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735A -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735A
KR20160006735A KR1020157034812A KR20157034812A KR20160006735A KR 20160006735 A KR20160006735 A KR 20160006735A KR 1020157034812 A KR1020157034812 A KR 1020157034812A KR 20157034812 A KR20157034812 A KR 20157034812A KR 20160006735 A KR20160006735 A KR 2016000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b
portions
clamped position
inner profile
s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992B1 (ko
Inventor
닐스 판 스파렌타크
로한 화이트
Original Assignee
웨이브 바이오테크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3901617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3901617A0/en
Application filed by 웨이브 바이오테크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웨이브 바이오테크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0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61B17/1355Automated 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2017/1225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for clipping and cutting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61B2090/065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for measuring contact or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들은 인간의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디바이스는: 제 1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제 1 강성 부분; 제 1 내부 프로파일을 전반적으로 마주 보는 제 2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제 2 강성 부분; 및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함께 결합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의 정맥들을 압박하도록 배열되어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CLAMPING DEVICE FOR REDUCING VENOUS BLOOD FLOW}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전반적으로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사지(limb) 둘레의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대향되는 부분들을 갖는 클램핑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정맥천자를 수행할 때 압박대들이 전통적으로 수년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압박대들은 일반적으로 팔 또는 하지를 둘러싸고 그 사지의 둘레를 둘러 팔 또는 하지를 압박하기 위한 가요성 밴드로 구성된다. 다수의 환자들에 대해 이러한 압박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다. 어떤 환경들에 있어, 혈액 또는 다른 체액들이 압박대 상으로 튈 수 있으며, 압박대는 반복되는 사용 동안 피부로부터 박테리아를 픽업하고 박테리아의 온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압박대의 이러한 반복되는 사용은 비위생적이며, 질병 전파의 위험을 수반한다.
추가적으로, 전통적인 압박대는 이들을 적용(apply)하기 위하여 양 손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개업의가 희망되는 다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이는 불편할 수 있다. 일부 전통적인 압박대들은, 릴리즈(release)될 때, 다소간의 과격하고 갑작스런 릴리즈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압박대를 릴리즈하는 개업의 또는 환자에게 성가실 수 있다. 또한, 일부 전통적인 압박대들은 사지에 압박을 가할 때 환자의 피부를 꽉 죄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고통 및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전통적인 압박대들은 개업의가 얼마나 많은 압력이 인가될 것인지 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압박대가 너무 타이트하게 또는 너무 느슨하게 적용되는 경우, 그 부근에 압박대가 적용되는 사지의 정맥들의 팽창작용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환자 결과들에 부적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래기술의 방법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단점들의 하나 이상의 결점들을 처리하거나 또는 개선하는 것 또는 적어도 이에 대한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일부 실시예들은 인간의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는:
제 1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제 1 강성(rigid) 부분;
전반적으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을 마주보는(facing) 제 2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제 2 강성 부분; 및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함께 결합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의 정맥들을 압박하도록 배열되어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킨다.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의 정맥들을 압박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들을 규정(define)할 수 있다. 제 1 내부 프로파일은 만곡될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부분적으로 직선일 수 있거나, 상이한 곡률들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제 2 내부 프로파일은 비-선형적일 수 있다. 제 2 내부 프로파일은 만곡될 수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부분적으로 직선일 수 있거나, 상이한 곡률들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커플링 부분은 제 1 커플링 부분 및,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 또는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커플링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2 커플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플링 부분은 제 1 강성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커플링 부분은 제 2 강성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리즈가능 유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커플링 부분이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이 제한되는 복수의 유지 위치들 중 하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지 위치들은 복수의 불연속적인 유지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래치팅(ratcheting)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복수의 개별 유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은 마찰 맞물림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 각각에 대하여, 디바이스를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릴리즈하기 위한 수동 구동가능 릴리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리지(ridg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지는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 상에서 안쪽으로 압박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리지는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또는 제 2 내부 프로파일의 실질적인 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리지는 비드(bead)를 닮은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는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디바이스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메커니즘은 커플링 부분 내에 또는 커플링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수용 부분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제 2 부분의 더 많은 부분이 제 1 부분의 수용 부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가 팔 상에 위치되고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가 상박으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가 쉽게 상박 상에 놓이거나 또는 상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반드시 사지의 주변부/둘레 전체와 접촉하지는 않을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은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은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약 240° 내지 약 300°의 범위로 사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가 수동으로 한 손만을 사용하여 상박 위에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고 한 손만을 사용하여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가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가 수동으로 한 손만을 사용하여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릴리즈되고 한 손만을 사용하여 사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가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된 쿠션 엘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엘러먼트는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 위에서 연장할 수 있다. 쿠션 엘러먼트는 제 1 내부 프로파일에 부착될 수 있고, 제 2 내부 프로파일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상대적인 움직임은 쿠션 엘러먼트와 제 2 내부 프로파일 사이에서 허용될 수 있다. 제 2 부분은,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쿠션 엘러먼트의 부분이 개구를 통해 움직이게 허용될 수 있도록, 쿠션 엘러먼트의 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규정할 수 있다. 개구는 제 2 부분을 통해 제 2 내부 프로파일로부터 제 2 부분의 외부 벽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쿠션 엘러먼트의 부분이 제 2 부분을 통해 일 측(side)로부터 다른 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부분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클램핑된 위치를 향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쿠션 엘러먼트의 부분을 점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규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쿠션 엘러먼트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규정되는 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지는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쿠션 엘러먼트의 길이의 적어도 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사지 상에 닿도록 배열된다. 리지는 쿠션 엘러먼트의 길이방향(longitudinal) 길이를 따라 중심으로 연장할 수 있다. 쿠션 엘러먼트는 가요성 지지(backing) 층 및 지지 층에 부착된 압축가능 쿠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오로지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커플링 부분이 함께 연장하는 평면에서만 허용될 수 있도록, 커플링 부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상대적인 움직임은 오로지 그 평면 내의 단일 축을 따라서만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 상대적인 움직임은 그 평면 내의 2 이상의 방향에서 허용될 수 있다.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커플링 부분은 하나 이상의 살균가능(sterilisable)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커플링 부분은 실질적으로 U-형상인 디바이스의 형상을 규정할 수 있다. 제 1 부분은 자유 단부 및 커플링 부분으로부터 원위인 제 1 부분의 자유 단부에서의 제 1 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부분은 자유 단부 및 커플링 부분으로부터 원위인 제 2 부분의 자유 단부에서의 제 2 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박이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 규정된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가 상박 위에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가 결정된 간극(gap)이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 사이에 규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될 때, 간극이 감소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 중 다른 것을 향해 안쪽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반적으로 오목할 수 있다.
커플링 부분 또는 제 1 및 제 2 부분들 또는 조(jaw)들은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동으로 서로를 향해 압박될 수 있는 대향적으로 마주보는 랜드(land)들을 규정할 수 있다(또는 이를 규정하는 부분들 또는 돌출부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는: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로서, 제 1 및 제 2 조들의 각각은 사지의 대향 측들을 향해 압박될 강성 내부 페이스(face)를 규정하며, 조들은 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그들 사이의 공간을 함께 규정하고, 제 1 및 제 2 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페이스는 비-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
디바이스가 사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적어도 사지의 부분의 원위의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정맥들에서 정맥 혈류가 감소되도록 제 1 및 제 2 조들의 내부 페이스들이 사지의 대향 측들을 압박하는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대적임 움직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조들을 함께 결합하는 브리지(bridge)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디바이스는: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로서, 제 1 및 제 2 조들의 각각은 사지의 대향되는 측들을 향해 압박될 내부 페이스를 규정하는 강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상기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조들은 디바이스가 사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적어도 사지의 부분의 원위의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정맥들에서 정맥 혈류가 감소되도록 제 1 및 제 2 조들의 내부 페이스들이 사지의 대향 측들을 압박하는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조들을 개방 위치로부터 클램핑된 위치로 수동으로 압박가능하며; 및
디바이스는, 사지가 상박이고 디바이스가 상박의 내측(medial) 면을 압박하는 제 1 및 제 2 조들 중 하나를 가지고 상박 둘레에서 클램핑된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및 제 2 조들 중 다른 것은 요측피정맥을 압박하기 위하여 상박의 상부 측면(lateral) 부분을 압박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제 1 강성 부분 및 제 2 강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제 1 및 제 2 조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디바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팔 상에서의 디바이스의 사용 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가 팔의 내측 부분에 인접하여 놓인다.
디바이스는 센싱된 압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에 결합된 표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압전 엘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제 1 및 제 2 조들의 내부 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배열된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는 디바이스가 사지 상에 위치될 때 사지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팽창가능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는 팽창가능 엘러먼트 내로의 또는 그 밖으로의 공기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밸브를 가질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는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제 1 및 제 2 조들의 내부 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배치된 쿠션 엘러먼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거나 또는 이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가능 엘러먼트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펌프를 동작시키도록 배열된 제어기 및 제어기와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어기로 구동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중 하나의 외측 상의 하나 이상의 수동 구동가능 입력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구동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압력 세트-포인트까지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
제 1 압력 세트-포인트보다 더 높은 제 2 압력 세트-포인트까지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수축시키기 위해 압력 릴리프 밸브(pressure relief valve)를 동작시키는 것; 및
압력 릴리프 밸브의 동작을 중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압력 세트-포인트는 약 40 mm Hg 내지 약 80 mm Hg 사이의 압력, 선택적으로 약 60-70 mm Hg의 압력일 수 있다. 제 2 압력 세트-포인트는 약 80 mm Hg 내지 약 200 mm Hg 사이의 압력, 선택적으로 약 90-100 mm Hg의 압력일 수 있다.
디바이스는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수신되는 언어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유효한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펌프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펌프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사지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동맥 폐색을 초래하기 위하여 클램핑된 위치의 디바이스에 의해 사지로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의 디바이스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크래들(cradle)을 더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이상에서 설명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디바이스가 사지 상에서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와 접촉하게 될 개연성이 있는 디바이스의 부분들을 적어도 커버하고 위생적으로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얇고, 임의적인 일회용 커버 또는 라이너(liner)를 더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커버 또는 라이너는 사용을 위해 준비된 청결하고 살균된 아이템으로서 미리 패키징될 수 있다.
일회용 커버는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회용 커버는 디바이스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또는 조들을 수용하고 실질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제 1 및 제 2 포켓들을 규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회용 커버는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는 압박되지 않은 상태의 상박을 가로지르는 개략적인 해부학적 단면도이다.
도 1b는 압박된 상태의 상박을 도시하는 도 1a와 유사한 개략적인 해부학적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디바이스의 라이너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상이한 각도로부터 도시되는 도 2a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디바이스와 유사하지만 쿠션 라이너가 없는 상태의 사시도로부터 도시되는 도 2a의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개방 또는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 도시된 도 2a의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압박된 또는 클램핑된 위치에서의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도 5a는 디바이스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상태의 압박되지 않은 상박 둘레의 도 2a의 디바이스의 배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5a와 유사하지만 상박이 압박되는 클램핑된 위치로 도시되는 클램핑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6은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편향 컴포넌트들 및 유지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도 2a의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컷 어웨이(cut away) 사시도이다.
도 8은 편향 및 유지 컴포넌트들을 추가로 예시하는 도 2a의 디바이스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추가적인 대안적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추가적인 대안적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개방 위치, 부분적으로 클램핑된 위치 및 완전히 클램핑된 위치를 도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예시들이다.
도 12는 크래들 상에 장착된 또는 위치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크래들 및 클램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키트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13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클램핑 디바이스 및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일회용 클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b의 키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하우징 일회용 커버들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15는 도 2a의 클램핑 디바이스 및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일회용 클램프 커버를 포함하는 키트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16a는 디바이스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상태의 압박되지 않은 상박 둘레의 디바이스의 배치를 도시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b는 도 16a와 유사하지만 상박이 압박되는 클램핑된 위치로 도시되는 클램핑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17a는 개방 위치로 도시된 도 16a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17b는 개방 위치로 도시된 도 16a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a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유지 메커니즘의 근접 사시도이다.
도 19는, 클램핑된 위치로 도시되며 디바이스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메커니즘의 릴리즈 위치를 예시하는 도 16a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클램핑된 위치로 도시되며 디바이스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메커니즘의 이탈 릴리즈(breakaway release)를 예시하는 도 16a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5a와 유사하지만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추가의 예시적인 클램핑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예시적이고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3a는 예시적인 추가적 클램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3b는 역전된 위치로 도시되는 도 23a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예시적인 클램핑 디바이스들 내에서 사용가능한 예시적인 팽창가능 엘러먼트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25는 팽창된 상태의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예시하는 도 24의 팽창가능 엘러먼트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26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컷 어웨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1은 도 26과 유사하지만 음성 제어 특징부를 갖는 클램핑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2는 도 26과 유사하지만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클램핑 디바이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클램핑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전반적으로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사지 둘레의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대향되는 부분들(조들)을 갖는 클램핑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상박 또는 다른 사지 전부를 감싸는 원주 압박대 설계와 대조적으로, 설명되고 청구되는 클램핑 디바이스들은 선택적으로 상박 또는 다른 사지 내의 주 정맥을 압박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 지점들을 갖는 클램프/브레이스(brace)-스타일 설계에 가깝다. 이러한 클램프-스타일 디바이스 설계는 바람직하게 환자의 불편함, 부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정맥천자 절차의 부분으로서의 압박의 적용 시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들의 개방 U-형상은 개선된 위생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회용 라이너가 용이하게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처리를 위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의 의도된 사용의 예시를 위하여 인간의 상박의 해부구조의 특정 부분들이 논의된다.
인간의 상박(10)은 일반적으로 그 둘레로 근육들, 정맥들 및 동맥들을 포함하는 조직들이 배열되는 중심에 위치된 상완골(12)을 갖는다. 상박(10) 내의 중요 동맥은, 전반적으로 요측피정맥(22), 척측피정맥(24) 및 상완 정맥들(26)과 같은 정맥들보다 상박(10)의 살 내에 더 깊이 위치된 상완 동맥(20)이다. 도 1a는 압박되지 않은 상태(4a)의 상완을 도시하며, 도 1b는 측면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압박된 상태(4b)의 상완(10)을 도시한다.
도 1b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압박된 상태(4b)에서, 상박(10)의 표면에 가까운 정맥들은 상박(10)의 외부 측면 및 내측 표면들에 압박이 가해질 때 더 압박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압박은 요측피정맥(22), 척측피정맥(24) 및 상완 정맥들(26) 내의 혈류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이러한 정맥들에서 심장으로 돌아가는 혈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경향이 있다. 상완 동맥(20) 내에 더 큰 유체 압력이 존재하며 상완 동맥이 팔 내에 더 깊이 위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압박 하의 정맥 혈류에 비하여, 팔의 외부에 대해 안쪽으로 인가되는 압박의 결과로서 상완 동맥(20)을 통한 혈류가 덜 조여지는 경향들이 존재한다. 전반적으로, 요측피정맥은 팔의 상부 측면(외부) 측 상에 위치되고, 반면 상완 정맥 및 척측피정맥은 팔의 안쪽(내부) 측 상에 위치된다.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100)가 도시되고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클램핑 디바이스(100)는 전반적으로,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10)에 의해 결합되는 제 1 강성 부분(120) 및 제 2 강성 부분(130)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은 이들의 대향 관계 및 사지 둘레를 클램핑하는 그들의 기능 때문에 암(arm)들 또는 조들로서 설명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전반적으로 대략 U-형상이며, U-형상의 선단(apex)에서 제 1 및 제 2 조들(120, 130)을 결합하는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10)을 갖는다.
디바이스(100)(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디바이스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디바이스(100)가 상박과 같은 인간의 사지 둘레에 또는 부분적으로 둘레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조들(120, 130)이 충분히 넓게 이격되는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와 조들(120, 130)이 사지의 측면 및 내측 표면들을 향해 그리고 이들을 압박하는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은 전반적으로 인간의 상박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실시예들이 또한, 예를 들어, 전완, 하퇴 또는 상부 다리와 같은 다른 사지 부분들을 클램핑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전반적으로 제 1 및 제 2 조들(120, 130)을 포함하는 2개의 주요 이동가능 부분들로 형성된 강성 몸체(101)를 갖도록 형성된다.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10)은, 각기 조들(120, 130)에 결합되거나, 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커플링 부분들을 포함하며, 그 결과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때 제 1 및 제 2 커플링 부분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 1 및 제 2 조들(120, 13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대응한다.
제 1 조(120)는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10)의 부분을 형성하는 베이스 부분(121)을 갖는다. 제 2 조(130) 또한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10)의 부분을 형성하는 베이스 부분(131)을 갖는다. 제 1 조(120)는 또한 베이스 부분(121)의 원위의 자유 단부에서 원위 부분(122)을 갖는다. 제 1 조(120)는, 대향하는 제 2 조(130)에 의해 규정되는 대향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135)을 마주보는 전반적으로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125)을 규정한다.
베이스 부분의 외측 페이스(120) 상에 랜드(123)가 존재하며, 제 2 조(130)의 베이스 부분(131)의 외측 페이스 상에 다른 랜드(133)가 존재한다. 랜드들(123, 133)은 전반적으로 인간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압박가능하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엄지가 랜드들(123, 133) 중 하나 상에 위치될 수 있고 그 동안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은 수동적인 힘(manual force)이 조들(120, 130)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고 이들을 압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디바이스(100)를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향 랜드(123, 133) 상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랜드들(123, 133)은 커플링 부분(110)의 대향 단부들에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 랜드들(123, 133)은 개별적인 부분들(1230, 130)으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들의 대향적으로 향해진 페이스들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 및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디바이스 실시예들은 바람직하게 좌측 또는 우측 팔에 대한 디바이스의 적용을 허용한다. 2개의 클램핑 조들의 내부 프로파일들이 브리지 부분에 대하여 대칭적이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는 좌측 또는 우측 팔 중 하나 상의 배치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방향이 용이하게 역전될 수 있다.
디바이스를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140)을 갖는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메커니즘(140)은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10)의 대향 측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조들(120, 130)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면, 하나 이상의 유지 메커니즘(140)은 디바이스를 압박되고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140)은, 디바이스(100)가 커플링 부분(110)이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이 제한되는 복수의 유지 위치들 중 하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조들(120, 130)이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유지 메커니즘(140)은 복수의 불연속적인 유지 위치들 중 하나를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핑된 위치로 취해진 특정한 불연속적인 유지 위치는 이 둘레로 디바이스(100)가 위치될 사지의 크기뿐만 아니라 조들(120, 130)을 서로를 향해 수동으로 드라이브(drive)하는데 인가되는 압박력의 정도에 의존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지 메커니즘(140)은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140)은, 이를 따라 폴 암(pawl arm)(142)이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투쓰(tooth)들을 포함하는 선형 랙(rack)(143)을 포함할 수 있다. 폴 암(142)은 일 단부에서 수동으로 릴리즈가능한 릴리즈 구동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140)은 편향 엘러먼트(147)(도 8)를 포함하며, 이는 랙 투쓰들(144)에 기대어(against) 폴 투쓰(146)를 (릴리즈 구동기(141)로부터 폴 암(142)의 대향 단부 상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폴 암(142)과 함께 동작한다. 폴 투쓰(146) 및 랙 투쓰들(144)은 전반적으로 하나의 방향으로 랙(143)을 따르는 폴 투쓰(146)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지만, 힘이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을 때 투쓰들(144) 중 하나에 기대어 폴 투쓰(146)를 멈추게 하는 경향이 있다.
폴 암(142)은, 폴 투쓰(146)가 투쓰들(144) 중 하나에 기대어 멈추는 맞물린 위치와 폴 투쓰(146)가 투쓰들(144)로부터 간섭받지 않는 릴리즈 위치 사이에서 폴 암(142)이 피봇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폴 투쓰(146)와 릴리즈 구동기(141) 가운데 배치되는 폴 피봇 로커(pawl pivot rocker)(148)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는 편향 부재(147)가 위치되고, 이는 맞물린 위치를 향해 폴 암(142)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폴 커버(145)는, 릴리즈 위치로 폴 암(142)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눌림에 노출되는 릴리즈 구동기(141)가 아닌 외부 간섭으로부터 폴 암(142)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폴 피봇 로커(148)는 제 1 부분의 외부 부분 내의 약간 리세스된(recessed) 시트 내에 수용될 수 있다(또는 달리 외부 부분에 기대어 폴 커버(145) 내에 홀딩된다).
디바이스(100)의 형상은 디바이스 방향에 따라 전반적으로 C-형상 또는 U-형상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개구부와 대향하는 선단에서 브리지(110)를 갖는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122, 132) 사이의 개구부를 특징 짓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조들(120, 130)의 내부 공간은 사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반적으로 오목하며, 사지 둘레를 둘러싸기 위하여 조들이 안쪽으로 눌려짐에 따라 평평해질 수 있다. 최소한, 제 1 내부 프로파일(125)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135)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반적으로 비-선형적이다. 이러한 비-선형성은 개별적인 조 내부 프로파일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이고 부분적으로 만곡된 프로파일을 따라 다소간의 오목한 곡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125/135)은 (서로에 대해 각이 져 있거나 또는 만곡된 섹션에 의해 분리되는) 2개 이상의 직선 섹션들을 가질 수 있거나 및/또는 상이한 곡률의 2개 이상의 섹션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디바이스 실시예(100)에 있어, 제 1 내부 프로파일(125)은 팔의 내측 표면에 대하여 눌리도록 다소간 오목한 방식으로 만곡되며, 제 2 내부 프로파일(135)은 (커플링 부분(110)에 대응하는) 브리지 선단 근처의 약간 만곡된 제 1 섹션(136), 만곡된 섹션(136)에 대해 각이 져 있으며 (이를 따라 상대적인 움직임이 일어나는) 브리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각이 져 있는 전반적인 직선 섹션(137) 및 직선 섹션(137)에 대해 각이 져 있으며 원위 단부(132)로 연장하는 약간 만곡된 제 2 섹션(138)을 갖는다. 만곡된 제 2 섹션(138)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반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직선 섹션(137)은 완전히 직선일 필요는 없다. 직선 섹션(137)의 목적은 디바이스가 상박(10) 위에 위치될 때 요측피정맥(22)에 직접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도 5b에 가장 명확하게 예시된다. 따라서 직선 섹션(137)을 포함하는 제 2 내부 프로파일(135)의 구성은 상박(10)의 측면 측에 특히 상박(10)의 상부 또는 상단 측면 부분에 전반적으로 안쪽으로 압력을 인가하도록 배열된다.
제 2 내부 프로파일(135)에 의해 팔의 측면 측에 인가되는 압력과 함께, 제 1 내부 프로파일(125)이 상박(10)의 내측 면을 안쪽으로 압박하기 위한 내향 압력을 인가한다. 척측피정맥(24) 및 상완 정맥들(26)을 효율적으로 압박하기 위하여, 제 1 내부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그 원위 단부(122)와 여전히 원위이지만 브리지 부분(110)에 가까운 지점 사이에서 제 1 조(120)의 내부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리지, 돌출부 또는 비드(127)를 갖는다. 이러한 리지, 돌출부 또는 비드(127)는 팔의 내측 면에 인가되는 압력을 포커싱하는데 기여하며, 그럼으로써 상박(10)의 내측 면 상의 정맥들을 더 효율적으로 압박한다.
디바이스(100)는 브리지(110) 및 제 1 및 제 2 암들(120, 130)의 내부 주변부 둘레로(또는 주로 둘레로) 연장하는 쿠션 엘러먼트(16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쿠션 엘러먼트(160)는 제 1 조(120) 상의 리지, 돌출부 또는 비드(127)를 커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지점들에서 제 1 조(120)에 부착될 수 있다. 쿠션 엘러먼트(160)는, 클램핑 및 언클램핑(unclamping) 동안 제 1 및 제 2 조들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수용하는 것(accommodating)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 2 내부 프로파일(135)을 따라 제 2 조(130)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라이드가능할 수 있다.
제 2 조(130)는 쿠션 엘러먼트(160)의 단부 부분(162)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원위 단부(132)에 형성된 통로(139)를 가질 수 있다. 통로는, 쿠션 엘러먼트(160)가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동안 제 2 내부 프로파일(135)을 따라 이동할 때 원위 단부 통로(139)를 통한 쿠션 엘러먼트(160)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부 부분(162)은 클램핑 액션 동안 환자의 팔을 방해하지 않으며, 쿠션 엘러먼트(160)는 접힘(bunching)을 경험하지 않거나 또는 최소의 접힘을 경험하며, 쿠션 엘러먼트(160)에 의한 팔의 죄임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존재한다.
도 2b는 쿠션 엘러먼트가 제 2 내부 프로파일(130) 위에 놓여 있을 때 쿠션 엘러먼트의 길이를 따른 쿠션 엘러먼트(160)의 예시적인 단면을 예시한다. 쿠션 엘러먼트는 지지 층(161) 및 쿠션 층(164)을 가질 수 있다. 쿠션 엘러먼트(160)의 적어도 부분을 따라, 지지 층(161)은 공간(115)을 향해 안쪽으로(지지 층(161)의 평평한 지지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하는 긴 비드(163)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드(163)는 팔 상의 압박을 포커싱함에 있어 리지(127)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플링 부분(110)의 내부 구조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디바이스(100)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프링(155) 형태의 편향 엘러먼트는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키도록 위치된다. 특히, 편향 엘러먼트는 커플링 부분(110)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킨다. 커플링 부분(110)의 이러한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편향 엘러먼트의 액션 하에서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이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편향된다.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의 내부 구조는, 디바이스(100)의 몸체(101)의 등 또는 척추에 전반적으로 평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1 부분(120) 및 제 2 부분(130) 둘 모두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편향 수단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스프링(155) 형태의) 편향 엘러먼트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로드 시트(rod seat)(158)가 편향 엘러먼트 정렬 로드(157)의 일 단부를 수용하도록 디바이스 몸체(101)의 일 단부에 내부적으로 제공된다. 편향 엘러먼트 정렬 로드(157)의 다른 단부는 제 2 부분(130)에 의해 규정된 캐비티(cavity) 또는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인 방식으로 연장한다. 제 1 부분(120) 내의 스프링(155)의 압축 및 확장이 전반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드(157)를 따라 일어날 수 있도록, 스프링(155)은 편향 엘러먼트 정렬 로드(157)의 적어도 부분을 둘러 감긴다. 편향 엘러먼트 정렬 로드(157)는, 예를 들어, 제 2 부분의 내부 구조에 접하게 함으로써 특정 지점을 넘는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중단부(stop)로서 역할하도록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부분(130)은, 이를 통해 스프링(155)이 연장하는 스프링 채널(156)을 규정하는 벽 및/또는 플랜지(flange) 구조체들(159)을 갖는 내부 캐비티 또는 챔버를 규정한다. 이러한 벽/플랜지 구조체들(159)은 제 2 부분(130) 내의 압축 및 확장 동안 스프링(155)을 전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채로 유지하기 위한 정렬 기능을 제공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유지 메커니즘(640)이 도시되며, 이에 의해 클램핑 디바이스(600)가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클램핑 디바이스(600)가 디바이스(100)과 관련하여 설명된 유지 메커니즘(140)에 대한 대안적인 또는 이에 추가적인 것으로서 수정된 유지 메커니즘(640)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클램핑 디바이스(600)는 클램핑 디바이스(100)과 동일할 수 있다.
유지 메커니즘(640)은 라이너 텅(liner tongue) 통로(139)의 외부 측 상의 라이너 텅(162)과 마찰적으로(frictionally) 맞물리도록 역할하는 마찰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유지 메커니즘(640)은 라이너 텅(162)의 측면 범위 및 디바이스(600)의 원위 단부(132)의 외부 표면과 전반적으로 평행한 피봇 축에 대하여 피봇하는 스프링 장전형 레버(spring biased lever)(644)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앵커(anchor) 컴포넌트(642)가 통로(139)의 외부 출구 측에 인접한 원위 단부(132)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장착되며, 그 결과 앵커 컴포넌트(642)가 측면 피봇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레버(644)를 고정할 때, (라이너 텅(162)이 돌출하는 곳에 인접한 레버(644)의 부분 상에 형성된) 캠(cam)이 레버가 유지 위치로 편향될 때 라이너 텅(162)의 후면에 충돌하고 이와 마찰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레버(644)의 캠은, 라이너(160)가 캠과 라이너(160)의 후부(back) 사이에서 마찰 맞물림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통로(139)를 통해 추가로 당겨질 수 있도록 배열되며, 이는 디바이스(600)를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디바이스를 밀어 내는 경향이 있는 힘들은, 라이너(160)가 제 2 부분(130)의 내부 측을 향해 제 2 부분(130)에 대해 효과적으로 당겨질 때 (레버(644)의 회전 스프링 편향력 하의) 라이너(160)의 후부와 캠의 증가된 마찰 맞물림에 의해 저항된다. 유지 메커니즘(640)을 릴리즈하기 위하여, 레버(644)가 눌려질 수 있으며, 이는 레버(644)의 다른 단부 상의 캠을 라이너(160)와의 마찰 맞물림 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그럼으로써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 개방될 때 라이너(160)가 다시 통로(139)를 통해 용이하게 회수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클램핑 디바이스(900)의 형태로 추가적인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된다. 클램핑 디바이스(600)는 디바이스들(100 및 600)과 매우 유사하지만, 개별적인 제 1 및 제 2 부분들(920, 930)의 제 1 및 제 2 원위 단부들(922, 932) 둘레에 두드러진 곡률 및 패딩을 갖는다.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910)은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디바이스들(100 및 600)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부분들(920, 930)을 결합한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900)는, 사람의 엄지 및 손가락들을 함께 쥠으로써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또는 부분적으로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완전히(또는 더 완전하게) 클램핑된 위치로의 디바이스의 수동 압박을 용이하게 허용하기 위하여, 디바이스(900)의 대향 단부들 상에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쥘 수 있는 랜드들(923 및 933)을 갖도록 형상이 갖추어진다. 따라서, 클램핑 디바이스의 설명된 실시예들이 정확하게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형태일 필요는 없지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형상 및 구성에 있어 일부 변형들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 도 9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1000)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클램핑 디바이스(1000)는 예시의 목적들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이동가능 조들(1020 및 10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리지 부분(1010)을 갖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조들(1020, 1030)은, 이들이 디바이스(1000)가 상박과 같은 사지의 일 부분 둘레에 위치되기 위한 개방 위치 및 디바이스(1000)가 사지의 내측 및 측면 측들 상에서와 같이 사지를 압박하는 제 1 및 제 2 조들(1020, 1030)을 갖는 클램핑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브리지 부분(1010)으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들(100, 600 및 900)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클램핑 디바이스(1000)는 클램핑된 위치에 디바이스(100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의 형태를 이용한다. 클램핑 디바이스(1000)의 예시된 실시예들에 있어, 예를 들어, 클램핑된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조들(1020, 1030)의 각각의 점진적인 회전을 허용하지만 누름가능 버튼(미도시)과 같은 수동 구동가능 릴리즈 메커니즘이 구동되지 않는 한 다시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의 이동에 저항하는 개별적인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들의 형태로 제 1 및 제 2 유지 메커니즘들(1042 및 1043)이 이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들과 유사하게, 클램핑 디바이스(1000)의 제 1 및 제 2 조들(1020, 1030)은 이러한 조들이 클램핑될 사지의 표면 상에 부딪히는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선형 프로파일은 제 1 및 제 2 조들(1020, 1030)의 내부 페이스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강성 조들(1020, 1030)의 비-선형 프로파일들은 (선택적으로 리지들(127 및 163)과 유사한 돌출 리지를 갖는) 전반적으로 오목한 표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강성 조들(1020, 1030)의 내부 프로파일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실제로 대략 오목한 내부 프로파일을 규정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각이 진 일련의 직선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직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11a,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1100)가 설명된다. 클램핑 디바이스(1100)는,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이에 대해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1120, 1130)이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피봇 축을 규정하는 브리지 또는 커플링 부분(1110)을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1120, 1130)은 디바이스(1100)가 사지 둘레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클램핑되지 않은 또는 개방 위치의 공간(115)을 규정한다. 개별적인 제 1 및 제 2 조들(1120, 1130)의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1125, 1135)은 오목한 형태로 전반적으로 만곡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오목한 형태는 클램핑될 사지 내의 특정 정맥들의 더 목표화된 압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직선 부분들 및/또는 2 이상의 만곡된 섹션들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클램핑 디바이스(1100)는 회전적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유지 메커니즘(1140)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누름가능 버튼과 같은 수동 구동가능 릴리즈 메커니즘이 디바이스(1100)가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적절한 편향 엘러먼트의 액션 하에서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램핑 디바이스는 이러한 클램핑 디바이스의 위생적인 보관 및 사용을 보조할 수 있는 키트 컴포넌트들이 수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saddle) 디바이스(1201)는 다른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1205)를 또한 포함하는 키트(1200)의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새들(1201)은 평평한 표면 상의 배치를 위한 전반적으로 수평의 베이스 부분(1202) 및 디바이스가 개방된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디바이스(1205)의 제 1 및 제 2 조들(1220, 1230) 사이에 규정된 공간(115)과 전반적으로 매칭되고 그 안에 끼워 맞춰지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전반적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볼록한 부분(12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클램핑 디바이스(1205)는 디바이스 몸체의 대향 단부들에서가 아니라 그 대신 (이상에서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의 브리지 커플링 부분과 유사하게) 척추 영역(1210)을 따라 서로 더 밀접하게 위치되는 개별적인 제 1 및 제 2 부분들(1220, 1230) 상에 대향적으로 향해진 랜드들(1223 및 1233)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를 클램핑된 위치로 수동으로 압박하기 위해 사용되는 랜드들은 반드시 클램핑 디바이스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쥐는 액션으로 엄지와 손가락들의 수동 맞물림을 위한 적절한 방향인 하나 이상의 돌출 부분들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제 도 13a, 도 13b 및 도 14를 참조하면,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1300)가 일회용 클램프 라이너(1360)을 포함하는 키트의 부분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키트는, 예를 들어, 적절한 컨테이너(1400) 내에 포함된 이러한 복수의 일회용 라이너들(136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디바이스(1300)는,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1320, 1330)을 이들이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브리지 또는 커플링 부분(1310)을 갖는다는 점에 있어 이상에서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유지 메커니즘(1340)(이러한 경우, 도 1 내지 도 5,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유사한 릴리즈 구동기를 갖는 선형 래치팅 메커니즘)은 클램핑된 위치에 디바이스(1300)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클램핑 디바이스(1300)는 전반적으로 강성의 제 1 및 제 2 조들(1320, 133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몸체 상으로 또는 이의 대부분의 둘레에 형성되거나 또는 맞춰지는 탄성중합체 오버-몰드(over-mould)(1323)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오버-몰드(1323)는 사지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300)를 적용할 때 디바이스(1300)의 그립성능(gripability)(마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간의 피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압박 리지들은 제 1 및 제 2 조들(1320, 1330)의 내부 프로파일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또는 디텐트(detent)(1339)는 제 1 및 제 2 조들(1320, 1330) 중 하나의 원위 단부를 향한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 또는 디텐트(1339)는 제 1 조(1320)에 있는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다. 이러한 리세스 또는 디텐트(1339)는 가요성 일회용 라이너들(1360) 중 하나의 접힌 단부 부분(1362)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배열되며, 그 결과 라이너(1360)의 나머지는 클램핑된 위치 및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들에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1320, 1330)에 의해 규정된 U-형 내부 프로파일의 전반적으로 위에 그리고 공간(115) 내로 눌려지거나 또는 접힐 수 있다. 리세스 또는 디텐트(1339) 내에 수용되지 않은 일회용 라이너(136)의 단부는, 디바이스(1300)가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사지의 죔을 완화하기 위하여 그 자유 단부에서의 라이너(136)의 움직임이 허용될 수 있도록, 자유 단부로서 남겨진다.
일회용 라이너(136)를 디바이스(13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하여, 일회용 라이너(1360)의 하나의 단부(1362)를 유지하는 동일한 조(예를 들어, 제 1 조(1320))에 라이너(1360)를 부착하기 위해 (라이너(1360)의 사지 맞물림 표면에 대향되는) 후방 표면 상에 접착제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물질은 예를 들어, 백킹 시트(backing sheet)의 껍질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300)로부터 라이너(1360)의 수동 제거를 어렵게 만들 만큼 강력하지는 않아야 한다.
일회용 라이너(1360)의 컨테이너(1400)는 이로부터 제거되기 위한 준비가 된 복수의 이러한 라이너들(13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각각의 라이너는 상단 및/또는 측면 개구(1415)를 통해 컨테이너(1400)의 몸체(14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회용 라이너들(1360)는 (리세스 또는 디텐트(1339)에 수용될) 하나의 단부(1362)가 용이하게 식별되고 컨테이너(1400)로부터 일회용 라이너(1360)를 빼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컨테이너(140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제 도 15를 참조하면, 일회용 라이너(1510)의 추가적인 형태가 (일회용 라이너(1510)과 함께 사용가능한 설명된 다양한 클램핑 디바이스들의 일 예와 같은) 클램핑 디바이스(100)를 또한 포함하는 키트(1500)의 일 부분으로서 도시되고 설명된다. 일회용 라이너(1510)는 대략적으로, 디바이스의 후면 또는 척추를 따른 개구부(1512) 외에 디바이스(100)의 몸체의 대부분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가요성 플라스틱 색(sack)의 형태일 수 있다. 개구부(1512)는 디바이스(1300)의 대향 페이스를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에 의해 규정된 U-형상의 내부 선단에 노출시킨다.
일회용 라이너(1510)는, 2개의 파우치 부분들(1520, 1530)을 결합하는 브리징 섹션을 가지고,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부분들(120, 130) 각각을 수용하고 실질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대향되는 파우치 부분들(1520 및 1530)을 규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0)의 전체 내부 U-형 클램핑 프로파일이 일회용 라이너(1510)에 의해 커버되며, 그 동안 라이너(1510)는 라이너(1510)의 후부 내의 개구부(1512)를 통해 색으로부터 디바이스(100)를 빼냄으로써 디바이스(100)로부터 용이하게 빼내질 수 있는 채로 남아 있는다. 선택적으로, 제 2 파우치 부분(1530)은 라이너 텅(162)이 이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 외측 면에 형성된 슬릿 또는 개구(1532)를 가질 수 있다.
일회용 라이너(1510)는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디바이스(100)(또는 본원에서 설명되고 묘사된 다른 실시예들) 상에 놓이고 이로부터 벗겨내기 쉬우며, 클램핑 디바이스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 액션들을 방해하거나 또는 간섭하지 않는 위생적인 플라스틱 또는 직물 재료로 형성된다.
키트(1500)는 각각의 연속적인 일회용 라이너(1510)가 사용될 때 순차적으로 개방되고 스택(stack)으로부터 빼내지기 위하여 스택으로 배열된 복수의 일회용 라이너들(15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키트(1500)는 일회용 라이너들(1510)의 스택을 홀딩하기 위한 현재 알려진 것들과 유사하고 플라스틱 쇼핑 백들 및 우산 슬리브들에 대해 사용되는 홀딩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그 결과, 클램핑 디바이스(100)(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가 그 조들과 함께 일회용 라이너(1510)의 파우치들(1520, 1530) 내로 삽입되고 이러한 라이너들의 스택의 나머지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질 때, 다른 라이너가 유사한 사용을 위해 준비된 위치로 당겨진다.
이제 도 16a, 도 16b, 도 17a, 도 17b,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일부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클램핑 디바이스(1600)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클램핑 디바이스(1600)는 이상에서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들과 유사한 원리들로 동작하며,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의 제 1 및 제 2 조들(1620, 163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 1 조(1620)를 제 2 조(1630)와 결합하는 커플링 또는 브리지 부분(1610)을 포함한다.
클램핑 디바이스(1600)는 디바이스(1600)를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1640)을 갖는다. 이러한 유지 메커니즘(1640)은, 예를 들어,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일 수 있다.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은, 제 1 및 제 2 조들(1620, 1630) 중 하나 상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폴 돌출부(1646)과 점진적으로 맞물리도록 선형적으로 배치된 래칫 투쓰(ratchet tooth)들(1644)를 갖는 루프(1643)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1643)는, 예시된 예에 있어 제 1 및 제 2조들(1620, 1630) 중 다른 하나의 쇼울더(shoulder)에 인접한 앵커 지점(1645)에서 앵커링된다. 루프(1643)는, 앵커링 지점(1645)에 대한 루프(1643)의 피봇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제 2조(1620)의 쇼울더에 인접한 앵커 지점(1645)에서 앵커링된다. 제 1 및 제 2 조들(1620, 1630)을 연결하고 커플링 부분(1610)의 부분을 형성하는 회전가능 커플링(1641)에 대하여 루프가 회전할 때, 이는 루프(1643)가 제 2 조(1630)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폴 돌출부(1646)의 형상은 도 18에서 가장 잘 보일 수 있다. 클램핑 디바이스(1600)가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루프(1643)는 투쓰들(1644)이 더 이상 폴 돌출부둘(1646)과 맞물리지 않도록 폴 돌출부들(1646)의 하나의 에지(edge)를 넘어 릴리즈 위치로 피봇될 수 있다. 이러한 릴리즈 위치에서, 루프(1643)는 폴 돌출부들(1646)의 하나의 단부와 제 2 조(1630)의 인접한 쇼울더(1672) 사이에 형성된 간극(1670)과 정렬된다. 이는 도 19에 예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 2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루프(1643)가 앵커링 지점(1645) 또는 루프(1643)의 다른 부분에서 제 1 조(1620)로부터 떨어지는 것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루프(1643)가 제 1 조(1620)에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1600)가 단일의 사용만을 허용하도록 의도되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 간극(1670)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 1 조(1620)에 대한 루프(1643)의 일부 또는 전부의 부서지기 쉬운 부착은 디바이스(1600)가 복수회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부서진 루프(1643)가 디바이스(1600)를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동작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1643)는 전반적으로 평행한 선형 래칫 암들(1661) 상에 배열된 래치팅 투쓰들(1644)의 대향되는 선형 세트들을 포함하며, 이는 단부 루프 또는 바(1662)에 의해 루프(1643)의 외부 선단에서 결합된다.
도면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되는 일부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은 디바이스의 U-형상의 선단에 대하여 비대칭적이며, 그 결과 하나의 조는 다른 조와 상이하게 형상을 갖추고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이는 압박될 사지 내의 특정 정맥들의 목표화된 압박을 보조한다.
도 16a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디바이스(1600)는 전반적으로 비대칭적이며, 도 1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1620)는 제 2 조(1630)보다 더 길고 상박의 내측 면을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반면, 제 2 조는 요측피정맥(22)의 압박을 목표로 하기 위하여 상박의 상부 측면 부분을 압박하도록 배열되며, 그 동안 제 1 조(1620)는 척측피정맥 및 상완 정맥(24 및 26)의 압박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클램핑 디바이스(1600)는, 사지가 상박이고 디바이스(1600)가 상박의 내측 면을 압박하는 제 1 및 제 2 조들(1620, 1630) 중 하나를 가지고 상박 둘레에서 클램핑된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및 제 2 조들(1620, 1630) 중 다른 것은 요측피정맥을 압박하기 위하여 상박의 상부 측면 부분을 압박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배열된다.
도 16a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600)는 사지의 내측 면 상의 정맥들의 압박을 목표로 하기 위하여 제 1 조(1620)의 내부 프로파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길이방향 리지(1627)를 가지며, 반면 제 2 조(1630)는 상박의 상단 측면 측 상의 요측피정맥의 압박을 목표로 하기 위해 위치된 리지(1663)를 갖는다.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의 대부분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서로 접촉하는 조들의 원위 단부들을 갖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전반적으로 사지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열되지 않으며, 이들이 사지의 둘레 또는 주변부 전체와 접촉하고 이를 압박하도록 배열되지도 않는다.
도 16a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디바이스(1600)는 전반적으로 약간 오목하게 만곡된 내부 프로파일들을 가지며,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조들(1620, 1630)은 사지와 접촉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있어, 이러한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상이한 곡률의 부분들 및/또는 전반적으로 직선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조들(120, 1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부 페이스 또는 내부 프로파일의 일 부분 상의 압력을 센싱하도록 배열된 압력 센서(2105)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클램핑 디바이스(2100)가 도시된다. 압력 센서(2105)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클램핑 디바이스(2100)는 디바이스(100)와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력 센서(2105)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클램핑 디바이스 실시예들 내에 통합될 수 있으며, 클램핑 디바이스가 사지 상에서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사지에 인가되는 클램핑 압력을 센싱하도록 적절하게 배열될 수 있다.
압력 센서(2015)는, 예를 들어, 압전 엘러먼트일 수 있는 압력 트랜스듀서(transducer) 엘러먼트(2110)를 포함한다. 압력 트랜스듀서 엘러먼트(2110)는 센싱된 압력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절한 절연형 전도체들(2120)을 통해 디스플레이(2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30)는 (수신된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스듀서 엘러먼트(2110)에 의해 센싱된 압력을 표시하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개업의와 같은 사람이 디스플레이(2130)를 용이하게 볼 수 있고, 클램핑 디바이스(2100)가 너무 많은 압박으로 적용되었는지, 압박이 충분하지 않은지 또는 압박의 정도가 적절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압력 트랜스듀서 엘러먼트(2110)가 제 1 부분 또는 조(120)의 내부를 따라 연장하는 내부 페이스 또는 리지에 인접하여 위치된 상태로 압력 센서(2105)가 제 1 부분 또는 조(12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21에 도시되지만, 압력 트랜스듀서 엘러먼트(2110)는 클램핑 디바이스(2100)의 내부 프로파일 둘레의 상이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2 이상의 압력 트랜스듀서 엘러먼트(2110)가 클램핑 디바이스(2100)의 내부 프로파일 둘레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추가적인 전도체들(2120)을 통해 동일한 디스플레이(213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개별 압력 센서들(2105)의 부분일 수 있다.
이제 도 23a 및 도 23b를 참조하면, 추가적이고 예시적인 클램핑 디바이스(2300)가 예시된다. 클램핑 디바이스(2300)는, 클램핑 디바이스(2300)를 클램핑된 위치에 릴리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2340)을 가지고, 브리지 부분(2310)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클램핑된 위치로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이동가능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2320, 2330)을 갖는다는 점에 있어 클램핑 디바이스들(100, 600, 900, 1200, 1300 및 2100)과 유사하다. 클램핑 디바이스(2300)는, 제 1 및 제 2 조들(2320, 2330)의 U-형 내부 프로파일 둘레로 연장하며 제 2 조(2330)의 단부 부분(2332) 근처의 텅 부분(2362)에서 끝나는 쿠션 엘러먼트(2360)를 갖는다. 텅 부분(2362)은 클램핑 디바이스(2300)가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제 2 조(2330)에 인접한 쿠션 엘러먼트(2360)의 다른 부분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디바이스(2300)는, 제 2 조(2330)가 클램핑된 위치를 향한 제 1 및 제 2 조들(2320, 2330)의 움직임 동안 그것이 연장할 때 텅 부분(2362)을 점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그것의 단부 부분(2332)을 향한 챔버(2376)를 규정한다는 점에 있어, 조들의 선형적이고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존하는 디바이스(100) 및 다른 디바이스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따라서, 디바이스(2300)는 설명된 일부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제 2 조의 외부 표면을 향해 텅 부분(2362)을 돌출시키지 않는다.
이제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팽창가능 엘러먼트가 혈압계(sphygmomanometer)(2410)와 함께 개략적으로 예시되지만, 다른 형태들의 혈압 측정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는 이상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쿠션 엘러먼트들과 유사하지만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의 형태로 팽창성 부분을 갖는 수정된 쿠션 엘러먼트(2460)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는 쿠션 엘러먼트(2460)의 실질적으로 긴 부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주머니에 의해 규정되는 팽창성 부분을 가지고, 쿠션 엘러먼트(2460)의 팽창성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가 쿠션 엘러먼트와 함께 위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와 함께 팽창가능하더라도,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는 쿠션 엘러먼트(2460)와 별개의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는, 예를 들어, 쿠션 엘러먼트(2460)의 노출된 단부에서(예를 들어,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제 1 조(2320)의 단부 부분(2322)에서) 적절한 커플링 밸브(2425)를 통해 혈압계(2410)와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혈압계(2410)는, 예를 들어, 손 구동가능 펌프(2412), 압력 표시기(2416) 및 밸브(2425)를 통해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 내로 공기를 펌핑하고 이로부터 공기를 릴리즈하기 위한 유체 도관(2420)을 포함하는 현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혈압계(2410) 대신에, 다른 적절한 자동화된 또는 손 구동가능 디바이스들이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의 팽창성 주머니로 공기를 펌핑하고 이로부터 공기를 릴리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는 쿠션 엘러먼트의 코어(core)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쿠션 엘러먼트(246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선택적으로는 쿠션 엘러먼트(2460)의 단부의 텅 부분(2462)까지의 경로 전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지만, 어쩌면 쿠션 엘러먼트(2460)의 길이의 약 1/2 내지 4/5만을 연장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에 인가되는 압력은 도 21 및 도 22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제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추가적이고 예시적인 클램핑 디바이스(2600)가 예시된다. 클램핑 디바이스(2600)는, 클램핑 디바이스(2600)를 클램핑된 위치에 릴리즈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메커니즘(2640)을 가지고, 브리지 부분(2610)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클램핑된 위치로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이동가능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부분들(조들/암들)(2620, 2630)을 갖는다는 점에 있어 클램핑 디바이스들(100, 600, 900, 1200, 1300, 2100 및 2300)과 유사하다.
클램핑 디바이스(2600)는, 제 1 및 제 2 조들(2620, 2630)의 U-형 내부 프로파일 둘레로 연장하며 제 2 조(2630)의 단부 부분(2632) 근처의 텅 부분(2662)에서 끝나는 쿠션 엘러먼트(2660)를 갖는다. 텅 부분(2662)은 클램핑 디바이스(2600)가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제 2 조(2630)에 인접한 쿠션 엘러먼트(2660)의 다른 부분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디바이스(2600)는, 제 2 조(2630)가 클램핑된 위치를 향한 제 1 및 제 2 조들(2620, 2630)의 움직임 동안 그것이 연장할 때 텅 부분(2662)을 점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그것의 단부 부분(2632)을 향한 챔버(2676)(도 29)를 규정한다는 점에 있어, 조들의 선형적이고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존하는 디바이스(100) 및 다른 디바이스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따라서, 디바이스(2300)와 유사하게, 디바이스(2600)는 제 2 조의 외부 표면을 향해 텅 부분(2662)을 돌출시키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2600)는 쿠션 엘러먼트(2660) 내의, 그 아래의 또는 이와 함께 위치된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 24 및 도 25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팽창가능 엘러먼트(2470)와 유사할 수 있다.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는, 예를 들어, 팔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때 팔의 적어도 부분에 추가적인 압력을 인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팽창성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600)는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의 팽창 및 수축을 자동화하기 위한 제어 기능들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기능들은,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를 (팽창시키기 위하여) 그 안으로 공기를 펌핑하도록 펌프(2687)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펌프(268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보드(2684) 상의 제어기(269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는, 압력 릴리프 밸브(2688)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럼으로써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의 수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소형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의) 압력 릴리프 밸브(2688)에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2690)는, 예를 들어, 혈압 측정들이 압력 센서(2110)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허용하는 세트 또는 프로그래밍된 방식으로,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의 점진적인 및/또는 단계적인 수축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압력 릴리프 밸브(268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펌프(2687)는 제 1 부분(2620) 또는 제 2 부분(2630) 중 하나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 펌프는 제 1 부분(2620) 내에 배치된다. 적절한 공기 주입구(2694)는 그 내부에 펌프(2687)가 하우징되는 디바이스(2600)의 그 부분의 외부 벽에 제공될 수 있다. 공기 주입구(2694)는 또한 수축 동안 공기 배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2600)의 외부 벽에 제공되는 별개의 공기 배출구가 존재할 수 있다.
수동 구동가능 입력 컴포넌트들은 제 1 부분(2620) 및 제 2 부분(2630) 중 하나의 외측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팽창 및 수축 구동기들(2681 및 2682)을 통해 제어기(2690)로 사용자 제어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버튼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팽창 구동기(2681), 및 수축 버튼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 수축 구동기(2682)는 회로 보드(268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의 팽창 또는 수축을 야기하기 위하여 제어기(2690)로 하여금 별개의 전기 전도체들(와이어들)(2686)을 통해 펌프(2687) 및 압력 릴리프 밸브(2688) 각각으로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게끔 하기 위해 제어기(2690)와 상호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확장 및 수축 구동기들(2681, 2682)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2600)을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가져가기 위한 수동적인 힘을 인가하기 위한) 랜드(2633)와 제 2 부분(2630)의 원위 단부(2632) 중간에서, 제 2 부분(2630)의 (밖으로 향한) 외부벽 상에 서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 및 수축 구동기들(2681, 2682)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2600)을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가져가기 위한 수동적인 힘을 인가하기 위한) 랜드(2623)와 제 1 부분(2630)의 원위 단부(2622) 중간에서, 제 1 부분(2620)의 (밖으로 향한) 외부벽 상에 서로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든, 팽창 및 수축 구동기들(2681, 2682)은 브리지 부분(26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디바이스(2600)의 부분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대안예에 있어, 팽창 및 수축 구동기들(2681, 2682)은 제 1 및 제 2 부분들(2620, 263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간섭하지 않고 디바이스(2600)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기능들을 간섭하지 않는 브리지 부분(2610)의 부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펌프에 의한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의 팽창은 제 1 압력 세트-포인트 또는 제 1 세트-포인트보다 더 큰 제 2 압력 세트-포인트의 팽창가능 엘러먼트의 내부 압력을 달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 1 압력 세트-포인트는 약 40 mm Hg 내지 약 80 mm Hg 사이의 압력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약 60-70 mm Hg의 압력일 수 있다. 제 2 압력 세트-포인트는 약 80 mm Hg 내지 약 200 mm Hg 사이의 압력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약 90-100 mm Hg의 압력일 수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2688) 및 펌프(2687)이 제 1 부분(2620)에 존재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압력 릴리프 밸브(2688)는 제 1 부분(2620)의 외부 벽의 공기 주입구/배출구(2694)와 연통하고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펌프(2687)는 주입구/배출구(2694)로의 별개의 공기 주입구/배출구(미도시)와 유체 연통하고 있을 수 있다. 공기가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 내로 펌핑되고 릴리프 밸브(2688)를 통해 이로부터 릴리즈될 수 있도록, 펌프(2687),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 및 릴리프 밸브(2688)를 공압적으로(pneumatically) 결합하기 위한 소형 배관(2692)이 디바이스 하우징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들(2683)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시기들 또는 유색 전등이 회로 보드(2684) 상에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또는 달리 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기들(2681, 2682)의 각각과 연관될 수 있다. 구동기들(2681, 2682) 중 하나가 수동으로 구동될 때, 제어기(2690)는 팽창 또는 수축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 또는 곧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또는 디바이스(2600)의 동작의 특정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LED들(2683) 중 하나 이상이 발광하게끔 할 수 있다. 팽창 또는 수축이 음성 명령들 또는 외부에서 발원하는 제어 명령들을 통해 자동으로 초래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LED들(2683)은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중간-레벨의 팽창, 최대 레벨의 팽창, 수축 또는 점진적인(단계적인) 수축)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부분(2630) 내에 하우징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2685)은, 가청 알람부 또는 무선 통신 기능부와 같은 임의의 외부 통신 기능부에 더하여, 제어기(2690), 회로 보드(2684), LED들(2683), 펌프(2687), 릴리프 밸브(2688)를 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2685)의 단자들은 회로 보드(2684)를 위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로 보드(268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LED들(2683), 릴리프 밸브(2688), 펌프(2687) 및 제어기(2690)와 같은 다른 전력형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2685)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회로 보드(2684)를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압력 센서(2110)는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 내의 압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압력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제어기(2690)로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펌프(2687)이 압력 센싱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 내의 센싱된 압력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제어기(2690)에 제공할 수 있다. 피드백을 제공하는 이러한 신호들로, 제어기(2690)는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팽창가능 엘러먼트(2670)가 희망되는 압력 세트-포인트에 도달하게끔 할 수 있다. 도 30은, 압력 센서(2110)(또는 펌프(2687)에 의해 제공되는 균등한 센서)를 더한, 이상에서 설명된 클램핑 디바이스(2600)의 특징들 및 기능들을 갖는 클램핑 디바이스(3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음성 활성화 기능은 클램핑 디바이스(2600)의 팽창 또는 수축이 음성 명령들에 의해 초래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31에서 디바이스(3100)로서 개략적으로 표현되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 이상에서 설명된 디바이스(2600)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3110), 및 제어기(2690)의 일부로서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 제어기(2690)는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3110)를 통해 수신된 언어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기(2690)에 의해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어기(2690)는 유효한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적절한) 팽창을 위해 펌프(2687)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수축을 위해 압력 릴리프 밸브(2688)를 동작시킨다. 트리거 문구(trigger phrase)는 다음의 음성 명령의 수신을 대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문구는 "수축" 또는 "팽창"과 같은 실제 음성 명령이 뒤따르는 "명령"일 수 있다.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어떠한 액션도 제어기(2690)에 의해 취해지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 외부 제어 디바이스의 사용에 의해 클램핑 디바이스(2600)의 팽창 또는 수축이 야기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원격 디바이스 제어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 도 32의 디바이스(3200)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이상에서 설명된 디바이스(2600)에는 제어기(2690)의 일부로서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3210),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 컴포넌트가 추가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은 지그비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개인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 Wi-Fi 프로토콜, IEEE 802.11-준수 프로토콜, 또는 다른 적합한 저-전력 단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 제어기(2690)는 무선 통신 모듈(3210)을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기(2690)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3210)을 통해 유효한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어기(2690)는 유효한 명령에 응답하여 (적절하게) 펌프(2687)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2688)를 동작시킨다. 유효한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어떠한 액션도 제어기(2690)에 의해 취해지지 않는다. 명령들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3220)(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랩탑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외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321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들은 무선 통신 모듈(3210)과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3220) 사이에 핸드셰이킹 신호들(3215)을 교환한 다음에 무선 통신 모듈(3210)에서 수신될 수 있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3220)는 클램핑 디바이스(3200)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된 애플리케이션(즉, "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어기(2690)는 무선 통신 모듈(3210)을 통해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3220)로 다시 데이터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센싱된 압력 데이터, 디바이스 상태 데이터, 또는 배터리들의 전력 레벨, (존재하는 경우) 검출된 컴포넌트 오동작들, (다음에 클리닝되어야 할 때를 결정하기 위한) 마지막 리셋으로부터의 디바이스(3200)의 사용 횟수들, 등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 동작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실시예들은 디바이스(2600/3200)가 클램핑된 위치 또는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된 때 이를 제어기(2690)에 표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디바이스 실시예들은 비-포위형(non-encircling) 압박대로서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2개의 대향하는 이동가능 플레이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레이트들은 신축식(telescoping) 잠금가능 브리지 섹션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플레이트들의 공통 평면에 대해 주로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한다. 따라서 플레이트들, 브리지 및 잠금 메커니즘은 클램핑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결합된다. 플레이트들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상부) 팔들의 정맥들을 압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특정 구조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형상이 갖추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플레이트들의 구조는 팔들 내의 주요 정맥들의 위치와 상관되는 압력 지점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정맥 압박 및 적어도 부분적인 정맥 혈류정지(stasis)를 달성하기 위하여 클램핑 디바이스의 내부 또는 팔 측 상에 전략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압력 지점들은 정맥천자 이전에 디바이스의 운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더 적은 압력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정맥 압박을 보조하는 3-4 mm 융기된 중심 길이방향 척추를 갖는 플레이트들 및 브리지의 내부를 따라 연장하는 내측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발원하는 슬라이딩 슬리브 또는 삽입부를 이용할 수 있다. 슬리브 또는 삽입부는 측면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를 통해 돌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를 클램핑된 위치로 가까이 가져가거나 또는 단단히 조일 때, 슬리브가 원위 측면 플레이트를 통해 추가로 돌출할 것이며, 돌출의 양은 주로 단단히 조이는 움직임에 비례한다. 이러한 돌출 및 움직임은 브리지에서의 클램핑 디바이스의 내부 둘레를 감소시키는 것에 반응하며, 클램핑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팔의 피부를 죄는 것, 움켜 잡는 것, 또는 상처 입히는 것을 회피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이드 버튼 릴리즈 메커니즘이 용이한 분리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수의 변형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모든 측면들에 있어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1)

  1. 인간의 사지(human limb)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 1 비-선형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제 1 강성 부분;
    전반적으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을 마주보는(facing) 제 2 내부 프로파일을 갖는 제 2 강성 부분; 및
    클램핑된 위치와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함께 결합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의 정맥들을 압박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는,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의 정맥들을 압박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들을 규정(define)하는, 디바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은 비-선형적인, 디바이스.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은 만곡된, 디바이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은 부분적으로 직선이고 부분적으로 만곡된, 디바이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분은 제 1 커플링 부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 또는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커플링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2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플링 부분은 상기 제 1 강성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커플링 부분은 상기 제 2 강성 부분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리즈가능(releasable) 유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커플링 부분이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이 제한되는 복수의 유지 위치들 중 하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지 위치들은 복수의 불연속적인 유지 위치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래치팅(ratcheting)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복수의 개별 유지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메커니즘은 마찰 맞물림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릴리즈하기 위한 수동 구동가능 릴리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리지(ridge)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 상에서 안쪽으로 압박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디바이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또는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의 실질적인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디바이스.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비드(bead)를 닮은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디바이스.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상기 디바이스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편향 메커니즘은 상기 커플링 부분 내에 또는 상기 커플링 부분 상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수용 부분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디바이스.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기 제 2 부분의 더 많은 부분이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수용 부분 내에 수용되는, 디바이스.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팔 상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상박(upper arm)으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가 쉽게 상기 상박 상에 놓이거나 또는 상기 상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반드시 상기 사지의 주변부 전체와 접촉하지는 않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강성 부분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약 240° 내지 약 300°의 범위로 상기 사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수동으로 한 손만을 사용하여 상기 상박 위에서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되고 한 손만을 사용하여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디바이스가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수동으로 한 손만을 사용하여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릴리즈되고 한 손만을 사용하여 상기 사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디바이스가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이 갖추어지는, 디바이스.
  2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는 쿠션 엘러먼트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엘러먼트는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위에서 연장하는, 디바이스.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엘러먼트는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에 부착되지 않는, 디바이스.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상대적인 움직임은 상기 쿠션 엘러먼트와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사이에서 허용되는, 디바이스.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상기 쿠션 엘러먼트의 부분이 개구를 통해 움직이게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 엘러먼트의 상기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개구를 규정하는, 디바이스.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 2 부분을 통해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로부터 상기 제 2 부분의 외부 벽으로 연장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쿠션 엘러먼트의 상기 부분이 상기 제 2 부분을 통해 일 측(side)로부터 다른 측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상기 클램핑된 위치를 향한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할 때 상기 쿠션 엘러먼트의 상기 부분을 점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규정하는, 디바이스.
  35. 청구항 29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엘러먼트 및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규정되는 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쿠션 엘러먼트의 길이의 적어도 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사지 상에 닿도록 배열되는, 디바이스.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쿠션 엘러먼트의 길이방향(longitudinal) 길이를 따라 중심으로 연장하는, 디바이스.
  37. 청구항 29 내지 청구항 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엘러먼트는 가요성 지지(backing) 층 및 상기 지지 층에 부착된 압축가능 쿠션 층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오로지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커플링 부분이 함께 연장하는 평면에서만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링 부분에 의해 결합되는, 디바이스.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대적인 움직임은 오로지 상기 평면 내의 단일 축을 따라서만 허용되는, 디바이스.
  40.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대적인 움직임은 상기 평면 내의 2 이상의 방향에서 허용되는, 디바이스.
  4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커플링 부분은 하나 이상의 살균가능(sterilisable) 재료들로 형성되는, 디바이스.
  4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커플링 부분은 실질적으로 U-형상인 상기 디바이스의 형상을 규정하는, 디바이스.
  4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자유 단부 및 상기 커플링 부분으로부터 원위인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자유 단부에서의 제 1 원위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부분은 자유 단부 및 상기 커플링 부분으로부터 원위인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자유 단부에서의 제 2 원위 부분을 가지고,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상박이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사이에 규정된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상박 위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 간극(gap)이 상기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 사이에 규정되는, 디바이스.
  44.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간극이 감소되는, 디바이스.
  45. 청구항 43 또는 청구항 4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원위 부분들 중 다른 것을 향해 안쪽으로 만곡되는, 디바이스.
  4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반적으로 오목한, 디바이스.
  4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을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동으로 서로를 향해 압박될 수 있는 대향적으로 마주보는 랜드(land)들을 규정하는, 디바이스.
  48.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jaw)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각각은 사지의 대향 측들을 향해 압박될 강성 내부 페이스(face)를 규정하며, 상기 조들은 상기 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그들 사이의 공간을 함께 규정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페이스는 비-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사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적어도 상기 사지의 상기 부분의 원위의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정맥들에서 정맥 혈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기 내부 페이스들이 상기 사지의 상기 대향 측들을 압박하는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대적임 움직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을 함께 결합하는 브리지(bridge)를 포함는, 디바이스.
  49. 사지의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각각은 상기 사지의 대향되는 측들을 향해 압박될 내부 페이스를 규정하는 강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상기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사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적어도 상기 사지의 상기 부분의 원위의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정맥들에서 정맥 혈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기 내부 페이스들이 상기 사지의 상기 대향 측들을 압박하는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조들을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 수동으로 압박가능하며; 및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지가 상박이고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상박의 내측(medial) 면을 압박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 중 하나를 가지고 상기 상박 둘레에서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 중 다른 것은 요측피정맥을 압박하기 위하여 상기 상박의 상부 측면(lateral) 부분을 압박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배열되는, 디바이스.
  50.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각각은 사지의 대향 측들을 향해 압박될 강성 내부 페이스를 규정하며, 상기 조들은 상기 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그들 사이의 공간을 함께 규정하는, 상기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조들;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사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개방 위치와 적어도 상기 사지의 상기 부분의 원위의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정맥들에서 정맥 혈류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기 내부 페이스들이 상기 사지의 상기 대향 측들을 압박하는 클램핑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대적임 움직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을 함께 결합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는, 디바이스.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부 페이스는 비-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디바이스.
  52. 청구항 5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의 정맥들을 압박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들을 규정하는, 디바이스.
  53. 청구항 51 또는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은 비-선형적인, 디바이스.
  54.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은 만곡된, 디바이스.
  55. 청구항 51 내지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은 부분적으로 직선이고 부분적으로 만곡된, 디바이스.
  56.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분은 제 1 커플링 부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 또는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커플링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2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57. 청구항 56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플링 부분은 상기 제 1 강성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커플링 부분은 상기 제 2 강성 부분에 연결되는, 디바이스.
  58.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5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릴리즈가능 유지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59. 청구항 5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커플링 부분이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취하는 것이 제한되는 복수의 유지 위치들 중 하나를 취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0.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지 위치들은 복수의 불연속적인 유지 위치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1. 청구항 58 내지 청구항 6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래치팅 유지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2. 청구항 58 내지 청구항 6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은 복수의 개별 유지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63. 청구항 58 내지 청구항 6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지 메커니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클램핑된 위치로부터 릴리즈하기 위한 수동 구동가능 릴리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64.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6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 상에서 안쪽으로 압박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디바이스.
  65. 청구항 64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또는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의 실질적인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디바이스.
  66. 청구항 64 또는 청구항 65에 있어서,
    상기 리지는 비드를 닮은 만곡된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디바이스.
  67. 청구항 50 내지 청구항 6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를 향해 상기 디바이스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68.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편향 메커니즘은 상기 커플링 부분 내에 또는 상기 커플링 부분 상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6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70. 청구항 6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상기 제 1 강성 부분 및 상기 제 2 강성 부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디바이스.
  71. 청구항 69 또는 청구항 70에 있어서,
    팔 상에서의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상기 팔의 내측 부분에 인접하여 놓일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가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72. 청구항 69 내지 청구항 7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싱된 압력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에 결합된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73. 청구항 69 내지 청구항 7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압전 엘러먼트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내부 프로파일 및 상기 제 2 내부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기 내부 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배열되는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75. 청구항 74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사지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사지에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팽창가능한, 디바이스.
  76. 청구항 74 또는 청구항 75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는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 내로의 또는 그 밖으로의 공기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밸브를 갖는, 디바이스.
  77. 청구항 74 내지 청구항 7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프로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들의 상기 내부 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배치된 쿠션 엘러먼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거나 또는 이의 부분을 형성하는, 디바이스.
  78. 청구항 74 내지 청구항 7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69 내지 청구항 73 중 어느 한 항에 의존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도록 배열되는, 디바이스.
  79. 청구항 74 내지 청구항 7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80. 청구항 79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바이스.
  81. 청구항 79 또는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도록 배열된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와 상기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82. 청구항 8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구동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중 하나의 외측 상의 적어도 하나의 수동 구동가능 입력 컴포넌트들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83. 청구항 82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구동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압력 세트-포인트까지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
    상기 제 1 압력 세트-포인트보다 더 높은 제 2 압력 세트-포인트까지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
    상기 팽창가능 엘러먼트를 수축시키기 위해 압력 릴리프 밸브(pressure relief valve)를 동작시키는 것; 및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의 동작을 중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84. 청구항 81에 있어서,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 수신되는 언어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유효한 음성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유효한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85. 청구항 81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 또는 압력 릴리프 밸브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8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사지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동맥 폐색을 초래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된 위치의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지로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8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6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되지 않은 위치의 디바이스를 수용 및 지지하기 위한 크래들(cradle)을 더 포함하는, 키트.
  8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6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사지 상에서 상기 클램핑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사지와 접촉하게 될 개연성이 있는 상기 디바이스의 부분들을 적어도 커버하고 위생적으로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얇은 일회용 커버를 더 포함하는, 키트.
  89.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커버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키트.
  90. 청구항 89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커버는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또는 조들을 수용하고 실질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제 1 및 제 2 포켓들을 규정하는, 키트.
  91. 본원에서 설명되거나 또는 묘사된 단계들, 특징들, 엘러먼트들, 행동들, 컴포넌트들, 서브컴포넌트들, 예들, 배열들, 디바이스들 및 구조 각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서브조합.
KR1020157034812A 2013-05-07 2014-05-07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KR102327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901617 2013-05-07
AU2013901617A AU2013901617A0 (en) 2013-05-07 Clamping device for reducing venous blood flow
AU2013902638 2013-07-16
AU2013902638A AU2013902638A0 (en) 2013-07-16 Clamping device for reducing venous blood flow
PCT/AU2014/000499 WO2014179830A1 (en) 2013-05-07 2014-05-07 Clamping device for reducing venous blood f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735A true KR20160006735A (ko) 2016-01-19
KR102327992B1 KR102327992B1 (ko) 2021-11-17

Family

ID=5186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812A KR102327992B1 (ko) 2013-05-07 2014-05-07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39553B2 (ko)
EP (1) EP2994056B1 (ko)
JP (2) JP2016521173A (ko)
KR (1) KR102327992B1 (ko)
CN (1) CN105263424B (ko)
AU (1) AU2014262372B2 (ko)
WO (1) WO20141798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541A (ko) * 2020-04-03 2021-10-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팔 압박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0607A1 (de) * 2001-12-10 2003-06-26 Oce Printing Systems Gmbh Verfahren, Gerätesystem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Erzeugung eines gedruckten Dokuments aus mehreren Eingangsdateien
CN105769543A (zh) * 2014-12-19 2016-07-20 郑荃龙 一种可调校穴位及器官按压装置
JP6287894B2 (ja) * 2015-02-27 2018-03-0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カフおよび血圧計
CN104771201B (zh) * 2015-04-17 2017-03-01 王洛 适形蚌式人工被膜重建压迫止血装置
US10363198B2 (en) * 2015-08-26 2019-07-30 Karen Salstein-Begley Hand-pressing headache-relieving device
CN108289625A (zh) * 2015-10-01 2018-07-17 图尼看护私人有限公司 用于控制静脉血液流量、改进静脉扩张并实现血压测量的夹持设备、***及方法
JP6340023B2 (ja) * 2016-02-26 2018-06-06 メディキット株式会社 止血器
JP6635548B2 (ja) * 2016-03-15 2020-01-29 正和 兵藤 筋肉増強方法及び筋肉増強装置
CN105943111A (zh) * 2016-06-03 2016-09-21 周海燕 一种用于穿刺拔管后止血的护理按压装置
JP6898364B2 (ja) * 2016-07-08 2021-07-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人間の肢の生理学的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20200022727A1 (en) * 2017-02-01 2020-01-23 Partus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and monitoring a pregnant patient having a prematurely open cervix
CN108175397B (zh) * 2017-11-30 2023-12-15 深圳市富惠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测压用自动手爪装置
JP7168338B2 (ja) * 2018-03-30 2022-11-09 テルモ株式会社 止血器具
TWI692345B (zh) * 2019-02-20 2020-05-01 百略醫學科技股份有限公司 可評估動脈硬化之血壓量測裝置
EP3946027A4 (en) * 2019-03-25 2022-12-28 Tournicare Pty Ltd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CN111407290B (zh) * 2020-04-24 2022-12-20 江西睦茗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儿科抽血防晃动护理装置
WO2022226604A1 (en) * 2021-04-30 2022-11-03 Noble House Group Pty. Ltd. Tourniquet clip and tourniquet
CN113143388A (zh) * 2021-05-08 2021-07-23 中国医科大学附属盛京医院 一种声控机械止血带
CN113974749B (zh) * 2021-11-16 2023-07-25 河南大学 手术用动脉快速止血装置
CN113995462B (zh) * 2021-12-09 2024-01-23 郑州人民医院(郑州人民医院医疗管理中心) 一种内科心血管手术用按压止血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240A (en) * 1973-08-03 1975-05-20 C Malcolm B Gilman Tourniquet
JP2003135472A (ja) * 2001-09-20 2003-05-13 Radi Medical Systems Ab 可調節型橈骨動脈コンプレッサ
KR20120119908A (ko) * 2009-11-11 2012-10-31 카즈 인코포레이티드 동맥 혈압 모니터용 커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7151A1 (en) * 2006-01-23 2008-03-27 Bob K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 Patient's Leg During Leg Surgical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JP4876885B2 (ja) * 2006-12-14 2012-02-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US8956387B2 (en) 2008-11-25 2015-02-17 IC Therapeutics Inc. Systems for replicat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and improving cardiovascular health
DE202008017134U1 (de) * 2008-12-31 2009-04-02 Schröder, Jürgen, Dr.med.habil. Kompressionsapparat für die Leistenarterie
TWM371529U (en) 2009-08-12 2010-01-01 Quanta Comp Inc Blood pressure monitor
TWM395460U (en) * 2010-07-02 2011-01-01 Avita Corp Blood pressure meter
US20120004559A1 (en) * 2010-07-02 2012-01-05 Avita Corporation Blood Pressure Meter
WO2014017975A1 (en) * 2012-07-26 2014-01-30 Probonova Medical Innovations Ab A method for blood pressure cuff application and blood pressure cuff support
IL231979A0 (en) 2013-05-26 2014-08-31 M A S Med Global Ltd Pneumatic editor bloc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240A (en) * 1973-08-03 1975-05-20 C Malcolm B Gilman Tourniquet
JP2003135472A (ja) * 2001-09-20 2003-05-13 Radi Medical Systems Ab 可調節型橈骨動脈コンプレッサ
KR20120119908A (ko) * 2009-11-11 2012-10-31 카즈 인코포레이티드 동맥 혈압 모니터용 커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541A (ko) * 2020-04-03 2021-10-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팔 압박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62372B2 (en) 2019-03-14
US20160066925A1 (en) 2016-03-10
KR102327992B1 (ko) 2021-11-17
EP2994056A1 (en) 2016-03-16
JP2019141645A (ja) 2019-08-29
CN105263424A (zh) 2016-01-20
WO2014179830A1 (en) 2014-11-13
US10039553B2 (en) 2018-08-07
CN105263424B (zh) 2020-09-04
EP2994056B1 (en) 2021-12-22
JP2016521173A (ja) 2016-07-21
EP2994056A4 (en) 2017-01-25
AU2014262372A1 (en) 2015-11-12
JP6552764B1 (ja)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6735A (ko) 정맥 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US20190053723A1 (en) Clamp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nous Blood Flow, Improving Venous Dilation and Effect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
FI3706615T3 (fi) Emätintähystin
US9089301B2 (en) Labor management devices providing pelvic floor support
JP6688874B2 (ja) 簡易式の自動電子駆血帯
JP2016522042A (ja) 空気圧式止血帯
WO2008006624A3 (en) Surgical retractor
WO2016022541A1 (en) Externally applied intrapartum support device
JP2020534988A (ja) 医療圧力療法機器及びそのコンポーネント
US11944318B2 (en) Surgical clamp
CN210170253U (zh) 一种多功能产科护理带
EP3815628A1 (en) Device for blood vessel occlusion and haemorrhage control and method for placement and remov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