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75B1 - 적재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적재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75B1
KR101577975B1 KR1020130128265A KR20130128265A KR101577975B1 KR 101577975 B1 KR101577975 B1 KR 101577975B1 KR 1020130128265 A KR1020130128265 A KR 1020130128265A KR 20130128265 A KR20130128265 A KR 20130128265A KR 101577975 B1 KR101577975 B1 KR 101577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atching
loading
lift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359A (ko
Inventor
최지현
성백섭
차용훈
Original Assignee
최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현 filed Critical 최지현
Priority to KR102013012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는 운반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로서, 바닥판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운반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결합부재가 장착된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가 구비된 본체부;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승강판과 제 2 승강판이 구비된 승강부; 제 1 승강판에 설치되고, 제 2 승강판에 연결되어, 제 2 승강판이 제 1 승강판을 향하도록 제 2 승강판을 끌어올리는 윈치부; 제 2 승강판과 함께 이동되도록 제 2 승강판에 결합되어 물건이 적재되는 제 1 적재부재 및 제 2 적재부재, 제 1 적재부재에 결합되어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와, 제 2 적재부재에 결합되어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물건적재부; 및 제 1 승강판에 설치되고, 물건적재부에 적재된 물건에 연결되어, 물건이 물건적재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고, 제1적재부재는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적재걸림축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제 1 걸림수직판과, 제 1 걸림수직판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제 1 수평지그판이 마련되고, 제 2적재부재는 적재걸림축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제 2 걸림수직판과, 제 2 걸림수직판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제 2 수평지그판이 마련되고,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제 1 수평지그판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1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제 1 수평지그판과 볼팅결합되는 제 1 탈착판과, 제 1 탈착판에 대해 L형 구조로 연장되고 , 제 1 걸림수직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걸림수직판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제 1 수평지그판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이탈방지판이 구비되고,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제 2 수평지그판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2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제 2 수평지그판과 볼팅결합되는 제 2 탈착판과, 제 2 탈착판에 대해 L형 구조로 연장되고 , 제 2 걸림수직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걸림수직판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제 2 수평지그판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적재이동장치{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GOODS}
본 발명은 농산물 기타 물건 등의 적재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농기구 또는 농산물과 같은 물건을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트레일러로 용이하게 하역시킬 수 있는 적재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098998호에는 핸들이 구비된 폴딩타입 수직저장 트레일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098998호에 개시된 트레일러는 트레일러가 운송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박스형 구조를 가진 물건 수용 부재만 개시되어 있을 뿐, 박스형 구조를 가진 물건 수용 부재에 농기구를 쉽게 적재하기 위한 구조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종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 트레일러에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트레일러의 물건 수용 부재에 물건을 넣어야 하는데, 산업의 발달로 인해 농업의 고령화 추세에 비추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물건 수용 부재로 크기가 작은 농기구라도 넣는 것도 작업자에게 육체적으로 무리를 주는 상황이다.
아울러, 산업의 발달로 인해 농업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농사를 짓는데 사용되는 농업기계의 진보적 발달이 있었는 바, 농부들이 농사를 짓는 데에는 다양한 농업기계들이 사용된다. 농업에 사용되는 농업기계는 대체적으로 고가인 관계로, 논, 밭, 과수원 등 개방된 곳에 보관하기에는 도난의 위험이 존재하는 바, 농업기계의 사용자인 농부는 농업기계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보관창고에서 논, 밭, 또는 과수원과 같은 농사장소로 농업기계를 운반해야 하는데, 이러한 농업기계를 이용하는 도구로서 트레일러와 같은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상술했듯이 종래기술에 따른 트레일러는 박스형 구조를 가지는 물건 수용 부재의 측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농업기계를 들어올려 놓아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으로 60대 또는 여성 농어민 1인이 200kg 이내의 농산물더미, 농기구 또는 수래 등을 트레일러에 싣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트레일러로 무거운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물건을 용이하게 하역시킬 수 있게 하는 적재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는 운반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로서, 바닥판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운반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결합부재가 장착된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가 구비된 본체부;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승강판과 제 2 승강판이 구비된 승강부; 제 1 승강판에 설치되고, 제 2 승강판에 연결되어, 제 2 승강판이 제 1 승강판을 향하도록 제 2 승강판을 끌어올리는 윈치부; 제 2 승강판과 함께 이동되도록 제 2 승강판에 결합되어 물건이 적재되는 제 1 적재부재 및 제 2 적재부재, 제 1 적재부재에 결합되어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와, 제 2 적재부재에 결합되어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물건적재부; 및 제 1 승강판에 설치되고, 물건적재부에 적재된 물건에 연결되어, 물건이 물건적재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고, 제1적재부재는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적재걸림축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제 1 걸림수직판과, 제 1 걸림수직판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제 1 수평지그판이 마련되고, 제 2적재부재는 적재걸림축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제 2 걸림수직판과, 제 2 걸림수직판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제 2 수평지그판이 마련되고,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제 1 수평지그판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1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제 1 수평지그판과 볼팅결합되는 제 1 탈착판과, 제 1 탈착판에 대해 L형 구조로 연장되고 , 제 1 걸림수직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걸림수직판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제 1 수평지그판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이탈방지판이 구비되고,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제 2 수평지그판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2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제 2 수평지그판과 볼팅결합되는 제 2 탈착판과, 제 2 탈착판에 대해 L형 구조로 연장되고 , 제 2 걸림수직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걸림수직판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제 2 수평지그판에 적재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부는, 한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승강판; 제 1 승강판과 바닥판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승강판; 일단이 제 1 승강판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승강판의 상부면에 연결된 승강작동부재; 및 제 2 승강판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승강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승강작동부재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치부는, 제 1 승강판의 상부면에 결합된 풀리지지부재; 풀리지지부재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풀리; 일단이 제 1 풀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제 1 체인; 및 일단이 제 2 풀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제 2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제 1 탈착판의 하부면에 설치된 제 1 판바퀴를 더 포함하고,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제 2 탈착판의 하부면에 설치된 제 2 판바퀴를 더 포함하여, 물건적재부에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부는 하부가 제 1 승강판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고정부재; 일단이 상부고정부재의 상단에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지지바; 상부고정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일단이 제 1 지지바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지지바; 및 제 2 지지바의 타단에 설치되고, 물건적재부에 적재된 물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물건의 물건적재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물건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건걸림부재는 갈고리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건걸림부재는 8자형 고리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계적힘으로 이용하여 물건을 트레일러로 또는 트레일러로부터 용이하게 하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는 작업자가 트레일러로 무거운 물건을 싣거나 내릴 때, 작업자가 무거운 물건을 일일히 들어올려 트레일러로 옮겨놓던가 트레일러에 적재된 물건을 하역할 필요없이, 승강부, 윈치부와 물건적재부를 이용하여 기계적힘으로 대략 200kg 정도의 무거운 물건이라도 용이하게 승강시켜 트레일러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포대와 같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물건이라도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와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에 의해 물건이 지지되고, 크레인부가 물건적재부에 안착된 물건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가 운반차에 설치된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의 후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적재이동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적재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적재부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100)는 본체부(110), 승강부(120), 윈치부(130), 물건적재부(140) 및 크레인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운반차(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바닥판(111),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 및 탈착결합부재(1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판(111)의 하부에는 한 쌍의 바퀴(111a, 111b)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100)는 바닥판(111) 하부에 설치된 바퀴(111a, 111b)에 의해, 운반차(10)에 의해 별도로 운반될 필요없이 운반차(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적재이동장치(100)는 본체부(110)를 끌고 갈 수 있는 정도의 구동력을 가진 운반차(10)라면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판(111)의 상부에는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가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를 마주보게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는 H형 형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의 일면에는 탈착결합부재(115)가 설치된다. 여기서, 탈착결합부재(115)는 운반차(10)에 설치된 걸림부재(미도시)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탈착결합부재(115)는 본체부(110)와 운반차(1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에는 승강부(120)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120)는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에 연결되어, 후술할 물건적재부(140)의 위치가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의 높이 방향을 따라 가변가능하도록 물건적재부(140)를 승강시키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120)는 제 1 승강판(121), 제 2 승강판(122), 승강작동부재(123) 및 승강구동부재(1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승강판(121)은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승강판(121)은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승강판(121)에는 후술할 윈치부(130)와 크레인부(15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승강판(122)은 제 1 승강판(121)과 바닥판(111)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승강판(122)은 제 1 승강판(121)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승강판(122)에는 승강작동부재(123)와 승강구동부재(124)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승강판(122)에는 물건적재부(140)가 연결된다. 물건적재부(14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작동부재(123)는 제 1 승강판(121)과 제 2 승강판(122)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작동부재(1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 1 승강판(121)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승강판(122)의 상부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승강작동부재(123)의 타단은 제 2 승강판(122)의 하부에 설치된 승강구동부재(124)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구동부재(124)는 조작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구동 또는 구동정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작동부재(123)는 승강구동부재(124)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하왕복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승강작동부재(123)로는 실린더-피스톤 구조를 예로들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작동부재(123)의 작동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승강작동부재(123)를 승강실린더(123a)와 승강피스톤(123b)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실린더(123a)는 하단이 제 2 승강판(122)을 관통하여 바닥판(111)에 설치된 승강구동부재(12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실린더(123a)는 바닥판(111)에 고정된 승강구동부재(124)에 연결됨으로써, 승강실린더(123a)의 하단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실린더(123a)의 상단에는 승강피스톤(123b)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승강피스톤(123b)은 하단이 상기 승강실린더(123a)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23a)에 연결된다. 그리고, 승강피스톤(123b)은 상단이 제 1 승강판(121)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피스톤(123b)은 승강구동부재(124)를 통해 승강실린더(123a)로 제공된 유압에 의해, 바닥판(111)에 대해 제 1 승강판(121)을 들어올리도록 작동되고, 이때, 즉, 승강작동부재(123)의 작동에 의해 제 1 승강판(121)은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를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피스톤(123b)은 승강구동부재(124)의 작동시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의 높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구동부재(124)의 작동시, 제 1 승강판(121)이 승강작동부재(123)에 의해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제 2 승강판(122)은 윈치부(130)에 의해 제 1 승강판(121)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로 이동된다. 이는 제 2 승강판(122)이 윈치부(130)의 제 1 체인(137)과 제 2 체인(138)에 의해 제 1 승강판(121)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치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치부(130)는, 풀리지지부재(131), 제 1 풀리(133), 제 2 풀리(134), 제 1 체인(137)과 제 2 체인(13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치부(130)는 풀리지지부재(131)가 제 1 승강판(121)에 설치되고, 제 1 체인(137)과 제 2 체인(138)에 의해 제 2 승강판(122)에 연결되어, 제 1 승강판(121)과 제 2 승강판(122)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풀리지지부재(131)는 제 1 승강판(121)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풀리지지부재(131)의 양단에는 각가 제 1 풀리(133)와 제 2 풀리(13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풀리(133) 및 제 2 풀리(134)는 풀리지지부재(131)에 마련된 풀리회전축(13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풀리(133)와 제 2 풀리(134)는 일부분이 제 1 승강판(121)에 마련된 개구(121a)에 삽입되게 위치되어, 풀리회전축(13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풀리(133)에는 제 1 체인(137)이 연결되고, 제 2 풀리(134)에는 제 2 체인(138)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체인(137)은 일단이 제 1 풀리(13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승강판(12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체인(138)은 일단이 제 2 풀리(134)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승강판(12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체인(137)과 제 2 체인(138)은 승강부(120)의 승강운동방향에 따라 제 1 풀리(133) 및 제 2 풀리(134)에 감겨지거나, 또는 제 1 풀리(133) 및 제 2 풀리(134)에서 각각 풀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100)는 제 1 체인(137)과 제 2 체인(138)의 길이를 제한함으로써, 제 2 승강판(122)의 낙하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승강판(122)의 승강운동시 제 2 승강판(122)과 함께 움직이는 물건적재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적재부(140)는 물건이 적재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건적재부(140)는 승강부(120) 및 윈치부(130)의 작동시 바닥판(111)에 대해 1m 내지 1.8m 범위 내에서 승강운동하면서, 물건적재부(140)에 적재된 물건을 트레일러(미도시)의 물건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적재부(140)는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113, 114)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승강판(122)의 전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건적재부(140)는 물건적재지지부재(141), 적재걸림축(142), 제 1 적재부재(145), 제 2 적재부재(146),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147) 및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건적재지지부재(141)는 제 2 승강판(122)의 전면에 볼팅결합된다. 물건적재지지부재(141)에는 적재걸림축(142)이 설치된다. 여기서, 적재걸림축(142)은 제 2 승강판(122)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재걸림축(142)에는 제 1 적재부재(145), 제 2 적재부재(146)와 간격제한부재(143)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적재부재(145)는 제 1 걸림수직판(145a)과 제 1 수평지그판(145b)이 L형 구조로 일체형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수평지그판(145b)은 제 1 걸림수직판(145a)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것으로서, 물건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 1 걸림수직판(145a)에는 적재걸림축(142)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적재부재(145)에는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147)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147)는 후술할 제 2 적재부재(146)에 설치된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와 더불어 제 1 적재부재(145)와 제 2 적재부재(146)에 적재된 물건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적재된 물건이 물건적재부(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147)는 제 1 탈착판(147a)과 제 1 이탈방지판(147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탈착판(147a)과 제 1 이탈방지판(147b)은 L형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탈착판(147a)은 제 1 수평지그판(145b)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 1 탈착판(147a)에는 제 1 수평지그판(145b)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1 가이드홈(147c)이 마련된다. 제 1 탈착판(147a)은 제 1 수평지그판(145b)에 대해 볼팅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100)는 물건이 물건적재부(140)에 적재된 상태에서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 1 탈착판(147a)의 하부면에 설치된 제 1 판바퀴(147e)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이탈방지판(147b)은 제 1 탈착판(147a)에 대해 직교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147)는 제 1 이탈방지판(147b)이 제 1 걸림수직판(145a)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걸림수직판(145a)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 1 걸림수직판(145a)과 제 1 이탈방지판(147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적재부재(146)는 제 1 적재부재(145)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적재걸림축(142)에 설치되어, 제 1 적재부재(145)와 함께 적재된 물건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적재부재(146)는 제 2 걸림수직판(146a)과 제 2 수평지그판(146b)이 L형 구조로 일체형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수평지그판(146b)은 제 2 걸림수직판(146a)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것으로서, 물건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제 2 걸림수직판(146a)에는 적재걸림축(142)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적재부재(146)에는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는 후술할 제 2 적재부재(146)에 설치된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와 더불어 제 2 적재부재(146)와 제 2 적재부재(146)에 적재된 물건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적재된 물건이 물건적재부(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는 제 2 탈착판(148a)과 제 2 이탈방지판(148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탈착판(148a)과 제 2 이탈방지판(148b)은 L형 구조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탈착판(148a)은 제 2 수평지그판(146b)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 2 탈착판(148a)에는 제 2 수평지그판(146b)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2 가이드홈(148c)이 마련된다. 제 2 탈착판(148a)은 제 2 수평지그판(146b)에 대해 볼팅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100)는 물건이 물건적재부(140)에 적재된 상태에서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 2 탈착판(148a)의 하부면에 설치된 제 2 판바퀴(148e)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이탈방지판(148b)은 제 2 탈착판(148a)에 대해 직교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는 제 2 이탈방지판(148b)이 제 2 걸림수직판(146a)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걸림수직판(146a)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제 2 걸림수직판(146a)과 제 2 이탈방지판(148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간격제한부재(143)는 제 1 적재부재(145)와 제 2 적재부재(146) 사이의 설치간격을 제한하는 부재이다. 간격제한부재(143)는 제 1 적재부재(145)와 제 2 적재부재(146) 사이에서 적재걸림축(142)에 설치된다. 간격제한부재(143)는 물건적재지지부재(141)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부(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부(150)는 제 1 승강판(121)에 설치되고, 물건적재부(140)에 적재된 물건에 연결되어, 물건이 물건적재부(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부(150)는 상부고정부재(151), 제 1 지지바(153), 제 2 지지바(155) 및 물건걸림부재(15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부재(151)는 제 1 승강판(121)에 설치되어, 물건걸림부재(157)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부고정부재(151)는 제 1 승강판(121)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부고정부재(151)의 상단에는 제 1 지지바(153)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바(153)의 일단은 제 1 축(153a)에 의해 상부고정부재(151)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지지바(153)의 타단에는 제 2 축(153b)이 설치된다. 제 1 지지바(153)는 상부고정부재(151)에 대해 접혔다 펴졌다 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지지바(153)의 타단에는 제 2 지지바(155)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지지바(155)의 일단은 제 2 축(153b)에 소정의 각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지지바(155)의 타단에는 물건걸림부재(157)가 설치된다.
물건걸림부재(157)는 물건적재부(140)에 적재된 물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물건의 물건적재부(14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걸림부재(157)는 갈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건걸림부재(157)는 도면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8자형 고리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이동장치(100)는 작업자가 무거운 물건을 일일히 들어올려 트레일러에 옮길 필요없이, 대략 200kg 정도의 무거운 물건이라도 승강부(120), 윈치부(130)와 물건적재부(140)를 통해 승강시켜 트레일러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곡물포대와 같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물건이라도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147)와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148)에 의해 물건이 지지되고, 아울러, 크레인부(150)가 물건적재부(140)에 안착된 물건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적재이동장치
110: 본체부 111: 바닥판
113, 114: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 120: 승강부
121: 제 1 승강판 122: 제 2 승강판
123: 승강작동부재 124: 승강구동부재
130: 윈치부 131: 풀리지지부재
133: 제 1 풀리 134: 제 2 풀리
137: 제 1 체인 138: 제 2 체인
140: 물건적재부 142: 적재걸림축
143: 간격제한부재 145: 제 1 적재부재
146: 제 2 적재부재 147: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
148: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 150: 크레인부
151: 상부고정부재 153: 제 1 지지바
155: 제 2 지지바 157: 물건걸림부재

Claims (10)

  1. 운반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재이동장치에 있어서,
    바닥판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상기 운반차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결합부재가 장착된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승강판과 제 2 승강판이 구비된 승강부;
    상기 제 1 승강판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승강판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승강판이 상기 제 1 승강판을 향하도록 상기 제 2 승강판을 끌어올리는 윈치부;
    상기 제 2 승강판과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제 2 승강판에 결합되어 물건이 적재되는 제 1 적재부재 및 제 2 적재부재, 상기 제 1 적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제 2 적재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물건적재부; 및
    상기 제 1 승강판에 설치되고, 상기 물건적재부에 적재된 물건에 연결되어, 상기 물건이 상기 물건적재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적재부재는 상기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적재걸림축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제 1 걸림수직판과, 상기 제 1 걸림수직판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제 1 수평지그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 2적재부재는 상기 적재걸림축에 걸리는 걸림고리가 마련된 제 2 걸림수직판과, 상기 제 2 걸림수직판으로부터 직교되게 연장된 제 2 수평지그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1 수평지그판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1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수평지그판과 볼팅결합되는 제 1 탈착판과,
    상기 제 1 탈착판에 대해 L형 구조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걸림수직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수직판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 1 수평지그판에 적재된 상기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이탈방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2 수평지그판의 테두리부분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진 제 2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수평지그판과 볼팅결합되는 제 2 탈착판과,
    상기 제 2 탈착판에 대해 L형 구조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걸림수직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걸림수직판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 2 수평지그판에 적재된 상기 물건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한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 1 승강판;
    상기 제 1 승강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레일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 2 승강판;
    일단이 상기 제 1 승강판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승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바닥판에 인접하게 위치된 승강작동부재; 및
    상기 제 2 승강판의 하부에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작동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작동부재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제 1 승강판의 상부면에 결합된 풀리지지부재;
    상기 풀리지지부재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풀리;
    일단이 상기 제 1 풀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제 1 체인; 및
    일단이 상기 제 2 풀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승강판에 연결된 제 2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1 탈착판의 하부면에 설치된 제 1 판바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부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 2 탈착판의 하부면에 설치된 제 2 판바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건적재부에 상기 물건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하부가 상기 제 1 승강판의 상부면에 결합된 상부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상부고정부재의 상단에 각도조정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지지바;
    상기 상부고정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바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지지바; 및
    상기 제 2 지지바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물건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물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물건의 상기 물건적재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물건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건걸림부재는 갈고리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건걸림부재는 8자형 고리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이동장치.
KR1020130128265A 2013-10-28 2013-10-28 적재이동장치 KR10157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65A KR101577975B1 (ko) 2013-10-28 2013-10-28 적재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65A KR101577975B1 (ko) 2013-10-28 2013-10-28 적재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59A KR20150048359A (ko) 2015-05-07
KR101577975B1 true KR101577975B1 (ko) 2015-12-16

Family

ID=5338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265A KR101577975B1 (ko) 2013-10-28 2013-10-28 적재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11B1 (ko) * 2019-03-27 2019-12-20 정정오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41Y1 (ko) 2005-10-10 2006-01-11 강희수 전동식 물품 운반구
JP2009256060A (ja) 2008-04-18 2009-11-05 Salute:Kk リフト装置
KR101307979B1 (ko) * 2013-02-13 2013-09-13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608A (ko) * 2010-07-15 2012-01-25 대우버스(주) 버스 매트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41Y1 (ko) 2005-10-10 2006-01-11 강희수 전동식 물품 운반구
JP2009256060A (ja) 2008-04-18 2009-11-05 Salute:Kk リフト装置
KR101307979B1 (ko) * 2013-02-13 2013-09-13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11B1 (ko) * 2019-03-27 2019-12-20 정정오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359A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5953A (en) Adaptable conveyor for man-loaded cargos
US20060245878A1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torage container with respect to a transport veh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US9371217B1 (en) Large wheeled, hand operated forklift
CN104837761A (zh) 用于将油布放置到装载物上的***和方法
CA3084774A1 (en) Inclination-adjustable cart apparatus
JP6903768B2 (ja) 貨物積載システム
US10556783B2 (en) Forklift adapter
CN110668362B (zh) 一种折叠式叉吊两用的手动叉车
US10112805B1 (en) Pallet-pulling device
US20050254925A1 (en) Lift apparatus for an all-terrain vehicle
US20070031231A1 (en) Gas cylinder lift
US20170355575A1 (en) Cargo container crane
KR101577975B1 (ko) 적재이동장치
KR101422672B1 (ko)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KR102188659B1 (ko) 핸드 파렛트 트럭용 전도방지장치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US6247887B1 (en) Apparatus for handling articles
US20150003946A1 (en) Platform for order picker
US2702645A (en) Lift truck
AU2013100010A4 (en) Hook Lift Module with Adjustable Locking Devices
KR20190013274A (ko) 차량용 자동 하역장치
KR101345612B1 (ko) 차량 탑재용 화물 리프팅장치
US6619905B2 (en) Drum handling device
US20130084152A1 (en) Container Loa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