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467A -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467A
KR20160146467A KR1020150133119A KR20150133119A KR20160146467A KR 20160146467 A KR20160146467 A KR 20160146467A KR 1020150133119 A KR1020150133119 A KR 1020150133119A KR 20150133119 A KR20150133119 A KR 20150133119A KR 20160146467 A KR20160146467 A KR 20160146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yment
toll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철
임우성
홍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와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와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와이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6014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일실적인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기기와 제2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인프라로 전달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TOLL PAYMENT SER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무정차 주행을 하면서도 도로 통행료를 결제할 수 있는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를 사용자 정보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구비된 결제 수단으로 간편하게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연관된다.
종래에는 차량이 고속도로와 같은 유료도로를 진입할 때 입구 톨게이트에서 통행권을 발급받은 후 출구 톨게이트에서 요금 징수원에게 직접 통행료를 납부하는 방식으로 유료도로의 통행료 결제가 진행되었다. 종래 방식의 경우, 통행권 발급이나 통행료 납부를 위해 입/출구 톨게이트에서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한 차량 정체가 종종 발생하고, 요금 징수원 배치에 따른 인건비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취지에서,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무선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는 하이패스(Hi-Pass) 서비스가 도입되었다.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하이패스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구매한 하이패스 단말기에 전자카드를 삽입해두고, 유료도로 진입 시 톨게이트에 설치된 통행료 자동징수용 무선송수신 시스템과의 무선통신(적외선 통신(Infrared Ray communication) 또는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을 통해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정산하도록 한다. 이를 테면, 하이패스 단말기가 톨게이트에 설치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삽입된 전자카드의 정보를 상기 자동징수용 무선송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자동징수용 무선송수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통행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카드를 이용한 통행료 결제 및 정보 갱신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다만, 현재 시행중인 하이패스 서비스의 경우에도, 무선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의 앞부분에 하이패스 단말기를 장착해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하이패스 단말기에 카드를 삽입해두고 차량을 비울 때에는 카드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통행료 결제 관련 정보나 차량이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 관련된 정보(이를 테면,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등)를 사용자(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추가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일측에 따르면,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일실적인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기기와 제2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인프라로 전달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와이파이 방식, 저전력블루투스 방식, 이어잭 유선 연결 방식 및 USB 유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상기 통신 인프라는 유료 도로에 설치되는 RSE (Road Side Equipment)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RSE와 ISO 15628 표준에서 정의되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EEE 820.11p와 IEEE 1609 표준에서 정의되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IEEE802.11p/IEEE 1609)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OBU(On-Board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는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획득되는 결제 승인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동작 영역을 벗어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슬립 모드(sleep mode)로 천이시킬 수 있다.
한편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가 수행된 경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되고, 상기 단말기가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알람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알람 메시지가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 메시지, 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에 대해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가 수행된 경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리부, 및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다른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기기의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 실행되어 통행료 전자지불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차량용 단말기가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에 대응하는 결제 트랜잭션 정보 생성 요청을 제2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전송하는 경우,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이 되면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결제 승인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제2 방식으로 상기 차량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와 사용자 정보기기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 및 사용자 정보기기 간의 연결에 관한 세부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의 처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구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행료 결제 에러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미납 통행료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의 추후 제공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유료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과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정보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구비된 결제 수단으로 간편하게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별도의 전자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및 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한다. 이 때, 상기 통신 인프라는 유료 도로에 설치되는 RSE (Road Side Equipment)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RSE와 ISO 15628 표준에서 정의되는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EEE 820.11p와 IEEE 1609 표준에서 정의되는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OBU (On-Board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0)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와 제2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하여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일실시적인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방식은 무선 연결 방식 및 유선 연결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와이파이 방식,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은 이어잭 유선 연결 방식 및 USB 유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처리부(130)는 상기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 생성된 결제 트랜잭션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 전달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한다.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유료도로 통행 시 무정차 주행으로 비교적 간편하게 통행료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면서도 단말에서 소모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복수 개의 모드로 구분한다. 이를 테면,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키고, 상기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동작 영역의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는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 (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획득되는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동작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태를 대기 모드(idle mode)에서 다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천이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 및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징수 시스템을 통해 모니터링 된다. 상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또는 상기 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니터링 결과, 상기 단말기(100)가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징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알람 메시지가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람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구간 진입에 따라 제공되는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 메시지, 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간편 결제 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정보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통행료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의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을 없앨 뿐만 아니라 징수 시스템과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최소 기능만을 구비하면 되므로 단말의 가격 경쟁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행료 결제정보 외에 차량이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 관련된 정보나 광고, 이벤트 정보와 같은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유료도로 통행 시의 통행료 전자지불은 크게 도로 상에 설치된 징수 시스템(200)과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에 부착된 통행료 지불 단말기(210)의 연동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행료 지불 단말기(210)는 사용자 정보기기(2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행료 결제에 필요한 일련의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방식의 통행료 지불 단말의 경우, 사용자가 구매한 차량용 단말기에 도로 통행료 지불을 위한 결제카드를 삽입해두고, 유료도로 진입 시 톨게이트에 설치된 징수 시스템과 무선통신 하여 통행료를 정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원활하게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결제카드가 삽입된 단말을 차량의 대쉬보드나 앞유리 부분에 부착해두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결제카드의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을 비롯하여 여름철 고온으로 인한 카드 훼손에 따른 낭비와 재발급의 불편함,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방식의 통행료 지불 단말에서는 단말에 구비된 LCD나 스피커를 통해 카드 잔액, 요금처리 내역과 같은 단순정보를 제공하는 데 불과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MMI(Man Machine Interface) 및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는 취지에서, 도 2의 통행료 지불 단말기(210)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정보기기와 연동하여 보다 다양하고 차별화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통행료 지불 단말기(210)가 통행료 징수 시스템(200)이 설치된 유료도로에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220)로 유료도로 구간 진입 정보를 전달하고 통행료 지불을 위한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결제 절차 수행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이를 테면, 일정 시간 주기마다 또는 시스템 요청에 의해) 상기 단말기(210)나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220)의 위치정보 관리를 통해,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관련 정보나 통제구간 정보를 비롯하여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 관련된 광고/마케팅 정보 등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22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와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는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와 연결된다.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 및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 간의 연결 방식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이어잭 유선 연결 및 USB 유선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연결 방식을, 도 4B는 블루투스 연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연결, 와이파이 연결, 저전력 블루투스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 방식을 각각 나타낸다. 도 4A의 유선 연결 방식에서는, 이어잭 커넥터를 구비한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이어폰 포트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충전포트를 통해 USB로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유선 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하였을 때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의 상태가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되면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를 통해 동작 영역 진입 및 수동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도 4B의 무선 연결 방식에서는,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저전력 블루투스 등과 같이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 및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구비된 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도 4B와 같은 무선 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영역 진입에 따라 (유선 연결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 영역 진입 및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 연결한 후 서비스 시작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는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단말기(3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및 동작 버튼과, 통행료 결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LCD 및 스피커, 그리고 통행료 결제를 위한 결제 수단 기능 등을 지원한다. 이를 테면,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연결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이 가동되며,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에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는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 시스템과의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의 결제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된 간편결제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카드(USIM)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결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결제카드를 삽입하여 통행료 지불을 수행하는 단말을 의미)을 사용자 정보기기(320)와 연동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도 구현 가능하다. 이 경우,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에 삽입되는 결제카드의 접점(8핀), CPU(MICOM) 및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더미 카드(Dummy Card)를 이용하는데, 상기 더미카드를 상기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에 연결하고, 상기 더미카드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와 동일하게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와 마찬가지로,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 또한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이어폰 포트나 충전포트를 이용하는 유선 연결 방식 또는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저전력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 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와 연결된 후에도,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310)와 동일하게)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이 가동되며, 상기 인터럽트는 가동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이를 테면, '전용앱 ID = hipay')와 장치 구분 정보(이를 테면, '01: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 / 02: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 연동')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OS 규격에 맞추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에 삽입되는 전자결제카드의 경우 스마트 카드 API(APDU)를 사용하는 점을 활용하여, 상기 더미카드의 CPU는 접점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의 메시지를 파싱한 후 카드 액세스 메시지이면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더미카드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바로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으로 전달하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321)에서 처리된 후 리턴되는 메시지는 다시 상기 더미카드를 통해 상기 기존 방식의 차량용 단말기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은, 도 3의 단말기(310)가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연결되면 가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321)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에 설치되어, 결제(511), 충전(512), 조회(513), 업그레이드(514)와 같은 통행료 지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결제 기능(511)은 상기 단말기(310)로부터 통행료 전자지불에 대응하는 결제 트랜잭션 정보 생성 요청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이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 연결하여 결제 승인이나 결제 예비 승인에 관한 정보를 결제 트랜잭션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단말기(310)에 전송하는 일련의 결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충전 기능(512)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에 통행료 지불을 위한 결제 수단을 등록하거나 상기 결제 수단에 선불금액을 충전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조회(513)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한 통행료 지불 내역이나 결제 성공 여부, 상기 결제 수단의 충전 잔액정보 등을 조회하는 기능이고, 업그레이드(514)는 상기 단말기(310) 정보나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기능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의 경우,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카드 잔액이나 요금처리 내역과 같이 단순정보만을 제공하던 기존 방식의 통행료 지불 서비스의 한계에서 벗어나, 보다 직관적이고 풍부한 MMI(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해 고객 편의성과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단말기(310)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320)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 관련된 이벤트(520), 광고(530), 및 고객참여(540)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 이벤트(520)는 상기 차량이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서의 교통사고 정보나 도로작업 시행 구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하고, 광고(530)는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에 관한 안내, 상기 차량이 통행 중이거나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의 특산물/명소에 관한 소개, 인근 휴게소/주유소 이용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고객참여(540) 서비스는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주제별 동호회 가입,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에 관한 고객 평가 및 제안, 현재 도로별 사고현황이나 정체구간, 날씨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유 게시판 등 다양한 서비스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5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6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행료 징수 시스템(600)은 톨게이트와 같이 유료도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료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에 구비된 단말기와 연동하여 통행료의 전자지불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통행료 전자지불 외에도 다양한 도로 관련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행료 징수 시스템(600)은 관리부(610) 및 처리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관리부(610)는 상기 단말기에 대해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가 수행된 경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를 모니터링 한다. 상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또는 상기 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처리부(620)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알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구간 진입에 따라 제공되는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 메시지, 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620)는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가 부착된 차량의 도로 진행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단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이벤트 구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제공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의 처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유료도로의 톨게이트에 설치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과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정보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구비된 결제 수단으로 간편하게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 710에서는,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10)가 상기 징수 시스템에 구비된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한다. 단계 710에서,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한다. 이 때, 상기 통신 인프라는 유료 도로에 설치되는 RSE (Road Side Equipment)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RSE와 ISO 15628 표준에서 정의되는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EEE 820.11p와 IEEE 1609 표준에서 정의되는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OBU (On-Board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는,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의 제2 통신부(120)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와 제2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하여금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일실시적인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방식은 무선 연결 방식 및 유선 연결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와이파이 방식,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은 이어잭 유선 연결 방식 및 USB 유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730에서는, 단계 720에서 생성된 결제 트랜잭션 정보가 상기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의 처리부(130)가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 전달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한다.
단계 720 내지 단계 730에서,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유료도로 통행 시 무정차 주행으로 비교적 간편하게 통행료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면서도 단말에서 소모하는 전류를 최소화 하도록,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복수 개의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키고, 상기 제2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동작 영역의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는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 (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획득되는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러나,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동작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태를 대기 모드(idle mode)에서 다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천이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730 이후에는,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가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이를 테면, 일정 시간 주기마다 또는 시스템 요청에 의해) 상기 징수 시스템을 통해 모니터링 된다. 모니터링 결과, 상기 단말기(100)가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징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알람 메시지가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알람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구간 진입에 따라 제공되는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 메시지, 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100)는 간편 결제 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정보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통행료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의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을 없애고, 통행료 결제정보 외에 차량이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 관련된 정보나 광고, 이벤트 정보와 같은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 실행되어 통행료 전자지불 방법을 수행한다.
단계 810에서는, 차량용 단말기가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에 대응하는 결제 트랜잭션 정보 생성 요청이 생성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 생성 요청을 제2 방식으로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는 유료 도로에 설치되는 RSE (Road Side Equipment)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단말기는 상기 RSE와 ISO 15628 표준에서 정의되는 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EEE 820.11p와 IEEE 1609 표준에서 정의되는 WAVE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OBU (On-Board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와이파이 방식, 저전력 블루투스 방식, 이어잭 유선 연결 방식 및 USB 유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810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유료도로 통행 시 무정차 주행으로 비교적 간편하게 통행료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하면서도 소모하는 전류를 최소화 하도록,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복수 개의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해둔 POI (Point Of Interest) 정보와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획득한 GPS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POI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동작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대기 모드(idle mode)에서 다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천이시킬 수 있다.
단계 820에서는,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단계 830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하여 결제 승인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제2 방식을 통해 상기 차량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카드 잔액이나 요금처리 내역과 같이 단순정보만을 제공하던 기존 방식의 통행료 지불 서비스의 한계에서 벗어나, 보다 직관적이고 풍부한 MMI(Man Machine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되어 결제/충전/조회/업그레이드 등의 통행료 지불 기능을 비롯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현재 통행중인 도로에 관련된 이벤트/광고/고객참여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구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차량용 단말기가 도로 통행 중 미리 설정된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 도로에 설치된 차량 검지기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와 연결된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이벤트 구간 진입에 관한 알람 메시지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 검지기는 일실시예에 따라 도로 관리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는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외에도, 사고방지 안내, 광고/마케팅 정보 제공, 무료 요금제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도로구간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도로작업이 시행되는 경우, 도로 관리 시스템에서는 해당 구간을 이벤트 구간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여, 차량 검지기(또는 도로 관리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를 통해 해당 구간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차량의 사용자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로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용 단말기로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용 단말기에서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상기 도로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도, 이벤트 구간 진입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로 관리 시스템에서 해당 구간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차량을 판단하여,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람 메시지는 상기 이벤트 구간에 인접한 사용자 정보기기에 일괄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위치정보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을 반영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시스템에서 사고지점 인근지역을 주행중인 차량을 선별하여 대응 사용자 정보기기로 GPS 정보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정보기기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하여 현재 GPS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한다.(다만,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부터 GPS 정보 수신이 불가한 경우에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기반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또는 기지국 기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지점 이전 구간을 통과중인 차량을 다시 선별하고, 해당 사용자 정보기기로 사고관련 정보를 포함한 2차사고 방지 서비스 시작 메시지를 발송한다. 상기 2차사고 방지 서비스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정보기기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UI를 통해 사고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시스템은 사고지점을 이미 지나간 차량에 대해서는 상기 2차사고 방지 서비스 시작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2차사고 방지 서비스 시작 메시지 발송 후에도 사용자 정보기기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하는 주기적 GPS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사고지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차량의 사용자 정보기기에는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며, 상기 서비스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정보기기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해당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외에도, 상기 시스템에서는 현재 도로별 사고현황이나 정체구간, 날씨 등의 정보를 알람 메시지로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 정보기기의 GPS 정보를 활용하여 차량의 위치에 따른 정확하고 직관적인 도로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2차사고 발생률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로 관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검색한 지역이나 진행중인 행사가 있는 지역 등을 이벤트 구간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여 사용자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기 시스템은 차량 검지기를 통해 상기 이벤트 구간으로 설정된 도로 구간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차량에 대해, 해당 지역의 특산물/명소에 관한 소개, 인근 휴게소/주유소/맛집 이용에 관한 정보, 휴게소/주유소/맛집 이용 시 적용 가능한 할인 쿠폰, 신규 서비스 소개, 지역별 행사 정보 등의 다양한 광고/마케팅 정보를 상기 차량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로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무료 요금제 서비스'가 적용되는 구간을 이벤트 구간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구성하여 사용자 정보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차량용 단말기가 사용자 정보기기와 연결되어 최초 등록할 때 상기 차량용 단말기의 인증 절차와 함께 해당 사용자 정보기기의 이동통신 가입 정보 이용에 관한 동의 절차가 함께 진행될 수 있다.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이용하는 차량이 상기 이벤트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당 구간에 대한 '이동통신 무료 요금제 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한 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무료 요금제 서비스에 가입한 차량이 상기 이벤트 구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이동통신 무료요금제 구간 시작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정보기기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하여 이동통신 무료요금제 구간 알림 정보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UI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차량이 이벤트 구간을 통과하여 빠져나가면, 상기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무료요금제 구간 종료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발송한다. 상기 무료요금제 구간 종료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정보기기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UI를 통해 해당 서비스가 종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연계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층을 확대시키고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행료 결제 에러율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차량에 부착되는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와 유료 도로 상에 설치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연동을 통해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의 잘못된 부착 위치와 같이 고객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통행료 결제 에러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는 사용자 정보기기를 통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시청각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 방식의 통행료 지불 서비스의 경우, 차량용 단말기의 포장박스나 매뉴얼, 온라인 판매창의 안내 문구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의 부착 위치를 안내하는 데 불과하였다. 이로 인해, 차량용 단말기의 설치에 대한 안내가 일회성에 그쳐 사용자의 인지 및 학습효과가 크지 않고, 통행료 결제과정의 에러율이 높아지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하고,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UI를 통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차량 내 부착 위치에 관한 시청각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테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통행료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행료 결제 과정에서의 에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미납 통행료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의 추후 제공 방식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단말기를 사용자 정보기기와 연결하여 최초 등록할 때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를 통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해야 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의 차량이 유료도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통행료 미납이 발생하게 되면(또는, 통행료 미납내역을 미정산한 사용자가 유료도로의 톨게이트 구간을 정상적으로 통과하더라도), 통행료 미납 알림에 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통행료 미납 알림 정보는 미납 발생 시간, 장소, 차종, 근거 사진 파일 등을 포함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MMS 등의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 수신과 함께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가동되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UI를 통해 미납 정보가 제공된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상기 MMS 메시지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통행료 미납 알림 정보를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저장/관리 중인 결제내역 정보와 비교하여 그 확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미납 정보가 맞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신용카드, 무통장 입금, 휴대폰 소액결제, 그 외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 연동 가능한 간편결제 어플리케이션 등의 미납 결제 수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미납 요금의 실시간 정산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일정기간 이상 미납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차량용 단말을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등록할 때 사전 동의 및 이동통신사와의 협의를 통해 이동통신 요금 청구서에 합산하여 청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미납 통행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에 관한 미납요금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가동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사용자의 차량에 부착된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가 도로 상의 징수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B 및 도 12C는 상기 동작 영역 진입에 따른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유/무선 연결 방식을 각각 나타낸다.
도 12A에서, 상기 단말기가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동작 상태는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되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동작 영역의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는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 (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획득되는 결제 승인 정보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말기가 상기 동작 영역을 벗어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는 대기 모드(idle mode)에서 다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천이된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동작 영역으로 진입하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동작 영역의 진입 알림 메시지가 전송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연결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는 도 12B의 유선 연결 방식과 도 12C의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와 연결된다. 도 12B의 유선 연결 방식에서는, 이어잭 유선 연결 및 USB 유선 연결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식을 지원하며, 상기 단말기의 동작 영역 진입 시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슬립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변경되면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를 통해 동작 영역 진입 및 수동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 도 12B와 같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가 유선 연결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12C의 무선 연결 방식에서는, 블루투스 연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연결, 와이파이 연결, 저전력 블루투스 연결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식을 지원하며, 상기 동작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 연결한 후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작 영역 진입 여부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동작 상태 변경에 관한 내용은 일예에 불과하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POI (Point Of Interest) 정보를 미리 저장해두고, 상기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획득한 GPS 정보를 상기 POI 정보와 비교하여 소정 거리 이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통행료 결제를 위한 프로세스를 자동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6)

  1.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적어도 일실적인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정보기기와 제2 방식으로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 인프라로 전달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와이파이 방식, 저전력블루투스 방식, 이어잭 유선 연결 방식 및 USB 유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프라는 유료 도로에 설치되는 RSE (Road Side Equipment)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RSE와 ISO 15628 표준에서 정의되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IEEE 820.11p와 IEEE 1609 표준에서 정의되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OBU(On-Board Unit)을 포함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상기 통신 인프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키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설치된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인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는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획득되는 결제 승인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중 하나인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동작 영역을 벗어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태를 상기 슬립 모드로 천이시키는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가 수행된 경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가 상기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되고, 상기 단말기가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로 알람 메시지가 수신되어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알람 메시지가 제공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 메시지, 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기.
  11. 통행료 전자지불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대해 통행료 전자지불 처리가 수행된 경우, 적어도 한정된 시간 길이 동안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와 연결되는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관리부; 및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 구간에 임계 거리 이하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에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구간은, 교통사고 발생 구간, 도로 작업 시행 구간, 광고 전달 대상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마케팅 정보의 표시 구간으로 설정된 지리적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메시지는 교통사고 발생 알람, 특정 차로 통제 알람, 광고 메시지, 마케팅 정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지리적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기 단말기의 진행 방향을 반영하여, 상기 알람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사용자 정보기기의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서 실행되어 통행료 전자지불 방법을 수행하며, 상기 방법은:
    차량용 단말기가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통신 인프라와 제1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에 대응하는 결제 트랜잭션 정보 생성 요청을 제2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에 전송하는 경우, 금융사 서버, 카드사 서버 및 PG(Payment Gateway)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되면 미리 지정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실행함으로써 결제 승인 또는 결제 예비 승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제2 방식으로 상기 차량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의 위치가 상기 통신 인프라와 소정 거리 이내인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것을 모니터링 하여, 상기 동작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기기 및 상기 차량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대기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KR1020150133119A 2015-06-12 2015-09-21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46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3557 2015-06-12
KR1020150083557 2015-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67A true KR20160146467A (ko) 2016-12-21

Family

ID=5773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119A KR20160146467A (ko) 2015-06-12 2015-09-21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0989A (zh) * 2017-06-28 2017-11-07 云南建设基础设施投资股份有限公司滇南分公司 一种基于移动支付的高速公路收费***
KR20180083014A (ko) * 2017-01-11 2018-07-20 주식회사 이노카 스마트단말기을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014A (ko) * 2017-01-11 2018-07-20 주식회사 이노카 스마트단말기을 이용한 하이패스 단말기
CN107330989A (zh) * 2017-06-28 2017-11-07 云南建设基础设施投资股份有限公司滇南分公司 一种基于移动支付的高速公路收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US108992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US9460623B2 (en) Parking management
EP3140806B1 (en) Dynamic vehicle parking management platform
US9996831B2 (en) Mobile wireless payment and access
JP2018538611A (ja) 車載アクセスアプリケーション
KR101647834B1 (ko)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150750B1 (ko) 주차 분산을 유도하는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JP2015535367A (ja) 道路上での使用のための複数のインセンティブオファーの生成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218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할인 시스템
KR20180014455A (ko) 노상주차장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90023A2 (en)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KR20160041079A (ko) 간편 주차를 통한 결제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주차등록방법
JP2010061237A (ja) 車載用決済システム、車載用決済装置及び車載用決済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カード
KR20160146467A (ko)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단말 및 통행료 전자지불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9301555A (ja) 自動料金支払いシステムにおける車載器
JP687895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料金算出装置、情報処理方法、料金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26847B1 (ko) 주차비 징수 시스템
KR20170038339A (ko) 교통카드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2002015347A (ja) 路側機、車載機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
CN110992498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以及信息处理方法
EP32733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ializing transactions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er
KR1015403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166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시스템및 방법
JP4382417B2 (ja) 駐車場管理方法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