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388A -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388A
KR20160054388A KR1020150078735A KR20150078735A KR20160054388A KR 20160054388 A KR20160054388 A KR 20160054388A KR 1020150078735 A KR1020150078735 A KR 1020150078735A KR 20150078735 A KR20150078735 A KR 20150078735A KR 20160054388 A KR20160054388 A KR 2016005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releas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dress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15007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388A/ko
Publication of KR2016005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wound covering/occlu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2013/027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지에 분리 가능한 가절단(假切斷) 영역을 형성시켜 별도의 분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이형지에서 점착시트를 위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상처 부위에 부착한 뒤 점착시트로부터 이형지의 가절단 영역을 통하여 박리(薄利)할 수 있어 생산 자재 및 제조 공정을 절감할 있으면서 사용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기 위한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이형지와, 이형지의 일측면에 상처 부위에 점착되기 위한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점착시트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이형지에는 분리 가능하게 가절단(假切斷)된 소정 면적의 이형파지(離型把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형파지부의 상부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형지에서 이형파지부 및 점착시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박리(剝離)가 더 용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Easily separable dressing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지(Release Paper)에 분리 가능한 가절단(假切斷) 영역을 형성시켜 별도의 분리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이형지에서 점착시트를 위생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상처 부위에 부착한 뒤 점착시트로부터 이형지의 가절단 영역을 통하여 박리(薄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자재 절감 및 제조 공정 단축을 할 수 있으면서 사용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기 위한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싱재는 경미한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즉, 드레싱재는 상처 표면으로부터의 열의 증발과 수분의 손실을 감소시켜서 더 이상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처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발육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드레싱재는 이형지 상면에 점착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이형지로부터 점착시트를 분리해 점착시트의 하면에 형성된 부착면을 상처부위에 부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착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점착시트 일측을 잡고 떼어낸 후 상처부위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점착시트를 파지하게 되므로 오염이 발생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점착시트는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형지로부터 분리하는 행위 또한 불편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저하되었다. 이렇게, 점착시트가 점차 얇아지는 것은 점착시트를 부착한 환자의 착용감과 활동성을 더욱더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점착시트를 이형지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위해 이형지와 점착시트 사이에 분리이형지를 구비한 드레싱재 즉, 의료밴드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9156호가 그 대표적이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분리이형지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여 이형지로부터 보호시트를 쉽게 분리한 뒤 상처부위에 부착하면서 분리이형지를 보호시트로부터 다시 분리하게 되는 것을 주요지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보호시트를 파지하지 않고 분리이형지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여 보호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한 뒤 상처 부위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형지로부터 위생적으로 보호시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중간 분리부재인 분리이형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생산 자재 절감 및 제조 공정 단축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81353호, 발명의 명칭인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으로, 보조이형지를 구비하여 이형지로부터 점착시트의 분리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상처 부위에 부착한 뒤 점착시트로부터 보조이형지의 분리도 아주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형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나 보조이형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하여 상처부위에 대한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하고, 보조이형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외관 향상과 더불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보조이형지가 점착시트 외부로 돌출되어 드레싱재의 보관 중 보조이형지가 무단으로 점착시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고 보조이형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생산 자재 절감 및 제조 공정 단축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동일한 상기 발명자가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040195호, 발명의 명칭인 "의료용 드레싱재"인, 보조이형지를 구비하여 이형지로부터 점착시트의 분리가 편리하도록 하되, 드레싱재의 보관 중 보조이형지가 무단으로 점착시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드레싱재을 제안하여 보조이형지를 최소화하려 하였으나 여전히 보조이형지를 사용하고 있어 생산 자재 절감 및 제조 공정 단축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특허등록번호 제10-1281353호, 발명의 명칭 "의료용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등록일자 2013년06월26일) KR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9156호, 고안의 명칭 "의료밴드" (등록일자 2008년03월18일) KR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40195호, 발명의 명칭인 "의료용 드레싱재" (공개일자 2014년04월0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이형지(Release Paper)에 분리 가능한 이형파지(離型把持)부를 형성하여 이형지로부터 점착시트를 위생적으로 분리함은 물론이고, 상처 부위에 부착한 뒤 점착시트로부터 이형파지(離型把持)부의 박리도 아주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형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하여 상처부위에 대한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하며, 이형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외관 향상과 더불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한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이형지와, 이형지의 일측면에 상처 부위에 점착되기 위한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점착시트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이형지에는 분리 가능하게 가절단(假切斷)된 소정 면적의 이형파지(離型把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형파지부의 상부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형지에서 이형파지부 및 점착시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박리(剝離)가 더 용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생산 자재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이형파지부를 통하여 파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 점착시트의 점착층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상처부위에 대한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형파지부가 점착시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외관 향상과 더불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복수 개로 배열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이형파지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드레싱재 내에 가제나 치료액을 첨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하고 동시에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발생한 물집이나 피부의 상처 부위 보호에 효과적임은 물론, 상처의 치유 및 회복 속도를 개선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오염이나 박테리아로부터 상처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복수 개로 배열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이형파지부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드레싱재 내에 가제나 치료액을 첨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이형지(100)와, 이형지(100)의 일측면에 상처 부위에 점착되기 위한 점착층(210)이 형성된 점착시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점착시트(200)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이형지(100)에는 분리 가능하게 가절단(假切斷)된 소정 면적의 이형파지(離型把持)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이형파지부(110)의 상부측에 돌출된 돌출부(111)를 형성하여 이형지(100)에서 이형파지부(110) 및 점착시트(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박리(剝離)가 더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이형지(100)와, 이형지(10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점착시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점착시트(200)의 일측면 부분과 대응하는 이형지(100) 내의 소정 면적에 분리가능하도록 가절단(假切斷)되는 이형파지부(110)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이형지(100)의 일면에는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점착시트(20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점착시트(200)의 배면 상부측에 해당하는 이형지(100)에 이형파지부(110)가 형성된다.
이형파지부(110)는 일측면이 점착시트(200)의 점착층(210)에 점착되어 박리되도록 형성되고, 점착시트(200)의 상부측에 대향되는 이형지(100) 일측면에 가절단(假切斷)되어 이형지(100)와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가절단(假切斷)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假切斷)되어 분리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이상은 이형파지부(110)가 이형지(100) 내에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이형파지부(110)의 상부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1)를 더 형성하여 이형지(100)에서 점착시트(200)를 박리시킬 때와, 점착시트(200)를 환부 부위에 부착시 돌출부(111)를 잡은 후 이형파지부(110)를 이형지(100)에서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형파지부(110)는 이형지(100)의 일부분이기에 이형지(100)와 동일한 재질로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재질이나 필름 종류와 같은 얇은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이형파지부(110)는 이형지(100) 내에 형성되므로 점착시트(20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므로 드레싱재 자체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휴대 혹은 케이스 등에 보관할 때에도 걸리는 부분이 없이 편리한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또한, 도 1b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복수 개로 배열하거나, 도 1c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소정 각도 기울지게 형성하거나 점선 부분을 따라 낱개로 컷팅(cutting)하여 사용할 수 있듯이,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드레싱재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거나 복수 개로 배열 또는 낱개로 컷팅할 수 있게 점선으로 표시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형파지부(110)의 형상은 사용자의 편리성이나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형(도 3의 (a)), 점착시트(200)의 상부보다 넓은 반원형(도 3의 (b)), 눈물형(도 3의 (c))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점착시트(200)의 경우 이형지(1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면인 이면에는 이형지(100)에 점착되기 위한 점착층(210)이 도포될 수 있다. 즉, 도포된 접착층(210)가 형성되어 이형지(100)에 부착되고, 이 점착층(210)이 피부의 환부에 접착되는 것이다.
즉, 점착시트(200)는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서 이형지(100)의 타측면과 대향되는 일측면에 점착층(210)을 형성하여 이형지(100)의 타측면인 코팅층에서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일측면에 형성된 점착층(210)에 의해 박리된 점착시트(200)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점착시트(200)는 근래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 타입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 부착면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고,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는 역시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우레탄 부착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촉매, 물 등의 고분자가 혼합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나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는 흡습성과 습윤 환경 유지에 기인하는 상처 보호능력과 뛰어난 점착력이 있고,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 이면에 패드(가제)가 부착된 점착시트(200a)를 구비한 드레싱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드로콜로이드 타입의 점착시트(200b)가 복수 개 구비된 형상을 가지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얇은 형상의 드레싱재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얇은 두께의 가장자리를 갖는 드레싱재는 공지 기술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시트(200a)의 일측면에 구비된 패드(300a)는 점착시트(200a)의 점착층(210)에 부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 접촉되면서 환부와 그 주변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나아가, 보호시트(200)를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고 또한 다양한 문양이나 캐릭터 등을 인쇄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피부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여 피부에 부착시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점착시트(200)의 형상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10)는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된 이형지(100)가 점착시트(200)를 부착한 상태에서 두루마리 형태로 말려서 포장상자에 포장되어 유동된다.
아울러, 이형지(100)의 일면에 접착되어 있는 점착시트(200)를 분리하기 위해 점착시트(200) 일측면과 이형지(100) 내의 형성되어 있는 이형파지부(110)의 후면을 손가락으로 밀어 이형지(100)에서 떼어낸 뒤 이형파지부(110)와 점착시트(200)의 표면을 파지한 채 분리하여 박리하게 된다.
또는 이형지(100)의 타측면에 점착된 점착시트(200)를 박리시키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이형파지부(110)의 돌출부(111)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일측으로 당기게 되면 점착시트(200)가 이형지(100)에서 박리되면서 떨어져 점착시트(200) 및 이형파지부(110)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111)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때 점착시트(200)가 손가락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점착시트(200)가 이형지(100)에서 떨어져 환부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점착층(210)을 이용하여 점착시트(200)를 환부 주변에 그대로 부착시킨다.
그런 다음, 손등의 환부에 점착시트(200)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형파지부(11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먼저 부착하면서 이번에는 이형파지부(110)의 돌출부(111)를 파지하여 점착시트(200)로부터 이형파지부(110)를 완전히 분리한 뒤 점착시트(200)의 표면을 눌러 환부에 점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점착시트(200)의 배면에 점착되어 피부에 닿아있는 이형파지(離型把持)부(110)를 박리시키기 위해 점착시트(200)의 상단부를 접어 피부에 닿아있는 이형파지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형파지부(110)가 노출되면 돌출부(111)와 대향되는 이형파지부(110)의 하부 양측 끝단을 점착층(210)에서 떨어뜨려 점착시트(210)에서 박리시킨다.
이와 같이, 이형파지부(110)가 박리되면 접혀진 부분을 다시 펼치면서 점착층(210)이 피부에 닿도록 하여 점착시트(200)를 피부에 완전히 점착시킨다.
이처럼, 이형지(100)로부터 점착시트(200)를 박리하기 위해서는 이형파지부(110)와 점착시트(200)의 표면을 파지하여 박리하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점착시트(200)가 피부에 부착되는 점착층(210)이 구비된 이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점착시트(200)를 환부에 점착시키는 과정에서는 점착시트(200)에는 부착되어진 이형파지부(110)를 파지하면서 점착시트(200)로부터 이형파지부(110)를 분리하게 되므로써 점착시트(200)의 점착층(210) 부분에 손이 전혀 닿지 않게 되므로 오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형파지부(110)가 점착시트(200)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보관하거나 휴대할 때 주변 물건이나 의복 등에 걸리지 않아 점착시트(200)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보관 중에도 점착시트(2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S10)은 원단 투입 공정(S100), 이형지 가절단 공정(S200), 결합 공정(S300), 절단 공정(S400)으로 구분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S10a)은 선택적으로 원단 투입 공정(S100)과 이형지 가절단 공정(S200)에 첨가부재 투입 공정(SA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절단 공정(S400) 후 마무리 공정(S500)으로 와인딩 공정(SA500) 및 스크랩 공정(SB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로서, 각 공정 장치에 대한 배치 또는 상하 위치는 유동적일 수 있고, 특히 투입되는 재료의 상하 위치도 용이한 설명을 위한 것이지 생산 공정에 그대로 적용되지 않으며, 생산 공정 효율 등을 고려하여 상하 위치 변경도 가능하다.
그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단 투입 공정(S100)은 공급롤러(R1)를 통하여 점착시트 원단(T1)이 제조 공정에 공급되는 공정으로, 점착시트 원단(T1)의 일면에는 소정의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층(2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점착시트 원단(T1)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공급되는 것으로,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공급되고,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색상 및 표면의 질감 등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점착층(210)의 두께 및 점착력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어 질 수 있다.
다음, 이형지 가절단(假切斷) 공정(S200)은 이형지 롤(T2)을 다음 공정에 투입하기 전에 커팅장치(C1)를 사용하여 이형지(100) 내에 이형파지부(110) 형상의 외곽 테두리를 가절단(假切斷)하는 것이다.
이는 이형지(100)와 점착시트(200) 사이에 중간부재를 사용하여 이형지(100)와 점착시트(200)를 분리하는 종래 기술을 개선한 것으로, 이형지 가절단(假切斷) 공정(S200)은 종래 중간부재를 사용하는 대신에 이형지(100) 자체에 중간부재 기능을 할 수 있는 이형파지부(110)를 형성하여 중간부재용 재료 및 중간부재 투입 공정이 필요 없게 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공정기술이다.
참고로, 가절단(假切斷)이란 절단(假切斷)되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할 정도로 미세하게 붙어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이상은 이형파지부(110)가 이형지(100) 내에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이형파지부(110)의 형상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다양하게 이형지 내에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이형파지부(110)는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돌출되는 돌출부(111)를 포함하여 외곽 테두리를 가절단(假切斷)될 수 있고, 돌출부(111)는 사용자가 더욱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형지(100)와 점착시트(200) 간의 분리가 더 용이하게 도와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다음, 결합 공정(S300)은 압착장치(P1)를 사용하여, 원단 공급 공정(S100)에서 공급되는 점착층(210)이 형성된 점착시트 원단(T1)과, 이형지 가절단(假切斷) 공정(S200)에서 공급되는 이형파지부(110)가 가절단(假切斷)된 이형지 롤(T2)를 부착 결합하는 공정이다.
압착장치(P1)는 원통형의 롤러를 상하 압착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고, 이형지(100)와 점착시트(200) 간의 결합한 압착 강도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정도의 결합력을 가지도록 한다.
다음 절단 공정(S400)은 결합된 원단에서 점착시트 원단을 절단장치(P2)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예컨대 도시된 원판형(예시) 형상으로 절단하되, 이형지(100) 및 이형파지부(110)는 절단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절단되어 성형된 점착시트(200)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그런 다음 원판형 형상으로 성형된 부분을 제외한 점착시트(200) 원단을 분리하게 되면 원판형 형상의 점착시트(200)만이 이형지(100)에 남게 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마무리 공정(S500)은 제품이 완성되어 회전롤러(R3)를 통해 롤 형식으로 감겨지는 와인딩 공정(SA500)과 제품을 구성하는 부분 이외의 나머지 자투리 부분을 회수롤러(R4)를 통해 회수하는 스크랩 공정(SB500)으로 나눌 수 있다.
와인딩 공정(SA500)은 회전롤러(R3)로 권취되어 롤 타입으로 판매될 수 있고, 다시 소정 크기로 가공하여 포장 판매될 수 있다.
스크랩 공정(SB500)은 점착시트(200)에서 분리된 자투리 스크랩을 회수하여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S10a)은 원단 공급 공정(S100)과 이형지 가절단(假切斷) 공정(S200) 사이에 첨가부재 투입 공정(SA100)이 더 포함된다.
첨가부재 투입 공정(SA100)은 첨가장치(R2)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소정 길이로 절단된 가제나 패드인 첨가부재(TA)를 점착시트 원단 위로 안착시키는 것이다.
즉, 첨가부재(TA)는 도 4의 (a) 패드(가제, 300a)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고, 도 4의 (b) 하이드로콜로이드 타입의 액상(300b)일 수 있으며, 첨가부재의 크기나 재질은 드레싱재 제품의 특성에 따른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생산 자재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이형파지부를 통하여 파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 점착시트의 점착층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상처부위에 대한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형파지부가 점착시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외관 향상과 더불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이형지 110 : 이형파지부
200 : 점착시트 210 : 점착층

Claims (4)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의 일측면에 상처 부위에 점착되기 위한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점착시트의 상부측에 대응하는 상기 이형지에는 분리 가능하게 가절단(假切斷)된 소정 면적의 이형파지(離型把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파지부의 상부측에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이형지에서 상기 이형파지부 및 점착시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박리(剝離)가 더 용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3.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투입 공정(S100);
    일면에 코팅처리된 이형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이형파지부의 외곽 테두리를 가절단(假切斷) 성형하는 이형지 가절단(假切斷) 공정(S200);
    상기 원단 투입 공정(S100)에서 공급되는 점착시트 원단과 상기 이형지 가절단(假切斷) 공정(S200)의 상기 이형파지부의 외곽 테두리가 가절단(假切斷) 성형된 이형지를 결합하는 결합공정(S300); 및
    상기 결합공정(S300)에서 결합된 원단에서 점착시트 원단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 성형하여 점착시트 형상을 완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형지는 절단되지 않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점착시트 형상을 절단하는 절단공정(S400);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투입 공정(S100)과 상기 이형지 가절단 공정(S200) 사이에 상기 점착시트 원단에 소정 크기의 첨가부재가 안착되도록 하는 첨가부재 투입 공정(SA100)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20150078735A 2015-06-03 2015-06-03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4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35A KR20160054388A (ko) 2015-06-03 2015-06-03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35A KR20160054388A (ko) 2015-06-03 2015-06-03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388A true KR20160054388A (ko) 2016-05-16

Family

ID=5610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35A KR20160054388A (ko) 2015-06-03 2015-06-03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38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474A1 (ko) * 2017-02-15 2018-08-23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KR20180117865A (ko) * 2017-04-20 2018-10-30 박영준 지압용 밴드
KR20200054498A (ko) * 2018-11-12 2020-05-20 유미라 개별 분리형 피부환부용 밴드 셋
KR20200081122A (ko) * 2018-12-27 2020-07-07 (주)비엔에스메디븐스 피부 첩부용 밴드의 제조 방법
KR20230015669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영우 박리손잡이가 구비된 피부용 패치의 제조방법
KR20230037854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영우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474A1 (ko) * 2017-02-15 2018-08-23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
JP2019517905A (ja) * 2017-02-15 2019-06-27 ヨン ジュン パク、 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
KR20180117865A (ko) * 2017-04-20 2018-10-30 박영준 지압용 밴드
KR20200054498A (ko) * 2018-11-12 2020-05-20 유미라 개별 분리형 피부환부용 밴드 셋
KR20200081122A (ko) * 2018-12-27 2020-07-07 (주)비엔에스메디븐스 피부 첩부용 밴드의 제조 방법
KR20230015669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영우 박리손잡이가 구비된 피부용 패치의 제조방법
KR20230037854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영우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4388A (ko)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EP0904038B1 (en) A dressing comprising a main part and a handle part
EP2612630B1 (en) Adhesive skin patch sheet
KR101332999B1 (ko) 부착제 및 그 제조 방법
EP3067023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body part
JP4173546B2 (ja) タブ部材
JP2002539502A (ja) 接着剤塗布ストリップの除去を容易にする分割可能な中断部を有するレリーズストリップ
EP2347741B1 (en) Film dressing
EP0941726A1 (en) A dressing
US9468561B2 (en) Medical dres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70078365A1 (en) Adhesive bandage product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an adhesive bandage product
KR102311714B1 (ko)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KR20150134030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JP2013255856A (ja) 貼付体シート
KR20150025989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2458326B (zh) 卷状医用胶带及其制造方法
JP2010063547A (ja) 鍼治療用指先感染防止シート
JP2003153938A (ja) 粘着シート
US10117786B2 (en) Fixed and removable absorbent cores for absorbent articles
JP5384730B2 (ja) 貼付体シート
JP7386729B2 (ja) 包装吸収性物品、及び包装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AU2005100311A4 (en) Facial Eye Patch
US20140288478A1 (en) Bandage packag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1212171A (ja) シート状貼付材
KR101777559B1 (ko) 취출케이스용 개별포장형 롤 스트립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