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816A -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816A
KR20150115816A KR1020157022515A KR20157022515A KR20150115816A KR 20150115816 A KR20150115816 A KR 20150115816A KR 1020157022515 A KR1020157022515 A KR 1020157022515A KR 20157022515 A KR20157022515 A KR 20157022515A KR 20150115816 A KR20150115816 A KR 2015011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retardation
resin
ori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3015B1 (en
Inventor
야스시 사사키
하루노부 구로이와
유키노부 무코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02F2001/1335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40Materials having a particular birefringence, retar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이 개선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1)는 연속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2), 화상 표시 셀(4), 상기 화상 표시 셀(4)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자(8) 및 상기 편광자(8)보다 시인 측에 3,000 ㎚ 이상 150,000 ㎚ 이하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을 2매 갖고,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은 그들의 배향 주축이 서로 거의 평행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리타데이션을 가지며, 그 차가 1,800 ㎚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visibilit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image display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ite light source (2) having a continuous emission spectrum, an image display cell (4), a polarizer (8) and two polarizing films (8) having two retardation films each having retardation of 3,000 to 150,000 nm on the viewer side, and the two polarizing films (8) And the difference therebetween is 1,800 nm or more.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0001] Image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화상 표시 장치는 휴대전화, 태블릿 단말, PC, 텔레비전, PDA, 전자사전, 카내비게이션,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등에 있어서 폭넓게 실용화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이용은 이미 오피스나 옥내에 한정되지 않고 옥외 및 차나 전차 등에서의 이동 중 이용도 확대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mage display devices have been extensively used in mobile phones, tablet terminals, PCs, televisions, PDAs, electronic dictionaries, car navigation systems, music players, digital cameras, digital video cameras and the like. As image display apparatuses have become smaller and lighter in weight, their use has not been limited to offices and indoors, and their use has also been expanding in the field of outdoor, car and tram.

이러한 가운데, 화상 표시 장치를 선글라스 등의 편광 필터를 매개로 시인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 점에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 측의 편광판보다 시인 측에 리타데이션이 3,000 ㎚ 미만인 고분자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편광판을 통해 화면을 관찰하면 강한 간섭색이 나타난다는 문제가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시인 측의 편광판보다 시인 측에 사용하는 고분자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3,000~30,000 ㎚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Among these, there is an increasing opportunity to view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rough a polarizing filter such as sunglasses. Regarding this point,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roblem that when a polymer film having a retardation of less than 3,000 nm is used on the visual side of the vie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strong interference color appears when the screen is viewed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 In Patent Document 1,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t is described that the retardation of the polymer film used on the visual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on the visual side is set to 3,000 to 30,000 nm.

WO 2011/058774WO 2011/058774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한 화상 표시 장치의 실용성에 대해서 추가적인 검토를 거듭한 결과, 리타데이션의 값이 일정 이상으로 제어된 배향 필름을 1매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지개 얼룩 등의 색조의 흐트러짐은 발생하지 않아도, 그러한 배향 필름을 2매 사용한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현저한 무지개 얼룩 등의 색조의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시인성이 개선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a result of further studies on the practicality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when one orientation film whose retardation value is controll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used, the color tone disorder such as rainbow-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case where two such orientation films are used, a disturbance of color tone such as a remarkable rainbow stain occurs in some cases.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visibility by solving such a problem.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밤낮 연구를 거듭한 결과, 2매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의 현상이 현저한 것 및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에 차를 둠으로써 2매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 등의 색조의 흐트러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지견(知見)을 토대로 추가적인 검토와 개량을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repeated day and night studi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alignment main axes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the above phenomenon is conspicuous and the retardation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turbance of the color tone such as rainbow stains even when the alignment main axes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not parallel.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repeatedly examining and improving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대표적인 본 발명은 아래와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항 1.Section 1.

(1) 연속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 (1) a white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emission spectrum,

(2) 화상 표시 셀, (2) Image display cells,

(3) 상기 화상 표시 셀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자, 및 (3) a polarizer arranged on the visual side of the image display cell, and

(4) 상기 편광자보다 시인 측에 3,000 ㎚ 이상 150,000 ㎚ 이하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을 2매 갖고, (4)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wo orientation films having retardation of 3,000 to 150,000 nm,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은 그들의 배향 주축이 서로 거의 평행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리타데이션을 가지며, 그 차가 1,800 ㎚ 이상인The two orientation films have retardation in which their alignment axe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fference therebetween is 1,800 nm or more

화상 표시 장치. FIG.

항 2.Section 2.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차가 3,500 ㎚ 이상인, 항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item 1, wherein a difference in retardation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3,500 nm or more.

항 3.Section 3.

상기 연속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item 1 or 2, wherein the white light source having the continuous emission spectrum is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visibility)이 개선된다. 특히, 편광 필터를 매개로 시인한 경우에 발생하는 무지개 얼룩으로 대표되는 색조의 흐트러짐에 의한 화질의 저하가 경감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지개 얼룩」이란 「색 불균일」, 「컬러 시프트」 및 「간섭색」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improved. Particularly,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disturbance of color tone represented by rainbow unevenness which occurs when a viewer visually observes through a polarizing filter is reduc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rainbow stain " is a concept including "color unevenness", "color shift", and "interference color".

도 1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모식도이다. 1 is a typical schematic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touch panel.

화상 표시 장치는 전형적으로 화상 표시 셀 및 편광판을 갖는다. 화상 표시 셀에는 전형적으로 액정 셀 또는 유기 EL 셀이 사용된다. 화상 표시 셀로서 액정 셀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낸다. An image display apparatus typically has an image display cell and a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cell is typically used for an image display cell. A typical schematic vie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liquid crystal cell as an image display cell is shown in Fig.

액정 표시 장치(1)는 광원(2), 액정 셀(4) 및 기능층으로서 터치 패널(6)을 갖는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이 표시되는 쪽(사람이 화상을 시인하는 쪽)을 「시인 측」이라 부르고, 시인 측과 반대쪽(즉,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통상 백라이트 광원이라 불리는 광원이 설정되는 쪽)을 「광원 측」이라 칭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우측이 시인 측이고, 좌측이 광원 측이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has a light source 2, a liquid crystal cell 4, and a touch panel 6 as a functional layer. Here, in this specification, a side (a side on which a person looks at an image) on which an imag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is displayed is referred to as a " side on the viewer " Is set on the " light source side ". 1, the right side is the viewer side and the left side is the light source side.

액정 셀(4)의 광원 측 및 시인 측의 양쪽에는 각각 편광판(광원 측 편광판(3) 및 시인 측 편광판(5))이 설치되어 있다. 각 편광판(3, 5)은 전형적으로 편광자(7, 8)라 불리는 필름의 양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9a, 9b, 10a, 10b)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1의 화상 표시 장치(1)에는 시인 측 편광판(5)보다 시인 측에 기능층으로서 터치 패널(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은 저항막식의 터치 패널이다. 터치 패널(6)은 2매의 투명 도전성 필름(11, 12)이 스페이서(13)를 매개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투명 도전성 필름(11, 12)은 기재 필름(11a, 12a)과 투명 도전층(11b, 12b)을 적층한 것이다. 또한 터치 패널(6)의 광원 측 및 시인 측에는 접착층을 매개로 투명 기재인 비산 방지 필름(14, 15)이 설치되어 있다. A polarizing plate (a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3 and a visual side polarizing plate 5) is provided on both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visual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4, respectively. Each of the polarizers 3 and 5 has a structure in which polarizer protective films 9a, 9b, 10a and 10b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film, which is typically called polarizers 7 and 8.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 of Fig. 1, a touch panel 6 is provided as a functional layer on the visual side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5.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1 is a resistiv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6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11 and 12 are disposed via spacers 13.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11 and 12 are obtained by laminating the base films 11a and 12a and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11b and 12b. On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visual side of the touch panel 6, scattering prevention films 14 and 15, which are transparent substrates, are provided via an adhesive layer.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시인 측 편광판(5)의 시인 측에 설치하는 기능층으로서 터치 패널(6)을 기재하였으나, 터치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름을 갖는 층이라면 어떠한 층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로서 저항막식의 터치 패널을 기재하였으나, 투영형 정전용량식 등의 다른 방식의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터치 패널은 투명 도전성 필름을 2매 갖는 구조인데, 터치 패널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투명 도전성 필름 및/또는 비산 방지 필름의 수는 1매여도 된다.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 비산 방지 필름은 터치 패널(6)의 양측에 반드시 배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한쪽에 배치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양측에 비산 방지 필름을 배치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비산 방지 필름은 접착층을 매개로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되어도 되고, 접착층을 매개하지 않고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되어도 된다. 1, the touch panel 6 is described as a function layer provided on the visual side of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5. However, the touch panel 6 is not limited to the touch panel but may be any layer as long as it has a film. Although a resistive touch panel is described as a touch panel, other types of touch panels such as a projection-type capacitive touch panel may be used. The touch panel of Fig. 1 has a structure having two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but the structure of the touch panel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 or the shrinkage prevention film may be on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is not necessari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ouch panel 6, but may be disposed on either side, or may not be disposed on both sides. The anti-scattering film may be disposed on the touch panel via the adhesive layer, or may be disposed on the touch panel without mediating the adhesive layer.

<배향 필름의 위치 관계>≪ Position relation of orienting film >

화상 표시 장치에는 각종 목적으로 배향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향 필름이란, 복굴절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을 의미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시인성을 개선한다는 관점에서 3,000 ㎚ 이상 150,000 ㎚ 이하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2매의 배향 필름을 갖고, 이들의 리타데이션의 값이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값의 차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시인성을 개선한다는 관점에서 1,8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은 그들의 배향 주축이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배향 필름은 전형적으로 액정 셀(4)보다 시인 측에 있는 편광자(8)(이하, 「시인 측 편광자」라 칭한다)의 시인 측에 있는 필름, 즉 시인 측 편광자(8)보다 시인 측에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10b)(이하, 「시인 측 편광자 보호 필름」이라 칭한다), 스페이서(13)보다 광원 측에 있는 투명 도전성 필름(11)의 기재 필름(11a)(이하, 「광원 측 기재 필름」이라 칭한다), 스페이서(13)보다 시인 측에 있는 투명 도전성 필름(12)의 기재 필름(12a)(이하, 「시인 측 기재 필름」이라 칭한다), 시인 측 편광자 보호 필름(10b)과 광원 측 기재 필름(11a) 사이에 있는 비산 방지 필름(14)(이하, 「광원 측 비산 방지 필름」이라 칭한다) 및 시인 측 기재 필름(12a)보다 시인 측에 있는 비산 방지 필름(15)(이하, 「시인 측 비산 방지 필름」이라 칭한다)에 사용될 수 있다. An orientation film may be use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for various purpos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ientation film means a polymer film having birefringenc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the image display device preferably has two orientation films each having retardation of 3,000 nm or more and 150,000 nm or less, and the retardation values thereof are prefer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800 n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arranged such that their alignment main axe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Fig. 1, the orientation film is typically a film on the visual side of a polarizer 8 (hereinafter referred to as " viewer side polarizer ") on the viewing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4, Side polarizer protective film 10b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1 closer to the light source than the spacer 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olarizer protective film 10b " Side substrate film "), a base film 12a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sible side base film ") on the view side of the spacer 13, a visual side polarizer protective film Side scattering prevention film 14 between the light source side base film 12a and the light source side base film 11a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film 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source side scattering prevention film) 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 viewer-side shatterproof film ") .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이 설치되는 위치는 시인 측 편광자(8)보다 시인 측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하기 표 1에 예시하는 배치를 취할 수 있다. The position where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provi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arbitrary as long as it is closer to the view side than the visible side polarizer 8.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the arrangement shown in Table 1 below can be employe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와 같이,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은 모두 시인 측 편광자보다 시인 측에 존재하는 한 그들 위치는 제한되지 않고, 상호 위치 관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보다 리타데이션이 높은 배향 필름이 다른 한쪽의 배향 필름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보다 리타데이션이 높은 배향 필름이 다른 한쪽의 배향 필름보다 광원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패턴 1~10의 예에는 보다 리타데이션이 높은 배향 필름이 다른 한쪽의 배향 필름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는 경우 및 보다 리타데이션이 높은 배향 필름이 다른 한쪽의 배향 필름보다 광원 측에 배치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패턴 1~10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다른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에 있어서 비산 방지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기능 필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s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are all on the visual side of the viewer-side polarizer,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orientation film having a higher retardation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viewer side than the other orientation film, and the orientation film having higher retardation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light source than the other orientation film. Therefore, in the examples of the patterns 1 to 10 shown in Table 1, the orientation film having a higher retardation is disposed closer to the viewer side than the orientation film of the other orientation film, and the orientation film having a higher retardation is closer to the light source side As shown in Fig. Also, the patterns 1 to 10 shown in Table 1 are merely examples, and other combinations may be used. For example, in the above, the anti-scattering film may be any other functional fil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일의 부재에 복수의 배향 필름(필름군)이 사용되는 경우, 그들은 1매의 필름으로 간주한다. 여기서 부재란,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 광원 측 비산 방지 필름, 광원 측 기재 필름, 시인 측 기재 필름, 시인 측 비산 방지 필름 등의 기능적 및/또는 목적의 관점에서 별개의 부재로 판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lurality of orientation films (group of films) are used in a single member, they are regarded as one piece of film. The term " absence " herein means that the film is judged to be a separate member in terms of functions and / or purposes, for exampl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light source side scattering prevention film, a light source side base film, a visual side base film, do.

화상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무지개 얼룩 등의 색조의 흐트러짐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1,8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2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 이상이다.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disturbance of color tone such as rainbow stains in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difference in retardation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preferably 1,800 nm or more, preferably 2,500 nm or more, 3,200 nm or more, preferably 3,500 nm or more, preferably 4,000 nm or more, and preferably 5,000 nm or more.

화상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무지개 얼룩 등의 색조의 흐트러짐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은 그들의 배향 주축이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매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형성하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0도±20도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도±15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도±1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0도±5도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도±3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도±2도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도±1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하」라는 용어는 「±」의 다음 수치에만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0도±20도 이하」란 0도를 중심으로 상하 20도의 범위에서의 변동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disturbance of color tone such as rainbow stains in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arranged so that their alignment main axe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refore, the angle formed by the orientation principal axes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preferably 0 degrees ± 20 degrees, preferably 0 degrees ± 15 degrees, more preferably 0 degrees ± 10 degrees, and preferably 0 degrees Is not more than ± 5 °, preferably not more than 0 ° ± 3 °,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 ° ± 2 °,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 ° ± 1 °, and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below " means that only the following numerical value of " + "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 0 degree 占 20 degrees or less " means that variations in the upper and lower 20 degrees are allowed around 0 degree.

상기와 같이 2매의 배향 필름은 상호 배향 주축이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나, 2매의 필름의 리타데이션 차가 클수록, 상기 각도의 허용 범위는 커진다. 2매의 필름의 리타데이션 차가 3,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0 ㎚ 이상이면 상기 각도에 관계없이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ientation axes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are parallel to each other, but the larger the retardation difference of the two films, the larger the allowable range of the angle. When the retardation difference of two films is 3,500 nm or more, preferably 4,000 nm or more, rainbow stains can be suppressed irrespective of the above-mentioned angle.

무지개 얼룩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2매의 배향 필름 중 적어도 1매는 그의 배향 주축과 시인 측 편광자의 편광축이 형성하는 각이 거의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은 45도±30도 이하이고, 45도±2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45도±1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45도±1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45도±7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45도±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45도±3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45도이다. 2매의 배향 필름 중 보다 높은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에 대해서 상기의 위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has an angle formed by the orientation principal axis thereof and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viewer-side polarizer is approximately 45 degree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rainbow stains. Specifically, the angle is 45 degrees 30 degrees or less, 45 degrees 20 degrees or less, preferably 45 degrees 15 degrees or less, preferably 45 degrees 10 degrees or less, preferably 45 degrees 7 degrees or less , Preferably 45 degrees ± 5 degrees or less, preferably 45 degrees ± 3 degrees or less, and preferably 45 degrees.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film having higher retardation among the two orientation films.

상기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고리타데이션 배향 필름을 배치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절단된 고리타데이션 배향 필름을 그의 배향 주축이 편광자의 편광축과 특정 각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나, 고리타데이션 배향 필름을 비스듬히 연신하여, 편광자의 편광축과 특정 각도가 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The arrangement of the cyclic alignment film so as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is, for example, a method of arranging the cut cyclic alignment film in such a manner that the orientation principal axis of the cyclic alignment film is at a specific angle with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n stretching the film obliquely to arrange the film so as to have a specific angle with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r.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 Retardation of orientation film >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은 무지개 얼룩을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 3,000 ㎚ 이상 150,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4,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 이상이다. 한편, 당해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상한은 그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추가적인 시인성의 개선 효과는 실질적으로 얻어지지 않고, 또한 리타데이션의 높이에 따라서는 배향 필름의 두께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박형화로의 요청에 반할지도 모른다는 관점에서 150,000 ㎚로 설정되나, 더욱 높은 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tardation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preferably from 3,000 nm to 150,000 nm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rainbow stains. The lower limit of the retardation of the oriented film is preferably 4,500 nm or more, preferably 6,000 nm or more, preferably 8,000 n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000 nm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retardation of the oriented film is not substantially improved even if a polyester film having a retardation higher than that is used, and the thickness of the oriented film is also increas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retardation It is set to 150,000 nm from the viewpoint that it may be against the request for thinni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to a higher value.

본 명세서에 있어서 3,000 ㎚ 이상 150,000 ㎚ 이하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1매의 배향 필름은 그 배향 주축이 거의 평행인 한 인접하는 2매 이상의 배향 필름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2,000 ㎚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과 1,000 ㎚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평행 상태에 있을 때, 이들은 3,000 ㎚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1매의 배향 필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거의 평행이란 2개의 배향 주축이 형성하는 각이 0도±2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0도±1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0도±10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0도±5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0도±3도 이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도±2도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도±1도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도이다. 이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필름을 「필름군」으로서 1매의 필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다」는 것은 이웃하는 배향 필름이 첩합(貼合)되어 있는 경우 및 첩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oriented film having retardation of 3,000 nm or more and 150,000 nm or less may be formed by combining two or more adjacent oriented films as long as the main axis of alignment is substantially parallel. For example, when the oriented main axis of the orientation film having a retardation of 2,000 nm and the orientation axis of the oriented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0 nm are in parallel, they can be regarded as one orientation film having a retardation of 3,000 nm. Here, the term "substantially parallel" means that an angle formed by two alignment spindles is 0 degree ± 20 degrees, preferably 0 degrees ± 15 degrees, preferably 0 degrees ± 10 degrees, preferably 0 degrees ± 5 degrees , Preferably 0 degrees ± 3 degrees, preferably 0 degrees ± 2 degrees, preferably 0 degrees ± 1 degrees, and preferably 0 degrees. In this relationship, a plurality of films can be regarded as one film as " film group ". Here, " adjacent " includes both of the case where the adjacent orientation films are bonded (bonded) and the case where the orientation films are not bonded.

액정 표시 장치는 3,000 ㎚ 미만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을 임의의 위치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은, 예를 들면 50 ㎚ 이상, 100 ㎚ 이상, 200 ㎚ 이상, 300 ㎚ 이상, 400 ㎚ 이상 또는 500 ㎚ 이상이다. 또한 그러한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상한은, 예를 들면 3,000 ㎚ 미만, 2,500 ㎚ 미만 또는 2,300 ㎚ 미만이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orientation film having a retardation of less than 3,000 nm at an arbitrary position. The retardation of such an orientation film is, for example, 50 nm or more, 100 nm or more, 200 nm or more, 300 nm or more, 400 nm or more, or 500 n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retardation of such an orientation film is, for example, less than 3,000 nm, less than 2,500 nm, or less than 2,300 nm.

3,000 ㎚ 미만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은 1축 연신 배향 필름이어도 되고, 2축 연신 배향 필름이어도 되나, 필름의 찢어지기 쉬움을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 2축 연신 배향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orientation film having a retardation of less than 3,000 nm may be a uniaxially oriented orientation film or a biaxially oriented orientation film, but it is preferably a biaxially oriented orientation film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earability of the film.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은 공지의 수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축 방향의 굴절률과 두께를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자동 복굴절 측정장치(예를 들면 KOBRA-21ADH:오지 계측기기 주식회사 제조)를 사용하여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etardation of the oriented film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a known technique. Specifically, it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in the biaxi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it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automatic birefringence measuring device (for example, KOBRA-21ADH: manufactured by Oji Measurement Instruments Co., Ltd.).

무지개 얼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배향 필름은 그의 리타데이션(Re)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의 비(Re/Rth)가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이다.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은 필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봤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 및 △Nyz에 각각 필름 두께(d)를 곱해서 얻어지는 리타데이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Re/Rth가 클수록, 복굴절의 작용은 등방성을 증대시켜 화면으로의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간단하게 「리타데이션」으로 기재하는 경우는 면내 리타데이션을 의미한다.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ly suppressing rainbow stains, the orientation film preferably has a ratio Re / Rth of retardation (Re) to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preferably 0.2 or more, preferably 0.5 or more, 0.6 or more.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means an average value of retardation obtained by multiplying two birefringence DELTA Nxz and DELTA Nyz when viewed from the cross-section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by the film thickness d. The larger the Re / Rth, the more the action of the birefringence increases the isotropy and can more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on the scree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retardation" simply means in-plane retardation.

Re/Rth의 최대값은 2.0(즉, 완전한 1축 대칭성 필름)인데, 완전한 1축 대칭성 필름에 근접함에 따라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Re/Rth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비율이 1.0 이하여도 화상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시야각 특성(좌우 180도, 상하 120도 정도)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The maximum value of Re / Rth is 2.0 (that is, a complete uniaxial symmetric film),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lignment direction tends to decrease as the film approaches the complete uniaxial symmetric film.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Re / Rth of the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1.2 or less, preferably 1.0 or less.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about 180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bout 12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required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even when the ratio is 1.0 or less.

배향 필름은 공지의 수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향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액정성 폴리머 수지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액정 화합물을 첨가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배향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필름, 시클로올레핀 필름, 액정성 필름, 셀룰로오스계 수지에 액정 화합물이 첨가된 필름일 수 있다. The orientation film can be produc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a known technique. For example, the orientation film may be formed by add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to a polyester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polystyrene resin, a syndiotactic polystyrene resin, a polyetheretherketone resin, a polyphenylene sulfide resin, a cycloolefin resin, And a resin obtained by adding an epoxy resin to an epoxy resin. Therefore, the orientation film is preferably a film obtained by add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to a polyester film, a polycarbonate film, a polystyrene film, a syndiotactic polystyrene film, a polyether ether ketone film, a polyphenylene sulfide film, a cycloolefin film, Film.

배향 필름의 바람직한 원료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이다. 이들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한 동시에 열적, 기계적 특성도 우수하여 연신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는 고유 복굴절이 커서 필름의 두께가 얇더라도 비교적 용이하게 커다란 리타데이션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고유 복굴절률이 큰 것으로부터 리타데이션을 특히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나, 리타데이션을 높게 유지하면서 필름 두께를 얇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대표예로서 보다 구체적인 배향 필름의 제조방법을 후술한다. Preferred raw resin resins for the orientation film are polycarbonate and / or polyester, syndiotactic polystyrene. These resins have excellent transparency and excellent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so that retarda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by stretching. Polyesters typified by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re preferable because of their large intrinsic birefringence and large retardation comparatively easily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small. Particularly, polyethylene naphthalate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the retardation is desirably high especially from the polyester having a high intrinsic birefringence, or when the film thickness is to be made thin while maintaining a high retardat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polyester resin, a more specific method of producing an oriented film will be described below.

<배향 필름의 제조방법>≪ Orientation film production method >

아래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로 배향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임의의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축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설폰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헥사히드로이소프탈산, 말론산, 디메틸말론산, 숙신산, 3,3-디에틸숙신산, 글루타르산, 2,2-디메틸글루타르산, 아디프산, 2-메틸아디프산, 트리메틸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다이머산, 세바스산, 수베르산, 도데카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A method for producing an orientation film will be described below by taking a polyester film as an example. The polyester film can be obtained by condensation of any dicarboxylic acid with a diol. As the dicarboxylic acid, for exampl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orthophthalic acid, 2,5-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5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diphenylcarboxylic acid, diphenoxyethane dicarboxylic acid, diphenylsulfonic acid, anthracene dicarboxylic acid, 1,3-cyclopentanedicarboxylic acid, 1,3- Hexahydroterephthalic acid, hexahydroisophthalic acid, malonic acid, dimethyl malonic acid, succinic acid, 3,3-diethyl succinic acid, glutaric acid, 2, 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2-dimethylglutaric acid, adipic acid, 2-methyladipic acid, trimethyladipic acid, pimelic acid, azelaic acid, dimeric acid, sebacic acid, suberic acid and dodecadicarboxylic acid.

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데카메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diols include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hexam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1,2-cyclohexanedimethanol, 1,4-cyclohexanedimethanol, decam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 4-butanediol, 1,5-pentanediol, 1,6-hexanediol,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and bis (4-hydroxyphenyl) sulfone.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은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른 공중합 성분을 포함해도 되고, 기계 강도의 관점에서는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3 몰% 이하가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2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몰% 이하이다. 이들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한 동시에 열적, 기계적 특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들 수지는 연신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the diol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ester film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ester resin constituting the polyester film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the like,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polyester resin may contain other copolymerizable components. From the viewpoint of mechanical strength, the proportion of the copolymerizable component is preferably 3 mol% or less, preferably 2 mol% or less, more preferably 1.5 mol% or less. These resins have excellent transparency and excellent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se resins can also easily control the retardation by stretching.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하고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여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롤의 속도 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2축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고리타데이션 배향 필름은 비스듬히 45도로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The polyester film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a general manufactur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olyester resin is melted and extruded into a sheet, and the unoriented polyester thus formed is stretched in the machine direction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the speed difference of the roll, and then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a tenter By conducting the heat treatment, an oriented polyester film can be obtained. The polyester film may be a uniaxially stretched film or a biaxially stretched film. The cyclic alignment film may be stretched obliquely at 45 degrees.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기 위한 제조 조건은 공지의 수법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연신 온도 및 횡연신 온도는 통상 80~130℃이고, 바람직하게는 90~120℃이다. 종연신 배율은 통상 1.0~3.5배이고, 바람직하게는 1.0배~3.0배이다. 또한 횡연신 배율은 통상 2.5~6.0배이고, 바람직하게는 3.0~5.5배이다. The production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polyester film can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a known technique.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transverse stretching temperature are usually 80 to 130 占 폚, preferably 90 to 120 占 폚.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usually 1.0 to 3.5 times, preferably 1.0 to 3.0 times. The transverse draw ratio is usually 2.5 to 6.0 times, preferably 3.0 to 5.5 times.

리타데이션을 특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은 연신 배율이나 연신 온도,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연신과 횡연신의 연신 배율 차가 높을수록,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반대로 종연신과 횡연신의 연신 배율 차가 낮을수록, 연신 온도가 높을수록, 필름의 두께가 얇을수록 낮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연신 온도가 높을수록, 토탈 연신 배율이 낮을수록,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가 낮은 필름을 얻기 쉬워진다. 반대로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토탈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가 높은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열처리 온도는 통상 140~240℃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80~240℃이다. Controlling the retardation to a specific range can be perform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drawing magnification,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For example, the higher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difference in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ransverse stretching, the lower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thicker the film, the easier it is to obtain a higher retardation. Conversely, the lower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difference between longitudinal stretching and transverse stretching, the higher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thinner the film, the easier to obtain a lower retardation. Further, the higher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lower the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the easier to obtain a film having a lower ratio of retardation to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 / Rth). Conversely, the lower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higher the total stretching ratio, the higher the ratio of retardation to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e / Rth).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usually 140 to 240 占 폚, preferably 180 to 240 占 폚.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 편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 차를 두기 위해 종연신 배율을 낮게 하면 세로 두께 편차의 값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세로 두께 편차의 값은 연신 배율의 어느 특정 범위에서 매우 높아지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범위를 벗어나도록 제막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retardation in the polyester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deviation of the film is small. When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is lowered to place the retardation difference,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thickness deviation may be increased. Since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thickness deviation is extremely high in a certain range of the draw ratio, it is preferable to set the film formation condition so as to deviate from such a range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 편차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 편차는 임의의 수단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연속된 테이프 형상 샘플(길이 3 m)을 채취하고, 시판되는 측정기(예를 들면 (주)세이코·이엠 제조 전자 마이크로미터 밀리트론 1240)를 사용하여 1 ㎝ 피치로 100점의 두께를 측정하여 두께의 최대값(dmax), 최소값(dmin), 평균값(d)을 구하고, 하기 식으로 두께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The thickness deviation of the oriented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5.0% or less, more preferably 4.5%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4.0%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 or less. The thickness variation of the film can be measured by any means. For example, a tape-shaped sample (length 3 m) continuou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ilm is sampled and measured at a pitch of 1 cm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measuring instrument (for example, electron micrometer Millitron 1240 manufactured by Seiko, (Dmax), the minimum value (dmin), and the average value (d) are obtained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100 points, and the thickness deviation (%)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화상 표시 셀 및 광원>≪ Image display cell and light source >

화상 표시 장치는 전형적으로 화상 표시 셀로서 액정 셀 또는 유기 EL 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는 무지개 얼룩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가 액정 셀을 구비하는 경우, 화상 표시 장치는 그러한 광원을 화상 표시 셀과는 독립된 광원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기 EL 셀의 경우는 그 자체가 광원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유기 EL 셀 자체가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빛을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광원의 방식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지라이트 방식 또는 직하형 방식일 수 있다.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이란 적어도 450~650 nm의 파장영역,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의 영역에 있어서 빛의 강도가 제로가 되는 파장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발광 스펙트럼을 의미한다. 가시광 영역이란, 예를 들면 400~760 nm의 파장영역으로, 360~760 nm, 400~830 nm 또는 360~830 nm일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typically include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cell as an image display cell. Further, the image display device preferably has a white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and broad emission spectrum in view of suppressing rainbow stains.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liquid crystal cel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preferably includes such a light source as a light source independent of the image display ce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organic EL cell, since the organic EL cell itself has a function of a light sou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ganic EL cell itself is continuous and emits light having a broad emission spectrum. The manner and structure of the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and broad emission spectr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n edge light type or a direct lower type. Means a luminescence spectrum in which there is no wavelength region in which the intensity of light is zero in a wavelength region of at least 450 to 650 nm, preferably in the region of visible light. The visible light region may be, for example, a wavelength range of 400 to 760 nm, and may be 360 to 760 nm, 400 to 830 nm, or 360 to 830 nm.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를 들 수 있다. 백색 LED에는 형광체 방식의 것(즉,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 청색광, 또는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를 조합함으로써 백색을 발하는 소자)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가지며 또한 발광 효율도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바람직하다. As a white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and broad emission spectrum, for example,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white LED) can be mentioned. The white LED includes a phosphor type (that is, an element emitting white light by combining a blue light using a compound semiconductor or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sphor emitting ultraviolet light)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have.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comprising a blue light emitting diode using a compound semiconductor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made of a combination of a yttrium aluminum garnet yellow phospho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a continuous and broad luminescence spectrum and excellent luminescence efficiency.

액정 셀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액정 셀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고, 그 방식이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VA 모드, IPS 모드, TN 모드, STN 모드나 밴드 배향(π형) 등의 액정 셀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셀은 공지의 액정 재료 및 향후 개발될 수 있는 액정 재료로 제작된 액정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액정 셀은 투과형 액정 셀이다. The liquid crystal cell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in any liquid crystal cell that can be u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manner and structure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liquid crystal cells such as a VA mode, an IPS mode, a TN mode, an STN mode, and a bend alignment (? Typ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Therefore, the liquid crystal cell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s a known liquid crystal material and a liquid crystal made of a liquid crystal material which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A preferred liquid crystal cell in one embodiment is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cell.

유기 EL 셀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알려지는 유기 EL 셀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EL 셀은 발광체(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발광체)로, 전형적으로 투명 기재 상에 투명 전극, 유기 발광층 및 금속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유기 발광층은 각종 유기 박막의 적층체로, 예를 들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의 적층체 및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 EL 셀은 화상 표시 셀로서의 기능과 광원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가 유기 EL 셀을 구비하는 경우에 독립된 광원은 불필요하다. 즉,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원과 화상 표시 장치는 그들의 기능이 발휘되는 한 서로 독립된 존재여도 되고 일체의 형태여도 된다. As the organic EL cell, an organic EL cell known in the ar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n organic EL cell is a light emitting body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emitting element), typical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metal electrode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is a laminate of various organic thin films, for example, a laminate of a hole injecting layer made of triphenylamine derivative or the like and a luminescent layer made of a fluorescent organic solid such as anthracene, and an electron injecting layer made of such luminescent layer and perylene derivative And a laminate.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EL cell has both a function as an image display cell and a function as a light source, and thus an independent light source is unnecessary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organic EL cell. That is, the light sourc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or may be integrated as long as their functions are exerted.

화상 표시 셀로서 유기 EL 셀을 사용하는 경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판은 필수는 아니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의 두께가 10 nm 정도로 매우 얇기 때문에 외광이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고 재차 시인 측으로 출사되어, 외부로부터 시인했을 때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경면과 같이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외광의 경면 반사를 차폐하기 위해 유기 EL 셀의 시인 측에 편광판 및 1/4 파장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가 유기 EL 셀 및 편광판을 갖는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의 액정 셀(4)을 유기 EL 셀로 생각하고, 시인 측 편광판(5)을 편광판으로서 생각하면, 액정 표시 장치(1)에 있어서의 배향 필름의 위치 관계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When an organic EL cell is used as an image display cell, a polarizing plate in an image display device is not essential.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is as thin as about 10 nm, the external light is reflected by the metal electrode, is emitted again to the viewer side, and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display surface of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may look like a mirror surface. In order to shield the specular reflection of the external ligh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and a 1/4 wavelength plate on the viewer side of the organic EL cell. Therefore,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has the organic EL cell and the polarizing plate, the liquid crystal cell 1 in Fig. 1 is regarded as the organic EL cell and the viewer side polarizing plate 5 is regarded as the polarizing plat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orientation film can be applied as it is.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편광판은 필름 형상의 편광자 양측을 2매의 보호 필름(「편광자 보호 필름」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사이에 끼운 구조를 갖는다. 편광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편광자(또는 편광 필름)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 등에 요오드 등의 2색성 재료를 염착시킨 것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 및 향후 개발될 수 있는 편광자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of the film polarizer are sandwiched between two protective films (sometimes referred to as &quot; polarizer protective film &quot;). The polariz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as any polarizer (or polarizing film) used in the technical fiel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polarizer include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in which a dichromatic material such as iodine is dyed. However, the polarizer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known and later-developed polariz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PVA 필름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쿠라레 비닐론((주)쿠라레 제조)」, 「토세로 비닐론(토세로(주) 제조)], 「니치고 비닐론(닛폰 합성 화학(주) 제조)]등을 사용할 수 있다. 2색성 재료로서는 요오드, 디아조 화합물, 폴리메틴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The PVA film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and examples of the PVA film may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Kurarabinylon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Torarovinylon (manufactured by Toray Industries, )) And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dichroic material include iodine, diazo compounds, and polymethine dyes.

편광자는 임의의 수법으로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PVA 필름을 2색성 재료로 염착시킨 것을 붕산 수용액 중에서 1축 연신하여,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 세정 및 건조를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통상 4~8배 정도인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제조 조건 등은 공지의 수법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The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an arbitrary method, and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uniaxially stretching a PVA film dyed with a dichroic material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washing and drying while maintaining the stretched state.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uniaxial stretching is usually about 4 to 8 time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ther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a known technique.

시인 측 편광자의 시인 측의 보호 필름(시인 측 편광자 보호 필름)은 배향 필름 또는 종래부터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임의의 필름일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otective film (visible-side polarizer protective film) on the viewer's side of the viewer-side polarizer may be an orientation film or any film conventionally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시인 측 편광자의 광원 측 보호 필름 및 광원 측 편광자의 보호 필름의 종류는 임의로, 종래부터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필름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취급성 및 입수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아크릴 필름 및 환상 올레핀계 필름(예를 들면 노르보르넨계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올레핀계 필름(예를 들면 TPX)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복굴절성을 갖지 않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er of the viewer-side polarizer can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those conventionally used as a protective film. (For example, a norbornene-based film), a polypropylene film, and a polyolefin-based film (for example, a TPX film or a polypropylene film) from the viewpoints of ease of handling and availability, ) Or the like is preferably used as the film having no birefringence.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인 측 편광자의 광원 측 보호 필름 및 광원 측 편광자의 시인 측 보호 필름은 광학 보상 기능을 갖는 광학 보상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광학 보상 필름은 액정의 각 방식에 맞춰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중에 액정 화합물(예를 들면 디스코틱 액정 화합부 및/또는 복굴절성 화합물)을 분산시킨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수지), 프로피오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수지, 아크릴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락톤 고리 함유 수지 및 이미드기 함유 폴리올레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side protective film of the viewer side polarizer and the viewer side protective film of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er are preferably optical compensation films having an optical compensation function. Such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each mode of the liquid crystal,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resins obtained by dispers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for example, a discotic liquid crystal compound and / or a birefringent compound) in triacetyl cellulose, a cyclic olefin resin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orbornene resin, a propionyl acetate resin, a polycarbonate film resin, an acrylic resin, a 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 resin, a lactone ring-containing resin, and an imide group-containing polyolefin resin .

광학 보상 필름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을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TN 방식용 「와이드뷰-EA」 및 「와이드뷰-T」(후지 필름사 제조), VA 방식용 「와이드뷰-B」(후지 필름사 제조), VA-TAC(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제오노아 필름」(제온 코퍼레이션 제조), 「아톤」(JSR사 제조), 「X-plate」(닛토 덴코사 제조) 및 IPS 방식용 「Z-TAC」(후지 필름사 제조), 「CIG」(닛토 덴코사 제조), 「P-TAC」(오쿠라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Since optical compensation film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m appropriately. For example, "Wide View -EA" and "Wide View-T" (manufactured by Fuji Photo Film Co., Ltd.) for TN mode, "Wide View-B" "Z-TAC" (manufactured by Fuji Film), "X-plate"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and "IPS"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Zeonoa Film" CIG "(manufactured by Nitto Denko Corporation), and" P-TAC "(manufactured by Okura Kogyo Co., Ltd.).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 상에 직접 또는 접착제층을 매개로 적층할 수 있다. 접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접착제를 매개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얇게 하는 관점에서 수계의 것(즉,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한 것 또는 물에 분산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하고,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을 배합한 조성물을 접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can be laminated directly on the polarizer or via an adhesive lay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it is preferable to laminate via an adhesive.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adhesive may be used.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 water-based one (that is, an adhesive component dissolved in water or dispersed in water) is preferable. For example, when a polyester film is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yvinyl alcohol resin, a urethane resin, or the like is used as a main component, and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or the like is blended The composition can be used as an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5 占 퐉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3 占 퐉 or less.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TAC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맞붙일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 환상 올레핀계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TPX 등의 투습성이 낮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접착제로서 광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광경화성 에폭시 수지와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When a TAC film is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may be used. When a polarizer protective film such as an acrylic film, a cycloolefin film, a polypropylene film, or a film having low moisture permeability such as TPX is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hoto-curable adhesive as an adhesive. Examples of the photocurable resin include a mixture of a photocurable epoxy resin a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임의로, 예를 들면 15~3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200 ㎛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be suitably set,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5 to 300 mu m,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200 mu m.

<터치 패널, 투명 도전성 필름, 기재 필름, 비산 방지 필름><Touch panel, transparent conductive film, base film, shatterproof film>

화상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종류 및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및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들 수 있다. 터치 패널은 그 방식에 관계없이 통상 1매 또는 2매 이상의 투명 도전성 필름을 갖는다. 투명 도전성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에는 배향 필름 또는 종래부터 기재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다른 필름 또는 유리판 등의 강성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touch panel. The type and method of the touch panel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esistive touch panel and a capacitive touch panel. The touch panel usually has one or two or mor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irrespective of the method.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laminated on a base film. 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film may be an orientation film or another film or a rigid plate such as a glass plate conventionally used as a base film.

기재 필름으로서 종래부터 사용되는 다른 필름으로서는 투명성을 갖는 각종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Examples of other films conventionally used as a base film include various resin films having transparency. (Meth) acrylic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 polyimide resin, polyimide resin, polyolefin resin, A film obtained from 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a polyarylate resin and a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an be used. Among these, a polyester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nd a polyolefin resin are preferable, and a polyester resin is preferable.

기재 필름의 두께는 임의이나 15~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is arbitrary, but i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500 탆.

기재 필름은 표면에 사전에 스퍼터링, 코로나 방전, 화염,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화성, 산화 등의 에칭처리나 언더코팅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되는 투명 도전층 등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 등을 설치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의 표면을 용제 세정이나 초음파 세정 등에 의해 제진(除塵), 청정화해도 된다. The substrate film may be subjected to an etching treatment or an undercoating treatment such as sputtering, corona discharge, flame, ultraviolet irradiation, electron beam irradiation, chemical conversion and oxidation in advance. As a result, adhesion with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r the like provided on the base film can be improved. Further, before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r the like is provided,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may be cleaned (cleaned) by solvent cleaning, ultrasonic cleaning or the like as necessary.

투명 도전층은 직접 기재 필름에 적층되어도 되는데, 이(易)접착층 및/또는 각종 다른 층을 매개로 적층할 수 있다.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 인덱스 매칭(IM)층 및 저굴절률층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적층 구조로서는, 다음의 6가지 패턴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directly laminated on the base film, and the laminate can be laminated via the adhesive layer and / or various other layers. Examples of the other layer include a hard coat layer, an index matching (IM) layer and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e the following six patter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기재 필름/이접착층/투명 도전층(1) Base film / adhesive layer /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2) 기재 필름/이접착층/하드 코트층/투명 도전층(2) Base film / adhesive layer / hard coat layer /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3) 기재 필름/이접착층/IM(인덱스 매칭)층/투명 도전층(3) Base film / adhesive layer / IM (index matching) layer /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4) 기재 필름/이접착층/하드 코트층/IM(인덱스 매칭)층/투명 도전층(4) Base film / adhesive layer / hard coat layer / IM (index matching) layer /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5) 기재 필름/이접착층/하드 코트층(고굴절률로 IM을 겸한다)/투명 도전층(5) Base film / adhesive layer / hard coat layer (also serving as high refractive index IM) /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6) 기재 필름/이접착층/하드 코트층(고굴절률)/저굴절률층/투명 도전성 박막(6) Base film / adhesive layer / hard coat layer (high refractive index) / low refractive index layer /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IM층은 그 자체가 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적층 구성(투명 도전성 박막 측이 저굴절률층)이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액정 표시 화면을 보았을 때 ITO 패턴을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6)과 같이 IM층의 고굴절률층과 하드 코트층을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여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Since the IM layer itself has a lamination structure of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the sid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is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ITO pattern hard to be seen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is viewed.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te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of the IM layer and the hard coat layer as in the above (6), which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상기 (3)~(6)의 구성은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상기 (2)~(6)의 구성은 기재 필름의 표면에 올리고머가 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기재 필름의 다른 한쪽 편면에도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figurations (3) to (6)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the capacitive touch panel. The constitutions (2) to (6)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oligomers from being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hard coat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film.

기재 필름 상의 투명 도전층은 도전성 금속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다. 투명 도전층을 구성하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듐, 주석, 아연, 갈륨, 안티몬, 티탄, 규소, 지르코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금, 은, 동, 팔라듐,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이 사용된다. 당해 금속 산화물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상기 군에 나타내어진 금속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바람직한 투명 도전층은, 예를 들면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층 및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ATO)층이고, 바람직하게는 ITO층이다. 또한 투명 도전층은 Ag 나노와이어, Ag 잉크, Ag 잉크의 자기 조직화 도전막, 망목상 전극, CNT 잉크, 도전성 고분자여도 된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base film is formed by a conductive metal oxide. The conductive metal oxide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dium, tin, zinc, gallium, antimony, titanium, silicon, zirconium, magnesium, aluminum, gold, silver, copper, palladium and tungsten Conductive metal oxides of one or more metals are used. The metal oxide may further contain a metal atom represented by the above-mentioned group, if necessary. A preferred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for example, a tin doped indium oxide (ITO) layer and an antimony doped tin oxide (ATO) layer, preferably an ITO lay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a Ag nanowire, Ag ink, a self-organizing conductive film of Ag ink, a mesh electrode, a CNT ink, or a conductive polymer.

투명 도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0 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30 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15 nm 이상이면 표면저항이 예를 들면 1×103Ω/□ 이하인 양호한 연속 피막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40 nm 이하이면 보다 투명성이 높은 층으로 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nm or more, more preferably 15 to 40 nm, and further preferably 20 to 30 nm.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15 nm or more, a good continuous film having a surface resistance of, for example, 1 x 10 &lt; 3 &gt;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s 40 nm or less, a layer having higher transparency can be obtained.

투명 도전층은 공지의 절차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을 예시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비정질이어도 되고, 결정성의 것이어도 된다. 결정성의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단 기재 상에 비정질막을 형성한 후, 그 비정질막을 가요성 투명 기재와 함께 가열·결정화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can be formed according to a known procedure. For example, a vacuum deposition method, a sputtering method, and an ion plating method.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y be amorphous or crystalline. As a method of forming a crystallin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morphous film on a base material and then heat and crystallize the amorphous film together with the flexible transparent base material.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 도전층 면내의 일부가 제거되어 패턴화된 것이어도 된다. 투명 도전층이 패턴화된 투명 도전성 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 형성부와, 기재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패턴 개구부를 갖는다. 패턴 형성부의 형상은,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 형상 외에 스퀘어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tterned by remov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patterned with the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has a pattern forming portion hav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base film and a pattern opening portion having no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on the base film. The shape of the pattern forming portion may be, for example, a square shape in addition to a stripe shape.

터치 패널에는 상기 투명 기재로서 1매 또는 2매 이상의 비산 방지 필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산 방지 필름은 배향 필름 또는 종래부터 비산 방지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각종 필름(예를 들면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서 기재한 투명 수지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산 방지 필름이 2매 이상 설치되는 경우, 그들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panel has one or two or more pieces of the anti-scattering film as the transparent substrate. As the shrinkage preventing film, it is possible to use an orientation film or various films conventionally used as a shrinkage prevention film (for example, a transparent resin film described for the base film). When two or more shake-prevention films are provided, they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may be different.

편광자 보호 필름, 기재 필름 및 비산 방지 필름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무기 입자, 내열성 고분자 입자,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토류 금속 화합물, 인 화합물, 대전방지제, 내광제, 난연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겔화방지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예를 들면 무기 입자의 경우, 형광 X선 분석으로 무기 원소를 정량한 경우에 중량으로 5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출한계 이하가 되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base film and the anti-scattering film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insofar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Examples thereof include ultraviolet absorbers, inorganic particles, heat resistant polymer particles, alkali metal compounds,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s, phosphorus compounds, antistatic agents, light stabilizers, flame retardant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gelling agents and surfactants. In order to exhibit high transparency,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olyester film contains substantially no particles. The phrase &quot; substantially not containing particles &quot; means that,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organic particles, when inorganic elements are quantified by fluorescent X-ray analysis, the amount is 50 ppm or less, preferably 10 ppm or less, Means the content below the limit.

배향 필름은 각종 기능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방지층, 저반사층, 저반사 방현층, 반사방지 방현층, 대전방지층, 실리콘층, 점착층, 방오층, 발수층 및 블루컷층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방현층, 반사방지층, 저반사층, 저반사 방현층, 반사방지 방현층을 설치함으로써 사선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의 색 불균일이 개선된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The orientation film may have various functional layers. Examples of such functional layers include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low reflection layer, a low reflectio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antiglare layer, an antistatic layer, a silicone layer, an adhesive laye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nti-glare layer,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low reflection layer, the low reflection antiglare layer, and the anti-reflection anticorrosion layer are provided so that the color unevenness observed in the oblique direction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각종 기능층을 설치할 때 배향 필름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사광에 의한 간섭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이접착층의 굴절률을 기능층의 굴절률과 배향 필름의 굴절률의 기하평균 근방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굴절률의 조정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에 티탄이나 지르코늄, 기타 금속종을 함유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have this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orientation film when various functional layers are provided. At this tim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interference by the reflected light,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so as to be the geometric mean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unctional layer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ientation fil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adjust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the binder resin can be easily adjusted by containing titanium, zirconium or other metal species.

(하드 코트층)(Hard coat layer)

하드 코트층은 경도 및 투명성을 갖는 층이면 되고, 통상 자외선 또는 전자선으로 대표적으로는 경화시키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열로 경화시키는 열경화성 수지 등의 각종 경화성 수지의 경화 수지층으로서 형성된 것이 이용된다. 이들 경화성 수지에 적절히 유연성, 기타 물성 등을 부가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 등도 적절히 첨가해도 된다. 경화성 수지 중에서도 대표적이며 또한 우수한 경질 도막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이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이다. The hard coat layer may be a layer having hardness and transparency, and is usually formed as a cured resin layer of various types of curable resin such as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which is typically cured by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or a thermosetting resin which is cured by heat. A thermoplastic resin or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added to suitably add flexibility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to these curable resins. Among ion-curable resins, ionic radiation-curable resins are preferred because they are representative and excellent hard coating films can be obtained.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수지를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또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과 같은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이들 화합물은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등으로서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인 각종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비교적 저분자량으로 사용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nventionally known resins may be suitably employed. 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having an ethylenic double bond,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such as an epoxy compound and the like are typically used. These compounds may be monomers, oligomers, prepolymers, etc., Can be used in combination. Representative compounds are various (meth) acrylate compounds which are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s. (Meth) acrylate compounds such as polyester (meth) acrylate, polyether (meth) acrylate, acryl (meth) acrylate, epoxy Urethane (meth) acrylate, and the like.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메틸스티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또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 등도 적절히 사용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Examples of the monomer include monofunctional monomers such as ethyl (meth) acrylate, ethylhexyl (meth) acrylate, styrene, methylstyrene and N-vinylpyrrolidone, and monofunctional monomers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and the like are also suitably used.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전자선으로 경화시키는 경우 광중합개시제는 불필요하나,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경우는 공지의 광중합개시제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계의 경우는, 광중합개시제로서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양이온 중합계의 경우는 광중합개시제로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설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설폰산에스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cured by electron beam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required, but when it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a know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u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adical polymerization system, acetophenones, benzophenones, thioxanthones, benzoins, benzoin methyl ethers, and the like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as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In the case of the cationic polymerization system, an aromatic diazonium salt, an aromatic sulfonium salt, an aromatic iodonium salt, a metallocene compound, a benzoin sulfonic acid ester, and the like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적당한 두께로 하면 되고, 예를 들면 0.1~100 ㎛이나 통상은 1~30 ㎛로 한다. 또한 하드 코트층은 공지의 각종 도공법을 적절히 채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hard coat layer may be set to a suitable thickness, for example, 0.1 to 100 占 퐉, usually 1 to 30 占 퐉. The hard coat layer can be formed by appropriately employing various known coating methods.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에는 적절한 물성 조정 등을 위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각각,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A thermoplastic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may be appropriately added to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for proper property adjustment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or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an acrylic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polyester resin, respectively.

하드 코트층에 내광성을 부여하여 일광 등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의한 변색, 강도 열화, 균열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경우, 그 자외선 흡수제에 의해 하드 코트층의 경화가 저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전자선으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입경 0.2 ㎛ 이하의 미립자상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세륨 등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등 공지의 물질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에 0.01~5 질량% 정도이다. 내광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와 병용하여 힌더드 아민계 라디칼 포착제 등의 라디칼 포착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선 조사는 가속전압 70 kV~1 MV, 조사선량 5~100 kGy(0.5~10 Mrad) 정도이다.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an ultraviolet absorber to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n order to impart light resistance to the hard coat layer to prevent discoloration, strength deterioration, cracking, and the like caused by ultraviolet rays contained in daylight or the like. In the case of adding an ultraviolet absorber, it is preferable to cure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with an electron beam to reliably prevent the hard coat layer from being inhibited by the ultraviolet absorber. As the ultraviolet absorber,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such as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 benzophenone-based compound or the like, or an inorganic ultraviolet absorber such as zinc oxide, titanium oxide or cerium oxide in a fine particle size of 0.2 m or less may be selected and used. The added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s about 0.01 to 5% by mass in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add a radical scavenger such as a hindered amine radical scavenger in combination with an ultraviolet absorber. In addition, the electron beam irradiation has an acceleration voltage of 70 kV to 1 MV and an irradiation dose of 5 to 100 kGy (0.5 to 10 Mrad).

(방현층)(Antiglare layer)

방현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채용하면 되고, 일반적으로 수지 중에 방현제를 분산한 층으로서 형성된다. 방현제로서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의 미립자가 사용된다. 이들 미립자의 형상은 진구 형상, 타원 형상 등이다.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의 것이 좋다. 이러한 미립자는, 예를 들면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비드,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수지 비드를 들 수 있다. 수지 비드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비드, 멜라민 비드, 아크릴 비드, 아크릴-스티렌 비드, 폴리카보네이트 비드, 폴리에틸렌 비드,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비드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는 통상 수지분 100 질량부에 대해 2~3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0~25 질량부 정도 첨가할 수 있다. As the antiglare layer, conventionally known ones may be suitably employed, and they are generally formed as a layer in which a dispersing agent is dispersed in a resin. As the dispersing agent, inorganic or organic fine particles are used. The shape of these fine particles is a sphere shape, an ellipse shape, and the like. The fine particles are preferably transparent. Examples of such fine particles include silica beads as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resin beads as the organic fine particles. Examples of the resin beads include styrene beads, melamine beads, acrylic beads, acryl-styrene beads, polycarbonate beads, polyethylene beads, benzoguanamine-formaldehyde beads, and the like. The fine particles are usually added in an amount of 2 to 30 parts by mass, preferably 10 to 25 parts by mass,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방현제를 분산 유지하는 상기 수지는 하드 코트층과 마찬가지로 될 수 있는 한 경도가 높은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지로서, 예를 들면 상기 하드 코트층에서 기술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sin for dispersing and retaining the flame retardant is preferably as hard as possible as in the case of the hard coat layer. Therefore, as the resin, for example,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described in the hard coat layer, a curable resin such as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방현층의 두께는 적당한 두께로 하면 되고, 통상은 1~20 ㎛ 정도로 한다. 방현층은 공지의 각종 도공법을 적절히 채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현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액 중에는 방현제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카 등의 공지의 침강 방지제를 적절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may be set to a suitable thickness, usually about 1 to 20 mu m. The antiglare layer can be formed by appropriately employing various known coating methods. It is preferable to appropriately add a known anti-settling agent such as silica in order to prevent precipitation of the antiglare agent in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glare layer.

(반사방지층)(Antireflection layer)

반사방지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반사방지층은 적어도 저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저굴절률층과 (그 저굴절률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층을 번갈아 인접 적층하고 또한 표면 측을 저굴절률층으로 한 다층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의 각 두께는 용도에 따른 적당한 두께로 하면 되고, 인접 적층 시에는 각각 0.1 ㎛ 전후, 저굴절률층 단독 시에는 0.1~1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antireflection layer, conventionally known ones may be appropriately employed. In general, the antireflection layer is composed of at least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is composed of a multilayered layer in which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at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re laminated alternately and the surface side is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 The thicknesse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about 0.1 占 퐉 in the adjacent lamination and 0.1 to 1 占 퐉 in the case of only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저굴절률층으로서는 실리카, 불화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물질을 수지 중에 함유시킨 층, 불소계 수지 등의 저굴절률 수지의 층, 저굴절률 물질을 저굴절률 수지 중에 함유시킨 층, 실리카, 불화마그네슘 등의 저굴절률 물질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막 형성법(예를 들면 증착, 스퍼터, CVD 등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기상 성장법)으로 형성한 박막, 산화규소의 졸액으로부터 산화규소 겔막을 형성하는 졸겔법으로 형성한 막, 또는 저굴절률 물질로서 공극 함유 미립자를 수지 중에 함유시킨 층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nclude a layer containing a low refractive index material such as silica and magnesium fluoride in a resin, a layer of a low refractive index resin such as a fluorine resin, a layer containing a low refractive index material in a low refractive index resin, A thin film formed by a thin film formation method (physical or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such as vapor deposition, sputtering, or CVD), a film formed by a sol-gel method for forming a silicon oxide gel film from a sol of a silicon oxide, And a layer containing void-containing fine particles as a refractive index material in the resin.

상기 공극 함유 미립자란 내부에 기체를 포함하는 미립자, 기체를 포함하는 다공질 구조의 미립자 등을 말하는 것으로, 미립자 고체 부분의 본래의 굴절률에 대해 그 기체에 의한 공극에 의해 미립자 전체로서는 외관상 굴절률이 저하된 미립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극 함유 미립자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33611호 공보에 개시된 실리카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공극 함유 미립자로서는 실리카와 같은 무기물 이외에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805031호 공보 등에 개시된 중공 폴리머 미립자도 들 수 있다. 공극 함유 미립자의 입경은, 예를 들면 5~300 nm 정도이다. The void-containing fine particles refer to fine particles containing gas in the inside, fine particles of a porous structure including gas, and the like. By virtue of the voids caused by the gas to the original refractive index of the solid portion of the fine particles, Means fine particles. Examples of such void-containing fine particles include silica fine particle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33611. As the void-containing fine particles, hollow polymer fine particle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805031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silica. The particle size of the void-containing fine particles is, for example, about 5 to 300 nm.

고굴절률층으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등의 고굴절률 물질을 수지 중에 함유시킨 층, 불소 비함유 수지 등의 고굴절률 수지의 층, 고굴절률 물질을 고굴절률 수지 중에 함유시킨 층,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등의 고굴절률 물질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막 형성법(예를 들면 증착, 스퍼터, CVD 등의 물리적 내지는 화학적 기상 성장법)으로 형성한 박막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nclude a layer containing a high refractive index material such as titanium oxide, zirconium oxide or zinc oxide in a resin, a layer of a high refractive index resin such as a fluorine-free resin, a layer containing a high refractive index material in a high refractive index resin, , Zirconium oxide, zinc oxide, or the like is formed by a thin film formation method (for example, a physical or chemical vapor phase growth method such as vapor deposition, sputtering, or CVD).

(대전방지층)(Antistatic layer)

대전방지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채용하면 되고, 일반적으로 수지 중에 대전방지층을 함유시킨 층으로서 형성된다. 대전방지층으로서는 유기계나 무기계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유기계 화합물의 대전방지층으로서는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양성계 대전방지제, 비이온계 대전방지제, 유기 금속계 대전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대전방지제는 저분자 화합물로서 사용될 뿐 아니라 고분자 화합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대전방지제로서는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폴리머 등도 사용된다. 또한 대전방지제로서,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미립자 등도 사용된다. 도전성 미립자의 입경은 투명성의 측면에서, 예를 들면 평균 입경 0.1 nm~0.1 ㎛ 정도이다. 또한 그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ZnO, CeO2, Sb2O2, SnO2, ITO(인듐 도프 산화주석), In2O3, Al2O3, ATO(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AZO(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antistatic layer, conventionally known ones may be suitably employed and are generally formed as a layer containing an antistatic layer in the resin. As the antistatic laye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are used. Examples of the antistatic layer of the organic compound include a cationic antistatic agent, an anionic antistatic agent, a positive antistatic agent, a nonionic antistatic agent and an organometallic antistatic agent, and these antistatic agents may be used only as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But also as a polymer compound. As the antistatic agent, a conductive polymer such as polythiophene, polyaniline or the like is also used. As the antistatic agent, conductive fine particle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oxide are also used.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fine particles is, for example, about 0.1 nm to 0.1 탆 i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erms of transparency. Examples of the metal oxide include ZnO, CeO 2 , Sb 2 O 2 , SnO 2 , ITO (indium doped tin oxide), In 2 O 3 , Al 2 O 3 , ATO (antimony doped tin oxide) Aluminum-doped zinc oxide) and the like.

대전방지층을 함유시키는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하드 코트층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뿐 아니라, 대전방지층을 중간층으로서 형성하여 대전방지층 자체의 표면 강도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등도 사용된다. 대전방지층의 두께는 적당한 두께로 하면 되고, 통상은 0.01~5 ㎛ 정도로 한다. 대전방지층은 공지의 각종 도공법을 적절히 채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As the resin containing the antistatic layer, for example,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s described for the hard coat layer, a curable resin such as a thermosetting resin is used, and an antistatic layer is formed as an intermediate layer, When the strength is not required, a thermoplastic resin or the like is also used. The thickness of the antistatic layer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is usually about 0.01 to 5 mu m. The antistatic layer can be formed by suitably employing various known coating methods.

(방오층)(Stratum corneum)

방오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히 채용하면 되고, 일반적으로 수지 중에 실리콘 오일, 실리콘 수지 등의 규소계 화합물;불소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수지 등의 불소계 화합물;왁스 등의 방오염제를 포함하는 도료를 사용해서 공지의 도공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방오층의 두께는 적당한 두께로 하면 되고, 통상은 1~10 ㎛ 정도로 할 수 있다. As the antifouling layer, conventionally known ones may be appropriately employed. In general, a resin containing silicon-based compounds such as silicone oil and silicone resin, a fluorine-based compound such as a fluorine-based surfactant and a fluorine-based resin, and a coating agent containing a antifouling agent such as wax And can be formed by a known coating method. The thickness of the antifouling layer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usually about 1 to 10 mu m.

실시예Example

아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can be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의 항에 나타내는 구성의 터치 패널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작하고, 시인 측 표면에 시인 측 표면과 평행이 되도록 편광 필름을 배치하여 백화상을 표시시켰다. 상기 평행 상태를 유지한 채 편광 필름의 편광축을 360도 회전시키면서, 편광 필름을 매개로 정면에서 백화상을 바라보아 무지개 얼룩 발생의 유무 및 정도를 확인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touch panel having the constitution described in the section &quot; Configuration of image display apparatus &quot; described below was manufactured, and a polarizing film was arranged on the viewer side surfac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viewer side surface to display a white image. While maintaining the parallel state, the polarizing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rotated 360 degre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inbow stains was observed by observing the white image from the front side through the polarizing film,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정면에서 관찰했을 때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다. ◎: Rainbow stains are not observed when observed from the front.

○:정면에서 관찰했을 때 약하게 무지개 얼룩이 관찰된다. ○: Irregular rainbow stains are observed when observed from the front.

×:정면에서 관찰했을 때 강하게 무지개 얼룩이 관찰된다. X: Irregular rainbow stains are observed when observed from the front.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Image Display Device>

(1) 백라이트 광원:백색 LED 또는 냉음극관(1) Backlight source: White LED or cold cathode tube

(2) 화상 표시 셀:액정 셀(2) Image display cell: liquid crystal cell

(3) 시인 측 편광판:PVA와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양측에 TAC 필름을 맞붙인 편광판(3) Visual side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made of PVA and iodine,

(4) 광원 측 비산 방지 필름:하기의 배향 필름 A~C를 1매 또는 2매 조합하여 사용하였다(하기 표 4 참조). 2매의 배향 필름을 사용한 경우는, 상호 배향 주축이 평행이 되도록 첩합하였다. (4) Light-scattering film on the light source side: One or two of the following orientation films A to C were used in combination (see Table 4 below). When two orientation films were used, they were combined so that the mutually aligned main axes became parallel.

배향 필름 AThe orientation film A

고유점도 0.62 ㎗/g의 PET 수지 펠릿을 135℃에서 6시간 감압건조(1 Torr)한 후, 압출기에 공급하고 285℃에서 용해하였다. 이 폴리머를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과재(공칭 여과 정밀도 10 ㎛ 입자 95% 커트)로 여과하여 구금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해서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사용해서 표면온도 30℃의 캐스팅 드럼에 휘감아 냉각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The PET resin pellets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dl / g were dried at 135 ° C under reduced pressure (1 Torr) for 6 hours, then fed to an extruder and dissolved at 285 ° C. The polymer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material (nominal filtration precision 10 μm particle 95% cut) of a stainless steel sintered body to form a sheet from the indentation and extruded. The resultant was wound around a casting drum having a surface temperature of 30 ° C by electrostatic casting and cooled and solidified I made an unstretched film.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에 도입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25℃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여 폭방향으로 4.0배로 연신하였다. 다음으로 폭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 온도 225℃에서 30초간에 걸쳐 처리하고, 추가로 폭방향으로 3%의 완화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100 ㎛의 1축 배향의 배향 필름 A를 얻었다. 리타데이션값은 10,200 nm였다. Rth는 13,233 nm, Re/Rth비는 0.771이었다. The unstretched film was introduced into a tenter stretching machine and led to a hot air zone at a temperature of 125 캜 while being gripped at the end of the film with a clip, and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Then, the film was processed at a temperature of 225 캜 for 30 seconds while maintaining the stretched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and further subjected to a relaxation treatment of 3% in the width direction to obtain a uniaxially oriented film A having a film thickness of about 100 탆 . The retardation value was 10,200 nm. Rth was 13,233 nm, and Re / Rth ratio was 0.771.

배향 필름 BOrientation film B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필름의 두께를 약 80 ㎛로 하는 이외는 배향 필름 A와 동일하게 하여 1축 배향의 배향 필름 B를 얻었다. 리타데이션값은 8,300 nm였다. Uniaxially oriented oriented film B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oriented film A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unstretched film was changed to a thickness of about 80 탆. The retardation value was 8,300 nm.

배향 필름 COrientation film C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필름의 두께를 약 50 ㎛로 하는 이외는 배향 필름 A와 동일하게 하여 1축 배향의 배향 필름 C를 얻었다. 리타데이션값은 5,200 nm였다. Rth는 6,600 nm이고, Re/Rth비는 0.788이었다. The uniaxially oriented oriented film C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riented film A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unstretched film was changed to a thickness of about 50 탆. The retardation value was 5,200 nm. Rth was 6,600 nm, and Re / Rth ratio was 0.788.

(5) 터치 패널:유리 기재 위에 ITO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을 설치한 ITO 유리를 사용하여 제작한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5) Touch panel: Resistive touch panel manufactured using ITO glas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made of ITO on a glass substrate

(6) 시인 측 비산 방지 필름:하기의 배향 필름 1~5를 1매 또는 2매 조합하여 사용하였다(하기 표 4 참조). 2매의 배향 필름을 사용한 경우는, 상호 배향 주축이 평행이 되도록 첩합하였다. (6) Visible scattering-preventing film on the viewer side: One or two of the following orienting films 1 to 5 were used in combination (see Table 4 below). When two orientation films were used, they were combined so that the mutually aligned main axes became parallel.

배향 필름 1Orientation film 1

배향 필름 A와 동일하게 하여 리타데이션값이 10,200 ㎚인 배향 필름 1을 얻었다. Rth는 13,233 ㎚이고, Re/Rth비는 0.771이었다. Similarly to the orientation film A, the oriented film 1 having a retardation value of 10,200 nm was obtained. Rth was 13,233 nm, and Re / Rth ratio was 0.771.

배향 필름 2Orientation film 2

배향 필름 B와 동일하게 하여 리타데이션값이 8,300 ㎚인 배향 필름 2를 얻었다. Similarly to the orientation film B, an oriented film 2 having a retardation value of 8,300 nm was obtained.

배향 필름 3Orientation film 3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필름의 두께를 약 65 ㎛로 하는 이외는 배향 필름 A와 동일하게 하여 1축 배향의 배향 필름 3을 얻었다. 리타데이션값은 6,600 nm였다. The uniaxially oriented oriented film 3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riented film A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unstretched film was changed to a thickness of about 65 탆. The retardation value was 6,600 nm.

배향 필름 4Orientation film 4

배향 필름 C와 동일하게 하여 리타데이션값이 5,200 ㎚인 배향 필름 4를 얻었다. Rth는 6,600 ㎚이고, Re/Rth비는 0.788이었다. Similarly to the orientation film C, an oriented film 4 having a retardation value of 5,200 nm was obtained. The Rth was 6,600 nm and the Re / Rth ratio was 0.788.

배향 필름 5Orientation film 5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으로 주행방향으로 2.0배 연신한 후, 배향 필름 A와 동일한 방법으로 폭방향으로 4.0배 연신한 이외는 배향 필름 A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약 50 ㎛의 2축 배향의 배향 필름 5를 얻었다. 리타데이션값은 3,200 nm였다. Rth는 7,340 nm이고, Re/Rth비는 0.436이었다. The unstretched film was heated to 105 DEG C by using a heated roll group and an infrared heater and then stretched 2.0 times in the running direction with a roll having a peripheral speed and then stretched 4.0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orientation film A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orientation film A, an orientation film 5 having a biaxial orientation with a film thickness of about 50 mu m was obtained. The retardation value was 3,200 nm. The Rth was 7,340 nm and the Re / Rth ratio was 0.436.

광원 측 비산 방지 필름 및 시인 측 비산 방지 필름은 이들 중 리타데이션이 높은 쪽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과 시인 측 편광자의 편광축이 형성하는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리타데이션의 값이 낮은 쪽의 배향 필름은 그 배향 주축과 리타데이션이 높은 쪽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형성하는 각이 30도가 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무지개 얼룩 평가(◎, ○, ×)를 행하였다. 또한 시험 No.13에 있어서 광원 측 비산 방지 필름으로서 사용한 2매의 배향 필름은 그들의 배향 주축이 형성하는 각이 7도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무지개 얼룩 평가와는 별도로, 시인 측의 배향 필름을 고정하지 않고 회전시키면서 무지개 얼룩을 평가하였다. Side scattering prevention film and the viewer-side scattering-prevention film were arrang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alignment main axis of the orientation film having the higher retardation and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visual side polarizer was 45 degrees. Further, the alignment film having the lower retardation value was disposed such that the orientation axis of the film and the alignment axis of the orientation film of the orientation film having higher retardation were 30 degrees, and the above iridescent spot evaluation (?,?, X) Respectively. In Test No. 13, the two alignment films used as the light-scattering-prevention film on the light source side were arrang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alignment main axis thereof was 7 degrees. In addition to the rainbow stain evaluation, the iridescent stain was evaluated while rotating the orientation film on the viewer side without fixing.

리타데이션(Re)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2매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필름의 배향 주축 방향을 구하고, 배향 주축 방향이 직교하도록 4 ㎝×2 ㎝의 직사각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Nx,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에 의해 구하고, 상기 2축의 굴절률 차의 절대값(|Nx-Ny|)을 굴절률의 이방성(△Nxy)으로서 구하였다. 필름의 두께 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파인류프사 제조, 밀리트론 1245D)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nm로 환산하였다. 굴절률의 이방성(△Nxy)과 필름의 두께 d(nm)의 곱(△Nxy×d)으로부터 리타데이션(Re)을 구하였다. 또한 리타데이션의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Nx, Ny, Nz와 필름 두께 d(nm)를 구하고, (△Nxz×d), (△Nyz×d)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을 구하였다. The retardation (Re) wa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the direction of principal axis of orientation of the film was determined by using two polarizing plates, and a rectangle of 4 cm x 2 cm was cut out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principal axis alignment, thereby obtaining a sample for measurement. Axis refractive index (Nx, Ny)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mple were determined by Abbe's refractometer (NAR-4T manufactured by Atago Co., Ltd.) -Ny |) was obtained as anisotropy (? Nxy) of the refractive index. The thickness d (nm) of the film was measured using an electric micrometer (Millitron 1245D, manufactured by Pahrung Paste), and the unit was converted to nm. The retardation (Re) was determined from the product (Nxy x d) of the anisotropy (DELTA Nxy) of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thickness d (nm) of the film. Further, Nx, Ny, Nz and film thickness d (nm) were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the retard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DELTA Nxz x d) and (DELTA Nyz x d) Respectively.

평가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상기 표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시인 측 편광자보다 시인 측에 3,000 ㎚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을 2매 설치하고, 각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동일한 경우, 명확한 무지개 얼룩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값에 1,800 ㎚ 이상의 차를 둠으로써 무지개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고, 그 효과는 리타데이션의 차를 보다 높게 함으로써 현저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 차가 약 3,500 ㎚ 이상, 특히 4,000 ㎚ 이상이면 2매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형성하는 각이 45도여도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고, 또한 필름의 배향각을 크게 해도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 차가 1,700 ㎚ 이하인 경우는, 양쪽 필름의 배향 주축의 각이 20도 이하에서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고, 15도 이하에서 보다 눈에 띄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2, when two alignment films having retardation of 3,000 nm or more were provided on the viewer side of the viewer side polarizer and the retardations of the alignment films were the same, clear iridescence was generated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visibility .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was suppressed by giving a difference of 1,800 nm or more to the value of the retardation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and the effect becomes remarkable by increasing the retardation difference. If the retardation difference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about 3,500 nm or more, particularly 4,000 nm or more, even if the angle formed by the orientation principal axes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45 degrees, the iridescence unevenness is not notice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rainbow stains were not visible. When the retardation difference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was 1,700 nm or l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iridescent irregularities were not noticeable at an angle of orientation main axis of both films of 20 degrees or less and less noticeable at 15 degrees or less.

2매의 배향 필름의 배향 주축이 형성하는 각이 20도~45도인 경우는, 「당해 각(도)≤0.00667×리타데이션 차+13」이라는 식을 충족시키면 무지개 얼룩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이 나타내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당해 각(도)≤0.00667×리타데이션 차+23」을 충족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When the angles formed by the alignment main axes of the two alignment films are 20 degrees to 45 degrees, it is shown that rainbow irregularities are not noticeable when the formula of &quot; (Angle) (0.00667 x retardation difference + 13) It is shown that rainbow stains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by satisfying the expression &quot; (angle) &lt; / = 0.00667 x retardation difference +23 &quot;.

1  액정 표시 장치
2  광원
3  광원 측 편광판
4  액정 셀
5  시인 측 편광판
6  터치 패널
7  광원 측 편광자
8  시인 측 편광자
9a  편광자 보호 필름
9b  편광자 보호 필름
10a 편광자 보호 필름
10b 시인 측 편광자 보호 필름
11  광원 측 투명 도전성 필름
11a 광원 측 기재 필름
11b 투명 도전층
12  시인 측 투명 도전성 필름
12a 시인 측 기재 필름
12b 투명 도전층
13  스페이서
14  광원 측 비산 방지 필름
15  시인 측 비산 방지 필름
1 liquid crystal display
2 light source
3 Light source side polarizer
4 liquid crystal cell
5-side polarizer
6 Touch panel
7 Light source side polarizer
8 viewer side polarizer
9a Polarizer protective film
9b polarizer protective film
10a Polarizer protective film
10b The viewer side polarizer protective film
11 Light source sid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1a Light source side substrate film
11b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2-sid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2a side view film
12b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13 Spacer
14 Shatterproof film on the light source side
15 Shake-proof film

Claims (3)

(1) 연속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
(2) 화상 표시 셀,
(3) 상기 화상 표시 셀보다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자, 및
(4) 상기 편광자보다 시인 측에 3,000 ㎚ 이상 150,000 ㎚ 이하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필름을 2매 갖고,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은 그들의 배향 주축이 서로 거의 평행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리타데이션을 가지며, 그 차가 1,800 ㎚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
(1) a white light source having a continuous emission spectrum,
(2) Image display cells,
(3) a polarizer arranged on the visual side of the image display cell, and
(4)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wo orientation films having retardation of 3,000 to 150,000 nm,
The two orientation films have retardation in which their alignment axe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fference therebetween is 1,800 nm or more
FI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배향 필름의 리타데이션의 차가 3,500 ㎚ 이상인 화상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tardation difference of the two orientation films is 3,500 nm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화상 표시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white light source having the continuous emission spectrum is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KR1020157022515A 2013-02-08 2014-02-07 Image display device KR10218301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3654A JP2014153559A (en) 2013-02-08 2013-02-08 Image display device
JPJP-P-2013-023654 2013-02-08
PCT/JP2014/052847 WO2014123210A1 (en) 2013-02-08 2014-02-07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816A true KR20150115816A (en) 2015-10-14
KR102183015B1 KR102183015B1 (en) 2020-11-25

Family

ID=5129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515A KR102183015B1 (en) 2013-02-08 2014-02-07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4153559A (en)
KR (1) KR102183015B1 (en)
CN (1) CN104981731B (en)
TW (1) TWI547726B (en)
WO (1) WO20141232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2465B2 (en) * 2013-09-27 2017-09-06 ホシデン株式会社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8181655A1 (en) * 2017-03-31 2018-10-04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CN109027970B (en) * 2018-06-21 2020-08-04 南京中电熊猫平板显示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high beam lamp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740304A (en) * 2018-09-28 2021-04-30 东洋纺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with fingerprint verification sensor
KR20210099822A (en) * 2020-02-05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image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069A (en) * 2003-01-07 2004-07-29 Nitto Denko Corp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WO2008047785A1 (en) * 2006-10-17 2008-04-24 Seiko Instruments Inc. Display device
WO2011058774A1 (en) 2009-11-12 2011-05-19 学校法人慶應義塾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JP5051328B1 (en) * 2012-01-27 2012-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634A (en) * 2002-01-15 2003-07-25 Sharp Corp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036322B2 (en) * 2002-03-25 2008-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3778185B2 (en) * 2002-11-08 2006-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633583B2 (en) * 2005-05-23 2009-12-15 Ran-Hong Raymond Wang Controlling polarization for liquid crystal displays
RU2011128784A (en) * 2009-05-15 2013-06-20 Шарп Кабушики Каиша DISPLAY DEVICE
JP4689769B1 (en) * 2009-12-03 2011-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079928A (en) * 2010-06-22 2016-07-0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JP2014010315A (en) * 2012-06-29 2014-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Sensor film for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035927B2 (en) * 2012-07-11 2016-1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ultilayer transparent substrate, laminate using multilayer transparent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m
JP6278585B2 (en) * 2012-07-11 2018-0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ultilayer transparent substrate, laminate using multilayer transparent substr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m
US9116390B2 (en) * 2012-08-27 2015-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compatible with linearly polarized sunglass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069A (en) * 2003-01-07 2004-07-29 Nitto Denko Corp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WO2008047785A1 (en) * 2006-10-17 2008-04-24 Seiko Instruments Inc. Display device
KR20090080041A (en) * 2006-10-17 2009-07-23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Display device
WO2011058774A1 (en) 2009-11-12 2011-05-19 学校法人慶應義塾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11107198A (en) * 2009-11-12 2011-06-02 Keio Gijuku Visibility impro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051328B1 (en) * 2012-01-27 2012-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81731B (en) 2018-09-07
KR102183015B1 (en) 2020-11-25
WO2014123210A1 (en) 2014-08-14
JP2014153559A (en) 2014-08-25
CN104981731A (en) 2015-10-14
TWI547726B (en) 2016-09-01
TW201439608A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34B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4215501A (en)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KR20150115816A (en) Image display device
JP6303266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02300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60110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036375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303265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604397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064655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02312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02311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02313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509478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248394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79118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79117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9053304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8156084A (en) Image display device
WO2014123211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7227905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4157256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4157233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4157269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14157268A (e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