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741A - 배전선로용 완철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741A
KR20150138741A KR1020140067139A KR20140067139A KR20150138741A KR 20150138741 A KR20150138741 A KR 20150138741A KR 1020140067139 A KR1020140067139 A KR 1020140067139A KR 20140067139 A KR20140067139 A KR 20140067139A KR 20150138741 A KR20150138741 A KR 20150138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s
joint member
present
upper join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철
이은동
김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06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741A/ko
Publication of KR2015013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완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은, 전주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3상의 전력선 중 일부의 전력선이 거치되는 절연애자가 구비되는 상부완철부재와,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3상의 전력선 중 나머지 전력선이 거치되는 절연애자가 구비되는 하부완철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설치되어 있는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하부완철부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전주를 이설하지 않고도 건물과 전력선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이설에 따른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완철{STEEL CROSSARM FOR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완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설치되어 있는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하부완철부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전주를 이설하지 않고도 건물과 전력선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완철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인 가공용 전력선은 길이가 약 300-600m이며, 30-50m의 간격으로 전주를 설치하여 전력선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10)이 전주(20)와 절연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주(20)에는 완철(30)을 설치하고, 완철(30)의 상부에는 절연체인 절연애자(40)를 설치하는데, 절연애자(40)에는 전력 선삽입홈(미도시)가 형성되어 전력선을 전력선삽입홈에 거치하고 고정시킨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에 인접하여 건물들이 세워지는 경우, 3상의 전력선 중 1상의 전력선이 건물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안전상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참고로, 배전선로 공사시 완철에 거치되어 있는 전력선과 건물은 최소 1m 이상의 이격거리를 반드시 유지해야하며, 안전을 고려하여 1.2m 이상의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3상의 전력선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과 대향되는 측으로 연장된 완철의 상부로 모두 이설하는 공사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3상의 전력선 모두를 건물과 대향된 측으로 연장하여 전력선과 건물과의 거리를 1m(1.2m) 이상 확보한 이후, 건물들의 외벽에 설치된 간판이나 구조물로 인하여 사고(섬락으로 인한 정전사고 등)가 발생될 위험이 있어 전주를 건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전주의 이동 설치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치되어 있는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하부완철부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전주를 이설하지 않고도 건물과 전력선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이설에 따른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배전선로용 완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은, 전주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3상의 전력선 중 일부의 전력선이 거치되는 절연애자가 구비되는 상부완철부재와,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3상의 전력선 중 나머지 전력선이 거치되는 절연애자가 구비되는 하부완철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완철부재에는 2개의 절연애자가 구비되어 3상의 전력선 중 2상의 전력선이 거치되고, 상기 하부완철부재에는 1개의 절연애자가 구비되어 3상의 전력선 중 1상의 전력선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2개의 절연애자와 상기 하부완철부재의 1개의 절연애자는 역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완철부재는,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속되되, 상기 상부완철부재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속되되, 상기 상부완철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완철부재는, 일측이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며,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속되되, 상기 상부완철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상면과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양측면 및 상기 연장부의 상부 양측면을 감싸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상면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면 외부에서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상하고정볼트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타측의 외부에서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수평고정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완철부재는, 일측이 전주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설치되어 있는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하부완철부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조로 전주를 이설하지 않고도 건물과 전력선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이설에 따른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주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건물과 전주가 인접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건물과 전주가 인접한 상태에서 완철을 건물의 반대방향으로 편출한 상태를 보인 종래의 시공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2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3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시공시 시작지점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에는 건물과 전주가 인접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건물(50)이 세워지는 경우, 건물(50)이 전주(20)에 인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물(50)이 전주에 인접한 상태에서는 좌측의 1상의 전력선이 건물에 인접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종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전력선을 모두 우측으로 이설하는 방법(편출장주)으로 건물(50)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실시예들의 상부완철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전주(20)에 기설치되어 있는 완철(30)을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되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길이를 더 길게 혹은 더 짧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50)은 우측에, 전주(20)는 좌측에 위치된 상태로 설명하며, 3상의 전력선은 a상(1), b상(2), c상(3)으로 설명하며, a상은 도 2와 도 3에서 건물(50)에 인접하는 전력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은 상부완철부재(100)와 하부완철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완철부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20)에 기설치되어 있는 완철(30)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완철부재(100)에는 3상의 전력선 중 일부의 전력선이 거치되고, 하부완철부재(100)에는 상부완철부재(100)에 거치되지 않은 나머지 전력선이 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완철부재(100)에는 3상의 전력선 중 2개의 전력선이, 하부완철부재(100)에는 나머지 1개의 전력선이 각각 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며, 상부완철부재(100)에 1개의 전력선이, 하부완철부재(100)에 2개의 전력선이 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완철부재(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전력선 중 2개의 전력선(b상(2), c상(3))이 안전 거리를 확보한 상태로 각각 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선과 상부완철부재와의 절연을 위한 2개의 절연애자(12, 13)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완철부재(100)는 상기와 같은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하부완철부재(100)에는 상부완철부재(100)에 거치되지 않은 3상의 전력선 중 나머지 1개의 전력선(a상(1))이 거치되며, 이러한 나머지 1개의 전력선은 하부완철부재(100)의 상면에 설치된 절연애자(11)에 거치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완철부재(100)는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에서 연속되며, 상부완철부재(100)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20)와, 연장부(220)에서 연속되며, 상부완철부재(100)와 평해하게 연장형성되는 평행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10)와 연장부(220) 및 평행부(230)의 연결부위는 만곡형성되어 하부완철부재(100)는 대체로 일측으로 회전된 "U"자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상부완철부재(100)와 하부완철부재(100)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완철부재(100)의 연결부(210) 상면은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면과 면접촉된 상태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림직하지만, 용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완철부재(100)에 하부완철부재(100)를 결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완철부재(100)에 설치된 절연애자(12, 13)와 하부완철부재(100)의 절연애자(11)가 대체로 역삼각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완철부재(100)를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부에 설치시, 상부완철부재(100)에 거치된 3상의 전력선 중 a상(1)을 하부완철부재(100)로 이설함에 따라 a상(1)과 b상(2)의 상간 거리와 a상(1)과 c상(3)의 상간 거리를 종래의 이격거리(630mm)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완철부재(100)는 전력선의 중량에 의해 하부로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측이 전주(20)에 고정된 지지부재(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은 건물(50)과 이격되는 개소에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하면, 건물(50)과 a상(1)이 안전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구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의 상면에 3상의 전력선이 위치되고, 건물(50)의 외부에 부착된 간판(51)이나 조형물로 인하여 안건 거리가 확보되지 않은 구간에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시작점은 건물(50)과 a상(1) 간의 안전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는 전주의 직전 전주에서부터 안건 거리 확보가 필요한 마지막 전주 이후의 전주에 각각 적용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시공시 시작지점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료지점도 시작지점과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지점에서는 상부완철부재(100)의 상면에 3상의 전력선이 모두 거치되는데, 2개의 전력선(b상, c상)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건물(50)과의 안전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는 a상(1)의 전력선은 하부완철부재(100)의 상면에 구비된 절연애자(11)에 거치한 후, 상부완철부재(100)의 a상(1) 전력선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a상(1)의 이설작업은 전력선이 사선인 상태로 진행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력선의 사선인 상태가 최소화되도록 상부완철부재(100)는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하부완철부재(100)만 신속하게 상부완철부재(100)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하부완철부재(200)가 상부완철부재(100)에 설치되는 방법을 제외하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2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부완철부재(100)는 연결부(210), 연장부(220) 및 평행부(230)로 구성되며, 대체로 "ㄴ"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210)는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면에 면접촉될 수 있는 연결플레이트(211)가 좌우로 연장형성되며, 이러한 연결플레이트(211)와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면은 유(U)볼트(U)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상기 연장부(220)와 평행부(23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연장부 및 평행부와 동일한 역할의 부재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완철의 제3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부완철부재(200)는 연장부(220)와 평행부(230)가 포함되는데, 연장부(220)의 일측(상측)은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행부(230)는 연장부(220)의 타측에서 연속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연장부(22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연장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연장부(220)에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연결플레이트(211)와 유볼트 대신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하부완철부재(200)가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부완철부재(100)의 상면과 양측면 및 연장부(220)의 상부 양측면 일부를 감싼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300)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하고정볼트(310)가 결합부재(300)와 상부완철부재(100)를 관통하는데, 상하고정볼트(310)는 결합부재(300)와 상부완철부재(100)의 상면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면 외부에서 고정너트(330)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20)는 양측면이 결합부재(300)에 의해 일부 감싸진 상태에서 수평고정볼트(320)가 결합부재(300)와 연장부(22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양측면을 수평하게 관통하는데, 이러한 수평고정볼트(320)의 타측은 결합부재(300)의 타측의 외부에서 고정너트(330)와 체결된다.
즉, 상기 상하고정볼트(310)는 결합부재(300)의 상측에서 상부완철부재(100)를 관통하고, 단부에 고정너트(330)가 체결되며, 수평고정볼트(320)는 결합부재(300)와 연장부(220)의 양측을 관통하고, 단부에 고정너트(330)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완철부재(200)는 상부완철부재(100)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a상 2-b상
3-c상
11~13-절연애자 20-전주
21-지지부재 30-완철
50-건물 51-간판
100-상부완철
200-하부완철 210-연결부
211-연결플레이트 220-연장부
230-평행부
300-결합부재 310-상하고정볼트
320-수평고정볼트 330-고정너트

Claims (7)

  1. 전주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3상의 전력선 중 일부의 전력선이 거치되는 절연애자가 구비되는 상부완철부재와,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3상의 전력선 중 나머지 전력선이 거치되는 절연애자가 구비되는 하부완철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완철부재에는 2개의 절연애자가 구비되어 3상의 전력선 중 2상의 전력선이 거치되고,
    상기 하부완철부재에는 1개의 절연애자가 구비되어 3상의 전력선 중 1상의 전력선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2개의 절연애자와 상기 하부완철부재의 1개의 절연애자는 역삼각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완철부재는,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연속되되, 상기 상부완철부재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속되되, 상기 상부완철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완철부재는,
    일측이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며, 타측은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속되되, 상기 상부완철부재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상면과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양측면 및 상기 연장부의 상부 양측면을 감싸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상면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완철부재의 하면 외부에서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상하고정볼트와,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타측의 외부에서 고정너트에 체결되는 수평고정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완철부재는,
    일측이 전주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완철.
KR1020140067139A 2014-06-02 2014-06-02 배전선로용 완철 KR20150138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39A KR20150138741A (ko) 2014-06-02 2014-06-02 배전선로용 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139A KR20150138741A (ko) 2014-06-02 2014-06-02 배전선로용 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741A true KR20150138741A (ko) 2015-12-10

Family

ID=5497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39A KR20150138741A (ko) 2014-06-02 2014-06-02 배전선로용 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7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8998A (zh) * 2018-10-24 2019-01-15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建设分公司 一种单尖横担及输电塔
CN111910982A (zh) * 2020-08-05 2020-11-10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伊春供电公司 输电线路离地间隙提升横担
KR102526121B1 (ko) * 2022-08-25 2023-04-27 유한회사 대영글로벌 22.9kV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삼각배열 방식을 갖는 배전선로 다회선 구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8998A (zh) * 2018-10-24 2019-01-15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建设分公司 一种单尖横担及输电塔
CN111910982A (zh) * 2020-08-05 2020-11-10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伊春供电公司 输电线路离地间隙提升横担
KR102526121B1 (ko) * 2022-08-25 2023-04-27 유한회사 대영글로벌 22.9kV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삼각배열 방식을 갖는 배전선로 다회선 구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70U (ko) 케이블 받침대
JP5340380B2 (ja) バスバーを有する風力エネルギー設備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EP3492674B1 (en) Cross arm for angle towers
US20170338633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20150138741A (ko) 배전선로용 완철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CN105155907A (zh) 耐张塔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US9882359B2 (en) Temporary transfer bus
JP5356288B2 (ja) 架空送電線の仮設構造及び仮設工法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RU143031U1 (ru) Траверса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1129397B1 (ko)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CN111469716A (zh) 电气化铁路接触网附加导线防舞装置
CN203113867U (zh) 直线电缆t接钢管杆塔
KR101617385B1 (ko)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130805B1 (ko) 각도형 완철
CN212277841U (zh) 临时用电电缆托架及临时围墙
CN212604654U (zh) 电气化铁路接触网附加导线防舞装置
KR101995980B1 (ko) T형 고압장주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t형 접속완철
KR100828565B1 (ko) 점퍼선 고정이 가능한 가공 배전의 경완금 고정구조
RU23561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РОВОДОВ НА ОПОРЕ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6÷35 кВ
CN112086917A (zh) 临时用电电缆托架及临时围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