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793A -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793A
KR20160103793A KR1020150026611A KR20150026611A KR20160103793A KR 20160103793 A KR20160103793 A KR 20160103793A KR 1020150026611 A KR1020150026611 A KR 1020150026611A KR 20150026611 A KR20150026611 A KR 20150026611A KR 20160103793 A KR20160103793 A KR 2016010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outrigger
frame
li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동
Original Assignee
김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동 filed Critical 김창동
Priority to KR102015002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3793A/ko
Publication of KR2016010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B66F9/04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hydraulically actuated or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6Arrangements in which the platform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a single or plural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후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아웃트리거(20)와; 아웃트리거(20) 양단부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승강수단(30)에 유압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유압장치(4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지면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까지 경사로를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농기계와 같은 중량체 장비를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상하차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Agricultural cargo lift}
본 발명은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가에서 사용하는 중량체의 농기계를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 농기계를 차량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농, 수, 축산업에서는 기계화에 따라서 다양한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비들의 경우 작업자가 쉽게 취급할 수 있는 경량의 장비와 작업자가 쉽게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체의 장비로 구분되고, 중량체의 장비는 엔진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 장착되어 구동수단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비와, 다른 동력수단과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고 움직이기 위한 동력원이 없는 장비로 구분할 수 있다.
동력이 없어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장비로는 탈곡기나 선별기 등이 있는데, 이러한 탈곡기나 선별기 등은 작업장 내부에 설치되면, 특별히 움직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확한 설치 위치의 조절을 위해서 저면에 캐스터 등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체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동력수단은 갖추고 있지 않다.
그런데, 상기 탈곡기나 선별기 등은 구조적으로 모터 등 무거운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무게가 상당하여 장비 구입 후, 작업장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장비를 화물차에 싣고 내리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중량체의 장비를 화물차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출고되는 장비를 파레트 상부에 적재한 상태로 출고하고, 출고된 장비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파레트에 적재된 상태 그대로 화물체의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적재함에서 내리게 된다.
그런데, 지게차를 이용한 중량체 장비를 화물차의 적재함에 싣고 내리는 작업은 지게차가 있는 곳에서는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축산 농가 등에서는 지게차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입한 장비를 화물차를 이용하여 농가까지 운반한 후에는 별도 비용을 지불하고 지게차를 불러서 화물차로 운반된 장비의 내리는 작업을 요청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의 내리는 데 다른 비용을 구입자가 별도로 지출함으로써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량체의 장비를 화물차에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가 다양하게 개발된 바 있는데 그러한 리프트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1999-7011097호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있는 지주들을 가진 받침대와, 그 받침대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사이에 형성하고 있는 2개의 대향된 측부 프레임을 가진 지지 프레임과, 각각의 측부 프레임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기다란 부재와, 그 중공의 기다란 부재가 받침대의 각 지주와 신축가능하게 결합 된 상태에서 받침대가 상승된 운송위치와 지상의 적하(積荷)위치 사이에서의 움직임의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향상태를 유지하도록 운송위치와 적하위치 사이에서 받침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화물 리프트."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71939호에는 "차량에 장착되어 적재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싣고 내리는 차량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적재함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되어 적재물을 적재함에 싣고 내리며, 적재함의 후부를 개폐하는 리프트 게이트;를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131382호에는 "소정의 물품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장소로 옮길 때 사용하는 핸드카에 모터를 마련하여 동력에 의해 전,후진하는 구동과 적재판을 상승, 하강하는 리프트기능을 부가하여 무거운 물품을 적재장소로 이동 및 상하차를 용이하도록 하는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가 게시되어 있다.
특허출원 제10-1999-7011097호 등록특허 제10-0871939호 등록특허 제10-1131382호
이상과 같이 중량체의 장비를 화물차에 쉽게 싣고 내리기 위한 선행기술의 리프트 중 상기 특허출원 제10-1999-7011097호의 차량 화물 리프트는 자동차의 적재함에 리프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특정한 작업기(또는 물건이나 산업용 부품 및 장치)을 상하차하기 위한 용도로는 적합할 수 있으나, 농가 또는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작업기의 상하차 외에 자동차의 적재함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0871939호의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자동차의 적재함 후미의 게이트를 개선하여 리프트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서 적재함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중량체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게이트가 가지는 평면적 보다 부피가 큰 농기계 또는 중량체를 상하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1131382호의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는 통상적으로 작업자의 힘으로 움직이는 핸드카를 구성하는 적재판에 적재된 화물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기구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도록 하는 것은 인정될 수 있으나 농기계와 같이 무게가 많이 나가는 중량체를 쉽게 움직이거나 다른 곳으로의 이동 등에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선행기술에서도 농기계와 같은 중량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지게차와 같은 상하차수단을 이용하거나 상하차수단이 없을 경우에는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지상에서 자동차의 적재함으로 또는 적재함에서 지상으로 상하차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특히 농, 축산 및 어촌의 경우에는 젊은 일손이 없고 노약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실정에서 중량체 장비의 상하차를 위한 인력을 수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중량체 장비의 운반 및 설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후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아웃트리거(20)와; 상기 아웃트리거(20)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승강수단(30)에 유압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유압장치(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지면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까지 경사로를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농기계와 같은 중량체 장비를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차량에 싣고 내릴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는 농기계와 같은 중량체 장비를 일정한 높이까지 쉽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사람의 작업자가 중량체 장비를 짧을 시간 내에 쉽고, 안전하게 화물차의 적재함에 싣고, 내릴 수 있게 되어 중량체 장비의 상하차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는 농기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중량체 장비의 운반을 위하여 화물차의 적재함에 싣고, 내릴 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 범위가 넓은 이점도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리프트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저면에 캐스터 등을 구비하지 않아서 움직이기 쉽지 않은 중량체 장비를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중량체 장비의 상하차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압장치의 유압 공급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 장비를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적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 장비가 적재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화물차 적재함에 적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 일측 상부에 리프트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는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후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아웃트리거(20)와; 상기 아웃트리거(20)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승강수단(30)에 유압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유압장치(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지면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까지 경사로를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부에 농기계와 같은 중량체 장비를 적재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된 프레임을 사각틀 또는 격자 형태로 구성하고, 프레임 구조물 상부에는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요철 강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지지다리(101)를 일체로 설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10)를 들어서 운반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가 야외에 방치된 상태에서 우천시에 베이스플레이트(10)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아웃트리거(20)는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서 전후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20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양단부에서 수납과 인출하는 인서트프레임(202)과; 상기 인서트프레임(20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브라켓(203)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은 각관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양단부에서 수납과 인출(들락날락)하는 인서트프레임(202)의 횡단면 외형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횡단면 내형과 일치하되, 가이드프레임(201) 내부에 끼워진 인서트프레임(202)의 원활한 수납과 인출을 위하여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양측에서 전후로 구비되는 다수의 아웃트리거(20)의 인서트프레임(202)의 배출 길이를 모두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서트프레임(202)의 최대 배출 제한 길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인서트프레임(202)의 외표면에는 거리를 표시하는 눈금(202a)을 페인팅이나 음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프레임(201)의 양단부에 끼워진 인서트프레임(202)의 더욱 정밀하고 부드러운 수납과 인출을 위해서는 인서트프레임(202)의 외표면에 소정 깊이의 요입홈을 형성한 후, 그 요입홈 내부에 롤러 등을 설치하여 인서트프레임(202)의 수납과 인출시에 롤러가 가이드프레임(201)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회전하여 인서트프레임(202)의 수납과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롤러의 설치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쉽게 이해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도면의 도시나 기술적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아웃트리거(20)는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면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부(204)와; 상기 힌지부(204)에서 본체 전후 절첩 가능케 설치된 절첩프레임(205)과; 상기 절첩프레임(205)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브라켓(20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도 4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의 전후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부(204)에 절첩프레임(205)을 절첩 가능케 설치하는 경우에는 절첩프레임(205)을 90°각도로 펼쳐서 베이스플레이트(10)에서 절첩프레임(205)의 길이만큼 외곽으로 확장되게 아웃트리거(20)의 배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동부나, 회동부에 힌지 결합하는 상기 절첩프레임(205)의 일단부에는 절첩프레임(205)이 정확히 90°각도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걸림턱의 설치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쉽게 이해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도면의 도시나 기술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아웃트리거(20)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상기 아웃트리거(20)의 브라켓(203)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실린더(301)와; 상기 실린더(301)에서 하향으로 스트로크하는 피스톤로드(302)의 단부에 핀 결합된 발판(303)을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301)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301)의 하단부에 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아웃트리거(20)의 브라켓(203)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볼트 너트 결합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301)의 직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301) 외부와 브라켓(203) 간에는 U볼트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301)에서 하향으로 피스톤로드(302)의 스트로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203) 중앙에는 중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로드(302)가 중공부를 통과하게 한다.
상기 피스톤로드(302)의 하단부에 발판(303)을 회동 가능케 핀 결합함으로써 평탄하지 못한 지면에도 유연하게 대응하여 긴밀하게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발판(303)의 저면에는 스파이크를 더 구비함으로써 발판(303)에 의한 지면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03)과 발판(303) 사이에는 상기 실린더(301)에서 스트로크하는 피스톤로드(302)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플랙시블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타입의 커버를 더 구비하여 피스톤로드(302)의 오염에 의한 실린더(301)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억제하여 실린더(301)의 고장을 방지함과 아울러 피스톤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로드(302)가 실린더(301) 내부로 완전히 투입된 상태일 때, 피스톤로드(302)의 하단부에 핀 결합된 발판(303)의 저면은 지면에 닿지 않는 일정판 높이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이크와 상기 로드커버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쉽게 이해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도면의 도시나 기술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압장치(40)는 상기 승강수단(30)을 구성하는 실린더(301)에 유압을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탱크와, 유압모터 및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콘트롤밸브를 설치하고, 유압콘트롤밸브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패널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의 조작은 제어패널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제어패널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터컨트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장치(40)와 상기 승강수단(30)을 구성하는 실린더(301)는 유압라인(401)으로 연결함으로써 유압의 공급과 리턴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서 실린더(301)에 설치된 피스톤로드(302)의 스트로크가 이루어짐으로써 피스톤로드(302)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장치(40)에서 상기 승강수단(30)을 구성하는 다수의 실린더(301)로 유압을 공급할 때에는 다수의 실린더(301)에 한꺼번에 유압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실린더(301)에 순차적,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유압장치(40)를 구성하는 유압탱크, 유압모터, 유압콘트롤밸브 및 제어패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쉽게 이해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도면의 도시나 기술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50)는 지면에 위치한 중량체 장비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용이하게 적재하기 위한 경사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50) 간에는 가스댐퍼(502)를 설치함으로써 사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하거나, 지면에 연접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의한 회전 작동시에 적은 힘으로도 천천히 회전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갑작스런 회전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이드플레이트(50)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하는 경우에는 전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중량체 장비를 적재한 상태에서 사이드플레이트(50)를 기립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적재된 중량체 장비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플레이트(50)가 지면에 연접되게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면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까지 경사로를 제공함으로써 저면에 캐스터와 같은 바퀴를 구비한 중량체 장비를 경사로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5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측면이나 후면에 각각 설치하되,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후면의 사이드플레이트(50)는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면의 사이드플레이트(50)를 분할할 형성하는 경우에는 분할된 각각의 사이드플레이트(50)마다 가스댐퍼(50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량체 장비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좀 더 쉽게 적재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고정하는 지주부(601)와; 상기 지주부(601)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케 결합한 암(602)과; 상기 지주부(601)와 암(602)부 간에 설치되어 상기 암(602)을 지지하는 실린더(601)와; 상기 암(60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중량체를 견인하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장치(604)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장치(40)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6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저면에 캐스터와 같은 바퀴가 없는 중량체 장비의 경우에는 유압크레인(60)의 암(602)의 선단부에서 내린 와이어를 이용하여 중량체 장비를 묶은 후 중량체 장비에 저면을 베이스플레이트(1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린 상태에서 유압크레인(60)의 지주부(601) 상단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암(602)을 회전시켜 중량체 장비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로 옮겨서 적재함으로써 중량체 장비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 보다 쉽고 안전하며,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의 사용 방법과 그에 따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를 이용하여 중량체 장비를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중량체 장비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에 위치시킨 후,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설치된 사이드플레이트(50)가 지면과 연접하게 내린다.
사이드플레이트(50)가 지면에 연접하게 내려지면, 사이드플레이트(5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서 중량체 장비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로 밀어올려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적재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중량체 장비의 적재가 완료되면, 앞서 내려진 사이드플레이트(50)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원래 위치로 세워줌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적재된 중량체 장비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이드플레이트(50)의 기립이 완료되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양측에서 전후로 구비된 아웃트리거(20)의 인서트프레임(202)을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후로 동일한 길이만큼 수동으로 인출한다.
인서트프레임(202)의 인출이 완료되면, 유압장치(40)를 이용하여 각 인서트프레임(202)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203)에 각각 설치된 승강수단(30)의 실린더(301)에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각 실린더(301)에 설치된 피스톤로드(302)가 배출된다.
이때, 각 실린더(301)에서 하향으로 배출된 피스톤로드(302)의 하단부에 설치된 발판(303)이 지면에 접지한 상태에서도 유압장치(40)에 의해 실린더(301)에 유압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피스톤로드(302)가 계속 배출됨으로써 그 반작용에 의해 실린더(301)가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실린더(301)와 결합된 브라켓(203)이 일체로 된 인서트프레임(202)에 의해 중량체 장비가 적재된 베이스프레임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피스톤로드(302)가 최대 길이로 배출되면, 중량체 장비가 적재된 베이스프레임은 일정한 높이로 고정된다. 이때, 중량체 장비를 적재한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를 적재할 화물차를 이동시켜 첨부도면 도 10과 같이 화물차의 적재함을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유압장치(40)를 이용하여 실린더(301)에 공급된 유압을 리턴시키면, 실린더(301)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중량체 장비를 적재한 베이스플레이트(10)도 함께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301)로 공급된 유압의 리턴에 의해 하강하던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다리(101)가 화물차의 적재함 상면에 닿으면서 베이스플레이트(10)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실린더(301)에 공급된 유압의 리턴이 계속 이루어지면, 하단부에 설치된 발판(303)이 지면에 닿아있던 피스톤로드(302)가 상승하면서 실린더(301)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하여 유압의 리턴이 완료되면, 피스톤로드(302)의 하단부에 핀 결합된 발판(303)의 저면이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양측에 구비된 아웃트리거(20)의 인서트프레임(202)을 가이드프레임(201) 내부로 투입하면 인서트플레임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승강후단이 화물차의 적재함 내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화물차 적재함의 문을 모두 닫아주면 중량체 장비를 적재한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가 화물차 적재함에 적재된다.
상기와 같이 중량체 장비를 적재한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되면, 화물차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까지 이동한 후, 상기 중량체 장비의 적재 순서와 반대로 진행함으로써 중량체 장비를 원하는 장소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내려 놓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 중량체 장비의 상하차를 위한 장비가 없는 곳에서 농기계와 같은 중량체 장비를 신속하고 간편하며 안전하게 차량에 싣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중량체 장비의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인력으로 중량체 장비의 상하차가 가능케 되어 인력난이 특히 심한, 농가에서의 중량체 장비의 상하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베이스플레이트 101: 지지다리
20: 아웃트리거 201: 가이드프레임
202: 인서트프레임 203: 브라켓
204: 힌지부 205: 절첩프레임
30: 승강수단 301: 실린더
302: 피스톤로드 303: 발판
40: 유압장치 50: 사이드플레이트
501: 경첩 502: 가스댐퍼
60: 유압크레인 601: 지주부
602: 암 603: 실린더
604: 권취장치 70: 화물차
701: 적재함 90: 중량체 장비

Claims (7)

  1. 상부에 적재물을 적재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양측에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후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아웃트리거(20)와;
    상기 아웃트리거(20)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승강수단(30)에 유압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유압장치(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여 지면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까지 경사로를 제공하는 사이드플레이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다수의 지지다리(101)를 설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20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양단부에서 수납과 인출하는 인서트프레임(202)과;
    상기 인서트프레임(20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브라켓(2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면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부(204)와;
    상기 힌지부(204)에서 본체 전후 절첩 가능케 설치된 절첩프레임(205)과;
    상기 절첩프레임(205)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브라켓(2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아웃트리거(20)의 브라켓(203)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실린더(301)와;
    상기 실린더(301)에서 하향으로 스트로크하는 피스톤로드(302)의 단부에 핀 결합된 발판(3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측면에 경첩(501)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50) 간에는 가스댐퍼(50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고정하는 지주부(601)와; 상기 지주부(601)의 상단부에서 회전 가능케 결합한 암(602)과; 상기 지주부(601)와 암(602)부 간에 설치되어 상기 암(602)을 지지하는 실린더(601)와; 상기 암(60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중량체를 견인하는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장치(604)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장치(40)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크레인(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KR1020150026611A 2015-02-25 2015-02-25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KR20160103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11A KR20160103793A (ko) 2015-02-25 2015-02-25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11A KR20160103793A (ko) 2015-02-25 2015-02-25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93A true KR20160103793A (ko) 2016-09-02

Family

ID=5694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11A KR20160103793A (ko) 2015-02-25 2015-02-25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37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3229A (zh) * 2017-12-08 2018-04-27 成都天麒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运载装置
KR102083648B1 (ko) * 2018-09-20 2020-03-02 주식회사 성원이엔지 차량 리프팅 장치
CN115930029A (zh) * 2022-11-11 2023-04-07 安徽阿莫斯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子母式清淤车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39B1 (ko) 2007-09-27 2008-12-08 김성욱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1131382B1 (ko) 2009-02-23 2012-04-03 대경정공(주)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39B1 (ko) 2007-09-27 2008-12-08 김성욱 탈부착이 가능한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1131382B1 (ko) 2009-02-23 2012-04-03 대경정공(주)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3229A (zh) * 2017-12-08 2018-04-27 成都天麒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运载装置
KR102083648B1 (ko) * 2018-09-20 2020-03-02 주식회사 성원이엔지 차량 리프팅 장치
CN115930029A (zh) * 2022-11-11 2023-04-07 安徽阿莫斯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子母式清淤车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1062A (e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US7100896B1 (en) Shipping container handling system
US11319172B2 (en) Trailer stabilizer and leveler
US6474929B1 (en) Linear incline lift and dump device
US20050042068A1 (en) Forklift with stabilizing forks
US9221501B2 (en) Platform system for a cargo compartment of a truck, lorry or trailer
US20090272953A1 (en) Lift apparatus
KR20020025962A (ko) 컨테이너 취급 장치 또는 크래들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US20070071586A1 (en) System for load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CA2421446A1 (en) Trailer with hoist for container and the like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JP3877755B2 (ja) 搬送物の搬送装置、これを用いた輸送容器からの搬送物の搬出方法、及び輸送容器への搬送物の搬入方法
JPH06340236A (ja) 車両昇降移送装置付運搬車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JP2020158040A (ja) 荷搬送作業車
WO2008038048A1 (en) Storing and tipping apparatus
JP2020189714A (ja) 荷搬送作業車
WO1995032917A1 (en) Load transport vehicles
JP2016022869A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CN212954172U (zh)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喷塑产品装载用合力叉车
EP3208175A1 (en) Pallet truck with retractable side-loading system
KR101577975B1 (ko) 적재이동장치
US20220380150A1 (en) Agricultural product lift for a transport vehicle
JP4364549B2 (ja) コンテナ運搬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