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714B1 -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714B1
KR102311714B1 KR1020190144724A KR20190144724A KR102311714B1 KR 102311714 B1 KR102311714 B1 KR 102311714B1 KR 1020190144724 A KR1020190144724 A KR 1020190144724A KR 20190144724 A KR20190144724 A KR 20190144724A KR 102311714 B1 KR102311714 B1 KR 10231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release film
film
applica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929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19014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2Beve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필름(200), 상기 이형필름(200)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필름(300), 및 상기 이형필름(200) 상부에 위치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200)은, 고정용 이형필름(210), 및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에 형성된 절개선(211)을 통해 분리되는 분리형 이형필름(220)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할 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10)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점착시트부(110) 하면과 중첩되는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면적은 점착시트(110)와 중첩되지 않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하부 지지필름(300)을 공급하는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500); 이형필름(200)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부(600); 및 점착시트(100)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Apparatus For Medical Dressing Patch}
본 발명은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싱재의 베벨링과 절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성형부를 구비함으로써 불량률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장치의 소규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드레싱재는 경미한 화상,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보호함과 동시에 치료를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즉, 의료용 드레싱재는 상처 표면으로부터의 열 증발과 수분 손실을 감소시켜서 더 이상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처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발육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의료용 드레싱재는 이형지 상면에 점착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이형지로부터 점착시트를 분리해 점착시트의 하면에 형성된 부착면을 상처부위에 부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점착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점착시트 일측을 잡고 떼어낸 후 상처부위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점착시트를 파지하게 되므로 오염이 발생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점착시트는 부착한 환자의 착용감과 활동성을 더욱 더 보장할 수 있도록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형지로부터 분리하는 행위 또한 불편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저하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처보호능력과 점착력이 우수한 하이드로콜로이드 기반 점착시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두께가 얇고 투명하여, 환자의 착용감과 활동성뿐만 아니라 피부 부착시에도 육안으로 쉽게 알아보기 어려워 미용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투명하고 얇은 특성으로 인해 이형지로 분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9156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분리이형지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여 이형지로부터 보호시트를 쉽게 분리한 뒤 상처부위에 부착하면서 분리 이형지를 보호시트로부터 다시 분리하게 되는 것을 주요지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보호시트를 파지하지 않고 분리이형지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하여 보호시트를 이형지로부터 분리한 뒤 상처 부위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면서도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 부분의 면적이 작고 보호시트 쪽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접착면이 넓어, 손으로 잡기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손잡이 부분을 잡고 떼는 과정에서도 손잡이 부분이 떨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 부분을 잡고 보호시트 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리 이형지 부분을 매우 조심스럽게 박리시켜야 하므로 분리에서부터 상처부착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고, 게다가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보호시트의 점착부에 닿게 되어 이차적인 세균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정 이형지에 형성된 절개부와 연결부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되는 분리 이형지와, 이와 일부 중첩되게 위치하는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과 이차적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의료용 드레싱재(10-2017-0020663),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10-2017-0156940)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한국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9156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7-0020663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7-0156940호
본 발명은 본 발명 출원인이 선출원 발명을 개량한 것으로, 분리형 이형필름부만 분리되는 경우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또한 도포용 점착시트부의 손상을 주지 않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는, 이형필름(200), 상기 이형필름(200)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필름(300), 및 상기 이형필름(200) 상부에 위치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200)은, 고정용 이형필름(210), 및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에 형성된 절개선(211)을 통해 분리되는 분리형 이형필름(220)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할 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10)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점착시트부(110) 하면과 중첩되는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면적은 점착시트(110)와 중첩되지 않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하부 지지필름(300)을 공급하는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500); 이형필름(200)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부(600); 및 점착시트(100)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는, 이형필름(200), 상기 이형필름(200)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필름(300), 및 상기 이형필름(200) 상부에 위치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200)은, 고정용 이형필름(210), 및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에 형성된 절개선(211)을 통해 분리되는 분리형 이형필름(220)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할 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110)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점착시트부(110) 하면과 중첩되는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면적은 점착시트(110)와 중첩되지 않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하부 지지필름이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200)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부(600); 및 점착시트(100)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에서, 상기 점착시트 공급부(700)는,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된 제3 공급보빙(710); 제3 공급보빙(710)으로부터 공급된 점착시트(100)에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분리하고, 분리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회수하는 제1 회수보빙(720);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분리된 점착시트(100)를 공급하여 분리형 이형필름(220)이 성형된 이형필름(200)과 합지시키는 제3 공급롤러(730); 및 소정 영역이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220)과 중첩되도록 점착시트(100)를 소정 모양으로 성형하는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에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는 도포용 점착시트 하부성형틀(741)과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7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에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는, 소정 모양의 베벨링과 절단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에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742) 일측 영역에는 베벨링을 위한 금형이 구비되고, 타측 영역에는 절단을 위한 커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에 의하면,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 저면의 일측 영역에는 베벨링 금형이 구비되고 타측 영역에는 도포용 점착시트를 절개하기 위한 커터가 동일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한 번의 작동으로 베벨링 성형과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져 전체적인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게다가 베벨링 성형 후 이동거리가 짧아 한층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불량률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분리형 이형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의 확대도이다(a : 금형 타입, b : 롤러 타입).
도 7은 도포용 점착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의 확대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사용한 이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도포용 점착시트(110), 이형필름(200), 하부 지지필름(300) 및 상부 보호필름(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이형필름(2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형필름(200)은 절개선(211)을 통해 분리 가능한 분리형 이형필름(220)과, 분리형 이형필름(220)이 제거되고 남는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고정용 이형필름(210)과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적어도 일면은 매끄러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환부에 부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110)는 하면 일부분은 분리형 이형필름부(220)에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고정용 이형필름부(210)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형 이형필름(22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원형들을 연결하거나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함몰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21)에 의해 형성되는 폭(W)은 두 개의 원형 직경(A, A′) 보다 작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면적이 넓은 원형부분을 손으로 잡을 수 있어 파지가 용이하고 게다가 상대적으로 폭(W)이 좁은 함몰부(221)가 구비되어 있어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부드럽게 젖힐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2개 원형 중에서, 도포용 점착시트(110) 하면과 접촉하는 원형보다 접촉하지 않는 원형의 단면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파지가 용이하고 또 피부에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부착시킨 이후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접착되는 분리형 이형필름(220) 원형의 면적은, 도포용 점착시트(110) 총 면적의 1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포용 점착시트(110) 면적의 10% 미만으로 접착되면 접착력이 너무 약하여 분리형 이형필름(220) 분리시 함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70%를 초과하면 접착력이 너무 강하여 접착시트(100)를 피부에 부착시킨 이후 접착시트(100)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부(220)가 잘 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로 분리형 이형필름(220)과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구성하는 두 개 원형 중심점 모두는 가상의 연장선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시키는 경우,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뒤틀리거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상태로 고정용 이형필름(210)으로부터 떼어 내기 위함이다.
한편 최근의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이형필름과 점착소재는 투명도가 매우 높아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어느 면에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부착되어 있는지 쉽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특히 시력이 좋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파악하기 곤란하다. 즉,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사용하려고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하는 경우, 분리형 이형필름(220)에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함께 부착된 상태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부착되어 있는 방향으로 젖혀야 하며, 이와 반대로 젖히게 되면 분리형 이형필름(220)만 분리되어 사용이 어렵다.
위와 같은 사용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이형필름(200)에는 제1 식별부(212), 제2 식별부(222) 및 제3 식별부(2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용 이형필름(2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제1 식별부(212)는 단어, 무늬 및 도형 중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으로, 이들 형상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부착되어 있는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분리형 이형필름(220)에 구비되는 제2 식별부(222)는, 제1 식별부(212)와 유사하게 무늬, 단어 및 도형 중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일예로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형 이형필름(220) 내측면 소정 위치에 절개선(211)을 따라 형성된 띠 모양일 수 있다.
분리형 이형필름(220)에 구비되는 제3 식별부(223)는, 어느 부분을 파지해야 하는지를 촉각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선(211)과 인접한 분리형 이형필름(220) 내측 상부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210)과 분리형 이형필름(220)으로 이루어진 이형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은 가소성 물질, 또는 각종 지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휘어진 경우에도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소정의 복원력을 갖도록 10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10 ㎛ 미만이면 두께가 너무 얇아 복원력이 부족하고, 300 ㎛를 초과하면 잘 휘어지지 않아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이형필름(200)은 상기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소정 영역이 중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부(110)는,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 타입 일 수 있고, 상기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고무상 매트릭스 부착면에 친수성의 하이드로콜로이드 고분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는 점착력을 가지는 소수성의 우레탄 부착면에 폴리에틸렌글리콜, 이소시아네이트, 촉매, 물 등의 고분자가 혼합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들 하이드로콜로이드 점착시트나 폴리우레탄 폼 점착시트는 흡습성과 습윤 환경 유지에 기인하는 상처보호능력과 뛰어난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트에 해당되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형필름(200) 아래에는 하부 지지필름(3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기의 기온이 비교적 높을 경우, 하이드로콜로이드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도포용 점착시트(110)는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점성이 낮아져 절개선(211)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이형필름(200)의 저면이 제품 포장지 내면과 붙어 이형필름(200)을 포장지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렵고 이는 상품성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하부 지지필름(300)은 위와 같은 절개선(211)을 통해 흘러내리는 침출물이 포장지 내면과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하부 지지필름(300) 상면, 즉 이형필름(200)과 접하는 면에는 점착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일측 원형은 도포용 점착시트(110)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도포용 점착시트부(110)에 의해 고정되는 반면, 타측 원형은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절개선(211) 부근에서 분리형 이형필름부(220)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하부 지지필름(300) 상면에 점착층이 형성될 경우 위와 같은 뜰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지지필름(300)은 절개부나 타공부가 전혀 없는 하나의 얇은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리형 이형필름부(220)의 부착방향을 가장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분리형 이형필름(220)만 분리되는 경우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지지필름(3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은 가소성 물질, 또는 각종 지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소정 각도로 젖혔을 경우 하부 지지필름(300)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220)이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10 내지 300 ㎛의 두께와, 도포용 점착시트(110)보다는 점착력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10 ㎛ 미만이면 두께가 너무 얇아 분리형 이형필름(220)이 잘 떨어지지 않고, 300 ㎛를 초과하면 잘 휘어지지 않아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하부 지지필름(300)은 상기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필름(200) 상부에는 도포용 점착시트(1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보호필름(400)이 더 구비될 수 있고, 하부 지지필름(300)과는 달리 이러한 상부 보호필름(400)에는 점착층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의 제2 실시예는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개수와 이에 따른 배치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1장의 이형필름(200) 상부면에는 일렬은 3개, 이와 수직인 열은 5개로 이루어진 총 15개의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구비되고, 이형필름(200) 하부면에는 하부 지지필름(3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형필름(200)의 단위 면적당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많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22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3개 구비된 열을 가로 열, 5개 구비된 열을 세로 열로 정의할 경우,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220)은 가로 열 또는 세로 열에 대해 40° 내지 50°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따라서 고정용 이형필름(210)의 활용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3)에 도시한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는, 소정 두께를 갖는 하부 지지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하부 지지필름(300)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이형필름(200)을 적층하는 제2 단계, 고정용 이형필름(210)과 분리형 이형필름(220)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이형필름(200)을 성형하는 제3 단계, 상기 이형필름(200) 상부에 점착시트(100)를 적층하는 제4 단계, 도포용 점착시트부(110)와 분리형 점착시트부(120)로 구분될 수 있도록 상기 점착시트(100)를 성형하는 제5 단계, 분리용 점착시트부(120)를 제거하는 제6 단계, 및 상부 보호필름(400)을 적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단계는 일측면에는 소정 두께의 점착층이 형성된 하부 지지필름(300)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일예로 하부 지지필름(300)은 점착층이 형성된 면에는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2 단계는 이형지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지지필름(300) 점착층면에 이형필름(200)을 적층하는 단계이며, 점착층에 의해 하부 지지필름(300)과 이형필름(200)이 서로 부착된다. 여기서, 이형필름(200)은 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제3 단계는 고정용 이형필름(210)과 분리형 이형필름(220)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절개선(211)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일예로 분리형 이형필름(220) 모양으로 절개할 수 있도록 칼날이 구비된 성형기 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이형필름(200)에 점착시트(100)를 합지시킨 이후에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성형하였고, 따라서 성형시 눌림 현상으로 인해 이형필름(220)과 일부 중첩된 점착시트(110)가 손상 받는 경우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점착시트(100)를 합지시키기 이전에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성형하기 때문에 점착시트(110)가 전혀 손상 받지 않는다.
여기서, 이형필름(200)에는 분리형 이형필름(220) 모양으로 절개선이 형성되더라도 하부 지지필름(300)은 절개되지 않아야 함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제4 단계는 이형필름(200) 상부에 점착시트(100)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이때 이형필름(2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은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롤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라면 이형지를 분리한 뒤 이형필름(200) 상부에 적층시켜야 함은 자명하다.
제5 단계는, 도포용 점착시트(110)와 분리형 점착시트(120)로 구분될 수 있도록 점착시트(100)를 성형하는 단계로서, 도포용 점착시트(110) 모양으로 점착시트(100)를 절단한다. 이때, 도포용 점착시트(110)의 중앙부는 볼록하고 중앙부의 가장자리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베벨링 성형 이후에 절단할 수 있고, 또 베벨링 성형과 동시에 절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단계는, 도포용 점착시트(110)는 이형필름(200)에 남겨둔 채, 분리용 점착시트(120)만을 제거하는 단계이고, 제7 단계는 분리용 점착시트(120)가 제거된 이형필름(200)과 도포용 점착시트(110) 상면에 상부 보호필름(400)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6 단계와 제7 단계 사이에는 이형필름(200)을 소정 크기로 컷팅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고, 제7 단계 이후에 소정 크기로 컷팅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포장단계가 이루어지며, 포장단계에는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드레싱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6은 분리형 이형필름을 성형하기 위한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의 확대도(a : 금형 타입, b : 롤러 타입) 그리고 도 7은 도포용 점착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하부 지지필름(300)을 공급하는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500), 이형필름(200)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부(600), 점착시트(100)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700), 및 상부 보호필름(400)을 공급하는 상부 보호필름 공급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500)는 일측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된 하부 지지필름(300)이 권취되어 있는 제1 공급보빙(510), 및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공급롤러(520)를 포함하고 있어, 제1 공급보빙(510)의 하부 지지필름(300)이 제1 공급롤러(520)를 경유하여 이송 공급된다.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500) 후방에 위치하는 이형필름 공급부(600)는, 이형필름(200)이 권취되어 있는 제2 공급보빙(610),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공급롤러(520) 그리고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2 공급보빙(610)에서 공급되는 이형필름(200)은 이동하는 하부 지지필름(300) 점착층 상부에 안착된 후 이송되며, 이송과정에서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630)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함몰부(221)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원형이 연결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분리형 이형필름(220)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630)는 이동하는 이형필름(200) 하부에 고정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분리형 이형필름 하부성형틀(631)이 위치하고, 이형필름(200) 상부에는 상하 이동하는 분리형 이형필름 상부성형틀(632)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형 이형필름 상부성형틀(632) 저면에는 분리형 이형필름(220)과 동일한 모양의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6(b)는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630)의 변형 실시예로서, 회전하는 한 쌍의 이형필름 하부성형롤러 및 이형필름 상부성형롤러(633, 634)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형필름 상부성형롤러(634) 일측 외표면에는 마찬가지로 분리형 이형필름(220) 모양에 대응되는 칼날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하는 롤러 타입의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630)로 성형할 시, 연속적인 성형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형필름(200)의 공급속도를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점착시트(100)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7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점착시트 공급부(700)는 제3 공급보빙(710), 제1 회수보빙(720), 제3 공급롤러(730),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 및 제2 회수보빙(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 공급보빙(710)은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100)가 권취되어 있고, 제1 회수보빙(720)은 공급된 점착시트(100)에서 분리된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을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점착시트 보호필름(100′)이 분리된 점착시트(100)는 분리형 이형필름(220)이 성형된 이형필름(200) 상부에 적층되고 제3 공급롤러(730)에 의해 합지된다.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는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포용 점착시트 하부성형틀(741)과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7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에서는 베벨링 공정 즉, 드레싱재의 형상에 맞게 도포용 점착시트(110)의 중앙부는 볼록하고 중앙부 가장자리는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중앙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베벨링 성형 단계가 수행된 후 절단 단계가 수행된다.
종래에는 베벨링 공정을 위한 성형장치와 절단을 위한 성형장치가 분리된 상태였다. 즉, 각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베벨링 성형장치와 절단 성형장치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였기 때문에, 베벨링 성형이 끝난 점착시트는 일정 거리 이송된 후 절단공정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베벨링이 형성된 점착시트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어야 하고 또 정확한 시간에 절단 성형장치가 작동하지 못하면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절단되기 때문에 불량품이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740)는 도 7에서 확실하게 알 수 있듯이, 이송하는 점착시트(100) 아래에는 도포용 점착시트 하부성형틀(741)이 위치하고 상부에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742)이 구비된다. 또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742)의 일측면(B 부분)에는 베벨링 금형(742′)이 복수개 구비되는 한편, 타측면(C 영역)에는 도포용 점착시트(110)의 절단을 위한 커터(7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성형틀(742)을 한번 작동시킴으로써 베벨링 성형과 절단이 동시에 이루어져 전체적인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특히 베벨링 성형 후 이동거리가 짧아 한층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불량률도 낮출 수 있다.
제2 회수보빙(750)은 도포용 점착시트(110)는 남겨둔 채 점착시트(100)의 나머지 부분인 분리용 점착시트(120)를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보호필름 공급부(800)는 상부 보호필름(400)이 권취되어 있으며, 하부 지지필름(300), 분리형 이형필름(220) 및 도포용 점착시트(110) 순으로 적층된 상부에 상부 보호필름(400)을 적층하기 위한 것이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장을 위한 포장지 공급보빙, 중첩된 포장지를 접합시키는 열융착기 및 포장지 컷팅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소정 두께를 갖는 하부 지지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이후에 하부 지지필름(300) 상부에 소정 두께를 갖는 이형필름(200)을 적층하는 제2 단계가 수행되는 실시예에 관한 제조방법과 제조장치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형필름(200) 아래에 하부 지지필름(300)이 이미 적층된 상태의 이형필름(200)을 바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하부 지지필름(300)을 준비하는 제1 단계와 함께, 하부 지지필름(300)을 공급하는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500)가 생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의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서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의료용 드레싱재를 사용한 이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부 지지필름(300)에 점착되어 있는 고정용 이형필름(210)을 하측으로 젖힌 뒤, 분리형 이형필름(220)의 소정 부분을 파지하고 상부면으로 떼어 낸다. 그러면 분리형 이형필름(220)과 소정 부분이 점착되어 있는 도포용 점착시트(110)가 함께 분리된다.
계속해서,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파지한 재 상처 부위에 도포용 점착시트(110)를 부착하면서, 분리형 이형필름(220)을 도포용 점착시트부(110)로부터 떼어 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점착시트
110 : 도포용 점착시트
120 : 분리용 점착시트
200 : 이형필름
210 : 고정용 이형필름
211 : 절개선 212 : 제1 식별부
220 : 분리형 이형필름
221 : 함몰부 222 : 제2 식별부
223 : 제3 식별부
300 : 하부 지지필름
400 : 상부 보호필름
500 :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
510 : 제1 공급보빙
520 : 제1 공급롤러
600 : 이형필름 공급부
610 : 제2 공급보빙
620 : 제2 공급롤러
630 : 분리형 이형필름 성형부
631 : 분리형 이형필름 하부성형틀
632 : 분리형 이형필름 상부성형틀
633 : 분리형 이형필름 하부성형롤러
634 : 분리형 이형필름 상부성형롤러
700 : 점착시트 공급부
710 : 제3 공급보빙
720 : 제1 회수보빙
730 : 제3 공급롤러
740 :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
741 : 도포용 점착시트 하부성형틀
742 :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
742′ : 베벨링 금형 742″ : 커터
750 : 제2 회수보빙
800 : 상부 보호필름 공급부
A, A′ : 분리 이형지의 원형 직경
B : 베벨링 금형
C : 커터
W : 함몰부 폭

Claims (6)

  1.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필름, 및 상기 이형필름 상부에 위치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은, 고정용 이형필름, 및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분리되는 분리형 이형필름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을 분리할 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점착시트부 하면과 중첩되는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의 면적은 점착시트와 중첩되지 않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하부 지지필름을 공급하는 하부 지지필름 공급부;
    이형필름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부; 및
    점착시트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시트 공급부는,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가 권취된 제3 공급보빙; 제3 공급보빙으로부터 공급된 점착시트에서 점착시트 보호필름을 분리하고, 분리된 점착시트 보호필름을 회수하는 제1 회수보빙; 점착시트 보호필름이 분리된 점착시트를 공급하여 분리형 이형필름이 성형된 이형필름과 합지시키는 제3 공급롤러; 및 소정 영역이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과 중첩되도록 점착시트를 소정 모양으로 성형하는 도포용 점착시트 하부성형틀과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로 이루어진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를 포함하되, 소정 모양의 베벨링과 절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 일측 영역에는 베벨링을 위한 금형이 구비되고, 타측 영역에는 절단을 위한 커터가 위치하도록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2.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지지필름, 및 상기 이형필름 상부에 위치하여, 피부에 부착되는 도포용 점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필름은, 고정용 이형필름, 및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에 형성된 절개선을 통해 분리되는 분리형 이형필름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용 이형필름으로부터 분리형 이형필름을 분리할 시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와 함께 분리되도록 소정 영역이 상기 점착시트 하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점착시트부 하면과 중첩되는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의 면적은 점착시트와 중첩되지 않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로서,
    하부 지지필름이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필름을 공급하는 이형필름 공급부; 및
    점착시트를 공급하는 점착시트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시트 공급부는, 일측면에 점착시트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점착시트가 권취된 제3 공급보빙; 제3 공급보빙으로부터 공급된 점착시트에서 점착시트 보호필름을 분리하고, 분리된 점착시트 보호필름을 회수하는 제1 회수보빙; 점착시트 보호필름이 분리된 점착시트를 공급하여 분리형 이형필름이 성형된 이형필름과 합지시키는 제3 공급롤러; 및 소정 영역이 상기 분리형 이형필름과 중첩되도록 점착시트를 소정 모양으로 성형하는 도포용 점착시트 하부성형틀과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로 이루어진 도포용 점착시트 성형부를 포함하되, 소정 모양의 베벨링과 절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용 점착시트 상부성형틀 일측 영역에는 베벨링을 위한 금형이 구비되고, 타측 영역에는 절단을 위한 커터가 위치하도록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44724A 2019-11-13 2019-11-13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KR10231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24A KR102311714B1 (ko) 2019-11-13 2019-11-13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24A KR102311714B1 (ko) 2019-11-13 2019-11-13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29A KR20210057929A (ko) 2021-05-24
KR102311714B1 true KR102311714B1 (ko) 2021-10-12

Family

ID=7615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724A KR102311714B1 (ko) 2019-11-13 2019-11-13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7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1147B (zh) * 2022-01-04 2024-05-10 苏州安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厚产品冲压后排废掉片工艺
KR102622473B1 (ko) * 2023-01-05 2024-01-09 주식회사 큐아 의료용 드레싱 밴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56Y1 (ko) 2007-01-05 2008-03-25 (주)영케미칼 일회용 의료밴드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842697B1 (ko) * 2017-04-20 2018-03-27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156B1 (ko) 2001-07-05 2004-07-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약물 방출 스텐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40062A (ko) * 2013-10-04 2015-04-14 주식회사 인포피아 패치형 접착 테이프
KR20160002587U (ko) * 2015-01-15 2016-07-26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반창고
KR102424402B1 (ko) 2015-08-13 202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34882B1 (ko) * 2018-08-20 2019-01-03 박영준 지압용 밴드의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56Y1 (ko) 2007-01-05 2008-03-25 (주)영케미칼 일회용 의료밴드
KR101248121B1 (ko) 2012-08-31 2013-04-03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KR101842697B1 (ko) * 2017-04-20 2018-03-27 박영준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29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697B1 (ko) 의료용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68050B1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KR101736212B1 (ko) 의료용 드레싱재
KR102311714B1 (ko) 의료용 드레싱재 제조장치
WO2012029831A1 (ja) 貼付体シート、及び、その使用、並びに、貼付体シートの貼付方法
KR102056627B1 (ko) 이형지 필름 상에 드레싱재를 다수개 부착시킨 휴대용 환부 보호용 드레싱 밴드 제조장치
KR101461269B1 (ko) 필름 드레싱
US20170101242A1 (en) Conical-projections-sheet packaging bod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54388A (ko) 분리가 간편한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US9468561B2 (en) Medical dres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3189097B (zh) 带药剂的支承体及其制造方法
AU2010301154B2 (en) A method of attaching grip tabs to the carrier layer of a film dressing
KR20210097069A (ko) 의료용 드레싱재 및 제조방법
JP2013255856A (ja) 貼付体シート
KR20150134030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US20180243141A1 (en) Medical dressing patch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33740B1 (ko) 마커 인식을 이용한 피부용 패치 제조장치
KR102622473B1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제조방법
JP2009028137A (ja) 医療用貼付体セット
KR20230146289A (ko) 의료용 드레싱 밴드 및 제조방법
KR102544719B1 (ko) 박리손잡이가 구비된 피부용 패치의 제조방법
JP5384730B2 (ja) 貼付体シート
KR102618189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 조립체 제조를 위한 하이드로콜로이드에부착된 이형지의 분리 제거 장치
KR102033955B1 (ko) 다층필름의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JP3602083B2 (ja) 救急絆創膏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