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732A -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732A
KR20160106732A KR1020167021892A KR20167021892A KR20160106732A KR 20160106732 A KR20160106732 A KR 20160106732A KR 1020167021892 A KR1020167021892 A KR 1020167021892A KR 20167021892 A KR20167021892 A KR 20167021892A KR 20160106732 A KR20160106732 A KR 20160106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plate
idler
endless track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277B1 (ko
Inventor
나오아키 기타
미노루 가타야마
겐이치 히사마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0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62D55/145Rollers with replaceable wear rings or 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1Bulldozers, Gr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ars, Cams (AREA)
  • Jib Cran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원호형의 마모 플레이트(200)와, 제1 고정 부재(201)와, 제1 체결구(203)를 가진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주위면(41a) 상에 배치된다. 제1 고정 부재(201)는, 마모 플레이트(200)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킨다. 제1 체결구(203)는, 제1 고정 부재(201)를 아이들러 본체(41)에 체결한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과, 엔드레스 트랙(50)을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이드부(200c)와,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을 포함한다. 가이드부(200c)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으로부터 돌출한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아이들러 본체(41)와 맞닿고, 회전 중심축(AX)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2 맞닿음 면(200T)은, 아이들러 본체(41)와 맞닿고,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맞닿음 면(200T)과 대향한다.

Description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IDLER AND ENDLESS-TRACK TRAVELING DEVICE}
본 발명은, 아이들러(idler) 및 엔드레스 트랙식(endless-track)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이들러와 구동륜에 권취되는 엔드레스 트랙을 구비하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가, 불도저(bulldozer) 등의 작업 기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원반형의 아이들러 본체를 원호형의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wear plate)에 의해 에워싸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마모 플레이트는, 마모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아이들러 본체에 고정된다. 마모 플레이트는, 고정 부재의 양측에 설치되는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을 가지고, 고정 부재는, 엔드레스 트랙이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에 맞닿은 위치에 유지되도록 엔드레스 트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
일본 공개특허 평1―27889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고정 부재는, 체결구에 의해 아이들러 본체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엔드레스 트랙으로부터 고정 부재에 걸리는 힘은 체결구에 직접 전해진다. 따라서, 체결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마모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의 파손을 억제 가능한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태양(態樣)에 관한 아이들러는, 엔드레스 트랙이 권취되는 아이들러이다. 아이들러는, 회전 중심축을 구비하는 원반형의 아이들러 본체와, 아이들러 본체의 주위면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 각각은, 아이들러 본체의 주위면 상에 배치되는 원호형의 마모 플레이트와, 마모 플레이트를 아이들러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 부재와, 제1 고정 부재를 아이들러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구를 가진다. 마모 플레이트는, 엔드레스 트랙에 접촉하는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과,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엔드레스 트랙을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 상에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아이들러 본체와 맞닿고,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1 맞닿음 면과, 아이들러 본체와 맞닿고,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맞닿음 면을 포함한다. 제1 맞닿음 면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맞닿음 면과 대향한다.
제1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1 맞닿음 면과 제2 맞닿음 면이 아이들러 본체와 맞닿아 있으므로, 엔드레스 트랙으로부터 가이드부에 축 방향의 힘이 걸렸을 경우에 마모 플레이트가 축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를 통하여 제1 체결구에 힘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1 체결구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 태양에 관한 것이며, 마모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가진다. 아이들러 본체는, 주위면에 형성되고,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를 가진다. 제1 맞닿음 면과 제2 맞닿음 면의 각각은, 개구부의 내측면의 일부이며, 볼록부와 맞닿는다.
제2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마모 플레이트의 일부를 아이들러 본체의 양 측면 상에 연장시켜 접촉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마모 플레이트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제3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2 태양에 관한 것이며, 가이드부는,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설치된다.
제3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1 맞닿음 면과 제2 맞닿음 면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로서 가이드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와는 별개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마모 플레이트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제4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2 태양에 관한 것이며, 제1 고정 부재는, 개구부 내에 설치된다.
제4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엔드레스 트랙과 아이들러의 사이에 침입하는 모래 등이 제1 고정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 태양에 관한 것이며, 아이들러 본체는, 주위면으로 이어지는 외면과, 주위면으로 연속되고 외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내면을 가진다. 마모 플레이트는, 외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내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가진다. 제1 맞닿음 면은, 외면에 맞닿고, 제2 맞닿음 면은, 내면에 맞닿는다.
제5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1 맞닿음 면과 제2 맞닿음 면의 사이즈나 형상을 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마모 플레이트의 어긋남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6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 태양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 각각은, 마모 플레이트를 아이들러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를 아이들러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를 가진다. 제1 고정 부재는, 회전 중심축 주위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2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6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에 의해 마모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엔드레스 트랙에 의해 마모 플레이트가 눌러진(pressed) 경우에 마모 플레이트의 일부가 아이들러 본체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6 태양에 관한 것이며, 마모 플레이트의 가이드부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를 가진다. 제1 고정 부재와 제2 고정 부재는, 개구부 내에 배치된다.
제7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개구부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마모 플레이트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제8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 내지 제7 태양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것이며, 마모 플레이트는, 제1 고정 부재와 아이들러 본체의 사이에 걸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와 제1 고정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를 가진다.
제8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아이들러 본체에 대한 마모 플레이트의 덜거덕거림(play)을 억제할 수 있다.
제9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 내지 8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서로 인접하는 제1 마모 플레이트와 제2 마모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마모 플레이트와 제2 마모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과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을 포함한다. 제1 마모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제2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1 단부(端部)와,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제2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제1 단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9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1 단부가 축 방향으로 평행인 경우와 비교하여, 엔드레스 트랙과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이 선(線)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제1 단부 부근에서의 국소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0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9 태양에 관한 것이며, 제2 단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0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2 단부가 축 방향으로 평행인 경우와 비교하여, 엔드레스 트랙과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이 선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부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제2 단부 부근에서의 국소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1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9 또는 제10 태양에 관한 것이며, 제2 마모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제1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3 단부와,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제1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4 단부를 포함한다. 제3 단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1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3 단부가 축 방향으로 평행인 경우와 비교하여, 엔드레스 트랙과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이 선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단부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제3 단부 부근에서의 국소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2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1 태양에 관한 것이며, 제4 단부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2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4 단부가 축 방향으로 평행인 경우와 비교하여, 엔드레스 트랙과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이 선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단부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제4 단부 부근에서의 국소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3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는, 제12 태양에 관한 것이며, 제1 단부와 제3 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소정의 대칭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이며, 제2 단부와 제4 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소정의 대칭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이다.
제13 태양에 관한 아이들러에 의하면, 제1 마모 플레이트와 제2 마모 플레이트의 외형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마모 플레이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제14 태양에 관한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는, 트랙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스프로켓(sprocket)과, 트랙 프레임을 통하여 스프로켓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1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아이들러와, 스프로켓과 아이들러에 권취되는 엔드레스 트랙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모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의 파손을 억제 가능한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아이들러의 사시도
도 3은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斷面圖)
도 5는 도 2의 화살표 X방향으로부터 본 바라본 도면
도 6은 아이들러의 단면도
도 7은 마모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8은 마모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9는 마모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0은 마모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은 마모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2는 마모 플레이트의 평면도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아이들러를 구비하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란,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가 장착되는 작업 기계의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용어이다. 또한, 「내」 「외」란,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가 장착되는 작업 기계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는 용어이다.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의 구성]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의 측면도이다.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는, 트랙 프레임(10)과, 아이들러 이동 기구(機構)(20), 스프로켓(30)과, 아이들러(40)와, 엔드레스 트랙(50)과, 2개의 상측 전륜(轉輪)(60)과, 6개의 하측 전륜(70)을 구비한다.
트랙 프레임(10)은, 도시하지 않은 작업 기계[예를 들면, 불도저나 셔블(shovel) 등]의 차체의 골조이다. 트랙 프레임(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이들러 이동 기구(20)는, 트랙 프레임(10)의 전단부(前端部)에 장착된다. 아이들러 이동 기구(20)는, 트랙 프레임(1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아이들러 이동 기구(20)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의 주행 중, 스프로켓(30)에 대한 아이들러(4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지면의 형상을 따라 변동되는 엔드레스 트랙(50)의 장력을 조정한다.
스프로켓(30)은, 트랙 프레임(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스프로켓(30)은, 도시하지 않은 유압(油壓)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스프로켓(30)에는, 엔드레스 트랙(50)이 권취된다. 스프로켓(30)은, 엔드레스 트랙(50)에 맞물리는 투스(tooth)(31)를 가진다.
아이들러(40)는, 트랙 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아이들러(40)는, 아이들러 이동 기구(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이들러(40)는, 지지축(40a)을 통하여 아이들러 이동 기구(20)에 장착된다. 아이들러(40)에는, 엔드레스 트랙(50)이 권취된다. 아이들러(4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엔드레스 트랙(50)은, 스프로켓(30)과 아이들러(40)에 권취된다. 엔드레스 트랙(50)이 스프로켓(3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주회(周回) 운동함으로써,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는 주행한다. 엔드레스 트랙(50)은, 복수의 트랙 링크(51)와, 복수의 베어링부(52)와, 복수의 슈프레이트(shoe plate)(53)를 가진다. 인접하는 2개의 트랙 링크(51)는, 베어링부(52)에 의해 요동(搖動) 가능하게 연결된다. 트랙 링크(51)는, 좌우 한 쌍의 답면(踏面; rail surface)(51a)을 가진다. 좌우 한 쌍의 답면(51a)은, 후술하는 마모 플레이트(200)의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에 접촉한다. 각각의 답면(51a)은, 대략 평탄한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베어링부(52)는, 인접하는 2개의 트랙 링크(51)에 삽통(揷通)되는 핀과, 핀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지는 부싱(bushing)에 의해 구성된다.
2개의 상측 전륜(60)은, 트랙 프레임(10)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측 전륜(60)은, 엔드레스 트랙(50)을 아래쪽으로부터 가이드한다. 2개의 상측 전륜(6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다. 상측 전륜(60)은, 엔드레스 트랙(50)과 접촉하여 전동(轉動)한다.
6개의 하측 전륜(70)은, 트랙 프레임(1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6개의 하측 전륜(70)은, 엔드레스 트랙(50)에 관한 차체 중량을 분산한다. 6개의 하측 전륜(7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다. 하측 전륜(70)은, 엔드레스 트랙(50)과 접촉하여 전동한다.
[아이들러(40)의 구성]
도 2는, 아이들러(4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아이들러(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1개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가 분해되어 있다.
아이들러(40)는, 아이들러 본체(41)와, 5개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를 구비한다.
아이들러 본체(41)는, 회전 중심축 AX를 가지는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아이들러 본체(41)는, 주위면(41a)과, 외면(41b)과, 내면(41c)과, 삽통공(揷通孔)(41d)와, 볼록부(41e)를 가진다.
주위면(41a)은, 아이들러 본체(41)의 측면 전체이다. 외면(41b)은, 주위면(41a)으로 이어진다. 외면(41b)은,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된 경우에, 폭 방향 외측 방향에 배치되는 면이다. 내면(41c)은, 주위면(41a)으로 이어진다. 내면(41c)은, 외면(41b)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내면(41c)은,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된 경우에, 폭 방향 내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면이다. 삽통공(41d)은, 아이들러 본체(41)의 중앙에 있어서 회전 중심축 AX를 따라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통공(41d)에는, 지지축(40a)이 삽통된다.
볼록부(41e)는, 주위면(41a)에 형성된다. 볼록부(41e)는, 후술하는 마모 플레이트(200)의 개구부(200d) 내에 배치된다. 볼록부(41e)는, 지지부(100)와, 제1 보스(101)와, 제2 보스(102)와, 제1 섬부(island part)(103)와, 제2 섬부(104)와, 제3 섬부(105)를 가진다.
지지부(100)는, 회전 중심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부(100)는,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100)는, 주위면(41a)의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00)는, 마모 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엔드레스 트랙(50)으로부터 회전 중심축 AX의 축 방향(즉, 폭 방향)의 힘이 걸렸을 경우에, 마모 플레이트(200)가 축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제1 지지면(100S)과, 제2 지지면(100T)을 가진다. 제1 지지면(100S)은, 회전 중심축 AX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1 지지면(100S)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2 지지면(100T)은, 회전 중심축 AX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2 지지면(100T)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면(100S)은, 제2 지지면(100T)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제1 지지면(100S)과 제2 지지면(100T)은, 마모 플레이트(200)와 맞닿으므로 "피맞닿음 면"이라고 해도 된다.
제1 보스(101)는, 지지부(100)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보스(101)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1 섬부(103)와 제2 섬부(104)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보스(101)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제1 보스(101)에는, 후술하는 제1 체결구(203)가 삽통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체결구(203)가 삽입되는 제1 체결공(101a)은, 제1 보스(101)와 지지부(100)를 관통하여 아이들러 본체(41)에 달하고 있다. 제1 체결공(101a)은, 회전 중심축 AX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보스(102)는 지지부(100)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보스(102)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1 섬부(103)와 제3 섬부(105)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보스(10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제2 보스(102)에는, 후술하는 제2 체결구(204)가 삽통된다. 제2 체결구(204)가 삽입되는 제2 체결공(102a)은, 제1 체결공(101a)과 마찬가지로, 제2 보스(102)와 지지부(100)를 관통하여 아이들러 본체(41)에 달하고 있다. 제2 체결공(102a)은,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섬부(103∼105)의 각각은, 지지부(100)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섬부(103∼105)의 각각은, 사다리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섬부(103)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1 보스(101)와 제2 보스(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섬부(104)는, 제1 보스(101)를 통하여 제1 섬부(10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3 섬부(105)는, 제2 보스(102)를 통하여 제1 섬부(10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섬부(103∼105)의 각각은,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와 맞닿아 있지 않다.
5개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주위면(41a)을 에워싸도록 순차로 배치된다. 5개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의 각각은, 마모 플레이트(200)와, 제1 고정 플레이트(제1 고정 부재)(201)와, 제2 고정 플레이트(제2 고정 부재)(202)와, 제1 체결구(203)와, 제2 체결구(204)와, 제1 완충 부재(205)와, 제2 완충 부재(206)를 가진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호형의 판 부재이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예를 들면, 강판(鋼板)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과,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과, 가이드부(200c)와, 개구부(200d)와,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와,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를 가진다. 그리고, 마모 플레이트(200)의 평면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은, 마모 플레이트(200) 중 폭 방향 외측의 주위면이다.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은, 마모 플레이트(200) 중 폭 방향 내측의 주위면이다.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의 각각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은, 가이드부(200c)를 통하여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의 각각은, 엔드레스 트랙(50)의 트랙 링크(51)의 한 쌍의 답면(51a)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는 마모되기 쉽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에는 담금질 처리, 침탄(浸炭) 또는 질화 등의 경화 기술이나, PVD[물리 증착(蒸着)], CVD(화학 증발) 또는 이온 코팅 등의 표면 처리 기술에 의해 경화 처리가 행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의 경도 HRC는,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는, 엔드레스 트랙(50)의 트랙 링크(51)와 접촉하는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일례이다.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의 형상이나 사이즈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가이드부(200c)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의 사이에 형성된다. 가이드부(200c)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200c)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200c)는, 트랙 링크(51)를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과 적절히 맞닿도록 인도하는 플랜지이다.
개구부(200d)는, 가이드부(200c)에 형성된다. 개구부(200d)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개구부(200d) 내에는, 아이들러 본체(41)의 볼록부(41e)가 배치된다. 또한, 개구부(200d) 내에는, 제1 고정 플레이트(201), 제2 고정 플레이트(202), 제1 체결구(203), 제2 체결구(204), 제1 완충 부재(205) 및 제2 완충 부재(206)가 배치된다. 개구부(200d)는, 내측면(Sd)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면(Sd)은,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은, 내측면(Sd) 중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가장 아이들러 본체(41)에 가까운 영역이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2 맞닿음 면(200T)은,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제2 맞닿음 면(200T)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맞닿음 면(200T)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지지부(100)의 제1 지지면(100S)에 맞닿는다. 제2 맞닿음 면(200T)은, 지지부(100)의 제2 지지면(100T)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에 있어서 아이들러 본체(41)와 맞닿아 있는 것에 의해, 엔드레스 트랙(50)으로부터 축 방향의 힘이 걸렸다고 해도 마모 플레이트(200)는 어긋나지 않는다.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는, 개구부(200d)의 내측면(Sd)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는, 내측면(Sd) 중 제1 및 제2 맞닿음 면(200S, 200T)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는, 개구부(200d) 내로 돌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는, 제1 체결구(203)를 통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 각각은, 아이들러 본체(41)의 지지부(100)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 각각은, 아이들러 본체(41)의 제1 보스(10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는, 개구부(200d)의 내측면(Sd)에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는, 내측면(Sd) 중 제1 및 제2 맞닿음 면(200S, 200T)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는, 개구부(200d) 내로 돌출한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는,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와 마찬가지로, 제2 체결구(204)를 통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 각각은, 아이들러 본체(41)의 지지부(100)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 각각은, 아이들러 본체(41)의 제2 보스(10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1 고정 플레이트(201)는, 마모 플레이트(200)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키기 위한 판형 원환(圓環) 부재이다. 제1 고정 플레이트(201)는, 제1 체결구(203)가 삽통되는 삽통공(201a)을 가진다. 제1 고정 플레이트(201)는, 제1 체결구(203)에 의해 아이들러 본체(41)에 체결된다. 제1 체결구(203)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제1 체결공(101a)에 삽입된다. 제1 체결구(203)는, 제1 고정 플레이트(201)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재질, 형상, 사이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체결구(203)는 볼트이다.
제2 고정 플레이트(202)는, 마모 플레이트(200)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키기 위한 판형 원환 부재이다. 제2 고정 플레이트(202)는, 제2 체결구(204)가 삽통되는 삽통공(202a)을 가진다. 제2 고정 플레이트(202)는, 제2 체결구(204)에 의해 아이들러 본체(41)에 체결된다. 제2 체결구(204)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제2 체결공(102a)에 삽입된다. 제2 체결구(204)는, 제2 고정 플레이트(202)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재질, 형상, 사이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체결구(204)는 볼트이다.
제1 완충 부재(205)는,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와 제1 고정 플레이트(20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완충 부재(205)는,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가 제1 고정 플레이트(20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재질, 형상 및 사이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완충 부재(205)로서 접시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지만, 접시 스프링 대신에 원환형의 고무판이나 범용의 O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완충 부재(206)는,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와 제1 고정 플레이트(20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완충 부재(205)는,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가 제1 고정 플레이트(20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재질, 형상 및 사이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완충 부재(206)로서 접시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지만, 접시 스프링 대신에 원환형의 고무판이나 범용의 O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모 플레이트(200)의 평면 형상]
다음에, 마모 플레이트(200)의 평면 형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화살표 X방향으로부터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마모 플레이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마모 플레이트(200) 중 한쪽을 제1 마모 플레이트(200P)라고 하고, 다른 쪽을 제2 마모 플레이트(200Q)라고 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마모 플레이트(200)의 평면 형상은, 5개의 마모 플레이트(200) 모두에 공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평면에서 볼 때, 제1 마모 플레이트(200P)는, 제2 마모 플레이트(200Q) 측의 단을 규정하는 제1 단변(端邊)(300)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규정하는」이란, 어느 부재나 있는 영역의 윤곽을 정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단변(300)은, 소정 간극을 두고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와 상대(相對)하고 있다. 제1 단변(300)은,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와, 제1 중앙부(303)를 포함한다.
제1 단부(301)는,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의 제2 마모 플레이트(200Q) 측의 단을 규정한다. 제1 단부(301)는, 제1 중앙부(303)의 외측에 위치한다. 즉, 제1 단부(301)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된 경우에, 제1 단변(300)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단부(301)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단부(301)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단부(301)는,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단부(302)는,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의 제2 마모 플레이트(200Q) 측의 단을 규정한다. 제2 단부(302)는, 제1 중앙부(303)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제2 단부(302)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된 경우에, 제1 단변(30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단부(302)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단부(302)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단부(302)는,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단부(302)는, 제1 단부(301)에 평행하다.
제1 중앙부(303)는,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자에 연속되어 있다. 제1 중앙부(303)는, 제1 단변(300)의 중앙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중앙부(303)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중앙부(303)는, 축 방향과 평행하다. 제1 중앙부(303)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중앙부(303)는, 제1 단부(301) 및 제2 단부(302)의 각각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평면에서 볼 때, 제2 마모 플레이트(200Q)는, 제1 마모 플레이트(200P) 측의 단을 규정하는 제2 단변(400)을 가진다. 제2 단변(400)은, 제3 단부(401)와, 제4 단부(402)와, 제2 중앙부(403)를 포함한다.
제3 단부(401)는,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의 제1 마모 플레이트(200P) 측의 단을 규정한다. 제3 단부(401)는, 제2 중앙부(403)의 외측에 위치한다. 즉, 제3 단부(401)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된 경우에, 제2 단변(400)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단부(401)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 단부(401)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3 단부(401)는,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단부(402)는,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의 제1 마모 플레이트(200P) 측의 단을 규정한다. 제4 단부(402)는, 제2 중앙부(403)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제4 단부(402)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된 경우에, 제2 단변(400) 중 가장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4 단부(402)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4 단부(402)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4 단부(402)는,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4 단부(402)는, 제3 단부(401)에 평행하다.
제2 중앙부(403)는, 제3 단부(401)와 제4 단부(402)의 사이에 설치되고, 양자에 연속되어 있다. 제2 중앙부(403)는, 제2 단변(400)의 중앙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중앙부(403)는,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중앙부(403)는, 축 방향과 평행하다. 제2 중앙부(403)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중앙부(403)는, 제3 단부(401) 및 제4 단부(402)의 각각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은,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을 따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변(300)의 제1 단부(301)는, 제2 단변(400)의 제3 단부(401)와 평행하다. 제1 단변(300)의 제2 단부(302)는, 제2 단변(400)의 제4 단부(402)와 평행하다. 제1 단변(300)의 제1 중앙부(303)는, 제2 단변(400)의 제2 중앙부(403)와 평행하다.
따라서, 제1 단변(300)과 제2 단변(400)은, 대칭 중심 CP를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이다. 대칭 중심 CP는,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간극(間隙)(200R)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단변(300)과 제2 단변(400)이 점대칭이므로, 간극(200R)의 평면 형상도 대칭 중심 CP를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간극(200R)의 내부에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주위면(41a)나 지지부(100)가 노출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1) 실시형태에 관한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원호형의 마모 플레이트(200)와, 제1 고정 플레이트(201)와, 제1 체결구(203)를 가진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주위면(41a) 상에 배치된다. 제1 고정 플레이트(201)는, 마모 플레이트(200)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킨다. 제1 체결구(203)는, 제1 고정 플레이트(201)를 아이들러 본체(41)에 체결한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과, 가이드부(200c)와,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을 포함한다. 가이드부(200c)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으로부터 돌출한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아이들러 본체(41)와 맞닿고, 회전 중심축 AX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2 맞닿음 면(200T)은, 아이들러 본체(41)와 맞닿고,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1 맞닿음 면(200S)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맞닿음 면(200T)과 대향한다.
이와 같이,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이 아이들러 본체(41)와 맞닿아 있으므로, 엔드레스 트랙(50)으로부터 가이드부(200c)에 축 방향의 힘이 걸렸을 경우에 마모 플레이트(200)가 축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플레이트(201)를 통하여 제1 체결구(203)에 힘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제1 체결구(203)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마모 플레이트(200)는, 개구부(200d)를 가진다. 아이들러 본체(41)는, 주위면(41a)에 형성되고,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41e)를 가진다.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의 각각은, 개구부(200d)의 내측면(Sd)의 일부이며, 볼록부(41e)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마모 플레이트(200)의 일부를 아이들러 본체(41)의 외면(41b)나 내면(41c)에 접촉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마모 플레이트(200)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3)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제2 고정 플레이트(202)와, 제2 체결구(204)를 가진다. 제2 고정 플레이트(202)는, 마모 플레이트(200)를 아이들러 본체(41)에 고정시킨다. 제2 체결구(204)는, 제2 고정 플레이트(202)를 아이들러 본체(41)에 체결한다. 제1 고정 플레이트(201)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제2 고정 플레이트(20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고정 플레이트(201)와 제2 고정 플레이트(202)에 의해 마모 플레이트(20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엔드레스 트랙(50)에 의해 마모 플레이트(200)가 눌러진 경우에 마모 플레이트(200)의 일부가 아이들러 본체(41)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마모 플레이트(200)의 개구부(200d)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고정 플레이트(201)와 제2 고정 플레이트(202)는, 개구부(200d)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200d)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마모 플레이트(200)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5) 마모 플레이트(200)는, 제1 걸림부(200e)와, 제1 완충 부재(205)를 가진다. 제1 걸림부(200e)는, 제1 고정 플레이트(201)와 아이들러 본체(41)의 사이에 걸린다. 제1 완충 부재(205)는, 제1 걸림부(200e)와 제1 고정 플레이트(201)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아이들러 본체(41)에 대한 마모 플레이트(200)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6)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은, 제1 단부(301)와 제2 단부(302)를 포함한다. 제1 단부(301)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런데, 엔드레스 트랙(50)과 제1 마모 플레이트(200P)는, 평면형의 한 쌍의 답면(51a)과 원호형의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에 있어서 맞닿으므로, 양자의 맞닿음 부위는, 대략 축 AX와 평행한 미소(微小) 폭을 가지는 영역에서 면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맞닿음 부위는, 제1 및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200b) 상을 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생각할 수 있고, 이 맞닿음 부위에 있어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가 마모된다.
여기서, 제1 단변(300) 중 제1 단부(301)가 축 방향과 평행인 것으로 하면, 맞닿음 부위가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 상을 이동하여 제1 단부(301)까지 도달하면, 엔드레스 트랙(50)과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맞닿음 부위는 선 접촉의 상태에 가까워진다. 그러므로, 제1 단부(301)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이 급격하게 높아져, 제1 단부(301) 부근에서의 마모가 국소적으로 촉진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부(301)를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로써, 엔드레스 트랙(50)과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이 선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301)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제1 단부(301) 부근에서의 국소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제2 단부(302)를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7)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은, 제3 단부(401)와 제4 단부(402)를 포함한다. 제3 단부(401)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따라서, 엔드레스 트랙(50)과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이 선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301) 부근에 걸리는 부하압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제1 단부(301) 부근에서의 국소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제4 단부(402)를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8) 제2 단변(400)은, 제1 단변(300)을 따르고 있다. 제1 단변(300)과 제2 단변(400)은, 대칭 중심 CP를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이다.
따라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외형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마모 플레이트(200)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프로켓(30)은, 트랙 프레임(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트랙 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아이들러(40)는, 트랙 프레임(10)을 통하여 스프로켓(30)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므로, 이 경우에는 트랙 프레임(10)의 후방에 배치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부(100)는, 주위면(41a)의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주위 방향에 있어서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제1 완충 부재(205)와 제2 완충 부재(206)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들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의 각각은, 개구부(200d)의 내측면(Sd)의 일부이며, 아이들러 본체(41)의 볼록부(41e)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맞닿음 면(200S)과 제2 맞닿음 면(200T)의 각각은,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서 서로 대향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 플레이트(200)는, 아이들러 본체(41)의 외면(41b) 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210)와, 아이들러 본체(41)의 내면(41c) 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22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연장부(210) 중 외면(41b)에 맞닿은 영역이 제1 맞닿음 면이며, 제2 연장부(220) 중 내면(41c)에 맞닿은 영역이 제2 맞닿음 면(200T)이다. 그리고, 외면(41b)과 내면(41c)이 피맞닿음 면이다.
이와 같이, 마모 플레이트(200)의 일부를 아이들러 본체(41) 상에 연재한 경우에는, 제1 맞닿음 면과 제2 맞닿음 면의 사이즈나 형상을 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마모 플레이트(200)의 어긋남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E)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모 플레이트(200)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를 좌우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1개의 제1 걸림부(200e)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를 좌우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1개의 제2 걸림부(200f)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제1 체결구(203)에 의해 체결되는 1개의 고정 부재(207)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F)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모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제1 걸림부(200e)와 한 쌍의 제2 걸림부(200f)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 플레이트(200)는, 1개의 걸림부(200g)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42)는, 제1 및 제2 체결구(203, 204)에 의해 체결되는 1개의 고정 부재(209)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G)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모 플레이트(200)는, 아이들러 본체(41)를 직경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중앙에 개구부(200d)가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모 플레이트(2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 H자형이라도 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 등이라도 된다.
(H)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고정 부재의 일례로서 제1 고정 플레이트(20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모 플레이트(200)를 아이들러 본체(41)에 제1 체결구(203)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 가능한 한, 제1 고정 부재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따라서, 제1 고정 부재는, 플레이트형 외에 둥근 막대형, 각봉(角棒) 상태, 입방체형이라도 된다. 이것은, 제2 고정 부재의 일례로서 설명한 제2 고정 플레이트(2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I)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은, 제1 중앙부(303)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중앙부(303)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J)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 중 제1 단부(301), 제2 단부(302) 및 제1 중앙부(303)의 각각이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단부(301) 및 제2 단부(302)는, 곡선형이라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중앙부(303)도 곡선형이라도 된다. 이것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K)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 중 제2 단부(302)는, 제1 단부(301)에 평행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단부(302)는, 제1 단부(301)에 평행이 아니어도 된다. 제1 단부(301) 및 제2 단부(302) 각각의 연장 방향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것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L)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 중 제1 단부(301) 및 제2 단부(302)의 각각이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1 단부(301) 및 제2 단부(302)의 한쪽만이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것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가 작업 기계에 장착되어 주행하는 경우,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b)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200a)에 있어서 엔드레스 트랙(50)으로부터 받는 부하압이 높아지기 쉽다. 그러므로, 제1 단부(301) 및 제2 단부(302)의 한쪽만을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는 경우에는, 제2 단부(30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단부(301)를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마모 플레이트(200P)의 제1 단변(300) 중 제1 중앙부(303)는 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중앙부(303)는,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단부(301), 제1 중앙부(303) 및 제2 단부(302)가 일직선 상에 연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제2 마모 플레이트(200Q)의 제2 단변(4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N)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단변(300)과 제2 단변(400)은, 대칭 중심 CP를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변(400)은, 대략 제1 단변(300)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마모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의 파손을 억제 가능한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아이들러 및 작업 기계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1: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1)
10: 트랙 프레임
30: 스프로켓
40: 아이들러
41: 아이들러 본체
41a: 주위면
41b: 외면
41c: 내면
41d: 삽통공
41e: 볼록부
42: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
50: 엔드레스 트랙
100: 지지부
101: 제1 보스
102: 제2 보스
200: 마모 플레이트
200S: 제1 맞닿음 면
200T: 제2 맞닿음 면
200a: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
200b: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
200c: 가이드부
200d: 개구부
200e: 제1 걸림부
200f: 제2 걸림부
201: 제1 고정 플레이트(제1 고정 부재)
202: 제2 고정 플레이트(제2 고정 부재)
203: 제1 체결구
204: 제2 체결구
205: 제1 완충 부재
206: 제2 완충 부재
210: 제1 연장부
220: 제2 연장부
AX: 회전 중심축

Claims (14)

  1. 엔드레스 트랙(endless-track)이 권취되는 아이들러(idler)로서,
    회전 중심축을 구비하는 원반형의 아이들러 본체; 및
    상기 아이들러 본체의 주위면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wear plate assembly);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아이들러 본체의 상기 주위면 상에 배치되는 원호형의 마모 플레이트;
    상기 마모 플레이트를 상기 아이들러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상기 아이들러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마모 플레이트는,
    상기 엔드레스 트랙에 접촉하는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
    상기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엔드레스 트랙을 상기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 상에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
    상기 아이들러 본체와 맞닿고, 상기 회전 중심축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1 맞닿음 면; 및
    상기 아이들러 본체와 맞닿고,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맞닿음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맞닿음 면은,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닿음 면과 대향하는,
    아이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플레이트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이들러 본체는, 상기 주위면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닿음 면과 상기 제2 맞닿음 면의 각각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의 일부이며, 상기 볼록부와 맞닿는, 아이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설치되는, 아이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 설치되는, 아이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러 본체는, 상기 주위면으로 이어지는 외면과, 상기 주위면으로 연속되고 상기 외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내면을 가지고,
    상기 마모 플레이트는, 상기 외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내면 상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맞닿음 면은, 상기 외면에 맞닿고,
    상기 제2 맞닿음 면은, 상기 내면에 맞닿는, 아이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 각각은,
    상기 마모 플레이트를 상기 아이들러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고정 부재를 상기 아이들러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회전 중심축 주위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아이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아이들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아이들러 본체의 사이에 걸리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완충 부재;를 구비하는, 아이들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모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서로 인접하는 제1 마모 플레이트와 제2 마모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모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과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마모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상기 제2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端)을 규정하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상기 제2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아이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아이들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모 플레이트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상기 제1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3 단부와, 상기 제2 엔드레스 트랙 접촉면의 상기 제1 마모 플레이트 측에서의 단을 규정하는 제4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아이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부는,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아이들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3 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소정의 대칭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이며,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4 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소정의 대칭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인, 아이들러.
  14. 트랙 프레임;
    상기 트랙 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스프로켓(sprocket);
    상기 트랙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스프로켓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이들러; 및
    상기 스프로켓과 상기 아이들러에 권취되는 엔드레스 트랙;
    을 포함하는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KR1020167021892A 2014-04-16 2014-04-16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KR101878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0851 WO2015159393A1 (ja) 2014-04-16 2014-04-16 アイドラ及び履帯式走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732A true KR20160106732A (ko) 2016-09-12
KR101878277B1 KR101878277B1 (ko) 2018-07-13

Family

ID=5432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892A KR101878277B1 (ko) 2014-04-16 2014-04-16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2443B2 (ko)
JP (1) JPWO2015159393A1 (ko)
KR (1) KR101878277B1 (ko)
CN (1) CN106029485B (ko)
DE (1) DE112014006599B4 (ko)
WO (1) WO2015159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0055B2 (ja) * 2014-04-16 2017-10-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アイドラ、履帯式走行装置及び摩耗プレート
CN109501878B (zh) * 2018-12-26 2024-02-02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组合式履带板、履带总成、履带式行走装置和工程机械
US11535319B2 (en) * 2019-05-06 2022-12-27 Caterpillar Inc. Undercarriage noise damping assembly
US11878750B2 (en) * 2020-01-17 2024-01-23 Caterpillar Inc. Wear inserts cast in a wear surface of a drive component
US11613316B2 (en) * 2020-01-28 2023-03-28 Caterpillar Inc. Flip-flop track idlers
US20220194495A1 (en) * 2020-12-21 2022-06-23 Caterpillar Inc. Bolt-on flat idler segments
KR102558222B1 (ko) * 2022-11-28 2023-07-24 북두산업 주식회사 플랜지 보강형 아이들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8890A (ja) 1988-04-04 1989-11-09 Caterpillar Inc 履帯型車両の遊動輪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23070Y1 (ko) * 1966-08-18 1970-09-11
US3603650A (en) * 1969-02-18 1971-09-07 Robert L Miller Wheel liners for track-type vehicle
JPS5047133U (ko) * 1973-08-28 1975-05-10
US4034618A (en) 1976-03-22 1977-07-12 Caterpillar Tractor Co. Noise reducing apparatus for track type vehicle drive sprockets and means for attaching same
JPS5766077A (en) * 1980-10-13 1982-04-22 Caterpillar Mitsubishi Ltd Reducer for noise around idler of crawler type vehicle
JPS613082U (ja) * 1984-06-08 1986-01-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式車両のアイドラ装置
JP2546091B2 (ja) 1991-09-30 1996-10-23 井関農機株式会社 クロ−ラ式走行装置
JPH0613082U (ja) * 1992-07-16 1994-02-18 株式会社ジャルコ プラグインタイプのオ−ディオコネクタにおけるア−スラグの構造
JP2002002564A (ja) 2000-06-28 2002-01-09 Komatsu Ltd 履帯走行装置
US20100072813A1 (en) * 2007-01-16 2010-03-25 Mcrae Brian Donald Crawler Tracks and Idlers for Crawler Tracks
US20080217994A1 (en) * 2007-03-06 2008-09-11 Mcrae Brian Donald Idler for crawler track
US7914086B2 (en) * 2008-10-24 2011-03-29 Deere & Company Track idler with replaceable wear pads
US8360535B2 (en) * 2008-12-02 2013-01-29 Caterpillar Inc. Sound reducing segmented idler for track-type vehicles
JP5516658B2 (ja) * 2012-06-26 2014-06-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8890A (ja) 1988-04-04 1989-11-09 Caterpillar Inc 履帯型車両の遊動輪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6599T5 (de) 2017-03-30
US20170120971A1 (en) 2017-05-04
KR101878277B1 (ko) 2018-07-13
JPWO2015159393A1 (ja) 2017-04-13
CN106029485A (zh) 2016-10-12
US9902443B2 (en) 2018-02-27
DE112014006599B4 (de) 2022-05-12
WO2015159393A1 (ja) 2015-10-22
CN106029485B (zh)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277B1 (ko) 아이들러 및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US8360535B2 (en) Sound reducing segmented idler for track-type vehicles
EP1647472B1 (en) Undercarriage equipped with rubber crawler
US8771117B2 (en) Chain transmission apparatus
US7604111B2 (en) Modular endless conveyor belt
US20100270856A1 (en) Crawler-type travel device and rotational wheel assembly
JP2011168205A (ja) チェーンガイド装置
JP2008502524A (ja) クローラ走行体のクローラチェーンのためのトラックローラアセンブリ
US20060028066A1 (en) Tracked travel device
US20050103540A1 (en) Track with low friction reinforced guide blocks
US9758306B2 (en) Continuous conveyor
JP2002088807A (ja) 作業機械の下部構造のためのローラー組立体
KR101816626B1 (ko) 아이들러, 엔드레스 트랙식 주행 장치 및 마모 플레이트
JP5966047B2 (ja) アイドラ及び履帯式走行装置
US20220119050A1 (en) Crawler-type traveling device and idler thereof
JP6008428B2 (ja) チェーンガイド
US20230009851A1 (en) Sprocket with a roller assembly inserted into the sprocket teeth
JP4259914B2 (ja) 履帯張り調整装置
JP2015151037A (ja) ゴムクローラ
JP2001097256A (ja) 無限軌道式走行装置におけるゴム製履帯の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