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533A -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533A
KR20150116533A KR1020140041311A KR20140041311A KR20150116533A KR 20150116533 A KR20150116533 A KR 20150116533A KR 1020140041311 A KR1020140041311 A KR 1020140041311A KR 20140041311 A KR20140041311 A KR 20140041311A KR 20150116533 A KR20150116533 A KR 2015011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extract
food
oral administra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희
이미애
한응수
김현주
이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533A/ko
Publication of KR2015011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김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이용한 경구투여용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로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식품 소재 개발을 통해 김치의 부가가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Kimchi extracts containing skin whitening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having activity}
본 발명은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김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기능성 식품에서의 이른바 경구섭취용 미용식품 (Beauty Food, Nutri-Cosmeceuticals) 이라는 영역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영역의 식품은 북미ㅇ유럽 전체 영양식품 시장의 약 2%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매년 두 자릿수 이상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일본 역시 내외미용이라는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다이어트 제품과 함께 먹는 화장품에 대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능성 소재가 식품으로 분류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의학적 효능을 주장할 수 없으며 대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수준의 표기만 허용되고 있다. 향후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가지면서 기능성 식품 특히 미용식품이 개발된다면 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미용식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으로 다량의 항산화제와 함께 주름방지, 자외선 차단, 미백, 탄력증진 등 피부 관련 제품이 주종을 이루는데 이소플라본, 콜라겐, 히아루론산, 헤스페리딘, 포도씨 추출물, 은행추출물, 리코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히아루론산은 콜라겐과 함께 미용식품의 중요한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 이러한 기능성 소재들의 피부에 대한 정확한 효능은 학문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경구섭취로 피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 기능 식품이 개발 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미 일본에서는 콜라겐 함유 경구섭취용 기능성식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실제로 그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며 현재 식약청 또한 그 효능을 인정하고 있는 않고 있다.
피부 미용 또는 건강 관련하여 식약청으로부터 기능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사항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의 수준이며 최근 홍삼추출물이 피부 주름 개선 효능으로 식약청으로부터 효능 인정을 받았으나 하루 필요한 섭취량이 3g에 이르는 등 시장성이 취약한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까지 피부 미백 소재나 피부 건강 증진의 효능으로 건강 기능 식품으로 인정받은 소재는 없는 실정이다.
김치의 경우 고춧가루를 비롯한 다양한 원부재료가 사용되는 복합식품으로 현재까지 항산화, 항암, 항알러지 등 효과가 규명되어 있으나, 김치의 발효 대사산물에 대한 연구는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김치의 발효 대사산물의 물질 규명과 함께 이를 이용한 기능성 미용소재 개발을 통하여 김치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 대사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산업적 활용도를 높임으로서 영세한 김치업체의 소득 증대 및 김치 소비를 촉진하고자 연구를 계속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김치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김치의 발효 단계별로 김치 추출물을 수득하고 피부 미백 효능이 우수한 가장 적합한 용매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이를 이용한 경구투여용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로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식품 소재 개발을 통해 김치의 부가가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김치의 발효기간 및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각 용매별 김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김치의 발효기간 및 추출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은 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김치 추출물은 김치를 1주 이상 동안 발효 숙성시킨 다음, 물, 에탄올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S1) 김치를 소분하여 1주 내지 10주 동안 발효 숙성시킨 다음 동결 건조 하는 단계;
(S2) 상기 동결 건조된 김치를 물,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S3) 상기 추출된 김치 추출물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의 김치 추출물의 제조단계에서 (S1)에서의 김치의 발효 숙성은 1주 이상 10주, 바람직하게는 2주 내지 8주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결건조는 - 50 내지 - 80 ℃, 바람직하게는 - 70℃에서 수행한다.
상기 (S2)에서 김치 추출을 위한 추출용매로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김치에 대해 추출용매의 양은 김치 10g 당 2 내지 4L, 바람직하게는 3L를 사용하며, 추출시간은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수행한다.
상기 발효 기간을 1주 미만으로 수행할 경우 김치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0주를 초과하여 발효시킬 경우 발효 시간에 비례하여 미백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상기 수득된 김치 추출물은 10 내지 10,000 ㎍/ml의 농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ml의 농도를 가지는 것이 피부 미백 효과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화이트닝 및 노화방지를 위한 경구투여용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또는 식품첨가물)는 식품의 제조, 가공, 또는 보존을 위해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물질을 말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식품면에서 양적 증대와 더불어 질적 개선이 동반되었으며, 편리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졌다. 그 결과 대량생산되는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등이 식탁에 오르는 일이 많아졌고 매일 새로운 종류의 식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식품첨가제의 사용을 동반하고 있다.
식품첨가제의 종류에는 천연물과 합성품의 두 종류가 있으며, 보통 그 기능과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 현재 한국에서 식품첨가물로 허가되어 있는 품목은 화학적 합성품 370여종, 천연첨가물 50여종이며, 주로 용도에 따라서 보존료, 살균제, 산화방지제, 착색료, 발색제, 표백제,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및 안정제, 피막제, 껌 기초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충제, 품질개량제와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 등으로 분류되어 쓰이고 있는 것들이다. 한편, 기능성식품은 식품의 1차 기능인 영양기능, 2차 기능인 감각기능 이외에 3차 기능인 생체조절 기능이 잘 나타나도록 개발된 식품을 말한다. 기능성식품은 생체조절 기능에 의해 만성질환을 예방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개인 및 국가의 의료비를 경감하며, 건강사회 구현으로 풍요로운 복지국가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식품이 나타낼 수 있는 생체조절 기능에는 항암,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혈전 저해, 당뇨 예방, 노화억제 등이 있으며, 식품에 이러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특정한 기능을 갖는 소재를 식품 첨가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조성물로서 식품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 폴리페놀, 카테킨 (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의 경구 투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상기의 식품 첨가제 이외에 보존료, 살균제, 산화 방지제, 향신료, 조미료, 감미료, 착향료, 팽창제, 강화제, 개량제, 유화제, 여러 가지 영양제, 합성 풍미제와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료, 발색제,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소포제, 용제, 이형제, 방부제, 품질 개량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의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첨가제 및 기타 식품제조용 첨가제는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식품은 음료, 칩류, 면류, 가공류, 곡류, 정제, 연질캅셀 및 과립제 중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음료, 칩류, 면류, 가공류, 곡류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 또는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또는 이들의 혼합쥬스;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예컨대, 껌 제조시 김치 추출물 0.5 중량%, 껌베이스 25 중량%, 솔비톨 72 중량%를 60 내지 70 ℃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내부 온도를 55 ℃로 유지시키면서 페퍼민트 향료를 2.5 중량% 첨가한 다음 30분 혼합한 다음 추출하여 압연하고, 24-48시간 숙성시킨 후 재단하고 포장하여 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과제빵 제조과정에서 반죽할 때 첨가 사용하며, 소스, 양념장에도 첨가 사용하고, 또한 발효유 또는 요구르트 등에 분말이나 액상을 첨가하여 기능성 또는 기호성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생약 추출분말을 김치, 젓갈, 야채 가공에 직접 투입하여 맛 보존성, 항산화, 변색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육가공에서 햄, 소세지 등에 침지 또는 분무 살포하여 사용하며, 분말 또는 과립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물을 마늘, 파, 생강, 허브(herb), 감초 등을 섞어 향신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수산가공식품인 어묵, 생선, 조미어포, 젓갈 등에도 침지, 분무 및 첨가 방법으로 사용하며, 김치, 단무지, 깍두기, 야채 절임 등에도 침지, 분무 및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김치 발효 대사산물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김치는 오프라인 마켓에서 직접 구입하였다. 김치의 발효 단계별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분하여 0주, 4주, 8주로 저장하였다가 -70 ℃에서 동결 건조 보관하였다.
이후 가장 활성 있는 용매 조건을 찾기 위하여 물, 메탄올 및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발효 단계별 0주, 4주, 8주의 시료 40g/1.2L 용매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1)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원심분리(8,000 rpm, 10 min, 4℃)하여 침전물을 완전히 제거 후 회전감압농축기로 40℃ 이하에서 추출용매가 없어질 때까지 농축하고, 동결건조를 실시한 후 각각의 용매에 따른 수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용매로서 물을 이용한 추출물에서 53 ∼ 67.6 %로 높은 수율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김치 발효 대사산물의 피부 기능 개선 효능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단계 및 용매별 김치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상세포에 미치는 시료의 독성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하였으며, 피부 미백 기능 개선 효능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1) 세포배양
본 실험에서 사용한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마 세포인 B16F10 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에서 분양받아 10% 우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을 포함하고 있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의 항온조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세포생존율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MTT는 담황색의 기질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 쇄 효소에 의해 암적색의 포르마잔을 생성하는데 죽은 세포에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포르마잔의 생성량은 세포생존율 측정에 이용된다.
1×105 cells/mL 수준의 배양 세포 100 μL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16시간 반응시킨 후에 정상세포에 미치는 시료의 독성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50∼10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한 뒤 MTT 시약을 50 μL 첨가하였다. 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고 원심분리(1000 rpm, 4℃, 5분)하였으며, 상등액을 버리고 DMSO를 150 μL 처리 후 25분 동안 37℃에서 교반 배양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듯이, 물 추출물의 경우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세포 증식율이 낮았지만 최고 농도 1000 μg/ml에서 88 % 이상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발효단계 및 용매별 김치 추출물의 경우 용매와 상관없이 전 농도에서 80 % 후반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시료의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피부 미백 기능 개선 효능 시험 시료의 처리는 저농도 100 μg/ml, 중간농도 500 μg/ml, 고농도 1000 μg/ml로 설정하여 처리하였다.
(3) 항산화 측정(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용매별 김치 추출물의 항산화도(radical scavenging property)는 Fenglin등에 의한 방법으로 유리기인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DPPH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DPPH란 2,2-Diphenyl-1-picrylhydrazyl의 약어로 화학적으로 안정화된 프리라디칼로 전자를 받으면 517 nm 부근에서 최대 흡광도를 가지고 전자를 받으면 흡광도가 감소하며 다시 산화되기 어렵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을 만날 경우 DPPH는 전자를 내어주면서 환원하게 되고 프리라디칼은 감소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 당 에탄올에 녹인 200 μM DPPH 시약 100 μL와 용매별 김치 추출물 100 μL를 넣고 잘 섞어주고 어두운 상태로 30분간 37℃에서 배양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아스코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피부 노화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프리라디칼에 의해서 피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피부 노화 예방을 위해서는 항산화 활성은 필수 조건임에 따라서 발효 단계 및 용매별 김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피부 미백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C를 대조구로 하여 항산화 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듯이, 고농도 1000 μg/ml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다른 용매 추출물 시료에 비해 라디칼 소거능 활성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0주와 4주는 비슷한 수준의 소거능이 나타났으나 에탄올 추출물 8주와 메탄올 추출물 8주는 각각 63.48 %, 69.11 %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효과
발효 단계 및 용매별 김치 추출물의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은 Vanni and Gastaldi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0.1 M 인산칼륨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 1.0 mL, 0.3 mg/mL 타이로신(L-tyrosine tyrosine) 수용액 1.0 mL, 1250 unit/mL 타이로시네이즈(mushroom tyrosinase) 0.1 mL을 혼합한 후 여기에 김치 추출물 용액을 농도에 따라 각각 0.2 mL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75 nm에서 측정하여 시료의 효소 저해활성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술하였다.
Figure pat00002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75 nm에서의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75 nm에서의 흡광도
발효 저장기간 및 용매를 달리한 김치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는 Cu2 +와 결합한 효소로 동식물, 미생물 및 사람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폴리페놀 산화효소 (polyphenol oxidase)로 멜라닌 합성과정에서 속도를 제한하는 등 멜라닌 합성의 주요한 조절적 단계를 나타내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코직산(kojic acid)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즈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단위 : %)
구 분 Sample Concentration(μg/ml)
100 500 1000
DW 0 - 33.86±0.38 85.43±1.53
DW 4 - 7.16±0.57 67.66±0.29
DW 8 6.37±0.04 28.14±0.88 75.67±0.21
EtOH 0 - 17.44±0.12 74.62±0.90
EtOH 4 29.13±1.01 84.06±0.43
EtOH 8 - 68.72±2.51 92.77±1.88
MeOH 0 - 21.49±0.83 69.19±0.89
MeOH 4 - 40.90±1.02 72.08±2.13
MeOH 8 4.48±.046 72.03±0.79 89.03±2.35
Kojic acid 42.5±0.76 73.53±1.25 88.07±3.24
반면, 발효 저장기간 및 용매별 김치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억제하지는 않지만, 1000 μg/ml에서는 월등히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μg/ml 처리시 대부분 처리구에서는 저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물 추출물에 비해서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항산화 활성처럼 발효 저장기간이 오래된 것 일수록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에탄올 8주차 추출물을 1000 μg/ml을 처리할 경우 92.77 % 억제하는 것으로 양성 대조군보다 더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과 발현을 조절함으로서 미백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상의 결과에서 발효 저장기간 및 용매별 김치 추출물 1000 μg/ml는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미백제의 천연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미용식품 소재 개발을 통해 김치의 부가가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미용식품시장의 미백 등 피부개선 식품 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김치 및 발효 대사산물의 고부부가치화를 통해 원료 농산물 생산 농민 및 영세 김치업체의 소득 증대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추출물이 김치를 1주 이상 동안 발효 숙성시킨 다음, 물, 에탄올 및 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시킴으로써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추출물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S1) 김치를 소분하여 1주 내지 10주 동안 발효 숙성시킨 다음 동결 건조 하는 단계;
    (S2) 상기 동결 건조된 김치를 물, 메탄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S3) 상기 추출된 김치 추출물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1)에서 김치의 발효 숙성을 2주 내지 8주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1)에서 김치를 - 50 내지 - 80 ℃에서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2)에서 김치 10g 당 2 내지 4L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추출물이 10 내지 10,000 ㎍/ml의 농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구투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KR1020140041311A 2014-04-07 2014-04-07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KR2015011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311A KR20150116533A (ko) 2014-04-07 2014-04-07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311A KR20150116533A (ko) 2014-04-07 2014-04-07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533A true KR20150116533A (ko) 2015-10-16

Family

ID=5436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311A KR20150116533A (ko) 2014-04-07 2014-04-07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6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020A3 (ko) * 2018-12-28 2021-04-22 씨제이제일제당 (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020A3 (ko) * 2018-12-28 2021-04-22 씨제이제일제당 (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연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김치
CN113412060A (zh) * 2018-12-28 2021-09-17 Cj第一制糖株式会社 用于预防或治疗幽门螺杆菌相关疾病的泡菜
US20220095636A1 (en) * 2018-12-28 2022-03-31 Cj Cheiljedang Corporation Kimchi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EP3903589A4 (en) * 2018-12-28 2022-08-31 CJ Cheiljedang Corporation KIMCHI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4241A (ko)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817282B1 (ko)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KR101017594B1 (ko) 퀘르세틴 함량이 증가된 발효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14532B1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17141201A (ja) 糖化阻害剤
US20140205626A1 (en) Anti-inflammatory and immune-boosting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reen coffee beans which are fermented with monascus
KR20160130651A (ko) 아로니아와 오디를 이용한 항당뇨 및 시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11423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버섯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버섯발효액
JP2022001589A (ja) 抗肥満剤、化粧料、及び飲食品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0063302A (ja) 肝機能改善剤
KR101429828B1 (ko) 미나리 발효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KR102453568B1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청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용 조성물
KR20130077911A (ko) 죽순발효 식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6533A (ko) 김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가지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KR20220025678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20150106187A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00038724A (ko) 진홍 풋사과 식초 및 이의 용도
KR20200013327A (ko) 콩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