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832A - 전도체 연결 단자 - Google Patents

전도체 연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832A
KR20160146832A KR1020167031830A KR20167031830A KR20160146832A KR 20160146832 A KR20160146832 A KR 20160146832A KR 1020167031830 A KR1020167031830 A KR 1020167031830A KR 20167031830 A KR20167031830 A KR 20167031830A KR 20160146832 A KR20160146832 A KR 2016014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onductor
base section
fre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치제만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4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R4/482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1Single-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48Busba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Spring housing details
    • H01R4/4842Spring housing details the spring housing being provided with a single opening for insertion of a spring-activating tool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를 갖는 전도체 연결 단자(1)에 관한 것으로,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 섹션(10), 베이스 섹션(10)에 인접하는 스프링 보우(11) 및 스프링 보우(11)에 인접하고 베이스 섹션(10) 반대쪽에 배치되는 클램핑 가지부(12)를 구비한다.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전기 전도체(4)의 단자 연결을 위한 클램핑 에지를 형성한다. 스프링 보우(11) 반대쪽에 배치된 베이스 섹션(10)의 단부 섹션(14)은 베이스 섹션(10)이 걸쳐지는 평면으로부터 클램핑 가지부(12)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클램핑 가지부(12)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전도체 연결 단자{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전도체 연결 단자에 관한 것으로, 이 전도체 연결 단자는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면서 베이스 섹션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와, 베이스 섹션에 인접하는 스프링 보우와, 스프링 보우에 인접하면서 베이스 섹션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는 클램핑 가지부를 구비하고,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클램핑 단부는 전기 전도체의 단자 연결을 위한 클램핑 에지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전도체 연결 단자는 전기 전도체의 단자 연결을 위해, 그리고, 연결 접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 전도성 연결되어 있는 장치와 전기 전도체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 형성을 위해 기능한다. 전도체 연결 단자는 예로서 그 연결 접점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납땜될 수 있다.
EP 1 947 738 A1은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전도체 연결 단자 및 판 스프링 접점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판 스프링 접점은 절연재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절연재 하우징은 과부하 보호 웨브를 가지며, 이 과부하 보호 웨브는 후방 측부로부터 절연재 하우징의 전도체 삽입 개구 내로 돌출하고, 절연재 하우징의 일부이다.
EP 0 682 385 B1은 절연재 하우징과 전도체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으며,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절연재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섹션에 관하여 경사지게 이격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가지부는 스프링 보우에 의해 베이스 섹션의 일 측부 상에서 외향 굴곡되어 있다. 스프링 보우 반대쪽에 위치된 베이스 섹션의 측부 상에는 연결 접점이 클램핑 가지부의 연장범위의 방향 반대쪽에서 하향 굴곡되어 있으며, 그래서, 연결 접점은 설치된 상태에서 절연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재료 탭은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클램핑 가지부의 방향으로 외향 굴곡되어 있다. 이 재료 탭은 클램핑 가지부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며, 그래서, 클램핑 가지부는 베이스 섹션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과부하 정지부에 대해 접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특성을 고려한 스프링 보우의 과도한 압축이 회피된다. 과부하 정지부는 추가로 조립 공구를 위한 정지부로서 기능하며, 그래서, 전도체 클램핑 요소가 절연재 하우징의 내부 내로 삽입되고 그 곳에서 웨지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소형이고 재료를 절약하며, 절연재 하우징에 독립적으로 과부하 보호를 제공하는 개선된 전도체 연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전도체 연결 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전도체 연결 단자의 경우에, 스프링 보우 반대쪽에 배치되는 베이스 섹션의 단부 섹션은 클램핑 가지부의 방향으로 베이스 섹션이 걸쳐져 있는 평면으로부터 연장하고, 클램핑 가지부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과부하 정지부는 스프링 보우 반대쪽 베이스 섹션의 길이를 연장하는 재료 탭으로부터 형성되고, 베이스 섹션의 평면 외부로 굴곡된다. 베이스 섹션의 평면 외부로 굴곡된 시트 금속 부품의 이 자유 단부 섹션은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가지부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베이스 섹션의 방향으로 클램핑 가지부의 과도한 변위가 방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길이를 갖는다. 이를 위해, 이 단부 섹션은 클램핑 가지부를 위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전도체 클램핑 요소가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일체로"는 베이스 섹션, 스프링 보우 및 클램핑 가지부, 그리고, 또한, 스프링 보우 반대쪽에 배치된 단부 섹션으로부터 형성되는 과부하 정지부가 결합부 없이(결합 지점이 없음) 하나의 부품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을 의도한다.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나와(예로서, 절단되어 떨어져 나온 또는 펀칭되어 떨어져 나와) 하향으로 외측으로 굴곡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접점이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소형이고 재료 절약적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에서, 과부하 정지부는 충분한 길이로 실현될 수 있고, 자유 클램핑 단부를 향해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기인하여, 전류 전달 라인이 추가적으로 최적화되고, 가능한 짧게 유지되며, 그 이유는 스프링 보우 반대쪽에 배치되고 베이스 섹션에 인접하는 자유 단부 섹션이 이제 연결 접점을 위해서가 아니라 과부하 정지부를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연결 접점이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클램핑 가지부 반대쪽으로 지향된 방향으로 베이스 섹션의 평면 외부로 굴곡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슬롯이 베이스 섹션 내에 남게 된다. 이 경우 슬롯을 경계짓는 측부 웨브가 전류 전달 목적을 위해 더 이상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전류 전달 단면 및 이에 따른 전류 전달 저항은 베이스 섹션 외부로 굴곡되는 재료 탭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베이스 섹션과 스프링 보우 사이의 전이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베이스 섹션의 외부로 연결 접점이 굴곡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자유 클램핑 단부로부터 연결 접점으로의 전류 경로는 가능한 짧게 유지된다.
또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단부 섹션의 자유 단부가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이 유리하다. 스프링 보우 및 상기 스프링 보우에 인접하는 클램핑 가지부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이러한 추가적 접힘은 과부하 정지부가 클램핑 가지부 상에 강성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대신, 약간 탄성적으로 가요성이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클램핑 가지부 상의 응력을 감소시킨다.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단부 섹션의 자유 단부가 테이퍼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는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자유 단부 영역이 그 초기의 상대적으로 큰 폭에 기인하여 충분히 안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테이퍼진 부분의 도움으로, 클램핑 가지부를 위한 정지 면이 자유 클램핑 단부의 폭에 일치되고, 더 추가로 감소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재 하우징 내로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장착은 테이퍼진 부분에 기인하여 단순화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클램핑 단부는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클램핑 가지부가 걸쳐지는 평면의 외부로 굴곡된다. 따라서, 전도체 삽입 개구 내로 삽입되어 전도체 클램핑 요소 위에 위치되어 있는 전기 전도체의 전도체 축에 관하여, 자유 클램핑 단부는 상기 자유 클램핑 단부에 인접하는 클램핑 가지부의 영역에 비해 더 가파르게 배향된다. 이는 자유 클램핑 단부가 가능한 날카로운 에지에 의해 전기 전도체와 접촉을 형성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가지부와 전기 전도체 사이의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표면 압력을 증가시키게 하는 것을 보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스프링 접촉력은 가능한 작은 접점 영역에 집중되고, 표면 압력이 따라서 증가된다. 이는 전류 전달 값을 증진시키고, 이 프로세스에서 특히 전류 전달 저항을 감소시킨다.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클램핑 단부의 단부 면이 자유 클램핑 단부의 영역에서 클램핑 가지부의 평면에 관하여 65° 내지 85°의 범위의 각도로 연장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단부 면은 클램핑 가지부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지 않고, 대신, 상기 평면에 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자유 클램핑 단부가 단순한 직사각형 시트 금속 부품인 경우에 제공되는 단부 면을 위한 것보다 매우 더 날카로운 접촉 에지를 제공한다. 단부 면을 위한 이러한 종류의 경사 섹션이 65° 내지 85°의 범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70°인 경우에 기준 전도체 보유력이 증가되고, 따라서, 전기 전도체는 인출에 맞서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전도체 연결 단자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재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연재 하우징은 클램핑 가지부의 연계된 자유 클램핑 단부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삽입 개구를 갖는다.
이 경우에, 서로 독립적인 복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가 절연재 하우징 내에서 서로의 곁에 설치되어 다극 전도체 연결 단자를 형성하는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전도체 클램핑 요소가 제공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경우에 서로의 곁에 각각 배열되어 있는 클램핑 가지부 및 연계된 과부하 정지부는 자유 단부 섹션에서 공통 베이스 섹션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이는 공통 베이스 섹션을 공유하거나 그 베이스 섹션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를 갖는 변형예에 대응한다. 이 경우, 각 경우에, 하나의 전도체 삽입 개구가 연계된 클램핑 가지부를 향해 배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기 전도체가 절연재 하우징 내로 서로의 곁에 삽입될 수 있고, 전도체 클램핑 요소에 의해 서로 전기 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계된 클램핑 가지부를 향해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개구가 절연재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테스트 개구에 인접하는 외부 면 상의 해당 지역에서 절연재 하우징의 평면에 관하여 경사져 있는 영역과 테스트 개구가 절연재 하우징의 내부에서 병합된다.
테스트 개구에 인접한 절연재 하우징의 내부 면 상의 이 경사진 지역은 다중-와이어 전기 전도체의 굴곡된 전도체 또는 전도체 단부가 충돌하여 상기 절연재 하우징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잘못 삽입된 전기 전도체가 충돌하여 상기 절연재 하우징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테스트 개구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를 가로지른 전기 전위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테스트 개구 내로 삽입되는 작업 도구의 도움으로 베이스 섹션의 방향으로 클램핑 가지부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 전도체를 위한, 전도체 클램핑 요소에 의해 형성된, 클램핑 지점을 개방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테스트 개구는 그 목적에 무관하게 클램핑 가지부로 이어지는 개구이며, 여하튼, 해제 개구도 포함한다.
테스트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삽입 축에 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며, 전도체 삽입 축은 전도체 삽입 개구에 의해 사전규정되고, 이 축 상에, 절연재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클램핑 가지부와 단자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가 위치된다. 이러한 측방향 오프셋에 기인하여, 특히, 전도체 클램핑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작업 도구를 위한 해제 개구로서 테스트 개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클램핑 단부 곁에서, 자유 클램핑 단부의 길이를 초과하여 재료 탭이 연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 재료 탭은 테스트 개구 아래에 위치된다. 테스트 개구는 이러한 종류의 연장된 재료 탭의 도움으로 절연재 하우징의 후방 영역 내로 추가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테스트 개구 내로 삽입되어 재료 탭 상에 작용하는 작업 도구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버 아암의 크기가 증가되고,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작동이 향상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시트 금속 부품은 예로서 구리 도금될 수 있는 스프링 시트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강에 의해 스프링-탄성 특성을 갖는 스프링 금속 시트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크롬 함유 합금이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시트 금속 부품이 구리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비록, 구리가 스프링 강보다는 덜 탄성적이고 소성 변형이 덜한 단점을 갖지만, 이는 스프링 강보다 더 전기 전도성이 높고, 더 낮은 전류 전달 저항을 제공한다. 그러나, 시트 금속 부품의 자유 단부 영역의 외부로 굴곡된 과부하 정지부의 도움으로,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소성 변형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구리 합금으로 구성되는 시트 금속 부품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기 전도체가 삽입되어 있는 전도체 연결 단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단면 B-B을 따른 도 1 및 도 2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단면 C-C를 따른 도 1 및 도 2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로부터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전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도 1 내지 도 4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단면 B-B을 따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단면 C-C를 따른 도 7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전도체가 삽입되어 있지 않고, 테스트 또는 작동 도구가 테스트 개구 내로 삽입되어 있는, 전도체 연결 단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테스트 또는 작동 도구가 테스트 개구 내로 삽입되어 있고, 전도체 클램핑 요소가 개방되어 있는, 도 9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작동 러그를 갖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전도체 연결 단자(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전도체 연결 단자는 절연재 하우징(2) 및 상기 절연재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를 구비한다. 예시도는 절연재 하우징(2)의 전방 측부 상의 연계된 전도체 삽입 개구(5) 내로, 절연재 하우징(2) 내로,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까지 안내되는 좌측에 예시되어 있는 전기 전도체(4)의 단자 연결을 위한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은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하나의 연결 접점(6)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연결 접점은 저부 측부로부터 절연재 하우징(2)의 외부로 돌출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 연결 접점(6)은 솔더 핀의 형태로 설계되고, 인쇄 회로 기판의 보어 내로 삽입되어 그 곳에서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도체 트랙에 납땜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연결 접점(6)의 다른 실시예, 예컨대, 표면 실장 솔더 접점(SMD)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연결 접점(6)도 절연재 하우징(2)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전도체 연결 단자(1)도 마찬가지로 고려할 수 있다. 대신, 절연재 하우징(2) 내로 삽입되어 각각의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와 단자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를 서로 전기 전도성 연결하기 위해, 이러한 종류의 실시예에서 서로의 곁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가 서로 전기 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도체 연결 단자(1)는 그후 소위 아웃렛 박스 단자 또는 연결 단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은 절연재 하우징(2)이 후방 부분에서 커버(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는 것을 추가로 보여준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버(7)는 필름 힌지(8)에 의해 절연재 하우징(2)의 주 본체에 일체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가 절연재 하우징(2)의 주 본체 내로 삽입되어 그 곳에서 커버(7)의 도움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은 주 본체 또는 절연재 하우징(2)의 상단 측부에 테스트 개구(9)가 형성되는 것을 추가로 보여주고 있다. 테스트 개구(9)는 연계된 전도체 삽입 개구(5)와, 절연재 하우징(2) 내로 삽입되어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와 단자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가 그 위에 위치되는 전도체 삽입 축에 관하여 측방향 오프셋 방식으로 배열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테스트 개구(9)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클램핑 가지부의 연계된 자유 클램핑 단부의, 그리고, 절연부가 박피되어 있는, 삽입된 전기 전도체(4)의 자유 단부 곁에 배치되어 있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영역 내로 이어진다.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를 가로지른 전기 전위는 이 테스트 개구(9)의 도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테스트 개구(9)는 전기 전도체(4)를 위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기 위해, 그리고, 단자 연결을 함께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작동 개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다시 한번, 테스트 개구(9)가 절연재 하우징(2)의 주 본체의 내부의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로 이어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도 2는 절연재 하우징(2)내로 삽입되어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와 단자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가 그 위에 위치되는 전도체 삽입 축을 따른 단면선 B-B를 도시한다. 섹션 C-C이 또한 상기 전도체 삽입 축에 평행하게 도시되어 있고, 상기 섹션은 테스트 개구(9)를 통과한다.
도 3은 섹션 B-B을 따른, 즉, 전도체 삽입 축을 따른 도 1 및 도 2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전도체 연결 단자(1)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체(4)는 절연재 하우징(2) 내의 연계된 전도체 삽입 개구(5) 내로 삽입된다.
상기 도면은 연결되는 각 전기 전도체(4)를 위해, 즉, 각 전도체 삽입 개구(5)를 위해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에 전도체 클램핑 요소(3)가 제공되는 것을 보여준다. 전도체 클램핑 요소(3)는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에 배치되는 베이스 섹션(10)을 구비하며,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스프링 보우(11)는 베이스 섹션(10)에 인접하고, 상기 스프링 보우는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경사지게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가지부(12)와 병합된다.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전도체 삽입 축의 방향으로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그리고, 단자 연결 상태에서 또는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 반대쪽의 절연재 하우징(2)의 상단 측부의 방향으로 전기 전도체(4)로부터 더 더욱 멀리 굴곡되고 단자 연결이 형성되는 전기 전도체(4)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한다. 자유 클램핑 단부(13)에서의 날카로운 에지는 절연부가 박피되어 있는 전기 전도체(4)의 해당 단부에 웨지결합되고 따라서 전기 전도체(4)를 인출에 대항하여 고정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도면은 연결 접점(6)이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스프링 보우(11) 및 클램핑 가지부(12)의 연장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는 방향으로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의 외부로 하향 굴곡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전기 전류가 전기 전도체(4) 및 자유 클램핑 단부(13)를 가로질러, 클램핑 가지부(12)와 스프링 보우(11)를 거쳐 직접적으로 연결 접점(6) 내로 흐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교적 짧은 전류 경로가 달성된다.
스프링 보우(11) 반대쪽에 배치된 베이스 섹션(10)의 측부 상에서, 베이스 섹션(10)의 자유 단부는 단자 연결 상태에서 전기 전도체(4)와 클램핑 가지부(12)의 방향으로 또는 절연재 하우징(2)의 상단 측부의 방향으로 상향 굴곡된다. 스프링 보우(11) 반대쪽에 배치된 이 단부 섹션(14)은 클램핑 가지부(12)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위해, 클램핑 가지부(12)를 향하여 배향되며, 그래서, 클램핑 가지부(12)가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클램핑 가지부는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에 대해 정지되고, 이 과정에서, 전기 전도체(4)의 클램핑 지점이 충분히 개방된다.
예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과부하 정지부는 이미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가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대략적으로 최하위 전도체 평면(도 3에서 점선)에 배치되는 클램핑 가지부(12)의 위치에서 작용하고, 상기 전도체 평면은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로의 전이부에서 전도체 삽입 개구(5)의 단면의 위치 또는 반경에 의해 형성된다. 이 반경은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전기 전도체(4)가 변위될 수 있는 범위를 형성하고 절연부가 박피되어 있는, 연결될 전기 전도체(4)의 해당 단부의 최대 단면을 한정한다.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단부 섹션(14)은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방향으로 그 자유 단부에서 접혀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는 클램핑 가지부의 방향으로 또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설치 상태에서 절연재 하우징(2)의 전도체 삽입 개구(5)의 방향으로 또는 스프링 보우(11)의 방향으로 접혀진다. 이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가 가능한 큰 길이를 가지고, 따라서, 그 베이스 섹션(10) 상의 양호한 스탠딩 표면을 가지며, 연결 접점(6)을 위한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램핑 가지부(12)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전도체 삽입 축에 평행하게 테스트 개구(9)를 통해 안내되는 단면 C-C을 따라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1)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역시, 전기 전도체(4)는 연계된 전도체 삽입 개구(5) 내로 삽입되고, 연계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와 단자 연결을 형성한다. 클램핑 가지부(12)의 폭은 함께 단자 연결부를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의 단면보다 클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삽입 개구(5)의 최소 직경보다 크고, 그래서,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절연부가 박피되어 있는 전기 전도체(4)의 자유 단부 곁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추가적으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중심도 전도체 삽입 개구(5) 또는 전도체 설치 방향에 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테스트 개구(9)는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이 측방향 돌출 영역을 향해 배향되고 그와 정렬된다. 따라서, 테스트 공구가 함께 단자 연결부를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를 측방향으로 지나쳐 클램핑 가지부(12) 또는 상기 클램핑 가지부의 자유 클램핑 단부(13) 상으로 안내되어 클램핑 요소(3)를 가로질러 인가될 수 있는 전기 전위를 먼저 측정하고, 두 번째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을 개방하여 전기 전도체(4)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핑 가지부(12)는 예로서, 로드, 스크류드라이버 등 같은 작동 공구에 의해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과부하 정지부는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클램핑 가지부(12)의 과도한 변위를 피하고, 따라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스프링 특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 소성 변형을 피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과부하 정지부는 클램핑 가지부(12)의 방향으로, 그리고, 특히, 연결 접점(6)의 연장 방향에 반대쪽의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방향으로 접혀져 있는 스프링 보우(11) 반대쪽의 베이스 섹션(10)의 자유 단부 섹션(14)으로부터 형성된다.
또한, 단면 예시도로부터 절연재 하우징(2)의 커버(7)가 래칭 러그(15)에 의해 절연재 하우징(2)의 바닥 상의 래칭 개구(16)에 래칭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를 위해, 래칭 러그(15)는 래칭 개구(16)에 진입하고, 래칭 개구(16)를 경계짓는 절연재 하우징의 횡방향 웨브(17)에서 비의도적으로 개방되는 것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또한, 단 하나의 연결 접점(6)만이 가시적 전도체 클램핑 요소(3) 내의 전도체 삽입 개구(5) 아래에서 절연재 하우징(2)의 저부 측부 외부로 돌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대신 추가적 연결 접점(6)이 제1 연결 접점(6)에 관하여 오프셋되어 제공되고, 상기 추가적 연결 접점은 마찬가지로 이제 절연재 하우징(2)의 저부 측부에서 커버(7)에 인접한 영역에서 외부로 안내된다. 이 연결 접점은 제1 전도체 삽입 개구(5) 곁의 연계된 추가적 전도체 삽입 개구(5)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추가적 전기 전도체(4)의 단자 연결을 위해 가시적 전도체 클램핑 요소(3) 곁에 제공되는 추가적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일부이다. 연결 접점(6)이 교번적 방식으로 오프셋되는 다극 전도체 연결 단자(1)가 이러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취급이 개선되고 개별 연결 접점(6)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보증된다. 추가적으로, 전도체 연결 단자(1)는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안정적인 방식으로 납땜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에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사시도의 개요이다. 전도체 클램핑 요소(3)는 단일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시트 금속 부품을 위해 구리 합금이 특히 적합하다. 구리 합금은 스프링 강보다 더 양호한 전류 전도 특성을 제공하고, 더 낮은 전류 전달 저항을 갖는다. 그러나, 구리 합금의 스프링 특성은 특히 크롬 합금으로 형성된 스프링 강의 스프링 특성만큼 양호하지 못하다. 따라서, 구리 합금으로 구성된 시트 금속 부품의 경우에 클램핑 가지부(12), 그리고, 특히, 스프링 보우가 제한된 정도로만 편향되며, 소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도체 클램핑 요소(1)의 스프링-탄성 특성이 유지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이는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섹션(10)의 상향 굴곡된 단부 섹션(14)에 의해 달성된다. 이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는 테이퍼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자유 단부는 마찬가지로 테이퍼지는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폭에 일치되고,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거나 심지어 더 작은 폭을 갖는다.
또한, 연결 접점(6)은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이 명백하다. 이는 아직 굴곡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절단 분리 또는 스탬핑 분리된 연결 접점(6)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측부 웨브에 의해 경계지어진 슬롯(18)은 그후 베이스 섹션(10) 내에 유지된다. 베이스 섹션(10)의 재료 중 일부는 따라서 연결 접점(6)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결 접점(6)은 더 양호한 취급의 목적을 위해 납땜 없이 인쇄 회로 기판 내의 보어 내에 전도체 클램핑 요소(3) 및 전도체 연결 단자(1)를 또한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19)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면은 자유 클램핑 단부(13)가 자유 클램핑 단부(13)와 스프링 보우(11)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클램핑 가지부(12)가 걸쳐지는 평면에 관하여 상향 굴곡된다는 것, 즉,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된다는 것을 더 추가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전도체 삽입 축 또는 전기 전도체(4)의 방향으로 도입되고, 단자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와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상단 측부 사이의 각도는 클램핑 가지부(12)의 각도에 비해 증가된다. 이 굴곡된 자유 클램핑 단부(13)에 기인하여, 기준 전도체 보유력이 이러한 종류의 굴곡부가 없는 해결책에 비해 개선된다(증가된다).
또한, 래칭 리세스 형태의 또는 돌출 래칭 러그 형태의 래칭 요소(20)가 베이스 섹션(10)의 측부 에지 상에 제공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절연재 하우징(2) 내에 코킹되거나 이러한 방식으로 인터로킹 방식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보유된다. 돌출 연결 접점(6)은 스프링 보우(11)의 영역에서 위치적 안전성을 제공한다.
교번적으로 오프셋된 연결 접점(6)을 갖는 인접한 전도체 클램핑 요소(3)에 대하여, 이들 래칭 요소(20)는 이때 베이스 섹션(10) 상의 스프링 보우(11)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5로부터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 섹션(14)이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자유 클램핑 단부(13)를 향해 배향되고, 그래서, 클램핑 가지부(12)가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자유 클램핑 단부(13)가 돌출 단부 섹션(14)의 단부 측부와 충돌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도면은 또한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대략 140° 내지 170°의 범위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관례적 공차(+-5°)로 대략 160°의 내부 각도(β)만큼, 다른 경우에 클램핑 가지부(12)가 걸쳐지는 평면에 관하여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추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유 클램핑 단부는 단부 면(S)에서 종결되고, 이 단부 면은 관례적으로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평면에 관하여 90°의 각도로 배향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대신, 이 단부 면(S)은 베이스 섹션(10)의 평면에 평행한 클램핑 평면(K)에 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고, 이 클램핑 평면 상에서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날카로운 에지가 클램핑 가지부(12)의 예시된 연장된 상태로 놓여진다. 단부 면(S)이 걸쳐지는 평면과 클램핑 평면(K) 사이의 각도(α)는 대략 40°로 수직 단부 면에 걸쳐 놓여지지 않고, 대신, 이에 관하여 적어도 10°만큼 증가된다. 이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50° 내지 7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68° +-5°이다.
그러나,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영역에서 클램핑 가지부(12)의 평면에 관한 이 단부 면의 각도(γ)는 이때 대략 65° 내지 85°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관례적 공차와 함께 대략 70°±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준 전도체 보유력이 달성되는 것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전기 전도체가 삽입되지 않은, 도 1 내지 도 4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1)의 단면 B-B을 따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프링 보우(11) 반대쪽에 배치되고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접혀진 단부 섹션(14)은 최하위 내부 면, 즉, 베이스 섹션(10)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면서 베이스 섹션(10)의 평면에 평행한 내부 면에서 그 가장 작은 직경을 갖는 전도체 삽입 개구(5)가 걸쳐지는 평면(E) 다소 아래에 그 자유 단부를 갖는 상태로 배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경우에,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는 대략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두께만큼 평면(E)으로부터 이격된다. 클램핑 가지부(12)가 이제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경우,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날카로운 클램핑 에지가 대략 평면(E)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단부 섹션(14)에 충돌한다.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하방으로의 클램핑 가지부(12)의 추가적 변위는 클램핑 지점의 개방을 위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가지부에 인접한 스프링 보우(11) 및 클램핑 가지부(12)는 절대적으로 오직 필요한 만큼만 멀리 변위되는 것이 보증된다.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바람직하지 못한 소성 변형 및 그에 대한 과도한 응력이 이러한 방식으로 방지된다.
도 8은 테스트 개구(9)를 통과하는 단면 C-C을 따르는, 도 7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1)를 도시한다. 테스트 개구(9)는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에서 경사 지역(21)과 합쳐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테스트 개구(9)가 형성되는 절연재 하우징(2)의 상단 측부 상의 평면에 비해, 테스트 개구(9)는 따라서 상기 내부에 관해 경사져 있는 지역(21)에서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에서 종료된다. 따라서, 전도체 삽입 개구(5)는 베이스 섹션(10)이 걸쳐지는 지역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전도체 삽입 축을 형성한다. 경사 지역(21)은 또한 이 전도체 삽입 축에 관하여 경사진다. 테스트/해제 개구(9)의 입부 영역에서 절연재 하우징(2) 내의 이 경사 지역(21)은 잘못 삽입된 전기 전도체(4) 또는 다중 와이어 전기 전도체(4)의 개별 와이어나 전기 전도체(4)가 상기 절연재 하우징에 충돌하거나 그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테스트 개구(9)는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와 정렬되고, 이 자유 클램핑 단부(13)로 이어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9는 테스트 또는 해제 공구(22)가 삽입되어 있는 상술한 전도체 연결 단자(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테스트 또는 해제 공구는 절연재 하우징(2)의 상단 측부로부터 연계된 테스트 개구(9) 내로 삽입된다. 상기 공구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를 가로질러 전기 전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단순히 클램핑 가지부(12)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지점에 대해서만,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클램핑 가지부(12)에 의해 전기 전도체(4)의 단자 연결부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테스트 또는 해제 공구(22)가 삽입되어 있는 도 9로부터의 전도체 연결 단자(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테스트 또는 해제 공구(22)의 로드형 단부(23)가 자유 클램핑 단부(13)를 타격하고, 힘의 작용에 의해 베이스 섹션(10)의 방향으로 상기 자유 클램핑 단부를 변위시킨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프로세스에서,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베이스 섹션(10)의 접혀진 단부 섹션(14)에 충돌한다. 베이스 섹션(10)의 방향 하방으로의 클램핑 가지부(12)의 추가적 변위를 방지하는 과부하 정지부가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도 11은 연결 접점(6)이 두 개의 평행한 웨브를 남겨두고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베이스 섹션(10)의 평면 외부로 굴곡되는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인접한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평면 외부로 경사지게 굴곡되는 작동 러그(25)는 자유 클램핑 단부(13) 곁에서 폭의 방향으로 클램핑 가지부(12)로부터 돌출한다. 작동 러그(25)는 자유 클램핑 단부(13)를 초과하여 돌출하고, 작동 지역을 제공하며, 이 작동 영역은 주변 절연재 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푸시버튼 또는 작동 공구가 그 위에 작용될 수 있다.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는 다시 한번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클램핑 가지부(12)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자유 클램핑 단부(13)에 인접한 정지 탭(26)을 갖는다. 따라서, 클램핑 가지부(12)의 편향은 정지 탭(26)의 단부 측부에 충돌하는 자유 클램핑 단부(13)에 의해 제한된다. 클램핑 섹션(14)의 단부는 작동 러그(25)가 진입할 수 있는 포켓(27)을 형성하도록 정지 탭(25) 곁에서 단부 섹션(14)의 폭의 방향으로 짧아진다. 클램핑 단부(13)의 단부 측부는 유사하게 포켓(27)의 영역에서 작동 러그(25)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를 갖는 전도체 연결 단자(1)로서, 전도체 클램핑 요소는 시트 금속 부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 섹션(10)과, 베이스 섹션(10)에 인접하는 스프링 보우(11)와, 스프링 보우(11)에 인접하고 베이스 섹션(10) 반대쪽에 배치되는 클램핑 가지부(12)를 구비하고,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전기 전도체(4)의 단자 연결을 위한 클램핑 에지를 형성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에 있어서, 스프링 보우(11) 반대쪽에 배치된, 베이스 섹션(10)의 단부 섹션(14)은 베이스 섹션(10)이 걸쳐지는 평면으로부터 클램핑 가지부(12)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클램핑 가지부(12)를 위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접점(6)은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고 클램핑 가지부(12) 반대쪽으로 지향된 방향으로 베이스 섹션(10)의 평면 외부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접점(6)은 스프링 보우(11)와 베이스 섹션(10) 사이의 전이부에 인접한 영역에서 굴곡되거나, 스프링 루트의 영역에서 베이스 섹션(10)의 외부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는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부하 정지부를 형성하는 단부 섹션(14)의 자유 단부는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는 베이스 섹션(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클램핑 가지부(12)가 걸쳐지는 평면 외부로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단부 면은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영역에서 클램핑 가지부(12)의 평면에 관하여 65° 내지 85°의 범위의 각도(γ)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가 절연재 하우징(2) 내에 설치되고, 절연재 하우징(2)은 클램핑 가지부(12)의 연계된 자유 클램핑 단부(13)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삽입 개구(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9. 제8항에 있어서, 연계된 클램핑 가지부(12)를 향해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 개구(9)가 절연재 하우징(2)에 제공되고, 테스트 개구(9)는 절연재 하우징(2)의 내부에서 테스트 개구(9)에 인접하는 외부 면 상의 해당 영역에서 절연재 하우징(2)의 벽/표면의 평면에 관하여 경사지는 지역(21)과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10. 제9항에 있어서, 테스트 개구(9)는 전도체 삽입 개구(5)에 사전규정되고, 절연재 하우징(2) 내로 삽입되어 클램핑 가지부(12)와 단자 연결을 형성하는 전기 전도체(4)가 그 위에 배치되는 전도체 삽입 축에 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 가지부(12)의 자유 클램핑 단부(13) 곁에서, 재료 탭이 자유 클램핑 단부(13)의 길이를 초과하여 연장하고, 재료 탭은 테스트 개구(9)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체 클램핑 요소(3)의 시트 금속 부분은 구리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단자(1).
KR1020167031830A 2014-04-23 2015-04-23 전도체 연결 단자 KR201601468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101915.4 2014-04-23
DE202014101915.4U DE202014101915U1 (de) 2014-04-23 2014-04-23 Leiteranschlussklemme
PCT/EP2015/058812 WO2015162210A1 (de) 2014-04-23 2015-04-23 Leiteranschlussklem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832A true KR20160146832A (ko) 2016-12-21

Family

ID=5305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830A KR20160146832A (ko) 2014-04-23 2015-04-23 전도체 연결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134942B1 (ko)
JP (1) JP2017514282A (ko)
KR (1) KR20160146832A (ko)
CN (1) CN106256046B (ko)
DE (1) DE202014101915U1 (ko)
WO (1) WO2015162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2743B (zh) * 2016-12-19 2018-01-21 接線端子改良結構
JP2018107079A (ja) 2016-12-28 2018-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CN109478733B (zh) * 2017-04-25 2020-07-28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连接端子板和电子设备
TWM553505U (zh) * 2017-05-26 2017-12-21 Switchlab Inc 用於電聯接端子之金屬彈片改良結構
TWM550924U (zh) * 2017-05-26 2017-10-21 Switchlab Inc 用於電聯接端子之金屬彈片結構
TWM550925U (zh) * 2017-05-26 2017-10-21 Switchlab Inc 用於電聯接端子之金屬彈片保護結構
CN109346854B (zh) * 2018-07-12 2024-04-19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快速连接端子
DE102022132567A1 (de) 2022-12-07 2024-06-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osenklem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5118C3 (de) * 1951-01-28 1974-12-19 Elektrotechnische Industrie Gustav Giersiepen, 5608 Radevormwald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Geräte
FR1562716A (ko) * 1967-07-19 1969-04-04
DE2440825A1 (de) * 1974-08-26 1976-03-18 Tony Adels Elektro U Waermetec Elektrische anschlussklemme mit klemmfeder
DE7609673U1 (de) * 1976-03-29 1976-07-29 Sorg Plastik, Karl Sorg, Kunststoffverarbeitung, 7073 Lorch Verbindungsklemme zum schraubenlosen Anschließen oder Verbinden elektrischer Leiter
DE2632063A1 (de) * 1976-07-16 1978-01-19 Tony Adels Elektro Und Waermet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CA1078480A (en) * 1976-10-15 1980-05-27 James R. Kunkle Low profile dip receptacle
GB1528993A (en) * 1977-03-08 1978-10-18 Alma Ets Ltd Electrical connector
DE8709226U1 (de) * 1987-07-03 1987-08-20 Electro-Terminal Gmbh, Innsbruck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JP2986874B2 (ja) * 1990-08-30 1999-12-06 株式会社新光製作所 端子装置
JPH05182700A (ja) * 1991-12-27 1993-07-23 Shinko Seisakusho:Kk 端子装置
US5876237A (en) * 1994-05-11 1999-03-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5453028A (en) 1994-05-11 1995-09-2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6074242A (en) * 1998-12-31 2000-06-13 Methode Electronics, Inc. Wire-trap connector for solderless compression connection
JP4032381B2 (ja) * 2002-05-31 2008-01-16 Smk株式会社 押し当て式コネクタ
DE102007003792B4 (de) 2007-01-19 2011-08-2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32423 Blattfederkontakt für eine elektrische Leiteranschlußklemme
DE102008039864B4 (de) * 2008-08-27 2011-01-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lemmenbauelement
DE202010008485U1 (de) * 2010-09-08 2011-12-1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US8262405B1 (en) * 2011-03-15 2012-09-11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6046A (zh) 2016-12-21
DE202014101915U1 (de) 2015-07-24
JP2017514282A (ja) 2017-06-01
EP3134942A1 (de) 2017-03-01
CN106256046B (zh) 2019-09-10
WO2015162210A1 (de) 2015-10-29
EP3134942B1 (de)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6832A (ko) 전도체 연결 단자
US7651363B2 (en) Terminal component
US9847587B2 (en) Spring-force terminal connection and plug connector
JP6317164B2 (ja) 導体接続端子
KR102646774B1 (ko) 도체 연결 접촉 요소
US6911602B2 (en) Connecting terminal
US7083463B2 (en) Electrical supply or connecting terminal
US7238043B2 (en) Spring clamp electrical terminal
US10014596B2 (en) Conductor terminal
TWI604675B (zh) 電子連接終端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JP4329897B2 (ja) 電気導体用ばね力締付け接続装置
US7762834B2 (en) Pluggable conductor terminal
US9525217B2 (en) Spring-loaded clamping element and connecting terminal
CN112670724A (zh) 连接接线端子和用于其的弹簧接线端子触头
US10665970B2 (en) Plug-in contact
US10153575B2 (en) Conductor connection contact element
EP3407428B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JP6908927B2 (ja) 端子
US11901686B2 (en) Junction box
JP7345430B2 (ja) 遮断器ユニット
JP5121570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この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CS232220B1 (cs) Třmenové svorka pro připojování elektrických vodič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