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545A -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545A
KR20160047545A KR1020167007905A KR20167007905A KR20160047545A KR 20160047545 A KR20160047545 A KR 20160047545A KR 1020167007905 A KR1020167007905 A KR 1020167007905A KR 20167007905 A KR20167007905 A KR 20167007905A KR 20160047545 A KR20160047545 A KR 20160047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e
charging
unit pr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과제]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를 충방전시킨다.
[해결수단] 축전지의 제어 장치는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를 구비한다. 또한,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를 구비한다. 또한,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1 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전력량 및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2 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전력량, 축전지가 충전되는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기요금, 제 1 전력량 및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는 제 3 산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시간대마다 전기요금을 충전단가와 비교해서 전기요금이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전기요금이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STORAGE BATTERY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ELECTRICIT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수요의 피크를 저감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해서, 가정 내로의 축전 시스템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가까운 장래, 스마트 미터가 보급되어 전기요금이 시간대마다 설정되는 리얼 타임 프라이싱이 도입될 것이 예상된다.
그 때문에, 축전지의 충방전이 행해지는 시간대를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결정하는 각종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기요금이 충전 기준 가격보다 낮은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전기요금이 방전 기준 가격보다 높은 경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시키는 축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특허문헌 5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2-1519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1-2446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2-162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3-781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3-99140호 공보
그러나,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에 충전시킬 때나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시킬 때에는 손실이 발생되는 바, 상술한 축전 시스템에 있어서는 축전지가 충방전을 행하는 시간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그러한 손실은 고려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충방전 효율을 고려한 충전 전력량의 실질적인 단가가 전기요금보다 고액인 경우라도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이 행해지고, 또한 충전 전력량의 실질적인 단가가 전기요금보다 저액인 경우라도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에 충전이 행해질 우려가 있다. 즉,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지 않은 축전지의 충방전이 행해질 우려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주요한 본 발명은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와,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상기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2 산출부와, 상기 제 2 전력량, 상기 축전지가 충전되는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필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는 제 3 산출부와,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에 방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 및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를 충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시스템의 이용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축전지의 충방전과 전력량의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본 스케줄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장치의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축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시스템의 이용 형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요가의 가옥에 설치되어 전력계통으로부터 충전됨과 아울러, 가옥 내의 부하[6(61, 62, 63)]에 방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요가의 가옥에 있어서의 옥내 배선과 전력계통 사이에는 스마트 미터(5)가 설치되어 있다. 스마트 미터(5)에는 전력회사가 설정한 익일의 1시간마다의 전기요금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 시스템(1)은 축전지(2)와, 축전지(2)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축전지(2)가 하나의 제어 장치(3)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 복수의 축전지(2)가 하나의 제어 장치(3)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어도 상관없다.
<<제어 장치>>
도 2는 제어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로의 충전, 및 축전지(2)로부터 부하(6)로의 방전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전기요금 취득부(31), 충방전 효율 취득부(32), 기본 스케줄 결정부(33), 충전 전력량 산출부(34),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 충전단가 산출부(36), 전기요금 보정계수 취득부(37), 충전단가 보정계수 취득부(38) 및 제어부(39)를 포함한다.
<전기요금 취득부>
전기요금 취득부(31)는 시간대(t)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At)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예를 들면 스마트 미터(5) 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전력회사의 서버로부터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요금은 1시간마다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t=1~24이며, 전기요금 취득부(31)는 밤 12시부터 오후 11시까지의 1시간마다의 전기요금(A1~A24)의 정보를 갖는다. 또한, 제어 장치(3)가 당일의 오후 11시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충방전의 요부를 결정한 후이고 또한 익일의 밤 12시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충방전의 요부를 결정하기 전에, 전기요금 취득부(31)는 전기요금(At)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익일의 제 1 정보로 갱신한다.
<충방전 효율 취득부>
충방전 효율 취득부(32)는 축전지(2)의 충방전 효율(p, q)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충방전 효율(p, q)은 충전 효율(p)과 방전 효율(q)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충전 효율(p)은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공급되는 전력량에 대한, 축전지(2)에 충전되는 전력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또한, 방전 효율(q)은 축전지(2)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에 대한,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되는 전력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1.25kWh의 전력량이 공급된 결과 축전지(2)에 1.123kWh의 전력량이 충전된 경우, 충전 효율(p)은 0.90이다. 또한, 축전지(2)에 충전되어 있는 1.123kWh의 전력량을 산출한 결과 부하(6)에 1.00kWh의 전력량이 공급된 경우, 방전 효율(q)은 0.89이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요금 10엔/1.00kWh의 시간대에, 상술한 충방전 효율을 갖는 축전지(2)에 전력계통으로부터 1.25kWh의 전력량을 충전하는 경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전력량은 1.00kWh이기 때문에, 이 전력량을 축전지(2)에 충전하기 위해서 드는 전기요금은 12.5엔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1.00kWh당의 충전단가는 12.5엔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기요금이 11엔/1.00kWh인 시간대에, 이 축전지(2)로부터 부하에 방전하는 것은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한편, 축전지(2)에 충전된 전력량의 충전단가가 12.5엔/1.00kWh인 경우, 전기요금 10엔/1.00kWh 이하의 시간대에 축전지(2)에 충전하지 않으면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충방전 효율 취득부(32)는, 예를 들면 이용자가 외부 인터페이스(302)를 통해서 입력한 수치를 판독하여 충방전 효율(p, q)로 해도 좋다. 또는, 충방전 효율 취득부(32)는 주된 축전지의 기종과 충방전 효율의 정보를 갖고 있으며, 제어 장치(3)에 접속된 축전지(2)의 기종이 결정되면, 그 기종에 대응하는 충방전 효율을 자동적으로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충전 전력량 산출부 및 방전 가능 전력 산출부>
충전 전력량 산출부(34)는 축전지(2)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요금(At)이 시간대(t)마다 설정된다고 하는 전제 하에서 축전지(2)의 충전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하기 때문에, 해당하는 시간대 동안에 축전지(2)에 충전된 전력량 및 축전지(2)로부터 방전된 전력량을 산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충전 전력량 산출부(34)는 충전 전력량 적산부(34A)와 방전 전력량 적산부(34B)를 포함한다.
충전 전력량 적산부(34A)는 직전의 시간대(t-1)에서부터 시간대(t)까지 동안에 새로운 축전지(2)에 충전하기 위해서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량(Wt)을 적산한다. 또한, 방전 전력량 적산부(34B)는 직전의 시간대(t-1)에서부터 시간대(t)까지 동안에 축전지(2)로부터 부하에 방전된 전력량(Pt)을 적산한다.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제 1 전력량은 산출 완료된 시간대(t-1)의 제 1 전력량에 전력량 Wt×p를 가산하고, 전력량 Pt÷q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충전 전력량 산출부(34)가 제 1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충전 전력량 산출부(34)는 시간대(t)에 있어서 축전지(2)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축전지(2)로부터 직접 취득해도 좋다. 이 경우, 전력량(Wt, Pt)은 시간대(t)와 시간대(t-1)에 있어서의 제 1 전력량끼리의 차분과 충방전 효율(p, q)로부터 구해진다. 이 차분이 양의 값인 경우에는 전력량 Wt×p이며, 음의 값인 경우에는 전력량 Pt÷q이다.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는 축전지(2)가 전력계통으로부터 충전되고 있는 경우에, 상술한 전력량(Wt) 및 충방전 효율(p, q)에 의거해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 가능한 축전지(2)의 제 2 전력량(S)을 산출한다.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는 직전의 시간대(t-1)에 있어서 방전 가능했던 축전지(2)의 제 2 전력량(S')을 기억하고 있으며, 시간대(t)에 있어서 방전 가능한 축전지(2)의 제 2 전력량(S)을 관계식
S=S'+Wt×p×q
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또한,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는 축전지(2)가 부하(2)에 방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전지(2)의 제 2 전력량(S)를 관계식
S=S'-Pt
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충전단가 산출부>
충전단가 산출부(36)는 제 2 전력량(S),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전기요금(At), 전력량(Wt) 및 충방전 효율(p, q)에 의거해서 제 2 전력량(S)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X)를 산출한다. 충전단가 산출부(36)는 직전의 시간대(t-1)에 있어서의 충전단가(X')를 기억하고 있으며, 시간대(t)에 있어서의 충전단가(X)를 관계식
Figure pct00001
에 의거해서 산출한다.
<전기요금 보정계수 취득부 및 충전단가 보정계수 취득부>
전기요금 보정계수 취득부(37)는 전기요금(At)을 보정하기 위한 계수(β)를 취득한다. 계수(β)는 축전지(2)가 빈번하게 충전 및 충전의 정지를 반복하는 것 등에 의한 축전지(2)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임의의 정수이다. 계수(β)는 당초부터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이용자가 외부 인터페이스(302)로부터 입력한 값이어도 좋다.
충전단가 보정계수 취득부(38)는 충전단가(X)를 보정하기 위한 계수(α)를 취득한다. 계수(α)는 축전지(2)가 빈번하게 방전 및 방전의 정지를 반복하는 것 등에 의한 축전지(2)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임의의 정수이다. 계수(α)는 당초부터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이용자가 외부 인터페이스(302)로부터 입력한 값이어도 좋다.
<기본 스케줄 결정부>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축전지(2)의 충방전에 관한 기본적인 스케줄을 결정한다. 즉,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시간대(t)에 대응하는 전기요금(At) 및 충방전 효율(p, q)에 의거해서, 시간대(t)에 있어서 축전지(2)를 충전시킬지, 방전시킬지, 충전도 방전도 시키지 않을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전기요금(At)을 전기요금 취득부(31)로부터 판독하여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재배열함으로써 시간대(B1~B24)와 전기요금(C1~C24)으로 한다. 그리고,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가장 낮은 전기요금(C1)과 가장 높은 전기요금(C24)의 전기요금 비율 C1/C24, 두번째로 낮은 전기요금(C2)과 두번째로 높은 전기요금(C23)의 전기요금 비율 C2/C23···과 같이 해서, 전기요금 비율 Ck/C(24-(k-1))(여기서, k=1~12)을 만들고, 각 전기요금 비율을 충전 효율 및 방전 효율의 곱(p×q)과 비교한다.
전기요금 비율 Ck/C(24-(k-1))가 곱 p×q 미만인 경우,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낮은 쪽의 전기요금(Ck)에 대응하는 시간대(Bk)에 있어서 축전지(2)를 충전시키고, 높은 쪽의 전기요금[C(24-(k-1))]에 대응하는 시간대[B(24-(k-1))]에 있어서 축전지(2)를 방전시킨다. 시간대(Bk)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충전과 시간대[B(24-(k-1))]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방전에는 이용자에게 있어서 경제적인 이익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 전기요금 비율 Ck/C(24-(k-1))이 곱 p×q 이상인 경우,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전기요금[Ck, C(24-(k-1))]에 각각 대응하는 시간대[Bk, B(24-(k-1))]에 있어서 축전지(2)를 충전도 방전도 시키지 않게 된다. 시간대[Bk, B(24-(k-1))]에서는 축전지(2)의 충전도 방전도, 이용자에게 있어서 경제적 이익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예를 들면 1일 1회, 축전지(2)의 익일에 있어서의 충방전에 관한 기본 스케줄을 결정한다. 기본 스케줄 결정부(33)가 익일의 기본 스케줄을 결정하는 타이밍은 전기요금 취득부(31)가 전기요금(At)을 익일의 것으로 갱신한 후이고 또한 밤 12시 전이다.
<제어부>
제어부(39)는 시간대(t)마다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하여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충전시키고,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시킨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요금(At)과 충전단가(X)에 보정이 추가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3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기본 스케줄 결정부(33)에 의해서 결정된 기본 스케줄을 참조하여, 시간대(t)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동작을 「충전」, 「방전」, 「어느 쪽도 아님」의 3가지로 분류한다.
시간대(t)가 「충전」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9)는 시간대(t) 동안, 전력 공급 계약에 의거해서 허용되는 전력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를 충전시킨다. 또한, 충전 전력량 적산부(34A)는 시간대(t) 동안에 축전지(2)를 충전시키기 위해서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량(Wt)을 산출한다. 또한, 시간대(t)의 종료 후,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는 충방전 효율(p, q) 및 전력량(Wt)을 이용하여 방전 가능 전력량(S)을 산출하고, 충전단가 계산부(36)는 충방전 효율(p, q), 전력량(Wt) 및 방전 가능 전력량(S)을 이용하여 충전단가(X)를 산출한다.
시간대(t)가 「방전」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9)는 시간대(t) 동안 축전지(2)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전력계통에 역조류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로의 방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방전 전력량 적산부(34B)는 시간대(t) 동안에 축전지(2)로부터 부하에 방전된 전력량(Pt)을 산출한다. 시간대(t)의 종료 후,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는 전력량(Pt)을 이용하여 방전 가능 전력량(S)을 산출한다.
시간대(t)가 「어느 쪽도 아님」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9)는 축전지(2)의 충방전이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기본 스케줄의 결정과는 다른 기준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검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제어부(39)는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한다. 그리고,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일 때, 제어부(39)는 축전지(2)의 충전이 이용자에게 경제적 이익을 갖게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보정된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한다. 여기에, 보정된 전기요금(At')은 다음의 관계식
At'=At/(p×q)+β
으로 부여된다. 즉, 보정된 전기요금(At')은 충방전 효율(p, q)이 고려된 전기요금임과 아울러, β를 통해서 빈번한 충전 및 충전의 정지의 반복 등에 의한 축전지(2)의 열화가 고려되어 있다.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제어부(39)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충전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축전지(2)의 충전에 의해서 축전지(2)의 충전단가(X)가 내려가므로 축전지(2)를 충전하는 것은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다. 한편,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제어부(39)는 시간대(t) 동안 축전 시스템(1)을 정지시킨다. 충전에 의해서 축전지(2)의 충전단가(X)가 상승하는 것은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며, 또한 충전에 의해서 이용자가 얻는 이익보다 충전 및 충전의 정지의 반복 등에 수반하는 축전지(2)의 열화에 의해서 이용자가 입는 손실의 쪽이 중시되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일 때, 제어부(39)는 축전지(2)의 방전이 이용자에게 경제적 이익을 갖게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기요금(At)을 보정된 충전단가(X+α)와 비교한다. 즉, 제어부(39)는 빈번한 방전 및 방전의 정지 등에 수반하는 축전지(2)의 열화를 고려하여 방전의 가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전기요금(At)이 보정된 충전단가(X+α)보다 큰 경우, 제어부(39)는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시키도록 한다. 전기요금(At)보다 적어도 α만큼 낮은 충전단가(X)의 전력을 부하(6)에 공급하는 것은 이용자에게 있어서 경제적 이익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기요금(At)이 보정된 충전단가(X+α) 이하인 경우, 제어부(39)는 시간대(t) 동안 축전 시스템(1)을 정지시킨다. 방전에 의해서 이용자가 얻는 이익보다 방전 및 방전의 정지의 반복 등에 수반하는 축전지(2)의 열화에 의해서 이용자가 입는 손실의 쪽이 중시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제어부(39)가 결정한 충방전의 스케줄에 따라서 축전지(2)를 충방전시키기 위해 시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시계부(301)를 포함한다. 시계부(301)는, 예를 들면 스마트 미터(5)로부터 시각의 정보를 취득해도 좋고, 인터넷으로부터 시각의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시계부(301)에 기록되는 시각은 스마트 미터(5)에 기록되어 있는 시각과 동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전 시스템의 동작===
도 4~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제어 장치(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기본 스케줄 결정부(3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어부(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 장치(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에 있어서, 축전지(2)에 있어서의 익일의 충방전에 관한 기본 스케줄을 결정하고, 이어서 스텝 S2에 있어서 기본 스케줄의 보정을 행한다.
<<기본 스케줄의 결정>>
스텝 S1은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전기요금(At)과 충방전 효율(p, q)에 의거해서, 각 시간대에 있어서 축전지(2)를 충전시킬 가치가 있는지, 방전시킬 가치가 있는지, 또는 충전도 방전도 하지 않는 것에 가치가 있는지를 판정하는 과정이며, 도 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1~스텝 S15를 포함한다.
즉, 스텝 S11에 있어서,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전기요금 취득부(31)로부터 시간대(t)=1~24와, 대응하는 전기요금(A1~A24)을 도입한다.
이어서, 스텝 S2에 있어서,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전기요금(A1~A24)을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재배열하여, 재배열된 전기요금을 C1~C24로 하고, 대응하는 시간대를 B1~B24로 한다.
그리고, 스텝 S13에 있어서,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전기요금(C1~C24)으로부터 전기요금 비율 Ck/C(24-(k-1))(여기서, k=1~12)를 생성하고, 이것을 충전 효율(p) 및 방전 효율(q)의 곱(p×q)과 비교한다.
스텝 S14에서는 전기요금 비율 Ck/C(24-(k-1))이 곱 p×q 미만인 경우에,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전기요금(Ck)에 대응하는 시간대(Bk)에 축전지(2)를 충전시킬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또한 전기요금[C(24-(k-1))]에 대응하는 시간대[B(24-(k-1))]에 축전지(2)를 방전시킬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스텝 S15에서는 전기요금 비율 Ck/C(24-(k-1))이 곱 p×q 이상인 경우에,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시간대(Bk)와 시간대[B(24-(k-1))]에는 축전지(2)를 충전도 방전도 시키지 않는 것에 이용자의 이익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스텝 S13~스텝 S15를 k=1에서부터 k=12까지 반복하고, 시간대(B1~B24)를 축전지(2)를 충전시키는 시간대, 축전지(2)를 방전시키는 시간대, 축전지(2)를 충전도 방전도 시키지 않는 시간대의 3개로 분류하여 스텝 S1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은 기본 스케줄 결정부(33)가 전기요금 취득부(31)로부터 익일의 전기요금(At)의 정보를 취득한 후에 실행된다.
<<기본 스케줄의 보정>>
스텝 S2는 스텝 S1과는 다른 지표를 이용하여 축전지(2)의 충방전의 요부를 판정하는 스텝이다. 스텝 S2는, 도 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21~스텝 S28을 포함한다.
또한, 스텝 S21에 있어서, 전날의 최종의 시간대에 있어서의 충전단가(X)와 방전 가능 전력량(S)이 판독된다. 그리고, 스텝 S22에 있어서, 스텝 S1에서 결정된 충방전의 기본 스케줄이 참조되고, 시간대(t)에 있어서의 축전지(2)의 동작은 「충전」, 「방전」 및 「어느 쪽도 아님」의 3개로 분류된다.
<충전의 시간대에 있어서의 동작>
시간대(t)가 「충전」의 시간대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시간대(t) 동안 스텝 S23에 따라서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충전된다. 스텝 S23은 스텝 S231~스텝 S234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231에 있어서 이용자와 전력회사 사이에 체결된 전력 공급 계약에 의해 정해진 전력량의 범위 내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로의 충전이 실시된다. 그리고, 스텝 S232에 있어서, 시간대(t) 동안에 축전지(2)를 충전하기 위해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량(Wt)이 산출된다. 시간대(t)의 종료 후, 스텝 S233이 실행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 가능한 전력량(S)이 산출된다. 그리고, 스텝 S234에 있어서, 전력량(S)에 대한 충전단가(X)가 산출되고, 스텝 S23의 일련의 동작은 종료한다.
<방전의 시간대에 있어서의 동작>
시간대(t)가 「방전」의 시간대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시간대(t) 동안 스텝 S24에 따라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이 실시된다. 스텝 S24은 스텝 S241~스텝 S24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231에 있어서 축전지(2)로부터 출력된 전력이 전력계통에 역조류하지 않는 범위에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이 실시된다. 그리고, 스텝 S242에 있어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에 방전된 전력량(Pt)이 산출되고, 또한 스텝 S243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가능 전력량(S)이 산출된다. 이것에 의해, 스텝 S24의 일련의 동작은 종료한다.
<어느 쪽도 아닌 시간대에 있어서의 동작>
시간대(t)가 「어느 쪽도 아님」의 시간대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스텝 S25~스텝 S28에 있어서, 기본 스케줄의 결정과는 다른 기준을 이용하여, 축전지(2)의 충방전을 다시 판단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기준은 주로 전기요금(At)과 축전지(2)의 방전 가능 전력량(S)에 대한 충전단가(X)이다.
스텝 S25에 있어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와 비교된다. 그리고,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충전할 가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더 검토하기 위해, 스텝 26에 있어서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와 비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요금(At)은 충방전 효율(p, q) 및 보정계수(β)에 의해서 보정되어 전기요금(At')으로 된다.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시간대(t)에 있어서 축전지(2)를 충전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 충전에 관한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한편,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시간대(t)에 축전지(2)를 충전하는 가치는 없다고 판단되어 스텝 28로 진행한다. 스텝 28에 있어서, 시간대(t) 동안 축전 시스템(1)은 정지된다.
또한, 스텝 S25에 있어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축전지(2)에서부터 부하(6)에 방전할 가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더 검토하기 위해, 스텝 27에 있어서 전기요금(At)이 보정된 충전단가(X+α)와 비교된다.
전기요금(At)이 보정된 충전단가(X+α)보다 큰 경우, 시간대(t)에 있어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방전에 관한 스텝 S24로 이행한다. 한편, 전기요금(At)이 보정된 충전단가(X+α) 이하인 경우, 시간대(t)에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할 가치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스텝 28로 진행한다. 스텝 28에 있어서, 시간대(t) 동안 축전 시스템(1)은 정지된다.
스텝 S22~스텝 S28이 모든 시간대(t)에 대해서 실행되면 스텝 S2는 종료한다.
이렇게 해서 설정된 축전지(2)의 최종적인 충방전 스케줄에 따라서, 축전 시스템(1)은 축전지(2)를 충전, 방전 또는 정지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시스템(1)에 있어서는 2개의 기준을 이용하여 축전지(2)의 충방전을 결정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한 축전지(2)의 치밀한 충방전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요금 취득부(31)는 시간대(t)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At)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충방전 효율 취득부(32)는 축전지(2)의 충방전 효율(p, q)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충전 전력량 산출부(34)는 축전지(2)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한다.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35)는 제 1 전력량 및 충방전 효율(p, q)에 의거해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 가능한 축전지(2)의 제 2 전력량(S)을 산출한다. 또한, 충전단가 산출부(36)는 제 2 전력량(S), 축전지(2)가 충전되는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전기요금(At), 제 1 전력량 및 충방전 효율(p, q)에 의거해서 제 2 전력량(S)을 충전하는데 필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X)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39)는 시간대(t)마다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하여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로부터 축전지(2)에 충전시키고,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시킨다. 즉, 제어 장치(1)는 축전지(2)의 제 2 전력량(S)에 대한 충전단가(X)를 산출할 때에 충방전 효율(p, q)을 고려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는 충전단가(X)를 전기요금(At)과 비교하여 축전지(2)의 충방전의 요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리얼 타임 프라이싱 하에서 시간대마다 전기요금이 설정되는 경우라도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를 충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9)는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전기요금(At)을 충방전 효율(p, q)로 나눔으로써 전기요금(At)을 보정하고, 보정된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하여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일 때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로의 충전을 금지한다. 보정된 전기요금(At')은 방전시의 가격으로 환산된 전기요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일 때 축전지(2)의 방전은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방전을 금지함으로써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의 충전 및 충전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 보정계수 취득부(37)는 전기요금(At)을 보정하기 위한 제 1 보정계수를 취득한다. 제어부(39)는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전기요금(At)을 제 1 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보정하고, 보정된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하여 보정된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일 때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로의 충전을 금지한다. 제 1 보정계수로서는, 예를 들면 축전지(2)의 열화에 관한 수치가 있다. 즉, 제어 장치(1)는 가격의 다른 요소를 포함하고, 축전지(2)의 충전의 요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보정계수는 축전지(2)가 일정의 시간 내에 소정 횟수보다 많은 충전 및 충전의 정지를 반복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임의의 양의 수치(β)이며, 제어부(39)는 임의의 양의 수치(β)를 가산함으로써 전기요금(At)을 보정한다. 빈번하게 충전 및 충전의 정지를 반복하는 것은 축전지(2)의 열화로 연결되어서 이용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제어 장치(1)는 제 1 보정계수로서 임의의 양의 수치(β)를 도입함으로써 축전지(2)에 있어서의 충전 및 충전의 정지의 빈번한 반복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의 충전 및 충전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충전단가 보정계수 취득부(38)는 충전단가(X)를 보정하기 위한 제 2 보정계수를 취득한다. 제어부(39)는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충전단가(X)를 제 2 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보정하고, 전기요금(At)을 보정된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전기요금(At)이 보정된 충전단가 이하일 때 축전지(2)로부터 부하(6)로의 방전을 금지한다. 즉, 제어 장치(1)는 가격의 다른 요소를 포함하여 축전지(2)의 방전의 요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의 방전 및 방전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보정계수는 축전지(6)가 일정의 시간 내에 소정 횟수보다 많은 방전과 방전의 정지를 반복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임의의 양의 수치(α)이며, 제어부(39)는 임의의 양의 수치(α)를 가산함으로써 충전단가(X)를 보정한다. 빈번하게 방전 및 방전의 정지를 반복하는 것은 축전지의 열화로 연결되어서 이용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제어 장치(1)는 제 2 보정계수로서 임의의 양의 값(α)을 도입함으로써 방전 및 방전의 정지의 빈번한 반복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의 방전 및 방전의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스케줄 결정부(33)는 다른 시간대(t)에 있어서의 전기요금(At)끼리의 비와 충방전 효율 p×q의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축전지(2)로부터 부하(6)로의 방전,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6)로의 충전, 및 축전지(2)의 정지를 하게 한다. 보정 제어부는 기본 스케줄 결정부(33)가 축전지(2)를 정지시키는 것을 결정한 시간대(t)에 대해서, 전기요금(At)을 충전단가(X)와 비교하여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축전지(2)에 충전시키고, 전기요금(At)이 충전단가(X) 이상인 경우 축전지(2)로부터 부하(6)에 방전시킨다. 기본 스케줄의 결정과 보정 제어에 있어서 다른 판단 기준을 이용함으로써, 축전지(2)의 충방전의 가부의 판단을 치밀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의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축전 시스템(1)은 축전지(2)와 축전지(2)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경제적 이익에 적합하도록 축전지(2)를 충방전시킬 수 있는 축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기요금(At)이 설정되는 시간대(t)는 30분이어도 좋다. 이 경우, t=1~48이며, 전기요금은 A1~A48로 된다.
또한, 기본 스케줄 결정부(33) 및 이것에 대응하는 스텝 S1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텝 S22를 생략하거나, 스텝 S22에서 「어느 쪽도 아님」이 선택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제어 장치(3)가 갖는 각 기능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축전 시스템(1)은 복수의 축전지(2)와, 그들 축전지(2)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축전 시스템(1)으로부터 독립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스마트 미터(5)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1: 축전 시스템
2: 축전지
3: 제어 장치
31: 전기요금 취득부
32: 충방전 효율 취득부
33: 기본 스케줄 결정부
34: 충전 전력량 산출부
35: 방전 가능 전력량 산출부
36: 충전단가 산출부
39: 제어부

Claims (10)

  1.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와,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상기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2 산출부와,
    상기 제 2 전력량, 상기 축전지가 충전되는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는 제 3 산출부와,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에 방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방전 효율로 나눔으로써 상기 전기요금을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일 때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로의 충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요금을 보정하기 위한 제 1 보정계수를 취득하는 제 3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제 1 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일 때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로의 충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정계수는 상기 축전지가 일정의 시간 내에 소정 횟수보다 많은 충전 및 충전의 정지를 반복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임의의 양의 수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양의 수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전기요금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가를 보정하기 위한 제 2 보정계수를 취득하는 제 4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충전단가를 상기 제 2 보정계수에 의거해서 보정하고, 상기 전기요금을 보정된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보정된 충전단가 이하일 때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로의 방전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계수는 상기 축전지가 일정의 시간 내에 소정 횟수보다 많은 방전과 방전의 정지를 반복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임의의 양의 수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양의 수치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충전단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7.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와,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상기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2 산출부와,
    상기 제 2 전력량, 상기 축전지가 충전되는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는 제 3 산출부와,
    다른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끼리의 비와 상기 충방전 효율의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의 방전, 상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로의 충전, 및 상기 축전지의 정지를 하게 하는 기본 스케줄 결정부와,
    상기 기본 스케줄 결정부가 상기 축전지를 정지시키는 것을 결정한 상기 시간대에 대해서,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에 방전시키는 보정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장치.
  8.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고,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상기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전력량, 상기 축전지가 충전되는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에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방법.
  9.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고,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상기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전력량, 상기 축전지가 충전되는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에 방전시키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의 제어 프로그램.
  10.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시간대마다 설정되어 있는 전기요금을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취득하는 제 1 취득부와,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는 제 2 정보를 취득하는 제 2 취득부와,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어 있는 제 1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축전지로부터 부하에 방전 가능한 상기 축전지의 제 2 전력량을 산출하는 제 2 산출부와,
    상기 제 2 전력량, 상기 축전지가 충전되는 상기 시간대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요금, 상기 제 1 전력량 및 상기 충방전 효율에 의거해서 상기 제 2 전력량을 충전하는데 요한 단위 전력량당의 충전단가를 산출하는 제 3 산출부와,
    상기 시간대마다 상기 전기요금을 상기 충전단가와 비교하여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미만인 경우 전력계통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충전시키고, 상기 전기요금이 상기 충전단가 이상인 경우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에 방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 시스템.
KR1020167007905A 2013-11-19 2013-11-19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 KR20160047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1140 WO2015075772A1 (ja) 2013-11-19 2013-11-19 蓄電池の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蓄電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545A true KR20160047545A (ko) 2016-05-02

Family

ID=5243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905A KR20160047545A (ko) 2013-11-19 2013-11-19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41071A1 (ko)
EP (1) EP3073597A4 (ko)
JP (1) JP5661975B1 (ko)
KR (1) KR20160047545A (ko)
CN (1) CN105580235A (ko)
WO (1) WO2015075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4738A (ja) * 2015-07-28 2017-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運用管理装置および蓄電池運用管理方法
JP5975163B1 (ja) * 2015-09-29 2016-08-23 日本電気株式会社 演算装置
JP6653472B2 (ja) * 2016-03-07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867360B1 (en) * 2016-10-28 2020-12-15 Chicago Mercantile Exchange Inc. Electric battery recharging unit controlled by a seasonality detection unit of a futures margin modeling system
JP6696699B2 (ja) * 2017-11-15 2020-05-20 株式会社東芝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7103811B2 (ja) * 2018-03-23 2022-07-20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
WO2023010154A1 (en) * 2021-08-02 2023-02-09 Rheem Australia Pt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electrical appliances to an electrical gri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472B2 (en) * 2006-11-09 2009-09-15 Gridpoint, Inc. Energy arbitrage by load shifting
JP5350942B2 (ja) * 2009-08-25 2013-11-27 株式会社東芝 電力系統の需給制御装置、需給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5507669B2 (ja) * 2010-03-30 2014-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供給方法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1142114A1 (ja) * 2010-05-10 2011-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32948B1 (ko) 2010-05-13 2012-04-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방전 시스템, 충방전 장치, 충방전 방법
KR20120000011A (ko) * 2010-06-26 2012-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소비부
WO2011162587A2 (ko) * 2010-06-26 201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KR101210204B1 (ko) 2010-07-02 2012-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충방전 시스템, 충방전 장치, 충방전 방법
JP2014003726A (ja) * 2010-10-08 2014-01-09 Sanyo Electric Co Ltd 電力供給システム
JP5608574B2 (ja) 2011-01-18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方法、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プログラム
JP5838345B2 (ja) 2011-09-30 2016-0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JP5877479B2 (ja) 2011-11-01 2016-03-08 清水建設株式会社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5895157B2 (ja) * 2011-12-22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充放電制御装置
JP5877747B2 (ja) * 2012-03-28 2016-03-08 京セラ株式会社 制御装置、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N104321943B (zh) * 2012-03-30 2016-08-24 索尼公司 能量存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75772A1 (ja) 2017-03-16
JP5661975B1 (ja) 2015-01-28
EP3073597A1 (en) 2016-09-28
US20160241071A1 (en) 2016-08-18
CN105580235A (zh) 2016-05-11
WO2015075772A1 (ja) 2015-05-28
EP3073597A4 (en)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7545A (ko) 축전지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및 축전 시스템
Thingvad et al. Economic value of electric vehicle reserve provision in the Nordic countries under driving requirements and charger losses
US9343926B2 (en) Power controller
JP5680438B2 (ja) 充電制御装置
US8541982B2 (en) Battery system
US20120065792A1 (en) Supply-demand balance controller
US20140015323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EP2485356A1 (en) Energy storag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WO2010150667A1 (ja) 電池制御装置及び電池制御方法
KR101522858B1 (ko) 건물의 최대 수요전력 제어 기능을 갖는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934319A (zh) 基于电网频率的用于能量存储设备的电网调节服务
JP5838006B1 (ja) 配電装置
AU20123661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electrical energy from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U2014314267A1 (en) Method for programming energy flow between a grid and an accumulator of an electric vehicle, and corresponding device for programming
KR101530679B1 (ko) 배터리의 열화를 고려한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208614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US10999652B2 (en) Energy-based curtailment systems and methods
JP2016015846A (ja) 電力システム、御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
Kim et al. Field study on operational performance and economics of lithium-polymer and lead-acid battery systems for consumer load management
JP5838345B2 (ja) 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KR102050967B1 (ko) 한국형 전력요금제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 운용방법 및 시스템
CN103119820A (zh) 供电***
JP5681070B2 (ja) マルチ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システム
JP614812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7046507A (ja) 系統安定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