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01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010A
KR20150133010A KR1020140059747A KR20140059747A KR20150133010A KR 20150133010 A KR20150133010 A KR 20150133010A KR 1020140059747 A KR1020140059747 A KR 1020140059747A KR 20140059747 A KR20140059747 A KR 20140059747A KR 20150133010 A KR20150133010 A KR 20150133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ultraviolet ray
drum
ultraviol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마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010A/ko
Publication of KR20150133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브 및 드럼의 유기 오염,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세탁장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하고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브 및 드럼의 유기오염, 세균 및 곰팡이 등을 분해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 사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처리 대상물(예를 들어,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하거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및 2에는 이러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1)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 시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터브(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 시 세탁물이 세탁 및/또는 건조되는 드럼(3)을 구비한다. 캐비닛(1)의 전면에는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4)가 설치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캐비닛(1)의 전면 상측에는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5)이 설치된다.
또한, 캐비닛(1)의 내측 상부에는 터브(2)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는 급수관(6) 및 세제 공급장치(7)가 설치되고, 캐비닛(1)의 내측 하부에는 터브(2)에 담겨진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8)와 배수관(9)이 설치된다.
그리고, 터브(2)의 외측에는 드럼(3)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모터(10)의 샤프트(11)는 드럼(3)의 후방에 연결되어,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드럼이 회전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캐비닛(1)의 내부에는 드럼(3) 내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 및 드럼(3) 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한 세탁과정은 세탁수 및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즉, 배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이 터브(2) 및 드럼(3)에 들러붙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이 완료된 후, 동일한 의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다른 세탁물을 세탁할 때, 터브(2) 및 드럼(3)에 들러붙어 있던 오염물질이 다른 세탁물의 세탁과정에서 세탁물에 들러붙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이 완료되어 세탁수가 배수된 후에도, 터브(2) 및 드럼(3)에 들러붙은 오염물질은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되어 의류처리장치 내부로부터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브 및 드럼의 유기 오염,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세탁장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 중에 유기 오염물질의 분자를 작게 하여 세제의 미셀화(micellizatoin)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세탁수를 정화시켜서 재이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내에 수용된 의류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탈색이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의류 투입구로부터 자외선이 누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자외선 발생기 및 상기 자외선 발생기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설치된 상기 터브의 외주면 부분은 수밀(水密)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기는 UV LED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를 구비하고, 각각의 자외선 발생기는 복수의 파장의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기는 UV 램프이며,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설치되는 터브의 외주면 부분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는 상기 투명한 부재를 통하여 상기 터브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자외선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를 구비하고,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발생부에 구비된 자외선 발생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사되도록, 상기 드럼은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반구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전방을 열고 닫기 위한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후방과 상기 터브의 후방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상기 터브 내측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흘수선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상측을 열고 닫기 위한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하측과 상기 터브의 하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록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브 및 드럼의 유기 오염, 세균 및 곰팡이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세탁장치 내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하고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오염물질의 분자를 작게 만들어서, 세제의 미셀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된 세탁수를 정화하여 재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은 양의 세탁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특히, 의류)에 직접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으므로, 세탁물의 탈색이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브와 드럼 사이로 자외선을 조사하므로, 세탁물의 투입구로부터 자외선이 누출됨에 따라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자외선 발생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의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반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자외선 발생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의 외측면에 형성된 볼록부에 반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 세탁물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급수 및 배수와 관련된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급수 및 배수와 관련된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터브(1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터브(120)의 길이방향이라 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 내에 설치되고 세탁 시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 터브(1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30), 및 터브(1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터브(120)의 내측으로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발생부(140)는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드럼(130)과 터브(120)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예를 들어, 유기 오염, 세균, 곰팡이 등)을 분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자외선 발생부(140)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은 드럼(130)의 외주면에서 터브(1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반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외선에 의해 드럼(130)과 터브(120)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이 분해될 수 있고, 오염물질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20)의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완충장치(151, 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장치는 터브(120)와 캐비닛(11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스프링(151) 및 터브(120)와 캐비닛(110)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댐퍼(152)를 포함한다.
터브(120)의 후방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6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60)의 구동력은 샤프트(161)를 통해 드럼(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61)는 터브(120)의 후방을 관통하여 드럼(130)의 후방에 연결된다. 또한, 터브(120)의 후방에서, 샤프트(161)의 둘레에는 베어링 하우징(162) 및 베어링(16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소위 프론트 로딩형 세탁기로서, 캐비팃(110)의 전방에 세탁물의 투입 및 인출을 위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70)가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140)가 설치되는 부분은 수밀(水密)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예를 들어, 세탁기)의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 중에 자외선 발생부(140)로부터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서, 세탁수를 급수한 직후에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급수된 직후의 세탁수 및 헹굼수는 비교적 깨끗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의 후반에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가 오염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비교적 긴 시간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자외선 발생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자외선 발생부(1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생부(140)는 자외선 발생기(142) 및 상기 자외선 발생기(142)를 터브(120)의 외주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1)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부(141)와 터브(120)의 외주면 사이에 수밀을 위한 밀봉 부재(143)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부재(143)는 고무 패킹이 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생부(140)가 터브(120)의 외주면에 설치될 때, 자외선 발생기(142)의 적어도 일부가 터브(120)의 내주면 위로 돌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자외선 발생기(142)의 적어도 일부는 터브(120)와 드럼(130) 사이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20)의 외벽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러한 복수개의 구멍을 통해 자외선 발생기(142)가 터브(120)의 내주면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터브(120)의 내주면과 자외선 발생기(142) 사이는 밀봉 처리될 수 있다. 즉, 자외선 발생기(142)가 돌출된 터브(120)의 내주면 부분이 수밀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외선의 경로를 안내하는 도광부품을 자외선 발생부(140)에 설치하여, 자외선 발생기(142)의 배치 자유도를 높이면서 자외선의 조사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생부(140)가 터브(120)의 외주면에 설치될 때, 고정부(141)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부(141)에 하나 이상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고정부(141)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는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터브(120)의 길이방향은 고정부(14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부(141)에서,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141)에 설치되는 자외선 발생기(142)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고정부(141)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는 서로 동일한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나, 각각의 고정부(141)에는 이웃하는 고정부(141)에 설치되는 자외선 발생기(142)의 파장과 다른 파장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고정부(142)는 각각의 고정부(142)마다 다른 파장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142)를 각각 구비하고,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발생부(140)에 구비된 자외선 발생기(142)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12개의 자외선 발생기(142)는 모두 동일한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기(14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고정부(141)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부(141)에도 모두 동일한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서로 이웃하는 고정부들(141)에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설치된다.
다른 예로, 12개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고정부(141) 상에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위치(A~L)에 따라서 파장이 다른 자외선 발생기(142)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고정부(141)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정부(141)에 서로 다른 4가지 종류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번갈아서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생기(142)의 위치(A~L)에 따른 자외선 파장은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자외선 파장은 LED 파장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자외선 파장 대략 185㎚ 대략 200㎚ 대략 254㎚ 270㎚ 이상

위치
A B C D
E F G H
I J K L
상기 표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발생기(142)의 위치(A~L)에 따라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발생부(140)는 하나의 고정부(141) 상에는 여러 파장(즉, 여러 종류)의 자외선 발생기(142)가 복수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자외선 발생부(140)가 터브(120)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를 설치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자외선 발생기(142)는 UV LED(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또는 UV 램프(ultraviolet lamp)로 구성될 수 있다. 자외선 발생기(142)가 UV LED로 구성되는 경우, 파장이 다른 자외선 발생기(142)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파장이 다른 UV LED를 사용해야 한다. 즉, UV LED의 파장은 제품별로 특정이 될 수 있으므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UV LED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자외선 발생기(142)가 UV 램프인 경우, 자외선 발생기(142)는 복수의 파장의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UV 램프는 복수의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발생기(142)로서 UV 램프가 사용되는 경우, 동일한 UV 램프를 복수개 설치하더라도, 각각의 UV 램프에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고정부(141)에 설치되는 복수의 UV 램프에서 소정 파장의 자외선이 조사되고, 이웃하는 다른 고정부(141)에 설치되는 복수의 UV 램프에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전체 UV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이 시간에 따라 다른 파장의 자외선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외선 발생기(142)가 UV 램프인 경우, 램프에 수분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외선 발생부(140)가 설치되는 터브(120)의 외주면 부분은 투명한 부재(예를 들어, 투명 수지 또는 투명 유리)로 형성하고, UV 램프인 자외선 발생기(142)는 상기 투명한 부재를 통하여 터브(120)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자외선 발생기(142)에 따른 효과는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185㎚의 자외선은 산소(O2)에 작용하여 오존(O3)을 생성한다. 200㎚ 이하의 자외선도산소로부터 오존을 생성한다. 185㎚ UV LED는 고가이므로, 보다 저렴한 200㎚ UV LED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4㎚의 자외선은 특징적인 반응 작용이 있다. 자외선의 253.7㎚(통상적으로 254㎚로 올림하여 부름)는 생물의 세포 내의 핵산(DNA, RNA)의 광흡수 파장 상의 피크(240~270㎚)와 가깝기 때문에, 상기 핵산에 흡수되기 쉽다. 자외선이 핵산에 흡수되면 세포 분열 시의 복제가 멈춘다(즉, 증식 불능). 이것을 통상적으로 DNA, RNA의 불활화라고 한다.
즉, 254㎚ 근방의 파장은 세포에의 흡수성이 좋고, 활성 산소를 만들어 내는 효과도 있다.
또한, 200㎚ 파장 이하의 자외선으로 발생시킨 오존은 254㎚의 자외선 조사를 받으면 활성 산소와 산소(O2)로 분해된다. 그리고, 이 활성 산소가 여러가지 활성 산소종을 만들어낸다. 어러한 활성 산소종 중에서 하이드록시라디칼은 오존보다 산화력이 강하고, 오존에 저항성을 갖는 미생물도 살균할 수 있다.
활성 산소종은 매우 불안정하여 미생물의 구성물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으려고 한다. 그러면 빼앗긴 물질은 불안정해져 다른 물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으려고 한다. 이러한 연쇄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세포벽이나 세포막을 파괴해 나간다. 또한, 이 연쇄 반응은 매우 빨리 진행된다.
의류처리장치의 터브(120) 및 드럼(130) 등의 다습(H2O)한 조건하에서 오존(O3)에 254nm의 자외선 조사를 수행하면, 물 분자와 활성 산소가 반응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이 과산화수소에 254nm의 자외선 조사를 가하면, 하이드록시라디칼(OH라디칼)이 2개 생성되므로, 습도가 높은 것이 살균 효과가 보다 향상된다. 따라서, 200nm 파장 이하의 자외선과 254nm의 자외선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70~350nm 파장의 자외선은, 저파장 자외선과 비교하여 반응 작용이 없다. 그러나, 270~350nm 파장은, 산화티타늄 등의 광촉매 재료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오존(O3)의 생성이 가능해진다. 광 촉매는 터브(120) 내주면 및 드럼(130) 외주면에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존이나 활성 산소는, 오염수에 포함되는 유기 오염과 반응하여 유기 오염의 분자를 절단함으로써, 분자량이 작은 유기 오염으로 변화시킨다. 이때, 오염수에 포함되는 유기 오염은, 세탁물의 의류 등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이, 세정수의 작용으로 세탁물로부터 이탈한 것이다. 분자량이 작은 유기 오염은 세제의 미셀화를 촉진시켜, 오염이 의류에 재부착하기 어려운 상황을 촉진시킨다. 또한, 생성된 활성 산소는, 터브 내부나 오염수 내의 세균, 곰팡이에 접촉함으로써 세포의 전자를 빼앗아 산화시켜 사멸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은 파장마다 반응 작용이 다르므로, 파장이 다른 자외선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오존, 활성 산소, 하이드록시라디칼과 같은 반응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들 반응 생성물을 이용하여 오염수 내의 유기 오염이나, 세균, 곰팡이 등을 분해, 사멸시킴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터브(120) 및 드럼(130) 내를 위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의 (a) 내지 (c)는 자외선 발생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의 외측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반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자외선 발생부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의 외측면에 형성된 볼록부에 반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자외선 발생부(140)로부터 드럼(130)을 향하여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130)으로부터 반사되어 터브(120) 내주면까지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6 및 7을 함께 참조하면, 자외선 발생부(14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1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사되도록, 드럼(130)은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130)은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해, 드럼(130)의 외주면이 자외선 반사제로 코팅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드럼(130)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터브(120)의 내주면도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생부(140)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드럼(130)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드럼(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록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 및 볼록부는 반구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이 도달하는 반사면의 형태에 따라서, 자외선은 복수의 방향(또는 복수의 각)으로 반사될 수 있다. 복수의 방향으로 반사된 자외선은 터브(120) 내주면의 복수의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터브(120)의 내주면도 자외선에 의해 골고루 살균될 수 있다.
이때,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드럼(130)이 회전할 때,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도 6 및 7은, 드럼(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에 의해 반사되어 터브(120)를 향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내지 (c)는 드럼(130)이 회전할 때 오목부(131)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이 터브(120)의 내주면에 조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드럼(130)이 회전함에 따라서, 드럼(130)의 외주면과 터브(120)의 내주면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 즉, 터브(120)는 고정된 상태에서 드럼(130)만 회전하므로, 터브(120)의 내주면과 드럼(130)의 외주면은 계속해서 서로 다른 부분을 마주하게 된다.
드럼(130)이 회전하는 동안, 자외선 발생기(142)로부터의 자외선은 오목부(131)를 향해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드럼의 회전방향을 화살표방향(즉, 오른쪽 방향)으로 가정하면, 오목부(131)를 향해 조사된 자외선은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드럼의 회전 방향(즉, 오른쪽 방향)으로 반사 영역을 넓혀가게 된다.
즉, 반구형 또는 반타원형의 오목부(13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자외선의 반사각은 오목부(131)의 일측(132)에서 타측(133)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이는, 오목부(131)의 표면을 향한 자외선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하기 때문이다(즉, (a) θ1 = θ2, (b) θ3 = θ4, (c)θ5 = θ6). 그에 따라서, 터브(120)의 내주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영역도 넓어지게 된다.
물론, 드럼(130)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반사되는 자외선의 영역이 넓어진다. 여기서, 오목부(13)의 일측(132)에서 타측(133)은 오목부(131)의 전방 및 후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드럼(130)이 회전하는 동안에, 자외선 발생기(142)로부터의 자외선을 드럼(130)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131)의 표면에 반사시킴으로서, 터브(120)의 내주면에 효과적인 자외선 조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오목부(131)의 표면에 자외선을 반사시킴에 따라서, 터브(120)의 내주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영역이 넓어지므로, 보다 적은 수의 광원(즉, 자외선 발생기)으로 넓은 면적의 살균 처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의 (a) 내지 (c)는 드럼(130)이 회전할 때 볼록부(135)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이 터브(120)의 내주면에 조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드럼(130)이 회전하는 동안에, 자외선 발생기(142)로부터의 자외선을 드럼(130)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135)의 표면에 반사시킴으로서, 터브(120)의 내주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드럼(130)의 회전방향을 화살표방향(즉, 오른쪽 방향)으로 가정하면, 볼록부(135)를 향해 조사된 자외선은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드럼의 회전의 반대 방향(즉, 왼쪽 방향)으로 반사 영역을 넓혀가게 된다.
즉, 반구형 또는 반타원형의 볼록부(135)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자외선의 반사각은 볼록부(135)의 일측(136)에서 타측(137)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볼록부(135)를 향해 조사된 자외선의 반사 영역은 드럼 회전의 반대방향(즉, 왼쪽 방향)으로 넓어지게 된다.
물론, 드럼(130)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반사되는 자외선의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여기서, 볼록부(135)의 일측(136) 및 타측(137)은 볼록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 3 및 4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와 전반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 내측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흘수선(200)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 내측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흘수선(200)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터브(120)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부(140)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생부(140)의 높이는 흘수선(200)의 높이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예를 들어, 세탁기)에서, 세탁 공정 또는 헹굼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이하, 세탁수라고 한다)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급수되는 세탁수 또는 헹굼수는 세탁 코스 또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터브(120) 내에 소정의 높이만큼 급수된다. 물론, 세탁 코스나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터브(120) 내에 급수되는 세탁수 및 헹굼수의 양은 달라질 수 있지만, 터브(120) 내측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면 높이(즉, 흘수선(200))는 대체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서, 터브(120) 내측에 공급된 세탁수의 수면 높이(즉, 흘수선(200)의 높이)는 의류처리장치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특정될 수 있다. 또는, 터브(120) 내측에 공급된 세탁수의 수면 높이는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시되지 않은 수위 감지 센서를 터브(120) 내측에 설치하여, 터브(120) 내측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만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 내측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흘수선(200) 이하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흘수선(200)의 높이 위쪽으로는 자외선 발생부(14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 도는 제균을 하기 위한 오염수는 중력에 의해 주로 흘수선(200)보다 아래쪽으로 모이게 되므로, 흘수선(200) 아래쪽에 집중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브(120)의 외주면에 있어서 흘수선(200) 이하의 높이에만 자외선 발생부(140)를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되는 자외선 발생부(140)의 개수가 줄어들게 된다. 즉, 자외선 발생부(140)의 개수가 줄어드는 만큼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오염수가 모이게 되는 흘수선(200) 아래쪽으로 집중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오염수의 효과적인 살균 또는 제균을 함께 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면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소위 탑 로딩형 세탁기로서, 캐비팃(110)의 상측에 세탁물의 투입 및 인출을 위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 내에 설치되고 세탁 시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 터브(1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130), 및 터브(12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터브(120)의 내측으로 드럼(130)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발생부(140)는 드럼(130)과 터브(120) 사이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드럼(130)과 터브(120)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예를 들어, 유기 오염, 세균, 곰팡이 등)을 분해할 수 있다. 도 3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자외선 발생부(140)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은 드럼(130)의 외주면에서 터브(120)의 내주면을 향하여 반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자외선에 의해 드럼(130)과 터브(120)에 붙어있는 오염물질이 분해될 수 있고, 오염물질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120)의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완충장치(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장치(151)는 터브(120)와 캐비닛(11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완충스프링을 포함한다.
터브(120)의 하측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6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60)의 구동력은 샤프트(161)를 통해 드럼(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61)는 터브(120)의 하측을 관통하여 드럼(130)의 하측에 연결된다. 또한, 터브(120)의 하측에서, 샤프트(161)의 둘레에는 베어링 하우징(162) 및 베어링(163)이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소정의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자외선 발생부(140)는 터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브(120)의 외주면에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140)가 설치되는 부분은 수밀(水密)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10: 캐비닛
120: 터브 130: 드럼
131: 오목부 135: 볼록부
140: 자외선 발생부 160: 모터

Claims (18)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자외선 발생기 및 상기 자외선 발생기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자외선 발생부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설치된 상기 터브의 외주면 부분은 수밀(水密)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기는 UV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를 구비하고,
    각각의 자외선 발생기는 복수의 파장의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기는 UV 램프이며,
    상기 자외선 발생부가 설치되는 터브의 외주면 부분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는 상기 투명한 부재를 통하여 상기 터브 내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자외선 발생부는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기를 구비하고,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발생부에 구비된 자외선 발생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사되도록, 상기 드럼은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반구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전방을 열고 닫기 위한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후방과 상기 터브의 후방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상기 터브 내측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흘수선 아래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상측을 열고 닫기 위한 도어; 및
    상기 캐비닛의 하측과 상기 터브의 하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록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059747A 2014-05-19 2014-05-19 의류처리장치 KR20150133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47A KR20150133010A (ko) 2014-05-19 2014-05-1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747A KR20150133010A (ko) 2014-05-19 2014-05-1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010A true KR20150133010A (ko) 2015-11-27

Family

ID=5484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747A KR20150133010A (ko) 2014-05-19 2014-05-1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01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8932A (zh) * 2016-08-31 2018-03-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鞋处理装置和具有洗鞋处理装置的衣物处理机
CN108866915A (zh) * 2017-05-15 2018-11-23 赵东晶 衣物处理装置
KR20200109193A (ko) 2019-03-12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KR102310295B1 (ko) * 2021-04-19 2021-10-08 (주) 에이엠젯코리아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드럼형 세탁기
US20240026591A1 (en) * 2020-07-09 2024-01-25 Marco Begerok Washing Machine or Dishwasher for Cleaning Laundry or Dish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8932A (zh) * 2016-08-31 2018-03-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鞋处理装置和具有洗鞋处理装置的衣物处理机
CN108866915A (zh) * 2017-05-15 2018-11-23 赵东晶 衣物处理装置
KR20200109193A (ko) 2019-03-12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US20240026591A1 (en) * 2020-07-09 2024-01-25 Marco Begerok Washing Machine or Dishwasher for Cleaning Laundry or Dishes
KR102310295B1 (ko) * 2021-04-19 2021-10-08 (주) 에이엠젯코리아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드럼형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3010A (ko) 의류처리장치
US20070131259A1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in a dishwasher machine
KR20070053047A (ko) 자외선 살균 건조기
KR100730936B1 (ko)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드럼 세탁기
KR20120127957A (ko) 회전식 무전극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살균소독 및 고도처리장치와 그 이용방법
KR20190109938A (ko) 전기 소독기
KR20170021016A (ko) 비데장치
KR20070053045A (ko) 자외선 살균 세탁기
JP2005253786A (ja) 洗濯機
KR20200109193A (ko) 살균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JP438897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8187102A (ja) 洗濯機
KR20110039612A (ko) 손 소독 장치
KR10140469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6000153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06167243A (ja) 二重槽式洗濯機の殺菌装置
CN212187184U (zh) 一种衣物消毒装置
KR20060133269A (ko) 일회용 기저귀 세탁 장치 및 그 방법
CN113198024A (zh) 一种衣物消毒装置
JP2018100814A (ja) 殺菌装置及び殺菌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5073989A (ja) 洗濯機
KR10146429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356492Y1 (ko) 건조기가 부착된 초음파 진동자와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이용한 의료 공구 및 재료 살균 세척기
KR20070053046A (ko) 자외선 살균 세탁방법
CN112568850A (zh) 一种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