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348A -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348A
KR20160076348A KR1020140186448A KR20140186448A KR20160076348A KR 20160076348 A KR20160076348 A KR 20160076348A KR 1020140186448 A KR1020140186448 A KR 1020140186448A KR 20140186448 A KR20140186448 A KR 20140186448A KR 20160076348 A KR20160076348 A KR 2016007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osmetic composition
polyethylene glycol
weigh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민
전향화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348A/ko
Publication of KR2016007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금 10 내지 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8 1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30 중량%, 오일 1 내지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32, 폴리에틸렌글리콜-75, 폴리에틸렌글리콜-150, 폴리에틸렌글리콜-200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 1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Skin temperature-sensitiv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igh Content of Salt}
본 발명은 상온에서는 고형으로 존재하나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에 의해 피부에 밀착하는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크게 바닷물을 염전에 끌어들여 바람과 태양열로 수분을 증발시켜 결정화한 천일염, 지층이나 바위와 같이 암석을 이룬 소금을 채취한 암염, 해수를 이온교환막에 전기 투석시켜 정제한 농축함수를 증발관에 넣어 제조한 정제(기계)염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화장료 분야에서 소금을 소량 사용하여 W/O(water in Oil) 화장료 조성물의 어는점을 낮추어 저온 안정성을 높이는 용도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소금이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개선효과, 피부에 대한 보습효과, 피부 자극성 완화효과, 피부 노폐물과 각질의 제거 효과, 정균 효과 등과 같은 다양한 효능을 갖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소금의 이와 같은 효능을 각종 화장료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금이 피부의 천연 보습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우레아(Urea) 보다도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받고 있다.
소금이 적용된 화장료로는 일반적으로 스크럽제, 입욕제 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133711호는 소금 및/또는 설탕; 수상 성분;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96-0021004호는 소금 15∼90 중량부, 오일 10∼50 중량부, 계면활성제 1∼10 중량부 및 폴리올 10∼40 중량부로 이루어진 소금이 다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제안된 제형들은 과량의 소금, 오일, 계면활성제, 폴리올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소금을 안정하게 하기 위해 과량으로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KR 2010-0133711 A KR 1996-0021004 A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소금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이 보습제 역할 뿐만 아니라 소금과 오일을 안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소금을 다량 함유하며, 상온에서는 고형으로 존재하나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에 의해 피부에 밀착하는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금 10 내지 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8 1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30 중량%, 오일 1 내지 10 중량%, 유연제 1 내지 5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32, 폴리에틸렌글리콜-75, 폴리에틸렌글리콜-150, 폴리에틸렌글리콜-200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 1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소금이 과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계면활성제 사용에 따른 피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온도에 의해 액체상태로 변한 화장료 조성물은 소금의 삼투압으로 피부의 노폐물을 끌어내주고, 소금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이 피부에 잘 흡수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체온에 감응하여 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과량의 소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온에서는 버터와 같은 고형 형태로 존재하나, 피부 도포 후 피부에 밀착하는 액체상태로 변화하는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금, 폴리에틸렌글리콜-8, 글리세린, 오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을 포함한다.
상기 소금은 천일염, 암염, 정제염, 사해염, 송염, 자죽염, 함초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입자 크기가 0.1mm ~ 1.0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금의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부 자극은 줄어들 수 있으나 피부 스크럽 효과는 미미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소금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10 내지 30 중량%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금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스크럽 효과가 떨어지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감이 나빠 도포 시 피부에 자극을 주며, 제형의 안정도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에틸렌글리콜-8과 글리세린 본 발명의 조성에서 보습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수용성 용매로서 사용된다.
이때 폴리에틸렌글리콜-8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10 내지 3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최소치 미만이면 경도가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되고 반대로 상기 최대치를 초과하면 반대로 경도가 감소하여 피부 도포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글리세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중 5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세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온 안정도가 증가한다. 만약 글리세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적절한 경도를 확보할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뜨임성 및 퍼짐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스쿠알란,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트리옥타노인, 트리에틸헥사노인, 디에톡시에틸 썩시네이트, 옥틸 썩시네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에칠트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헵타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오일; 캐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팜오일 및 해바라기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분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이 저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량 함유된 소금과 오일을 안정화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32, 폴리에틸렌글리콜-75, 폴리에틸렌글리콜-150, 폴리에틸렌글리콜-200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을 사용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은 분자량이 커질수록 탄화수소 체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약한 소수성을 띄면서 오일을 포접하는 약한 계면활성제 역할을 할 수 있어 오일을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은 15 내지 3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하한치를 미달하는 경우 소금과 오일을 안정화가 어렵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성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으로 화장료 조성물 중 폴리에틸렌글리콜-32 7 내지 32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150 3 내지 8 중량%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을 높이기 위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유연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코코에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이 분야에서 보습제로서 알려진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일 예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말티톨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인 다가 알콜류; 아미노산, 유산나트륨, 피롤리돈 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성분,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켄,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님산(Calonym acid),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틴황산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디메틸폴리시록산, 메틸페닐시록산인 실리콘류; 유산균 또는 비피더스균인 배양상청;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이때 보습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된다. 만약, 보습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부 보습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체온 감응에 의한 상변화가 어렵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체온에 감응하여 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를 피부 위 도포시 소금의 삼투압 반응으로 피부 속 혹은 주위의 수분을 끌어 당겨 제형 내 수분을 보유하게 된다. 이때 글리세린이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반응을 일으켜 열을 내게 되고, 제형 내 수분 및 열에 의해 제형이 녹으면서 제형이 액체 상태로 변한다. 이렇게 변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내 노폐물을 소금의 삼투압으로 끌어내주며, 소금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이 피부내 잘 흡수 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과량의 보습제 및 오일 함유로 피부에 윤기를 부여하여 피부결을 부드럽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 종류에 따른 경도 측정
아래 표 1의 조성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판단하였다. 이는 소금은 밀도가 커서 조성물의 경도가 낮으면 소금이 가라 앉아 충진 및 충진 후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므로 소금을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을 안정도 기준으로 삼았다. 각 조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을 75 ℃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55 ℃에서 소금을 투입 후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경도 측정은 RHEOTECH사의 FUDOH RHEO METER를 이용하여 Mode 200, 진입 깊이 25mm, 스피드 30㎝/min, ∮2.5mm 스핀들로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1 # 2 # 3 # 4 # 5 # 6 # 7
PEG-8 45.00 45.00 45.00 45.00 45.00 45.00 45.00
PEG-32 35.00 - - 25.00 30.00 30.00 32.00
PEG-75 35.00   10.00 5.00    
PEG-150   35.00     5.00 3.00
소금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즉시 경도 150 350 430 189 200 165 49
1일후 경도 1100 - - 1330 470 530 360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증가하였다. 한편 PEG-32, -75, -100을 각각 단독 사용하는 경우 보다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안정도 면에서 우수하였다.
준비예 2: 폴리올 종류에 따른 경도 측정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용매로서 폴리올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판단하였다. 소금을 제외한 성분은 75 ℃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55 ℃에서 소금을 투입 후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경도는 상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8 #9 #10 #11 #12 #13
PEG-8 35.00 35.00 35.00 35.00 35.00 35.00
PEG-32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PEG-150 3.00 3.00 3.00 3.00 3.00 3.00
글리세린 10.00          
1,3-부틸렌글라이콜   10.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0      
프로판디올       10.00    
소르비톨         10.00  
1,2-헥산디올           10.00
소금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즉시 경도 90 33 73 23 86 20
1일 후 경도 1030 430 650 810 1470 53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글리세린 사용시 경도가 1000이 넘었으나 뜨임성에는 문제가 없었고, 1,3-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50 ℃에서 흐름성이 발생해 제형 안정성이 떨어졌다. 소르비톨은 침전이 생겼고, 1,2-헥산디올은 경도 및 안정도가 하락하여 용매로서 글리세린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준비예 3: 유연제 종류에 따른 경도 측정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유연제 종류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판단하였다. 소금을 제외한 성분은 75 ℃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55 ℃에서 소금을 투입 후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경도는 상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14 #15 #16 #17 #18 #19 #20 #21
PEG-8 35.00 35.00 35.00 35.00 35.00 35.00 35.00 35.00
PEG-32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PEG-15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디에톡시에틸 숙시네이트   5.00            
비스-PEG-18 메틸에틸 에테르디메틸 실란     5.00          
쉐어 버터 폴리글리세릴-6 에스테르       5.00        
올리브 오일 PEG-8 에스테르         5.00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5.00    
PEG-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5.00  
PEG-16 마카다미아               5.00
소금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MP (℃) 67 66 64 64 63 64 64 62
즉시 경도 450 210 330 250 190 130 100 60
1일 후 경도 1640 1270 1650 1950 1390 1460 2040 1420

위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제의 종류에 따라 녹는점(MP)에는 영향이 없었다. 쉐어버터 폴리글리세릴-6 에스테르는 뭉침 현상이 발행하였고,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이외의 샘플은 고온 (50℃)에서 약간 흐름 현상이 발생하여 유연제로서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가 안정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준비예 4: 오일 함량에 따른 안정도 확인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오일 함량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판단하였다. 소금을 제외한 성분은 75 ℃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55 ℃에서 소금을 투입 후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경도는 상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함량(중량%) #22 #23 #24
PEG-8 35.00 35.00 35.00
PEG-32 32.00 32.00 32.00
PEG-150 3.00 3.00 3.00
글리세린 5.00 5.00 5.00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4.00 2.0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3.00  5.00 
소금 20.00 20.00 20.00
즉시 경도 280 220 260
1일 후 경도 710 570 730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오일을 전체 조성 내에 1~5 중량%로 사용시 층분리 현상이나, 고온에서 흐름성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경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판단하였다. 소금을 제외한 성분은 75 ℃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55 ℃에서 소금을 투입 후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경도는 상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PEG-8 25.00 20.00 15.00 30.00 30.00 30.00 10.00 30.00
PEG-32 27.00 27.00 27.00 20.00 20.00 15.00 27.00 15.00
PEG-150 3.00 3.00 3.00 5.00 7.00 8.00 3.00 10.00
글리세린 20.00 25.00 30.00 20.00 18.00 22.00 35.00 20.00
PEG-7 글리세릴코코에이트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소금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즉시 경도 90 70 90 320 410 220 120 260
1일 후 경도 750 690 790 660 990 710 1590 740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듯이, 글리세린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35 중량%로 과량 사용된 경우인 비교예 1은 뜨임성 및 퍼짐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폴리에틸렌글리콜-150이 8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상온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졌다.

Claims (8)

  1. 소금 10 내지 3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8 1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30 중량%, 오일 1 내지 10 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32, 폴리에틸렌글리콜-75, 폴리에틸렌글리콜-150, 폴리에틸렌글리콜-200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올 1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 암염, 정제염, 사해염, 송염, 자죽염, 함초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고 입자 크기가 0.1mm ~ 1.0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 폴리데센 및 파라핀 오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트리옥타노인, 트리에틸헥사노인, 디에톡시에틸 썩시네이트, 옥틸 썩시네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에칠트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사이클로헵타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오일; 캐스터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팜오일 및 해바라기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계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세라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유연제 1 내지 5 중량%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3-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보습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폴리올은
    폴리에틸렌글리콜-32 7 내지 32중량%와 폴리에틸렌글리콜-150 3 내지 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86448A 2014-12-22 2014-12-22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6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48A KR20160076348A (ko) 2014-12-22 2014-12-22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48A KR20160076348A (ko) 2014-12-22 2014-12-22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48A true KR20160076348A (ko) 2016-06-30

Family

ID=56352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48A KR20160076348A (ko) 2014-12-22 2014-12-22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3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4611A (zh) * 2016-08-25 2016-12-14 重庆合川盐化工业有限公司 一种洁面用盐复合物、其制备方法及对面部皮肤进行清洗的方法
CN112402282A (zh) * 2020-10-30 2021-02-26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功能的神经酰胺组合物和化妆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004A (ko) 1994-12-24 1996-07-18 성재갑 소금이 다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3711A (ko)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004A (ko) 1994-12-24 1996-07-18 성재갑 소금이 다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3711A (ko)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소금 및/또는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4611A (zh) * 2016-08-25 2016-12-14 重庆合川盐化工业有限公司 一种洁面用盐复合物、其制备方法及对面部皮肤进行清洗的方法
CN112402282A (zh) * 2020-10-30 2021-02-26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功能的神经酰胺组合物和化妆品
CN112402282B (zh) * 2020-10-30 2023-07-04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功能的神经酰胺组合物和化妆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46B1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5732165B1 (ja) うるおい補給用スティック状化粧料
KR101933962B1 (ko) 고형 형상 화장료
KR101507893B1 (ko)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분사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1293A (ko) 워터 드롭 고타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20416B1 (ko) 고농도 카페인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087608A (ko) 흡유성 분체를 함유하는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9407A (ko) 전상이 빠른 수중유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6348A (ko) 소금이 과량 함유된 체온 감응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6664A (ko) 실리콘중수형 유화액 및 이를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 조성물
TWI808204B (zh) 噴霧式化妝料
JP6554394B2 (ja) 化粧料
JP6994563B2 (ja) 油性化粧料
CN110227040B (zh) 一款可以出水的蜡基棒状化妆品及制备方法
JP2005281133A (ja) 皮膚外用剤
KR20120019409A (ko) 고형 성상의 수분 공급용 화장료 조성물
CN113784760A (zh) 凝胶状皮肤外用组合物
KR102610931B1 (ko) 온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