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890A -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그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그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890A
KR20150123890A KR1020157026676A KR20157026676A KR20150123890A KR 20150123890 A KR20150123890 A KR 20150123890A KR 1020157026676 A KR1020157026676 A KR 1020157026676A KR 20157026676 A KR20157026676 A KR 20157026676A KR 20150123890 A KR20150123890 A KR 2015012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bel
layer
base laye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후나토
유타 이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ublication of KR2015012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B29C2049/2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14Linings or labels, e.g. specific geometry, multi-layered or material
    • B29C2049/2429Multilayered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3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4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1/00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특히 성형품 성형 후의 라벨의 접착성이 우수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을 제공한다. 또 동 라벨을 사용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재층 (I) 및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로서, 그 기재층 (Ⅰ) 이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며, 그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기재층 (I)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Description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그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IN-MOLD LABEL FOR USE IN STRETCH BLOW MOLDING AND STRETCH BLOW MOLDING-MOLDED PRODUCT HAVING THE LABEL}
본 발명은, 라벨을 미리 금형 내에 그 라벨의 인쇄가 실시된 표면측이 금형 벽면에 접하도록 세트하고, 금형 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도입하여 스트레치 블로 성형하고, 라벨 첩합 (貼合) 성형품을 제조하는 인몰드 성형에 사용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동 라벨을 첩착 (貼着) 한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라벨이 부착된 수지 성형품을 일체 성형하기 위해서, 금형 내에 미리 블랭크 또는 라벨을 삽입해 두고, 이어서 사출 성형, 중공 성형, 차압 성형, 발포 성형 등의 수법에 의해 그 금형 내에서 수지 성형품을 성형하고, 그 수지 성형품에 라벨을 첩착하여 무늬를 넣거나 하는 것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라벨로서, 예를 들어, 결정성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압출 성형이나 캘린더 성형에 의해 얻어진 필름을 기재로 하고, 그 기재에 저융점 올레핀계 수지의 용액을 그라비아 코터 등으로 코팅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라벨이나, 저융점 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접착제로서 사용하고 그 기재에 적층하여 얻어지는 라벨이나, 저융점 올레핀계 수지를 압출하여 라미네이트에 의해 그 기재에 직접 적층하여 얻어지는 라벨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한편, 수지 성형품을 금형 내에서 성형하는 수법으로서, 중공 성형에는, 수지의 패리슨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수법과, 수지의 프리폼을 사용하는 스트레치 블로 성형에 의한 수법이 있다.
전자는 원료 수지의 융점 이상까지 수지를 가열하여, 수지가 용융된 상태에서 패리슨을 형성하고, 이것을 압공 (壓空) 으로 부풀리는 것이고, 후자는 원료 수지의 연화점까지 프리폼을 가열하고, 수지가 변형 가능한 상태에서 프리폼을 로드로 연신하여 다시 압공으로 부풀리는 것이다.
양자는 동일한 원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융 상태로 하는지 연화 상태로 하는지의 차이에 따라 수지에 가하는 열량은 크게 상이하다. 그 때문에, 다이렉트 블로 성형을 염두로 설계된 전단의 라벨은, 용융 패리슨이 라벨에 부여하는 열량에 의해 저융점 수지가 충분히 용융 활성화되어 접착 강도 등의 품질에 문제가 없는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을 얻는 데에 반해, 스트레치 블로 성형에 사용한 경우에는, 프리폼이 라벨의 저융점 수지를 용융 활성화하는 데에 충분한 열량이 부여되지 않아 라벨을 접착할 수 없거나, 혹은 라벨의 접착 강도가 열등하여 용이하게 박리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떠안고 있었다.
그 때문에, 성형 온도가 낮은 스트레치 블로 성형에 대응하기 위해, 라벨의 기재 필름 및 접착제의 구성을 변경한, 액체를 재빠르게 흡수할 수 있는 기재 필름에 수계 히트시일성 수지 코트층을 형성한 것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나, 라벨의 접착제층에 사용하는 수지에 용융 열량이 낮은 딜레이드 접착제를 형성한 것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을 사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 과 같이 기재의 액체의 흡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액체 흡수 계수가 5 ㎖/㎡ (ms)1/2 이상인) 경우, 기재 필름 위에 수계 히트시일성 수지 코트제를 도포했을 때에, 도막 중에 기포에서 기인되는 도포 불균일이 다수 발생하기 쉽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소망하는 접착 강도가 안정적으로 얻어지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특허문헌 4 와 같이 접착제에 용융 열량이 낮은 딜레이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지만, 이 라벨 용지의 장척품을 권취하거나, 혹은 이 라벨 용지를 겹쳐 쌓아 보관했을 때에, 동 접착제에 함유되는 가소제 등의 저분자량 성분이 접착제층으로부터 블리드아웃되어, 이것이 라벨 용지의 인쇄 예정면 상으로 전이되면, 그 후의 인쇄시에 인쇄 잉크의 전이를 현저하게 저해시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0690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2-2172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558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68117호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새롭게 개발한 인몰드 라벨로서, 스트레치 블로 성형의 저온 접착 조건에서도 성형품과의 접착 강도가 충분하고, 또한 라벨 인쇄시에 인쇄 잉크의 전이성이 양호한 인몰드 라벨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여 검토를 진행시켰다. 또 그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구조를 갖는 라벨을 사용하여 인몰드 성형을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1] 기재층 (I) 및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로서, 그 기재층 (Ⅰ) 이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그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그 기재층 (I)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2] 기재층 (Ⅰ) 의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하는 측의 면의 액체 흡수 계수가 4 ㎖/㎡ (ms)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3] 그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4] 그 기재층 (Ⅰ) 이 수지 조성물의 무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5] 그 기재층 (Ⅰ) 이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된 수지 조성물의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6] 그 기재층 (Ⅰ) 이 열가소성 수지 및 친수화 처리된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한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7]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8] 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말레산 변성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9]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수성 매체 중에 분산시킨 에멀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0]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에멀션의 평균 입자경이 0.01 ∼ 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9] 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1] 그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의 일부가 그 연신 필름 위에 흡수된 상태에서 건조되어, 형성된 도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6]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2] 그 기재층 (Ⅰ) 의 표면에 추가로 인쇄 가능층 (III)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3]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을 첩착한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으로서, 그 성형품에 대한 그 라벨의 접착 강도가 100 ∼ 1000 g/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14] 그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형성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에 기재된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본 발명에 의해, 인몰드 라벨에 있어서 스트레치 블로 성형의 저온 접착 조건에서도 성형품과의 접착 강도가 충분하고, 또한 라벨 인쇄시에 인쇄 잉크의 전이성이 양호한 인몰드 라벨을 제공한다. 또 그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라벨과의 접착 강도가 높고, 또한 라벨과 성형품이 일체화되어 보이는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의 일 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의 다른 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의 다른 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의 다른 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의 다른 양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 및 그것을 사용한 성형품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나타내어지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인몰드 라벨]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은, 적어도 기재층 (I) 및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기재층 (Ⅰ) 은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은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기재층 (I)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은 또한, 그 기재층 (Ⅰ) 의 표면에 추가로 인쇄 가능층 (III)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Ⅰ)]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에 사용되는 기재층 (I) 은 인몰드 라벨의 지지체가 되는 것으로, 라벨에 인쇄나 금형 내 삽입 등 핸들링이 가능한 정도의 강도 (점탄성) 를 부여하는 것이다. 한편, 기재층 (I) 은 인몰드 라벨을 백색 불투명하게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재층 (I) 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이다. 기재층 (I) 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메틸-1-펜텐,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필름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융점이 130 ∼ 280 ℃ 의 범위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이들 수지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기재층 (I) 의 주성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후술하는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구성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융점보다 15 ℃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 중에서도 투명성, 내열성, 내구성, 비용 등의 면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아이소택틱 또는 신디오택틱인 입체 규칙성을 나타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과, 에틸렌, 부텐-1, 헥센-1, 헵텐-1,4-메틸펜텐-1 등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이들 공중합체는, 2 원계여도 되고, 3 원계여도 되고, 4 원계여도 되며, 또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 기재층 (I) 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다. 무기 미세 분말은, 기재층 (I) 을 백색 불투명하게 하는 것으로, 인몰드 라벨에 형성되는 인쇄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다.
무기 미세 분말로는, 입경이 통상 0.01 ∼ 15 ㎛, 바람직하게는 0.01 ∼ 5 ㎛ 인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실리카, 규조토, 백토, 탤크, 산화티탄, 황산바륨,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마이카, 세리사이트,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돌로마이트, 월라스토나이트, 유리 파이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 (I) 에 대한 무기 미세 분말의 첨가량은, 기재층 (Ⅰ) 의 전체 중량의 10 ∼ 7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6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5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무기 미세 분말의 표면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무기 미세 분말에 표면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기재층 (I) 에 후술하는 연신을 실시하여 다공질로 함으로써,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26507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재층 (I) 에 액체를 흡수하는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제로는, 수용성 카티온 코폴리머 및 수용성 아니온계 계면활성제의 적어도 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하는 수용성 카티온 코폴리머는, (1) 디알릴아민염 또는 알킬디알릴아민염의 적어도 일방과, (2) 비이온 친수성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의 디알릴아민염이나 알킬디알릴아민염의 구체예로는, 디알릴아민염, 탄소수 1 ∼ 4 의 범위의 알킬디알릴아민염 및 디알킬디알릴아민염, 즉 메틸디알릴아민염이나 에틸디알릴아민염, 디메틸디알릴아민염,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에틸암모늄이나 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에틸암모늄의 클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토설페이트, 또는 에토설페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나 N,N-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돌,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에폭시 화합물로 알킬화하여 얻어지는 4 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디알릴아민염, 메틸디알릴아민염 및 디메틸디알릴아민염이다.
(1) 의 디알릴아민염이나 알킬디알릴아민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은,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황산이온, 질산이온, 메틸황산이온, 에틸황산이온, 메탄술폰산이온 등을 들 수 있다.
(2) 의 비이온 친수성 비닐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에틸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부틸에스테르이고,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이다.
(1) 과 (2) 의 공중합비는 임의이지만, (1) 은 바람직하게는 10 ∼ 99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7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95 몰% 이고, (2) 는 바람직하게는 90 ∼ 1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3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3 몰% 이다.
한편, 표면 처리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아니온계 계면활성제는, 분자 내에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다. 수용성 아니온계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 탄소수 4 ∼ 40 의 범위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술폰산염, 탄소수 4 ∼ 40 의 범위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인산에스테르염, 탄소수 4 ∼ 40 의 범위의 고급 알코올의 인산모노 또는 디에스테르의 염, 탄소수 4 ∼ 40 의 범위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킬베타인이나 알킬술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고, 적절히 선택된다.
또 기재층 (I) 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분산제, 활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입체 장해 페놀계, 인계, 아민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를 통상 0.001 ∼ 1 중량% 의 범위 내에서 첨가한다. 광 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입체 장해 아민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의 광 안정제를 통상 0.001 ∼ 1 중량% 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기재층 (I) 의 두께는 20 ∼ 200 ㎛, 바람직하게는 40 ∼ 150 ㎛ 의 범위이다. 두께가 20 ㎛ 이상이면 인쇄시에 라벨에 주름을 잘 발생시키지 않고, 또 금형 내 삽입시에 정규의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어긋나는 것과 같은 문제도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 200 ㎛ 이하이면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의 경계 부분의 강도 저하에 수반하는 내낙하 강도의 저하 등의 문제도 잘 발생하지 않는다.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에 사용되는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은,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기재층 (I)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은 스트레치 블로 성형에 있어서의 저온 접착 조건에서도 성형품과의 충분한 접착 강도를 부여하는 것이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에 함유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란, 에틸렌과, 그 밖의 코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의 코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8 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8 이 바람직하다),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금속염,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카르복실산으로 변성한 카르복실산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금속염을 구성하는 금속으로는, 아연 (Zn), 알루미늄 (Al), 리튬 (Li), 나트륨 (Na), 칼륨 (K)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카르복실산 변성물로는 말레산 변성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상기의 공중합체 중에서도,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하나를 코모노머로서 함유하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트레치 블로 성형과 같이, 비교적 저온 (예를 들어 프리폼의 온도가 90 ∼ 110 ℃, 바람직하게는 95 ∼ 110 ℃ 이다) 에서의 접착이 요구되는 성형 수법에 있어서도, 라벨과 성형품의 접착 강도가 한층 우수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에틸렌계 공중합체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말레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EMA 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및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 중에서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카르복실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하는 것이, 저온 접착 조건에서도 라벨과 블로 성형품의 접착 강도가 보다 한층 우수한 것이 되어, 바람직하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20 g/10 분 이상인 점에서 바람직하다. 동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 레이트가 20 g/10 분 이상이면, 용융시켜 활성화했을 때에, 그 유동성으로부터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에 대해 접촉하는 면적을 보다 넓힐 수 있어, 라벨과 블로 성형품의 접착 강도를 보다 한층 우수한 것으로 하기 쉽다.
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아세트산비닐의 함량은, 당해 공중합체의 총량 (100 중량%) 에 대해 5 ∼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아세트산비닐 함량이 5 중량% 이상이면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에 대한 접착성을 높이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매질 중에 용해시키기 쉬워, 하기에서 설명하는 카르복실산 변성물의 제조가 용이하다. 한편, 50 중량% 이하이면, 전술한 기재층 (Ⅰ) 이나 후술하는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형성하는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높은 접착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 카르복실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산가는, 1 ∼ 6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가가 1 이상이면 수성 분산액을 얻기 쉽다. 한편, 산가가 60 이하이면 내수성, 내습성을 높이기 쉽다.
또 이와 같은 공중합체로는, 그 접착성이나 수분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카르복실산으로 변성한, 카르복실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1283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에 용해시켜, 메틸알코올 또는 에틸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를 첨가하여, 특정량의 물의 존재 하에서 알칼리알코올레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비누화 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을,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알릴숙신산, 메사콘산, 아코니트산) 및 그 산무수물, 및 그 산에스테르의 적어도 1 종과, 라디칼 개시제와 함께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의 적어도 일방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말레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한 공중합체 및 산변성 공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에는, 그 접착성이나 라벨의 인쇄성을 최대한 저해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저분자량의 부성분을 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 공중합체를 후술하는 수중 분산액이나 에멀션액의 양태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접착성이나 라벨의 인쇄성을 해치지 않을 정도로 필요에 따라, 분산제 등을 배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로진 및 그 유도체, 테르펜 및 그 유도체, 석유 수지, 그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이른바 점착 부여제나,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피셔트롭스 (Fischer-Tropsch) 왁스 등의 왁스류, 실리카, 탤크,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 미분말계 안티 블로킹제, 에르신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유기계 슬립제, 나아가 응집력,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염소화폴리프로필렌, 염소화폴리에틸렌 등을 배합해도 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은, 이들 공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이들 공중합체를 수성 용매 중에 분산시킨 에멀션의 양태로서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에멀션을 사용한 인몰드 라벨은, 에멀션 입자에 의해 불투명하고, 인쇄시에 문제를 발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것을 첩착한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에 있어서는,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용융에 의해 에멀션 입자는 소실되어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은 투명해지기 때문에, 라벨과 성형품의 외관에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고 일체화되어 보인다.
이들 공중합체를 수중에 분산시킨 수성 에멀션을 얻는 방법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18843호, 동 56-2149호, 동 56-106940호, 동 56-157445호 등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2 축 스크루 압출기에 공중합체 수지를 공급하고,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의 압축부역 또는 벤트역에 설치한 액 도입관으로부터 분산액을 함유하는 물을 도입하고, 스크루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융된 공중합체 수지와 물을 혼련하고, 이 혼련물을 압출기의 하우징 내에서 상전이시켜 압출기의 출구 노즐로부터 대기압역으로 방출하고, 필요에 따라 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저장조 내에 수용시켜 얻어진다.
에멀션 중의 공중합체 수지 입자의 평균 분산 입경은 0.01 ∼ 3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수지 입자의 평균 분산 입경이 동 범위 내이면, 분산액 상태에서 상 (相) 이 안정되어, 액의 보관성이나 도공성이 우수하다. 또, 동 분산액을 도공하여 형성되는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의, 블로 성형품에 접착 후에 있어서의 투명성을 높이기 쉬운 경향이 있다.
고형분 농도는 8 ∼ 6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5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멀션 중의 공중합체 수지에 의한 고형분 농도가 동 범위 내이면, 분산액 상태에서 상이 안정되어, 액의 보관성이나 도공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에멀션으로는, 예를 들어, 니치에이 화공 주식회사 제조의 라이프 본드 HC-12, HC-17, HC-38, HCN-006 (상품명);도요 모튼 주식회사 제조의 AD-37P295J, EA-H700 (상품명), 그리고 츄오 리카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아쿠아텍스 EC-1200, EC-1700, EC-1800, EC-3500, 및 AC-3100 (상품명) 등이 시판되어 있어, 이용할 수 있다. 또,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유기 용매 중에 용해시킨 도공액으로는, 예를 들어, 도요 모튼 주식회사 제조의 THS-4884, AD-1790-15 (상품명) 등이 시판되어 있어, 이용할 수 있다.
[도공]
기재층 (I) 상에 그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 리버스 코터, 블레이드 코터, 메이어 바 코터, 에어나이프 코터 등의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공 후에 도공층을 건조시켜 용매 (주로 물) 를 제거하고, 발생한 피막을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으로 한다.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의 막 두께는 0.3 ∼ 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3 ㎛ 이상이면 성형품과 라벨이 강고하게 융착되어 높은 접착 강도를 얻기 쉽다. 또 10 ㎛ 이하이면 도공 후의 건조도 용이하고, 또 투명성의 저하나 응집력 부족에 의한 접착 강도의 저하도 보이지 않아 바람직하다.
[인쇄 가능층 (III)]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은, 기재층 (Ⅰ) 의 표면에 추가로 인쇄 가능층 (III) 을 라벨의 최외층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인쇄 가능층 (III) 은 인몰드 라벨의 인쇄 적성을 높일 목적에서 형성한다.
인쇄 가능층 (III) 의 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직사슬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금속염 (Zn, Al, Li, K, Na 등),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ABS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등의 필름을 들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융점이 130 ∼ 280 ℃ 인 범위의 열가소성 수지이며, 이들 수지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비용면, 내수성, 내약품성 면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아이소택틱 내지는 신디오택틱 및 여러 가지의 정도의 입체 규칙성을 나타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과, 에틸렌, 1-부텐, 1-헥센, 1-헵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는, 2 원계여도 되고, 3 원계여도 되고, 4 원계여도 되며, 또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 잉크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알킬기의 탄소수는 1 ∼ 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금속염 (Zn, Al, Li, K, Na 등),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극성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잉크 밀착성이 우수한 말레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인쇄 가능층 (III) 의 두께는 1 ∼ 30 ㎛, 바람직하게는 5 ∼ 20 ㎛ 의 범위이다. 두께가 1 ㎛ 이상이면 잉크 밀착성이 향상되고, 30 ㎛ 이하이면 라벨에 컬이 잘 발생하지 않아, 라벨에 대한 오프셋 인쇄가 곤란해지거나, 라벨을 금형에 고정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은, 필요에 따라, 활성화 처리에 의해 그 인쇄 가능층 (III) 의 표면의 인쇄성을 개선시켜 둘 수 있다. 활성화 처리로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프레임 처리, 플라즈마 처리, 글로 방전 처리, 오존 처리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산화 처리 방법이며,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 프레임 처리이다. 처리량은 코로나 처리의 경우에는, 통상 600 ∼ 12,000 J/㎡ (10 ∼ 200 W·분/㎡), 바람직하게는 1200 ∼ 9000 J/㎡ (20 ∼ 150 W·분/㎡) 이다. 600 J/㎡ (10 W·분/㎡) 이상이면, 코로나 방전 처리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잉크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 12,000 J/㎡ (200 W·분/㎡) 초과에서는 처리의 효과가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므로 12,000 J/㎡ (200 W·분/㎡) 이하로 충분하다. 프레임 처리의 경우, 통상 8,000 ∼ 200,000 J/㎡, 바람직하게는 20,000 ∼ 100,000 J/㎡ 가 사용된다. 8,000 J/㎡ 이상이면, 프레임 처리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잉크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 200,000 J/㎡ 초과에서는 처리의 효과가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므로 200,000 J/㎡ 이하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층 (Ⅰ) 이 후술하는 연신 공정을 거쳐 얻은 다공질인 필름이고, 기재층 (I) 이 액체를 흡수하는 특성을 부여한 것인 경우에는, 기재층 (Ⅰ) 에 전술한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포할 때에,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의 일부가 기재층 (I) 에 흡수된 상태에서 도포되고, 이 상태로 도공액을 건조 고화시킴으로써, 기재층 (I) 의 표면에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형성된다. 기재층 (I) 중에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파고드는 양태로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하면, 기재층 (I) 과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의 접착은 매우 강고해져, 결과적으로 라벨과 블로 성형품의 접착 강도를 보다 한층 우수한 것으로 하기 쉽다.
이 경우, 기재층 (Ⅰ) 의 액체를 흡수하는 능력은, 흡수 용적과 흡수 속도로 정리할 수 있다. 기재층 (Ⅰ) 의 액체를 흡수하는 용적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도포하는 도공액의 대부분이 기재층 (Ⅰ) 중에 격납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어,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기재층 (Ⅰ) 이 액체를 흡수하는 용적은, 기재층 (Ⅰ) 의 두께나 기재층 (Ⅰ) 중의 공공 (空孔) 의 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기재층 (Ⅰ) 이 액체를 흡수하는 속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이것에 도포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의 용매분이 급속히 기재층 (Ⅰ) 중에 흡수되어, 건조는 빨라진다. 그러나 도포 공정에 있어서의 급속한 건조는, 도막의 레벨링 (균일함) 을 해치는 원인이 되어, 또 도막 중에 기포가 발생하기 쉬워져, 결과적으로 접착 강도가 원하는 것이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기재층 (Ⅰ) 이 액체를 흡수하는 속도는, 사용하는 무기 미세 분말의 친수화 처리량이나 기재층 (Ⅰ) 중의 공공 (空孔) 의 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기재층 (Ⅰ) 에 있어서의 액체 흡수 용적은, JAPAN TAPPI No.51 의 액체 흡수성 시험 방법 (브리스토법) 의 액체의 전이량 V (㎖/㎡) 로서,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액체 흡수 용적은,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기재층 (Ⅰ) 에 있어서의 액체 흡수 속도는, JAPAN TAPPI No.51 의 액체 흡수성 시험 방법 (브리스토법) 의 액체 흡수 계수 Kα (㎖/㎡ (ms)1/2) 로서, 4 ㎖/㎡ (ms)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ms)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ms)1/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액체 흡수 속도는, 0.5 ㎖/㎡ (ms)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ms)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ms)1/2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라벨의 인쇄 가능층 (III) 에 대한 인쇄는, 레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라벨에는 예를 들어, 바코드, 제조원, 판매 회사명, 캐릭터, 상품명, 사용 방법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인쇄된 라벨은, 타발 가공에 의해 필요한 형상 치수의 라벨로 분리된다. 이 인몰드 라벨은, 성형품 표면의 일부에 첩착되는 부분적인 것이어도 되는데, 통상적으로는 용기상 성형품의 측면을 한 바퀴 둘러싸는 블랭크로서 사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용기상 성형품의 표측 및/또는 이측에 각각 첩착되는 라벨로서 있어도 된다.
[기재층 (Ⅰ) 및 인쇄 가능층 (III) 의 성형]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을 구성하는 기재층 (Ⅰ) 및 인쇄 가능층 (III) 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가지의 방법 및 그 조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몰드 라벨이어도, 본 발명에 기재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인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층 (Ⅰ) 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스크루형 압출기에 접속된 단층의 T-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시트상으로 압출하는 캐스트 성형법, 스크루형 압출기에 접속된 O-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튜브상으로 압출하는 인플레이션 성형법, 압연법이나 캘린더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 (Ⅰ) 자체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 구조여도 된다. 기재층 (Ⅰ) 은 다층화에 의해 예를 들어 가스 배리어성의 향상 등 기능의 부가가 가능해진다.
[다층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층 (Ⅰ) 은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서 이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기재층 (Ⅰ) 에 인쇄 가능층 (III) 을 적층한 적층 수지 필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은, 기재층 (Ⅰ)/히트시일성 수지층 (II), 및 인쇄 가능층 (III)/기재층 (Ⅰ)/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기재층 (Ⅰ) 과 인쇄 가능층 (III) 은 미리 적층 수지 필름으로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얻어진 적층 수지 필름의 기재층 (Ⅰ) 측 표면에, 전술한 도공법에 의해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이 얻어진다.
이들 적층 수지 필름의 제조법으로서, 공지된 여러 가지의 필름 제조 기술이나 그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크루형 압출기에 접속된 다층의 T-다이를 사용한 공압출 방식, 복수의 다이스를 사용한 압출 라미네이션 방식이나 용융 라미네이트 방식, 열 라미네이트 방식, 여러 가지의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이나 웨트 라미네이트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층 다이와 압출 라미네이션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각 층을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공압출 방식이다.
[연신]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을 구성하는 기재층 (Ⅰ) 및 인쇄 가능층 (III) 은, 각각 연신되어 있지 않은 무연신, 미연신의 것이어도 되고,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연신되어 있지 않은 것은 보다 투명성이 우수하고,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에 대한 형상 추종성이 우수하다. 연신되어 있는 것은 박막화에 의한 투명성이 우수하고, 경량으로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하다.
이들 층을 연신하는 경우에는, 공지된 여러 가지의 방법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한 종연신, 텐터오븐을 사용한 횡연신, 종연신과 횡연신을 조합한 축차 2 축 연신, 텐터오븐과 리니어 모터의 조합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텐터오븐과 팬터그래프의 조합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 압연 등을 들 수 있다. 또, 인플레이션 성형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취입 공기량의 조정에 의한 동시 2 축 연신을 들 수 있다.
연신의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인 기재층 (Ⅰ) 에 주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 및 얻어지는 적층 수지 필름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재층 (Ⅰ) 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내지는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이것을 일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의 연신 배율은, 통상 1.2 ∼ 12 배, 바람직하게는 2 ∼ 10 배이며, 2 축 연신하는 경우에는 면적 배율로 통상 1.5 ∼ 60 배, 바람직하게는 4 ∼ 50 배이다. 그 밖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이것을 일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의 연신 배율은 통상 1.2 ∼ 10 배, 바람직하게는 2 ∼ 5 배이며, 2 축 연신하는 경우에는 면적 배율로 통상 1.5 ∼ 20 배, 바람직하게는 4 ∼ 12 배이다.
연신의 온도는, 기재층 (Ⅰ) 에 주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점 온도 이상으로부터 결정부의 융점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에 바람직한 공지된 온도 범위 내에서 적절히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 (Ⅰ) 의 열가소성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융점 155 ∼ 167 ℃) 인 경우는 100 ∼ 166 ℃ 로, 융점보다 1 ∼ 70 ℃ 낮은 온도이다. 또 연신의 속도는, 20 ∼ 350 m/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층 (Ⅰ) 은,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무연신 필름 (CPP 필름) 혹은 연신 필름 (OPP 필름)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 (Ⅰ) 이 무연신 필름인 경우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분자의 연신 배향에 수반하는 결정화를 억제하여, 블로 성형시에 성형품의 형상 변화에 추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얻어지기 쉽다. 기재층 (Ⅰ) 이 연신 필름인 경우는, 기재층은 소위 펄 필름이나 합성지여도 된다. 이들 기재로부터는 보다 높은 불투명함이 얻어지기 쉽다.
[인몰드 성형]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은, 가열한 수지 프리폼을 로드와 압공에 의해 금형 내벽에 압착하여 부형 (付形) 하는 중공 성형용 (스트레치 블로 성형용) 의 인몰드 라벨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라벨을 사용하여 제조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은, 라벨의 첩착 부분과 비첩착 부분의 외관의 차이가 작아, 보다 고도의 일체감을 주는 것이다.
그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수지는, 안료나 염료 등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 자연색의 것이어도 되지만, 안료나 염료 등을 함유하는 불투명, 착색된 것이어도 지장없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료,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측정 방법과 평가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기재층 (Ⅰ) 의 제조예]
(제조예 1)
기재층 (Ⅰ) 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MA3) 95 중량%, 및 이산화티탄 미세 분말 (이시하라 산업사 제조, 상품명:타이페이크 CR-60) 5 중량% 의 혼합물 (a), 그리고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커넬 KS340T) 85.7 중량%,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LD LC720) 9.5 중량%, 및 대전 방지제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LLLX-AS) 4.8 중량% 의 혼합물 (b), 인쇄 가능층 (III) 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MA3U) 70 중량%, 및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LD LC720) 30 중량% 의 혼합물 (c) 을, 각각 다른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 ℃ 에서 용융 혼련하고, 이것들을 1 대의 공압출 T-다이에 공급하고, T-다이 내에서 3 층으로 적층하고, 이어서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이것을 세미 미러조 (調) 냉각 롤과 매트조 고무 롤 사이로 유도하여, 협압 (선압:약 1.5 kg/cm) 하면서 냉각시켜, (c/a/b) 의 3 층 구조를 갖는 백색, 불투명한 무연신의 적층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것을 가이드 롤로 코로나 방전 처리기로 유도하여, 인쇄 가능층 (III) 측의 표면을 50 W·분/㎡ 의 처리량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귀부를 잘라낸 후, 권취기로 권취하였다.
그 세미 미러조 냉각 롤로는, 경화 크롬 도금된 미러 액자 (경면 액자) 의 금속 냉각 롤을 세미 미러조로 가공한 후에 연마 마무리를 한, 표면 조도 (JIS B-0601 에 준거하여 측정한 산술 평균 조도 Ra) 가 0.3 ㎛, 최대 높이 (Ry) 가 2.9 ㎛, 10 점 평균 조도 (Rz) 가 2.2 ㎛, 직경 450 ㎜, 폭 1500 ㎜ 인 것을 사용하여 냉각 온도를 70 ℃ 로 하였다.
그 매트조 고무 롤로는, 스프링식 JIS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고무 경도 (JIS K-6301:1995 에 준거) 가 70 Hs, 입자경이 31 ∼ 37 ㎛ 인 규사, 규산 유리의 미세 입자를 20 ∼ 55 중량% 의 비율로 함유시킨, 직경 300 ㎜, 폭 1500 ㎜ 인 것을 사용하였다.
협압시에는 세미 미러조 냉각 롤이 혼합물 (b) 과, 매트조 고무 롤이 혼합물 (c) 과 접하도록 성형하였다. 얻어진 적층 수지 필름의 두께는 100 ㎛, 밀도는 0.89 g/㎤ 였다.
(제조예 2)
기재층 (Ⅰ) 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FY4) 70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HD HJ360) 10 중량%, 및 탄산칼슘 미세 분말 (비호쿠 훈카 공업사 제조, 상품명:소프톤 1800) 20 중량% 의 혼합물 (d), 그리고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MA3) 70 중량%, 및 탄산칼슘 미세 분말 (비호쿠 훈카 공업사 제조, 상품명:소프톤 1800) 30 중량% 의 혼합물 (e) 을, 각각 다른 압출기를 사용하여 230 ℃ 로 설정한 압출기로 혼련한 후, 250 ℃ 로 설정한 1 대의 공압출 T-다이에 공급하고, T-다이 내에서 적층한 것을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이것을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3 층 구조 (e/d/e) 의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 무연신 시트를 150 ℃ 로 가열하여 세로 방향으로 5 배 연신하였다. 이어서 60 ℃ 의 온도까지 냉각시킨 후, 다시 150 ℃ 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텐터로 가로 방향으로 8 배 연신하고, 160 ℃ 의 온도에서 어닐링 처리하고, 60 ℃ 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e/d/e) 의 3 층 구조를 갖는 백색, 불투명한 2 축 연신한 적층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것을 가이드 롤로 코로나 방전 처리기로 유도하여, 양측의 표면에 각각 50 W·분/㎡ 의 처리량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귀부를 잘라낸 후, 권취기로 권취하였다. 얻어진 적층 수지 필름의 두께는 80 ㎛ [e/d/e = 10/60/10 ㎛], 밀도는 0.76 g/㎤ 였다.
(제조예 3)
기재층 (Ⅰ) 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FY6H) 7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니혼 폴리에틸렌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HD HJ580N) 5 중량%, 및 탄산칼슘 미세 분말 (비호쿠 훈카 공업사 제조, 상품명:소프톤 1800) 20 중량% 의 혼합물 (f) 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 ℃ 에서 용융 혼련하고, 이것을 압출 T-다이에 공급하고, 이것을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이것을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단층 구조 (f) 의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무연신 시트를 145 ℃ 로 가열하고,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4.5 배 연신하여, 연신 시트를 얻었다.
한편, 기재층 (Ⅰ) 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MA1B) 38 중량%,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산요 화성사 제조, 상품명:유멕스 1001) 2 중량%, 및 표면을 친수화 처리한 중질 탄산칼슘 미세 분말 (파이머테크사 제조, 상품명:AFF-Z) 60 중량% 의 혼합물 (g), 그리고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니혼 폴리프로사 제조, 상품명:노바텍 PP MA3) 55 중량%, 및 탄산칼슘 미세 분말 (비호쿠 훈카 공업사 제조, 상품명:소프톤 1800) 45 중량% 의 혼합물 (h) 을, 각각 다른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 ℃ 에서 용융 혼련하고, 이것들을 각각의 압출 T-다이에 공급하고, 상기 서술한 연신 시트의 양표면 상에 이것들을 시트상으로 압출 적층하고, 이어서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시켜 3 층 구조 (g/f/h) 의 적층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적층 시트를 154 ℃ 로 가열하고, 텐터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 8.5 배 연신하고, 155 ℃ 의 온도에서 어닐링 처리하고, 55 ℃ 의 온도로까지 냉각시켜, (g/f/h) 의 3 층 구조를 갖는 백색, 불투명한 연신된 적층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것을 가이드 롤로 코로나 방전 처리기로 유도하여, 양측의 표면에 각각 50 W·분/㎡ 의 처리량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귀부를 잘라낸 후, 권취기로 권취하였다. 얻어진 적층 수지 필름의 두께는 95 ㎛ [g/f/h = 10/75/10 ㎛], 밀도는 0.81 g/㎤, 각 층의 연신축 수는 g 층이 1 축, f 층이 2 축, h 층이 1 축이었다.
(제조예 4)
내부에 공동 (空洞) 을 함유하는 백색, 불투명한 폴리에스테르의 2 축 연신 필름 (토요보사 제조, 상품명:크리스퍼 G2311) 를 얻어, 이것을 적층 수지 필름으로 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코로나 방전 처리기로 유도하여, 미처리면측의 표면을 50 W·분/㎡ 의 처리량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권취기로 권취하였다.
얻어진 적층 수지 필름의 두께는 38 ㎛, 밀도는 1.1 g/㎤ 였다.
[인몰드 라벨 및 라벨이 부착된 블로 성형품의 제조예]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은 적층 수지 필름의 (b) 층측의 표면에,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말레산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션 용액 (도요모튼사 제조, 상품명:EA-H700, 고형분 농도:50 %) 을 도공하고, 95 ℃ 로 설정한 오븐에서 건조시켜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하여 실시예 1 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을 얻었다. 얻어진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의 막 두께는 3 ㎛ 였다.
이어서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은 인몰드 라벨을, 장변이 8 ㎝, 단변이 6 ㎝ 인 사각형으로 타발하고, 정전기 대전 장치를 사용하여 대전시켜, 스트레치 블로 성형기 (닛세이 ASB 사 제조, 상품명:ASB-70DPH) 의 성형용 금형의 내부에, 인쇄 가능층 (III) 이 금형에 접하도록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캐비티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라벨은, 금형 내에서 라벨의 장변이 성형품의 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평행하게 첩착하도록 설치하였다. 금형은 캐비티측의 표면 온도가 20 ∼ 45 ℃ 의 범위 내가 되도록 냉각시켰다. 이어서, 자연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프리폼을 100 ℃ 로 예열하고, 금형 내에서 동 프리폼을 5 ∼ 40 ㎏/㎠ 의 블로 압력으로 1 초간 스트레치 블로 성형함으로써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은, 높이 12 ㎝, 1 변 약 7 ㎝ 인 각형 (角型) 의 동체부를 갖는 용기였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기재층 (Ⅰ) 으로서, 제조예 2 에서 얻은 적층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의 층 (e) 측의 표면에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기재층 (Ⅰ) 으로서, 제조예 3 에서 얻은 적층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의 층 (g) 측의 표면에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기재층 (Ⅰ) 으로서, 제조예 4 에서 얻은 적층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측의 표면에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에멀션 용액 (니치에이 화공사 제조, 상품명:라이프 본드 HCN-006, 고형분 농도:50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핫 래커 (도요모튼사 제조, 상품명:토모후렉스 THS-4884-U, 고형분 농도:15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으로서,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에멀션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에멀션 용액은, 하기의 순서에 따라 제작하였다.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의 제조예]
냉각기, 질소 도입관, 교반기, 모노머 적하 깔때기 및 가열용의 재킷을 장비 한 내용적 150 ℓ 의 반응기에, 이소프로판올 (주식회사 토쿠야마 제조, 상품명:토쿠소 IPA) 40 kg 을 투입하였다.
이소프로판올을 교반하면서, 반응기에,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산요 화성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메타크릴레이트 DMA) 12.6 k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미츠비시 레이욘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아크리에스테르 B) 12.6 kg, 및 고급 알코올메타크릴산에스테르 (미츠비시 레이욘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아크리에스테르 SL, 메타크릴산라우릴과 메타크릴산트리데실의 혼합물) 2.8 kg 을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의 기체를 질소로 치환한 후, 반응기 내의 혼합물을 80 ℃ 까지 가열하였다. 가열된 혼합물에,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와코우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V-60 (AIBN)) 0.3 kg 을 첨가하고,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 시간은 4 시간이었다. 중합 중, 반응 온도는 80 ℃ 로 유지하였다.
그 후, 빙초산 (와코우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4.3 kg 을 사용하여, 중합에 의해 얻어진 공중합체를 중화하였다. 또한, 이소프로판올을 증류 제거하면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48.3 kg 을 첨가하고, 용매를 치환함으로써,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카티온성 고분자 유화제의 중화물의 수용액이 얻어졌다.
상기의 순서에 의해 얻어진 수용액을, 후술하는 분산액으로서 사용하였다. 분산액 중의 고형분 농도는 35 질량% 였다. 또,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0 이었다.
다음으로, 2 축 압출기 (주식회사 니혼 제강소 제조, TEX30HSS) 를 사용하여, 올레핀계 수지를 용융 혼련 및 유화함으로써,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제작하였다. 올레핀계 수지의 용융 혼련 및 유화는, 하기의 순서에 따라 실시하였다.
먼저, 펠릿상의 올레핀계 수지를, 호퍼로부터 2 축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올레핀계 수지로는,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 수지 (미츠이·듀퐁·폴리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뉴크렐 N035C) 를 사용하였다.
2 축 압출기에 있어서, 스크루 회전수 300 rpm, 실린더 온도 160 ℃ ∼ 250 ℃ 의 조건에서, 당해 수지를 용융 및 혼련하였다. 그 후, 상기의 분산액을, 2 축 압출기의 실린더 중간부에 형성된 주입구로부터 공급하였다. 분산액의 첨가량은, 분산액 중의 고형분으로 환산하여, 올레핀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5 질량부였다. 2 축 압출기의 내부에서 올레핀계 수지의 유화 및 분산이 진행되고, 2 축 압출기의 출구로부터, 백색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에멀션 용액이 얻어졌다.
에멀션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45 질량% 이고, 에멀션의 체적 평균 입경은 0.7 ㎛ 였다.
(비교예 1)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 대신에, 변성 스티렌계 공중합체 에멀션 용액 (다이이치 도료 제조소사 제조, 상품명:바론 BL-1, 고형분 농도:42.8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라벨 접착 강도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평가]
각 제조예에 있어서의 적층 수지 필름, 그리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라벨이 부착된 블로 성형품의 평가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라벨 접착 강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인몰드 라벨을, 장변이 8 ㎝, 단변이 6 ㎝ 의 사각형으로 타발하고,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의 제조용 라벨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조용 라벨을, 정전기 대전 장치를 사용하여 대전시켜, 스트레치 블로 성형기 (닛세이 ASB 사 제조, 상품명:ASB-70DPH) 의 성형용 금형의 내부에,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의 반대면이 금형에 접하도록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캐비티측을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라벨은, 금형 내에서 라벨의 장변이 성형품의 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평행하게 첩착하도록 설치하였다.
금형은 캐비티측의 표면 온도가 20 ∼ 45 ℃ 의 범위 내가 되도록 냉각시켰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프리폼을 100 ℃ 로 예열하고, 금형 내에서 동 프리폼을 5 ∼ 40 ㎏/㎠ 의 블로 압력으로 1 초간 스트레치 블로 성형함으로써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얻었다.
얻어진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은, 높이 12 ㎝, 1 변 약 7 ㎝ 인 각형의 동체부를 갖는 용기였다.
얻어진 각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에 대하여, 온도 23 ℃, 상대 습도 50 % 환경 하에서 2 일간 보관 후, 라벨 첩착 부분을 커터로 잘라내어, 용기의 몸통의 둘레 방향을 길이로 하여 길이 12 ㎝ (라벨의 첩착 부분은 9 ㎝, 비첩착 부분은 3 ㎝), 폭 1.5 ㎝ (전체폭에 라벨이 첩착) 의 측정용 샘플을 용기 2 개 내지 6 개 채취하였다.
이어서, 홀딩 영역 (비첩착) 부분으로부터 라벨을 세심하게 벗겨 가서, 약 1 ㎝ 박리한 상태에서, 라벨에 동 폭의 PET 필름 (50 ㎛) 을 점착제로 접착하여 라벨측의 노출심 부분으로 하고, 접착 강도 측정용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JIS K 6854-2:1999 에 기초하여, 인장 시험기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를 사용하여 180 도 박리를 실시하고, 박리 길이 25 ㎜ 내지 75 ㎜ 간의 박리력의 평균값을 측정하고, 또한 샘플 6 점의 측정값을 평균하여,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라벨 접착 강도는 100 gf/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gf/1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gf/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00 gf/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라벨 접착 강도가 100 gf/15 ㎜ 이상이면, 실사용상 대부분 문제는 없다.
또한, 비교예 2 의 라벨이 부착된 성형품에 대해서는, 라벨의 대부분의 부분이 용기로부터 부상하여, 샘플링시에 박리되어 버릴만큼 접착 불량이 되어 버렸기 때문에, 모두 접착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2) 두께, 막 두께, 밀도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의 두께는, JIS K-7130 에 준거하고, 정압 두께 측정기 ((주) 테크로크 제조, 상품명:PG-01J)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층의 두께, 막 두께는, 측정 대상 시료를 액체 질소로 -60 ℃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유리판 상에 둔 시료에 대해 면도날 (시크·재팬 (주) 제조, 상품명:프로라인 블레이드) 을 직각으로 대어 절단하여 단면 관찰용의 시료를 제작하고, 얻어진 시료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니혼 전자 (주) 제조, 상품명:JSM-6490) 을 사용하여 단면 관찰을 실시하고, 조성 외관으로부터 도막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마다의 경계선을 판별하여, 라벨 전체의 두께와 관찰되는 층 두께 비율을 곱하여 구하였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에 의하면, 스트레치 블로 성형에 의한 저온 접착 조건에서도 성형품과의 접착 강도가 충분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1 :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2 : 기재층 (I)
3 :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4 : 열가소성 수지 및 친수화 처리된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연신 필름
5 : 인쇄 가능층 (III)

Claims (14)

  1. 기재층 (I) 및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포함하는 인몰드 라벨로서, 그 기재층 (Ⅰ) 이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그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그 기재층 (I) 상에 도포, 건조시켜 형성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 (Ⅰ) 의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을 형성하는 측의 면의 액체 흡수 계수가 4 ㎖/㎡ (ms)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기재층 (Ⅰ) 이 수지 조성물의 무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기재층 (Ⅰ) 이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된 수지 조성물의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6. 제 5 항에 있어서,
    그 기재층 (Ⅰ) 이 열가소성 수지 및 친수화 처리된 무기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한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8. 제 7 항에 있어서,
    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말레산 변성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수성 매체 중에 분산시킨 에멀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0. 제 9 항에 있어서,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에멀션의 평균 입자경이 0.01 ∼ 3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히트시일성 수지층 (II) 이, 그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의 일부가 그 연신 필름 위에 흡수된 상태에서 건조되어, 형성된 도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기재층 (Ⅰ) 의 표면에 추가로 인쇄 가능층 (III)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을 첩착한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으로서, 그 성형품에 대한 그 라벨의 접착 강도가 100 ∼ 1000 g/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그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을 형성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KR1020157026676A 2013-03-01 2014-03-03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그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KR201501238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65448 2013-03-01
CN201310065448.7 2013-03-01
CN201310121582.4 2013-04-09
CN201310121582 2013-04-09
PCT/CN2014/072772 WO2014131372A1 (zh) 2013-03-01 2014-03-03 拉伸吹塑用模内标签以及带该标签的拉伸吹塑成型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890A true KR20150123890A (ko) 2015-11-04

Family

ID=5142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676A KR20150123890A (ko) 2013-03-01 2014-03-03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그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09018A1 (ko)
JP (1) JP2016511437A (ko)
KR (1) KR20150123890A (ko)
BR (1) BR112015021127A2 (ko)
MX (1) MX2015011271A (ko)
WO (1) WO2014131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7956B (zh) * 2013-03-28 2017-05-17 优泊公司 模内成型用标签及使用其的带标签的塑料容器
EP3260294B1 (en) * 2015-02-16 2021-01-06 Yupo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in-mold molding label, and plastic container with lab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12771597B (zh) * 2018-09-28 2023-09-26 优泊公司 模内标签和带模内标签的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684A (ja) * 1988-08-19 1991-04-04 Toyo Seikan Kaisha Ltd 熱接着性フィルムラベル及びラベル付プラスチック容器
JPH03112836A (ja) * 1989-09-26 1991-05-14 Tosoh Corp 合せガラス
JP2001181423A (ja) * 1999-12-28 2001-07-03 Yupo Corp 多孔性樹脂フィルム
JP4353613B2 (ja) * 2000-04-25 2009-10-28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多孔性樹脂フィルム
CN100491120C (zh) * 2002-07-25 2009-05-27 优泊公司 拉伸树脂膜和包含该拉伸树脂膜的标签
JP4478466B2 (ja) * 2003-02-03 2010-06-09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樹脂延伸フィルム
CN1329441C (zh) * 2004-08-17 2007-08-01 岱稜科技股份有限公司 具摇变性的热封性树脂组成物及利用其所制得的膜内标签
WO2006053267A1 (en) * 2004-11-10 2006-05-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In-mold labels and uses thereof
JP2007022033A (ja) * 2005-07-21 2007-02-01 Yupo Corp 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体
US20110315587A1 (en) * 2008-12-26 2011-12-29 Yupo Corporation Container with lab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2490203A4 (en) * 2009-10-14 2014-04-02 Yupo Corp LABEL FOR CASTING IN CASTINGS, IN A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ITS MOLDING
JP2011202144A (ja) * 2010-03-01 2011-10-13 Fujifilm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若しくは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又は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03311748U (zh) * 2013-03-01 2013-11-27 优泊公司 拉伸吹塑用模内标签以及带该标签的拉伸吹塑成型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1127A2 (pt) 2017-07-18
JP2016511437A (ja) 2016-04-14
US20160009018A1 (en) 2016-01-14
MX2015011271A (es) 2016-04-25
WO2014131372A1 (zh)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1200B (zh) 薄膜及附標籤塑膠容器
KR102478586B1 (ko) 인몰드 라벨 및 인몰드 라벨 부착 용기
WO2016133012A1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ならびに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12389A1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892010A (zh) 记录用纸及其制造方法
KR20150123890A (ko) 스트레치 블로용 인몰드 라벨 및 그 라벨이 부착된 스트레치 블로 성형품
US8980415B2 (en) Antistatic films and methods to manufacture the same
JPWO2020145404A1 (ja) 記録用紙及びその用途、並びに記録用紙の製造方法
JP7303939B2 (ja) 感熱ラベル
JP7438402B2 (ja) 積層体、インクジェット用紙及び粘着ラベル
JP7501574B2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23027067A1 (ja) 積層体、感熱ラベル、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JP5753937B1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WO2023027180A1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JP7153744B2 (ja) 記録用紙及びその用途、並びに記録用紙の製造方法
JP2022174677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ボトル及びインモールドラベル
JP3753319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表面処理方法
JP2022138299A (ja) 積層フィルム
JP2022123219A (ja) 積層フィルム
JP2022157125A (ja)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70009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