더욱 많은 양의 음용수를 수득할 수 있다. 나아가, 형상이 파우치임에 따라서 휴대시 두께가 현저히 얇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성이 매우 뛰어나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 파우치{Portable pouch for water purifying}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처리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중만으로도 피처리수에 있는 박테리아, 유해성 세균 등의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이 뛰어난 동시에 수투과도가 현저히 우수하여 많은 유량의 음용수를 단시간내 수득할 수 있고, 파우치 형상임에 따라서 휴대성이 매우 우수한 휴대용 정수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란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을 정수하는 기구를 말하며, 최근에는 인구증가와 환경오염 문제로 전 세계적으로 식수부족 현상이 나타나 질 좋은 물을 얻기 위한 정수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와 같은 제3세계 국가에서는 극심한 식수 부족으로 많은 인명 피해가 있으며, 주변 강이나 저수지의 더러운 오수를 정수과정을 거치지 않고 식수나 생활용수로 쓰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선진국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일반가정은 물론이고 식당 등에서도 정수기는 필수품이 되었다.
한편, 휴대용 물병은 일정량의 물을 담아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이다. 휴대용 물병은 물을 장소에 제약없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환경오염이 심화되어 수질 오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깨끗한 물을 보관하고 마시기 위해 물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낚시나 등산을 즐기는 야외 여가 활동 인구도 증가함에 따라서 단순히 깨끗한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통의 기능을 넘어서서 야외에서도 정수된 물의 음용을 원하는 수요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군대의 야외 작전시나 오지탐험시에 질 좋은 식수를 구하는 일이 중요한데, 정수된 물을 미리 챙겨가기에는 부피나 무게 부담이 커서 그 양에 한계가 있고, 야외에서 구할 수 있는 물은 환경 오염의 심화, 박테리아 등 각종 유해성 세균의 번식으로 식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이를 그대로 음용수에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수요에 맞춰서 각종 휴대용 정화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휴대용 정화장치에는 피처리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별도의 에너지원이 소요되는 가압수단을 포함함에 따라서 휴대성에서 현저히 저하되고 정수과정에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야외에서 구할 수 있는 물을 통해 많은 양의 음용수를 단시간 내에 별도의 에너지를 요하는 가압수단 없이도 손쉽게 정화시킬 수 있고, 휴대성이 뛰어난 휴대용 정수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2014-004056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처리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중만으로도 피처리수에 있는 박테리아, 유해성 세균 등의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이 뛰어난 동시에 수투과도가 현저히 우수하여 많은 유량의 음용수를 단시간내 수득할 수 있고, 파우치 형상임에 따라서 휴대성이 매우 우수한 휴대용 정수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된 피처리수를 담지 및 여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의 외부면 중 적어도 개방된 일끝단부의 외부면이 몸체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웹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어도 일부 용융되어 열융착된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는 지지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층의 양면에 섬유웹층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섬유웹층과 열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은 부직포, 편물 및 직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편물 및 직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에 맞닿는 섬유웹층의 일영역에는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 후 상기 섬유웹층의 일영역에 포함된 기공에 침투하여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하고, 섬유웹층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는 섬유웹층 두께의 1/5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는 섬유웹층 두께의 1/50 ~ 1/2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여재의 단면두께는 10 ~ 3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의 두께는 5 ~ 20 ㎛이고, 평량은 1 ~ 10 g/m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은 기공도는 70 ~ 90%이고, 평균공경은 0.2 ~ 0.5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의 직경은 0.3 ~ 0.7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 및 제사성을 향상시키는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필터여재에 의해 여과된 음용수의 소취 및 이물질 흡착을 위한 다공성 카본 필러 및 상기 다공성 카본 필러를 봉지한 봉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몸체 내부 및 배출부의 내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내장형 카본계 여과부 또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몸체 외부에 구비되는 외장형 카본계 여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카본계 여과부는 재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여재에 의해 여과된 음용수를 흡음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음용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관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상기 음용관을 통해 흡읍되는 음용수 소취 및 이물질 흡착을 위한 다공성 카본 필러 및 상기 다공성 카본 필러를 봉지한 봉지재를 포함하는 카본계 여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몸체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휴대용 정수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피처리수가 유입되기 위하여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고, 피처리수가 담지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담지되고,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획시키며,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휴대용 정수 패키지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정수 패키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 파우치, 음용관; 및 상기 휴대용 정수파우치 및 음용관을 내부에 구비하는 용기 및 뚜껑을 포함하는 음료 저장용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음용관은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카본계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휴대용 정수파우치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음용관과 결합되는 카본계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처리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중 또는 가볍게 손으로 피처리수에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피처리수에 있는 박테리아, 유해성 세균 등의 이물질을 현저히 우수한 효율로 여과시키는 뛰어난 동시에 많은 유량의 음용수를 단시간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를 필터여재로 구비하는 정수 파우치는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친수성이 높아 더욱 많은 양의 음용수를 수득할 수 있다. 나아가, 형상이 파우치임에 따라서 휴대시 두께가 현저히 얇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성이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파우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의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로써, 도 2a는 지지층의 일면에 섬유웹층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웹층이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섬유웹층의 양면에 지지층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c는 지지층의 양면에 섬유웹층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에 구비되는 섬유웹층의 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필터여재를 연속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전기방사장치의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카본계 여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5a는 카본게 여과부가 필터여재의 외부에 직접 맞닿도록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도면이고, 도 5b는 카본게 여과부가 필터여재의 하측으로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도면이며, 도 5c는 카본계 여과부가 몸체에 구비되는 배출부 내부에 배치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 파우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용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카본계 여과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본계 여과부의 사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파우치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파우치(100)는 파우치형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 내부에 필터여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형 몸체(110)는 일측이 전부 개방되어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30) 및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여재(120)는 상기 유입부(130)로부터 유입된 피처리수가 담지되도록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모두 접합된 파우치 형상이며, 개방된 필터여재(120)의 일측이 상기 몸체의 유입부(130)와 통수되도록 몸체(110)의 내부에 필터여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먼저, 파우치형 몸체(1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파우치형 몸체(100)는 공지된 물 저장용기의 재질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가볍고, 쉽게 접힐 수 있는 재질이면서 음용수에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재질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몸체는 PET, PE,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110)의 일단면 두께는 100 ~ 500㎛일 수 있고, 내부 부피는 500 ~ 5000 cm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더 작거나 더 크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형상은 파우치로 제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110)는 목적하는 파우치 형상으로 압출되거나 시트형상으로 압출된 후 유입부(130)가 위치하게 될 일측을 제외하고 개방된 테두리를 열, 압력 및/또는 접착제를 통해 밀봉시키는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110)는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130)는 공지된 휴대용 정수장치에 구비되는 유입부의 구성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접이성, 경량성 등을 통한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몸체(110)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측의 전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도 1과 같이 몸체(110)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유입부는 피처리수가 몸체 내부로 유입된 후 여과과정에서 몸체 밖으로 새어나가고, 이물질이 몸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몸체 안과 밖을 격리시키기 위한 끼워 맞춤식 플라스틱 부재 등의 결착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110)는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140)는 통상의 휴대용 정수장치 또는 휴대용 물병 등에 구비될 수 있는 배출부 구성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부(14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부에 몸체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컵 등의 용기 없이도 음용수를 쉽게 입으로 마실 수 있도록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몸체(110)는 후술한 필터여재(120)에 담지된 피처리수가 자중의 영향을 더욱 잘 받고, 여과과정에서 휴대용 정수 파우치를 이동 중에 휴대가방에 고정시키거나 나무, 건물의 벽 등의 정착물에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걸이부재(미도시) 또는 도 1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이용 개구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여재(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필터여재(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끝단이 개방된 파우치 형상을 하며,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몸체(110)의 파우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내부의 수용공간의 증가를 위해 몸체의 양측면이 몸체의 내부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필터여재도 몸체의 형상과 유사하게 개구되지 않은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이 안쪽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유효여과면적의 증가에 따라 더 많은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120)의 외부면 중 적어도 개방된 일끝단부의 외부면(A1)이 몸체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개방된 일끝단부의 외부면(A1) 및 양측의 외부면(A2, A3)까지 몸체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여재(120)를 몸체(11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불용성 접착제 또는 열 및/또는 압력을 통해 고정시킬 필터여재(120)의 외부면과 몸체(120)의 내부면을 융착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12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120a)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층의 일면에 형성된 지지층(120b)을 더 포함하거나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121a)을 포함하고, 상기 섬유웹층의 양면에 형성된 지지층(121b, 12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여재는(122)는 지지층(122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층(122b)의 양면에 섬유웹층(122a, 122a')이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2a와 같이 지지층이 단층으로 섬유웹층의 일면에 구비되는 경우 섬유웹층(120a)이 피처리수와 직접 맞닿고, 지지층(120b)이 음용수와 맞닿도록 몸체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피처리수가 저장되는 영역에 섬유웹층이 노출됨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를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은 도 2a 및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노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도 3을 참고로 설명하면, 나노섬유는 방사면에 대해 수직하여 적층되는데, 방사 중 공기 중으로 증발되지 못한 방사용액에 포함된 잔존 용매로 인해 적층된 나노섬유 중 섬유 표면간에 맞닿는 부분에서 융착(A)이 발생하여 3 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하는 제조방법에서의 1차 캘린더링에 의해서 이러한 구조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필터여재로써,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구비시킬 경우 다른 형상이나 다른 종류의 분리막, 예를들어 중공사막 등을 포함시키는 것에 비하여 별도의 가압수단이나 에너지원의 소비 없이도 자중만으로 여과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고, 수투과도가 우수해 많은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은 두께가 0.5 ~ 100㎛로 형성될 수 있고, 기공도는 40 ~ 90%이고, 평균공경은 0.1 ~ 0.5㎛일 수 있다. 만일 평균공경이 0.5㎛를 초과하는 경우 박테리아나 유해세균을 여과시킬 수 없고, 만일 평균공경이 0.1㎛ 미만인 경우 자중만으로 목적하는 수준의 유량을 수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의 평량은 0.5 ~ 50 g/m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수투과도 및 여과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직경이 0.05 ~ 2 ㎛일 수 있고, 종횡비는 1000 ~ 1000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은 한층 이상으로 필터여재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이때 각 섬유웹층의 기공도, 공경, 평량 및/또는 두께 등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을 구성하는 나노섬유는 섬유로 형성가능하고, 통상적인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적합한 섬유형성성분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풀루오로폴리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스터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폴리(옥시메틸렌-올리 고-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나노섬유는 상기 섬유형성성분으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 및 제사성을 향상시키는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DF는 재질의 특성상 나노섬유의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을 담보시킬 수 있으며, 상기 PAN은 친수성이 커서 상기 PVDF로 인한 나노섬유의 소수성화를 방지하고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수처리 분리막에 나노섬유가 구비되었을 때 향상된 수투과도를 발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PVDF는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PVDF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 1,000,0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00 ~ 800,0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AN은 아크릴로나이트릴과 공단량체가 중합된 공지된 것은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이들의 공중합체내 몰%, 공단량체의 종류 등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공단량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lyate), 비닐아세테이트(Vinylacetate),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및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로나이트릴과 공단량체 함량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중량비는 60 ~ 99.9 : 40 ~ 0.01일 수 있다. 또한, 나노섬유에 향상된 친수성 및/또는 유연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상기 PAN은 상기 에틸렌(ethylene) 골격과 측쇄에는 알콕시카보닐(alkoxycarbonyl) 또는 알카논옥시(alkanonox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AN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 500,0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일 수 있다. 만일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정도의 친수성을 나노섬유에서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만일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0을 초과하는 경우 방사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PVDF 및 PAN은 PVDF 100 중량부에 대하여 PAN을 5 ~ 20 중량부로 하여 섬유형성성분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PAN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친수성을 나노섬유가 발현하지 못하여 분리막으로 제조되었을 때 분리막의 수투과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만일 PAN이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친수성의 향상에 따라 분리막의 수투과도가 증가할 수 있으나 나노섬유의 기계적강도, 내화학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제사성이 저하되어 양산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 및 제사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섬유형성성분으로써 PVDF 및 PAN은 특정한 일용매에 모두 용해된다하더라도 두 성분은 성질이 상이함에 따라 용해액에 균일하게 섞이지 않고, 교반 등의 방법을 통해 섞더라도 일시적으로만 섞일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해액에서 두 성분의 분리가 쉽게 일어나며 이러한 용해액을 방사조액으로 사용할 경우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두 성분이 섞이지 않은 상태로, 구체적으로 어느 일성분 바탕에 다른 성분이 섬처럼 띄엄띄엄 배치되거나 어느 일성분이 연속되다가 다른 일성분이 연속되는 구조를 반복하는 나노섬유일 수 있어서 목적하는 친수성과 기계적강도 및 내화학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없고, PAN이 집중된 나노섬유 부분은 쉽게 끊어질 수 있어서 이를 통해 제조된 분리막의 내구성도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성질이 상이한 두 성분을 혼화시켜 나노섬유에 두 성분이 고르게 분산된 형태로 섬유를 형성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만일 비이온성 에멀젼화제 없이 다른 성질, 예를들어 양이온성 에멀젼화제, 음이온성 에멀젼화제 등만을 사용할 경우 방사성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방사자체가 안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공지된 비이온성 에멀젼화제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선형지방족 탄화수소와 같은 소수성 화합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합성한 에톡실레이트 화합물(Ex. 알킬페놀폴리에틸렌옥사이드 축합물), 다관능성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의 에스테르화물 또는 상기 에스테르화물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부가물, 지방산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킨 부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당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의 에테르형 또는 에스테르형의 계면활성제,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알칸올아미드 등을 1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나노섬유에 포함된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친수화-친유성화 비(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가 10 ~ 18을 만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 ~ 19를 만족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 17을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16을 만족할 수 있다. 만일 친수화-친유성화 비가 10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통한 친수성 향상이 미미할 수 있고, PVDF 및 PAN의 혼화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비온성 에멀젼화제가 혼화되지 않은 PVDF쪽에 뭉쳐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화-친유성화 비가 18을 초과하는 경우 PVDF 및 PAN의 혼화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혼화되지 않은 PAN쪽에 비온성에멀젼화제가 뭉쳐서 위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친수화-친유성화 비(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는 1종의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성분의 친수화-친유성화 비일 수 있고, 만일 2종 이상의 비이온성 에멀젼화제가 혼합되는 경우 해당성분들 각각의 함량과 각각의 친수화-친유성화 비를 고려하여 최종 계산된 친수화-친유성화 비의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나노섬유에 포함된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는 섬유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0.5 ~ 8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PVDF 및 PAN의 혼화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방사된 나노섬유의 표면에 비드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으며, 만일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섬유의 직경이 증가하여 원하는 기공크기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PVDF 및 PAN의 혼화성 향상을 위해 부가적으로 양이온성 에멀젼화제, 음이온성 에멀젼화제 및/또는 양쪽성 에멀젼화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포함하더라도 함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방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층(120b, 121b, 121b', 122b)은 통상적으로 분리막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그 형상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직물에 포함되는 섬유가 종횡의 방향성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인 조직은 평직, 능직 등일 수 있으며, 경사와 위사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편물은 공지의 니트조직일 수 있으며, 위편물, 경편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와 같은 공지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의 공경, 기공율, 평량 등은 목적하는 수투과도, 여과효율, 기계적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층(120b, 121b, 121b', 122b)은 그 재질에 있어서도 제한은 없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과의 결속력 향상을 통해 피처리수의 여과과정 중 지지층과 섬유웹층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별도의 접착성분의 사용에 따른 수투과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상술한 몸체(110)의 내부표면과의 열접착이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층의 소재는 열융착이 가능한 공지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틸렌 등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초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부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120b, 121b, 121b', 122b)의 두께는 10 ~ 2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 및 상기 지지층(120b, 121b, 121b', 122b)의 두께를 고려하여 필터여재의 총 두께는 10 ~ 300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층(120b, 121b, 121b', 122b)에 맞닿는 섬유웹층(120a, 121a, 122a, 122a')의 일영역에는 상기 지지층(120b, 121b, 121b', 122b)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 후 상기 섬유웹층의 일영역에 포함된 기공에 침투하여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착부는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상기 섬유웹층(120a)의 일면에 지지층(120b)이 배치된 경우 상기 섬유웹층(120a) 및 지지층(120b)이 맞닿는 계면을 기준으로 섬유웹층(120a)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b와 같이 섬유웹층(121a)의 양면에 지지층(121b,121b')이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지지층(121b,121b')과 섬유웹층(121a)이 맞닿는 각 계면을 기준으로 섬유웹층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1개의 섬유웹(121a)의 내부에 2개의 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c와 같이 상기 지지층(122b)의 양면에 섬유웹층(122a,122a')이 배치될 경우, 지지층(122b)의 양면과 맞닿은 각각의 섬유웹층(122a,122a') 방향으로 융착부가 형성되어 각 섬유웹층(122a,122a') 에 1개의 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접착제 없이 지지층(122b) 및 섬유웹층(122a,122a' )이 부착될 수 있음에 따라서 피여과수의 여과과정 중 접착제가 용해되어 음용수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섬유웹층의 수직단면에서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는 상기 섬유웹층 두께의 1/5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란 섬유웹층의 수직단면에서 섬유웹층과 지지층이 맞닿는 하나의 계면을 기준으로 측정된 융착부 높이의 평균을 의미하며, 도 2b와 같이 섬유웹층에 2개의 융착부가 있을 경우 융착부의 평균높이는 섬유웹층(121a)과 2개의 지지층(121b,121b') 중 어느 일지지층 간의 맞닿은 계면을 기준으로 형성된 어느 일융착부의 평균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가 상기 섬유웹층 두께의 1/50 미만일 경우 상기 지지층 및 섬유웹층의 결합력이 약해져 상기 지지층 및 섬유웹층이 분리됨에 따라 여과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가 상기 섬유웹층 두께의 1/50 ~ 1/25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가 상기 섬유웹층 두께의 1/25를 초과할 경우 필터 여재를 통과하는 물의 이면수투과율이 낮아질 수 있다.
상술한 섬유웹층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여재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포함되는 필터여재(120)는 별도로 나노섬유를 제조한 후 이를 통해 섬유웹층을 제조한 뒤 필터여재(120)로 제조되는 비연속공정을 통해 제조되거나 나노섬유의 제조공정부터 필터여재(120)으로의 제조공정이 연속적인 연속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연속적 공정을 통해 필터여재(120)를 제조할 경우, 도 4와 같은 방사용액이 저장된 용액탱크(1)와 고전압 발생기(미도시)가 연결된 복수개의 방사노즐(11~14)이 다수 열/다수 행으로 배열된 방사팩(10)을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를 통해 전기방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여재(120)에 의해 여과된 음용수의 소취 및 이물질 흡착을 위한 다공성 카본 필러(161) 및 상기 다공성 카본 필러(161)를 봉지한 봉지재(162)를 포함하는 카본계 여과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필터여재(120)를 통해 1차로 피처리수를 여과시킨 음용수에는 상기 필터여재(120)로 여과되지 못하고 통과한 이물질이 포함되거나 또는 식수로 음용하기에 거부감이 있을 수 있는 냄새가 날 수 있음에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의 몸체 내부, 몸체에 구비되는 배출부의 내부 또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몸체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카본계 여과부(160)가 휴대용 정수 파우치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여재(120)의 외부면과 카본계 필러(161)가 직접 접촉하도록 일정 공간 내 카본계 필러(161)가 담지된 채로 봉지재(162)에 의해 봉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는 필터여재(120)의 하단부에 몸체(110)에 맞닿는 외부면(C)이 접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피처리수(A0)가 필터여재(120)에 의해 여과된 1차 여과수(A1)가 카본계 여과부(160')를 거쳐 음용수(A2)로 정수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는 몸체에 구비된 배출부(1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여재(120)에 의해 여과된 1차 여과수가 카본계 여과부(160'')를 거침과 동시에 음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 160', 160", 1600)에 포함된 카본계 필러(161, 161', 161", 1610)는 통상의 다공성 탄소체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취 및 여과능이 뛰어난 활성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계 필러(161, 161', 161", 1610)를 담지하는 봉지재(162, 162', 162", 1620)는 카본계 필러를 유출시키지 않고, 필터여재에 의해 여과된 1차 여과수의 유입 및 카본계 필러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공경을 가진 다공성 부재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패키지는 용기 및 뚜껑을 포함하는 음료 저장용기(200) 내에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100), 및 음용관(180)이 내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100)로부터 정수된 음용수를 상기 음료 저장용기(200)에 담아 음용하거나 상기 음용관(180)을 직접 휴대용 정수 파우치(100)에 연결하여 음용수를 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음용관(180)은 내부로 액체가 통과되는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용관(200)의 일단은 상기 배출부(140)와 연결되고, 음용자의 흡입에 반응하여 상기 배출부(140)로부터 사용자가 액체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용관(180)은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음용관(180)을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여 제조할 경우, 음용관(180)의 휴대성이 향상된다. 이에, 상기 음용관(180)을 상기 배출부(140)와 연결된 상태로 휴대할 경우,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를 가방 등과 같은 별도의 수납 공간에서 따로 인출할 필요 없이 상기 음용관(180)만을 인출하여 음용이 가능하다.
상기 휴대용 정수 패키지는 카본계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여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관(18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정수 파우치(100)의 배출부로부터 유입한 액체가 상기 카본계 여과부(161'')을 통해 2차 여과된다. 이에, 음용자가 더욱 정화된 액체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카본계 여과부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용정수파우치(100) 몸체(110)의 배출부(140)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필터여재(120)에 의해 여과된 1차 여과수가 유입되는 1차 여과수 유입부(1110)를 포함하며, 카본계 여과부(1600)에 의해 여과된 2차 여과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200)를 포함하는 저장 몸체(10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0)는 상기 저장몸체(10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1200)에 상기 음용관(180)이 결합될 수 있어서 음용자는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0)로부터 2차 여과된 액체를 직접 음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왼쪽에서 차례대로, 저장용기(200), 상기 저장용기(200)에 내장될 수 있는 정수 파우치(100), 카본계 여과부(160), 및 음용관(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본계 여과부(160)의 일단은 상기 정수 파우치(100)의 배출부(140)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음용관(18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140)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2차 여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본계 여과부(160)와 상기 배출부(140) 또는 상기 음용관(180)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과된 액체가 새어나오지 않는 조건 하에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방사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섬유형성성분으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Arkema사, Kynar761)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N-PAN, Dolan사, 상품명)을 10중량부 혼합하고, 상기 섬유형성성분 12 g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88g에 80℃의 온도로 6시간 마그네틱바를 사용하여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했다. 이후, 상기 혼합용액을 상온으로 식힌 뒤 비이온성 에멀젼화제(제조사, Tween80, 친수성-친유화성 비: 15)을 상기 섬유형성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3중량부로 포함시켜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장치의 용액탱크에 투입하고, 15㎕/min/hole의 속도로 토출하였다. 이때 방사 구간의 온도는 28℃, 습도는 40%를 유지하고, 콜렉터와 방사노즐팁 간 거리를 18㎝로 하고, 상기 콜렉터 상부에 지지층으로 융점이 125℃인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융점이 155℃인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저융점 복합섬유로 형성되고, 두께가 190㎛이며, 평량이 40 g/m2인 부직포(제조사, 상품명) 를 배치시킨 후 고전압 발생기를 사용하여 방사 노즐 팩(Spin Nozzle Pack)에 40kV 전압을 부여함과 동시에 방사 팩 노즐 당 0.03MPa의 에어압력을 부여하여 부직포의 일면에 형성되고, PAN/PVDF 나노섬유로 형성되고, 섬도가 0.4㎛이고, 기공도가 87%이며, 공경이 0.4㎛, 평량이 6g/m2, 및 두께가 10㎛인 섬유웹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섬유웹에 잔존하는 용매,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해 160℃의 온도로 열처리 한 후, 상기 부직포 및 나노웹에 185℃의 온도 및 1 kgf/cm2의 압력을 가해 캘린더링 공정을 실시하여 부직포 및 나노웹이 합지된 형태의 필터 여재를 제조했다.
<실시예 2 ~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나노웹 및 부직포의 평량, 두께, 밀도 등이 하기 표 1과 같은 부직포를 이용하여 필터여재를 제조했다.
<비교예 1 ~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나노웹 및 부직포의 평량, 두께, 밀도 등이 하기 표 1과 같은 부직포를 이용하여 필터여재를 제조했다.
<실험예 -여과 효율 >
대장균 제균(2백만마리 기준)시험을 통해 여과 효율을 측정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한 수처리 필터는 우수한 여과효율 및 이면수투과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방사팩 11, 12, 13, 14: 방사노즐
20: 섬유웹 21, 22, 23, 24: 나노섬유
30: 지지층
110, 1100: 몸체 120, 121, 122: 필터여재
120a, 121a, 122a, 123a: 섬유웹층
120b, 121b, 122b, 123b: 지지층
130: 유입부 140: 배출부
160, 160', 160", 1600: 카본계 여과부

Claims (23)

  1. 피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된 피처리수를 담지 및 여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의 외부면 중 적어도 개방된 일끝단부의 외부면이 몸체의 내부면에 고정된 휴대용 정수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웹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어도 일부 용융되어 열융착된 지지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필터여재는 지지층을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층의 양면에 섬유웹층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섬유웹층과 열융착된 휴대용 정수 파우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부직포, 편물 및 직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편물 및 직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에 맞닿는 섬유웹층의 일영역에는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 후 상기 섬유웹층의 일영역에 포함된 기공에 침투하여 형성된 융착부를 포함하고,
    섬유웹층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는 섬유웹층 두께의 1/50 이상인 휴대용 정수파우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층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융착부의 평균높이는 섬유웹층 두께의 1/50 ~ 1/25 인 휴대용 정수파우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여재의 단면두께는 10 ~ 300 ㎛인 휴대용 정수 파우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층의 두께는 5 ~ 20 ㎛이고, 평량은 1 ~ 10 g/㎡인 휴대용 정수 파우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웹층은 기공도는 70 ~ 90%이고, 평균공경은 0.2 ~ 0.5 ㎛인 휴대용 정수 파우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의 직경은 0.3 ~ 0.7 ㎛인 휴대용 정수 파우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 및 제사성을 향상시키는 비이온성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필터여재에 의해 여과된 음용수의 소취 및 이물질 흡착을 위한 다공성 카본 필러 및 상기 다공성 카본 필러를 봉지한 봉지재를 포함하는 카본계 여과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수 파우치는 몸체 내부 및 배출부의 내부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내장형 카본계 여과부 또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어 몸체 외부에 구비되는 외장형 카본계 여과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카본계 여과부는 재여과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여재에 의해 여과된 음용수를 흡음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음용관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관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상기 음용관을 통해 흡읍되는 음용수 소취 및 이물질 흡착을 위한 다공성 카본 필러 및 상기 다공성 카본 필러를 봉지한 봉지재를 포함하는 카본계 여과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몸체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20. 피처리수가 유입되기 위하여 일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고, 피처리수가 담지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가 담지되고, 상기 피처리수가 여과된 음용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몸체; 및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구획시키며, 나노섬유로 형성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필터여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파우치.
  21. 제1항 또는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용 정수 파우치;
    음용관; 및
    상기 휴대용 정수파우치 및 음용관을 내부에 구비하는 용기 및 뚜껑을 포함하는 음료 저장용기;를 구비한 휴대용 정수 패키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관은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카본계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패키지.
  23. 제2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휴대용 정수파우치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음용관과 결합되는 카본계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 패키지.
KR1020160003770A 2015-08-13 2016-01-12 휴대용 정수 파우치 KR101810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561 2015-08-13
KR20150114561 2015-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95A true KR20170020195A (ko) 2017-02-22
KR101810830B1 KR101810830B1 (ko) 2017-12-20

Family

ID=579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70A KR101810830B1 (ko) 2015-08-13 2016-01-12 휴대용 정수 파우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1752B2 (ko)
KR (1) KR101810830B1 (ko)
CN (1) CN107921337B (ko)
WO (1) WO20170268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441A (ko) 2017-08-11 2019-02-20 양재형 재사용할 수 있는 캡 형 파우치
KR20190044806A (ko) 2017-10-23 2019-05-02 양재형 보관 및 재사용 가능한 캡 형 파우치
KR102572608B1 (ko) * 2022-12-14 2023-08-29 김진안 여과 기능이 구비된 스파우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671B1 (ko) 2015-10-14 2020-02-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약액 여과용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여과용 필터모듈
US11413558B1 (en) 2018-11-28 2022-08-16 Gautham Parangusa Das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process
FR3112938B1 (fr) * 2020-07-28 2022-08-05 Interscience Sac amélioré de prélèvement à filt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564A (ko) 2012-09-26 2014-04-03 (주)현대 와코텍 휴대용 수동식 흡입 및 가압펌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82758A (en) * 1983-12-09 1985-02-19 Anthony N. Sharpe Apparatus for filtration
US6743273B2 (en) 2000-09-05 2004-06-01 Donaldson Company, Inc. Polymer, polymer microfiber, polymer nanofiber and applications including filter structures
KR200233744Y1 (ko) * 2001-02-14 2001-10-06 김성훈 비닐 봉지형 정수기
JP2003311263A (ja) * 2002-04-19 2003-11-05 Mol Chemical Kk 携帯用簡易浄水器
EP1745808A4 (en) 2004-04-21 2012-10-03 Toray Industries MEDICAL MEDICAL FILTER MATERIAL AND TRAFFIC COLUMN AND EXTRACORPOREAL BLOOD FILTER USING THE SAME
CA2583469C (en) * 2004-10-06 2013-03-19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High flux and low fouling filtration media
US8689985B2 (en) * 2005-09-30 2014-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ltration media for liquid filtration
US8731640B2 (en) 2007-03-28 2014-05-20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 path system for dissolution and transport of a hyperpolarized material
KR100864063B1 (ko) 2007-05-10 2008-10-24 요업기술원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폴리카보실란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탄화규소계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0871440B1 (ko) * 2007-07-16 2008-12-03 주식회사 에이엠오 PAN/PVdF 복합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28108A (ko) 2008-06-10 2009-12-15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주사액 여과용 필터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WO2010011984A2 (en) * 2008-07-24 2010-01-28 O'brien Paul W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KR101452251B1 (ko) 2008-08-21 2014-10-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백혈구 제거용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EP2408482A1 (en) 2009-03-19 2012-01-25 Millipore Corporation Removal of microorganisms from fluid samples using nanofiber filtration media
KR20110046907A (ko) * 2009-10-29 2011-05-06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7973A (ko) * 2010-03-02 2013-06-03 스텔렌보쉬 유니버시티 정수 필터어셈블리 및 필터요소
JP4940382B2 (ja) * 2010-06-24 2012-05-30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合成繊維処理剤、エアバック用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およびエアバッグ用基布
JP2013535314A (ja) 2010-06-30 2013-09-12 アモグリー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放射されたナノ繊維ウェブを利用した液体フィルター用フィルターろ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液体フィルター
JP2012179588A (ja) * 2011-02-10 2012-09-20 Sony Corp 酸化ストレス物質除去方法、酸化還元電位低下方法、濾材及び水
WO2012176810A1 (ja) 2011-06-22 2012-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高分子多孔質膜及び高分子多孔質膜の製造方法
JP5792545B2 (ja) * 2011-07-25 2015-10-14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バグフィルター用濾材
CN104334215B (zh) 2012-03-29 2017-05-17 金普奥膜科技(杭州)有限公司 针头过滤装置
CN202605880U (zh) * 2012-05-18 2012-12-19 普续企业有限公司 滤水结构
CN102872729B (zh) 2012-08-28 2015-08-12 三达膜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聚偏氟乙烯/聚丙烯腈有机-无机杂化中空纤维膜及其制备方法
EP2892859A2 (en) * 2012-09-04 2015-07-15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Dispersion of carbon enhanced reinforcement fibers in aqueous or non-aqueous media
KR101409421B1 (ko) 2012-09-20 2014-06-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나노네트층을 갖는 섬유상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BR112015019842B1 (pt) 2013-02-18 2021-08-17 Amogreentech Co., Ltd Aparelho de filtro que usa o meio de filtro
KR101628899B1 (ko) 2013-05-22 2016-06-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술폰화된 나노 섬유 웹을 이용한 액체처리 케미컬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42018A (ko) * 2013-06-03 2014-12-11 김정학 정수패치, 정수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정수장치
CN104785015B (zh) * 2015-03-17 2017-01-04 中山市洁鼎过滤制品有限公司 水过滤滤芯的制造工艺
KR101675865B1 (ko) 2015-06-23 2016-11-15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안전필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2063671B1 (ko) 2015-10-14 2020-02-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약액 여과용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여과용 필터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564A (ko) 2012-09-26 2014-04-03 (주)현대 와코텍 휴대용 수동식 흡입 및 가압펌프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441A (ko) 2017-08-11 2019-02-20 양재형 재사용할 수 있는 캡 형 파우치
KR20190044806A (ko) 2017-10-23 2019-05-02 양재형 보관 및 재사용 가능한 캡 형 파우치
KR102572608B1 (ko) * 2022-12-14 2023-08-29 김진안 여과 기능이 구비된 스파우트 파우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1337A (zh) 2018-04-17
US20180237315A1 (en) 2018-08-23
US11161752B2 (en) 2021-11-02
CN107921337B (zh) 2021-07-27
KR101810830B1 (ko) 2017-12-20
WO2017026870A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830B1 (ko) 휴대용 정수 파우치
US10850239B2 (en) Filter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JP5875180B2 (ja) ナノウェブ層を有する改良型濾材
US8282712B2 (en) Air filtration medium with improved dust loading capacity and improved resistance to high humidity environment
JP5213311B2 (ja) 水処理用フィルター
KR101966761B1 (ko) 분리막 엘리먼트 및 분리막 모듈
US9284663B2 (en) Articles containing woven or non-woven ultra-high surface area macro polymeric fibers
TWI758722B (zh) 包含聚醯胺奈米纖維層的過濾器介質
KR19990071608A (ko) 정밀도가높은필터
CN114144250A (zh) 过滤介质及包括其的复合过滤器
CN107160720A (zh) 一种高效复合防护过滤网材料的制备方法
US10682613B2 (en) Adsorptive liquid filter
KR20060059990A (ko) 필러 고착 섬유, 섬유 구조물, 섬유 성형체 및 그들의제조방법
KR20170107052A (ko) 배리어 벤트 조립체
KR102455788B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필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JP2001321619A (ja) 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
JP4464433B2 (ja) 筒状フィルタ
WO2015051273A1 (en) Nonwoven felt with hollow specialty polymer fibers for air filtration
JPH1066847A (ja) 多孔性濾過膜及び該濾過膜を用いた膜モジュール
CN214821529U (zh) 水溶性高透湿复合面料及防护织物
WO2023017785A1 (ja) 積層膜
JP2023025508A (ja) 積層膜
JPH11165010A (ja) 筒状フィルタ
JP2004298850A (ja) 濾過処理用繊維濾材
JP2023025509A (ja) 積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