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101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101A
KR20160011101A KR1020140092157A KR20140092157A KR20160011101A KR 20160011101 A KR20160011101 A KR 20160011101A KR 1020140092157 A KR1020140092157 A KR 1020140092157A KR 20140092157 A KR20140092157 A KR 20140092157A KR 20160011101 A KR20160011101 A KR 20160011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panel
stopper
use position
supporting por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태
오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101A/ko
Priority to US14/593,425 priority patent/US9357089B2/en
Publication of KR2016001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6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terface or conso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otating or til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회전 가능한 조작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본체에 수납 위치와 사용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 패널, 조작 패널에 마련된 스토퍼, 스토퍼의 회전경로에 위치되어 스토퍼와 간섭되어 조작 패널의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조작 패널의 회전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를 갖는 스토퍼 지지부, 상기 스토퍼 지지부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스토퍼 지지부를 허용 위치로 전환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조작 패널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복합기 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설치형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프린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하나의 기기에 프린팅, 스캐닝 및 복사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디지털 복합기가 상용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상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복합기의 경우, 기기의 상부에 원고를 스캐닝하기 위한 스캐닝 유닛이 배치되고, 스캐닝 유닛의 상부에 원고 이송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은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영역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화상 형상 장치가 차지하는 바닥 면적이 종래에 비해 늘어나게 되어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치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더불어, 상부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조작 패널은, 조작 패널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 수단이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패널상에 설치된 조작 버튼을 누르는 경우, 그로 인해 조작 패널에는 하방 압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기기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이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를 포장하는 경우, 포장 박스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박스의 낙하 등으로 인해 조작 패널과 본체 연결부 사이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가 차지하는 설치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 및 유통 과정에서 조작 패널과 기기의 연결부가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더불어, 스캐닝 유닛과 프린팅 유닛 사이에 배지부가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배지부 주변의 구조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수납 위치와 사용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 패널; 상기 조작 패널에 마련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회전경로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어 상기 조작 패널의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조작 패널의 회전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를 갖는 스토퍼 지지부; 상기 스토퍼 지지부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 지지부를 상기 허용 위치로 전환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기 스토퍼 지지부에 걸려서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스토퍼는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토퍼 지지부와 간섭되는 제1면과,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토퍼 지지부와 간섭되는 제2면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2면이 상기 스토퍼 지지부에 걸려서 상기 조작 패널의 상기 사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1면은,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토퍼 지지부를 밀어 상기 스토퍼 지지부를 상기 허용 위치로 전환시키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조작 패널의 회전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 저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작 패널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 위치를 넘어서 회전된 배지 위치를 더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수납 위치에서 상기 조작 패널을 수납할 수 있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닝 유닛과,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스캐닝 유닛은 상기 인쇄유닛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지부는 상기 인쇄유닛과 상기 스캐닝 유닛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 위치에서 상기 조작 패널의 하부와 상기 배지부의 적재면 사이의 제1간격은 60mm 이상일 수 있다.
조작 패널은 그 하부와 상기 적재면 사이에 상기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을 형성하는 배지 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조작 패널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저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저항부의 회전 저항에 의하여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배지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를 운송하는 경우, 조작 패널을 회전시켜 본체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운송시에 화상 형성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용 박스의 부피도 줄일 수 있으므로 운송비 및 포장 자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안착부에 배치된 조작 패널이 배지부 주변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운송 중에 화상형성장치가 파손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을 세운 사용 상태에서는 조작 패널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기구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조작 패널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제1 지지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지지체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제2 지지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2 지지체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부분 측면도로서 조작 패널이 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부분 측면도로서 조작 패널이 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조작 패널이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와 부분 정면도이다.
도 6a는 조작 패널이 배지 위치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부분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부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e는, 조작 패널을 수납 위치와 사용 위치 및 배지 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들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조작 패널(2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10-1)과, 인쇄유닛(10-1)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배지부(11)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닝 유닛(1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캐닝 유닛(10-2)은 인쇄유닛(10-1)의 상부에 위치되며, 배지부(11)는 스캐닝 유닛(10-2)과 인쇄유닛(10-1) 사이에 위치된다.
인쇄유닛(10-1)은 전자사진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등 알려진 다양한 인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스캐닝 유닛(10-2)은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독취부재(미도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 등 다양한 독취방식에 의하여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 들인다. 본 실시예의 스캐닝 유닛(10-2)은 복합 방식을 채용한다. 플랫베드 방식으로 화상을 독취하기 위하여, 상부 유닛(10-22)은 하부 유닛(10-21)에 대하여 개폐될 수 있다. 원고이송 방식으로 화상을 독취하기 위하여, 상부 유닛(10-22)에는 다수의 원고를 한 장씩 독취부재(미도시)가 배치된 독취영역으로 이송시키는 자동원고이송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고공급트레이(12)에 놓인 다수의 원고는 한 장씩 인출되어 독취영역을 통과한 후에 원고배출트레이(14)로 배출될 수 있다.
조작 패널(20)에는 화상형성장치(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211)과,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조작 버튼(212)이 마련된다. 조작 패널(20)은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수납 위치와 도 1에 실선으로 도시된 사용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본체(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패널(20)이, 힌지 결합을 이용하여 본체(10)의 정면부에 회동될 수 있게 배치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조작 패널(20)은 정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조작 패널(20)은 제1 지지체(100)에 의하여 본체(10)와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2지지체(200)는 본체(10)에 마련되어 조작 패널(20)의 본체(10)에 대한 회동각도 및/또는 회동방향에 따라서 조작 패널(2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제2지지체(200)는 조작 패널(20)의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며,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의 회동은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제2지지체(200)는 조작 패널(20)을 사용 위치에 유지시키며, 사용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의 회동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도 2a는 제1 지지체(1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지지체(10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지지체(100)는 연결바(140)와, 연결바(140)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한 쌍의 브라켓(110)(1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바(140)는 본체(10)에 연결된다. 연결바(140)에는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14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와 연결바(140)는 결합구(141)에 체결되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브라켓(110)(120)은 조작 패널(20)에 고정되는 고정부(111)(121)와, 고정부(111)(121)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바(1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회동부(112)(122)를 각각 구비한다. 연결바(140)의 양단부와 회동부(112)(122) 사이에는 연결바(140)에 대한 회동부(112)(122)의 회동에 회동 저항을 부여하는 회동저항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저항부(150)는 연결바(140)의 양단부와 회동부(112)(122)에 연결바(140)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은 예를 들어 스프링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작 패널(20)은 제1지지체(100)에 의하여 본체(10)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또한, 회동저항부(150)의 작용에 의하여, 조작 패널(20)은 회동저항부(150)의 저항보다 큰 힘이 가해질 때에만 본체(1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제1지지체(100)는 스토퍼(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제2지지체(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조작 패널(20)의 본체(10)에 대한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또한, 스토퍼(130)는 제2지지체(2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작 패널(20)을 사용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토퍼(130)는 브라켓(120)의 회동부(122)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스토퍼(130)는 조작 패널(20)에 대하여 제1각도(α)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30)가 브라켓(120)과 일체로 형성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130)는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130)는 조작 패널(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130)는 조작 패널(20)의 배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토퍼(1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스토퍼(130)는 둘 이상일 수도 있다. 다수의 스토퍼(130)는 브라켓(110)(1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브라켓(110)(120)에 결합되거나, 조작 패널(20)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조작 패널(20)의 배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제2 지지체(200)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2 지지체(20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제2지지체(200)는 본체(10)에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스토퍼 지지부(260)와, 스토퍼 지지부(260)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재(270)와, 스토퍼 지지부(260)에 조작부재(270)에 의한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지지부(260)는 스토퍼(130)와 간섭되어 조작 패널(20)이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회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위치(도 3b의 점선)와, 스토퍼(130)의 회전 경로로부터 도피되어 조작 패널(20)의 회동을 허용하는 허용위치(도 3b의 실선)로 회동된다. 조작부재(270)는 스토퍼 지지부(260)를 허용위치로 회동시킨다. 탄성부재(250)는 스토퍼 지지부(260)에 차단위치로 복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체(10)에는 회전축(210)과, 이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30)가 마련되고, 스토퍼 지지부(260)는 회전부재(23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 지지부(260)는 예를 들어, 회전부재(230)에 코킹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토퍼 지지부(260)는 회전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작부재(27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 형태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조작부재(27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271)와, 누름부(271)로부터 회전부재(230)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272)를 구비할 수 있다. 후크부(273)는 조작부재(270)가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0)에 걸린다.
탄성부재(250)는 예를 들어, 일단(251)이 본체(10)에 지지되고 타단(255)이 회전부재(230)에 마련된 걸림부(241)에 걸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270)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 지지부(260)는 차단위치에 위치된다. 조작부재(270)의 연장부(272)는 회전부재(230)에 접촉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누름부(271)에 하방으로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회전부재(230)는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스토퍼 지지부(260)는 허용위치에 위치된다.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부재(2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토퍼 지지부(260)는 차단위치로 복귀된다. 조작부재(27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230)에 밀려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부재(250)는 조작부재(27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을 제공한다. 회전부재(230)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은 후크부(273)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즉, 스토퍼 지지부(260)가 차단위치에 위치되면, 후크부(273)가 본체(10)에 지지되고, 회전부재(23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토퍼 지지부(260)는 차단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토퍼 지지부(260)가 차단위치에 위치되면, 스토퍼 지지부(260) 또는 회전부재(230)가 본체(10)에 마련된 회전제한부(미도시)에 접촉되어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스토퍼(130)는 조작 패널(20)이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동될 때(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에 스토퍼 지지부(260)에 걸리는 제1면(131)과, 사용위치로부터 수납위치로 회동될 때(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에 스토퍼 지지부(260)에 걸리는 제2면(132)을 구비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부분 측면도로서 조작 패널(20)이 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부분 측면도로서 조작 패널(20)이 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의 본체(10)에 대한 회전 각도가 0도인 수납 상태(수납 위치)가 도시된다. 스토퍼(130)는 스토퍼 지지부(26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수납 상태에서 본체(10)의 측부에 대한 조작 패널(20)의 돌출량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의 전체 형상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운송이 용이해지고, 포장 박스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조작 패널(20)의 하부(21)는 본체(10), 예를 들어 인쇄유닛(10-1)에 마련된 안착부(1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조작 패널(20)은 안정적으로 수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포장 및 운송과정에서 제1지지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하여 제1지지체(100)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스캐닝 유닛(10-2)이 조작 패널의 상부(22)까지 확장된다. 수납 상태에서 조작 패널(20)의 하부(21)는 안착부(16)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22)는 스캐닝 유닛(10-2)의 하부(10-23)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수납 상태에서 조작 패널(20)이 안정적으로 본체(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캐닝 유닛(10-2) 또한 인쇄유닛(10-1) 및 조작 패널(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포장 또는 운송과정에서 본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이 본체(10) 및 조작 패널(20)에 전체적으로 분산되므로, 충격에 의한 본체(10) 및 조작 패널(20)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배지부(11)가 본체(10)의 중앙부, 즉 인쇄유닛(10-1)과 스캐닝 유닛(10-2) 사이에 위치된 구조에서, 조작 패널(20)이 스캐닝 유닛(10-2)를 지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으므로, 배지부(11) 주변의 구조물들이 운송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조작 패널(20)이 사용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와 부분 정면도이다.
도 5a 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이 사용각도, 예를 들어 45도만큼 회전한 사용 상태(사용위치)가 도시된다. 조작 패널(20)을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조작부재(270)를 눌러 스토퍼 지지부(260)를 스토퍼(130)와 간섭되지 않는 허용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런 다음, 조작 패널(20)을 도 5a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스토퍼(130)의 제1면(131)이 스토퍼 지지부(260)에 걸리지 않으므로, 조작 패널(20)은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조작부재(27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 지지부(260)는 차단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20)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스토퍼(230)의 제2면(132)이 차단 위치에 위치된 스토퍼 지지부(260)에 걸리고, 조작 패널(20)은 사용 위치를 넘어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 패널(20)은 사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스토퍼(130)가 스토퍼 지지부(26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조작 패널(20)에 가해지는 조작력에도 불구하고 조작 패널(20)은 사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각도는, 조작 패널(20)에 대한 스토퍼(130)의 각도인 제1 각도(α)와, 스토퍼 지지부(26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각도에 45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작 패널(20)에 대한 스토퍼(130)의 각도인 제1 각도(α)와, 스토퍼 지지부(260)의 위치는 소망하는 사용각도에 맞추어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사용 상태에서, 스토퍼 지지부(260)(또는 회전부재(230))의 회동중심(C1)과 스토퍼 지지부(260)를 연결하는 선(L1)과 조작 패널(20)의 회동중심(C2)과 스토퍼(130)를 연결하는 선(L2)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스토퍼(130)의 제2면(132)은 선(L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패널(20)에 마련된 각종 조작 버튼(212)을 누르는 경우, 조작 패널(20)에 인가되는 조작력은 스토퍼(130)를 통하여 스토퍼 지지부(260)에 작용된다. 이 힘의 방향이 선(L1)과 평행하지 않을 경우, 회전부재(230)가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의 반대?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조작 패널(20)이 사용 위치에 유지되지 못하고 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L1)과 선(L2)가 서로 직교하므로, 스토퍼 지지부(260)에 가해지는 힘의 선(L1)에 수직한 분력이 거의 "0"이 된다. 따라서, 스토퍼 지지부(260)가 안정적으로 차단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조작 패널(20) 역시 안정적으로 사용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인쇄유닛(10-1)으로부터 배출된 용지는 배지부(11)에 적재된다. 배지부(11)에 대한 용지의 적재량은 사용 위치에 위치된 조작 패널(2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패널(20)의 하부(21)와 배지부(11)의 적재면(111) 사이의 제1간격(D1)에 의하여 배지부(11)에의 용지의 적재량이 제한된다.
제1간격(D1)은 인쇄유닛(10-1)에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카세트(미도시)의 적재 용량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급지카세트의 용지 적재 용량은 500매를 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제1간격(D1)은 500매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간격(D1)은 예를 들어 60mm이상일 수 있다. 제1간격(D1)을 감안하여, 배지부(11)의 적재면(111)의 높이(h1)는, 사용 위치에 위치된 때의 조작 패널(20)의 하부(21)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인쇄가 완료되어 배지부(11)에 적재된 용지를 인출할 때에, 사용 위치에 위치된 조작 패널(20)에 의하여 배지부(11)에 엑세스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인쇄를 수행하기 위하여 배지부(11)의 적재용량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배지부(11)로부터 인쇄된 용지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하여 또는 배지부(11)의 적재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작 패널(20)은 사용 위치를 넘어서 더 회전되어 배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a는 조작 패널(20)이 배지 위치에 위치된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부분 측면도를 나타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부분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은 본체(10)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β)까지 회전된다. 조작 패널(2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또는 외부 동력에 의해 배지 상태(배지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조작 패널(20)은 사용 위치를 넘어서 예를 들어 최대 75도까지 회전되며, 이 때, 스토퍼(130)는 스토퍼 지지부(26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도 6b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이 배지 위치에 위치되면, 인쇄된 용지를 인출할 수 있는(또는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간격(D2)이 조작 패널(20)과 배지부(11) 사이에 형성된다. 조작 패널(20)이 본체의 측부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 각도로 기울도록 배치됨에 따라, 배지부(11)의 정면 방향으로 배지부(11)의 적재면(111)과 조작 패널(20)의 하부(21) 사이에는 제1간격(D1)보다 큰 제2간격(D2)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저항부(150)에 의하여 조작 패널(20)은 배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20)은 사용 위치와 배지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될 수도 있다.
조작 패널(20)의 사용 위치 또는 배지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의 전환시킬 때에는, 조작부재(270)를 눌러 스토퍼 지지부(260)를 허용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스토퍼 지지부(260)가 스토퍼(130)의 제2면(132)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런 다음, 조작 패널(2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수납 위치로 전환시킨다. 조작부재(27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 지지부(260)는 차단 위치로 복귀된다.
도 7a 내지 도 7e는, 조작 패널(20)을 수납 위치와 사용 위치 및 배지 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들이다.
조작 패널(20)이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는 조작부재(27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조작 패널(20)의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130)의 제1면(131)은 조작 패널(20)이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차단 위치에 위치된 스토퍼 지지부(230)를 밀어 허용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조작 패널(20)을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동시킬 때에 조작부재(270)를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0)의 제1면(131)은 곡면 형상을 가진다.
도 7a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의 수납 상태에서 스토퍼(130)와 스토퍼 지지부(260)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사용자 또는 외부 동력에 의해 조작 패널(20)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조작 패널(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조작 패널(20)에 사용 위치로 접근됨에 따라 스토퍼(130)의 제1면(131)과 스토퍼 지지부(260)가 접촉된다. 스토퍼(130)의 제1면(131)이 곡면형상이므로, 조작 패널(20)이 외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스토퍼 지지부(260)는 제1면(131)에 밀려서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조작 패널(20)의 회전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에 위치된다.
스토퍼(130)의 제2면(131)과 스토퍼 지지부(260)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 지지부(26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위치로 복귀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작 패널(20)을 사용 위치를 넘어서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지부(11)에 다수의 용지를 배출해야 하는 경우, 조작 패널(20)을 배지 위치까지 또는 사용 위치와 배지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 패널(20)을 사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는 다시 조작 패널(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30)의 제2면(132)이 차단 위치에 위치된 스토퍼 지지부(260)에 걸린다. 조작 패널(20)은 더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사용 위치에 유지된다.
조작 패널(20)을 다시 수납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270)를 누른다. 그러면, 회전부재(230)가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토퍼 지지부(260)는 스토퍼(130)의 제2면(132)으로부터 이격되어 실선으로 도시된 허용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20)를 수납 위치로 회전시킨다. 조작부재(27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토퍼 지지부(260)는 도 7e의 점선으로 도시된 차단위치로 복귀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30)의 제1면(131)이 곡면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130)의 제1면(131)은 경사면일 수도 있다. 스토퍼(130)의 제1면(131)은 조작 패널(20)이 수납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차단 위치에 위치된 스토퍼 지지부(260)를 밀어 허용 위치로부터 회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
10-1: 인쇄유닛 10-2: 스캐닝 유닛
11: 배지부 111: 적재면
16: 안착부 20: 조작 패널
211: 디스플레이창 212: 조작 버튼
100: 제1 지지체 110, 120: 브라켓
111, 121: 브라겟의 고정부 112, 122: 브라켓의 회동부
130: 스토퍼 131: 스토퍼의 제1면
132: 스토퍼의 제2면 200: 제2 지지체
210: 회전축 230: 회전부재
250: 탄성부재 260: 스토퍼 지지부
270: 조작부재

Claims (14)

  1. 본체;
    상기 본체에 수납 위치와 사용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조작 패널;
    상기 조작 패널에 마련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의 회전경로에 위치되어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어 상기 조작 패널의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와, 상기 조작 패널의 회전을 허용하는 허용 위치를 갖는 스토퍼 지지부;
    상기 스토퍼 지지부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 지지부를 상기 허용 위치로 전환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차단 위치에 위치된 상기 스토퍼 지지부에 걸려서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유지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토퍼 지지부와 간섭되는 제1면과,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토퍼 지지부와 간섭되는 제2면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2면이 상기 스토퍼 지지부에 걸려서 상기 조작 패널의 상기 사용 위치에 유지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조작 패널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 위치로 회동될 때에 상기 스토퍼 지지부를 밀어 상기 스토퍼 지지부를 상기 허용 위치로 전환시키는 형상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의 회전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 저항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 위치를 넘어서 회전된 배지 위치를 더 갖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조작 패널을 수납할 수 있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닝 유닛과,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유닛은 상기 인쇄유닛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배지부는 상기 인쇄유닛과 상기 스캐닝 유닛 사이에 위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조작 패널의 하부와 상기 배지부의 적재면 사이의 제1간격은 60mm 이상인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그 하부와 상기 적재면 사이에 상기 제1간격보다 큰 제2간격을 형성하는 배지 위치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저항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저항부의 회전 저항에 의하여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배지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40092157A 2014-07-21 2014-07-21 화상형성장치 KR20160011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157A KR20160011101A (ko) 2014-07-21 2014-07-21 화상형성장치
US14/593,425 US9357089B2 (en) 2014-07-21 2015-01-09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otatable operatio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157A KR20160011101A (ko) 2014-07-21 2014-07-2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101A true KR20160011101A (ko) 2016-01-29

Family

ID=5507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157A KR20160011101A (ko) 2014-07-21 2014-07-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57089B2 (ko)
KR (1) KR201600111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5820B2 (ja) * 2016-04-25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01650A (ja) * 2016-07-05 2018-01-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31500B2 (ja) * 2016-07-27 2020-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36513B2 (ja) * 2016-08-03 2019-07-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07000B2 (ja) * 2017-03-31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59311B2 (ja) * 2019-02-05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6082B2 (ja) * 2006-09-11 2012-03-28 株式会社リコー 角度調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9559B2 (ja) 2011-03-10 2014-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の電気機器のプロテク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7089B2 (en) 2016-05-31
US20160021267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1101A (ko) 화상형성장치
TWI750461B (zh) 圖像讀取裝置
CN101471002B (zh) 显示装置和具有该显示装置的电气设备
CN102530659B (zh) 纸张自动进给装置、复印机和传真装置
CN105278277A (zh) 薄片体处理装置及具备该薄片体处理装置的图像形成装置
JP5566204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85747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56235B2 (ja) 画像形成装置
US8905396B2 (en) Image forming device
US7483669B2 (en) Image-forming apparatus, image-forming system, and image-forming unit
US7731189B2 (en) Paper guide adjusting mechanism and office machine using such mechanism
JPH06191655A (ja) 給紙装置
JP6670343B2 (ja) 給紙装置、給紙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9139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16170A (ja) プリンタ
JP4811353B2 (ja) シート収容トレイ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02856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1169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31764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200106928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複合装置
JP3569403B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トレイ
US20080237966A1 (en) Rotating Input Tray for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Of An Imaging Apparatus
JP4240024B2 (ja) 給紙装置
JP2006126405A (ja) 画像処理装置
JP2021147119A (ja) シート排出トレイ及びシート排出トレイ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