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111A -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111A
KR20160010111A KR1020140091005A KR20140091005A KR20160010111A KR 20160010111 A KR20160010111 A KR 20160010111A KR 1020140091005 A KR1020140091005 A KR 1020140091005A KR 20140091005 A KR20140091005 A KR 20140091005A KR 20160010111 A KR20160010111 A KR 2016001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net
particles
net
accel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417B1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2014009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6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by impingement against siev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 별로 분류하고자 하는 입자 혼합물을 고속으로 가속시켜 스크린망에 충돌시킴으로써 크기 별로 입자들의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스크린은 크기별로 선별해야할 입자 혼합물을 가속시키는 가속기(2,3); 가속기에 의해 가속된 입자 혼합물이 충돌할 수 있도록, 가속된 입자 혼합물의 이동 경로 상에서 가속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크린망(41,44); 및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작아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과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커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분리해서 배출하는 슈트(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Impact Screen and Impact Sorting Method for Particles}
본 발명은 크기 별로 입자를 분류할 수 있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 별로 분류하고자 하는 입자 혼합물을 고속으로 가속시켜 스크린망에 충돌시킴으로써 크기 별로 입자들의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자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물을 그 크기 별로 분류하는 조작은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다. 크기 별로 입자상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일정한 망목의 크기를 가지는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작아 스크린망을 통과하는 입자들과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커서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입자들로, 입자들을 분류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스크린망을 구비하고 스크린 망에 진동을 주어서 상술한 분류 조작을 하는 기계를 스크린 또는 체라고 부른다. 스크린에는 스크린망의 기울기에 따라서 수평스크린과 경사원진동스크린 등이 있는데, 이들 스크린은 공통적으로 스크린망을 장치에 고정시킨 후 장치에 여러 형태의 진동을 주며 스크린망 위에 입자상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올려서, 망목보다 작은 입자상 물체는 스크린망을 통과하여 낙하시키고, 망목보다 큰 입자상 물체는 망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장치로부터 이탈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입자상 물체가 어느 정도 습기를 머금은 채 젖어 있거나 입자의 크기가 흙 같이 미세한 경우에는 이들 입자들 간에 점착성이 있기 때문에, 입자 한 개 한 개의 크기로 보아서는 입자들이 충분히 망을 통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자들이 머금은 습기로 인해 입자가 여러 개 뭉쳐서 스크린 망을 이루는 강선에 점착되어 버림으로써 망목을 막아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스크린의 선별능력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아예 선별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예를 들면 노천에 대량으로 쌓여 있는 자갈이나 모래들은 강우 등에 의해 항상 어느 정도의 습기를 함유하고 있고, 또 흙 입자 같은 미세한 크기의 입자들은 습기를 자연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이들을 크기별로 선별하고자 할 때 상술한 망목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망목의 크기가 크면 망목 막힘 현상이 잘 생기지 않으나, 가령 망목이 6 밀리미터 이하가 되면 대부분의 경우 망목 막힘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망목의 크기가 예를 들어 2 밀리미터나 1 밀리미터인 스크린망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입자상 물체들을 선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런 연유로, 흙 같이 입자 크기가 작은 물체들을 선별해야 할 경우에는 선별해야 할 물체와 함께 대량의 물을 스크린망에 연속적으로 주수하며 선별하는 습식선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대량의 탁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탁수를 처리하는 폐수처리 시스템을 설치하고 운용해야 하는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선별해야 할 물체가 수분을 함유하지 않도록 이들을 건조시킨 상태에서는 상술한 망목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선별해야 할 물체들을 건조시킬 때 건조 장치 설치와 연료비 등으로 역시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49109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2989호 등록특허공보 제695917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576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연 상태에서 어느 정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체들을 선별할 때 탁수를 발생시키거나 과도한 연료비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입자상 혼합물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상 물체를 효율적으로 가속하면서도 가속되어 입자상 물체가 날아가는 영역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가속기와 그를 이용한 가속 방법에 의해 크기별로 물체들을 선별하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속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를 최소화하고, 마모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영역에 사용되는 소모품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속기와 그를 이용한 가속 방법에 의해 크기별로 물체들을 선별하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속기에서 가속된 물체가 스크린망을 통과한 후 스크린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에 부딪혀 점착성 입자가 덩어리져서 부착되거나 장치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망에 의해 크기별로 분류된 입자상 물체들을 자동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스크린망에 의해 3개 이상의 크기별로 입자상 물체들을 분류할 수 있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큰 입자가 가속되면서 가지는 운동량에 의해 망목이 작은 스크린망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기별로 선별해야할 입자 혼합물을 가속시키는 가속기(2,3); 가속기에 의해 가속된 입자 혼합물이 충돌할 수 있도록, 가속된 입자 혼합물의 이동 경로 상에서 가속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크린망(41,44); 및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작아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과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커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분리해서 배출하는 슈트(5);를 구비하는 충격스크린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기는, 수직의 회전축(31)과; 상기 수직의 회전축(31)에 의해 회전하여 입자 혼합물을 원심력에 의해 가속시키는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망은 회전자의 외측에서 회전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스크린망의 단면을 보았을 때 상기 스크린망은 폐단면을 가지거나 환형으로 배치되되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는 스크린망 부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는, 중앙부에 투입공이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회전축(31)에 연결되는 하판(21)과; 상기 상판과 하판의 외곽 단부를 연결하는 주벽(23);을 포함하며, 상기 주벽(23)에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원형구멍(231)이 형성된 회전자조립체(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구멍(231)은 주벽(23)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등간격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구멍(231) 둘레에는 주벽보다 경도가 큰 내마모링(2331)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마모링(2331)은 상기 원형구멍(231)에 대해 방위각을 달리하며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21)의 중심과 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분산파이프(24)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산파이프(24)의 상단의 높이는 원형구멍(231)의 중심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산파이프(24)는 하부 분산파이프(244) 및 상기 하부 분산파이프(244)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분산파이프(2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망을 기준으로 가속기의 대향부에는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을 받는 탄성 재질의 커튼(1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망과 체결되되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내부슈트(51)로 안내하는 내부프레임(11)과; 상기 내부프레임(11)을 기준으로 가속기보다 더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을 외부슈트(52)로 안내하는 외부프레임(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프레임(12)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을 받는 탄성 재질의 커튼(122)이 상기 외부프레임(12)과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기는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 상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은 상기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프레임(12)의 외측에서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공간을 통해 상기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 상에 설치된 가속기에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 사이에는 중간프레임(15)이 더 구비되고, 중간프레임(15)에는, 내부프레임(11)에 체결된 스크린망보다 망목(網目)이 더 작은 스크린망이 체결되며, 중간프레임(15)은 중간프레임에 체결된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중간슈트(54)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프레임(11)에 설치된 스크린망보다 가속기에 더 가까운 전방 위치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린망보다 망목이 더 큰 스크린망이 더 구비되되, 상기 내부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린망 및 그보다 망목이 더 큰 전방의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은 서로 분리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망에는 초경합금 또는 경질크롬도금이 코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크린망은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망은 환봉을 수직으로 세워 복수개 배열하되, 환봉과 환봉 사이가 이격된 형태일 수 있고, 그 재질은 초경합금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기별로 선별해야할 입자 혼합물을 가속하는 단계; 가속된 입자 혼합물의 이동 경로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크린망(41,44)을 배치하여 스크린망의 망목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과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입자들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입자 혼합물의 가속은 수직의 회전축(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의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망은 상기 회전자와 이격되며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설치된 주벽(23)에 형성된 원형구멍(231)을 통해 입자가 가속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형구멍(231) 둘레에는 주벽보다 경도가 큰 내마모링(2331)을 체결하여 원형구멍의 둘레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되, 내마모링이 집중적으로 마모되는 위치에서 내마모링이 마모된 경우 원형구멍에 대한 상기 내마모링의 방위각을 바꾸어 상기 내마모링을 다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속된 상기 입자 혼합물을 가속기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망목의 크기가 작아지는 복수의 스크린망으로 크기별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자 혼합물 중 망목이 작은 스크린망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는 큰 입자들이 포함된 경우, 복수의 스크린망 중 가속기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상기 큰 입자들만을 거를 수 있는 망목의 스크린망을 부가 설치하여, 큰 입자들이 망목이 작은 스크린망에 충돌하여 이를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형 스크린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수분을 함유한 미립자가 포함된 입자상 물체들을 크기 별로 선별할 때 탁수 같은 폐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둘째, 입자상 물질을 건조시킬 필요가 없어서 별도의 설비를 설치하거나 고가의 연료를 소모할 필요가 없다.
셋째, 입자가 작거나, 수분을 함유하고 점착성이 있는 흙 같은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입자의 크기 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
넷째, 컴팩트한 장치로 입자를 크기 별로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다섯째, 가속기를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내구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가속기에 의해 가속되는 물체의 이동 영역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여섯째, 가속에 의한 입자의 충돌로 인해 강선이 얇고 망목이 작은 스크린망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간단한 구조로도 복수의 크기별로 입자상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스크린과 충격 선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평면 단면도이다.
[프레임]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스크린은 원통 형상의 프레임(1)을 구비한다. 프레임(1)은 동심을 이루는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은 이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된 수직벽 형태의 프레임연결판(13)들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프레임연결판(13)은 그 상부에서 선별되어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입자상 물체들의 낙하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직벽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벽 형태로 프레임연결판(13)을 연결하면 직사각형 형태로 프레임연결판(13)을 제작할 수 있어 제작도 간편하다.
내부프레임(11)의 높이는 외부프레임(12)의 높이보다 낮은데, 이러한 높이의 차이만큼 내부프레임(11)의 상단에는 후술할 스크린망조립체(4)가 설치되므로, 스크린망조립체(4)까지 함께 감안하면 내부프레임과 외부프레임의 높이는 거의 비슷하게 된다.
[슈트]
프레임(1) 하부에는 크기별로 분류된 입자상 물체들을 모아서 컨베이어벨트 등으로 보내기 위한 슈트(5)가 연결되어 있는데, 슈트(5) 또한,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내부슈트(51)와 외부슈트(52)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슈트(51)는 내부프레임(11)의 하단에, 외부슈트(52)는 외부프레임(12)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내부슈트(51)에 의해 배출되는 입자상 물체를 외부슈트(52)로부터 배출되는 입자상 물체와 분리 배출하기 위해, 내부슈트(51)의 하단에는 외부슈트(52)를 통과하는 내부슈트도관(53)이 연결되어 있다.
[스크린망조립체]
내부프레임(11) 상단부에는 스크린망조립체(4)가 결합된다. 이 스크린망조립체(4)는 스크린망(41), 이 스크린망(4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스크린망(41)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잡아주는 한 쌍의 가이드링(42), 그리고 가이드링(42)과 스크린망(41)을 체결하는 결합볼트(43)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에서 밑으로 내려다본 평면도에서 스크린망은 원형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회전자조립체(2)를 둘러싸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얻고자하는 충격 방식의 입자 혼합물 분류 효과가 반드시 이러한 스크린망의 형태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스크린망은 복수의 스크린망 부분들이 회전자조립체(2)의 둘레에 환형으로 배치되되 가속된 입자 혼합물이 반드시 스크린망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각에 반드시 부딪히도록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게 배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링(42)은 ㄱ형강(앵글)을 원형으로 말아서 성형하며, 스크린망의 형태를 원통형으로 잡아줄 수 있다면 다른 형태의 형강, 가령 평철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평철에 비해 ㄱ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ㄱ형강의 수평부분에 의해 원형 형상의 변형에 저항하는 2차관성모멘트를 더욱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망의 형태를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스크린망조립체(4)에서 스크린망의 하단부에 부착된 가이드링(42)의 원통형 수직부분은 내부프레임(11)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스크린망(41)이 내부프레임(11)과 동심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링(42)의 와셔형 수평부분은 내부프레임(11)의 상단수평면에 접촉하여 스크린망조립체(4)의 수직 높이를 결정하고 자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스크린망이 가이드링의 외측에 체결되고, 가이드링의 수직부분이 내부프레임(11)의 외주면에 끼워진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를 따라갈 필요는 없으며, 스크린망이 가이드링의 내측에 체결되는 구조 및/또는 가이드링의 수직부분이 내부프레임(11)의 내주면에 끼워진 형태도 활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스크린망은 진동스크린에 사용되는 망보다 충돌하는 입자들에 의하여 마모가 일어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을 내마모성이 있는 재질, 즉 초경합금 또는 경질크롬도금 등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경합금은 플라즈마 용사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으며 경질크롬도금은 일반적인 경질크롬도금욕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망의 구조는 여러 형태의 직조 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크린 망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직조된 형태가 아니라 길이가 작은(예를 들면 100mm~300mm) 환봉을 수직으로 복수개 배열하되, 환봉과 환봉 사이 간격을 원하는 입자만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로 필요한 만큼 이격 배열하여(마치 감옥의 창살과 같이), 복수의 환봉을 원형 또는 여러 형태로 배열한 구조의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스크린 망은 초경합금으로 제작된 환봉을 재료로 사용할 때 유용한 형태이다.
이 외에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한 스크린 망도 사용 가능하며 이는 일반적인 강선 직조망 보다 내구성이 높다.
[커튼]
외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부근의 내주면에는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강으로 만들어진 링형상의 커튼지지대(121)가 부착되어 있고 이 커튼지지대(121)의 수직 원통 부분의 내주면에는 볼트(미도시)들에 의해 고무와 같은 탄성체 재질로 만들어진 미립자받이용 커튼(122)이 전주면(全周面)에 걸쳐서 결합되어 있다.
커튼(122)은 스크린망조립체(4)와 동일한 높이 부근에 설치되며 엄밀하게는 후술할 회전자조립체(2)에 의해 가속되는 입자상 물체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것이라 할 수 있음, 외부프레임(12)의 내면에 대해 약간 이격되어 있어서, 회전자조립체(2)로부터 가속되어 나와 스크린망(41)을 통과한 입자상 물체와 충돌하면 이격된 공간에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입자상 물체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입자상 물체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
내부프레임(11) 안쪽에는 통상적인 수직축 충격파쇄기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한 원리를 가지는 회전자조립체(2)와 회전축조립체(3)가 내부프레임(11)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 채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조립체(3)는 그 하단에서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에 의해 지지되고, 그 측면에서 보강리브(333)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채널 형상으로서 초기 조립의 편의를 위해 대략 “П”형상의 채널 저부에 조립식으로 된 바닥판(142)이 볼트 등의 수단으로 체결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의 일측 단부는 일측 내부프레임(11)에 체결되고,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의 타측은 내부프레임(11)의 중심을 가로질러 타측 내부프레임(11)에 관통 체결되며, 나아가 타측 내부프레임을 관통하여 타측 외부프레임(12)에까지 관통 체결된다.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은 채널 형상이므로 타측 외부프레임(12)의 외부로부터 채널(14)의 중공부를 통하여 내부프레임(11)의 중심까지 연통된 형태가 된다.
[가속기-회전축조립체]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의 상면 중 내부프레임(11)의 중심 부분은 개구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회전축조립체(3)의 회전축(31) 하단 및 그 하단에 축설된 풀리(32)가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조립체(3)의 회전축(31)을 감싸는 베어링하우징(33)은 베어링하우징(33) 하단부에 형성된 베어링하우징플랜지(331)를 통해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의 상면(141)과 볼트(332)로 결합된다.
작업자는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을 통해서 장치의 외부로부터 채널 속에 자리 잡은 풀리(32)까지 손쉽게 도달할 수 있으며, 이 풀리(32)는 충격 스크린의 외부에 설치된 원동기(미도시)에 부착된 풀리와 V-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수직의 회전축(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하우징(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333)에 의하여 내부프레임(11)의 내주벽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자조립체(2)의 회전에 수반되는 진동 등 각종 강한 힘에 견딜 수 있다.
[가속기-회전자조립체]
회전축조립체(3)의 상부에는 회전축(31)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회전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조립체(2)가 설치된다. 회전자조립체(2)의 높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망(41) 및 커튼(122)의 높이와 대략적으로 일치한다.
회전자조립체(2)는 원형의 하판(21)과 상판(22) 그리고 원통형인 주벽(23)으로 구성된다. 상판(22)의 중심부는 개구되어 있고, 이를 통해 선별해야 될 입자 혼합물이 상부로부터 회전자조립체(2) 내부로 투입된다.
주벽(23)에는 회전자조립체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4개의 원형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 구멍(231)의 둘레에는 볼트구멍(2321)을 가지는 출구링(232)이 주벽에 일체로 체결되어 있다. 출구링(232)의 볼트구멍(2321)은 원형 구멍(231)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4개 또는 6개와 같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출구링(232)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링 형태의 내마모링하우징(233)이 체결되는데, 내마모링하우징 역시 출구링의 볼트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332)로 서로 체결 가능하다. 내마모링하우징(233)의 내경부분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초경합금 등의 내마모성 재질로 만들어진 내마모링(2331)이 수납된다. 따라서 회전자의 내측에서 원형 구멍(231)을 통해 바깥쪽을 바라볼 때, 원형 구멍(231)을 통해 외부로 가속 배출되는 입자와 접촉하는 부위인 원형 구멍(231)의 내주면에 내마모링(2331)이 위치하게 되어, 회전자조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조립체의 원심력에 의해 가속 배출되는 입자들은 회전자조립체의 회전방향에 따라 주로 원형 구멍(231)의 3시 방향 부분, 또는 9시 방향 부분에서 이탈되어 나가기 때문에, 해당 부위에 위치하는 내마모링(2331) 부위가 집중적으로 닳게 된다. 내마모링 부위가 한계점까지 마모가 된 경우에는 볼트(2332)를 풀고 내마모링하우징(233)을 볼트구멍(2321) 하나의 간격만큼 돌려서 다시 체결하게 되면 마모되지 않은 내마모링(2331) 부위가 3시 방향 부분 또는 9시 방향 부분에 다시 위치하게 되어 내마모링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어, 내마모링의 사용기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구멍이 원형구멍(231)이어서 일정 위치(3시 또는 9시 방향)를 통해 집중적으로 입자가 가속 이동된다는 점과, 원형구멍에 체결되는 내마모링하우징 역시 원형이어서 내마모링하우징(233)을 원형구멍(231)에 대해 돌려가며 체결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능한 것이라 하겠다.
주벽(23)과, 주벽에 인접하는 상판(22)과 하판(21)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회전자조립체(2)의 내부공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조립체(2)에 투입된 입자 혼합물이 원심력에 의해 퇴적된 출구보호층(234)이 형성되며, 일정 형상의 출구보호층(234)이 형성되면 원심력에 의해 회전자조립체(2)의 중심으로부터 주벽(23)을 향해 날아가는 입자들이 직접적으로 주벽이나 상판, 하판에 충돌하지 않고 출구보호층(234)에 충돌하므로, 주벽이나 상판, 하판이 입자들과 충돌하여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출구보호층(234)은 원형 구멍(231)을 중심으로 하는 깔대기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출구보호층(234)과 주벽(23)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35)을 설치하여 회전자조립체(2)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출구보호층(234)의 질량을 줄임으로써, 회전자조립체(2)의 회전에 소요되는 동력을 줄일 수 있다(가령 격벽이 없다면 격벽에 의해 비었던 공간이 전부 입자 혼합물로 퇴적되어 그 질량이 커질 수밖에 없다).
회전자조립체(2)의 하판(21) 중심과 외주 사이의 일정 부위에는 하판과 동심을 이루며 하판에 대해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분산파이프(24)가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자조립체(2)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자조립체(2)에 투입된 입자 혼합물이 원심력에 의해 분산파이프(24)의 내주벽에 퇴적된 분산파이프보호층(241)을 형성하게 된다. 분산파이프보호층(241)이 형성되면 회전자조립체(2)의 중심에 투입된 입자 혼합물이 원심력을 받아 회전자조립체의 중심에서 조금만 멀어져도 곧바로 분산파이프보호층(241)의 사면을 타고 올라가 분산파이프의 상단에서 다시 원심력을 받아 주벽 쪽으로 가속되어 날아가게 된다. 따라서 분산파이프(24)를 설치하면, 첫째, 분산파이프보호층(241)이 형성되어 하판(21)의 상면이 입자 혼합물과 직접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하판의 교체 없이 하판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둘째, 분산파이프(24)의 상단 높이에 의해 원심력에 의해 가속되는 입자들의 가속 방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산파이프의 상단이 주벽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하면, 회전자조립체(2)의 중심에 투입된 입자 혼합물의 가속 방향을 대략적으로 주벽의 높이의 1/2 부근의 일정한 영역으로 제어할 수 있다분산파이프의 상단을 떠나는 입자는 분산파이프보호층(241)의 사면 방향의 벡터와 입자가 받는 원심력 방향의 벡터의 합 벡터 방향으로 날아가게 된다.
한편 분산파이프(24)의 상단은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입자 혼합물들과 부딪혀 마모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산파이프(24)를 하부 분산파이프(244)와 상부 분산파이프(246)의 적어도 두 부품으로 분리 제작하고, 이들이 서로 접하는 단부의 외경부에 각각 플랜지(245,247)를 형성하여 볼트 결합함으로써, 하분 분산파이프(244)에 대해 상부 분산파이프(246)만을 교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분산파이프의 일부분만 마모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분산파이프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 분산파이프(246)의 상단에는 초경합금으로 만들어진 링 형상의 내마모팁(248)을 매립함으로써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도 5 참조).
[충격스크린 덮개와 호퍼]
외부프레임(12) 상단부에는 외부프레임플랜지(123)가 부착되어 있고 그 상부에 충격스크린윗덮개(7)가 결합된다. 충격스크린윗덮개(7)의 중앙부에는 호퍼(6)와 호퍼슈트(61)가 결합되어 파쇄할 입자 혼합물을 일시 저장하고 회전자조립체(2)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충격스크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호퍼(6)에 공급된 피선별물은 소정 직경의 호퍼슈트(61)를 거쳐서 일정한 공급속도로 회전자조립체(2) 내부에 투입된다.
회전하고 있던 회전자조립체(2)의 상판 중앙부를 통하여 내부에 투입된 피선별물은 원심력을 받아 중심에서 멀어지며 분산파이프(24) 내부에 형성된 분산파이프보호층(241)에 부딪친 후 분산파이프보호층(241)의 사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며 가속되고, 분산파이프(24)의 상단을 떠난 다음에는 출구보호층(234)에 부딪쳐 급가속 되면서(회전자조립체의 단부에서 선속도가 가장 높다) 회전자조립체(2)를 벗어난다.
회전자조립체(2)를 벗어난 입자들은 회전자 외경의 접선 방향의 속도벡터를 갖고 있어서 스크린망(41)에 부딪칠 때는 망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충돌하게 된다. 스크린망의 면에 대해 입자가 비스듬하게 충돌하면, 우연히 입자가 스크린망의 망목에 억지 끼워져 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충돌에 의하여 피선별물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스크린 망을 통과하는 것들과 통과하지 못하는 것들로 선별되게 된다. 이때 피선별물 속에 섞여있던 흙 같은 점착성 세립자들은 고속으로 스크린 망에 충돌하기 때문에, 스크린 망에 점착하려고 하는 성질에도 불구하고 속도에 의해 스크린망에 붙지 못한 채 스크린 망을 쉽게 통과한다. 또한 일부 스크린망에 점착된 세립자들도 보다 굵은 입자들이 연속적으로 타격하기 때문에 망목에서 즉시 떨어져나가며, 따라서 스크린 망은 항상 깨끗한 상태로 망목(그물눈)이 완전하게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크린망(41)을 고속으로 통과한 점착성 세립자들은 외부프레임(12) 내주벽에 심하게 달라붙는 경향을 보이는데, 외부프레임 내주벽에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만들어진 커튼(41)을 외부프레임의 내주벽과 약간 떨어진 상태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점착성 세립자들이 외부프레임의 내주벽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탄력성이 있는 고무로 만들어진 커튼(41)에 점착성 입자가 고속으로 충돌하면 표면이 이에 반응하여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는 진동이 끊임없이 일어나기 때문에 입자가 표면에 결코 붙지 못하고 바로 바로 떨어져 낙하하게 되고 슈트(5)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망(41)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은 내부슈트(51)와 내부슈트도관(53)을 통해 분리 배출되고, 스크린망(41)을 통과한 입자들은 외부슈트(52)를 통해 분리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회전자인 회전자조립체(2)와 그 구동부인 회전축조립체(3)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의 충격스크린이 성립하는 데는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수직축충격파쇄기의 회전자와 그 구동부를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충격스크린은 훌륭하게 작동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회전자조립체(2)가 종래에 사용되던 회전자조립체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충격스크린은, 작동속도가 회전자 외주의 주속으로보면 입자의 점착성이나 크기에 따라 초속 15m 내지 35m 범위의 저속 영역에서도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므로, 수직축충격파쇄기의 통상적인 작동 주속인 45m 내지 70m 보다 훨씬 저속으로 종래의 수직축충격파쇄기를 작동함으로써 종래 수직축충격파쇄기의 문제점이었던 회전자의 마모를 줄이면서도 별 어려움이 없이 종래에 만들어진 회전자를 사용하여 입자를 선별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스크린은 스크린망을 2개 구비한 형태이다. 즉 내부프레임(11)과 외부 프레임(12) 사이에 중간프레임(15)을 설치하고, 그 상단에 내부프레임과 같이 또 다른 스크린망(44)을 체결하며, 중간프레임(15) 하부에는 중간슈트(54), 그리고 외부슈트(52)를 관통하는 중간슈트도관(55)을 연결 설치한다. 물론 중간프레임(15)도 프레임연결판(13)에 의해 내부프레임(11) 및 외부프레임(12)과 견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중간프레임(15) 상에는, 내부프레임(11) 상에 설치된 스크린망(41)보다 작은 망목을 가지는 스크린망(44)을 설치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에 의하면, 입자들이 크기별로 세 분류로 분리되어 각각 내부슈트, 중간슈트, 외부슈트를 통해 분리 배출된다.
또한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스크린망이 2개인 경우뿐만 아니라,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인 충격스크린도 제작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스크린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처럼 스크린망이 2개이지만 제2실시예와는 달리 중간프레임(15), 중간슈트(54) 등을 가지고 있는 구조가 아니다. 오히려 제3실시예의 기능 및 특징은 제1실시예와 대비하였을 때 더욱 확실히 이해할 수 있는데,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내부프레임(11)의 상단에 설치된 스크린망(44) 앞에 또 다른 스크린망(41) 만이 프레임연결판(16)과 스크린망지지프레임(17)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첫 번째 스크린망(41)은 분리배출을 위한 프레임과 슈트 구조를 구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스크린망(41)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와, 첫 번째 스크린망(41)은 통과하였지만 두 번째 스크린망(44)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가 다시 합쳐져서 내부슈트(51)로 떨어진다.
이와 같은 예비적 형태의 스크린망 배치가 필요한 경우는 입자들을 두 종류로만 나누어야 하지만 입자들이 비교적 큰 것과 작은 것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인데, 큰 입자가 망목이 작고 고운 스크린 망을 충격하면 스크린망이 쉽게 마모되거나 망가지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큰 입자는 우선 큰 망목을 가진 튼튼한 스크린으로 걸러내고 비교적 작은 입자로 구성된 혼합물을 최종적으로 선별함으로써 고운 망목을 가진 스크린망을 망가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일 입자 혼합물의 입자크기 분포가 매우 넓을 경우에는 즉 아주 큰 입자가 아주 작은 입자와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비적인 스크린망을 2개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선별물을 가속시키는 가속장치가 제 1내지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축충격파쇄기 형태(원통형 하우징을 가지며 내부에 수직축 회전자가 설치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축을 가진 타격장치로 입자를 타격하여 가속하는 장치의 형태로 실시되는 형태, 또는 압축공기 등을 사용하여 입자를 가속하여 여러 형태(가령, 평판형 또는 원주형)로 형성된 스크린망에 충돌시키는 충격스크린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프레임
11: 내부프레임
12: 외부프레임
121: 커튼지지대
122: 커튼
123: 외부프레임플랜지
13: 프레임연결판
14: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
141: 상면
15: 중간프레임
16: 프레임연결판
17: 스크린망지지프레임
2: 회전자조립체
21: 하판
22: 상판
23: 주벽
231: 원형구멍
232: 출구링
2321: 볼트구멍
233: 내마모링하우징
2331: 내마모링
2332: 볼트
234: 출구보호층
235: 격벽
24: 분산파이프
241: 분산파이프보호층
244: 하부 분산파이프
245: 플랜지
246: 상부 분산파이프
247: 플랜지
248: 내마모팁
3: 회전축조립체
31: 회전축
32:풀리
33: 베어링하우징
331: 베어링하우징플랜지
332: 볼트
333: 보강리브
4: 스크린망조립체
41: 제1스크린망
42: 가이드링
43: 결합볼트
44: 제2스크린망
5: 슈트
51: 내부슈트
52: 외부슈트
53: 내부슈트도관
54: 중간슈트
55: 중간슈트도관
6: 호퍼
61: 호퍼슈트
7: 충격스크린윗덮개

Claims (23)

  1. 크기별로 선별해야할 입자 혼합물을 가속시키는 가속기(2,3);
    가속기에 의해 가속된 입자 혼합물이 충돌할 수 있도록, 가속된 입자 혼합물의 이동 경로 상에서 가속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크린망(41,44); 및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작아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과 스크린망의 망목보다 커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분리해서 배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슈트(5);를 구비하는 충격스크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기는,
    수직의 회전축(31)과;
    상기 수직의 회전축(31)에 의해 회전하여 입자 혼합물을 원심력에 의해 가속시키는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망은 회전자의 외측에서 회전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스크린망의 단면을 보았을 때 상기 스크린망은 폐단면을 가지거나, 환형으로 배치되되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는 스크린망 부분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중앙부에 투입공이 형성된 상판(22)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며 회전축(31)에 연결되는 하판(21)과;
    상기 상판과 하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주벽(23);을 포함하며,
    상기 주벽(23)에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원형구멍(231)이 형성된 회전자조립체(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형구멍(231)은 주벽(23)의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등간격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형구멍(231) 둘레에는 주벽보다 경도가 큰 내마모링(2331)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내마모링(2331)은 상기 원형구멍(231)에 대해 방위각을 달리하며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판(21)의 중심과 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분산파이프(24)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산파이프(24)의 상단의 높이는 원형구멍(231)의 중심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산파이프(24)는 하부 분산파이프(244) 및 상기 하부 분산파이프(244)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분산파이프(2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을 기준으로 가속기의 대향부에는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을 받는 탄성 재질의 커튼(12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과 체결되되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내부슈트(51)로 안내하는 내부프레임(11)과;
    상기 내부프레임(11)을 기준으로 가속기보다 더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을 외부슈트(52)로 안내하는 외부프레임(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12)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을 받는 탄성 재질의 커튼(122)이 상기 외부프레임(12)과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속기는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 상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은 상기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프레임(12)의 외측에서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공간을 통해 상기 회전축조립체받침채널(14) 상에 설치된 가속기에 접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11)과 외부프레임(12) 사이에는 중간프레임(15)이 더 구비되고,
    중간프레임(15)에는, 내부프레임(11)에 체결된 스크린망보다 망목(網目)이 더 작은 스크린망이 체결되며,
    중간프레임(15)은 중간프레임에 체결된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중간슈트(54)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11)에 설치된 스크린망보다 가속기에 더 가까운 전방 위치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린망보다 망목이 더 큰 스크린망이 더 구비되되,
    상기 내부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린망 및 그보다 망목이 더 큰 전방의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은 서로 분리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에는 초경합금 또는 경질크롬도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은 우레탄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은 환봉을 수직으로 세워 복수개 배열하되, 인접하는 환봉과 환봉 사이가 이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의 재질은 초경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스크린.
  18. 크기별로 선별해야할 입자 혼합물을 가속하는 단계;
    가속된 입자 혼합물의 이동 경로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크린망(41,44)을 배치하여 스크린망의 망목의 크기를 기준으로 스크린망을 통과한 입자들과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한 입자들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입자들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입자 혼합물의 가속은 수직의 회전축(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의 원심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망은 상기 회전자와 이격되며 회전자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설치된 주벽(23)에 형성된 원형구멍(231)을 통해 입자가 가속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원형구멍(231) 둘레에는 주벽보다 경도가 큰 내마모링(2331)을 체결하여 원형구멍의 둘레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되,
    내마모링이 집중적으로 마모되는 위치에서 내마모링이 마모된 경우 원형구멍에 대한 상기 내마모링의 방위각을 바꾸어 상기 내마모링을 다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가속된 상기 입자 혼합물을 가속기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망목의 크기가 작아지는 복수의 스크린망으로 크기별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
  23. 청구항 18에 있어서,
    입자 혼합물 중 망목이 작은 스크린망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는 큰 입자들이 포함된 경우, 복수의 스크린망 중 가속기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상기 큰 입자들만을 거를 수 있는 망목의 스크린망을 부가 설치하여, 큰 입자들이 망목이 작은 스크린망에 충돌하여 이를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충격 선별 방법.
KR1020140091005A 2014-07-18 2014-07-18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KR101599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005A KR101599417B1 (ko) 2014-07-18 2014-07-18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005A KR101599417B1 (ko) 2014-07-18 2014-07-18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11A true KR20160010111A (ko) 2016-01-27
KR101599417B1 KR101599417B1 (ko) 2016-03-03

Family

ID=5530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005A KR101599417B1 (ko) 2014-07-18 2014-07-18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85A (ko) *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KR102004464B1 (ko) * 2018-03-13 2019-08-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승송풍과 충격유도 회전체가 장착된 vsi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이물질 및 페이스트 분리 장치
CN116921214A (zh) * 2023-09-12 2023-10-24 壶关县耕耘种养专业合作社 一种动物饲料加工用筛分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1702A (en) * 1977-10-07 1983-07-05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coals for coke production
KR19980018540A (ko) 1996-08-09 1998-06-05 무라따 미치히로 고주파 증폭기
KR20030005769A (ko) 2001-07-10 2003-01-23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준설퇴적물의 분류시스템과 그 분류방법
KR100491097B1 (ko) 2004-08-13 2005-05-24 교하환경 주식회사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KR100695917B1 (ko) 2006-05-25 2007-03-20 주식회사 광산기공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KR100894451B1 (ko) * 2008-09-23 2009-04-24 경동기계 주식회사 건식 모래 분급장치
JP2009106866A (ja) * 2007-10-30 2009-05-21 Optnics Precision Co Ltd 篩網
KR20110009814A (ko) * 2009-07-23 2011-01-31 김순자 내충격 및 내마모성 거름망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1702A (en) * 1977-10-07 1983-07-05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coals for coke production
KR19980018540A (ko) 1996-08-09 1998-06-05 무라따 미치히로 고주파 증폭기
KR20030005769A (ko) 2001-07-10 2003-01-23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준설퇴적물의 분류시스템과 그 분류방법
KR100491097B1 (ko) 2004-08-13 2005-05-24 교하환경 주식회사 모래 및 미분 분류장치
KR100695917B1 (ko) 2006-05-25 2007-03-20 주식회사 광산기공 순환모래의 이물질 분류방법 및 그 분류장치
JP2009106866A (ja) * 2007-10-30 2009-05-21 Optnics Precision Co Ltd 篩網
KR100894451B1 (ko) * 2008-09-23 2009-04-24 경동기계 주식회사 건식 모래 분급장치
KR20110009814A (ko) * 2009-07-23 2011-01-31 김순자 내충격 및 내마모성 거름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485A (ko) *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린설비 보호장치
KR102004464B1 (ko) * 2018-03-13 2019-08-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승송풍과 충격유도 회전체가 장착된 vsi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이물질 및 페이스트 분리 장치
CN116921214A (zh) * 2023-09-12 2023-10-24 壶关县耕耘种养专业合作社 一种动物饲料加工用筛分装置
CN116921214B (zh) * 2023-09-12 2023-11-17 壶关县耕耘种养专业合作社 一种动物饲料加工用筛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17B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8203B (zh) 搅拌球磨机和搅拌球磨机的运行方法
CN105555408B (zh) 粉碎设备
US7533837B2 (en) Comminuting device
KR101599417B1 (ko) 충격스크린 및 충격 선별 방법
JP4907229B2 (ja) ライナ、横置筒型ミル、および、破砕物の排出方法
US20200129986A1 (en) Device for Separating Conglomerates that Consist of Materials of Different Densities
KR101476958B1 (ko) 수직축 충격 파쇄기 및 그 회전자
CN108883437B (zh) 分选机
KR20130123728A (ko) 순환골재 선별 파쇄장치
KR102054995B1 (ko) 골재의 건식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884349B1 (ko) 원심형 분말 분급기
CA2122008A1 (en) Improved centrifugal impactor for crushing rocks
US4513919A (en) Feed arrangement for a centrifugal rock crusher
KR101598116B1 (ko) 순환골재 생산장치
KR20190077362A (ko) 분쇄기
US4577806A (en) Impeller assembly for an impact crusher
US20130299397A1 (en) Spiral Separator and Method Therefor
KR20150069984A (ko)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US4579290A (en) Convertible centrifugal rock crusher
KR101629369B1 (ko) 폐비닐 선별 시스템
CN210058535U (zh) 离心式冲击破碎机
CN102698955A (zh) 棱台扩散分级机
CN2925609Y (zh) 高效离心粉磨机
JP3668877B2 (ja) クラッシャー
CN112517251B (zh) 一种离心式分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