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824B1 - 개폐기용 지지유닛 - Google Patents

개폐기용 지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24B1
KR102075824B1 KR1020170144452A KR20170144452A KR102075824B1 KR 102075824 B1 KR102075824 B1 KR 102075824B1 KR 1020170144452 A KR1020170144452 A KR 1020170144452A KR 20170144452 A KR20170144452 A KR 20170144452A KR 102075824 B1 KR102075824 B1 KR 10207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switch
pole
fixing part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036A (ko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4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8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인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주에 개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개폐기용 지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개폐기용 지지유닛은 전주로부터 수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완철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제1 지지유닛은 완철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개폐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개폐기용 지지유닛{Supporting unit for switch}
본 발명은 개폐기용 지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가공전선의 지지를 위한 애자 또는 완철 및, 변압기, 개폐기 같은 다수의 전기기기가 설치된다.
다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전주를 도로에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나, 전주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전주를 세우지않고, 전주의 공간을 활용하여, 변압기, 개폐기 등의 다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추가적으로 전주를 세우지않고, 전주의 공간을 활용하여, 변압기, 개폐기 등의 다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개폐기용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인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주에 개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개폐기용 지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개폐기용 지지유닛은 전주로부터 수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완철의 상측에 끼움 결합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유닛은 완철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주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전주에 다수의 전기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기용 지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지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지지유닛이 전주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개폐기용 지지유닛이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기용 지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1 지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 지지유닛이 전주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개폐기용 지지유닛이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용 지지유닛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인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주(1)에 개폐기(1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기용 지지유닛은 제1 지지유닛(100)을 포함한다. 제1 지지유닛(100)은 전주(1)로부터 수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완철(2)의 상측에 끼움 결합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유닛(100)은 완철(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개폐기(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부(120)를 구비한다.
제1 지지유닛(100)은 수평 플레이트(115), 한쌍의 수직 플레이트(110)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 플레이트(115)는 완철(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쌍의 수직 플레이트(110)는 수직방향 및 제1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 수평방향을 따라 수평 플레이트(115)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쌍의 수직 플레이트(110)는 수평 플레이트(115)와 함께 제1 지지유닛(100)이 완철(2)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직 플레이트(110)는 완철(2)과 마주하는 부분에 제1 체결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111)은 제1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111)에는 제1 체결부재(1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111) 및 제1 체결부재(112)의 결합에 의하여, 제1 지지유닛(100)을 완철(2)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120)는 수직 플레이트(110)의 수직방향에 따른 양측 중의 완철(2)의 반대측에서 제2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유닛(100)은 지지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받침부(120)의 제2 수평방향에 따른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개폐기(1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에는 제2 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131)은 지지부(130)의 제1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131)에는 제2 체결부재(132)가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2 체결홀(131) 및 제2 체결부재(132)의 결합에 의하여, 제1 지지유닛(100)에 개폐기(1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용 지지유닛은 제2 지지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00)은 제1 지지유닛(100)과 함께 개폐기(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00)의 일측은 전주(1)에 결합되고 타측은 개폐기(10)의 전주(1)를 바라보는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유닛(200)은 제1 및 제2 클램프(211,212), 고정부(220),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211,212)는 전주(1)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211)와 제2 클램프(212)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및 제2 클램프(211,212)는 서로 맞닿아 접촉하는 구조로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211,212)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213) 및 너트(214)의 조임에 의하여, 큼램프(210)는 전주(1)에 견고하게 조여질 수 있다. 볼트(213) 및 너트(214)를 통한 조임 및 풀림 방식을 통해서 클램프(210)는 전주(1)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제1 및 제2 클램프(21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전주(1)로부터 개폐기(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220)의 연장된 거리에 기초하여, 개폐기(10)가 전주(1)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제1 고정부(221),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21)는 제1 및 2 클램프(21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22)는 제1 고정부(221)로부터 제2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고정부(22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30)는 고정부(220)의 개폐기(10) 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기(10)를 고정부(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230)는 제3 체결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홀(231)에 제3 체결부재(232)가 관통하여, 개폐기(10)를 결합부(23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유닛(200)은 매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매개부(240)는 제1 및 제2 클램프(210)와 고정부(220) 사이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전주에 각각 다른 높이로 제1 지지유닛(100) 및 제2 지지유닛(200)은 배치될 수 있다.
매개부(240)는 외곽의 형상이 수직방향을 따라 지면에 투영했을 때를 기준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매개부(240)는 내측의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변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두 변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241)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바(241)에 의하여, 길이가 더 긴 두변과 제1 및 2 고정부(221,222)와의 연결부분의 강도를 보다 보강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1 및 제2 클램프(211,212), 고정부(220), 결합부(230)는 개폐기(10)를 지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재질로는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두 변 중 어느 하나에 수직하게 제1 수평방향을 따라 고정부(220)는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고정부(220)에 의하여, 전주(1)로부터 개폐기(10)는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전주(1)에 가공전선의 지지를 위한 애자 또는 완철 및, 변압기와 같은 다수의 전기기기가 설치되나,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2)의 상측에 제1 지지유닛(100), 제2 지지유닛(200)에 의하여, 개폐기(10)가 설치가 가능해짐으로써, 전주(1)의 하단 및 중앙측의 공간에 변압기와 같은 다수의 전기기를 설치할 수 있게됨으로써, 전주(1)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주 2: 완철
100: 제1 지지유닛 200: 제2 지지유닛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인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주에 개폐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개폐기용 지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주로부터 상기 수직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완철에 상측으로부터 끼움 결합되는 제1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완철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개폐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수직방향 및 상기 제1 수평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수평방향이라 할 때, 상기 받침부의 상기 제2 수평방향에 따른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기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완철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제2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1 지지유닛이 상기 완철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양측 중, 상기 완철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개폐기용 지지유닛.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지지유닛을 상기 완철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제1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개폐기를 상기 제1 지지유닛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전주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개폐기의 상기 전주를 바라보는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개폐기를 지지하는 제2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전주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클램프;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전주로부터 상기 개폐기를 향해 연장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기 개폐기 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기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가 연장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개폐기가 상기 전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결정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2 클램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근접되게 배치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개부는, 외곽의 형상이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지면에 투영했을 때를 기준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상기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네 변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두 변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바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대적으로 길이가 더 긴 두 변 중 어느 하나에 수직하게 상기 제1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개폐기를 상기 결합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3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제3 체결홀이 형성되는, 개폐기용 지지유닛.
KR1020170144452A 2017-11-01 2017-11-01 개폐기용 지지유닛 KR10207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52A KR102075824B1 (ko) 2017-11-01 2017-11-01 개폐기용 지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52A KR102075824B1 (ko) 2017-11-01 2017-11-01 개폐기용 지지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36A KR20190049036A (ko) 2019-05-09
KR102075824B1 true KR102075824B1 (ko) 2020-02-10

Family

ID=6654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52A KR102075824B1 (ko) 2017-11-01 2017-11-01 개폐기용 지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15B1 (ko) * 2022-01-18 2024-03-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476Y2 (ja) 1992-11-17 1996-10-30 東北電力株式会社 柱上機器固定金具
KR200334700Y1 (ko) 2003-08-30 2003-11-28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피뢰기 설치용 일체형 브라켓
JP2006340473A (ja) 2005-06-01 2006-12-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変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476Y2 (ja) 1992-11-17 1996-10-30 東北電力株式会社 柱上機器固定金具
KR200334700Y1 (ko) 2003-08-30 2003-11-28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피뢰기 설치용 일체형 브라켓
JP2006340473A (ja) 2005-06-01 2006-12-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絶縁変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36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37230B (zh) 一种管母线跳线连接金具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20160052214A (ko) 변압기의 타이플레이트 구조
KR20140132626A (ko) 인입선 지지 구조체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KR20150138741A (ko) 배전선로용 완철
US1776518A (en) Dynamo-electric machine
US2531017A (en) Bus structure
KR101916686B1 (ko) 전기배선 분배용 가변형 버스덕트
KR101834449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JP4986466B2 (ja) 変圧器絶縁支持スペーサ
KR10235572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216794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바인드리스 커버
KR200464564Y1 (ko) Y형 경완철
JP7502238B2 (ja) 電気機器の保持構造および保持方法
KR20170016264A (ko) 경완금 브라키트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US2972005A (en) Isolated phase bus duct apparatus
JP2021010261A (ja) パイプ母線の支持構造
KR20180022433A (ko) 컷아웃스위치 및 컷아웃스위치 설치용 행거서포터
US3471633A (en) Combined conductor support and corona shield
JPS5936090Y2 (ja) 母線支持装置
KR200491680Y1 (ko)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