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726A - 차량용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726A
KR20160077726A KR1020140187997A KR20140187997A KR20160077726A KR 20160077726 A KR20160077726 A KR 20160077726A KR 1020140187997 A KR1020140187997 A KR 1020140187997A KR 20140187997 A KR20140187997 A KR 20140187997A KR 20160077726 A KR20160077726 A KR 20160077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attern
light sources
vehicle
light sourc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726A/ko
Publication of KR2016007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광원 모듈; 상기 로우빔 패턴과 중첩되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빔 패턴보다 원거리의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제2 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개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장치{A lamp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의 일부를 로우빔 패턴에 중첩시켜 운전자의 도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에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램프로서,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빛이 조사되는 로우빔(하향빔)과 차량 전방의 원거리까지 빛이 조사되는 하이빔(상향빔)을 동시 또는 따로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것이 차량 전방의 근거리 및 원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운행에 가장 안전한 방법이지만, 하이빔은 마주오는 대항 차량의 운전자 또는 마주오는 보행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여 명순응 및 암순응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시야를 확보할 수 없도록 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의 도로 시인성을 높여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차량 전방의 영상 이미지 등으로부터 대항 차량, 선행 차량, 보행자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 보행자 등이 위치하는 곳에는 하이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램프 조사각을 변화시키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Adaptive drive beam, ADB) 기술 및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곡선로 주행할 때, 차량용 헤드 램프는 곡선로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이동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주는 다이내믹 벤딩 라이트(Dynamic Bending Lighting)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헤드 램프를 별도의 기계적 구조를 사용하여 상하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ADB 기능 및 DBL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생산 비용 및 소모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의 일부를 로우빔 패턴에 중첩시켜 운전자의 도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광원 모듈; 상기 로우빔 패턴과 중첩되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빔 패턴보다 원거리의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제2 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개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을 온/오프(ON/OFF)하거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곡선로를 주행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상기 곡선로에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온(ON)되거나 광도가 증가되는 상기 제1 광원의 개수는, 상기 곡선로의 곡률에 비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대향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광원을 오프(OFF)시키거나 광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제1 광원과 상기 복수의 제2 광원은 횡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로우빔 패턴에는, 컷-오프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빔 패턴은, 상기 컷-오프 라인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2 빔 패턴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1 빔 패턴이 스팟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하이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하이빔 패턴의 일부를 로우빔 패턴에 중첩시켜 로우빔 패턴을 보강,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DBL) 기능 등을 수행하고, 하이빔 패턴의 나머지를 ADB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도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제2 광원 모듈과 컨트롤러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시,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대향 차량에 따른 암영대가 나타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스팟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1)는, 차량(2)의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차량(2)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차량용 램프 장치(1)는 차량(2)의 주행 상태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로우빔 패턴(P1, 도 4 참조)이나 하이빔 패턴(P2, P3, 도 4 참조)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 장치(1)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은 차량(2)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장치(1)는, 전술한 로우빔 패턴(P1) 및 하이빔 패턴(P2, P3)을 형성하는 램프와 더불어 포지션 램프나 턴 시그널 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램프가 함께 포함될 수도 있으며, 로우빔 패턴(P1) 및 하이빔 패턴(P2, P3)을 형성하는 램프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램프에서 로우빔 패턴(P1) 및 하이빔 패턴(P2, P3)을 함께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의 제2 광원 모듈과 컨트롤러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광원 모듈(110), 제2 광원 모듈(120) 및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램프 장치(1)는 감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전술한 도 1과 같이 차량(2, 도 1 참조)의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된 차량용 램프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서, 설치 방향 등에서 일부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다른 하나도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광원 모듈(110)은, 차량(2, 도 1 참조)의 전방 근거리로 광을 조사하여 로우빔 패턴(P1)을 형성한다.
제2 광원 모듈(120)은, 로우빔 패턴(P1, 도 4 참조)과 중첩되는 제1 빔 패턴(P2, 도 4 참조)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광원(121a~121e, 도 3 참조)과, 제1 광원(121a~121h)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1 빔 패턴(P2)보다 원거리의 제2 빔 패턴(P3, 도 4 참조)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광원(122a~122e,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및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은 횡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제1 광원(121a~121h)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횡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전체적으로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컨트롤러(200)와 개별적인 체널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컨트롤러(200)에 의해 온/오프(ON/OFF)되거나 광도 등이 개별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광원(121a~121h)보다 원거리의 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제2 빔 패턴(P3)이 제1 빔 패턴(P2)보다 차량(2, 도 1 참조)의 원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감지부(300)에서 입력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광원 모듈(110)과 제2 광원 모듈(120)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과 개별적으로 연결된 체널을 통해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을 개별 온/오프 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각각의 제1 광원(121a~121h)과 제2 광원(122a~122h)의 광도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감지부(300)는, 차량(2, 도 1 참조)이 주행 중인 도로의 관한 정보, 차량(2, 도 1 참조)의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 또는 대향 차량에 관한 정보, 차량의 주변 기후에 관한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는, 차량(2, 도 1 참조)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헤드 램프 또는 테일 램프의 폭이나 헤드 램프 또는 테일 램프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 등을 기초로 선행 차량 또는 대향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는, 스티어링의 회전각도, 네비게이션 등으로부터 도로 정보를 얻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300)는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 중인지, 차량이 곡선 도로를 주행 중인지, 차량이 시가지를 주행 중인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1 빔 패턴(P2), 제2 빔 패턴(P3) 및 로우빔 패턴(P1)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각 빔 패턴 중 일정 이상의 조도를 가지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각 패턴의 경계가 서로 중첩되게 나타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1, 도 3 참조)의 제1 광원 모듈(110)은 근거리 시야용의 로우빔 패턴(P1)을 형성하고, 제2 광원 모듈(120)은 원거리 시야용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의 위치는 도 4에 표시된 메트릭스 구조의 제1 빔 패턴(P2)에 대응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의 위치는 도 4에 표시된 메트릭스 구조의 제2 빔 패턴(P3)에 대응된다.
제2 광원 모듈(120)에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은 로우빔 패턴(P1)과 중첩되는 제1 빔 패턴(P2)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빔 패턴(P2)은 로우빔 패턴(P1)의 컷-오프 라인의 하측에 형성되어 로우빔 패턴(P1)과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에서 조사된 제1 빔 패턴(P2)이 로우빔 패턴(P1)과 중첩됨으로써, 로우빔 패턴(P1)의 보강되어 차량(2, 도 1 참조)의 근거리 시인성이 향상된다. 다만, 컨트롤러(200)는 로우빔 패턴(P1)에 관한 배광 법규를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제1 빔 패턴(P2)이 중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서 제1 빔 패턴(P2)은 횡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빔 패턴(P2)은 횡으로 2열 이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광원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는 제1 빔 패턴(P2)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과 개별적인 체널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을 개별적으로 온/오프하거나 광도를 조절한다.
제2 광원 모듈(120)에서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은 제1 빔 패턴(P2)보다 원거리의 제2 빔 패턴(P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빔 패턴(P3)은 대체적으로 대체적으로 로우빔 패턴(P1)의 컷-오프 라인의 상측에 형성된다.
다만, 제2 빔 패턴(P3)의 일부는 로우빔 패턴(P1)의 상단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빔 패턴(P3)의 일부는 로우빔 패턴(P1)의 컷-오프 라인 중 운전자의 눈 높이에 대응하는 수평 라인(H)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근거리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빔 패턴(P3)은 횡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빔 패턴(P3)은 횡으로 2열 이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200)는 제2 빔 패턴(P3)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과 개별적인 체널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을 개별적으로 온/오프하거나 광도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램프 장치는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컨트롤러(200)가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및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을 제어하여 형성하는 다양한 빔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차량이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곡선로에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00)는 차량이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우측 방향에 배치도니 적어도 하나의 광원(121a~121c)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0)는 차량이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좌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121f~121h)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차량이 곡선로를 주행시, 컨트롤러에 의해 온(ON)되거나 광도가 증가되는 제1 광원의 개수는, 곡선로의 곡률에 비례한다. 따라서, 곡선로의 곡률이 클 경우, 컨트롤러(200)에 의해 온(ON)되거나 광도가 증가되는 제1 광원의 개수는 증가한다. 예를 들면, 우측 곡선로의 곡률이 클 때, 차량용 램프 장치가 우측 곡선로에 비쳐야 할 공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200)에 의해 온(ON)되거나 광도가 증가되는 제1 광원의 개수가 증가할 때, 차량용 램프 장치가 우측 곡선로에 비출수 있는 영역이 증가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 도 2 참조)는 차량(2, 도 1 참조)이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e, 도 3 참조) 중 우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21a~121d)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00)는 차량(2)이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광원(121a)을 온(ON)하거나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광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차량(2)의 주행 방향으로 추가적인 배광 패턴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용이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 도 2 참조)는 우측 곡선로의 곡률 반경이나,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우회전 각도 등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곡률 반경이 작거나 회전 각도 큰 경우, 차량용 램프 장치(1, 도 1 참조)가 차량(2)의 우측의 시인성을 확보해야 하는 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우측에 배치된 제1 광원(121a~121d) 중 온(ON)되는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2)이 곡률반경이 큰 우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광원(121a)과 상기 제1 광원(121a)의 좌측에 배치된 제1 광원(121b)을 온(ON)하거나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광도를 증가시킨다.
도 6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차량(2)이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좌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21e~121h)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00)는 차량(2)이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광원(121h)을 온(ON)하거나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광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차량(2)의 주행 방향으로 추가적인 배광 패턴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용이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는 좌측 곡선로의 곡률 반경이나,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좌회전 각도 등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곡률 반경이 작거나 회전 각도 큰 경우, 차량용 램프 장치(1)가 차량(2)의 우측의 시인성을 확보해야 하는 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좌측에 배치된 제1 광원(121e~121h) 중 온(ON)되는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2)이 곡률반경이 큰 좌측 곡선로를 주행시,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광원(121h)과 상기 제1 광원(121h)의 우측에 배치된 제1 광원(121g)을 온(ON)하거나 공급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광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 장치(1)는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을 별도 기계적 구조를 통한 움직임 없이 DBL(Dynamic Bendin Ligh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시,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대향 차량에 따른 암영대가 나타나는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2)이 고속도로나 상당 부분 직선 구간이 유지되는 도로를 주행시, 차량(2)은 고속으로 주행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여야 장애물이나 선행 차량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 장치(1, 도 1 참조)는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로우빔 패턴(P1)과 함께 하이 빔 패턴인 제2 빔 패턴(P3)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 장치(1, 도 1 참조)는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로우빔 패턴(P1), 제1 빔 패턴(P2) 및 제2 빔 패턴(P3)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200, 도 2 참조)는 원거리 시야의 제2 빔 패턴(P3)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제2 광원(122a~122e, 도 3 참조)을 온(ON)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복수의 제2 광원(122a~122e, 도 3 참조)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2 빔 패턴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하이 빔 패턴인 제2 빔 패턴(P3)은 선행 차량 또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감지부(300, 도 2 참조)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행 차량 또는 대향 차량을 감지할 때, 선행 차량 또는 대향 차량에 대응되는 제2 광원(122b, 122c)을 오프 시키거나 광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200)는 대향 차량이 제2 빔 패턴(P3) 영역으로 들어올 때, 해당되는 제2 광원(122b, 122c)을 오프 시켜 암영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램프 장치(1, 도 1 참조)는 대향 차량의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근거리 및 원거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램프 장치(1, 도 1 참조)는 복수의 제2 광원(122a~122h)을 별도 기계적 구조를 통한 움직임 없이ABD(Adaptive drive beam)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스팟 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 도 2 참조)는, 복수의 제1 광원(121d~121e, 도 3 참조) 중 일부를 운전자의 주시 영역으로 조사하여 스팟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00)는, 상기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도 3 참조) 중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121d~121e)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1 빔 패턴이 스팟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주시 영역은 컷-오프 라인에서 경사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제1 광원(121a~121h) 중 컷-오프 라인에서 경사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광원(121d, 121e)을 온(ON)시키거나 광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주시 영역은 밝게 나타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차량용 램프 장치 2: 차량
110: 제1 광원 모듈 120: 제2 광원 모듈
121a~121h: 제1 광원 122a~122h: 제2 광원
200: 컨트롤러 300: 감지부
P1: 로우빔 패턴 P2: 제1 빔 패턴
P3: 제2 빔 패턴

Claims (9)

  1.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광원 모듈;
    상기 로우빔 패턴과 중첩되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원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빔 패턴보다 원거리의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광원을 포함하는 제2 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을 개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을 온/오프(ON/OFF)하거나 광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곡선로를 주행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상기 곡선로에 대응되는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온(ON)되거나 광도가 증가되는 상기 제1 광원의 개수는, 상기 곡선로의 곡률에 비례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대향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광원을 오프(OFF)시키거나 광도를 감소시키는, 차량용 램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광원과 상기 복수의 제2 광원은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빔 패턴에는, 컷-오프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빔 패턴은, 상기 컷-오프 라인의 하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2 빔 패턴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광원 중 중간 영역에 배치된 제1 광원을 온(ON)하거나 광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1 빔 패턴이 스팟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0140187997A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장치 KR20160077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97A KR20160077726A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997A KR20160077726A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726A true KR20160077726A (ko) 2016-07-04

Family

ID=5650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997A KR20160077726A (ko) 2014-12-24 2014-12-24 차량용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7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611A (ko) * 2016-07-08 2018-01-18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KR20190033006A (ko) * 2017-09-20 2019-03-28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EP3671012A1 (de) * 2018-12-18 2020-06-24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WO2020126612A1 (fr) * 2018-12-19 2020-06-25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20221630A1 (de) * 2019-04-29 2020-11-05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cheinwerfers eines kraftfahrzeugs
CN112109629A (zh) * 2019-06-20 2020-12-2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前照灯及其控制方法
US11092303B2 (en) 2016-07-06 2021-08-17 Zkw Group Gmbh Vehicle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2303B2 (en) 2016-07-06 2021-08-17 Zkw Group Gmbh Vehicle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72808B2 (en) 2016-07-08 2018-09-11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KR20180006611A (ko) * 2016-07-08 2018-01-18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KR20190033006A (ko) * 2017-09-20 2019-03-28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US10655812B2 (en) 2017-09-20 2020-05-1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EP3671012A1 (de) * 2018-12-18 2020-06-24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KR20210076974A (ko) * 2018-12-18 2021-06-24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
CN113167447A (zh) * 2018-12-18 2021-07-23 Zkw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机动车前灯的照明装置以及机动车前灯
WO2020127083A1 (de) * 2018-12-18 2020-06-25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US11530793B2 (en) 2018-12-18 2022-12-20 Zkw Group Gmbh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and motor vehicle headlight
WO2020126612A1 (fr) * 2018-12-19 2020-06-25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90816A1 (fr) * 2018-12-19 2020-06-26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véhicule automobile
WO2020221630A1 (de) * 2019-04-29 2020-11-05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cheinwerfers eines kraftfahrzeugs
CN113748047A (zh) * 2019-04-29 2021-12-03 海拉有限双合股份公司 用于控制机动车的前照灯的方法
US11933470B2 (en) 2019-04-29 2024-03-19 HELLA GmbH & Co. KGaA Process for controlling a headlamp of a motor vehicle
CN112109629A (zh) * 2019-06-20 2020-12-2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前照灯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7726A (ko) 차량용 램프 장치
JP5341465B2 (ja) 車両用前照灯
JP581603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EP1970249A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ystem
KR20150052638A (ko) Adb 헤드램프 시스템 및 adb 헤드램프 시스템을 이용한 빔 제어 방법
CN105813892B (zh) 用于运行机动车的前照灯的方法
CN105351840A (zh) 车辆用前照灯装置
JP2009179113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33224B1 (ko) 차량용 램프의 복합 빔 구현 장치 및 방법
US7241035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failure of lighting on a bend
WO2019035433A1 (ja) 自動運転車両
JP2019121520A (ja) 前照灯装置
CN105711485A (zh) 大灯、大灯***、交通运输工具和交通运输工具运行方法
KR101627569B1 (ko) 차량용 램프
JP2014040177A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6700904B2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KR102397537B1 (ko) 차량용 램프
JP2018127135A (ja) 車両用照明の制御方法及び車両用照明の制御装置
JP6866018B2 (ja) 車両の走行用前照灯
KR20190007606A (ko) 차량용 램프 제어장치
JP2010143483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15696B2 (ja) 車両の走行用前照灯
KR20150125808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59681A (ko) 차량용 램프
US20230001846A1 (en) Vehicl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